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

연속함수의 성질
6차시
2학년 반 번 이름

1. 두 함수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다 4. 4)다음과 같이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   의 최댓값


음 함수 중 실수 전체에서 연속함수가 아닌 것은?1) 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①        ②    ⑴             
     
③  ④ 
     
⑤    ․ 


⑵       

2. 두 함수       에 대하여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

(단,    의 치역은    의 정의역에 포함된다.)


[ 보 기 ]
ㄱ.    와    가 연속함수이면     도 연속
함수이다.
⑶           
ㄴ.    와        가 연속함수이면    도
연속함수이다.
ㄷ.    와       가 연속함수이면     도
연속함수이다.
⑷    sin    
①ㄱ ②ㄴ ③ㄱ,ㄴ ④ㄴ,ㄷ ⑤ㄱ,ㄴ,ㄷ

3. 3)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5. 5) 구간     에서 함수      의 최
    
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시오.
것은?
[ 보 기 ]
ㄱ. 함수    가 불연속인 점은  개이다.
ㄴ. 함수       는    에서 연속이다.
ㄷ. 함수    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이다.

①ㄱ ②ㄴ ③ㄱ,ㄴ ④ㄱ,ㄷ ⑤ㄱ,ㄴ,ㄷ

1
6. 6) 구간     에서 정의 8. 8)다음 방정식 중  과 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
된 함수     의 그래 근을 갖는 것은?
프가 그림과 같을 때, ①         ②       
  에 대한 다음 설명 ③         ④      
중 옳지 않은 것은? ⑤ cos     

① 불연속이 되는 의 값은 개이다.
② 구간    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③ lim    
→  

④ lim  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 9. 9) 삼차방정식
⑤ 구간     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열린 구간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ㄴ. 열린 구간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ㄷ. 반드시   보다 큰 한 개의 음의 실근을 갖는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7. 7) 구간   에서 정의된 함
수 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 보 기 ]
ㄱ. lim  의 값이 존재한다.
→ 

ㄴ. 구간     에서 함수   의 최댓값과 최솟값


이 모두 존재한다.
ㄷ.      인 실수 에 대하여 lim  의 값
→

이 존재한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2
6차시 풀이 ㄱ.    는      에서 불연속이다. ∴ 참
ㄴ.           라 하면
1) 정답 ④     

두 함수        ,        은 실수 전체에 lim      ×   
서 연속함수이다. →  

①        는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해 실수 전체 lim      ×     


→  
에서
따라서,       는    에서 연속이다.
연속함수이다.
 ∴ 참
②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ㄷ.        이라 하면
는 실수 전체에서 연속함수이다.
        lim     lim      이고
③        
 이므로  는 실수 전체에서 →   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이므로
연속함수이다. →     →    
      , 즉    은       에서 연속이다.
④      이면  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   
따라서,    은 실수 전체에서 연속이다.
   ∴ 참
 는    에서 불연속이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  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연속이다.
⑤    ․   는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해 실수 전체에 
4) 정답 (1) 최댓값:  , 최솟값:  ⑵ 최댓값:  , 최솟값: 
서 연속함수이다. 
따라서 보기 중 실수 전체에서 연속함수가 아닌 것은 ④ 
⑶ 최댓값:  , 최솟값:   ⑷ 최댓값:  , 최솟값: 
이다. 
2) 정답 ③ 
⑴          를 변형하면
ㄱ.    가 연속함수이므로 lim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로 놓으면  → 일 때, →           폐구간    
이므로 에서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오
lim    lim      (∵    는 연속함수)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함수    는
→ → 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다.
∴ lim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   는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고,
→
따라서     도 연속함수이다.
     ,      ,      이므로
최댓값:  , 최솟값: 
ㄴ. 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⑵      를 변형하면
이 때,    와            가 연속함수이므


로    도 연속함수이다. (∴참)        함수의 정의역

은   인 모든 실수이고 폐구간
ㄷ. [반례]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에서 함수      의 그래
   ․    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함수    는 폐구간
➜    ․  는 연속함수     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   는 최댓값과 최
따라서    와     는 연속함수이지만    는 
솟값을 갖고,      ,      , 이므로
lim   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   에서 불연속 
→ 
최댓값:  , 최솟값: 
이다. (∴ 거짓) 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 이다.
⑶ 닫힌구간      에서 함수
3) 정답 ⑤ 
     의 그래프를 그리면 그림과 같다.     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함수    는 닫힌
구간      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   는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

고,       ,     


최댓값:  , 최솟값:  

3
⑷ 닫힌구간     에서 함수 알 수 없다.
    sin  의 그래프가 오른 ②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쪽 그림과 같으므로 함수           이므로        
는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 
따라서 방정식        은  과  사이에서 근의
다. 따라서 함수    는 최댓값 존재 여부를 알 수 없다.
과 최솟값을 갖고,      , ③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따라서 방정식
최댓값:  , 최솟값: 
        은  과  사이에서 근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없다.
5) 정답    
  ≤  ≤ 일 때 ④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따라서 방정식      은  과  사이에서 근의 존
    
재 여부를 알 수 없다.
       
 ⑤     cos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따라서 방정식
         cos      은  과 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

 을 갖는다.

      따라서  과 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 방
이때 함수    가 닫힌구간      에서 연속이고, 주어 정식은 ⑤이다.
진 구간에 증가함수이므로
   의 최댓값은     
   , 최솟값은       9) 정답 ⑤
이다.    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ㄱ.           
6) 정답 ②         
① 주어진 그래프에서 불연속이 되는  의 값은  ,  의  그러므로 방정식     은 열린 구간     에서 적
개다. 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참)
②    에서 불연속이므로    는      에서 최솟값 ㄴ.          
을 갖지 않는다.         
③ 주어진 그래프에서 lim      그러므로 방정식     은 열린 구간     에서 적
→  
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참)
④ lim      , lim      이므로 lim   의 값 ㄷ. ㄱ과 ㄴ에서 삼차방정식     은 적어도 서로 다른
→  →  → 
은 존재하지 않는다.  개의 양의 실근을 가지므로 또 다른 하나의 실근을 가
져야 한다.
⑤ 구간   에서    일 때 최댓값      을 갖는
다. 이때,        이므로 열린 구간      에
서 한 개의 음의 실근을 갖는다. (참)
7) 정답 ③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이다.
ㄱ. lim      , lim      이므로
→   → 

lim  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 
ㄴ. 구간      에서 함수    의 최댓값은      이
고 최솟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ㄷ.       인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lim   의 값
→ 
이 존재한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ㄷ이다.

8) 정답 ⑤
주어진 방정식을      이라할 때,        
이면 중간값의 정리에 의해 방정식      은 구간
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①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따라서 방정식        은  과  사이에서 근의
존재 여부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