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자기장 속의 전류.

Origin.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자기장을 만들어낸다는 사실
을 발견한 이후, 같은 해에 도선이 자기장 속에 놓이
면 힘을 받는다는 사실도 발견되었다.
앙페르는 도선 사이의 척력과 인력을 설명하고 이로
인해 자석 바늘이 운동한다고 설명하였다. 패러데이
는 이 설명에서 뭔가 잘못되었거나 앞뒤가 바뀐 것으로 생각한 듯하다.1) 도선이 자
력을 만들고 이 자력에 의해 자석 바늘이 회전한다고 생각했을 듯하다. 이를 확인?
검증하기 위해 자석을 고정하고 수은에 회로를 연결한 후 막대 위의 도선이 빙글빙
글 도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초의 모터.(도선이 자력을 만든다고 생각해서? 이를 이
용해 동력을 만들 수 있다 생각해서?)
자기 홀극은 불가하다.
패러데이는 앙페르의 직선론과 달리, 원형의 자기력을 생각하며 회전의 이미지로
설명하였다. 코일을 수면에 반즈음 잠기게 한 후 자석바늘을 코르크 위에 띄웠다. 전
류를 흘리면 자석의 N극은 코일의 S극에 머무를 줄 아는 게 당시의 이론이었지만,
코일을 통과해 이동하는 것을 관찰했다. 즉, 자성은 단순한 극의 문제라 아니라 자기
적인 힘이 자석 전체를 통과하여 연속적인 고리를 이룬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자
기적 힘이 공간에 현존한다!2)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선이 받는 힘.


전자기력의 총칭 Lorentz의 힘    
 ×
 
자기력 
    ×
 
  은 전하수를 의미한다.
 을 전류의 방향으로 재정의하여 다시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도체 전체가 받는 힘 
  × 
[구부러진 도선도 하나의 직선으로 치환해 다룰 수
있을 듯. 이거 증명해 두면 편할 듯. 아, 이 아래
전에 기울어진 도선이 받는 힘을 먼저 설명하면 매
끄럽게 넘어갈 수 있을 듯하다.]
도선의 미소 부분이 받는 힘을  라 하면
   × 
   sin 이다. 도선이 자기장 안에 속해 있는 길이를 라고 하면
1) 낸시 포브스, 배질 마혼(2015).『패러데이와 맥스웰』. 반니.p.90
2) 낸시 포브스, 배질 마혼(2015).『패러데이와 맥스웰』. 반니.p.100~102

   이다. 이로부터     임을 알 수 있고, 아무리 복잡한 도선이 받는 힘
sin 
이라도 단순히 직선으로 취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설사 꼬여서 위아래로 오가는
도선이라 하더라도..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
두 직선 도선이 있다면 이들 사이엔 인력이 작용한다.
보통은 무한 직선 도선으로 가정한다. 그림과 같이 전류

가 흐르는 한 도선(a)이 만드는 자기장이     이

고 다른 한 도선(b)은 자기장 안에서   
× 
의 힘을 받으므로 a도선이 b도선에

      
미치는 힘의 크기는         이다. 단위길이당     의 힘을
   
받는다.
같은 방법으로 두 도선은 서로 당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nclusion.
같은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도선은 서로 당기고, 다른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도선
은 서로 밀어낸다.
ps. 위에서 본 것과 같이, 자기장 안의 전류가 흐르는 도선은
힘을 받는다. 즉, 종합하면 두 도선 사이엔 서로를 밀거나 당기
는 힘이 존재한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송전선 사이엔 스페이
서(spacer)라는 물체를 끼워 두 도선이 만나는 것을 방지한다.
ps. 1946년. 이처럼 도선이 당기는 힘을 토대로 1A의 단위를

결정하고(진공에서 1m 떨어진 도선이 단위길이당  ×  N의
힘을 받을 때), 1A를 통해서 1C단위를 결정하게 된다.

플레밍의 왼손법칙.
Origin.
1885년. 런던대학의 교수가 되었던 플레밍은 학생들이 자기장,
전류, 힘의 방향관계를 자주 틀리는 것을 보고 뭔가 손쉽게 기
억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생각한 끝에 고안한 것이다.

다른 방법. 오른손 규칙.

균일한 자기장 안에서 다양한 모양에 따른 도선은 어떤 힘을 받을까?


위아래 성분은 모두 상쇄되어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오른쪽으로 힘을 받는다.

전동기. electric motor.


Origin.
패러데이가 발명한 전동기.3)
올러스턴은 1821년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변에서 자침의 바늘이 회전한다면 반대
로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위아래가 금속인 금속통 사이를 통과할 때 커다란 자석이
접근한다면 도선은 자신을 축으로 회전할 것이라는 추측을 했다. 도선이 자침을 움
직이게 했으니, 반대로 자석 역시 도선을 움직이게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올러스턴과 데이비가 그 실험을 진행했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고, 당시 데이비의 조
수였던 패러데이가 이들의 토론을 듣곤 따로 실험을 설계, 진행했다. 그들의 토론을
토대로 작용, 반작용 관계에서 생각을 시작했다.
자침이 전류 주변에서 원형을 형성한다면, 자침이 도선을 회전시키려 한다는 의미
이다. 때문에 작용과 반작용으로 도선 역시 자석 주변을 회전하려 할 것이라 생각하
여 실험장치를 설계했다.
넓은 그릇에 수은을 담고 한쪽 극이 수은 바깥으로 나오게 자석을 세워둔다. 이후

3) 양젠예(2021).『과학자의 흑역사』. 현대지성. p.289~291


도선의 한쪽 끝을 코르크 마개에 끼워 수은 위에 띄운다. 도선의 다른 쪽 끝은 전지,
스위치를 지나 수은의 안에 넣는다. 스위치를 연결했을 때 코르크 마개가 흔들렸다.
이것이 최초의 전동기였다. 좋은 성과를 냈지만 이로 인해 올런스턴의 논문을 표졀
했다는 시비에 휘말렸고, 당시 통용되던 절차를 밟지 않아 스승인 데이비와도 사이
가 틀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1821년 패러데이가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것을 보이고 1831년 전자기
유도를 보이고, 1832년 스터전이 정류자를 만들고(이때 만들어진 모터는 효율 문제
로 실패하고, 야코비 이전까지도 계속 효율 문제로 폐기된다.), 1834년 Moritz
Jacobi가 최초의 실용적인 모터를 제작했다.(4.5~5.5kg의 물체를 초당 1피트의 속도
로 움직일 수 있었다고 한다.)
Discussion.
직류 전동기. DC motor.
우측 그림과 같이 자기장 안에 전류를 통과하게 하여 도선
이 힘을 받게 한다. 자기장 안에서 사각 도선이 회전하기
시작하는데, 수직으로 놓이게 되면 알짜힘이 0이 되고, 수직
에서 넘어가면 도리어 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의 힘이 생긴
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이 될 때 전류를 잠시 끊
었다가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정류자가 개발되었다. 정
류자를 통해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게 하면 계속해서 회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모터의 힘을 크게 하기 위해
1) 전류를 크게 하거나,
2) 자기장을 세게 하거나,
3) 코일의 감은 수를 늘리거나...
실제로는 모터의 힘을 크게 하기 위해
1) 코일 속에 철심을 넣어 자기장의 세기를 크게 하거나,
2) 각도를 다르게 한 코일을 여러 개 집어넣는다.
가해지는 토크.
길이 b에 너비 a인 사각도선을 사용할 때 자기장 안
에서 도선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는     이다. 이 힘

이 만드는 토크의 크기는      sin 인데, 같은 방향

의 토크를 만들어내는 도선이 2개이므로 총 토크는
    sin 이다.
만약에 N번 감은 사각 코일이라면      sin 가
된다.

자기 쌍극자. magnetic dipole moment. magnetic moment.


Origin.[누가 왜 만들었을까???]
전류 고리가 만드는 자석.
전류가 흐르는 도선 고리는 하나의 자석처럼 행동한다. 그 자석은 얼마나 자석인
가? 아니, 애초에 자석을 정량적으로 다루러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자기장 안의 도선이 받는 회전력.

도선이 받는 힘은 
  ×  형태이다. 즉, 자기장 내
부에서 곡선을 다음과 같이 직선으로 치환해 다룰 수 있다.
그러나, 위 모터에서와 같이 고리형의 회로가 들어간 경우,
모터에서 살펴보듯 알짜힘이 0이고 토크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렇게 되면 단순 직선으로의 치환이 불가해진다. 어떻
게 처리하면 좋을까?
직류 전동기에서 이어진 통찰?
직류 전동기에서 토크가      sin 였는데,
뭔가 면적벡터와 자기장의 외적으로 연산할 수
있을 것처럼 생기지 않았나...
자기장 안에 자석?
게다가 자기장 안에 자석을 넣어두면 회전을 시작할 텐데, 코일이나 회로를 하나의
자석과 같이 다룰 수 없을까 하는 의문도 든다.
Discussion.
힘은   ×  인데, 고리의 면적벡터를 라고 하고 목표지점
이 질량 중심축으로부터  만큼 떨어져 있다면 회전력의 크기는
  
×  × 
 형태이다. 이걸 어찌하면 좋을까 싶은데, 와 
의 관계에서 면적을 뽑아낼 수 있을 것 같다.    
×  × 
이
고, 전체 토크는    ×  × 이다. × 은 고리의 면적
이므로 이로부터   
× 
 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기장은 외부 요인이고, 내부적인 조건들만 따로 모아   
를 새로이 정의한다.
만약 감은 수가  회라면    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엄밀하게 접근해 보자. 자기장 안에서의 토크.
일정한 자기장 안에서 도선은 어떤 돌림힘을 받는지 살펴보자.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꽤나 복잡한 식이 나와버렸는데, 차근차근 계산해 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 상당히 복잡하므로 축에 대해서만 살펴보자.

            


   

일정한 자기장 안에 있다고 한다면  는 상수이기 때문에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인수에 수직한 면적을

알게 된다.

순환적분이므로 0.

화살표를 따라가면 양수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gnetic moment를 새로이 정의. 
  
로 두면   
× 
전류가 반시계 방향으로 돌 때의 방향을 면적벡터의 방향으로 둔다.
코일을 감은 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
   
로 최종적으로 정의.
조금 더 일반화시키면 도선이 만드는 면적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는 도선의 부피가 되나? 부피

인데, 에 수직한 성분.]

  
×    sin 
⟹ 강한 모터를 만들려면 단면적이 크게 많이 감아야 한다.

퍼텐셜 에너지.
전기 쌍극자가 만드는 토크는  ×
 였는데, 자기 쌍극자가 만드는 토크와 완전히
동일하여 전기장에서   ∙
  와 비슷하게   ∙ 
로 표현되리라 생각할 수
 
있다.     

⋅
 


 
× ⋅

임의의  에서  만큼 옮길 때 자기장이 하는 일의 크기는



 
  sin       cos        cos  cos  이다.( 
  
× 는 를 줄이는 방향

의, 와 반대방향이므로 음수를 다시 곱해준다.)


편의를 위해  일 때를 기준으로 삼아    로 두면(∵퍼텐셜은 그 ‘차’에만 의
미가 있다.),     cos
∴    
∙  로 일반화.
Conclusion.
자기 쌍극자.
회로를 오른손 네 손가락으로 감싸쥐었을 때 엄지가 향하는 방향으로 잡으며 그 크
기는      로 표현한다. 단위는 전류와 면적이 합해진 형태로 Am  이 된다.
자기 쌍극자를 이용하면 회전력은    
× 로 간단하게 표현된다. 자기 쌍극자는 

몇몇 물체의 자기 쌍극자4)
4) David Halliday, Robert Resnick, Jearl Walker(2020).『Halliday and Resnick's Principles of Physics, 11/E』. Wiley p.720
로 표현하기도 한다. 작은 막대자석  JT
자석의 세기 따위도 자기 쌍극자로 표현하면 편리해질 지구   ×   JT
양성자   ×    JT
듯하다. 전자   ×    JT
Property.
전기 쌍극자와의 유사성
항목 전기 쌍극자 자기 쌍극자
회전력  ×
    
× 
퍼텐셜 에너지   ⋅      
∙ 

궤도총. 레일건. railgun.


Origin.
André Louis가 아이디어를 내어 1917년에 작은
시험모델이 만들어졌다.
두 개의 평행도체로 이루어진 궤도 중 하나에 큰
전류를 보내면 두 궤도를 연결하는 전도성 퓨즈(얇
은 구리조각과 같은 물질)를 통해 다른 궤도를 지나 전류샘으로 돌
아온다.
전류가 흐르는 순간 퓨즈가 녹으면서 기화되어 전도성 기체가 된
다. 그림과 같이 전류에 의해 윗 방향으로 자기장이 만들어지고 이
자기장 가 전도기체에 힘 
를 작용한다. 힘의 방향은 바깥쪽을 향
하고 전도기체는 궤도를 따라 발사체를 밀어낸다.
[저 기화하는 퓨즈의 재료는 뭘까]

ps. 화학을 사용한 대포는 화학반응속도의 한계 때문에 1000m/s 정도가 한계이지만,


레일건이라면 이론상으로 아광속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ps. 자기력은 일을 하지 않는데..?
자기력은 일을 하지 않는데 전자에 일이 가해진다. 자기력은 역학에서의 수직항력
과 같다. 그 힘이 일을 하진 않지만, 에너지의 형태를 바꾸어주는 매개의 역할을 하
는 것이다.
ps. 레일건의 꿈...?
달나라 여행할 때 화학연료가 아니라 레일건으로 하면 효율이!
화학대포보다 강력한 힘! 조용함! 감당 가능한 반동.
놀이기구?
ps. 효율.
너무 큰 전류가 필요함. => 핵전함 외에 실전배치 힘듬.
전류계. ammeter.
Origin.
정류자를 발명했던 스터전이 1836년에 검류계를 고안해 제시하였다.
Discussion.
자석 사이에 코일을 넣고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면, 코일은 힘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코일이 회전함에 따라 코일과 함께 장치
된 용수철에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복원
력은 회전각에 비례하여 커진다.
이 회전각은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므
로 이를 통하여 전류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전류계는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어 전류를 측적하는 기계
이기 때문에 회로 자체에 미치는 전류계 자체의 영향을 최
소화 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저항이 작은 도선으로 코일을 만드는데, 가느다란 도
선으로 만들기 때문에 과전류가 흐르면 열로 인해 코일이 쉽게 파손된다.

분류기. shunt.
Origin.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코일을 조금만 감아 회전
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원하는 것을 측정할 때마다 전류계를
뜯어 고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해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
자체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내부저항이 인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배만큼 확

대하고 싶다고 하자. 이를 위해선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를    으로 감소시켜야 하


는데, 저항 ′인 분류기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으로, ′을 통해       만큼의 전

류가 흐르게 하면 된다.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따르면   ′   이므로 ′   이어야 한다.

What?

이 저항 ′   을 분류기라 한다.


전압계. voltmeter.
Origin.
전류는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지만.. 전압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전류를 측
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류계를 통해  값을 알고, 저항  값을 알면    의
관계를 통해 전압값을 알 수 있다.
Principle.
1. 저항을 붙임으로 인해 전류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병렬로 연결해야 하고,
2. 병렬연결로 인한 전체전류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주 큰 저항을 붙인다.
What?
전압계는 위의 과정을 통해 제작된, 단순히, 전류계에 큰 저항을 연결한 계기이다.

배율기. multiplier.
Origin.
전압계의 측정범위에도 한계가 있어, 그 범위를 달리
하려면 코일을 다시 감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
만, 매번 뜯어 고치기엔 너무 소모적이다. 위와 마찬가
지로 측정범위를 배 키우고 싶다면, 전압계에 흘러들어

가는 전류가  이 되도록 하면 되는데, 간단하게 직렬로

연결해 저항이 배가 되게 하면 된다 즉, ′    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면 해결
되는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What?
이 저항 ′    을 배율기라 한다.

두 평행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는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류가 흐르는 한 도선이 전류가 흐르는 다른 도선에 만드는 자기장을 먼저 구하
고, 이 자기장이 도선에 작용하는 힘을 구한다.
그림에서 도선 a는 주변에 자기장 
 를 만든다. 도선 b에 a가 만드는 자기장의 크기
 
  

오른손 법칙을 적용하면 방향은 아래쪽임을 알 수 있다. 이 때 도선 b가 받는 힘

   
× 
  방향은 도선 a쪽을 향한다.
  

 
그 크기      sin   

같은 방법으로 도선 a가 받는 힘을 구해보면 그 크기는 같고 방향은 도선 b를 향한
다. 즉, 두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같으면 서로 끌어당긴다. 두 전류의 반대일
경우엔 서로 밀어낸다.

두 도선의 길이를 , 사이의 거리를 라고 하면 한 도선이 받는 단위길이당 자기력은


   
   로 표현된다.
 
1m 떨어져 있을 때 단위길이당 작용하는 힘이 1N/m일 때 두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1A라 하면 좋겠지만, 그 크기는 굉장히 크다. 하여, 일상적인 전류를 1A라 임
의로 정의하였다. 전하의 단위도 여기에서부터 비롯되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