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HAPPY SEMA 2024 학번 : 이름 :

01. 지수와 로그 4번
[해설]
1번
log

 ×
[해설]

  일 때, 3-2=1이므로 1의 제곱근 중 실수인 것의 개 
   ×
log

수는 방정식  
  log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이다.    × 
 
즉,     
 
  일 때, 3-3=0이므로 0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의

개수는 방정식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이다.
즉,   
  일 때, 3-4=-1이므로 -1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 5번
의 개수는 방정식 [해설]
  의 실근의 개수이다. log       log   log 
즉,   
 log  ×
따라서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log       log   log 
 log  ×
2번 그러므로    ×  
[해설] 한편,          의 해는     
 
    ×    
 따라서 자연수 의 값은 52, 53, 54, ⋯, 199이고 그 개
  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6번

   
 
  [해설]
  × 
  어떤 실수를 라 하면 두 실수 ≠는 방정식
    ×   
    의 근이다.
         
이때 서로 다른 두 실근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은 짝수
   
이어야 하므로 의 값은
⋯
그러므로   
이때 의 값은 -2이다.
3번
따라서
[해설]
          

log
  log

  log   
 



 이 10 이하의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의 값

은 3, 6, 9, 12, 15이고 그 개수는 5이다.

- 1 -
HAPPY SEMA 2024 학번 : 이름 :

7번 
  
AB CA
 CB   
     
     
[해설]

의 제곱근은 다음 방정식의 근이다.




     × 
  
 

 
    
이 방정식의 한 근이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CAB   라 하면 직각삼각형 ABC에서
 
    

 
    CA   
  

cos        ⋯㉠

AB 
가 자연수이므로 의 최솟값은 6이고, 이때의 의 값 


은  또 직각삼각형 AHC에서

따라서      이므로 
AH 
AH
cos     ⋯㉡
             
CA 


㉠, ㉡에서
 

 AH
 
8번 

[해설]
 
따라서
 
이차방정식  –
 
      의 두 근이 이므로 

  
  

 
 
AH   
×


  
 
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따라서
10번
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점 A log가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log   ×  
  

  
 

     × × log  log    ⋯㉠
  



×
  ×
 
  
 

또 점 B  log  가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 log    ×  


  ×

 log   log    ⋯㉡

  ㉠과 ㉡을 변끼리 더하면


 log   
log   
    
9번
또 log   를 ㉠에 대입하면
[해설]
log   
선분 AB가 원의 지름이므로
∠ACB   
     

직각삼각형 ABC에서
따라서

- 2 -
HAPPY SEMA 2024 학번 : 이름 :

  
        log    또는 log   
  
이때 ≠ 이므로

log   

11번 따라서
[해설] 
log   log 
 
log log   에서
  log   log 
 
log    log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는

     이고 그 개수 

는 6이다.

14번
12번
[해설]
[해설]
  이므로 집합  는 64의 제곱근 중 실수인 것
두 직선   log  log가 서로 수직이므로
들의 집합이다.
log × log   
이때 방정식   의 근 중 실수인 것은
log × log   8, -8


log ×  log  
  이므로
   
log × log   또 집합  은 집합  에 속하는 각 원소의 세제곱근
log   중 실수인 것들의 집합이다.
   
즉, 두 방정식     의 근 중 실수인 것은
따라서    
 -2, 2
이므로
   
또 집합  는 집합  에 속하는 각 원소의 네제곱근
13번
중 실수인 것들의 집합이다.
[해설]
 
log   log   log    에서 즉, 두 방정식      의 근 중 실수인 것은 방

 정식    에만 존재하고 그 값은
log       log       
log      
 이므로
 log    log       
log        
log   log    또 집합  는 집합  에 속하는 각 원소의 다섯제곱근

log –log      중 실수인 것들의 집합이다.


즉, 두 방정식   
  
log   log     

     의 근 중 실수인 것
이다.

- 3 -
HAPPY SEMA 2024 학번 : 이름 :

이때 방정식
 
    는 음의 실근 1개, 방정식 16번
  [해설]
    는 양의 실근 1개를 가지므로 집합  의 원소

의 개수는 2이다. log
  log
  × log     에서

따라서 집합  의 모든 원소의 곱은 -4이고 집합  의
  
원소의 개수는 2이므로  logm   log m  × log  m  
  
        
  
 logm   logm  
  

log  

로그의 정의를 이용하면
15번 


[해설]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의 값이 음수이므로   
   
    중 하나는 양수, 하나는 음수이다.  ×   ⋯ ㉠
이때   이므로 이때 좌변이 어떤 자연수의 제곱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 ( 는 자연수)
  이 식을 ㉠에 대입하면
위에서   는 의 제곱근 중 실수이고 이 값이 음수
이므로 은 홀수이어야 한다.  ×  
     
한편,   × 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그러므로  의 값에 따라 의 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
 ×    ×

     ×    

다.


    일 때,    ×   ×
이때  ≤  ≤ 은 홀수이고 – 의 값이 정수이어
야 하므로    일 때,    ×   ×
      일 때,    ×   ×
(ⅰ)   일 때    일 때,    ×   ×
 ×   ⋮
이때 순서쌍 는 이때 이 5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 의 값은 3 이하
   의 자연수이어야 한다.
이고 그 개수는 2이다. 따라서 모든 순서쌍 의 개수는 3이다.
(ⅱ)   일 때
 ×  
이때 순서쌍  는
      
이고 그 개수는 4이다.
(ⅲ)   일 때
 ×  
이때 순서쌍 는

             
이고 그 개수는 6이다.
(ⅰ), (ⅱ), (ⅲ)에서 구하는 모든 순서쌍 의 개수는
      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