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4

1.

공간벡터 Ⅳ 공간벡터

1. 공간벡터 02 구의 벡터의 크기
2. 그림과 같이 평면  위에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 ABC가 있
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  는 점 A 에서 평면 에 접한다. 구 
위의 점 D 에 대하여 선분 AD 가 구  의 중심 O 를 지날 때,
01 공간벡터의 덧셈과 뺄셈의 크기
 
AB DC  의 값을 구하시오.
1. 다음 그림은 밑면이 정팔각형인 팔각기둥이다.
[4점][2007(가) /수능(홀) 24]


A  A    
 이고, 점 P 가 모서리 A B 의 중점일 때, 벡터

 
PA 
 
PB  의 크기를 구하시오.
i 

[3점][2009(가) 9월/평가원 20]

3. 중심이 O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 위의 점 P와 중심이 O  이


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 위의 점 Q가 있다.

O O  , 
O P 
  

일 때,    
O  P O Q 의 최댓값이    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유리수이다.)
[4점][2016(가) 8월/영남권 29]

단원별/유형별 - 1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1. 공간벡터

03 공간벡터의 성분과 크기
그림은 한 모서리의 길이가  인 두 정사면체 ABCD 와 BCDE 에
6.

다음은 어떤 정육면체의 전개도이다.


대하여 면 BCD 를 일치시킨 도형을 나타낸 것이다. 두 벡터 BA와
4.


D E에 대하여  
BA 
D E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2010(가) 10월/교육청 21]

원래의 정육면체에서 
AB의 크기는?
[3점][1998(자) /수능(홀) 8]
① 
CD ② 
D C ③ 
ED
④ D E
 ⑤ FD

공간벡터 O P    를  평면,  평면,  평면에 정사영


한 모서리의 길이가  
5.

 인 정사면체 ABCD 에 대하여 등식


시켜 얻은 벡터를 각각  O A 
O B 
O C라고 하자.
7.


PB 
 P C 
P D  
P A

OP  
OA    
OB OC 일 때, 세 실수   의 합      는?
를 만족시키는 점 P가 있다. 삼각형 BCD 의 무게중심을 G라 할 때,
[3점][1999(자) /수능(홀) 19]
선분 PG 의 길이를 구하여라.

①  ②  ③ [3점][2014(B) /삼사 24]


④  ⑤ 

단원별/유형별 - 2 - fcmath.tistory.com
1. 공간벡터 Ⅳ 공간벡터

04 공간벡터의 위치벡터
11. 좌표공간의 점 A   과 중심이 원점 O 인 구
좌표공간의 세 점 A     , B    , C   과  평
   OP 의
8.



P A 
P B 
P C          위를 움직이는 점 P 에 대하여 OA  
면 위의 점 P 에 대하여  의 최솟값은?
  
최댓값은   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유리
[3점][2011(가) 10월/교육청 11]
수이다.)
①  ② ③
[4점][2009(가) /수능 22]
④  ⑤ 

그림과 같이 두 개의 정사면체 OABC 와 OABC ′ 가 면 OAB 를 공


9.

유하고 있다. 벡터 
OC′  
OA   
OB   
OC 를 만족시키는 상수
     에 대하여      의 값은?
[3점][2009(가) 삼사 21]
O

C′
C

A 12. 그림과 같이 사면체 OABC 에서 삼각형 OAB 와 삼각형 CAB 는


B 모두 정삼각형이고, 삼각형 OAB 와 삼각형 CAB 가 이루는 이면각의

   크기는  이다. 정삼각형 OAB 의 무게중심을 G , 점 O 에서 선분
①  ②  ③  
  
CG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자.
 
④  ⑤  
  OA 
 
  
OB     라 할 때, 
OC OH  
 
   를 만족시키는

세 상수    에 대하여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12(가) 삼사 30]

10.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 모선의 길이가 이고 꼭짓점이 O 인


직원뿔이 있다. 밑면의 둘레 위의 한 점 A 에서 출발하여 원뿔의 옆면
을 한 바퀴 돌아 점 A 로 되돌아오는 최단경로를  이라 하자.

 위를 움직이는 점 P 에 대하여 점 B 가
  
AB   
AO   
AP
 
를 만족시킬 때, 점 B 의 자취의 길이는?
[4점][2007(가) 10월/교육청 8]
①  
 ②  
 ③  

④  
 ⑤  

05 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을 조건

단원별/유형별 - 3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1. 공간벡터

15. 좌표공간에서 네 점 A  , A  , A  , A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01 공간벡터의 내적
(가)  
A  A    
A A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B   ,  

13.

   인 직육면체
BF   , FG

(나)  
A A ∙ 
    
A  A    
A A   cos   (    )
   

ABCD  EFGH 에서 두 벡터  D F 와

A A 의 최댓값을  이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HF 의 내적   
D F∙ HF 의 값은?
[4점][2012(가) 9월/평가원 29]
[3점][2002(자) 10월/교육청 19]
①  
② 
③ 
④ 
⑤ 

그림과 같이 한 모서리의 길이가  인 정사면체 OABC 가 있다. 점


그림과 같이 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인 사각뿔 O  ABCD 에서 선
14.

16.

C 에서 모서리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할 때, 선분 HC 를  등
분 AB의 삼등분점 중 A 에 가까운 점을 M , 선분 BC의 삼등분점 중
분하여 각 분점을 차례로 P  ( H ), P  , P  , ⋯ , P    , P  ( C)라
C에 가까운 점을 N 이라 할 때,
 
하자.    
O H⋅ 
O P  라 할 때,
 lim  의 값은? 두 벡터 
O M 
O N의 내적 
O M∙ 
O N의 값은?
 → ∞
[3점][2016(가) 8월/영남권 12]
(단,  은  이상의 자연수이다.)
[4점][2017(가) 10월/교육청 18]

① ② ③ 
④  ⑤ 

 
①  ② ③ 
 

④  ⑤ 

단원별/유형별 - 4 - fcmath.tistory.com
1. 공간벡터 Ⅳ 공간벡터

02 공간벡터의 내적의 범위의 활용 03 성분으로 주어진 공간벡터의 내적


중심이 O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구 위에 고정된 점 A 가 있
17. 그림과 같이 한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육면체 ABCD  EFGH 의
19.

고, 
AP   을 만족시키면서 이 구 위를 움직이는 점 P 가 있다. 이때,  
세 모서리 AB, CD , EF 위에 AP CQ  
FR  인 세 점 P, Q , R
선분 AP 위의 점 Q 가 AP∙ 
O Q ≥  을 만족시킬 때, 점 Q 가 존재 가 있다.
 두 벡터 
RP와 
RQ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 할 때, cos  의 값은?
하는 영역의 넓이는   
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 [3점][2017(가) 8월/영남권 10]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점][2011(가) 삼사 28]

 Q
P

 
 

①  ②  ③ 
  
 
 

④  ⑤ 
 

18. 그림과 같이 옆면은 모두 합동인 이등변삼각형이고 밑면은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인 사각뿔 O  ABCD에서 ∠AOB  °이다. 점
A 에서 출발하여 사각뿔의 옆면을 따라 모서리 OB 위의 한 점과 모서
리 OC 위의 한 점을 거쳐 점 D 에 도착하는 최단경로를  이라 하자. 
위를 움직이는 점 P에 대하여   
AB∙ OP의 최댓값을  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유리수이다.) 20. 그림과 같이 
AB  
AD  ,
[4점][2016(B) 삼사 30] 
AE  인 직육면체
ABCD  EFGH 에서 모서리 AE 를
  으로 내분하는 점을 P , 모서리
AB, AD , FG 의 중점을 각각
Q R S 라 하자.
선분 QR의 중점을 T 라 할 때, 벡터

TP와 벡터 
QS의 내적 
TP∙ 
QS의
값을 구하시오.
[3점][2009(가) /수능 20]

단원별/유형별 - 5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1. 공간벡터

04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 05 공간벡터의 수직 조건과 평행 조건


21. 두 벡터 
     ,  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24. 두 벡터 
        
     이 수직일 때, 양수

 라 할 때, cos  의 값은?  의 값을 구하시오.


[2점][2002(자) 수능(홀) 2] [2점][2001(자) /수능(홀) 27]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22. 두 벡터 
            이 이루는 각의 크기 
의 값은? (단,  ≤  ≤  이다.)
[2점][2006(가) 9월/평가원 3]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25. 그림과 같이 
AB    
AD    
AE  인 직육면체
ABCD  EFGH 가 있다. 선분 AG 의 중점을  이라 할 때, 모서리
AB 위의 점 P 와 모서리 CD 위의 점 Q 에 대하여 벡터  AG는 두
벡터 
MP 
MQ와 모두 수직이다.


MP  
MQ  일 때, 양의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17(가) 10월/전북 28]
23. 한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와 인 두 정육면체를 그림과 같이 꼭
짓점 O 와 두 모서리가 겹치도록 붙여 놓았다. 두 정육면체의 대각선
OA 와 OB에 대하여 ∠AOB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의 값은?
[2점][2003(자) /수능(홀) 7]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단원별/유형별 - 6 - fcmath.tistory.com
1. 공간벡터 Ⅳ 공간벡터

한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사면체 ABCD 에서 삼각형 ABC 의 무


06 공간벡터의 내적의 연산의 활용 28.

게중심을 O , 선분 AD의 중점을 P 라 하자. 정사면체 ABCD 의 한 면


그림은 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 인 두 개의 정사각뿔 O  ABCD ,
BCD 위의 점 Q 에 대하여 두 벡터  OQ 와 
OP 가 서로 수직일 때,
26.

O ′  DCEF 에 대하여 모서리 CD 를 일치시킨 도형을 나타낸 것이다.




O B 
O F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면 ABCD 와 면 DCEF 는 한 평면 
PQ 의 최댓값은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서로소

위에 있다.) 인 자연수이다.)
[3점][2006(가) 9월/평가원 21] [4점][2017(가) 수능 29]

27. 두 평면   의 교선을  이라 하자. 평면  위에 있는 원   과


평면  위에 있는 원   는 반지름의 길이가 모두  이다. 그림과 같이
원   과 원   는 점 C 에서 직선  과 접한다.   의 중심 O  을 지나고
평면  에 수직인 직선과   의 중심 O  를 지나고 평면  에 수직인

직선이 만나는 점을 P 라 하자. ∠O  C O    일 때,   위에 있는 임

의의 점 A 와  위에 있는 임의의 점 B에 대하여  
 P A  
P B  의
최댓값을  , 최솟값을  이라 하자. 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05(가) 9월/평가원 21]

단원별/유형별 - 7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1. 공간벡터

07 성분으로 주어진 공간벡터의 내적의 최대 최소


중심이 C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구와 구 위의 한 점 A 가 있
31.

좌표공간에서 세 점 A      B      C      에


다. 구 밖의 한 점 B 를 
AB  이고 
29.

CB  가 되도록 잡는다. 점 P


대하여 선분 AB 의 중점을 D , 선분 BC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을 E
라고 하자. 가 이 구 위를 움직일 때, 두 벡터  BA 
BP 의 내적 
BA ∙ 
BP 의 최
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시오.
점 P 가 선분 DE 위를 움직일 때, 두 벡터  O P 와 
AP 의 내적
[4점][2012(가) 10월/교육청 28]

O P⋅ 
AP 의 최솟값은? (단, O 는 원점이다.)
[4점][2006(가) 10월/교육청 16]
 
①  ②  ③ 
 
 
④  ⑤ 
 

30. 좌표공간에서 두 점 A    , B      에 대하여 두 점 P ,


Q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O P  ,  
O A∙  OP  
(나) 
AB∙ BQ  ,  
BQ  


O P∙ 
AQ 의 최댓값이    
 일 때, 두 유리수 ,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4점][2016(가) 10월/교육청 29]

단원별/유형별 - 8 - fcmath.tistory.com
2. 도형의 방정식 Ⅳ 공간벡터

2. 도형의 방정식
35. 그림과 같이 각층의 높이가  인 직육면체 형태의 두 건물 A  B
가 있다. 건물 A 와 건물 B는 서로 수직으로 붙어 있고, 두 건물의 외
벽은 한 변의 길이가  m 인 정사각형 모양의 유리창으로 서로 이어져있
01 공간상 직선의 방정식 다. 어떤 사람이 건물 A 의 어느 창가에서 건물 B의 유리창을 향하여
32. 좌표공간에서 두 점 A   , B       를 지나는 레이저 빛을 쏘았는데 이 레이저 빛은 건물 B의 창문의 S 지점과 바닥
  면의 T 지점을 지났다. 다음 중 레이저를 쏜 창가는? (단, 유리창틀의
직선과 직선        이 서로 평행할 때, 실수 의 값을
  두께는 무시하고, 레이저 빛은 유리창을 통과할 때 굴절되지 않는다고
구하시오. 가정한다.)
[3점][2016(가) 10월/경남 24] [4점][2006(가) 삼사 24]

   
점     을 지나고 직선      에 평행인 직선
  
33.

이 점    를 지난다.   의 값은?


[3점][2010(가) 11월/대전 4]
①  ② ③ 
④  ⑤ 
①ㄱ ②ㄴ ③ㄷ
④ㄹ ⑤ㅁ

34. 그림과 같이 지면과 수직인 벽면에 대형 스크린을 붙여 세우고 투


명 스크린을 벽면과 지면에 모두 수직이 되도록 설치하여 벽면과 투명
스크린이 만나는 경계선을  이라고 하자.
벽면으로부터 m , 투명 스크린으로부터 m 떨어진 지면 위의 점 X 에
레이저 발생장치를 설치하고, 경계선  로부터 m , 지면으로부터 m
떨어진 투명 스크린 위의 점 P 를 향해 레이저 광선을 비춘다.
점 P 를 통과한 레이저 광선이 지면으로부터  m , 경계선  로부터  m
떨어진 대형 스크린 위의 점 Q 에 도달할 때,    의 값은? (단, 레이
저 광선이 투명 스크린을 통과할 때의 굴절은 무시한다.)
36. 좌표공간에 두 점          이 있고, 평면 위에
[3점][2003(자) 6월/평가원 19]
원      이 있다. 이 원 위의 점       을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이 직선  와 만날 때,   의 값은?
[4점][2011(가) 9월/평가원 18]
  
① ② ③ 
  
 
④ ⑤
 

①  ②  ③ 
④  ⑤ 

단원별/유형별 - 9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2. 도형의 방정식

02 직선과 교점의 좌표 구하기


37. 좌표공간에 세 점 A     , B    , C    과 직선
  
  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 가 평면   와 만나는
       가 있다.  
40.

  
점의 좌표를    라 할 때,     의 값은?
[2점][2010(가) 9월/평가원 2]
①  ②  ③ 
④  ⑤ 

직선  이 삼각형 ABC 의 변 또는 내부를 지나도록 상수  의 값을 정


할 때, 정수  의 개수는?
[4점][2008(가) 10월/교육청 11]
①  ② ③
④  ⑤

38. 좌표공간에서 두 점 A   , B    을 지나는 직선과 직


선         이 서로 수직일 때,  의 값은?
[3점][2014(B) /수능 6]
①  ② ③
④  ⑤ 

39. 좌표공간 위의 점 A   에서 두 점 B    


C    을 지나는 직선까지의 거리를 라 할 때,  의 값을
구하여라.
[3점][2013(가) /삼사 26]

단원별/유형별 - 10 - fcmath.tistory.com
2. 도형의 방정식 Ⅳ 공간벡터

03 평면의 방정식 04 직선과 평면의 교점


   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 에 수직이고 점 A   을 지나고 직선          에 수직
   
41. 44.

점     를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을         이라 할 


인 평면을  라 하자. 평면  와 직선          의 교점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3점][2010(가) /수능 20] 을 B 라 할 때, 선분 AB 의 길이는?
[3점][2005(가) /수능(홀) 6]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   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에 수직이고,
  
42.

점        를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을          이라 45. 좌표공간 위의 두 점 A     , B     이 있다. 점 P 가


할 때,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는 상수이다.) 점 B 에서 출발하여  평면 위의 직선    을 따라  축의 양의 방향
[3점][2014(B) 9월/평가원 24] 으로 한없이 움직일 때, 선분 AP 와 평면      이 만나는 점을 Q
라 하자. 점 Q 가 나타내는 자취의 길이는?
[4점][2007(가) 삼사 16]
 
①  ②  ③ 

 
④ 
 ⑤

좌표공간에 점 P    가 있고 평면 위의 원       


43.

위에 두 점 A , B 가 있다. 평면 ABP 의 법선벡터가 


     
일 때, 선분 AB 의 길이는?
[4점][2016(가) 9월/평가원 18] 46. 좌표공간에 여섯 개의 점 A    B    C  
①  ②  
 ③ 
 D      E     F     를 꼭짓점으로 하는 정팔
④   ⑤  면체 ABCDEF 가 있다. 이 정팔면체와 평면       이 만나서
생기는 도형의 넓이를  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여라.
[4점][2014(B) /삼사 28]

단원별/유형별 - 11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2. 도형의 방정식

05 직선과 평면의 활용
중심이 C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
 인 구와 직선
점 O 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공간에 사면체 OABC 가 있다.
50.

47.


삼각형 OAB , OBC , OCA , ABC 는 각각 네 평면      가 만나는 두 점을 A B라 하자.

  ,   ,     ,       
삼각형 CAB 의 넓이를  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위에 있을 때, 사면체 OABC 의 부피는  이다.  의 값을 구하시
[4점][2005(가) /수능(홀) 21]
오.
[4점][2008(가) 10월/교육청 21]

51. 좌표공간에서 평면        위의 세 점 A   ,


B   , C 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의 내부에
점 P    가 있다. 점 P의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Q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R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S라 하자. Q R QS 일
때, 사면체 QPRS 의 부피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4점][2007(가) 수능(홀) 23]

48. 좌표공간에서 세 직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같은 평면 위에 있을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이다.)
[4점][2012예비(B) 5월/평가원 28]

52. 좌표공간에서 집합
           ≤    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 라 하자. 점 A     와 도형  위의 점
P 를 지나는 직선이  평면과 만나는 점을 Q 라 하면 점 Q 가 나타내
49. 좌표공간에 네 점 A   , B   , C   , 
는 도형의 넓이는  이다. 이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D  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면체 ABCD 가 있다. 

모서리 BD 위를 움직이는 점 P에 대하여 



PA  

P C 의 값을 최소로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점][2008(가) /삼사 29]

하는 점 P 의 좌표를   라고 할 때,        이다.    의
 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A      
[4점][2008(가) /수능(홀) 23]




P
O 

Q

단원별/유형별 - 12 - fcmath.tistory.com
2. 도형의 방정식 Ⅳ 공간벡터

06 두 평면의 교선의 방정식 07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


좌표공간에서 평면        과 평면        의 교
53.

08 직선과 평면의 위치 관계
선을  이라 하자. 원점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의 좌표를
 
     라 할 때,      의 값은?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  와 직선  이 점      

54.

[3점][2010(가) 10월/교육청 5]
에서 수직으로 만난다. 직선  이 점        를 지날 때,   
①  ②  ③ 
의 값은?
④  ⑤
[3점][2017(가) 9월/평가원 13]
① ② ③ 
④ ⑤ 

   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과 평면
  
55.

         이 서로 수직으로 만날 때,    의 값은?
(단,    는 상수이다.)
[3점][2017(가) 10월/전북 6]
① ② ③ 
④ ⑤

단원별/유형별 - 13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2. 도형의 방정식

09 두 직선과 평면이 이루는 교각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      와 평면  가 점 두 평면    
     ,    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 할

56.

58.

A    에서 수직으로 만난다. 평면  위의 점 B     와 때, sin 의 값은?


직선  위의 점 C 에 대하여 삼각형 ABC 가 이등변삼각형일 때, 점 C [3점][2016(가) 10월/교육청 11]

에서 원점까지의 거리는  이다.  의 값을 구하시오.   


①  ②  ③ 
  
[4점][2013(B) 9월/평가원 28]
 
④  ⑤ 
 

59. 좌표공간에서 평면         과 평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라 할 때, cos 의 값은?
[3점][2017(가) /수능 12]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 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   이 평면       
 
57.

에 포함된다. 두 상수    에 대하여    의 값은?


[3점][2017(가) 10월/경남 12]
  평면     과 평면          이 이루는 각의 크기
①  ②  ③ 60.

 
가 °일 때, 양의 상수  의 값은?

④  ⑤ [3점][2007(가) 9월/평가원 6]

① 
 ②  ③ 

④ 
 ⑤  

단원별/유형별 - 14 - fcmath.tistory.com
2. 도형의 방정식 Ⅳ 공간벡터

10 직선과 평면이 이루는 각


   
좌표공간에서 두 직선        ,       의
    11 두 평면이 이루는 이면각과 정사영의 넓이
61.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   라 하자. 두 직선    가 이루는 좌표공간에서 평면   tan   위의 도형  를 벡터


63.

예각의 크기를  라 할 때, cos  의 값은? 


         에 평행한 광선으로 비추었더니,  평면에 나타난 도
[3점][2017(가) 10월/전북 11]
형  의 그림자는 중심이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이 되
 
  
  었다. 이 때, 도형  의 넓이는?
①  ②  ③ 
  
[4점][2009(가) 삼사 23]
 
  

④  ⑤   

 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좌표공간에 점 A     과 평면           이 있
64.

다. 평면  위의 점 P 가 AP ≤  을 만족시킬 때, 점 P 가 나타내는


도형의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4점][2016(B) /수능 19]
 
①  ②  ③ 
62. 좌표공간에서 세 점 A     , B    , C    을 지나는  
평면을  라 하자. 그림과 같이 평면  와  평면의 이면각 중에서 예  
④  ⑤ 
 
각인 것을 이등분하면서 선분 AB 를 포함하는 평면을  라 할 때, 평면
 가  축과 만나는 점의  좌표는?
[4점][2010(가) 삼사 20]

C    65. 좌표공간에 있는 원기둥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가) 높이는 이다.


(나) 한 밑면의 중심은 원점이고 다른 밑면은 평면   과
오직 한 점    에서 만난다.

이 원기둥의 한 밑면의 평면   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4점][2012(가) 9월/평가원 14]
O 
B   
A    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단원별/유형별 - 15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2. 도형의 방정식

12 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
70. 좌표공간에서 평행한 두 평면
원점 O 와 평면    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66.

[2점][2017(가) 10월/교육청 2]
에 동시에 접하는 구의 지름의 길이는?
①  ② 
 ③ 

[3점][2002(자) 10월/교육청 22]
④  
⑤  
① ②  ③ 


④  ⑤

67. 좌표공간 위의 네 점 A  , B  , C   ,


D    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사면체 DABC의 꼭짓점 D 에서
삼각형 A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할 때, 선분 DH 의 길이는?
[3점][2012(가) /삼사 12]

  


좌표공간에서 점 A     가 직선     
  
71.

위에 있을 때, 점 A 와 평면             사이의 거리는?
(단, ,  는 상수)
[3점][2005(가) 10월/교육청 8]
①  ②  ③ 
④  ⑤ 

 
①  ② ③ 
 

④  ⑤
 72.   를 구           위의 한 점의 좌표라고 할 때, 두
평면       ,        사이의 최단거리는?
[2점][2002(자) 수능(홀) 7]
 
①  ②  ③ 
 

④  ⑤ 

  
68. 구               위의 점에서 평면
      에 이르는 거리의 최솟값은?
[3점][1997(자) 수능(홀) 20]
 
   
   
 
①  ②  ③ 
  
 
   
 
④  ⑤ 
 

73. 좌표공간에서 정사면체 ABCD 의 한 면 ABC는 평면


       위에 있고, 꼭짓점 D 는 평면        위에 있다.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가   일 때, 정사면체 ABCD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4점][2013(가) /수능 20]
구            위를 움직이는 점 P 가 있다. 점 P 와 평
①   ③  
69.

 ② 
면         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 라 할 때,   의 값
④ ⑤  

을 구하시오.
[3점][2014(B) 10월/교육청 24]

단원별/유형별 - 16 - fcmath.tistory.com
2. 도형의 방정식 Ⅳ 공간벡터

13  
PA  
P B  의 최솟값 14 직선과 평면의 내적 계산
좌표공간에 두 점 A     B     이 있다. 평면
74.

좌표공간의 점 A    에서 평면 


75.      에 내린 수선의
       위에 있는 점 P 에 대하여  
P A  
P B 의 최솟값은?    
발을 B 라 할 때, O A ∙ O B 의 값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4점][2005(가) /수능(홀) 15] [4점][2007(가) /수능(홀) 21]
 
  

①  ②  ③  

 
 
  

④  ⑤ 
 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     과 평면 가 점

76.

P  에서 수직으로 만난다. 직선  위의 점 A    와 평면 


위의 점 Q 에 대하여  AP⋅   일 때,     의 값은? (단,
AQ
  )
[4점][2015(B) /수능 19]
①  ②  ③ 
④  ⑤ 

단원별/유형별 - 17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2. 도형의 방정식

15 
O A∙ 
O P   
O P  의 내적 계산

16 평면과 정사영의 활용
77. 좌표공간에서 중심이 원점이고 직선          와 서로 다 79. 그림과 같이 좌표공간에 있는 정육면체 OABC  DEFG 에서
른 두 점 A , B 에서 만나는 구와 이 구 위를 움직이는 점 P 가 있다. A   , C  , D     이다. 이 정육면체가 평면
두 벡터 
AP, 
AB에 대하여 
AP∙ 
AB   
AB  이 성립할 때, 점 P        에 의하여 잘린 단면의 넓이를  라 할 때,   의 값을
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4점][2011(가) 10월/교육청 18] [4점][2012(가) 10월/교육청 30]
①  ②  ③  


④  
 ⑤ 

 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  와 평면        가
 
78.

만나는 점을 A 라 하자. 점 P 가 
O A∙ 
O P   
O P 을 만족시킬 때,

점 P 와 평면       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4점][2009(가) 10월/교육청 11]

 
 
①   ②   ③  
  
 
④   ⑤  
 
80. 좌표공간에서 평면  
      위에 있는 사각형 ABCD 의
 평면으로의 정사영은 사각형 A′ B′ C′ D′ 이다.



   
   
   
A ′      B′       C′       D ′    
 
일 때, 사각형 ABCD 의 둘레의 길이는?
[4점][2004(가) 9월/평가원 12]
① 
 ② 
  ③ 

④ ⑤

단원별/유형별 - 18 - fcmath.tistory.com
2. 도형의 방정식 Ⅳ 공간벡터

81. 좌표공간에서 평면         


      위의 두 점 A , 83. 그림과 같이 좌표공간에서 한 모서리의 길이가  인 정사면체
B 에서  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각각 C  , D     이다. OPQR의 한 면 PQR가  축과 만난다. 면 PQR의  평면 위로의 정
평면  와   평면의 교선을  이라 하고, 두 점 C, D 에서 교선  에 사영의 넓이를  라 할 때,  의 최솟값은  이다.    의 값을 구하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F 라 하자. 이때, 사각형 AEFB 의 넓이를 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구하시오. [4점][2014(B) 10월/교육청 30]
[4점][2010(가) 10월/교육청 24]

82. 좌표공간에 평면    위의 원         을 밑면으로 하고


꼭짓점이 원점인 원뿔이 있다. 원  와 한 점 P    에서만 만나는
평면  가 이 원뿔과 만나서 생길 수 있는 도형 중 한 타원을  라 하

자. 타원  의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장축의 길이가  인 타원이다.

평면  와  축이 만나서 생기는 좌표가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84. 좌표공간에서 삼각형 ABC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4점][2017(가) 10월/교육청 29]
(가)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이다.
(나) 삼각형 ABC의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 이
다.

삼각형 ABC의 평면       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의 최댓값


은?
[4점][2012(가) /수능 21]
①  
 ②  
 ③  


④     
⑤    

단원별/유형별 - 19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2. 도형의 방정식

89. 좌표공간에서 구               이  평


면과 접하는 점을 A 라 하고, 구 위를 움직이는 점을 P 라 하자. 이때,
01 구와 평면이 접하는 경우

O A∙ 
O P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좌표공간에서 평면         이 구
[4점][2008(가) /삼사 28]
85.

            에 접하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3점][2017(가) /수능 24]

90. 좌표공간에서 구             와  평면이


만나서 생기는 원 위의 한 점을 P라 하자. 점 P 에서 이 구와 접하고
점 A     를 지나는 평면을  라 할 때, 원점과 평면  사이의
거리는?
[4점][2016(B) /삼사 19]
 
①  ② ③ 
86. 좌표평면에서 중심이    이고 평면       에 접하  
는 구의 반지름을 구하시오. 
④  ⑤
[3점][1999(자) /수능(홀) 25] 

91. 좌표공간에 두개의 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면  와 구                     이 점

 
가 있다. 점 P      을 포함하고   과   에 동시에 접하는 평
 
면을 라 하자. 점 Q    
87.

   가 평면  위의 점일 때, 의
A       에서 접할 때, 평면  에 평행하고 구  와 접하는 평면
값을 구하시오.
의 방정식은?
[4점][2015(B) 9월/평가원 29]
[3점][2005(가) 9월/평가원 12]
①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  ④    
⑤     

88. 좌표공간에서 중심이 C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


 인 구가
두 평면 ,  와 접하는 점을 각각 P , Q 라 하자. 두 평면 ,  의 교
선의 방정식이       일 때, 삼각형 CPQ 의 넓이는  이다.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13(B) 10월/교육청 29]

단원별/유형별 - 20 - fcmath.tistory.com
2. 도형의 방정식 Ⅳ 공간벡터

02 구와 평면이 교선(원)으로 만나는 경우


좌표공간에서 두 점 A    , B     과 움직이는 점 P
96.


92. 좌표공간에서 직선        과 평면          의
 에 대하여 
OA 
 ,   , 
OB  
OP  라 할 때, 다음 조건을 모두 만
교점을  라 하자. 중심이 점    이고 점 A 를 지나는 구가 족시키는 점 P 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단, O 는 원점이다.)
평면 와 만나서 생기는 도형의 넓이는 이다.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10(가) /삼사 17]

[3점][2011(가) /수능 21]


(가)  
  
 ⋅  
     

(나)   
 
 ⋅   
     

①  
  ②  
  ③ 

④    
⑤   

93. 좌표공간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구가 세


점 A        , B        , C        를 지나는 평면에 의하여
잘린 도형의 넓이는  이다. 이때,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06(가) 10월/교육청 21]

97. 좌표공간에서 중심이 C 인 구              와


평면       이 만나서 생기는 도형을  라 하자.
좌표공간에서 두 개의 구
도형  위의 두 점 P, Q 에 대하여 두 벡터  CP, 
CQ의 내적
9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P∙ 
CQ의 최솟값은?
가 만나서 생기는 원을 포함하는 평면을  라 하자.
[4점][2008(가) /수능(홀) 9]
평면  와  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 의 값은? ①  ②  ③ 

 
단,  ≤  ≤ 
  ④ ⑤

[2점][1996(자) 수능(홀) 26]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98. 구           와 평면    이 만나서 생기는 원을  라


좌표공간에 구                  와 구 밖의 한
하자.  축을 포함하는 평면  와 구           가 만나서 생기
95.

점 A    가 있다. 점 A 에서 이 구에 그은 접선들의 접점으로 이 는 원이  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날 때, 평면 의 한 법선벡터를


루어진 도형을 포함하는 평면과  평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라 
     라 하자.    의 값을 구하시오.
할 때, cos  의 값은?
[4점][2006(가) /수능(홀) 24]
[3점][2008(가) 10월/교육청 6]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단원별/유형별 - 21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2. 도형의 방정식

99. 좌표공간에서 구           와 평면     
 102. 좌표공간에서 구               와
가 만나서 생기는 원을  라 하자. 평면          이 만나서 생기는 원을  라 하자.
원  위의 점 A    에 대하여 원  의 지름의 양 끝점 P Q를 구  위의 점 A     
    과 원  위를 움직이는 점 B 에 대하

AP 
AQ 가 되도록 잡고, 점 P 를 지나고 평면  에 수직인 직선이 구 여 두 벡터 O A , O B 의 내적 
    O A∙ 
O B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곱을
 와 만나는 또 다른 점을 R라 하자. 삼각형 ARQ 의 넓이를  라 할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 [4점][2015(B) 10월/교육청 30]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09(가) /수능 25]

103. 좌표공간의 두 점 A   


  
 , B   
   
 에 대
하여 점 P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AP  

(나) 
AP와 
AB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 이다.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구 위의 점 Q 에 대하여



AP⋅ 
AQ의 최댓값이    
 이다.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유리수이다.)
[4점][2016(B) /수능 29]

100. 좌표공간에서 구           이 두 평면
        
       
   
와 만나서 생기는 원을 각각  ,  라 하자.
원  위의 점 P 와 원  위의 점 Q 에 대하여 
PQ  의 최솟값을 구
하시오.
[4점][2009(가) 9월/평가원 23]

101. 좌표공간에서  평면과 만나지 않는 구


             
가 있다. 이 구가  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원을  ,  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원을  라 하자. 원  과 그 내부로 이루어진 도형에서  ≥ 
좌표공간에 구         이 평면       과 만나서
인 부분과 원  와 그 내부로 이루어진 도형에서  ≥ 인 부분의 넓이
104.

생기는 원  가 있다. 원  위의 점 중 좌표가 최소인 점을 P 라 하


의 합이   일 때,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자
고, 점 P 에서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라 하자. 원  위를 움직
연수이다.)
이는 점 X 에 대하여  
P X 
Q X 의 최댓값은    

[4점][2017(가) 8월/영남권 28]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와 는 유리수이다.)
[4점][2018학년(가) 수능 29]

단원별/유형별 - 22 - fcmath.tistory.com
2. 도형의 방정식 Ⅳ 공간벡터

03 평면 위로의 정사영
  
구          과 평면           이 만나서
108.

  
  
구          위의 점      에서 구에 접하는 평면
  
105.

생긴 도형의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 
 
을 , 점     에서 구에 접하는 평면을 라 한다. 평면  위에
 
[4점][2003(자) 삼사 21] 있는, 넓이가 인 삼각형을 평면  위로 정사영시켜 얻은 도형의 넓
   이를 구하시오.
①  ②  ③ 
  
[3점][1998(자) /수능(홀) 27]
   
④  ⑤ 
 

106. 좌표공간에서 구                과 평면
        이 만나서 생기는 원의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4점][2016(가) 8월/영남권 19]
  
①  ②  ③ 
  
  109. 좌표공간에 평면 위의 원          과 구
④  ⑤ 
    
        이 있다. 구  위를 움직이는 점 P   에서
구  에 접하는 평면을 라 할 때, 원 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
넓이가  가 되도록 하는 점 P 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이다.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4점][2016(가) 10월/경남 29]

107. 좌표공간에서 구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구  는 세 점      ,       ,       를
지난다.
(나) 구  의 중심은 삼각형  의 외접원의 중심이다.

구  와 평면    가 만나서 생기는 도형의 평면  위로의 정사


 
영의 넓이는 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 는 서로

소인 자연수이다.)
[4점][2017(가) 10월/전북 29]

단원별/유형별 - 23 - fcmath.tistory.com
기하와벡터 2. 도형의 방정식

110. 좌표공간에서 구          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 Q가 111. 좌표공간에서 원점 O 를 지나는 평면 가 있다. 평면  위의 점


있다. 두 점 P  Q 에서 평면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  Q  이 A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를  , 밑면이 평면  위에

라 하고, 평면    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  Q  라 하 있는 원뿔을  라 할 때, 구  와 원뿔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자.  
P Q   
P  Q    
P  Q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  
(가) 원뿔  의 밑면은 중심이 B   이고 반지름의 길이
[4점][2014(B) /수능 29] 가 이다.
(나) 원점 O 를 지나는 두 직선이 원뿔  의 밑면과 두 점 P ,
Q 에서 각각 접한다.
(다) 원뿔  는 구  의 외부에 있고 원뿔  와 구  는 한 점
P 에서 만난다.

직선 OQ 에 수직이고 점 A 를 지나는 평면을 라 할 때, 직선 BP 를


포함하고 평면 에 수직인 평면에 의해 잘린 원뿔  의 단면의 평면 
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가  이다. 원뿔  의 높이는? (단, 원뿔  의

꼭짓점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점 B와 일치한다.)
[4점][2017(가) 8월/영남권 20]
① ② ③ 
④ ⑤

단원별/유형별 - 24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1  2  3  4 5
6  7  8 9 10
11  12  13 14 15  Ⅳ 공간벡터
16 17  18  19 20 
21 22 23 24  25 
26 27 28  29 30  1. 공간벡터
31  32  33 34 35
36 37 38 39  40 1. 공간벡터
41  42 43 44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54 55 O OAA
56  57 58 59 60 
AO 
61 62 63 64 65

A B  P 
PA 
PB 
PP
66 67 68 69  70   

71 72 73 74 75 
∴  
PA  
PB 
76 77 78 79  80  
81  82  83  84 85  

86  87 88  89  90
 
P P
 
 

91  92  93 94 95  

96 97 98  99  100    
OP 
 
OP 
  ∵ 
OP 
 

101  102  103  104  105   


OP 
106 107  108  109  110 
  OA 

111 




AB    
AD 
A    B   


 
C    
  
   D   

∴ 
AB    
D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 P M

O P 
O Q   
O P  
O O  
O Q 
  
O P  O O   
 O Q
  

 
O M  
O Q 
≤  O M    
 
 O Q  

OM 
O Q
∆O O P
    
O P  
O O    
O M  
PM 

     
O M   

O M 
 O M   
  
O Q  

O P 
O Q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C
G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② AB
     ⋯⋯ ③ C C′ ∆OAB G
① ② ③        G ∆OAB
 
∴    OC′  OC
 ∴OG   
OC′  
OG  
OC


OA   OB  
OA  
OB

OG   ⋅    ∵G
  
  
∴OC′   OA   OB  
OC   
OA   
OB  
OC
 
  
∴             
B   D    C        
A       E      
  
BA       DE        

    
 BA  DE       
O      A     B     C     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   
 



 
   

PB 
PC 
PD  
PA 
       


PB  PC  PD ∴     ⇒       
⋅    PA  
 
  
PG PA 
    

  
PG PA 

 ∴      


PG  × 
AG

      
AP AO
AB   
AO  AP   B OP  
  

 AA′ OA OA′  
X X′ B XX′

  ×    ×   

OAA′

AA′ 
  
 
AG  
     
     sin 

sin 

 
PG  × AG   
AA′   
 
XX′   
AA′  



ABC G G        
   OA  OP OM
PB PC
 PA
   
  PG 


  

 
OM                      
 
 PG  G    
P P    
PG     

 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  C  C′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②


   

단원별/유형별 - 2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

     
 ≤  ⇔     ≤ 
     OAB ABC
  
AB  AB
⇔    ≤  ≤    
 M
≤  
        
     
     
 
OM 
CM

OAB ABC 

∴       
∴      ×    
 OMC


     
OA 
OP  
 
    
OA 

OB     



OA   

 
OP   

 
OA⋅ OP

∠COH   ∠GOH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cos 


  
    cos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OA 

OB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cos  cos   sin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sin   

∴ tan   

AP    Q   
     ∴ sin     cos   
OA  OP OQ   

  
CH 
GH
        
 • • CH  OC sin    ⋅    
•    
    

GH 

 
OG sin      ⋅    
   



    
GH  CH

 
 

OH    
 
   
O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P    
OA  

 
OQ  
OP O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 M OAB CAB

OM 
CM

OM⊥ 
AB 
CM⊥ 
AB

 
∠OMC OAB CAB 

OCM

  
PQ   PA       
 
 
 OQ        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OA  O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C   OG  

   

OA 

OP   
          
  OM 



OM  



 
  ∠COM     
OG∙ OC  ⋅⋅cos    
                 

H 
CG
             
        
P     Q      OH OG OC  
 
OH⊥ 
CG   
OH∙ CG 
PQ
  
OH∙ CG   
OH∙  
OG OC
OQ   
         
 
         
OG OC∙    
OG OC
          
 
   OG      OG∙ OC     
      O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 OAB

단원별/유형별 - 3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      
⋅ 
 cos  
OG  OA OB
 
    ∴ cos  
OH  OG  OC 
 
    
  OA OB O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2. 공간벡터의 내적  







HF  
DB

∠DBF  °
∠BDF   

DF⋅ 
HF  
DB 
DF cos  
        
 

DB  

DB  cos  

DF   ∴  
 
   
 
    DB     
 
      
  
 


 


∠OHC   O ABC G 
  

G ABC 
HG  
OH cos    
  

  
    
OH⋅

OP    
OH⋅   
OH HP  





 
 

 
OH    
HP  
OH    
HP 
 


 OH⋅ HO⋅


 
 
OH   
HO
HP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cos cos  sin  sin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OA  OB 
 OC  
OM      
 
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M∙ 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AP∙ OQ ≥  
AP 
OQ ∠OQP
∘ ∘
  ≤ ∠OQP ≤ 
∴ 
cos   
 AP M MP Q

단원별/유형별 - 4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Q MP 
      
Q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CD  EFGH H O
HE HG HD   
P Q R P      Q      R    

RP  
OP  
OR                   

RQ  OQ  
OR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H HE HG HD   

A   D    E   F    G   


  P Q R S T P   
선분     

′   Q    R   S    T  
   
  × cos              
TP QS
  
       
    
TP⋅ QS      ⋅    
ta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사영 내린 길이   ≤≤ 

O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5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              C
∴    ∵    cos  cos∠  cos∠  ∠
 cos・∠CPO   ∠CPO   
 
cos・∠   cos    
 

  
PA P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A
A B
PB
C

PC  
               
  
PA PB  
PC 
PC  
P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B 
CO 
CO      C

⊥ 
   ⊥      
PA PB 

 ∙    ∙ 
   
PM  PN 
   
 ∙     ×    ×       ×  ∠MP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 ABCD H 
BH 

OH 
   
   

Q BCD
   
OP∙ OQ  
O O′ 
PQ Q DB DC

DB Q
F  
A G 
DA   
DB   
DC   DP   
 H 

DQ       
B C E
       ∙
   ∙
    ∙   
  
OP∙ OQ   
DP  
DO ∙  
DQ  
DO
B F
  
 
    
B     
 
  F     
OB     
   
   
∙   
   
 

O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B  
O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Q

PQ  
OQ  OP

PCO  PCO
              
   
 
   
∠PCO   ∠PCO     

A B 

   
PA PB             ∙     

PA PB        
     ∙

    
  
PA PB     
PA PB   ∙
PA PB     
PA PBcos    cos   
  
PA PB     cos   
  ×    ×    × 
cos A B C   
 
cos  cos  
  
PA PB 
 × 
  
  

cos A B CO  CO    
 

단원별/유형별 - 6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        


BA⋅ 
BP 
BA⋅ 
BC   
CP BA⋅BC 
BA⋅ CP
 
  
 ⋅⋅    BA⋅     
CP BA⋅ 
CP
⋅⋅
P PM P Pm

CP  
CP  
BA
A   B   C   M m
D E D    E   
BA⋅ 
CP M  
BA⋅ 
CP m  
P DE    
BA ⋅ BP     
  
OP OD DE          
          ≤≤
  
AP OP OA          

OP⋅ A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도형의 방정식

      
  
      1.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
OP ⋅ AP   
 




AB 
A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P 
AQ
  
OP∙ AQ 
AB     
O A B P Q
                   
  
OP∙ AQ 
OP AQ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AO   ∠QAB    AQ


 
cos  cos       sin   AQ 

AQsin   
 
AB           
 
BQ 

AQ 

   
sin   cos  
 
    A   AB
  
  
  
 R AB  
R   
AR  
        
AO  
OR  

Q    X P
  
sin   cos   X   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Q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P∙ AQ 
OP
AQcos 
   
 
OP
AQ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7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 

A
B    C     
B
ㄹ      
  
ㅁ         
   
 
R ㄱ ㄴ ㄷ m
    
P    
S      
  
 P          
T C  
AP 
Q  
A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    T    S 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ㄱ
B    C   
   
    
  
A    H H
  H
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H⊥ AH∙
    
AH   OH O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   
      
    
AH  
OH       
OA
   
    ∴ A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C  


       
ABC        

  
   
 CA C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8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cos     
    


A        ······ 


O

PA 
OA OP           

PA        

   A   B   C  
OABC
      
   
A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B A B       

AB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AB 
              





P   
  
A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B
Q  B 
 →∞ 


Q  
 
p     

  

Q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B   

           
    
 C    D     
 
   
 
 E    F     
    
ADFBCE      
C D E F  C′ D′ E′ F′  
AD′F′BC′E′    
     
  
        




C       

H    

단원별/유형별 - 9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    
  
    ⊥
  
C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  
∴ CH         
∴ AH 
       
   

CAB  
          
       
   AB⋅ C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QRS


  

   × ∆PRS × PQ   ×  ×  ×  × 
  

QR  Q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B    
        
∴ B    ∴  AB  AC   
 
  
OA   
AC       
 P         ≤   ≤  ≤ 

A P  
            는 실수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  AC AB∙ A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
∴ 
 
∴      ∴ B   
 


AB  A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         
   
H                 

OH⋅  
                      
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0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sin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tan          
 
 
    
    tan   tan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tan   tan
     
 
  
× 



     
     S  
    

⋅ 
  
  
 cos   A 
S′
S′  Scos  Acos′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S⋅   ⋅ 
 
    
∴S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P≤ 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1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A P C  

 P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A  AB 
OB 
     
    OAB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H 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   
        
D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2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D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P AB 
ABC    G    
D ABC ABC AP∙ AB   AP  
 AB cos   
AB


AP cos  
AB
G    P B AB
 
DG⊥평면 ABC  
DG   
AB
∴ D          
O      
D   
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     
D ABC H   OH  


              
DG 
 
        


    
DG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OA∙ OP    
OP∙ OP 
OP ∙  
AP
P O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   
    
   
AB    
  
OB OA 
AB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OB    
 

                 

OA ⋅ 
OB      
 
  ⋅ ⋅ cos    cos   

HIJKL OAJKC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3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A 
OA 
PQR   
OG 
OA

   
OP  
 PG  ×   
  

  

   
OG  
  
OP  
PG      
 
OAG 
OA≤ 
OP 
  
A B Aʹ Bʹ AB  
AʹBʹ OG
cos   ≥ 

  
CD CʹDʹ 
AʹDʹ 
ADcos OA
 BC
BʹCʹ  cos 
PQR 
  
 CD  
AB    AD    
BC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OA  A P Q R


      

A  
  B   
 
AC    BD   
            
CE   
DF   
EF   ∆ABC 
           

     


AE   
BF   □AEFB   ×    ×   
  
∴        ± 
 
∆ABC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R    O OP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OR  Q
∴   cos   ≤    
P Q  P′ Q′ 
 P′Q′
 
P′Q′  

Q PP′ RR′ H H′
  
 
RH′  
PH  QHtan   Q′P′ tan    tan 

    
QH′  P′R′  P′Q′      
 
RR′O RH′Q

RR′ 
RH′
 

OR′ 
QH′

   tan 
RR′ RH′  tan  
      tan            

OR′ 
QH′   
  
cos     
     ⋅ 

tan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cos  cos   sin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

OG
PQR
PQR
PQR
PQR 
G  
∴ cos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4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  C H
∴  cos 
 


⋅       

H     
CH
    
    


  
CH⋅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평면과 구의 방정식    
 
CH       
  
CH           


 
CQH cos∠QC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QCH  

                    
∠PCH  ∠QCH   ∠QCP   CPQ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A∙ OP 
OA P  P′
 O 
OP′
⋅   ≤ 
OA∙  
OP ≤ ⋅  
∴  ≤   
OA∙ OP ≤    
OA∙ O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    

PA    

        

 
P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A           P           

           
AP⊥ C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5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 ②
① 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P
    
O  H
H    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Q    
   

    



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          
→    평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cos
 cos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6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 ∴AP  AQ      


    
    
RP   OM  
cos    
⋅⋅  RP⊥ 
RP ⊥  AP

 ∙  
∴ AR   RP  AP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AQ  AR  QR  
∠QAR  ∘
  
∴   ∆AQR   AP⋅ A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P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OQ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OP 
OQ
O   

    
  


  
 
cos     


 
PQ   
PQ    
OP          
 
OQ OQ OP· OQ OP
C M

OM 
P Q C
P Q C M
C MQ 
     


AP 
AQ 
AQ 
 
O 
RQ
∠QAR  
                
AQ   
AR   
RQ  A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QR PQ A B 
AB  

PQR
O
∠QPR  ∘
QR

OM O
  
  

  
OM    
      

QM   OQ  OM  
    
    
 C     C H

∆APQ 
AH 
BH 
CH 

PM 
QM  AM  

단원별/유형별 - 17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      
ACB ∠AC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A OP″ 


       
  


cos     cos cos   sin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A 
OP″∙  OP″OAcos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OA∙ OB    
OA∙ OO′ 
O′B   
   
 
  
OA∙ OO′   
OA∙ O′B
     O′
      O′  
OP′∙  OA≤   OP″∙ 
OA
O ′     
OA∙ 
OO′    
  
  
   
   OA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A  O′B   OA 
O′B 
 ≤  ≤ 
cos    ≤ cos  ≤ cos 
  
cos     OA   O′B  
 
       
OA∙ O′B  OAO′B cos          O     C
   ≤   
OA∙ O′B ≤  O        C
           

OA∙ OB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P P′       
      
  
AP∙ AQ 
OP′∙ 
AQ 
C   
 OP′ ∙ 
    
OQ OA
O        
OP′∙   
OQ OP′∙ 
OA
 
Q P′      

OP′∙   
OQ OP′∙ 
OA≤ 
OP′∙ 
OP′ 
OP′∙ 
OA     

 
OP′∙ 
OA ······

 
    

 

AB 
OB 
OA          
C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P     Q    
B′ AB OB′

PX 
QX  
XP  XQ PQ M
 
AP 
AB    
XP XQ 
XM

P′ O A B′ P″

OP′∙ 
OA

  
OA OB′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8 - fcmath.tistory.com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     H                        
  

M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C  
 
MC   
M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X 
HX 

 
 

HC      


 
 
   
   
  
 
MX     

     
MH    
H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XP XQ  

X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19 - fcmath.tistory.com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B  
           BQ 
  
∠BQO   OQ 

∠BOQ  ′ BOP BOQ
∠BOP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A OQ H BP

∙       
cos     
   
    ∠BAH

PQ 
P Q  
PQ BAHQ ∠ABQ  ∠BAH   ⋯⋯
 
BPOQ ∠PBQ  ∠POQ   ⋯⋯
 
P Q      ∠ABQ  ∠PBQ ∠BAH  ∠POQ

∠BAH     ′  ′

   
 cos  cos′  ′   cos′  sin ′  

 
PQ   P Q   
P Q   
PQ  
P Q    
PQ  
P Q  
      
  
 PQ sin   sin 

⋯⋯  

   
PQ    cos  cos

    ×   


PQ cos  cos   
 cos   ×     
  
 ∴ 
  


cos  cos  cos  cos   
  

 
  cos   sin  sin   
 

  
PQ  cos  cos   


  



 


PQ cos      

  
PQ ⋅cos   



 
 
PQ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원별/유형별 - 20 - fcmath.tistory.com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