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7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1-1-1. 함수의 극한 6. 함수
6)    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⑴ lim  ⑵ lim 
1. 다음 극한값을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1)
→  → 

    
⑴ lim    ⑵ lim 
→ →   

7. 실내 온도가
7) ℃ 이상일 때만 작동하도록 설정된 에어컨이
있다. 실내 온도가 ℃일 때 이 에어컨의 작동 함수 에
2. 다음 극한값을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2)
대하여 에어컨이 작동할 때와 작동하지 않을 때의 함숫값을

⑴ lim    ⑵ lim
 각각 과 이라고 하자. 다음에 답하시오.
→ → ⑴ 함수 를 구하고, 그 그래프를 그리시오.
⑵ lim , lim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⑶ lim  ⑷ lim

→   →

8. 다음 극한값이 존재하는지 조사하고,


8) 존재하면 그 값을
구하시오.
   
⑴ lim  ⑵ lim 
→    →     

3. 다음 극한값을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3)

→∞


⑴ lim   
  ⑵ lim 
→  ∞  

 


9. 오른쪽 그림은 함수
9)

 
     


그래프이다. 극한 lim 을 조사하고, 위의


→ 
4. 다음 극한을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내용을 바탕으로 그 의미를 설명해 보자.
4)

⑴ lim 

→      

⑵ lim   
→

 


10. 오른쪽 그림은 함수   
 의

10)


5. 다음 극한을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 
5)


⑴ lim    ⑵ lim 
   그래프이다. 극한 lim 을 조사하고, 위의
→∞ →  ∞ → 

내용을 바탕으로 그 의미를 설명해 보자.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15.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1-1-2.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15)

         
⑴ lim  ⑵ lim 
11. 11)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⑴ lim    ⑵ lim    


→ →  


⑶ lim  ⑷ lim 
   
   
   →∞      →∞
⑶ lim      ⑷ lim 
→ →   

12.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    


16. lim    가 성립하도록 하는 상수 , 의 값을
12)


16)

   
    →
⑴ lim  ⑵ lim 
→    →  구하시오.

13. 13)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         17. 17) 다음 등식이 성립되도록 하는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⑴ lim  ⑵ lim 
→     →       
    
⑴ lim    ⑵ lim   
→    →  


       
⑶ lim  ⑷ lim 
→  →     


  
18. 18) 다음은 민우가 lim  의 값을 구한 과정이다.

→  ∞

민우의 풀이에서 잘못된 부분을 찾아 바르게 고쳐 풀어 보자.

14. 14)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    
⑴ lim  
⑵ lim 
  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19. 19) 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22. 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점을


   ≤  ≤     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를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원이  축과 만나는 점을 P, 원
→
     과 만나는 점을 Q라
하고 직선 PQ와 축이 만나는 점을
R라고 하자. 가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점 R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구해 보자. (단, 두 점 P , Q의  좌표는
양수이다.)

20. 20)   일 때,         을 만족시키는 함수



에 대하여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

21. 21) 다음은 도형에 대한 문제와 그 풀이 과정이다. ㈎~㈐에


알맞은 것을 구해 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   위의
점 P에 대하여 
OP 
OQ 를
만족시키도록 점 Q를 축 위에 잡고,
두 점 P , Q를 지나는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R라고 하자. 점 P 가
원점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점 R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구하시오.
(단, O는 원점이고, 점 P 의 좌표는 양수이다.)

점 P 의 좌표를      이라고 하면


OP 
 ㈎ 이므로
Q
㈎  
두 점 P, Q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이므로 점 R의 좌표는     이다.
㈏  
점 P 가 원점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 →  이므로

 
lim    
→  ㈏  ㈐

따라서 점 P가 원점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점 R는 점


 ㈐ 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26.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중단원 마무리
26)

    
⑴ lim  ⑵ lim  
23. 23) 다음 극한값을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    →     

⑴ lim    ⑵ lim    
→ →

      
⑶ lim  ⑷ lim        
→∞    →∞


⑶ lim  ⑷ lim 
 
→     →

27. 27) 함수

24. 24)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
   
  
  ≤   
⑴ lim     
→
⑵ lim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⑴ lim  ⑵ lim 
→ →  

25. 25)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  
⑴ lim     ⑵ lim 
→ →     
⑶ lim  ⑷ lim 
→∞ →  ∞


⑶ lim   
→∞    
⑷ lim   
→  ∞  


  ≥ 
28. 함수    에 대하여 극한값
     
28)

lim 가 존재할 때, 상수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

쓰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29.    


lim  일 때, lim 
 의 값을 구하시오.
34. 3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 
29)

→ →
원점 O를 중심으로 하는 원이 있다. 이
(단, 원이 축과 만나는 점 중  좌표가 양수인
 ≠) 점을 A 라고 할 때, 선분 OA 위의 점 P 를
지나고 선분 OA 에 수직인 직선과 원이
제사분면에서 만나는 점을 Q, 점 Q를 지나면서 원에 접하는
직선과 축이 만나는 점을 R라고 하자. 점 P가 점 A 에 한없이

PR
가까워질 때, 
 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값을 구하시오.
PA
(단, 점 P는 점 O와 점 A 가 아니다.)

  
30. 30) 등식 lim    이 성립하도록 하는 상수 , 의
  
→ 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35. 35) 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을 만족시킬 때, lim 
의 값을
→∞     

  
31. lim
31)



의 값을 구하시오. 구하시오.
→  ∞

32. 32) 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

33.

   
  
다항함수 가 lim   를 만족시킬 때,

33)

→ 

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40. 다음 함수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1-2-1. 함수의 연속
40)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36. 36) 다음 함수가   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하시오.        
          
⑴   
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41. 41) 다음 함수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37. 37) 다음 함수가   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하시오.   

       ≤ 

⑴      ⑵   
 

42. 42) 다음은 함수 가   에서 불연속인 경우이다.


     

⑶   
 
  
 ≠ 
⑷  


    ≥  ⑴   에서 정의되지 ⑵   에서 정의되지 않고,


   
 
      
않고, 극한값 lim 가
→
극한값 lim 가
→ 존재한다.
존재하지 않는다.

⑶   에서 정의되어 있고, ⑵   에서 정의되어 있고,


극한값 lim 가 극한값 lim 가
→ →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지만

38. 다음 함수의 정의역을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시오. lim ≠ 이다.


→
38)

⑴       
⑵   

⑴~⑷에 속하는 함수 의 예를 각각 하나씩 찾아 그래프를
그려 보자.

39. 39) 다음 함수가 연속인 구간을 구하시오.



⑴    ⑵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43. 43) 오른쪽은 어느 주차장의


소형차에 대한 주차 요금
안내표이다. 다음과 같이 이
주차장에 소형차를 주차할 때,
표를 이용하여 주차 요금을 구해 보자.

오전 시부터 오후 시 분까지 소형차를 주차할 때, 주차


요금을 구해 보자.

44. 44) 소형차를 분 동안 주차할 때의 주차 요금을 원이라고


하자. 다음 좌표평면에 함수   의 그래프를 그려 보고,
불연속인 의 값의 개수를 구해 보자. (단,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49. 다음 방정식이 주어진 구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1-2-2. 연속함수의 성질
49)

가짐을 보이시오.
⑴            
45. 45) 다음 함수의 연속성을 조사하시오.

⑴      ⑵   
  

⑵         

46. 46) 다음은 다항함수가 아닌 유리함수에 대한 두 학생의


대화이다.

50. 50)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면 평면도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이 존재함을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다항함수가 아닌 유리함수 중에서 모든 실수에서 연속인 함수의 예를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넓이가  인 도형이
찾아보자. 있다. 직선     ≤  ≤ 에 의하여
나누어진 도형의 아래쪽 부분의 넓이를
라고 하면 함수 는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  ,   
이다. 따라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47. 47)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    인  가 와 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⑴           ⑵      주어진 도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    가 존재한다.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면 위에 한 점과
도형이 있다. 주어진 점을 지나면서 도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이 존재하는지 설명해
보자.

48. 48) 방정식       이 열린구간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55. 함수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중단원 마무리
55)

그림과 같을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51. 51) 다음 함수가   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하시오.
    | 보기 |

⑴       

⑵   

  
 ≠  ㄱ. lim   
→
ㄴ. lim   
→

     ㄷ. 열린구간   에서 함수 가 불연속인 의 값은
 개이다.
ㄹ. 열린구간   에서 함수 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의 값은 개이다.

52. 52) 다음 함수가 연속인 구간을 구하시오.



⑴         ⑵     


56. 56) 다음 함수가  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⑴   

    ≠

    
53. 53) 닫힌구간    에서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 
⑴        ⑵   
 

 
 

⑵      
  ≠

    
54. 54) 방정식         이 열린구간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57. 57)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함수 가   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하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 및 풀이 158쪽

58.
  
모든 실수에서 연속인 함수 가 lim   를 62. 62) 세 실수 , ,      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  
58)

→
                
만족시킬 때,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59. 59) 연속함수 가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방정식   은 열린구간   에서 적어도
 개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60. 60)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을 C , 중심이 점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 인 원을 C 라고 하자. 두
원 C , C 의 교점의 개수를 라고 할 때, 다음에 답하시오.
⑴ 함수   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⑵ 함수 가 불연속인 의 값을 구하시오.

61. 61) 모든 실수에서 연속인 함수 가 닫힌구간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를
만족시킬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 
대단원 마무리 67. 67) 함수 가 lim   을 만족시킬 때,

→

  
63. 63) 다음 중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① lim  ② lim   
→  →∞

 
③ lim  ④ lim 
 
→     →∞

 
⑤ lim 
→∞ 
68. 68) 두 함수 , 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단, 는 실수)

| 보기 |
ㄱ. 극한값 lim와 lim 가 존재하면 극한값
→ →

lim 가 존재한다.


64. 64)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

① lim        ㄴ. 극한값 lim 와 lim  가 존재하면 극한값
→ → → 

     lim 가 존재한다.


② lim    →
→  ㄷ.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이면

      lim   lim 이다.
③ lim  
 → →
→∞      

ㄹ. lim    (는 실수)이면 lim   이다.
→ 

  

④ lim      
   →  →


 
⑤ lim   
→   

69. 69) 두 함수 , 에 대하여



     lim   이고 lim  일 때,
65. lim
65)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lim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66. 66) 함수    에 대하여
 

lim   , lim   


→∞ →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70. 두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      ≥ 


74.
70)

74) 함수    이 모든 실수  에서
      
㈎ lim   ∞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

㈏ lim   


→∞

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

75. 75) 함수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함수 가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함수
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71. 71) 다항함수 가
  | 보기 |
lim   , lim   
ㄱ.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의 값을 구하시오. ㄴ.      


ㄷ.     

72. 7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  


위의 점 P 가 제사분면 위에 있다. 점      
P 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고 
76. 함수         
에 대하여 두 함수
      
76)


OH  라고 할 때,   
lim 
PO 
PH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가 불연속인  의 값의 개수를 각각
→∞
, 이라고 할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O 는 원점)

    77. 77) 열린구간  에서


73.  일 때,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함수
정의된 함수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73)

 그림과 같을 때, 함수 에 대한


에 대하여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 보기 |
ㄱ. 닫힌구간   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ㄴ. 닫힌구간  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ㄷ. 닫힌구간   에서 최댓값을 갖지 않는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78.   
닫힌구간   에서 함수    의 최댓값과 82. 82) 다음 그림과 같이 세 점 A , B  , C 을
  
78)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가 있다. 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최솟값을 구하시오.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고 할 때, lim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  

과정과 답을 쓰시오. (단,   )

79. 79) 두 곡선        ,       은


 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가짐을 보이시오.
83. 83) 두 함수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정수

의 개수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80. 80)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가 있다.
방정식   이 닫힌구간   에서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 
㈎ lim    ㈏ lim   
→    →   84. 84) 모든 실수에서 연속인 함수 가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단, 는 상수)

     
81. lim 
81)


 일 때, lim  의 값을 구하는
  
→ →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85. 85) 서울역에서 km 떨어진 부산역까지


고속 열차를 타고 이동하면 약 시간
분이 걸린다.
어느 날 정오에 서울역에서 하행선 고속
열차를 타고 부산역에 갔다가 다음 날 정오에
부산역에서 상행선 고속 열차를 타고
서울역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부산역에서
서울역으로 돌아올 때, 전날과 같은 시각에 같은
지점을 지나는 순간이 있었음을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여 확인해 보자.

하행선 고속 열차가 출발한 지 시간 후 서울역으로부터의


거리를  km , 상행선 고속 열차가 출발한 지 시간 후
서울역으로부터의 거리를  km 라고 하면 두 함수 ,
 
는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그 그래프는 다음과
 
같다.

상행선 고속 열차가 전날의 하행선 고속 열차와 같은 시각에 같은


지점을 지나는 순간이 있었음을 알아보기 위한 방정식을 세우고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91. 용량이  L인 원기둥의 모양의 물탱크에 물이 가득


2-1-1. 미분계수
91)

차 있다. 토리첼리
(TorriTorricelli , Torricelli TorricelliE., ~ )의 법칙에
86. 86) 함수    에서 의 값이 다음과 같이 변할 때의 의하면 이 물탱크의 바닥에 있는 밸브를 연 지 분 후에 남아

평균변화율을 구하시오. 있는 물의 양   L는



⑴ 에서 까지 변할 때 ⑵ 에서  까지 변할 때

      

   ≤  ≤ 

이다. 밸브를 연 지 분 후에 물탱크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의


순간변화율을 구하시오. (출처: Stewart, J., 『Calculus』)

87. 87) 함수     에서 의 값이 다음과 같이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을 구하시오.
⑴  에서 까지 변할 때 ⑵ 에서   까지 변할 때
92. 92) 곡선 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88. 88) 어떤 제약 회사에서 개발한 약을 환자에게 투여하여 혈중


농도를 조사하였더니 기준량을 투여한 지 시간 후의 약제의
93. 93) 다음 곡선 위의 주어진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혈중 농도  가
구하시오.

       ≤  ≤ 
 ⑴          ⑵         
이었다. 약을 투여한 지 시간 후부터 시간 후까지의 약제의
혈중 농도의 평균변화율을 구하시오.

94. 94) 함수      는    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음을 보이시오.
89. 89)

함수    의    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시오.

95. 95) 함수        의   에서의 연속성과


90. 90) 다음 함수의   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시오.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시오.
⑴      ⑵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    ≥ 
96.

96) 다음은 두 함수    ,     에 2-1-2. 도함수
    
대한 지혜와 상우의 대화이다.
지혜와 상우의 이야기가 각각 옳은지 말해 보자. 97. 97) 함수      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 함수 는 구간으로 나누어 정의되어 있으니까


구간의 경곗값인 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아.

: 함수 는 식에    가 포함되어 있으니까 98. 98)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아. ⑴    ⑵     

⑶      ⑷   

99. 99)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⑴    ⑵   

100. 100) 함수       를 미분하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01. 101)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106. 106) [20번 참조] 다항식  을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⑴         ⑵        몫을 , 나머지를 라고 하면
      
이다. 이때 함수    의 도함수를 이용하여 나머지
를 구해 보자.

102. 102) 함수      를 미분하시오.


107. 107) 미분은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기업이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생산비는 공장 건물의
임대료, 연구 개발비와 같이 생산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고정
비용과 재료 구입비, 전기료와 같이 생산량에 따라 변하는 가변
103. 103)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비용으로 이루어진다.

⑴        ⑵       


(생산비)  (고정 비용)  (가변 비용)

한계 비용(Marginal Cost)은 생산량의 증분에 대한 생산비의


증분의 비, 즉 제품 한 단위를 더 생산하는 데 필요한 생산비의
증가량을 의미한다. 어떤 제품을 단위 생산할 때, 전체
104. 104) 세 함수 , , 가 미분가능할 때, 함수의 곱의 생산비를 , 한계 비용을  라고 하면  는 다음과
미분법을 이용하여 함수   의 도함수가 같다. (단,  는 연속으로 생각한다.)

′  ′ ′ ′      


   lim    ′
→ 
임을 보이시오.

한계 비용 함수  의 그래프는
일반적으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U 자
모양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한계
비용이 생산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다가 일정한 생산량을 초과하면
105. 105)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함수    의
다시 증가함을 의미한다.
도함수는 ′  ′이다.
이러한 한계 비용은 기업이 생산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함수의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위의 등식이 성립함을 확인해
된다.
보자.

어떤 기업이 제품 A 를  단위 생산하는 데 드는 생산비를


 라고 하면
          ≥ 
이라고 한다. 의 값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말해 보자.

108. 108) 22번 문제에서 한계 비용 가 최소일 때의 생산량을


구해 보자.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13.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중단원 마무리하기
113)

⑴       

109. 109) 함수       에서  의 값이 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을 구하시오.

⑵         

110. 110) 함수     에 대하여 곡선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⑶         

     ≥ 

111. 111) 함수    의

         114. 114) 함수       에서 의 값이  에서 까지
  에서의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시오.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과   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12. 112)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115. 115) 보기의 함수   의 그래프 중에서   일 때

⑴      ⑵      
부등식  ≥ ′을 항상 만족시키는 것만을 있는
 
대로 고르시오.

| 보기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   


116. 116) 함수     에 대하여 lim  의

→
121. 121)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값을 구하시오.      
lim   일 때,
→ 
  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

117. 117)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   , ′  일


 
때, lim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122. 122) 미분가능한 함수 가 모든 실수  ,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함수 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        ㈏ ′  

118. 118) 함수        의 그래프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  일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123. 123) 다항식       을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   이다. 이때 상수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     ≥  과정과 답을 쓰시오.

119. 119) 함수    이 모든 실수 에서
       
미분가능할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120. 120) 미분가능한 두 함수 , 가


   
lim 
 
  , lim   
 
→ →

를 만족시킬 때, 함수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2-2-1. 접선의 방정식

124. 124) 곡선 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125. 125) 다음 곡선 위의 주어진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          ⑵      

126. 126) 곡선 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127. 127) 다음 곡선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       ⑵       

128. 128) 점    에서 곡선      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129. 129) 다음 주어진 점에서 곡선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         ⑵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30. 오른쪽 그림은 어느


2-2-2. 평균값 정리
130)

놀이공원의 두 꽃밭과 그 사이의


직선 도로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
것이다. 두 꽃밭의 가장자리는 각각 131. 131)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롤의 정리를
 
곡선    과 곡선      의 만족시키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모양이고, 직선 도로는 두 꽃밭에
⑴        ⑵         
접하고 기울기가  이다. 폭이 인
꼬마 자동차가 두 꽃밭 사이의
도로를 지나갈 수 있는지 말해 보자.

132. 132) 함수 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 에서 롤의


정리를 적용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133. 133) 함수  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34. 134)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⑴         ⑵       

135. 135) 함수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할 때, 열린구간  에 속하는 모든
 에서 ′  이면 함수 는 닫힌구간   에서
상수함수임을 보이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36. 두 함수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2-2-3. 함수의 증가와 감소
136)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할 때, 열린구간  에 속하는


모든 에서 ′  ′이면 닫힌구간   에서
   (는 상수)임을 보이시오. 138. 138) 함수   이 구간  ∞ ∞에서 감소함을
보이시오.

137. 137) 함수 가 미분가능할 때,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가 존재하는지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139. 139) 다음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시오.
말해 보자.
⑴        ⑵       

140. 140) 다음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시오.


⑴          ⑵       

141. 141) 오른쪽 그림은 함수 의 도함수   ′의


그래프이다.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⑴ 열린구간  에서 함수 는 감소한다.


⑵ 열린구간  에서 함수 는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⑶ 열린구간   에서 함수 는 증가한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2-2-4. 함수의 극대와 극소 2-2-5. 함수의 그래프

142. 142) 함수       의 극값을 구하시오. 147. 147) 함수       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시오.

143. 143)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시오. 148. 148) 다음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시오.
⑴          ⑵      ⑴         ⑵       

⑶        ⑷     


144. 144) 함수         가   에서 극댓값 를
가질 때, 상수 , 의 값과 극솟값을 구하시오.

149. 149) 닫힌구간   에서 함수     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145. 145)
 
함수         가   에서 극솟값 를
가질 때, 상수 , 의 값과 극댓값을 구하시오.

150. 150)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146. 146) 오른쪽 그림은 함수 의 도함수 ⑴            
  ′의 그래프이다. 다음 명제의 참, ⑵         
거짓을 판별하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⑴ 함수 는   에서 극대이다.


⑵ 함수 는   에서 극소이다.
⑶   이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51. 151) 가로의 길이가  cm , 세로의


길이가  cm 인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가 있다. 이 종이의 네 귀퉁이에서
같은 크기의 정사각형을 잘라 내고
나머지 부분을 접어서 뚜껑이 없는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만들려고 한다. 이때 만들 수 있는 상자의 부피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52. 15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 cm 이고 높이가  cm 인
원뿔이 있다. 이 원뿔에 내접하는 원기둥의
부피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53. 153) 기침을 할 때 우리 몸의 기도는 입 밖으로 나가는


속도를 빠르게 하 기 위하여 수축한다. 기도를 원기둥
모양으로 생각하고 안정 상태인 기도의 반지름의 길이를
 cm 라고 할 때, 기침을 하는 순간의 기도의 반지름의 길이
 cm 와 입 밖으로 나가는 공기의 속도  cms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고 한다.

       ≤  ≤  , 는 양의 상수 

기도의 반지름의 길이가  의 몇 배가 될 때, 공기의 속도가


최대가 되는지 구하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54. 154) 아래 그림은 영하, 성도, 유정, 승민 네 학생이 각각 다음 155. 155) 함수           (, , , ,  는
조건을 보고 삼차함수   의 그래프를 그린 것이다. 상수,   )의 도함수   ′의 그래프와 축의 위치 관계가
다음과 같을 때,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 ′        보자.
㈏ 구간  ∞  에서 ′   이다.

네 학생 중 그래프를 바르게 그린 학생을 찾고, 그 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의 그래프가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해 보자.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2-2-6.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156. 156) 다음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⑴         ⑵       

157. 157) 방정식        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58. 158) 방정식  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실수 의 값의 범위에 따라 구하시오.

159. 159)  ≥ 일 때, 부등식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160. 160)   일 때, 부등식 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161. 161)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가 성립함을


보이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62. 삼차방정식          (, ,  , 는 실수


2-2-7. 속도와 가속도
162)

  )은 복소수의 범위에서 세 개의 근을 갖는다.


함수         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질
때, 극값의 부호를 이용하여 삼차방정식        의 163. 163) 원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근을 판별해 보자.  에서의 위치  가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  에서의 점 P 의 속도와 가속도
(극댓값)×(극솟값) 일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  의
그래프는 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  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⑵ 점 P 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시각

(극댓값)×(극솟값) 일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  의 그래프는  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  은 서로 다른 두
164. 164) 원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실근(한 실근과 중근)을 갖는다.
 에서의 위치  가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  에서의 점 P 의 속도와 가속도
(극댓값)×(극솟값) 일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  의 그래프는  축과
한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  은 한 실근과 두 허근을
⑵ 점 P 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시각
갖는다.

삼차방정식         의 세 근이 다음과 같을 때,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실수 의 값 또는 범위를 구해 보자.
⑴ 서로 다른 세 실근 ⑵ 한 실근과 중근 ⑶ 한 실근과 두 허근
165. 165) 물 로켓을 지면으로부터  m의 높이에서  ms의
속도로 지면과 수직으로 위로 쏘아 올렸다. 물 로켓을 쏘아
올린 지 초 후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 m 가
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물 로켓이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과 그때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⑵ 물 로켓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속도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66. 직선 선로 위를 달리는 열차가 있다. 이 열차에 제동을


중단원 마무리
166)

건 후  초 동안 열차가 달린 거리  m가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제동을 건 후 정지할 때까지 걸린 시간 168. 168) 다음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곡선 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

⑵ 제동을 건 후  초가 되는 순간의 열차의 가속도

⑵ 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접선

167. 167) 키가  m 인 민기가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 m 인 169. 169) 함수  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에서
가로등 바로 밑에서 출발하여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일직선으로 초속  m 로 걷고
있다. 출발한 지 초 후의 가로등 바로 밑에서부터 민기의
그림자 끝까지의 거리를  m라고 하자.

(1) 민기가 출발한 후 초 동안 걸어간 거리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보자.
170. 170) 함수        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시오.

(2)  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그림자의 끝이 움직이는


속도를 구해 보자.
171. 171)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고,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시오.
⑴         

(3) 가로등에서 멀어질수록 그림자의 끝이 움직이는 속도는


어떻게 될지 (2)의 결과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⑵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72. 172)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에서의 위치 가 173. 173) 점  에서 곡선       에 그은 접선의
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방정식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⑴   에서의 속도

174. 174) 함수  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가 일 때,   의 값을
⑵   에서의 가속도 구하시오.

175. 175) 함수          가 구간  ∞ ∞에서


⑶ 점 P 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시각
증가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76. 176) 오른쪽 그림은 함수


      의 도함수
  ′의 그래프이다. 함수 의
극솟값이 일 때, 상수 , , 의 값을
구하시오.

177. 177) 함수       가 닫힌구간  에서 최댓값


, 최솟값  를 가질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178. 178)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 cm 인 구에 원기둥이 내접하고 있다. 이
원기둥의 부피가 최대일 때, 원기둥의 높이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79. 179) 방정식        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184. 184) 점  에서 곡선         에 서로 다른
갖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세 접선을 그을 수 있을 때,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80. 180) 두 함수      ,      에 대하여


부등식  ≥ 가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85. 185)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사차함수 가   이고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를 만족시킨다. 방정식
    의 실근의 개수가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181. 181) 원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 에서의 위치 가
    
이다. 점 P가 출발한 후 다시 원점에 도착했을 때의 속도와 186. 18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의
가속도를 구하시오. 반지름의 길이가  cm , 높이가  cm 인
원뿔 모양의 그릇이 있다. 매초  cm씩
수면의 높이가 올라가도록 물을 넣을 때, 물을 넣기 시작한 지
초 후에 그릇에 담긴 물의 부피의 변화율을 구하시오.

182. 182)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 에서의 위치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점 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 보기 |
ㄱ.     에서 원점을 두 번 지난다.
ㄴ.     에서 한 방향으로만 움직인다.
ㄷ.     에서 운동 방향이 두 번 바뀐다.

183. 183) 한 밑면의 둘레의 길이와 높이의 합이  cm인


원기둥의 부피가 최대일 때, 이 원기둥의 높이를 구하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91.  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대단원 마무리
191)

고르시오.

| 보기 |
187. 187) 함수       에 대하여 의 값이 에서 ㄱ.        ㄴ.     
 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이다. 의 값을 구하시오. ㄷ.     

188.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  일 때,


192.
188)

192) 시각 에서의 어느 회로의 한 지점을 지나는 전하량


   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가
→ 
        
이다. 전류  는 전하량의 시각 에서의 순간변화율일 때,
전류가 최소일 때의 전하량을 구하시오.

  
     ⋯ 
189. lim 
189)


 
의 값을 구하시오.
→

193. 193)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 에 대하여 곡선


  가 세 점  ,  ,  을 지날 때, ′의
값을 구하시오.

190. 190) 미분가능한 함수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    일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194. 194)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 보기 |      이고   , ′  일 때, ′의
  값을 구하시오.
ㄱ.    ㄴ. ′  ′
 

ㄷ.    

195. 195) 곡선      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과 직선


     이 서로 수직일 때, 점 P의 좌표를 구하시오. (단,
점 P는 제사분면 위의 점이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196. 196) 곡선     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이 201. 201) 함수         에 대하여 함수
이 곡선과 점  에서 만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 는   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을 때, 양수
 ≠)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단,
는 상수)

197. 197) 점  에서 곡선         에 그은 접선의


 절편을 구하시오. 202. 2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에 내접하고, 한 변이 축 위에 있는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98. 198) 함수         이


  ≤  ≤ 에서 증가하고,  ≤  ,  ≥ 에서 감소할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203. 203) 삼차함수 의 도함수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       일 때, 방정식
   이 열린구간   에서
199. 199) 사차함수 의 도함수   ′의 그래프와 이차함수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의 도함수  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다.
  ′와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가 ,  이고,
′  , ′  일 때, 함수    가 극소일
때의 의 값은?

204. 204)  ≥ 일 때, 부등식        ≥ 가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① ② ③
④ ⑤

205. 205) 원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 에서의 위치  가       이다. 점 P가   ,
  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고 할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200. 200) 함수         이     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질 때,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2. 다항함수의 미분법

206. 206) 수면으로부터 높이가  m 인 인공 폭포의 꼭대기에서 211. 211) 궂은일이 자주 일어나는 때를 이르러 ‘마의 ○○’와 같은
수면과 수직으로 떨어지기 시작한 물방울의 초 후의 높이를 표현을 쓰곤 하는데 비행기의 운행에도 ‘마의 분’이라는 말이
 m 라고 하면     이다. 폭포의 꼭대기에서 떨어진 있다. ‘마의 분’이란 이륙할 때의 분과 착륙할 때의 분을
물방울이 수면에 닿을 때의 속도를 구하시오. 의미하는데 대부분의 비행기 사고가 이 분 동안 일어났으며
특히 착륙할 때 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고 한다.
조종사는 착륙을 위해 약  kmh 의 속력으로 날던 비행기의
속력을  kmh 미만으로 줄여 공항의 활주로로 다가가는데,
이때 비행기가 적당한 고도와 방향을 맞춰 착륙할 수 있도록
공항 관제탑과 교신을 하고 계기 착륙 장치를 사용한다.
207. 207) 다항식 를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비행기가 안전하게 착륙하려면 조종사는 하강하기 시작하는
순간과 착륙하는 순간에 비행기의 몸체를 지면과 평행하도록
  이다.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해야 하고, 비행기의 고도를 부드럽게 낮추며, 착륙하는 순간의
쓰시오.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활주로에 스치듯 착륙해야 한다.

비행기를 안전하게
착륙시키는 상황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생각해 보자.
비행기의 착륙 지점을
208. 함수         가   에서 극댓값을 갖고,
좌표평면의 원점이라 하고,
208)

  에서 극솟값  를 가질 때, 함수 의 극댓값을 구하는


비행기에서 착륙 지점까지의 수평 거리가 일 때 비행기의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단, , , 는 상수) 고도를 라고 하면 비행기의 이동 경로는 함수   의
그래프로 단순화하여 생각할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은 고도 로
지면과 평행하게 비행하던 비행기가   에서 하강하기
시작하여 안전하게 착륙할 때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출처: Barshinger , R., 『How Not to L and at Lake
209. 209) 삼차함수 의 도함수   ′의 Tahoe 』)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  일
때, 방정식   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비행기를 안전하게 착륙시키려면 함수 의   ,
갖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을 구하는 풀이   에서의 미분계수가 각각 얼마이어야 하는지 말해 보자.
과정과 답을 쓰시오.

212. 212) 하강하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착륙하는 순간까지


비행기의 이동 경로가 함수          (, , ,
는 상수)의 그래프와 같다고 가정할 때, , 의 값을 각각 ,
210. 210)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 Q의 시각 에서의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 의 값을 구해 보자.
위치가 각각

P        , Q     

일 때,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3-1-1. 부정적분 3-1-2. 부정적분의 계산

213. 213)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216. 216)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⑴  ⑵  

⑴   
⑵ 

 ⑶  


214. 214)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함수 를 구하시오. (단, 217. 217) 부정적분     를 구하시오.

 는 적분상수)
⑴       

⑵       
 

218. 218)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⑴    ⑵  

215. 215) 함수   에 대하여 


 와
 

 를 각각 구해 보고, 그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

⑶      
 
⑷     

219. 219)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를 구하시오.


′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20. 220)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를 구하시오. 222. 222) 부정적분    를 구할 때, 다음과 같이

⑴  ′    ,   
   을 전개하지 않고 구할 수 있다.

     이라고 하자. 이때


        이므로 함수의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도함수  ′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단, 는 적분상수)

221. 221) 곡선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이다. 이 곡선이 점  를 지날 때, 함수 를
구하시오. (1)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부정적분    를 구해 보자.

(2) 부정적분   를 구할 때, 위와 같이    을


 

전개하지 않고 구하는 방법을 추론해 보고, 그 결과를    을


전개한 후 적분한 결과와 비교해 보자.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3-1-3. 정적분 228. 228)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등식       를



만족시키는 함수 와 양수 의 값을 구하시오.



223. 223) 정적분    의 값을 구하시오.



229. 229) 함수 에 대하여 함수  를     라고

하자.
224. 224)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1) 함수    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는지 확인해 보자.
 
⑴    

⑵      

 

(2) 함수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고 그
방법을 설명해 보자.

225. 225)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 
⑴ 
   ⑵  
  

226. 226) 다음을 구하시오.


   
⑴ 
  
   ⑵ 
        



227. 227)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등식        를

만족시키는 함수 와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32.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3-1-4. 정적분의 계산
232)

 
⑴ 
      

230. 230)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     

 
⑵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⑶          



231. 23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     


233. 233) 정적분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⑵         


234. 234)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 
⑴     

⑵      

 
⑶ 
  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35. 235) 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일 때, 함수 를 구해 보자.

236. 236) 다음은 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일 때, 함수 를 구하는 방법에

대한 두 학생의 대화이다. 대화를 읽고 함수 를 구해 보자.


:    를 상수로 놓고 함수 를

구하려고 했더니 답을 구할 수가 없네.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    는 상수가 아니잖아.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40. 다음을 구하시오.


중단원 마무리
240)

 
⑴ 
     


237. 237)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함수 를 구하시오. (단,


 는 적분상수)
⑴     
 
⑵ 
      

⑵         
 

241. 24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   

238. 238)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⑴  ⑵  


⑵      


⑶     

 
⑶ 
        

239. 239)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에 대하여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⑷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42. 

      을


 
함수 의 한 부정적분  와 또 다른 부정적분
242)

247. 247) 함수     이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만족시킬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248. 248) 함수   의 그래프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243. 
243) 등식 기울기가     이다.     일 때, 함수 를

         
구하시오.
를 만족시키는 함수 를 구하시오. (단, 는 적분상수)


249. 함수 가        일 때, 의
 
249)

244. 244)
                 가 

값을 구하시오.
성립할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적분상수)

250. 다항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245. 다항함수 의 한 부정적분  에 대하여
250)

245)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함수 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246. 246) 함수         에 대하여


251. 251) 삼차함수   의 그래프가
 
lim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 의 값을
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52. 252) 다항함수   에 대하여  ′      이고


다항식 가     으로 나누어떨어질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상수)

253. 253) 함수       가


  
 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단, , 는 상수)

254. 254) 모든 실수에서 연속인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단,   , ,  , ⋯)


255. 255) 함수 가         이다. 함수 의

최댓값을 , 최솟값을 이라고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58. 시간 에서 어떤 물체에 작용한 힘을


3-2-1 넓이
258)

라고 하면 함수
  의 그래프와 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256. 256)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넓이는 물체에 힘이 작용하는 시간 동안
물체에 작용한 충격량의 크기와 같다.
⑴ 곡선      와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1) 시각 에서 어떤 물체에 작용한 힘을 나타내는 함수 가
   일 때,   에서   까지 이 물체에 작용한 충격량의
크기를 구해 보자.
(2)   에서    까지 일정한 크기의 힘 를 작용하여 그
충격량의 크기가 1에서 구한 충격량의 크기와 같도록 할 때,
를 구해 보자.
⑵ 닫힌구간   에서 곡선       와 축 및 두 직선
(출처: 정철수, 운동역학총론 )
  ,    으로 둘러싸인 도형

257. 257)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259. 259) 두 곡선   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⑴ 곡선      와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260.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⑵ 닫힌구간    에서 곡선      와 축 및 두 직선
260)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 ⑴ 곡선       과 직선     로 둘러싸인 도형

⑵ 두 곡선     ,    으로 둘러싸인 도형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61. 261) 한 변의 길이가  m 인 264. 264) 위의 내용을 이용하여 정적분



       의
  

정사각형 모양의 잔디밭에 폭이
 m로 일정한 길을 값을 구해 보자.

[그림 ]과 같이 직선 모양으로


만들거나 [그림 ]와 같이 곡선
모양으로 만들려고 한다.

(1) 정적분을 이용하여 [그림  ]의 길의 넓이를 구해 보자.

(2) 정적분을 이용하여 [그림  ]의 길의 넓이를 구하고, 1에서


구한 값과 비교해 보자.

262. 262) 함수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 축에 대하여 대칭일 때, 양수
에 대하여
 
    
 

임을 설명해 보자.

263. 263) 이 자연수일 때, 다음이 성립함을 설명해 보자.


  
⑴ 

  
   ⑵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67. 원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3-2-2 속도와 거리
267)

 에서의 속도 가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점 P 가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오는 시각
265. 265) 좌표가 인 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 에서의 속도 가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시각 에서의 점 P의 위치

⑵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올 때까지 점 P 가 움직인 거리

⑵ 시각   에서   까지 점 P 의 위치의 변화량

268. 268) 지면에서  ms의 속도로 지면과 수직으로 위로 던진


공의 초 후의 속도  ms 가    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공이 최고 지점에 도달할 때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⑶ 시각   에서   까지 점 P 가 움직인 거리

⑵ 공을 던진 후 초 동안 공이 움직인 거리
266. 266) 원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 에서의 속도 가 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시각 에서의 점 P의 위치

269. 269) 지면에서 출발하여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열기구의 분


후의 속도  mmin 가

   ≤  ≤ 
  
⑵ 시각   에서   까지 점 P 의 위치의 변화량

  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열기구가 최고 지점에 도달할 때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⑶ 시각   에서   까지 점 P 가 움직인 거리

⑵ 출발한 후 분 동안 열기구가 움직인 거리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70. 270) 오른쪽 그림은 A , B 두 사람이 정지 거리

자전거를 타고 직선 도로의 같은 지점에서


동시에 출발하여 같은 방향으로 달렸을 때, 공주 거리와 제동 거리의 합을 정지 거리라고 한다.
출발한 지 분 후의 두 사람이 탄
자전거의 속도  mmin 를 나타낸 따라서 정지 거리에 자동차의 길이를 더한 것이 앞차와의
그래프이다. (단,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 거리라고 할 수 있다.
 ≤  ≤ )
(1) 출발한 후 분 동안 B가 움직인 거리를 구해 보자.  kmh 로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장애물을 발견하고
초 만에 브레이크를 밟았다. 이 도로의 마찰 계수가 이라고
할 때, 이 자동차의 정지 거리를 구해 보자.
(단, 중력 가속도는  ms 으로 계산한다.)

(2)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말해 보자.

272. 272) 우리나라에서는 제한 속도가  kmh 인 고속 도로에서


안전거리를  m 로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고속 도로의
마찰 계수가 이라고 할 때, 길이가  m 인 버스에 대하여 이
271. 271) 운전자는 앞차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운전해야 만일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라는 권장 내용이 타당한지 설명해 보자. (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정적분을 이용하여 앞차와의 충돌을 버스 운전자는 장애물을 발견하고 초 만에 브레이크를
피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안전거리를 구해 보자. 밟는다고 하고,  kmh 는  ms로, 중력 가속도는
 ms 으로 계산한다.)

공주 거리 제동 거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은
후 자동차는 속력이
운전자가 위험을 감지하고 일정하게 감소하면서
브레이크를 밟기 전까지 멈추는데, 이때 이동한
자동차는 진행하던 거리를 제동 거리라고
방향으로 등속 운동을 한다. 브레이크를 밟는
하는데, 이때 이동한 순간의 속도를  이라고
거리를 공주 거리라고 할 때 브레이크를 밟고 난
한다. 브레이크를 밟을 후  초 후의 속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 ms는
보통 초 내외이다.      이다.
(단,  (마찰
계수)×(중력 가속도))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76. 원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중단원 마무리
276)

 에서의 속도 가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시각 에서의 점 P 의 위치
273. 273) 다음 곡선과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⑴       

⑵ 시각    에서   까지 점 P 의 위치의 변화량

⑵      

⑶ 시각    에서   까지 점 P 가 움직인 거리

274. 274)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⑴ 곡선     와  축,  축 및 직선   으로 둘러싸인
277. 277)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닫힌구간
도형
  에서 곡선    과 두 직선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곡선
   과 두 직선   ,    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라고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⑵ 닫힌구간   에서 곡선     와 축 및 두 직선 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

278. 278) 곡선         와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275. 275)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구하시오.

⑴ 곡선       와 직선     로 둘러싸인 도형

279. 279) 두 곡선       ,     가 모두 점  를


⑵ 두 곡선   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 지날 때, 이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단, , 는 상수)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80. 280) 곡선    과 이 곡선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으로 284. 284)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    와 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을  ,
곡선     와 축 및 직선   로
둘러싸인 도형을 라고 하자. 두 도형  ,
 의 넓이가 같을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281. 281) 곡선      과 직선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285. 285) 두 곡선    ,    과 직선   으로 둘러싸인


 
도형의 넓이를  라고 할 때,  의 최솟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단,   )

282. 282) 직선 철로 위를  ms의 속도로 달리는 기차에 제동을


건 지  초 후의 기차의 속도  ms가     
( ≤  ≤  )이다. 이 기차에 제동을 건 후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 기차가 이동한 거리를 구하시오. 286. 286)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 Q가 출발한 지  초 후의
속도 P , Q 가 각각
P    , Q     
이고, 점 P는 원점, 점 Q는 좌표가 인 점에서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출발한다. 출발한 지 초 후에 두 점 P , Q가 만날 때,
의 값을 구하시오.
283. 283) 좌표가 인 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 에서의 속도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출발 후 처음으로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의 점 P의 위치

⑵ 출발 후 초 동안 점 P가 움직인 거리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92. 함수 의 한 부정적분을 라고 하자.


대단원 마무리
292)


     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287. 287)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에 대하여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
293. 293) 함수    가 모든 실수  에서
  
    

288. 288) 함수 를 적분해야 할 것을 잘못하여 미분하였더니 연속일 때, 상수 의 값과 정적분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가 되었다.   일 때, 부정적분 를
구하시오.


294. 294) 정적분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289. 289) 함수       의 한 부정적분을
     
 라고 하자.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295. 모든 실수에서 연속인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모두


 
295)

290. 부정적분      를 구하시오.


     
290)

 
만족시킬 때, 정적분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이다.



㈏    

291. 291) 미분가능한 두 함수 , 에 대하여
  ,   이고,

      


   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96. 296) 함수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300. 300) 두 곡선   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 넓이를 구하시오.
그림과 같고    ,


   이다.


함수  가     일 때, 닫힌구간  에서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301. 301) 곡선     과 원점에서 이 곡선에 그은 두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297. 297) 모든 실수 에 대하여 함수 가



       

 

302. 함수    ( ≥ )의 역함수를 라고 할 때, 두


를 만족시킬 때,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상수)
302)

곡선   와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298. 298) 모든 실수에서 연속인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303. 303) 이차함수       에서 두 상수  , 가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이다.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    
 ㈎  ㈏  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이다.

세 정적분
함수  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의   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함수   의 그래프와 일치할


  
,   

,    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의 값의 대소 관계를 비교하시오.

299. 299)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  와 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를 각각  , 라고 할 때,

  를 , 에 대한


식으로 나타내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304. 304) 원점에서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 308. 308) 곡선     와 직선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 ≤  ≤ )에서의 속도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다. 점 넓이가 축에 의하여 이등분될 때, 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P 가 원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점 P의 위치를 과정과 답을 쓰시오. (단, 는 상수)
구하시오.

309. 309) 지면으로부터  m 의 높이에서  ms 의 속도로


지면과 수직으로 위로 쏘아 올린 물체의  초 후의 속도
 ms가      ( ≤  ≤  )일 때, 이 물체가
지면에 떨어질 때까지 움직인 거리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305. 305) 어느 고층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층에서


출발하여 멈추지 않고 올라가서 맨 위층에 도착하여 멈추었다고
한다. 이때  초 후의 엘리베이터의 속도  ms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엘리베이터가 출발한 지 초 후에 멈추었을 때, 출발한 후
멈출 때까지 엘리베이터가 움직인 거리를 구하시오.

306. 306) 미분가능한 함수 가 임의의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를 만족시킨다. ′  일 때,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307. 307) 삼차함수 의 도함수 ′에


대하여  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의 극댓값이 , 극솟값이 일 때, 함수
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310. 310) 소득이 완전히 공평하게 분배되면    이므로 지니



계수는 이고, 소득이 완전히 불공평하게 분배되면    이므로

지니 계수가  이다. 현실에서는 이 두 가지 사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지니 계수는 과  사이의 수치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니 계수가 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공평하고
 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불공평하다는 것을 뜻하며 대체로
지니 계수가 를 넘으면 소득 격차가 큼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출처: 한겨레 경제부, 한 줄의 경제학 , 기획재정부, 년)

오른쪽 표는 년
우리나라 소득 인구
전체를 소득이 낮은
사람부터 높은 사람의 순서대로 나열한 후,  %씩 구분하여
계층별 소득 점유율과 소득 누적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를
보고 다음 그림에 점을 찍어 그 점들을 부드럽게 곡선으로
연결해 보자. (출처: 통계청, 년)

311. 311)       일 때, 지니 계수를 구해 보자.

312. 312) 균등 분포선과 로렌츠 곡선 사이의 영역이 넓어질수록


지니 계수의 값과 계층 간 소득 격차는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해
보자.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빠른 정답] 28)   


29) 
1) ⑴  ⑵ 
30)    ,   
2) (1)   (2)  (3)  (4) 

31)  

→∞

  
3) (1) lim      (2) lim   
→  ∞  

  32) 
33) 
 
4) (1) lim   ∞ (2) lim     ∞
→       →    34) 

5) (1) lim     ∞ (2) lim 


    ∞ 35) 
→∞ →  ∞
36) ⑴ 연속 ⑵ 불연속
6) ⑴ lim    ⑵ lim    37) ⑴ 연속 ⑵ 불연속 ⑶ 연속 ⑷ 불연속
→  → 
38) ⑴  ∞ ∞ ⑵  ∞ 

39) ⑴  ∞ ,  ∞



⑵  ∞
 
40)  
41) 
7) ⑴  
  ≥ 
    42) 풀이참조

⑵ lim   , lim   


→  → 

⑴ ⑵

   
     
  
8) ⑴  ⑵ 존재하지 않는다.
9) lim   
→ 

10) lim   ∞ ⑶ ⑷
→ 

     
11) ⑴  ⑵  ⑶  ⑷ 

  ≠
          
   
     
12) ⑴ ⑵ 
 43)  (원)
 44) 
13) ⑴   ⑵  ⑶  ⑷

45) ⑴ 함수 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다.
 
14) ⑴  ⑵  
  46)   
 
15) ⑴  ⑵  ⑶   ⑷ 

16)   ,    47) ⑴ 최댓값: , 최솟값:   ⑵ 최댓값: , 최솟값: 

17) ⑴   ,    ⑵   ,    48) 열린구간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18)   49) (1)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2) 적어도 하나의
19)  50) 생략
20)  51) ⑴ 연속 ⑵ 불연속
21) ㈎    ㈏ 
     ㈐ 52) ⑴  ∞ ∞ ⑵  ∞  ,   ∞
22)    
53) ⑴ 최댓값: , 최솟값:   ⑵ 최댓값:  , 최솟값: 
23) (1) lim     (2) lim        
→ →
54) 열린구간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24) ⑴  ⑵ 존재하지 않는다.
55) ㄱ, ㄴ, ㄷ
25) ⑴  ⑵  ⑶  ⑷

56) (1)    ,    (2)   ,   
26) ⑴  ⑵ 
⑶  ⑷  
27) ⑴  ⑵ 존재하지 않는다. 57)    에서 연속이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58)  90) ⑴  ⑵ 
59)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갖는다. 91)   Lmin
60) ⑴ 풀이참조 92) 
⑴ 원 C 이 원 C 에 내접할 때, 원 C 의 반지름의 길이는 93) ⑴  ⑵ 
 이므로 94)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      95)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      96) 지혜: 옳지 않다. 상우: 옳지 않다.
   
97) ′    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는
98) ⑴ ′   ⑵ ′    
오른쪽 그림과 같다.
99) ⑴ ′   ⑵ ′  
100) ′    
101) ⑴ ′       ⑵ ′    
102) ′      
⑵   에서 불연속이다. 103) ⑴ ′     ⑵ ′      
61)   ,    104) ′ ′ ′
62)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105) ′
63) ⑤ 106)   
64) ④ 107) 고정 비용
65)   108)  단위
 109)  
66) 

110)  
67)  
111) 연속, 미분가능
68) ㄴ, ㄹ
112) ⑴ ′   ⑵ ′    
69) 
113) ⑴ ′     ⑵ ′      
70) 
114) 
71)  
115) ㄱ

72)  116)  

73)  
117) 

74) 
118)      
75) ㄱ, ㄴ
119)    ,   
76) 
120) 
77) ㄱ
121) 

78) 최댓값 :  , 최솟값 :  122) ′     

79)  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갖는다. 123)    ,   

80) 닫힌구간  에서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갖는다. 124)     

81)   125) ⑴    ⑵     

82)  126)     

83)  127) ⑴      ⑵          

84)  128)      ,     

85) 같은 시각에 같은 지점을 지나는 순간이 있었다. 129) ⑴     ,      ⑵   

86) ⑴  ⑵    130) 지나갈 수 있다.



87) ⑴  ⑵    131) ⑴  ⑵ 


88)  h 132) 함수   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89)  133)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134) ⑴  ⑵  
 149) 최댓값: , 최솟값: 
135) 상수함수이다. 150) ⑴ 최댓값: , 최솟값:   ⑵ 최댓값:  , 최솟값:  
136)     151)  cm
137) 존재하지 않는다. 152)  cm
138) 구간  ∞ ∞에서 감소한다 
153)  배
139) (1) 구간  ∞   ,  ∞에서 증가하고, 
닫힌구간    에서 감소한다. 154) 바르게 그린 학생: 유정
(2) 는 구간  ∞ ∞에서 증가한다. 155) 풀이참조
140) ⑴ 닫힌구간    에서 증가하고, 156) ⑴  ⑵
구간  ∞  ,  ∞ 에서 감소한다. 157)     
⑵ 구간    ,  ∞에서 증가하고, 158) (ⅰ)       일 때, 개
구간  ∞  ,   에서 감소한다. 159)  ≥ 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141) (1) 거짓 (2) 참 (3) 참 160) 부등식이 성립한다.
142) 극댓값: , 극솟값:   161) 부등식이 성립한다.
143) ⑴ 극댓값: , 극솟값:   ⑵ 극댓값: , 극솟값:   162) ⑴      ⑵    또는    ⑶    또는   
144)    ,    , 극솟값:   163) ⑴ 속도:  , 가속도:  ⑵ 
145)   ,   , 극댓값:  164) ⑴ 속도: , 가속도:  ⑵ 
146) (1) 거짓 (2) 거짓 (3) 참 165) ⑴ 초,  m ⑵   ms
147) 풀이 참조 166) ⑴ 초⑵   ms
        라고 하면  
167) (1)  m (2)    , 속도:  ms (3) 일정하다.
 
′         
168) ⑴      ⑵     
′  에서    또는   
169)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170) 구간  ∞  ,  ∞에서 증가하고,

′     
171) ⑴ 극댓값: , 극솟값:   ⑵ 극댓값: , 극솟값:  
 ↘  ↗  ↗
172) ⑴  ⑵  ⑶ 
함수 는    에서 극솟값  를 갖고 극댓값은 없다.
173)    
따라서 함수      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174) 
그림과 같다.

175)   ≤  ≤ 

176)    ,    ,   
177)    ,   
178)  cm
179)      

180)  ≥ 
148) 풀이참조 
181) 속도 :  , 가속도 :  
182) ㄱ
183) cm
184)      
⑴ ⑵
185) 
186) cms
187) 
188)  
⑶ ⑷ 189) 
190) ㄴ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191) ㄴ, ㄷ 원점을 지난다.


192)  (2) 함수   의 그래프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193)  기울기는  ′
194)   

195)  
 ′  
    이므로

196)   ′  


197)  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에서   이므로 구하는 기울기는
198)    ,     이다.
199) ⑤ 
230) ⑴  ⑵ 

200)     
231) ⑴  ⑵  ⑶ 
201)
232) ⑴  ⑵  ⑶
202) 

203) 적어도  개의 실근을 갖는다. 233) 

204)  
234) ⑴  ⑵
205) 
235)       
206)   ms
236)      
207) 
208)  237) ⑴    ⑵       

 238) ⑴    ⑵    ⑶       


209)    또는   
 239) 
210)  240) ⑴    ⑵     
211) ′  , ′   241) ⑴  ⑵  ⑶  ⑷
  242) 
212)   
,   ,   ,   
 
243)     
213) ⑴    ⑵    244)   ,   

214) ⑴      ⑵      245)       

  
    
  
215) 
   



 246) 

   247) 
216) ⑴     ⑵     ⑶     
  
 
248)         
217)      
249)  
218) ⑴      ⑵     
250) 
219)         251) 
  
220) ⑴        ⑵         252) 

221)        
253) 
 
222) (1)      
 254) 
223)  255) 
224) ⑴   ⑵  
256) ⑴  ⑵
225) ⑴  ⑵  

226) ⑴    ⑵        


257) ⑴  ⑵ 


227)     ,   
 
228)     ,    258) (1)  (2) 
 
229) 풀이 참조 259) 

(1)       이므로 함수   의 그래프는


260) ⑴ 


⑵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3. 다항함수의 적분법

261) (1)  m 286) 


(2) [그림  ]의 길이 넓이는  m 이므로 [그림 ]과 287) 
[그림 ]의 길의 넓이는 같다.  
288)          
 

262) 
   이므로

289) 
    
290)    

   
   
 


291) 
  

292) 

263) ⑴      이라고 하면 293)   , 

             294)  

이므로  
  
   295)  
296) 최댓값=, 최솟값= 
⑵    이라고 하면 297) 
         
 
298) 
이므로  

    


299)      
264)  
300) 
265) ⑴     ⑵   ⑶  

   
266) ⑴       ⑵  ⑶ 301) 
   

267) ⑴  ⑵ 
302) 

268) ⑴  m ⑵  m
303)     
269) ⑴  m ⑵  m
304)  
270) (1)  m (2) 출발한 지 분 후 A , B 두 사람이 탄
305) 
271)  m
306)  
272) 주어진 버스의 안전거리는  m이므로 타당하다.
307)       
 
273) ⑴  ⑵  308)  
 
 309) m
274) ⑴  ⑵ 
 310) 풀이참조
 
275) ⑴  ⑵ 
 
 
276) ⑴      ⑵ ⑶ 
 

277)  


278) 
 311) 
279)  312) 지니 계수의 값이 에 가까워지고, 계층 간 소득 격차도

280) 
281) 
282) 
283) (1)  (2) 
284) 
285)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정답 및 해설]  
4) (1) lim   ∞ (2) lim     ∞  
→       →   

1) ⑴  ⑵ 
⑴     이라고 하면 함수
⑴ ⑵
 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의 값이 이 아니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의 값은  에 한없이
lim 
  
→ 

∞
→

lim   



 ∞

가까워지므로
lim     
→ 5) (1) lim     ∞ (2) lim 
    ∞
→∞ → ∞
    
⑵    라고 하면  ≠ 일 때, ⑴ ⑵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lim     ∞ lim 
    ∞
→∞ →  ∞
 의 값이  이 아니면서 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의 값은 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6) ⑴ lim    ⑵ lim   
 →  → 
   
lim  
→  

2) (1)   (2)  (3)  (4) 


7) ⑴     ≥ 


  

⑴ ⑵ ⑵ lim   , lim   


→  → 

lim      lim
  
→ →

8) ⑴  ⑵ 존재하지 않는다.

⑶ ⑷

    
9) lim   
lim 


 
lim
  
 → 
→ →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관측자가 측정한 물체의
길이는 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
 
 
3) (1) lim      (2) lim   
→  ∞  

 
10) lim   ∞
→ 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관측자가 측정한 물체의


무게는 무한히 커진다.
⑴ ⑵

→∞

lim   



 
lim   
→  ∞     

11) ⑴  ⑵  ⑶  ⑷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  
12) ⑴ ⑵ 
 이므로

          , 
⑴ lim   lim 
→    →  
  을 ①에 대입하면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17) ⑴   ,    ⑵   ,   
⑵ lim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18)  
       이고  일 때,
 lim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lim 

  


  


 lim   lim 
 

   
13) ⑴   ⑵  ⑶  ⑷ →  ∞     
 → ∞
  →  ∞
 
 
 
 
14) ⑴  ⑵ 
 
  19)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⑴ lim  
 lim   
→∞        
→∞
     lim      , lim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➋에 의하여 lim   


 
⑵ lim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  
 20) 
 
 lim   

→∞
 
   


21) ㈎   ㈏ 
     ㈐

15) ⑴  ⑵  ⑶   ⑷  22)  

16)   ,    23) (1) lim     (2) lim     


→ →
    
극한값 lim  가 존재하고 lim     이므로
→   →

lim       
→
⑴ ⑵
즉       이므로
     ⋯⋯ ① lim     lim     
→ →
①을 주어진 등식의 좌변에 대입하면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lim  ⑶ ⑷
→ 
 lim    

→
lim 
 
  lim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24) ⑴  ⑵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이고   일 때,  
    


이므로

  
25) ⑴  ⑵  ⑶  ⑷ lim 
→  ∞ 
  
 lim  
→ ∞ 
 lim   
→ ∞  
  
 

 
26) ⑴  ⑵ 
⑶  ⑷ 

32) 
27) ⑴  ⑵ 존재하지 않는다.
⑶ ⑷ → → 

lim     , lim        이므로 
lim   
→

28)   
lim   lim     ,
→  →  33) 
lim   lim     ▶  
→  →     로 놓으면  →  일 때  → ∞이므로

이때 극한값 lim가 존재하므로
→

lim 
 

   



 lim 


 ▶   
→  →∞
 


29)   

 이때   라고 하면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lim    이므로
 →∞



lim   lim     
→∞  →∞ 

 
30)   ,   
 ×    
 
극한값 lim  가 존재하고 
→   즉 lim   이다.
→∞ 
lim     이므로 lim 
      이다. ▶ 
→   → 

즉         이므로 34) 
  
  ⋯⋯ ㉠ 점 Q의 좌표를     라고 하면 점 P의 좌표는

  
    
   이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고 하면 원 위의 점
lim  
 lim 

→   →  Q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   ,  
 lim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점 R의 좌표는    이므로
  
 
 
  PR   
따라서    이므로  

  
이때 점 A 의 좌표가  이므로 
PA  이고, 점 P가 점
  를 ㉠에 대입하면  ▶ 
A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 →  이다.

31)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PR




  
39) ⑴  ∞ ,  ∞

⑵  ∞
 
lim   lim 
 →    
 lim 
→  PA →   

 
 lim  40)  
→  
함수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려면   에서 연속이어야

   하므로

lim   lim    ⋯⋯ ①
→  → 

35)  이어야 한다. 이때


      에서       이므로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일 때 ㉠의 각 변을 제곱하면
 이므로 ①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이므로 위의 식의 각 변을
    로 나누면
4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풀이참조
이때 lim  
  , lim  
 이므로
→∞      →∞     


lim 


→∞     
⑴ ⑵

   
36) ⑴ 연속 ⑵ 불연속      

  
⑴ 함수 에 대하여
(ⅰ)   
(ⅱ)
⑶ ⑷
   
lim   lim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lim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⑵ 함수 는   에서   으로
43)  (원)
정의되어 있지만
   ×    (원)

lim   lim   ,
→  →    

    44) 
lim   lim   
 
→  → 

이므로 극한값 lim 가 존재하지 않는다.


→

따라서 함수 는   에서 불연속이다.

37) ⑴ 연속 ⑵ 불연속 ⑶ 연속 ⑷ 불연속

따라서 불연속인  의 값의 개수는  이다.


38) ⑴  ∞ ∞ ⑵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45) ⑴ 함수 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다.    에서 연속이고


⑵ 함수 는  ≠ ,  ≠ 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다.      ,     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  은 열린구간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46)   
 
55) ㄱ, ㄴ, ㄷ
ㄹ. 열린구간   에서 함수 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47) ⑴ 최댓값:  , 최솟값:   ⑵ 최댓값: , 최솟값:   의 값은    의 개이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48) 열린구간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      이라고 하면 함수 는 닫힌구간   에서 
56) (1)    ,    (2)   ,   

연속이고
⑴ 함수 가   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   인  가 열린구간 lim  에서 lim   ⋯⋯ ㉠
→ → 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
따라서 방정식       은 열린구간  에서 적어도 이때 극한값 lim  가 존재하고 lim    이므로
→    →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lim    이다. 즉     이므로   
→

  을 ㉠에 대입하면
49) (1)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2) 적어도 하나의
  
실근을 갖는다.   lim   lim    
→    →
⑴        이라고 하면 함수 는 ⑵ 함수 가   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
 
     ,      lim  에서 lim  
  ⋯⋯ ㉠
→ →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  은 열린구간 
  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이때 극한값 lim  가 존재하고 lim    
→   →

⑵       라고 하면 함수 는 닫힌구간 이므로 lim


      이다.
→
  에서 연속이고
    ,      즉 
      이므로     , 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  은 열린구간    을 ㉠에 대입하면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lim   
50) 생략 
→      

51) ⑴ 연속 ⑵ 불연속 57)    에서 연속이다.


(ⅰ)    ×  
(ⅱ) lim    ×   ,
52) ⑴  ∞ ∞ ⑵  ∞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53) ⑴ 최댓값:  , 최솟값:   ⑵ 최댓값:  , 최솟값: 
  →

(ⅲ) lim   


→

54) 열린구간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        라고 하면 함수 는 닫힌구간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58)       
함수 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  에서 연속이다. 라고 하면     이므로
즉 lim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lim  ⋅lim
          
→   → →
따라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  은 두 열린 구간

   ▶   ,  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로 주어진

 이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63) ⑤
59)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갖는다.
    ,    ,  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
 
⑤ lim 

→∞




 lim     

방정식   은 두 열린구간    ,
  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64) ④
따라서 방정식   은 열린구간   에서 적어도  개의
실근을 갖는다. → 

④ lim    
  


 
60) ⑴ 풀이참조 ⑵   에서 불연속이다.

 lim  
→   

   
  
⑴ 원 C 이 원 C 에 내접할 때, 원 C 의 반지름의 길이는   
 lim   
→ 
 이므로


     
      65)  
   
   로 놓으면  →  ∞일 때  → ∞이므로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    
    
lim   lim 
→  ∞  →∞
⑵ 함수 는   에서 불연속이다.

 lim
 


   

 
 
61)   ,    →∞
 

함수 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  에서 연속이다.

  
66) 
즉 극한값 lim가 존재하므로 
→ 
lim   lim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62)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67)  


  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 71)  
극한값 lim  이 존재하고 lim    이므로
→   → 
lim 

 에서 함수 는  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임을
lim  이다. 즉 lim    이므로 →∞   
→ →

알 수 있다.
  
lim  
→    또 극한값 lim  가 존재하고 lim    이므로
→      →  
 
 lim   lim   , 즉    이다.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는 상수)라고 하면


 lim  ⋅lim 
→    
→  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68) ㄴ, ㄹ
 
ㄱ.   ,    이면 72) 
 
lim   , lim    점 P의 좌표가      이므로
→ →
PO 
    , 
PH 
이지만 극한값 lim 는 존재하지 않는다.
PH  lim
→
lim
PO       
 →∞ →∞
ㄴ. lim   , lim    ( 는 실수)라고 하면
→ →  
 lim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lim   

ㄷ.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모든 실수 →∞ 

   

 에 대하여   이지만


lim   lim    이다.
→ →
73)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   
  일 때,  ≤  ≤  의 각 변을  로 나누면
   

69)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때 lim    lim   이므로
  
→∞    →∞   
  
lim  

 
→ lim 


→∞

70) 
74) 
   라고 하면
함수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려면   에서 연속이어야
   
하므로
이때 lim   이므로
→∞ lim   lim   
→  → 
 
lim  이어야 한다. 이때
→∞  

   lim   lim        ,


 lim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75) ㄱ, ㄴ
닫힌구간    에서 함수 는   에서만 불연속이고,
보기의 함수 는 모두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면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
된다. 즉   ,   이므로
ㄱ. lim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77) ㄱ


ㄱ.   일 때 최댓값 를 갖는다.
즉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ㄷ. 닫힌구간   에서   일 때 최댓값 을 갖는다.
ㄴ. lim    ×  
→  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lim    ×  
→   

     ×   
78) 최댓값 : , 최솟값 : 
즉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
ㄷ. lim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닫힌구간   에서 함수
→         
lim    ×    
→    는   일 때 최댓값 를,   일 때 최솟값  을

따라서 함수 는   에서 불연속이다.
갖는다.
이상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는 ㄱ, ㄴ이다.

79)  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갖는다.


76) 
      ,       이라 하고
     
   

   
이므로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함수 는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  은 열린구간


       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    따라서     , 즉   인 가 열린구간
따라서 함수   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하므로 두 곡선   ,
   는  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갖는다.
또 함수   가 불연속인  의 값은   ,   의
 개이므로 
80) 닫힌구간   에서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갖는다.
   

[다른 풀이] 조건 ㈎에서 극한값 lim  가 존재하고
→   
함수    의 그래프는 함수   의 그래프와  축에
lim     이므로 lim  ,   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


또 조건 ㈏에서 극한값 lim  가 존재하고
→   

lim     이므로 lim  ,   


→ →

       ( 는 다항함수)라고 하면


따라서 두 함수     ,     의 그래프는

다음과 같다. lim   lim     이므로
→   →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84) 
lim 

 lim     이므로
→   →     
 ≠일 때, 
 
     
이때 는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고, 함수 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  에서 연속이다.
   ,   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즉 lim  이다. ▶ 
→
   은 열린구간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   
따라서 방정식   은 두 실근 ,  를 갖고, 열린구간 따라서 극한값 lim  가 존재하고 lim    이므로
→ 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로 닫힌구간   에서
lim      이다.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갖는다. →

즉     이므로    ▶ 

    
81)     lim   lim     ▶ 
→  →
     로 놓으면  → 일 때  → 이므로
   
lim 

 lim  ▶ 
→   →  85) 같은 시각에 같은 지점을 지나는 순간이 있었다.
    ,
즉 lim   이므로
→ 
    라고 하면 함수  는 닫힌구간


  
lim  
  ⋅ 
 lim   

▶ 


 
 


  
에서 연속이고     ,      이므로
→   → 
 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  , 즉   인 가


 
열린구간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같은 시각에

82)  같은 지점을 지나는 순간이 있었다.
삼각형 ABC의 넓이는
   
 ⋅BC⋅AO  ××   ⋯⋯㉠ ▶  86) ⑴  ⑵  
 
      
이때  AC 
AB     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⑴    
  
  
 ⋅⋅AB BC 
CA   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87) ⑴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lim 
  ▶  88) h
→   →   

83)  89) 
    
함수 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려면 ′  lim 
 →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이어야 하므로 방정식    이      ×
 lim 
실근을 갖지 않아야 한다. ▶ → 
   
 lim 
이차방정식      의 판별식을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lim   
→
따라서 구하는 정수 의 개수는  이다.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따라서 함수      는   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다른 풀이] 않다.
 
′  lim 
→ 
95)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   ×
 lim     이고 lim   lim       이므로
→  
→ →
   
 lim  lim   
→  →

 lim   즉 함수        은    에서 연속이다. 그런데


→
         
 lim  
 lim   lim 
→  →     →    

 lim    ,
→ 
90) ⑴  ⑵ 
          
lim 

 lim   lim 
   
→  →  → 

91)   Lmin  lim      


→ 

 
이므로 극한값 lim  이 존재하지 않는다.
92)  → 

     라고 하면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함수 따라서 함수        은    에서 연속이지만


의   에서의 미분계수 ′과 같으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   
′  lim 
→ 
96) 지혜: 옳지 않다. 상우: 옳지 않다.
         
 lim 
→ 
  97) ′    
 lim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  
 lim 
93) ⑴  ⑵  → 
 lim   
→

94)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   

  이고 lim  lim     이므로


→ →

lim   98) ⑴ ′   ⑵ ′    


→
⑶ ′   ⑷ ′  
즉 함수      는   에서 연속이다.
그런데
99) ⑴ ′   ⑵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극한값 lim  이 존재하지 않는다.
→  
101) ⑴ ′       ⑵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102) ′      110)  


′      ′
   ′      ′ 111) 연속, 미분가능

      ⋅
     
112) ⑴ ′   ⑵ ′    

103) ⑴ ′    ⑵ ′      


113) ⑴ ′     ⑵ ′      
⑶ ′      
104) ′′ ′
    이므로
114) 
′  ′ ′
 의 값이 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     에서 ′    이므로   에서 의
105) ′ 미분계수는 ′    ▶ 
    이므로 즉    이므로  ▶ 
′  ′′
 ′
115) ㄱ
 
 은 곡선    위의 두 점  ,

106)   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고, ′은 곡선
     ( 는 상수)라고 하면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다.
        ⋯⋯ ㉠
따라서    일 때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함수
  을 ㉠의 양변에 대입하면     ⋯⋯ ㉡
  의 그래프는 ㄱ뿐이다.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116)  
  을 위의 식의 양변에 대입하면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을 ㉡에 대입하여 풀면   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   
  ′

′  이므로 ′  
107) 고정 비용     
lim 

  ×  

→

108) 단위
한계 비용  는 
117) 

      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따라서  는   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한계 비용이
  
최소일 때의 생산량은 단위이다.  ′⋅    ×   
  

109)   118)      
  이므로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    ,     …… ㉠       


 lim 
′  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lim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lim  ⋅ 
→  
119)   ,     ′  ′ ′
함수 가    에서 미분가능하면 는    에서 이므로 ′  , ′  
연속이므로     …… ㉠      
lim 
 
 lim 

⋅  
함수 가    에서 미분가능하면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 →  
      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lim  122) ′     
→   
     을 조건 ㈎의 등식의 양변에 대입하면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lim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lim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을 ㉠에 대입하여 풀면 

123)    ,   
120)  다항식       을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  라고 하면
극한값 lim  가 존재하고 lim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lim  이다. 즉    이므로 ⋯⋯ ㉠ ▶ 
→

      를 ㉠의 양변에 대입한 후 정리하면


lim 

 lim   ′

→ →     ⋯⋯ ㉡
에서 ′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또 극한값 lim  이 존재하고 lim    이므로
→   →
⋯⋯ ㉢
lim  이다. 즉   이므로   를 ㉢의 양변에 대입한 후 정리하면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에서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는
124)    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121) 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   ′   ×    
lim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즉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125) ⑴    ⑵       


  ′

인 가 열린구간  에서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26)      이때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이므로

접점의 좌표를      이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
    , 
′    
이때 접선의 기울기가  이므로     

134) ⑴  ⑵  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 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즉     
135) 상수함수이다.
   ≤ 인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함수 가 닫힌구간
127) ⑴      ⑵        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128)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인 가 열린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   
그런데 ′  이므로
접점의 좌표를     이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   , 즉   
′  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함수 는 닫힌구간   에서 상수함수이다.
          
        ⋯⋯ ①
이 접선이 점    를 지나므로 136)  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함수  는 닫힌구간  에서

   ,    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다. 또 열린구간


 에 속하는 모든 에서  ′  ′  ′  이다.
   또는 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①에서 따라서 함수  는 닫힌구간  에서 상수함수이므로
       (는 상수)
(ⅰ)   일 때,     
   
(ⅱ)   일 때,    

129) ⑴     ,      ⑵     137) 존재하지 않는다.


함수 는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130) 지나갈 수 있다.   
  ′인 가 열린구간   에 적어도 하나
   

 존재한다. 즉 ′    인 가 존재한다.
131) ⑴  ⑵  

이것은 ㈏에 모순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는 존재하지 않는다.
132) 함수   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138) 구간  ∞ ∞에서 감소한다


133)  임의의 두 실수  ,  에 대하여    일 때,
함수       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       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이므로      따라서 함수 는   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따라서 함수 는 구간  ∞ ∞에서 감소한다.    이며,   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  이다.

139) (1) 구간  ∞   ,  ∞에서 증가하고, 143) ⑴ 극댓값: , 극솟값:   ⑵ 극댓값: , 극솟값:  
닫힌구간    에서 감소한다.
(2) 는 구간  ∞ ∞에서 증가한다.
144)   ,   , 극솟값:  
⑴ ′          
′      이고 함수 가   에서 극댓값 를
′  에서    또는   
가지므로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따라서 함수 는 구간  ∞   ,  ∞에서 증가하고,
′          
닫힌구간    에서 감소한다.
′  에서    또는   
⑵ ′        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에서  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는   에서 극솟값  을 갖는다.
따라서 함수 는 구간  ∞ ∞에서 증가한다.

145)    ,    , 극댓값: 
140) ⑴ 닫힌구간    에서 증가하고,
구간  ∞  ,  ∞ 에서 감소한다.
⑵ 구간    ,  ∞에서 증가하고, 146) (1) 거짓 (2) 거짓 (3) 참
구간  ∞  ,   에서 감소한다. ⑴ 거짓: ′  이고   의 좌우에서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므로 는   에서 극소이다.
⑵ 거짓:   의 좌우에서 ′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므로
141) (1) 거짓 (2) 참 (3) 참
  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⑴ 거짓: 열린구간  에서  ′  이므로 함수 는
⑶ 참: 열린구간  에서 ′  이고 ′  이므로 함수
증가한다.
는 닫힌구간   에서 증가한다.
⑵ 참: 열린구간  에서 ′  이므로 함수 는
따라서   이다.
감소하고, 열린구간  에서 ′  이므로 함수 는
증가한다.
⑶ 참: 열린구간  와 열린구간  에서 ′   이고, 147) 풀이 참조
′  이므로 열린구간  에서 함수 는 증가한다.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에서    또는   
142) 극댓값: , 극솟값: 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          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에서    또는  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함수 는   에서 극솟값   를
′     
 ↗  ↘   ↗ 갖고 극댓값은 없다.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따라서 함수      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152)  cm
그림과 같다.


153)  배
148) 풀이참조 

154) 바르게 그린 학생: 유정


영하: ′≠ 이고, 구간  ∞  에서 ′  인 구간이
⑴ ⑵ 존재한다.
성도: 구간  ∞  에서 ′   이다.
승민: ′≠ 이다.

155) 풀이참조
⑶ ⑷

⑴ ⑵ ⑶
149) 최댓값: , 최솟값: 
′            
′  에서    또는   
156) ⑴  ⑵
닫힌구간   에서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157)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이므로 주어진
  ↘  ↗ 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따라서 닫힌구간   에서 함수 의 최댓값은 이고 직선   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최솟값은 이다.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150) ⑴ 최댓값: , 최솟값:   ⑵ 최댓값: , 최솟값:   ′  에서    또는  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151)  cm  ⋯  ⋯  ⋯
잘라 내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 cm 라고 하면 ′     
    이다.  ↗  ↘  ↗
상자의 부피를   cm 라고 하면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        갖도록 하는 의 값의 범위는      이다.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158) (ⅰ)       일 때, 개
    일 때,  ′  에서 
(ⅱ)    또는   일 때,  개
    에서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ⅲ)    또는   일 때, 개
같다.

  ⋯  ⋯  159)  ≥ 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따라서 잘라 내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 cm 일 때 상자의 ′  에서    또는   

부피는 최대이고 최댓값은  cm 이다.  ≥ 일 때,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165) ⑴ 초,  m ⑵   ms


  ⋯  ⋯  초 후의 물 로켓의 속도를  ms라고 하자.
′    ⑴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일 때, 함수 의 최솟값은 
 이므로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   이므로       , 
 ≥ , 즉      ≥  따라서 물 로켓이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따라서  ≥ 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초이고, 그때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   ×   ×   
⑵ 물 로켓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   이므로
160)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이때   이므로 
′          
따라서 물 로켓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속도는
  일 때,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166) ⑴ 초⑵   ms
  일 때, 함수 의 최솟값은  이므로
 ≥ , 즉      ≥ 
 
따라서   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167) (1)  m (2)    , 속도:  ms (3) 일정하다.
 

161) 부등식이 성립한다.


168) ⑴      ⑵ 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에서  169) 

함수 의 최솟값은 이므로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170) 구간  ∞  ,  ∞에서 증가하고,

따라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 
닫힌구간    에서 감소한다.
 

162) ⑴      ⑵    또는    ⑶    또는   
171) ⑴ 극댓값: , 극솟값:   ⑵ 극댓값: , 극솟값:  

163) ⑴ 속도:  , 가속도:  ⑵ 


⑴ 점 P 의 시각  에서의 속도를  , 가속도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  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는
   ×    , 
⑵ 점 P 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이므로
      ,  172) ⑴  ⑵  ⑶ 
따라서     일 때   이고,   일 때   이므로 점
P 가 운동 방향을 바꾸는 시각은 이다.
173)    
      이라고 하면
164) ⑴ 속도: , 가속도:  ⑵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접점의 좌표를     이라고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닫힌구간   에서 함수 의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최솟값은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접선 ㉠이 점  을 지나므로


    ,     ,    ▶  178) 
 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에서 길이를  cm , 높이를  cm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174) 
           원기둥의 부피를   cm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에서    
   ⋯  ⋯ 
175)   ≤  ≤ 

 ′   
′         ↗ 극대 ↘ ▶ 
함수 가 구간  ∞ ∞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 에 따라서     에서  는   
 일 때 극대이면서
대하여 ′ ≥ 이어야 한다. 방정식 ′  의 판별식을
최대이므로 구하는 높이는   cm 이다. ▶ 
 라고 하면  ≤ 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 ≤ 
 179)      
       에서       

176) 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 ↗ 극대 ↘ 극소 ↗ 그림과 같으므로 구하는 의 값의 범위는
이때 함수 의 극솟값이 이므로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

177)   ,    
180) 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 ≤  ≤ 일 때, ′  에서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또는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높이는 ㉠에서    ×   cm
 
′     

 ↘  ↘   ↗
 184)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함수 는    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고, 최솟값은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접점의 좌표를        이라고 하면 접선의
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181) 속도 :  , 가속도 :  
            ▶ 
점 P의 시각 에서의 속도를  , 가속도를 라고 하면
위의 접선이 점  를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다시 원점에 도착했을 때   이므로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  ′         

따라서   일 때, ㉠에서    ,   이므로 구하는  ′   에서    또는   

속도는  , 가속도는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182) ㄱ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가 오른쪽
ㄱ.   ,    이므로 점 P는     에서 원점을 두 그림과 같으므로 구하는 의 값의 범위는
번 지난다.    ▶  
ㄴ.     에서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므로 점
P 의 운동 방향이 음의 방향에서 양의 방향으로 바뀐다.
ㄷ.     에서 ′의 부호가 한 번 바뀌므로 점 P의 운동
185) 
방향은 한 번 바뀐다.
사차함수 가   ,    를 만족시키고 방정식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   의 실근의 개수가 이려면 사차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183) cm        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와 높이를 각각  cm ,  cm 라고       
하면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이므로    
 ′  에서     또는    또는   
 
원기둥의 부피를   cm 라고 하면

           따라서 함수 는    에서 극솟값   를 가지므로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에서

 
 
 


 에서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186) cms
  ↗ 극대 ↘
 초 후의 수면의 높이는 ⋅  cm
   초 후의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     에서  는    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다.
 
 cm 라고 하면       에서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는   에 미분가능하다.
물의 부피를  cm 라고 하면       
 
    
물을 넣기 시작한 지  초 후의  의 변화율은 ㄷ. lim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따라서   일 때,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이므로 함수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다.

  ×  cms 이상에서   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인 것은 ㄴ, ㄷ이다.

187)  192) 
       ′이므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일 때 전류의 최솟값은  이므로 구하는 전하량은
   

188)  
    193) 
lim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189)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라고 하면   이므로
  
(주어진 식) lim    ′ 194) 
→ 
이때 ′       ⋯ 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190) ㄴ
195)  
ㄱ. 직선 OA 의 기울기가 직선 OB의 기울기보다 작으므로
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ㄴ. 점 A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점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보다 점 P의 좌표를         이라고 하면 점
작으므로 ′  ′ P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 
 
ㄷ. 직선 AB의 기울기는  보다 크므로 이때 직선      의 기울기는  이고, 이 직선과 점
 
    P 에서의 접선이 수직이므로
  ,    

  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 

191) ㄴ, ㄷ
      196) 
ㄴ. lim   lim 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 lim    
→  ′     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이므로 접선의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방정식은             (ⅲ) ′  에서        ,   


 
점  가 곡선         과 직선     의 (ⅳ) 함수   ′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   이므로
교점이므로          과  사이에 있다.

      ,  이상에서 구하는 의 값의 범위는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201)

197)           에서

 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또는   

접점의 좌표를       이라고 하면 접선의  ⋯  ⋯  ⋯


′   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 ]과 같다.
            …… ㉠
이때 함수 는   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함수
점선 ㉠이 점  을 지나므로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 ]와 같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에서     이므로 구하는
 절편은  이다.

198)    ,   
        에서
202) 
′ 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내접한 직사각형을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  의 두 근은  ,
ABCD라 하고 꼭짓점 D 의 좌표를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이라고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직사각형 ABCD의 넓이를  라고 하면
      
  
199) ⑤
′  ′ ′이므로 ′  에서  ′        

   또는         일 때,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극소 ↗   ↗  ↘

따라서 함수 가 극소일 때의  의 값은  이다. 따라서 열린구간  


 에서 함수  는   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구하는 넓이의 최댓값은 이다.

200)     
        에서 203)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려면 방정식
극 극
′  의 서로 다른 두 근이 과  사이에 있어야 한다.  ↘ ↗ ↘
소 대
(ⅰ) ′  의 판별식을 라고 하면   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      , 
       
(ⅱ) ′  에서 
을 만족시키는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같으므로 방정식   은         에서


열린구간   에서 적어도  개의 ′    
실근을 갖는다. 함수 가   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  에서

또 함수 가   에서 극솟값  를 가지므로
   , ′  
204)      에서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일 때, ′   에서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극댓값은
   ↘  ↗    ▶ 
따라서  ≥ 일 때,  ≥ 이므로 실수 의 최댓값은
 이다.

209)    또는   

205)           (, , , 는 상수)라고 하면

시각  에서의 점 P 의 속도를  라고 하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어진 그래프에서 ′   , ′   이므로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또 ′  이므로   ,   
  에서의 점 P 의 위치 는  
  에서의 점 P 의 위치 는  따라서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206)   ms  ⋯  ⋯  ⋯
물방울이 수면에 닿을 때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
함수  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 초 후의 물방울의 속도를  ms 라고 하면
같으므로 방정식   가 서로 다른 두

     실근을 갖도록 하는 의 값은

따라서 물방울이 수면에 닿을 때의 속도는   ms이다. 
   또는    ▶  

207) 
210) 
를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라고 하면
점 P의 속도를 P , 점 Q의 속도를 Q 라고 하면
        ▶ 
P      , Q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 ▶  이때   이므로  ▶ 


 ′   ▶  P    , Q    이므로 구하는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     ▶ 

208)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211) ′  , ′   221)      

  
212)   
,   ,   ,    222) (1)      
  

(2) 주어진 방법에서            임을


 

213) ⑴    ⑵   
알 수 있고,             로
  

전개하여 구해도 결과는 같다.



214) ⑴      ⑵     

223) 

  
    
  
215)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수항이 다른 경우가 있다.         


    
 
  
216) ⑴     ⑵     ⑶    
  

224) ⑴   ⑵ 

217)      

          


 
225) ⑴  ⑵ 

         

226) ⑴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7)     ,   
이때       라고 하면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8) ⑴      ⑵      또    을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대입하면
 
⑶          ⑷       
      ,

  

  

219)        
′      이므로 228)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 229) 풀이 참조


따라서 구하는 함수 는 

        
(1)      이므로 함수   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난다.
(2) 함수   의 그래프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220) ⑴        ⑵        
기울기는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237) ⑴    ⑵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에서   이므로 구하는 기울기는 238) ⑴    ⑵    ⑶       
 이다.

239) 

230) ⑴  ⑵ 

   
240) ⑴    ⑵     
⑴                




 
  
241) ⑴  ⑵  ⑶  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2) 
       
       (는 상수)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243)     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231) ⑴  ⑵  ⑶ 

232) ⑴  ⑵  ⑶ 24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3) 

       이라고 하면 닫힌구간  에서
245)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이고   

     이므로  ▶ 


 즉       이다. ▶ 


246) 
234) ⑴  ⑵
함수 의 한 부정적분을 라고 하면
   
lim 
     lim   
235)        →  →

  ′    

236)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
247) 
        

 
위의 등식의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 
  

           


⋯⋯ ㉡ 함수 가    ,  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   ,
따라서 ㉠, ㉡을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면 ′   ▶ 
  따라서 ′      (는 상수)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248)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이므로 
즉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
다항식 가     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
즉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즉
             
249)  
  ,   을 위의 등식의 양변에 대입하여 각각 풀면

    (는 상수)

⋯⋯ ㉠     ,   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위의 식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253)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는 상수)라고 하면
250)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등식의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       닫힌구간   에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넓이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⑵ 주어진 곡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의
   좌표는  과 이고, 닫힌구간   에서
  ≤ , 닫힌구간   에서  ≥ 이다.
따라서      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넓이  는

   ▶  
          

 

254) 
 
            

조건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7) ⑴  ⑵ 
또 조건 ㈎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258) (1)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9) 
두 곡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면
255)        

닫힌구간   에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또는   

       

닫힌구간   에서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          
  넓이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 ≤  ≤ 에서 최댓값 , 최솟값  
260) ⑴  ⑵ 
 을 갖는다.  

즉   ,   이므로
  
261) (1)  m
(2) [그림 ]의 길이 넓이는  m 이므로 [그림 ]과
 [그림  ]의 길의 넓이는 같다.
256) ⑴  ⑵

⑴ 주어진 곡선이 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과 이고,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     , 
262)     이므로
  이때의 지면으로부터의 공의 높이  m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⑵  ≤  ≤ 일 때  ≥ 이고,  ≤  ≤ 일 때  ≤ 이므로
  
    에서   까지 공이 움직인 거리  m는
  
                  
  
263) ⑴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⑵    이라고 하면 269) ⑴  m ⑵  m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270) (1)  m (2) 출발한 지 분 후 A , B 두 사람이 탄
자전거 사이의 거리

264)  271)  m

265) ⑴     ⑵   ⑶  272) 주어진 버스의 안전거리는  m 이므로 타당하다.


⑴ 시각   에서의 점 P 의 위치가 이므로 구하는 위치 는

      



273) ⑴ 

⑵ 
 
 
       
 
      
274) ⑴  ⑵ 
  
⑵          

   


 

⑶  ≤  ≤  일 때  ≥ 이고,  ≤  ≤ 일 때  ≤ 이므로


 
  에서   까지 점 P 가 움직인 거리  는 275) ⑴  ⑵ 
 

       

   
276) ⑴     
  
     

     
⑵ ⑶ 

   
            
   

 27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6) ⑴       ⑵  ⑶
  


278) 
267) ⑴  ⑵ 
(구하는 넓이)

268) ⑴  m ⑵  m        


⑴ 최고 지점에 도달할 때   이므로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 
279)  

곡선      가 점  를 지나므로       ,
 282) 

곡선     가 점  를 지나므로 기차가 완전히 정지할 때   이므로

    ,  ▶      ,   
따라서 기차가 이동한 거리는
두 곡선       , 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m
  
      ,    또는    ▶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283) (1)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0)  284) 
   이라고 하면 ′   두 도형  , 의 넓이가 같으므로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곡선    과 직선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에서    또는   이므로
이때    이므로 
오른쪽 그림에서 구하는 넓이는

     


285) 

닫힌구간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1)  이때    이므로

곡선      과 직선   의 교점의 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단, 등호는   일 때 성립)
   또는     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이다. ▶ 
    이므로       이고, 닫힌구간     에서
   ≥ 이므로 곡선      과 직선    로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286) 
출발한 지 초 후의 점 P 의 위치는
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 
291) 
점 Q의 위치는
 
 
     

       

Q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점 P , Q가 만날 때의 의 값은      에서
  을 ㉠, ㉡의 양변에 각각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이므로 
이때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     
287)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292) 
   ′    이므로   

 
288)         


293)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함수 가   에서 연속이므로 lim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즉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9) 

      
lim  

→

       


 lim 
→  294)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값은   

295)  
 
29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 
또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에서       



296) 최댓값=, 최솟값=  299)      


닫힌구간   일 때,  ′    에서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극대 ↘     
  
    
  
따라서 닫힌구간   에서 함수  의 최댓값은
     

      

또    이고 
300) 
   
            
   두 곡선의 교점의 좌표는      
이므로 함수  의 최솟값은   이다. 에서    또는  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9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의 양변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양변을 미분하면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301) 

     이라고 하면  ′  
298) 
접점의 좌표를    이라고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조건 ㈎에서 함수  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 접선이 원점을
대칭이므로    

지나므로     ,  ±

조건 ㈐에 의하여 접점의 좌표는     


   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 ㉠     

한편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이므로 조건 ㈏와 ㉠에 의하여 302) 

 

     
곡선   와 직선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에서   
또는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7)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303)                 


 
▶ 
이차함수   의 그래프가 축과 ′  에서    또는   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 이고 두 조건
 ⋯  ⋯  ⋯
㈎, ㈏에 의하여 함수   의 그래프는
 ′     
오른쪽 그림과 같다. 극 극
따라서   이고,     이므로  ↗ ↘ ↗
대 소

따라서 함수 는   에서 극댓값을 갖고,   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   ,   
304)      에서 
점 P는    일 때 원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그때의 
   에서      ,  ▶ 

점 P의 위치는
 따라서       이다. ▶ 
 


   × ×  
 
308)  
305)  곡선     와 직선   의 교점의  좌표는
엘리베이터가 멈추었을 때   이므로     에서    또는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이므로 엘리베이터가 움직인 거리는 따라서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의
   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6)  
또 곡선     와 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 ,   을  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이므로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309) m
   
 lim  물체가 가장 높이 올라갔을 때    이므로
→ 
    ,  ▶ 

 lim        물체가 가장 높이 올라갔을 때의 높이는
→ 


           이므로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신사고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Ⅱ(고2) 내신대비 정답 및 풀이

 m ▶ 
따라서 이 물체가 지면에 떨어질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 ×     m ▶ 

310) 풀이참조

311) 

312) 지니 계수의 값이  에 가까워지고, 계층 간 소득 격차도


커진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