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5.1.

21
(a)
        ⋯   라 하자. 가 chacteristic polynomial이므로
  det   이고, 는 차수가 최대   인 다항식이므로 의 차항의 계수와
   차항의 계수가 와 같음을 보이면 된다. 이 때 det   의 계산과정에서,  항은 대각
 
성분을 모두 곱한 항에서만 나오기 때문에,  의 계수는   이 되고, 이는 의 차항의
계수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이는 Exercise 20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            ⋯  임을 보이면 된다. 귀납법을 사용하면,
  일 때
det             이므로, 자명하게 성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
    일 때
Let   ≤   ≤     ∈ :      의  행  열을 제외하고 만든  ×  행렬

det          det   det  ⋯      det    


이 때 det   ≤  ≤   에는 1행의    ,  열의    가 없어진  ×  의 행렬식이
 
므로 det 의  의 최고차수는   차이다. 즉,   det 항들은 모두  의  차항
계수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det     의  차항 계수는   det 의 계
수와 같다.  은  ×  행렬 ′ 에 대해 ′   꼴이기 때문에, 가정에 의해 det 은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최대   차 다항식)이


   
 
므로, 이를    와 곱해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되어

명제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명제는 참이다.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