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2. 사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평행선과 넓이] 1번. 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그림에서 일 때, ∆ ABC 와 ∆ A ′ BC 는 밑변의 길 ABCD 의 네 변 위에 
AE 
CG ,
이와 가 각각 같으므로 그 는 서로 같다. 
BF  
DH 가 되도록 네 점 E , F ,
∆ ABC  ∆ G , H 를 잡을 때, 와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2번. 오른쪽 그림에서 □ ABCD 는 평


행사변형이고, 두 꼭짓점 B , D 에서 대
각선 A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
F 라 할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BE 
DF ②BF  
FD ③
BE  
FD
1. 오른쪽 그림의 사다리꼴 ④ ∠ BAE  ∠ DCF ⑤ ∆ ABE ≡ ∆ CDF

ABCD 에서 ∆ ABO   cm
일 때, ∆ DCO 의 넓이는?

3번.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ABCD 에서 ∠ AOB   일 때,
2. 오른쪽 그림의 평행사변형 ∠  ∠ 의 크기는? (단, 점 O 는
ABCD 에서 ∆ PBC 의 넓이가 두 대각선의 교점이다.)
 cm  일 때, 색칠한 부분의 ①  ②  ③  ④  ⑤ 
넓이는?

4번.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사각형 ABCD 에서


3.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 
BE 
CF 이고 ∆ ABP 의 넓이가  cm  일
사변형 ABCD 의 넓이가  때, □ PECF 의 넓이는?

cm 일 때, ∆ PDA 와 ①  cm  ②  cm  ③  cm 
∆ PBC 의 넓이의 합은? ④  cm  ⑤  cm 

4.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D
 5번. 오른쪽 그림의 직사각형 ABCD 가
AD 
BC 인 사다리꼴 ABCD
O 정사각형이 되는 조건을 다음 보기에서
에서 ∆ OAD  ,
모두 고른 것은? (단, 점 O 는 두 대각선
 
OA  OC     일 때, 사다리꼴 B C
의 교점이다.)
ABCD 의 넓이는?
보기
ㄱ.  
AC BD ㄴ. 
AO 
DO ㄷ. ∠ AOD  
ㄹ. ∠ AOD  ∠ BOC ㅁ. ∠ ABD  ∠ ADB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ㅁ
④ ㄷ, ㄹ ⑤ ㄷ, ㅁ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2. 사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6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D  
BC 10번. 다음 보기 중 □ ABCD 가 평행사변형인 것을 모두 고른
인 등변사다리꼴 ABCD 에서 것은? (단, 점 O 는 두 대각선의 교점이다.)

AB  cm , 
BC  cm , 보기
∠ B   일 때, □ ABCD 의 둘레 ㄱ. 
AB  
DC , 
AB 
DC  cm
의 길이는? ㄴ. ∠ A   , ∠ B   , ∠ C  
①  cm ②  cm ③  cm ④  cm ⑤  cm ㄷ. 
AB  BC  cm , 
DC DA   cm
ㄹ. ∠ A   , ∠ B   , 
AD 
BC  cm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7번. 다음 보기의 사각형 중 두 대각선이 서로를 수직이등분하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는 것은 개,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은 것은  개일 때,    의
값은?
보기
ㄱ. 사다리꼴 ㄴ. 등변사다리꼴 ㄷ. 마름모
ㄹ. 직사각형 ㅁ. 평행사변형 ㅂ. 정사각형
11번.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① ② ③ ④ ⑤ ABCD 의 넓이는  cm  이다.
△ ABP 의 넓이가  cm  일 때,
△ CDP 의 넓이는?
①  cm  ②  cm  ③  cm  ④  cm  ⑤  cm 

8번. 다음 중 사각형과 그 사각형의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든 사각형을 짝 지은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마름모―직사각형 ② 직사각형―마름모
③ 사각형―직사각형 ④ 정사각형―정사각형
⑤ 평행사변형―평행사변형
12번.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
형 ABCD 에서 
BD  
EF 일 때, 다
음 중 넓이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
는?
① ∆ ABE ② ∆ BEF
③ ∆ DAF ④ ∆ DBE ⑤ ∆ DBF
9번.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ABCD 에서 두 대각선의 교점 O 를 지나
는 직선이 
AB , 
CD 와 만나는 점을 각각
P , Q 라 하자. ∠ OQD  일 때,
∆ PBO 의 넓이는?

13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AD BC 인
①  cm  ②  cm  ③  cm  ④  cm  ⑤  cm 
사다리꼴 ABCD 에서 두 대각선의 교점
을 O 라 하자. OA  
OC   이고
∆ OAB 의 넓이가  cm  일 때,
□ ABCD 의 넓이는?
①  cm  ②  cm  ③  cm  ④  cm  ⑤  cm 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2. 사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14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19번. 오른쪽 그림과 같은 마름모



AD  
BC 인 등변사다리꼴 ABCD ABCD 에 서 
AE ⊥ 
CD 이 고
에서 
AB 
AD 이고 ∠ B   일 ∠ DBC   일 때,∠  ∠의
때, ∠의 크기를 구하시오. 크기를 구하시오.

15번. 오른쪽 그림은 한 변의 길이가


 cm 인 두 정사각형 ABCD 와 20번. 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ABCD 에서 변 CD 의 중점
OEFG 를 서로 겹쳐 놓은 것이다. 점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F 라 하
을 E 라 하고, 꼭짓점 A 에서 BE
O 가 □ ABCD 의 두 대각선의 교점 자. ∠ DAF   일 때, ∠ DFE 의 크기를 구하시오.
일 때, 두 정사각형의 겹쳐진 부분인
□ OPCQ 의 넓이를 구하시오.

16번. 그림과 같이 
AC  
DE 이고 ∆ ABE 의 넓이가
 cm  , � ABCO 의 넓이가  cm  일 때, ∆ AOD 의 넓
이는?
21번. 아래 그림에서 사각형 ABCD 는 평행사변형이다. 각
점 A , B , C , D 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R ,
T, V, S라 하고, 
DS   cm , 
AR  cm ,

CV  cm 
RS   cm , 
ST   cm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  
①  cm ②  cm ③  cm ④  cm ⑤  cm

17번.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


변형 ABCD 에서 
AE , 
BF 는 각
각 ∠ A , ∠ B 의 이등분선이다.
∠ BFD   일 때, ∠의 크
⑴ 사각형 DSVC 의 넓이를 구하시오.
기를 구하시오.
⑵ 평행사변형 ABCD 의 넓이를 구하시오.

18번. 오른쪽 그림에서



AP  
PC    
BQ  
QC   이
고 ∆ ABC 의 넓이가  cm  일 때,
∆ PQC 의 넓이를 구하시오.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2. 사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5번. ㄱ, ㄴ. 직사각형의 성질이다.


1번       2번 ② 3번 ③
ㄷ. ∠ AOD   , 즉 
AC ⊥ 
BD 이면 두 대각선이 서로 수직이므
4번 ① 5번 ⑤ 6번 ③
로 □ ABCD 는 정사각형이다.
7번 ④ 8번 ③ 9번 ② ㄹ. 맞꼭지각의 성질이다.

10번 ④ 11번 ③ 12번 ② ㅁ. ∠ ABD  ∠ ADB 이면 ∆ ABD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 
AD 이다. 즉,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13번 ④ 14번  15번  cm 
□ ABCD 는 정사각형이다.
따라서 정사각형이 되는 조건은 ㄷ, ㅁ이다.
16번 ② 17번  18번  cm 


(1)  cm  
19번  20번  21번  6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B  
DE 가

(2) cm  
되도록 BC 위에 점 E 를 잡으면
∠ C  ∠ B  ∠ DEC
1번. 
AH 
AD 
DH 
BC 
BF 
CF 이므로   (동위각)
       ∴      …… ㉠ 이므로 ∠ CDE     ×   
△BFE 와 △DHG 에서 ∠B  ∠D 
BF 
DH , 즉, ∆ DEC 는 정삼각형이다. ∴  EC 
DC  AB  cm

EB 
AB 
AE 
CD 
CG 
GD 이므로 △BFE ≡ △DHG (SAS 한편, □ ABED 는 평행사변형이므로
합동) ∴ 
EF 
GH 즉,      이므로      …… ㉡ 
AD 
BE 
BC 
EC      cm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ABCD 의 둘레의 길이)
 
 AB BC 
CD 
DA           cm 

2번. ∆ ABE 와 ∆ CDF 에서 


AB 
CD ,
∠ AEB  ∠ CFD   7번. 두 대각선이 서로를 수직이등분하는 것은 ㄷ, ㅂ의  개이므로

AB  
DC 이므로 ∠ BAE  ∠ DCF (엇각) (④) 
∴ ∆ ABE ≡ ∆ CDF ( RHA 합동) (⑤) ∴   (①)
BE DF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은 것은 ㄴ, ㄹ, ㅂ의  개이므로   

이때 ∠ BEF  ∠ EFD   (엇각)이므로  BE  


FD (③) ∴     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8번. ③ 사각형의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든 사각형은 평행사변


형이다.
3번.∆ OBC 에서 
OB 
OC 이므로
∠ OBC  ∠ OCB  ∠
이때 ∠ OBC  ∠ OCB  ∠ AOB 이므로 ∠  
∴ ∠   9번. ∆ PBO 와 ∆ QDO 에서

OB 
OD , ∠ POB  ∠ QOD (맞꼭지각)
∆ OCD 에서 
OC 
OD 이므로
 
AB  DC 이므로 ∠ OPB  ∠ OQD   (엇각)
∠  ∠ OCD      
∴ ∠  ∠   ×      ∴ ∆ PBO ≡ ∆ QDO ( RHA 합동)
이때 DQ DC   QC
QC AB       cm  이므로

∆ PBO  ∆ QDO   ×  ×    cm  

4번.∆ ABE 와 ∆ BCF 에서 AB 
BC ,
 
∠ ABE  ∠ BCF , BE CF
10번. ㄱ. ∠ D           
∴ ∆ ABE ≡ ∆ BCF SAS 합동 
즉,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 ABCD 는 평행사변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PECF  ∆ BCF  ∆ BEP
형이다.
 ∆ ABE  ∆ BEP  ∆ ABP   cm  
ㄷ. 
AB ≠ 
DC , 
BC ≠ 
DA 이므로 평행사변형이 아니다.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2. 사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ㄹ. ∠ A  ∠ B   이므로 
AD  
BC 이고, 16번.

AD 
BC  cm 이다. 즉,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 ABCD  ∆ ABC  ∆ ACD  ∆ ABC  ∆ ACE  ∆ ABE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 ∆ AOD  � ABCD  � ABCO  ∆ ABE  � ABCO
따라서 평행사변형인 것은 ㄱ, ㄴ, ㄹ이다.       cm  

11번. □ ABCD 의 넓이가  cm  이므로 17번. 


AD ⫽ 
BC 이므로
  ∠ FBE  ∠ AFB       (엇각)
△ ABP  △ CDP   □ ABCD   ×    cm  
  ∴ ∠ B  ∠ FBE   ×   
 ∠ A  ∠ B   이므로 ∠ A      
∴ △ CDP    △ ABP       cm 
 
∴ ∠ EAB   ∠ A   ×   
 
12번. 
AB  
DC 이므로 ∆ DAF  ∆ DBF 따라서 ∆ ABE 에서 ∠  ∠ EAB  ∠ B

      


AD  
BC 이므로 ∆ ABE  ∆ DBE

BD  
EF 이므로 ∆ DBE  ∆ DBF
∴ ∆ DAF  ∆ DBF  ∆ DBE  ∆ ABE
따라서 넓이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②이다.
18번. 
BQ  
QC   이므로 ∆ ABQ  ∆ AQC    
 
∴ ∆ AQC   ∆ ABC   ×    cm  
 
  PC
AP     이므로 ∆ AQP  ∆ PQC    
13번. ∆ OAB  ∆ OBC  
OA  
OC   이므로
 
  ∆ OBC     ∴ ∆ OBC   cm  ∴ ∆ PQC   ∆ AQC   ×    cm  
 

AD  BC 이므로 ∆ ABD  ∆ ACD
∴ ∆ OAB  ∆ ABD  ∆ ODA  ∆ ACD  ∆ ODA
 ∆ OCD   cm  
19번. ∆ BCD 에서 
CB 
CD 이므로
∆ ODA  ∆ OCD  
OA  
OC    이므로
∠ CDB  ∠ CBD  
∆ ODA       , ∆ ODA   ∴ ∆ ODA   cm  이때 ∆ OCD 에서 ∠ COD   이므로
∴ � ABCD  ∆ OAB  ∆ OBC  ∆ OCD  ∆ ODA ∠         
          cm  
∆ FED 에서 ∠ DFE          이므로
∠  ∠ DFE   (맞꼭지각)
∴ ∠  ∠      
 
14번. AD BC 이므로 ∠ DAC  ∠ BCA  ∠ (엇각)

AB AD 이고 AB DC 이므로 AD DC
 
즉, ∆ DAC 는 DA  DC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20번. 다음 그림과 같이 
AD 
BE 의 연장선의 교점을 G 라
∠ DCA  ∠ DAC  ∠ 하면 △ EGD 와 △ EBC 에서
이때 ∠ ABC  ∠ BCD 이므로   ∠ ∴ ∠   
ED 
EC ∠ DEG  ∠ CEB (맞꼭지각),
∠ EDG  ∠ ECB (엇각)
이므로 △ EGD ≡ △ EBC (ASA 합동)
15번. △ OCQ 와 △ OBP 에서
∴ 
DG 
BC 
AD

OC 
OB , ∠ OCQ  ∠ OBP , ∠ COQ  ∠ BOP
직각삼각형 AFG 에서 점 D 는 외심이므로 
AD 
DG 
DF
이므로 △ OCQ ≡ △ OBP ( ASA 합동 
즉, △ DAF 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DFA  
따라서 ∆ OCQ  ∆ OBP 이므로
∴ ∠ DFE      
□ OPCQ  △ OPC  △ OCQ  △ OPC  △ OBP
 
 △ OBC   □ ABCD   ×  ×    cm  
 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2. 사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21번.

⑴ 점 A 에서 
DS 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점 B 에서 
CV
에 내린 수선의 발을 F 라 하면
△ AED 와 △ BFC 에서

AD 
BC ∠ AED  ∠ BFC   
∠ DAE  ∠ CBF
이므로 △ AED ≡ △ BFC ( RHA 합동)
∴ AE BF 
RS  
TV  cm 

∴ □ DSVC   ×    × 


  cm  

⑵ △ AED ≡ △ BFC 이므로  DE 
CF 에서
  
DS  AR 
CV BT
∴ 
BT          cm 
∴ □ ABCD
 □ ARSD  □ DSVC  □ ARTB  □ BTV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m  
 

< 끝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