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이항정리 해부하기

< I. 다항식 >


곱셈공식의 확장

10101 김동건 , 10106 이재형 , 10112 하예준


이항정리 (Binomial Theorem) 란 ?
이항 ( 두 개의 항의 합의 꼴로 나타나는 다항식 ) 의 거듭제곱에 대해
그 전개식을 간편하게 정리한 정리

( 단 0⪳k⪳n)

이항 계수 Binomial Coefficient
이항의 거듭제곱의 전개식에서 각 항들의 계수

( 좌변의 표기가 이항 계수이고 그 값의 계산은 우변의 식으


로)
이항정리 해부하기
각 항의 x, y 의 차수 Point 1: 차수

주목할 부분

1. x 와 y 의 차수 합이 n 으로 일정
2. x, y 중 어떤 것부터 먼저 차수를 정리해도 같은 식

그리고 x 와 y 의 차수가 대칭적인 두 항의 계수는 같음

= 은 대칭식

( 등호로 연결된 위의 세 개의 식 중 오른쪽 두 식의 해석 )


원칙적으로는 x+y>0 일 때만 0
의 거듭제곱을 정의하지만
편의상 0 제곱은 1 로 간주

이렇게 정의하는 것은 파스칼


삼각형과의 연관에서 유용
앞의 주목할 부분 1. 보충설명

= ...
전개식의 구성은 각 x+y 식에서 x 또는 y 를 골라 곱한 식들의 합과 같
다.
( 같은 식 내부에서 곱해지지 않기 때문 )
곱해진 x+y 식은 n 개이고 각각 x 또는 y 를 골라 곱하므로
전개식의 x, y 차수의 합은 n 이다
= 즉 곱한 x, y 개수의 합은 n 인 것과 같다 .
이항정리 해부하기
이항계수의 형성 Point 2: 이항계수

앞의 내용이 기초가 됨 .

= ...

항의 n 개의 x+y 식에서 x 를 k 개 고르고 남은 식에서 y


를 고르는 경우의 수와 같음 .
주어진 n 개의 x+y 식들은 모두 다르므로 겹치는
계수를 구하는 방법 경우 없이
=nCk
구하는 경우의 수는 nCk 와 같다 ( 단 0!=1)
( 단 0⪳k⪳n)
파스칼 삼각형
1 을 꼭짓점으로 두고 이웃한 두수의 합을
바로 두수의 아래에 위치시킨 삼각형

이미 중국과 이슬람에서 알려져 있었으나


프랑스의 수학자 파스칼이 체계적인
이론을 만들고 그 속에서 흥미로운
성질을 발견했기 때문에 파스칼의 이름을
땀.
이항계수와 파스칼 삼각형의 연관성
각 줄의 0 번째 ( 로
정함 )
0 번째 줄 ( 로 정
함)
1 번째 줄

2 번째 줄

.
.
.
.

각 줄의 숫자 배열과 이항계수가
동일
k=0

n=0 ⟶ 의 의미는 에 대해
의 계수가

파스칼 삼각형의 n 번째 줄 k 번째 숫자와 같다는 의미이다 .

한편 이는 이항 계수와 같으므로

이항계수를 두 가지로 표현한다 .

다만 그림처럼 k(0~n 의 정수 ) 와 n 을 0 부터 세어야 위의 식이 성립한다 ( 단 ,0!


=1)
그저 조합으로 계산하기 편리하도록 활용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형식상 문제이다 .
왜 간단한 연산으로 만들어진 파스칼 삼각형에서
조합의 성질이 나타나는가 ?
n=1 부터 파스칼 삼각형의 숫자를

n 에 대한 조합으로 표현하면

왼쪽과 같고 0⪳r⪳n 인 임의의 정수 r 에 대해

파스칼 삼각형의 연산 - 이웃한 두수의 합을 아래에


위치시키는 연산 - 을 조합으로 표현하면

nCr + nCr+1 = n+1Cr+1 이다 .

즉 , 파스칼 삼각형들의 수들에 적용되는 연산은


바로 다음 줄의 숫자들도 이전 줄의 숫자들과 같이
조합으로 표현되게 하므로

각 줄마다 으로 계산 가능한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
결론

위와 같이 전개 가능하고, n, k 에 따른 이항계수의 값은 아래와 같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