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전류밀도. current density.


Origin.
옴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사전 지식. 옴이 했을 법한 생각을 따라가보자.
전류 연구의 대상.
전류가 흐르는 이유는 도선 안에 있는 전하가 어떤 힘을 받았기 때문인데, 그 힘이
라 함은 전기력을 의미한다. 전기력은 특정 공간에 작용하여 그 안의 전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이로 인하여 전하의 이동이 일어날 것이고, 이 이동이 합쳐져 전체
전류를 만들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전류는 작은 전류의 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작은
전류는 전기장에 의해 만들어진다. 전기장이 이 전류를 어떻게 만드는지 탐구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다.
Discussion.
전자들이 평균적으로 로 이동(유체처럼 흐르는 것 같으니까)하고 단위 체적당 전
∙
 
하의 개수를  (전하밀도)이라 한다면 전류의 크기는      ∙
    



라고 할 수 있다. 단위면적당     ∙    만큼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I와 구분


  

하기 위해 J를 쓰는 듯하다.) 이것이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류밀도이다.
이  를 벡터로 두면     이고, 이는 전류밀도가 균일하고 단면  가 전류에 수
직일 때에만 성립한다.   ∙ 로 표현이 가능하다.
근본적으로 살펴보면,   
 의 관계가 있다. 비례상수 는 전도도(conductivity)
라 부르자.
전류밀도의 합으로서의 전류.
실제로 사람이 다루는 것은 전류와 전압이므로 약간의 조작을 가해보자.

      , 전압과 전류에 대한 비례상수는   임을 알 수 있


  
  ⋅ 
  
⋅ 
  
다. 즉, 도선의 길이가 크면 전류가 작아지고, 도선의 면적이 커지면 전류가 커질 것
을 예상할 수 있다.
Conclusion.

전도의 미시적 이론.


Origin.
옴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사전 지식. 옴이 했을 법한 생각을 따라가보자.
도선 속에서 일어나는 일.
전자가 받는 힘이 전류를 만든다면, 지속적인 힘을 받기 때문에 전자는 계속해서
가속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실제론 전자는 일정한 속력을 갖는 것으로 보였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충돌모형을 고안하게 된다. 전하가 전기장에 의해 가속되다가 물체를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이루고 있는 입자와 충돌하면 속도를 잃어버린다는 이야기다.


Discussion.
전기장을 가하면 운동의 방향성이 생겨 전류가 흐르게 될 것이다. 위에선 전자가
평균적으로 로 이동한다고 가정하여 접근하였는데, 전자 하나의 입장에선 가속과
충돌을 반복하기 때문에 이는 그 속도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유동속력. drift velocity.
그 평균속도를 유동속력   이라 부른다. 헌데, 전하의 열운동에 비하면 그 방향으로
의 속도는 굉장히 느리다. 전기장이 가해졌을 때 비로소 전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운
동하는 전자의 알짜속력이 생긴다. 전체적인 막운동이 전기장 방향으로 이동하는 형
태이다. 이로 인하여 전류밀도가 생기고, 시간  동안 흐른 총 전하량은
        (은 단위부피당 전하수, 는 전하의 전하량)로 표현된다. 전류의 형

태로 변화하면         이고, 더 근원적인 형태로 살피면       이


  
   
다.
벡터까지 살펴보면 그 관계는   
 (은 단위체적당 전도전하 수.) 형태이다. 전
자의 유동속력은 전기장이 미치는 효과에만 의존한다.
이때      는 전하운반자 밀도라고 한다.
양전하의 경우 와   는 같은 방향,
음전하의 경우 와 
 는 다른 방향.
전하가 흐르는 속도를 계산해보자!
그렇다면 그 유동속력이 어떤 방식으로 생성되는지 살펴보자. 만약, 어떤 구간의 길
이가  이고, 가속도가 라면, 등가속으로 한 구간을 지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이다. 평균속력은    인데, 이는 전자의 속도가 가속도의


 
  







 
제곱근에 비례한다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전류는 전기장의 제곱근에 비례한다는 사
실을 알려준다.(오늘날의 관점에서 옳지 않은 결론이다.)
전기장에 의한 가속.
사실, 전하들은 전기장이 없더라도 열에너지 때문에 도체 내부를 굉장히 빠른 속도
로 움직이고 있다. 이 속도를  열 이라 하자. 그리고 질량 인 전자가 전기장  내에

있다면, 가속도는      이다. 전도전자가 겪는 충돌의 특성은 충돌 이후 각


 
 
전자가 이전의 유동속도를 잃어버린다는 것이다.
ps. 왜 충돌 후엔 속도를 잃어버린다 가정하는가?
전자의 속도는 열에 의한 것으로, 열은 평형상태로 가려는 성질이 있다. 전기장으로
인해 조금이나마 가열된 효과는 충돌로 그 에너지를 나눠가질 것이다. 온도가 일정
하게 유지되는 상황이라면 그 충돌로 인해 모든 에너지를 잃어버린다 가정해도 무리
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게다가 충돌 후 튕김은 무작위라서 충돌 후엔 전기장에 의한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가속 효과는 없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열운동이 증가하겠지만. 그러니, 잃는다 보아


도 무방하리라 생각된다. 각 전자는 충돌 후 새롭게 시작한다.
유동속도의 계산.
충돌 사이의 평균시간  동안 평균적으로 전자는 유동속력 를 얻을 것이다. 어느
순간 모든 전자의 유동속력을 측정한다면 평균유동속력은    일 것이다.[어째서

1/2를 안붙였을까??]        즉, 전하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시간이 유




동속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충돌 시간의 계산.
전기장을 가해줌으로써 생기는 유동속도(drift velocity)는 굉장히 작아 열운동에 의
한 충돌시간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해 무시한다. 실제 충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   이라고 생각해야 한다.(실제로 전기장에 의해 생기는 유동 속력은 열운동에



열
의한 속력보다 훨씬 작아서 전자의 속력 및 가 전기장에 의해 받는 영향은 거의 없
다.) 충돌 후엔 랜덤하게 튕겨져 나가므로 그 평균값이 0이라 보고 충돌 후엔 정지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전자의 평균속력은      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



열
고, 이는 적절한 통찰을 제공한다.
만약, 단위부피당 개의 전자가 있고, 이것이 힘을 받아 전류를 만든다면,

   인데,    이므로      을 만족한다.


     
평균
열   열
ps. 열운동 속도와 유동 속도의 차이.
금속 내부의 전자는 마구잡이로 운동한다. 열운동 속도가 ms 인 반면, 유동 속
력은  ,  단위이다.
 

다른 표현.

  이고,       로 보면      로 정리된다.


    
 
 의 관계라 두고 전기장이 가해질 때 전류가 흐르는 비례상수를 라 하면 
  

는 다양한 형태로 표현이 가능하다.

       


   
  열

개인적으로 우측의 표현에선 전하의 평균 속력 뿐 아니라 평균 이동하는 거리까지


알아야 하기에, 물체의 특성을 로 처리하는 편이 간편해 보인다.
ps. 고전적 모형.
위 모형은 현재의 양자이론과 조금 다르지만, 문제를 이해하는 데엔 적절한 통찰을
제공한다.
표류전류. drift.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모든 전하가 같은 유동속력   로 움직인다고 가정하자. 한


선은 전기장이 없을 때의 랜덤한 열운동 궤적, 나머지 한
선은 전기장이 있을 때의 운동궤적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
다.
ps. 금속 내의 열운동을 인한 전자의 운동.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전류는 흐르지 않지만 열잡음이 생긴다.(전파통신
에서 잡음의 원인. TV에서 칙- 하는 소리)
Conclusion.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한 훌륭한 설명.
수많은 충돌을 반복하며 나아가기에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한다.
예상.
전류는 전하의 밀도에 비례하고 온도가 높아지면  열 이 커져(가 짧아져) 전류가
줄어들 것을 예상하게 해준다.
전기 전도도. electric conductivity, conductivity.
  

.   
  .
ps. .
  .
ps. .
1905
. ,
.

. .
Origin.
전압과 전류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행위를 전압을 가한다 라고 말한다. 전위차가 클수록 많은 전
류가 흐른다는 것은 1780년 경에 캐번디시(Cavendish)에 의해 최초로 밝혀졌는데,
본인의 몸에 직접 전류를 흘려보는 방식으로, 느껴지는 정도로  ∝  의 관계를 밝혔
다고 한다.(팔에 직접 전류를 흘리고, 팔의 어느 부분까지 올라오는지... 생체실험.)
애석하게도 캐번디시는 히키코모리여서 연구 결과가 널리 알려지진 못했다.
전류는 기전력에 비례할 것 같은데.. 진짜로?
1826년. 옴이 전류는 열의 흐름과 비슷하고, 전압은 온도 차와 비슷하다 라는 말로
전류와 전압의 개념을 설명하고 옴의 법칙을 발표하였다. 당시 많은 이들이 전압과
전류의 크기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었었다.(아마 당시엔 측정도 정확하지 않았고,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도체에선 저항이 너무 작았다는 것도 문제였을 듯하다.)


Discussion.
전도의 미시적 이론.
위에서 살펴보았듯,   
 의 관계에 있다. 대부분의 물질에서 전류밀도를 전기장
으로 나누면 전기장과 무관한 상수 를 얻는다. 대부분의 물질이라 한 것은 그렇지
않은 물질도 다수 있다는 의미이다. 옴의 법칙을 따르는 물질들을 옴(ohmic)물질,
그렇지 않은 것들을 비옴(nonohmic)물질이라 부른다.
현실에서 만나는 전류.

길이  인 도선에 전위차를 걸어주면     에서    의 전기장이 발생하고 전



류밀도와     의 관계를 갖는다. 실제 흐르는 전류는 면적을 고려한     이


 
 

고, 비례상수  는 전류와 전압의 관계를 규정한다.




다른 표현.
도선 축에 수직한 전기장 성분은 도선을 충전하게 되므로 의미가 없고, 일반적으로
 값이 얻기 쉬우므로  값에 대해 식을 정리해 보자. 도선에 걸리는 전압차는

이고, 이므로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 ) ( )

.
[도체의 그래프는... Ohm의 법칙이 깨지는 영역의 그래프를 얻을 수 없을까..?][옴의
법칙이 깨지는 경우는 어떤 상황이 있을까? 절연파괴?]
ps. 논란이 많았던 주장.
옴은 당시 받아들여지지 않던 입자설을 토대로 전류의 흐름에 대해 설명했다. 발표
한 후에도 정설로 받아들여지지 못했지만, 오늘날엔 정설로 받아들여진다.(당시에 전
압계와 전류계가 있었다면 금방 받아들여졌을텐데;) 자, 옴이 했을 법한 생각을 따라
가 보자.
Conclusion.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전도장치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장치에 걸린 퍼텐셜차에 정비례 한다. 이 비례관계


를 옴의 법칙이라 한다.(저항에 대한 법칙이 아니라.)[전류, 전압을 측정하는 방식은
어떤 것이었을까?]
(특정한 상황에서만 성립하지만 관습상 법칙이라고 부른다.)
Ohm의 법칙의 2가지 형태.

∝ ∝
   
,   
 
    
 
    

주의. 흔히    을 옴의 법칙이라 하는데, 그렇지 않다. 이것은 저항의 정의식


으로 모든 전도 장치에 적용된다. Ohm의 법칙에서의 핵심은  이  와 무관하다는
것이다.
ps. 구리와 같은 도체, 불순물을 함유한 반도체라도 모든 물질은 전기장이 지나치게
커지면 어긋나게 되지만 적당한 전기장 안에선 Ohm의 법칙을 따르기에 유용하게 쓰
인다.
ps. 하마터면...
옴의 법칙이 만들어질 때 다양한 가정을 하여 접근하는데.. 다행히 계속해서 옳은
가정을 했기에 오늘날까지 살아남았다. 아마 당시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이
론이 있었을 텐데, 잘못된 가정으로 살아남지 못했으리라 생각된다. 과학의 발전은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가정으로 다양한 모델을 만들어두고 검증하여 살려두는 방식
으로, 이루어지는 듯하다.
생각해 보면 옴의 법칙은 원자론이 완전히 정착되기 이전의 내용이다. 다양한 모델
을 시도해보며 갇히지 않는 자유로움이 과학자들에겐 중요한 일이다.

저항. resistance.
논리의 흐름상 저항보다 비저항이 먼저 만들어졌을 듯하지만, 물체의 성질을 파악
해 가는 과정에선 비저항보다 저항에 먼저 주목하였을 것이다.
Origin.
기하학적으로 같은 모양의 구리막대와 유리막대에 같은 퍼텐셜차를 걸어도 흐르는
전류는 전혀 다르다. 이를 구별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 전기저항이다.(옴의 법칙
과는 다르다.)
Discussion.
저항이 생기는 이유.
금속 내의 자유전자가 다른 전자와는 충동하지 않고 금속 원자들과만 충돌한다고
가정.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고전물리학에선 전자의 속력은 기체 분자처럼 온도에 의


존하지만 양자물리학에선 실질적으로 온도에 무관하다?]
Conclusion.

 으로 표현하고 단위는 옴이라 읽는다.



      

저항은 퍼텐셜을 거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데, 별 다른
말이 없으면 두 번째 그림처럼 퍼텐셜차가 걸린 것으로 이
해한다.[비교그림 어디감?]

비저항. resistivity.
Origin.
기하학적 특성을 배제한다.
저항은 도체의 종류 뿐 아니라 길이, 단면적에 따라 달라진다. 하여, 적절한 표준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번에는 기하학적 요소를 모두 제거하여  대신 물질 내에서
,  대신 그 점에서의 전류밀도 에 초점을 맞춰보자. 그리
의 한 점에서의 전기장 
고 실제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은 전기장이고, 전기장이 만드는 것은 전류보다는
전류밀도일 테니, 이에 대한 식으로 정리해야 하리라.
앞선 논의의 자연스러운 확장.

앞서    의 관계에서 단면적에 반비례하고 길이에 비례하는 어떤 방해요소



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물질마다 고유한 비례상수  를 이용하면     새로이


  
  

  ,   일 때의 비저항을 정의하여     로 표현.




Discussion.

 에서  와  에 대해 정리하면    에서,       를 얻
   
      
   
을 수 있다.
비저항에서 저항 구하기.
당연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 저항은 특정한 물체의 특성이고, 비저항은 물체를 구성
하는 물질의 특성이다.


전류밀도의 유선이 균일할 때,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같은 거시적 물리량은 특정한 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할 때 사용하고,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   같은 미시적 물리량은 물질의 기본적인 전기적 특성을 알고자 할 때 사용한


다.
저항이 물체에 대한 특성이라면, 비저항은 물질에 대한 특성이다1)
Conclusion.

∙   로 정의되어 있다. 전도도의 역수이다.



  

식을 벡터로 표현하면 
 . 이는 등방성 물질에서만 적용된다.
ps. 전기전도도도 변한다.
실제론 전기장에 따라 가 바뀌기도 하기 때문에 값도, 결국엔  값도 변한다. 하
지만, 미미한 정도. 전기전도도도 전기장에 비례한다고 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꼬마전구의 저항을 계산해 보면 불이 들어오기 전과 후의 저항이 다르다. 열에 의한
영향도 있겠지만, 전기장에 의해 전도도가 더 커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온도에 따른 변화.
Origin.

의 관계에서 는 온도에 영향을 받는


   

다. 그렇다면 물체의 저항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
지 않을까?
Discussion.

에서 열운동에 의해 전하의 속도가 빨라



 
 
지면 충돌까지의 시간 가 짧아진다. 이로부터 온도가 높아지면 비저항이 커지는 이
유가 설명된다.
실험값.
근사적으로 선형 관계식으로 나타낸다.
         
보통     (상온 20 C를 기준으로 한다.)
 는 상온에서의 비저항.  는 비저항의 온도계수를 나타낸다.
Conclusion.
근사적으로 선형 관계식으로 나타낸다.          

ps. [검증이 필요한 사실.]

   이고,  ∝  인데, 비저항과 온도는 비례하는 것처럼 보인다. 아마 온도 증가




 에 반비례하는 만큼 자유전자가 되는 숫자
로 인한 속력 증가 효과로 인해 가 
가 많아져 결과적으로 비저항과 온도가 비례하는 것처럼 보인다.[그래도 이상한걸,
1) David Halliday, Robert Resnick, Jearl Walker(2020).Halliday and Resnick's Principles of Physics, 11/E. Wiley p.754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숫자가 많아지는 건 저항이 작아지는 효과잖아?]

저항의 연결.
직렬연결 병렬연결

길이 하나밖에 없어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같다. 각 저항 양단의 전위차가 같다.


Origin.
저항이 하나만 있는 일은 없다. 다양하게 복잡하게 얽혀 있는 회로의 저항은 어떻
게 측정할 수 있을까?
1747~1748년 사이 프랭클린은 라이덴 병을 직렬로 연결하여 전기용량을 늘리는
실험을 하였다.
Discussion.
축전기에서와 동일하게 등가저항의 개념을 도입해 접근하자.
1. 저항의 직렬 연결. series connection. combination.
다음 왼쪽 그림과 같이 세 개의 저항기가 전압  인 전지에 직렬연결 되어있다. 그
리고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 세 저항기를 하나의 저항기로 생각할 수 있다. 세 저항
을 하나의 등가저항으로 바꾸는 것이다.
1) 전압.
전류는 저항을 통과하면서 일을 한다. 즉, 일을 하면서 퍼텐셜(전압)이 낮아지는 전
압강하가 일어난다.
2) 전류.
이때, 전하량 보존법칙에 의해 각 저항기에는 같은 전류  가 흐르게 된다.
3) 결론.
회로규칙을 적용하면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그림 나누어서 넣자]


왼쪽 그림에서 오른쪽 그림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두 식을 비교하면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일반화하여 n

개의 저항이 직렬연결된 경우를 생각하면   저항을 직렬연결하면 등가저





항은 항상 커진다.

2. 저항의 병렬 연결. parallel connection. combination.


다음 왼쪽 그림과 같이 3개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오른쪽 그림처럼 하나
의 저항기로 생각해 보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하나의 등가저항으로 바꿀 수 있다.

1) 전압.
이때 각 저항엔 동일한 퍼텐셜차가 걸린다.
2) 전류.
각 분기점에서 전류가 갈라지므로 각 저항을 통해 다른 전류가 흐르게 된다. 총 전
류는 각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합이 될 것이다.
3) 결론.
전류법칙을 적용해 보면
[그림 위에 나누어 넣기]
왼쪽 회로에서 오른쪽 회로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

   
∴    

   
 

이 결과를 일반화하여 n 개의 저항이 병렬연결된 경우를 생각하면   저



 
 


 

항을 병렬연결하면 등가저항은 항상 작아진다.


ps. 가정의 전기기구들은 모두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ps. 문어발이 위험한 이유.
병렬연결한 전기기구가 많아지면 저항은 작아지면서 전류는 많이 흐르게 된다. 이
로 인해 열이 발생하면서 화재위험을 부른다.
ps. 크리스마스트리 장식.[대학물리학2p66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