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수학 1

실력편 07 삼각함수의 정의
   
1.� 호도법 이를테면� rad   이므로�  rad   ×    
   
기본정석   
   rad 이므로�    rad ×   rad
  
1 호도법과� 분법의� 관계 다음� 표는� 위와� 같은� 관계를� 써서� 얻은� 것이다.

    에서�  분법      


         


    ≒′

호도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표는� 특수각에� 관한� 것으로서,� 계산할� 때에는�
 
rad   를� 기본으로� 하여� 양변에�  배,�  배,� …,�  배�
 
하면� 된다.

2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 ∠A의� 크기가� rad 이라는� 것을� ∠A   rad 또는� rad 를�
생략하고� ∠A   라고� 나타낸다.�    라는� 말은� 가�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에서� 중심각의�  와� 같다는� 뜻이� 아니라,� rad 이�  와� 같다는� 뜻이다.
크기가�  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 ,�
넓이를�  라고� 하면
 � 2.� 반지름의� 길이가�  ,� 중심각의�
 
              크기가�  r ad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 ,�
 
넓이를�  라고� 하면
 
 � 1.� 호도법과� 분법의� 관계    이므로�    ⋯⋯ ①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  
   이므로�      ⋯⋯ ②
 인� 원호� 위에� 길이가�  인� 호� AB 를�   
잡을� 때,� 이� 호에� 대한� 중심각� AOB 의�   
또,� ①을� ②에� 대입하면�       ×   
크기는� 반지름의� 길이�  에� 관계없이� 항상�   
일정하다. 보기 1 � 다음� 그림과� 같은� 부채꼴이� 있다.
� 이와� 같이� 반지름의� 길이�  와� 호� AB 의�
길이가� 같을� 때,� 각� AOB 의� 크기를�
 라디안 radian라� 하고,� 이것을� 단위로� 하는� 각의� 측정법을�
호도법이라� 한다.� 라디안을�  rad 으로� 나타낸다.
이제�  라디안은� 일상에서� 쓰고� 있는�  분법으로� 몇� 도가� 되는� 가� ⑴�    cm ,�   rad 일� 때,�  과� S 를� 구하여라.
알아보자. ⑵�    cm ,�    cm 일� 때,�  와� S 를� 구하여라.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둘레의� 길이는�  이고,� 이것은� 
⑶�   °,� S  cm 일� 때,�  와�  을� 구하여라.
반지름의� 길이의� 배이므로� rad 은�  에� 해당한다.
⑷�    cm ,� S cm 일� 때,�  와�  를� 구하여라.
  ,� rad  
곧,� rad
 
이로부터�  rad 을�  분법으로,�  를� 호도법으로� 바꾸면� 다음과�
연구    ⋯ ①� � � � � S    ⋯②� � � � � S    ⋯③
 
같다.
⑴�    ,�    를� ①,� ②에� 대입하면�   cm S  cm 
⑵�    ,�    를� ①,� ③에� 대입하면�
  
정석 �    ≒′″,�    ≒    rad S   cm 

  
이것은�  분법과� 호도법을� 환산하는� 기본이� 된다. 
⑶�    ,� S   를� ②,� ①에� 대입하면�

  cm   cm

⑷�    ,� S   를� ③,� ①에� 대입하면�    cm    rad

1
실력정석 수1

필수예제 7-1 유제 7-2


1. 3.
1) 길이가� 인� 철사로� 점� O를� 중심으로� 하는� 3)둘레의� 길이가� 일정한� 부채꼴의� 넓이가� 최대가� 될� 때,� 부채꼴의�

두� 원과� 점� O를� 지나는� 두� 직선으로� 둘러싸 반지름의� 길이와� 호의� 길이의� 비를� 구하여라.
인� 그림과� 같은� 도형을� 만들� 때,� 이� 도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단,�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R,� 작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라고� 한다.

정석연구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에서�


중심각의� 크기가�   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 ,� 넓이를�  라고� 하면�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정석         

유제 7-3
4.
4)한� 원에서� 부채꼴의� 둘레의� 길이가� 이� 원둘레의� 반과� 같을� 때,

⑴�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몇� rad 인가?


⑵�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가�  cm 이면� 부채꼴의� 넓이는� 몇� cm
인가?

유제 7-1
2.
2) 둘레의� 길이가� cm 인� 부채꼴의� 넓이가� 최대일� 때,� 반지름의�
길이와�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2
07 삼각함수의 정의

2.� 일반각의� 정의 필수예제 7-2


5.
기본정석 5)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일반각의� 표시 ⑴� 제 사분면의� 각을�  라고� 할� 때,�   는� 제� 몇� 사분면의� 각인가?

동경� OP 가� 시초선� OX 의� 양의� ⑵�  의� 동경과�  의� 동경이� 반대쪽으로� 일직선이� 될� 때,�
방향과� 이루는� 최소의� 양의� 각을�
 라고� 하면� 동경� OP 가� 나타내는�  
 
sin     의� 값을� 구하여라.� 단,�      이다.
 
일반각�  는
정석연구 � (1)�  가� 제�  사분면의� 각이라고� 해서� 단순히�
     단 은 정수 
또,�    가� 호도법으로� 나타낸� 갓이면 
    라고� 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 가� 일반각이기�

      단 은 정수 
때문이다.�
 보통�  는�  ≤    � 또는�
정석  가� 제  사분면의� 각� →�    
    ≤ 인� 것을�  는�  ≤    또는

    ≤ 인� 것을� 택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정수,      �

2 사분면의� 각 (2)�     만� 생각하기� 쉬우나� 일반적으로�
      로� 나타내어야� 한다.
좌표평면에서� 동경� OP 가� 속하는� 사분면에� 따라�
제  사분면의� 각,� 제  사분면의� 각,
제  사분면의� 각,� 제  사분면의� 각
이라고� 한다.
 � 위와� 같은� 그림을� 그려서� 다음� 성질을� 확인해� 보길�
  ,� ±,� ±,� ±,� ± ,� ⋯는�
바란다.�
어느� 사분면의� 각도� 아니다.
정석 두� 각�  를� 나타내는� 동경� OP OP ′ 에� 대하여� 이�
 � 양의� 각,� 음의� 각,� 일반각 정수일� 때�
일치한다.� � ⇔     
동경� OP가� 시초선� OX를� 출발하여� 회전한�
양을� ∠XOP 의� 크기라� 하고,� 동경� OP 가� 일직선� 위에� 있고� 방향이� 반대이다.� � � ⇔� �       

시초선� OX로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 ⇔     


회전한� 것을� 양의� 각,� 시계� 방향으로� 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 ⇔       
회전한� 것을� 음의� 각이라고� 하나.� 오른쪽� 그림에서� 동경� OP가�
시초선� OX를� 출발하여� 오른쪽� 위치에� 유제 7-4
6.
머물렀다는� 것은� 다음� 여러�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6)어떤� 둔각을�  배하면� 이� 둔각의� 동경은� 처음과� 같은� 위치에� 온다
고� 한다.� 이� 둔각의� 크기를� 구하여라.

유제 7-5
7.
따라서� 동경� OP 와� 시초선� OX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하면� 7)  ,�  이� 모두� 정수일� 때,� 시초선이� 같은� 두� 각� ° ×  ° ,�
     ( 은� 정수) ° ×  ° 의� 동경은� 일치함을� 보여라.
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을� 동경� OP의� 일반각이라고� 한다.

3
실력정석 수1

3.� 일반각의� 삼각함수 보기 1 ∆ABC에서� 세� 변의� 길이� ,� ,�  사이에�

기본정석      ,�    인� 관계가� 있을� 때,� sinA,� cosA,� tanA 의�


일반각의 삼각함수
값을� 구하여라.
1 일반각의� 삼각함수 연구

오른쪽� 그림에서� 동경� OP 가�  축의�    를�      에� 대입하면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을�  라고� 할�      ∴   
때,�  에� 대한� 삼각함수를� 다음과�   ,�   이므로�    
같이� 정의한다.   
∴ sinA       ,
  
     
cosA       ,
  
   
sin    cos    tan     
   tanA      
 
 
  
csc    sec    cot  
  
 � 2,� 일반각의� 삼각함수
2 삼각함수의� 값의� 부호
  
오른쪽� 그림에서�  ,�  ,�  의� 값은�

OP 는� 항상� 양( ) 이고,� 삼각함수의�   
 의� 값에� 따라� 결정된다.
부호는� 와� 의� 부호를� 따른다.
  
 →  ,�  →  ,�  → 
  
의� 대응은� 각각� 함수이다.
따라서� 이들을� 가각�  의� 사인함수,� 코사인함수,� 탄젠트함수라� 하고,�

제  사분면제 사분면제  사분면제  사분면   


sin    cos    tan  
  
sin    
로� 나타내며,� 이들� 세� 함수를� 일반각�  의�
cos     삼각함수라� 한다.
tan    위의� 그림에서� 
OP  이므로� 는� 항상�
양이고,� ,� 의� 부호는� 점� P 의� 좌표의�
 � 1.� 삼각비 부호를� 따른다.� 이와� 같이� 약속하면� sin ,�

 cos ,� tan 에� 대하여� 제 사분면에서는� 모두�


∠C   인� 직각삼각형� ABC에서� ∠A   라고� 할� 때,�  에� 대한�
 양이고� 제  사분면에서는� sin 만,� 제  사분면에서는� tan 만,� 제�
삼각비를�  사분면에서는� cos 만이� 양이� 됨을� 알� 수� 있다.
  
sin    cos    tan  
   보기 2 � 원점과� 점� P  을� 지나는� 동경이� 나타내는�
로� 정의한다는� 것은� 이미� 중학교에서� 배웠다.�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sin  ,� cos ,� tan  의� 값을� 구하여라.
  
‘또,�  ,�  ,�  와� 같은� 특수각의� 삼각비의� 연구
  
값은� 아래와� 같이�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을� 이용하면� 쉽게� 얻을� 수�   ,�     ,�   
OP  이므로
있다는� 것도� 배웠다.   
sin     ,� cos   ,� tan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cos   
  

tan    �



4
07 삼각함수의 정의

필수예제 7-3 필수예제 7-4


8.
8) ∠B  °,�
∠C  °인� 11. 1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BC의� 변� BC 위에� 점� D가� 


(1)�       일� 때,�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있다.� ∠ADC  °일� 때,� 다음� 
P      
물음에� 답하여라. sin    sin   cos   cos  tan    
(1)� 
AC  일� 때,� 
BD 의� 길이 (2)� 다음� 값을� 구하여라.
를� 구하여라.
(2)� sin °의� 값을� 구하여라.

①� sin  


②� cos  
  
③� tan   
 

정석연구 � (2)� ∠BAD  ∠BAC  ∠DAC   정석연구

� (1)�      일� 때,� tan 만� 양이다.�

이므로� 점� D에서� 변� AB에� 내린�
(2)� 주어진� 각의� 동경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 다음� 동경과�
수선의� 발을� E라고� 하면�
축이� 이루는� 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을� 구한다.� 이� 때에는� 특히�

DE
sin  =  부호에� 주의� 한다.� �

AD
정석 � 일반각의� 삼각함수의� 값은� ⇨� 부호에� 주의� 하여라.� �
임을� 이용해보자.

정석 삼각비� ⇨� 직각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비

유제 7-6
9.
9) 아래� 그림을� 보고� sin °,� cos °,� tan °의� 값을� 구하여라.

유제 7-8
12.
12) sin  ° ,�
 
cos °,� sin  ,� tan   의� 값을� 구하여라.
 

유제 7-7
10.
10) ∠B  ∠C  °,� 
BC 인� ∆ABC에서� ∠B의� 이등분선과� 변�
AC의� 교점을� D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변� AC의� 길이를� 구하여라.
⑵� cos °의� 값을� 구하여라.

5
실력정석 수1

연습 문제 15. 연습문제 7-3

15)  가� 제  사분면의� 각일� 때,�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기본
sin  cos tan  
sin  

cos   

tan 
연습문제 7-1
13.
 
13)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인� 두� 원� O O′ 이� 두� 점� A B에
서� 만나고� ∠AOB ∠AO′B의� 크기가� 각각�   일� 때,� 두�
원의� 공통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 단,� 원� O′ 의� 중심은� 원� O의� 외
부에� 있다.�

실력
연습문제 7-2
14. 연습문제 7-4
16.
14) 반지름의� 길이가�  인� 구� 위의� 한� 점�
N 에� 길이가� 인� 실의� 한쪽� 끝을� 고정한
16)길이가� 인� 선분� AB가� 그� 연장선�
위의� 점� O를� 중심으로�  (단,�
다.� 실을� 팽팽하게� 유지하면서� 구의� 표면
을� 따라� 실의� 다른� 한쪽� 끝을� 한� 바퀴� 돌     )만큼� 회전하였다.� 이때,�
릴� 때,� 구의� 표면에� 생기는� 실� 끝의� 자취 선분� AB가� 통과한� 부분의� 넓이를� S
의� 길이를� 구하여라.� 라� 하고,� 선분� AB의� 중점� M이� 움직
인� 호의� 길이를� 이라� 할� 때,�   
임을� 보여라.�

6
07 삼각함수의 정의

연습문제 7-5 연습문제 7-7


17. 19.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 19)오른쪽� 그림과� 같이� 선분� PQ는�
이가� 인� 원의� 외부에� 한� 점� P가� 점� P에서�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있다.� 
BQ   
QD 일� 길이가�  인� 원에� 접하고� 있다.�
때,� ∠P ∠Q의� 값을� 구하여라.�  
PQ 
PA 이고� ∠POA   일� 때,�

점� Q의� 좌표를� 구하여라.�

연습문제 7-8
20.
연습문제 7-6
18. 20)중심이� O인� 단위원을�  등분한� 점을� 차례로�
18) 중심각의� 크기가�  ,� 반지름의� 길이가�  인� 부채꼴에� 반지름의� P  P P  ⋯ P 이라고� 한다.� ∠P OP   P   이라
길이가� 인� 원이� 내접해� 있다. 고� 할� 때,� cos cos   ⋯  cos 의� 값을� 구하여라.�
⑴� 를�  를� 써서� 나타내어라.� 단,�      이다.
⑵�    일� 때,� 내접원의� 넓이와� 부채꼴의� 넓이의� 비를� 구하여
라.�

7
실력정석 수1


 
∴     
       
1) 필수예제 7-1 � 답.�   따라서�  이�   ( 는� 정수)꼴일� 때� 제 사분면의� 각이고,�  이�

 ( 는� 정수)일� 때는� 제  사분면의� 각이다.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 라� 하고,� 그림에서� 실선으로� 둘러싸인�
 
도형의� 넓이를� S 라고� 하면 (2)�         은� 정수 이므로�    

  
S   R        R  R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또� 실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둘레의� 길이가�

 이므로  은� 정수이므로�    이고,� 이때�    이다.

 R   R    
 
곧, R   R     
   

∴ sin      sin      sin   
    

여기에서� R     로� 놓으면� R       이므로


  

  

S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유제 7-4 � 답.� � 


  둔각의� 크기를�  라고� 하면�     ( 은� 정수)
따라서�     일� 때� S 의� 최댓값은�   이다.
  
∴   

2) 유제 7-1 � 답.� 반지름� cm ,� 최대넓이� cm 
그런데�     이므로�
부채꼴이� 반지름의� 길이를� ,� 넓이를�  라고� 하면� 호의� 길이는�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정수이므로�   

따라서�   일� 때�  의� 최댓값은� 
 
∴     
 

3) 유제 7-2 � 답.   
7) 유제 7-5 � 답.� 해설� 참조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 호의� 길이를� ,� 넓이를�  ,� 둘레의�
두� 일반각의� 차를� 구하면
길이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이� 정수이므로�   은� 정수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와�       
의� 동경은� 일치한다.

따라서�    일� 때� 최대이다.
 
  

이때,� ①에서� 8) 필수 예제 7-3 � 답.� ⑴� 
   ⑵� 

 
    ×   (1)� ∆ABC에서� ∠C  °,� ∠ABC  °,� 
AC  이므로�
 

BC 

 
∴          
  또,� ∆ADC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
DC 
∴ 
BD 
BC 
DC 
     
   
4) 유제 7-3 � 답.� (1)�    rad (2)�    cm (2)� 점� D 에서� 변�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고� 하면�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 ,� 반지름의� 길이를� 라고� 하자. ∆BDE에서
(1)� 부채꼴의� 둘레의� 길이는�   이므로� 문제의� 조건으로부터 
DE 
    ∴�      (rad)   sin° ∴ 
DE  
  

BD 
 
(2)�     × ×        AC 
또,� ∆ADC에서�      
  이므로� 직각삼각형�
 
ADE에서
5) 필수 예제 7-2 � 답.� (1)� 제  사분면� 또는� 제  사분면의� 각

DE    
  

sin°      
  

 AD
(2) 

9)� � 유제 7-6 � 답.�
(1)�  가� 제  사분면의� 각이므로

  
 
  

 
     은� 정수,�     
  sin °    cos°  
 

8
07 삼각함수의 정의

tan °    
    
③�      ×    이므로�    와�   의� 동경이�
    
AC 로� 놓으면� ∆ADC에서�
일치한다.

AD  
CD 

또,� ∠BAD  이므로�  BD  AD   
 
 
∴ tan     tan     
 
이므로� 직각삼각형� ABC에서

AB   
AC  
BC      
    
 

AB 이므로�
AB 
   
   
  
 
따라서�

AC  
  

sin      
  
AB     

BC   
  
  

cos       
  
AB     

AC 
sin         

BC   


유제 7-8 � 답.�   ,�     
  
 
  12)   ,�  ,� 
10) 유제 7-7 � 답.� (1)� (2)�       
  
①�     ×      이므로
⑴� ∠DBC  ∠ABD  ∠A  

이므로� 
BC BD 
AD  sin    sin    

또,� ∆ABC∾∆BCD
②�     이므로
이므로� 
AB  
BC 
BC  
CD

cos  cos  
따라서� 
AC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이므로�  와�  의� 동경은� 일치한다.
     
   이므로�   
   
sin    sin    
⑵� 변� BC의� 중점을� M 이라고� 하면� 직각삼각형� ABM 에서�   

BC    
④�       이므로�  와�  의� 동경은� 일치한다.
  
     
cos       

AC     
tan    tan    
  
11) 필수 예제 7-4 � 답.� ⑴�  tan   
 

⑵� ①�  ②�   ③�  
 

⑴�       일� 때�    sin   ,�    cos    ,�

tan   
여기에서�   cos     ,� tan   이므로�
cos    tan   
∴ P   sin    sin  cos    cos   tan    
� � � � �   tan   
   
⑵� ①�       이므로�   와�  의� 동경이� 일치한다.
   
  
∴ sin    sin   
연습 문제
  

   
②�     ×    이므로�   와�   의� 동경이� 일치한다. 13) 연습문제 7-1 � 답.� 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9
실력정석 수1

17) 연습문제 7-5 � 답.�  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에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 ,� 호의�
길이를� 이라고� 하면
  × � � 곧,�   

따라서� 원주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의�  이다.
구하는� 넓이를� S 라고� 하면� 
S  (부채꼴� OAB)� +� (부채꼴� O′AB ∆OAB ∆O′AB   
∴ ∠ABD  ACD,� ∠CDB  CAB ∠Q  A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BDP에서

 ∠P  ∠Q    ∠ABD  ∠CDB ∠Q
� �     
   
     
ACD
CAB AC
 
연습문제 7-2 � 답.�   
14)�      
AC
BQD AC
 
 
� � � � � � � � � �  
BQD     
 
� � � � � � � � � �   

sin 
18) 연습문제 7-6 � 답.� (1)�    � (2)�   
sin   

실의� 다른� 한쪽� 끝을� M 구의� 중심을� O M에서� 


ON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구하는� 자취는� 반지름의� 
MH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둘레의� 길이이다.
∠NOM   라고� 하면
 (1)� 부채꼴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을� O라고� 하면� ∆OAP 에서�
   ∴   
 
OA    
OP 

∴ 
MH sin    
 이므로� sin   

따라서� 구하는� 자취의� 길이는
∴ sin    sin  
 ×  
∴ sin     sin 
15) 연습문제 7-3 � 답.� cos
sin 
∴    � � � ……� ①
sin  
 가� 제 사분면의� 각이므로

sin  cos  tan   (2)� ①에�    를� 대입하면�   

∴ � (준� 식)�  sin cos tan  sin cos  tan 
따라서� 내접원의� 넓이를� S ,� 부채꼴의� 넓이를� S′ 이라고� 하면
 cos  cos

연습문제 7-4
S  S′     × ×  
 

16)� � 답.� 해설참조 


OA 라고� 하면� 

OM   


 
   




 


∴     
  19) 연습문제 7-7
  
� 답.� Q       
   
 

S  (부채꼴� OBB′ )� +� (부채꼴� OA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10
07 삼각함수의 정의

점� P 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점� Q에서� 선분� PH에�


내린� 수선의� 발을� R라� 하고,� ∠POH   라고� 하자.

     일� 때


PQ  AP  ×   

∠QPR    ∠OPH


 
� � � � � � �      ∠POH  
 
∴ 
QR  sin   
PR  cos 
한편� Pcos sin이므로� 점� Q의� 좌표는�
Qcos   sin sin   cos  

   를� 대입하면

  
  
Q       
  

 
20) 연습문제 7-8 � 답.�  

P cos  sin  P cos  sin  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cos   cos   
일반적으로� P 와� P       ⋯ 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cos  cos  
cos   cos   
� � � � � � ……
cos  cos  
∴ cos   cos   ⋯  cos   cos   
∴ cos  cos  ⋯  cos    cos   cos   

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