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쪽

풀이 1) [정답 : 4번]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즉,        
을 만족시키므로 수열  은 등차수열이다.
수열  의 공차를  라 하면   이므로    에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풀이 2) [정답 : 5번]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을 만족시키므로 수열  은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  이므로 등차수열  의 일반항은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에서   

풀이 3) [정답 : 3번]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를 만족시키므로 수열 은 등차수열이다.
등차중항의 성질에 의하여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4) [정답 : 3번]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즉        이므로 수열  은 첫째항이  공차가  인 등
차수열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 이면   이다.


따라서   의 값이 최대가 되는

 의 값은   

풀이 5) [정답 : 4번]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즉      이므로 수열 은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수열  의 첫째항을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2)쪽

풀이 6) [정답 : 1번]
        ,        에서 두 식을 변끼리 더하면
              …………… ㉠
㉠에서  에 , , ,  을 차례로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등식을 변끼리 모두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7) [정답 : 2번]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풀이 8) [정답 : 5번]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또는     
한편,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    
즉, 수열  은 첫째항이 이고,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따라서     ×   

풀이 9) [정답 : 1번]
점 P  의 좌표를    이라 하자.
   
    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수열  은 등차수열이다.

이때   ,   이므로 등차수열 의 공차를  이라 하면            
따라서 등차수열  의 일반항  은        ×   
    
또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이므로 수열  은 등차수열이다.

이때    ,    이므로 등차수열  의 공차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따라서 등차수열  의 일반항  은         ×     
점 G  의 좌표를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의 값은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정수이다.
한편  의 값이 정수가 되려면   이 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은 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이어야 한다.
즉, 의 값은 , , , ⋯⋯, 이다.
이때 수열 , , , ⋯⋯, 은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므로 을 번째항이라 하면
       × 에서   
따라서 개의 점 G  , G  , G  , ⋯⋯ , G  중 좌표와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이다.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3)쪽

풀이 10) [정답 : 4번]


수열 , , , ⋯⋯,   의 제      항이   이므로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11) [정답 : 3번]


 ≧ 이므로
   일 때, (좌변)   , (우변)  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일 때   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     일 때에도 성립한다.

풀이 12) [정답 : 4번]


S     S 에서 수열  S   은 첫째항이 S     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므로
  
S n  ·  

  S   S    (  ≧  )이므로   S   S       이고   S   S       이다.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4)쪽

풀이 13) [정답 : 2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14) [정답 : 5번]


         이므로 수열    은 등차수열이고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에서   

풀이 15) [정답 : 2번]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로 추정할 수 있다.

풀이 16) [정답 : 2번]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을 대입하여 변끼리 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5)쪽

풀이 17) [정답 : 4번]



×
[단계 ]에 적혀 있는 모든 수의 합은   
 
 

×
[단계 ]에 적혀 있는 모든 수의 합은   
 
 

 × 
[단계 ]에 적혀 있는 모든 수의 합은   
 
 

 × 
[단계 ]에 적혀 있는 모든 수의 합은   
 
 

 × 
[단계 ]에 적혀 있는 모든 수의 합은   
 
 

 × 
[단계 ]에 적혀 있는 모든 수의 합은   
 
 

따라서 <그림 >에 적혀 있는 모든 수의 합은             

풀이 18) [정답 : 4번]


A : 회 시행 후의 A 그릇의 소금의 양
B : 회 시행 후의 B 그릇의 소금의 양이라 하면
∴ A B   (∵ 회 시행후에도 소금물의 농도는 변하지만 소금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한편, A 그릇의 소금물  g 를 B 그릇에 섞으므로 소금의 양은
 
A 그릇에서 옮겨온 소금  A 과 원래 B 그릇에 있던 소금의 양 B 의 합  A B 이 들어있다.
 
이중 현재 B 그릇에 들어 있는 g 의 소금물에서 g 을 덜어내어 A 그릇에 섞으므로 소금의 양은


 

∴ A    A    A B
  
  
∴ A    A   A   B
  
 
∴ A    A   B
 
 
∴ A    A     A 
 

∴ A    A 

A A
한편, A 그릇의 소금물의 농도  은    ×    이므로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6)쪽

풀이 19) [정답 : 5번]


계단 한 칸을 오르는 방법의 수는 가지 이므로   
계단 두 칸을 오르는 방법의 수는 한 칸씩 두 번 또는 두 칸씩 한 번 오르는 경우의 가지 이므로
  
가지 방법 중에서 처음에 한 칸을 먼저 오르면 남은 계단의 수는   개이므로 남은 계단을 오르는
방법의 수는       이고, 처음에 두 칸을 먼저 오르면 남은 계단의 수는   개이므로 남은 계단을
오르는 방법의 수는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20) [정답 : 1번]



의 소금물 g 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은  ×    g 

     
회 시행후 g 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은  ×    ×        g 
   
     
회 시행후 g 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은  ×    ×        g 
   

 
 의 소금물 g 에 들어 잇는 소금의 양은  ×    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풀이 21) [정답 : 5번]



조건 (가)에서        ⇔      이므로


수열   ,   ,   , ⋯⋯ 은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고,


수열   ,   ,   , ⋯⋯ 도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다.

 
한편,   이므로    ×    이다.
 
조건 (나)에서 세 수   ,   ,   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    
  
즉,      에서       
  
 
이때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   에서 S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7)쪽

풀이 22) [정답 : 1번]


행까지 나열된 모든 원 안의 수의 합이 미만이므로
행에 나열된 모든 원 안에는 을 써 넣는다.
행까지 나열된 모든 원 안의 수의 합이     으로 미만이므로
행의 모든 원 안에는 을, 행에 나열된 모든 원 안에는 을 써 넣는다.
행까지 나열된 모든 원 안의 수의 합이       로 미만이므로
, , 행의 모든 원 안에는 을, 행에 나열된 모든 원 안에는 을 써 넣는다.
행까지 나열된 모든 원 안의 수의 합이         로 미만이므로
, , , , ⋯⋯, 행의 모든 원 안에는 을, 행에 나열된 모든 원 안에는 을 써 넣는다.
행까지 나열된 모든 원 안의 수의 합이           으로 미만이므로
, , , ⋯⋯, 행의 모든 원 안에는 을, 행에 나열된 모든 원 안에는 을 써넣는다.
따라서, 행부터 행까지 나열된 원 안에 써넣은 모든 수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23) [정답 : 번]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   
S   ×  ×    , S    ×   , S   ×  ×    , S   ×   
   

 
≧ 인 자연수에 대하여 수열  S  은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S     S   

∴ S     S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8)쪽

풀이 24) [정답 : 5번]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25) [정답 : 3번]


명제  또는   이 참이면   가 참이므로 다음의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ⅰ) 이 참일 때,
 →  →  → ⋯⋯ 가 참이다.
ⅱ) 가 참일 때,
 →  →  →  → ⋯⋯ 이 참이다.
즉, 이 참이면 의 참, 거짓에 관계없이 , , , …… 는 항상 참이고,
가 참이면 의 참, 거짓에 관계없이 , , , …… 이 항상 참이다.
따라서,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명제 이 항상 참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과
가 참이어야 한다.

풀이 26) [정답 : 4번]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을 만족시키므로 수열  은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다.
이 때,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9)쪽

풀이 27) [정답 : 2번]


 번째 만들어지는 도형의 넓이를 S  이라 하면
S   ,
S      × ,
S        × ,
S        ×    × ,


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28) [정답 : 3번]


ⅰ) 세 자리 자연수 중 세 숫자가 모두 다른 자연수의 개수는  ×  ×   이므로   
ⅱ) 연속하는 세 숫자가 모두 다른 자리 자연수의 마지막 두 숫자를  ,  라 하면 그 뒤에 쓸 수 있는 숫자
는 1, 2 ,3, 4, 5 중에서  ,  를 제외한 나머지 세 숫자 중 하나이다.
즉,       ×  이 성립한다.
ⅰ), ⅱ)에서   ,   이므로     

풀이 29) [정답 : 2번]


① ㄱ, ㄴ의 경우
 ,  만 참이다.
② ㄱ, ㄷ의 경우
 이 참이면  가 참이고,  가 참이면  가 참이다.
따라서,  가 참일 때,      가 참이면 모든 홀수에 대하여 명제    이 성립한다.
③ ㄱ, ㄹ의 경우
 이 참이면  가 참이고,  가 참이면  이 참이다.
이 때,  가 참인 것을 증명할 수 없다.
④ ㄴ, ㄷ의 경우
 가 참이면  가 참이고,  가 참이면  이 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모든 홀수에 대하여 명제    이 참인 것을 증명할 수 없다.
⑤ ㄴ, ㄹ의 경우
 가 참이면  가 참이고, 가 참이면  이 참이다.
이 때,  ,  ,  ,  가 참인 것을 증명할 수 없다.
따라서, 자연수  에 대한 명제  이 모든 홀수에 대하여 성립함을 보이려면 반드시 ㄱ, ㄷ을 증명하여야 한
다.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0)쪽

풀이 30) [정답 : 4번]


ⅰ)   일 때,
(좌변)    


 

(우변)              ·   이므로 성립한다.

ⅱ)     ≧ 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양변에 를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성립한다.

풀이 31) [정답 : 4번]


ㄱ.    이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  (참)
ㄴ.   이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이므로  이면  이다. (거짓)
  
ㄷ.    이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1)쪽

풀이 32) [정답 : 5번]


ⅰ)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의 배수이다.
ⅱ)      ≧  일 때      이  의 배수라고 가정하면        N (단, N 은 자연수)으로
놓을 수 있다. 이 때,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
  N   

이므로,     일 때도     이 의 배수이다.


ⅰ), ⅱ)에서  ≧ 인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이 의 배수이다.

풀이 33) [정답 : 5번]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위의 식을 변변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34) [정답 : 5번]


 
       ,   cos  ,   sin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점 P  의 좌표   은        ,
∴ 점 P  의  좌표   은        
이므로 P     P 
따라서, P   P  ×    P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2)쪽

풀이 35) [정답 : 5번]


[출제의도] 수열의 항을 추론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이다.
ㄱ.              (참)
ㄴ.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참)
ㄷ.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참)
그러므로, ㄱ, ㄴ, ㄷ 모두 옳다.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3)쪽

풀이 36) [정답 : 5번]


[그림 ]의 정사각형 한 변의 길이는 이므로 정사각형을 이루는 타일의 개수는  이다. ……… ㉠
이 정사각형을 다음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으로 등분하자.

주어진 문제가 검은타일과 흰 타일의 개수의 차를 요구하므로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보면


등분한 것 중
왼쪽 위의 정사각형의 검은 타일의 개수는 오른쪽 위의 정사각형의 흰 타일의 개수와 같고
왼쪽 위의 정사각형의 흰 타일의 개수는 오른쪽 위의 정사각형의 검은 타일의 개수와 같다.
다만 아래의 두 정사각형은 검은 타일끼리 개수가 서로 같고, 흰 타일끼리 개수가 서로 같다.
따라서, [그림 ]에서 검은 타일의 개수와 흰 타일의 개수의 차는 결국 아래의 두 정사각형 중 한 정사각형의
검은 타일의 개수와 흰 타일의 개수의 차에 를 곱한 것과 같다. …………… ㉡
전체 타일이 개가 되려면 [그림 ]의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이어랴 하므로 (∵ ㉠) 이 정사각형을
등분했을 때, 오른쪽 아래의 정사각형은 아래의 그림과 같다.

  
검은 타일의 개수가             이고

  
흰 타일의 개수가             이므로

흰 타일이 검은 타일보다 개 많다. 따라서, ㉡에 의해 [그림 ]의 흰 타일이 검은 타일보다 개 많다.
[별해]
단계에서 (검은 타일의 개수)  (흰 타일의 개수)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흰 타일의 개수가 검은 타일의 개수보다 개 많다.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4)쪽

풀이 37) [정답 : 2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38) [정답 : 1번]


ⅰ)   일 때,
(좌변)   ×   
 ×    ×    ×   
(우변)    

(좌변)(우변)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양변에            를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5)쪽

풀이 39) [정답 : 4번]


A 에서 B 까지 가는 경우의 수를  이라 하면 A 에서 B   까지 가는 경우의 수는
B 을 거쳐가는 경우  (가지)와 B 을 거쳐가지 않는 경우 가지가 있다.
∴      
한편,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풀이 40) [정답 : 3번]


이 호수의 년 초의 물고기의 수는
 ×        ×         (마리)
이 호수의 년 초의 물고기의 수는
 ×        ×         (마리)
이 호수의 년 초의 물고기의 수는
 ×        ×         (마리)

풀이 41) [정답 : 3번]


물 L 의 절반을 버리고 다시 L 의 물을 체워 넣었을 때, 수족관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이    L 이므로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6)쪽

풀이 42) [정답 : 4번]


ㄱ. [반례]   이면        
    (거짓)
ㄴ. (가), (나)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ㄷ. (다)에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풀이 43) [정답 : 3번]


의 소금물 g 과 의 소금물 g 을 섞은 소금물의 농도가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소금물 g 과 의 소금물 g 을 섞은 소금물의 농도가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7)쪽

풀이 44) [정답 : 4번]


두 그릇 A , B 에서 동시에 각각  g 씩 덜어 내어 A 그릇에서 덜어낸 소금물을 B 그릇에, B 그릇에서 덜어낸
소금물을 A 그릇에 넣는 작업을 회 시행하였을 때의 두 그릇 A , B 에 들어 있는 소금물의 농도를 각각 ,
라 하자.
이 때, 두 그릇 A , B 에 들어있는 소금물의 양은 변함이 없으므로 회 시행 후 두 그릇 A , B 에 들어있는 소
금의 양은 각각
 
 ×    ,  ×   
 
     회 시행 후 A그릇에 들어 있는 소금물의 농도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 시행 후 B그릇에 들어 있는 소금물의 농도는
   
     ×        ⋯⋯⋯⋯⋯ ㉡
  
㉠㉡을 하면

            

처음 두 그릇 A , B 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은 각각 g , g 이므로 회 시행 후 두 그릇 A , B 에 들어있는
소금물의 농도는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수열     은
 
첫째항이 8,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8)쪽

풀이 45) [정답 : 2번]


다음과 같이 자연수를 나열하여 의 배수와 의 배수를 지우고 남는 수가 수열 의 각 항이므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       ⇒      ×   

풀이 46) [정답 : 5번]


ㄱ.  ⇒  ⇒  ⇒  ⇒ ⋯⋯
이므로 이 참이면 모든  에 대하여 은 참이다. (참)
ㄴ.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가 참이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은 참이다. (참)
ㄷ.  ⇒  ⇒  ⇒  ⇒ ⋯⋯
이므로 가 참이면 이 참이다. (참)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풀이 47) [정답 : 2번]


이 참이므로 과 가 참이다.
이 참이므로 와 가 참이다.
가 참이므로 와 이 참이다.

따라서,     (단, ,  는 음아닌 정수)일 때, 은 반드시 참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반드시 참인 명제는 이다.

풀이 48) [정답 : 2번]


ㄱ. 이 참이면 가 참이다.
가 참이면 가 참이다.
가 참이면 이 참이다.
이 참이면 이 참이다.
따라서, 은 참인지 알 수 없다. (거짓)
ㄴ. 가 참이면 가 참이다.
가 참이면 이 참이다.
이 참이면 이 참이다.
이 참이면 가 참이다.
따라서, 은 참인지 알 수 없다. (거짓)
ㄷ. 이 참이면 이 참이다.
이 참이면 가 참이다.
가 참이면 가 참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19)쪽

풀이 49) [정답 : 3번]


(소금물의 양)  (전날 소금물의 양)        (전날 소금물의 양)
전체 소금물의 양 L 는 변함이 없으므로 일 후 소금물의 농도는 소금물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과 같다.
  일 후의 소금의 양은  의 소금물  L 에서 L 를 사용하고 의 소금물 L 를 다시 채우고 이후
L 의 물이 증발해도 소금의 양은 변하지 않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풀이 50) [정답 : 4번]


      이므로 수열  은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다.
또         이므로 수열  은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두 등차수열  ,  의 첫째항을 라 하면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등차수열  ,  의 일반항은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한편,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즉, 는 자연수이므로 ≦  ≦ 일 때 ≧ 이고, ≧ 일 때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51) [정답 : 3번]


[출제의도] 수열을 귀납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항의 값을 구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이다.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20)쪽

풀이 52) [정답 : 2번]


    일 때,
S     S             

  S                      

   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            
  S k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21)쪽

풀이 53) [정답 : 3번]


ⅰ)   일 때,
(좌변)  , (우변) 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   일 때,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의 양변에 을 곱하면      
이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일 때도 ❋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이 성립한다.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풀이 54) [정답 : 4번]


ⅰ)   일 때,
(좌변)   ×    , (우변)      
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의 양변에  ×  을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일 때도 ❋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22)쪽

풀이 55) [정답 : 1번]


ⅰ)   일 때,
   
(좌변)        (우변)   ×     
   
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풀이 56) [정답 : 4번]


ⅰ)   일 때,
(좌변)   ,
(우변)  ×   
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양변에    을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때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이상에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23)쪽

풀이 57) [정답 : 3번]


  일 때 등식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등식의 양변에           을(를)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58) [정답 : 1번]


ⅱ) 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의 양변에  을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고 주어진 등식은 성립한다.
ⅰ), ⅱ)에서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은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24)쪽

풀이 59) [정답 : 4번]


ⅰ)   일 때,
(좌변) log   ×    log   
(우변)    log     log   
(좌변)  (우변)  
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   ( 은 자연수)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log  


×          log 

    일 때
 

 log  


×     log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l o g    log       ×    


    log  log        log   
    log    log     log   
    log   log    log   
    log ·     log   
      l o g        log   
    log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 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      log  ,       log    
  log   
이므로         
  log   

풀이 60) [정답 : 2번]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산술기하)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장 수학적 귀납법 해설지 (25)쪽

풀이 61) [정답 : 2번]


[출제의도] 수학적귀납법을 이용하여 부등식의 귀납적 추론하기
ⅰ)   일 때,





 
(좌변)         ,
   
(우변)      
 
이므로 ❋ 이 성립한다.
ⅱ)    ≧  일 때,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양변에    를 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우변을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때,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일 때도 ❋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 ≧  인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 ❋ 은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62) [정답 : 1번]


[증명]
ⅰ)   일 때,
(좌변)       , (우변)  ·         
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  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의 양변에 를 곱하면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