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기출문제집

-기하-
(1)평면곡선
LEVEL 3

수능,평가원,교육청
사관학교,경찰대

해설
1) ② △ABJ에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OA와 
PP′의 교점을 H라 할 때, 삼각형 
   

    

 

AFF′은 이등변삼각형이고, 축에 대칭인 쌍곡선 ·


 ·     
  

이므로 삼각형 APP′도 이등변삼각형이다. ∴  


그러므로 
AP 
HP   
삼각형 APH의 길이의 비는     이고 삼각형
AFO는 닮음이므로 길이의 비는     
직선 AF의 기울기와 점근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 ±  

 
쌍곡선의 방정식을     이라 할 때,
 
 
  이므로      라 할 때,
 
        
얻어진 조건에 맞게 그래프를 그려보면

HC 
  
  

아래 그림과 같다.


∴
HC 
 ·  



3) 54
 
PF PF  에서 점 P는 두 초점이 F  

F   이고 주축의 길이가 인 쌍곡선 위의

점이다. 쌍곡선의 중심의 좌표는   이므로


   
쌍곡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쌍곡선의 정의에 따라     이므로
PF′ PF

PF′   이라 할 수 있다. 점 P는 포물선   와 쌍곡선 ㉠의 교점이므로

    
∠AFF′  라 할 때, cos   이고            
  

삼각형 PFF′에서 코사인 법칙에 따라           또는   

 제사분면 위의 점 P의 좌표는  


 이다.
        · 
 포물선   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점 F 의 좌표는   이다.

따라서 주축의 길이는      두 점 F   F   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

의 꼭짓점은 축 또는 직선    위에 있다.
이때, 선분 PF 위에 있는 꼭짓점은 직선   
2) ⑤
위에 있으므로 ㉡에   를 대입하면   

이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 
 이고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 이다.

따라서     
   

4) ①
점 A의 좌표를    이라 하자.

포물선 C    의 초점 F 의 좌표는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  이므로 


AF    

포물선 C        의 초점 F 의

좌표는 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이므로 AF 

- 1 -
이때, 
AF  
AF 에서      이 만나는 점 Q의 좌표를 구해 보자.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AF  
AF 를 만족시키는 가 오직 하나가 되려면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이


   
 

          

  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져야 한다.   


   
  
따라서 이차방정식          의 
  
 또는   
판별식을 D라 하면 

D     ·    


점 Q의 좌표는   이다.


     곧    점 Q에서 선분 PF′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PF′      


5) ①
두 양수  에 대하여 두 점 A B를 초점으로

QH    
      
 
 
삼각형 PF′Q의 넓이는
 
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    이라 하자.     
   ·PF′·QH  ··  
   

   
이 쌍곡선이 점  을 지나고 점  에서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직선     에서 접할 때, PB PA 는 최대이다.

 
쌍곡선 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7) ④
 
 라 하고 ∠ABD  라 하자.
BD
   
방정식은     즉,   
 


 
이 직선이     이므로
  

     에서      
  
두 점 A B가 쌍곡선의 초점이므로
점 D는 장축의 길이가 인 타원 E 위의
  
          따라서    점이므로 타원 E의 정의에 의하여
  

AD   

6) 23 같은 방법으로 점 D는 장축의 길이가 인 타원


F 위의 점이므로 타원 F의 정의에 의하여
포물선   의 초점은 F 이고
 
CD
준선의 방정식은   이다.
점 P의 좌표를      라 하면 삼각형 ABD에서 코사인 법칙에 의하여
   
P 
  F′  
  AD  
AB  
BD  · 
AB·BD·cos

포물선의 성질에 의해   


PF PF′ 이므로

한편, 점 F′를 초점, 점 P를 꼭짓점으로 하는         ···cos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cos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CDB에서 코사인 법칙에 의하여
이 포물선의 준선의 방정식은    
  
CD

BC  

BD  ·
BC·
BD·cos  
점 Q에서 두 직선       에 내린
이므로
수선의 발을 각각 R, S라 하면
        ···cos
포물선의 성질에 의해 
QF  ′ 
QR QF QS이므로
     

QF 
QF′   
QR QS RS   ∴cos     ⋯ ㉡
 
사각형 PF′QF의 둘레의 길이가 이므로     
㉠ ㉡에서    

PF 
PF′ 
QF 
QF′ 에서  
PF′ 
RS   

            


즉      이므로   

이때, P의 좌표는  
 이고 점 F′를 초점,
점 P를 꼭짓점으로 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8) ③
   
     이다.
 
OQ OF에서 점 Q는 선분 F′F를 지름으로
두 포물선

  ⋯ ㉠    하는 원 위의 점이므로 ∠FQF′  

      ⋯ ㉡ 

- 2 -

FQ 라 하면 
FQ 
F′Q   에서   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


FQ 
F′Q 
F′Q 이고
 
  
Q      Q   
  
 
삼각형 PF′Q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따라서 
Q Q   
   
 에서
 
이므로 삼각형 PF′Q의 넓이는
     이므로         
  
 ·F′Q·PQ  ·· 
F′P  
F′Q PQ
 
  10) ①
 ··
PQ  ·· 
F′P F′Q  
PF 
FQ
 
 
·PQ F′P 
PF         
F′Q FQ

이므로 
PQ 
  
PF PQ FQ   에서

F′P       이므로

직각삼각형 PF′Q에서       


점 Q에서 포물선의 준선   에 내린
        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   F′Q
따라서 직각삼각형 F′QF에서 F′F   
FQ

점 Q는 포물선 위의 점이므로 
QF 
GH′
  조건 (가)에서     이므로
QF QH
      이므로       
 

QH′ 
cos∠HFO  cos∠HQH′    

QH 
9) 13 그러므로 ∠HFO  °
 
   
쌍곡선     의 주축의 길이가 
 PH OF이므로 ∠PHF  ∠HFO  °
 
이때, 삼각형 PHF는 
PF 
PH 인
 라 하면 
이므로 PF PF′  
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삼각형 F′FP는 넓이가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PFH  ∠PHF  °

 ··  
   ∠PFH  ∠° ° °  °

이므로 삼각형 PHF는 정삼각형이다.
  
      
   
  
  이때, 초점 F의 좌표가  이므로 
FH 
  
 이므로 PF   
PF′ 

조건 (나)에서 삼각형 PQF의 넓이는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F′FP에서

 
F′F  
   
 
   이므로 PHF의 넓이의  이므로


F′F        
 · ·      
       
쌍곡선     에서
  따라서   이므로   

      이므로   

11) 128

 
그림과 같이 쌍곡선     의 두 초점의
 
점 P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좌표를 F  F′  이라 하자.
삼각형 F′FP와 삼각형 F′PH는 서로 닮음이므로
  점 F′이 선분 AF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점이므로
PH PF 
직선 PF′의 기울기는       두 직각삼각형 AF′M FF′M이 합동이다.

F′H 
PF′ 


   그러므로 
AF′ 
FF′ 
쌍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선
  점 A가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에서 
AF′ AF AF 

이므로       
       
 점 M은 선분 AF의 중점이므로 
AM 

에서 두 점 Q  Q 의 좌표는 각각 직각삼각형 AF′M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 3 -
              
의하여 MF′
점 B가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BF 
BF′ 이고  
BM  BF′ 이므로 ∴            
  
삼각형 BFM의 둘레의 길이는

       에    를 대입하면
BF   
FM BM BF′     
  BF′ 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12) ② ∴          
  

AF′  
AF  원의 반지름을 라 할 때,
타원의 정의에 따라     14) 32
직선 QR가 ∠FQP를 이등분하므로

PQ 
QF 
PR 
RF

이때,  
PR    
RF이므로 PQ QF   

PQ    이라 하면 
QF 이고
 
∠PQF °이므로 삼각형 PQF에서 PF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  이므로


PF′ PF

PF′  
 
QF′ PF′ 
PQ       

위의 그림과 같이 사각형 AFBF′의 넓이는 F


   F′ 
  이므로 직각삼각형

   QF′F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FF′  
QF  

QF′  
      
            
13) ⑤ 
     
F   F    

직선 F F 은   을 지나므로      따라서 삼각형 PF′F의 넓이는


   
이라 하면 F  이므로       ·PF′·QF  ··   
  

F F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15) ⑤


조건 (가)에서 
AP 
PF이고 
PF 
BF이므로
 
AF BF   
조건 (나)에서 점 Q의 좌표가  이므로
  
FQ         BF FQ   
 
AF BF   
두 점 A B에서 포물선의 준선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 B  축에 내린 수선의
위의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PQR을 나타내면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발을 각각 A  B 라 하자.

    
F P F
Q 
F F  
PQ     

QR    두 준선 간 거리
         
∠F F O  라 할 때, tan  이므로

직각삼각형 PQR에서

PR
tan     
PR   

     
PR  QR PQ 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해
                 
AA AF        이고
BB  BF

얻어진 두 조건식을 이용해서
점 F 과 준선   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 4 -

A F 
AA           17) 80

B F   
BB          

이때, 
AF 
BF   이므로 두 삼각형 AFA 
BFB 는 닮음비가   인 닮은 도형이다. 즉,

A F 
B F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AF      A F 이므로


AA  
  
AF  A 
F  

    
 직선     가 포물선   와 만나 는 점
중 A가 아닌 점을 E 축과 만나는 점을 F라
 
AA   
AA  

 하고, 점 E에서 직선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이고 
FQ     이므로 삼각형 AQB의 넓이는 H라 하자.

        또, 두 점 A B에서 직선 HE에 내린 수선의


 ·FQ·AA   ·FQ·BB   ·FQ· AA  BB 
   발을 각각 I J 라 하자.
 점 F의 좌표는  이므로 포물선   의
  ··
  


초점과 일치한다.
 

따라서 
AF  
EF 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
AC  
EH 
16) ③ 이때, 포물선의 준선의 방정식이   이므로
두 점 A E의 좌표는 각각     이다.
선분 AI와 축의 교점을 P 점 E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하면
    
FP FQ   
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AFP EFQ에서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P 는 쌍곡선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EI     

점 P에서 쌍곡선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한편, 포물선       는 포물선   
 
 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이므로 두 점 Q와 R의 좌표는 각각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두 점 A B는 각각 두 점


E A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  
 
 
Q     R   
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삼각형 QOR의 넓이는 따라서 
AB 
AE 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 
 
  
A   ·  ·    
   

AC 
BD 
AB


AC 
BD 
AE 
AC   EF
BD  AF 
삼각형 PRS의 넓이는

AC 
BD  
AC 
EH   
BD EH
 
A    ·
PS·
OS  ··    
   EJ EI ·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이므로 A  A    에서       

다른풀이1
    ⋯ ㉡
직선     가 포물선   와 만나는 점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중 A가 아닌 점을 E 축과 만나는 점을 F라
   
    즉     하고, 점 E에서 직선   에 내린 수선의
    
 발을 H라 하자.

    ·         또, 두 점 A B에서 직선 HE에 내린 수선의

  에서   
 이므로 주어진 쌍곡선의 발을 각각 I J 라 하자.

주축의 길이는   


 이다. 점 F의 좌표는  이므로 포물선   의

- 5 -
초점과 일치한다.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 F 
P P ′ 
Q F 


   Q Q ′
이때, 연립방정식 의 해는     
    
두 점 P  Q 의 좌표를    이라 하면
즉,       에서     


P Q  이므로   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

한편, 포물선   와 직선      에서
이므로 두 점 A와 E의 좌표는 각각
A  
    
  E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포물선       은 포물선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  
관계에 의하여      ⋯㉡
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
AB 
AE
따라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해 ㉠ ㉡에서

  
AC BD AB     
             
  
  
AC BD AE 
AC 
BD  
AF 
EF
 
 ·
  
AC BD AC 
EH  
BD 
EH        ·   ·  

    

EJ  
EI ·
  

따라서   
 이므로   
19) ⑤
다른풀이2
  의 초점은   준선   

 
점 F    이 포물선의 초점이므로

  와     를 평행이동하면 
준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와         
점 P의 좌표를    이라 하면
즉     이므로 준선도     이다.
      에서      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    
AC BD AB  PF  
    

한편 는   와     의 교점의 좌표의 포물선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차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고 점 F′을 지나므로  
 
∴     ·   P  F′  이므로 
PF′ 
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
PF′ 
PF  이고

  
F′F      이므로
 
타원의 단축의 길이를 라 하면
  

            




따라서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 

20) 15
18) ⑤

포물선   의 초점을 F라 하면 F 이고


점 F 가 포물선의 초점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준선의 방정식은   이다.
의하여 
FP 
PQ이다.
직선      은 포물선   의 초점 F를
 
조건 (나)의 FP  
F′Q PQ FF′ 에서 
F′Q 
FF′
지나는 직선이므로 두 점 P  Q 에서 준선   
두 직선 FF′ PQ가 서로 평행하므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 Q ′이라 하면
- 6 -
두 삼각형 PQF F′FQ에서 ∠PQF  ∠F ′FQ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두 삼각형 PQF F′FQ는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이므로 
점 P   

     
∠QFP ∠PQF  ∠F′FQ ∠F′QF
∴     ⋯ ㉠
이고, 선분 FQ는 공통이므로
또한, 
 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두 삼각형 PQF F′FQ는 서로 합동이다. 
    
     

 
즉, FP PQ 
F′Q 
FF′
   
       

장축의 길이가 이고 
FP 
FF ′ c이므로
  


PF′   c   
      ∴   ∴   

삼각형 PFF ′에서 코사인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cos∠F′FP
23) ⑤
           선분 BC의 중점을 O라 하고 직선 BC를 축으로,
장축의 길이가 이므로   에서    직선 OA를 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생각하자.
점 P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B   C 이고, 점 P는 두 점 B C를
  
FP 에서 FH FP·cos∠F′FP  초점으로 하고, 주축의 길이가 인 쌍곡선 위의

FH 에서 점 H의 좌표는      이고 점이다.

PQ 
FP 에서 점 H의 좌표는   이므로  
이 쌍곡선의 방정식을     이라 하면
       즉    따라서      
  에서   
     에서   
21) ④

즉 쌍곡선의 방정식은     


P 라 하면     이고, A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PA 

  
 PA  에서    이므로
 

   일 때 선분 PA의 길이가 최소이다.

QP  
PF 라 하자. 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


F′P     
따라서 삼각형 PBC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F′FQ△F′OR    닮음)이므로 F′R
24) 40
∴           
F  F′  이고 포물선의 준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점 P에서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이라 하면
     에서
 
PF PH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PF PF 
PF′ 이므로 
PF′   
점 P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22) 6  
F′H   H F   

     
PF′  
F′H  
PF  
FH 이므로   

 
cos∠PF′F   
   
∴        

25) ④
 
쌍곡선     과 쌍곡선      의
 
점근선의 방정식은 각각   ±    ± 
 ≤ ≤ 이므로 정수 의 개수는 이다.

- 7 -
26) ② 따라서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ㄱ. 타원     은 선분 AB에 접하고 그 접점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에서
이 점 P이므로 타원     위의 점 P에서
 
    

의 접선의 기울기는 직선 AB의 기울기와 같다.
따라서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
 이므로
두 점 A
   B 를 지나는 직선의
 
쌍곡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기울기는      이므로

  
직선 의 방정식은     이고 쌍곡선의

 두 점근선은      이므로 두 점 P Q의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이다. (참)

좌표는 각각
 
ㄴ. 타원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에서    

E  F  
    에서   

AB
EF이고 ㄱ에서 직선 AB의 기울기가 

   즉, 점 M의 좌표는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타원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은 기울기가  
 그리고 
F F  
F N 에서 N 이므로
이고 점 B 를 지나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직선 MN의 방정식은      이고 두 직선

 
     


          의 교점 M의 좌표는
  
한편, 타원     위의 점 P의 좌표를
 
P   이라 하면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에서  
한편, 점 P는 직선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식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즉. 점 P의 좌표는 
  
28) 3
 
점 P는 타원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에서    이고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참)
D
ㄷ. ㄴ에서 점 P의 좌표는 P
  이다. 두 곡선이 접하므로        

따라서 두 점 A C를 초점으로 하고 점 P를
 ± 
 이고 P는 제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지나는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    
  
 AP 
CP       
 
    

 
   (거짓)  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 절편은 
절편은   이다.

27) 8 따라서 S   ·
 ·
  이므로 S       


AF   
AF  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다른풀이
   

점 P의 좌표를         이라 하자.
또한, F    F  이므로 
F F  

- 8 -
   30) 36
    에서      
  

포물선   의 초점을 F 이라 하고,
 
∴     ≠  두 교점 B C에서 준선   에 내린 수선의
 
   발을 각각 B′ C′이라 하자.
  에서           ≠ 
  
점 P에서의 접선이 일치하므로
 
    에서    ⋯ ㉠
 


점 P   은 타원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삼각형 ACC′에서 점 B는 선분 AC의 중점이므로
점 P   은 곡선   위의 점이므로 
CC′ ·
BB′ 이다. 즉,   ⋯㉠
CF ·BF
      삼각형 AFC에서 원점 O는 선분 AF의 중점이므로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CF ·
BO ⋯ ㉡
   ㉠ ㉡에서   이므로 점 B의 좌표는 이다.
BF BO
       
  즉,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절편은 
  절편은 
 이다.
        

따라서 S   ·
 ·
  이므로 S       

31) ③
점 P의 좌표를  라 할 때
29) 54
               
AP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가 이므로   
 
 
점 P가 쌍곡선 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PF′ PF
 

PQ 
PF′ 
PQ  
PF      
PQ PF ≥ 이므로  의 값에 따라 
AP 의 최솟값이


PQ 
PF는 두 점 P Q가 선분 AF 위의 달라진다. 즉, 각 경우에 따라 의 값을 구하면
점일 때 최소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  
그림과 같이 선분 AF가 쌍곡선     과
  ㄱ. 에서   을 대입하면   (참)
원 C와 만나는 점을 각각 P′ Q′이라 하면 
ㄴ. 직선    과 곡선   의 교점의
 
PQ 
PF′≥  
P′Q′ 
P′F 
개수는 이다. (참)
AF   
      
  

PQ 
PF′ 의 최솟값이 이므로 ㄷ.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9 -

 lim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다.
 
따라서 삼각형 APQ의 둘레의 길이  AP PH 는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함수 는   에서도
미분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
AP   PB
PH ≤  AP   

그러므로 함수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의 단, 등호는 점 B를 지나고, 축에 수직인 직선이
값은    이므로 그 개수는 이다. (거짓) 타원과 만나는 점이 P Q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따라서 △APQ의 둘레의 길이의 최댓값은 
 이다.

32) 28 34) ⑤
   
    
쌍곡선     과 타원     의 타원     은 네 점       
    
초점은 F  F′  이다.   을 네 꼭짓점으로 하는 타원이다.

타원     과 함수   의 그래프가

접할 때 의 값을 구하자.

     위의 점      에서의 접선의

   
방정식을 구하면  
         
   

타원이 직선     에 접하므로
삼각형 PF′F의 내접원이 세 변 
PF 
F′F 
PF′
   
에 접하는 점을 각각 점 A B C라고 하자. 
     ∴      
    

F′F 
F′B 
FB 
점    은      위의 점이므로   
원의 접선의 성질에 의해
∴  


FB 
FA  
PA 
PC 라 하면
    이다.
F′B F′C
쌍곡선의 정의에 의해
  
PF′ PF    
F′C PC PA 
AF 
F′C 
AF 
    이므로   
 
따라서 F′B F′C ,   이다.
FB FA
타원의 정의에 의해
          
PF′ PF 
 
그러므로   PA    
타원     이 점  을 지날 때,   
따라서 

PA 
AF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고    

33) ③

 
타원     의 초점이     이다.
 
따라서 점 A는 초점이고 점   을 점 B

선분 
PQ와 축의 교점을 H라 하면       

AP   
PH≤ AP PB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는   
    에서 불연속이
고, 불연속이 되는 모든 의 값들의 제곱의 합은

- 10 -
 
     

35) ④

     에서          


위의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 이므로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하여
사각형 APBQ의 넓이는 두 삼각형 ABP ABQ의
  
넓이의 합과 같다.    ⋯㉡

선분 AB를 밑변으로 하는 두 삼각형 ABP ABQ
   
의 넓이가 최대이려면 높이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 ㉡에서      
 
두 점 P Q는 기울기가 인 직선이 타원과 접할

때의 서로 다른 접점이다. ∴   ∵  

 
타원     의 기울기가 인 접선의 방정식은
 
37) ④
  · ± 
·  
점 P의 좌표를    이라 하면
∴    
 또는     

 
  타원      위의 점 P   에서의 접선의
    
 를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정식은     이므로 기울기   
  

∴   포물선    위의 점 P   에서의 접선의


  방정식은       이므로 기울기   
    
 에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P    
 

     ·   
  

  한편, 점 P는 포물선 위의 점이므로   


OP  ·
∴      
   
∴     
 · 
∴
PQ ·
OP 

다른풀이
점 P의 좌표를    이라 하면
36) ④
음함수 미분법에 의하여
F 이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    
 ′ 
점 A B의 좌표를 각각  라 하면  는     ′  
  
직선     과 포물선   와의 교점의 
점 P에서 접선의 기울기   
좌표이므로 방정식      의 두 근이다. 
또한, 포물선의 준선의 방정식이   이므로 
′   ′  
   
AF   BF
 
AB 
AF 
BF    이므로 점 P에서 접선의 기울기   


AB 에서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한편, 점 P는 포물선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38) 5
중심이 C 위에 있고 점 F 을 지나는 원을  이라
- 11 -
하고 포물선    위의 원  의 중심을 Q 이라 40) 26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Q F   의 반지름

 Q 으로부터 준선    까지의 거리)

이므로 원  은 준선   에 접한다.

따라서 원  위의 점 P 의 좌표)≥ 이다.


같은 방법으로
중심이 C 위에 있고 점 F 를 지나는 원을  라

하고 포물선    위의 원  의 중심을 Q 라  
타원     의 두 초점의 좌표를 각각
 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     (단,   

Q F   의 반지름
이라 하면       에서   
 Q 로부터 준선   까지의 거리)
따라서 점 B는 타원의 한 초점이고 다른
이므로 원  는 준선   에 접한다. 한 초점은 C  이다.
따라서 원  위의 점 P의 좌표)≥ 이다.   이고, PA
PB PC  PB
 이므로 
PA 
PC
따라서 두 원    의 교점 P는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이므로 점 A의 좌표는
좌표)≥  좌표)≥ 이므로   이다. 즉, 삼각형 PAC는 이등변삼각형

(나)조건에 의하여 제사분면에서 


OP가 최대일 이므로 점 P의 좌표는  이다.
때는 P가    에 있을 때이다.
P   을 지나고 준선에 접하는 두 원이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과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로 존재하므로


 
  
P    또는 P     이므로
  
P   은 조건을 만족한다. 
따라서 
OP의 최댓값은 
 이고

PA     
 
         

 
OP 의 최댓값은 이다. ∴  

39) 259 41) ④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에서

    이므로 포물선의 초점은
O 이고 준선은   이다.
점 P 에서 준선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삼각형 ABC에 대하여

OP 
PH   
 이고 
BC BC    OC
DO OA  이므로
점 P에서 축에 이르는 거리가 이므로 
PQ 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
OQ         
OP OQ
  BC
DO  
따라서 점 Q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
 

반지름이 인 반원 위에 존재한다. 좌표평면에 포물선을 나타내면

따라서 구하는 부피는 반지름이 인 구의 부피



 
이 포물선은   을 꼭짓점으로 하고  

 
  을 지나므로,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이다.  
 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단면의 넓이는
∴      ∴    

- 12 -
        


S


42) 14
A   이라 두면 접선은       


  이면   


∴축과 교점 D  
  
  
   이므로    ∴D  
    
따라서 ∆OAD의 무게중심은 P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

   Q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Q에서 PH 에 내린 수선의 발을 R

P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S라 하면


 
     라 두면 
  PF PH  
   FS     
QF   
QH

         이므로   ·
∆PQR∆FPS이므로 
PQ 
PR 
FP 
FS이고
따라서   

PQ 
PF 
Q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128




포물선    의 초점은 F    이다.
  

세 점 P F Q에서 준선    에 내린 수선의


발을 각각 P′ F′ Q이라 하면 
FF′  이고, 그림에서 제사분면의 정사각형의 한 꼭짓점을 C

점 A에서 축과 준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포물선의 정의에 의해 
PP′  
QQ′ 
D E라 하고, 점 B에서 축과 준선 에 내린
 ·  ·  
          수선의 발을 각각 G H라 하자.
     
    
 
AF  
     AC 이므로

      ∴  
    
CE AE 
AC 
AF 
AC 
    
  
 
 · 또한, 
BF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CE BH 
GF 
BF 
GF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AB 
BF 
AF 
   
  

∴         

다른풀이

- 13 -
45) 180 그리는 도형은 타원이다. (참)


PF′와 
QF를 연결하여
   
PF′ OH QF  
OI 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해
  
PF′ PF  이고 ∠FPF′  ∠FPF′  °
QF′ QF

이므로   
PF′ QF′ PF 
QF

∆PFF′에서     



OH ·
OI ·   ∴     

ㄴ. ㄱ에서 점 C 은 장축의 연장선 위에 존재


46) ③ 하므로 점 C와 D는 타원의 장축의 양 끝점이다.
   
 
원은     이고 타원을     로
  ∴
CD 
      
CE 


놓으면 원 위의 점 P의 좌표를  
    ∴
CD 
CE 
 (참)
이라 하면 타원의 초점의 좌표는 P′ 이고 ㄷ. ∠EOC    ∠DOC   라 하면 
OC 이므로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이므로    
∴  
tan   
CE 
 
 
또한, 초점      이므로      tan      
CD 



 
즉, 타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이므로
 
 tan  tan
기울기가   이고 그림과 같은 타원의 접선의 tan tan    
   tan tan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     
 
점 P 
   은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48) ③
위의 식을 정리하면       

 
 쌍곡선     위의 점    에서의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이므로   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따라서 점 P    에서 직선 OP의 기울기는
   점근선의 방정식은  ±   ⋯ ㉡

 ㉡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고 이것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47) ⑤  

 즉,                 ⋯ ㉣



 
M  sin  cos    sin  cos  
     
그런데    은 쌍곡선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sin  cos  sin  cos
    

 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X   sin  cos Y   sin  cos라 하면   
 
㉣은         
 
X   Y    sin   cos  
 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서 위 방정식의 두 근의 합은
X Y  으로 일정하다.
즉,      ⋯ ㉠
 
   
  따라서 쌍곡선      위의 점 P   에서
 
따라서 X Y는 타원 위에 존재한다.
그은 접선이 두 점근선과 점 Q R에서 만날 때,
ㄱ. 중점 M은 ㉠을 축 방향으로 만큼 축 방향
선분 
QR 의 중점은 점 P가 된다.
으로 
 만큼 평행이동시킨 것이므로 중점 M이
즉, 
QR  
PQ ∴  
- 14 -
49) ④      ⋯ ㉠
선분 PQ와 축의 교점을 R라 하면

 
PR  PQ 


 
직각삼각형 PF′R에서 F′R   
점 F′을 지나고 축에 수직인 직선을 이라 하면
은 포물선의 준선이고, 점 P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해 
PH 
PF이다.
위의 그림처럼 점 A에서 타원에 그은 두 접선의  
PF 
PH F′R 
   이므로
접점을 각각 P  P 라고 하면, 점 P가 타원 위에서
  
   에서      ⋯ ㉡
움직일 때, 점 Q의 자취는 원 위의 점 Q 에서
㉠에서     이므로 ㉡에 대입하면
Q 까지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AP  ∠OAP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의 중심을 C라고 하면

∠Q CQ  ·∠Q AQ  
 52) ④
(∵중심각의 크기는 원주각의 크기의 배이므로)
따라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부채꼴

  
CQ Q 에서 ·     
 

50) ③
두 포물선    의 준선을 각각    라 하자.
P 라 하면 A 이고

OB 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해 그림과
AP AB 
         
같이 각각의 길이가 결정된다.
 AP이므로     
AB      
 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따라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 ±  

다른풀이

동경을 로 두면, AO  
cos

∴AB     
AP  
AB 이므로 P의 좌표는
cos
직각삼각형 OB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가 된다.
cos
 sin
∴    
 ∵   또한, 좌표는 tan이다. 즉,       
cos cos

따라서 ∆ABC의 넓이는  ··    
   쌍곡선의 방정식 꼴을 만들기 위해서

  sin 꼴을 만들어 약분되게 한다.
 sin  
51) 103 즉,       
cos  cos  

  sin   
∴         
cos   


∴   

53) ②
(ⅰ) 점 P가 축 위에 있을 때
  이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해
PF′  PF
  
  
   

- 15 -
(ⅱ) 점 P가 축 위에 있지 않을 때 56) ⑤
타원 위의 점 P에서 접선의 기울기를
이라고 하면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두 초점     에서 접선까지의
거리를 각각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AP BQ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AQB  ∠QAP ∠OQB  ∠QPA
     
이다. 따라서 ∠QAP  ∠QPA이므로

 삼각형 QAP는 
QA 
QP인 이등변삼각형이고
따라서 (ⅰ), (ⅱ)에 의해    의 관계를 나타내는
  
OQ  QP
QB OQ  
OP 
그래프의 개형은 ②이다. 따라서 점 Q는 두 점 O Q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으로 일정하다.
54) 50 점 Q의 좌표를  라 하면
 
OQ QA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 
조건에 의해 Acos sin Bcos sin 따라서 점 Q의 자취는
P  Qcos sin Hcos 로    
     (단,  ≠
놓을 수 있다.  

AQ sin 
BQ cos 

PH   cos

 
   
이므로 X ⊂       
  
∆ABQ  S   ·
AQ·
BQ  ·sin·cos
 

∆APQ  S   ·
AQ·

PH  ·sin·  cos 57) 128
 
두 포물선은 꼭짓점으로부터 준선까지의 거리가
 sin  cos
각각 이면서 각각 축으로    만큼 평행이동한
S sin  cos   cos 
     포물선의 방정식이므로, 포물선의 방정식은 각각
S  sincos cos 
         가 된다.

∴ cos   ∴cos   이때, 이 두 포물선에 동시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

의 기울기를 이라 두면, 첫 번째 포물선의 방정식
에서의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55) 17
 
               이 되며,
타원     의 초점의 좌표가 ±  이므로  
 
두 번째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    
또, 타원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   이 두 접선의 방정식이 일치해야 하므로

접선의 절편이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주어진 식에 의 값을 대입해서 직선의 방정식을
 구해 보면   가 된다.
∴    ∴    

이때,   와 두 포물선과의 교점의 좌표를
연립해서 구해 보면      가 된다.

- 16 -
 두면
그러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       

∴   주축의 길이 :    ∴  
초점 :            ∴  
  
58) ③ 그러므로 쌍곡선의 식     와   과의
 
ㄱ. 점근선의 방정식은  ± (참)
교점의 좌표를 구하면  ± 
 이므로
ㄴ.  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점 P Q간의 거리는 

방정식은       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
  그러므로 걸리는 시간은   
 (분)

  ≠± (거짓)
  
  
ㄷ.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이므로
㉡에서  의 값은 두 개 존재한다.

  일 때,     
   이므로
㉡에서  의 값은 두 개 존재한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59) ②

직선 AC와 BD의 교점 P 라 두자.


     ⋯ ㉠

직선 AC의 방정식은      에서
 
       ⋯ ㉡

직선 BD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면        ⋯ ㉣
 

단,     에서   

 

㉣를 ㉠식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점 P의 자취는     인 타원의
 

일부이다. 그러므로 초점은       에서


 ± 
 이므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

60) ②
좌표평면에서 점 A   B 을 초점으로
 
하고 주축의 길이가 인 쌍곡선을    라
 

- 17 -
- 1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