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기출문제집

-기하-
(3)공간도형과
공간좌표
LEVEL 0,1,2
수능,평가원,교육청
사관학교,경찰대

해설
1) 24 2) 261
P  는 S        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즉,        을 만족한다.
따라서 점 P는   을 중심으로 하고 평면
과 평행인 원 위의 점이다.
직선 OP와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평면 
와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점 P가
될 수 있는 점은 그림에서 P  P 뿐이다.
삼각형 BCD의 외심을 O 삼각형 PQR의 외심을
그런데     을 만족시키는 점은 P 이다.
O′이라 할 때, 정삼각형 BCD에서 외심은 무게중심
과 같으므로 반지름이 이고 특수각의 삼각비에
 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BC

점 O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삼각형 AOB를 포함한 단면을 그려보면 아래 그림
과 같다.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OP  


 

원 C의 넓이는  
  
원 C를 포함하는 평면 와 평면이 이루는

각에 대한 코사인값은  이므로


원 C의 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  
 ·    
   
삼각형 OAB에서   OA·
AB·OH OB ,
·

 따라서   ·   ·  
 ·
 OH ·
 
OH   
 


직각삼각형 OBH에서
   
3) 48
BH    
    BH 

그림은 정삼각기둥 ABC  DEF를 좌표공간에
위의 그림처럼
나타낸 것이다.

BH 
PH 
AP 
  
  

삼각형 APO′와 삼각형 ABO는   닮음이므로

PO′ 
∠POA  라 할 때, 점 P에서 접하는 평면 는
직선 OP와 직각이고 삼각형 PQR과 접평면이 이
루는 각은 위의 그림에서 선분 PO′과 이루는 각과
같고, 그 각은 ∠POA  와 같음을 알 수 있다.
cos의 값은 삼각형 OPO′을 통해서

 
cos    
 
삼각형 PQR은 삼각형 BCD와   닮음이므로
한 변 길이는 
 두 점 C H의 평면 ADEB 위로의 정사영을
 각각 C  H 이라 하자.
정삼각형 PQR의 넓이는  ·
   


 
AC   
AG 
 이므로
정사영의 넓이는
  
GC   

    ∠AGC  °
 

 ·cos  
 ·   
   ∴  
 조건 (가)에서 삼각형 GH C 은 정삼각형이므로

- 1 -
 
∠C GH  ° GH  
CO O H  
CA 
AO
 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점 H 은 점 G에서       


    

선분 BE에 내린 수선의 발과 일치해야 한다.      
   
점 H의 평면 DEF 위로의 정사영을 H 라 하자.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조건 (나)에서 삼각형 CGH의 평면 DEF 위로의       이므로   
정사영인 삼각형 FDH 의 내부와 삼각형 DEF의 또한 두 삼각형 CO H  CO H 는 닮은 도형이므로
내부의 공통부분의 넓이가 삼각형 DEF의 넓이의  
CO O H  
CO  
O H


 인 
 이므로 직선 DH 는 선분 EF의 중점 
          O H  
O H  
  

을 지난다. 이때, 직각삼각형 O H B에서

그러므로 두 삼각형 DEH  DFH 가 합동이고 


BH  
  
BO  O H  
 

    

∠DEH  °이므로 ∠DFH  °이다.
따라서 원 C의 넓이는 

    
점 H의 평면 ADFC 위로의 정사영을 H 이라
또한 두 평면 와 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라
하면 점 H 은 점 G에서 선분 CF에 내린 수선 
O H
  
하면   ∠BO H 이므로 cos  

  이고,
의 발과 일치한다. BO 
그러므로 삼각형 CGH의 평면 ADFC 위로의 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cos   
정사영인 삼각형 CGH 의 넓이 S는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S   ··
  


참고
따라서 S   
사각형 AOO H 에서 ∠OAH  라 하면

∠AOO  ∠AH O   이므로 ∠OO H    
4) 127 
구 S 의 중심을 O    구 S 의 중심을
O    이라 하고, 두 점 O  O 에서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H 라 하자.

평면 와 축이 만나는 점을 C라 하면 세 점
A B C는 평면 위에 놓은 한 직선 위에 있고,
네 점 O  O  H  H 는 평면 위에 있으므로

일곱 개의 점 A B C O  O  H  H 는 그림
과 같다.

두 삼각형 AOH  O OH 에서


   
AO AH  
O O 
O H  이고,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OH  
AO  
AH  ·
AO·
AH ·cos
 

O O  
O H  ·
O O·
O H ·cos  


이므로   cos    cos cos  

   
이때, sin   
   
 

tan  

이므로 
OC 
OA·tan 

원점을 O 점 C의 좌표를   라 하면


두 삼각형 CO H  CAO는 닮은 도형이므로

- 2 -
5) 50

점 B에서 선분 PA에 내린 수선의 발을 J라 하자.



BJ 
BJ
점 P에서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sin∠PAB   

AB 
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자. 
  
 

 
  OP 이므로 sin∠PAB      이므로
∠PAO   이고 OA  


삼각형 PAO는 정삼각형이다.  
BJ 


PA  
PH   
  AH OH 
삼각형 PAB의 넓이를 S′이라 하자.

OI    이라 하면 직각삼각형 OIB에서
  
S′   ·
PA·
BJ  ··   

 
IB  
OI  
OB  

  
  

AB 
AC 
PB 
PC 이므로
직각삼각형 AIB에서
 두 삼각형 PAB PAC는 서로 합동이다.
AB  IB  
  
AI        
 
BJ⊥  
AP이므로 CJ⊥  
AP이고 BJ CJ
 
 
두 평면 PAB와 PAC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직각삼각형 PHI에서
 
라 하면 BJ⊥AP 
CJ⊥
AP이므로   ∠BJC
 
PI PH HI  
  
  
    

 
JB JC    BC 

 
    

PH⊥ 
HI⊥ 
BC 이므로 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


PI⊥
BC 이다.
   
JB  JC  BC
cos   
   

·     

·
JB· 
 
직각삼각형 PIB에서
JC
·  




PB  IB  
  
PI            
S  S′·cos  
 ·   
 
   

삼각형 PAB에서 
따라서 S   ·   

  
AP
 
AB  PB
cos∠PAB 
 
·AP·AB
     
6) 23

··
  주어진 구와 축이 만나는 두 점의 중점을 P′이라
  할 때, 축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밑변 길이와

  높이가 최대일 때이므로 밑변은 직선 P′C의 연장선


  위에 점 Q가 존재하므로 지름의 가장 끝 점일 때,
그러므로   
   밑변 길이는 최대가 되고 높이는 평면과 평행한
     구의 단면이 되는 원 위의 점 중에서 직선 P′Q와
        가장 멀리 있는 점이므로 평행한 접선의 접점이
  이므로    Q일 때, 높이가 최대가 된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 그림과 같다.

점 R은 접점이므로 
RC⊥
P′Q

- 3 -
   
AC  AP 
 은 일정하다.

△AP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원의 넒이는  이다.

정사영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cos가 최대이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는 최소이어야 한다.
  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

8) 28
 선분 BP의 중점 M을 지나고 직선 AH와 평행
P′C 는 원점과 평면 위의 점  
  
한 직선이 선분 AB와 만나는 점을 E라 하자.
사이의 거리와 같다.
 이때, 점 M은 원 D의 중심이고, 직선 ME는
P′C 
 
선분 BP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
BE 
PE 이다.
직각삼각형 P′CR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
이때 삼각형 APB에서 AP  
AB 

P′R 

∠PAB  °이므로
직각삼각형 P′PR에서 
PR 
    


직각삼각형 PP′Q에서 
PQ 
    
 BP 
   
      BM  BP 


직각삼각형 RQC에서 
RQ 
 삼각형 APB와 삼각형 MEB는 서로 닮음이므로
∠RPQ  라 할 때,   
ME  BM  
BE  
ME 
       
cos      
· ·  
 따라서   
PE BE


sin  


삼각형 PRQ의 넓이는
    
 · · ·   

 

정사영 OR′Q′의 넓이는 그림 위의 삼각형
P′RQ의 넓이와 같다.

삼각형 P′RQ의 넓이는  ··   직선 ME는 원 D의 중심 M을 지나고 원 D를

삼각형 PRQ를 포함하는 평면과 평면과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이므로 원 D 위의

이루는 각을 라 할 때, 임의의 점 Q에 대하여 


QE 
BE 이다.

  따라서 점 Q는 점 E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
 ·cos   cos   
   길이가 인 구 위의 점이다.
삼각형 OQ R 의 평면 PQR 위로의 정사영의 이 구가 평면 에 의해 잘려서 생기는 두 부분
넓이는 중 점 B가 속한 부분(원 C 포함)을 S라 하면
   점 P가 원 C 위를 움직일 때 원 D가 나타내는
·cos  ·  
  

   도형이 S이다.
∴    

7) 9

원 D 위의 점 Q는 도형 S 위의 점이므로 선분
XQ의 길이는 선분 XQ가 구의 중심 E를 지날 때
최대이고 최댓값은

EQ  AE   
   
XE XA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P의 자취는 원 모양이 되고, P가 움직여도

- 4 -
9) ① ABQ와 수직이고, 평면 ABQ와 평면 APQ는

평면 에 의해 잘린 구 S의 단면을 S  원뿔 C 수직이다.
그러므로 점 B에서 선분 AQ에 내린 수선의 발을
의 밑면을 S 라 하자. 평면 를 위에서 수직으로
H라 하면 삼각형 APB의 평면 APQ 위로의
내려다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정사영은 삼각형 APH이다.

OB 
   
        BQ 이고 삼각형 BO′P는 직각삼각형이고

 
O′B  
 O′P 이므로 
PB 

∠BQO   이므로 
OQ 


삼각형 APB는 
PA 
PB 
 인 이등변삼각형
∠BOQ  ′라 할 때, 삼각형 BOP와 삼각형
이고, 
AB 
 이므로 삼각형 APB의 넓이는
BOQ는 합동이므로 ∠BOP  ′이다.


   ·
 ·
  


이때, cos′    sin′   이다.

 

삼각형 ABQ와 삼각형 AHB는 닮음이므로
한편 점 A에서 직선 OQ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
 
AH
하고, 직선 BP를 포함하고 평면 에 수직인 평면 

을 라 할 때, 두 평면 와 가 이루는 이면각은 그러므로 삼각형 APH의 넓이는
∠BAH와 같다.   
 · ·  

사각형 BAHQ에서 ∠ABQ  ∠BAH   ⋯ ㉠   
사각형 BPOQ에서 ∠PBQ  ∠POQ   ⋯ ㉡ 삼각형 APH의 넓이 

cos    
삼각형 APB의 넓이 
∠ABQ  ∠PBQ이므로 (ㄱ), (ㄴ)에서

∠BAH  ∠POQ 따라서 cos   ·   

즉 ∠BAH  라 하면   ′  ′이고

cos  cos′  ′  cos ′  sin ′  
 11) 10
평면 는 원뿔 C의 밑면의 중심을 지나고 평면
에 수직이므로 원뿔 C의 높이를 라 하면

(단면의 넓이)=  ·  

  
(정사영의 넓이)= cos  ·     
  
∴  

10) 60
구 S의 중심을 O라 하면 한 변의 길이가 
인
평면 와 구가 만나서 생기는 원의 중심은 A이고
정삼각형 APQ의 무게중심은 점 O와 같다.
  와 평면 는
OA 는 구의 중심을 지나므로 OA
점 P에서 선분 AQ에 내린 수선의 발을 O′라

하면 점 O는 선분 AQ의 중점이고 서로 수직이다. 따라서 ∠RAO  


∠ABQ   이므로 점 B는 점 O′를 중심으로 이때, 점 A에서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반지름이 선분 AO′인 원 위의 점이다. 하면 ∠OAH   이므로 삼각형 OAH는

삼각형 BO′O에서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 
 
O′B  OB  
OO′ 이므로 ∠BO′O   
     
   
   
OA AH
∴    OH
 
    

 
그러므로 
OO′⊥
O′B 
PO′⊥
O′B
또한, 삼각형 OAR는 직각삼각형이고,
  
AO′⊥PO′ PO′⊥
O′B 이므로 직선 PO′는 평면
  
OR  이므로 
OA  AR 

- 5 -
따라서 원 C 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두 직선  을 포함하는 평면을 라 하자.

직각삼각형 ARQ에서 
AQ 
AR   이므로 이다.
직선  위의 두 점 A B에서 평면 에 내린
∴
QR 

  이고   이므로 수선의 발을 각각 E F라 하고, 선분 FD와
OPAQ OP  AQ
직선 의 교점을 G라 하자.
사각형 AQPO는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이다.

AB
EF 
EF
CG이고   
EF CG 
이므로 직각삼각형 DGC에서
 
GD   

 
직각삼각형 ABD에서

AD 
    
   
 

삼각형 ACD에서
   이다.     
 


△AQP의 넓이는  ‧‧
   이고 PQ cos∠ACD    
  ·· 
그리고 삼각형 OAP에서    

AP OP
 
OA    
   
   

이므로 sin∠ACD    
    
 

따라서 삼각형 ACD의 넓이는


또한, 
AR 은 
AO 
AQ에 각각 수직이므로
 

AR 는 평면 AQPO와 서로 수직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 
  이므로 삼각형 PAR는 직각삼각형이다.
AP⊥AR  a 
EC AE 
BF b라 하면 
FD a  이고,

RP 
 
∴ AR  AP  
    
 삼각형 AEC에서      ⋯ ㉠
삼각형 PQR의 점 Q에서 
PR 에 내린 수선의 삼각형 BFD에서       ⋯ ㉡
  
발을 F PF RF  
QF 라 하면 ㉡  ㉠에서       

PR     
 ⋯㉠ 삼각형 ACD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두 직각삼각형 QRF와 QFP의 공통현 QF에 의하여 ECD이고, 삼각형 ECD의 넓이는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EC ·CG  ··
  

 
 
㉠ ㉡을 연립하면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
 ·cos  
 에서 cos  


 

       ∴
QF  sin    cos  
  ∴tan      

cos  cos  cos 
   
 
∴△PQR   ‧ RP ‧ QF  ‧
‧      
   
삼각형 PQR의 평면 AQPO 위로의 정사영은 ∴tan   

삼각형 AQP이고 평면 PQR와 평면 AQPO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므로 13) 25
△PQR·cos  △AQP

△AQP  

cos      
△PQR  


 
cos      ∴        
 

12) 30

세 점 P Q R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 C라 하면 ∆ABC는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삼각형이다.
  
AP BQ  
CR 라 하면

PQ 
 QR 
           

RP 
     이고
            이므로

RP 
PQ 
RP 
QR

- 6 -
∴
PQ 
QR 이고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QR 
PQ     

PR 
     
   이므로
  ⊥PR
PR 의 중점을 M이라 하면 QM  이므로

QM 
         

∴∆PQR  
  

∆PQR·cos°  ∆ABC에서  
    


따라서      이고    

다른풀이

PR 이 최대이므로 ∆PQR이 이등변삼각형이

되려면 
PQ 
QR

   라 놓으면  QR 
PQ    

PR 
그리고     이므로    
∆P′Q′R′  ∆PQR cos°이므로
∆P′Q′R′
∆PQR    ∆P′Q′R′
cos°

 ·  
   



∠PQR  라 놓으면
 
∆PQR   PQ ·QRsin      sin  

 
 
∴sin  
  
또 ∆PQR에서

PQ   
QR   
PR 
cos  

PR·
QR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