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1학년 수학 5-2.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단원별
학력평가 기출문제 학번 이름

- 16 -
- 17 -
- 18 -
- 19 -
정답 및 풀이

Ⅴ-2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        


4           
   
1. ⑤ 2. ① 3. ② 4. ④ 5. ⑤ ㄱ. 함수   의 정의역은 이 아닌 모든 실수이고 치
6. ① 7.  8. ⑤ 9.  10.  역은  이 아닌 모든 실수이다.
11. ① 12. ② 13. ④ 14. ③ 15. ② 
ㄴ. 함수     의 그래프는 함수    의 그래
16.  17. ② 
프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2 함수    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ㄷ. 함수     의 그래

  ,   이다. 프는 오른쪽 그림과
(ⅰ)  ≤ 일 때, 같이 제사분면을 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의 나지 않는다.
값에 관계없이 곡선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
 이다.
    는 제사

분면을 지난다.      
5         이므로     의 그
 
(ⅱ)   일 때, 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
 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곡선     가 제

    
   
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려      
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
∴      

  에서의 함숫값이 
따라서 곡선     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  ,   

이므로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이 점이 곡선      위의 점이므로
(ⅰ), (ⅱ)에서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정수 의 최솟값은 이다. 
∴  
          
3         이므로 함수
   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    이 축, 축과
  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
 만나는 점을 각각 A , B 라
   하면
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함수    의 그래
 
A    , B   
프와 일치한다.
삼각형 OAB 의 넓이는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5 -

∆ OAB   ×  ×    일 때 
따라서    PQ × 
QR 는 최솟값 을

갖는다.

함수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은 모두 직 (ⅱ)   일 때,

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삼각형 OAP 와 삼각형  
P   ,
 
OQB 의 넓이가 서로 같다.
Q     ,
이때 삼각형 OPQ 의 넓이가 이므로

∆ OAP  ∆ OQB        
 
R    
 

이므로
점 P 의 좌표를    라 하면
 
  PQ    ,
∆ OAP   ×  ×    ∴   
 
 
점 P 는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QR   

 


    ∴  
 ∴
PQ × 


QR        
   
 
또 점 P 는 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함수     의 그래프 위의 점 P 의 좌표를 라
(단, 등호는    일 때 성립)
하자.
일 때 
따라서    PQ × 
QR 는 최솟값 을
(ⅰ)   일 때,
갖는다.
 
P   ,
  (ⅰ), (ⅱ)에서 
PQ × 
QR 의 최솟값은 이다.
Q    ,

 
R    
  8

두 점 A    , B  
   (  )을 지나는 직
이므로 선의 기울기가

    
PQ a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QR a  
a 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  
∴
PQ × 

 
QR a   a  
a a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점 P , Q 의 좌표는 각각
     

  
P      , Q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OP    , 
OQ    ,

(단, 등호는   
 일 때 성립)

- 6 -
   
PB′  a  a     , 
BB′   ×  ×   
  
삼각형의 넓이   ,   는
15     
   에 대하


   × 
OP × 

OQ  × a    ×   
 a 
 여     의 그래프가
       삼각형 ABC 와 만나도록
       ,
   하는 실수 의 값은
   
   × 
PB′× 
BB′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점
   
B   을 지날 때 최대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즉   이면     의 그래프와 삼각형 ABC 는
 
≥  ×   
  만나지 않는다.
 
 한편   
   의 역함수를 구하면
(단, 등호는     일 때 성립)       ( ≥ )
따라서      의 최솟값은    이다.       ( ≥ )의 그래프가 삼각형 ABC 와 만나
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은       ( ≥ )의 그래
13 함수     의 그래프는   ≤  ≤ 에서 의 값 프가 점 A    을 지날 때 최대이다.
이 증가할 때 의 값도 증가하므로     에서 
     ≤  ≤  즉   이면       ( ≥ )의 그래프와 삼각형
한편   이므로 함수     의 그래프는 ABC 는 만나지 않는다.
  ≤  ≤ 에서 의 값이 증가할 때, 의 값은 감
따라서 곡선     와 함수   의 역함수의 그래
소한다. 프가 삼각형 ABC 와 만나도록 하는 실수 의 최댓값
∴        ≤  ≤     은 이다.
이때    이므로     ,     

즉      ,     이므로 16 구하는 넓이를  라 하자.

  ,    ∴     함수   
 의 그래프는 함수     ( ≤ )의 그
래프를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직선   에 대
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점 A 는 점 B 로
14 A  , B 의 좌표가 이므로
이동한다.
A   
      , B   
즉 오른쪽 그림에서  ′의
따라서   일 때 A    
 ×      , 즉 영역과  ″의 영역의 넓이
A      이고 B     이므로 삼각형 OA  B 의 넓 는 서로 같으므로 넓이 
이는 는 삼각형 AOB 의 넓이
 와 같다.
∆ OA  B   × 
OB × 
A  B

- 7 -
삼각형 AOB 에서 밑변을 
AB 라 하면 높이는 원점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AB             
 이고, 높
  
이는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17 함수         는 집합    ≥ 에서 집
 

합    ≥  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


한다.
 
       로 놓고 에 대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이므로     
와 를 서로 바꾸면     
즉 함수     
   는   의 역함수이다.
따라서 함수     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    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이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므
로 두 함수     ,
    의 그래프의 교점
의 좌표는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의 교점의
좌표와 같다.
  
      에서        
 
이 이차방정식이 음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
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정수 의 개수는 , , , …, 의 이다.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