You are on page 1of 21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47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47)

핵심개념 및 용어 수능 최저기준 출제 분야 시험 시간
[문항 1]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 도함수를 활용한 함
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구하기,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 수학(2문항, 예상
의 미분/ [문항 2]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이차함수의 없음 3문제) 소요시간
그래프와 부등식의 해, 도함수의 활용(증가, 감소, 극 (20분)
대, 극소,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

[문항 1]

반지름의 길이가 이며 중심이 A 와 B 인 두 원이 있고 선분 AB 의 길이는  라고 하자.


직선 AB 와 점 A 를 중심으로 하는 원이 만나는 두 점 중 점 B 와의 거리가 더 먼 점을
P 라고 하자. 점 Q 는 점 A 가 중심인 원 위, 점 R 은 점 B 가 중심인 원 위에 있을 때
삼각형 PQR 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5점)
R

P A B

[문항 2]

(1) 어떤 양수  에 대해서도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 가 존재하게


되는 실수  의 범위를 구하시오. (2점)


(2) 어떤 실수  에 대해서도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 가 존재하게 되

는 실수  의 범위를 구하시오. (3점)

47) KAIST 홈페이지


462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풀어보기

문제1. 좌표평면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와 두 점


A   B   가 있다. 원  위에 있고 좌표가 음수인 점 P 에 대하여
∠PAB   라 하자. 점 Q  cos 에서 직선 BP 에 내린 수선의 발을 R 라 하고,

두 점 P 와 R 사이의 거리를 라 할 때,   의 값은?





(2021년 9월 평가원)


  
 
➀  ➁ 
  ➂ 
 

  

➃  ➄ 
 

문제2. 이차함수  에 대하여 함수 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

(가)    인  에 대하여  는    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나)  는    ,     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방정식   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실수이다.) (2021년 9월 평가원)

463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예시시답
답안안

풀어보기(문제1) 정답 ①

∠APB   라 할 때, 원주각 ∠APB 에 대응하는 중심각이 ∠AOB  이므로


∠APB   , ∠B       이고, ∠QBR           이다.
직각 삼각형 QBR 에서

BR  

 
BQ×cos       cos×sin

사인법칙에 따라 이므로

BP
 
sin

BP  sin

PR  
BP BR  sin  sin  sincos  sin  sin ,
  





  



sin  sin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답 
풀어보기(문제2)
최대, 최솟값을 모두 가지므로        라 할 때,    이고

 ′   ′     ′   ′   


이다. 구간   ∞ ∞  에서     는 연속이므로 구간   ∞ ∞  에서 최
 

대, 최솟값은 극대, 극솟값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이고


 ′     의 세 실근이    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464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에서 극대,       에서 극소이므로           의 그래프는 아래


그림과 같다.

    의 꼭짓점에서  ′   이고, 는 이차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가     의 대칭축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을 만족한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가) 조건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     이다. 

[문항1] (5점) 대학발표 예시답안


(1) 최댓값을 구해야 하므로 점 R 은 점 P 와 점 Q 에 의해 정해진다. 즉, 점 R 은 점 P
와 점 Q 를 지나는 직선과 평행한 직선과 점 B 를 중심으로 하는 원이 접하는 점이 된다.
위 성질을 만족하는 두 개의 직선이 있으나 그 중 직선 PQ 와의 거리가 더 먼 직선을 선
택하면 된다.
직선 PQ 와 직선 AB 가 이루는 각을  라고 하자. 일반성을 잃지 않고  ≤  ≤  라 가
정할 수 있다. 다음 그림에서처럼 삼각형 PQR 의 넓이는 cos   sin     이다. (여기서
삼각형의 넓이 공식   밑변  ×  높이  를 사용하며 높이는 sin    이고 밑변의 길이는
아래 그림에서처럼 이등변 삼각형 APQ 에서 수선을 사용하여  cos 임을 알 수 있다.)
R

P  A
B

Q
sin 

465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그리하여  ≤  ≤  일 때, 삼각형 PQR 의 넓이   cos  sin     의 최댓값을 구해


야 한다. 우선 덧셈정리를 사용하여 sin  sin cos 라는 사실을 이용하면
  sin  cos 로 간소화된다. 이 식을 미분하면
 ′  cos  sin
이다. 여기서  ′   이라고 하면 cos  sin     sin    sin   

이 된다. (단, 덧셈정리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미분하면


 ′   sin  sin      cos  cos 
 cos   sin   sin 
    sin     sin   sin 
  sin   sin   
식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즉,  sin   sin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sin     
 

즉, sin    또는 sin     이다. 하지만  ≤  ≤  이므로 sin    이다.  ′  

이고  ′     이므로   는 sin    일 때 최댓값을 가진다.


이때 cos  



이므로 삼각형 PQR 의 넓이   의 최댓값은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이다.
정답: 


<몇 가지 다른 풀이 방법>
1. 직선 QA 와 직선 AB 가 이루는 각을  라고 두고 계산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  cos   sin     이 되며 일반성을 잃지 않고  ≤  ≤  라 가정할 수 있다.
 
 
2.   cos × sin   의 최댓값 대신    cos  × sin   의 최댓값을 구할 수
  

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sin    로 치환하면


              
이 되고 이를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을 이용하여 sin      일 때 최댓값을 얻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466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3. 점 R 의 좌표를 점 P 에 대하여 구할 수도 있다. 가령 Q   cos  sin   이라고 하면


R     sin    cos  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좌표평면 위에 세 점이 주어졌을 때 이
들이 이루는 삼각형을 구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 중 하나를 활용하면 삼각
형 PQR 의 넓이   cos  sin     을 구할 수 있다.
[문항2] (5점) 대학발표 예시답안
(1) 어떤 양수  에 대해서도, 등식을 만족시키는 실수  가 존재하게 되는  의 값의 범위
를 구해보자.
주어진 등식을  에 관한 일차식으로 정리하면               이다.  항의 계수

인      이  이 되는 양수  가 있다면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 항의 계수


인      이 모든 양수  에 대해서  이 되지 않는  의 범위를 구해야 한다.


       의 그래프는 점    을 지나는  차함수이므로  가 양수일 때 이 그래


프가  축을 지나지 않는 것은 다음 두 가지 경우가 있다.


(ⅰ)  차함수가 증가함수인 경우
(ⅱ)  차함수가 극값을 갖는 경우
극댓값은  가 음수일 때, 극솟값은  가 양수일 때이므로 극솟값이 양수일 때  항의 계
수인      이 모든 양수  에 대해서 항상 양수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하는 실수

 가 존재한다.
(Note : 극솟값이 음수이면 그래프가 양의  축을 지나므로 모순이다)
(ⅰ)의 경우:  ′     ≥  ⇔  ≥  이어야 한다.

(ⅱ)의 경우:    이어야 하고 이때,  차 도함수      , 


 에서    에서

 의 극솟값이 양수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이다.

(ⅰ), (ⅱ)에 의해서 구하는 실수  의 범위는  



  이다. 

(2) 주어진 등식을  에 관한 이차식으로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가  이면,  값에 관계없이 이 등식은 실근     을 가지므로,  ≠ 인 경우만 고려하

467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면 되고 이때,  에 관한 이차식의 판별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실근  를 가지기 위해서는  ≠ 인 모든  에 대해서 판별식  가  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경우를 네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보자. (1점)
(ⅰ)    이면,    ≥  이므로 실근을 가진다.
(ⅱ)     이면,  는  에 대한 일차함수로 모든  에 대해서  이상일 수는 없다.
(ⅲ)       이면,    가  보다 작으므로,  를  에 대한 이차식으로 봤을 때의 그

래프는 위로 볼록하다. 따라서 모든  에 대해서  가  이상일 수는 없다.


(ⅳ)     또는    이면,    가  보다 크므로,  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다.

 가 항상  보다 크거나 같은 것은 이 그래프가  축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다는 것


이므로,  에 대한 이차식으로써 판별식이  보다 작거나 같은 것과 동치이다.
 를  에 대한 이차식으로 봤을 때의 판별식을 다시 적으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이 판별식이 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은  ≥   인 것과 같다. 지금 이미  가     또는
   를 만족하는 경우만 살피고 있으므로, 이 경우는    의 범위를 얻는다.
실근을 가질 수 있는 것은 (ⅰ)과 (ⅳ)뿐이므로 이를 합치면 가능한  의 범위는  ≥  이
다. (2점)

468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48 KAIST(일반전형) 수시48)

핵심개념 및 용어 수능 최저기준 출제 분야 시험 시간
[문항 1]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코사인 법칙, 삼각함 예상
수의 덧셈정리/ [문항 2]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평 없음 수학(2문항, 소요시간
면 운동에서 움직인 거리,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4문제) (20분)
관계, 부채꼴의 호의 길이, 벡터의 크기

[문항 1]

Y
Z

X

O Z

X

X
Y
Y

Z

위의 그림과 같이 점 O 가 중심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 와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 가 있다. 원  위에서 세 점 X , X , X 을 임의로 선택하여 중심 O 가 X ,
   

X , X 을 꼭짓점으로 가지는 삼각형의 내부 또는 변에 있도록 한다. 이 세 점 중 두 점


 

을 지나는 세 직선을 그어, 그 선들과 원  의 교점을 위와 같이 Y , Y , Y , Z , Z ,     

Z 이라 한다. (총 5점)

(1) 각 ∠X OX 과 선분 Y Z 의 길이 사이의 관계를 구하시오. ( 점)


   

(2) 세 선분 Y Z , Y Z , Y Z 의 길이의 제곱의 합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 점)


     

48) KAIST 홈페이지


469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문항 2]

(1) 반지름의 길이가  미터인 원의 한 점 P 에 길이  미터인 줄을 매달아 줄을 팽팽하게


유지하면서 줄의 다른 끝점 Q 를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 나가려고 한다. 이때 점 Q 의
궤적의 총 길이를 구하시오. (아래 그림과 같이 줄이 원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
작한다고 하자.) (2점)
Q

(2) 아래 그림과 같이 둘레의 길이가  미터인 오각형의 한 꼭짓점 P 에 길이  미터인 줄


이 한 변의 연장선에 매어져 있다. 이 오각형을 자연수  에 대하여 닮음비  로 축
소시킨 뒤 (1)번과 같은 작업을 한다고 하자. 줄 끝(점 Q )의 궤적의 길이를  이
라고 할 때, 극한값 lim 

→∞
을 구하시오. (3점)
Q

470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풀어보기

문제1. 그림과 같이 ∠BAC    이고  AC 인 삼각형 ABC 가 있다. 


AB  CD 인 선분
BD  

AB 위의 점 D 에 대하여 ∠CBD   , ∠ACD   라 하자.   


cos   


일 때,
 ×tan  의 값을 구하시오. (2021년 4월 전국연합)


문제2.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   에서의 위치가 곡선    과 직선 

      가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의 중점일 때, 시각   에서    까지 점


 ln

P 가 움직인 거리는? (2021년 11월 대수능)

         
➀   ➁   ➂   ➃   ➄  
         

471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예시시답
답안안

풀어보기(문제1) 정답 
삼각형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BD  ∠DCB   이고 ∠CDA  이다.
BCD
삼각형 ADC 에서
    , cos coscos  sin  sin  cos   sin  cos    
 
   
 

sin    cos   이고      이므로


 



sin   


, tan  
sin 
cos
,


 
tan   tan   


tan  tan       





 




,
  tan  ×tan 
   
×

따라서  ×tan   이다.
풀어보기(문제2) 정답 ①
두 곡선의 교점의  좌표는       ln

의 두 실근이다.      
 ln

  의 두 실근을
  

  라 할 때, 두 교점은       이므로 그 중점의  좌표는  ,  좌표는


 

 
이다.
  

얻어진 방정식의 근과 계수 관계에 따라


         ,             
 ln  ln
  
 
이다. 두 교점의 중점의   좌표는
  ln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움직인 거리를 구해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2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항1] (5점) 대학발표 예시답안

Y
Z

X

P 
O Z


 X

X
Y
Y

Z

(1) 위 그림과 같이 Y 에서 원  에서 접선을 그어 접점을 P 라고 하면 피타고라스 정리


에 의해서 선분 P Y 의 길이는  이다. 

   ∠X O X 로 두면 X X 의 길이는  sin  이다. 따라서  Y X 의 길이를  라 할 때



       

∠Y X O     이므로 삼각형 Y X O 에 코사인법칙을 사용하면



    

   sin    를 얻는다. 이 방정식을 풀면    sin  ± 

 sin    이다. 이때  는  

보다 크므로,    sin    sin    이고, 이로부터 우리는 



Y Z   sin    (      cos       cos  ∠X O X  )


  
 

   cos    
   

를 얻는다.
   ∠X OX 로 두자. 중심 O 에서 선분 Y Z 에 수선을 그려 교점을 Q

(다른 풀이)     

라 하고 중심 O 와 점  을 연결해서 삼각형 OY Q 를 생각하자. 선분 OQ 의 길이는  

cos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선분 Y Q 의 길이는 


   cos  이다. 따라서 선분 

Y Z 의 길이는  
    cos  이다. 

(2) 세 각 ∠X OX , ∠X OX , ∠X OX 을      로 두자. 중심 O 가 삼각형


        

X X X 의 내부 또는 변위에 있으므로 세 각의 합은  이다. 즉,        가


     

473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성립한다. 구하려는 길이의 제곱의 합은    cos   cos   cos   이다. 삼각함수의 






덧셈정리에 의해서
cos    cos   sin   cos    이므로 cos    이고, 이를 이용하면 위의
     cos 

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cos   cos   cos        cos    cos    cos  
따라서 이 식의 최댓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          일때
  cos    cos    cos  
의 최솟값을 구해야 한다.  의 값을 구할 수 있는 풀이를 아래에 두 개 소개한다.
풀이 1. 평변벡터를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


 



이를 위해서 위의 그림과 같이 사잇각이 각각      이고 길이가  인 세 평면벡터   


  를 생각하자.        이므로 이와 같은 세 벡터를 잡을 수 있다. 그러
  

면 평면벡터의 내적의 성질에 따라 ․   cos , ․   cos , ․   cos 이고, 이를   

이용하면
  cos    cos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얻는다. 그리고 실제        일 때     이 성립하여  의 최솟값이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cos    cos    cos        의 최댓값은
  

        이다.

풀이 2.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       로 두자. 그러면        이고 cos       cos  이므로 삼각
    

함수의 덧셈정리와 sin   sin    의 성질을 이용하면


 

474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      cos       cos        cos          


  cos    cos    cos       
  cos    cos    cos cos  sin sin  
  cos    cos    cos cos  sin sin  cos   sin    cos    sin    
이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제곱수는 항상  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      cos    cos      cos    cos    cos cos    sin    sin sin  sin   
  cos  cos      sin  sin  ≥ 

따라서  ≥   을 얻는다. 그리고 실제      



      이면     이




 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 의 최솟값은   이고,


    cos    cos    cos        의 최댓값은         이다.

  

[문항2] (5점) 대학발표 예시답안


(1) 원의 중심을 원점에 두고 점 P 를     이라고 하자. 원의 둘레로 팽팽한 줄을 각 
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감으면, 이때 줄이 원과 접하는 점의 좌표가  cos  sin  이다.
(아래 그림 참고). 이때 잡고 있는 줄 끝의 좌표       를 구해 보면, 감고 남은 줄
의 길이가    이고 접점에서 점 Q 방향의 단위 벡터는   sin   cos  이므로
        cos  sin         sin        cos   ,
        cos  sin         sin        cos  
  cos      sin   sin       cos  
이 좌표가 이루는 궤적의 길이를 적분을 통하여 구해보면

′   ′   
  cos    cos    sin    sin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Q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O P

(2) 오각형 둘레의 길이는 닮음비에 따라  이 되므로 길이  인 줄로 감아 나갔을 때 


번 감을 수 있다. 줄이 오각형의 외각을 회전하는 호를 남은 줄의 길이만큼의 반지름으로
475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그린 후에, 호의 반지름이 오각형 해당 변의 길이만큼 줄어 들어 다음 호를 그리게 된다.


이때
(호의 길이)  (반지름의 길이) × (호의 중심각의 크기)
오각형을 한 바퀴 감았을 때의 줄의 길이는 다각형 둘레의 길이인  만큼 줄어들게 된다. 오
각형의 외각의 크기를 각각  라고 하고 각 변의 길이를 



라고 하자. 전체 둘레의 길이가



이므로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바퀴를 감고 남은 길이가
 

 
 

인 줄이
다음 한 바퀴를 돌 때의 점 Q 의 궤적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되는데 다각형 외각의 총합은  임을 이용하면 다음 부등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궤적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주어지는데 부등식을 이용하여 부등식의 상단 혹은 하단의 극한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두 경우 극한값이 같은데 상단의 극한값을 정적분으로 바꾸어 계산하면  →  → , 적분
구간은     에서의 적분이 되어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가 된다. 하단의 극한값도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같은 값을 갖는다.
(다른 풀이) 위의 부등식을 이용하지 않고 각 항을 같은 방법으로 정적분으로 바꾸어 계산한
후(이때,  →  → 이므로 


은  으로 무시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각의 합    이 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   


476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 다음 풀이는 2022년 2월 졸업생 한국과학영재학교 홍원기 학생과 부산과학고

2022년 1월 조기 졸업생 조현준 학생이 각각 보내온 풀이입니다. 두 학생에게 지면으

로나마 감사하는 마음을 전합니다.

[문항1] _학생 풀이(1)


(1) 각 ∠X OX 을  라 하자. 그러면,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

 
Y Z    cos     cos 

여기서   
∠X OX

이므로, 반각 공식을 적용하면
 

 
Y Z      cos∠     cos ∠ ,
∴
Y Z  
   cos∠X OX 

(2) 중심각 ∠X OX , ∠X OX , ∠X OX 을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자. 그
러면 각 선분의 길이의의 제곱의 합은
  cos  cos  cos 

여기서, cos  cos  cos 의 최솟값은 


   

     

일 때이므로

  cos  cos  cos≤     ⋅   
   (등호는  

     

일 때 성립)
따라서, 제곱의 합의 최댓값은  이다.
*최솟값 증명
  cos 라 하자. 이때 점 O 가 삼각형 내부에 있으므로,     에 대하여      

이다. 구간     에서 함수 는 위로 볼록이므로, 젠센 부등식에 의해


      




≤  
  


    (등호는        일 때 성립)
  
  

따라서, cos  cos  cos 의 최솟값은       


  


일 때   임을 알 수 있다.

   

이외에도 미분 등을 통해서 보일 수도 있다.

[문항1] _학생 풀이(2)


(1) 점 O 에서 직선 X X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고 ∠X OX
     라 하자.
OX   이므로 
OH cos  이고,   이므로
 
 OY   



Y Z
    
Y  H  
  cos 

477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이다.

(2) ∠X OX   ,   ∠X OX    , ∠X OX    라 하면        이고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  

Y Z
    ,
Y Z    cos  ,

  cos 


  
  
 
Y Z     cos 

이고, cos   


  cos


이므로
 
Y Z  

Y Z  
 
  
Y Z     cos     cos     cos 
   



 

 
    cos   cos   cos 



   cos  cos  cos
이다. 한편, 점 O 가 삼각형 X X X 내부 및 변에 있으므로  ≤            ≤ 이다.
cos  cos  cos  cos  cos  cos     cos  cos  cos  
에서  이 상수일 때,

 cos  cos  cos  

이라 하면  ′   sin  sin      이므로   는 


     

  

에서 최소이다.
같은 방법으로  가 상수일 때, 

 cos  cos  cos  

이라 하면  ′  sin  sin      이므로   는 


     

  

에서 최소이다.

    

,
을 연립하면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일 때
cos  cos  cos 은 최솟값   을 갖고

  


  
           cos  cos  cos≤     

이므로 최댓값은  이다.

478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문항 분석(한국과학영재학교 19기 홍원기)

본 문항의 출제범위는 다음과 같다.


미적분 > II. 삼각함수 > 반각 공식
본 문항은 어떠한 기교적인 해법도 필요하지 않으며 시간도 오래 소요되지 않는 문제로,
대다수의 면접 응시자가 어려움 없이 해결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cos  cos  cos 의 최솟값이        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이 매우 유명한

     

사실이지만, 이를 모르거나 이의 증명 방법을 몰랐다면 약간 어려웠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문항2] _학생 풀이(1)
(1) 점 P 를 원점으로 하고, 직선 PQ 를 축으로 하는 직교좌표계를 생각하자. 이때 줄이
원에 감기는 각을 라고 하면 그 순간의 동점 Q 의 좌표와 좌표를 아래와 같이 표현
할 수 있다.
   sin     cos
    cos   sin 
그러므로 동점 Q 의 자취의 길이, 은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답안)

면접 시 곡선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이 생각나지 않는다면 둘레가 인 정각형에 대해


구한 후, 극한 →∞을 취해 원에서의 결과를 구할 수 있다. 이때 정각형에서의 동점
Q 의 자취의 길이를  이라고 하자. 이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는 가우스 함수(혹은 바닥함수)로 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부등식  

    ≤  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조임 정리(Squeeze theorem, 일명 ‘샌드위치 정리’)에 의해 다
음이 성립한다.

lim   

→∞

그러므로 원에서의 동점 Q 의 자취의 길이가 




가 됨을 알 수 있다.

479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2) 닮음비  로 줄인 오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 ,  ,  ,  ,  (  ,     )라 하


      
 

고, 이에 해당하는 외각의 크기를  ,  ,  ,  ,  (    ,    )라고 하자.


      
 

그러면 바퀴 돌린 후의 상태에서는 남은 줄의 길이가    으로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바퀴 돌린 후 한 바퀴 돌릴 동안 줄의 끝의 지나는 자취의 길이를  라고 한다면 다음 

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에 편의상 를 두어 아래와 같이 표현하자.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에서 lim 


 

 lim   이므로 조임
   
 →∞ →∞

정리에 의해 다음과 같이 극한을 얻을 수 있다.



lim 


→∞

※ 오각형이 오목다각형인 경우

만약 한 각이 오목한 경우, 이는 둘레가 줄어든 사각형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계


산해보면 lim 


 로 볼록다각형이든 오목다각형이든 같은 결과가 나옴을 알 수 있
→∞

다.

480 부산수리나침반
KAIST(학교장추천전형) 수시

[문항2] _학생 풀이(2)


(1)

그림과 같이 두 점 P  , Q   에 대하여 줄을 원의 둘레를 따라 ∠POP′   가 되


도록 감았을 때 점 Q 가 이동한 점을 Q′ 라 하면
PP′  이고 P′Q′
     이므로 P′ cos     sin      sin cos이다.
    
∠Q′   이므로 Q′    라 하면
   sin     cos ,  cos    sin

이다.  ≤  ≤  이므로 점 Q′ 가 움직인 곡선의 길이를 구해보자


′  ′   cos  cos    sin   sin  sin    cos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 아래 그림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481
2021수리논술 나침반 ⅩⅢ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lim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그러므로

lim 


→∞

이다.
문항 분석(한국과학영재학교 19기 홍원기)

본 문항의 출제범위는 다음과 같다.


수학 II >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 함수의 극한과 대소관계(조임 정리)
미적분 > III. 적분법 > 곡선의 길이
본 문항은 다소 어렵다고 느껴졌을 것으로 생각한다. 문제 (1)은 이미 수업에서 많이 경
험해본 문제라 쉽게 해결할 수 있었겠지만, 문제 (2)는 오차와 유사한 느낌으로  를 도입
하여 조임 정리를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면 헤매어 못 풀 가능성이 있
을 수 있었겠지만, 문제를 푸는 데 긴 시간이 소요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실제
로 상당수의 학생이 [문항 2] 때문에 서울대학교 수학 문항보다 체감상 더 어려웠다고 복
기하기도 하였다.

482 부산수리나침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