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0

진도책 정답과 풀이

2 ⑴ 색칠한 부분은 원 5개를 각각 똑같이 3으로 나눈 것


중의 1씩이므로 5Ö3입니다. 

1 분수의 나눗셈
이미 학습한 분수 개념과 자연수의 나눗셈, 분수의 곱셈 등
 5Ö3 = ;3%; = 1;3@;

⑵ 색칠한 부분은 정사각형 5개를 각각 똑같이 4로 나눈


것 중의 1씩이므로 5Ö4입니다. 
을 바탕으로 이 단원에서는 분수의 나눗셈을 배웁니다. 일상  5Ö4 = ;4%; = 1;4!;
생활에서 분수의 나눗셈이 필요한 경우가 흔하지 않지만, 분
수의 나눗셈은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소수의 나눗셈과 중
학교에서 학습하는 유리수, 유리수의 계산, 문자와 식 등을
학습하는 데 토대가 되는 매우 중요한 내용입니다. 이 단원
에서 (분수)Ö(자연수)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생각할 수
교 과 서
개념 이해 3▲

÷(자연수)에서 ▲가 자연수의 배수이면?10쪽
있습니다. 첫째, 분수의 분자가 나누는 수인 자연수의 배수
1 2, 2
가 되는 경우, 둘째, 분수의 분자가 나누는 수인 자연수의 배
수가 되지 않는 경우, 셋째, (분수)Ö (자연수)를 (분수)_ 3
2 6, 6,
8
1
로 나타내는 경우입니다. 이 단원을 바탕으로 소수
(자연수)
의 나눗셈, (분수)Ö(분수)를 배우게 됩니다. 1 ;6$; 를 똑같이 2로 나누면 ;6@;입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1 (자연수)Ö(자연수)의 몫을 분수로
교 과 서
개념 이해 4 Ö는 똑같이 로 나눈 것 중의 1이니까
나타낼 수 있어. 8쪽 곱셈으로 나타내어 계산할 수 있어. 11~12쪽

1 / 1 5 ⑵ 1, 2
1 ⑴ / 1 ⑴ ,
5 2 12 3 15
 
 /
2 2 ㉢
5
  3 ⑵ , 5
3 ⑴ 2, 3
16 21
  2
14 14 1 2
1, , 2 4 ⑴ Ö7= _ =
⑵ 2 15 15 7 15
5 5 1
4
2 8 8 1 4
2 7, ⑵ Ö6= _ =
7 9 9 6 27
3

5 ㉠, ㉢
2 색칠한 부분은 직사각형 2개를 각각 똑같이 7로 나눈 것
중의 1씩이므로 2Ö7입니다. 8 / 8 , 8 ⑵ 7 / 7 , 7
6 ⑴
39 39 13 60 60 10
 2Ö7 = ;7@;
▲ ▲ 1
1

Ö = █ _ 

1
▲ 2 (분수)Ö(자연수)의 계산은 Ö(자연수)를 _ 로
교 과 서
개념 이해 2 ▲÷의 몫인

가 가분수라면? 9쪽 (자연수)
로 바꾸어 계산합니다.
5
1 8, 3
3 ⑴ ;8#;Ö2 = ;8#;_;2!; = ;1£6;  
8
5 2 ⑵ , 5, 1
2 ⑴ 3, , 1 4 1
3 3 4 4 ⑵ ;7%;Ö3 = ;7%;_;3!; = ;2°1;  

정답과 풀이 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 2022. 8. 18. 오전 1:14


진도책 | 정답과 풀이

5 ㉠ ;8%;Ö4 = ;8%;_;4!; = ;3°2;     7Ö5 = ;5&; = 1;5@;

㉡ ;9%;Ö6 = ;9%;_;6!; = ;5°4;     7Ö4 = ;4&; = 1;4#;   

㉢ ;1°6;Ö2 = ;1°6;_;2!; = ;3°2; ⑵ 8Ö7 = ;7*; = 1;7!;

따라서 계산 결과가 같은 두 식은 ㉠, ㉢입니다.   9Ö7 = ;7(; = 1;7@;

  10Ö7 = ;;Á7¼;; = 1;7#;


교 과 서
5 대분수를 가분수로 바꾼 다음 곱셈으로 1
= ;1Á4;이므로  = 14입니다.  
개념 이해

나타내 봐. 13쪽 3 ⑴ 1Ö =


= ;9&;이므로  = 7입니다.
1 12, 12, 4 / 12, 12, 3, 12, 4 
⑵ Ö9 =
9
5 32 Ö 8
2 ⑴ 3 Ö8=;;£9ª;;Ö8= =;9$; 5 쇠구슬 8개의 무게가 3 kg이므로 쇠구슬 한 개의 무게는
9 9
2
⑵ 3 Ö10=
11 11
Ö10= _ =
1 11 3Ö8 = ;8#; (kg)입니다.
3 3 3 10 30
6 ⑴ 나누어지는 수가 같으므로 나누는 수의 크기를 비교
1 (대분수)Ö(자연수)의 계산은 대분수를 가분수로 바꾸어
해 봅니다.
계산합니다.
13<15이므로 2Ö13>2Ö15입니다.
⑵ 나누어지는 수가 같으므로 나누는 수의 크기를 비교
해 봅니다.
21>17이므로 8Ö21<8Ö17입니다.
14~15쪽
(자연수)Ö(자연수)
개념 적용
7  주스 1 L를 파란색 컵 9개에 똑같이 나누어 담으면
1
1 ⑴ 9 /
2 / 1 ⑵ 4 / 2 / 4
4, 7,
4 한 개의 컵에 주스가 1Ö9 = ;9!; (L)씩 담깁니다.
9 3 5 3 7 7

1 2 / 3 ⑵ 1 / 2 / 3
2 ⑴16 /1
5
1
4
1
7
1
7
1
7
16~17쪽
1 ⑵ / 5 (분수)Ö(자연수)
3 ⑴ 14 ⑵ 7 4 ⑴2 5 3 개념 적용
8 6
5
3 8  /
18
5 8 kg 6 ⑴> ⑵<

1
7  파란색, L 2 2 5 7
9 9 ⑴ 15 ⑵ 11 ⑶ 21 ⑷ 60
2 1
작습니다에 ◯표 / 큽니다에 ◯표 10 9 , 9 11 ⑴ < ⑵ <
7
1 (자연수)Ö(자연수)의 몫을 분수로 나타낼 때에는 12 60 m
▲ 의 형태로 일반화합니다.
▲Ö = 13 –

⑴ 3Ö9 = ;9#; = ;3!;    – 


 
⑵ 4Ö6 = ;6$; = ;3@; –

4, 4 , 4
2 ⑴ 7Ö6 = ;6&; = 1;6!; 14 
7 21 63

2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 2022. 8. 18. 오전 1:14


7 5 28
3 16 ⑴ 24 ⑵ 52 7,
45
9 3
8 ;6%; 를 똑같이 3으로 나누면 ;1°8;입니다. 17 13 Ö6= 26 18 ( )(  )( )

8Ö4 7 3 3
9 ⑴ ;1¥5;Ö4 = = ;1ª5; 19 33 km 20 20 , 80
15
6Ö3 11 , , 11 , , 11
⑵ ;1¤1;Ö3 = = ;1ª1; 21  5 5
11 12 12 60
⑶ ;7%;Ö3 = ;2!1%;Ö3 =
15Ö3 ;2°1;
=
21 3
⑷ ;1¦2;Ö5 = ;6#0%;Ö5 =
35Ö5
= ;6¦0;
60
15 ;1¥1;Ö8 = ;1¥1;_;8!;
8Ö4
10 ;9*;Ö4 = 9 = ;9@;
;4!;Ö6 = ;4!;_;6!;
8Ö8 ;9!;
;9*;Ö8 = =
9
16 ⑴ ;8&;Ö3 = ;8&;_;3!; = ;2¦4;
11 ⑴ 나누는 수가 같으므로 나누어지는 수의 크기를 비교
해 봅니다. ⑵ ;1°3;Ö4 = ;1°3;_;4!; = ;5°2;

  ;1¥5;<;1!5#;이므로 ;1¥5;Ö6<;1!5#;Ö6입니다. 3

⑵ 나누어지는 수가 같으므로 나누는 수의 크기를 비교 17 ;1»3;Ö6 = ;1»3;_;6!; = ;2£6;


해 봅니다. 2
1
  7>5이므로 ;1¦8;Ö7<;1¦8;Ö5입니다. 1
18 ;1¦5;Ö7 = ;1¦5;_;7!; = 15
1
12 마름모는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습니다. 1
1
(마름모의 한 변의 길이) ;1¤3;Ö6 = ;1¤3;_;6!; =
13
= (마름모의 둘레)Ö(변의 수) 1
1
28Ö4 ;6¦0; ( )
= ;1¦5;Ö4 = ;6@0*;Ö4 = = m ;1»4;Ö9 = ;1»4;_;9!; =
1
60 14
1
30Ö3
13 ;1!3);Ö3 = ;3#9);Ö3 = 39 = ;3!9); 
1 1
< <
1
15 14 13
;1!3);Ö4 = ;2@6);Ö4 = 20Ö4 = ;2°6;
26 19 (준희가 1분 동안 간 거리)
;1!3);Ö5 = 10Ö5 = ;1ª3; = ;1¦1;Ö3 = ;1¦1;_;3!; = ;3¦3; (km)
13
내가 만드는 문제
3
12Ö3 ;2¢1;,
 ;7$;Ö3 = ;2!1@;Ö3 =
14 21
= 20 ;5^;Ö2 = ;5^;_;2!; = ;5#;, ;5#;Ö2 = ;5#;_;2!; = ;1£0;
;2¢1;Ö3 = ;6!3@;Ö3 = 12Ö3 = ;6¢3;
1
63 이므로 바로 앞의 수에 Ö2를 하는 규칙입니다.

따라서 ;1£0;Ö2 = ;1£0;_;2!; = ;2£0;이고,

;4£0;Ö2 = ;4£0;_;2!; = ;8£0;입니다.


18~19쪽 1
(분수)Ö(자연수)를 분수의 곱셈으로 나타내기
21 ;9&;Ö5 = ;9&;_;5!; = ;4¦5;, ;7%;Ö5 = ;7%;_;5!; = ;7!;
개념 적용

15 1

등 여러 가지 답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정답과 풀이 3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 2022. 8. 18. 오전 1:14


진도책 | 정답과 풀이

개념 적용
(대분수)Ö(자연수)
20~21쪽
27 5;4#;을 똑같이 5칸으로 나누었으므로 눈금 한 칸의 크기는
11 19 / 27 ⑵ 38 / 29 / 20 5;4#;Ö5 = ;;ª4;£ ;Ö5 = ;;ª4;£ ;_;5!; = ;2@0;# = 1;2£0;입니다.
22 ⑴ 40 /
40 40 63 63 63
8 17 17 1 17
23 1 9 Ö4= 9 Ö4= 9 _ 4 = 36 28  무게가 2;7$; kg인 지점토 라를 3명이 똑같이 나누어
가지므로 한 명이 가질 수 있는 지점토의 양은
3 18Ö3 ;7^; ( )입니다.
24 3 4 Ö2에 ◯표 2;7$;Ö3 = ;;Á7¥;;Ö3 = = kg
7
8 8 , 12 / 12 ,
25 ⑴ 15 / 3 ⑵ 5
15 25 25
3 3
26 1 4 cmÛ 27 1 20
6
28  라, kg
7
개념 완성 발전 문제 22~24쪽
1 / 1
2 2 7 7
3 3 1 11 /
11
2 27

22 ⑴ 1;8#;Ö5 = ;;Á8Á;;Ö5 = ;;Á8Á;;_;5!; = ;4!0!; 7


3 60 5
4 4 / 24
  2;8#;Ö5 = ;;Á8»;;Ö5 = ;;Á8»;;_;5!; = ;4!0(;
5 58 , 2 / 16
5
6 3 56 , 9 / 23
54
  3;8#;Ö5 = ;;ª8¦;;Ö5 = ;;ª8¦;;_;5!; = ;4@0&;
7 6에 ◯표 8 1, 2, 3, 4
⑵ 4;9@;Ö7 = ;;£9¥;;Ö7 = ;;£9¥;;_;7!; = ;6#3*;
9 7, 8, 9 10 23 cmÛ
  3;9@;Ö7 = ;;ª9»;;Ö7 = ;;ª9»;;_;7!; = ;6@3(; 3
11 1 10 mÛ` 12 2 25 cmÛ
  2;9@;Ö7 = ;;ª9¼;;Ö7 = ;;ª9¼;;_;7!; = ;6@3);
13 3 14 cm 14 5 79 cm
23 대분수를 가분수로 바꾸지 않고 계산하여 잘못되었습니 3
15 3 49 cm 16 5 13
다. 대분수는 가분수로 바꾸어 계산해야 합니다.
5
24 3;4#;Ö2 = ;;Á4°;;Ö2 = ;;Á4°;;_;2!; = ;;Á8°;; = 1;8&; 17 51 km 18 1 25 m

15Ö5 ;4#;
3;4#;Ö5 = ;;Á4°;;Ö5 = =
4 2 어떤 기약분수를  라고 하면 _3 = ;7^;이므로
따라서 나눗셈의 몫이 1과 2 사이인 식은 3;4#;Ö2입니다. 6Ö3 ;7@;입니다.
 = ;7^;Ö3 = =
7

25 ⑴ 1;5#;Ö3 = ;5*;Ö3 = ;5*;_;3!; = ;1¥5;   3 어떤 분수를  라고 하면 _6 = 4;5!;이므로

⑵ 2;5@;Ö5 = ;;Á5ª;;Ö5 = ;;Á5ª;;_;5!; = ;2!5@;  = 4;5!;Ö6 = ;;ª5Á;;Ö6 = ;1$0@;Ö6

42Ö6 ;1¦0;입니다.
= =
26 (한 조각의 넓이) 10
= (색종이의 넓이)Ö(조각 수)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1¦0;Ö6 = ;1¦0;_;6!; = ;6¦0;입
49Ö7 ;4&;
= 12;4!;Ö7 = ;;¢4;» ;Ö7 = = = 1;4#; (cmÛ )
4 니다.

4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4 2022. 8. 18. 오전 1:14


4 나누는 수가 작을수록 몫이 커집니다. 11 색칠한 부분은 정사각형을 똑같이 8로 나눈 것 중의 3입
4<6<9이므로 몫이 가장 크게 되려면  안에 가장 작 니다.
은 수 4를 넣어야 합니다. (정사각형을 8등분한 것 중 한 칸의 넓이)

 ;6%;Ö4 = ;6%;_;4!; = ;2°4;


13

= 3;1¦5;Ö8= ;1%5@;Ö8 = ;1%5@;_;8!; = ;3!0#; (mÛ`)


2
5 나누어지는 수가 클수록, 나누는 수가 작을수록 몫이 커
1
집니다. (색칠한 부분의 넓이) = ;3!0#;_3 = ;1!0#; = 1;1£0; (mÛ`)
8>5>2이므로 가장 작은 수인 2를 나누는 수로 하고, 10

남은 수로 진분수 ;8%;를 만들어 나누어지는 수로 합니다.


12 색칠한 부분은 직사각형을 똑같이 8로 나눈 것 중의 3입
 ;8%;Ö2 = ;8%;_;2!; = ;1°6; 니다.
(직사각형을 8등분한 것 중 한 칸의 넓이)
6 나누어지는 수가 작을수록, 나누는 수가 클수록 몫이 작
32Ö8 ;5$; (
= 6;5@;Ö8 = ;;£5ª;;Ö8 = = cmÛ )
아집니다. 5
9>6>5>3이므로 가장 큰 수인 9를 나누는 수로 하
(색칠한 부분의 넓이) = ;5$;_3 = ;;Á5ª;; = 2;5@; (cmÛ )
고, 남은 수로 가장 작은 대분수 3;6%;를 만들어 나누어지

는 수로 합니다. 13 (세로) = (직사각형의 넓이)Ö(가로)


 3;6%;Ö9 = ;;ª6£;;Ö9 = ;;ª6£;;_;9!; = ;5@4#; = 9;4#;Ö3 = ;;£4»;;Ö3 =
39Ö3
4
7 7Ö 가 1보다 크려면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 = ;;Á4£;; = 3;4!; (cm)
는 7보다 작아야 합니다.  참고 | (직사각형의 넓이) = (가로)_(세로)를 이용하여 세로를 구
따라서  안에는 주어진 수 중 4, 5, 6이 들어갈 수 있 합니다.  (세로) = (직사각형의 넓이)Ö(가로)
고 이 중 가장 큰 수는 6입니다.
14 (밑변의 길이)= (평행사변형의 넓이)Ö(높이)
8 4;6!;Ö 가 1보다 크려면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 52

= 34;3@;Ö6 = ;;;!3);;$;_;6!;
수는 4;6!;보다 작아야 합니다.
3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1, 2, 3, 4입니다.
= ;;°9ª;; = 5;9&; (cm)
참고 | 대분수는 자연수와 진분수로 이루어진 분수이므로 대분수는
대분수의 자연수보다 큽니다.

 2;4!;은 자연수 2보다 ;4!;만큼 더 큽니다. 15 (정사각형의 넓이)= 2;7!;_2;7!; = ;;Á7°;;_;;Á7°;;

9 6;3@;Ö 가 1보다 작으려면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 = ;;ª4ª9°;; (cmÛ`)


삼각형의 높이를  cm라고 하면
연수는 6;3@;보다 커야 하므로 7, 8, 9, …입니다.
3_Ö2=;;ª49ª ;° ;, 3_ =;;ª49ª ;° ;_2, 3_ = ;;¢49° ;¼ ;,
10Ö 가 1보다 크려면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
 = ;;¢4°9¼;;Ö3 =
450Ö3 ;;Á4°9¼;;
는 10보다 작은 9, 8, 7, …, 1입니다. = = 3;4£9; (cm)입
따라서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7, 8,
49
니다.
9입니다.

10 색칠한 부분은 정삼각형을 똑같이 4로 나눈 것 중의 하 16 (깃발 사이의 간격 수) = 4 - 1 = 3(군데)

(깃발 사이의 간격) = 16Ö3 = ;;Á3¤;; = 5;3!; (m)


나입니다.
(색칠한 부분의 넓이)
8Ö4 ;3@; ( 보충 개념 | (간격 수) = (깃발의 수) - 1
= 2;3@;Ö4 = ;3*;Ö4 = = cmÛ )
3 깃발의 수: 4개  간격 수: 3군데

정답과 풀이 5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5 2022. 8. 18. 오전 1:14


진도책 | 정답과 풀이

4_3 ;1!5@;로
17 (가로수 사이의 간격 수) = 10 - 1 = 9(군데)
1 ;5$;의 분자 4는 3의 배수가 아니므로
5_3
=
(가로수 사이의 간격) = ;1!7%;Ö9 = ;5$1%;Ö9 바꾸어 계산합니다.
45Ö9 ;5°1; (
= = km) 1
51 2 (분수)Ö(자연수)의 계산은 Ö(자연수)를 _ 로
(자연수)
보충 개념 | (간격 수) = (가로수의 수) - 1
바꾸어 계산합니다.
 가로수의
‌ 수: 3그루
간격 수: 2군데
3 ;;£8£;;의 분자 33은 9의 배수가 아니므로
18 (나무 사이의 간격 수) = (나무의 수) = 9군데
33_3 ;2(4(;로 바꾸어 계산합니다.
(나무 사이의 간격) = 12;5#;Ö9 = ;;¤5£;;Ö9 8_3
=

63Ö9 ;5&;
= = = 1;5@; (m) ⑵ 2;7$;Ö12 = ;;Á7¥;;Ö12 = ;1#4^;Ö12
5 4
보충 개념 | 시작과 끝이 맞물린 원에서 간격 수는 나무의 수와 같
36Ö12 ;1£4;
= =
습니다. 14

분수의 나눗셈에서 Ö(자연수)를 _


1
5 (자연수)
로 바꾸어

계산해야 합니다.

1 단
원 단원 평가 25~27쪽

6 ▲Ö =  에서 ▲가 보다 크면 몫이 1보다 큽니다.
1 12, 12, 4 2
7 23Ö11 = ;1@1#; = 2;1Á1;

1 33 99 99Ö9 11
3 4 8 Ö9= 8 Ö9= 24 Ö9= 24 = 24 8 ㉠ 2;5$;Ö2 = ;;Á5¢;;_;2!; = ;1!0$;

8
4 ⑴ 15 ⑵
3 ㉡ 2;5$;Ö3 = ;;Á5¢;;_;3!; = ;1!5$;
14
3 19 1 19 19 ㉢ 2;5$;Ö4 = ;;Á5¢;;_;4!; = ;2!0$;
5 2 8 Ö6= 8 _ 6 = 8_6 = 48
 분자가 같을 때 분모가 작을수록 큰 수입니다. 
1 분자는 14로 같고 분모를 비교하면 10<15<20이
6 ㉡ 7 2 11
므로 몫의 크기는 ㉠>㉡>㉢입니다.
23 / 23 ,
8 ㉠, ㉡, ㉢ 9 28 4 다른 풀이 | 나누어지는 수가 같을 때 나누는 수가 작을수록 몫이
28
큽니다.
2 1 나누어지는 수는 2;5$;로 같고 나누는 수의 크기는 2<3<4이므로
10 15 m 11 6 4 Ö3에 ◯표
몫의 크기는 ㉠>㉡>㉢입니다.
7 19
12 81 13 21 cmÛ`
9 3;7@;Ö4 = ;;ª7£;;Ö4 = ;;ª7£;;_;4!; = ;2@8#;
6 2
14 나 15 5 , 9 / 15
10 정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같습니다.
3
16 1, 2 17 8 km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
= (정삼각형의 둘레)Ö(변의 수)
13 29
18 4 22 cm 19 1 42 cm = ;5@;Ö3 = ;5@;_;3!; = ;1ª5; (m)
5
20 9
11 6;4!;Ö3 = ;;ª4°;;Ö3 = ;;ª4°;;_;3!; = ;1@2%; = 2;1Á2;

6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6 2022. 8. 18. 오전 1:14


서술형

5;3!;Ö3 = ;;Á3¤;;Ö3 = ;;Á3¤;;_;3!; = ;;Á9¤;; = 1;9&; 19  정칠각형은 일곱 변의 길이가 모두 같습니다.


(정칠각형의 한 변의 길이)
13

4;8&;Ö3 = ;;£8»;;Ö3 = ;;£8»;;_;3!; = ;;Á8£;; = 1;8%; = (정칠각형의 둘레)Ö(변의 수) = 11;6%;Ö7

= ;;¦6Á;;Ö7 = ;;¦6Á;;_;7!; = ;4&2!; = 1;4@2(; (cm)


1

따라서 나눗셈의 몫이 2와 3 사이인 식은 6;4!;Ö3입니다.


평가 기준 배점

12 ;3&;Ö3 = ;3&;_;3!; = ;9&;, ;9&;Ö3 = ;9&;_;3!; = ;2¦7;


정칠각형의 일곱 변의 길이가 같음을 알고 식을 세웠나요? 2점
정칠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대분수로 나타내었나요? 3점
이므로 바로 앞의 수에 Ö3을 하는 규칙입니다. 서술형
20  어떤 자연수를  라고 하면
 ;2¦7;Ö3 = ;2¦7;_;3!; = ;8¦1; _9 = 45에서  = 5입니다.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5Ö9 = ;9%;입니다.


13 (색칠한 부분의 넓이)
19

= 5;7#;Ö6 = ;;£7¥;;Ö6 = ;;£7¥;;_;6!;= ;2!1(; (cmÛ`)


평가 기준 배점
잘못 계산한 식을 이용하여 어떤 자연수를 구했나요? 2점
3
바르게 계산한 몫을 분수로 나타냈나요? 3점

14 우유 2 L를 6개의 컵에 똑같이 나누어 담으면 컵 가에

담게 되는 우유는 2Ö6 = ;6@; = ;3!; (L)입니다.

우유 3 L를 8개의 컵에 똑같이 나누어 담으면 컵 나에

담게 되는 우유는 3Ö8 = ;8#; (L)입니다.

;3!;{= ;2¥4;}<;8#;{= ;2»4;}이므로 컵 가보다 컵 나에


우유를 더 많이 담을 수 있습니다.

15 나누어지는 수가 작을수록, 나누는 수가 클수록 몫이 작


아집니다.
5<6<9이므로 가장 큰 수인 9를 나누는 수로 하고, 남
은 수로 가분수 ;5^;을 만들어 나누어지는 수로 합니다.

 ;5^;Ö9 = ;1!5*;Ö9 =
18Ö9 ;1ª5;
=
15
18Ö6
16 2;7$;Ö6 = ;;Á7¥;;Ö6 = 7 = ;7#;  ;7#;> 7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1, 2입니다.

17 (가로등 사이의 간격 수) = 8 - 1 = 7(군데)


(가로등 사이의 간격) = 2;8%;Ö7 = ;;ª8Á;;Ö7

21Ö7 ;8#; (
= = km)
8

18 (사다리꼴의 넓이) = ((윗변) + (아랫변))_(높이)Ö2


(4 + 7)_(높이)Ö2 = 25;4!;이므로

(높이) = 25;4!;_2Ö11
1
= ;;;!4;) ;Á ;_2_;1Á1; = ;;Á22¼ ;Á ; = 4;2!2;# (cm)입니다.
2
정답과 풀이 7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7 2022. 8. 18. 오전 1:14


진도책 | 정답과 풀이

2
•3 + 2 = 5, 4 + 2 = 6, 5 + 2 = 7이므로
각기둥과 각뿔 (면의 수) = (한 밑면의 변의 수) + 2입니다.
•3_3 = 9, 4_3 = 12, 5_3 = 15이므로
우리는 3차원 생활 공간에서 입체도형들 속에 살아가고 있 (모서리의 수) = (한 밑면의 변의 수)_3입니다.
기 때문에 입체도형은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
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체도형에 대한 이해는 학생들에게 매
우 중요하며 공간 지각에 있어서도 유용합니다. 입체도형의
개념 중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직육면체와 정육면체이고 학
생들은 이미 1 학년에서 상자 모양, 5 학년에서 직육면체와
교 과 서
개념 이해 3 어느 모서리를 잘라 전개도를 만들까? 32쪽

정육면체의 개념을 학습하였습니다. 이 단원에서는 여러 가


지 기준에 따라 구체물을 분류해 봄으로써 평면도형과 입체 1 ( )(  )( )
도형을 구분하고, 분류된 입체도형의 공통적인 속성을 찾아 2 ⑴ 사각기둥에 표 ⑵ ㉥
각기둥과 각뿔의 개념과 그 구성 요소의 성질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작 활동을 통해 각기둥의 전개도를 이해하
1 오각기둥은 밑면이 2개, 옆면이 5개입니다.
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개도를 그려 보는 활동을 통해 공
간 지각 능력을 기를 수 있고 논리적 추론 활동을 바탕으로
각기둥과 각뿔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규칙을 발견할 수 있습
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4 전개도를 접었을 때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는 같아. 33쪽

1 ⑴ 2, 5 ⑵ 직사각형
교 과 서
개념 이해 1 서로 평행한 두 면이 합동인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입체도형은? 30쪽 ⑶ ADN
ADN
1 (왼쪽에서부터) ㉠, ㉤ / ㉡, ㉢, ㉣, ㉥ / ㉡, ㉣ / ㉢, ㉥

1 ㉢은 모든 면이 다각형이고 서로 평행한 두 면이 있지만


합동이 아니므로 각기둥이 아닙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2 밑면의 모양에 따라 각기둥의 이름이
정해져. 31쪽

34~35쪽
1 ⑴ 사각형, 사각기둥 ⑵ 팔각형, 팔각기둥 개념 적용
각기둥 알기

2  1 ㉢, ㉣ / ㉠, ㉡ 나, 라
3 4 5
6 8 10 2 ⑴ ⑵
5 6 7
9 12 15
/ 2, 2, 3 3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직사각형 직사각형 직사각형
1 ⑴ 밑면의 모양이 사다리꼴인 사각형이므로 사각기둥입
니다. 4 ⑴ ⑵
⑵ 밑면의 모양이 팔각형이므로 팔각기둥입니다.

2 •3_2 = 6, 4_2 = 8, 5_2 = 10이므로


(꼭짓점의 수) = (한 밑면의 변의 수)_2입니다. 5 민석

8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8 2022. 8. 18. 오전 1:14


11 각기둥 팔각기둥 십각기둥
6 ㄱ
       ㄹ / 면 ㄱㄴㄷㄹ, 면 ㄷㅅㅇㄹ,
면 ㅁㅂㅅㅇ, 면 ㄱㄴㅂㅁ 밑면의 모양 팔각형 십각형


옆면의 모양 직사각형 직사각형
ㅁ ㅇ 꼭짓점의 수(개) 8_2=16 10_2=20
ㅂ ㅅ
12 옆면이 모두 직사각형이고 밑면이 2개인 입체도형은 각
기둥입니다.
2 각기둥에서 서로 평행하고 합동인 두 면이 밑면입니다.
꼭짓점이 12개인 각기둥은 한 밑면의 변의 수가
3 각기둥은 밑면의 모양이 다각형이고 옆면의 모양이 직사 12Ö2 = 6(개)입니다. 
각형입니다. 따라서 나는 밑면의 모양이 육각형이므로 육각기둥입니다.
내가 만드는 문제
4 각기둥의 겨냥도에서 보이는 모서리는 실선으로, 보이지
13 밑면이 다각형이고 옆면의 모양이 직사각형이므로 각기
않는 모서리는 점선으로 나타냅니다. 둥입니다. 각기둥은 밑면의 모양에 따라 이름이 정해집
5 민석: 각기둥의 밑면은 2개입니다. 니다.

6 각기둥에서 옆면은 두 밑면과 수직으로 만나므로 색칠한


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면을 찾습니다.

38~39쪽
개념 적용
각기둥의 전개도 알기

14 ⑴ 사각기둥 ⑵ 오각기둥
15 ⑴ ⑵

36~37쪽
개념 적용
각기둥의 이름

7 팔각기둥 8 다

9 ⑴ ⑵ 16 ⑴ ⑵

10 ⑴ 16 cm ⑵ 10 cm
17  DN
11 ㉡ 12 육각기둥

13        / 오각기둥  DN
 DN

18 육각형
직사각형 19  밑면의 모양은 사각형입니다.
밑면은 2개, 옆면은 4개입니다.
7 밑면의 모양이 팔각형이므로 팔각기둥입니다.
선분 ㅈㅊ / 선분 ㄷㄹ
8 가, 나, 라는 밑면의 모양이 육각형이므로 육각기둥입니다.
다는 밑면의 모양이 팔각형이므로 팔각기둥입니다.
14 ⑴ 합동인 두 밑면의 모양이 사각형이므로 사각기둥입니다.
9 면과 면이 만나는 선분은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모서리 ⑵ 합동인 두 밑면의 모양이 오각형이므로 오각기둥입니다.
와 모서리가 만나는 점은 빨간색으로 표시합니다.
16 색칠한 면은 밑면입니다. 각기둥에서 밑면과 수직으로
10 각기둥의 높이는 두 밑면 사이의 거리입니다. 만나는 면은 옆면이고, 옆면은 직사각형입니다.

정답과 풀이 9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9 2022. 8. 18. 오전 1:14


진도책 | 정답과 풀이

17 삼각기둥의 밑면은 세 변의 길이가 모두 같습니다. 20 밑면의 모양이 오각형이므로 오각기둥입니다. 오각기둥


전개도에서 삼각기둥의 옆면 한 개의 가로는 삼각기둥의 의 옆면은 5개입니다.
밑면의 한 변의 길이와 같고 세로는 삼각기둥의 높이와
22 육각기둥의 전개도를 그릴 때 밑면은 2개, 옆면은 6개를
같습니다.
그려야 합니다.
18 각기둥의 옆면의 수는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와 같 23 밑면을 돌려 길이가 같은 변이 있는 옆면에 붙이는 방법
습니다. 옆면이 6개이므로 밑면은 변의 수가 6개인 육각 으로 전개도를 그릴 수 있습니다.
형입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5 옆으로 둘러싼 면이 모두 삼각형이고
40~41쪽 한 점에서 만나는 입체도형은? 42쪽
개념 적용
각기둥의 전개도 그리기
1 ㉠, ㉡, ㉢, ㉣, ㉤ / ㉡, ㉤ / ㉠, ㉣
20  밑면의 모양이 오각형인데 옆면을 4개로 잘못 그렸
습니다. 2 ⑴ 밑면에 ◯표 ⑵ 옆면에 ◯표
21  ADN
ADN
2 ⑵ 각뿔에서 밑면과 만나는 면이 옆면입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6 밑면의 모양에 따라 각뿔의 이름이
정해져. 43쪽

22 
1 ⑴ 사각형, 사각뿔 ⑵ 칠각형, 칠각뿔
2 
3 4 5
4 5 6
4 5 6
23  ADN 6 8 10
ADN
/ 1, 1, 2

1 ⑴ 밑면의 모양이 사각형이므로 사각뿔입니다.


⑵ 밑면의 모양이 칠각형이므로 칠각뿔입니다.

24  ADN ADN ADN 2 •3 + 1 = 4, 4 + 1 = 5, 5 + 1 = 6이므로


ADN ADN
(꼭짓점의 수) = (밑면의 변의 수) + 1,
ADN ADN
(면의 수) = (밑면의 변의 수) + 1입니다.
ADN ADN ADN ADN
•3_2 = 6, 4_2 = 8, 5_2 = 10이므로
 ADN (모서리의 수) = (밑면의 변의 수)_2입니다.
ADN

44~45쪽
개념 적용
각뿔 알기

1 나, 마, 바, 사 가, 다

2 ⑴ 면 ㄴㄷㄹㅁㅂ ⑵ 5개
10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0 2022. 8. 18. 오전 1:14


3 초아 10 주어진 각뿔은 밑면의 모양이 사각형이므로 사각뿔입니다.
사각뿔의 모서리는 8개, 꼭짓점은 5개입니다.
4 사각형 육각형 칠각형
삼각형 삼각형 삼각형 11 칠각뿔의 밑면의 모양은 한 변의 길이가 4 cm인 정칠각
형이므로 밑면의 둘레는 7_4 = 28 (cm)입니다.
5 ㉠
12 정아: 밑면과 옆면이 수직으로 만나는 것은 각기둥입니다.
6      , 육각형 내가 만드는 문제

13 ▒각뿔의 꼭짓점의 수: (▒ + 1)개

변하지 않습니다에 ◯표

1 밑면이 다각형이고 옆면이 모두 삼각형인 뿔 모양의 입 개념 완성 발전 문제 48~50쪽


체도형을 찾습니다.
1 24 cm 2 36 cm
3 해수: 각뿔은 옆면이 삼각형인데 만든 도형은 옆면이 사
3 55 cm 4 56 cm
다리꼴이므로 각뿔이 아닙니다.
하늘: 각기둥은 옆면이 직사각형인데 만든 도형은 옆면 5 65 cm 6 84 cm
이 사다리꼴이므로 각기둥이 아닙니다. 7 8 ㉣

4 각뿔은 밑면이 다각형이고 옆면이 삼각형입니다. 9 면 ㅊㅅㅇㅈ

10 15 cm
5 도형 오각뿔 오각기둥
밑면의 모양 오각형 오각형
11 92 cm
옆면의 모양 삼각형 직사각형 12 42 cm 13 16 cmÛ
면의 수(개) 6 7 14 15 cmÛ 15 54 cmÛ
16 18개 17 칠각기둥

46~47쪽 18 십오각뿔
개념 적용
각뿔의 이름

1 주어진 삼각뿔은 길이가 4 cm인 모서리가


7 사각뿔 8
3_2 = 6(개)이므로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4_6 = 24 (cm)입니다.
9 ⑴점ㄱ ⑵점ㅂ 10       / 8개, 5개
2 주어진 사각기둥은 길이가 4 cm인 모서리가 4개,
2 cm인 모서리가 4개, 3 cm인 모서리가 4개입니다.
따라서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11 28 cm 12 정아
4_4 + 2_4 + 3_4 = 16 + 8 + 12 = 36 (cm)
13        / 오각뿔, 6개 입니다.

3 밑면의 모양이 정오각형인 각기둥은 오각기둥입니다. 


따라서 길이가 3 cm인 모서리가 10개, 5 cm인 모서리
가 5개이므로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1 3_10 + 5_5 = 30 + 25 = 55 (cm)입니다.
4 밑면의 모양은 한 변의 길이가 4 cm인 정사각형입니다.
7 밑면의 모양이 사각형이므로 사각뿔입니다.
따라서 길이가 4 cm인 모서리가 8개, 6 cm인 모서리
9 ⑴ 꼭짓점 중에서 옆면이 모두 만나는 점은 점 ㄱ입니다. 가 4개이므로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⑵ 꼭짓점 중에서 옆면이 모두 만나는 점은 점 ㅂ입니다. 4_8 + 6_4 = 32 + 24 = 56 (cm)입니다.
정답과 풀이 1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1 2022. 8. 18. 오후 2:32


진도책 | 정답과 풀이

5 밑면의 모양이 정오각형이고, 옆면의 모양이 이등변삼각 14개이므로 ▢_2 = 14, ▢ = 7입니다.
형인 각뿔은 오각뿔입니다.  한 밑면의 변이 7개이므로 밑면의 모양은 칠각형입니다.
따라서 길이가 5 cm인 모서리가 5개, 8 cm인 모서리 따라서 각기둥의 이름은 칠각기둥입니다.
가 5개이므로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를 ▢ 개라고 하면 면이 10개
18
5_5 + 8_5 = 25 + 40 = 65 (cm)입니다. 이므로 ▢ + 2 = 10, ▢ = 8입니다. 한 밑면의 변이 8
6 밑면의 모양이 정육각형이고 옆면의 모양이 삼각형인 각 개이므로 밑면의 모양이 팔각형인 팔각기둥입니다.
뿔은 육각뿔입니다.  팔각기둥의 꼭짓점은 8_2 = 16(개)입니다. 
따라서 길이가 5 cm인 모서리가 6개, 9 cm인 모서리 각뿔의 밑면의 변의 수를 △ 개라고 하면 꼭짓점이 16개
가 6개이므로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이므로 △ + 1 = 16, △ = 15입니다. 밑면의 변이 15
5_6 + 9_6 = 30 + 54 = 84 (cm)입니다. 개이므로 밑면의 모양은 십오각형입니다.
따라서 각뿔의 이름은 십오각뿔입니다.
7 전개도를 접었을 때 서로 평행하고 합동인 두 면을 찾습
니다.

8 전개도를 접었을 때 ㉠과 마주 보는 면은 ㉣입니다. 


따라서 한 밑면이 ㉠일 때 다른 한 밑면은 ㉣입니다.
주의 | 각기둥에서 두 밑면은 서로 평행하고 합동인 다각형입니다.
따라서 전개도를 접어 각기둥을 만들었을 때 합동이고 마주 보는

9
면을 찾아야 합니다.

전개도를 점선을 따라 접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2 단
원 단원 평가 51~53쪽

ㅇ(ㅎ) 1 다, 바 / 가, 라
ㅈ(ㅋ, ㅍ)
ㅅ(ㄱ) 2 모서리
ㄷ ㅊ ㅌ
ㄹ(ㄴ, ㅂ) 옆면

꼭짓점

10 모서리의 길이가 모두 5 cm로 같고 선분 ㄱㄴ은 모서리


3개의 길이와 같으므로 5_3 = 15 (cm)입니다.
3 ⑴ 삼각기둥 ⑵ 오각뿔
4 7 cm 5 6개
11 전개도의 둘레를 보면 길이가 4 c m 인 선분이 8 개,
6 cm인 선분이 10개이므로 둘레는 6 칠각형 직사각형
4_8 + 6_10 = 32 + 60 = 92 (cm)입니다. 구각형 삼각형
12 전개도의 둘레를 보면 길이가 6 c m 인 선분이 4 개,
3 cm인 선분이 6개이므로 둘레는 7 ㉡ 8 육각기둥

6_4 + 3_6 = 24 + 18 = 42 (cm)입니다. 9 오각형 10 선분 ㅌㅍ

13 색칠한 부분은 한 변의 길이가 4 cm인 정사각형이므로 11  ADN


ADN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4_4 = 16 (cmÛ )입니다.

14 색칠한 부분은 가로가 3 cm, 세로가 5 cm인 직사각형


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3_5 = 15 (cmÛ  )입니다.

15 색칠한 부분은 가로가 6 cm, 세로가 3_3 = 9 (cm)


인 직사각형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12 ㉢, ㉠, ㉡
6_9 = 54 (cmÛ )입니다. 13 ㉠  DN 14 9 cm
16 주어진 입체도형은 밑면의 모양이 육각형인 각기둥이므
 DN
로 육각기둥입니다.
따라서 육각기둥의 모서리는 6_3 = 18(개)입니다.  DN

17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를 ▢ 개라고 하면 꼭짓점이

12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2 2022. 8. 18. 오후 2:32


14 각기둥의 높이는 옆면의 모서리인 선분 ㅈㅊ의 길이와
15 16개 16 240 cm
같으므로 9 cm입니다.
17 146 cm 18 80 cm
15 밑면의 모양이 팔각형이므로 입체도형은 팔각기둥과 팔
19 3개 20 12개 각뿔입니다.
팔각기둥의 면은 8 + 2 = 10(개), 
1 나는 평행한 두 면이 합동이 아니므로 각기둥이 아닙니다. 꼭짓점은 8_2 = 16(개), 
마는 밑면이 원으로 다각형이 아니므로 각뿔이 아닙니다. 모서리는 8_3 = 24(개)이므로 

2 •면과 면이 만나는 선분  모서리 (면의 수) + (꼭짓점의 수) + (모서리의 수)


•밑면과 만나는 면  옆면 = 10 + 16 + 24 = 50(개)입니다.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는 점  꼭짓점 팔각뿔의 면과 꼭짓점은 각각 8 + 1 = 9(개), 
모서리는 8_2 = 16(개)이므로 
3 ⑴ 밑면의 모양이 삼각형이고 옆면이 모두 직사각형이므
(면의 수) + (꼭짓점의 수) + (모서리의 수)
로 삼각기둥입니다.
= 9 + 9 + 16 = 34(개)입니다.
⑵ 밑면의 모양이 오각형이고 옆면이 모두 삼각형이므로
 차: 50 - 34 = 16(개)
오각뿔입니다.
16 주어진 육각기둥은 길이가 10 cm인 모서리가 12개,
4 각뿔의 높이는 각뿔의 꼭짓점에서 밑면에 수직인 선분의
20 cm인 모서리가 6개이므로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
길이이므로 7 cm입니다.
은 10_12 + 20_6 = 120 + 120 = 240 (cm)입
5 밑면에 수직인 면은 옆면입니다. 옆면의 수는 한 밑면의 니다.
변의 수와 같습니다.
17 전개도의 둘레를 보면 길이가 9 cm인 선분이 10개,
6 각기둥의 옆면은 모두 직사각형이고 각뿔의 옆면은 모두 7 cm인 선분이 8개이므로 둘레는
삼각형입니다. 9_10 + 7_8 = 90 + 56 = 146 (cm)입니다.
7 각뿔의 높이는 각뿔의 꼭짓점에서 밑면에 수직인 선분의 18 밑면의 모양이 사각형이고 옆면이 직사각형인 입체도형
길이입니다. 은 사각기둥입니다.
주어진 사각기둥은 길이가 6 cm인 모서리가 8개,
8 입체도형의 전개도에서 두 밑면의 모양은 육각형이고 남
은 면 6개가 모두 직사각형이므로 육각기둥의 전개도입 8 cm인 모서리가 4개입니다.
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 6_8 + 8_4
니다.
= 48 + 32 = 80 (cm)
9 각기둥의 옆면의 수는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와 같 서술형

습니다. 옆면이 5개이므로 밑면은 변의 수가 5개인 오각 19  각기둥에서 밑면은 면 ㄱㄴㄷ과 면 ㄹㅁㅂ입니다. 각


기둥의 높이는 두 밑면 사이의 거리이므로 높이를 잴 수
형입니다.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ㄱㄹ, 모서리 ㄴㅁ, 모서리 ㄷㅂ으
10 점 ㅊ과 맞닿는 점은 점 ㅌ이고, 점 ㅈ과 맞닿는 점은 점 ㅍ 로 모두 3개입니다.
이므로 선분 ㅊㅈ과 맞닿는 선분은 선분 ㅌㅍ입니다.
평가 기준 배점
11 각기둥의 모서리를 자르는 방법에 따라 전개도는 여러 각기둥에서 두 밑면을 찾았나요? 2점
가지 모양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높이를 잴 수 있는 모서리를 모두 찾아 수를 세었나요? 3점
서술형
12 ㉠ (사각뿔의 모서리의 수) = 4_2 = 8(개) 20 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를 ▢개라고 하면 면이 8개
㉡ (팔각뿔의 꼭짓점의 수) = 8 + 1 = 9(개) 이므로 ▢ + 2 = 8, ▢ = 6입니다. 한 밑면의 변이 6개
㉢ (육각뿔의 면의 수) = 6 + 1 = 7(개) 이므로 밑면의 모양이 육각형인 육각기둥입니다. 
따라서 수가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쓰면 ㉢, ㉠, ㉡입니 따라서 육각기둥의 꼭짓점은 6_2 = 12(개)입니다. 
다.
평가 기준 배점
13 사각기둥의 각 모서리의 길이와 길이가 같은 모서리를 면이 8개인 각기둥을 찾았나요? 2점
전개도에서 찾습니다. 찾은 각기둥의 꼭짓점의 수를 구했나요? 3점

참고 | 전개도에서 맞닿는 변의 길이는 같습니다.

정답과 풀이 13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3 2022. 8. 18. 오전 1:14


진도책 | 정답과 풀이

3 소수의 나눗셈

우리가 생활하는 주변을 살펴보면 수치가 자연수인 경우보


교 과 서
개념 이해

1 ⑴
2 나누어지는 수의 소수점 위치에 맞춰
몫에 소수점을 찍어.

2.3 ⑵ 5.2 7
57쪽

다 소수인 경우를 등분해야 할 상황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6 1 3.8 7 3 6.8 9


실제 측정하여 길이나 양을 나타내는 경우 소수로 주어지는 1 2 3 5
경우가 많으므로 등분하려면 (소수)Ö(자연수)의 계산이 필 1 8 1 8
요하게 됩니다. 이 단원에서는 (소수)Ö(자연수)가 적용되는 1 8 1 4
실생활 상황을 식을 세워 어림해 보고 자연수의 나눗셈과 분 0 4 9
수의 나눗셈으로 바꾸어 계산하여 확인하는 활동을 합니다. 4 9
이를 바탕으로 (소수)Ö(자연수)의 계산 원리를 이해하고,
0
세로 계산으로 형식화합니다. 또 몫을 어림해 보는 활동을
통하여 소수점의 위치를 바르게 표시하였는지 확인해 보도 1 자연수의 나눗셈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고, 나누어지는
록 합니다. 이 단원의 주요 목적은 세로 계산 방법을 습득하 수의 소수점 위치에 맞춰 결괏값에 소수점을 올려 찍습
는 과정에서 (자연수)Ö(자연수)와 (소수)Ö(자연수)의 나누 니다.
어지는 수와 몫의 크기를 비교하는 방법 등을 통해 학생들이
세로 계산 방법의 원리를 충분히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데 중점을 둡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3 ÷▲에서 ‹▲이면 몫은
Ö의 몫은 Ö의 몫의 1 배야. 1보다 작아.

개념 이해 1
교 과 서
56쪽 58~59쪽
10 10
1 ⑴ 4 / 0.4 ⑵ 49 / 0.49
1 ⑴ 284, 142, 14.2 ⑵ 844, 211, 2.11
2 ⑴ 25, 25, 5, 5, 0.5 ⑵ 657, 657, 9, 73, 0.73
2 ⑴ 23.1 ⑵ 2.31
3 ⑴ 0.8 5 ⑵ 0.9 6
3 ⑴ 1 2.1 ⑵ 3.2 3
7 5.9 5 8 7.6 8
5 6 7 2
1 ⑴ 1 cm = 10 mm이므로 28.4 cm = 284 mm입 3 5 4 8
니다. 3 5 4 8
⑵ 1 m = 100 cm이므로 8.44 m = 844 cm입니다. 0 0
4 ⑴ 0.57 / 0.57 ⑵ 0.91 / 0.91
2 나누는 수가 같을 때 나누어지는 수가 ;1Á0; 배, ;10!0;배가
5 ㉡, ㉢
되면 몫도 ;1Á0;배, ;10!0;배가 됩니다. 6 ⑴ 3.92 ⑵ 5.22

3 ⑴ 484 Ö 4 =121 5 ㉠ 3.9Ö3 = 1.3     ㉡ 5.6Ö7 = 0.8  


;1Á0; 배 ;1Á0; 배
㉢ 4.38Ö6 = 0.73   ㉣ 9.92Ö8 = 1.24
48.4 Ö 4 =12.1
따라서 나눗셈의 몫이 1보다 작은 것을 모두 찾으면 ㉡,
⑵ 969 Ö 3 =323 ㉢입니다.
;10!0; 배 ;10!0; 배
9.69 Ö 3 =3.23 다른 풀이 | 나누어지는 수가 나누는 수보다 작으면 몫이 1보다 작
습니다.
㉠ 3.9>3, ㉡ 5.6<7, ㉢ 4.38<6, ㉣ 9.92>8이므로 몫이 1
보다 작은 것을 모두 찾으면 ㉡, ㉢입니다.

6 나누는 수가 같고 몫이 ;10!0;배가 되었으므로 나누어지

는 수도 ;10!0;배가 됩니다.

14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4 2022. 8. 18. 오전 1:14


(소수)Ö(자연수) ⑴
60~61쪽 12 0.84 cm2
개념 적용

13  20.86÷7 28.26÷9 35.76÷6


1 123, 123, 1.23
1 1
2 ⑴ 10 , 132, 13.2 ⑵ 100 , 324, 3.24

3 ⑴< ⑵> 5.96 3.14 2.98

4 ⑴ 234 / 23.4 / 2.34 ⑵ 212 / 21.2 / 2.12


작습니다에 ◯표
5 ⑴ 100배 ⑵ 10배
49, 49 / 49, 49 / 같습니다에 ◯표
8 몫의 소수점은 나누어지는 수의 소수점을 올려 찍어야
6  나 / 2.21 cm 합니다.

9 0.6 2
⑴      ⑵ 0.8 3
(왼쪽에서부터) 4 2.4 8 7 5.8 1
1 , 1 , 1 , 1 2 4 5 6
143, 14.3, 1.43, 8 2 1
100 10 10 100
8 2 1
0 0
1 1 cm = 0.01 m이므로 123 cm = 1.23 m입니다.
10 ⑴ 2.38Ö7 = 0.34, 3.24Ö9 = 0.36
3 나누는 수가 같을 때에는 나누어지는 수의 크기를 비교
하여 몫의 크기를 비교합니다. 0.34<0.36이므로 2.38Ö7<3.24Ö9입니다.
⑵ 3.84Ö6 = 0.64, 1.92Ö3 = 0.64이므로
5 나누는 수가 같을 때 나누어지는 수가 10 배, 100배가
3.84Ö6 = 1.92Ö3입니다.
되면 몫도 10배, 100배가 됩니다.
내가 만드는 문제 11 빨간색 구슬 3개의 무게가 2.16 g이므로 빨간색 구슬 한
6  나는 정사각형이므로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습니다. 개의 무게는 2.16Ö3 = 0.72 (g)입니다.
따라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2 넓이가 2.24 cmÛ 인 직사각형을 8칸으로 똑같이 나누면
8.84Ö4 = 2.21 (cm)입니다.
한 칸의 넓이는 2.24Ö8 = 0.28 (cmÛ```)입니다. 따라서
색칠된 부분의 넓이는 0.28_3 = 0.84 (cmÛ```)입니다.
내가 만드는 문제

13 20.86Ö7 = 2.98, 28.26Ö9 = 3.14,


(소수)Ö(자연수) ⑵
62~63쪽 35.76Ö6 = 5.96
개념 적용

855 855Ö5 171


7 ⑴ 8.55Ö5= 100 Ö5= 100 = 100
=1.71
⑵ 18.72Ö8=
1872 1872Ö8 234
 Ö8= =
100 100 100
=2.34
교 과 서
개념 이해 4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면 0을 내려
계산하자. 64쪽
8 3.2 8 9 ⑴ 0.62 ⑵ 0.83
8 2 6.2 4 1 ⑴ 2.4 5 ⑵ 1.5 5
2 4 8 1 9.6 0 6 9.3 0
2 2 1 6 6
1 6 3 6 3 3
6 4 3 2 3 0
6 4 4 0 3 0
0 4 0 3 0
0 0
10 ⑴ < ⑵ = 11 0.72 g
정답과 풀이 15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5 2022. 8. 18. 오전 1:14


진도책 | 정답과 풀이

3 ⑴ 3.9Ö2를 4Ö2로 어림하면 약 2이므로 1.95입니


교 과 서
개념 이해 5 수를 내려도 나눌 수 없으면 몫에 다.
0을 쓰자. 65쪽
⑵ 28.35Ö9를 28Ö9로 어림하면 약 3이므로 3.15입
1 ⑴ 612, 612, 2, 306, 3.06 니다.
⑵ 520, 520, 5, 104, 1.04

2 ⑴ 2.0 7 ⑵ 3.0 5
5 1 0.3 5 3 9.1 5
1 0 9
3 5 1 5
3 5 1 5 68~69쪽
0 0 개념 적용
(소수)Ö(자연수) ⑶

4130 4130Ö5 826


52 52Ö5 로 바꾸면 1 ⑴ 41.3Ö5= 100 Ö5= 100 = 100
1 ⑵ 5.2Ö5 = Ö5 =
10 10 =8.26
  52Ö5는 몫이 자연수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습니다.
⑵ 20.7Ö6=
2070 2070Ö6 345
520 520Ö5 104  Ö6= =
   5.2Ö5 = Ö5 = = 100 100 100
100 100 100
=3.45
= 1.04
2 ⑴ 2.15 ⑵ 1.64
 2.26 / 4.52 / 6.78 ⑵ 1.65 / 2.65 / 3.65
3 ⑴
3, 4, 0.8 / 4, 0.8
교 과 서
개념 이해 Ö (자연수)는 자연수가
6 (자연수)÷
아닐 수도 있어. 66쪽 4 ⑴ 8.45 cmÛ ⑵ 8.45 cmÛ
14 , 35 , 5 ⑴ 4.6, 1.15 ⑵ 21.3, 3.55
1 ⑴ 7, 2, 2, 1.4 ⑵ 7, 5, 5, 0.35
10 100
6               
 
2 ⑴ 2.5 ⑵ 1.2 5
8 2 0.0 12 1 5 . 0 0
1 6 1 2 A- A- A- A-
4 0 3 0 / 5.4Ö4=1.35 / 1.35 L
4 0 2 4
0 6 0
(위에서부터) 3, 5, 5, 0
6 0
0
2 2 . 1 5   
⑴      ⑵ 1.6 4
▲ 에서 분모 를 4 8.6 0 5 8.2 0
1 ▲Ö = 10, 100, 1000으로 바꾼
 8 5
후 소수로 나타냅니다. 6 3 2
4 3 0
2 0 2 0
2 0 2 0
0 0
교 과 서
개념 이해 7 어림셈을 통해 몫의 소수점 위치를 4 ⑴ 4등분하였으므로 색칠된 부분의 넓이는
찾을 수 있어. 67쪽
33.8Ö4 = 8.45 (cmÛ` `)입니다.
1 ⑴ (왼쪽에서부터) 7, 8 / 7, 8 ⑵ 7, 7.15 ⑵ 8등분하였으므로 색칠된 부분의 넓이는

2 ⑴  3 / 3 . 2 6 ⑵  41, 8 / 8 . 2 2 67.6Ö8 = 8.45 (cmÛ` `)입니다.

3 ⑴  4, 2 / 1.95에 ◯표 5 ⑴ 4_▒ = 4.6 ⑵ 6_▲ = 21.3


⑵  28, 3 / 3.15에 ◯표
▒ = 4.6Ö4 = 1.15 ▲ = 21.3Ö6 = 3.55

16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6 2022. 8. 18. 오전 1:14


내가 만드는 문제
0 . 3 3 3 / 0.33
     
6  주스 5.4 L를 4명이 똑같이 나누어 마실 때 6 2.0 0 0
(한 명이 마시는 주스의 양) = 5.4Ö4 = 1.35 (L ) 1 8
입니다. 2 0
1 8
2 0
1 8
2
70~71쪽
(소수)Ö(자연수) ⑷  0.75 / 1.5 ⑵ 1.68 / 0.84
개념 적용 15 ⑴
7 ⑴ (위에서부터) 1.07 / 1.07 / 1.07, 7.49 16 8 , 5, 1.6 17 ㉠
⑵ (위에서부터) 1.05 / 1.05 / 1.05, 6.3 18 3.5 g
8 ⑴ 206, 2.06 ⑵ 705, 7.05 19             / 4, 6.75
9 10.05Ö5=2.01 / 2.01L
 = ⑵ >
10 ⑴ 11 1.06
12 1.03
14 2 2.2 5
⑴       ⑵ 2.2 5
13  6.12Ö6=1.02 / 1.02 4 8 9.0 0 12 2 7 . 0 0
8 2 4
9 3 0
(왼쪽에서부터) 2, 10, 0 / 30
8 2 4
1 0 6 0
7 1.0 7
⑴      1.0 5
⑵      8 6 0
7 7.4 9 6 6.3 0 2 0 0
7 6 2 0
4 9 3 0 0
4 9 3 0
0 0 15 ⑴ 나누는 수가 같을 때 나누어지는 수가 2배가 되면 몫
도 2배가 됩니다.
9 (1분 동안 받은 물의 양) = 10.05Ö5 = 2.01 (L)
⑵ 나누어지는 수가 같을 때 나누는 수가 2배가 되면 몫
10 ⑴ 6.18Ö2 = 3.09, 24.72Ö8 = 3.09이므로
6.18Ö2 = 24.72Ö8입니다. 은 ;2!; 배가 됩니다.
⑵ 20.1Ö2 = 10.05, 27.15Ö3 = 9.05
10.05>9.05이므로 20.1Ö2>27.15Ö3입니다. 16 몫이 가장 큰 나눗셈식을 만들려면 나누어지는 수는 가
장 크게, 나누는 수는 가장 작게 해야 합니다.
11 9.54Ö3 = 3.18의 소수 첫째 자리가 1이므로 3.18을
 8Ö5 = 1.6
3으로 한 번 더 나눕니다.
 3.18Ö3 = 1.06
17 ㉠ 46Ö4 = 11.5  1번
12 ▒_6 = 49.44 ㉡ 53Ö4 = 13.25  2번
㉢ 37Ö4 = 9.25  2번
▒ = 49.44Ö6 = 8.24
㉣ 27Ö4 = 6.75  2번
8.24Ö8 = 1.03이므로 의 값은 1.03입니다.
18 (초콜릿 2개의 무게) = 4.5_2 = 9 (g)
(사탕 6개의 무게) = 30 - 9 = 21 (g)
따라서 사탕 한 개의 무게는 21Ö6 = 3.5 (g)입니다.
72~73쪽
개념 적용
(자연수)Ö(자연수) 내가 만드는 문제

19  (한 칸의 넓이)= (직사각형의 넓이)Ö(칸 수)


 22.25 ⑵ 2.25
14 ⑴ = 27Ö4 = 6.75 (m2)

정답과 풀이 17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7 2022. 8. 18. 오전 1:14


진도책 | 정답과 풀이

74~75쪽
개념 적용
몫의 값 어림하기 개념 완성 발전 문제 76~78쪽

20 (  ) ( )  1 6.36 2 2.9


21 ⑴ 12Ö7 ⑵ 20Ö11 3 1.89 4 ⑴< ⑵>
22 ⑴  43, 5 / 5 . 4 1 ⑵  321, 7, 45 / 4 5 . 9 5 6 6 6개
 91.8Ö3=30.6에 ◯표
23 ⑴ 7 1.5 8 13, 4 / 3.25
⑵ 9.18Ö9=1.02에 ◯표
9 9, 8, 7, 5 / 19.74 10 2.84
24 5 . 0 5 / 5.0 5 11 2.09 m 12 6.5 km
6 3 0.3 0
3 0 13 (위에서부터) 12, 36
3 0
14 3.7 8
      15 2.7
     
3 0
8 3 0.2 4 29 7 8.3
0
2 4 5 8
25 ㉠, ㉡, ㉢ 6 2 2 0 3
5 6 2 0 3
26  2 7 . 3 6Ö9 / 27Ö9=3 / 3.04 6 4 0
6 4
8.1에 ◯표 0

16 2.01 km 17 ㉡
21 반올림할 때는 구하는 바로 아래 자리의 숫자가 0, 1, 2,
18 7.17 km
3, 4이면 버리고 5, 6, 7, 8, 9이면 올립니다. 
소수를 반올림하여 일의 자리까지 나타내면 
2 어떤 소수를 ▢ 라고 하면 ▢ _3 = 8.7이므로
11.76  12, 20.35  20입니다.
▢ = 8.7Ö3 = 2.9입니다.
23 ⑴ 91.8Ö3을 92Ö3으로 어림하면 약 30이므로 몫의 어떤 소수를 ▢ 라고 하면 ▢_4 = 30.24이므로 
소수점 위치는 30k이 됩니다. 따라서 어림셈하여 몫
3
▢ = 30.24Ö4 = 7.56입니다. 
의 소수점 위치가 올바른 식은 91.8Ö3 = 30.6입니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7.56Ö4 = 1.89입니다.
다.
⑵ 9.18Ö9를 9Ö9로 어림하면 약 1이므로 몫의 소수 4 ⑴ 11.55Ö5 = 2.31, 43.68Ö12 = 3.64
점 위치는 1k이 됩니다. 따라서 어림셈하여 몫의 소수 2.31<3.64이므로 11.55Ö5<43.68Ö12입니
점 위치가 올바른 식은 9.18Ö9 = 1.02입니다. 다.
⑵ 14.52Ö6 = 2.42, 38.93Ö17 = 2.29
24 30.3Ö6을 30Ö6으로 어림하면 약 5이므로 5.05입니
2.42>2.29이므로 14.52Ö6>38.93Ö17입니
다.
다.
25 나누어지는 수가 나누는 수보다 크면 몫이 1보다 큽니
다. 5 17.91Ö3 = 5.97
㉠ 4.52>4   ㉡ 7.56>3   ㉢ 5.8>5  
5.97<▢이므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6, 7,
㉣ 1.4<5   ㉤ 6.84<9   ㉥ 3.9<6
8, …입니다.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는 6입
따라서 몫이 1보다 큰 나눗셈을 모두 찾으면 ㉠, ㉡, ㉢
니다.
입니다.
다른 풀이 | ㉠ 4.52Ö4 = 1.13   ㉡ 7.56Ö3 = 2.52 6 64.8Ö15 = 4.32
㉢ 5.8Ö5 = 1.16   ㉣ 1.4Ö5 = 0.28 4.32<4 . ▢1이므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 6.84Ö9 = 0.76   ㉥ 3.9Ö6 = 0.65
4, 5, 6, 7, 8, 9입니다. 
따라서 몫이 1보다 큰 나눗셈을 모두 찾으면 ㉠, ㉡, ㉢입니다.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모두 6개입니다.

7 9Ö6 = 1.5
18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8 2022. 8. 18. 오전 1:14


8 몫이 가장 큰 나눗셈식을 만들려면 나누어지는 수는 가 •㉣㉤ - 58 = 20이므로 ㉣㉤ = 78
장 크게, 나누는 수는 가장 작게 해야 합니다.  ㉣ = 7, ㉤ = 8
 13Ö4 = 3.25 •㉡㉢_2 = 58이므로 ㉡㉢ = 29  ㉡ = 2, ㉢ = 9
•㉡㉢_㉠ = 203이므로 29_㉠ = 203
9 몫이 가장 큰 나눗셈식을 만들려면 나누어지는 수는 가
 ㉠ = 203Ö29 = 7
장 크게, 나누는 수는 가장 작게 해야 합니다.
 98.7Ö5 = 19.74 16 (1분 동안 가는 거리) = 14.07Ö7 = 2.01 (km)
(점 사이의 간격 수) = 6 - 1 = 5(군데) 17 연료 1 L로 갈 수 있는 거리를 알아봅니다.
10
(점 사이의 간격) = 14.2Ö5 = 2.84 (cm) ㉠ 61Ö4 = 15.25 (km)  
㉡ 109.9Ö7 = 15.7 (km)
11 (나무 사이의 간격 수) = 9 - 1 = 8(군데) 따라서 15.25<15.7이므로 같은 연료로 더 먼 거리를
(나무 사이의 간격) = 16.72Ö8 = 2.09 (m) 움직일 수 있는 자동차는 ㉡입니다.
12 (산책로 한쪽에 심는 나무의 수) = 38Ö2 = 19(그루) (승용차가 1분 동안 달린 거리)
18
(나무 사이의 간격 수) = 19 - 1 = 18(군데) = 11.61Ö9 = 1.29 (km)
(나무 사이의 간격) = 117Ö18 = 6.5 (km)  (승용차가 3분 동안 달린 거리)

13 2.0 6 = 1.29_3 = 3.87 (km)


(트럭이 1분 동안 달린 거리)
6 1 2.3 6
㉠ = 13.2Ö12 = 1.1 (km)
36  (트럭이 3분 동안 달린 거리)
㉡ = 1.1_3 = 3.3 (km)
0 따라서 3분 동안 달린 두 자동차 사이의 거리는
•㉠ = 6_2 = 12 3.87 + 3.3 = 7.17 (km)입니다.
•㉡ = 6_6 = 36

14 3.7 8
㉠ 3 0 .㉡ 4

6 ㉣

6 4
6 4
0
3 단
원 단원 평가 79~81쪽

•㉠_8 = 64이므로 ㉠ = 8 1 3.13


•㉠_3 = ㉢이므로 ㉢ = 8_3 = 24 2 7.38Ö3= 738
100
Ö3=
738Ö3 246
100
=
100
=2.46
•㉠_7 = ㉤이므로 ㉤ = 8_7 = 56
3 ⑴ 0.47 ⑵ 0.25 4 1.6 / 0.16  
•6㉣ - 56 = 6이므로 6㉣ = 62  ㉣ = 2
•㉡ = ㉣이므로 ㉡ = 2 5 6 ⑴ 0.64배 ⑵ 0.82배

15 2 .㉠
㉡ ㉢ ㉣ ㉤. 3 7 (위에서부터) 3.09, 6.18
5 8 8 ⑴> ⑵< 9 0.6 2
2 0 3 9 5.5 8
㉥ ㉦ ㉧ 5 4
0 1 8
1 8
•203 - ㉥㉦㉧ = 0이므로 ㉥㉦㉧ = 203
0
 ㉥ = 2, ㉦ = 0, ㉧ = 3

정답과 풀이 19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19 2022. 8. 18. 오전 1:14


진도책 | 정답과 풀이

12 6.0 5
10 2.88 cmÛ` 11 4.24
4 2 4 .㉠
12 6.0 5 13 1, 2, 3, 4 / 30.75 ㉡
4 2 4.2 ㉠ 0
2 4

2 0
2 0 0
0 •㉡ = 4_6 = 24    •㉢ = 4_5 = 20
•㉠0 - 20 = 0이므로 ㉠0 = 20  ㉠ = 2입니다.
14 0.35 15 3
16 0.45 17 4.05 m 13 몫이 가장 작은 나눗셈식을 만들려면 나누어지는 수는
가장 작게, 나누는 수는 가장 크게 해야 합니다.
18 1.75 kg 19 15
 123Ö4 = 30.75
20 5.95 km
14 어떤 소수를 ▢라고 하면 ▢_7 = 17.15이므로
▢ = 17.15Ö7 = 2.45입니다. 
1 939Ö3 = 313이므로 9.39Ö3의 몫은 313의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2.45Ö7 = 0.35입니다.
;10!0; 배인 3.13입니다.
15 50.56Ö8 = 6.32
6.32>6.▢이므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1,
3 0.4 7
⑴        ⑵   0 . 2 5
7 3.2 9 9 2.2 5 2, 3입니다.
2 8 1 8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큰 자연수는 3입니다.
4 9 4 5
4 9 4 5 16 ㉠ 대신 9, ㉡ 대신 4를 넣습니다.
0 0 94 = 9Ö4Ö5 = 2.25Ö5 = 0.45
17 (길 한쪽에 심는 나무의 수) = 16Ö2 = 8(그루)
4 나누는 수가 같을 때 나누어지는 수가 ;1Á0; 배, ;10!0;배가
(나무 사이의 간격 수) = 8 - 1 = 7(군데)
되면 몫도 ;1Á0;배, ;10!0;배가 됩니다. (나무 사이의 간격) = 28.35Ö7 = 4.05 (m)

18 (빨간색 구슬 한 개의 무게) = 1Ö4 = 0.25 (kg)


5 8.1Ö6 = 1.35  (빨간색 구슬 3개의 무게) = 0.25_3 = 0.75 (kg)
8.1Ö2 = 4.05 (파란색 구슬 3개의 무게) = 6 - 0.75 = 5.25 (kg)
8.1Ö18 = 0.45  (파란색 구슬 한 개의 무게) = 5.25Ö3 = 1.75 (kg)
서술형
6 ⑴ 2.56Ö4 = 0.64(배)  7.5Ö3 = 2.5
19
⑵ 7.38Ö9 = 0.82(배) 2.5 = ▢Ö6이므로 ▢ = 2.5_6 = 15입니다.
7 18.54Ö6 = 3.09 평가 기준 배점
18.54Ö3 = 6.18 → 6.18Ö2 = 3.09 나눗셈의 몫을 구했나요? 2점
▢ 안에 알맞은 수를 구했나요? 3점
8 ⑴ 82.5Ö5 = 16.5, 86.8Ö7 = 12.4 서술형
16.5>12.4이므로 82.5Ö5>86.8Ö7입니다. 20  (기차가 1분 동안 달린 거리) = 29.4Ö6 = 4.9 (km)
⑵ 33.48Ö4 = 8.37, 105.6Ö8 = 13.2 (자동차가 1분 동안 달린 거리)
8.37<13.2이므로 33.48Ö4<105.6Ö8입니다. = 4.2Ö4 = 1.05 (km)
따라서 1분 동안 달린 기차와 자동차 사이의 거리는
9 5는 9보다 작으므로 일의 자리에 0을 써야 하는데 쓰지 4.9 + 1.05 = 5.95 (km)입니다.
않아서 잘못되었습니다.
평가 기준 배점
10 (한 칸의 넓이) = 7.2Ö5 = 1.44 (cmÛ```) 기차가 1분 동안 달린 거리를 구했나요? 2점
 (색칠된 부분의 넓이) = 1.44_2 = 2.88 (cmÛ```)` 자동차가 1분 동안 달린 거리를 구했나요? 2점
1분 동안 달린 기차와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구했나요? 1점
11 106Ö▢ = 25  ▢ = 106Ö25 = 4.24
20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0 2022. 8. 18. 오전 1:14


4 비와 비율
수학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인 비와 비율은 실제로 우리 생
교 과 서
개념 이해

1 ⑴
3 기준량에 대한 비교하는 양의 크기를 수로
나타내면 비율이야.

9 ,
0.9
86쪽

활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수학에서 의 10


미 있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습니다. 학생들은 물건의 가격 3
⑵ , 0.6
비교, 요리 재료의 비율, 물건의 할인율, 야구 선수의 타율, 5
농구 선수의 자유투 성공률 등 일상생활의 경험을 통해 비와 2 
비율에 대한 비형식적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원에서 11 5 ;;Á5Á;;{=2.2}
는 두 양의 크기를 뺄셈(절대적 비교, 가법적 비교)과 나눗셈
(상대적 비교, 승법적 비교) 방법으로 비교해 봄으로써 두 양 9 20 ;2»0;{=0.45}
의 관계를 이해하고 두 양의 크기를 비교하는 방법을 이야기
하게 됩니다. 또 이를 통해 비의 뜻을 알고 두 수의 비를 기 3 4 ;4#;{=0.75}
호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실생활에서 비가 사용되는 상황을
살펴보면서 비를 구해 보는 활동을 전개합니다. 이어서 실생
활에서 비율이 사용되는 간단한 상황을 통해 비율의 뜻을 이 2 •11 : 5  (비율) = ;;Á5Á;; = 2.2
해하고 비율을 분수와 소수로 나타내어 보도록 한 후 백분율
의 뜻을 이해하고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어 보고 실생활에 •9와 20의 비  (비율) = ;2»0; = 0.45

•4에 대한 3의 비  (비율) = ;4#; = 0.75


서 백분율이 사용되는 여러 가지 경우를 알아보도록 합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1 두 수를 뺄셈 또는 나눗셈으로 교 과 서
개념 이해 4 비율이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비교할 수 있어. 84쪽 알아보자. 87쪽

1 ⑴ 3, 3, 3 ⑵ 3, 2 / 2 210 ,
1 ⑴ 105
2
9680000 ,
⑵ 16000
605
9 , ,
⑶ 3 0.03
300

88~89쪽
두 수 비교하기
2 두 양의 관계가 변하지 않는 나눗셈으로
개념 적용
교 과 서
개념 이해

비교하자. 85쪽 1 ⑴ ⑵ ⑶×

1 ⑴ (위에서부터) 5, 9 / 9, 5 / 5, 9 / 5, 9
2 ⑴ (위에서부터) 32, 40 / 8, 10
⑵ 빨간색 종이, 12 / 18, 24, 30 / 4
⑵ (위에서부터) 6, 11 / 11, 6 / 6, 11 / 6, 11

2 ⑴ 3, 4 ⑵ 3, 4 ⑶ 3, 4
3 ⑴ 뺄셈에 ◯표, 13 ⑵ 나눗셈에 ◯표, 2
4 5/3
2 ⑴ 주전자 수와 물병 수의 비는 물병 수가 기준이므로 5 (위에서부터) 24, 30 / 9, 12, 15 / 54개
3 : 4입니다.
⑵ 주전자 수의 물병 수에 대한 비는 물병 수가 기준이므
6  뺄셈에 ◯표 /
 백두산은 덕유산보다 약 1200 m 더 높습니다.
로 3 : 4입니다.
⑶ 물병 수에 대한 주전자 수의 비는 물병 수가 기준이므
뺄셈에 ◯표, 나눗셈에 ◯표
로 3 : 4입니다.

정답과 풀이 2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1 2022. 8. 17. 오후 6:0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1 ⑴ 우유 양과 물 양을 뺄셈으로 비교하면 1 / , / 3 , 1


(왼쪽에서부터) 3 3
5 15 5
270 - 30 = 240이므로 우유는 물보다 240 mL
/ 같습니다에 ◯표
더 많습니다.
⑵ 우유 양과 물 양을 나눗셈으로 비교하면 12  ㉢ / 3 : 8
270Ö30 = 9이므로 우유 양은 물 양의 9배입니다.
4/2
2 ⑵ •8 - 2 = 6, 16 - 4 = 12, 24 - 6 = 18,
32 - 8 = 24, 40 - 10 = 30이므로 묶음 수에
따라 빨간색 종이는 초록색 종이보다 각각 6장, 12장,
8 전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비  (색칠한 부분) : (전체)
전체 5칸 중 3칸을 색칠합니다.
18장, 24장, 30장 더 많습니다.
•8Ö2 = 4, 16Ö4 = 4, 24Ö6 = 4, 9 세로에 대한 가로의 비는 세로가 기준이므로 세로를 기
32Ö8 = 4, 40Ö10 = 4이므로 빨간색 종이 수 호 :의 오른쪽에 씁니다.
는 항상 초록색 종이 수의 4배입니다. 11 검은 건반 수의 흰 건반 수에 대한 비는 흰 건반 수가 기
3 ⑴ 26 - 13 = 13이므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13명 더 준이므로 5 : 7입니다.
내가 만드는 문제
많습니다.
12  ㉢ 전체가 8칸, 색칠한 부분이 3칸입니다. 따라서 전
⑵ 26Ö13 = 2이므로 남학생 수는 여학생 수의 2배입
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비는 3 : 8입니다.
니다.

4 •포항과 서울의 기온을 뺄셈으로 비교하면 7 - 2 = 5


이므로 포항은 서울보다 5 ¾ 더 높습니다.
•광주와 서울의 기온을 나눗셈으로 비교하면
6Ö2 = 3이므로 광주 기온은 서울 기온의 3배입니다.
92~93쪽
5 6Ö3 = 2, 12Ö6 = 2, 18Ö9 = 2, 24Ö12 = 2, 개념 적용
비율 알아보기
30Ö15 = 2, …이므로
과자 수는 항상 사탕 수의 2배입니다. 3
13 3, 10 / 10 , 0.3
따라서 사탕이 27개일 때 과자는 27_2=54(개)입니다.
내가 만드는 문제 1 1 1 / 높아집니다에 ◯표
6  2800 - 1600 = 1200이므로 백두산은 덕유산보다 14 6 , 3 , 2
약 1200 m 더 높습니다.
15 ㉡, ㉢
16 ⑴  ⑵

17 ⑴ ;1¤0;{;5#;=0.6} ⑵ ;1¥2;{=;3@;} ⑶ 수학
90~91쪽
비 알아보기
개념 적용
18  2
 :5

7 5, 3 / 5, 8
3:4 6:8
8 ⑴ ⑵
;4#; ;8^;=;4#;

9 4:2/6:2/7:3/3:3 13 전체 거리는 기준량이고, 간 거리는 비교하는 양입니다.


 /  3 : 4는 기준이 되는 수가 4이지만 4 : 3은 기
10 ㉢ 14 단위분수는 분모가 작을수록 더 큽니다.
준이 되는 수가 3이므로 같은 비가 아닙니다.

11 5 : 7 15 15 : 20  (비율) = ;2!0%; = ;4#; = 0.75

22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2 2022. 8. 17. 오후 6:09


16 ⑴ 전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비율이 ;4#; 이므로 ⑵ 비율이 더 높은 나라는 영국이므로 인구가 더 밀집한
나라는 영국입니다.
전체 4칸 중 3칸을 색칠하면 됩니다.
21
⑵ 전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비율이 ;4#; = ;8^;이므로
⑴ (연주의 키와 그림자 길이의 비율)
= 1.6Ö2 = 0.8
전체 8칸 중 6칸을 색칠하면 됩니다. ⑵ (나무 높이와 그림자 길이의 비율)

17 ⑴ 전체 문제 수에 대한 맞힌 문제 수의 비  6 : 10 = 3.2Ö4 = 0.8

 (비율) = ;1¤0; = ;5#; = 0.6 22 (진경이의 공을 찬 횟수에 대한 공을 넣은 횟수의 비율)


(공을 넣은 횟수) 6 1
⑵ 전체 문제 수에 대한 맞힌 문제 수의 비  8 : 12 = (공을 찬 횟수) = =
24 4
 (비율) = ;1¥2; = ;3@; (윤아의 공을 찬 횟수에 대한 공을 넣은 횟수의 비율)
(공을 넣은 횟수) 7 1
= (공을 찬 횟수) = =
⑶ ;1¤0; = ;6#0^;, ;1¥2; = ;6$0);이므로 ;6#0^;<;6$0);입니다. 21 3
따라서 수학 성적이 더 높습니다. 23 (가 버스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
(거리) 288
= (시간) = = 144
내가 만드는 문제

18 비율이 1보다 작으려면 비교하는 양이 기준량보다 작아 2


야 합니다. (나 버스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 
(거리) 306
= (시간) = = 102
3
144>102이므로 걸리는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이
더 높은 버스는 가 버스입니다. 
94~95쪽
개념 적용
비율이 사용되는 경우 알아보기 내가 만드는 문제

24 (가 병의 꿀물 양) = 500 + 50 = 550 (mL)


23 47  (가 병의 꿀물 양에 대한 꿀 양의 비율)
19 180 , 210
(꿀 양) 50 1
= (꿀물 양) = =
20 ⑴ 350, 200 ⑵ 영국 550 11
 (나 병의 꿀물 양) = 300 + 60 = 360 (mL)

21 ⑴ 0.8 ⑵ 0.8
 (나 병의 꿀물 양에 대한 꿀 양의 비율)
1 1
22 4 , 3 23 가 (꿀 양) 60 1
= (꿀물 양) = =
360 6
24  300 / 60,  ;6!;

(왼쪽에서부터) ;5Á00
¼ ;, 0.02 / ;1Á00¼ ;, 0.1 / ;5°00¼ ;, 0.1
교 과 서
개념 이해 5 백분율은 비율의 분모를 100으로
만들면 돼. 96쪽

19 (딸기우유의 우유 양에 대한 시럽 양의 비율) 1 (왼쪽에서부터) 72, 72, 72


(시럽 양) 23 2 ⑴ 17, 17 ⑵ 16, 64, 64
= (우유 양) =
180
(초코우유의 우유 양에 대한 시럽 양의 비율)
(시럽 양) 47
= (우유 양) =
210 교 과 서
개념 이해 6 백분율이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20 ⑴ (영국의 넓이에 대한 인구의 비율) 알아보자. 97쪽
(인구) 70000000
= (넓이) = = 350 700 , 171 ,
200000 1 ⑴ 14 ⑵ 57
(독일의 넓이에 대한 인구의 비율)
5000 300
130 ,
(인구) 80000000 ⑶ 25
= (넓이) = = 200 520
400000
정답과 풀이 23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3 2022. 8. 17. 오후 6:0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1 ⑴ (할인 금액) = 5000 - 4300 = 700(원)


3 4 : 25  (비율) = ;2¢5;  ;2¢5;_100 = 16 (%)
(할인 금액)
(식빵의 할인율)= _100
(원래 가격) 32의 100에 대한 비
700  (비율) =
32  32
= _100 = 14 (%) = 32 %
5000 100 100
⑵ (승규의 득표율)=
(득표수) 20에 대한 7의 비
_100
 (비율) = ;2¦0;  ;2¦0;_100 = 35 (%)
(전체 투표수)
171
= _100 = 57 (%)
300
⑴ ;4!; =
25
⑶ (소금물의 진하기)=
(소금 양)
_100 4 = 25 %  35 % > 25 %
(소금물 양)
100
⑵ 0.26 =
26
130 = 26 %  26 % < 72 %
= _100 = 25 (%) 100
520
1_15
•50 % = ;1°0¼0; = ;2!; =
5 = ;3!0%;이므로
2_15
기준량의 50 %인 막대 길이는 15 cm입니다.

3_30
•300 % = ;1#0)0); = ;1#; =
= ;3(0);이므로
1_30
98~99쪽 기준량의 300 %인 막대 길이는 90 cm입니다.
개념 적용
백분율 알아보기
내가 만드는 문제

1 ⑴ 25, 25, 75, 75 ⑵ 100, 75 6  전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비율은 ;2¦5;이므로 백분율
2 ⑴ 90 % ⑵ 50 % 로 나타내면 ;2¦5;_100 = 28 (%)입니다.

4 ⑴> ⑵<
5          A DN
기준량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100~101쪽
개념 적용
백분율이 사용되는 경우 알아보기
35, 15
7 15 %
6  / 28 %
8 ⑴ 65 %, 68 % ⑵ 가람

9 (위에서부터) 175 / 40, 50, 10
무효표 

(A)

(왼쪽에서부터) 25 / 4, 4, ;1°0ª0;, 100 민영


(A) 
 수연

(A)

2 ⑴ 전체 10칸에 대한 색칠한 9칸의 비율은 ;1»0;입니다. 

10 320명 11 박물관
 ;1»0;_100 = 90 (%)
12  10 /  10 %
⑵ 전체 8칸에 대한 색칠한 4칸의 비율은 ;8$; = ;2!;입니다.
(위에서부터) ;3$0*0);, 160 / ;3^0)0);, 200
 ;2!;_100 = 50 (%)

24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4 2022. 8. 17. 오후 6:09


7 (할인 금액) = 20000 - 17000 = 3000(원)
발전 문제 102~104쪽
3000
개념 완성
(할인 금액)
 (할인율)= = _100
(원래 가격) 20000 1 2 
= 15 (%)
8 ⑴ 윤혜의 소금물 양에 대한 소금 양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면 ;4@2&0#;_100 = 65 (%)입니다.

가람이의 소금물 양에 대한 소금 양의 비율을 백분율 3  4 22개


로 나타내면 ;2!5&0);_100 = 68 (%)입니다.

⑵ 백분율이 더 높은 가람이의 소금물이 더 진합니다.

9 (수연이의 득표수) = 350 - 140 - 35 = 175(표)


5 (위에서부터) 216 / 56 6 119명
(민영이의 득표율) = ;3!5$0);_100 = 40 (%)  
7 ㉡ 8 ⑴ 29 ⑵ 31
(수연이의 득표율) = ;3!5&0%;_100 = 50 (%)   9 14 10 ⑴ > ⑵ <
(무효표의 백분율) = ;3£5°0;_100 = 10 (%) 11 나 12 가, 다
1 ⑵ 1
13 ⑴ 20 24
14 나, 45 g
6_32
10 (윤서의 득표율) = ;1¤0¼0; = ;1¤0; = 10_32 = ;3!2(0@;
15 60 mL 16 6 %
이므로 투표에 참여한 전체 학생 수는 320명입니다.
17 대한 은행 18 6000원
11 (미술관의 할인 금액) = 15000 - 11250 = 3750(원)
 (미술관의 할인율) = ;1£5¦0°0¼0;_100 = 25 (%) 전체 10칸에 대한 색칠한 10칸의 비율은
10
1 =1입니다.
10
(박물관의 할인 금액) = 18000 - 11520 = 6480(원)  1_100 = 100 (%)

 (박물관의 할인율) = ;1¤8¢0¥0¼0;_100 = 36 (%) 전체 10칸에 대한 색칠한 4칸의 비율은


4 2
= 입니다.
10 5
(소극장의 할인 금액) 2
 _100 = 40 (%)
= 42000 - 29400 = 12600(원) 5
7 입니다.
 (소극장의 할인율) = ;4!2@0^0)0);_100 = 30 (%) 전체 10칸에 대한 색칠한 7칸의 비율은
10
내가 만드는 문제 7
 _100 = 70 (%)
12 왼쪽 병에 담긴 소금물 양에 대한 소금 양의 비율을 백 10
분율로 나타내면 ;15(0;_100 = 6 (%)입니다. 따라서 75 3 12
2 100 = 4 = 16 이므로 전체 16칸 중에서 12칸을 색
만든 소금물에 들어 있는 소금 양은 6 g보다 많아야 합
칠하면 됩니다.
니다.
전체 25칸에 대한 색칠한 15칸의 비율은
15 3
3 = 입니다.
25 5
3 12
= 이므로 전체 20칸 중에서 12칸을 색칠하면 됩
5 20
니다.

4 기준량은 올린 글 수, 비교하는 양은 답글 수입니다.


11 22
= 이므로 올린 글이 50개일 때 답글은 22개입
25 50
니다.

5 (전봇대 높이에 대한 그림자 길이의 비)


 (그림자 길이) : (전봇대 높이) = 144 : 432

정답과 풀이 25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5 2022. 8. 17. 오후 6:0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144 1 나: ;3@5^0^;_100  76 %
 =
432 3
따라서 그림자 길이는 물체 높이의
1 이고 물체 높이는 54<76이므로 나 영화가 관람석 수에 대한 관객 수의
3 비율이 더 높습니다.
그림자 길이의 3배입니다.
1 12 가 후보의 득표율은 ;5!0*0%;_100 = 37 (%)이고,
(옷장 그림자 길이) = 168_ = 56 (cm)
3
(에어컨 높이) = 72_3 = 216 (cm) 나 후보의 득표율은 ;5!0$0);_100 = 28 (%)입니다.

85 17 (여학생 수) 17 다 후보의 득표수는 500-185-140=175(표)이므로


6 0.85 = 100 = 20 이므로 = 입니다.
20
득표율은 ;5!0&0%;_100 = 35 (%)입니다.
(남학생 수)
17 17_7 119 이므로 남학생이
= = 140명일 때
20 20_7 140 따라서 득표율이 30 %보다 높은 후보는 가와 다입니다.
여학생은 119명입니다.
⑴ (소금물 양에 대한 소금 양의 비율) = ;8¢0; =
1
13 20
15 100 20
7 ㉠ 15 %  = ;2£0;   ㉡ = 1
100 15 3 ⑵ (소금물 양에 대한 소금 양의 비율) = ;7£2; =
3    ㉣ 15 24
㉢ 0.15 = = ;2£0;
20 100 13 39
14 (가 설탕물 양에 대한 설탕 양의 비율) = =
따라서 크기가 다른 하나는 ㉡입니다. 100 300
 가 설탕물에는 39 g의 설탕이 들어 있습니다.
⑴ 7 : 25  (비율) =
7 28 이므로
8 =
25 100 (나 설탕물 양에 대한 설탕 양의 비율)
28 ▢ 35 7 84
< 입니다. = = =
100 100 100 20 240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는  나 설탕물에는 84 g의 설탕이 들어 있습니다.
29입니다. 따라서 나 설탕물에 들어 있는 설탕 양이
12
⑵  =
3 30 84 - 39 = 45 (g) 더 많습니다.
= = 30 %이므로 30 %<▢ %
40 10 100
입니다. 15 (초코우유 양에 대한 초코 시럽의 비율)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는 = ;3!0)0); = ;3!;
31입니다.
(딸기우유 양에 대한 딸기 시럽의 비율)
(유찬이의 성공률) = ;1!5); =
10_4
9 = ;6$0); = ;3!; = ;1¤8¼0;
15_4
▢ ▢_3 ▢_3 따라서 딸기 시럽을 60 mL 넣어야 합니다.
(승희의 성공률) = = =
20 20_3 60
▢_3 90000
;6$0); < 에서 40<▢_3이므로 ▢ 안에 들어갈 16 (월 이자율) =
1500000
_100 = 6 (%)
60
수 있는 자연수는 14, 15, 16, …입니다.
(대한 은행의 이자율) =
560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는 14 17 _100 = 8 (%)
7000
입니다.
(민국 은행의 이자율) =
720
_100 = 6 (%)
12000
10 ⑴ ;5@;_100 = 40 (%) 따라서 8 %>6 %이므로 이자율이 더 높은 은행은 대
40>15이므로 ;5@;>15 %입니다. 한 은행입니다.

⑵ 0.24_100 = 24 (%) 18 (성실 은행의 1년 이자) = 12600Ö3 = 4200(원)


18<24이므로 18 %<0.24입니다. (성실 은행의 이자율) =
4200
_100 = 6 (%)
70000
11 관람석 수에 대한 관객 수의 비율은 몇 %인지 각각 구합 따라서 100000원을 1년 동안 예금하면 이자는
니다. 6
100000_ = 6000(원)입니다.
가: 54 % 100

26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6 2022. 8. 17. 오후 6:09


3
4 단
원 단원 평가 105~107쪽 60<75이므로 60 %< 입니다.
⑵ 0.8_100 = 80 (%)
4
1 4 2 27 / 5
80<90이므로 0.8<90 %입니다.
3  4 
3 10 ;1£0; 9 ⑴
20 1 19
= =   
100 5 95
8 25 ;2¥5; 60 3 57
⑵ = =
100 5 95
5 6 ㉢, ㉣ 80 4 76
⑶ = =
7 ㉡ 100 5 95

8 ⑴< ⑵< 10 전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비는 6 : 8이므로 6 대 8이


라고 읽을 수 있습니다.
9 ⑴ 19 ⑵ 57 ⑶ 76
전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비율은
10 ㉡ 11 46 %
;8^; = ;4#; = 0.75  75 %입니다.
12 2 : 3, 1 : 4에 ◯표
13 (왼쪽에서부터) 27, 35 14 풀빛 마을 11 (학급 문고 책 수) = 54 + 46 = 100(권)
(학급 문고 책 수에 대한 과학책 수의 비율)
15 ㉡ 16 19
(과학책 수) 46
17 62.5 % 18 = (학급 문고 책 수) =
우주 은행 100
19 64 % 20  실내화 46
 _100 = 46 (%)
100

3 기준량이 8이고 비교하는 양이 6이므로 전체 8칸 중 6칸 (비율) =


(비교하는 양)
<1이려면
12 (기준량)
을 색칠합니다.
(비교하는 양)<(기준량)입니다.
5
5 5 : 12  (비율) = 12    13 (가 소금물 양에 대한 소금 양의 백분율)
12 2 54
12와 18의 비  (비율) = = = _100 = 27 (%)
18 3 200
7 (나 소금물 양에 대한 소금 양의 백분율)
10에 대한 7의 비  (비율) = = 0.7
10 91
= _100 = 35 (%)
㉠ 비교하는 양 3, 기준량 4  3<4 260
6
㉡ 비교하는 양 5, 기준량 7  5<7 14 (풀빛 마을의 넓이에 대한 인구의 비율)
(비교하는 양) 9 8940
㉢  = >1이므로 = = 745
(기준량) 7 12
(비교하는 양)>(기준량)입니다. (고산 마을의 넓이에 대한 인구의 비율)

㉣ 112 % =
112 11760
>1이므로 = = 735
100 16
(비교하는 양)>(기준량)입니다. 따라서 두 마을 중 넓이에 대한 인구의 비율이 더 높은
마을은 풀빛 마을입니다.
7 ㉡ 9에 대한 5의 비는 기준량이 9이고 비교하는 양이 5
이므로 5 : 9로 나타냅니다. 360
15 ㉡의 판매율은 _100 = 72 (%)이므로 판매율이
3 1 500
㉢ 3 : 12  (비율) = = ,
12 4 더 높은 빵은 ㉡입니다.
1
1 : 4  (비율) = 65 65_3 195
4 16 (지혜의 성공률) = 65 % = = =
100 100_3 300
3 ▢ ▢_10
8 ⑴ _100 = 75 (%) (재민이의 성공률) = =
4 30 300
정답과 풀이 27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7 2022. 8. 17. 오후 6:0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5
195 ▢_10
> 에서 195>▢_10이므로 ▢ 안에 들
300 300 여러 가지 그래프
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19, 18, 17, …입니다.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큰 자연수는 19입 이 단원에서는 이전에 배운 그림그래프를 작은 수가 아닌 큰
니다. 수를 가지고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비율그래프로 띠그래
프와 원그래프를 배웁니다. 그림그래프는 여러 자료의 수치
17 (전체 넓이) = 24_24 = 576 (cmÛ```)
를 그림의 크기로 나타낸 것이고, 띠그래프는 전체에 대한
(㉮ 넓이) = 18_24Ö2 = 216 (cmÛ```) 각 부분의 비율을 띠 모양으로, 원그래프는 각 부분의 비율
(㉯ 넓이)= (전체 넓이) - (㉮ 넓이) 을 원 모양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때, 그림그래프는 자료
= 576 - 216 = 360 (cmÛ```) 의 수치의 비율과 그림의 크기가 비례하지 않지만, 띠그래프
(전체 넓이에 대한 ㉯ 넓이의 비율) 와 원그래프는 비례하며 전체의 크기를 100 %로 봅니다.
그림그래프와 비율그래프인 띠그래프와 원그래프를 배운 후
360
= _100 = 62.5 (%) 에는 이 그래프(그림, 띠, 원)가 실생활에서 쓰이는 예를 보
576
고 해석할 수 있으며, 그 후에는 지금까지 배웠던 여러 가지
18 (하늘 은행의 이자율) 그래프(막대, 그림, 꺾은선, 띠, 원)를 비교해 봄으로써 상황
8000 에 맞는 그래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_100 = 20 (%)
40000
(우주 은행의 이자율) =
27000
_100 = 30 (%)
90000
따라서 20 %<30 %이므로 이자율이 더 높은 은행은
우주 은행입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1 그림그래프는 그림의 크기로 많고 
적음을 알 수 있어. 110~111쪽
서술형
19  전체 25칸에 대한 색칠한 16칸의 비율은 ;2!5^;입니다.
1 ⑴ 1000, 100 ⑵ 2300, 2200, 1500, 3000
따라서 백분율로 나타내면 ;2!5^;_100 = 64 (%)입니
2 ⑴ 제주도 
다. ⑵ 33만 마리

평가 기준 배점 3 ⑴ 970000, 160000, 900000 


전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비율을 구했나요? 2점 ⑵ 권역별 쌀 생산량
전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백분율을 구했나요? 3점 강원
서울・인천・경기
서술형
20  필통, 가방, 실내화의 할인 금액은 각각 300원, 대전・세종・충청 대구・부산
1200원, 900원입니다. ・울산・경상

(필통의 할인율) =
300 광주・전라
_100 = 10 (%)
3000
(가방의 할인율) =
1200 만 U
_100 = 15 (%)
8000 제주
만 U

(실내화의 할인율) =
900
_100 = 18 (%)
5000
따라서 할인율이 가장 높은 물건은 실내화입니다. 2 ⑵  3개, 3개이므로 경기도에서 기르는 소는 33만
마리입니다.
평가 기준 배점
필통, 가방, 실내화의 할인율을 각각 구했나요? 3점 3 ⑴ 대전·세종·충청 권역: 972166 → 970000, 
어느 물건의 할인율이 가장 높은지 구했나요? 2점 강원 권역: 155501 → 160000, 
대구·부산·울산·경상 권역: 901960 → 900000
⑵ 대전·세종·충청 권역은 9개, 7개, 강원 권역
은 1개, 6개, 대구·부산·울산·경상 권역은
9개로 나타냅니다.

28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8 2022. 8. 17. 오후 6:09


5 마을별 인구
교 과 서
개념 이해 2 띠 모양으로 나타내면 띠그래프야. 112쪽
햇빛 하늘

1 ⑴ 40 / 7, 28 / 3, 12 
⑵ 좋아하는 운동별 학생 수 구름 달빛
          () 명
명
야구 축구 테니스
(A) 
(A) 
(A)
발레
다 / 다, 나

(A)

1 대구·부산·울산·경상 권역이 큰 그림의 수가 9개로


1 ⑴ 비율에 100을 곱해서 나온 값에 기호 %를 붙이면 백
가장 많습니다.
분율이 됩니다.
가 9개, 가 6개이므로 에어컨 판매량은 96만 대입니
다.

2 서울·인천·경기 권역의 에어컨 판매량은 54만 대이고,


대전·세종·충청 권역의 에어컨 판매량도 54만 대입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3 각 항목의 백분율의 크기만큼 띠를 나누자. 113쪽
3 광주·전라 권역의 에어컨 판매량은 88만 대이고, 제주
1 ⑴ 10, 30, 20, 100  권역의 에어컨 판매량은 32만 대입니다.
⑵ 여행 가고 싶은 지역별 학생 수 ➡ 88만 - 32만 = 56만 (대)
          ()
4 햇빛: 3151 → 3200,   하늘: 5212 → 5200, 
제주
(A)
경주
(A)
부산
(A)
전주
(A) 구름: 3625 → 3600,   달빛: 4251 → 4300

5 햇빛: 3200명  3개, 2개


1 ⑴ 경주: ;1Á5°0;_100 = 10 (%),
하늘: 5200명  5개, 2개
부산: ;1¢5°0;_100 = 30 (%),
구름: 3600명  3개, 6개
전주: ;1£5¼0;_100 = 20 (%)
달빛: 4300명  4개, 3개
⑵ 띠그래프로 나타내는 방법
① ‌각 항목이 차지하는 백분율의 크기만큼 선을 그어 띠
를 나눕니다.
116~117쪽
② 나눈 부분에 각 항목의 내용과 백분율을 씁니다. 개념 적용
띠그래프 알아보기
③ ‌띠그래프의 제목을 씁니다. 이때 제목은 표의 제목과
같게 써도 됩니다. 6 중식, 15 % 7 2배
8 띠그래프 9 15 %
10 (위에서부터) 20 / 15, 30, 100 / 
좋아하는 꽃별 학생 수
          ()

개나리 장미 무궁화

114~115쪽 (A) (A) 


(A)
개념 적용
그림그래프로 나타내기 목련

(A)
1 대구·부산·울산·경상 권역에 ◯표, 96만 대
11  초코우유를 좋아하는 학생 수의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2 서울·인천·경기 권역, 대전·세종·충청 권역
커피우유를 좋아하는 학생 수의 비율은 전체의 15 %입니다.
3 56만 대
내과, 25
4 3200, 5200, 3600, 4300

정답과 풀이 29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29 2022. 8. 17. 오후 6:0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6 띠그래프에서 띠의 길이가 가장 짧은 항목은 중식입니다. 12 학생 수를 먼저 쓴 다음 전체 학생 수를 구하고 백분율을


따라서 가장 적은 학생이 좋아하는 음식 종류는 중식이 구합니다.

지리산 : ;3°0¢0;_100 = 18 (%), 


고 전체의 15 %입니다.

7 (양식이 차지하는 백분율)Ö(중식이 차지하는 백분율)


기타 : ;3ª0Á0;_100 = 7 (%)
= 30Ö15 = 2(배)
9 백분율의 합계는 100 %이고  13 띠그래프의 작은 눈금 한 칸은 1%를 나타냅니다.
100 - (20 + 55 + 10) = 15이므로 독일의 노벨상 수
14 띠그래프에서 띠의 길이가 가장 긴 항목은 한라산입니다.
상자 수는 전체의 15 %입니다.
따라서 가장 많은 학생이 가고 싶은 산은 한라산입니다.
10 (전체 학생 수) = 4 + 3 + 7 + 6 = 20(명)
15 저금이 교육비의 2배이므로 저금의 백분율은 20 %입니
목련: ;2£0;_100 = 15 (%),  다. 백분율의 합계는 100 %이므로 공과금의 백분율은 
100 - (35 + 20 + 10 + 10) = 25 (%)입니다.
무궁화: ;2¤0;_100 = 30 (%)

11 작은 눈금 한 칸의 크기는 5 % 이므로 초코우유는


40 %, 커피우유는 15 %, 바나나우유는 25 %, 딸기우 교 과 서
개념 이해 4 원 모양으로 나타내면 원그래프야. 120쪽
유는 20 %입니다.
1 ⑴ 30 / 40, 20 / 50, 25 
⑵ 좋아하는 색깔별 학생 수
기타 
118~119쪽 
(A)
개념 적용
띠그래프로 나타내기 빨강
(A)
 파랑

12 (위에서부터) 72, 45, 21, 300 / 18, 7, 100 
(A)
초록
13  가고 싶은 산별 학생 수 
(A) 
          ()
한라산
(A)
설악산
(A)
지리산 금강산
(A) (A)
1 ⑴ 백분율을 구하려면 비율에 100을 곱해서 나온 값에
기타 기호 %를 붙이면 됩니다.
(A)

18
14 한라산

15 25
 , 20, 100 / 
교 과 서
개념 이해 5 각 항목의 백분율의 크기만큼 원을 나누자. 121쪽

생활비의 쓰임새별 금액  40, 25, 20, 100 


1 ⑴
          ()
⑵ 좋아하는 채소별 학생 수
식비 공과금 저금 교육비 기타
(A) (A) (A) (A) (A) 
오이
호박
(A)
16   아침 식사별 학생 수 (A)

 감자 당근
아침 식사 빵 밥 시리얼 기타 합계 (A) (A)

학생 수(명) 25 15 35 25 100 
백분율(%) 25 15 35 25 100
 아침 식사별 학생 수 1 ⑴ 당근: ;2¥0¼0;_100 = 40 (%), 
          ()
빵 밥 시리얼 기타 감자: ;2°0¼0;_100 = 25 (%), 
(A) (A) (A) (A)

호박: ;2¢0¼0;_100 = 20 (%)


25
(합계) = 15 + 40 + 25 + 20 = 100 (%)

30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0 2022. 8. 17. 오후 6:09


⑵ 원그래프로 나타내는 방법 5 해금을 배우고 싶어하는 학생이 20 %이므로 해금을 배
우고 싶어하는 학생은 25_;1ª0¼0; = 5(명)입니다.
① 각 항목이 차지하는 백분율의 크기만큼 선을 그어
원을 나눕니다.
② 나눈 부분에 각 항목의 내용과 백분율을 씁니다.
③ 원그래프의 제목을 씁니다. 이때 제목은 표의 제목
과 같게 써도 됩니다.
126~127쪽
개념 적용
원그래프로 나타내기

6 15
 , 20, 30, 100 / 태어난 계절별 학생 수
교 과 서
개념 이해 6 그래프의 비율로 여러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어. 122쪽
겨울 봄
(A) (A)
 
1 ⑴◯ ⑵× ⑶◯ ⑷× 가을
여름
(A) (A)


1 ⑴ 가장 많은 학생이 가고 싶은 나라는 띠의 길이가 가장
긴 미국입니다. 7 (위에서부터) 120, 60 / 30, 25, 100
⑵ 가장 적은 학생이 가고 싶은 나라는 띠의 길이가 가장
8 좋아하는 분식 종류별 학생 수
짧은 중국입니다. 어묵 
(A)
⑶ 25 + 20 = 45 (%) 떡볶이
⑷ 30Ö20 = 1.5(배)  튀김
(A)

(A)
라면
(A)


교 과 서
개념 이해 7 각 그래프의 특징을 비교해 보자. 123쪽 9 25
 , 25, 100 / 하고 싶은 민속놀이별 학생 수

1 띠그래프, 원그래프에 ◯표 투호 제기차기
(A) (A)
 윷놀이 
연날리기 (A)
(A)



124~125쪽
10   성씨별 사람 수 /
원그래프 알아보기
개념 적용
성씨 사람 수(명) 백분율(%)

1 16 % 2 짜장면, 17 % 김씨 7 35
3 2배 4 ⑴◯ ⑵× ⑶× 이씨 4 20
박씨 3 15
5 5명
기타 6 30
성적, 30 합계 20 100
성씨별 사람 수
2 원그래프에서 나타내는 부분이 가장 좁은 항목은 짜장면 
입니다. 따라서 가장 적은 학생이 좋아하는 음식은 짜장 기타 김씨
면이고 전체의 17 %입니다. 
(A) (A)

이씨
3 34Ö17 = 2(배) 박씨
(A)
(A) 
4 ⑵ 백분율의 합계는 100 %이고 
100 - (10 + 25 + 45) = 20이므로 수영장에 가
30
고 싶은 학생 수는 전체의 20 %입니다.

정답과 풀이 3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1 2022. 8. 17. 오후 6:0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6 여름: ;2£0¼0;_100 = 15 (%),  14 35>30>14>11>10이므로 전력 사용량이 두 번째


로 많은 가전제품은 냉장고입니다.
가을: ;2¢0¼0;_100 = 20 (%), 
15 가 마을의 공기청정기와 나 마을의 컴퓨터의 전력 사용량
겨울: ;2¤0¼0;_100 = 30 (%) 의 비율은 14 %로 같습니다.

(합계) = 35 + 15 + 20 + 30 = 100 (%) 16 ⑵ 12월의 새우 판매량의 비율은 45 %이고 4월의 새우


판매량의 비율은 30 %입니다. 
7 전체 학생 수에 대한 좋아하는 분식별 학생 수의 백분율
➡ 45Ö30 = 1.5(배)
을 구합니다. 

떡볶이: ;4!0@0);_100 = 30 (%), 

튀김: ;4!0)0);_100 = 25 (%)

9 백분율의 합계가 100 %이므로 윷놀이와 투호의 백분율


은 100 - (20 + 30) = 50 (%)입니다. 윷놀이와 투호
의 백분율이 같으므로 각각 25 %입니다.
내가 만드는 문제

10  전체 사람 수에 대한 성씨별 사람 수의 백분율을 구 여러 가지 그래프 비교하기


130~131쪽
개념 적용
합니다.

김씨: ;2¦0;_100 = 35 (%),  18  도서관을 이용한 학생 수 /


(명) 125

이씨: ;2¢0;_100 = 20 (%),  100

75
박씨: ;2£0;_100 = 15 (%),  0
학생 수 월 화 수 목 금

기타: ;2¤0;_100 = 30 (%)


요일 (요일)

도서관을 이용한 학생 수 /
          ()
월 화 수 목 금
(A) (A) (A) (A) (A)

⑴ 꺾은선그래프에 ◯표 ⑵ 띠그래프에 ◯표

19 ⑴ 막대그래프 ⑵ 원그래프
128~129쪽
그래프 해석하기
개념 적용
20  과수원별 사과 생산량  /

11 과학자, 36 % 12 27명 과수원 싱싱 맛나 달콤 아삭 합계


생산량(상자) 2400 3600 4200 1800 12000
13 12 % 14 냉장고
백분율(%) 20 30 35 15 100
15 공기청정기, 컴퓨터
과수원별 사과 생산량 / 과수원별 사과 생산량
16 ⑴ 새우, 조개 ⑵ 1.5 
(상자) 아삭
4000
17  쇼핑의 2배만큼을 저금합니다. (A)
싱싱
3000
(A)
용돈이 10000원이라면 4000원을 저금합니다. 2000  달콤 맛나 
1000 (A) (A)
0
100, 100 생산량
싱싱 맛나 달콤 아삭
과수원 

11 띠의 길이가 가장 긴 항목은 과학자이고 36 %입니다.


그림 / 꺾은선 / 원
12 과학자가 되고 싶은 학생 수는 선생님이 되고 싶은 학생
수의 36Ö12 = 3(배)이므로 과학자가 되고 싶은 학생 19 ⑴ 키와 같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을 나타낼 때에는
은 9_3 = 27(명)입니다. 막대그래프와 꺽은선그래프가 알맞습니다.

32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2 2022. 8. 17. 오후 6:09


5 가: ;2¦0¤0;_100 = 38 (%), 
개념 완성 발전 문제 132~134쪽

나: ;2¤0¼0;_100 = 30 (%), 
1 30 %
2 가고 싶은 장소별 학생 수 다: ;2¢0¢0;_100 = 22 (%), 
기타 
라: ;2ª0¼0;_100 = 10 (%)
(A)
놀이공원
수영장 (A) 
 (A)
박물관
(A) 7 영화 관람이 나타내는 백분율은 
 100 - (30 + 20 + 15 + 10) = 25 (%)입니다.

3 좋아하는 간식별 학생 수 8 영화 관람을 하고 싶은 학생은 60명 중 25 %이므로 



60_;1ª0°0; = 15(명)입니다.
기타
(A)
햄버거 치킨
(A) (A)
 떡볶이 
(A) 피자 9 볼펜을 사용하는 학생 수의 백분율은 
(A)
100 - (40 + 30 + 10) = 20 (%)입니다.

볼펜을 사용하는 학생은 40명 중 20 %이므로 
4 76, 60, 44, 20, 200 5 38, 30, 22, 10, 100
40_;1ª0¼0; = 8(명)입니다.
6  마을별 학생 수 /
           
10 2022년의 딸기 생산량의 백분율은 30 %이고, 배 생산
가 나 다
(A) (A) (A) 량의 백분율은 10 %이므로 딸기 생산량은 배 생산량의
라 (A)
3배입니다.
마을별 학생 수

(A)
 11 2020년의 딸기 생산량의 백분율은 24 %이고 2022년


의 딸기 생산량의 백분율은 30 %입니다.

 (A) (A) 
2022년의 딸기 생산량은 2020년의 딸기 생산량의 

(A)
30Ö24 = ;2#4); = ;4%;{ = 1;4!;}(배)입니다.


7 25 % 8 15명 12 보리의 생산량의 비율은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했습니다.

9 8명 10 3배 13 6학년 학생 수의 백분율은 20 %이므로 6학년 학생은


11 ;4%; {=1;4!;}배 800_;1ª0¼0; = 160(명)입니다.

12  쌀 생산량의 비율은 매년 줄어들고 있습니다.


밀 생산량의 비율은 매년 늘어나고 있습니다.
14 6학년 학생 160명 중 여학생 수의 백분율은 
100 - 45 = 55 (%)이므로 6학년 여학생은
13 160명 14 88명
160_;1°0°0; = 88(명)입니다.
15 312 kmÛ 16 4배
17 48명 18 120명 15 토지의 넓이 3000 kmÛ 중 농경지는 

3000_;1¢0¼0; = 1200 (kmÛ   )입니다.


1 100 - (35 + 20 + 15) = 30이므로 박물관에 가고 싶
은 학생 수는 전체의 30 %입니다. 농경지 1200 kmÛ 중 과수원은 

1200_;1ª0¤0; = 312 (kmÛÛ )입니다.


2 각 항목이 차지하는 백분율의 크기만큼 원을 나눕니다.

3 햄버거를 좋아하는 학생 수의 백분율은  16 (복지 시설 백분율)Ö(지역 행사 백분율)


100 - (30 + 25 + 20 + 15) = 10 (%)입니다. = 40Ö10 = 4(배)

정답과 풀이 33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3 2022. 8. 17. 오후 6:0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17 복지 시설에 참여한 학생 수는 지역 행사에 참여한 학생 1 3100은 큰 그림 3개, 작은 그림 1개로 나타냅니다.


수의 4배이므로 복지 시설에 참여한 학생은 
2 마을별로 1000 kg은 큰 그림으로, 100 kg은 작은 그
12_4 = 48(명)입니다.
림으로 나타냅니다.
18 지역 행사에 참여한 학생 수의 백분율 10 %가 12명이
므로 전체 학생은 12_10 = 120(명)입니다. 4 35 + 25 + 30 + 10 = 100 (%)
5 원그래프의 제목은 먼저 써도 됩니다.

8 30 + 35 = 65 (%)
9 백분율의 합계는 100 %이고 
100 - (40 + 20 + 10) = 30이므로 고양이를 키우는
가구 수는 전체의 30 %입니다.

5 단
원 단원 평가 135~137쪽
10 개를 키우는 가구 수는 전체의 40 %이고, 토끼를 키우
1 3개, 1개 는 가구 수는 전체의 20 %이므로 40Ö20 = 2(배)입니
다.
2 마을별 옥수수 수확량
가 나
11 고양이를 키우는 가구 수의 백분율 30 %가 30가구이므
로 전체 비율 100 %는 100가구입니다. 따라서 전체 가
다 라
구 수는 100가구입니다.

ALH ALH 12 표를 보면 각 항목의 수량과 합계를 바로 알 수 있습니


다. 꺾은선그래프는 각 자료의 수를 점으로 표시하고 그
3 검은색 4 100 % 점들을 선분으로 이어 나타냅니다. 띠그래프는 전체에
5 ㉢, ㉠, ㉣, ㉤ 6 20, 15, 35, 100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띠 모양에 나타냅니다.
7 가고 싶은 축제별 학생 수
           
13 (혁수네 마을의 전체 학생 수)

벚꽃 축제 불꽃 축제 별빛 축제
= 90 + 75 + 105 + 30 = 300(명)
초등학교: ;3»0¼0;_100 = 30 (%), 
(A) (A) (A)
얼음 축제(A)

8 65 % 9 30 % 중학교: ;3¦0°0;_100 = 25 (%), 


10 2배 11 100가구
고등학교: ;3!0º)0%;_100 = 35 (%), 
12 ㉡, ㉠, ㉢ 13 30, 25, 35, 10, 100
14 학교별 학생 수 대학교: ;3£0¼0;_100 = 10 (%)
           
초등학교
(A)
중학교
(A)
고등학교
(A) 15 원의 중심에서 원의 둘레 위에 표시된 눈금까지 선을 그
대학교(A) 어야 합니다.

15 학교별 학생 수 16 종류별 판매량


16 농구용품 판매량이 수영용품 판매량의 3배이므로 수영
대학교  기타  수영용품

용품 판매량은 농구용품 판매량의 ;3!; 배입니다.


(A) (A) (A)
초등학교
축구용품
(A)
 고등학교
(A) 중학교
  야구용품
(A)
(A)  따라서 농구용품 판매량의 백분율이 30 %이므로 수영
농구용품
용품 판매량의 백분율은 30_;3!; = 10 (%)입니다.
(A) (A)
 

17 17개 18 18명 17 축구용품 판매량의 백분율은 수영용품 판매량의 백분율


의 20Ö10 = 2(배)입니다.
19 100명 20 1.2배
따라서 수영용품은 34Ö2 = 17(개) 팔렸습니다.

34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4 2022. 8. 17. 오후 6:09


18 처음에 등교 시간이 10분 미만인 학생 수는

50_;1£0¼0; = 15(명)이었으므로 3명이 늘어나면 학생


수는 15 + 3 = 18(명)이 됩니다.
6 직육면체의 부피와 겉넓이
일상생활에서 물건의 부피나 겉넓이를 정확히 재는 상황이
서술형 흔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물건의 부피나 겉넓이를 어림해
19  100 - (35 + 30 + 10) = 25이므로 케이크를 좋아
야 하는 상황은 생각보다 자주 발생합니다. 학생들이 쉽게
하는 학생 수의 백분율은 25 %입니다. 케이크를 좋아하 접할 수 있는 상황을 예로 들면 선물을 포장할 때 선물의 부
는 학생은 400명 중 25 %이므로  피를 생각하여 겉넓이를 어림하면 포장지의 양을 정할 수 있

400_;1ª0°0; = 100(명)입니다.
습니다. 뿐만 아니라 부피와 겉넓이 공식을 학생들이 이미
학습한 넓이의 공식을 이용해서 충분히 유추해 낼 수 있는
만큼 학생들에게 충분한 추론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평가 기준 배점
이 단원에서 부피 공식을 유도하는 과정은 넓이 공식을 유도
케이크를 좋아하는 학생 수의 백분율을 구했나요? 3점
하는 과정과 매우 흡사하므로, 5학년에서 배운 내용을 상기
케이크를 좋아하는 학생은 몇 명인지 구했나요? 2점
시키고 이를 잘 활용하여 유추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합니
서술형 다. 직육면체의 겉넓이 개념은 3 차원에서의 2 차원 탐구인
20  콜라를 좋아하는 학생 수는 전체의 30 %이고, 주스 만큼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주제이므로 구체물을 활용하여
를 좋아하는 학생 수는 전체의 25 %이므로 콜라를 좋아 충분히 겉넓이 개념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겉넓이 공식을
하는 학생 수는 주스를 좋아하는 학생 수의  다양한 방법으로 유도하도록 합니다.
30Ö25 = 1.2(배)입니다.
평가 기준 배점
콜라와 주스를 좋아하는 학생 수의 백분율을 각각 구했나요? 2점
콜라를 좋아하는 학생 수는 주스를 좋아하는 학생 수의 몇 배인
지 소수로 나타냈나요?
3점
교 과 서
개념 이해 1 어떤 물건이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가
부피야. 140~141쪽

1 가, 나
2 다
3 ⑴ 32, 24 ⑵ 가
4 ⑴ 36개, 24개 ⑵ 가

2 직접 맞대어 부피를 비교하려면 가로, 세로, 높이 중에서


두 종류 이상의 길이가 같아야 합니다. 주어진 상자와 상
자 다는 가로와 높이가 각각 같으므로 부피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3 ⑴ 가는 쌓기나무를 8개씩 4층으로 쌓았으므로 


8_4 = 32(개)이고, 나는 쌓기나무를 12개씩 2층으
로 쌓았으므로 12_2 = 24(개)입니다.
⑵ 32>24이므로 부피가 더 큰 직육면체는 가입니다.

4 ⑴ 상자 가에는 쌓기나무를 18개씩 2층으로 담을 수 있


으므로 18_2 = 36(개) 담을 수 있습니다. 
상자 나에는 쌓기나무를 8개씩 3층으로 담을 수 있으
므로 8_3 = 24(개) 담을 수 있습니다.
⑵ 상자 가에 쌓기나무를 더 많이 담을 수 있으므로 부피
가 더 큰 상자는 가입니다.

정답과 풀이 35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5 2022. 8. 17. 오후 6:0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2 ⑴ 가는 쌓기나무를 4개씩 5층으로 쌓았으므로 


교 과 서
개념 이해 2 (가로)_(세로)는 밑면의 넓이,  4_5 = 20(개)이고, 나는 쌓기나무를 6개씩 3층으
(가로)_(세로)_(높이)는 부피야. 142쪽
로 쌓았으므로 6_3 = 18(개)입니다. 
1 2, 2, 3, 2, 3, 4 / 2, 3, 4, 24 / 2, 3, 4, 24 따라서 (가의 부피) > (나의 부피)입니다.
⑵ 가는 쌓기나무를 9개씩 5층으로 쌓았으므로 
9_5 = 45(개)이고, 나는 쌓기나무를 16개씩 4층으
로 쌓았으므로 16_4 = 64(개)입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3 큰 부피를 재려면 m 의 단위가 필요해.3
143쪽
따라서 (가의 부피) < (나의 부피)입니다.

1 ⑴ cmÜ 에 ◯표 ⑵ mÜ 에 ◯표 3 상자 가에는 지우개를 9개씩 2층으로 담을 수 있으므로


2 ⑴ 3, 6, 36 ⑵ 500, 300, 200 / 30000000, 30 9_2 = 18(개)를 담을 수 있고, 상자 나에는 지우개를
6개씩 4층으로 담을 수 있으므로 6_4 = 24(개)를 담
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18<24이므로 부피가 더 큰 상자는 나입니다.
교 과 서
개념 이해 4 여섯 면의 넓이를 모두 더하면 직육면체의 4 상자 가에는 쌓기나무를 6개씩 3층으로 담을 수 있으므
겉넓이야. 144~145쪽
로 6_3 = 18(개)를 담을 수 있습니다. 
1 10, 10 상자 나에는 쌓기나무를 4개씩 5층으로 담을 수 있으므
로 4_5 = 20(개)를 담을 수 있습니다. 
2 ⑴ 54, 36, 24, 36, 24, 54 
⑵ 54, 36, 24, 36, 24, 54, 228  상자 다에는 쌓기나무를 12개씩 2층으로 담을 수 있으므
⑶ 54, 30, 228  로 12_2 = 24(개)를 담을 수 있습니다. 
⑷ 54, 36, 24, 228 따라서 상자의 부피를 비교하면 가<나<다입니다.
내가 만드는 문제
3 ⑴ 20, 5, 4, 5, 4 / 148 ⑵ 21, 15, 35 / 142 5 가로, 세로, 높이 중에서 두 종류를 같게 하고, 나머지 하
4 ⑴ 81, 6, 486 ⑵ 8, 8, 6, 384 나를 짧게 그리면 주어진 부피보다 작아지고, 나머지 하
나를 길게 그리면 주어진 부피보다 커집니다.

146~147쪽
개념 적용
직육면체의 부피 비교하기
148~149쪽
직육면체의 부피 구하기
1
개념 적용

6 ⑴ 60 cmÜ ⑵ 60 cmÜ
2 ⑴> ⑵<
7 ⑴ 144 cmÜ ⑵ 128 cmÜ
3 나
8 ⑴ 84 cmÜ ⑵ 64 cmÜ
4 가, 나, 다
9 가
5 

ADN
 10 ⑴ 21 ⑵ 7
ADN
ADN ADN 11 물건  선물 상자   부피 420 cmÜ
ADN ADN
5, 5, 5, 125

나에 ◯표 6 ⑴ 부피가 1 cmÜ 인 쌓기나무가 3_4_5 = 60(개)이


므로 부피는 60 cmÜ 입니다.
1 직접 맞대어 부피를 비교하려면 가로, 세로, 높이 중에서 ⑵ 부피가 1 cmÜ 인 쌓기나무가 5_4_3 = 60(개)이
두 종류 이상의 길이가 같아야 합니다. 므로 부피는 60 cmÜ 입니다.

36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6 2022. 8. 17. 오후 6:09


7 직육면체의 부피는 (한 밑면의 넓이)_(높이)를 이용하 ⑵ (상자의 부피)
AN
여 구할 수 있습니다. = 1_2.5_1.2 = 3 (mÜ )
⑴ 48_3 = 144 (cmÜ ) ⑵ 32_4 = 128 (cmÜ ) AN
AN
8 ⑴ 7_3_4 = 84 (cmÜ )
⑵ 4_4_4 = 64 (cmÜ ) 16 ㉠ 400_400_200 = 32000000 (cmÜ ) ➡ 32 mÜ 
㉡ 2_0.7_3 = 4.2 (mÜ )
9 가: 4_10_13 = 520 (cmÜ )
㉢ 4_4_4 = 64 (mÜ )
나: 8_5_6 = 240 (cmÜ )
따라서 부피가 큰 순서대로 기호를 쓰면 ㉢, ㉠, ㉡입니다.
따라서 부피가 더 큰 직육면체는 가입니다.

⑴ _6 = 126이므로  = 126Ö6 = 21입니다.


17 800 cm = 8 m이므로 
10
(색칠한 면의 넓이)_8 = 768, 
⑵ _9_6 = 378이므로 _54 = 378, 
(색칠한 면의 넓이) = 768Ö8 = 96 (mÛ )입니다.
 = 378Ö54 = 7입니다.
내가 만드는 문제

18  (직육면체의 부피) = 4_3_5 = 60 (mÜ ) 


내가 만드는 문제

11  (선물 상자의 부피) = 7_5_12 = 420 (cmÜ )


➡ 60000000 (cmÜ )

152~153쪽
개념 적용
직육면체의 겉넓이 구하기
150~151쪽
개념 적용
1 m3 알아보기 19 ⑴ 324 cmÛ ⑵ 54 cmÛ
20 나, 가, 4
 5000000 ⑵ 3 ⑶ 0.7 ⑷ 200000
12 ⑴
21 ⑴ 294 cmÛ ⑵ 150 cmÛ
13 >
 72 / 72000000 ⑵ 50 / 50000000
22 ⑴ 216 cmÛ ⑵ 190 cmÛ
14 ⑴
23 8
15 ⑴ 2.4 mÜ ⑵ 3 mÜ
24  ㉣ / 72 cmÛ
16 ㉢, ㉠, ㉡ 17 96 mÛ
18  4, 3, 5 / 60, 60000000
28, 24, 34

100, 100, 100, 1000000 19 ⑴ (직육면체의 겉넓이)


= (6_12 + 6_5 + 12_5)_2
12 1 mÜ = 1000000 cmÜ = (72 + 30 + 60)_2 = 324 (cmÛ )
13 32000000 cmÜ = 32 mÜ 이므로  ⑵ (정육면체의 겉넓이) = 3_3_6 = 54 (cmÛ )
40 mÜ >32 mÜ 입니다. 20 (직육면체 가의 겉넓이)
14 ⑴ (직육면체의 부피) = 6_4_3 = 72 (mÜ )  = (9_4 + 9_3 + 4_3)_2
➡ 72000000 cmÜ = (36 + 27 + 12)_2 = 150 (cmÛ )
⑵ 250 cm = 2.5 m, 500 cm = 5 m,  (직육면체 나의 겉넓이)
400 cm = 4 m = (18_8 + 18_6 + 8_6)_2
(직육면체의 부피) = 2.5_5_4 = 50 (mÜ )  = (144 + 108 + 48)_2 = 300_2 = 600 (cmÛ )
➡ 50000000 (cmÜ ) 따라서 직육면체 나의 겉넓이는 가의 겉넓이의 4배입니다.

15 ⑴ (상자의 부피) 21 ⑴ (정육면체의 겉넓이) = 7_7_6 = 294 (cmÛ )


AN
= 2_1.5_0.8 = 2.4 (mÜ ) ⑵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 = 15Ö3 = 5 (cm) 
AN AN  (정육면체의 겉넓이) = 5_5_6 = 150 (cmÛ )

정답과 풀이 37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7 2022. 8. 17. 오후 6:0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22 ⑴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2 (가의 부피) = 8_6_5 = 240 (cmÜ )


_4 = 24,  = 6입니다. (나의 부피) = 8_3_5 = 120 (cmÜ )
한 모서리의 길이가 6 cm인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240 cmÜ >120 cmÜ 이므로 부피가 더 큰 직육면체는
6_6_6 = 216 (cmÛ )입니다. 가입니다.
⑵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3 가 : (84 + 72 + 42)_2 = 198_2 = 396 (cmÛ )
_ = 25,  = 5입니다.
나 : 9_9_6 = 486 (cmÛ )
가로가 5 cm, 세로가 5 cm, 높이가 7 cm인 직육
따라서 나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면체의 겉넓이는 
486 - 396 = 90 (cmÛ ) 더 넓습니다.
(5_5 + 5_7 + 5_7)_2 = 190 (cmÛ )입니다.
4 __6 = 96이므로 _ = 16,  = 4입니다.
23 (정육면체의 겉넓이) = (한 면의 넓이)_6이므로 
(한 면의 넓이)= (정육면체의 겉넓이)Ö6 5 (7_2 + 7_ + 2_)_2 = 190,
= 384Ö6 = 64 (cmÛ )입니다. 14 + 7_ + 2_ = 95,
정육면체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7_ + 2_ = 81,
_ = 64이므로  는 8입니다. 9_ = 81,  = 9
따라서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8 cm입니다.
6 (직육면체의 겉넓이)
내가 만드는 문제
= (12_4 + 12_9 + 4_9)_2
24  한 꼭짓점에서 만나는 세 면의 넓이의 합의 2배로 구
합니다.  = (48 + 108 + 36)_2 = 192_2 = 384 (cmÛ )
(직육면체의 겉넓이)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__6 = 384, _ = 64이므로  = 8입니다.
= (6 + 12 + 18)_2 = 72 (cmÛ )
7 8_5_ = 240이므로 40_ = 240, 
 = 240Ö40 = 6입니다.

8 (직육면체 가의 부피) = 4_10_6 = 240 (cmÜ )


6_5_ =240이므로 30_ =240,  =8입니다.
개념 완성 발전 문제 154~157쪽
9 만든 상자의 한 꼭짓점에서 만나
1 나 2 가
ADN
는 세 모서리의 길이를 5 c m ,
3 나, 90 cmÛ 4 4  cm, 11 cm라고 하면 
ADN DN 5_ _11 = 330 ,  = 6 입
5 9 6 8 cm
니다.
7 6 8 8 따라서 상자의 겉넓이는 
9 302 cmÛ 10 150 cmÛ (5_6 + 6_11 + 5_11)_2 = 302 (cmÛ )입니다.

11 294 cmÛ 12 486 cmÛ 10 (정육면체의 겉넓이) = 5_5_6 = 150 (cmÛ )


13 2080 cmÜ 14 180 cmÜ 11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직
15 294 mÜ 16 1236 cmÛ 육면체의 가장 짧은 모서리의 길이와 같습니다. 
따라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
17 132 cmÛ 18 256 cmÛ
는 7 cm이므로 겉넓이는 7_7_6=294 (cmÛ )입니다.
19 1400 cmÜ 20 864 cmÜ
21 3200 cmÜ 22 24 mÜ
12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육면체의
ADN 한 모서리의 길이는 직육면체의 가
23 192개 24 96개 장 짧은 모서리의 길이와 같습니다.
ADN ADN

1 (가의 부피) = 4 mÜ` 따라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


(나의 부피) = 2_2_2 = 8 (mÜ ) 이는 9 cm이므로 겉넓이는 9_9_6 = 486 (cmÛ )입
4 mÜ <8 mÜ 이므로 나의 부피가 더 큽니다. 니다.

38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8 2022. 8. 17. 오후 6:09


13 (직육면체 가의 부피) = 13_10_11 = 1430 (cmÜ ) (늘어난 물의 부피) =40_20_4=3200(cmÜ``)입니다.
(직육면체 나의 부피) = 13_10_5 = 650 (cmÜ )
22 쌓기나무의 수는 2_4_3 = 24(개)이므로
➡ (두 직육면체의 부피의 합) 직육면체의 부피는 24 mÜ 입니다.
= 1430 + 650 = 2080 (cmÜ )
23 창고의 가로에 놓을 수 있는 상자의 수: 4개
14 직육면체를 둘로 나누어 두 직육면체의 부피의 합을 구 창고의 세로에 놓을 수 있는 상자의 수: 6개
합니다. 창고의 높이에 놓을 수 있는 상자의 수: 8개
 가 따라서 창고에 넣을 수 있는 상자는 모두 
나 4_6_8 = 192(개)입니다.
ADN
ADN 24 
ADN ADN
ADN ADN ADN
(가의 부피) + (나의 부피) ADN ADN
= (3_4_10) + (3_4_5) 직육면체 모양 상자의 가로에 놓을 수 있는 통 수: 
= 120 + 60 = 180 (cmÜ ) 200Ö25 = 8(개)
직육면체 모양 상자의 세로에 놓을 수 있는 통 수:
15 가 AN 50Ö25 = 2(개)
AN 직육면체 모양 상자의 높이에 놓을 수 있는 통 수:
AN 나 AN
AN 150Ö25 = 6(개)
AN 따라서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가득 채우는 데 필요한
직육면체를 둘로 나누어 두 직육면체의 부피의 합을 구 정육면체 통은 모두 8_2_6 = 96(개)입니다.
합니다.
(가의 부피) = 5_7_3 = 105 (mÜ )
(나의 부피) = 9_7_3 = 189 (mÜ )
➡ (입체도형의 부피)= (가의 부피) + (나의 부피)
= 105 + 189 = 294 (mÜ )
16 (직육면체 가의 겉넓이)
= (14_9 + 14_11 + 9_11)_2 = 758 (cmÛ )
(직육면체 나의 겉넓이)
= (7_9 + 7_11 + 9_11)_2 = 478 (cmÛ )
➡ (두 직육면체의 겉넓이의 합)
6 단
원 단원 평가 158~160쪽

= 758 + 478 = 1236 (cmÛ ) 1 높이 2 나

3 ⑴ 4000000 ⑵ 14.2
17 겉넓이는 잘려진 두 부분의 넓이만큼 늘어납니다. 
➡ 11_6 + 11_6 = 66 + 66 = 132 (cmÛ ) 4 ⑴ 70 mÜ ⑵ 5.4 mÜ
자르기 전의 직육면체의 가로는 8 cm, 세로는 4 cm, 5 164 cmÛ 6 96 cmÛ
18
높이는 8 cm이므로 겉넓이는  7 4배 8 42000000 cmÜ
(32 + 64 + 32)_2 = 128_2 = 256 (cmÛ )입니다. 9 384 cmÛ 10 7
19 (용액의 부피) = 35_20_2 = 1400 (cmÜ ) 11 9 12 1728 cmÜ
20 돌의 부피는 늘어난 물의 부피와 같습니다. 13 2.94 mÛ 14 264 cmÛ
(늘어난 물의 부피) = 12_18_4 = 864 (cmÜ ) 15 10 16 680 cmÜ
따라서 돌의 부피는 864 cmÜ 입니다.
17 264 cmÜ 18 9000개
21 돌을 넣었더니 물의 높이가 4 cm 높아졌습니다. 높아진
19 264 cmÛ 20 168 cmÛ
물의 부피가 돌의 부피이므로 

정답과 풀이 39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39 2022. 8. 18. 오후 4:49


진도책 | 정답과 풀이

2 가 상자에는 주사위를 15개씩 3층으로 담을 수 있으므로 15 직육면체 가의 겉넓이는 


모두 15_3 = 45(개) 담을 수 있고, 나 상자에는 주사 (15_10 + 15_6 + 10_6)_2
위를 12개씩 4층으로 담을 수 있으므로 모두  = (150 + 90 + 60)_2 = 600 (cmÛ )입니다.
12_4 = 48(개) 담을 수 있습니다. 정육면체 나의 겉넓이는 __6 = 600이므로 
따라서 부피가 더 큰 상자는 나입니다. _ = 100,  = 10입니다.

3 1 mÜ` = 1000000 cmÜ` 16 직육면체를 둘로 나누어 두 직육면체의 부피의 합을 구


⑴ 5_2_7 = 70 (mÜ ) 합니다.
4
⑵ 2_0.9_3 = 5.4 (mÜ )  가 나

5 (직육면체의 겉넓이) ADN ADN


= (10_3 + 10_4 + 3_4)_2 ADN ADN ADN ADN
= (30 + 40 + 12)_2 (입체도형의 부피)
= 82_2 = 164 (cmÛ )
= (가의 부피) + (나의 부피)
6 (겉넓이)= 4_4_6 = 96 (cmÛ ) = (10_7_8) + (10_3_4)
7 (가의 부피) = 5_8_6 = 240 (cmÜ ) = 560 + 120 = 680 (cmÜ )
(나의 부피) = 10_8_12 = 960 (cmÜ ) 17 돌의 부피는 늘어난 물의 부피와 같습니다.
따라서 직육면체 나의 부피는 가의 부피의 (늘어난 물의 부피) = 8_11_3 = 264 (cmÜ )
960Ö240 = 4(배)입니다. 따라서 돌의 부피는 264 cmÜ 입니다.

8 부피가 1 mÜ 인 쌓기나무 42개로 만든 직육면체의 부피 18 1 m = 100 cm에는 20 cm를 5개 놓을 수 있습니다. 


는 42 mÜ ➡ 42000000 cmÜ 입니다. 따라서 정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6 m = 600 cm에는
9 정육면체는 여섯 면의 넓이가 모두 같으므로 정육면체의 30개, 2 m = 200 cm에는 10개 놓을 수 있으므로 직
겉넓이는 128_3 = 384 (cmÛ )입니다. 육면체 모양의 상자에는 정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30_10_30 = 9000(개)까지 쌓을 수 있습니다.
10 __ = 343 ➡  = 7 서술형
19  넓이가 36 cmÛ 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6 cm
11 __6 = 486, _ = 81,  = 9
이므로 직육면체의 가로와 세로는 각각 6 cm입니다.
12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겉넓이)= (6_6 + 6_8 + 6_8)_2
__6 = 864이므로 _ = 144,  = 12입 = (36 + 48 + 48)_2
니다. = 132_2 = 264 (cmÛ )
따라서 한 모서리의 길이가 12 cm인 정육면체의 부피 평가 기준 배점
는 12_12_12 = 1728 (cmÜ )입니다. 직육면체의 가로와 세로를 각각 구했나요? 2점

13 70 cm = 0.7 m, 110 cm = 1.1 m입니다. 직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했나요? 3점

가장 큰 정육면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한 모서리의 길이 서술형

를 직육면체의 가장 짧은 모서리의 길이인 0.7 m로 해 20  직육면체를 똑같이 4조각으로 자를 때 잘린 직육면체


4조각의 겉넓이의 합은 처음 직육면체의 겉넓이보다
야 합니다.
(6_3)_4 + (8_3)_4 = 72 + 96 = 168 (cmÛ` `)
따라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늘어납니다.
0.7_0.7_6 = 2.94 (mÛ )입니다.
평가 기준 배점
14 직육면체의 높이를  cm라고 하면  잘라진 면의 합이 늘어난 면이라는 것을 알았나요? 2점
15_2_ = 180,  = 6입니다. 처음 직육면체의 겉넓이보다 몇 cmÛ 늘어나는지 구했나요? 3점
따라서 직육면체의 겉넓이는 
(15_2 + 15_6 + 2_6)_2
= (30 + 90 + 12)_2
= 264 (cmÛ )입니다.

40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정답1~6(01-40)-OK1.indd 40 2022. 8. 17. 오후 6:10


개념 적용

6
정답과 풀이
다음을 나눗셈식으로 나타내고 계산해 보세요.

학생부록 진도책 18쪽


16번 문제 ;1»3; 를 6등분한 것 중의 하나

어떻게 풀었니?

1
주어진 것을 나눗셈식으로 나타내고 계산해 보자!

등분이란 똑같이 나눈다는 뜻이야.

분수의 나눗셈 ;1»3;를 똑같이 6으로 나눈 것 중의 하나는 ;1»3;Ö 6 을/를 나타내.

1 1
이것은 ;1»3;의 와/과 같으니까 ;1»3;_ 와/과 같이 곱셈으로 나타낼 수도 있어.
1. 단원명 6 6

1
분수의 나눗셈 그러니까 나눗셈 ;1»3;Ö 6 을/를 곱셈 ;1»3;_ (으)로 나타내서 계산할 수 있지.
6
개념 적용
개념 적용 2쪽 3 1 3
;1»3;Ö 6 = ;1»3;_ =
6 26

11
2
안에 알맞은 수를 써넣으세요.
아~ 주어진 것을 나눗셈식으로 나타내고 계산하면 ;1»3;Ö6=;2£6; (이)구나!
진도책 14쪽 17 Ö 8 = 2 … 1
4번 문제 Ö8

17 Ö 8 =
7 다음을 나눗셈식으로 나타내고 계산해 보세요.

어떻게 풀었니? 7 ;1!1);Ö4=;2°2; ;1!1); 을 4등분한 것 중의 하나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17Ö8의 몫을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알아보자! 정답과 풀이 41쪽
;1!1);Ö4=;2°2;
빵 17개를 8명이 똑같이 나누어 먹는다면 한 명이 몇 개씩 먹을 수 있을까?

88
5
풀이 |;1!1);Ö4 =몫이
나눗셈의 ;1!1);_;4!
1과 ; =2;2°2사이인
; 식을 찾아 ◯표 하세요.
2

진도책 20쪽

3 3 Ö2 3 3 Ö5
24번 문제
4 4
빵 17개를 2개씩 나누어 먹으면 1개가 남으니까 남은 빵 1개를 다시 8조각으로 나눠서 1조각씩
먹으면 돼.

즉, 17Ö8 = 2 …1에서 2 은/는 자연수인 몫이 되고, 4 수학 6-1


어떻게 풀었니?

1 대분수의 나눗셈의 몫을 어림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나머지 1을 다시 8로 나누어 구한 값 은/는 분수인 몫이 되는 거야.
8
3;4#;Ö2를 그림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이 3을 2로 나누고, ;4#; 을 2로 나눈 다음 더하는 것과 같아. 2022. 8. 18.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4 오후 2:49

자연수인 몫과 분수인 몫을 더해서 몫을 대분수로 나타낼 수 있지.

1
아~ 17Ö8의 몫을 분수로 나타내면 2 이/가 되는구나!
8
1
자연수 3을 2로 나누면 몫은 1과 2 사이이고, 분수 ;4#;을 2로 나누면 1보다 작으니까 3;4#;Ö2

22 ;5!;  
⑴안에5알맞은 ⑵ 3, 6;7#;
수를 써넣으세요.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의 몫을 어림해 보면 1과 2 사이가 돼. 즉, 대분수의 나눗셈의 몫을 어림할 때는 대분수의 자
연수 부분만 나눠 보면 되는 거야.
⑴ 26 Ö 5 = 5 … 1 ⑵ 45 Ö 7 = 6 … 3 정답과 풀이 42쪽

Ö5 Ö7 3;4#;Ö5의 몫을 어림해 보면 3을 5로 나눌 수 없으니까 몫이 0 와/과 1 사이가 되지.

33 1
계산하지 않고 몫의 크기를 비교하여 ◯ 안에 >, = , <를 알맞게 써넣으세요.
3 직접 계산해서 확인해 볼까?
= 5 = 6
15 1 15 7
;1¦8;Ö7 ;1¦8;Ö5
5 7
3;4#;Ö2 =
진도책 16쪽
_ = = 1
11번 문제
풀이 | ⑵ 45Ö7 = 6…3에서 나머지 3을 7로 나누면 ;7#;입니다.
4 2 8 8
2 수학 6-1  45Ö7 = 6;7#;
15 15 Ö 5 3
어떻게 풀었니? 3;4#;Ö5 = Ö5 = =
4 4 4
계산하지 않고 나눗셈의 몫의 크기를 비교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2 2022. 8. 18. 오후 2:49 아~ 계산해 보지 않아도 나눗셈의 몫이 1과 2 사이인 식은 { 3;4#;Ö2 , 3;4#;Ö5 }구나!
쿠키가 15개 있다고 할 때, 3명이 똑같이 나누어 먹는 경우와 5명이 똑같이 나누어 먹는 경우 중
한 사람이 쿠키를 더 많이 먹을 수 있는 건 어느 것일까?
3명이 나누어 먹는 경우: 15Ö3 = 5
5명이 나누어 먹는 경우: 15Ö5 = 3
3명이 나누어 먹는 경우지? 9 나눗셈의 몫이 2와 3 사이인 식을 찾아 ◯표 하세요.

즉, 나누어지는 수가 같을 때 나누는 수가 작을수록 몫이 ( 커져 , 작아져 ).


분수의 나눗셈에서도 마찬가지야.
1 9 9;6%;Ö4에 ◯표 5 2 Ö7 9 1 Ö3 9 5 Ö4
3 3 6
;1¦8;Ö7과 ;1¦8;Ö5에서 나누어지는 수가 같고 나누는 수는 7>5이니까 몫이 더 큰 것은
풀이 | •5;3@;Ö7 ➡ 5<7이므로 몫은 0과 1 사이입니다. 다른 풀이 | 5;3@;Ö7 = ;;Á3¦;;_;7!; = ;2!1&;

{ ;1¦8;Ö7 , ;1¦8;Ö5 }이지.


;7#1.;입니다.5
•9;3!;Ö3 ➡ 9Ö3 = 3이므로 몫은 3과 4 사이입니다. 9;3!;Ö3 = ;;ª3¥;;_;3!; = ;;ª9¥;; = 3;9!;

2 •9;6%;45Ö7
Ö4 ➡ 9Ö4 = 2= 6… 몫은 3 3을 = ;;°67
분수의 나눗셈
⑵ …1이므로 2와에서 나머지9;6%;Ö4
3 사이입니다. 로; = ;2%나누면
»;;_;4! 4(; = 2;2!4!;
아~ 몫의 크기를 비교하면 ;1¦8;Ö7 < ;1¦8;Ö5구나!

   45Ö7 = 6;7#;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5 2022. 8. 18. 오후 2:49

⑴ <않고
4 4개념 적용
계산하지   몫의⑵ >
크기를
5 ㉡를 알맞게 써넣으세요.
비교하여 ◯ 안에 >, = , <

⑴ ;1!6!;Ö5 < ;1!6#;Ö5 ⑵ ;1¥9;Ö4 > ;1¥9;Ö6 4 ⑴ 나누는 수가 같으므로 나누어지는 수의 크기를 비교
66
풀이 | ⑴ 나누는 수가 같으므로 나누어지는 수의 크기를 비교해 봅니다. ;1!6!;<;1!6#;이므로 ;1!6!;Ö5<;1!6#;Ö5입니다.
다음을 나눗셈식으로 나타내고 계산해 보세요. 해 봅니다.
⑵ 나누어지는 수가 같으므로 나누는 수의 크기를 비교해 봅니다. 4<6이므로 ;1¥9;Ö4>;1¥9;Ö6입니다.

  ;1!6!;<;1!6#;이므로 ;1!6!;Ö5<;1!6#;Ö5입니다.
진도책 18쪽
;1»3기호를
; 를 6등분한
5
16번 문제 계산하지 않고 몫이 가장 큰 것을 찾아 것 중의 하나
써 보세요.

9 9 9
㉠ Ö6 ㉡ Ö3 ㉢ Ö7
13 13 13
41
어떻게 풀었니?
정답과 풀이
( ㉡ )
주어진 것을 나눗셈식으로 나타내고 계산해 보자!
풀이 | 나누어지는 수가 같으므로 나누는 수를 비교해 봅니다.
<7이므로 ;1»똑같이
3<6등분이란 3;Ö3>나눈다는
;1»3;Ö6>;1»뜻이야.
3;Ö7입니다.

;1»3;를 똑같이 6으로 나눈 것 중의 하나는 ;1»3;Ö 6 을/를 나타내.

1 1 1. 분수의 3
이것은 ;1»3;의 와/과 같으니까 ;1»3;_
나눗셈
와/과 같이 곱셈으로 나타낼 수도 있어.
6 6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41 2022. 8. 18. 오후 3:03
학생부록 | 정답과 풀이

 12;5@;Ö4 = ;;¤5ª;;Ö4
⑵ 나누어지는 수가 같으므로 나누는 수의 크기를 비교
1 -1
해 봅니다.
31
  4<6이므로 ;1¥9;Ö4>;1¥9;Ö6입니다. = ;;¤5ª;;_;4!; = ;1#0!; = 3;1Á0;,
2

5 3<6<7이므로 ;1»3;Ö3>;1»3;Ö6>;1»3;Ö7입니다. 13;8!;Ö2 = ;;;!8);°;;Ö2

= ;;;!8);°;;_;2!; = ;;Á1¼6°;; = 6;1»6;


5

7 ;1!1);Ö4 = ;1!1);_;4!; = ;2°2;


2 이므로 3;1Á0;<<6;1»6;입니다. 1

9 •5;3@;Ö7  5<7이므로 몫은 0과 1 사이입니다.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4, 5, 6으로


모두 3개입니다. 2
•9;3!;Ö3  9Ö3 = 3이므로 몫은 3과 4 사이입니다.
단계 문제 해결 과정
•9;6%;Ö4  9Ö4
 = 2…1이므로 몫은 2와 3 사이입 ① 나눗셈을 계산하여 의 범위를 구했나요?
②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의 개수를 구했나요?
니다.
다른 풀이 | •5;3@;Ö7 = ;;Á3¦;;_;7!; = ;2!1&; 2 -1  몫이 가장 작은 (대분수)Ö(자연수)를 만들려면 가장
큰 수인 9를 나누는 수로 하고, 나머지 수로 가장 작은
•9;3!;Ö3 = ;;ª3¥;;_;3!; = ;;ª9¥;; = 3;9!;
대분수 3;8%;를 만들어 나누어지는 수로 합니다.
•9;6%;Ö4 = ;;°6»;;_;4!; = ;2%4(; = 2;2!4!;

 3;8%;Ö9 1

따라서 3;8%;Ö9 = ;;ª8»;;_;9!; = ;7@2(;입니다. 2


쓰기 쉬운 서술형 6쪽
단계 문제 해결 과정
1 31, 31, 3, 31, 2;1¦2;, 2;1¦2;, 3, 4, 5 / 3, 4, 5 ① 몫이 가장 작은 (대분수)Ö(자연수)를 만들었나요?
② 만든 나눗셈을 계산했나요?
1-1 3개

2, ;7#;, ;7#;, 2, ;7#;, 2, ;7#;, ;2!;, ;1£4; / ;1£4;


2 3 -1  (끈 한 도막의 길이)= ;1!3@;Ö6 1

2-1 ;7@2(; =
12Ö6
= ;1ª3; (m)
13
3 3, 5, ;5#;, ;5#; / ;5#; L 따라서 끈 한 도막의 길이는 ;1ª3; m입니다. 2

3-1 ;1ª3; m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끈 한 도막의 길이를 구하는 과정을 썼나요?

3-2 ;;3!2(; kg ② 끈 한 도막의 길이를 구했나요?

3-3 ;4@0&; km 3 -2  (한 봉지에 담은 보리의 양)


= 4;4#;Ö8 1
4 4, ;8&;, ;8&;, 4, ;8&;, ;4!;, ;3¦2; / ;3¦2;
= ;;Á4»;;_;8!; = ;3!2(; (kg)
4-1 ;6@3(;
따라서 한 봉지에 담은 보리는 ;3!2(; kg입니다. 2
4-2 ;2Á4;
단계 문제 해결 과정

4-3 ;4Á0; ① 한 봉지에 담은 보리의 양을 구하는 과정을 썼나요?


② 한 봉지에 담은 보리의 양을 구했나요?

42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42 2022. 8. 18. 오후 3:03


3-3  (1분 동안 간 거리)= 3;8#;Ö5 1
1 단
원 수행 평가 12~13쪽

= ;;ª8¦;;_;5!; = ;4@0&; (km) 1 20, 20, ;3¢5; 2


따라서 1분 동안 간 거리는 ;4@0&; km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3 ;1!5#;Ö6=;1!5#;_;6!;=;9!0#;
① 1분 동안 간 거리를 구하는 과정을 썼나요?
② 1분 동안 간 거리를 구했나요? 4 ⑴ ;9$; ⑵ ;1°8;

4-1  어떤 분수를 라고 하면 _7 = 3;9@;입니다. 1 5 3;5@;Ö4=;;Á5¦;;Ö4=;;Á5¦;;_;4!;=;2!0&;


따라서  = 3;9@;Ö7 = ;;ª9»;;_;7!; = ;6@3(;입니다.
6 11;4!;Ö3에 ◯표 7 ;8%; kg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8 3, 4
① 어떤 분수를 라고 하여 식을 세웠나요?
② 어떤 분수를 구했나요? 9 ;5#;Ö8 또는 ;8#;Ö5 / ;4£0;

 어떤 분수를 라고 하면 _9 = 1;8&;이므로 10 ;7#;


4-2
5

 = 1;8&;Ö9 = ;;Á8°;;_;9!; = ;2°4;입니다. 4_5


1
1 ;7$;의 분자 4는 5의 배수가 아니므로 7_5 로 바꾸어 계
3
따라서 어떤 분수를 5로 나눈 몫은 산합니다.
5Ö5
;2°4;Ö5 = = ;2Á4;입니다. 2
1
24 2 자연수를 로 바꾸어 곱합니다.
(자연수)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어떤 분수를 구했나요?
② 어떤 분수를 5로 나눈 몫을 구했나요? 4 ⑴ 4Ö9 = ;9$;

4-3  어떤 분수를 라고 하면 _6 = ;1»0;이므로 ⑵ ;6%;Ö3 = ;6%;_;3!; = ;1°8;


3

 = ;1»0;Ö6 = ;1»0;_;6!; = ;2£0;입니다. 1 5 나누어지는 분수는 그대로 쓰고, 나누는 자연수를


2 1 로 바꾸어 곱합니다.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자연수)
1

;2£0;Ö6 = ;2£0;_;6!; = ;4Á0;입니다.


•10;5#;Ö4  10Ö4 = 2…2이므로 
2

2
6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몫은 2와 3 사이입니다.

•11;4!;Ö3  11Ö3 = 3…2이므로 


① 어떤 분수를 구했나요?
② 바르게 계산한 값을 구했나요?

몫은 3과 4 사이입니다.

•6;9*;Ö6  6Ö6 = 1이므로 

몫은 1과 2 사이입니다.

7 (책 한 권의 무게)
= (책 9권의 무게)Ö9
45 45Ö9
= 5;8%;Ö9 = Ö9 = = ;8%; (kg)
8 8

정답과 풀이 43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43 2022. 8. 18. 오후 3:03


학생부록 | 정답과 풀이

2
35 35Ö5
8 11;3@;Ö5 = 3 Ö5 = 3 = ;3&; = 2;3!;
각기둥과 각뿔
57 57Ö3 19
14;4!;Ö3 = Ö3 = = = 4;4#;
4 4 4 2. 단원명

 2;3!;<<4;4#; 각기둥과 각뿔
개념 적용
개념 적용 14쪽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3, 4입니다.
다른 풀이 | 11;3@;Ö5의 몫은 11Ö5 = 2…1에서 2와 3 사이입 1
1 입체도형 ‘나’는 누구인지 이름을 써 보세요.

니다. 진도책 37쪽


•나는 옆면이 모두 직사각형이야.
12번 문제

14;4!;Ö3의 몫은 14Ö3 = 4…2에서 4와 5 사이입니다.


•나는 꼭짓점이 12개야.
•나는 밑면이 2개야.

▲ ★
2 <<4 어떻게 풀었니?
▒ 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3, 4입니다. 설명하는 입체도형이 무엇인지 찾고 이름을 알아보자!

옆면이 모두 직사각형이고 밑면이 2개인 입체도형은 각기둥 (이)야.

9 몫이 가장 작은 (진분수)Ö(자연수)를 만들려면 나누는 꼭짓점이 12개인 각기둥은 밑면이 어떤 모양일까?


오른쪽 삼각기둥을 살펴보면 삼각형이 위와 아래에 두 개 있고,
수가 가장 크거나 나누어지는 수의 분수의 분모가 가장 이 두 삼각형의 꼭짓점이 삼각기둥의 꼭짓점이 되지.

커야 하므로 ;5#;Ö8 또는 ;8#;Ö5로 만들 수 있습니다.


즉, 각기둥에서 꼭짓점의 수는 밑면인 다각형의 모양으로 결정된다는 걸 알 수 있어.
(각기둥의 꼭짓점의 수) = (한 밑면의 변의 수)_ 2

;5#;Ö8 = ;5#;_;8!; = ;4£0;

;8#;Ö5 = ;8#;_;5!; = ;4£0;


꼭짓점이 12개인 각기둥은 위와 아래에 꼭짓점이 각각 12Ö2 = 6 (개)씩 있는 거니까 밑면의

모양이 육각형 인 각기둥이야.

 어떤 분수를 라고 하면 _3 = 3;7^;이므로


서술형 아~ 나는 육각기둥 (이)구나!

10
27Ö3 2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 = 3;7^;Ö3 = ;;ª7¦;;Ö3 =
= ;7(;입니다.
팔각기둥
2 입체도형 ‘나’는 누구인지 이름을 써 보세요. 정답과 풀이 44쪽

7
9Ö3 33 •나는 밑면이 2개야.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7(;Ö3 = = ;7#;입니다.


어떤 각기둥의 옆면만 그린 전개도의 일부분입니다. 이 각기둥의 밑면은 어떤 도형일까요?
•나는 모서리가 24개야.

7 진도책 39쪽
18번 문제
•나는 밑면과 옆면이 모두 수직으로 만나.

풀이 | 밑면이 2개이고 밑면과 옆면이 모두 수직으로 만나는 입체도형은 각기둥입니다.


이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를 개라고 하면 _3 = 24,  = 8입니다.
( 팔각기둥 )
평가 기준 배점 따라서 밑면이 팔각형인 각기둥이므로 팔각기둥입니다.

어떻게 풀었니?
어떤 분수를 구했나요? 5점 14 수학 6-1

어떤 각기둥의 전개도인지 알아보자!


바르게 계산한 값을 구했나요? 5점
각기둥의 옆면만 그린 전개도의 일부분이니까 점선인 부분에 밑면을 그려 볼까?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14 2022. 8. 18. 오후 2:49
전개도를 접었을 때 옆면인 모서리와 밑면인 모서리가 하나하나 맞닿아서 각기둥이 되어야 하니
까 밑면을 다음과 같이 그릴 수 있어.

옆면의 아래쪽에도
밑면을 그려 봅니다.
2

그림을 보면 밑면의 변 한 개에 옆면이 한 개씩 붙게 되니까 각기둥의 전개도에서 옆면의 수는 한


밑면의 변의 수와 같다는 걸 알 수 있지.

주어진 각기둥의 옆면이 6 개이니까 밑면은 변의 수가 6 개인 육각형 이야.

아~ 이 각기둥의 밑면의 모양은 육각형 이구나!

4개념 어떤
칠각기둥
적용
4 각기둥의 옆면만 그린 전개도의 일부분입니다. 이 각기둥의 이름을 써 보세요.

55 각뿔을 잘라 오른쪽과 같은 입체도형을 만들었습니다. 만든 입체도형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사


람의 이름을 써 보세요.
진도책 44쪽
3번 문제 ( 칠각기둥 )
해수: 각뿔을 잘라 만든 입체도형도 각뿔이야.
풀이 | 각기둥의 옆면의 수는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와 같습니다. 옆면이 7개이므로 밑면은 변의 수가 7개인 칠각형입니다.
하늘:각기둥이므로
따라서 밑면이 칠각형인 옆면이 사각형이므로
칠각기둥입니다.각기둥이야.

초아: 밑면이 1개가 아니니까 각뿔이 아니야.

44
어떻게 풀었니?
수학 6-1 2. 각기둥과 각뿔 15
각기둥과 각뿔의 특징을 알아보고 바르게 설명한 사람을 찾아보자!

도형 각기둥 각뿔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15 2022. 8. 18. 오후 2:49
밑면의 수(개) 2 1
밑면의 모양 다각형 다각형

옆면의 모양 직사각형 삼각형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44 2022. 8. 18. 오후 3:03


개념 적용

5 각뿔을 잘라 오른쪽과 같은 입체도형을 만들었습니다. 만든 입체도형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사


람의 이름을 써 보세요.
진도책 44쪽
3번 문제
해수: 각뿔을 잘라 만든 입체도형도 각뿔이야.
하늘: 옆면이 사각형이므로 각기둥이야.
초아: 밑면이 1개가 아니니까 각뿔이 아니야.

8 팔각뿔은 밑면의 모양이 팔각형이므로 밑면의 변은 8개


어떻게 풀었니?

각기둥과 각뿔의 특징을 알아보고 바르게 설명한 사람을 찾아보자!


입니다.
도형 각기둥 각뿔
밑면의 변의 길이가 모두 5 cm이므로 밑면의 둘레는
밑면의 수(개) 2 1 5_8 = 40 (cm)입니다.
밑면의 모양 다각형 다각형

옆면의 모양 직사각형 삼각형


9 주어진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진 ADN
해수: 각뿔을 잘라 만든 도형은 옆면의 모양이 삼각형 이 아닙니다.
오각뿔은 오른쪽과 같습니다.
각뿔이 ( 맞습니다 , 아닙니다 ).

하늘: 옆면의 모양이 직사각형 이 아닙니다.


6 cm인 모서리가 5개, 8 cm인 ADN
각기둥이 ( 맞습니다 , 아닙니다 ). 모서리가 5개이므로 오각뿔의 모든
초아: 밑면이 1개가 아닙니다.
각뿔이 ( 맞습니다 , 아닙니다 ).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아~ 바르게 설명한 사람은 초아 (이)구나! 6_5 + 8_5 = 30 + 40 = 70 (cm)입니다.

6 보기잘라 오른쪽과 같이 두 개의 입체도형 가와 나를 만들었습니다. 만든 두 입체도형에 대해 바르


각뿔을
6 민하
게 설명한 사람의 이름을 써 보세요.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지수: 가와 나 둘 다 각뿔이야. 정답과 풀이 44쪽

7
태건: 아니야. 가는 각뿔이고, 나는 각기둥이야. 나

7 민하: 가는 각뿔이지만, 나는 각뿔도 각기둥도 아니야.


옆면이 모두 오른쪽과 같은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칠각뿔의 밑면의 둘레 쓰기 쉬운 서술형 18쪽
는 몇 cm일까요?
진도책 47쪽 ( 민하 )
11번 문제
풀이 | 가는 밑면이 다각형이고 옆면이 삼각형이므로 각뿔입니다.
나는 밑면이 다각형이지만 옆면이 직사각형이 아니므로 각기둥이 아니고, 옆면이 삼각형이 아니므로 각뿔도 아닙니다.
ADN
1 합동, 직사각형, 합동, 직사각형
16
1-1 풀이 참조
수학 6-1

2 오각형, 오각기둥, 오각기둥, 5, 3, 15 / 15개


어떻게 풀었니?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16 2022. 8. 18. 오후 2:49


칠각뿔의 밑면의 모양을 알아보자!

각뿔의 이름은 밑면의 모양에 따라 정해진다는 거 알고 있니? 2-1 12개


3 6, 12, 6, 12, 6, 36, 42, 78 / 78 cm
밑면의 모양이 삼각형이면 삼각뿔, 사각형이면 사각뿔, 오각형이면 오각뿔, ...이라고 해.

그럼 칠각뿔은 밑면의 모양이 칠각형 인 각뿔이지.

즉, 칠각뿔의 밑면의 변은 7 개이고 밑면의 변의 길이는 모두 4 cm이니까 밑면의 둘레는 3-1 84 cm
4 _ 7 = 28 (cm)야.
2 3-2 56 cm
아~ 주어진 칠각뿔의 밑면의 둘레는 28 cm구나!
3-3 9 cm
4 2, 16, 16, 15, 십오각형, 십오각뿔 / 십오각뿔
8 옆면이 모두 오른쪽과 같은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진 팔각뿔의 밑면의 둘레는 몇 cm
4-1 구각뿔
8 40일까요?
cm 9 70 cm
4-2 15개
2 밑면이 2개이고 밑면과 옆면이 모두
( 40 cm
수직으로 )
만나는 입
ADN
풀이 | 팔각뿔은 밑면의 모양이 팔각형이므로 밑면의 변의 수는 8개입니다.
4-3 10개
밑면의 한 변의 길이가 5 cm이므로 밑면의 둘레는 5_8 = 40 (cm)입니다.
체도형은 각기둥입니다.

9
이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를 개라고 하면
옆면이 모두 오른쪽과 같은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오각뿔의 모든 모서리의 1 -1  각뿔은 밑면이 다각형인 뿔 모양의 입체도형입니다.
_3 = 24,  = 8입니다.
길이의 합은 몇 cm일까요?
ADN ADN  1

따라서 밑면이 팔각형인 각기둥이므로 팔각기둥입니다. 주어진 입체도형은 뿔 모양이지만 밑면이 다각형이 아
( 70 cm ) ADN
풀이 | 주어진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오각뿔은 오른쪽과 같습니다.
6 cm인 모서리가 5개, 8 cm인 모서리가 5개이므로 오각뿔의
ADN 니므로 각뿔이 아닙니다. 2

4
6_5 + 8_5 = 30 + 40 = 70 cm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 )입니다.
각기둥의 옆면의 수는 각기둥의 한ADN밑면의 변의 수와 같 단계 문제 해결 과정
습니다. 2. 각기둥과 각뿔 17
① 각뿔에 대하여 설명했나요?

옆면이 7개이므로 밑면은 변의 수가 7개인 칠각형입니다. ② 각뿔이 아닌 이유를 썼나요?

따라서 밑면이 칠각형인 각기둥이므로 칠각기둥입니다.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17 2022. 8. 18. 오후 2:49
2 -1  밑면의 모양이 육각형이므로 육각기둥입니다. 1

따라서 육각기둥의 꼭짓점은 6_2 = 12(개)입니다.


6 가는 밑면이 다각형이고 옆면이 삼각형이므로 각뿔입니
 2
다.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나는 밑면이 다각형이지만 옆면이 직사각형이 아니므로 ① 전개도를 접었을 때 만들어지는 각기둥의 이름을 썼나요?
각기둥이 아니고, 옆면이 삼각형이 아니므로 각뿔도 아 전개도를 접었을 때 만들어지는 각기둥의 꼭짓점의 수를 구했

닙니다. 나요?

정답과 풀이 45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45 2022. 8. 18. 오후 3:03


학생부록 | 정답과 풀이

3 -1  4 cm인 모서리는 7개이고, 8 cm인 모서리는 7개 4-3  면이 13개인 각뿔은 십이각뿔이므로 십이각뿔의 모
입니다. 1 서리는 12_2 = 24(개)입니다. 1

따라서 각뿔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를 개라고 하면


4_7 + 8_7 = 28 + 56 = 84 (cm)입니다. 2 _3 = 24,  = 8이므로 팔각기둥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따라서 팔각기둥의 면은 8 + 2 = 10(개)입니다. 3

① 4 cm인 모서리와 8 cm인 모서리의 수를 각각 구했나요?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② 각뿔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을 구했나요? ① 면이 13개인 각뿔의 모서리의 수를 구했나요?
② 면이 13개인 각뿔과 모서리의 수가 같은 각기둥을 구했나요?
③ 각기둥의 면의 수를 구했나요?
3 -2  밑면의 모양이 팔각형이므로 팔각뿔입니다. 1

2 cm인 모서리는 8개이고, 5 cm인 모서리는 8개입니


다. 2

따라서 각뿔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2_8 + 5_8 = 16 + 40 = 56 (cm)입니다. 3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각뿔의 이름을 썼나요?
② 2 cm인 모서리와 5 cm인 모서리의 수를 각각 구했나요?
③ 각뿔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을 구했나요?

3-3  높이를  cm라고 할 때 5 cm인 모서리는 10개이


고,  cm인 모서리는 5개입니다.
따라서 5_10 + _5 = 95, 50 + _5 = 95,
1 2 단
원 수행 평가 24~25쪽

1 나, 라 2 가, 마
_5 = 45,  = 9이므로 각뿔의 높이는 9 cm입니
다. 2 3 ⑴ 육각기둥 ⑵ 사각뿔
단계 문제 해결 과정 4 (위에서부터) 9, 21, 14 / 14, 26, 14
높이를  cm라고 할 때 5 cm인 모서리와  cm인 모서리

의 수를 각각 구했나요?
5 ㉢ 6  DN ADN
② 각기둥의 높이를 구했나요?
 DN

ADN  DN
4-1  육각기둥의 모서리는 6_3 = 18(개)입니다. 1

각뿔의 밑면의 변의 수를 개라고 하면 _2 = 18, 7  ADN


ADN
 = 9입니다.
따라서 밑면이 구각형인 각뿔이므로 구각뿔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육각기둥의 모서리의 수를 구했나요?
② 육각기둥과 모서리의 수가 같은 각뿔을 구했나요?
8 84 cm 9 구각기둥

4-2  구각뿔의 꼭짓점은 9 + 1 = 10(개)입니다. 1 10 18개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를 개라고 하면
_2 = 10,  = 5이므로 오각기둥입니다. 2 1 서로 평행한 두 면이 합동인 다각형이고, 옆면이 직사각
따라서 오각기둥의 모서리는 5_3 = 15(개)입니다. 형인 입체도형을 찾습니다.
 3
2 밑면이 다각형이고 옆면이 모두 삼각형인 입체도형을 찾
단계 문제 해결 과정
습니다.
① 구각뿔의 꼭짓점의 수를 구했나요?
② 구각뿔과 꼭짓점의 수가 같은 각기둥을 구했나요? 3 ⑴ 밑면이 육각형인 각기둥이므로 육각기둥입니다.
③ 각기둥의 모서리의 수를 구했나요? ⑵ 밑면이 사각형인 각뿔이므로 사각뿔입니다.

46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46 2022. 8. 18. 오후 3:03


4 •(칠각기둥의 면의 수) =7+2=9(개)
(칠각기둥의 모서리의 수) =7_3=21(개)
(칠각기둥의 꼭짓점의 수) =7_2=14(개)
•(십삼각뿔의 면의 수) = 13 + 1 = 14 (개)
3 3. 단원명
소수의 나눗셈

소수의 나눗셈
(십삼각뿔의 모서리의 수) = 13_2 = 26 (개)
개념 적용
개념 적용 26쪽
(십삼각뿔의 꼭짓점의 수) = 13 + 1 = 14 (개)

5 ㉢ 각뿔은 뿔 모양이므로 밑면과 옆면이 서로 수직으로 1 1 무게가 같은 빨간색 구슬 3개와 무게가 2.16 g인 파란색 구슬 한
개를 윗접시저울에 올려놓았더니 오른쪽과 같았습니다. 빨간색 구
만나지 않습니다. 진도책 63쪽
11번 문제 슬 한 개의 무게는 몇 g인지 구해 보세요.

6 전개도를 접었을 때 맞닿는 선분의 길이는 같습니다. 어떻게 풀었니?

7
파란색 구슬의 무게를 이용해서 빨간색 구슬의 무게를 구해 보자!
전개도를 그릴 때 접히는 선은 점선으로, 잘리는 선은 실
빨간색 구슬 3개를 올려놓은 접시와 파란색 구슬 한 개를 올려놓은 접시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선으로 그립니다. 않고 균형을 이루고 있네.
윗접시저울이 균형을 이루었다는 건 양쪽에 놓인 무게가 같다는 거야.

8 3 cm인 모서리는 14개이고, 6 cm인 모서리는 7개입 빨간색 구슬 3개의 무게와 파란색 구슬 한 개의 무게가 같으니까

빨간색 구슬 3개의 무게는 2.16 g이야.


니다. 빨간색 구슬 3개의 무게가 모두 같으니까
(빨간색 구슬 한 개의 무게) = (빨간색 구슬 3개의 무게)Ö 3
따라서 각기둥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 2.16 Ö 3 = 0.72 (g)
3_14 + 6_7 = 42 + 42 = 84 (cm)입니다. 이지.

아~ 빨간색 구슬 한 개의 무게는 0.72 g이구나!


9 두 밑면이 서로 평행하고 합동이면서 옆면의 모양이 모
두 직사각형이므로 각기둥입니다.
각기둥의 한 밑면의 변의 수를 개라고 하면 22 0.75 g
무게가 같은 노란색 구슬 5개와 무게가 3.75 g인 초록색 구슬을 윗접시저울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에 올렸더니 오른쪽과 같았습니다. 노란색 구슬 한 개의 무게는 몇 g인지 구 정답과 풀이 47쪽

_3 = 27,  = 9입니다. 해 보세요.

따라서 밑면이 구각형인 각기둥이므로 구각기둥입니다. 33 화살표를 따라가며 계산하여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넣으세요. ( 0.75 g )
진도책 71쪽 풀이 | 노란색 구슬 5개의 무게가 3.75 g이므로 노란색 구슬 한 개의 무게는 3.75Ö5 = 0.75 (g)입니다.
서술형 으로 소수 첫째 자리가 네

10  오각기둥의 꼭짓점은 5_2 = 10(개)입니다.
11번 문제 나누세요. 인가요?
아니오

각뿔의 밑면의 변의 수를 개라고 하면  + 1 = 10,


 = 9이므로 구각뿔입니다. 어떻게 풀었니?

따라서 구각뿔의 모서리는 9_2 = 18(개)입니다. 화살표를 따라가며 계산해 보자!

화살표를 따라가 보면 처음에 9.54를 3으로 나누고,


평가 기준 배점 26 수학 6-1 몫의 소수 첫째 자리가 0이면 ‘네’를 따라 빈칸에 몫을 써넣고,
몫의 소수 첫째 자리가 0이 아니면 ‘아니오’를 따라 전 단계로 돌아가는 거야.
오각기둥의 꼭짓점의 수를 구했나요? 3점
다시 반복하여 몫의 소수 첫째 자리가 0이 될 때까지 나눗셈을 하면 돼.
오각기둥과 꼭짓점의 수가 같은 각뿔을 구했나요? 3점 ① 9.54를 3으로 나누세요.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26 9.54Ö3 = 3.18 2022. 8. 18. 오후 2:49

각뿔의 모서리의 수를 구했나요? 4점 ② 소수 첫째 자리가 0인가요? ( 네 , 아니오 )

③ ①에서 나온 몫을 다시 3으로 나누세요. 3.18 Ö3 = 1.06

④ 소수 첫째 자리가 0인가요? ( 네 , 아니오 ) 3


⑤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넣으세요. 1.06

아~ 빈칸에 알맞은 수는 1.06 (이)구나!

1.09
4 4개념 화살표를
적용
따라가며 계산하여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넣으세요.

로 소수 첫째 자리가 네
 
나누세요. 인가요?
55 나머지가 0이 될 때까지 0을 내려 계산할아니오
때 0을 내린 횟수가 다른 나눗셈을 찾아 기호를 써
풀이 | ①8.72를 2로 나누세요. ➡ 8.72Ö2 = 4.36
보세요.
진도책 73쪽 ② 소수 첫째 자리가 0인가요? ➡ 아니오
17번 문제 ③ ①에서 나온 몫을 다시 2로 나누세요. ➡ 4.36Ö2 = 2.18
④ 소수 첫째 자리가 0인가요? ➡ 아니오
㉠ 46Ö4 ㉡ 53Ö4
⑤ ③에서 나온 몫을 다시 2로 나누세요. ➡ 2.18Ö2 = 1.09
㉢ 37Ö4 ㉣ 27Ö4
⑥ 소수 첫째 자리가 0인가요? ➡ 네

어떻게 풀었니?

(자연수)Ö(자연수)의 몫을 나누어떨어질 때까지 나누어 구해 보자!

㉠ 46Ö4에서 나누어지는 수 46에 소수점을 찍으면 46 = 46.0 = 46.00…과 같이 수의 오른


쪽 끝에 0을 무한히 쓸 수 있어. 그러니까 나눗셈을 해서 나머지가 생길 때마다 0을 3.
내려 써서
소수의 계 27
나눗셈

산하면 돼.
주어진 나눗셈을 각각 계산해서 0을 내린 횟수를 구해 봐.
㉠ 1 1.5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27
㉡ 1 3.2 5 ㉢ 9.2 5 ㉣ 6.7 5 2022. 8. 18. 오후 2:49
4 4 6.0 4 5 3.0 0 4 3 7.0 0 4 2 7.0 0
4
6
4
1 3
3 6
1 0
정답과2 4풀이
3 0
47
4 1 2 8 2 8
20 10 2 0 2 0
20 8 2 0 2 0
0 2 0 0 0
2 0
0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47 1 번 2 번 2 번 22022.
번 8. 18. 오후 3:03
보세요.
진도책 73쪽
17번 문제
㉠ 46Ö4 ㉡ 53Ö4 ㉢ 37Ö4 ㉣ 27Ö4

어떻게 풀었니?

(자연수)Ö(자연수)의 몫을 나누어떨어질 때까지 나누어 구해 보자!

학생부록 | 정답과
㉠ 46Ö4에서 나누어지는 수풀이
46에 소수점을 찍으면 46 = 46.0 = 46.00…과 같이 수의 오른
쪽 끝에 0을 무한히 쓸 수 있어. 그러니까 나눗셈을 해서 나머지가 생길 때마다 0을 내려 써서 계
산하면 돼.
주어진 나눗셈을 각각 계산해서 0을 내린 횟수를 구해 봐.
㉠ 1 1.5
4 4 6.0
㉡ 1
4 5
3.2 5
3.0 0
㉢ 9.2
4 3 7.0
5
0
㉣ 6.7
4 2 7.0
5
0
8 나누어지는 수의 자연수 부분에 나누는 수가 몇 번 들어
4 4 36 24
6 1 3 10 3 0
가는지 알아보아 몫을 어림해 봅니다.
4
20
1 2
10
8
2 0
2 8
2 0
㉠ 5.68Ö8  5Ö8  0.__  
20 8 2 0 2 0
0 20 0 0 ㉡ 4.62Ö2  4Ö2  2.__  
20
0 ㉢ 6.44Ö7  6Ö7  0.__
1 번 2 번 2 번 2 번
㉣ 2.07Ö3  2Ö3  0.__  
아~ 0을 내린 횟수가 다른 나눗셈은 ㉠ 이구나!
㉤ 9.15Ö5  9Ö5  1.__
보기
㉥ 6.78Ö6  6Ö6  1.__
66 ㉢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나머지가 0이 될 때까지 0을 내려 계산할 때 0을 내린 횟수가 가장 많은 나눗셈을 찾아 기호를 써 보
정답과 풀이 47쪽
세요.

77 몫을 어림하여 몫이 1보다 큰 나눗셈을


㉠ 20Ö8 ㉡ 58Ö8 ㉢ 27Ö8
모두 찾아 기호를 써 보세요.㉣ 38Ö8

진도책 75쪽 ㉠ 4.52Ö4 ㉡ 7.56Ö3 ㉢ 5.8Ö5


25번 문제 ( ㉢ )
20Ö8 = 2.5 ➡ 1번
풀이 | ㉠
㉣ 1.4Ö5
㉡ 58Ö8 = 7.25 ➡ 2번
㉤ 6.84Ö9 ㉥ 3.9Ö6
㉢ 27Ö8 = 3.375 ➡ 3번 ㉣ 38Ö8 = 4.75 ➡ 2번

어떻게 풀었니?
쓰기 쉬운 서술형 30쪽
28 수학 6-1 나눗셈의 몫을 어림해 보자!

몫이 1보다 큰 나눗셈을 찾는 거니까 몫의 자연수 부분만 알면 돼.

㉠ 4.52Ö4에서 나누어지는 수의 자연수 부분인 4에 나누는 수 4가 1 번 들어가니까 1 5.36, 4, 1.34, 1.34 / 1.34 L
1-1 2.03 kg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28 2022. 8. 18. 오후 2:49

4.52Ö4의 몫은 1 .__라고 어림할 수 있지.

1-2 0.45 km
마찬가지 방법으로 몫을 각각 어림해 보면

㉡ 7.56Ö3 7Ö3 2 .__

㉢ 5.8Ö5 5Ö5 1 .__ 1-3 0.54 kg


㉣ 1.4Ö5 1Ö5 0 .__ 3 2 15.66, 15.66, 3, 5.22, 5.22, 3, 1.74 / 1.74
㉤ 6.84Ö9 6Ö9 0 .__

㉥ 3.9Ö6 3Ö6 0 .__


2-1 1.35
이때 나누어지는 수가 나누는 수보다 크면 몫이 1보다 크다는 걸 알 수 있어.
3 7, 1, 6, 17.1, 6, 2.85 / 2.85 m
아~ 몫이 1보다 큰 나눗셈은 ㉠ , ㉡ , ㉢ 이구나!
3-1 2.32 m
4 75.6, 75.6, 12, 6.3, 6.3 / 6.3 cm
8 8 ㉠,몫을㉢, ㉣ 몫이 1보다 작은 나눗셈을 모두 찾아 기호를 써 보세요.
어림하여
4-1 11.5 cm
㉠ 5.68Ö8 ㉡ 4.62Ö2 ㉢ 6.44Ö7
㉣ 2.07Ö3 ㉤ 9.15Ö5 ㉥ 6.78Ö6 4-2 8.4 cm
2 노란색 구슬 5개의 무게가 3.75 g이므로( 노란색 구슬 한)
㉠, ㉢, ㉣ 4-3 14.4
개의
풀이 | 무게는
나누어지는
3.75Ö5 = 0.75㉢ 6.44Ö7
g어림해➡봅니다.
수의 자연수 부분에 나누는 수가 몇 번 들어가는지 알아보아(몫을 )입니다.
㉠ 5.68Ö8 ➡ 5Ö8 ➡ 0.__ ㉡ 4.62Ö2 ➡ 4Ö2 ➡ 2.__ 6Ö7 ➡ 0.__
㉣ 2.07Ö3 ➡ 2Ö3 ➡ 0.__ ㉤ 9.15Ö5 ➡ 9Ö5 ➡ 1.__ ㉥ 6.78Ö6 ➡ 6Ö6 ➡ 1.__

4 ① 8.72를 2로 나누세요.  8.72Ö2 = 4.36


1 -1  (한 모둠에 주어야 하는 찰흙의 무게)
② 소수 첫째 자리가 0인가요?  아니오 = 12.18Ö6 1
③ ①에서 나온 몫을 다시 2로 나누세요. 3. 소수의 나눗셈 29
= 2.03 (kg)
 4.36Ö2 = 2.18 따라서 한 모둠에 찰흙을 2.03 kg 주어야 합니다.
④ 소수 첫째 자리가 0인가요?  아니오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29 2022. 8. 18. 오후 2:49

 2
⑤ ③에서 나온 몫을 다시 2로 나누세요.
단계 문제 해결 과정
 2.18Ö2 = 1.09 ① 한 모둠에 주어야 하는 찰흙의 무게를 구하는 과정을 썼나요?
⑥ 소수 첫째 자리가 0인가요?  네 ② 한 모둠에 주어야 하는 찰흙의 무게를 구했나요?
⑦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넣으세요.  1.09
1 -2  (준호가 1분 동안 달린 거리)= 3.6Ö8 1

6 ㉠ 20Ö8 = 2.5  1번 = 0.45 (km)


㉡ 58Ö8 = 7.25  2번 따라서 준호가 1분 동안 달린 거리는 0.45 km입니다.
㉢ 27Ö8 = 3.375  3번  2

㉣ 38Ö8 = 4.75  2번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따라서 0을 내린 횟수가 가장 많은 나눗셈은 ㉢ 27Ö8 ① 준호가 1분 동안 달린 거리를 구하는 과정을 썼나요?

입니다. ② 준호가 1분 동안 달린 거리를 구했나요?

48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48 2022. 8. 18. 오후 3:03


1 -3  (통조림 7개의 무게) = 4.13 - 0.35 = 3.78 (kg)  4-3  (직사각형의 넓이) = 16_9 = 144 (cmÛ ) 1

 1 마름모의 넓이도 144 cmÛ 이므로 20_Ö2 = 144


(통조림 한 개의 무게) = 3.78Ö7 = 0.54 (kg) 2 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따라서 20_ = 288,  = 288Ö20 = 14.4입니


① 통조림 7개의 무게를 구했나요? 다. 3

② 통조림 한 개의 무게를 구했나요?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했나요?
② 마름모의 넓이를 구하는 식을 썼나요?

2 -1 ‌ 어떤 수를 라고 하면 _4 = 21.6이므로 ③  안에 알맞은 수를 구했나요?

 = 21.6Ö4 = 5.4입니다. 1

따라서 바르게 계산한 값은 5.4Ö4 = 1.35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어떤 수를 구했나요?
② 바르게 계산한 값을 구했나요?

3 -1 ‌ 도로의 양쪽에 나무 18그루를 심으려고 하므로 도로


한쪽에 심어야 하는 나무는 18Ö2 = 9(그루)입니다.
 1 3 단
원 수행 평가 36~37쪽

(간격 수) = 9 - 1 = 8(군데) 2 1 316, 316, 79, 0.79 2 ⑴ 1.24 ⑵ 2.5


따라서 나무 사이의 간격을 18.56Ö8 = 2.32 (m)로
3 5.0 5 4 227.7
해야 합니다. 3
7 3 5.3 5
단계 문제 해결 과정 3 5
① 도로 한쪽에 심어야 하는 나무의 수를 구했나요? 3 5
② 간격 수를 구했나요? 3 5
③ 나무 사이의 간격을 몇 m로 해야 하는지 구했나요? 0

5 ⑴ 1.38 ⑵ 12.69 6 8.75 cm


4-1  삼각형의 높이를  cm라고 하면 7 0.43 km 8 6.08
13_Ö2 = 74.75입니다. 1 9 9, 8, 6, 4, 24.65 10 3.43 cm
13_ = 149.5,  = 149.5Ö13 = 11.5
따라서 삼각형의 높이는 11.5 cm입니다. 2
2 1.2 4
⑴         ⑵ 2.5
단계 문제 해결 과정 5 6.2 0 8 2 0.0
삼각형의 높이를  cm라 하고 넓이를 구하는 식을 썼나요?

5 16
삼각형의 높이는 몇 cm인지 구했나요?

12 40
10 40
20 0
4-2  사다리꼴의 높이를  cm라고 하면 20
(6 + 9)_Ö2 = 63입니다. 1
0
15_Ö2 = 63, 15_ = 126, 소수 첫째 자리의 3을 7로 나눌 수 없으므로 몫의 소수 첫
3
 = 126Ö15 = 8.4
째 자리에 0을 써야 하는데 쓰지 않아서 잘못되었습니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높이는 8.4 cm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4 2277 Ö9 = 253
;1Á0; 배    ;1Á0; 배
① 사다리꼴의 높이를  cm라 하고 넓이를 구하는 식을 썼나요?
② 사다리꼴의 높이는 몇 cm인지 구했나요? 227.7 Ö9 = 25.3

정답과 풀이 49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49 2022. 8. 18. 오후 3:03


학생부록 | 정답과 풀이

4
Ö2

5 ⑴ 2.76Ö4 = 1.38 Ö2      비와 비율


Ö2 4. 평면도형의 이동

Ö3
비와 비율
⑵ 38.07Ö9 = 12.69 Ö3 개념 적용
개념 적용 38쪽

Ö3
1 1 전체에 대한 색칠한 부분의 비율이 ;4#;이 되도록 색칠해 보세요.
6 (색 테이프 한 도막의 길이) = 52.5Ö6 = 8.75 (cm) 진도책 92쪽
16번 문제

7 (1분에 간 거리) = 2.15Ö5 = 0.43 (km)


8 어떤 수를 라고 하면 _3 = 54.72이므로
어떻게 풀었니?
 = 54.72Ö3 = 18.24입니다.
비율과 기준량을 알 때, 비교하는 양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따라서 바르게 계산한 값은 18.24Ö3 = 6.08입니다. (색칠한 칸 수)
전체 칸 수에 대한 색칠한 칸 수의 비율은 야.
(전체 칸 수)

9

몫이 가장 큰 나눗셈식을 만들려면 나누어지는 수는 크 전체 칸 수는 8 칸이고, 색칠한 칸 수를 ▒칸이라고 하면 (비율) = 가 되지.
8

게, 나누는 수는 작게 해야 합니다. 이 비율이 ;4#;이 되어야 하니까



= ;4#; ▒ = 6 (이)야.
8
 98.6Ö4 = 24.65 (색칠한 칸 수)
(비율) = 에서 (색칠한 칸 수) = (전체 칸 수)_(비율)을 이용해서 구할 수도 있어.
서술형 (전체 칸 수)

10  평행사변형의 높이를  cm라고 하면 (색칠한 칸 수) = 8 _;4#; = 6 (칸)

7_ = 24.01입니다. 아~ 오른쪽과 같이 전체 8칸 중에서 6 칸을 색칠하면 되는구나! 

 = 24.01Ö7 = 3.43
따라서 평행사변형의 높이는 3.43 cm입니다. ‌

22
평가 기준 배점 전체 칸 수에 대한 색칠한 칸 수의 비율이 ;3@;가 되도록 도형에 색칠해 보세요.
        
평행사변형의 높이를  cm라 하고 넓이를 구하는 식을 썼나
3점 
요?
평행사변형의 높이는 몇 cm인지 구했나요? 7점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정답과 풀이 50쪽

풀이 | ;3@; = ;9^;이므로 전체 9칸 중에서 6칸에 색칠합니다.

33 다른 풀이 | (색칠한 칸 수) = 9_;3@; = 6(칸)


고속버스 시간표를 나타낸 것입니다. 걸리는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이 더 높은 버스의 기
호를 써 보세요.
진도책 95쪽
23번 문제
38 수학 6-1 구분 운행노선 간 거리 걸리는 시간

가 서울~대구 288 km 2시간


나 서울~순천 306 km 3시간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38 2022. 8. 18. 오후 2:49

어떻게 풀었니?

걸리는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을 각각 구해 보자!

걸리는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을 구할 때, 기준량은 ( 걸리는 시간 , 간 거리 )이니까


두 버스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거리의 비율을 각각 소수로 나타내면

288 306
가 버스: = 144 , 나 버스: = 102
2 3

(이)지. 비율을 비교하면 144 > 102 (이)야.

걸리는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이 높다는 건 같은 시간 동안에 더 많은 거리를 갈 수 있다는


뜻이니까 비율이 높을수록 더 빠른 거야.
4
아~ 걸리는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이 더 높은 버스의 기호는 가 구나!

4 4개념 적용
㉯자동차는 180 km를 가는 데 3시간이 걸렸고, ㉯ 자동차는 148 km를 가는 데 2시간이 걸렸습

니다. 걸린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이 더 높은 자동차의 기호를 써 보세요.

55
( ㉯ )
길이가 30 cm인 막대가 기준량일 때 막대를 그려 보세요.
풀이 | 걸린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을 각각 구하면
㉮ 자동차: 180 = 60, ㉯ 자동차: 148
 =74입니다.
        A DN
진도책 99쪽 3 2
5번 문제 따라서 60<74이므로 걸린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이 더 높은 자동차는 ㉯ 자동차입니다.
기준량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50 수학 6-1 어떻게 풀었니?

백분율에 대해 알아보자!
4. 비와 비율 39
백분율은 기준량을 100으로 할 때의 비율이야.
비율에 100을 곱해서 나온 값에 기호 %를 붙이면 되지.
기준량 30 cm의 50 %만큼이라는 건 30 cm를 100 %로 했을 때 그중 50 %라는 거니까

30 cm의 ;1°0¼0;, 즉 30 cm의 ;2!;이니까 15 cm야.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39 2022. 8. 18. 오후 2:49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0 2022. 8. 18. 오후 3:03


기준량 30 cm의 100 %는 30 cm의 ;1!0)0);이니까 그대로 30 cm이고,
개념 적용

5 길이가 30 cm인 막대가 기준량일 때 막대를 그려 보세요.

진도책 99쪽           A DN


5번 문제
기준량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기준량의 100 %  40 cm의


100 
40 cm
100
어떻게 풀었니?

백분율에 대해 알아보자!

•기준량의 200 %  40 cm의


200 
백분율은 기준량을 100으로 할 때의 비율이야. 80 cm
비율에 100을 곱해서 나온 값에 기호 %를 붙이면 되지. 100
기준량 30 cm의 50 %만큼이라는 건 30 cm를 100 %로 했을 때 그중 50 %라는 거니까

30 cm의 ;1°0¼0;, 즉 30 cm의 ;2!;이니까 15 cm야. 8 (공책의 할인 금액) = 1000 - 750 = 250(원)
기준량 30 cm의 100 %는 30 cm의 ;1!0)0);이니까 그대로 30 cm이고,
 (공책의 할인율) =
250
_100 = 25 (%)
기준량 30 cm의 300 %는 30 cm의 ;1#0)0);, 즉 30 cm의 3 배이니까 90 cm가 되지. 1000
아~ 막대 길이의 백분율에 맞게           A DN (필통의 할인 금액) = 4800 - 4080 = 720(원)
720
막대를 그리면 오른쪽과 같구나! 기준량
기준량의 A
 (필통의 할인율) = _100 = 15 (%)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4800
(색연필의 할인 금액) = 3500 - 2800 = 700(원)

 (색연필의 할인율) =
700
66          A DN
길이가 40 cm인 기준량을 나타냅니다. 막대 길이의 백분율에 맞게 막대를 그려 보세요. _100 = 20 (%)
          A DN
3500
기준량
A 기준량 따라서 할인율이 가장 높은 학용품은 공책입니다.
기준량의
보기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기준량의 A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정답과 풀이 51쪽
풀이 | •기준량의 50 % ➡ 40 cm의 1 ➡ 20 cm
2

77
•기준량의 100 % ➡ 40 cm의 100 ➡ 40 cm
세현이는 친구들과 미술관, 100 박물관, 소극장 원래 입장료(원) 할인된 입장료(원)
•기준량의 200 % ➡ 40 cm의 200 ➡ 80 cm
중 한 곳을 가려고 합니다. 100 할인율이 가장 높
진도책 101쪽 미술관 15000 11250
40
11번수학
문제6-1 은 곳을 구해 보세요.
박물관 18000 11520
소극장 42000 29400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40 2022. 8. 18. 오후 2:49

어떻게 풀었니?
쓰기 쉬운 서술형 42쪽
장소별 할인율을 각각 구해 보자!

1
할인율은 원래 가격에 대한 할인 금액의 비율이니까 장소별 할인 금액을 먼저 구해야 해.

(미술관의 할인 금액) = 15000-11250 = 3750 (원)


26, 9, 17, 17, 26 / 17 : 26
(박물관의 할인 금액) = 18000-11520 = 6480 (원)
1-1 54 : 114
(소극장의 할인 금액) = 42000-29400 = 12600
;5$;, 15, 12, ;1!2;% , ;4%;, 20, 25, ;2@5;) , ;5$;, ㉠, ㉢ / ㉠, ㉢
(원)

이제, 장소별 할인율을 백분율로 나타내 봐. 2


3750
(미술관의 할인율) = _100 = 25 (%)
15000
2-1 ㉡, ㉢
(박물관의 할인율) =
6480
_100 = 36 (%)
4 2000 1500 ,
18000
12600
3  5 , 400, 1500, 4
375, 400, 375, 
(소극장의 할인율) = _100 = 30 (%)
42000 민우 / 민우
할인율을 비교하면 36 %> 30 %> 25 %야.

아~ 할인율이 가장 높은 곳은 박물관 이구나! 3-1 가 마을


3-2 정우
8 8 공책
어느 문구점에서 학용품을 할인하여 판매하고 원래 가격(원) 할인된 판매 가격(원)
3-3 ㉯ 통
4000 , /
4 16000, 12000, 4000,
있습니다. 할인율이 가장 높은 학용품은 무엇
공책 1000 750
25 25 %
인지 써 보세요.
필통 4800 4080 16000
2 ;3@; = ;9^;이므로 전체 9칸 중에서 6칸에
풀이 | (공책의 할인 금액) = 1000 - 750 = 250(원)
3500 2800
4-1 예나
색연필
색칠합니다.
➡ (공책의 할인율) = 250 _100 = 25 (%)
1000
(필통의 할인 금액) = 4800 - 4080 = 720(원)
( 공책 )
➡ (필통의 할인율) = 720 _100 = 15 (%)
다른
(색연필의 풀이 |4800
할인 금액) = (색칠한
3500 - 2800 =칸 수) = 9_;3@; = 6(칸)
700(원)
4-2 하윤
➡ (색연필의 할인율) = 700 _100 = 20 (%)
3500
따라서 할인율이 가장 높은 학용품은 공책입니다.
41
4-3 10 %
4
4. 비와 비율
걸린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을 각각 구하면
180 148
㉮ 자동차: = 60, ㉯ 자동차: = 74입니다. 1 -1  (여학생 수) = 114 - 60 = 54(명) 1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41
3 2 2022. 8. 18. 오후 2:49

따라서 전체 학생 수에 대한 여학생 수의 비는
따라서 60<74이므로 걸린 시간에 대한 간 거리의 비율 54 : 114입니다. 2
이 더 높은 자동차는 ㉯ 자동차입니다.
단계 문제 해결 과정

•기준량의 50 %  40 cm의
50  ① 여학생 수를 구했나요?
6 20 cm
100 ② 전체 학생 수에 대한 여학생 수의 비를 구했나요?

정답과 풀이 51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1 2022. 8. 18. 오후 3:03


학생부록 | 정답과 풀이

2 -1 ‌ 비율을 각각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4-2  소금물의 양에 대한 소금의 양의 백분율을 각각 구하면


㉠ 10 : 14  ;1!4); = ;7%;, 진아: ;1£5¤0;_100 = 24 (%),

㉡ 21에 대한 18의 비  18 : 21  ;2!1*; = ;7^;, 하윤: ;3»5¥0;_100 = 28 (%)입니다. 1

따라서 24 % < 28 %이므로 하윤이가 만든 소금물이


㉢ 42와 49의 비  42 : 49  ;4$9@; = ;7^;입니다.
더 진합니다. 2
 1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따라서 비율이 같은 것은 ㉡과 ㉢입니다. 2
① 소금물의 양에 대한 소금의 양의 백분율을 각각 구했나요?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② 누가 만든 소금물이 더 진한지 구했나요?
① 비율을 각각 기약분수로 나타내었나요?
② 비율이 같은 것을 찾았나요? 4-3  (지난주의 참외 한 개의 가격)= 4800Ö6
= 800(원),
3 -1  넓이에 대한 인구의 비율을 각각 구하면 (이번 주의 참외 한 개의 가격)= 4400Ö5
3600 5500
가 마을: = 240, 나 마을: = 220입니다. = 880(원)
15 25 1

 1 (인상 금액) = 880 - 800 = 80(원) 2

따라서 240 > 220이므로 인구가 더 밀집한 마을은 가


(참외 가격의 인상률) = ;8¥0¼0;_100 = 10 (%) 3
마을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지난주와 이번 주의 참외 한 개의 가격을 각각 구했나요?
① 넓이에 대한 인구의 비율을 각각 구했나요?
② 인상 금액을 구했나요?
② 인구가 더 밀집한 마을을 구했나요?
③ 참외 가격의 인상률을 구했나요?
3 -2  초코우유 양에 대한 초콜릿 시럽 양의 비율을 각각
구하면
100 84
민주: = 0.4, 정우: = 0.42입니다. 1
250 200
따라서 0.4 < 0.42이므로 정우가 만든 초코우유가 더
진합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초코우유 양에 대한 초콜릿 시럽 양의 비율을 각각 구했나요?
② 누가 만든 초코우유가 더 진한지 구했나요?

3 -3  흰색 페인트 양에 대한 파란색 페인트 양의 비율을


각각 구하면

㉮ 통:
90
500
= 0.18, ㉯ 통:
120
600
= 0.2입니다. 1 4 단
원 수행 평가 48~49쪽

따라서 0.18 < 0.2이므로 ㉯ 통에 만든 하늘색 페인트 1 ⑴6 ⑵4 2 5, 4 / 4, 5


가 더 진합니다. 2 3 ㉢ 4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흰색 페인트 양에 대한 파란색 페인트 양의 비율을 각각 구했나요?
② 어느 통에 만든 하늘색 페인트가 더 진한지 구했나요? 5 48 %
13
4-1  (예나의 득표율) = ;2¥4¢0;_100 = 35 (%) 1 6 11 , 1.12, 150 %에 ◯표
따라서 35 % > 32 %이므로 득표율이 더 높은 사람은 7 ㉢, ㉣, ㉠, ㉡
예나입니다. 2
7000 ( 4800 (
8 =350), =300) / 가 마을
단계 문제 해결 과정 20 16
① 예나의 득표율을 구했나요?
② 득표율이 더 높은 사람을 구했나요?
9 오렌지주스 10 55 %

52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2 2022. 8. 18. 오후 3:03


1

2
⑴ 8 - 2 = 6(개)
⑵ 8 Ö 2 = 4(배)

에 대한 ▲ 의 비  ▲ : 
5 5. 막대그래프
여러 가지 그래프

의 ▲ 에 대한 비   : ▲ 여러 가지 그래프

㉢ 3에 대한 7의 비  7 : 3
개념 적용
개념 적용 50쪽
3
1 1
4 6 : 8  ;8^; = ;4#;
마을별 인구를 조사하여 나타낸 표입니다. 표의 어림값을 보고 그림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세요.

진도책 115쪽 마을별 인구 마을별 인구


5번 문제

15와 25의 비  15 : 25  ;2!5%; = ;5#;


마을 인구(명) 어림값(명) 햇빛 하늘

햇빛 3151 3200
하늘 5212 5200 구름 달빛

15에 대한 12의 비  12 : 15  ;1!5@; = ;5$; 구름 3625 3600 명


명
달빛 4251 4300

5 전체 칸 수: 25칸, 색칠한 칸 수: 12칸 어떻게 풀었니?

 ;2!5@;_100 = 48 (%)
표를 보고 그림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자!

그림그래프에서 은 1000명, 은 100명을 나타내니까

천의 자리 숫자만큼 을 그리고, 백의 자리 숫자만큼 을 그리면 돼.


6 비교하는 양이 기준량보다 크면 비율이 1보다 크고, 백 햇빛 마을은 3200명이니까 3 개와 2 개,

분율이 100 %보다 높습니다. 하늘 마을은 5200명이니까 5 개와 2 개,

따라서 비교하는 양이 기준량보다 큰 것은 ;1!1#;, 1.12,


구름 마을은 3600명이니까 3 개와 6 개, 마을별 인구
햇빛 하늘
달빛 마을은 4300명이니까 4 개와 3 개를

150 %입니다.
그리면 되지.
구름 달빛
아~ 마을별 인구수를 그림그래프로 나타내면 명
오른쪽과 같구나! 명

7 비율을 모두 소수로 나타내어 비교합니다.

㉠ 0.73 ㉡ ;2!5#; = 0.52


2 초등학교별 학생 수를 조사하여 나타낸 표입니다. 표의 어림값에 초등학교별 학생 수를 반올림하여
1300
2 백의 , 1100
자리까지 900 보고
나타내고,, 어림값을 / 초등학교별
초등학교별 학생 수나타내어 보세요.
학생 수를 그림그래프로

㉢ ;5&; = 1.4 ㉣ 81 %  0.81 초등학교별 학생 수


초등학교
초등학교별 학생 수
학생 수
초등학교 학생 수(명) 어림값(명) 초등학교 학생 수

사랑 1262 1300 사랑 사랑

7000 4800
= 350, 나 마을: = 300 1104 1100 행복
8
행복
가 마을: 행복 명
20 16 자연 854 900 자연

명 명
자연
350>300이므로 인구가 더 밀집한 마을은 가 마을입니다. 50 수학 6-1
풀이 | 사랑: 1262 ➡ 1300, 행복: 1104 ➡ 1100, 자연: 854 ➡ 900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명
정답과 풀이 54쪽

9 (오렌지주스의 할인 금액) = 3000 - 2550 = 450(원)


33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50 2022. 8. 18. 오후 2:50

(오렌지주스의 할인율) =
450 하린이네 집에서 한 달 동안 쓴 생활비의 쓰임새별 금액의 백분율을 나타낸 표입니다. 저금이
_100 = 15 (%) 교육비의 2배일 때 표를 완성하고 띠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세요.
3000 진도책 119쪽
15번 문제 생활비의 쓰임새별 금액

(포도주스의 할인 금액) = 3500 - 3010 = 490(원) 쓰임새 식비 공과금 저금 교육비 기타 합계

(포도주스의 할인율) =
490 백분율( %) 35 10 10
_100 = 14 (%)
3500    
생활비의 쓰임새별 금액
      A()
따라서 15 %>14 %이므로 할인율이 더 높은 주스는
오렌지주스입니다.
서술형 어떻게 풀었니?

10  전체 학생 수는 66 + 54 = 120(명)입니다. 표를 보고 띠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자!


따라서 전체 학생 수에 대한 남학생 수의 비율은 저금이 교육비의 2배이고, 교육비의 백분율은 10 %이니까

;1¤2¤0;_100 = 55 (%)입니다.
저금의 백분율은 10_ 2 = 20 (%)야.

또, 백분율의 합계는 100 %이니까 공과금의 백분율은

100-(35+ 20 +10+10) = 25 (%)지.


평가 기준 배점
전체 학생 수를 구했나요? 3점
표의 빈칸에는 25 , 20 , 100 을/를 차례로 써넣으면 돼.
5
이제, 띠그래프에 각 항목이 차지하는 백분율의 크기만큼 선을 그어 띠를 나눈 다음, 나눈 부분에
전체 학생 수에 대한 남학생 수의 비율은 몇 %인지 구했나요? 7점 각 항목의 내용과 백분율을 쓰면 돼.
생활비의 쓰임새별 금액
아~ 생활비의 쓰임새별 금액을 띠그래프           A()
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구나! 식비 공과금 저금 교육비 기타
(A) (A) (A) (A) (A)

4 정답과
어느 과일 가게에서 일주일 동안 판매한 과일 수의 백분율을 나타낸 표입니다. 풀이 2배일 때
귤이 망고의 53
표를 완성하고 띠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세요.

판매한 과일 수 판매한 과일 수
          A()
과일 사과 귤 복숭아 망고 합계
사과 귤 복숭아 망고
백분율( %) 30 30 25 15 100
(A) (A) (A) (A)

풀이 | 귤이 망고의 2배이므로 귤의 백분율은 15_2 = 30 (%)입니다.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3 백분율의 합계는 100 %이므로 복숭아의 백분율은 100 - (30 + 30 + 15) = 25 (%)입니다. 2022. 8. 18. 오후 3:03
학생부록 | 정답과 풀이

4 30, 25, 100 / 판매한 과일 수 2 사랑: 1262  1300, 행복: 1104  1100,
          A() 자연: 854  900
사과 귤 복숭아 망고
(A) (A) (A) (A)
4 귤이 망고의 2배이므로 귤의 백분율은
개념 적용
15_2 = 30 (%)입니다.
55 민수네 반 학생들이 명절에 하고 싶은 민속놀이를 조사하여 나타낸 표입니다. 전체 학생 수에 백분율의 합계는 100 %이므로 복숭아의 백분율은 
100 - (30 + 30 + 15) = 25 (%)입니다.
대한 윷놀이와 투호를 하고 싶은 학생 수의 백분율이 같습니다. 표의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넣
진도책 127쪽
9번 문제 고 원그래프를 완성해 보세요.
하고 싶은 민속놀이별 학생 수 하고 싶은 민속놀이별 학생 수

민속놀이 제기차기 윷놀이 연날리기 투호 합계


 6 백분율의 합계가 100 %이므로 기타와 플루트의 백분율
백분율( %) 20 30 제기차기
(A) 의 합은 100 - (35 + 25) = 40 (%)입니다.
 
기타와 플루트의 백분율이 같으므로 각각 20 %입니다.

8 영화 감상의 백분율은 운동의 백분율의
어떻게 풀었니?
30Ö15 = 2(배)이므로 영화 감상이 취미인 학생은
표를 보고 원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자! 18_2 = 36(명)입니다.
백분율의 합계는 100 %이니까 윷놀이와 투호의 백분율의 합은

100-( 20 + 30 ) = 50 (%)야.
하고 싶은 민속놀이별 학생 수
윷놀이와 투호의 백분율이 같으니까 백분율은 각각 25 %지. 

제기차기
표의 빈칸에는 25 , 25 , 100 을/를 차례로 써넣으면 돼. 투호
(A) (A)
 윷놀이 
이제, 원그래프에 각 항목이 차지하는 백분율의 크기만큼 선을 그어 연날리기 (A)
(A)
원을 나눈 다음, 나눈 부분에 각 항목의 내용과 백분율을 쓰면 돼.
아~ 원그래프를 완성하면 오른쪽과 같구나! 

66 20, 20, 100 /


연우네 반 학생들이 배우고 싶은 악기를 조사하여 나타낸 표입니다. 기타와 플루트를 배우고 싶은 학
배우고 싶은 악기별 학생 수
생 수의 백분율이 같습니다. 표의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넣고 원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세요.

배우고 싶은 악기별 학생 수
 배우고 싶은 악기별 학생 수
쓰기 쉬운 서술형 54쪽

악기 피아노 바이올린 기타
플루트플루트 합계

백분율( %) 35 25 (A) 20 피아노


20 100
(A)
플루트
(A) 피아노
(A)
1 260, 260, 390, 다 / 다 농장
 기타   
1-1 나 과수원
기타
풀이 | 백분율의 합계가 100 %이므로 기타와 플루트의 백분율의 합은 (A)
100 - (35 + 25) = 40 (%)입니다. (A) 바이올린
기타와 플루트의 백분율이 같으므로 각각 20 %입니다. 바이올린 (A)
보기 (A)  2 25, 20, 25, 20, 45 / 45 %
52 수학 6-1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정답과 풀이 53쪽
2-1 65 %
3 30, 15, 2, 2, 42 / 42명
77
3-1 72명
과학반 학생들의 장래 희망을 조사하여 나타낸 띠그래프입니다. 선생님이 되고 싶은 학생이2022. 8. 18.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52 오후 2:50

9명이라면 과학자가 되고 싶은 학생은 몇 명일까요?


진도책 128쪽
9번 문제
   
장래 희망별 학생 수
      A()
3-2 66권
과학자
(A)
운동 선수
(A)
선생님 연예인
(A) (A) 3-3 92명
기타
(A) 4 30, 180, 180, 45, 81 / 81명
어떻게 풀었니?
4-1 48명
백분율을 이용해서 학생 수를 구해 보자! 4-2 390 kmÛ
백분율은
(부분의 수)
(전체의 수)
에 100을 곱한 값이니까 부분의 수가 2배가 되면 백분율도 2배가 돼. 4-3 27만 원
즉, 백분율의 관계를 이용해서 학생 수도 알 수 있지.
띠그래프에서 선생님의 백분율은 12 %이고, 과학자의 백분율은 36 %야.

과학자의 백분율이 선생님의 백분율의 36 Ö12 = 3 (배)이니까 과학자가 되고 싶은 학생 1 -1 ‌ 가 과수원의 사과 생산량은 240상자, 다 과수원의 사
수도 선생님이 되고 싶은 학생 수의 3 배라는 걸 알 수 있지. 과 생산량은 170상자이므로 나 과수원의 사과 생산량은
(과학자가 되고 싶은 학생 수) = (선생님이 되고 싶은 학생 수)_ 3
5
750 - 240 - 170 = 340(상자)입니다. 1
= 9_ 3 = 27 (명)
따라서 사과 생산량이 가장 많은 과수원은 나 과수원입
아~ 과학자가 되고 싶은 학생은 27 명이구나!
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88 윤성이네 학교 6학년 학생들의 취미를 조사하여 나타낸 띠그래프입니다. 운동이 취미인 학생이 18명
36 명영화 감상이 취미인 학생은 몇 명일까요?
① 나 과수원의 사과 생산량을 구했나요?
이라면
② 사과 생산량이 가장 많은 과수원을 구했나요?
취미별 학생 수
          A()

54 수학 6-1 게임
(A)
영화 감상
(A)
운동 독서
(A) (A)(A)
기타

( 36명 )
풀이 | 영화 감상의 백분율은 운동의 백분율의 30Ö15 = 2(배)이므로
영화 감상이 취미인 학생은 18_2 = 36(명)입니다.

5. 여러 가지 그래프 53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4 2022. 8. 18. 오후 3:03
2 -1 ‌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 사용한 학생은 전체의 35 % 4-2  농경지의 넓이는 2000_;1£00¼ ; = 600 (kmÛ )입니다.
이고, 2시간 이상 3시간 미만 사용한 학생은 전체의
 1
30 %입니다. 1
따라서 1시간 이상 3시간 미만 사용한 학생은 전체의 따라서 논의 넓이는 600_;1¤00
° ; = 390 (kmÛ  )입니다.
35 + 30 = 65 (%)입니다. 2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단계 문제 해결 과정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 2시간 이상 3시간 미만 사용한 학생의
① ① 농경지의 넓이를 구했나요?
비율을 각각 구했나요?
② 논의 넓이를 구했나요?
② 1시간 이상 3시간 미만 사용한 학생의 비율을 구했나요?

3 -1 ‌ 드라마의 비율은 만화의 비율의 4-3  교육비로 지출한 금액은


200만_;1£0¼0; = 60만 (원)입니다.
12Ö36 = ;3!6@; = ;3!; (배)입니다.
1
1

따라서 영어 학원의 비율은


따라서 드라마를 즐겨 보는 학생은 216_;3!; = 72(명) 100 - (35 + 20) = 45 (%)이므로 영어 학원비로 지
입니다. 2 출한 금액은 60만_;1¢0°0; = 27만 (원)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드라마의 비율은 만화의 비율의 몇 배인지 구했나요?
① 교육비로 지출한 금액을 구했나요?
② 드라마를 즐겨 보는 학생 수를 구했나요?
② 영어 학원비로 지출한 금액을 구했나요?

3 -2  동화책의 비율은
100 - (16 + 22 + 10 + 8) = 44 (%)이므로 동화
책의 비율은 과학책의 비율의 44Ö22 = 2(배)입니다.
 1 5 단
원 수행 평가 60~61쪽

따라서 동화책은 33_2 = 66(권)입니다. 2 1 240상자


단계 문제 해결 과정
2 농장별 고구마 수확량
① 동화책의 비율은 과학책의 비율의 몇 배인지 구했나요?
농장 수확량
② 동화책 수를 구했나요?

3-3  망고와 포도의 비율의 합은 나


100 - (34 + 13 + 7) = 46 (%)이고, 망고와 포도의 다
비율이 같으므로 망고의 비율은 23 %입니다. 1

따라서 망고를 좋아하는 학생은 400_;1ª0£0; = 92(명) 100상자 10상자

입니다. 2 3 60 %
단계 문제 해결 과정 4 35, 25, 20, 20, 100
① 망고의 비율을 구했나요?
② 망고를 좋아하는 학생 수를 구했나요?
5 좋아하는 산별 학생 수
          A()

4-1  농구를 좋아하는 학생은 600_;1ª0¼0; = 120(명)입


한라산 설악산 지리산 북한산
(A) (A) (A) (A)

니다. 1 6 54, 27 / 35, 30, 20, 100 / 좋아하는 꽃별 학생 수


따라서 농구를 좋아하는 남학생은 
국화

120_;1¢0¼0; = 48(명)입니다.
(A)
2 장미
백합 (A)
 (A) 
단계 문제 해결 과정 튤립
① 농구를 좋아하는 학생 수를 구했나요? (A)

② 농구를 좋아하는 남학생 수를 구했나요? 

정답과 풀이 55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5 2022. 8. 18. 오후 3:03


학생부록 | 정답과 풀이

7 400명
9 156상자
8 31 %
10 130명 6 6. 규칙찾기
직육면체의 부피와 겉넓이

직육면체의 부피와 겉넓이


1 그림그래프에서 큰 그림 2개, 작은 그림 4개로 나타내었
으므로 240상자입니다.
개념 적용
개념 적용 62쪽

2 농장별로 100상자는 큰 그림으로, 10상자는 작은 그림 1 1 상자 가와 나에 모양과 크기가 같은 직육면체 모양의 지우개를 담아 부피를 비교하려고 합니다.
부피가 더 큰 상자의 기호를 써 보세요.
으로 나타냅니다. 진도책 146쪽
3번 문제 가 나

3 40 + 20 = 60 (%)

4 한라산: ;1°6¤0;_100 = 35 (%) 어떻게 풀었니?

두 상자의 부피를 비교해 보자!

설악산: ;1¢6¼0;_100 = 25 (%) 부피란 어떤 물건이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말하지?


즉, 부피가 더 큰 상자에는 같은 물건을 더 많이 담을 수 있어.

지리산, 북한산: ;1£6ª0;_100 = 20 (%)


가와 나 두 개의 상자 중 모양과 크기가 같은 지우개를 더 많이 담을 수 있는 것을 찾아봐.

상자 가에는 지우개를 1층에 3개씩 3 줄로 9 개 담을 수 있고, 높이는 2층으로 쌓을 수

있으니까 모두 9 _2 = 18 (개)를 담을 수 있어.


(백분율의 합계) = 35 + 25 + 20 + 20 = 100 (%)
상자 나에는 지우개를 1층에 3개씩 2 줄로 6 개 담을 수 있고, 높이는 4층으로 쌓을 수

(국화를 좋아하는 학생 수) = 180_;1Á0°0; = 27(명)


있으니까 모두 6 _4 = 24 (개)를 담을 수 있지.

6 담을 수 있는 지우개의 수를 비교하면 18 < 24 (이)야.

(튤립을 좋아하는 학생 수)= 180 - (63 + 36 + 27)


아~ 부피가 더 큰 상자는 나 구나!

= 54(명)
22
어려운 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아요!

장미: ;1¤8£0;_100 = 35 (%)
상자 가, 나, 다에 크기가 같은 직육면체 모양의 지우개를 담아 부피를 비교하려고 합니다.정답과
부피가풀이 56
가쪽
장 큰 상자를 찾아 기호를 써 보세요.

33
튤립: ;1°8¢0;_100 = 30 (%)
두 직육면체
가 중에서 부피가 더 큰 것의
나 기호를 써 보세요. 다

진도책 148쪽
가: 가로 4 cm, 세로 10 cm, 높이 13 cm인 직육면체
9번 문제
나: 가로 8 cm, 세로 5 cm, 높이 6 cm인 직육면체

백합: ;1£8¤0;_100 = 20 (%) 풀이 | 가 상자: 1층에 4개씩 2줄로 8개 담을 수 있고, 높이는 3층으로 쌓을 수 있으므로 모두
( 나 )
8_3 = 24(개) 담을 수 있습니다.
나 상자: 1층에 3개씩 4줄로 12개 담을 수 있고, 높이는 3층으로 쌓을 수 있으므로 모두 12_3 = 36(개) 담을 수 있습니다.
어떻게 풀었니?
(백분율의 합계) = 35 + 30 + 20 + 15 = 100 (%)
다 상자: 1층에 4개씩 4줄로 16개 담을 수 있고, 높이는 2층으로 쌓을 수 있으므로 모두 16_2 = 32(개) 담을 수 있습니다.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직육면체의 부피는 넓이가 ▒ cm`Û 인 직사각형이 얼마만큼 쌓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거니까


7 터키의 비율이 20 %이므로 전체 학생 수는 터키에 여행 62 수학 6-1
밑면의 넓이 높이
밑면의 넓이가 같다면 높이가 높을수록 부피가 커.
가고 싶은 학생 수의 100Ö20 = 5(배)입니다. ⋯

따라서 전체 학생 수는 80_5 = 400(명)입니다.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62 2022. 8. 18. 오후 2:50
DN

DN™ DN™

8 호주의 비율의 반은 14Ö2 = 7 (%)이므로 이탈리아의 가 직육면체와 나 직육면체의 밑면의 넓이를 비교해 보면
가로 세로
4 cm 10 cm
비율은 24 + 7 = 31 (%)가 됩니다.
가:
나의 가로는 가의 2 배이고, 세로는 가의 ;2!; 배이니까
2배 2배

밑면의 넓이가 같아. 나: 8 cm 5 cm

9 사과 생산량은 복숭아 생산량의 30Ö20 = 1.5(배)입니다. 즉, 두 직육면체의 높이만 비교해 보면 되는 거야.

높이를 비교하면 가 의 높이가 더 높으니까 부피가 더 큰 것은 가 라는 걸 알 수 있지.


따라서 사과 생산량은 104_1.5 = 156(상자)입니다.
서술형
부피를 구해서 확인해 볼까? 6
(가의 부피) = 4 _ 10 _ 13 = 520 (cm`Ü `)
10  (선생님의 비율)= 100 - (28 + 19 + 20 + 7)
(나의 부피) = 8 _ 5 _ 6 = 240 (cm`Ü `)
= 26 (%) 직접 부피를 구해 봐도 결과는 같지?

따라서 선생님이 되고 싶은 학생은 아~ 부피를 구해 보지 않아도 부피가 더 큰 것은 가 구나!

500_;1ª0¤0; = 130(명)입니다.
44

개념 적용
두 직육면체 중에서 부피가 더 큰 것의 기호를 써 보세요.
평가 기준 배점
55
가: 가로 6 cm, 세로 8 cm, 높이 15 cm인 직육면체
선생님의 비율을 구했나요? 5점 전개도를 접어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나: 가로 만들었을 ,때높이
4 cm, 세로 12 cm 상자16 cm인 직육면체
의 부피는 몇 mÜ`인지 구해 보세요. ADN
선생님이 되고 싶은 학생 수를 구했나요? 5점 진도책 150쪽 ADN
15번 문제 ( 나 )
ADN
풀이 | 가와 나의 밑면의 넓이가48 cmÛ`로 같으므로 높이만 비교하면 됩니다.
15 cm<16 cm이므로 부피가 더 큰 것은 나입니다.
6. 직육면체의 부피와 겉넓이 63

56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어떻게 63 풀었니? 2022. 8. 18. 오후 2:50

전개도가 주어진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해 보자!

전개도를 접어서 만들어지는 상자는 오른쪽과 같아. ADN


부피의 단위는 cm`Ü `와 m`Ü `가 있으니까 어떤 단위로 나타내어야 하는지
꼭 확인해야 해. ADN
주어진 모서리의 길이는 cm 단위인데 구하려는 부피의 단위는 m`Ü `네. ADN

두 단위의 기준이 cm와 m로 다르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어.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6 2022. 8. 18. 오후 3:03
개념 적용

5 전개도를 접어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만들었을 때 상자


의 부피는 몇 mÜ`인지 구해 보세요. ADN
진도책 150쪽 ADN
15번 문제
ADN

어떻게 풀었니?
6 전개도를 접어서 만들어지는 상자는
AN
전개도가 주어진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해 보자!
오른쪽과 같습니다.
전개도를 접어서 만들어지는 상자는 오른쪽과 같아. (상자의 부피)= 1.3_0.5_0.8 AN AN
ADN
부피의 단위는 cm`Ü `와 m`Ü `가 있으니까 어떤 단위로 나타내어야 하는지
꼭 확인해야 해. ADN = 0.52 (mÜ  )
주어진 모서리의 길이는 cm 단위인데 구하려는 부피의 단위는 m`Ü `네. ADN

두 단위의 기준이 cm와 m로 다르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어.


8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모서리의 길이를 m로 나타낸 부피를 cm`Ü ` 단위로 구한 다음
__6 = 96, _ = 96Ö6 = 16,
방법 1 방법 2

다음 부피 구하기 m`Ü ` 단위로 바꿔서 나타내기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 m,
2.5 m, 1.2 m인 직육면체의 부피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0 cm, 250 cm,
120 cm인 직육면체의 부피
4_4 = 16이므로  = 4입니다.
1 _ 2.5 _ 1.2 = 3 (m`Ü `) 100 _ 250 _ 120

= 3000000 (cm`Ü `)
9 (9_5 + 9_ + 5_ )_2 = 174,
•단위를 m`Ü `로 바꾸기 9_5 + 9_ + 5_ = 174Ö2 = 87,
3000000 cm`Ü ` = 3 m`Ü ` 45 + 14_ = 87, 14_ = 42,  = 3
아~ 전개도로 만든 상자의 부피는 3 m`Ü `구나!

보기

66 0.52 mÜ
전개도를 접어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만들었을 때 상자의 부피 어려운 문제를 다시ADN
한 번 풀어보아요!

는 몇 mÜ```인지 구해 보세요. ADN 정답과 풀이 56쪽

ADN

77 정육면체의 겉넓이가 384 cmÛ`일


( 때 0.52알맞은
안에 mÜ 수를 써넣으세요.
) 쓰기 쉬운 서술형 66쪽
풀이 | 전개도를 접어서 만들어지는 상자는
진도책 153쪽 오른쪽과 같습니다.
AN
23번 문제 (상자의 부피) = 1.3_0.5_0.8
= 0.52 (mÜ ) AN AN
DN
1 8, 8, 8, 384 / 384 cmÛ
64 수학 6-1 1-1 294 cmÛ
어떻게 풀었니? 2 3, 4, 4, 4, 4, 64 / 64 cmÜ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64
겉넓이가 주어진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구해 보자!
2022. 8. 18. 오후 2:50

2-1 125 cmÜ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정육면체를 이루는 6개의 면의 넓이의 합이야.
정육면체는 6개의 면이 모두 합동이니까 한 면의 넓이에 6배를 해서 구할 수 있지. 3 6, 6, 81, 9, 9 / 9 cm
(정육면체의 겉넓이) = (한 면의 넓이)_ 6
3-1 6 cm
(한 면의 넓이) = (정육면체의 겉넓이)Ö 6

겉넓이가 384 cm`Û `라고 했으니까 (한 면의 넓이) = 384 Ö 6 = 64 (cm`Û `)이고,


3-2 4 cm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_ = 64 에서  = 8 (이)지. 3-3 5 cm
아~  안에 알맞은 수는 8 (이)구나!
4 3, 21, 5 / 5
4-1 4 cm
88 4 cm
겉넓이가 96 cmÛ```인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몇 cm일까요? 9 3 6 4-2 6
4 cm
4-3 10
( )
풀이 |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__6 = 96, _ = 96Ö6 = 16, 4_4 = 16이므로  = 4입니다.

2 상자 가: 1층에 4개씩 2줄로 8개 담을 수 있고, 높이는


9 3층으로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쌓을
174 cmÛ```일 때 수 알맞은
안에 있으므로 모두
수를 써넣으세요. 1 -1 ‌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
8_3 = 24(개) 담을 수 있습니다. 는 7 cm입니다. 1
 DN
상자 나: 1층에 3개씩 4줄로 12개ADN 담을 수 있고, 높이는 따라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ADN
9_5 + 9_ 3+
풀이 | ( 층으로

45 + 14_ = 87 14_ = 42 = 3
 , 
쌓을
5_ _2 = 174
) 9_5 +수
,
9_ 있으므로
,  모두
+ 5_ = 174Ö2 = 87  , 7_7_6 = 294 (cmÛ )입니다. 2

12_3 = 36(개) 담을 수 있습니다. 단계 문제 해결 과정

상자 다: 1층에 4개씩 4줄로 16개 담을 수 있고, 높이는 ① 가장 큰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구했나요?
65 6. 직육면체의 부피와 겉넓이

2층으로 쌓을 수 있으므로 모두 ② 가장 큰 정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했나요?

22초등수학(기본)6-1부록(01-77)-해답용-OK.indd 65
16_2 = 32(개) 담을 수 있습니다. 2022. 8. 18. 오후 2:50 2 -1 ‌ 정육면체는 모서리의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정육면체
따라서 부피가 가장 큰 상자는 나입니다. 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20Ö4 = 5 (cm)입니다. 1

4 가와 나의 밑면의 넓이가 48 cmÛ`로 같으므로 높이만 비 따라서 정육면체의 부피는 5_5_5 = 125 (cmÜ )입
교하면 됩니다. 니다. 2

15 cm<16 cm이므로 부피가 더 큰 것은 나입니다.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다른 풀이 | 가: 6_8_15 = 720 (cmÜ`) ①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구했나요?

나: 4_12_16 = 768 (cmÜ`) ② 정육면체의 부피를 구했나요?

정답과 풀이 57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7 2022. 8. 18. 오후 3:04


학생부록 | 정답과 풀이

3 -1 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4-3  왼쪽 직육면체의 부피는 8_5_12 = 480 (cmÜ```)입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__6 = 216입니다. 1 니다. 1

_ = 216Ö6, _ = 36,  = 6 오른쪽 직육면체의 부피도 480 cmÜ 이므로
따라서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6 cm입니다. 12__4 = 480입니다.
 2 48_ = 480,  = 480Ö48,  = 10
단계 문제 해결 과정 따라서  안에 알맞은 수는 10입니다. 2

① 정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하는 식을 썼나요?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②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구했나요? ① 왼쪽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했나요?
②  안에 알맞은 수를 구했나요?

3 -2  직육면체의 세로를  cm라고 하면


직육면체의 겉넓이는
(8_ + 8_5 + _5)_2 = 184입니다. 1

8_ + 8_5 + _5 = 184Ö2 = 92,


_13 + 40 = 92, _13 = 52,  = 4입니다.
따라서 직육면체의 세로는 4 cm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직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하는 식을 썼나요?
직육면체의 세로를 구했나요? 6 단
원 수행 평가 72~73쪽

1 <
3-3  (직육면체의 겉넓이)
= (9_4 + 9_3 + 4_3)_2
2 ⑴ 90 cmÜ ⑵ 64 cmÜ
= (36 + 27 + 12)_2 = 75_2 = 150 (cmÛ ) 1 3 ⑴ 8000000 ⑵ 1.75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4 358 cmÛ 5 150 cmÛ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__6 = 150입니다.
6 1.05 mÜ 7 486 cmÛ
_ = 150Ö6, _ = 25,  = 5
따라서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5 cm입니다. 8 4 9 4 cm
 2 10 198 cmÛ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① 직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했나요? 1 (가의 쌓기나무 개수) = 4_3_2 = 24(개)
②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구했나요? (나의 쌓기나무 개수) = 3_3_3 = 27(개)
 24<27이므로 부피가 더 큰 직육면체는 나입니다.
4-1  직육면체의 높이를  cm라고 하면 
직육면체의 부피는 9_6_ = 216입니다. 1 2 ⑴ (직육면체의 부피) = 5_3_6 = 90 (cmÜ )
54_ = 216,  = 216Ö54,  = 4 ⑵ (정육면체의 부피) = 4_4_4 = 64 (cmÜ )
따라서 직육면체의 높이는 4 cm입니다. 2
⑴ 1 mÜ = 1000000 cmÜ
3
단계 문제 해결 과정 ⑵ 1000000 cmÜ = 1 mÜ
①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식을 썼나요?
② 직육면체의 높이를 구했나요? 4 (직육면체의 겉넓이)
= (12_5 + 12_7 + 5_7)_2
4-2  빗금 친 면이 정사각형이므로 직육면체의 부피는 = (60 + 84 + 35)_2
__5 = 180입니다. 1 = 179_2 = 358 (cmÛ )
_ = 180Ö5, _ = 36,  = 6
5 (정육면체의 겉넓이) = 5_5_6 = 150 (cmÛ )
따라서  안에 알맞은 수는 6입니다. 2

단계 문제 해결 과정 6 140 cm = 1.4 m 
①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식을 썼나요? 50 cm = 0.5 m
②  안에 알맞은 수를 구했나요? (직육면체의 부피) = 1.4_0.5_1.5 = 1.05 (mÜ )

58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8 2022. 8. 18. 오후 3:04


7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직
1~ 6 단원 총괄 평가 74~77쪽
육면체의 가장 짧은 모서리의 길이와 같으므로 9 cm입
니다.
1 ;2¦7; / ;2¦7;, 3 2 ⑴ 2.15 ⑵ 3.8
 (정육면체의 겉넓이) = 9_9_6 = 486 (cmÛ )
3  4  – 
8 8_3_ = 96, 24_ = 96,
 = 96Ö24,  = 4 – –

9 (직육면체의 부피) = 4_2_8 = 64 (cmÜ  )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5 294 cmÛ 6 3배
__ = 64에서 4_4_4 = 64이므로 7 12개 8 720 cmÜ / 516 cmÛ
 = 4입니다.
서술형 9 2;4#; cm 10 ;8%;
10  직육면체의 세로를  cm라고 하면
6__9 = 162이므로 _54 = 162, 11 선분 ㅈㅇ / 선분 ㄴㄷ 12 ㉢, ㉠, ㉡

 = 162Ö54,  = 3입니다. 13 3 14 독도, 제주도, 울릉도, 외도


따라서 이 직육면체의 겉넓이는
15 620명 16 4개
(6_3 + 6_9 + 3_9)_2 = (18 + 54 + 27)_2
17 1, 3, 6, 8, 1.7 18 크림빵
= 99_2 = 198 (cmÛ  )입니다.
평가 기준 배점 19 5.12 20 512 cmÜ
직육면체의 세로를 구했나요? 5점

1 ;9&;Ö3 = ;9&;_;3!; = ;2¦7;


직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했나요? 5점

2 2.1 5
⑴         ⑵ 3.8
4 8.6 0 5 1 9.0
8 15
6 40
4 40
20 0
20
0

3 (색칠한 칸 수) : (전체 칸 수)  5 : 12
전체 칸 수가 12칸이므로 12칸 중에서 5칸을 색칠합니다.

4 6으로 나눈 몫은 3으로 나눈 몫을 다시 2로 나눈 몫과
같습니다.
12.24Ö   6   = 2.04
12.24Ö3Ö2 = 4.08Ö2 = 2.04

5 (정육면체의 겉넓이) = 7_7_6 = 294 (cmÛ )

6 튤립의 비율은 국화의 비율의 30Ö10 = 3(배)입니다.

7 면이 7개인 각뿔의 밑면의 변은 7 - 1 = 6(개)이므로


육각뿔입니다.
(육각뿔의 모서리의 수) = 6_2 = 12(개)

정답과 풀이 59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59 2022. 8. 18. 오후 3:04


학생부록 | 정답과 풀이

8 (직육면체의 부피) = 15_6_8 = 720 (cmÜ ) 18 (크림빵의 할인 금액) = 1200 - 1020 = 180(원)
(직육면체의 겉넓이)
 (크림빵의 할인율) =
180
_100 = 15 (%)
= (15_6 + 15_8 + 6_8)_2 1200
(도넛의 할인 금액) = 1500 - 1350 = 150(원)
= (90 + 120 + 48)_2
= 258_2 = 516 (cmÛ )  (도넛의 할인율) =
150
_100 = 10 (%)
1500
(샌드위치의 할인 금액) = 4500 - 3960 = 540(원)
9 정오각형은 다섯 변의 길이가 모두 같습니다.
 (샌드위치의 할인율) =
540
(정오각형의 한 변의 길이) _100 = 12 (%)
4500
55 55Ö5
= 13;4#;Ö5 = Ö5 = 따라서 할인율이 가장 높은 빵은 크림빵입니다.
4 4
서술형
11
= = 2;4#; (cm) 19  어떤 수를 라고 하면 _4 = 81.92이므로
4
 = 81.92Ö4 = 20.48입니다.
10 (전체 책 수) = 75 + 45 = 120(권) 따라서 바르게 계산한 값은 20.48Ö4 = 5.12입니다.
전체 책 수에 대한 동화책 수의 비율 평가 기준 배점

 ;1¦2°0; = ;8%;
어떤 수를 구했나요? 3점
바르게 계산한 값을 구했나요? 2점
서술형

11 •전개도를 접었을 때 점 ㄱ과 만나는 점은 점 ㅈ, 점 ㄴ 20 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cm라고 하면


과 만나는 점은 점 ㅇ이므로 선분 ㄱㄴ과 맞닿는 선분 __6 = 384, _ = 384Ö6, _ = 64

은 선분 ㅈㅇ입니다. 이므로  = 8입니다.

•전개도를 접었을 때 점 ㅇ과 만나는 점은 점 ㄴ, 점 ㅅ 따라서 한 모서리의 길이가 8 cm인 정육면체의 부피는

과 만나는 점은 점 ㅁ, 점 ㄷ이므로 선분 ㅇㅅ과 맞닿 8_8_8 = 512 (cmÜ )입니다.


평가 기준 배점
는 선분은 선분 ㄴㄷ입니다.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구했나요? 3점

12 ㉠ 6_2 = 12(개) 정육면체의 부피를 구했나요? 2점

㉡ 7_2 = 14(개)
㉢ 9 + 2 = 11(개)

13 250 cm = 2.5 m
2.5_2_ = 15, 5_ = 15,  = 15Ö5 = 3

14 (울릉도의 비율) = 100 - (30 + 35 + 15) = 20 (%)


따라서 35 %>30 %>20 %>15 %이므로 많은 학
생이 가고 싶은 섬부터 차례로 쓰면 독도, 제주도, 울릉
도, 외도입니다.

15 울릉도의 비율은 20 %이고 전체는 20 %의 5배인


100 %이므로 전체 학생 수는 124_5 =620(명)입니다.

3 35 35Ö7 5 5 
16 4 8 Ö7 = 8 Ö7 = 8 = 8 이므로 8 > 8
입니다.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1, 2, 3, 4로
모두 4개입니다.

17 몫이 가장 작은 나눗셈식을 만들려면 나누어지는 수는


가장 작게, 나누는 수는 가장 크게 해야 합니다.
 13.6Ö8 = 1.7

60 수학 6-1

22초등수학(기본)6-1부록정답(041-060)-OK1.indd 60 2022. 8. 18. 오후 3:0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