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테스트

고등

<김성규 T> 여러 가지 미분법 주요문항

1. 1) 이 자연수일 때, 다음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     ′


2. 함수
  
 sin  ≠ 
     (단,   은 자연수이다.)


   
 ′ 이 존재하고   에서 도함수  ′이 연속이 되기 위한   의 조건을 구하시오. 2)

- 1 -
테스트
고등

3. 3)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함수 에서 ′ 와 ′의 값을 구하여라.


 
 sin  cos
     ≠ 


    

cos 
4. 4) 두 함수      tan   sin 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cos   sin 
두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 


(나)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
 

- 2 -
테스트
고등

5. 5) 함수  tan 가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실수   
 
의 값을 구하여라. (단,           이다.)
 

6. 6) 함수    ,    에 대하여


  cos    sin 라고 하자. 함수 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sin 를 만족시키도록 상수
   의 값을 정하여라.

- 3 -
테스트
고등

7. 7) 함수   sin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이 성립할 때, 두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8. 8) 다음 함수의 계 도함수를 구하여라.


(1)   sin
(2)   ln 
(3)   
(4)   sin 

- 4 -
테스트
고등

9. 9) 함수     ln 이고 음이 아닌 정수 에 대하여



      


로 정의할 때,  

 

에 대하여 의 값은? 단     
 


10. 다음에서  를 구하여라.
10)


(1)     
  
  

 
 
(2)        



(3)     
  (단,       )


(4)    (단,   )

- 5 -
테스트
고등

11. 1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의 닫힌구간       에서의 평균변화율이


  cos    cos       cos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 6 -
테스트
고등

<허준석 T> 여러 가지 미분법 주요문항

12. 12)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두 삼차함수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나) lim           

→

 의 값은?

- 7 -
테스트
고등

13. 13)  가 양수일 때,  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소수의 개수를  라 하고, 함수  를
    

  
 ≤ 


 
   
 
라고 하자. 예를 들어,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이다.
       lim  , lim   라고
→ →


할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14. 14) 곡선     위의 점 P   에서 원     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을 각각 A B라 하자. 삼각형 OAB


의 넓이를 , 삼각형 PBA 의 넓이를 라 할 때,
 
lim   lim 
   →∞ 
→    
의 값은? (단, O 는 원점이고,   이다.)

※ 수고하셨습니다.

- 8 -
테스트
고등

고등수학 상

1) 답.

     ′ ……①

(ⅰ)   일 때

(좌변)=    ′

(우변)= ×   ′  ′이므로
①이 성립한다.
(ⅱ)    ≥ 일 때 ①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에도 ①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①이
성립한다.

2)



 

3)  ′ cos   cos     sin  · 
  
 ′ 
  
′  lim 
→ 

sin   cos 

 lim 
→ 
sinh
 
 lim  ×   cos 
→   
 ×   

4) 
조건 (가)에서
 ∘     ∘ 이므로

- 9 -
테스트
고등

  
위의 식의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또한, 위의 식의 양변에   을 대입하면
′′  ′′ ⋯⋯㉠
cos
   에서
cos  sin
 sincos  sin cos sin  cos
′   
cos  sin cos  sin

 
cos  sin
 
∴     , ′     ⋯⋯㉡

  
  tan  sin에서
′  sec  cos
∴       ,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이때, 조건 (나)에서 ′  이므로
′   ∴ ′  

 
5) 답.    ,    ,   
 
′  sec    tan,
″ tan sec
 tan  tan
tan  A , tan  B, tan  C로 놓으면       에서
A BC   ⋯⋯ ①
 ′   ′   ′  에서
  A     B     C   
∴A   B   C    ⋯⋯ ②
 ″   ″   ″  에서
A  A   B  B   C  C   
∴ A  B  C    ⋯⋯ ③
  
A  B  C  ABC
 A  B C × A   B   C   AB BC CA
에 ①, ②, ③을 대입하면
ABC   ⋯⋯ ④
A  B  C이므로 ①, ④에서
B  , A  C
②에 대입하면 C   
∴ C  
 , A  

 
∴    ,    ,   
 

 
6) 답.             
 
′ P′cos x  Psin x  Q′ sin x  Q cos x
″ P″ Q′ Pcos 

- 10 -
테스트
고등

 Q″ P′ Qsin 


″   sin 에 대입하면
P″ Q′cos   Q″ P′sin    sin 
이 식에
P′   , P″ 
Q′   , Q″ 
를 대입하고 정리하면
   cos       sin    sin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  sin에서
′   sin   ×  cos   sin   cos
″   sin   cos    cos  sin
     sin   cos
″  ′    에서
    sin   cos  sin   cos  sin  
      sin   cos 
⋯⋯㉠

  이므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이 성립하려면
       이고     이어야 한다.

   에서    (∵   )
이것을   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8) 답. (1) 
         sin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4) 
 
  
     sin    

(1)  ′  sin cos  sin ,


 ′′  cos  sin    ,

 

 ′′′  sin  sin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
테스트
고등


∴          
  
(4)  ′   sin   cos   sin  cos

   sin    

 
 ′′     
  sin      cos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9) ⑤
     ln에서
    ln ln    ln
   ln
   ln


   ln (단,      ⋯)

∴   





    





   ln  ln 

 

   ln  ln  ln ⋯


ln
   ln  × 
  ln

∵     에서    ln   


ln
∴   
  ln


10) 답. (1)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3)   
   ln     
 



(4)    ln    
(1) 양변의 절댓값의 자연로그를 잡으면

ln   ln    ln  

양변을 에 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12 -
테스트
고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에서   
양변의 자연로그를 잡으면
 
ln   ln    ln  
 
양변을 에 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양변의 자연로그를 잡으면



ln   ln   
 
양변을 에 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4)    에서     ′ ⋯⋯ ①

   으로 놓고 양변의 자연로그를 잡으면 ln    ln 
양변을 에 관하여 미분하면
 
 ×  ln  
  

∴    ln  

곧,  ′   ln  
①에 대입하면
 

      ln    


11) 
닫힌구간     ⊿  에서의 평균변화율이
⊿   ⊿cos  ⊿  cos   ⊿   cos
  이므로
⊿  ⊿
′
⊿
 lim 
⊿
⊿ →

  ⊿ cos  ⊿  cos   ⊿   cos


 lim  ⊿
⊿ →

cos  ⊿  cos   ⊿  


 lim   ⊿× lim 
⊿
 cos × lim 
⊿
⊿ → ⊿ → ⊿ →

- 13 -
테스트
고등

  × cos′  cos ×  ′


  sin  cos
  sin  cos
″   sin  cos   cos  sin  cos
∴ ″   cos  
12) [정답] ⑤

[해설]

  일 때, lim 

  ……㉠
→


  일 때, lim    ……㉡
→ 

  일 때, lim    ……㉢
→ 

  일 때, lim 

  ……㉣
→

조건 ㈎에서  이므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 는        로 놓을 수있다.
따라서 ㉠, ㉡에서      이고
 
㉢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의 값은  ×   
13) [정답] 

[해설]
(ⅰ)      일 때,
 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소수는     의  개이므로   
이 때,       이므로
     
∴ lim   lim   
→  → 

∴ 
(ⅱ)      일 때,
 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소수는    의  개이므로   
 
이 때,       이므로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14) [정답] ②

[해설]

- 14 -
테스트
고등

두 선분 AB, OP 의 교점을 M 이라 하면 직선 OP 는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하므로 직각삼각형 OAP 와 직각삼각형


OMA 는 서로 닮음이다.

삼각형 OAP 와 삼각형 OMA 의 닮음비는 


OP    
OA 이므로 넓이의 비는 OP

OA 이다.
 
삼각형 OAP 의 넓이는  


삼각형 OMA 의 넓이는  이므로

      
OP OA    
 
  ×    
OA
 
OP ×  
  
 
 OP  
OA

 
 
OA


OP       이므로
  
OA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1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