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0

4 수학 영역 고1

11.
어느 학생이 집에서 출발하여 갈 때는 시속  km 로, 집으로 12.이차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서로 다른 네 점 A ,
돌아올 때는 같은 경로를 시속  km 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동한 B , C , D  에 대하여 
AB
CD 일 때,   의
전체 시간이  시간 이하가 되도록 할 때, 이 학생이 집에서 값은? [3점]
출발하여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이동한 거리의 최댓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 
①  km ②  km ③  km
  
 
④  km ⑤  km
 

4 12
고1 수학 영역 5
13. 두 자연수 ,  에 대하여 다항식      가 14.
수직선 위의 두 점 P , Q 가 원점에 있다. 동전을 한 번 던질
     로 인수분해되도록 하는 실수  의 최솟값은? 때마다 두 점 P , Q 가 다음 규칙에 따라 이동한다.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가) 동전의 앞면이 나오면 점 P 가 양의 방향으로  만큼
이동한다.
(나) 동전의 뒷면이 나오면 점 Q 가 음의 방향으로  만큼
이동한다.

동전을  번 던진 후 두 점 P , Q 사이의 거리가  일 때,


동전의 앞면이 나온 횟수는?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5 12
6 수학 영역 고1

15.그림과 같이  AB  (     ), 


BC  인 직사각형 ABCD 가 16.
그림과 같이 마름모 ABCD 와 이 마름모의 외부의 한 점 E 에
있다. 점 B 를 중심으로 하고 점 A 를 지나는 원이 선분 BC 와 대하여 ∠ADE  ° 이고 직선 CD 가 선분 BE 를 수직이등분할
만나는 점을 P , 점 C 를 중심으로 하고 점 P 를 지나는 원이 때, 각 CEB 의 크기는? (단, °  ∠ADC  °) [4점]
선분 CD 와 만나는 점을 Q 라 하자. 사각형 APQD 의 넓이가

 일 때,  의 값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6 12
고1 수학 영역 7
17.두 이차함수        ,       의 18.  
[그림1]과 같이 AB AC 
 , ∠CAB  ° 인 삼각형
그래프의 꼭짓점을 각각 A , B 라 하자. 이차함수    의 ABC 의 무게중심 D 에 대하여 DE DF 
,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점 C 에 대하여 사각형 OACB 의 넓이가  
∠FDE  ° 이고 BC EF 인 삼각형 DEF 가 있다.
 일 때, 양수  의 값은? (단, O 는 원점이다.) [4점]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그림1]
[그림2]와 같이 두 삼각형 ABC 와 DEF 로 만들어지는
모양 도형의 둘레의 길이는? (단, 점 A 는 삼각형 DEF 의
외부에 있다.) [4점]

[그림2]

  
   
   

①  ②  ③ 
  
  
   

④  ⑤ 
 

7 12
8 수학 영역 고1

19.그림과 같이 반비례 관계    (   )의 그래프가 두

20.그림과 같이 중심이 O 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 인 부채꼴
OAB 가 있다. ∠AOC  ∠DOB  ° 인 호 AB 위의 두 점 C,
정비례 관계   ,    의 그래프와 제  사분면에서 만나는
D 에 대하여 선분 OC 와 선분 AD 가 만나는 점을 E 라 하자.
점을 각각 P , Q 라 하자. 점 P 를 지나고  축과 평행한 직선이
선분 OD 의 수직이등분선과 선분 OB 가 만나는 점 F 에 대하여
정비례 관계    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 R 에 대하여 삼각형
 
 BF  일 때, 삼각형 ODE 의 넓이는? [4점]
PRQ 의 넓이가  이다. 점 Q 의  좌표가 점 P 의  좌표의 

 배일 때, 실수  의 값은? (단,      ) [4점]

  
      

①  ②  ③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 
 ⑤ 

8 12
고1 수학 영역 9
21.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 의 내심 I 를 지나고 선분 BC 에
단답형
평행한 직선이 두 선분 AB, AC 와 만나는 점을 각각 D, E 라
하자. AI  이고, 삼각형 ABC 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2.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이    일 때, 상수  의
 이다. 삼각형 ABC 의 넓이가   일 때, <보기>에서 옳은
값을 구하시오. [3점]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 보 기 >
ㄱ. ∠BID  ∠IBD
ㄴ. 삼각형 ADE의 둘레의 길이는 
 이다.
ㄷ. 
DE 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3. 연립일차방정식  의 해가   ,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9 12
10 수학 영역 고1

24.그림과 같이 ∠B  °, ∠C  ° 인 삼각형 ABC 가 있다. 점 26. 세 실수 , ,  에 대하여 다음 자료의 중앙값이  ,
C 를 지나고 직선 AB 에 평행한 직선 위의 점 D 와 선분 AB 평균이  , 최빈값이  일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위의 점 E 에 대하여 ∠CDE  ° 이다. 선분 DE 와 선분 AC 의
교점을 F 라 할 때, ∠EFC  ° 이다.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단, ∠BCD  ° 이고, 점 E 는 점 A 가 아니다.) [3점]

25. 한 개의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나오는 눈의 수를 차례로


,  라 할 때,   가  의 약수가 되도록 하는 모든 순서쌍
  의 개수를 구하시오. [3점]

10 12
고1 수학 영역 11
27.
가로의 길이가  cm , 세로의 길이가  cm인 직사각형 28.    인 두 소수 ,  에 대하여    ≤  을 만족시키는
ABCD 모양의 종이가 있다. [그림1]과 같이  CE  cm 인 선분 자연수  의 개수가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 cm 인 선분 CD 위의 점 F 에 대하여
BC 위의 점 E 와 CF
두 선분 CE, CF 를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잘라내고 남은 모양의 종이를 만들었다.

[그림1]
[그림2]와 같이 모양의 종이의 내부에 한 변의 길이가
자연수이고 모두 합동인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서로 겹치지
않고 빈틈없이 붙이려고 할 때, 붙일 수 있는 종이의 개수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4점]

[그림2]

11 12
12 수학 영역 고1

29.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 의 선분 AC 위의 점 D 와 직선 BD 30.  
그림과 같이 AB BC  인 삼각형 ABC 에 외접하는 원  가
위의 점 E 에 대하여 DE DA  
DB      이다. 점 D 를 있다. 점 B 를 지나고 직선 AC 에 수직인 직선이 원  와
지나고 직선 BC 와 평행한 직선이 두 선분 AB, EC 와 만나는 만나는 점 중 B 가 아닌 점을 D, 선분 AC 와 선분 BD 가 만나는
점을 각각 F , G 라 할 때, 
FD , 
DG  이고 삼각형 AFD 의 점을 E 라 하자. 원  위의 점 C 에서의 접선과 점 D 에서의
접선이 만나는 점을 F 라 할 때, FD  이다.

넓이가 이다. 삼각형 EDG 의 넓이가  일 때,    의 값을
   
AE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구하시오. (단, 점 E 는 삼각형 ABC 의 외부에 있고,  와  는 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점] 정수이다.) [4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
했는지 확인하시오.

12 12
4 수학영역
━━━━━━━━━━━━━━━━━━━━━━━━━━━━━━━━━━━━━━━━━━━━━━━━━━━━━━━━━━━━━━━
고1

11.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이차다항식   가 다음 조건을 12.  에 대한 삼차방정식             의
만족시킬 때,   의 값은? [3점] 서로 다른 두 허근을  ,  라 하자.      일 때,  의 값은?
(단,  는 실수이다.) [3점]
(가)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나)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4 12
고1 수학영역
━━━━━━━━━━━━━━━━━━━━━━━━━━━━━━━━━━━━━━━━━━━━━━━━━━━━━━━━━━━━━━━
5
13.  에 대한 다항식         를 14. 분자 사이에 인력이나 반발력이 작용하지 않고 분자의
 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  이고 나머지는  이다. 크기를 무시할 수 있는 가상의 기체를 이상 기체라 한다.
   의 값은? (단,  는 상수이다.) [3점] 강철 용기에 들어 있는 이상 기체의 부피를  L ,
①  ②  ③  ④  ⑤  몰수를 mol , 절대 온도를  K , 압력을  atm 이라 할 때,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  (단,  는 기체 상수이다.)

 

강철 용기  와 강철 용기  에 부피가 각각  ,  인
이상 기체가 들어 있다. 강철 용기  에 담긴 이상 기체의

몰수는 강철 용기  에 담긴 이상 기체의 몰수의  배이고,

강철 용기  에 담긴 이상 기체의 압력은 강철 용기  에 담긴

이상 기체의 압력의  배이다.

강철 용기  와 강철 용기  에 담긴 이상 기체의 절대 온도가

같을 때,  의 값은? [4점]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5 12
6 수학영역
━━━━━━━━━━━━━━━━━━━━━━━━━━━━━━━━━━━━━━━━━━━━━━━━━━━━━━━━━━━━━━━
고1

15. 그림과 같이 직선    (     )이 16.  에 대한 삼차방정식           이


두 이차함수      ,         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세 실근  ,  ,  를 가질 때,  의 값은?
만나는 점을 각각 P , Q 라 하자. 두 점 A  , B  에 (단,  는 상수이다.) [4점]
대하여 사각형 PAQB 의 넓이의 최솟값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

B
A
O 
Q

    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6 12
고1 수학영역
━━━━━━━━━━━━━━━━━━━━━━━━━━━━━━━━━━━━━━━━━━━━━━━━━━━━━━━━━━━━━━━
7
17.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와 18. 다음은 자연수  에 대하여  에 대한 사차방정식
직선      이 만나는 두 점 A , B 의  좌표를 각각  ,  라
        
하자. 점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
B H
점 A 에서 선분 BH 에 내린 수선의 발을 C 라 하자. 이 서로 다른 네 개의 정수해를 갖도록 하는  이하의
모든 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  일 때,      의 값은? (단,    ) [4점]
BC 

         이라 하자.
            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    은
          이고

B 
  ± 가
근의 공식에 의해    이다.

   
그러므로    

 
  또는    



  에서

  
      또는        또는      
  
A C   

또는        이다.



방정식    이 정수해를 갖기 위해서는   이 자연수가


되어야 한다.
H 따라서 자연수  에 대하여 방정식    이 서로 다른
 O  
네 개의 정수해를 갖도록 하는  이하의 모든  의 값은
나 , 다 이다.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위의 가 에 알맞은 식을  이라 하고, 나 , 다 에 알맞은
수를 각각  ,  라 할 때,    의 값은? (단,   )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7 12
8 수학영역
━━━━━━━━━━━━━━━━━━━━━━━━━━━━━━━━━━━━━━━━━━━━━━━━━━━━━━━━━━━━━━━
고1

19. 그림과 같이 선분 AB 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 ABC 가 20. 실수  에 대하여 이차함수     이 다음 조건을
있다. 점 C 에서 선분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할 때, 만족시킨다.
   이고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이다.
CH 
 (가)  ≤  ≤  에서 함수  의 최솟값은  이다.
(나)  ≤  ≤  에서 함수  의 최댓값과
C
 ≤  ≤  에서 함수  의 최솟값은 같다.

  의 최댓값을  , 최솟값을  이라 할 때,    의 값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A B
H

   라 할 때,        의 값은? (단,    ) [4점]


BH

①   
 ②   
 ③   

④   
 ⑤   

8 12
고1 수학영역
━━━━━━━━━━━━━━━━━━━━━━━━━━━━━━━━━━━━━━━━━━━━━━━━━━━━━━━━━━━━━━━
9
21.  이 아닌 양수  에 대하여 직선    와 이차함수    의 단답형
그래프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 라 하고,
A B
직선    와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22. 다항식      의 전개식에서  의 계수를 구하시오.
두 점을 각각 C , D 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3점]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점 A 의  좌표는 점 B 의  좌표보다
작고, 점 C 의  좌표는 점 D 의  좌표보다 작다.) [4점]

<보 기>
   이다.
ㄱ.    일 때, CD
  
ㄴ.  의 값에 관계없이 CD

AB 의 값은 일정하다.

ㄷ. 
CD    이다.
AB  일 때,  BC 
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        

O 
23.  에 대한 부등식      ≤  의 해가  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상수이다.) [3점]

9 12
10 수학영역
━━━━━━━━━━━━━━━━━━━━━━━━━━━━━━━━━━━━━━━━━━━━━━━━━━━━━━━━━━━━━━━
고1

24. 다항식    를  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26. 다음은 삼차다항식          을
   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상수이다.)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3점] 구하는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    

   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시오.


(단,  ,  ,  는 상수이다.) [4점]

25. 이차방정식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허근을


 
 
 
 ,  라 할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는 각각  ,  의 켤레복소수이다.) [3점]

10 12
고1 수학영역
━━━━━━━━━━━━━━━━━━━━━━━━━━━━━━━━━━━━━━━━━━━━━━━━━━━━━━━━━━━━━━━
11
27. 자연수  에 대하여  에 대한 연립부등식 
28.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  
 
     ≤ 
직선    (    )과 한 점 A 에서만 만난다.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점을 B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개수가  가 되도록 하는 모든  의 
값의 합을 구하시오. [4점] 점 A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고, 선분 OA 와
선분 BH 가 만나는 점을 C 라 하자.
삼각형 BOC 의 넓이를   , 삼각형 ACH 의 넓이를   라 할 때,

     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고,

 와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점]



      
B 

  

A


C

O H 

11 12
12 수학영역
━━━━━━━━━━━━━━━━━━━━━━━━━━━━━━━━━━━━━━━━━━━━━━━━━━━━━━━━━━━━━━━
고1

29.  이하의 두 자연수  ,  이 30. 두 이차함수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 

  (가) 함수    의 그래프는  축과 한 점   에서만
  

만난다.
를 만족시킬 때,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단,   
 ) (나) 부등식  ≥  의 해는  ≥  이다.
[4점] (다)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이다.

 에 대한 방정식  ×    이 실근을 갖지 않도록


하는 정수  의 개수가  일 때,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4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고1 수학 영역 5
13.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14.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점 A        과
두 점      ,      을 지나는 직선  이 있다. 직선  위의

           서로 다른 두 점 B , C 와 제 사분면 위의 점 D 를 사각형
ABCD 가 정사각형이 되도록 잡는다. 정사각형 ABCD 의
이 성립하도록 하는 모든 정수  의 값의 합은? [  점] 
넓이가  일 때,  의 값은? [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A

D

C
O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5 12
6 수학 영역 고1

15.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를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16.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두 원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가 직선      에 접할 때, 상수  의 값은? [ 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와 직선    가 있다. 점 A 는 원   위에 있고, 점 B 는
원   위에 있다. 점 P 는  축 위에 있고, 점 Q 는
직선    위에 있을 때,  AP  
PQ  
QB 의 최솟값은?
(단, 세 점 A , P , Q 는 서로 다른 점이다.) [  점]

 



O P 
Q



①  ②  ③  ④  ⑤ 

6 12
고1 수학 영역 7
17. 그림과 같이 ∠A  ∠B   , 
AB   , 
BC   인 18. 세 실수  ,  ,  에 대하여 삼차다항식
사다리꼴 ABCD 에 대하여 선분 AD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을
P 라 하자. 두 직선 AC , BP 가 점 Q 에서 서로 수직으로           
만날 때, 삼각형 AQD 의 넓이는? [ 점]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A P D

(가)  에 대한 삼차방정식    은 한 실근과 서로


Q
다른 두 허근을 갖고, 서로 다른 두 허근의 곱은
 이다.
(나)  에 대한 삼차방정식      은 한 근  과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고, 서로 다른 두 허근의 합은
B C  이다.

          의 값은?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7 12
8 수학 영역 고1

19. 그림과 같이 기울기가  인 직선  이 원        과 20. 좌표평면 위에 세 점 A     , B     , C     이


제 사분면 위의 점 A , 제 사분면 위의 점 B 에서 만나고 있다. 세 선분 OA , AB , BC 를           으로

AB  
 이다. 직선 OA 와 원이 만나는 점 중 A 가 아닌 내분하는 점을 각각 P , Q , R 라 하고, 세 점 P , Q , R 를
점을 C 라 하자. 점 C 를 지나고  축과 평행한 직선이 지나는 원을  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직선  과 만나는 점을 D     라 할 때, 두 상수  ,  에 고른 것은? (단, O 는 원점이다.) [ 점]
대하여    의 값은? (단, O 는 원점이다.) [  점]
<보 기>
  ㄱ.    일 때, 점 P 의 좌표는      이다.

ㄴ. 점 

   은 원  위의 점이다.

ㄷ. 원  가  축과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 사이의 거리가


A

 일 때, 
PQ   이다.

O 
B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D C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8 12
고1 수학 영역 9
21. 이차함수  와 이차항의 계수가  인 이차함수  에 단답형
대하여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22. 다항식          을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시오. [ 점]
이 서로 다른 두 실근  ,  를 갖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개수가  이다.   일 때,   의 값은? [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23. 부등식     를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 점]

9 12
10 수학 영역 고1

24.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이 실근을 26. 좌표평면에서 원        위의 점       에서의


갖도록 하는 모든 자연수  의 개수를 구하시오. [  점] 접선이 원             과 만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점]

25.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한 허근의 허수부분이  일 때, 양의 실수  의
값을 구하시오. [  점]

10 12
고1 수학 영역 11
27. 다항식   에 대하여       을    로 28. 그림과 같이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두 함수
나누었을 때의 몫은   , 나머지는    이다.   를 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있다.
  로 나눈 나머지가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직선    와 함수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을 각각
(단, 다항식    는  이 아니다.) [ 점] A , B 라 하고, 직선    와 함수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을 각각 C , D 라 하자. 사각형 ACDB 의 넓이의
최댓값을  이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점 A 의  좌표는 점 B 의  좌표보다 작고, 점 C 의
 좌표는 점 D 의  좌표보다 작다.) [  점]


     
A B
  

O 
  

11 12
12 수학 영역 고1

29.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       , B , C 가 다음 조건을 30. 이차함수    가 있다. 중심이 함수    의 그래프
만족시킨다. 위에 있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중에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중심이 서로 다른 원의 개수는  이다.

(가)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    이다.


(나) 세 점 A , B , C 를 지나는 원의 중심은 원점이다. 원을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원이  축과  축에 동시에 접하도록 하는 실수
 의 값이  개 이상 존재한다.

삼각형 ABC 의 넓이가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  점] 이  개의 원의 중심의  좌표를 작은 수부터 크기 순서대로
 , 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

이고  ≤  ≤  에서 함수  의 최솟값이  보다 클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 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2 수학 영역
5. 좌표평면에서 원          을 7.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   , B    , C   에 대하여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이 선분 AB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와 선분 AC 를    로
원          일 때,    의 값은? 외분하는 점의 좌표가 서로 같을 때,    의 값은? [3점]
(단,  ,  는 상수이다.) [3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6.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두 함수     ,  가


있다.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일 때,
 ∘ ∘  를 만족시키는 실수  의 값은? [3점]

   
① ② ③ ④ ⑤
   

2 12
수학 영역 3
  
8. 실수부분이  인 복소수 에 대하여      일 때, 10. 다항식        이       로
 
   
인수분해될 때, 세 정수  ,  ,  에 대하여      의 값은? [3점]
  의 값은? (단,   
  이고,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3점]

① ② ③ ④ ⑤ 
① ② ③ ④ ⑤ 

9. 좌표평면 위에 두 점 A   , B   이 있다. 직선    
위의 점 P 에 대하여 AP  BP 일 때, 선분 OP 의 길이는?
(단, O 는 원점이다.) [3점]

 
① ② ③ 
 ④ 
 ⑤ 

 

3 12
4 수학 영역
11.  에 대한 연립부등식 12.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 , B   와 직선    위의

    점 P 에 대하여 
AP 
BP 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       
점 를 이라 하자. 직선 AP을 직선    에 대하여
P P
대칭이동한 직선이 점    를 지날 때, 의 값은? [3점]
이 해를 갖지 않도록 하는 자연수 의 개수는? [3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4 12
수학 영역 5
13. 실수  에 대한 두 조건 14. 원               에 대하여 좌표평면에서
원  의 중심이 직선      위에 있다.
          ,
원  와 직선      이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을 A , B 라 하자.
          
원  위의 점 P 에 대하여 삼각형 ABP 의 넓이의 최댓값이  일 때,
에 대하여  가 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도록 하는    의 값은? (단, ,  는 상수이고, 점 P 는 점 A 도 아니고
모든 정수  의 값의 곱은? [3점] 점 B 도 아니다.) [4점]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① ② ③ ④ ⑤

5 12
6 수학 영역

15.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가 역함수를 갖는다. 16. 유리함수     (   )에 대하여 좌표평면에서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  의 그래프가  축, 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 B 라

   ,        하고 함수   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이 만나는 점을 C 라 하자.

일 때,   의 값은? [4점] 사각형 OBCA 의 넓이가  일 때, 상수  의 값은?


(단, O 는 원점이다.) [4점]
  
① ② ③ ④ ⑤  
   ① ② ③ ④ ⑤
 

6 12
수학 영역 7
17. 양수  에 대하여 이차함수          의 그래프와 18. 다항식  와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다항식  가
직선      이 서로 다른 두 점    ,    에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만난다.  ≤  ≤  에서 함수  의 최댓값이  일 때,
다항식   를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 ≤  ≤  에서 함수  의 최솟값은? (단,    ) [4점]
다항식   를  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① ② ③ ④ ⑤ 
      로 같다.

  일 때,  의 값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7 12
8 수학 영역
그림과 같이 함수   20.

19.    와 그 역함수   에 실수  (   )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에
대하여 기울기가   인 직선  이 곡선    와 점 P 에서 네 점 A   , B   , C   , D   가 있다.
만나고 직선  이 곡선   

 와 점 Q 에서 만난다. 선분 CD 위에 ∠APB   인 점 P 가 존재하도록 하는
 의 최댓값을  , 최솟값을  이라 할 때,    의 값은? [4점]

     
 
① 
 ② ③ 
 ④ ⑤ 

 

  

O 


다음은 삼각형 OPQ 의 외접원의 넓이가   일 때,

점 P 의  좌표를 구하는 과정이다. (단, O 는 원점이다.)

점 P 의  좌표를  ( ≥  )이라 하면
점 P 의 좌표는  가   이다.

두 곡선    와     는 직선    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고 두 직선  과    는 서로 수직이므로
두 점 P 와 Q 는 직선    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그러므로 삼각형 OPQ 의 외접원의 중심을 C 라 하면
점 C 는 직선    위에 있다.

삼각형 OPQ 의 외접원의 넓이가   일 때,

점 C 의 좌표는  나  나 이고,

CP 
CO 에서   다

따라서 점 P 의  좌표는 다 이다.

위의 (가)에 알맞은 식을   라 하고, (나), (다)에 알맞은 수를


각각  ,  이라 할 때,    의 값은? [4점]

  
① ② ③ ④ ⑤
  

8 12
수학 영역 9
21.    인 전체집합  의 세 부분집합  ,  ,  에 대하여 단답형
 ∩   ,     ,    
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22.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이 중근을 갖도록 하는
보기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ㄱ. ∩ ∩ ≠ 
ㄴ. ∩ ∩   이면    이다.
ㄷ. ×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이다.

①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3. 다항식      을    로 나눈 나머지가  일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9 12
10 수학 영역
24. 연립방정식 26. 좌표평면에서 점    를 지나고 곡선        에
접하는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일 때, 이 두 직선의 기울기의 합을
  
        
구하시오. [4점]

의 해가  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25. 정수  에 대한 두 조건  ,  가 모두 참인 명제가 되도록 하는


모든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3점]

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이다.


  어떤 실수  에 대하여      이다.

10 12
수학 영역 11
27. 삼차방정식          의 한 허근을  라 할 때, 28. 그림과 같이 직육면체 ABCD  EFGH 에서 단면 AFC 가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값을 구하시오. 생기도록 사면체 F  ABC 를 잘라내었다.
입체도형 ACD  EFGH 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을  ,
(단, 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4점]
겉넓이를  이라 하고, 사면체 F  ABC 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을  , 겉넓이를  라 하자.        ,        일 때,
   
AC  
CF  
FA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D
C
A
B

H
G
E
F

11 12
12 수학 영역
29. 집합            에서 실수 전체의 30. 양수  에 대하여 두 함수  ,  는
집합으로의 일대일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   ,      
(가) 집합  의 모든 원소  에 대하여 이다. 실수  (    )에 대하여 집합
    ×    이다.

    또는    ,  는 실수
(나) × ×  
의 모든 원소의 합을  라 하자. 함수  의 치역의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모든 원소의 합이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4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4 수학 영역 고1

11. 세 변의 길이가 각각 ,    ,    인 삼각형이 12. 어느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나누어 줄 구슬을 구입하였다.


직각삼각형일 때,  의 값은? (단,   ) [3점] 구입한 구슬을 한 상자에  개씩  개의 상자에 담았더니
 개의 구슬이 남았고, 한 상자에  개씩   개의 상자에
① 
 ②    ③   

담았더니  개의 구슬이 남았다. 이 학교에서 구입한 구슬의
④ 
 ⑤   
총 개수는?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4 12
고1 수학 영역 5

13. 두 이차방정식 14.그림과 같이 반비례 관계       의 그래프가 두 직선

      ,           ,    와 만나는 점을 각각 A , B 라 하자. 점 C  에

이 공통인 해를 갖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은? [3점] 대하여 사각형 OACB 의 넓이가  일 때, 상수 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단, O 는 원점이고, 점 A 의  좌표는  보다 작다.) [4점]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5 12
6 수학 영역 고1
 
15. 다음은 어느 학급 학생  명의 수학 과목의 중간고사 점수와 16. 서로 다른 네 실수 , ,  ,  에 대응하는 점을 수직선
 
기말고사 점수에 대한 산점도이다.
위에 나타내면 이웃한 두 점 사이의 거리가 모두 같다.
   일 때,   의 최댓값은? [4점]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위의 산점도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 보 기 >
ㄱ.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점수에 변화가 없는 학생의 수는
 이다.
ㄴ. 기말고사 점수가 중간고사 점수보다 높은 학생의 비율은
학급 학생  명의  이다.
ㄷ. 중간고사 점수의 평균은 기말고사 점수의 평균보다 크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12
고1 수학 영역 7
17. 한 개의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나오는 눈의 수를 차례로 18.
그림과 같이 ∠ABC  ° 인 삼각형 ABC 의 두 변 AB, AC 의
,  라 하자.  × × 가  × 의 배수일 확률은? [4점] 중점을 각각 D, E 라 하자. 선분 DE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
선분 BC 와 접할 때, 이 원이 선분 AB 와 만나는 점 중 D 가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아닌 점을 F 라 하자.
    

다음은 삼각형 ABC 의 넓이가  일 때, 삼각형 AFE 의 넓이를


구하는 과정이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 하면

DE , 
BC 
이다.
점 A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AH 가 ×
이고, ∆ABC   이므로
  나
이다.
삼각형 ADE 와 삼각형 ABC 는 서로 닮음이므로
∆ADE   이다.
삼각형 FDE 에서 꼭짓점 F 는 원 위의 점이므로
삼각형 FDE 의 넓이는 다 이다.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AFE 의 넓이는   다 이다.

위의 (가), (나), (다)에 알맞은 수를 각각 , ,  라 할 때,


× × 의 값은? [4점]

① 
 ② 
 ③ 

④ 
 ⑤ 

7 12
8 수학 영역 고1

그림과 같이 
19. AB 
AC 인 이등변삼각형 ABC 에 외접하는 원이 20. 그림과 같이 제  사분면 위의 점 A 를 꼭짓점으로 하는
있다. 선분 AC 위의 점 D 에 대하여 원과 직선 BD가 만나는 점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가 직선    에 대하여
중 B 가 아닌 점을 E 라 하자. 
AE  
BC , 
CD  이고
∠ADB ∠AEB ° 일 때, 선분 BC 의 길이는? [4점]
 

대칭이다. 점 B   에서 선분 OA 에 내린 수선의 발 H 에


대하여 BH  일 때,   의 값은? (단, ,  는 상수이고, O 는
원점이다.) [4점]


①   
 ②  ③  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 
     

8 12
고1 수학 영역 9
21.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 에서 선분 AB 위의 점 D 에 대하여
단답형
 
BD AD 이다. 점 A 에서 선분 CD 에 내린 수선의 발 E 에
  , BE
 CE
  일 때, 삼각형 ABC 의 넓이는?
대하여 AE 22. 일차함수      의 그래프가 점    를 지날 때, 상수
(단, ∠CAB  ° ) [4점]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23. 다항식      이    를 인수로 가진다.  가 자연수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9 12
10 수학 영역 고1

24.
그림과 같이 오각형 ABCDE 에서 ∠A  °, ∠B  °, 26.
그림과 같이 길이가  인 선분 AB 위의 점 C 에 대하여 선분
∠C  °, ∠D  °, ∠E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AC 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 ACDE 가 있다. 선분 CD 를
[3점] 삼등분하는 점 중 점 D 에 가까운 점을 F 라 하자. 정사각형

ACDE 의 넓이와 삼각형 BFC 의 넓이의 합이  일 때,

 
AC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점]

25.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자리의 자연수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3점]

(가)  은  의 배수이다.
(나)  의 소인수의 개수가  이다.

10 12
고1 수학 영역 11
27.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 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 인 28. 다음은  명의 학생이  년 동안 읽은 책의 권수를 조사하여
부채꼴 OAB 가 있다. 선분 OA 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호 나타낸 자료이다.
위의 점 P 에 대하여 직선 OP 가 호 AB 와 만나는 점을 Q 라
하고, 점 Q 에서 선분 OA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자. , ,  , , , , , 


∠QOA  ° 일 때, 삼각형 PHQ 의 넓이는  이다. 이 자료의 중앙값과 평균이 모두  일 때, 분산을 구하시오.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 는 자연수이다.) [4점] [4점]

11 12
12 수학 영역 고1

29.
좌표평면에서 이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이차함수    의 30.그림과 같이 AD BC 인 사다리꼴 ABCD 에서 두 대각선의
그래프 위의 두 점 A , B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교점을 E 라 하자. 점 E 를 지나고 선분 AD 와 평행한 직선이
선분 CD와 만나는 점을 F 라 하고, 두 선분 AC, BF 의 교점을
(가)      인 두 수 ,  에 대하여 A , B  이다. G 라 하자. 
AD  , 
EF  일 때, 사다리꼴 ABCD 의 넓이는
 
(나) 점 C  에 대하여 AC BC 이다. 삼각형 EGF 의 넓이의  배이다.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점 D 에 대하여 삼각형


ADB 가 ∠ADB  ° 인 이등변삼각형이고 넓이가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
했는지 확인하시오.

12 12
고1 수학영역
━━━━━━━━━━━━━━━━━━━━━━━━━━━━━━━━━━━━━━━━━━━━━━━━━━━━━━━━━━━━━━━
3
9.      ,      일 때,      의 값은? 10. 이차함수    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단,      이다.) [3점] 만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정수  의 값의 합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3 12
4 수학영역
━━━━━━━━━━━━━━━━━━━━━━━━━━━━━━━━━━━━━━━━━━━━━━━━━━━━━━━━━━━━━━━
고1

11.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이 12. 연립방정식


실수  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 을 근으로 가질 때,
두 상수  ,  에 대하여    의 값은? [3점]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의 해를    ,    라 할 때,     의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4 12
고1 수학영역
━━━━━━━━━━━━━━━━━━━━━━━━━━━━━━━━━━━━━━━━━━━━━━━━━━━━━━━━━━━━━━━
5
13. 삼차방정식 14.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  ,  를 가질 때, 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 의
        
개수는? [4점]
의 서로 다른 두 허근을  ,  라 할 때,     의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5 12
6 수학영역
━━━━━━━━━━━━━━━━━━━━━━━━━━━━━━━━━━━━━━━━━━━━━━━━━━━━━━━━━━━━━━━
고1

15. 이차다항식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 의 16.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삼각형 ABC 에 대하여
값은? [4점] 변 BC 의 중점을 P 라 하고, 선분 AP 위의 점 Q 에 대하여
  
선분 PQ 의 길이를  라 하자. AQ

BQ  

CQ 은    에서
(가) 부등식  ≥     의 해는  ≤  ≤  이다. 
최솟값  을 가진다.  의 값은? (단,     
 이고,  는
(나) 방정식       는 중근을 가진다. 
실수이다.)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A

B P C
 
① 
 ②  
 ③ 
 ④  
 ⑤ 

 

6 12
고1 수학영역
━━━━━━━━━━━━━━━━━━━━━━━━━━━━━━━━━━━━━━━━━━━━━━━━━━━━━━━━━━━━━━━
7
17.  에 대한 다항식        가    으로 나누어떨어질 18. 그림과 같이 빗변의 길이가  이고 둘레의 길이가  인
때의 몫을   라 하자. 두 상수  ,  에 대하여   의 값은? 직각삼각형 ABC 가 있다.
[4점]
A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B C

다음은 직각삼각형 ABC 의 빗변의 길이  의 범위를 구하는


과정이다.


BC  , 
CA  라 하면

삼각형 ABC 의 둘레의 길이가  이고 


AB  이므로

   가 ⋯⋯ ㉠
이다. 삼각형 ABC 가 직각삼각형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이다. ㉠을 ㉡에 대입하면   나 이다.


 ,  를 두 실근으로 가지고 이차항의 계수가  인  에 대한
이차방정식은
   가  나   ⋯⋯ ㉢

이고 ㉢의 판별식  ≥  이다.
빗변의 길이  는 양수이므로
부등식  ≥  의 해를 구하면  ≥ 다 이다.
㉢의 두 실근  ,  는 모두 양수이므로
두 근의 합 가 와 곱 나 는 모두 양수이다.

따라서 빗변의 길이  의 범위는 다 ≤    이다.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 라 하고 (다)에


  
   
알맞은 수를  라 할 때,  ×  ×  의 값은? [4점]
  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⑤ 
  

7 12
8 수학영역
━━━━━━━━━━━━━━━━━━━━━━━━━━━━━━━━━━━━━━━━━━━━━━━━━━━━━━━━━━━━━━━
고1

19.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로 20.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다항식   가


둘러싸인 도형의 내부에 있는 점 중에서  좌표와  좌표가 모두
         
정수인 점의 개수는? [4점]
를 만족시킬 때, 모든   의 값의 합은? (단,  는 실수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4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    

O 

8 12
고1 수학영역
━━━━━━━━━━━━━━━━━━━━━━━━━━━━━━━━━━━━━━━━━━━━━━━━━━━━━━━━━━━━━━━
9
21.  ≤  ≤  에서 이차함수        의 최솟값이  일 때, 단답형
두 실수  ,  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22. 다항식    을 전개한 식에서  의 계수를 구하시오.
<보 기> [3점]

ㄱ.    일 때,    이다.

ㄴ.  ≤  일 때,        이다.

ㄷ.   의 최댓값은  이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3.         를 만족시키는 두 실수  ,  에 대하여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이다.) [3점]

9 12
10 수학영역
━━━━━━━━━━━━━━━━━━━━━━━━━━━━━━━━━━━━━━━━━━━━━━━━━━━━━━━━━━━━━━━
고1

24. 연립방정식 26.  에 대한 사차방정식         이 서로 다른 네


실근  ,  ,  ,  (        )를 가진다.       일 때,
   
    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의 해를    , 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25.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 라 할 때,
  
 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 의 값을
    
 

구하시오. [3점]

10 12
고1 수학영역
━━━━━━━━━━━━━━━━━━━━━━━━━━━━━━━━━━━━━━━━━━━━━━━━━━━━━━━━━━━━━━━
11
27.  이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28.  에 대한 연립부등식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모든  의 개수를 구하시오.


(단,   
  이다.) [4점] 을 만족시키는 정수  가 존재하지 않기 위한 실수  의
최댓값을  이라 하자.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4점]

11 12
12 수학영역
━━━━━━━━━━━━━━━━━━━━━━━━━━━━━━━━━━━━━━━━━━━━━━━━━━━━━━━━━━━━━━━
고1

29. 삼차다항식   와 일차다항식   가 다음 조건을 30. 두 이차함수  ,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만족시킨다.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이다.
(가)    는        로 나누어떨어진다.

(나)  은 정수이고,    이다.
(나)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이다.
 에 대한 방정식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   일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에 대한 방정식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같게 되도록 하는 정수  의 개수가  일 때,
실수  의 최솟값을  , 최댓값을  이라 하자.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4 수학 영역 고1

11. 연립부등식 12. 두 상수  ,  에 대하여 이차함수         의


그래프가 점      에서  축과 접할 때, 이차함수
    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두 점 사이의
      ≤  거리는? [  점]
 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 의 값의 합은?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4 12
고1 수학 영역 5
13. 좌표평면 위의 점 A      를 직선    에 대하여 14. 중심이 점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 인 원 위의
대칭이동한 점을 B 라 하고, 점 B 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점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  점]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C 라 하자.
세 점 A , B , C 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실수  의 값은?    
①  ②  ③  ④ 
 ⑤ 
[  점]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5 12
6 수학 영역 고1

15. 좌표평면 위의 원점 O 와 두 점 A , B 를 꼭짓점으로 하는 16.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가

삼각형 OAB 가 있다. 선분 OA 를    로 외분하는 점을 P ,
서로 다른 두 점 A , B 에서 만난다. 두 점 A , B 에서  축에
선분 OB 를    로 외분하는 점을 Q 라 하자. 선분 PQ 의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C , D 라 하자. 선분 CD 의 길이가
중점의 좌표가      일 때, 삼각형 OAB 의 무게중심의
 일 때, 상수  의 값은? [  점]
좌표는      이다.    의 값은? [  점]

  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6 12
고1 수학 영역 7
17.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두 점 A     , B      이 18. 함수           의 그래프와  축이
있다. 서로 다른 두 점 C 와 D 가 각각  축과 직선    만나는 점의 개수와, 함수           의
위에 있을 때, 
AD  
CD  
BC 의 최솟값은? [ 점] 그래프와  축이 만나는 점의 개수가 서로 같도록 하는 모든
정수  의 개수는? [ 점]

A 
①  ②  ③  ④  ⑤ 

C O 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7 12
8 수학 영역 고1

19. 좌표평면 위에 네 점 A      , B      , C     , 20.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사차다항식  가 다음 조건을


D     이 있다. 다음은 네 점 A , B , C , D 가 각각 네 변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 점]
PQ , QR , RS , SP 위에 있도록 하는 정사각형 PQRS 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는 과정이다.
(가)  를    로 나눈 나머지와  를     으로
나눈 나머지는 서로 같다.
  (나)     는     로 나누어떨어진다.

A D
 ①  ②  ③  ④  ⑤ 

B
O E 

C

점 A 를 지나고 두 점 B 와 D 를 지나는 직선에 수직인


직선  의 방정식은   가  이다.
점 A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BD 인 원을  라
하자. 원  와 직선  이 만나는 두 점 중 점 C 와의
거리가 더 작은 점을 E 라 하고, 두 점 C 와 E 를 지나는
직선을  라 하면 직선  의 방정식은   나  이다.

  
P
A
D

Q
B S
O E 

C
R

두 점 B 와 D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R , S 라 하자. 점 A 를 지나고 직선  와 평행한 직선을
 이라 하고, 두 점 B 와 D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Q , P 라 하자.
사각형 PQRS 는 네 점 A , B , C , D 가 각각 네 변
PQ , QR , RS , SP 위에 있고 한 변의 길이가

PQ  QR  다  인 정사각형이다.

위의 (가), (나) 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 라 하고,



(다) 에 알맞은 수를  라 할 때,    의 값은? [  점]

①   
 ②   
 ③   

④   
 ⑤   

8 12
고1 수학 영역 9
21. 그림과 같이 원        위에 단답형
세 점 A      , B      , C     이 있다.
점 B 를 포함하지 않는 호 AC 위에 점 P 가 있을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 점]
22.  에 대한 다항식          가    로
나누어떨어질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  점]

P
C

A O 

<보 기>
ㄱ. 점 B 와 직선 AC 사이의 거리는  이다.
ㄴ. 사각형 PABC 의 넓이가 최대일 때, 직선 PB 와 직선
AC 는 서로 수직이다.
   
  23.  에 대한 연립부등식
ㄷ. 사각형 PABC 의 넓이의 최댓값은  이다.


    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    ≤   
④ ㄱ, ㄷ ⑤ ㄱ, ㄴ, ㄷ

의 해가    ≤  일 때, 두 상수  ,  에 대하여    의
값을 구하시오. [ 점]

9 12
10 수학 영역 고1

24.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이 서로 다른 26. 그림과 같이 원        위에  좌표가 각각  ,  인


두 허근을 갖도록 하는 모든 정수  의 개수를 구하시오. [  점] 두 점 A , A 가 있다. 점 B      을 지나고 두 직선
A B , A B 에 각각 수직인 두 직선이 원과 만나는 점 중
점 B 가 아닌 두 점을 각각 C , C 라 하자. 점 C 의
 좌표를  , 점 C 의  좌표를  라 할 때,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두 점 A , A 는 제 사분면 위에 있다.) [  점]

A
A

B  O   

C

C

25. 좌표평면 위에 두 점 A      , B      가 있다.


선분 AB 의 길이를  이라 할 때, 실수  에 대하여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점]

10 12
고1 수학 영역 11
27.  에 대한 사차방정식 28. 그림과 같이  축과 직선           에 동시에
접하는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이 있다.  축과 원이 만나는
  
               점을 P , 직선  과 원이 만나는 점을 Q , 두 점 P , Q 를
지나는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R 라 하자. 삼각형 ROP 의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 이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넓이가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 단, 원의 중심은
값의 곱을 구하시오. [  점] 제 사분면 위에 있고, O 는 원점이다.  [  점]


  

O P 

11 12
12 수학 영역 고1

29. 두 실수  ,  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        의 서로 30.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를


다른 두 근은  ,  이고, 이차방정식         의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두 근은    ,    이다.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일치한다. 방정식   는 서로 다른 두 실근
자연수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점]  ,       를 갖고, 함수  는


 
(가)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나)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함수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방정식     는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고,


세 실근의 합은   이다.
(나) 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점 중에서  좌표가
음의 정수인 점의 개수는  이다.

  의 값을 구하시오. [  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수학 영역 3
8. 집합     에 대하여  에서  로의 함수 10. 좌표평면에서 두 점     ,    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      하는 원과 직선        이 오직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
       ≥ 
양수  의 값은? [3점]

가 상수함수일 때,    의 값은? (단,  ,  는 상수이다.) [3점]    


①  ②  ③ ④  ⑤ 
   
① ② ③ ④ ⑤

9. 그림은 두 함수    →  ,    →  를 나타낸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은? [3점]

① ② ③  ④  ⑤ 

3 12
4 수학 영역
11. 삼차방정식                은 서로 다른 12.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 , B , C 를 꼭짓점으로 하는
세 실근  ,  ,  를 갖는다.    의 값은? (단,  는 상수이다.)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이 원점이고 선분 BC 의 중점의 좌표가
[3점]    이다. 점 A 의 좌표를    라 할 때,  ×  의 값은? [3점]
① ② ③ ④  ⑤ 
① ② ③  ④  ⑤ 

4 12
수학 영역 5
13. 실수  에 대한 두 조건 14.  이하의 두 자연수  ,  에 대하여 복소수 를

       ≤  ,           라 하자.  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    ≤   ,  의 모든 순서쌍    의 개수는? (단,      ) [4점]

에 대하여  가  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도록 하는 실수 의


① ② ③ ④  ⑤ 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3점]

① ② ③ ④ ⑤ 

5 12
6 수학 영역
15. 좌표평면 위에 두 점 A    , B   가 있다. 
BP  인 16.  에 대한 다항식          가
점 P 와  축 위의 점 Q 에 대하여 
AQ 
QP 의 최솟값은? [4점]     으로 인수분해될 때, 세 정수  ,  ,  에 대하여
     의 값은? [4점]
① ② ③ ④ ⑤
①  ②  ③  ④  ⑤ 

6 12
수학 영역 7
17. 함수     에 대하여   ≤  ≤  에서 18.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다항식  가 다음 조건을
함수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4점]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4점]

(가) 다항식     는      로


① ② ③ ④ ⑤
나누어떨어진다.
(나) 다항식  를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 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7 12
8 수학 영역
19. 좌표평면 위에 세 점 A   , B   , C  가 있다. 20. 양수  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에 두 점 A  , B   가 있다.
직선 AB 위의 점 D 에 대하여 점 D 를 지나고 직선 BC 와 삼각형 OAB 의 내부에 있으며 ∠AOP  ∠BAP 를 만족시키는
평행한 직선이 직선 AC 와 만나는 점을 E 라 하자. 점 P 에 대하여 점 P 의  좌표의 최댓값을   라 하자.
삼각형 ABC 와 삼각형 ADE 의 넓이의 비가    이 되도록 하는 다음은   를 구하는 과정이다. (단, O 는 원점이고,
모든 점 D 의  좌표의 곱은? (단, 점 D 는 점 A 도 아니고 점 B 도 ∠AOP   , ∠BAP   이다.)
아니다.) [4점]
원의 접선과 그 접점을 지나는 현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이 각의 내부에 있는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와 같다.
 
① ②  ③ ④  ⑤  그러므로 점 O 를 지나고 직선 AB 와 점 A 에서 접하는 원을
 
 라 할 때, 삼각형 OAB 의 내부에 있으며
∠AOP  ∠BAP 를 만족시키는 점 P 는 원  위의 점이다.
원  의 중심을 C 라 하면 ∠OAC   이므로

점 C 의 좌표는  
  가 이고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는
나 이다.
점 P 의  좌표는 ∠PCO   일 때 최대이므로
   다 × 이다.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 라 하고,

 
(다)에 알맞은 수를  라 할 때,    의 값은? [4점]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8 12
수학 영역 9
21. 두 실수 ,  와 두 함수 단답형
       ,
      22. 좌표평면 위의 점     을  축의 방향으로 만큼,  축의
에 대하여 함수  를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상수이다.) [3점]
  



    ≥ 
라 하자. 함수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의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하는 ,  의 모든 순서쌍
   만을 원소로 하는 집합을  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보기
ㄱ.   ∊  를 만족시키는 실수  는 존재하지 않는다.
ㄴ.    ∊ 
ㄷ. 집합    ∣   ∊  이고  은 정수의 모든 원소의
합은   
 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23.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 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3점]

9 12
10 수학 영역
24. 연립방정식 26. 사차방정식             이 실근과 허근을
모두 갖도록 하는 자연수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     
       
의 해를    , 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25. 두 양의 실수 ,  에 대하여 두 일차함수


  
     ,     
  
이 있다. 직선    와 직선    가 서로 평행할 때,
 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3점]

10 12
수학 영역 11
27. 집합          에 대하여 함수    →  가 28. 전체집합        의 두 부분집합  ,  가
역함수가 존재하고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    (가) 집합 ∪ 의 모든 원소의 합은 집합    의 모든
(나)    ,  일 때, ×   ≤  이다. 원소의 합의  배이다.
(나)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집합  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단,  ≤   ≤  ) [4점]

11 12
12 수학 영역
29. 그림과 같이 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사각뿔 O  ABCD 가 30. 두 양수 ,  에 대하여 두 함수  ,  를
있다. 네 선분 OA , OB , OC , OD 위의 네 점 E , F , G , H 를
 ,

OE 
OF 
OG OH  가 되도록 잡는다.    
두 정사각뿔 O  ABCD , O  EFGH 의 부피의 합이 
 이고
라 하자. 그림과 같이 곡선    와 직선    가 만나는
선분 AF 의 길이가  일 때, 사각형 ABFE 의 넓이를  라 하자.
두 점을 A , B 라 할 때,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고 원점 O 를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     인 상수이다.)
지나는 원  가 있다. 원  와 곡선    는 서로 다른
[4점]
네 점에서 만나고, 원  와 곡선    가 만나는 네 점 중
O , A , B 가 아닌 점을 P   라 하자. 삼각형 ABP 의 넓이가
O 삼각형 AOB 의 넓이의  배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H
E G [4점]
F
D
      
A C
B
B

P

A
O 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4 수학 영역 고1

11. [그림 ]은 가로의 길이가 , 세로의 길이가    인 12. 다음은 어느 반 학생  명의 작년에 읽은 책의 수와 올해
직사각형에서 가로의 길이가 , 세로의 길이가  인 직사각형을 읽은 책의 수에 대한 산점도이다.
잘라 낸 도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는 세로의 길이가  인
직사각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의 도형과 [그림 ]의
직사각형의 넓이가 서로 같을 때, [그림 ]의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단,    ) [3점]

작년보다 올해 책을 더 많이 읽은 학생의 수를 , 작년과 올해


해마다  권 이상의 책을 읽은 학생의 수를  라 할 때,   의
[그림  ]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그림  ]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4 12

로그인/회원가입 필요 없는 학습자료 무료 제공 사이트


레전드스터디 닷컴!
www.LegendStudy.com
고1 수학 영역 5

13. 어느 제과점에서 두 종류의 선물 세트 A , B 를 각각  상자씩 14. 그림과 같이 정비례 관계      의 그래프와 반비례 관계

만드는 데 필요한 사탕과 쿠키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의 그래프가 있다. 이 두 그래프가 만나는 두 점을

A B
A , B 라 할 때, 두 점 A , B 의  좌표의 합이  이다. 점 A 를
사탕(개)  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과 점 B 를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쿠키(개)   직선이 만나는 점을 C 라 할 때,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이다.
상수  의 값은? (단, 점 A 는 제  사분면 위의 점이다.) [4점]
선물 세트 A 를  상자, 선물 세트 B 를  상자 만드는 데 필요한
사탕과 쿠키의 개수가 각각 ,  일 때,   의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

5 12

로그인/회원가입 필요 없는 학습자료 무료 제공 사이트


레전드스터디 닷컴!
www.LegendStudy.com
6 수학 영역 고1

15. 어느 동아리에서 부원 A , B, C, D, E 의  명 중에서  명을 16.


그림과 같이 ∠A  ° 인 예각삼각형 ABC의 외심을 O라
선택하여 다음과 같이 동아리실 청소 당번을 정하려고 한다. 하고, 선분 BO의 연장선과 변 AC가 만나는 점을 D라 하자.

BD 
BC 일 때, ∠OCD의 크기는? [4점]
⦁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의 당번을 각각  명씩 서로 다르게
정한다.
⦁ A 는 당번을 하고, B 와 C 중 적어도  명은 당번을 한다.

다음은 당번을 정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구한다.


(ⅰ) B 와 C 가 모두 당번을 하는 경우
A , B, C 세 명이 당번을 하므로 당번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가 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ⅱ) B 는 당번을 하고 C 는 당번을 하지 않는 경우
A , B 가 당번을 하고, C 는 당번을 하지 않으므로 당번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나 이다.
(ⅲ) C 는 당번을 하고 B 는 당번을 하지 않는 경우
⋮ (중략)
(ⅰ), (ⅱ), (ⅲ)에 의하여 당번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다 이다.

위의 (가), (나), (다)에 알맞은 수를 각각 , ,  라 할 때,


    의 값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6 12

로그인/회원가입 필요 없는 학습자료 무료 제공 사이트


레전드스터디 닷컴!
www.LegendStudy.com
고1 수학 영역 7
17. 다음 그림은 어느 수학 전시관의 입장권을 나타낸 것이다. 이 18.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각형 ABCD 의 변 AB 위의 점 E 와
입장권은 고객용과 회수용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고객용 변 AD 위의 점 F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부분의 넓이가 입장권의 넓이의  이다. 회수용 부분의
 (가) 
EB  
FD   
넓이가  일 때, 입장권의 넓이는? [4점] 
(나) 삼각형 AEF 의 넓이는  이다.

선분 AF 의 길이는? [4점]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①    ②    ③   



④    ⑤   

7 12

로그인/회원가입 필요 없는 학습자료 무료 제공 사이트


레전드스터디 닷컴!
www.LegendStudy.com
8 수학 영역 고1

19.
어느 평평한 광장의 네 지점 A , B, C, D 를 꼭짓점으로 하는 20.그림과 같이 ∠A  °,    인 직각삼각형 ABC 가
AB AC
정사각형 ABCD 가 있다. 그림은 크기가 같은 정사각형 모양의 있다. 변 AB 위의 두 점 D, E 와 변 BC 위의 점 F 에 대하여
흰색 타일과 검은색 타일을 겹치지 않게 이어 붙여 정사각형 삼각형 DEF 는 높이가  인 정삼각형이다. ∠DCA   일 때,
ABCD 의 내부를 빈틈없이 채운 모양을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 
tan  의 값은? (단, AD AE ) [4점]
것이다.

  
   
   

①  ②  ③ 
  
  
   

④  ⑤ 
 

정사각형 ABCD 의 변에 닿은 타일과 정사각형 ABCD 의 대각선


위에 놓인 타일은 모두 검은색이고, 나머지 타일은 흰색이다.
정사각형 ABCD 의 내부에 채워진 전체 타일 중에서 흰색
타일의 개수가  일 때, 검은색 타일의 개수는?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8 12

로그인/회원가입 필요 없는 학습자료 무료 제공 사이트


레전드스터디 닷컴!
www.LegendStudy.com
고1 수학 영역 9
21.그림과 같이 AB  , 
BC  인 삼각형 ABC 가 있다. 변 BC 의
단답형
중점 M 과 변 AC 의 중점 N 에 대하여 두 선분 AM, BN 이 점
P 에서 서로 수직으로 만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
대로 고른 것은? [4점] 22. 일차방정식      의 해가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 보 기 >
ㄱ. 
AP 
AM

ㄴ. 
BN 

ㄷ.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 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3. 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 와 서로소인 자연수의 개수를


구하시오. [3점]

9 12

로그인/회원가입 필요 없는 학습자료 무료 제공 사이트


레전드스터디 닷컴!
www.LegendStudy.com
10 수학 영역 고1

24. 다음은 어느 편의점에서  일 동안 판매한 마스크의 일일 26.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 의 변 AB 위의 두 점 D, E 와 변
판매량을 조사하여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이 히스토그램에서 AC 위의 두 점 F, G 에 대하여
일일 판매량이  개 이상인 일수는 전체의  이다.  의 값을 
AD 
DE , 
AE 
EB , 
AF   GC
FG , AG 
구하시오. [3점]
이다. 사각형 DEGF 의 넓이가  일 때, 삼각형 ABC 의 넓이를
구하시오. [4점]

25.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를 구하시오. [3점]

(가)      

(나)  는 정수가 아닌 유리수이다.

10 12

로그인/회원가입 필요 없는 학습자료 무료 제공 사이트


레전드스터디 닷컴!
www.LegendStudy.com
고1 수학 영역 11
27.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그림과 같이 ∠BCA  ° , 
28. BC , 
AC  인 직각삼각형
A   , B   이 있다. 두 점 C   , D   에 ABC 가 있다. 변 AB 의 중점 M 과 변 BC 의 중점 N 에 대하여
대하여 사각형 ACDB 의 넓이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선분 MN 의 연장선 위에 ND  가 되도록 점 D 를 잡는다.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단,   ) [4점] 
∠ADC   일 때, sin  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ND
MD  이고  와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점]

11 12

로그인/회원가입 필요 없는 학습자료 무료 제공 사이트


레전드스터디 닷컴!
www.LegendStudy.com
12 수학 영역 고1

29. 좌표평면에 꼭짓점이 점 A 로 일치하는 두 이차함수 그림과 같이 


30. AB AC  , 
BC  인 삼각형 ABC 가 있다.
점 A 에서 변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라 하고, 점 B 에서 변
     ,
A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라 하자. 선분 DE 를 지름으로 하는
       (    ) 원이 변 BC 와 만나는 점 중 D 가 아닌 점을 F , 변 AC 와
의 그래프가 있다. 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점 중 E 가 아닌 점을 G라 하자. 삼각형 GFC 의 둘레의

만나는 점을 B 라 하고, 점 B 를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이 길이가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 는 서로소인

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 중 B 가 아닌 점을
자연수이다.) [4점]
C 라 하자. 두 점 A , C 를 지나는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D 라 할 때, 삼각형 BDC 의 넓이가  이다.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상수이다.) [4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
했는지 확인하시오.

12 12

로그인/회원가입 필요 없는 학습자료 무료 제공 사이트


레전드스터디 닷컴!
www.LegendStudy.com
고1 수학영역
━━━━━━━━━━━━━━━━━━━━━━━━━━━━━━━━━━━━━━━━━━━━━━━━━━━━━━━━━━━━━━━
3
8. 다항식         을    로 나누었을 때의 10.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이
나머지는  이다.    가    로 나누어떨어질 때, 만나지 않도록 하는 자연수  의 개수는? [3점]
   의 값은? (단,  ,  는 상수이다.)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9.      ,      일 때,        의 값은?


(단,      )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3 12
4 수학영역
━━━━━━━━━━━━━━━━━━━━━━━━━━━━━━━━━━━━━━━━━━━━━━━━━━━━━━━━━━━━━━━
고1

11.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이 실수 12. 삼차방정식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허근을  ,  라


 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중근을 가질 때,   의 값은?  
할 때,    의 값은? [3점]
(단,  ,  는 상수이다.) [3점]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4 12
고1 수학영역
━━━━━━━━━━━━━━━━━━━━━━━━━━━━━━━━━━━━━━━━━━━━━━━━━━━━━━━━━━━━━━━
5
14. 물체가 등속 원운동을 하기 위해 원의 중심방향으로
      
13. 연립방정식      의 해를    ,    라 할 때,
  
작용하는 일정한 크기의 힘을 구심력이라 한다.
   의 값은? (단,  ≠ ) [3점] 질량이  인 물체가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의 궤도를 따라
①  ②  ③  ④  ⑤   의 속력으로 등속 원운동을 할 때 작용하는 구심력의 크기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물체  와 물체  는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  인 원의
궤도를 따라 등속 원운동을 한다.
물체  의 질량은 물체  의 질량의  배이고, 물체  의 속력은

물체  의 속력의  배이다. 물체  와 물체  의 구심력의


크기가 같을 때,  의 값은? [4점]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5 12
6 수학영역
━━━━━━━━━━━━━━━━━━━━━━━━━━━━━━━━━━━━━━━━━━━━━━━━━━━━━━━━━━━━━━━
고1

15. 그림과 같이 윗면이 개방된 원통형 용기에 높이가  인 16.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다항식  가 다음 조건을
지점까지 물이 채워져 있다. 만족시킨다.
용기에 충분히 작은 구멍을 뚫어 물을 흘려보내는 동시에 물을
공급하여 물의 높이를  로 유지한다. 구멍의 높이를  , (가)  
구멍으로부터 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지점까지의 수평거리를  라 하면 (나)  를    으로 나눈 나머지가    이다.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 를    로 나눈 몫을   라 할 때,   의 값은? [4점]
  
   (단,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일 때,  의 최댓값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6 12
고1 수학영역
━━━━━━━━━━━━━━━━━━━━━━━━━━━━━━━━━━━━━━━━━━━━━━━━━━━━━━━━━━━━━━━
7
17.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    의 그래프가 18. 다음은  을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 축과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을 각각 A , B 라 하고,  축과 과정이다.
만나는 점을 라 하자.
C
다항식    을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

         나머지를  라고 하면
       이다.
C
이때,   가 이다.
등식       가 에
   를 대입하면
   ×   가
  ×   나  다 이다.
O A B  따라서  을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다 이다.

삼각형 ABC 의 넓이의 최댓값은? (단,      ) [4점] 위의 (가), (나), (다)에 알맞은 수를 각각  ,  ,  라 할 때,
         의 값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7 12
8 수학영역
━━━━━━━━━━━━━━━━━━━━━━━━━━━━━━━━━━━━━━━━━━━━━━━━━━━━━━━━━━━━━━━
고1

19. 복소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일 때, 20.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오각형 ABCDE 가 있다.


        두 대각선 AC 와 BE 가 만나는 점을 P 라 하면
      의 값은? 
     BE   
PE PE BP 가 성립한다.
(단,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4점] A
①  ②  ③  ④  ⑤  

B P
E

C D

대각선 BE 의 길이를  라 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의 값은? (단,  ,  는 유리수이다.)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8 12
고1 수학영역
━━━━━━━━━━━━━━━━━━━━━━━━━━━━━━━━━━━━━━━━━━━━━━━━━━━━━━━━━━━━━━━
9
21. 두 이차함수  ,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단답형
(가)       22. 다항식        의 전개식에서  의 계수를
(나)      인 실수  가 존재한다. 구하시오. [3점]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보 기>
ㄱ.   일 때,   이다.

   

ㄴ.   일 때,      이다.
 
ㄷ.  에 대한 방정식    이 서로 다른 두 정수
 ,  을 근으로 가질 때,      이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3.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   ,  일 때,
두 상수  ,  에 대하여 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9 12
10 수학영역
━━━━━━━━━━━━━━━━━━━━━━━━━━━━━━━━━━━━━━━━━━━━━━━━━━━━━━━━━━━━━━━
고1

24.  에 대한 이차부등식        이 해를 갖지 않도록 26. 이차함수   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하는 실수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3점]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가)  ,  는 음의 정수이다.
(나)  ≤  ≤  일 때, 이차함수  의 최댓값은  이다.

25.  ,  에 대한 이차식            이  ,  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 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10 12
고1 수학영역
━━━━━━━━━━━━━━━━━━━━━━━━━━━━━━━━━━━━━━━━━━━━━━━━━━━━━━━━━━━━━━━
11
 
 
28.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 라
  
27.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최솟값을
 할 때,       를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 ,  의 모든
구하시오. (단,     ) [4점] 순서쌍   의 개수를 구하시오. [4점]

11 12
12 수학영역
━━━━━━━━━━━━━━━━━━━━━━━━━━━━━━━━━━━━━━━━━━━━━━━━━━━━━━━━━━━━━━━
고1

29. 두 이차함수       ,      에 대하여 30.  이상의 자연수  에 대하여 다항식
함수  를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가      로 나누어떨어지도록 하는 모든 자연수  의 값의
        합을 구하시오. [4점]
이라 하자.
직선      과   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을  라 할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2 수학 영역 고1

5.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     , B      , C      를 
7. 다항식         가      로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의 좌표가      인수분해될 때, 두 상수  ,  에 대하여    의 값은? [  점]
일 때,    의 값은?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6. 연립부등식        의 해가      일 때,
 의 값은?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2 12
고1 수학 영역 3
8. 부등식   ≤  를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 의 개수는? 10. 원      위의 점      에서의 접선의  절편은?
[  점] [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9. 좌표평면 위의 점      를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라 하자. 점 A 를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가      일 때,    의 값은?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3 12
4 수학 영역 고1

      
 
11. 연립방정식        의 해를    ,    라 12.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   이고 다른 한

할 때,    의 값은? [  점] 근을  라 하자. 두 실수  ,  에 대하여      일 때,

   의 값은? (단,   
  )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4 12
고1 수학 영역 5
13. 직선      가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14. 이차방정식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근을  ,  라
만나고,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만나지 않도록 할 때, 



의 값은? [  점]
 
하는 모든 정수  의 개수는? [  점]   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5 12
6 수학 영역 고1

15. 그림과 같이 최고차항의 계수의 절댓값이 같은 세 이차함수 16. 그림과 같이 두 직선


   ,    ,    의 그래프가 있다. 방정식
    의 모든 근의 합은? [ 점]         
        

     
과 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직사각형이 있다.
이 직사각형의 한 변은  축 위에 있고 두 꼭짓점은 각각
직선  ,  위에 있을 때,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은? [  점]


  
 O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O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6 12
고1 수학 영역 7
17. 그림과 같이 중심이 제  사분면 위에 있고  축과 점 P 에서 18.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두 점 A     , B     이
접하며  축과 두 점 Q , R 에서 만나는 원이 있다. 점 P 를 있다. 양수  과 원점 O 에 대하여 선분 OA 를    으로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이 원과 만나는 점 중 P 가 아닌 내분하는 점을 P , 선분 OB 를    으로 내분하는 점을 Q ,
점을 S 라 할 때, 
QR  
PS  를 만족시킨다. 원점 O 와 원의 선분 AQ 와 선분 BP 가 만나는 점을 R 라 하자. 다음은
중심 사이의 거리는? [ 점] 
사각형 POQR 의 넓이가  일 때,  의 값을 구하는

과정이다.

R 
A
S

P R
Q
O P  O Q B 

① 
 ② 
 ③ 
 ④  ⑤ 
  
점 P 의 좌표는    ,
 
점 Q 의 좌표는      이다.

 
직선 AQ 의 방정식은        ,

직선 BP 의 방정식은   가  ×    이다.
 
두 직선 AQ , BP 가 만나는 점 R 의  좌표는 나  이고
 
삼각형 POR 의 넓이는  ×  × 나  이다.
  
두 삼각형 POR 와 삼각형 QOR 에서
선분 OR 가 공통이고 
OP  
OQ , ∠POR  ∠QOR 이므로
삼각형 POR 와 삼각형 QOR 는 합동이다.
따라서 사각형 POQR 의 넓이는 삼각형 POR 의 넓이의
 배이므로   다  이다.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 이라 하고,



(다)에 알맞은 수를  라 할 때,  의 값은? [ 점]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7 12
8 수학 영역 고1

   

19.       인 두 실수  ,  에 대하여 직선      위에 20. 복소수   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세 점 P       , Q        , R        가 있다.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 
  ) [ 점]
선분 PQ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을   , 선분 QR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을   라 하자. 삼각형 OPR 와 두 원   ,   가
<보 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 의 값은? (단, O 는 원점이다.)
[  점] ㄱ.    
ㄴ.       
ㄷ.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가) 삼각형 OPR 의 넓이는   이다.  이하의 모든 자연수  의 개수는  이다.
(나) 원   과 원   의 넓이의 비는    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① 
  ② 
  ③ 
 ④ ㄱ, ㄷ ⑤ ㄱ, ㄴ, ㄷ
④ 
 ⑤ 


8 12
고1 수학 영역 9
21. 실수  에 대하여 이차함수         의 그래프와 단답형
직선    는 서로 다른 두 점 A , B 에서 만난다. 삼각형
AOB 가 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는 서로 다른  의 개수를  ,
 의 최댓값을  이라 하자.    의 값은? (단, O 는 원점 22. 다항식     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시오.
이고, 점 A 의  좌표는 점 B 의  좌표보다 작다.) [ 점] [  점]

①    ②   
 ③   

④     ⑤   

23.  ≤  ≤  에서 이차함수   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점]

9 12
10 수학 영역 고1

24.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이 서로 26. 원          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의


다른 두 실근을 갖도록 하는 모든 자연수  의 개수를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원을  라 하자. 원  가 다음
구하시오. [  점]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은
상수이다.) [ 점]

(가) 원  의 중심은 제  사분면 위에 있다.


(나) 원  는  축과  축에 동시에 접한다.

25. 점      를 지나고 직선        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이  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 단,  ,  는 상수이다.  [ 점]

10 12
고1 수학 영역 11
27.  에 대한 연립이차부등식 28.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C      가 제  사분면 위에 있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이며 원점 O 를 지나는 원이 있다. 원과


  축,  축이 만나는 점 중 O 가 아닌 점을 각각 A , B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네 점 O , A , B , C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점]
을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가  가 되도록 하는 모든 자연수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 점]
(가) 
OB  
OA  
(나) 두 점 O , C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이다.


  
B

O A 

11 12
12 수학 영역 고1

29. 다항식   와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다항식   가 30.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에서 이차함수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 라 하자.
 에 대한 방정식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              가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범위는    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 는 상수이다.) [ 점]
를 만족시킨다.   를   로 나눈 나머지를   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다항식   의 계수는
실수이다.) [  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2 수학 영역
5. 좌표평면에서 직선       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7. 다항식 에 대하여 다항식    를    로 나눈
직선이 점    를 지날 때, 상수 의 값은? [3점] 나머지가  일 때, 다항식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3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

6. 복소수     
  에 대하여    의 값은? (단,   
 )
[3점]
①   ②   ③  ④  ⑤ 

2 12
수학 영역 3
8. 좌표평면에서 원  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이 10. 좌표평면에서 직선      가 이차함수     의
점    를 지날 때, 의 값은? [3점] 그래프에 접하도록 하는 양수  의 값은? [3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9.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라 하자.
 
     일 때, 양수 의 값은? [3점]
 

① ② ③ ④ ⑤

3 12
4 수학 영역
11. 실수  에 대한 두 조건 12. 연립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가 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의 해를    ,    라 할 때,    의 값은? [3점]
최솟값은? [3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4 12
수학 영역 5
13. 좌표평면에서 두 양수 ,  에 대하여 14. ∠C   인 직각삼각형 ABC 에 대하여 삼각형 ABC 의
원         을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의 넓이가  일 때, 

AB 의 최솟값은? [4점]
방향으로   만큼 평행이동한 원을  라 하자. 원  가  축과
 축에 동시에 접할 때,    의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② ③ ④ ⑤

5 12
6 수학 영역
15.  에 대한 연립부등식 16.  이상의 네 자연수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의 값은? [4점]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가  가 되도록 하는 ①  ②  ③  ④  ⑤ 


모든 정수  의 값의 곱은? [4점]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6 12
수학 영역 7
17. 좌표평면 위에 두 점 A  
  , B   과 18. 두 복소수
원            가 있다. 원  위의 점 P 에      ,     
대하여 삼각형 ABP 의 넓이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모든 점 P 의
개수는? [4점] 에 대하여 ,  ,  ,  는 자연수이고 
  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 
  이고,  는
① ②  ③  ④  ⑤  복소수 의 켤레복소수이다.) [4점]
보기
ㄱ.     
ㄴ.   
  이면      이다.
ㄷ.    
     이면 
 의 최댓값은  이다.

①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7 12
8 수학 영역
19.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삼각형 ABC 가 있다.      인 20. 전체집합       는  이하의 자연수 의 두 부분집합
실수  에 대하여 두 선분 AB , BC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을        ,        
각각 P , Q라 하고 두 선분 AB , BC 를      로 외분하는
에 대하여 집합  의 부분집합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점을 각각 P′ , Q′ 이라 하자. 삼각형 PBQ의 넓이를 ,
집합  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솟값은? [4점]
삼각형 P′ Q′ B 의 넓이를 라 할 때, 다음은        가
되도록 하는 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가)   
(나)       
(다)   ∩   ≠ ∅
P′

①  ②  ③  ④  ⑤ 

Q′ B Q C

두 선분 AB , BC 의 길이가 모두  이므로

AP 
BQ 가  , 
AP′  
BQ′  

이다.
두 점 P , P′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 H′ 이라 하면
두 삼각형 PBH 와 P′ BH′ 에서

PH  
P′ H′  
PB  
P′ B
    가    나  
이므로


     × 

BQ× 
PH   × 
  
BQ′× 
P′ H′ 
 
BQ × 
PB    
BQ′× 
P′ B 
이다. 따라서   다  이다.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 라 하고 (다)에


알맞은 수를  라 할 때, ×  의 값은? [4점]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8 12
수학 영역 9
21.  ≤    인 두 상수 ,  에 대하여 세 집합 단답형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22. 두 집합     ,      에 대하여  ⊂  일 때,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이 있다. ∪ ∪   일 때,    의 값은? [4점]

   
①  ② ③  ④  ⑤ 
   

23. 다항식       의 전개식에서 의 계수가 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9 12
10 수학 영역
24.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  , B  , C  에 대하여 26.  ≤  ≤  에서 정의된 이차함수      의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이 직선    위에 있을 때, 상수 의 최솟값이  일 때, 함수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단, 는
값을 구하시오. (단, 점 C 는 제 사분면 위의 점이다.) [3점] 양수이다.) [4점]

25. 세 양수 ,  ,  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에 서로 다른 네 점


O   , A   , B   , C   가 있다.
사각형 OABC 가 선분 OB 를 대각선으로 하는 마름모일 때,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네 점 O, A , B , C 중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다.) [3점]

10 12
수학 영역 11
27. 집합     을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   와 28.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함수  의 치역을 정의역으로 하고 집합  를 공역으로 하는      

함수       가 있다.
함수  ∘    →  가 항등함수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단, ,  는 상수이다.) [4점] 에 대하여   ∘    를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4점]

11 12
12 수학 영역
29. 그림과 같이 
AD  인 등변사다리꼴 ABCD에 대하여 30. 이차함수       (는 양의 상수)와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는 원과 선분 CD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에서 함수  의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사각형 ABCD의 넓이와 둘레의 길이를 최댓값을  라 할 때,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각각  ,  이라 하면      이다. 
BD 의 값을 구하시오.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 의 최댓값은 
 이다.
(단, 
AD  BC , 
AB 
CD ) [4점]
함수  가    와    에서 최솟값  을 가질 때,

A D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서로 다른 상수이다.)


[4점]

B C

※ 확인 사항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하시오.

12 12
고1 수학 영역 3
8.     
 일 때,    의 값은? [3점] 10. 그림과 같이 대각선의 길이가 
 인 직사각형 ABCD 의 두

①  ②  ③  ④  ⑤  꼭짓점 B , C 는 각각  ,  에 대응하는 수직선 위의 점이다. 또,


수직선 위의 두 점 P , Q 에 대하여  BA 
BP 이고

CD 
CQ 이다. 두 점 P , Q 에 대응하는 수를 각각  ,  라 할
때,   의 값은? [3점]

①    ②   
 ③   

④    
⑤   

9.    인 직각삼각형 ABC 가 있다.


그림과 같이 ∠A ° , AB
변 AC 위의 한 점 D 에서 변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고 ∠CDH ° 라 하자. cos°   일 때, 변 BC 의 길이는?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3 12
4 수학 영역 고1

11. 어느 반 학생들의  주일 동안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12. 그림과 같이 넓이가  인 정사각형  개, 한 변의 길이가
조사하여 나타낸 도수분포다각형이 그림과 같다.  이고 넓이가  인 직사각형  개, 넓이가  인 정사각형  개를
모두 사용하여 한 변의 길이가    인 직사각형을 만들었다. 이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단, 도형끼리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3점]

이 반 학생들 중  주일 동안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 시간


미만인 학생의 비율이  일 때,  의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4 12
고1 수학 영역 5
13. 다음은 어떤 모둠의 학생 명이 가장 좋아하는 수를 각각 14. 다음은 두 직선      와    를 나타낸 것이다.
하나씩 적은 것이다.

, ,  , , , , 

이 자료의 평균, 최빈값, 중앙값이 모두 같을 때,  의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로 알맞은 것은? (단, , ,


 는 상수이다.) [4점]

① ②

③ ④

5 12
6 수학 영역 고1

15. 두 일차함수   ,       의 그래프와  축으로

16. A , B 두 사람이 가위바위보를 하여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점수를 얻는다.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 이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은? (단, ≠  ) [4점] ∙ 이긴 사람은  점을 얻고 진 사람은  점을 얻는다.

∙ 비기면 두 사람 모두  점씩 얻는다.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가위바위보를  번 하고 난 결과, A 는  점을 얻었고 B 는
 점을 얻었다. 이때 A 가 이긴 횟수는?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6 12
고1 수학 영역 7
17. ∠A  °, 
AB 
AC 인 이등변삼각형 ABC 의 내심을 I , 18. 다음은 숫자가 적힌  개의 타일을 연결한 도로망과 두 지점
외심을 O 라 하자. ∠IBO  ° 일 때, ∠A 의 크기는? [4점] A , B 를 나타낸 것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도로를 따라 ↑ 방향, ↓ 방향, →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로봇이


있다. 이 로봇이 A 에서 B 까지 도로를 따라 이동했을 때 지나간
타일에 적힌 모든 수의 곱이  이었다. 지나간 타일에 적힌
모든 수의 합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7 12
8 수학 영역 고1

19.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 의 값의 범위는? [4점] 20.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각형 ABCD 가 있다.
변 CD 위의 점 P 에 대하여 직선 AP 와 선분 BD 의 교점을
(가)      Q 라 하고, 직선 AP 와 직선 BC 의 교점을 R 라 하자.
(나)    과  
 사이에 있는 정수의 개수는  이다.

①   
      
②   
      
③   
      

④   
      

⑤   
      

다음은   일 때, 선분 PC 의 길이를 구하는 과정이다.


AQ RP


CR  라 하자.

AD BR 이므로 ∆QDA ∆QBR
이다. 따라서

가      AQ RQ …… ㉠
이다.
∆PCR ∆PDA 이므로
  
RP  
AP …… ㉡
이다.

AQ    RQ
RP 이므로 AP  이다.

㉠, ㉡에서   나 이다.

따라서 
PC 다 이다.

위의 (가), (나), (다)에 알맞은 수를 각각 , ,  라 할 때,


    의 값은? [4점]

① 
 ②  ③   


④  ⑤ 

8 12
고1 수학 영역 9
21.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의 둘레를  등분한
단답형
 개의 점이 있다. 이  개의 점들 중에서  AB 가 원의 지름이
되도록 두 점 A , B 를 잡고 
AC  
CD  
DB       이 되도록 22.  ×sin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두 점 C , D 를 잡는다. 마찬가지로 이  개의 점들 중에서

AE  
EF  
FB       이 되도록 두 점 E , F 를 잡는다.
와 
AB DE 의 교점을 P , AB 와 
CF 의 교점을 Q 라 하자.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점 C 와
E 는 서로 다른 점이다.) [4점]

< 보 기 >
ㄱ. ∠ECF  °
ㄴ. 
CE 

ㄷ. 
PQ   
 23. 이차함수          의 최솟값이  일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9 12
10 수학 영역 고1

24. 그림과 같이 함수     의 그래프가 있다. 점 A  를

26. A 는 흰 공  개, 검은 공  개가 들어 있는 주머니를 가지고
있고 B 는 흰 공  개, 검은 공  개가 들어 있는 주머니를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이 함수     의 그래프와 만나는 가지고 있다. A 와 B 가 동시에 자신의 주머니에서 각각 한 개씩

  일 때, 양수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
점을 B 라 하자. AB 공을 꺼낼 때, 같은 색의 공이 나올 확률이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점]

25. 다음은 어느 학교에서 실시하는 문화 체험의 날에 할 수 있는


체험을 조사한 것이다.

오전에 가능한 체험 오후에 가능한 체험

미술관 관람 전통 시장 방문
고궁 관람 뮤지컬 관람
야구 경기 관람 축구 경기 관람

박물관 견학(오전, 오후 모두 가능)

위의  가지 체험 중에서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가지씩


선택하여 서로 다른 두 가지 체험을 하는 방법의 수를
구하시오. [3점]

10 12
고1 수학 영역 11
27. 그림과 같이 세 모서리의 길이가 , , 
 인 직육면체가 28. 다음은 어느 학교의 수학 캠프에서 두 학생이 참가자들에게
있다. 이 직육면체의 부피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 이하의 나눠줄 초콜릿을 상자에 담으면서 나눈 대화의 일부이다.
실수  의 개수를 구하시오. [4점]
모든 상자에 10개씩
상자에 초콜릿을 담으면 초콜릿이 42개
몇 개씩 담을까? 남아.

그러면 한 상자에 초 13개가 채워지지 않는


콜릿을 13개씩 담으 상자가 1개 있고 빈 상
면 어떨까? 자가 3개 남게 돼.

위 학생들의 대화를 만족시키는 상자의 개수의 최댓값을  ,


최솟값을  이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11 12
12 수학 영역 고1

29. 
AB 
AC 인 이등변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을 G 라 하고, 두 30.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육각형 모양의 종이를 다음과 같이
삼각형 GAB , GCA 의 무게중심을 각각 P , Q 라 하자. 삼각형 차례로 접는다.
APQ 의 넓이가  일 때, 삼각형 ABC 의 넓이를 구하시오.
[4점]
점 A와 점 F가
겹쳐지도록 접었다가 편
Ⅰ 후, 점 A 와 점 C 가
겹쳐지도록 접었다가
펴준다.

  와 겹쳐지도록
CD 를 BE
접는다. 이때 새로 생긴
Ⅱ 두 꼭짓점을 M, N 이라
하고   의 중점을
MN , AF
각각 X , Y 라 하자.


XM 과 
XN 을 
XY 와

겹쳐지도록 접는다.

아래 그림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접은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의 어두운 부분인 모양의 넓이가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유리수이고, 종이의 두께는
무시한다.) [4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
했는지 확인하시오.

12 12
고1 수학영역
━━━━━━━━━━━━━━━━━━━━━━━━━━━━━━━━━━━━━━━━━━━━━━━━━━━━━━━━━━━━━━━
3
7. 다항식  를    로 나눈 나머지가    이다.  을 9. 복소수            에 대하여
   로 나눈 나머지가   일 때,   의 값은? [3점]  

①  ②  ③  ④  ⑤ 
를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은?
(단,   
  이고,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8.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을  라 할 때,
     의 값은? [3점]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3 12
4 수학영역
━━━━━━━━━━━━━━━━━━━━━━━━━━━━━━━━━━━━━━━━━━━━━━━━━━━━━━━━━━━━━━━
고1

10. 다음은 다항식        을    로 나눈 몫과 11.      ,      일 때,  의 값은? [3점]


나머지를 구하기 위하여 조립제법을 이용하는 과정이다.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가  
    나   이다.
따라서, 몫은 나 이고, 나머지는  이다.

위의 (가), (나)에 들어갈 식을 각각  ,  라 할 때,


  의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12. 직선       가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에


접하도록 하는  의 최댓값은? (단,  ,  는 실수이다.)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4 12
고1 수학영역
━━━━━━━━━━━━━━━━━━━━━━━━━━━━━━━━━━━━━━━━━━━━━━━━━━━━━━━━━━━━━━━
5
13. 자동차의 엔진 속에는 원기둥 모양의 실린더가 있다. 14. 실수  에 대하여  ≤  ≤  에서 이차함수      의
실린더의 지름과 높이를 각각 보어와 스트로크라 하고,
실린더가 흡입할 수 있는 최대 기체의 양을 배기량이라 한다.  

최솟값을  라 하자.     의 값은? [4점]

보어가  ( mm ), 스트로크가  ( mm), 실린더의 개수가 ①  ②  ③  ④  ⑤ 
 (개)인 자동차의 총 배기량을  (cc)라 할 때,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고 한다.

  
 
   
 

두 자동차  ,  에 대하여  의 보어는  의 보어의  배이고,


 의 스트로크는  의 스트로크의  배이다.

실린더의 개수가 같은 두 자동차  ,  의 총 배기량을 각각

 ,  라 할 때,  의 값은? (단, 한 자동차의 실린더들은

모두 같다.) [3점]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5 12
6 수학영역
━━━━━━━━━━━━━━━━━━━━━━━━━━━━━━━━━━━━━━━━━━━━━━━━━━━━━━━━━━━━━━━
고1

15. 두 다항식  , 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16. 두 이차함수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만족시킬 때,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4점] 그림과 같이 함수   의 그래프는  축에 접하고,
두 함수    와    의 그래프는 제  사분면과
(가)   제 사분면에서 만난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나)           
(단,  ,  는 상수이다.)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O 

  

<보 기>
ㄱ.     
ㄴ.     
ㄷ.       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12
고1 수학영역
━━━━━━━━━━━━━━━━━━━━━━━━━━━━━━━━━━━━━━━━━━━━━━━━━━━━━━━━━━━━━━━
7
17. 자연수  에 대하여 두 함수     과     의 18.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삼각형 ABC 에 대하여
그래프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 B 라 하고, 점 A 와 B 에서 변 AB 위의 점 D , 변 AC 위의 점 G , 변 BC 위의 두 점 E , F 를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C , D 라 하자. 네 점 A , B , C , 꼭짓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DEFG 가 있다. 직사각형 DEFG 의
D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넓이가 이 되도록 하는  의 넓이가 최대일 때, 삼각형 DBE 에 내접하는 원의 둘레의 길이는
값은? [4점] 
   이다.    의 값은? (단,  , 는 유리수이다.)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A

D G

B E F C



①  ②  ③  ④  ⑤ 

7 12
8 수학영역
━━━━━━━━━━━━━━━━━━━━━━━━━━━━━━━━━━━━━━━━━━━━━━━━━━━━━━━━━━━━━━━
고1

19.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이 두 20. 그림은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점에서 만날 때, 그 교점의  좌표를 각각  ,  (   )라 하자.       을 나타낸 것이다.
세 점 A    , B   , C   를 꼭짓점으로 하는 직선       위의 한 점 A       에 대하여 점 A 를
삼각형 ABC 의 넓이가  일 때,  의 값은?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이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단,  는 상수이다.) [4점] 만나는 점을 B , 점 B 를 지나고  축과 평행한 직선이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 중 B 가 아닌 점을 C , 점 A 를
①  ②  ③  ④  ⑤ 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과 점 C 를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이 만나는 점을 D 라 하자. 네 점 A , B , C , D 를
꼭짓점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최댓값은?

( 
)
단,      ,  ≠  이다. [4점]

  
     

O   

①  ②  ③  ④  ⑤ 

8 12
고1 수학영역
━━━━━━━━━━━━━━━━━━━━━━━━━━━━━━━━━━━━━━━━━━━━━━━━━━━━━━━━━━━━━━━
9
21.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사차다항식  가 다음 조건을 단답형
만족시킬 때, 양수  의 값은? [4점]
22.        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가)  를    ,    로 나눈 나머지는 모두  이다. (단,      이고,  ,  는 실수이다.) [3점]
(나)   
(다)   
 는  의 인수이다.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23.    의 전개식에서  의 계수가  일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9 12
10 수학영역
━━━━━━━━━━━━━━━━━━━━━━━━━━━━━━━━━━━━━━━━━━━━━━━━━━━━━━━━━━━━━━━
고1

24.        을  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시오. 26.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의 두 근의 합이  일 때,  에
[3점] 대한 이차방정식     의 두 근의 합을 구하시오.
[4점]

25. 이차항의 계수가  인 이차다항식  에 대하여


  는    로 나누어떨어지고,   는    로
나누어떨어질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10 12
고1 수학영역
━━━━━━━━━━━━━━━━━━━━━━━━━━━━━━━━━━━━━━━━━━━━━━━━━━━━━━━━━━━━━━━
11
27.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가 28. 두 양수  ,  에 대하여 이차함수        가 다음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 B라 하고, 점 A 와 B에서 축에 내린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수선의 발을 각각 C, D라 하자. 삼각형 AOC 의 넓이를  ,
삼각형 DOB 의 넓이를  라 할 때,      을 만족시키는 (가)    의 그래프는  축에 접한다.
양수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O는 원점이고, 두 점 A , B 는 (나)   ≤  ≤  에서  의 최솟값은   이다.
각각 제 사분면과 제  사분면 위에 있다.) [4점]


     

D O C 

11 12
12 수학영역
━━━━━━━━━━━━━━━━━━━━━━━━━━━━━━━━━━━━━━━━━━━━━━━━━━━━━━━━━━━━━━━
고1

 



29.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한 변의 30.  이하의 두 자연수  ,  에 대하여  
  

 


의 값이
길이가 각각 ,  인 두 정사각형 ABCD, EFGH 가 있다. 두 음의 실수가 되도록 하는 순서쌍   의 개수를 구하시오.
정사각형의 대각선이 모두 한 점 O에서 만나고, 대각선 FH 가 (단,   
  이다.) [4점]
변 AB 를 이등분한다. 변 AD 와 EH 의 교점을 I , 변 AD 와
EF 의 교점을 J , 변 AB 와 EF 의 교점을 K 라 하자. 삼각형

AKJ 의 넓이가 삼각형 EJI 의 넓이의  배가 되도록 하는  의

값이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유리수이다.) [4점]

A J I D

F H
O

B C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4 수학 영역 고1

11. 좌표평면 위의 서로 다른 세 점 A   , B  , 12.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  , B   ,


C    이 한 직선 위에 있도록 하는 양수  의 값은? [ 점] C  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 가 있다.
∠ABC 의 이등분선이 선분 AC 의 중점을 지날 때,
①  ②  ③  ④  ⑤  양수  의 값은? [ 점]


A

B O C 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4 12
고1 수학 영역 5
13. 원          위의 점 P 와  축 위의 점 Q 가 14. 두 자연수  ,  에 대하여 이차함수       가
있다. 점 A   에 대하여 
AQ  
QP 의 최솟값은? [ 점]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가)  
(나)  의 값의 범위가    일 때,    이다.

Q
O  ①  ②  ③  ④  ⑤ 

A
        

5 12
6 수학 영역 고1

15.  에 대한 삼차방정식          의 한 허근을 16.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 라 할 때,      이다. 실수  의 값은? 
직선       이 서로 다른 두 점 P , Q 에서 만난다.

(단,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  점]
선분 PQ 의 중점 M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자.
선분 MH 의 길이가  일 때, 선분 PQ 의 길이는? [ 점]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

H
M
P

O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6 12
고1 수학 영역 7
17. 이차항의 계수가  인 이차다항식   와 일차항의 계수가 18. 그림과 같이 원      과 직선        이
 인 일차다항식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을 각각 A , B 라 하고, 점 A 를
지나고 직선    에 수직인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C 라 하자.
(가) 다항식         은    로 나누어떨어진다. 다음은 점 D    에 대하여 두 삼각형 DAB 와 DCO 의
(나) 방정식      은 중근을 갖는다. 
넓이를 각각  ,  라 할 때,    를 만족시키는 상수  의
 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단, O 는 원점이고, 점 A 의  좌표는


다항식  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가  일 때, 양수이다.)
  의 값은? [ 점]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A

O
C 

B
D

원      과 직선    가 만나는 점 A 의 좌표는
A  가   × 가  
이다.
점 A 를 지나고 직선    에 수직인 직선을  이라 하자.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나 

이다.
점 C 는 직선  과  축이 만나는 점이므로 점 C 의 좌표는

C      
이다.
점 D    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를  라 하면
 
   × 
AB×  ,    × 
OD× 
OC
 

따라서    를 만족시키는 양수  의 값은
 

  다 
이다.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 라 하고,


(다)에 알맞은 수를  라 할 때, ×  의 값은? [ 점]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7 12
8 수학 영역 고1

19. 좌표평면 위에 점 A  이 있다. 이차함수    의 20.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  , B  에 대하여

∠APB   를 만족시키는 점 P 가 있다.
 



그래프 위의 점 P      을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서로 다른 세 점 A , B , P 를 지나는 원의 중심을 C 라 하자.
선분 OC 의 길이를  라 할 때,  의 최솟값은?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Q 라 할 때, <보기>에서
(단, O 는 원점이다.) [  점]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보 기>
ㄱ.    일 때, 점 Q 의  좌표는  이다.
ㄴ. 두 직선 PQ 와 AQ 는 서로 수직이다.
ㄷ. 선분 QA 를    로 외분하는 점 R 가 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점일 때, 삼각형 RQP 의 넓이는   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8 12
고1 수학 영역 9
21.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 , B  을 단답형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  가 있다. 점 A 를 지나고
기울기가        인 직선이 원  와 만나는 점 중

A 가 아닌 점을 P 라 할 때, 선분 AP 를    로 외분하는 22.      의 전개식에서  의 계수를 구하시오. [ 점]
점을 Q , 선분 BP 와 선분 OQ 가 만나는 점을 R 라 하자.

삼각형 OBR 의 넓이가  일 때, 상수  의 값은?

(단, O 는 원점이다.) [  점]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23.  ≤  ≤  일 때, 이차함수      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 점]

9 12
10 수학 영역 고1

24.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축에 접할 때, 26. 연립부등식     ≤≤  를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를


양수  의 값을 구하시오. [  점] 구하시오. [ 점]

25. 좌표평면 위의 세 점   ,   ,    를 지나는


원의 중심의 좌표를  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점]

10 12
고1 수학 영역 11
27. 좌표평면 위에 두 원          , 28.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   (   )의
           과 직선        가 있다.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점을 A 라 하자. 점 A 를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이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와 만나는
원   위의 점 P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
점 중 A 가 아닌 점을 B 라 하고, 점 B 에서  축에 내린
원   위의 점 Q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자.
수선의 발을 C 라 하자. 사각형 OCBA 의 둘레의 길이를
선분 HH 의 길이의 최댓값을  , 최솟값을  이라 할 때,  라 할 때, 부등식  ≤ ≤  을 만족시키는
두 수  ,  의 곱  의 값을 구하시오. [  점] 모든 자연수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 점]
 



A B
O 



O C 

11 12
12 수학 영역 고1

29. 제  사분면 위의 점 A 와 제  사분면 위의 점 B 에 대하여 30. 좌표평면 위에 세 점 A  , B  , C   가 있다.
두 점 A , B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점 C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이 삼각형
OAB 와 서로 다른 세 점에서만 만나도록 하는 모든  의 값의
곱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 점]
(가) 두 점 A , B 는 직선    위에 있다.
(나) 
OB   
OA

점 A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 점 B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L 이라 하자. 직선 AL 과 직선 BH 가 만나는
점을 P , 직선 OP 가 직선 LH 와 만나는 점을 Q 라 하자.

세 점 O , Q , L 을 지나는 원의 넓이가   일 때,


OA× 
OB 의 값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 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수학 영역 3
8. 좌표평면에서 직선      이 10. 그림과 같이 세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 ,  ,    인 직육면체
원            의 중심을 지날 때, 상수 의 값은? 모양에 한 모서리의 길이가  인 정육면체 모양의 구멍이
[3점] 두 개 있는 나무 블록이 있다. 세 정수 ,  ,  에 대하여
① ② ③ ④ ⑤ 이 나무 블록의 부피를        로 나타낼 때,
 ×  ×  의 값은? (단,    ) [3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9.  ,  에 대한 연립방정식
    
      
이 오직 한 쌍의 해를 갖도록 하는 양수 의 값은? [3점]

① ② ③ ④ ⑤

3 12
4 수학 영역
11. 실수 에 대한 조건 12.  에 대한 부등식   ≤ 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 의
개수가  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의 값은? [3점]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이다.’

가 참인 명제가 되도록 하는 의 값은? [3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4 12
수학 영역 5
13. 다항식   을     로 나눈 나머지가    일 때, 14. 좌표평면 위에 점 A  과 직선         가 있다.
다항식  을    로 나눈 나머지는? [3점] 직선  위의 제 사분면 위의 점 B   와  축 위의 점 C 에
대하여 AC 
BC 의 값이 최소일 때,   의 값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 
①  ② ③  ④ ⑤ 
  

A
B

O C 

5 12
6 수학 영역
15. 일차식 에 대하여 다항식     가      16. 두 양수 ,  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의 점 P  를 지나고
으로 인수분해될 때,   의 값은? (단, 는 상수이다.) [4점] 직선 OP 에 수직인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Q라 하자.

① ② ③ ④ ⑤   

점 R     에 대하여 삼각형 OQR 의 넓이의 최솟값은?

(단, O 는 원점이다.) [4점]

  
①  ② ③  ④ ⑤ 
  

6 12
수학 영역 7
17. 좌표평면 위에 원       (    )과 18. 좌표평면 위에 두 점 A  , B  이 있다.
직선       
    이 있다. 원  와 직선  이 만나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직선  ,  의 기울기의 합의 최댓값은?
두 점을 각각 A , B 라 할 때, 호 AB 와 선분 AB 로 둘러싸인 (단, O 는 원점이다.) [4점]
부분 중에서 원점 O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의 넓이를   라
(가) 직선  은 점 O를 지난다.
하자. 다음은   를 구하는 과정이다.
(나) 두 직선  과  은 선분 AB 위의 점 P 에서 만난다.
 (다) 두 직선  과  은 삼각형 OAB 의 넓이를 삼등분한다.

A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B

O 

점 O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선분 OH 의 길이는 점 O와 직선  사이의 거리이므로

OH 가 

삼각형 OAB 에서 
OA 이므로
삼각형 OAB 의 넓이는 나  이다.
  는 부채꼴 OAB 의 넓이와 삼각형 OAB 의 넓이의 차이므로
   ×  다   나 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  라 하고,


 
   
(다)에 알맞은 수를 라 할 때,   ×   의 값은? [4점]
 

①  ②  ③  ④  ⑤ 

7 12
8 수학 영역
19. 그림과 같이 중심이 O, 반지름의 길이가  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20.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 원        와 점 A   이
 인 부채꼴 OAB 가 있다. 호 AB 위의 점 P 에서 두 선분 OA , 있다. 원  위의 제 사분면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이  축과
O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 I 라 하자. 삼각형 PIH 에 만나는 점을 B , 점 P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자.
   
AH 
HB 일 때, 삼각형 PAB 의 넓이는? [4점]
내접하는 원의 넓이가  일 때,  PH  PI 의 값은? (단, 점 P 는

점 A 도 아니고 점 B 도 아니다.) [4점] 

B
P

A O H B 

I P

 
①  ② 
 ③ 
O HA  

④  ⑤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8 12
수학 영역 9
21.  이하의 자연수 에 대하여 집합 를 단답형
        ≤  ≤    , 는 실수

라 하자.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


22. 좌표평면에서 직선       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를

보기
구하시오. [3점]
ㄱ. ∩∩   
ㄴ.  이하의 두 자연수  ,  에 대하여   ≤  이면
두 집합  과 은 서로소가 아니다.
ㄷ. 모든 와 서로소가 아니고 원소가 유한개인 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최소인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 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3. 좌표평면 위의 점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상수이다.) [3점]

9 12
10 수학 영역
24. 실수  에 대한 두 조건  ,  가 다음과 같다. 26. 좌표평면에서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   ≤  ≤ , 직선      이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 B 라 하자.

        삼각형 OAB 의 무게중심의 좌표를 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O는 원점이다.) [4점]
 가  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도록 하는 자연수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3점]

25.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B 에 대하여 선분 AB 의 중점의 좌표가


   이고, 선분 AB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가   
일 때, AB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10 12
수학 영역 11
  
27. 좌표평면에서 직선    가 두 이차함수       , 28. 복소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의 그래프와 만날 때,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    

 

개수가  인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4점] 을 만족시키는  이하의 자연수  의 개수를 구하시오.
(단,   
  ) [4점]

11 12
12 수학 영역
29. 전체집합      는  이하의 자연수의 두 부분집합 30. 두 정수  ,  에 대하여 이차함수 와 일차함수 가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 , ∩   (가) 함수  의 최댓값은  이다.


(나) 집합  의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원소의 합은 (나) 함수    의 그래프와 함수    의 그래프는
 의 배수가 아니다. 두 점    ,       에서 만난다.
(다) 집합  의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원소의 합은 (다)  ≤  ≤  인 정수 에 대하여 정수  가
 의 배수가 아니다. 부등식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  의 모든 순서쌍    의 개수는  이다.
집합  의 모든 원소의 합을    , 집합  의 모든 원소의 합을
   라 할 때,   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4점] 방정식      을 만족시키는 실근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확인 사항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하시오.

12 12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중심각의 크기의     ×    
• 수학 영역 •  이므로 점 A 의 좌표는  
 배이므로 호 AB 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따라서        

°×   °
정 답  11. [출제의도] 일차부등식을 이용하여 실생활 문제를
해결한다.
7. [출제의도] 입체도형을 이해하여 직육면체의 겉넓이
학생이 집에서 출발하여 갈 때 이동한 거리를
1 ② 2 ③ 3 ④ 4 ① 5 ② 를 구한다.
 km 라 하자.
6 ① 7 ⑤ 8 ③ 9 ③ 10 ④ 직육면체의 높이를  라 하면 부피는
거리
11 ② 12 ③ 13 ② 14 ⑤ 15 ③  ×  ×    ,    시간   이므로
속력
16 ④ 17 ⑤ 18 ① 19 ④ 20 ①
직육면체의 겉넓이는
21 ② 22  23  24  25  
갈 때 걸리는 시간   시간
 × (밑면의 넓이)  (옆면의 넓이)   ×   × ×  
26  27  28  29  30 
      
돌아올 때 걸리는 시간   시간

해 설 8. [출제의도] 도수분포표를 이해하여 계급의 도수를 구 집에서 출발하여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걸리는 전체
한다. 시간은
조사한 학생의 수가  이고   
   
1. [출제의도] 근호를 포함한 식의 값을 계산한다. 키가  cm 미만인 학생의 수는   이므로   
   이 학생이 집에서 출발하여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이
 ×    ×   



 동한 전체 시간이  시간 이하가 되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조사한 학생의 수가  이므로  
              학생이 집에서 출발하여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이동
2. [출제의도] 다항식을 정리하여 일차항의 계수를 계산
따라서    한 거리는  이므로
한다. 
9. [출제의도]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의 관계를 이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 상수의 값을 구한다. 
따라서 이동한 거리의 최댓값은  km
 두 일차방정식 
     
따라서 일차항의 계수는         ⋯⋯ ㉠
12.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하여
       ⋯⋯ ㉡
점의 좌표를 구한다.
3. [출제의도] 삼각비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가   이므로
계산한다.    ,    을 ㉠, ㉡에 각각 대입하면

AB
삼각형 ABC 에서 cos°       ,     

,  에 대한 연립방정식

AB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과 ㉣을 변끼리 더하면
4.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을 이해하여 직선의  절편 
   ,   

을 구한다.

두 점    ,  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    을 ㉢에 대입하면

 절편을  라 하자.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A 와 B 의
 
 ×      ,     좌표가 서로 같으므로 직선 AB 는  축에 평행하고
     
    이므로
    선분 AB 의 수직이등분선은 이차함수    의 그
따라서       
두 점   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래프의 축이다.
     축의 방정식을    라 하자.
1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이해하여 조건을
이 직선이 점    을 지나므로 선분 AB 와 직선    가 만나는 점을 H 라 하면
만족시키는 점의 좌표를 구한다.
    ×   
AH 
BH 에서
      

5. [출제의도] 상관관계를 이해하여 적절한 산점도를 추  

론한다. 직선 CD 는 직선 AB 에 평행하므로 직선 CD 도  축
일일 최저 기온이 높을수록 일일 난방비가 감소하므 에 평행한 직선이다.
로 두 변량  , 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점 C 의  좌표가  이므로 직선 CD 의 방정식은   
따라서  와 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산점도로 점 D  는 직선    위에 있으므로   
가장 적절한 것은 다음과 같다. 
선분 CD 와 직선    가 만나는 점을 I 라 하면

  
CI 
DI 이고 점 C 의  좌표가  보다 크므로   
 
점 B 는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 
   
 
만나는 점이므로

이차함수  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따라서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점 B 의 좌표는   13. [출제의도] 다항식의 인수분해를 이해하여 조건을
점 A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 라 하면 만족시키는 값을 구한다.
6. [출제의도] 원주각과 중심각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여

원주각의 크기를 구한다. ∆OAB   × 
OB× 
AH          

      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
  ×  ×   에서     ,   
호 AB 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는 
 그러므로    , 즉 점 A 의  좌표가  이므로 ,  는 자연수이므로 가능한 ,  ,  의 값은 다음 표
°×   °
 이차함수        에    ,    를 대입하면 와 같다.

1
  
직선 CD 와 선분 BE 가 만나는 점을 H 라 하자. 점 D 는 선분 AH 위에 있다.
   세 점 C , D, H 는 선분 BE 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점 삼각형 ABC 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  이므로 선분 AH 와 선분 BC 는 서로 수직이다.
   
BD    
ED , BC EC ,  
BH  EH 무게중심의 성질에 의해 
AD 
DH     이므로
   두 삼각형 BCD, ECD 에서 
AH 
DH   
따라서 실수  의 최솟값은  
BD    
ED , BC EC 이고 선분 CD 는 공통이므로 두 삼각형 ABC , DPQ 의 닮음비는    이므로
두 삼각형 BCD, ECD 는 합동인 이등변삼각형이다.   
BC PQ
14. [출제의도] 일차방정식을 이용하여 실생활 문제를
∠CBD  ∠CED  ∠CDB  ∠CDE ⋯⋯ ㉡ 
AB  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AC  BC 
해결한다.
∠ADE  ∠ADB  ∠CDB  ∠CDE  ° 따라서
동전을  번 던질 때, 앞면이 나온 횟수를  이라 하
㉠, ㉡에서  
면 뒷면이 나온 횟수는    이다. PQ 
∠ADB  ∠CDB  ∠CDE  ∠CED  ° 
두 조건 (가), (나)에서 두 점 P , Q 의 위치는 각각   HQ 이므로
BC  
EC , 
BH  
EH 이고 선분 CH 는 공통이므로 PH
P , Q   
두 삼각형 BCH , ECH 는 서로 합동이다. BP  
QC
이때, 두 점 P, Q 사이의 거리가  이므로
          
∠CEB  ∠CEH  ∠CBH
∠CDE  ∠EDH  °, ∠BED  ∠DEH 이고


 
 ×    
   
     
AB AC  이고 두 삼각형 ABC , DPQ 의
삼각형 DHE 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 이므로
따라서 동전의 앞면이 나온 횟수는  닮음비가    이므로
∠EDH  ∠DEH  ∠DHE

15.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을 이해하여 주어진 선분의  ∠EDH  ∠CED  ∠CEB ∠DHE   
DP DQ 

길이를 구한다.  ° ° ∠CEB °  °
  DE
PE  DP
점 B 를 중심으로 하고 점 A 를 지나는 따라서 ∠CEB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AB 이므로  
   
17.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이해하여 주어진  
  
BP , PC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수의 값을 구한다. 

같은 방법으로 
QF  
점 C 를 중심으로 하고 점 P 를 지나는  
  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
PC 이므로
      

DE 
DF   
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EF

CQ  
PC     따라서 모양 도형의 둘레의 길이는
이므로 점 A 의 좌표는   
     
∆ABP  × 

AB× 
B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CQ   × 
PC × 
CQ     
  이므로 점 B 의 좌표는     19. [출제의도] 정비례 관계, 반비례 관계를 이해하여
□ABCD  이므로 
  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상수의 값을 구한다.
□APQD  □ABCD  ∆ABP ∆PCQ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점 C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OACB  ∆OAC  ∆OC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점 R 의 좌표를   라 하면 점 P 의  좌표는  이
   또는       이므로   
   다.

     이므로    두 점 R , Q 는 정비례 관계    의 그래프 위의 점
 18. [출제의도]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성질을 이해하여
이고, 점 Q 의  좌표가 점 R 의  좌표의  배이므로
주어진 도형의 둘레의 길이를 구한다.
16. [출제의도] 평면도형의 성질을 이해하여 각의 크기 점 Q 의 좌표는   이다.
를 구한다. 
두 점 P, Q 는 반비례 관계    의 그래프 위의 점


이고, 점 P 의  좌표가 점 Q 의  좌표의  배이므로

점 P 의  좌표는 점 Q 의  좌표의  배이다.
그러므로 점 P 의 좌표는   이다.
점 Q 에서 선분 RP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QH      

RP    
선분 BC 가 두 선분 DE , DF 와 만나는 점을 각각 P,

Q 라 하자. ∆PRQ   × 
RP× 
QH

 AC
AB  이고 ∠CAB  ° 이므로

  × ×
∠ABC  ∠ACB  ° 
사각형 ABCD 는 마름모이므로 두 대각선 AC 와 BD  DF
DE  이고 ∠FDE  ° 이므로 
  
는 서로의 수직이등분선이다. 
∠DEF  ∠DFE  °
두 대각선 AC 와 BD 가 만나는 점을 M이라 하면  EF
 이므로 
BC ∆PRQ   이므로   

AM  
MC ,  
BM  MD 
∠DPQ  ∠DEF  ° (동위각) 
∠AMB  ∠CMB  ∠CMD  ∠AMD  °
∠DQP  ∠DFE  ° (동위각)
점 P   는 반비례 관계    의 그래프 위의

이므로 네 삼각형 AMB , CMB , CMD, AMD 는 서로
삼각형 ABC 와 삼각형 DPQ 는 서로 닮은 도형이다. 
합동이다. 점이므로    ,   
선분 BC 의 중점을 H 라 하자. 
∠ADB  ∠CDB ⋯⋯ ㉠ 따라서   
점 D 가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이므로

2

OD   
OI DI     QC
 
20. [출제의도] 삼각비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   ×  AP PB BQ CR 
RA 

   
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   CR
  PB 


      
 PB CR

 
따라서  
PB CR 

∆ODE   × 
OD× 
EI 그러므로 삼각형 ADE 의 둘레의 길이는

  
AD DE EA  
AB 
CA

  × × 

 AP 
PB 
CR RA
   
   PB CR
  ×   × 


 
  

  

 
  (참)
점 F 에서 선분 OD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자. 

OF  라 하면
21. [출제의도] 삼각형의 내심의 성질과 피타고라스 정

OH
직각삼각형 OFH 에서 cos    이므로 리를 이용하여 참, 거짓을 추론한다.

OF
 
OH
 
 
 


OH  

부채꼴 OAB 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 하면
  
OH  
  이므로
 
  OF BF

   ㄷ. 
PB 
BQ , 
QC 
CR 이므로


BC  
BQ 
QC
 

ㄱ. 직선 DE 와 직선 BC 가 평행하므로 PB 
CR


     ∠IBC  ∠BID (엇각) 
 


점 I 가 삼각형 ABC 의 내심이므로 ∠IBC  ∠IBD 점 A 에서 직선 BC 에 내린
  가 되어 ∠BID  ∠IBD (참)

  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    
∆ABC   × 
BC× 
AH
 

     

 ×  
 ×
  × AH
 
 ×
 
  
 
 이므로 
AH 

  

직선 DE 와 선분 AH 가 만나는 점을 S 라 하면
  

 
× ∠BQI  ∠BHA  ° 이므로

 두 직선 IQ 와 AH 는 서로 평행하다.

 직선 BC 와 직선 DE 가 평행하므로 사각형 IQHS
 
 가 평행사변형이 되어
ㄴ. ∠BID  ∠IBD 이므로 
SH 
점 E 에서 선분 OD 에 내린 수선의 발을 I 라 하고 IQ 
 삼각형 DBI 는 
DB 
DI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
AS   
OI  라 하면 AH SH
그러므로 
∠EOI  ∠AOB  ∠AOC  ∠DOB  

AB AD 
DB 
 ° ° ° °
직각삼각형 EOI 에서 
AD 
DI 


tan∠EOI  tan  같은 방법으로  CA  
IE EA
 DI
 IE
 이므로 ∠BAC 는 공통, ∠ADE  ∠ABC (동위각)

EI DE


이므로 두 삼각형 ABC , ADE 는 서로 닮은 도형이
OI 삼각형 ADE 의 둘레의 길이는
  고 닮음비는

EI AD DE 
EA    
AD  DI IE  
EA
  
      
AD DI IE 
EA       
 


EI   ×tan  
 AB CA 그러므로
  점 I 에서 세 선분 AB , BC , CA 에 내린 수선의 

DE   × 
BC

OA 
OD 인 이등변삼각형 AOD 에서 발을 각각 P, Q, R 라 하면 피타고라스 정리에 
∠AOD  ∠AOC  ∠COD 의해 
  ×


 ∠AOC  ∠EOI   
AP   

 ° ° °     
 (거짓)

이므로 삼각형 AOD 가 직각삼각형이다. , 
AP RA 는 점 A 에서 내접원에 그은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그러므로 ∠EDI  ∠ADO  ° 접선이므로
tan∠EDI  tan°   22.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을 이용하여 상수의 값
AP RA

EI 을 계산한다.


같은 방법으로  , 
PB BQ QC 
CR
DI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이    이므로
∆ABC  ∆ABI  ∆BCI  ∆CAI
  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   

DI  × 
AB×   × 
BC×   × 
CA×
    
  
     
DI  
×  
  × 
AB 
BC 
CA 
tan°  따라서   
 


3
크다.  의 공약수가 되어야 한다.
23. [출제의도]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를 계산한다.
변량의 개수가 짝수이고 중앙값이  이므로 이때 모양의 종이의 내부에 붙이는 정사각형
연립일차방정식
 모양의 종이의 개수가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 ㉠   
 ⋯⋯ ㉡
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한 변의 길이가  ,  ,  의
에서 ㉠과 ㉡을 변끼리 더하면 최대공약수  이 되어야 한다.
평균이  이므로
   그러므로 붙이는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  개의
   
  


넓이는   
   를 ㉠에 대입하면 □AGIH  □GBEI  □HIFD÷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붙일 수 있는 종이의 개수의 최솟값은 
이므로 구하는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는 자료의 값을 크기순으로 정렬하면 28. [출제의도]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의 개
  ,     ,  ,  ,  , ,  ,  ,  수를 추론한다.
이므로    ,    이므로 최빈값은  이다. 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개수는
따라서         
    이므로
24. [출제의도] 평면도형의 성질을 이해하여 각의 크기 따라서          
       
를 구한다. 27. [출제의도]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실생활 문제를    이므로     이고  ,  가 자연수이므로
해결한다.   도 자연수이다.
   이고     이므로
세 자연수  , ,   중  가 가장 큰 자연수이다.
 을 소인수분해하면
   × ×
 는  의 가장 큰 소인수이므로   
 는  의 소인수이고    이므로    또는   
(ⅰ)    인 경우
삼각형 ABC 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이 ° 이므로     × ×     
∠A  ∠B  ∠C  ° (ⅱ)    인 경우
그림과 같이 선분 AB 에 수직이고 점 F 를 지나는
∠B  °, ∠C  ° 이므로     × ×     
직선이 선분 AB 와 만나는 점을 G,
∠A  ° ° ° (ⅰ), (ⅱ)에 의하여     일 때
선분 BC 에 수직이고 점 E 를 지나는 직선이 선분
 °    ,   
DA 와 만나는 점을 H ,
한편, 두 선분 AB 와 DC 가 서로 평행하므로 따라서     
두 선분 GF 와 EH 가 만나는 점을 I 라 하자.
∠ACD  ∠A  ° (엇각)
직사각형 AGIH 의 내부에 정사각형을 서로 겹치지 29. [출제의도]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
삼각형 CDF 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이 ° 이므로
않고 빈틈없이 붙이려면 붙이는 정사각형 모양의 를 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FCD  ∠CDF ∠DFC  °
종이의 한 변의 길이가 두 선분 AG, GI 의 길이의
∠DFC  ° ° °
공약수가 되어야 한다.
 °
이때 붙이는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개수가 최소가
∠EFC  ° ∠DFC
되기 위해서는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한 변의
 ° °
길이가 두 선분 AG, GI 의 길이의 최대공약수가
 °
되어야 한다.
따라서   
같은 방법으로 직사각형 GBEI 의 내부에 정사각형
25. [출제의도]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를 모양의 종이를 서로 겹치지 않고 빈틈없이 붙일 때,
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붙이는 종이의 개수가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 의 약수는  ,  ,  ,  이다.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한 변의 길이가 두 선분 GB ,
,  는  이상 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 의 약수 중 BE 의 길이의 최대공약수가 되어야 한다.
  의 값으로 가능한 것은  또는  이다. 같은 방법으로 직사각형 HIFD 의 내부에 정사각형
(ⅰ)     인 경우 모양의 종이를 서로 겹치지 않고 빈틈없이 붙일 때,
   이면    붙이는 종이의 개수가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이므로 가능한 순서쌍의 개수는   의 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한 변의 길이가 두 선분 HI ,  
두 삼각형 EDG, EBC 에서 DG BC 이므로
(ⅱ)     인 경우 IF 의 길이의 최대공약수가 되어야 한다. 두 삼각형 EDG, EBC 는 서로 닮은 도형이다.
   이면    
AG  , 
GI  에서       이므로
DE DB
   이면       ×    DG
DE BE   BC    
   이면       ×  ×  
BC  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BD BE
   이면     와  의 최대공약수는  ×  
두 삼각형 EDG 와 EBC 의 닮음비가    이므로
   이면    
GB  , 
BE  에서
넓이의 비는        이고
이므로 가능한 순서쌍의 개수는    × ∆EBC   ×∆EDG
  ,   ,   ,   ,   ,   의     ×  ×  ㉠에서
(ⅰ), (ⅱ)에서 가능한 모든 순서쌍   의 개수는 이므로  
  ∆BCD   ×∆EBC   ×   ×∆EDG    × ∆EDG
 과  의 최대공약수는  ×    

HI  , 
IF  에서 두 삼각형 AFD, ABC 에서 FD  BC
 이므로
26. [출제의도] 중앙값, 평균의 의미를 이해하여 자료의
변량을 추론하고 그 최빈값을 구한다.    × 두 삼각형 AFD, ABC 는 서로 닮은 도형이다.
   × × 
FD 
BC     이므로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 라 하자.
이므로 
AD 
AC    
,  를 제외한 자료의 값을 크기순으로 정렬하면

 과  의 최대공약수는  ×         ⋯⋯ ㉡
DC AC
, , , , , 
중앙값인  보다 작은 값의 개수는  ,  ,  ,  의  세 직사각형 AGIH , GBEI , HIFD 에 합동인 정사각형 두 삼각형 AFD 와 ABC 의 닮음비가    이므로
이고 변량의 개수가  이므로  와  는 모두  보다 모양의 종이를 붙여야 하므로 한 변의 길이는  ,  , 넓이의 비는        이고

4
 
∆ABC   × ∆AFD   이다.
 
㉡에서
   
∆BCD   ×∆ABC   ×   
   

삼각형 BCD의 넓이는  × ∆EDG   이므로


∆EDG  

   ,   
따라서        

30. [출제의도] 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선분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AB 
CB , 선분 BE 는 공통, ∠AEB  ∠CEB  ° 이므
로 두 삼각형 ABE , CBE 는 서로 합동이다.
그러므로  
AE CE
직선 BD 는 삼각형 ABC 의 변 AC 의 수직이등분선이
므로 외접원  의 중심은 선분 BD 위에 있다.
원  의 중심을 O, 선분 OF 와 선분 CD 가 만나는 점
을 G 라 하자.
원  외부의 점 F 에서 원  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
는 같으므로  
FC FD

FC 
FD , 
OC 
OD , ∠OCF  ∠ODF  ° 이므로
두 삼각형 OCF , ODF 는 서로 합동이다.

OC   가 공통이고 ∠COG  ∠DOG 이므로
OD , OG
두 삼각형 COG , DOG 는 서로 합동이다.
 , 
CD⊥OF 
CG DG
 
그러므로 CD CG  
DG  × DG
각 BAC 와 각 BDC 는 호 BC 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BAC  ∠BDC , 즉 ∠BAE  ∠EDC
∠ABE  ° ∠BAE  ° ∠EDC  ∠FDG

AB 
FD  , ∠ABE  ∠FDG , ∠AEB  ∠FGD  °
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ABE , FDG 는 서로 합동이다.
 
그러므로 BE DG
∠EAB  ∠EDC , ∠AEB  ∠DEC  ° 이므로
두 삼각형 ABE , DCE 는 서로 닮음이다.

AB 
BE 
DC 
CE 에서

BE × 
DC  
AB × CE

DC   × 
DG   × 
BE 이므로

×
BE  
AB × 
CE
직각삼각형 ABE 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       
AB  
BE  
AE , 즉 
BE  AB AE

 ×  AE  
 
AB   AB × 
CE
  라 하면
AE

CE  
AE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5
2023학년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9. [출제의도] 곱셈공식을 활용하여 연립방정식 문제 라 하자.


• 수학 영역 • 해결하기  
    ,     이므로
연립방정식  
  
      ⋯ ㉠  


  
정 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과 ㉡ 에 의해    
1 ⑤ 2 ① 3 ④ 4 ⑤ 5 ③               
6 ④ 7 ③ 8 ① 9 ③ 10 ④ 따라서    이다.
이므로      ⋯ ㉢  
11 ② 12 ② 13 ③ 14 ① 15 ②
㉡ 과 ㉢ 을 더하면    ,    이고
16 ③ 17 ② 18 ⑤ 19 ④ 20 ① 15.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문제 해결하기
21 ⑤ 22  23  24  25     을 ㉡ 에 대입하면     이므로
   ,    두 점 P , Q 는 각각
26  27  28  29  30 
따라서      이다. P     , Q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PQ
10. [출제의도]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해 설 
AB   이고 
AB⊥ PQ 이므로 사각형 PAQB 의 넓이는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이    이므로
   
 에    를 대입하면  × AB× PQ        이다.
 
1.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                   사각형 PAQB 의 넓이를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2.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  는    일 때 최솟값  를 갖는다.
               11.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따라서 사각형 PAQB 의 넓이의 최솟값은  이다.
      두 상수  ,  에 대해        라 하자.
조건 (가)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해    이므로 16. [출제의도] 삼차방정식 이해하기
3.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계산하기
    ⋯ ㉠ (ⅰ)  이  에 대한 방정식      의 근일 경우
 
         라 하면   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조건 (나)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해
  가    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  ,    이므로         이고
나머지정리에 의해
      ⋯ ㉡ 방정식        의 판별식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면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방정식         은
4. [출제의도] 항등식의 성질 이해하기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지 않는다.
12.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해하기
등식           가  에 대한 항등식 (ⅱ)  이  에 대한 방정식          의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 
이므로            에서    ,     근일 경우
따라서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       
5. [출제의도] 절댓값을 포함한 일차부등식 계산하기      
방정식        이 두 실근  ,  를 가지므로
부등식     를 풀면
       방정식         은 서로 다른
        이므로      
세 실근  ,  ,  를 갖는다.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에서 따라서 (ⅰ), (ⅱ)에 의해
6.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이므로
이해하기           이고    이다.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          의 17. [출제의도]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 이해하기
직선      가 만나지 않도록 하려면 판별식            이므로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와

         에서 삼차방정식              
직선      이 만나는 점의  좌표는      에서
이차방정식          의 판별식 의 서로 다른 두 허근  ,  는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실근  ,  (  )와
 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  의
같으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이므로 자연수  는  ,  ,  ,  서로 다른 두 허근과 같다.
 
따라서 자연수  의 개수는  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고 직선      의 기울기가
7. [출제의도] 다항식의 연산 이해하기 한편, CA
따라서        이다. 
BC 
BC
   이라 하면 
 이므로     에서     
BC  
 ×       ×     
 
13. [출제의도] 나머지정리를 이용하여 다항식의 나눗셈 CA 
  
 
 ×      ×   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에서

8. [출제의도] 인수분해 계산하기


     
㉡ 에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14. [출제의도] 다항식의 연산을 활용한 실생활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해결하기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절대 온도가  인 이상 기체가 담긴 두 강철 용기  
이다.  ,  에 대하여 각 강철 용기에 담긴 이상 기체의 이다.
몰수를 각각  ,  라 하고, 압력을 각각  , 

1
2023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18. [출제의도] 사차방정식 이해하기 두 점 C , D 의  좌표를 각각  ,  라 하면


    
   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    은 방정식        에서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근의 공식에 의해 CD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CD  
AB   로 일정하다. (참)

  
ㄷ. 
CD  
AB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CD AB   이므로 CD  
  

  
    AB   , 
CD   이고,
그러므로   

 
  또는  



   
  
AB



   에서    이다.
   
 
즉,   

 
  또는  


 
  에서  O    

점 B 의  좌표는  이고,
  
  
     또는       또는
   (ⅱ)    ≤  인 경우
 ≤  ≤  에서 함수  의 최댓값은 
방정식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또는  이고
 ≤  ≤  에서 함수  의 최솟값은
 
이므로    또는    이다.
  
방정식    이 정수해를 갖기 위해서는


이   이므로
조건 (나)에 의해 ≤  이다.
점 C 의  좌표는 점 D 의  좌표보다 작으므로
자연수가 되어야 한다.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  점 C 의  좌표는  이고 BC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이어야 하므로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참)
따라서   BC
 이하의 자연수  의 값은  ,  ,  

     
(ⅰ)    인 경우
    또는    또는    22. [출제의도] 다항식의 연산 이해하기
이므로 서로 다른 세 개의 정수해를 가진다.                  
(ⅱ)    인 경우 따라서  의 계수는  이다.
    또는     또는    또는   
23. [출제의도] 이차부등식 계산하기
이므로 서로 다른 네 개의 정수해를 가진다.
이차항의 계수가  이고 해가   ≤  ≤  인
(ⅲ)    인 경우
이차부등식은     ≤ 
    또는     또는    또는   
이므로 서로 다른 네 개의 정수해를 가진다.      ≤  이므로     ,    
(ⅰ), (ⅱ), (ⅲ)에 의해 방정식    이 O      따라서    이다.
서로 다른 네 개의 정수해를 갖도록 하는  이하의 (   ≤  인 경우) 24.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모든  의 값은  ,  이다.       다항식    를      로 나누었을 때의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몫을   , 나머지를    라 하면
     이다.
            
19. [출제의도] 다항식의 연산을 이용하여 도형 문제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해결하기    를 대입하면      ⋯ ㉡

CH   , 
BH   이고  ㉠ 과 ㉡ 을 연립하면    ,    이다.
O    
따라서      이다.
 
삼각형 ABC 의 넓이가  이므로 
AB   (   ≤  인 경우)
  25.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해하기
직각삼각형 AHC 와 직각삼각형 CHB 는 닮음이므로 (ⅲ)    ≤  인 경우
 ≤  ≤  에서 함수  의 최댓값은  이고 이차방정식  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CH
AH  CH  BH
 이다.
 ≤  ≤  에서 함수  의 최솟값은  이다.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즉,    이고     이다.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또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  ,    이다.
한편, 다항식         을      으로
 
나누었을 때의 몫은    , 나머지는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     
이다.
이다. 따라서 (ⅰ), (ⅱ), (ⅲ)에 의해
26.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문제 해결하기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2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추론하기
         
함수     이므로 21.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        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추론하기
다항식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 이고, 조건 (가)에 의해  ≤  ≤  이다. ㄱ. 방정식        의 해는   이다.
(ⅰ)    인 경우    또는    이므로 점 C   , 점 D   에서 따라서    ×      이다.
 ≤  ≤  에서 함수  의 최댓값과 
CD   이다. (참)
 ≤  ≤  에서 함수  의 최솟값은
ㄴ. 방정식    의 해는
 으로 같으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킨다.
  ± 
 이므로 점 A 
   , 점 B
  
그러므로         
에서 
AB  

2
2023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27. [출제의도] 절댓값을 포함한 일차부등식과 직선    와 만나는 점의  좌표는  

이차부등식을 이용하여 연립부등식 이해하기 


       에서
(ⅰ)  

    인 경우

 에 대한 연립부등식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의 실근과 같으므로


   ,    일 때    은 최댓값  를 갖는다.
에서 부등식 ㉠ 의 해는       에서    이고, (ⅱ)

 


     인 경우
     또는      이다.
세 점 A , B , H 는 각각
이차부등식 ㉡ 의 해는 

          ≤  에서  
   


A    , B    , H    이다.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   일 때    은 최댓값  를 갖는다.


 
(ⅰ)  ≤  또는  ≥  인 경우        따라서 (ⅰ), (ⅱ)에 의해    의 최댓값은  이다.

①  ≤  인 경우

B  
  30. [출제의도] 부등식을 활용하여 이차함수의 그래프
추론하기
조건 (가)에서   ( ≠ )

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     
  는 일차식이어야 하므로
②  ≥  인 경우
       ( ≠ )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A  
        이고
부등식    ≥  의 해가  ≥  이므로

C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두 부등식 ㉠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조건 (다)를 만족시키려면 함수
O 
자연수  의 개수는  이상이다.

  
H         가
(ⅱ)    인 경우    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한편, 삼각형 BOH 의 넓이를   , 삼각형 AOH 의

넓이를   라 할 때,            가 성립한다.    이고,    에서   

     조건 (나)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두 조건 (가), (나)에서      이다.
부등식 ㉠ 은     이므로 해는 
 방정식  ×    이
   또는    이다. 두 부등식 ㉠ , ㉡ 을 
실근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동시에 만족시키는 자연수는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방정식     은 실근을 갖지 않고,
(ⅲ)    인 경우
29. [출제의도]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방정식     도 실근을 갖지 않아야 한다.
 즉, 함수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가

 이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의 만나지 않고, 함수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도
값은 다음과 같다. 만나지 않으므로 직선    는
    
 두 함수    ,    의 그래프 사이에 있다.
 
부등식 ㉠ 은     이므로 해는    ,  ,  , ⋯ ,  일 때,  


그러므로 정수  는 함수  의 최댓값인   보다
   또는    이다. 두 부등식 ㉠ , ㉡ 을  크고, 함수  의 최솟값인  보다 작다.

   ,  ,  , ⋯ ,  일 때,  
 
동시에 만족시키는 자연수는  ,  이다.  
   
(ⅳ)    인 경우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부등식 ㉠ 은     이므로 해는    O
   또는    이다. 두 부등식 ㉠ , ㉡ 을  
   ,  ,  , ⋯ ,  일 때,  
 
  
동시에 만족시키는 자연수는  ,  이다.   
따라서 (ⅰ), (ⅱ), (ⅲ), (ⅳ)에 의해   
   ,  ,  , ⋯ ,  일 때,  
 
자연수  의 값은  ,  ,  이므로 
  
모든 자연수  의 값의 합은  이다. 

   ,  ,  , ⋯ ,  일 때,  
 

28.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를 
이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이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의 값은 다음과
  
 같다.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 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가  이므로
    ,  ,  , ⋯ ,  일 때,   
 
직선    와 한 점에서만 만나므로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에서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일 때,       의 최댓값은  이다.

이차방정식          의 판별식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또는

 
    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3
2023학년도 9월
고1 정답 및 해설 전국연합학력평가

근이  ,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 


정사각형 ABCD 의 한 변의 길이는 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수학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A     과 직선  사이의 거리는 정사각형
ABCD 의 한 변의 길이와 같으므로
9. [출제의도] 연립이차방정식 이해하기  ×    ×    
정답   

  
  

1 ④ 2 ③ 3 ② 4 ④ 5 ⑤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또는   
㉠ 에서      을 ㉡ 에 대입하면 따라서    이므로   
6 ③ 7 ② 8 ① 9 ③ 10 ⑤
11 ② 12 ④ 13 ④ 14 ⑤ 15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15.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16 ③ 17 ① 18 ① 19 ③ 20 ⑤
따라서           관계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21 ④ 22  23  24
25  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를  축에 대하여
26  27  28  29  30 
10. [출제의도] 두 직선의 평행 조건 이해하기 대칭이동한 후,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의
직선        의 기울기가  이므로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해설 이 직선과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도  이다. 함수      의 그래프라 하면
기울기가  이고 점      를 지나는 직선의        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직선      에
1.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 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면
11. [출제의도] 원의 방정식 이해하기
2. [출제의도] 항등식의 성질 이해하기          
 
이차함수                
등식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 A 의 좌표는       
,  
원              에서 16. [출제의도] 대칭이동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따라서      


3. [출제의도] 두 점 사이의 거리 계산하기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OA  
            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 

  
B′ 
      이므로    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 A 와 원의 중심이 Q A
 P
일치하므로     ,       O 
4. [출제의도] 연립일차부등식 계산하기  B
A′
   ≤  에서  ≥  ⋯ ㉠ ,   ′
       에서    ⋯ ㉡ 따라서      

㉠ , ㉡ 에서  ≤   
12. [출제의도] 연립이차부등식 이해하기 원   을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을   ′ ,
정수  는  ,  ,  , 
부등식       ≤  의 해는 원   를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을
따라서 모든 정수  의 개수는 
     ≤  에서   ≤  ≤  ⋯ ㉠   ′ 이라 하면
5.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부등식         의 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인 모든 실수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에서   ≤    또는    ≤  점 A 를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 ,
,   정수  는   ,   ,  ,  ,  ,  ,  ,  점 B 를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따라서      따라서 모든 정수  의 개수는  B′ 이라 하면 두 점 A ′ , B′ 은 각각 원   ′ , 원
  ′ 위의 점이다.
6. [출제의도] 다항식의 인수분해 이해하기 13. [출제의도] 이차부등식 이해하기

AP  
A ′P , 
QB 
QB′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의   
AP  PQ QB 의 값은 네 점 A ′ , P , Q , B′ 이
양변에    을 대입하면      판별식을  라 하자.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두 원   ′ ,   ′ 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 위에
이차부등식              이
7. [출제의도] 선분의 외분점 이해하기 있을 때 최소이고, 두 원   ′ ,   ′ 의 반지름의
성립하기 위해서는    이어야 한다.
선분 AB 를    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길이가 모두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AP PQ  QB   A ′ P 
PQ 
QB′ ≥  A ′ B′
         ,     
 
정수  은  ,  ,  A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모든 정수  의 값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점이 직선    위에 따라서  AP  PQ  QB 의 최솟값은 
있으므로      14. [출제의도]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따라서    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17.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두 점      ,      을 지나는 직선  의 문제해결하기
8.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방정식은        좌표평면에서 점 B 를 원점으로 하고 점 A 의
이해하기  좌표를      , 점 C 의 좌표를      이라
정사각형 ABCD 의 넓이가  이므로
  하자.
이차방정식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6 16
2023학년도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직선  의 방정식을        이라 하고 

A HP D
원점 O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PR    
        

  
하면 원의 중심에서 현에 내린 수선은 그 현을 

Q
수직이등분하므로 AH  

      

    


OA  
 이고 삼각형 AHO 가 삼각형 PQR 는 
PQ 
QR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 OH  
 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
PQ  (참)

OH 는 원점 O 와 직선  사이의 거리와 

   ×    ×    
O  B C 같으므로   


       Q B
직선 AC 의 방정식은        A
 
R
점 B     을 지나고 직선 AC 에 수직인 직선 두 점 A , B 는 직선          이
BP 의 방정식은    원        과 만나는 점이므로

점 D 의 좌표를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점 P 는 선분 AD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   또는     
점 P 의 좌표는    

   두 점 A , B 의 좌표는
각각       ,        이고 P 
점 P 는 직선 BP 위의 점이므로 점 C 는 점 A 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과 O D EC 
 일치하므로 점 C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점 C 를 지나고  축과 평행한 직선이 직선  과
점 P 의 좌표는      , 점 D 의 좌표는     
만나는 점 D 의 좌표는       
점 Q 는 두 직선 AC , BP 가 만나는 점이므로 21. [출제의도]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를
,  
활용하여 추론하기
점 Q 의 좌표는

 
 

   따라서      
 에 대한 이차방정식
점 Q 에서 선분 AD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      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
20. [출제의도] 원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추론하기
하면 삼각형 AQD 의 넓이는  ,  를 갖기 위해서는 실수  에 대하여
ㄱ.    일 때, 점 P 는 선분 OA 의
   


 
× AD × QH   ×  ×     
     중점이므로 점 P 의 좌표는      (참)    
  
또는 
  
  
이다.
ㄴ. 세 점 P , Q , R 의 좌표는 각각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 의 개수가
18. [출제의도] 삼차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두 직선
   ,    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는
  또는  이다.
방정식     의 한 실근을  , 서로 다른 두 직선 PQ 의 기울기는 

허근을  ,  라 하면 방정식       의 (ⅰ) 만나는 점의 개수가  인 경우

   직선 QR 의 기울기는   만나는 점의  좌표를 작은 수부터 크기 순서대로
세 근은  ,  ,  
    ,  ,  이라 하자.
두 직선 PQ , QR 의 기울기의 곱이   이므로
조건 (가)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이고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고 선분 PR 는 원  의
조건 (나)에 의하여
지름이다.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 의 개수가
  
 이고     이므로  이므로 함수      의 그래프는 세 점
    점 S 의 좌표를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을 모두 지나야
   ,      ⋯ ㉡
직선 PS 의 기울기는   한다.
㉠ , ㉡ 에 의하여  ,  ,  를 세 근으로 하고
직선 SR 의 기울기는      
삼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방정식은
두 직선 PS , SR 의 기울기의 곱이   이므로
          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고 점 S 는 선분 PR 를
                 
  
지름으로 하는 원  위의 점이다. (참)
 ,  ,   
따라서       
A Q B
19. [출제의도]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R

   
     
        
P     이므로    이고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점      에서 직선    에 접하므로
A
       
O S C 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 

H ㄷ. 선분 PR 를 지름으로 하고 중심의 좌표가 두 점      ,      를 지나므로
    인 원  가  축과 만나는 서로 다른 두        에서    또는   
O 
 
B

 
 
점을 D    , E    이라 하면
      ,   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점      에서 직선
  
D C 

DE   
     에 접하므로

7 16
2023학년도 9월
고1 정답 및 해설 전국연합학력평가

             이고 따라서 모든 정수  의 값의 합은            


두 점      ,      을 지나므로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24.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이해하기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의 28.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를
(ⅱ) 만나는 점의 개수가  인 경우 판별식을  라 하면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갖기 위해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B E
자연수  는  ,  ,  ,  ,  ,  ,    
따라서 모든 자연수  의 개수는 

25.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허근 이해하기


D
이차방정식           의 한 허근을

      ( 는 실수,      )이라 하면 C


    켤레복소수       도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    
     근이다.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만나는 점의  좌표를 작은 수부터 크기 순서대로  
     ⋯ ㉠ O 
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 두 점 A , B 는 직선    와 함수
    ,     ,     ,     이고 
㉠ 에서    를 ㉡ 에 대입하면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이므로
함수  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 좌표를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또는   
      또는   
두 점 A , B 의 좌표는 각각
         따라서 양의 실수  의 값은 
      ,     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 의 개수가
두 점 C , D 는 직선    와 함수
 이므로 함수      의 그래프는 네 점 26. [출제의도]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     ,      ,      ,     
점이므로
중 세 점만을 지나야 한다. 원        위의 점 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ㄱ) 두 점      ,      을 지나는 경우
이 접선이 원              과             
㉠ 에 의하여 함수      의 그래프의
        
꼭짓점의  좌표는  이고 이차함수의 만나려면 원의 중심      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  가 반지름의      또는   
그래프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     의
길이      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두 점 C , D 의 좌표는 각각
그래프가 두 점      ,      중
 ×    ×              ,     
한 점만을 지날 수 없으므로 모든 실수  의     ≤  이므로
값이  ,  ,  ,  로  개가 되어 조건을  
  
    직선    와 직선    가 만나는 점을 E 라
자연수  의 최솟값은  하면
만족시키지 않는다.
   ,   
(ㄴ) 두 점      ,      를 지나는 경우
27. [출제의도] 나머지정리를 활용하여 점 E 의 좌표는     
㉠ 에 의하여 함수      의 그래프의 
문제해결하기 AE        
꼭짓점의  좌표는  이고 이차함수의
다항식         을     로 나누었을 
BE      
그래프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두 점      ,      중 때의 나머지가     이므로 점 C          와 직선    사이의
나머지     의 차수는     의 거리를  이라 하면
한 점만을 지날 수 없으므로 모든 실수  의
차수보다 낮아야 한다.              
값이  ,  ,  ,  로  개가 되어 조건을
다항식    의 차수가  이 아니면     의
만족시키지 않는다. 삼각형 ACE 의 넓이를   이라 하면
차수와     의 차수는 같아지므로    의
(ⅰ), (ⅱ)에 의하여  
차수는  이다.   × 
A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실수)라 하자.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상수이므로   
점 D       과 직선    사이의 거리를
     에 대하여
22.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위 식을 정리하면 삼각형 BDE 의 넓이를   라 하면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출제의도] 절댓값을 포함한 일차부등식               
계산하기 사각형 ACDB 의 넓이를  라 하면
이므로      
부등식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를    으로 나눈 나머지는  이므로
    ,      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정수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16
2023학년도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     에서 사각형 ACDB 의 넓이는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원이  축과 (ㄴ)    인 경우
   축에 동시에 접하기 위해서는 평행이동한 원의         
   일 때, 최댓값    을 갖는다.
  중심의 좌표가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
(ⅰ) 평행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가      인   
29. [출제의도]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경우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점       는 직선    와 함수
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이다.
 C
(ⅱ) 평행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가 O 

       인 경우
M
G
O
    이므로     ,   는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가 만나는 점의  좌표이므로 방정식
 따라서 점       는 직선    와 함수
A B           의 근이다.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이다.
    이므로    이고
(ⅲ) 평행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인 경우
 
   이므로           ⋯ ㉠

삼각형 ABC 에서 변 BC 의 중점을 M     , 따라서 점       는 직선      와 함수   ,   는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을 G 라 하면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이다.    가 만나는 점의  좌표이므로 방정식
점 G      은 선분 AM 을    로 내분하는 (ⅳ) 평행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가         의 근이다.
점이다.       인 경우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점       는 직선      와 함수   은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에서   
 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이다.      가 접하는 점의  좌표이므로 방정식
이므로 점 M 의 좌표는     
(ⅰ)∼ (ⅳ)에 의하여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          의 중근이다.
중심이 원점 O 이고
세 직선      ,    ,      가 만나는 
세 점 A       , B , C 를 지나는     ⋯ ㉢
서로 다른 점의 개수가  이다. 
원을  라 하면  OA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는 실수)라 방정식            의 판별식을
 
       하자.  라 하면         ×    ⋯ ㉣
원점 O , M     를 지나는 직선을  이라 하면 (ㄱ)    인 경우 ㉠ , ㉡ , ㉢ 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점 M     를 지나고 직선  과 수직인 직선을
      ⋯ ㉤
 라 하면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의 중심에서 현에 내린 수선은 그 현을  
                 
수직이등분하므로 삼각형 ABC 의 O  
두 점 B , C 는 직선  와 원  가 만나는  따라서    
점이다.      
        
 , 
OB  OM  

삼각형 OMB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
BM  
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세 직선 
  
BC  BM          ,    ,      가 만나는 점의    
점 A       과 직선          개수가  이고     을 만족시키는 경우
사이의 거리를  라 하면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가
  ×    ×        점       에서 만나고   는 함수
  

  
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가
이므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만나는 점의  좌표이므로   ≤  ≤   에서
      함수    의 최솟값은   가 되어 조건을
 × BC ×    ×   ×      
    만족시키지 않는다.
   ,   
따라서         

30. [출제의도] 평행이동을 활용하여 추론하기


중심이 함수      의 그래프 위에 있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의 중심의 좌표를
      라 하자.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9 16
    또는     또는   이고,
• 2교시 수학 영역 • 8. [출제의도] 복소수의 뜻과 연산 이해하기
               에서
복소수 의 실수부분이 이므로
    또는      이므로
    (는 실수)라 하자.
1 ⑤ 2 ① 3 ④ 4 ② 5 ③ 실수 에 대한 두 조건 , 의 진리집합을
       
6 ① 7 ③ 8 ⑤ 9 ② 10 ①       각각  ,  라 하면
   
11 ① 12 ④ 13 ④ 14 ④ 15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⑤ 17 ① 18 ② 19 ③ 20 ① 
     가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려면  ⊂ 
21 ⑤ 22 25 23 4 24 5 25 9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26 15 27 16 28 148 29 26 30 6 
      이면   ,
에서   
      이면   ,
1.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따라서       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9. [출제의도] 두 점 사이의 거리 이해하기 따라서 모든 정수 의 값의 곱은
점 P 는 직선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2. [출제의도] 집합의 포함 관계 이해하기
점 P 의 좌표를    라 하자.
∈ ,  ⊂  이므로 ∈ 14. [출제의도] 원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AP    
BP 에서 AP

BP 이므로
따라서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3.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해하기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원  의 중심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따라서 점 P 의 좌표는       이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 



4. [출제의도] 연립부등식 계산하기    
⋯㉠

OP    
 


  
 
 원  의 중심이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10. [출제의도] 인수분해 이해하기
㉠에서  ≥ 이고 ㉡에서  ≤ 이므로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는 

    라 하면
≤≤ 삼각형 ABP 의 밑변을 선분 AB 라 하면
          
따라서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선분 AB 는 원  의 지름이므로 삼각형 ABP 의
           
모든 정수 의 값의 합은        높이의 최댓값은 원  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        
5. [출제의도] 평행이동 이해하기 그러므로 삼각형 ABP 의 넓이의 최댓값은
에서    ,   ,   

원         의 중심의 좌표는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원          의 중심의 좌표는    11. [출제의도] 연립부등식 이해하기     ,   
점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 따라서     

   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       ⋯㉡ 15. [출제의도] 역함수를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이므로        에서
㉠에서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에서      
따라서      함수 가 역함수를 가지므로     
가 자연수이므로    또는   
6. [출제의도] 합성함수 이해하기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이므로
연립부등식이 해를 갖지 않으려면
 ∘ ∘    ∘  ∘    
 ≤ ,  ≥ 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따라서 자연수 의 개수는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12. [출제의도] 대칭이동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함수 가 역함수를 가지므로 일대일대응이다.
7. [출제의도]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이해하기
점 A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선분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P , A′ 이라 하면 점 A′ 의 좌표는   이다. 따라서   

선분 AC 를   로 외분하는 점을 Q 라 하자. 
AP 
BP 
A′ P 
BP ≥ 
A′ B 에서 <참고>
점 C 는 선분 AQ 의 중점이고
점 P  은 선분 A′ B 위에 있다.      
   
두 점 P , Q 의 좌표가 서로 같으므로     
직선 AP 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AC 
CP 
PB       ≥ 
직선 A′ P  은 직선 A′ B 와 같다.
그러므로 점 C 는 선분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다. 16. [출제의도]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활용하여 문제해

직선 A′ P  의 방정식은       결하기
B 
 
P Q 점   가 직선       위에 있으므로 유리함수     (  )의 그래프의
 
C
 두 점근선은   ,    이고
A   ×    

 ×    ×  × × 

 

A    , B      , C   이다.

    ,      13. [출제의도] 필요조건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유리함수   의 그래프와 사각형 OBCA 는
       에서
따라서      그림과 같다.

6
 다항식  를     로 나누었을 때의     


    나머지도  이므로
 
D
        

P
     
 A  에서   
A B
O  D
따라서        
P
19. [출제의도] 무리함수를 이용하여 추론하기

C 점 P 의 좌표를 ( ≥ )이라 하면 O C C 
B 
    에서     
21. [출제의도] 집합의 연산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점 P 의 좌표는       이다.
ㄱ. ∩ ∩  이면
두 곡선   와      는 직선   에
 ∩  에서   ∩ ∩  
대하여 서로 대칭이고 두 직선 과   는
사각형 OBCA 의 넓이를  라 하면   ≥   ∩ ∩   이므로
서로 수직이므로 두 점 P 와 Q 는 직선   에   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는 삼각형 OCA 의 넓이와 삼각형 OBC 의 넓이의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그러므로 ∩ ∩ ≠  (참)
합과 같다.
그러므로 삼각형 OPQ 의 외접원의 중심을 C 라 하면 ㄴ. ∩ ∩  이면
점 C 에서 축,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점 C 는 직선    위에 있다.  ∩  ∩ ∩   ∩ ∩   
각각 D , E 라 하면
점 C 의 좌표를   (  )이라 하면 이므로  ∩ ∩   
 
  × 
OA × 
CD  × 
OB × 
CE 삼각형 OPQ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

CO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삼각형 OPQ 의 외접원의 넓이는  이다.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삼각형 OPQ 의 외접원의 넓이가  일 때, ∩ ∩   ∩ ∩  
17.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와 최소를 이용하여 추 
론하기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그러므로
이차함수          의 그래프의
  ∩ ∩ 
꼭짓점의 좌표는     이고 점 C 의 좌표는  





  이고,
  ∩ ∩    (참)
직선     은 점   을 지난다.

CP 
CO 에서 

CP  

CO 이므로 ㄷ.  ∩  이므로 ㄱ에 의하여
     이므로 함수   의 그래프와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은 그림과 같다.  
(ⅰ) ∩ ∩  일 때
      ㄴ에 의하여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ⅱ) ∩ ∩  일 때
따라서 점 P 의 좌표는  이다.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표현하면
 
그림과 같다.
20. [출제의도]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활용하여 문

  제해결하기
O   
∠APB  인 점 P 는 두 점 A  , B  를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  위의 점이다.  
    이므로  ≤  ≤ 에서 함수 의
점 P 는 중심의 좌표가 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최댓값은 , 최솟값은   
원  위의 점이면서 선분 CD 위의 점이므로 
     에서   

         에서      이므로 직선         와 원  가 서로 만날 때   

   ,   
 
선분 CD 위에 ∠APB  인 점 P 가 존재한다.
따라서   ≤  ≤ 에서 함수 의 최솟값은 점   와 직선    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출제의도] 항등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이므로 직선 과 원  가 서로 만나려면     
다항식  를 로 나누었을 때의 이고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의 값이

나머지      는 상수이므로  
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      (  은 상수)
   
   
 ×  ×   의 값이
 ≤≤ 
       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    ,     
다항식  는   
   
 (a)   ,   일 때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다항식이고

7
(b)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함수 는
×  ×    ×  ×         에서   이므로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그러므로
(c)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따라서 두 접선의 기울기의 합은 
(ⅰ), (ⅱ)에 의하여 ×  ×   의         
최댓값은 , 최솟값은  27. [출제의도] 삼차방정식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의 삼차방정식         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참) 30. [출제의도] 이차함수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   또는  , 는 실수 
 ≠ 이므로
   , 는 실수 ∪  , 는 실수 
22.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이해하기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허근이 , 
이다.
이므로 집합    또는  , 는 실수의
이차방정식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자.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원소는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       이 중근을 가지므로  
 ,  
 에서  
   

직선   의 교점의 좌표 또는
      에서    그러므로  

     

   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직선   의

23.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은   ,    교점의 좌표이다.
     이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   , 
   일 때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의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꼭짓점의 좌표는     
따라서    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의
   일 때도 
마찬가지로     ,    
24. [출제의도] 연립이차방정식 이해하기 꼭짓점의 좌표는   
따라서   

⋯㉠          에서   

  
28. [출제의도] 다항식의 곱셈공식을 활용하여 문제해 
       ⋯㉡ 결하기 두 이차함수   ,   의
㉡에서       
AB , 
AD , 
AE 라 하면
       이므로


    이므로      ⋯ ㉢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는
         
AC 
CF 
FA 
㉠, ㉢에서   ,   

      
AC 
CF 
FA ≠ 일 때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에서   , 는 실수 
25. [출제의도] ‘모든’, ‘어떤’을 포함한 명제 이해하기
       ∩  , 는 실수  ∅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 의      일 때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삼각형 AFC 의 넓이)
  , 는 실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AFC 의 넓이)
    
  

∩  , 는 실수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어떤 실수 에 대하여     이므로 두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 및
   
AC  
CF  
FA              직선   는 그림과 같다.
   ≥ 에서  ≥ 
        
정수 에 대한 두 조건 , 의 진리집합을      
            
각각  ,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두 조건 , 가 모두 참인 29. [출제의도] 일대일함수를 이용하여 추론하기
명제가 되도록 하는 정수 의 값은 , , 이다.     ×   에서
따라서 모든 정수 의 값의 합은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26. [출제의도] 두 직선의 위치 관계를 활용하여 문제 집합  의 모든 원소 에 대하여 

해결하기   또는  이다.



 에서       ,      ,
점   를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  가     이므로    O 

곡선       에 접하므로 이차함수   의 그래프는



          에서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 직선   (   )은 이차함수   의

이차방정식             의   라 하면 함수 는 일대일함수가 그래프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고,
판별식을  라 하면 아니다. 그러므로     이차함수   의 그래프는 직선    에

             에서   ,     대하여 대칭이다.



                 라 하면 함수 는 그러므로 집합   , 는 실수 의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그러므로      모든 원소의 합은   ⋯ ㉢
이차방정식            은
  이라 하면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ⅰ)      일 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않는다. 그러므로    직선   는
두 근을   ,   라 하면
× ×  에서  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만나지 않으므로
두 접선의 기울기는 각각   ,   이다.   , 는 실수  ∅이고
    이므로   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      ㉢에 의하여   
이차함수   의 그래프는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ⅱ)   일 때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
직선    은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8
한 점   에서 만나므로
  , 는 실수  이고
㉠, ㉢에 의하여    
 
(ⅲ)        또는      일 때
 
직선   는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이차함수   의 그래프는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집합   , 는 실수 의
모든 원소의 합은  이고
㉠, ㉢에 의하여    

(ⅳ)      일 때


직선      은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이차함수   의 그래프는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집합   , 는 실수 의
모든 원소의 합은  이고
 
㉡, ㉢에 의하여           
 
(ⅰ) ~ (ⅳ)에 의하여 함수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함수 의 치역은

            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9

즉, OA OB  
OC    ,    를 ㉠에 대입하면
• 수학 영역 • 삼각형 OAB 는 
OA  
OB 인 이등변삼각형이고    ,   
이등변삼각형의 두 밑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그러므로 두 직선이 만나는 점의 좌표는   이다.
∠OAB  ∠ABO    ,    을 ㉡에 대입하면
정 답    
삼각형 OCA 는 
OA  
OC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OCA  ∠CAO  ° 
따라서   

1 ② 2 ⑤ 3 ⑤ 4 ④ 5 ③ 삼각형 OBC 는  OB  OC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6 ④ 7 ④ 8 ① 9 ② 10 ③ ∠OBC  ∠BCO  ° 10. [출제의도] 실수의 대소 관계를 이해하여 주어진
11 ⑤ 12 ③ 13 ① 14 ① 15 ⑤
이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의 개수를 구한다.
16 ② 17 ③ 18 ④ 19 ③ 20 ①
21 ② 22 11 23 8 24 234 25 84 ∠ABC  ∠ABO  ∠OBC      이므로
26 7 27 5 28 10 29 13 30 320  ∠ABO  °     
 
 ∠OAB  ° ⋯⋯ ㉠      
 
∠BCA  ∠BCO  ∠OCA 또한       이므로
해 설  ° ° ⋯⋯ ㉡     
  
∠CAB  ∠CAO  ∠OAB 따라서     보다 크고   
 보다 작은 정수의
1. [출제의도] 근호를 포함한 식의 값을 계산한다.  ° ∠ OAB ⋯⋯ ㉢ 개수는  ,  ,  ,  ,  ,  ,  ,  ,  의  이다.
   삼각형 ABC 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 이므로
 

×   



 
 ×
  ∠ABC  ∠BCA  ∠CAB  ° 11. [출제의도]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이차방정
㉠, ㉡, ㉢에서 식의 해를 구한다.
 

 
  × ∠OAB  ° ° ° 직각삼각형에서 가장 긴 변이 빗변이므로

∠OAB  ° °  °    이 빗변의 길이다.
2. [출제의도] 다항식을 전개하여 일차항의 계수를 구한 따라서 ∠OAB 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다.         

             7. [출제의도] 일차부등식을 이해하여 상수의 값을 구한
            
     
다.
      

따라서 다항식      의 전개식에서   ≤ 근의 공식에 의하여

 의 계수는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3. [출제의도] 삼각비의 값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계산   ≤  
 ± 
한다.  ≥   

  일차부등식의 해가  ≥  이므로
sin °× cos°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12. [출제의도] 일차방정식을 이용하여 실생활 문제와
따라서   
 관련된 값을 구한다.
4.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를 구
한다. 8. [출제의도] 입체도형의 부피를 이용하여 원기둥의 겉 이 학교에서 구입한 구슬을 한 상자에  개씩

        넓이를 구한다.  개의 상자에 담았을 때  개의 구슬이 남으므로

          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 이고 높이가  인 구슬의 총 개수는
    ⋯⋯ ㉠

         원뿔의 밑넓이는  ×    이므로 부피는
 한편, 구슬을 한 상자에  개씩    개의 상자에 담
      
 × ×  
 았을 때  개의 구슬이 남으므로 구슬의 총 개수는
이므로
원기둥의 밑넓이는  ×    이므로     ⋯⋯ ㉡
이차함수         의 그래프의
원기둥의 높이를  라 하면 ㉠, ㉡에서
꼭짓점의 좌표는   이다.
부피는  ×           
따라서  좌표는  이다.
원뿔과 원기둥의 부피가 서로 같으므로       
5. [출제의도] 히스토그램을 이해하여 실생활 문제와 관       ,   
련된 자료의 값을 구한다. 그러므로    따라서 이 학교에서 구입한 구슬의 총 개수는
한 달 동안의 봉사 시간이 원기둥의 전개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 ×    
 시간 이상  시간 미만인 학생의 수는  ,
13. [출제의도]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을 풀
 시간 이상  시간 미만인 학생의 수는 
고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값을 구한다.
이므로 한 달 동안의 봉사 시간이
      
 시간 이상  시간 미만인 학생의 수는
     
    
    또는   
6. [출제의도] 삼각형의 외심의 성질을 이용하여 각의 (ⅰ)     이 공통인 해인 경우
크기를 구한다.        에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원기둥의 옆넓이는  ××        
따라서 원기둥의 겉넓이는  ×    
(ⅱ)    가 공통인 해인 경우
9. [출제의도]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이해하여 연립일
       에
차방정식을 푼다.
   를 대입하면
두 직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ABC 의 외접원의 중심이 O 이므로 가 만나는 점이  축 위에 있으므로 교점의 좌표를
(ⅰ), (ⅱ)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 의 값
세 선분 OA , OB , OC 는 이 원의 반지름이다.   라 하자.
의 합은       

1
   
14. [출제의도] 반비례 관계를 이해하여 반비례 관계식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   이고
   
을 구한다.
점 A 는 직선    위의 점이므로 점 A 의 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점은 반비례 관계    의 그래프 위의 점 (ⅲ)        인 경우
  

이므로 A  
 
점 B 는 직선    위의 점이므로 점 B 의  좌표는 
이웃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
 
 이고 이 점은 반비례 관계    의 그래프 위의 점
    
      이고        이므로    이고

 
이므로 B   
 따라서 기말고사 점수가 중간고사 점수보다 높은
   

학생의 수는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ⅳ)        ,       ,        인
      
ㄷ. ㄱ에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점수에 변화가 없 경우는    이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는 학생의 수는  , 
(ⅰ)~(ⅳ)에서  의 최댓값은 

중간고사 점수가 기말고사 점수보다

 점 낮은 학생의 수는  , 마찬가지 방법으로    인 경우   의 최댓값은 

 점 낮은 학생의 수는  , 
 점 낮은 학생의 수는  ,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

 점 낮은 학생의 수는  ,
17. [출제의도] 경우의 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사건의
중간고사 점수가 기말고사 점수보다
확률을 구한다.
 점 높은 학생의 수는  ,
 점 높은 학생의 수는  ,
한 개의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나올 수 있는 모든
그림과 같이 직선    가  축과 만나는 점을 D, 경우의 수는  ×  
 점 높은 학생의 수는 
직선    가  축과 만나는 점을 E 라 하면  ×  × 가  × 의 배수가 되기 위해서는
이다.
D  , E   가  의 배수이어야 한다.
학급 학생  명에 대하여
삼각형 ODA 와 삼각형 OBE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ⅰ)    인 경우
(중간고사 점수의 총합)  (기말고사 점수의 총합)
    ×  ×  의 값이  × 의 배수가 되도록 하는
∆ODA   × OD × A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은  , 
 
  × ×  (ⅱ)    인 경우
   
 이므로 중간고사 점수의 총합은 기말고사 점수의  ×  ×  의 값이  × 의 배수가 되도록 하는

 총합보다  점 높다.  의 값은  , 
 (ⅲ)    인 경우
∆OBE   × 
OE× 
BE 그러므로 중간고사 점수의 평균은 기말고사 점수

의 평균보다 크다. (참)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  ×  ×  ×
 
 [보충 설명]   ×    × 

 학급 학생  명의 중간고사 점수의 총합은 이므로
사각형 ODCE 는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각형이므로  점이고 기말고사 점수의 총합은  점이므로  ×    ×  가  ×  의 배수가 되도록 하는
□OACB  □ODCE  ∆ODA  ∆OBE   의 값은  ,  ,  , 
중간고사 점수의 평균은    (점)이고
   (ⅰ)~(ⅲ)에서  ×  ×  가  ×  의 배수인
  ×    
  
기말고사 점수의 평균은    (점)이므로 ,  의 모든 순서쌍   의 개수는
  
  ,   ,
 중간고사 점수의 평균이 기말고사 점수의 평균보다
   ,   ,
  점 크다.
  ,   ,   ,  

따라서    16. [출제의도] 수직선 위에서 실수의 대소 관계를 추 의  이다.

론한다.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  
 
15. [출제의도] 산점도를 이해하여 <보기>의 참, 거짓  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 라 하자.
을 추론한다.
이웃한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서로 같으면서 18. [출제의도] 삼각형과 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ㄱ.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점수에 변화가 없는 학생  
네 실수 , ,  ,  의 대소 관계로 가능한 경우는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과정을 추론한다.
의 수는 그림에서 대각선 위의 점의 개수와 같다.  
다음과 같다.
 
(ⅰ)        인 경우
 

   
    이므로 이웃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이 되어   이다.
 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 하면 DE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삼각형 ADE 와 삼각형 ABC 에서
  
AD  
AB 
AE 
AC    이고 각 A 는 공통이므로
(ⅱ)        인 경우
 
따라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점수에 변화가 없 삼각형 ADE 와 삼각형 ABC 는 서로 닮음이고
는 학생의 수는  이다. (참) 닮음비는    이다. 따라서
ㄴ. 기말고사 점수가 중간고사 점수보다 높은 학생의 
BC   × 
DE  

수는 그림에서 대각선의 위쪽에 있는 점의 개수 이웃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 점 D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I 라 하면

와 같다. 선분 DE 가 지름인 원이 선분 BC 에 접하므로

2
   ±     
DI      × ×   OA  
OC  
AC
 
점 A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 ×    
AC  
OA  
OC
삼각형 BID 와 삼각형 BHA 에서  ± 
      

각 B 는 공통이고 ∠BID  ∠BHA  ° 이므로  
그러므로 AC
 ± 
삼각형 BID 와 삼각형 BHA 는 서로 닮음이고 
 따라서 점 A 의 좌표는   이다.
닮음비는    이다.
  ± 
그러므로 21. [출제의도]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
   이므로     


AH   × 
DI   ×  이고 를 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   2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용하여 그림과 같이 점 B 에서 선분 CD 의 연장선 위에 내린


∆ABC   × BC× AH
 상수의 값을 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수선의 발을 F 라 하자.

  × × 

 
 
이므로     이고    이므로    이다.
삼각형 ADE 와 삼각형 ABC 는 닮음비가    이므로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   이다.
두 삼각형 ADE , BDF 에서 ∠DEA  ∠DFB  ° 이고

∆ADE   ×∆ABC   이다. 맞꼭지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ADE  ∠BDF

삼각형 FDE 에서 꼭짓점 F 는 원 위의 점이고 그러므로 삼각형 ADE 와 삼각형 BDF 는
각 DFE 는 호 DE 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서로 닮음이다.

AD  
BD     이므로       이다.
AE  BF
∠DFE  ° 이다.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는 
AE  이므로 
삼각형 ADE 와 삼각형 ABC 가 서로 닮음이므로 BF 
원점을 지나고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삼각형 BEF 는 ∠EFB  °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FDE  ∠ABC  °
 점 A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C 라 하면
DE    이므로 DF  , 
EF 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삼각형 OAB 의 넓이는    
그러므로 삼각형 FDE 의 넓이는 BF  
EF  
BE
     
     × OB × OC   × OA × BH  
EF  

BE  

 × DF× EF   × ×
   BF
 
        
  × ×   × 
OA ×
       
이다.  
이므로 OA 그러므로 
EF 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AFE 의 넓이는   
 직각삼각형 AOC 에서 
ED  
DF    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ED   , 
이다. DF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에서 × ×  
 OA  
OC  
AC 그러므로
     
AC  OA OC 
19. [출제의도] 원주각의 성질을 이용하여 선분의 길이 ∆ADC   × 
DC× 
AE
      
를 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  
그러므로 AC   ×   × 
DE EC AE

따라서 점 A 의 좌표는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원점을 지나므로  


    ,     ∆DBC   × 
DC× 
B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E EC BF
   
각 ACB 와 각 AEB 는 호 AB 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
    ×   × 
∠ACB  ∠AEB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ADB  ∠AEB  ° 이고 
∠ADB  ∠ADE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 
∠AEB  ∠ADE
삼각형 BOH 는 ∠OHB  °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ABC  ∆ADC  ∆DBC
각 ADE 와 각 BDC 는 맞꼭지각이므로
   
∠ADE  ∠BDC 이고 ∠HBO  ∠BOH  °
 AC 이므로 ∠ACB  ∠ABC 또한 ∠BOH  ∠AOC  ° 이므로  
AB
∠HBO  ∠AOC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삼각형 ABC 와 삼각형 BCD 에서
두 삼각형 BOH , OAC 에서 [다른 풀이]
∠ABC  ∠BCD, ∠ACB  ∠BDC 이므로
삼각형 ABC 와 삼각형 BCD 는 서로 닮음이다. ∠OHB  ∠ACO  ° 이고 그림과 같이 선분 AE 의 연장선 위에 
BF
DC 가


BC  라 하면 
AE  이고 ∠HBO  ∠AOC 이므로 되도록 하는 점을 F 라 하자.
 
삼각형 ADE 는 AD AE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삼각형 BOH 와 삼각형 OAC 는 서로 닮음이다.
    
AD  AE BO   ,    이므로
BH  , OC

따라서 
AC     OA
 
BO BH 
OC
삼각형 ABC 와 삼각형 BCD 는 서로 닮음이므로
 
  OA   
AB  
BC 
BC  
CD 

        
× 
OA  × 

    

OA 
     
근의 공식에 의하여 삼각형 OAC 는 ∠OCA  °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
BD   ×  
AD 에서 AD BD     이고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BF
DE  이므로       이다.
AE  EF

3
  
AE  이므로 EF
26. [출제의도] 주어진 상황을 이차방정식으로 표현하 28. [출제의도] 중앙값과 평균의 의미를 이해하여 자료
삼각형 EBF 는 ∠EFB  °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고 선분의 길이를 구한다. 의 변량을 추론하고 그 분산을 구한다.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 
자료의 개수가  이므로 중앙값은 변량을 작은 값부

BF  
EF  
BE
터 크기순으로 나열하였을 때, 네 번째 변량과 다섯
   
BF  
BE  
EF 번째 변량의 평균이다.
       ≤  ≤  라 하자.
   ≤  이면 중앙값이  이 될 수 없으므로   
 
그러므로 BF 주어진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삼각형 ADE 와 삼각형 ABF 는 서로 닮음이고  ,  ,  ,  , ⋯ 이므로 네 번째 변량은  이다.
닮음비가    이므로 
DE  
BF     중앙값이  이므로 , , ,  중

AC  라 하자. 사각형 ACDE 는 정사각형이므로

BF   이므로 
DE   다섯 번째 변량은  이고
□ACDE  
그러므로 
선분 CD 를 삼등분하는 점 중 점 D 에 가까운 점이  
 
∆ADC   × 
DC× 
AE
 F 이므로 CF   


 한편, 평균이  이므로
  × 
DE 
EC × 
AE 
BC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BFC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그러므로
 
주어진 자료는  ,  ,  ,  ,  ,  ,  ,  이고
두 삼각형 ADC 와 DBC 의 넓이의 비는 □ACDE  ∆BFC       
  평균이  이므로 이 자료의 편차는 차례로
선분 AD 와 선분 DB 의 길이의 비와 같고
    ,   ,  ,   ,  ,  , , 

AD  
DB     이므로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분산은
∆ADC  ∆DBC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DBC   × ∆ADC 이므로   
    
     
∆DBC   ×   
        29.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함숫값
∆ABC  ∆ADC  ∆DBC      을 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삼각형 ADB 가 ∠ADB  °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   또는   
    빗변은 선분 AB 이고, 
AD  
BD 이다.
 점 D 에서 선분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     이므로   

직선 DH 는 선분 AB 의 수직이등분선이다.
22.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의 상수의 값을 구한다.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한편,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직선      가 점    를 지나므로 두 점 A 와 B 의  좌표는 같으므로
27. [출제의도] 삼각비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
    ,    를 대입하면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선분 AB 의 수직이등분선은
   ×   
삼각형 OHQ 에서 
OQ  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의 축이다.
  

HQ 그러므로 점 D 는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와 축의
  sin ° 이므로
23. [출제의도] 다항식의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자연수 
OQ 교점이므로 꼭짓점이다.
의 값을 구한다. 
HQ  
OQ × sin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두 일차식    ,    은
다항식      의 인수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 의 값은  이다.

24. [출제의도] 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을 이용하여


미지수의 값을 구한다.
 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 ×    이므로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  라 하면
그림과 같이 BC
° ×   ° 이다.
그림과 같이 선분 AP 를 그으면 
AC  × 
BC 이므로 
AC 
그러므로
∠A  ∠B  ∠C  ∠D  ∠E  °  °  °  °  ° 각 OPA 는 반원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삼각형 DHA 는 ∠DHA  °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 ∠OPA  °  
DH  AH
따라서      삼각형 OAP 에서 
 ×
AB

OP 
  cos ° 이므로
25. [출제의도] 소인수분해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
OA 
  ×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의 최댓값을 구한다.   cos° 
OP  OA×
 은  의 배수이므로  를 소인수로 가진다.  

  ×   
 
두 자리의 자연수 중  의 배수인 것을  ∆ADB   × 
AB× 
DH

큰 수부터 소인수분해하면   
PQ  OQ OP


   ×    × 의 소인수의 개수는  ,  의  ,    
   ×× 

   ×     × 의 소인수의 개수는  ,  의  , 삼각형 PHQ 에서 ∠HQP  ° 이므로  

   ×    × 의 소인수의 개수는  ,  의  , 
△PHQ   × 
HQ × PQ × sin °  
 
   ×    × ×  의 소인수의 개수는  ,  ,  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점 A 의 좌표는    ,
  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B 의 좌표는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두 자리 자연수의 최댓값은  점 D 의 좌표는   

4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     (  는 상수)
   의 그래프가 점   을 지나므로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30. [출제의도]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


를 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두 삼각형 ACD , ECF 에서 


AD 
EF 이므로
삼각형 ACD 와 삼각형 ECF 는 서로 닮음이다.

AD  
     이므로
    ,
CD  

CF  
     ⋯⋯ ㉠
두 삼각형 DEF, DBC 에서 
EF
BC 이므로
삼각형 DEF 와 삼각형 DBC 는 서로 닮음이다.

EF  
 
DF  
    이므로

BC 
두 삼각형 EGF, CGB 에서 
EF
BC 이므로
삼각형 EGF 와 삼각형 CGB 는 서로 닮음이다.

FG  
 
EG  
 
EF  
    ⋯⋯ ㉡
두 삼각형 AED , CEB 에서 AD   BC 이므로
삼각형 AED 와 삼각형 CEB 는 서로 닮음이다.

AD     
 DE      ⋯⋯ ㉢

삼각형 EGF 의 넓이를  라 하면


㉡에서
∆EBG   ×∆EGF 
∆FGC   × ∆EGF 
㉠에서
  
∆DEF  ×∆ECF  ∆EGF  ∆FGC   
  
∆ABE  ∆ABD  ∆AED  ∆ACD  ∆AED
 ∆DEC  ∆DEF ∆EGF ∆FGC
 
         
 
㉡에서
두 삼각형 EGF 와 GBC 의 닮음비가    이므로
넓이의 비는        이 되어
∆GBC   ×∆EGF
 
㉢에서
두 삼각형 AED 와 CEB 의 닮음비가    이므로
넓이의 비는        가 되어

∆AED   ×∆CEB


  ∆EBG  ∆GBC

 
        
 
사다리꼴 ABCD 의 넓이는
∆ABE  ∆EBG  ∆GBC  ∆FGC  ∆EGF
 ∆DEF ∆AE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삼각형 EGF 의 넓이의  배이다.

 
따라서    이므로    ×   
 

5
2022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수학 영역 •        ,       에서
 
    또는    이다.
이다.
따라서    이므로    이다.

정 답 14. [출제의도] 이차방정식 이해하기


8. [출제의도] 항등식을 활용하여 다항식의 나눗셈 추
론하기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이 서로
 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  을 대입하면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
1 ④ 2 ③ 3 ④ 4 ⑤ 5 ⑤
6 ③ 7 ① 8 ① 9 ③ 10 ②           이고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11 ② 12 ① 13 ③ 14 ② 15 ① 
             에서
16 ③ 17 ④ 18 ② 19 ⑤ 20 ② 에서     또는    이고  는 자연수이므로
   를 대입하면
21 ⑤ 22  23  24  25     …… ㉠
26  27  28  29  30     ×    ×       ×    이고
두 근의 곱       이 양수이므로
           이다.
   …… ㉡
따라서     이다.
㉠과 ㉡에 의해  의 범위는      이고 이를
해 설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값은  ,  , ⋯ ,  이다.
9. [출제의도] 다항식의 곱셈공식을 이용하여 복소수
문제 해결하기 따라서 모든 자연수  의 개수는  이다.
1.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             15. [출제의도] 방정식과 부등식을 이용하여 다항식 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제 해결하기
2.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조건 (가)에 의하여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나)에 의하여 방정식
3. [출제의도] 나머지정리를 이용하여 다항식의 나눗셈 이다.            
계산하기 가 중근을 가지므로
1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의 관
         이라 하자.          의 판별식
계 이해하기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        ×       
이차함수            의 그래프가
 

여   이므로
  축과 만나지 않으므로
에서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에서      이다.
이차방정식            의 판별식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16. [출제의도] 이차함수를 이용하여 도형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      
따라서 나머지는  이다. PQ  이므로 BQ CQ     이다.
       
   
AQ  
BQ  

CQ         
4. [출제의도] 이차부등식 계산하기 에서       이므로 정수  의 값은
  ,  ,  ,  ,  ,  ,  이다.     
이차항의 계수가  이고 해가       인 이차부
등식은       이다.
따라서 모든 정수  의 값의 합은  이다.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11. [출제의도] 미정계수를 포함한 항등식 이해하기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이다.   
주어진 방정식이 실수  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 을
 

5. [출제의도] 절댓값을 포함한 일차부등식 이해하기


근으로 가지므로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이다.
부등식       를 풀면     
             이 실수  에 대한 항등식 AQ  
BQ  
CQ 은    에서 최솟값  를 가
        ,       이다. 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값은 이므로        ,      에서 진다.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이다.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모든 정수  의 개수는  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 
[다른 풀이] 12. [출제의도] 곱셈공식을 활용하여 연립방정식 문제 17. [출제의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다항식의 나눗셈
(ⅰ)    인 경우 해결하기 문제 해결하기
      이므로     이다.
주어진 연립방정식  에 대한 다항식        가     으로
따라서       이다.
       ⋯⋯ ㉠
(ⅱ)  ≥  인 경우 
       ⋯⋯ ㉡
나누어떨어지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에서 두 식 ㉠과 ㉡을 더하면     ,
따라서  ≤    이다.   
     이고 ㉠에 대입하면    이므로
(ⅰ), (ⅱ)에 의해       이므로 부등식을 만     
     ,    이다.
족시키는 정수  의 값은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다.
따라서 모든 정수  의 개수는  이다.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13. [출제의도] 삼차방정식 이해하기
6. [출제의도] 인수분해 이해하기 따라서     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 을  라 하면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18.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부등
          이다.   
식 문제 해결하기
   
따라서 주어진 식의 값은    이다. 
BC  , 
CA  라 하면 삼각형 ABC 의 둘레의 길
에서                 이므로
7. [출제의도] 방정식을 활용하여 실생활 문제 해결하기 이가  이고 
AB  이므로
삼차방정식          의 두 허근은 이차
올해 늘어난 모양의 밭의 넓이가  이므로        ⋯⋯ ㉠
방정식        의 두 허근이고       ,
올해 밭의 총넓이는  ×      이다. 올해 이다. 삼각형 ABC 가 직각삼각형이므로
   이다.
밭의 총넓이에 관한 식을 세우면      에서        ⋯⋯ ㉡
따라서

5
2022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이다. ㉠을 ㉡에 대입하면        에서  


는    에서 최댓값  를 가진다.
20.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활용하여 다항
      이다.  
식 문제 해결하기
따라서 (ⅰ), (ⅱ), (ⅲ)에 의하여    의 최댓값은
 ,  를 두 실근으로 가지고 이차항의 계수가  인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한 이차방정식은  이다. (참)
이다.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이 중근
이고 ㉢의 판별식  ≥  이다. 22.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을 가지므로 판별식          이다.
빗변의 길이  는 양수이므로            이므로  의 계
                
부등식  ≥  의 해를 구하면 수는  이다.
이므로    또는     이다.
         
(ⅰ)    인 경우 23.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에서  ≤      또는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이므로        또는        

 ≥    이다. 에서      또는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의 두 실근  ,  는 모두 양수이므로 (ⅱ)     인 경우
24. [출제의도] 연립이차방정식 이해하기
두 근의 합    와 곱    는 모두 양수이             
다. 따라서 빗변의 길이 의 범위는
 
   ≤   이다.
이므로        또는        
에서      또는       이다.
연립방정식    
⋯⋯ ㉠
     ⋯⋯ ㉡
에서 ㉠을  에 대해 정리하면      이다.
    ,     ,   
   (ⅰ)과 (ⅱ)에 의해 조건을 만족시키는 일차다항식
㉠을 ㉡에 대입하면
이므로   는    ,     ,    ,     이고 모든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의 값은   ,  ,  ,   이다.




   
×  × 

 따라서 모든   의 값의 합은
이고 ㉠에 대입하면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25.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에서  ,  는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므로
이다. 다항식   는 일차식이다.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   이고
19.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성질 이해하기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ⅰ)    인 경우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  에서       이
므로    또는     이다. 26. [출제의도] 사차방정식 이해하기

따라서      또는      이다. 주어진 사차방정식은    를 근으로 가지면
 (ⅱ)     인 경우     도 근으로 가지므로 양의 실근  개, 음의
        ,      에서       실근  개를 가짐을 알 수 있고 서로 다른 네 실근을
이므로    또는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또는       이다. 으로 둘 수 있다.
O     
그러므로   는    ,    ,     ,     이    라 하면 주어진 사차방정식은
  
   
 고 모든   의 값은  ,   ,  ,   이다.
           이고 두 근은  ,   이다.
따라서 모든   의 값의 합은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이다.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27. [출제의도]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직선      의 교점의  좌표는 21.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추론하기

 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이다.



ㄱ.    일 때,    
   
  이고    에
 이므로      에서     를 만족시키는
     (   ,  ,  , ⋯ ,  )이다.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내부에 있는 점의

 
서 최솟값  를 가지므로       이다. (참)
 따라서  이하의 모든 자연수  의 개수는  이다.
ㄴ.  ≤  일 때,  는    에서 최솟값을 가지
 좌표를  ,  좌표를  라 하면 28. [출제의도] 연립이차부등식 이해하기
므로         이고         이
  
      
 이다.      
   이고 연립부등식
다. (참)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를           ⋯⋯ ㉠
ㄷ.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값은  ,  ,  ,  ,  이다.           ⋯⋯ ㉡

(ⅰ)  ≤  인 경우
 좌표와 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    는 다음과 에서 이차부등식 ㉠의 해는
ㄴ에서         이므로
같다.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이므로 존재하지 않는다.
   일 때,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고       이다.
따라서    는    에서 최댓값  을 가진다.    이므로 이차부등식 ㉡의 해는
   ,    ,    이다.
(ⅱ)  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이므로
 는    에서 최솟값    이므로 이고    또는     이다.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이고    는    에서 최댓값  을    이면 연립부등식의 해에    이 포함되므
   일 때,      이므로
가진다. 로 정수  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정수  가 존재하
   ,    ,    이다.
(ⅲ)    인 경우 지 않기 위한  의 범위는  ≤  에서
   일 때,      이므로 존재하지 않는다.
 는    에서 최솟값을 가지고
따라서  좌표와 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   ≤ 
 이다. 따라서  의 최댓값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이다. 이므로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6
2022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29. [출제의도]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다항식 추론하기        


(가)에서    인 경우와  ≠  인 경우로 나    
눌 수 있다.
       
(ⅰ)    인 경우
     ( ≠  )라 하면 (나)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가)에 의해
            이
     
     으로        
나누어떨어져야 하므로
     
    (ⅴ)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이므로
 (ⅱ)  ≤    인 경우        인 정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        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각각 같다.
에서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 는 존 실근의 개수가 각각  로 같고 이때 정수  의 개수는  이상이다.
재하지 않는다.  ≤   ,  ≥   일 때,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   
(ⅱ)  ≠  인 경우
실근의 개수는 다르다.
  는      과    을 인수로 가지고 (나)
   
에 의해         는 이차식이 되어야 하므    
로   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나)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이므로     또는
   
      이고    에서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이다. (ⅵ)    인 경우
[다른 풀이]     
      이므로
(ⅰ)    인 경우        인 정수  에 대하여
(ⅲ)    인 경우
     ( ≠  )라 하면 (나)에 의해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    일 때,
         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같다.
            ⋯⋯ ㉠ 실근의 개수가 각각  로 같고 이때 정수  의 개수는  이상이다.

이다. (나)에 의해         는 이차식이  ≠   일 때,    
되어야 하므로  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이고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이차식      과 일차식    를 인수로 가지므로 실근의 개수는 다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과 ㉡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와        


 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3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의 관
계 이해하기    
    
(가)에 의해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는 아래로   
볼록하고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 (ⅰ) ~ (ⅵ)에 의해
하다.     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이차함수  ,  의 대칭축은 각각    으 실근의 개수가 같게 되도록 하는 정수  의 개수가
(ⅳ)    ≤  인 경우
로 같고 (나)에 의해  이 정수이므로  도 정  일 때, 모든 실수  의 범위는  ≤  ≤  이므로
    일 때,
수이다. 실수  의 최솟값은  , 최댓값은  이다.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ⅰ)  ≤    인 경우 따라서          이다.
실근의 개수가 각각  으로 같고
    ,   ,   일 때,  ≠   일 때,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각각  로 같고 실근의 개수는 다르다.
 ≤  ,  ≥   일 때,
두 방정식   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다르다.

7
2022학년도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                    14. [출제의도]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이해하기
        
수학 영역
9. [출제의도] 두 직선의 평행 조건 이해하기 
두 직선        ,        의
정답 교점의 좌표는      
1 ② 2 ③ 3 ① 4 ② 5 ④ 직선        의 기울기는  이므로
6 ① 7 ② 8 ④ 9 ⑤ 10 ③ 이 직선과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도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11 ⑤ 12 ③ 13 ④ 14 ① 15 ①
             이므로
16 ② 17 ④ 18 ③ 19 ⑤ 20 ③   
 절편은 
21 ④ 22  23  24  25 
 O 
26  27  28  29  30 
10. [출제의도] 연립이차방정식 이해하기
점      와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을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 이므로
1.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   ,    에서 원 위의 점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최솟값은     
 

2.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11. [출제의도] 연립이차부등식 이해하기 15. [출제의도] 선분의 내분과 외분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점 A 의 좌표를        , 점 B 의 좌표를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에서 점 P 는 선분 OA 를    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3. [출제의도] 항등식의 성질 이해하기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또는  ≤  ≤  점 P 의 좌표는       
따라서         
정수  는   ,   ,   ,  ,  ,  ,  ,  ,  점 Q 는 선분 OB 를    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모든 정수  의 값의 합은  ×    ×   ×    × 
4. [출제의도] 두 점 사이의 거리 계산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A  
          

점 Q 의 좌표는       
OB  
           
   12. [출제의도]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 선분 PQ 의 중점의 좌표가      이므로

     ,  는 양수이므로    이해하기     
이차함수         의 그래프가        ,

5. [출제의도] 선분의 내분점 계산하기 점      에서  축과 접하므로    
선분 AB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가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 은 중근    을 
     이므로 갖는다. 삼각형 OAB 의 무게중심의 좌표   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이차함수 따라서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두 점은       ,     
16.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6. [출제의도] 절댓값을 포함한 일차부등식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관계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13. [출제의도] 점의 평행이동과 대칭이동을 
따라서    ×   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B
점 A      를 직선    에 대하여
7. [출제의도] 다항식의 인수분해 이해하기 대칭이동한 점 B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B      을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의
 가 양수이므로    ,   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점 C 의 좌표는
따라서              
두 점 A , B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A

8.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         
이해하기      O C  D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근이
세 점 A , B , C 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점 C 의 좌표를      이라 하면 선분 CD 의
 ,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      ,    길이는  이므로 점 D 의 좌표는       
의하여      ,   

5 15
2022학년도 9월
고1 정답 및 해설 전국연합학력평가

직선    위의 두 점      이므로 정수  는  ,  ,  ,  ,  ,  , 점 D     을 지나고 직선  에 수직인 직선의


A     , B         은  이고 그 개수는  방정식은
 따라서 (ⅰ), (ⅱ), (ⅲ)에 의하여 모든 정수  의     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와
 개수는  이를 직선  의 방정식과 연립하여 풀면

직선    의 교점이므로       S    
 19.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점 A      를 지나고 직선  와 평행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의 근과 추론하기
직선을  이라 하면 직선  의 방정식은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점 B      과 D     을 지나는 직선의
         ,      ⋯ ㉠   

기울기는  이므로 점 A      를 지나고 두 점 B 와 D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   ⋯ ㉡ 
㉠ 을 ㉡ 에 대입하면 두 점 B 와 D 를 지나는 직선에 수직인 각각 Q , P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   의 기울기가  이므로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  이다.
  점 B      을 지나고 직선  에 수직인
17. [출제의도] 점의 대칭이동을 활용하여 문제 점 A     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직선의 방정식은
해결하기   인 원을  라 하면
BD     
            이를 직선  의 방정식과 연립하여 풀면

A  Q     

점 D     을 지나고 직선  에 수직인 직선의
D A′ 방정식은
A     
B D

D′ 이를 직선  의 방정식과 연립하여 풀면

C C′ O    
P  
  
B
사각형 PQRS 는 네 점 A , B , C , D 가 각각 네
B′ O E 
변 PQ , QR , RS , SP 위에 있고 한 변의 길이가
점 A 를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
  
A ′ 이라 하면 점 A ′ 의 좌표는      C PQ 
QR  인 정사각형이다.

점 B 를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 이라
   
하면 점 B′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D 
A ′D , 
BC 
B′ C 이므로 연립방정식


     
 
의 해는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AD 
CD 
BC  
A ′ D  DC  CB′ 
 ′D ′  
D ′ C′  
≥A
A ′ B′
C′ B′
    또는     이므로 20. [출제의도] 나머지정리를 활용하여 문제
원  와 직선  이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해결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를    ,     으로 나눈 몫을 각각
  
두 점 중 점 C      와의 거리가 더 작은    ,    , 나눈 나머지를  라 하자.
따라서 
AD 
CD 
BC 의 최솟값은  
 점이 E 이므로 점 E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에서
두 점 C      와 E     을 지나는 직선을           
18.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활용하여
 라 하면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이다.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   에서

두 이차방정식      ,      의 판별식을                이므로
각각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A       를     로 나눈 몫을     라
D
         ⋯ ㉠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Q     ,    
B S
(ⅰ) 두 함수      ,      의 그래프와 ㉠ 에서    ,    을 대입하면
 축이 만나는 점의 개수가  으로 같은 경우 O E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의 해가
C
   ,   

R 따라서         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정수  는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그 개수는 
두 점 B 와 D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ⅱ) 두 함수      ,      의 그래프와
각각 R , S 라 하자. 21.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과 원의 방정식을
 축이 만나는 점의 개수가  로 같은 경우
직선        의 기울기가  이므로 활용하여 추론하기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의 해가 점 B      을 지나고 직선  에 수직인 ㄱ. 직선 AC 의 방정식은        이므로
   이므로 정수  의 개수는  직선의 방정식은 점 B 와 직선 AC 사이의 거리는    (참)
(ⅲ) 두 함수      ,      의 그래프와      ㄴ. 원      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이
 축이 만나는 점의 개수가  로 같은 경우 이를 직선  의 방정식과 연립하여 풀면 직선 AC 와 평행할 때, 사각형 PABC 의 넓이가
최대가 된다.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의 해가
  
R    
   선분 AC 와 두 선분 PB , PO 가 만나는 점을

6 15
2022학년도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각각 Q , R 라 하자. 25.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를 이차방정식           의 판별식을
원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과 직선 AC 는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라 하면        
평행하고, 원의 반지름 OP 와 각각 서로 두 점 A      과 B      에 대하여    또는   
수직이다. 
             ⓐ    인 경우
삼각형 PQR 에서 ∠ R   , ∠ Q   이므로
 
     사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세 실근은
직선 PB 와 직선 AC 는 서로 수직이 아니다.    ,    ,    (중근)
             
(거짓) ⓑ    인 경우
따라서    일 때,  의 최솟값은 
 사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세 실근은
P    (중근),    ,   
26. [출제의도] 점의 대칭이동을 활용하여 문제
(ⅰ), (ⅱ), (ⅲ)에 의하여 실수  는
C 해결하기
, , , 

따라서 모든 실수  의 값의 곱은 
QR
A
A O  28. [출제의도]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A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  

B B  O   
R
ㄷ. 사각형 PABC 의 넓이는
삼각형 ABC 의 넓이와 삼각형 ACP 의 넓이의 C
합과 같다. 
C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AC 
 이고 ㄱ에 의하여 ∠ A  BC  ∘ , ∠ A  BC   ∘ Q
 두 선분 A  C , A  C 는 원의 지름이고
 ×  
 ×     ⋯ ㉠ A  
  , 
OA   OC  이므로
OA   OC
 
삼각형 ACP 의 넓이의 최댓값은 *  에 의하여
두 점 A  , A  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   ×     ×     
 O P 
OR    각각 C , C 이다.

   
  
점 A  의 좌표는    
 
  원의 중심을 A 라 하자.
PR   
 OR    점 A 의 좌표는       이므로
  점 P 의 좌표를      이라 하면 점 A 의 좌표는
   점 C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C 의 좌표는        
 
원점 O 와 점 A 를 지나는 직선을  이라 하면
사각형 PABC 의 넓이의 최댓값은 ㉠ , ㉡ 에   
 ,    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    
의하여  (참) 따라서      
      
 직선 PQ 는 점 P 를 지나고 직선  과 수직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
27. [출제의도] 사차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 직선 PQ 의 방정식은      

해결하기
22.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직선 PQ 가  축과 만나는 점 R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가   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나머지정리에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사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삼각형 ROP 의 넓이가  이므로
의하여         ×     
 이 되기 위해서는 주어진 사차방정식이 한 개의
따라서      
중근을 가져야 한다.  ×  ×      ,   
  
(ⅰ)    이 사차방정식의 중근인 경우 점 A 
  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는
23. [출제의도] 연립부등식 계산하기
   은 이차방정식           의 원의 반지름의 길이  와 같으므로
     에서    ⋯ ㉠
해이므로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세 실근은 
   또는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중근),    
(ⅱ)    이 사차방정식의 중근인 경우 
   이므로   

24.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이해하기    은 이차방정식           의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의 해이므로 따라서    ×   

판별식을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기 사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세 실근은
[다른 풀이]
위해서는                  ,    (중근),   
원의 중심을 A     라 하자.
 (ⅲ) 사차방정식이  ≠  이고  ≠   인 중근을
     ,       삼각형 ROP 와 삼각형 OPA 에서
갖는 경우
따라서 모든 정수  는 ∠ ROP  ∠ OPA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차방정식           이 중근을
∠ PRO  ∠ AOP   ∘  ∠ RPO 이므로
그 개수는  가져야 하므로

7 15
2022학년도 9월
고1 정답 및 해설 전국연합학력평가

삼각형 ROP 와 삼각형 OPA 는 닮음이다.     (ㄱ), (ㄴ)에 의하여 방정식     의 서로
ⓐ  ≤    ≤  ⓑ       
 
따라서 RO OP  
OP 
PA     다른 세 실근은
삼각형 ROP 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조건 (가)에 의하여
 ××  RO  , 
RO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의하여
O  O 
점 A    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  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O  

따라서    ×   

O  O 
29.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실근과 허근을 
O 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
이차방정식 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근이       
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
 
근이    , 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  
의하여
         ⋯ ㉢
 ≤  ≤  에서 함수    의 최솟값은
       ⋯ ㉣
O     이고 조건 (나)에 의하여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 에 대입하면   
㉡ , ㉢ , ㉣ 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 , ⓒ 인 경우
        에서     방정식     의       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  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ⅱ) ⓑ 인 경우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방정식     의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          
(ⅲ)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방정식     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ⅳ)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방정식     의
 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또는 
따라서              이므로 (ⅰ), (ⅱ), (ⅲ), (ⅳ)에 의하여 ⓑ 인 경우만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최솟값은 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 이다.
방정식       의 두 실근이  ,  이므로
3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활용하여       ,       이고
추론하기                  
함수          ( ,  는 상수)라 하면    ,    ⋯ ㉠
(ㄱ)    또는    일 때,
함수         
방정식     는      이고

곡선      의 꼭짓점의  좌표는             의 한 근이  이므로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나머지 한 근은
곡선      의 꼭짓점의  좌표는 
   
  
두 곡선    ,    의 교점의  좌표
   (ㄴ)  ≤  ≤  일 때,
  방정식     는      이고
 ,  와   ,  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             의 한 근이  이므로
      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 경우는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나머지 한 근은
다음과 같다.
 

8 15
2022학년도 11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따라서        이 실수가 되려면

• 2교시 수학 영역 • 9. [출제의도] 합성함수 이해하기      또는       이어야 한다.


    또는     
 ∘   ∘  
(ⅰ)   일 때
1 2 3 4 5   ∘   
∘  

② ③ ⑤ ③ ②   을 만족시키는  이하의 두 자연수
6 ⑤ 7 ④ 8 ④ 9 ③ 10 ④          , 의 모든 순서쌍은
11 ① 12 ② 13 ① 14 ② 15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⑤ 17 ③ 18 ① 19 ① 20 ④ (ⅱ)     일 때
21 22 10. [출제의도]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 이해하기
⑤ 6 23 9 24 3 25 8     를 만족시키는  이하의
26 4 27 13 28 22 29 126 30 48 두 점    ,   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두 자연수  , 의 모든 순서쌍은
원을  라 하면 원  는 중심의 좌표가       , 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ⅰ), (ⅱ)에서    는 중복되므로
1.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원  와 직선       이 오직 한 점에서   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 이하의 두 자연수
               
 
만나려면 원  의 중심인 점    과  , 의 모든 순서쌍   의 개수는 
    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이어야 한다.
15. [출제의도]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2. [출제의도] 집합의 연산 이해하기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BP 이므로 점 P 는 중심이 B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위에 있다.
    
  
3.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점 A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이라
        
    에서 
    하면 점 A′ 의 좌표는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AQ  
QP 
PB 
A′Q  
QP 
PB≥ 
A′B 에서

          또는    두 점 P , Q 가 모두 선분 A′B 위에 있을 때

       
 AQ  
QP 
PB 는 최소이고, 그 값은
    따라서 양수 의 값은 
 A′B 
           이다.
4. [출제의도] 절댓값을 포함한 일차부등식 이해하기 
11. [출제의도] 삼차방정식 이해하기 AQ  
QP 
PB 
AQ 
QP 에서
부등식   ≤ 에서 
삼차방정식               의 AQ  
QP 
PB 가 최소일 때 
AQ 
QP 도 최소이다.
 ≤  ≤ 
한 근이 이므로 따라서 
AQ 
QP 의 최솟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삼차방정식       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      
인수분해하면
5.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 이해하기     
 B
두 점   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 
 

이므로 직선의 절편은            Q O  

이므로    또는    또는    
6. [출제의도] 항등식 이해하기 A′ 
따라서        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12. [출제의도]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이해하기 16. [출제의도] 인수분해 이해하기
            
두 점 B, C의 좌표를 각각     ,   라 하면          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양변에서 동류항의 계수를
선분 BC의 중점의 좌표가   이므로           
비교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출제의도] 연립부등식 계산하기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 원점이므로
이고 이 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이고        

㉡에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13. [출제의도] 명제 사이의 관계 이해하기
따라서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의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이므로
값의 합은         
실수 에 대한 두 조건 , 의 진리집합을 각각 17.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와 최소를 이용하여 추
8. [출제의도] 상수함수 이해하기  ,  라 하면   ,       ≤  론하기

함수  는 상수함수이므로    가 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려면  ⊂  (ⅰ)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따라서 실수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   
      
㉠, ㉡에 의하여    ,    14. [출제의도]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  

1
이므로 함수 ×    는 선분 AB를   으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일 때 최댓값 , ×× ××
   일 때 최솟값 을 갖는다.  
  이므로
 
(ⅱ)  ≤  ≤ 일 때
×   

점 D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따라서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점 D 의 좌표의 
      곱은  ×   
      20. [출제의도] 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        O 
원의 접선과 그 접점을 지나는 현이 이루는 각의
이므로 함수 ×    는
크기는 이 각의 내부에 있는 호에 대한 원주각의
  일 때 최댓값 ,
  일 때 최솟값  을 갖는다. 크기와 같다.
그러므로 점 O 를 지나고 직선 AB와 점 A에서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따라서 (ⅰ), (ⅱ)에 의하여
접하는 원을  라 할 때, 삼각형 OAB의 내부에   이고      인 실수  가
  ≤  ≤ 에서 함수 ×   의
있으며 ∠AOP  ∠BAP 를 만족시키는 점 P 는 존재하므로 함수 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   
원  위의 점이다. 따라서   ∊  를 만족시키는 실수 는 존재
 하지 않는다. (참)
 원  의 중심을 C라 하면 ∠OAC  이므로
ㄴ.    ,   일 때
  ×   

점 C의 좌표는  





  이고 함수 는
         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는 선분 AC의 길이와 같다. 

 
     

  ≥ 
  

AC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이므로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는   이다.
  
 O    
점 P의 좌표는 ∠PCO  일 때 최대이고
 점 P의 좌표의 최댓값은 원  의 중심의 좌표와
원  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이므로
18. [출제의도] 나머지정리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조건 (가)에서 인수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는 상수) 이므로  O  

라 하면         
조건 (나)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21. [출제의도] 일대일대응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인 임의의 실수  ,  에 대하여
19. [출제의도]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을 활용하여 문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이므로 함수  는 일대일함수
제해결하기
    이고, 함수  의 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

공역과 같다.
따라서 함수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C 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  
E    ∊  (참)
D
ㄷ. 함수 가 일대일함수이려면
A    에서  이므로  ≤  ⋯ ㉠
D  O 
E  ≥ 에서     이므로
B
 ≥  ⋯ ㉡
이어야 하고
O 
 ㉠, ㉡을 만족시키는 함수  에 대하여
직선 BC와 직선 DE가 서로 평행하므로            
삼각형 ABC와 삼각형 ADE는 서로 닮음이다.   ≥       ≥    ≥   
함수   의 그래프는
삼각형 ABC와 삼각형 ADE의 넓이의 비가 이므로 ≤   이어야 한다.
  일 때 함수   의 그래프와 같고
일대일함수 가 일대일대응이 되기 위해서는
  이므로 
AB  
AD     ≥ 일 때 함수   의 그래프를 축의 치역과 공역이 같아야 하므로
그러므로 점 D 는 선분 AB의 중점이거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다.     ⋯ ㉢
선분 AB를   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ㄱ.   일 때       ≥ 이므로
(ⅰ) 점 D 가 선분 AB의 중점일 때   에서   이고 ≥ ,     ≤ ,
 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      에서 함수 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 ≤  ⋯ ㉣
㉠, ㉣에 의하여

점 D 의 좌표는   
   함수 가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하는
실수 의 범위는   ≤  ≤ 이고
(ⅱ) 점 D 가 선분 AB를   으로 외분하는 점일 때   ∊  를 만족시키는 실수 가 존재하도록

2
하는 정수  의 값은  ,  ,  이다.        

(ⅰ)    일 때        
㉡에 의하여     ≥ ,  ≥ 
     
㉢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의
  이므로      판별식을 각각  ,  라 하면

     ,     
  
사차방정식            이
실근과 허근을 모두 가지려면

   ,  ≥  또는  ≥ ,   이어야 한다.
 O 
  ,  ≥ 에서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  에서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값은 이다.
(ⅰ), (ⅱ), (ⅲ)에 의하여 따라서
       ∊  이고  은 정수
 사차방정식            이
O
     
   실근과 허근을 모두 갖도록 하는 자연수 의 값은 
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27. [출제의도] 합성함수를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
      
 (참)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함수 는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일대일대응이다.
  
조건 (가)에서  ∘   ,     이므로
22. [출제의도] 평행이동 이해하기
(ⅱ)    일 때   ,   
㉡에 의하여     ≥ ,  ≥  점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  라 하면  에서  ≠  , ≠ 이므로
㉢에 의하여      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고   
(ⅰ)   일 때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23.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조건 (나)에서
 이해하기 ×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ⅱ)   일 때
이차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자.
   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이 서로 다른 ×   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두 점에서 만나려면   이어야 한다. 않는다.
               에서    따라서          
따라서 자연수 의 최댓값은 
28. [출제의도] 집합의 연산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24. [출제의도] 연립이차방정식 계산하기 집합    의 모든 원소의 합을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이고
 O         ⋯㉡
  
 조건 (가)에서 집합 ∪  의 모든 원소의 합은 
㉠, ㉡에서 이므로 전체집합  의 모든 원소의 합은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집합    의 모든 원소의 합이 이므로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ⅲ)    일 때 따라서  ×    ×    ∩   ∅이므로

㉡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에 의하여       25. [출제의도] 절대부등식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  두 직선    ,    의 기울기가 각각
∪     
      
 , 이고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이고 조건 (나)에서  ∪  이므로  
  이므로        
따라서 집합  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솟값은
 
  에서   이다.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29. [출제의도] 다항식의 연산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이므로 정사각뿔 O  ABCD 의 부피는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단, 등호는   일 때 성립)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의 최솟값은  정사각뿔 O  EFGH의 부피는

   

26. [출제의도] 사차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두 정사각뿔 O  ABCD , O  EFGH의 부피의 합이
           

3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F 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I 라 하면       

삼각형 BFI 는 ∠FBI 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          
   
FI   FB    ,
 

         
   
BI  
FB    에서
 
    ,     이고 P    
  
AI           점 P     과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를
 
삼각형 FAI는 직각삼각형이므로  이라 하면

 
AF  

FI  
A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O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ABP 와 삼각형 AOB의 넓이의 비는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은 양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사각형 ABFE의 넓이는 정삼각형 OAB의 넓이에서
정삼각형 OEF의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30.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곡선    과 직선     가 만나는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 라 하면
A   , B   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실근이 ,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선분 AB가 원  의 지름이므로 ∠BOA  
직선 OA의 기울기와 직선 OB의 기울기의 곱이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양수 의 값은 

 

점 P   은 원  위의 점이므로 ∠APB  

직선 PA의 기울기와 직선 PB의 기울기의 곱이
 이므로

4
      
• 수학 영역 •  
   
10. [출제의도] 일차부등식이 참이 되는 자연수의 개수
  를 이해하여 조건의 값을 구한다.
   ≤   
따라서 구하는 높이는  이다.
정 답    ≤   
   ≤   
6. [출제의도]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이해하여 일차함수
 ≤   
1 ③ 2 ④ 3 ② 4 ④ 5 ⑤ 의 식을 구한다.
그러므로  ≤  
6 ② 7 ① 8 ③ 9 ⑤ 10 ② 
     의 그래프는      의 그래프와    가 정수이고 일차부등식이 참이 되는 자연수의
11 ③ 12 ① 13 ① 14 ④ 15 ③ 
16 ⑤ 17 ① 18 ⑤ 19 ④ 20 ② 평행하므로 개수가  이므로     
21 ⑤ 22  23  24  25   따라서    
 
26  27  28  29  30  
11. [출제의도]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둘레

       의 그래프의  절편이  이므로 의 길이를 추론한다.

해 설  [그림 ]의 도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1. [출제의도] 정수와 유리수의 연산 원리를 이용하여

식의 값을 계산한다. 따라서          

이고 [그림 ]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로의 길이) ×
   이다.
    
   [그림 ]의 도형과 [그림  ]의 직사각형의 넓이가
   
 서로 같으므로 가로의 길이는    이다.
 7. [출제의도] 줄기와 잎 그림을 이해하여 중앙값을 구
따라서 [그림  ]의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 한다.
          이다.
 줄기와 잎 그림의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

열하면  , , ,  , , , ,  , , , ,  , 12. [출제의도] 산점도를 이해하여 상황에 맞는 값을
2. [출제의도] 다항식의 연산을 이용하여 식을 간단히  ,  ,  ,  ,  ,  ,  ,  이다. 구한다.
한다. 자료의 개수가 짝수이므로 중앙값은 중앙에 위치한 작년보다 올해 책을 더 많이 읽은 학생의 수는
 번째와  번째에 위치한 두 값의 평균이다. 그림에서 대각선의 위쪽에 있는 점의 개수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따라서 중앙값은    (시간)이다.


      
    8. [출제의도] 거듭제곱의 성질을 이용하여 자연수의 자
따라서  의 계수는  이다. 릿수를 구한다.
 ×    ×  ×
3. [출제의도] 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  × ×
값을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은  자리의 수이므로    이다.
 
그러므로   
9. [출제의도] 주어진 상황을 이해하여 확률을 구한다.
4. [출제의도] 완전제곱식의 뜻을 이해하여 상수항을 구 작년과 올해 해마다  권 이상의 책을 읽은 학생의
한 개의 주사위를 두 번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모
한다. 수는 그림에서 표시한 부분과 같이  이다.
든 경우의 수는  ×   이다.
     가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첫 번째 던져서 나온 눈의 수를 , 두 번째 던져서
       × ×  

나온 눈의 수를  라 할 때,  가  보다 작은 경우를
   
순서쌍   로 나타내면
이 되어야 한다.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5. [출제의도] 입체도형을 이해하여 원기둥의 높이를 구   ,   ,   ,
한다.   ,   ,

원기둥의 높이를  라 하고 원기둥의 전개도를 그리  

면 다음과 같다. 이므로 경우의 수는  이다.


  그러므로   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   이다.
  따라서       
[다른 풀이]
13. [출제의도] 주어진 상황을 연립방정식으로 표현하
한 개의 주사위를 두 번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모
고 실생활 문제를 해결한다.
든 경우의 수는  이다.
첫 번째 던져서 나온 눈의 수와 두 번째 던져서 나온 선물 세트 A 를  상자, 선물 세트 B 를  상자 만드는
눈의 수가 같은 경우의 수는 이므로 서로 다른 경우 데 필요한 사탕의 개수는  이고 쿠키의 개수는
의 수는 이다.   이다.

첫 번째 던져서 나온 눈의 수가 두 번째 던져서 나온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립방정식을 세울


눈의 수보다 큰 경우의 수와 작은 경우의 수가 서로 수 있다.
   ⋯⋯ ①
같으므로 첫 번째 던져서 나온 눈의 수가 두 번째 던 
    ⋯⋯ ②
져서 나온 눈의 수보다 작은 경우의 수는
 의 계수의 절댓값이 같아지도록 ② 의 양변을  로
밑넓이는  ×  ×   
   이다. 나누면
옆넓이는  ××   이고 
    ⋯⋯ ③
겉넓이가  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   이다.
 
  ①에서 ③을 변끼리 빼면
    

1
   
OB 
OC 이므로 삼각형 OB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따라서 선분 AF 의 길이는
   ∠OBC  ∠BCO °   
AF  AD FD
   을 ③에 대입하면 또 
BD BC 이므로 삼각형 BCD도 이등변삼각형이다. 
  
 ×    
∠BCD  ∠BDC  °
     
따라서 

   ∠OCD  ∠BCD ∠BCO
  ° ° 19. [출제의도] 주어진 상황을 이차방정식으로 표현하
따라서          ° 고 실생활 문제를 해결한다.
정사각형 ABCD 의 내부를 정사각형 모양의 타일로
14. [출제의도] 정비례 관계와 반비례 관계를 이해하여
가로  개, 세로  개 이어 붙여 채웠다고 하면
반비례 관계식을 구한다.
전체 타일의 개수는  이다.
두 점 A , B 의  좌표의 합이  이므로 점 A 의  좌
정사각형 ABCD 의 두 대각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놓
표를 양수  라 하면 점 B 의  좌표는   이다.
이는 타일의 모양은  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직선      가 두 점 A , B 를 지나므로 가지 형태가 있다.

두 점 A , B 의 좌표는 (ⅰ)  이 홀수일 때
그림과 같이 두 대각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검은
 
  
A     , B    
   17. [출제의도] 제곱근의 성질을 이해하여 실생활 문제 타일이 하나 겹쳐진다.
를 해결한다.
그러므로 점 C 의 좌표는 C      이다.
  
 입장권의 넓이를  라 하자.
삼각형 ABC 의 넓이가  이므로 

    고객용 부분의 넓이가 입장권의 넓이의  이므로
× AC× BC   × × 

 


  고객용 부분의 넓이는   이고

  

회수용 부분의 넓이는     이다.
   이므로 A   이다. 
 회수용 부분의 넓이가  이므로
점 A   가 반비례 관계    의 그래프 위의
 

  
점이므로  이제 정사각형 ABCD 에 놓인 검은 타일을 서로
   
  
 
  


 인접하게 한쪽으로 이동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
은 모양이 된다.
  
 ×  
 
15. [출제의도] 경우의 수를 구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

족시키는 수의 합을 추론한다. 
  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구한다.     

(ⅰ) B 와 C 가 모두 당번을 하는 경우        
A , B , C 세 명이 당번을 하므로    
 
당번을 정하는 방법은    
A B C , A C B , B A C ,    

B C A , C A B , C B A 의  가지이다. 

그러므로 당번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 이다.    


 

(ⅱ) B 는 당번을 하고 C 는 당번을 하지 않는 경우    



A , B 가 당번을 하고, C 는 당번을 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입장권의 넓이는   
 이다. 위 그림에서 흰 타일의 개수는
A , B , D 또는 A , B , E 세 명이 당번을 하므로     
18. [출제의도] 주어진 상황을 이차방정식으로 표현하
당번을 정하는 방법은 조건에서
고 선분의 길이를 구한다.
A B D , A D B , B A D ,       
B D A , D A B , D B A ,       
A B E , A E B , B A E ,       
B E A , E A B , E B A 의  가지이다.    ± 
그러므로 당번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 이다.   ±

(ⅲ) C 는 당번을 하고 B 는 당번을 하지 않는 경우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홀수  은 존재하지 않
A , C 가 당번을 하고, B 는 당번을 하지 않으므로  는다.
FD   라 하자.
A , C , D 또는 A , C , E 세 명이 당번을 하므로   (ⅱ)  이 짝수일 때
조건 (가)에서 EB FD     이므로
당번을 정하는 방법은  그림과 같이 두 대각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검은
EB   이고      이다.
A C D , A D C , C A D , 타일이 겹쳐지지 않는다.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 이므로
C D A , D A C , D C A ,

AE    , 
AF  
A C E , A E C , C A E ,
그러므로 삼각형 AEF의 넓이는
C E A , E A C , E C A 의  가지이다.

그러므로 당번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 이다.           

(ⅰ), (ⅱ), (ⅲ)에 의하여 당번을 정하는 경우의 수 조건 (나)에 의하여
는  이다. 
     
따라서  ,   ,    에서      
      
16. [출제의도] 외심의 성질을 이해하여 각의 크기를      
구한다.  
   또는    이제 정사각형 ABCD 에 놓인 검은 타일을 서로
점 O는 삼각형 ABC 의 외심이고 호 BC 에 대한 원주  
인접하게 한쪽으로 이동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
각의 크기가 ° 이므로 호 BC 에 대한 중심각 BOC 의 
     이므로   
 은 모양이 된다.
크기는 ° 이다.

2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DA ∆ABC   ×∆ABN
tan   

AC   (참)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 ×
 
  
 22. [출제의도] 등식의 성질을 이해하여 일차방정식의

 해를 구한다.
 
21. [출제의도]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보기>의      의 양변에  를 곱하면

참, 거짓을 판별한다.       
  

위 그림에서 흰 타일의 개수는 따라서   
    
23. [출제의도] 소인수분해를 이해하여 자연수의 개수
조건에서
를 구한다.
     
  를 소인수분해하면
      
   ×
       ㄱ. 점 P 는 삼각형 ABC 의 두 중선의 교점이므로
이므로  와 서로소인 자연수는  과  을 소인수로
     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이다.
갖지 않는다.
 은 자연수이므로     
그러므로 AP PM    
 이하의 자연수 중  을 소인수로 갖는 자연수는
따라서 전체 타일의 개수는    이므로 
AP  
AM    
 ,  ,  ,  ,  ,  ,  ,  ,  ,  의  개,
검은색 타일의 개수는    이다.  
따라서 AP AM (참)  을 소인수로 갖는 자연수는  ,  의  개이다.
20. [출제의도] 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삼각비의 값을 ㄴ. 두 점 M , N 이 각각 두 변 BC , AC 의 중점이므 따라서  이하의 자연수 중  와 서로소인
구한다. 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자연수의 개수는
 
MN  AB  이다.         

 

NP  라 하자.
점 P 가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이므로 24. [출제의도] 히스토그램을 해석하여 실생활 문제를

BP  
NP     에서 해결한다.

BP  마스크의 일일 판매량이
두 직각삼각형 BMP 와 PMN 에서  개 이상  개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 ,
점 F 에서 선분 DE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개 이상  개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 ,
H 는 선분 DE 의 중점이다.        개 이상  개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
PM  BM BP
조건에 의해 FH   이다. 이므로 마스크의 일일 판매량이  개 이상인 일수는
 

MN  
NP
∠BHF °, ∠HBF  ° 이므로      
이므로
삼각형 HBF 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이다.
      

그러므로 
BH   이 되어 
HA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비율은
      
직각삼각형 FDH 에서 ∠FDH  °, 
FH   이므로 
×  ( )
   

  
HD     이다. 따라서  이므로
    


DA HA 
HD   
 

  
  는 양수이므로     

 25. [출제의도] 정수와 유리수의 개념을 이해하여 정수
 
BN  
BP 
NP 의 개수를 구한다.
  

  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정수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DA
의  개이다.
tan     
 (참) 

AC
 가 정수인  는
ㄷ. 직각삼각형 ABP 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
AP  
AB  
BP  , ± , ± , ± , ± , ± , ± , ±
 
    의  개이고
  

 



[다른 풀이]
   

 조건 (나)에서  는 정수가 아닌 유리수이므로

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는
점 F 에서 선분 DE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   
    
H 는 선분 DE 의 중점이다.
   이다. 
조건에 의해 FH  26. [출제의도]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

∠BHF ∠BAC  ° 이므로  HF
AC 이다. 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BH  
BA  
HF  
AC

AP  

     
BH 

   이 되어 HA
   이다. 
이므로 BH
 
ㄴ에서 BN  이므로
직각삼각형 FDH 에서 ∠FDH  °, 
FH   이므로
 삼각형 ABN 의 넓이는
     이다. 따라서
HD 
  
 ∆ABN   ×  
BN× AP
  삼각형 ABC 의 넓이를  라 하자.
DA HA 
HD
  
AE  
EB 에서 
AB   × 
   ×  ×  AE
    
 
AG  
GC 에서 
AC   × 
AG
 
  
 이므로 삼각형 AEG 와 삼각형 ABC 는 닮은 도형이
 점 N 은 선분 AC 의 중점이므로

다. 이 두 삼각형의 닮음비가    이므로

3
 점 D 에서 선분 AC 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두 점 B 와 C 는  좌표가 같고,
∆AEG  ×∆ABC
 라 하자.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의 축인 직선   
 
  ⋯⋯ ㉠ ND  
CH   이므로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 C 의 좌표는 C   이다.


AH AC CH      두 점 A 와 C 를 지나는 직선은 기울기가
  DE
또, AD  에서 AE
  × AD
   
 
AF FG 에서  
AG  × AF DH  
NC   × 
BC        이고 점   을 지나므로
  
  × 
AB AE  ×  × 
AD    × 
AD 직각삼각형 ADH 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이다.
  × AG
AC    ×  × 
AF    × 
AF  직선의  절편이    이므로
AD   DH  
  
AH       

이므로 삼각형 ADF 와 삼각형 ABC 는 닮은 도형이다. 점 D의 좌표는 D     이다.
직각삼각형 CDH 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이 두 삼각형의 닮음비가    이므로 
BC  , 
BD c   이므로

CD  CH DH  
 
 
    

 삼각형 BDC 의 넓이는
∆ADF  ×∆ABC   
 ∆ADC   × AD× CD ×sin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에 의하여
 ×sin    
□DEGF ∆AEG ∆ADF
또, 삼각형 ADC 는 밑변이 선분 AC 이고,  
 
  
높이가 선분 NC 이므로 ㉠에서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ADC   × AC× NC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sin    에서
27.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제곱근의 성질을
 
sin     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다른 풀이]
직각삼각형 ABC 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   
AB  AC BC
   
 
이므로 AB 
직각삼각형 ABC 는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고 중심
점 A  이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 이 M 인 원에 내접한다.
로 30. [출제의도] 삼각형의 닮음과 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 주어진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 


   의 그래프는  축에 대칭이므로    이다.
       ,
CD
  
AB    
      

  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 

MN   × 
AC   AB 
AC  이므로
이고 사다리꼴 ACDB 의 높이는      이므로 
   MN
 ND       삼각형 AB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ACDB   × 
CD 
AB  × MD
 점 D 가 점 A 에서 변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이므로
이므로 점 D는 원 위의 점이다.
 
BC  에서 
BD 

  

  ×     ×
 
원주각의 성질에 의하여
DC 
두 삼각형 ADC , BEC 에서
   ∠ADC  ∠ABC
   


그러므로 sin   sin ∠ABC  

AC

 
∠C 가 공통이고 ∠ADC  ∠BEC  ° 이므로
∆ADC∆BEC 이다.
  AB  
  
   CD
  BC
  CE
 이고
AC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     
CE 이므로 
CE   이다.
사각형 ACDB 의 넓이가 자연수가 되려면

29.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성질과 삼각형의 넓이를 이  가 원의 지름이므로 ∠DGE  °
DE


이 자연수이어야 한다. 용하여 함수의 식을 구한다.
∠BEC  ∠DGC  ° 이므로 DG  BE
  이차함수       에서 점 D가 변 BC 의 중점이므로 
EG 
  
 GC 
 ×
이 자연수가 되기 위한 자연수  의      
 
DE 가 원의 지름이므로 ∠EFD  ° 가 되어
값은  × ,  × , × 이다.       
삼각형 EFC 는 직각삼각형이다.
따라서  의 최댓값은  이다. 이므로 꼭짓점 A 의 좌표는 A  이다. 점 G 는 선분 EC 의 중점이므로
이차함수        (    )의 직각삼각형 EFC 의 외심이다.
28. [출제의도] 피타고라스 정리와 삼각형의 넓이를 활
꼭짓점의 좌표가   이므로 따라서 
FG 
GC 
용하여 삼각비를 구한다.
       두 삼각형 ADC , EFC 에서
     ∠C 는 공통이고 ∠ADC  ∠EFC  ° 이므로
       ∆ADC∆EFC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CA  CE  이고
CD  CF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      
CF 이므로 
CF   이다.
 축과 만나는 점이   이므로 
점 B 의 좌표는 B   (   )이다. 그러므로 삼각형 GFC 의 둘레의 길이는

4
   
GF FC 
CG        이다.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다른 풀이]

 
AB AC  이므로
삼각형 AB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점 D 가 점 A 에서 변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이므로
  에서 
BC BD  
DC 
직각삼각형 ABD 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 
AD   
AB BD

 
  
 
삼각형 ABC 의 넓이에서
     
 × BC × AD   × AC × BE
 
 
 × ×   × × 
BE
 

BE  
직각삼각형 BCE 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 
EC  
BC  BE


   
 

 
선분 DE 가 원의 지름이므로 ∠DGE  °
∠BEC  ∠DGC  ° 이므로 
DG
BE
  DC
BD  이므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  GC
EG  

조건에 의해 사각형 EDFG 는 원에 내접한다.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두 대각의 합은
° 이므로
∠FGE  ∠EDF  °
또, ∠FGE  ∠CGF  ° 이므로
∠FGE  ∠EDF ∠FGE  ∠CGF
∠EDF  ∠CGF ⋯⋯ ㉠
이때 ∠GCF 는 공통이므로
두 삼각형 CGF, CDE 는 닮음이다.
삼각형 ABD 의 외접원을  라 하자.
∠AEB  ° 이므로 점 E 는 원  위에 있다.
즉, 사각형 ABDE 는 원  에 내접한다.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두 대각의 합은
° 이므로
∠BAE  ∠BDE  °
또, ∠BDE  ∠CDE  ° 이므로
∠BAE  ∠BDE  ∠BDE  ∠CDE
∠BAE  ∠CDE ⋯⋯ ㉡
두 각 CDE , EDF 는 같은 각이므로
㉠, ㉡ 에서 ∠BAE  ∠CGF
두 각 BAC , BAE 는 같은 각이므로
∠BAC  ∠CGF
삼각형 ABC 와 삼각형 GFC 에서 ∠C 는 공통이고
∠BAC  ∠FGC 이므로 ∆ABC∆GFC
삼각형 ABC 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삼각형 GFC 도 이등변삼각형이다.
그러므로 
GF 
GC 
 
AC GC 
BC    이므로
FC 에서       FC
 
FC 

그러므로 삼각형 GFC 의 둘레의 길이는
   
GF FC 
CG        이다.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5
2021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이를 ㉡ 에 대입하면
8. [출제의도] 나머지정리를 이용하여 다항식의 나눗셈
• 수학 영역 •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다항식  를    로 나눈 나머지가  이므로
   또는    이다.
나머지정리에 의해   이다.
이를 ㉠ 에 대입하면
정 답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라 하면 
또는
  
이다.

1 ⑤ 2 ② 3 ① 4 ⑤ 5 ③    는   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조건에서  ≠  이므로    ,   


6 ③ 7 ④ 8 ② 9 ① 10 ⑤ 인수정리에 의해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다.
11 ① 12 ③ 13 ④ 14 ④ 15 ③    을 대입하면   이므로       이다.
16 ⑤ 17 ② 18 ② 19 ④ 20 ① 14. [출제의도] 다항식의 연산을 활용한 실생활 문제
      ⋯ ㉡
21 ⑤ 22  23  24  25  ㉠ , ㉡ 을 연립하면     ,    이다. 해결하기
26  27  28  29  30  물체  와 물체  의 질량을 각각  ,   라 하고
따라서      이다.
물체  와 물체  의 속력을 각각  ,  라 하자.
9. [출제의도] 인수분해 계산하기
물체  의 질량이 물체  의 질량의  배이므로
해 설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1.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     ,      이므로 물체  의 속력이 물체  의 속력의  배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이다.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이다. 
2.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물체  와 물체  의 구심력의 크기가 같으므로
              1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   
      이다. 이해하기    이다.
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
3.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의 관계
이해하기
직선      이 만나지 않으므로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에서   
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         의 판별식 
 × 
이차방정식        의 판별식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       


      
15. [출제의도] 이차함수를 활용한 실생활 문제 해결하기
4. [출제의도] 절댓값을 포함한 일차부등식 이해하기      이므로 만족하는 자연수    ,  , ⋯ ,
 의 최댓값을 구하기 위해     라 하면
부등식       을 풀면         , 이다. 따라서 자연수  의 개수는  이다.
        
      이다.
11.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항등식의      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값은  ,  ,  ,  ,  이다.
성질 이해하기        
따라서 정수  의 개수는  이다.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이 중근을       이므로
5. [출제의도] 항등식의 성질 이해하기  
가지므로 판별식              이고   는    일 때 최댓값  을 갖는다.
 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따라서  의 최댓값은  이다.

              에 식을  에 대하여 정리하면          이다.
   을 대입하면      이므로     이다. 실수  의 값에 관계없이 등식이 항상 성립하므로 16. [출제의도]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다항식의 나눗셈 문제
   을 대입하면    이므로    이다.   해결하기
     ,      이고    ,    이다.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이므로  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이고 조건 (나)에 의하여
   이다.            ( 는 상수)이다.
따라서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이다.  조건 (가)에 의하여
12. [출제의도] 삼차방정식 이해하기       이므로    이다.
6.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 삼차방정식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       의 두 허근이다.
     
 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므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를    로 나눈 몫은      이다.


     이다.   
     따라서    이다.
7. [출제의도] 곱셈 공식을 활용하여 도형 문제 해결하기  [다른 풀이]


AB , BC ,  BF 의 길이를 각각  ,  ,  라 하자. 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이고 조건 (가)에 의하여

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 이므로        로 놓을 수 있다. ( ,  는 상수)
      이다.   를    으로 나눈 몫을   라 하면
   이다.
       ⋯ ㉠  조건 (나)에서 나머지가    이므로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 이므로 [다른 풀이]
         이다.
      이다.  ,  는        의 두 허근이므로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이고, 같은 방법으로
            ⋯ ㉠
곱셈 공식                  에       이다. 따라서    를 ㉠ 에 대입하면       에서
㉠ , ㉡ 을 대입하면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을 ㉠ 에 대입하면
   
BG  
GD  
DB                         
13. [출제의도] 연립이차방정식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연립방정식    ⋯⋯㉠㉡ 을 풀기 위해
            ⋯ ㉢
      를 ㉢ 에 대입하면       에서
㉠ 을  에 대하여 정리하면    이다.
     이다.

1
2021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    을 ㉡ 에 대입하면   
    의 양변에  를 곱하면
    이다.
   이다.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이므로 20. [출제의도] 다항식의 연산을 이용하여 도형 문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를    로 나눈 몫을   라 할 때, 해결하기     이고,  ,  이 정수이므로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ABE 는 이등변삼각형이고 ∠BAE  이므로 로  가지 경우이다.
17.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추론하기 ∠ABE  이다. ①        ,     인 경우
이차방정식 ∆BAC 는 이등변삼각형이고 ∠ABC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의 ∠BAC  이다.        ,         
  
근은    ,      이다.      이므로 ∠BAP  ∠ABP  이므로 ∠APB  이고 
A     , B   , C     이다. ∠APE  이고 ∠EAP  이다. 

  ±  이다.

삼각형 ABC 의 밑변의 길이  AB    이고 ∆APE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PE  이다.  에 대한 방정식    은     ,    을
    이다.
높이 OC 
BE  
PE  
PE  
BP 두 정수 근으로 갖는다.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        ②        , 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만족하는 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에 대한 방정식    은     ,    를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두 정수 근으로 가질 수 없다.
③        ,     인 경우
따라서      에서 삼각형 ABC 의 넓이의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이다.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18. [출제의도] 항등식을 활용한 나머지 추론하기  ≠  이므로  에 대한 방정식    은
                
다항식    을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     ,    을 두 정수 근으로 가질 수 없다.
    
나머지를  이라 하면 ④        ,     인 경우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이다.

       에
  
  ×   
 

  ±  이다.

  에 대한 방정식    은     ,    을
   를 대입하면
     이므로 두 정수 근으로 갖는다.
   ×    이다.    ,    이다.       
나머지는  보다 작은 수이므로 따라서      이다. (ⅱ)   (단,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21. [출제의도]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 추론하기
  ×    ×   
  ×      이다.
조건 (가)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이고 (ⅰ)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
 을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이다.
조건 (나)에 의하여 따라서  에 대한 방정식    이 서로 다른
따라서              이다.
  의 두 실근이  ,    두 정수  ,  을 근으로 가지면      이다. (참)
19.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 즉,   의 두 실근의 차가  이다.
22.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복소수 문제 해결하기       
따라서   이거나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의 계수는  이다.
 ,  는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다.       
양변에    을 곱하면      이므로    이다.   이다. (단, ≠  는 상수) 23.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해하기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이다.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   ,  이므로
      
따라서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ㄱ.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두 근의 합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참) 두 근의 곱   ×     이다.
    
ㄴ.   이므로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출제의도] 이차부등식 이해하기
     인 상수이다.
  
      이고, 이차부등식         이 해를 갖지 않도록
      
   
  하기 위해서는 이차방정식         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판별식      ≤  이어야한다.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다. (참)
  따라서  ≥  이므로 최솟값은  이다.
ㄷ.
  이다. 25. [출제의도] 인수분해 추론하기
      
[다른 풀이]  주어진 이차식을  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ⅰ)  (단,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다.
 방정식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         이다.
     이 서로 다른 두 정수 근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이다.
 
   
   
   
   
  의 계수를 비교하면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이다. [다른 풀이]

2
2021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주어진 이차식을  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   일 때,    이므로 순서쌍   는



이차방정식은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으로 개수는  이다.
이때            라 하면    일 때,    이므로 순서쌍   는
   ±     ,    , ⋯ ,    로 개수는  이다.

   이다.    일 때,    이므로 순서쌍   는

   ,    , ⋯ ,    으로 개수는  이다.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  의 총 개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이때  ,  에 대한 일차식이 되려면  가 완전제곱식 29.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   의 판별식    이다. 이용한 문제 해결하기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O  
 

 ≤  또는  ≥ 
           에 대해 함수       인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        
          이다. 직선       과 함수    의 그래프는

 의 그래프를 그리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
점    를 포함한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식을 전개하여 인수분해하면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자연수  의 값은  이다. 

26. [출제의도] 제한된 범위에서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문제 해결하기

  

이차함수               
    O   

에서 꼭짓점의  좌표는       이고, 
 직선      의  절편은  이다.
   이므로  ≤  ≤  에서 이차함수    는  절편이  인 직선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며 그래프를 
감소한다. 그려보면  O  
이차함수    의 최댓값은  
        이다. (ⅰ), (ⅱ)에 의해 모든  의 값은  ,  이다.

      이고  ,  는 음의 정수이므로   
    ,     이다.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이다.
30. [출제의도] 여러 가지 방정식 문제 해결하기
27. [출제의도]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다항식  를      로 나눌 때 몫을  라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하자.  가     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다. 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허근을  라고 하면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이다.
  O    는   의 근이므로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 과 함수    의 그래프가 서로           ⋯         
다른 세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다음 두 가지뿐이다. 이라 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ⅰ)      이 점     을 지나는 경우   이 되려면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키려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   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 
   ·  ·  
자연수  을 찾아야 한다.
 ·     
따라서 자연수  의 최솟값은  ,  의 최소공배수인 
 ·   
 이다.  O  

28.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    에 점     을 대입하면  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  이다.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이다.
      ,     이므로 (ⅱ)      이    에 접하는 경우
따라서    또는    이고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의
모든 자연수  의 값의 합은      이다.
     판별식        이므로   ±  이다.
        인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직선      과
함수    의 그래프는 점     를 포함한 서
          ( ,  는 자연수)이므로
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난다.
     이다.
   일 때,    이므로 순서쌍   는
   ,    , ⋯ ,    로 개수는  이다.
   일 때,    이므로 순서쌍   는
   ,    , ⋯ ,    로 개수는  이다.

3
2021학년도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7. [출제의도] 인수분해 이해하기 13.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     라 하면 관계 이해하기
수학 영역  직선      가 이차함수         의
             
       그래프와 만나므로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정 답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의 판별식을   이라 하면
1 ④ 2 ② 3 ① 4 ④ 5 ③        ×  ×   ≥ 
6 ① 7 ⑤ 8 ③ 9 ① 10 ⑤ 8. [출제의도] 절댓값을 포함한 일차부등식    ≥ 
11 ② 12 ① 13 ② 14 ③ 15 ④ 이해하기 
16 ⑤ 17 ① 18 ② 19 ⑤ 20 ③ 부등식     ≤  에서   ≤    ≤  ≥  ⋯㉡

21 ② 22  23  24
25   ≤≤ 직선      가 이차함수         의
26  27  28  29  30  모든 정수  는   ,   ,  ,  ,  ,  이고 그래프와 만나지 않으므로 방정식
그 개수는 
         

해 설           ⋯ ㉢
㉢ 의 판별식을   라 하면
9. [출제의도] 점의 대칭이동 이해하기
점      를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     ×  ×    
1.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점 A 의 좌표는      이고, 점 A 를  축에     
               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에서
따라서           
2. [출제의도] 항등식의 성질 이해하기  ≤

     ,    ,   
따라서 모든 정수  의 값은  ,  ,  ,  이고
따라서         
10. [출제의도]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 이해하기 그 개수는 

원       위의 점      에서의 접선의
3. [출제의도] 두 점 사이의 거리 계산하기 기울기를  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14.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        
P Q            
 활용한 문제해결하기
원의 중심      과 접선 사이의 거리는 원의
이차방정식 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근이
반지름의 길이   과 같으므로
 ,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4.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     
  
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 ,  가 이차방정식의 근이므로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     이므로
따라서
 절편은 
 
5. [출제의도] 좌표평면 위의 선분의 내분점  
           
이해하기
   
세 점 A     , B      , C     를 11. [출제의도] 연립이차방정식 이해하기        
   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좌표는    이므로
   ㉠ 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15. [출제의도]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를
         ,    ⋯ ㉢
   ,   활용한 문제해결하기
 
㉢ 을 ㉡ 에 대입하면 세 이차함수      ,      ,     의
   ,   
   ×      ,    최고차항의 계수의 절댓값이 같으므로    의
따라서         
,  최고차항의 계수를     이라 하면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6. [출제의도] 연립부등식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12.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허근 이해하기
        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   이면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다른 한 근은      이므로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정식          에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또는   
따라서 모든 근의 합은     

5 15
2021학년도 9월
고1 정답 및 해설 전국연합학력평가

16.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를 활용한 


PM   , 
CM   ,      
문제해결하기
CP   이고
삼각형 CP M 이 직각삼각형이므로
   ×     

 
    
 
두 직선 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  이고   (참)
      ⋯ ㉡
ㄴ. ㄱ에 의해

각각의  절편이   ,  이므로  축 위에 있는 ㉠ , ㉡ 에서    ,   
 이므로 원점 O 와
       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     

직사각형의 두 꼭짓점의  좌표를 각각    
     
      (참)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ㄷ. ㄱ에 의해 자연수  에 대하여

18.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을 활용한 추론하기


나머지 두 꼭짓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점 P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점 Q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직선 AQ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i)      일 때,
직선 BP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점 R 의  좌표는  이고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삼각형 P O R 의 넓이는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두 삼각형 P O R 와 삼각형 Q O R 는 합동이고      

두 꼭짓점의 좌표가 같으므로            
사각형 P O Q R 의 넓이는 삼각형 P O R 의 넓이의 
       ,     
 배이므로 이므로
직사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다.
      을 만족시키는  이하의 모든 자연수  은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이고 그 개수는 
이므로, 직사각형의 넓이를   라 하면
  (ii)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은   
         

19. [출제의도] 선분의 내분을 활용한
   

문제해결하기              

두 점 P , R 의 좌표가 각각        ,
17. [출제의도]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활용한 문제해결하기 
  
양수  ,  에 대하여 원의 중심의 좌표를 P R                 이므로
원점 O 와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  는                
C      라 하면 점 P 의 좌표는      이다.
  을 만족시키는  이하의 모든 자연수  은  ,
    

  ,  , ⋯ ,  이고 그 개수는 

삼각형 O P R 의 넓이가   이므로 (iii)    일 때,
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이므로
 C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점 R 의 좌표는        
   
M 을 만족시키는  이하의 자연수는 없다.
 원   과 원  의 넓이의 비가    이므로
(i), (ii), (iii)에 의해
 
PQ  
QR    모든 자연수  의 개수는  (거짓)
Q 점 Q 는 선분 P R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O P  점 Q 의 좌표는      

  


점 P 를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을  이라 하면 따라서     


     
    
 21. [출제의도] 두 점 사이의 거리를 활용한
문제해결하기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20. [출제의도] 삼차방정식의 해를 이용한    가 서로 다른 두 점 A , B 에서 만나므로
QR  P S 에 의해 점 C 와 축 사이의 거리와
추론하기        ,     
점 C 와 직선  사이의 거리가 같으므로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ㄱ.    


 
    
 따라서 A        , B       

AB          
선분 P S 의 중점을 M 이라 하면

6 15
2021학년도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삼각형 AO B 가 이등변삼각형이 되는 경우는 (i), (ii), (iii)에서    ,            ≤ 
(i) 
OA 
O B 인 경우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22. [출제의도] 다항식의 나머지 계산하기  ≤    또는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를    로 (i)  ≤  ≤  인 경우 연립이차부등식을
A B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ii)  ≤  ≤  인 경우 연립이차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는 
O  (iii)  ≥  인 경우 연립이차부등식을
23. [출제의도] 제한된 범위에서 이차함수의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는 
       따라서 연립이차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 의
최솟값 계산하기
개수가  가 되도록 하는 모든 자연수  은  ,  ,
이차함수            ≤  ≤   에서
(ii) 
OA AB 인 경우  ,  ,  이고 그 값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28. [출제의도] 원의 방정식을 활용한
 이므로, 최솟값은    일 때 
문제해결하기
A B
∠AO B   이므로 선분 AB 는 원의 지름
A      이라 하면 B        이고
24.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이해하기

O 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의 원의 중심 C 의 좌표는   
 
판별식을  라 하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기 점 C 가 직선    위의 점이므로
  
위해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      
 인 경우 ] 따라서 모든 자연수  는  ,  ,  ,  ,  ,  이고 
 이므로    ,    ,   
 그 개수는  따라서             
A B
[다른 풀이]
25. [출제의도] 두 직선의 수직 조건 이해하기 원의 중심 C      에서 축, 축에 내린 수선의
O   발을 각각 H , I 라 하면 H      , I     
직선        의 기울기는   이므로

두 삼각형 CO A , CBO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     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다. A      , B     

조건 (가)에서      ⋯ ㉠
[      
 인 경우 ] 수직인 직선이 점      를 지나므로
조건 (나)에서    ⋯ ㉡

(iii) 
OB AB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따라서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A B
26. [출제의도] 도형의 평행이동을 이용한 29. [출제의도] 나머지정리를 활용한 추론하기
문제해결하기                  ⋯ ㉠
원           의 중심의 좌표는 ㉠ 에    ,   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O   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 이다.                  
원  의 중심의 좌표는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반지름의 길이는  이다. 다항식   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      
 인 경우 ] 원  의 중심이 제  사분면 위에 있고  축과 삼차다항식이므로
 축에 동시에 접하기 위해서는 중심의 좌표가        ⋯ ㉡

     이어야 하므로 ㉠ , ㉡ 에서
A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출제의도] 연립이차부등식을 활용한
              
        문제해결하기
           
[    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에서

7 15
2021학년도 9월
고1 정답 및 해설 전국연합학력평가

3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관계를 활용한 문제해결하기


함수         ≤  의 그래프와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 가 접하는  의 값은
(i)  ≤  ≤    즉,  ≤  ≤  일 때        
함수      의 최솟값은    에서        ⋯ ㉣
    ㉣의 판별식을   라 하면
  
ⅰ    ≤      즉,  ≤  ≤
◯ 일 때       ,    ⋯ ㉤

  
함수      의 최댓값은      에서
     
 


  ≤  에서 함수     의 그래프와 직선

따라서       





 
     가 점    에서 접한다.
    

ⅱ          즉,
  ≤일 때 따라서 ㉠ , ㉢ , ㉤ 에서 방정식      의

함수      의 최댓값은    에서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 가 되도록 하는 모든
 
    실수  의 값의 범위는     
 
따라서       
(ii)      즉,    일 때    
 
함수      의 최솟값은      에서 따라서     
     
함수      의 최댓값은    에서 
   
따라서       
(i), (ii)에서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 



≤ ⋯②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② O  



O  

함수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가  이려면 직선


 
     가 점    을 지날 때이므로
  
 
     ,    ⋯ ㉠
 



또한 함수         ≤  ≤  의
 
그래프와 직선   
  가 접하는  의 값은
         
         ⋯ ㉡
㉡의 판별식을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
직선      가 점    에서
  
 
 
접한다. 
8 15
2021학년도 11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이차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  가
2교시 수학 영역
  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
1 2 3 4 5 에서    또는        
은 양수이므로   
6 7 8 9 10
11 12 13 14 15 정수 의 개수가 가 되도록 하는 의 값은  
16 17 18 19 20 11. [출제의도] 명제의 조건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일 때
21 22 5 23 3 24 7 25 19 두 조건 , 의 진리집합을 각각  ,  라 하면
26 18 27 4 28 6 29 164 30 74      ≤  ≤ ,       ≤  ≤ 
가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려면  ⊂ 
   
1.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정수 의 개수가 가 되도록 하는 의 값은 

( ), ( )에 의하여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              
    

2. [출제의도] 항등식 이해하기     정수 의 개수가 가 되도록 하는 모든 정수


등식            가 에 대한   ≤  ,  ≥ 이므로  ≥  의 값의 곱은  ×    
항등식이므로 양변에서 동류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자연수 의 최솟값은  16. [출제의도] 인수분해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12. [출제의도] 연립이차방정식 계산하기    라 하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3. [출제의도] 함수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 이해하기 에서 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점   를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절편은  , 에서   ,   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5. [출제의도] 대칭이동 이해하기
  ×   ×   ×   
13. [출제의도] 평행이동 이해하기
직선      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  ×  × 

직선        이 점   를 지나므로 원          은 중심의 좌표가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17. [출제의도]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추


원  는 중심의 좌표가      이고 론하기
6.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반지름의 길이가 이다.   , B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두 점 A  
원  가 축과 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원  의 중심   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     ≠ 이므로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14. [출제의도] 절대부등식 이해하기
 
  
     
이고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7.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 AC 라 하면
BC , 
원  위의 점 P 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를 라 하면
다항식 를 일차식   로 나누었을 때의
직각삼각형 ABC 의 넓이는  이므로

몫을   , 나머지를  라 하면   ≤  ≤ 이다.

 선분 AB 의 길이는 
    이고
     
삼각형 ABP 의 넓이를  라 할 때
   ,   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   이므로

선분 AB 가 직각삼각형 ABC 의 빗변이므로 
       ×  ×   이므로
  
AB    
8. [출제의도] 원의 접선의 방정식 이해하기  가 자연수이려면 가 자연수이어야 한다.
  ,   이므로
원  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 직선 AB 와 평행한 직선 중에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    이 점   를 지나므로 원  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  이고
≥  (단, 등호는    일 때 성립)
  
직선 AB 와의 거리가 인 직선을 이라 하자.

    ,     
( )   일 때
9. [출제의도] 근과 계수의 관계 이해하기 AB 의 최솟값은 

   ≥ 이므로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5. [출제의도] 연립부등식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또는  ≥ 


에서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에서 가 양수이므로     ≥ 일 때  ≤  ≤ 
1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관계 ( )   일 때
A

이해하기 O B 
 
      에서       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려면 직선 과 원  는 한 점에서 만나므로

1
점 P 의 개수는 
21. [출제의도] 원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이면   이고   에서   이다.
( )  ≤  ≤ 일 때 ( )    일 때
세 원
  이면   이고   에서   이다.
    이면   이고   에서   이다.         ,

( ), ( )에 의하여  
       의 값은             ,

 또는 이므로   
 의 최댓값은  (참)    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 , 을 차례로  ,  ,  이라 하자.


집합  ,  ,  는 좌표평면에서
 19. [출제의도]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을 이용하여 추
론하기 직선    가 세 원  ,  ,  과 각각 만나는

두 선분 AB , BC 의 길이가 모두 이므로

점의 집합이다.
   
A AP 
원  의 중심     과 직선     사이의
BQ      
  
 
O B 
AP  
P B 
AP   
AP      
거리가   이고 원  의 반지름의 길이가
   

AP  
BQ   
직선 과 원  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  
이다. 두 점 P , P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점 P 의 개수는  ×    이므로 원  과 직선    는 한 점에서 만난다.

각각 H , H 이라 하면
( )   일 때

두 삼각형 PBH 와 P BH 에서 그러므로   



PH  
P H PB  
PB 세 원  ,  ,  은 모두 축에 접하고

   
   AP AP   원  의 중심은 제사분면, 두 원  ,  의 중심은
              제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원  은 두 원  ,  과
이므로 만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BQ × 
  
PH   × 
BQ × 
PH   , ∩ ∪  ∅이므로
 
BQ × 
PB    
BQ × 
P B
∪∪  이려면 ∪   ⋯
두 원  ,  의 중심     ,     는 모두
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 위의 점이다.
A
이다. 따라서   이다.

O B  
 직선      위의 점      ( ≥  )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므로

직선 과 원  는 한 점에서 만나므로
원의 중심    와 직선     사이의 거리는
 
점 P 의 개수는     
( ), ( ), ( )에 의하여 모든 점 P 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 
 

20. [출제의도] 집합의 연산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      
이므로 점     ( ≥  )을 중심으로 하고
18. [출제의도]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 ,    ⊂  이고
조건 (나)에서        이므로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과 직선    는

            (참)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이면    이므로 서로 접하고

   ⊂   에서  ⊂  이고 
  이면   이다.
  이면   인 자연수 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에서  ⊂  이므로
  이면   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점에서

  이면   이다.    ⊂  ⋯ 

 ≥ 이면  ≥ 이므로 자연수 는 존재하지


 조건 (다)에서 만난다.
않는다.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에서    , 에서  ⊂  이고
  ,   ,     이 되어      (참)
 ∩∪ 
 ≠ 이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가)에서   이고 에 의하여  ≤   에서   이므로
           
원  와 직선    는 서로 접하고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에 의하여 세 원소 , ,  중 적어도

    이면     인
하나의 원소는 집합  에 속해야 한다.         에    를 대입하면

자연수   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  이면     인 집합  의 모든 원소의 합이 최소이려면   이고 

자연수   는 존재하지 않는다. 에 의하여 다섯 원소 , , , ,  중



  
       

    이면     이다. 가장 작은 원소는 집합  에 속해야 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일 때 모든 원소의 합이

    이면     이다.   
    이면     인 최소이고 집합  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솟값은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자연수   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 이므로
 ⊂  이므로      
 
자연수   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일 때
점      이 원  위의 점이어야 하므로
 

  이면   이고   에서   이다.  

2
세 원  ,  ,  과 직선    는 그림과 같다.
        
HC  × 
QN  이므로
 
           에서      

DH  
CD  
HC    ⋯
함수 의 최댓값은     
점 A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R 라 하면


( ), ( )에 의하여 함수 의 최댓값은 
   


BR 
HC   , 
RH 이므로
 27. [출제의도] 항등함수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BC 
BR 
RH 
HC    ⋯
함수  ∘ 가 항등함수이므로 , 에서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BC 
AD × 
DH 
 ∘   에서   
 × 
BC 
AD  × 
DH

O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28. [출제의도] 합성함수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AB  BC  CD AD

           에
        
∘   에서
  로 치환하면   
    에서
   ,    을 대입하면
 
  일 때     에서    이고,      
 

 ≥ 일 때       에서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의 판별식  가
   
   에서
  
  일 때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므로   
 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은
     ,    
 ≥ 일 때
 
     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이고
 
의 판별식  가
22. [출제의도] 집합의 포함 관계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   BD  
BH  
DH     
  ,  ⊂  이므로 이므로  ≥ 일 때,    를 만족시키는
3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와 최소를 이용하여 추
 ,    실수 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론하기
23. [출제의도] 다항식의 연산 이해하기 ( )   인 경우
방정식   의 두 실근을 ,  (   )라 하면
  에서
   또는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이고 함수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이
에서  의 계수는   만나는 서로 다른 세 점 중 좌표가 이 아닌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두 점의 좌표를 각각 ,  (  )라 하면
   에서   
( ), ( )에 의하여 ∘   를 함수 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4. [출제의도] 선분의 내분점 이해하기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  가
  

        
 
  

29. [출제의도] 삼차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직선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
 
 A D 
25. [출제의도] 두 점 사이의 거리를 활용하여 문제해
결하기   

마름모 OABC 에서  OC 이므로


OA  M N
P Q

   
  
  에서    (  )
B R H C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선분 AC 의 중점은 선분 OB 의 중점과 같다.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을  이라 하고      

선분 CD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을  라 하자.
  ,    에서 은 방정식       의 한 실근이고
         
두 선분 AB , CD 의 중점을 각각 M , N 이라 하면
    
    이면         이므로
두 점 M , N 은 각각 두 원  ,  의 중심이다.
  ,   이므로             
함수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6.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와 최소를 활용하여 문  CD 이므로 두 원  ,  의 반지름의 길이가
AB 
제해결하기
서로 같고 원  과 원  는 오직 한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함수              에서
원  과 원  가 만나는 점은 선분 MN 의 중점이다.
( )     일 때
선분 MN 의 중점을 P , 점 D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의 최솟값은   
수선의 발을 H , 선분 DH 와 선분 MN 이 만나는
    이므로 의 최솟값이 이 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점을 Q 라 하자.

( )  ≥ 일 때 두 원  ,  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하면

의 최솟값은         


QN 
PN 
PQ   에서

3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이고
, 에서 의 값은
  과    중 큰 값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또는   
     에서     또는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이면      ,  ≤   일 때     ,

 ≥ 이면      이므로  일 때    이다.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일 때

따라서    ≥ 

   ≤ 이고 에서    

    이면        ≥ 이고 ( ) ~ ( )에서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의 최댓값은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조건에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고 이고


   

             함수 는    과   에서 최솟값 을 가지므로

에서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이다.


방정식   의 실근은
 ,     
      이다.
함수  에서 두 실수  ,     에 대하여

 이면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이면   ⋯
 ≤       

 ≤    이면  
   ⋯
이다.    ≤  ≤   에서
함수  의 최댓값 는 다음과 같다.
일 때
( )       
     이고 에서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이고
, 에서 의 값은
  과   중 큰 값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에서     또는   
     에서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일 때     ,
 일 때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이고 에서    
( )      ≤   일 때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이고
 에서     

4
2020학년도 3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
  ×   
• 수학 영역 • 

 ×   


정 답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는  이다.
1 ④ 2 ③ 3 ④ 4 ① 5 ⑤
[보충 설명]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ABC 와 ∆HDC 에서
6 ① 7 ② 8 ② 9 ④ 10 ②
반지름의 길이가  , 중심각의 크기가 ° 인 부채꼴의 ∠A  ∠DHC  °
11 ③ 12 ⑤ 13 ③ 14 ① 15 ⑤
16 ③ 17 ④ 18 ① 19 ③ 20 ② 호의 길이를  , 넓이를  라 하면 ∠C 는 공통이므로
21 ⑤ 22  23  24  25   ∆ABC 와 ∆HDC 는 닮음이다.
   × 
26  27  28  29  30   따라서
 ∠B  ∠CDH  °이므로
   × 


해 설  cos  cos °  

   


BA 
한편 ∆ABC 에서 cos   
   이므로
1. [출제의도] 유리수의 연산 원리를 이용하여 식의 값 6. [출제의도] 함수의 뜻을 이해하고 함숫값을 구한다. BC BC
   이므로  
을 계산한다.  

BC 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C  × 
    ,    따라서 
BC 
   
 따라서     
 
10. [출제의도]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해하여 주어진 식
      ×  
  의 값을 구한다.
   


조건에서 직사각형 ABCD 의 대각선의 길이가 
이
 
므로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출제의도]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계산한 7.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해의 의미를 이해하여 조건
다. 을 만족시키는 값을 구한다.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이    이므로

   

 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보충 설명] 지수법칙 

①  ,  이 자연수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직각삼각형 ABC 에서
②  ,  이 자연수일 때      ×    ×     
  
③  ,  이 자연수, ≠  일 때 , 
AC  BC  이므로
 
   이면  ÷          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
   
   이면  ÷    
      AB  
AC  
BC
  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④  이 자연수일 때 

    따라서

8. [출제의도] 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계

 





(단, ≠  ) 산한다.

AB 

변 DC 의 길이와 변 AB 의 길이는 같으므로
주어진 식에     
 을 대입하면
3. [출제의도]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을 이용하여 식을  
DC 
AB 

      

     
간단히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     를 이항하면
     

4. [출제의도] 일차부등식의 자연수인 해의 개수를 구한
양변을 제곱하면
다. 
BP  BA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Q  CD  
 이므로
 ≤  따라서      
    

 ≤ [다른 풀이]
따라서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개수는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5. [출제의도] 부채꼴의 넓이를 이해하여 부채꼴의 반지 [다른 풀이]
 
름의 길이를 구한다. 위의 풀이에서  DC 
AB 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 하자. 9. [출제의도] 삼각비와 닮음을 이용하여 선분의 길이를   의 값은 선분 PQ 의 길이와 같다.
구한다. 
PQ  
PB 
BC 
CQ 이므로
중심각의 크기가 ° 인 부채꼴의 넓이는
 각 선분의 길이를 구하면
 × 
 
PB 
AB 

주어진 조건에서 부채꼴의 넓이가  이므로 
BC 

CQ  
CD  

1
따라서  ,  ,  ,  , , 
  
PQ  PB BC  CQ 최빈값이 존재하기 위해서  는  ,  ,  ,  ,  ,  중
     
  에 하나가 되어야 한다. 이때, 중앙값이 될 수 있는
   
 수는  ,  중 하나이므로    또는    이다.

   이면 중앙값이  이 되는데, 평균이  ≠  이므
11. [출제의도] 도수분포다각형을 이해하여 조건을 만 
족시키는 값을 구한다. 로 ≠  이다.
   이면 중앙값이  가 되고 평균 역시  가 되어
모든 조건을 만족한다. 
   ,       가 제  사분면에서 만날 때 두

따라서   
직선과 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 이므로
14.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이해하여 조건에 교점의  좌표는   이 되어야 한다. 이때, 교점의
맞는 그래프의 모양을 구한다.  좌표는   가 된다.
 
따라서  의 값은      이다.
 
위의 도수분포다각형으로부터 도수분포표를 만들면 (ⅲ)  ≤  일 때
다음과 같다.

사용 시간 도수(명)
이상 미만
 ~ 
 ~ 
직선      에서 기울기는 양수이고  절편은 음수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직선    가  축과 만나는 점의  좌표가 음수이므로
 ~     이다.
 ~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는
 ~     이므로 아래로 볼록하고,    이므로  축과 음 
   ,       와  축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의 방향에서 만난다. 
합계 
       넓이의 최댓값은  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
도수의 총합은   키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명) 
   

    따라서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은
사용 시간이  시간 미만인 학생의 수는   
축의 방정식은     이고    ,    이므로 꼭짓   
     (명)   
학생의 비율은 점의  좌표는 양수이다.
16. [출제의도] 미지수가  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을 이용
 따라서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로 알맞은
 ×     하여 실생활 문제를 해결한다.
 것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 의 값은  이다. A 가 이긴 횟수를  , 비긴 횟수를  라 하면
A 가 진 횟수는     이다.
12. [출제의도]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둘레 A 가 얻은 점수는
의 길이를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B 가 이긴 횟수는 A 가 진 횟수와 같으므로
B 가 얻은 점수는
 ×      ×  ×   
    …… ㉡
15. [출제의도] 삼각형의 넓이와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 ㉡에서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따라서 A 가 이긴 횟수는  이다.
(ⅰ)    일 때
 [다른 풀이]
모든 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가위바위보를  번 하고 난 결과, A 의 점수가 B 의
          
점수보다  점이 많다. 한 번의 가위바위보에서 이긴
이므로 만들어진 직사각형은 두 변의 길이가 각각
사람과 진 사람의 점수 차이는  점이므로 A 의 이긴
   와    인 직사각형이 된다.
횟수는 B 가 이긴 횟수보다  만큼 많다.
위 도형을 모두 사용하여 직사각형을 만들면 다음과
A 가 이긴 횟수를  라 하면 B 가 이긴 횟수는  
같다.
이고 비긴 횟수는         이다.
따라서 가위바위보를  번 하고 난 결과, A 의 점수
는  점이므로
 ×   ×     ×   

 따라서 A 가 이긴 횟수는  이다.
   ,       가 제 사분면에서 만날 때 두

직선과 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 이므로 17. [출제의도]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의 성질을 이용하
교점의  좌표는  이 되어야 한다. 이때, 교점의 여 각의 크기를 구한다.
따라서 둘레의 길이는 
 좌표는  이 된다. 따라서  의 값은      이

         
다.
13. [출제의도] 대푯값을 이해하여 자료를 추측하고 주 
(ⅱ)      일 때
어진 상수의 값을 구한다. 

 를 제외한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크기 순서대로 나열


하면 다음과 같다.

2
∠OAB  °라 하자. 나게 되므로  이 세 번 이상 곱해져서 조건을 만
외심의 성질에 의해   이고
OA OB 족하는 경로는 없다.
삼각형 OAB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OBA  °  →  →  →  → ⋯ 로 이동하는 경우 B 지점으로
∠OBA  ∠IBO  ∠ABI 이동하는 모든 경로는  을 추가로 한 번 이상 지
 ° ∠ABI 나게 되므로  가 세 번 이상 곱해져서 조건을 만
∠ABI  ° ° 족하는 경로는 없다.
점 I 는 삼각형 ABC 의 내심이므로  →  →  →  로 이동하는 경우 계속하여
∠ABI  ∠IBC , ∠BAI  ∠IAC  →  →  →  →  →  →  로 이동해야 한다. 이
∠IBC  ° °, ∠IAC  ° 때 지나간 타일에 적힌 모든 수의 곱은 다음과 같
따라서 다.
∠ABC  ∠ABI  ∠IBC  × × × × × ×   ×  × × ×
 ° ° ° ° 이 곱은 문제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삼각형 ABC 의 외접원과 직선 AO 의 교점을 D 라 하
 ° ° 따라서 지나간 타일에 적힌 모든 수의 합은 다음
고 ∠IBC  ° 라 하면
삼각형 ABC 는 
AB 
AC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과 같다.
∠OBC  ° °
∠ABC  ∠ACB               
점 I 가 삼각형 ABC 의 내심이므로
 ° ° (ⅲ) 처음에  가 적힌 타일을 지나는 경우
∠ABC  °
삼각형 ABC 의 내각의 합은 °이므로  또는  이 적힌 타일 중 하나를 한 번,  이 적
점 O 가 삼각형 ABC 의 외심이고 직선 AD 는 변 BC
∠ABC  ∠ACB  ∠BAC  ° 힌 타일을 한 번 지나는 경로는 존재하지 않으므
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 ° ° ° ° ° 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는 없다.
∠BAD  ° °
° °  °, °  ° (ⅰ), (ⅱ), (ⅲ)에서 구하는 합은  이다.
∠BOD 는 삼각형 ABO 의 한 외각이므로
따라서 [다른 풀이]
∠BOD  ° ° ° °
∠A  °  °  을 소인수분해하면
 ° °
[다른 풀이]    × × × ×
∠BAD 는 호 BD 에 대한 원주각, ∠BOD 는 호 BD 에
점 I 는 삼각형 ABC 의 내심이므로 직선 AI 는 ∠BAC 이므로  가  번,  이  번,  가  번,  이  번,  이 
대한 중심각이므로
를 이등분한다. 번 곱해진다. 또한 주어진 도로망에서  ,  ,  ,  ,
∠BOD   ×∠BAD
삼각형 ABC 는 
AB 
AC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직선  가 적힌 타일은 지날 수 없다. 따라서 지날 수 있
따라서
 를 수직이등분한다.
AI 는 밑변 BC 는 타일은 다음 그림과 같다.
° °  × ° °
삼각형 ABC 의 외심 O 는 변 BC 의 수직이등분선 위
 ° °
에 있으므로 점 O 는 직선 AI 위에 있다.
° °, ° °
따라서
∠BAD  ° °
 °
이므로 ∠A  °

18. [출제의도]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의 합을 추론한다.
∠ABI  °라면  을 소인수분해하면 B 에서부터 지나온 자리를 거꾸로 찾아오면 맨 아래
∠ABO  ° °   
   ×  ×  × × 줄의  은 지날 수 없으므로 맨 윗줄의  을 지나야
점 O 는 삼각형 ABC 의 외심이므로 이므로  가  번,  이  번,  가  번,  이  번,  이 한다. 따라서 경로의 마지막은  →  →  이다. 이후

BO  
AO 한 번 곱해진다. 따라서 지나갈 수 있는 타일의 최대  또는  을 지나야 하므로 세 번째 줄의  을 지나야
따라서 삼각형 ABO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개수는  개이다. 또한 주어진 도로망에서  ,  ,  , 하고,  을 지나기 위해서는 그 위의  도 지나야 한
∠BAO  ∠ABO  ,  가 적힌 타일은 지날 수 없다. 다.
 ° ° 따라서 지날 수 있는 타일은 그림과 같다.
∠BIH 는 삼각형 ABI 의 한 외각이므로
∠BIH  ° ° °
 ° °
한편 점 I 는 삼각형 ABC 의 내심이므로
∠IBH  ∠ABI  °
따라서 직각삼각형 IBH 에서
° ° °  °  °
° °  °
°  °, °  ° 이미  와  을 지났으므로  는 더 이상 지날 수 없
한편  에서 소인수  과  은 한 번씩만 곱해지므로 다. 따라서 두 번째 줄의  를 지나야 한다.
∠BAH  ° °  의 배수인  또는  이 적힌 타일 중 하나를 한 번,
 ° °  이 적힌 타일을 한 번 지나야 한다.
 ° 따라서 지날 수 있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이므로 (ⅰ) 처음에  가 적힌 타일을 지나는 경우
∠A   ×°  ° 반드시  이 적힌 타일을 거쳐서  이 적힌 타일
[다른 풀이] 을 지나야 한다.
이 경우  개 이하의 타일을 지나는 경로는 없으
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는 없다.
(ⅱ) 처음에  이 적힌 타일을 지나는 경우
두 번째로 지나는 타일에 적힌 수는  이고  과  거쳐야 할 타일의 남은 수의 곱은  뿐이므로 가능한
이 적힌 타일은 동시에 지날 수 없으므로 세 번째 경로는  을 지나는 경우뿐이다.
로 지나는 타일은  이다. 따라서 아래 그림과 같이 동그라미가 그려진 수를 따
 →  →  →  → ⋯ 로 이동하는 경우 B 지점으로 라가야 한다.
이동하는 모든 경로는  을 추가로 한 번 이상 지

3
    
OP     이므로
PS  OS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OP   × 



OP  

     
 
OP   ×     

  

∆PCR 와 ∆PDA 에서
ㄱ에서 ∠ECF  °
  
CP CR DP 
DA 
SQ  
SC  


CP         
CP      
QO  QS OS  

    ×   CP   × 
  CP
따라서
   
      × 
CP  × 
CP 
따라서 지나간 타일에 적힌 모든 수의 합은 다음과 PQ  
OP  QO
   
     
 × CP
같다.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참)
     
CP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19. [출제의도] 무리수의 값을 추측하여 조건에 맞는    
[다른 풀이]
값의 범위를 구한다.        


      
ㄷ.   의 교점을 R 라 하고, 
DE , CF BF 
BF′ 이 되도록

  
  
  
 이므로
   
 점 F′ 을 잡는다. 그러면 
EF′ 과 
AB 의 교점은 점
  
  
  
 Q 이다.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조건 (가)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므로    
따라서 21. [출제의도] 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보기>의 참,
   
   
  거짓을 추론하여 판별한다.
조건 (나)에서
 
 과  
 사이에 한 개의 정수가 있으려면
그 정수는  이어야 한다.
즉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에서 ∠REF  °, ∠RFE  ° 이므로 ∆REF 는 정삼각
    
 …… ㉡ 형이 되어 ∠ERQ  ° 이다.
㉠, ㉡에서 구하는 의 값의 범위는 ∠DEF′  ° 이므로 ∠RQE  ° 이다.

  
      
 따라서 
QR  
QF
원의 중심을 O 라 하면 ∆OEF 는 
OE  
OF   인
20. [출제의도] 도형의 닮음과 이차방정식을 이용하여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
EF  
 이다. ∆REF
선분의 길이를 구하는 과정을 추론한다. ㄱ.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O 라 하면 부채꼴 OEF 
의 중심각의 크기는 가 정삼각형이므로 
QR   × 
RF  
 이다.

 ∠CQA  ∠EQA 이므로
∠EOF  °×   °

∠RQP  ° 이고 ∠PRQ  °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중심각의 크기의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고
점 P 에서 QR

 배이므로 
PQ   라 하면

 

∠ECF   × ∠EOF QH  
PQ ×cos °  
 
  
  × ° ° (참) PH  
PQ × sin °  

CR  라 하자.  
두 직선 AD , BR 가 평행하므로 ㄴ. ∠AOE  °이므로   RH×
PH  tan °   ×RH 이므로
∠QAD  ∠QRB 두 직선 CE 와 AB 의 교점을 S 라 하면  
RH   이다.
두 삼각형 QDA , QBR 에서    ×sin °
ES 

∠AQD  ∠RQB 이므로    


 × 
 QH 
RH      
 이므로
  
∆QDA 와 ∆QBR 는 닮음이다. ( AA 닮음)
  RB
    이 식의 양변에   을 곱하여 정리하면
따라서 AD AQ  
RQ 
 
CE   × ES

    

    
AQ  
RQ …… ㉠
 
 (참) 
두 직선 AD , BR 가 평행하므로  
 
∠PAD  ∠PRC ㄷ. 직선 EO 가 원과 만나는 점을 G 라 하면
    
두 삼각형 PCR , PDA 에서 ∠CED , ∠DEG 는 각각 호 CD , 호 DG 의 원주각 
 
   
  
∠APD  ∠RPC 이므로 이므로

    
∠CED  ∠DEG  ° 
∆PCR 와 ∆PDA 도 닮음이다. ( AA 닮음) 
 AD  
RP 
삼각형 OES 에서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 
따라서 RC AP    

OP PS   
OE  ES
 
    RP AP …… ㉡    

 
OE   , ES   이므로
  RP
AQ  이므로
 
OP  PS     22. [출제의도] 삼각비의 값을 계산한다.
  
AP  AQ QP
 
 QP
 RP     × 
PS OP
 × sin °   ×   
 


RQ    ×cos °
OS 23.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이해하
따라서
 여 주어진 값을 구한다.
   × 
    RP AP 
AQ  
RQ 
이차함수          에서 식을 변형하면
㉠, ㉡에서 
        
        

4
            확률을 구한다. 고 아직 상자에 들어가지 않은 초콜릿이 남아 있다.
          A 가 이기는 경우는 다음의 두 가지 경우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  (ⅰ) A 와 B 가 동시에 자신의 주머니에서 흰 공 한      
따라서 이차함수          의 최솟값은 개를 꺼내는 경우 위 부등식을 풀면
    일 때    이다. A 가 자신의 주머니에서 흰 공 한 개를 꺼낼 확률       
최솟값이  이므로        
은  이고, B 가 자신의 주머니에서 흰 공 한 개
   
    
 
   를 꺼낼 확률은  이다.    …… ㉠
 
따라서 구하는 값은
따라서 A 와 B 가 동시에 자신의 주머니에서 흰 또, 주어진 조건에서    개의 상자에 초콜릿을 
 
공 한 개를 꺼낼 확률은 개씩 담으면 한 개의 상자는  개가 되지 않으므로
24. [출제의도] 함수의 그래프의 성질과 선분의 길이를   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이용하여 주어진 값을 구한다.       
(ⅱ) A 와 B 가 동시에 자신의 주머니에서 검은 공
       
점 B 는 함수    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점 B 한 개를 꺼내는 경우
       
 A 가 자신의 주머니에서 검은 공 한 개를 꺼낼 확
의  좌표와  좌표는 방정식     를 만족시킨다.   
 
률은  이고, B 가 자신의 주머니에서 검은 공 
조건에서 점 A  를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이  

 
함수     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이 B 이므로 점 한 개를 꺼낼 확률은  이다.    …… ㉡
 
따라서 A 와 B 가 동시에 자신의 주머니에서 검은 ㉠, ㉡에서
B 의  좌표는  이다.

 공 한 개를 꺼낼 확률은     
   을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이때      이다.
점 B 의  좌표는     
 (ⅰ)의 경우와 (ⅱ)의 경우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
따라서
따라서 선분 AB 의 길이는 므로 구하는 확률은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29. [출제의도] 삼각형의 무게중심과 닮음을 이용하여
조건에서  AB  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다.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27. [출제의도] 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직육면체의
부피가 자연수가 되는 실수의 값을 구한다.
25. [출제의도] 주어진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경
세 모서리의 길이가  , , 
 인 직육면체의 부피는
우의 수를 구한다.  
  
 × ×   
문화 체험의 날 오전에 가능한 체험은 미술관 관람, 주어진 조건에서 직육면체의 부피가 자연수가 되어야
고궁 관람, 야구 경기 관람, 박물관 견학의  가지이 하므로
다.

   (단,  은 자연수)
한편 오후에 가능한 체험은 전통 시장 방문, 뮤지컬
이라 놓을 수 있다.
관람, 축구 경기 관람, 박물관 견학의  가지이다.
 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가지씩 선택하여 서로 다른    
 
가지를 체험하는 방법의 수는 주어진 조건에서  는  이하의 실수가 되어야 하므
 ×   로
그런데 오전과 오후에 모두 박물관 견학을 선택하는 

 ≤ 
경우는 제외하여야 하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선분 AB 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무게중심의 성질에
      ≤  의해 네 점 C , G , P , M 은 한 직선 위에 있다.
[다른 풀이]  마찬가지로 선분 AC 의 중점을 N 이라 하면 무게중
≤ 
그림을 이용하여 체험을 하는 방법의 수를 구하면 다 
 심의 성질에 의해 네 점 B , G , Q , N 도 한 직선 위
음과 같다.   에 있다.
이때     
 이므로

 
두 점 M, N 은 각각   의 중점이므로
AB , AC
 ≤ 
 
BC
MN 이다.
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값을 구하여 보
삼각형 MGN 에서
자. 

GP   
PM GQ QN

    이고
이므로 PQ 
 MN 이고 
PQ 
BC 이다.
   ,   
그러므로 두 삼각형 GQP , GBC 는 닮음이다.
이므로
이제 닮음비를 구해 보자.
  
  
점 P 가 삼각형 ABG 의 무게중심이므로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
GP  
PM   
따라서  ≤ 
 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은  부터 
PM  라 하면  GP   , 
GM  
 까지이므로 구하는 실수  의 개수는  이다.
점 G 가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이므로
28. [출제의도] 연립일차부등식을 이용하여 실생활 문 
CG      에서 
GM    , GM CG  
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상자의 개수를  라 하자. 
CG  
GP       
주어진 조건에서 한 상자에 초콜릿을  개씩 담으면  
이므로 
PQ   × BC
초콜릿이  개 남게 되므로 초콜릿의 개수는 

   이다. 선분 PQ 의 중점을 H 라 하고 선분 BC 의 중점을 I


또, 주어진 조건에서 한 상자에 초콜릿을  개씩 담   ×
라 하면 GI AI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 이다. 

으면 빈 상자가  개 남고, 한 상자는  개가 되지 않
두 삼각형 GQP , GBC 는 닮음이므로
26. [출제의도] 확률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사건의 으므로    개의 상자에는 초콜릿이  개씩 담겨 있

5
  
GH  × GI 에서 
GH  × 
AI 이므로
 

HI   
HG  GI
 
 × 
AI  × 
AI
 

 × 
AI

 
따라서 AH  ×
AI


즉, 삼각형 APQ 는 삼각형 ABC 에 비해 밑변은 

 
과 
그림에서 B′E′ XH 가 만나는 점을 I 라 하면 점 H 에서 
XP 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라 하고
배, 높이는  배이므로 넓이는  배이다. 
  
NX  
EI 이므로 사각형 NXIE 는 사다리꼴이다. QP  라 하자.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삼각형 APQ 의 넓이의   M′N′
B′E′  이므로 직각삼각형 HQP 에서
 ∠GXI  ∠GIX  ° ∠HPQ  ° 이므로 
HQ  

 배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GXI 는 GX  GI
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직각삼각형 HXQ 에서 ∠HXQ  ° 이므로
    
 ×      
 GX  GY , GY  
 이므로 XQ  HQ 

   
XP XQ  QP    
    이므로
[다른 풀이] GX  
GI 

IE IE′ 
 GE′ 
GI   
  
  
   

  
 
M′N′  ×  
B′E′ 
AF  이므로 삼각형 HXP 의 넓이는

    
M′N′  이다.  × XP× HQ   ×  × 

 
 
NX  
N′X   
M′N′  이므로  
  

사다리꼴 NXIE 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IE′  ° 이므로 ∠EIH  ° 이다. 

점 H 에서 EI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J 라 하면
사각형 XN′E′H 의 넓이는 삼각형 HXP 의 넓이에서
∠HE′I  ∠HEJ  ° 삼각형 E′N′P 의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HJ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EJ   ,  JI  
tan ° tan °
그러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변 AB 의 중점을 M 이라 하면   EJ
EI  JI      이므로   
  
점 P , G 는 중선 CM 위의 점이고  ×       

CG  
GM    ,      이다.
GP  PM
  
 ×       
tan ° tan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따라서  CG  GP PM          
 
 [다른 풀이]
마찬가지로 변 AC 의 중점을 N 이라 하면

삼각형 EIH 의 넓이는
BG  
GQ  
QN     
     
∆GQP 의 넓이를  라 하자.



 
 ×    ×    …… ㉡
  

△GQP 와 △GNM 은 닮음이고 닮음비가    이므로 ㉠, ㉡에서 구하는 넓이는
 
   
△GN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NM 과 △GBC 는 닮음이고 닮음비가    이므로  
   ,     이므로
  
△GBC   ×    

∆MBC 에서 CG   GM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BGM   × △GBC    , △AMG    그림에서 두 사각형 XNEH 와 XN′E′H 는 합동이다.
  
 
∆AMG 에서 GP  PM    이므로 점 E ′ 을 지나고 직선 XN 에 평행한 직선이 
XN ′ 의
 연장선과 만나는 점을 R , 
XH 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
△APG   ×△AMG  
 을 S 라 하자.
□APGQ  ∆APG  ∆AGQ   이므로
직각삼각형 XRS 에서 ∠SXR  °, XR
  
삼각형 XRS 의 넓이는  ×  ×   
∆APQ  □APGQ  ∆GQP 
   직각삼각형 N ′RE ′ 에서
  
N ′R 
XR  ′ 
XN′      , RE  이므로
  삼각형 N ′RE ′ 의 넓이는
따라서    이므로 그림에서 두 사각형 XNEH 와 XN′E′H 는 합동이다. 
  
  ×  ×   
△ABC   ×△GBC    FE′ 의 연장선과 
M′N′ 의 연장선이 만나는 점을 P 라  
하면 삼각형 E′N′P 는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삼각형 삼각형 HE′ S 에서 ∠HSE ′  °, ∠HE ′S  °이므로
30. [출제의도] 도형의 성질과 삼각비를 이용하여 실생 ∠SHE ′  ° 이다.

활 문제를 해결한다. 이고 그 넓이는  × × 
  
 이다.
 삼각형 HE′S 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6
점 H 에서 변 SE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T 라 하고

ST  라 하자.
직각삼각형 SHT 에서 ∠HST  ° 이므로

HT 
직각삼각형 HE ′T 에서 ∠HE ′T  °이므로

E ′T 

한편 SE ′ 
 SR 
RE′   
 이고

SE ′ 
ST TE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HE′ S 의 넓이는
    

 × SE ′× HT   ×   
 × 
  
 
  


사각형 XN′E′H 의 넓이는 삼각형 XRS 의 넓이에서 두
삼각형 N ′RE ′ 과 HE′ S 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XN′E′H 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7
2020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         로 나타낼 수 있고,           이고


• 수학 영역 •   를  에 대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실수  의 최댓값은  이다.
정 답 이다.
따라서  을    로 나눈 나머지는 13. [출제의도] 다항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실생활 문제
1 ③ 2 ① 3 ④ 4 ③ 5 ②    이고    이다. 해결하기
6 ② 7 ① 8 ① 9 ⑤ 10 ④ 실린더의 개수가  인 두 자동차  ,  의 보어를
8.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11 ② 12 ③ 13 ② 14 ③ 15 ⑤ 각각   ,   라 하고,
16 ⑤ 17 ④ 18 ⑤ 19 ① 20 ③  ±
방정식        의 근은    이다. 스트로크를 각각   ,   라 하자.
21 ④ 22  23  24  25  
    
26  27  28  29  30        ,       이므로
이때,    라 하면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해 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다.
1.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 
 
   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     이면     이므로     이다. 
14.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솟값 문제 해결하기

2.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따라서        이다.

ⅰ)   일 때,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다른 풀이] 에서 최솟값은 이다.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ⅱ)    일 때,     이므로  ≤  ≤ 

3.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       이다.


에서 최솟값은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따라서       
9. [출제의도] 복소수의 성질 이해하기 
 를   로 나눈 나머지는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15. [출제의도] 항등식 문제 해결하기
따라서 나머지는  이다.          이고
(가), (나)에 의하여,
   가 성립하려면  의 실수부분이  이어야 한
4.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해하기           이다.
다.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의 곱이   이므 ⅰ) 양변에    을 대입하면   
 의 실수부분이      이므로 ⅱ) 양변에     을 대입하면   
로     이다.
       의 근은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두 근이  과   이므로 두 근의 합은   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 값의 합은  이다.      
따라서    이므로      이다.
10. [출제의도] 다항식의 나눗셈 문제 해결하기  
5.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축의 위치 관계 항등식의 성질에 의하여      이다.
 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추론하기  
 조건 (가)에 의해       이다.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 축이 만나지 않으려면 이차방      


정식        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져야 따라서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  이다.
한다.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다른 풀이]
 (가), (나)에 의하여,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정수  의 최솟값은  이다. ⅰ) 양변에    을 대입하면   
위의 조립제법에 의하여
ⅱ) 양변에     을 대입하면   
6. [출제의도] 다항식의 계산과 항등식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양변에    를 대입하면
가         이므로

     
나       이므로   이고,    이다.

     
     16. [출제의도]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 추론하기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 
    
11. [출제의도] 곱셈공식을 이용하여 식의 값 추론하기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를 대입하면,
     × 
각 변의  개의 식의 합은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      과 
따라서    이다.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이다.
12. [출제의도] 이차함수 이해하기
따라서         이다. O 
직선       가 이차함수        의
7. [출제의도] 다항식의 나눗셈 문제 해결하기 그래프에 접하므로  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라 하면 이차방정식            이 중근을 갖는다. ㄱ.    의 그래프가  축에 접하므로
나머지가  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방정식   의 판별식        이다.

1
2020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 
   이다.              이다.
ㄴ. ㄱ에 의하여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 는 유리수이므로   ,     이고 
     에서 직사각형 ABCD 의 둘레의 길이의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 이다. 
ㄷ. 두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 최댓값은  이다.
19. [출제의도] 이차함수를 이용한 문제 해결하기 따라서 직사각형 ABCD 의 둘레의 길이의 최댓값은
방정식   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이다.
방정식     의 두 실근이    ,  이므로
          의 판별식 21.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은
           이다. (가)에 의하여  를    ,    로 나누었을 때
A    , C    에서 만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의 몫을 각각   ,   라고 하면 나머지가
직선      의 기울기는  이므로 삼각형 ABC 는
17.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 이해 직각 이등변삼각형이며     ,      으로 같으므로
하기 이다.      

 삼각형의 넓이는     ×    이고,    이므       이다.

  
   로      이다. 사차항의 계수가 인  에서는   는    를
한편,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  이므로 인수로 갖고   는    를 인수로 가져야 하므로
      이다.   와   의 공통인수를    라 하면
B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이다. (나)에 의하여    이므로     이고
      이다.
20.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댓값, 최솟값 추론하기
(다)에 의하여     이므로
이차방정식            의 근은
A        ,   이다.
   ,  이므로 두 점    과    에서 두 그
따라서  는 양수이므로    이다.
래프가 만난다.
O C D 
A      , B        22.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두 함수    와 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라 하면 선분 AB 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좌표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이고 
ⅰ)      인 경우 23.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     또는      이다. 
따라서            에서

점 A          , B            의 계수는  이다.
B C
라 하면 C      , D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사각형 ACDB 의 넓이는         
24. [출제의도]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  
  AC BD × 
CD     ×      이다.    을    으로 나누었을 때 몫과 나머지를 각
 
따라서 문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은 각   ,  라 하면

    ,   이므로   이다.         이다.


A D
   을 대입하면        이다.
18.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댓값 이해하기   를 대입하면
A         이다.

             이므로


O    
        를  로 나누었을 때
D G
H 

선분 BC 의 길이는  ×        이다.
  나머지는  이다.

직사각형 BADC 의 둘레의 길이는 25.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            이다.


    는   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        ( 는 상수) ⋯⋯ ㉠
     에서 직사각형 BADC 의 둘레의 길이의 라 할 수 있다.

최댓값은  이다.   는   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 이다.
B C  ㉠의 식에    를 대입하면
J E I F ⅱ)      인 경우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        이므로
점 A 에서 선분 DG ,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이다.
각각 H , I 라 하고, 원과 선분 BC 와의 교점을 J 라 C B
하자. 26. [출제의도] 이차방정식 이해하기
        
선분 DH 의 길이를  (    )라 하면 선분   의 두 근을 ,  라 하면,
AH 의 길이는    이고 선분 DE 의 길이는      이다.
  
  이다.     의 두 근을 ′ , ′ 이라 하면
직사각형 DEFG 의 넓이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일 때 직사각형 DEFG 의 넓이는 최대 D A
   의 두 근의 합 ′  ′ 은

이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O      

EI  , 
JE  , 
BJ  
  이므로
     27.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를
    이다.
   


선분 BC 의 길이는  ×        이다.
  이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  일 때    이므로 원의 둘레는 직사각형 ABCD 의 둘레의 길이는 A 의 좌표를 , B 의 좌표를 라고 하자.

2
2020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 는       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   ,    ,    ,    ,    ,   


관계에 의하여     ,   이다. 개이다.
   ,    이므로 이때  이하의 자연수    ,  ,  , ⋯ ,  은
   개이므로 만족하는 순서쌍    의 개수는 
     ,      이다.
  개이다.
 ⅲ)      ,    ( 는 자연수)일 때
           이고
  은  또는  이므로  ≥ 이다.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순서쌍    은
    에서   이므로   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 이하의 자연수  ,  에 대하여
28. [출제의도] 이차함수 추론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음의 실수인 순서쌍    의

  

(가)에 의하여 함수  의 그래프가  축에 접하므 개수는  이다.


로      이다.

  
따라서    ,     
   

 의 꼭짓점의  좌표가  이므로

(나)에 의하여   ≤  ≤  에서  의 최솟값은
  이다.

       이고    이다.


   이므로    이고, 따라서      이다.

29.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근 이해하기


꼭짓점 E 에서 변 AD 에 내린 수선의 발을 L 이라
    라 하자.
하고 JL
∆EJI 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
EL  이고
∆EJI 의 넓이는  이다.
   
AJ    이므로 ∆AKJ 의 넓이는  이다.


∆AKJ 의 넓이가 ∆EJI 의 넓이의  배이므로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다.


OE 
  이고,
    
   

OE 
OL 
EL 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
   
   이므로      이고
 
 
  이다.

30. [출제의도]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자.
ⅰ)      ( 는 자연수)일 때
    이고
    ,     ,     ,

이므로 순서쌍    은
   ,    ,    ,    ,    ,   
개이다.
이때  이하의 자연수    ,  ,  , ⋯ ,  ,  는
 개이므로 만족하는 순서쌍    의 개수는 
개이다.
ⅱ)      ( 는 자연수)일 때
     이고
    ,     ,     ,

이므로 순서쌍    은

3
2020학년도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8. [출제의도] 대칭이동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점 A      를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직선        을 직선    에 대하여 A′ 이라 하면 A′   
수학 영역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원의 중심을 C 라 하면 C   
따라서  절편은   

AQ  A′Q ,  A′C              

AQ  
QP  
A′Q  
QP ≥ 
A′P ≥ 
정 답 A′C    
따라서  AQ  
Q P 의 최솟값은 
9. [출제의도] 인수분해 이해하기
1 ① 2 ⑤ 3 ⑤ 4 ④ 5 ⑤       라 하면
6 ② 7 ① 8 ③ 9 ④ 10 ④         14.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그래프 이해하기
11 ① 12 ③ 13 ① 14 ① 15 ②               조건 (가)에 의하여       이므로
16 ③ 17 ② 18 ④ 19 ⑤ 20 ②                      
21 ⑤ 22  23  24
25                  ,  가 자연수이므로
26  27  28  29  30  ,     ,    또는    ,   
따라서      (i)    ,    일 때
          
해 설
10. [출제의도] 평행이동 이해하기 
1.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 
원      을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                   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2.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점   가 ㉠ 위의 점이므로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일 때   ≤  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ii)    ,    일 때
3. [출제의도] 이차부등식 계산하기 11.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 이해하기           
이차부등식      ≤  의 해가 두 점 A     , B    을 지나는
 ≤  ≤  이므로 자연수  의 개수는   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4. [출제의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이해하기
점 C     이 ㉠ 위의 점이므로
이차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을
              O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이므로 자연수  의 개수는 
   이므로   
 의 값의 범위가    일 때,     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킨다.
5.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i), (ii)에 의하여    ,   
12. [출제의도] 두 점 사이의 거리를 활용하여
다항식    를       으로 나눈 몫을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 
  라 하면 ∠ABC 의 이등분선이 선분 AC 의 중점을 따라서   
            지나므로 삼각형 ABC 는  인
BA  BC
            
이등변삼각형이다.
따라서 다항식 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 15. [출제의도] 삼차방정식 이해하기

BA  
BC 이므로      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      삼차방정식             의 한 허근이
   또는    

 이면 켤레복소수   도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   이므로    
근이다.
6. [출제의도] 항등식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한 항등식
이므로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두 허근  ,  는
13. [출제의도] 대칭이동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       에
이차방정식         의 두 근이다.
   을 대입하면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을 대입하면 A′
   ,   
따라서   
Q
O 
7. [출제의도] 복소수 이해하기 P
등식         에      , 
     를 C
대입하면        
   
A
      
,  
따라서     

5 15
2020학년도 9월
고1 정답 및 해설 전국연합학력평가

16. [출제의도]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를 점 C 는 직선  과  축이 만나는 점이므로 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점 C 의 좌표는 C        이다.
점 D     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를
R P
    
  라 하면   
Q  
 
A
  
    × 
AB ×    ×  ×   
H
    
 O Q
M

P   이고,
  
 O      
    × 
OD × O C  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      

   [다른 풀이]
  이다.

 ㄷ. Q 
    , P  
    이므로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삼각형 AQ P 의 넓이는    이다.
두 점 P , Q 의  좌표를 각각  ,      라   
점 R 는 선분 Q A 를    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두 삼각형 RQ P 와 AQ P 의 넓이의 비는   
따라서    를 만족시키는 양수  의 값은
   그러므로 삼각형 RQ P 의 넓이는    (참)
   ,    ⋯ ㉠
 
  
 이다.
   
점 M 의  좌표는      ,    그러므로
  
㉠ 에 의하여      ,      
   20. [출제의도] 원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
   ,    ,   
 해결하기

   
 
   
P      , Q      이므로
  따라서    ×  

  

  

 
P Q           
 
 P
      19. [출제의도] 두 직선의 위치 관계를 활용하여
 B

 추론하기
          ㄱ.    이므로 P  
C
 O 
따라서 선분 P Q 의 길이는  직선 P Q 의 방정식은           
점 Q 의  좌표는  (참) M

 
ㄴ. 직선 P Q 의 방정식은         
17. [출제의도] 나머지정리를 활용하여 추론하기   A

세 실수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라 하자.
 
      에서 Q   
    
 호 AB 에 대한 원주각이 ∠AP B   이므로
        직선 P Q 의 기울기는  이고,
 호 AB 에 대한 중심각은 ∠ACB  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ABC 는 
CA  
CB 인
              직선 AQ 의 기울기는    
 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           
 주어진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 CA 라 하면
조건 (가)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삼각형 ABC 에서 

AB  

CA  

CB  
조건 (나)에 의하여    ⋯ ㉠ 두 직선 P Q 와 AQ 는 서로 수직이다. (참) 선분 AB 의 길이가    이므로    
         ㄷ. 점 R 는 선분 Q A 를    로 외분하는 선분 AB 의 중점을 M 이라 하면
    를   로 나눈 나머지가 점이므로 점 M 의 좌표는 M    
 이므로    ,      ⋯ ㉡  직선 AB 의 기울기가  이고
× ×  직선 CM 은 선분 AB 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 , ㉡ 에 의하여 
점 R 의  좌표는    
 
      ,      직선 CM 의 방정식은       
× × 
따라서     점 R 의  좌표는   
 점 C 의 좌표를 C       라 하자.
 점 C 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은
R     이고, 점 R 가 이차함수      의
            
18. [출제의도]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 점 B    이 원 위의 점이므로
활용하여 추론하기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원        과 직선    가 만나는 점 A    에서    이므로    


의 좌표는       
R      , Q 
    , P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이다.

  
  삼각형 RQ P 의 넓이는
   
× RQ × Q P   ×  ×      (참)
   또는    
C     또는 C     
점 A 를 지나고 직선    에 수직인 직선을  
 
   또는   
이라 하자. 직선  의 방정식은
따라서  의 최솟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6 15
2020학년도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고1
[참고] 22.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
RS     

C      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의 계수는  
B 
O
 H
23. [출제의도]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이해하기 O
M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O S 
C 
P  좌표  는 주어진  의 값의 범위에 속한다. P Q
A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일 때,  ≤   ≤  R O
따라서 최댓값은  H

선분 H  H  의 길이의 최솟값  은
24. [출제의도]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이해하기 RS      

 
21. [출제의도] 선분의 내분과 외분을 활용하여 이차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을
문제 해결하기  라 하면            

   또는     
 Q    이므로   
P
S
P O O 
25. [출제의도] 원의 방정식 계산하기 H O
S R 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 H
Q
          ( ,  는 상수)이 R
A O B  두 점    ,      를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에 의하여     ,    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28. [출제의도] 연립부등식을 활용하여 문제
원의 중심 O 에서 선분 AP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 해결하기
S 라 하자.
  따라서     
선분 AP 가 원  의 현이므로 AS SP
점 Q 가 선분 AP 를    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

AS 
 SP  
PQ 26. [출제의도] 절댓값이 포함된 연립일차부등식
A B
∠AP B 는 호 AB 에 대한 원주각이고, 이해하기
선분 AB 는 원의 지름이므로 ∠AP B  
두 삼각형 Q SO 와 Q P R 에서    ≤  ⋯ ㉠
  ≤  ⋯ ㉡
∠Q SO  ∠Q P R   , ∠Q 는 공통이므로 ㉠ 에서  ≤ 
두 삼각형 Q SO 와 Q P R 는 닮음비가    인 ㉡ 에서   ≤    ≤  ,   ≤  ≤ 
닮은 도형이다. 그러므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O C 
그러므로 점 R 는 선분 O Q 의 중점이다. ≤≤
삼각형 O BR 의 넓이는 따라서 정수  의 개수는 
 
  ×  ×  점 R 의  좌표  점 A 가  축 위의 점이므로 A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점 R 의  좌표는  , 점 Q 의  좌표는  27. [출제의도]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 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         
점 P 는 선분 AQ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두 원   ,  의 중심을 각각 O  , O  ,    또는   
 점 B 와 점 C 의 좌표는 각각
 ×   ×  두 원   ,  의 반지름의 길이를
  B      , C   
점 P 의  좌표는    각각  ,  라 하자.
 
   이므로
점 O       에서 직선  에 내린

점 P 의 좌표를 P   라 하면

  수선의 발을 R , 점 O      에서 직선  에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점 P 의  좌표는 양수이고,  ≤      ≤ 
내린 수선의 발을 S 라 하면
  ≤      ≤ 
점 P 는 원 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직선 O  R 와 직선  이 서로 수직이므로
 (i)  ≤     
직선 O  R 의 방정식은      
점 A 를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직선  과 직선 O  R 가 만나는 점의 좌표는
 ≤   또는  ≥  ⋯ ㉠
R     
  

점 P    는 직선       위의
  직선 O  S 와 직선  이 서로 수직이므로
(ii)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점이므로      
 

  직선 O  S 의 방정식은      
직선  과 직선 O  S 가 만나는 점의 좌표는
≤≤ ⋯㉡
 ㉠ , ㉡ 에 의하여
따라서    S     ≤  ≤   또는  ≤  ≤ 

 
RS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므로  ≤  ≤ 
선분 H  H  의 길이의 최댓값  은 따라서 모든 자연수  의 값의 합은

7 15
2020학년도 9월
고1 정답 및 해설 전국연합학력평가

           점 C 와 직선 O B 사이의 거리는
 
CH   

29.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 직선 AB 의 방정식은        이므로
해결하기 점 C 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  
CH   

 

CH   
CH   
CH   
CB  
CO  
CA
P H A  
Q CA ≠ CB 이므로
점 C 를 중심으로 하는 삼각형 O AB 의
L 외접원은 존재하지 않는다.
 
O CH ≠ 
 CH 이므로

점 C 를 중심으로 하는 삼각형 O AB 의
내접원은 존재하지 않는다.
점 C 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 
 가 CH  , CB
CH , CH , 
CO , 
CA 와
B   
각각 같은 경우는 다음과 같다.

양수  에 대하여  
CH   
CH 
A   , B     라 하면
H   , L    
 
직선 AL 의 방정식은       
 

직선 BH 의 방정식은      


점 P 의 좌표는 P     



  한 점에서만 만난다. 세 점에서만 만난다.
직선 O P 의 방정식은    

직선 LH 의 방정식은      
  
CH   
CB

두 직선 LH 와 O P 의 기울기의 곱이   이므로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다.
선분 O L 은 세 점 O , Q , L 을 지나는 원의
지름이고  O L  
 
주어진 원의 넓이     에서   
 
   
O A       , O B       다섯 점에서만 만난다. 다섯 점에서만 만난다.
따라서 
OA× 
O B  
 
CO  
CA

30. [출제의도]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점 C     에서 세 선분 O A , O B ,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 , H  , H  이라 하자.

B
세 점에서만 만난다. 한 점에서만 만난다.

H
가 
CH  , 
CO 와 각각 같을 때 원과
H
삼각형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만 만난다.
C
따라서 점 C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이 삼각형 O AB 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O A 만 만나도록 하는 모든  의 값의 곱은
H
 
 ×  
  

점 C 에서 세 꼭짓점과 세 변에 이르는
거리에 따라 원이 삼각형과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가 달라진다.
가 
CO , 
CA , 
CB , 
CH , 
CH , 
CH 과   
각각 같은 경우만 고려하면 충분하다.
 , 
CO    CA   , 
CB   , 
CH   

직선 O B 의 방정식은      이므로

8 15
2020학년도 11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
• 2교시 수학 영역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16. [출제의도] 절대부등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1 ④ 2 ④ 3 ③ 4 ⑤ 5 ①

6 ③ 7 ⑤ 8 ④ 9 ② 10 ②              
  
직선 OP 의 기울기는  이므로

11 ② 12 ③ 13 ① 14 ⑤ 15 ③   ,   ,    
점 P 를 지나고 직선 OP 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16 ② 17 ⑤ 18 ① 19 ② 20 ④ 따라서  ×  ×    
     

21 ③ 22 3 23 7 24 5 25 160 
        , 점 Q 의 좌표는
26 11. [출제의도] 명제 이해하기 
14 27 17 28 6 29 63 30 64
  ,   이므로 삼각형 OQR의 넓이는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이므로

1. [출제의도] 다항식 계산하기



이차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을  라
 
    
 
× ×      
      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출제의도] 복소수 계산하기 따라서    (단, 등호는   일 때 성립한다.)
    에서 
    따라서 삼각형 OQR의 넓이의 최솟값은 
12. [출제의도] 절댓값을 포함한 부등식 이해하기

       
부등식   ≤   에서 17. [출제의도]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3. [출제의도] 집합 이해하기    ≤    ≤    추론하기

 ≤  ≤  점 O 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   이므로   
 

   ,   이 정수이므로 모든 정수 의 개수는 선분 OH의 길이는 점 O 와 직선  사이의


4. [출제의도] 이차함수 이해하기
              거리이므로
이차함수             이므로
모든 정수 의 개수가 이므로      ×    ×   
  
OH    
  에서 최솟값은     
13. [출제의도] 나머지정리 이해하기
5. [출제의도] 근과 계수의 관계 이해하기 
다항식   을     로 나눈 몫을 삼각형 OAB에서 
OA 이고, 
OH  이므로
 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이  , 이므로  라 하면
삼각형 OAB는 정삼각형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을   로 나눈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는 
 이다.
   ,    나머지는 이므로
 는 부채꼴 OAB의 넓이와 삼각형 OAB의
따라서       ㉠에   을 대입하면  
넓이의 차이므로
6. [출제의도] 항등식 이해하기 14. [출제의도] 도형의 이동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 ×  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등식이 성립하므로  
점 B가 직선       위의 점이므로

등식           의 양변에
  을 대입하면        
점 B의 좌표는      이다.
점 A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이라 하면
  ×
 

   
 

7. [출제의도] 외분점 계산하기 


AC 
BC 
A′C 
BC≥ 
A′B 이고   
  ,    ,    이므로
  
선분 OA를   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A′B 가 최소일 때 A′B 도 최소이므로 

 ×× ××
   이므로   ,      
A′B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18.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8. [출제의도] 원의 방정식 이해하기



   
    조건 (가)에서
직선 이 삼각형 OAB의 점 O 를 지나므로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조건 (나), (다)에서

              에서 
AC 
BC 의 값은 최소이다. 점 P는 선분 AB를    또는   로

직선     이 원의 중심   를 지나므로 내분하는 점이어야 한다.

     
 (ⅰ) 점 P 가 선분 AB를   로 내분하는 점일 때
9. [출제의도] 연립이차방정식 이해하기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출제의도] 인수정리 이해하기 B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다항식     가 일차식   로 P


연립방정식이 오직 한 쌍의 해를 가지므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이 아닌 상수)이다.

   또는                 
가 양수이므로             
O A 
㉠에서            

10. [출제의도] 인수분해 이해하기
 
나무 블록의 부피는  ,  
 
   
     ×       

1
20. [출제의도] 원의 접선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  ,
점 P 의 좌표는     이므로 문제해결하기 ∩∩  ,
 점 P의 좌표를    이라 하면 ∩∩  ,
직선 의 기울기는   

  원 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조건 (다)에서
직선 은 삼각형 OAP의 넓이를 이등분하여야
    이므로 점 B의 좌표는  



         이라 하면 집합  는
하므로 선분 OA의 중점    을 지난다. 점 H의 좌표는  이고  
AH 
HB 에서 모든  와 서로소가 아니다.
 모든  와 서로소가 아니고 원소가 유한개인
직선  의 기울기는     
      
   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최소인 집합을  라 하면

⊂
두 직선 ,  의 기울기의 합은          
 ∉  이면 ∩  ∅이므로 ∈ 이어야 한다.
(ⅱ) 점 P가 선분 AB를   로 내분하는 점일 때        ∉  이면 ∩  ∅이므로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B  

B  ∩  ∅이고
 점 P는 원  위의 점이므로
∩∩  이므로 ∈ 이어야 한다.
 

 
      에서 P   


     에 대하여 집합  의 원소의 개수는
이고 집합  는 모든  와 서로소가 아니다.
따라서 삼각형 PAB의 넓이는
(거짓)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P   
22. [출제의도] 직선의 방정식 이해하기
21. [출제의도] 집합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ㄱ. ∩∩ 직선      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를

O A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참)
ㄴ.     ≤ 를 만족시키는   ×    이므로   

  
점 P 의 좌표는    이므로  이하의 두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이라
23. [출제의도] 도형의 평행이동 이해하기
  하여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직선 의 기울기는    점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  (ⅰ)      일 때
 
   이고 ∩   ≠ ∅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조건 (다)에서 점의 좌표가        이므로
(ⅱ)      일 때
직선  은 삼각형 OPB의 넓이를 이등분하여야   ,   
    이고
하므로 선분 OB의 중점    을 지난다.
∩  ∩ 따라서     
 
직선  의 기울기는    
      ≤  ≤   ≠ ∅ 24. [출제의도] 명제의 조건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ⅲ)      일 때 두 조건 , 의 진리집합을 각각  ,  라 하면
     이고
두 직선 ,  의 기울기의 합은       ≤  ≤ ,

∩  ∩
(ⅰ), (ⅱ)에 의하여 두 직선 ,  의 기울기의 합의          
   ≠ ∅
 가 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려면  ⊂ 
최댓값은  (ⅰ), (ⅱ), (ⅲ)에 의하여


 이하의 두 자연수 ,  에 대하여
19. [출제의도] 곱셈공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이면 두 집합  과  은 서로소가 
∠HPI  이므로 
HI 
OP 에서 
HI 이다. 아니다. (참)    

PH , 
PI 라 하면 삼각형 PIH에서 ㄷ.  이하인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이므로   
     ⋯⋯ ㉠ 집합 (   ≤  ≤   )이 ∩ ≠ ∅을
자연수 의 최솟값은 
삼각형 PIH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하면 만족시키므로 집합 는  과 서로소가 아니고
  원소의 개수가 최소인 집합이다. 25. [출제의도] 두 점 사이의 거리를 활용하여
   에서    문제해결하기
   이하인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고 선분 AB의 중점을 P ,
삼각형 PIH의 넓이는     ×  ×     
   집합 ( ≤  ≤   )이 선분 AB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Q 라 하면
 ∩∩  ≠ ∅을 만족시키므로
       에서 점 Q 는 선분 PB의 중점이므로
 집합 는  ,   과 서로소가 아니고 
AB  
PB  
PQ
       ⋯⋯ ㉡ 원소의 개수가 최소인 집합이다.
㉠, ㉡에서  이하인 자연수 에 대하여 B
      ,     ∩ ∩     이고 Q
P
   ∩∩ ∩ ≠ ∅이므로
 ≠ 이므로    ⋯⋯ ㉢
 집합   은 A
㉡, ㉢에서       ,   ,   와 서로소가 아니고
 
PH  

PI     원소의 개수가 최소인 집합이다. PQ 
         
 이므로
 이하인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AB  AB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과 서로소가 아닌 집합 중
 원소의 개수가 인 집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

2
26. [출제의도] 근과 계수의 관계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29. [출제의도] 집합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30. [출제의도] 이차함수를 이용하여 추론하기

곡선       과 직선     의 조건 (가), (나), (다)를 만족시키는 두 집합  ,  에 이차함수  의 이차항의 계수를 라 하면


두 교점 A, B의 좌표를 각각 대하여       의 값이 최대가 되려면 조건 (가), (나)에서
    ,     이라 하면    의 값이 최대이고    의 값이 최소이어야     (  )

, 는      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므로 한다. 조건 (나)에서      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이므로      
     로 나눈 나머지가 같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조건 (나)에서 일차함수 가 두 점
점   가 삼각형 OAB의 무게중심이므로 부분집합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을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조건 (다)에서
 ,   나머지 부분집합 나머지 부분집합
    일 때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27. [출제의도] 이차함수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
         일 때
직선   가 두 이차함수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        의 그래프와 만날 때, 만나는 서로    

         
다른 점의 개수가 인 경우는 그림과 같다. 나머지의 합이  또는 가 되는 두 부분집합 중   일 때
한 집합의 원소들만 집합  에 속할 수 있다.    ,    이므로

       따라서   가 최대가 되려면 집합  의 부분집합
 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 
   ,   ,  ,  , 의          
 원소 중 큰 수부터 차례대로 집합  의 원소가   일 때
되어야 한다.    ,    이므로

 조건 (가)에서   이므로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    가 최대가 되기 위해 가능한 집합  는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으로 나눈 나머지가 같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   ,    이므로
부분집합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

        
 조건 (다)에서
나머지 부분집합 나머지 부분집합
모든 순서쌍   의 개수는 이므로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  방정식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출제의도]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 또는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이므로
나머지의 합이  또는 이 되는 두 부분집합 중
        ,   
   
 한 집합의 원소들만 집합  에 속할 수 있다.

       ,     
따라서   가 최소가 되려면 집합  의 부분집합
    따라서 ×  
 ,  ,  ,  , , 의
 
   
 원소 중 작은 수부터 차례대로 집합  의 원소가
 

    되어야 한다.

  조건 (가)에서   이므로


    

 
    가 최소가 되기 위해 가능한 집합  는
            ⋯⋯ ㉡
  ㉠과 ㉡에서
    


  조건 (가)의 ∩  을 만족시키려면
    , 은 동시에 집합 ∩ 에 속할 수 없다.

 ∈ , ∈ 이면  ∉  또는  ∉  이다.


  , 일 때     
 
이때 , ,  중 적어도 하나가

   ,   
   이므로 집합  에 속해야 하므로 ∩ ≠ 이 되어
       ,       , 조건 (가)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가 최소가 되려면 ∈ ,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 이하의 자연수
         일 때
은 , , , , , 이다.
     의 최댓값은 이다.
따라서 자연수 의 개수는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