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1. 삼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1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B 
AC 인 이 6번. 오른쪽 그림에서
등변삼각형 ABC 에서 ∠ B 의 이등분선과 
AB  cm , ∠ B   ,

AC 의 교점을 D 라 하자. ∠ A  일 ∠ DAC   , ∠ EDC  
때, ∠의 크기는? 일 때, 
CD 의 길이는?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cm ②  cm ③  cm ④  cm ⑤  cm

2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B 
AC 이등
변삼각형 ABC 에서 7번. 
AB 
AC 인 ∆ ABC 를 오른쪽 그
 
BE CE  cm 이 
BD  cm 일 때, 림과 같이 접었다.∠ EBC   일 때,

CD 의 길이는? ∠ C 의 크기는?

①  cm ②  cm ③  cm ①  ②  ③ 

④  cm ⑤  cm ④  ⑤ 

3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 B  ∠ C 인


8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BC 의 
BC 위의 점 P 에서 AB ,
 ∠ B   인 직각삼각형
A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 E 라
 AD
ABC 에서 AB ,
하자. AB  cm 이고 ∆ ABC 의 넓이

AD ⊥ 
DE 이다. 
AB  cm ,
가  cm  일 때, 
PD 
PE 의 값은?

BC  cm , 
CA   cm 일 때,
①  cm ②  cm ③  cm ④  cm ⑤  cm
∆ DEC 의 둘레의 길이는?
①  cm ②  cm ③  cm ④  cm ⑤  cm

4번. 오른쪽 그림과 같은 ∆ ABC 에 대하여



BC 의 중점 M 에서 AB , 
AC 에 내린 수선의
9번. 오른쪽 그림에서 점 I 는 ∆ ABC 의
발을 각각 D , E 라 하자. 
BD CE 일 때, 다 내심이다. ∠ IBA   , ∠ C  일
음 중 옳지 않은 것은? 때, ∠ IAB 의 크기는?
①DM  
EM ② ∠B  ∠C
③
AB 
BC ④ ∠ DMB  ∠ EMC ①  ②  ③  ④  ⑤ 
⑤ ∠ DMB  ∠ C  

5번. 오른쪽 그림에서 ∆ ABC 는 ∠ A   이고



AB AC 인 10번. 오른쪽 그림에서 점 I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C   인 직각삼각형 ABC 의
∠ B 의 이등분선과 ∠ C 의 외각의
내심이다. 
AB  cm ,
이등분선의 교점을 D 라 할 때, ∠

BC  cm , 
AC  cm 일 때,
의 크기는?
∆ AIC 의 넓이는?
①  ②  ③  ④  ⑤  
①  cm  ②  cm  ③  cm 
④  cm  ⑤  cm 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1. 삼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11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변의 길 16번. 오른쪽 그림에서 원 I 는


이가 각각  cm ,  cm ,  cm 인 ∆ ABC 의 내접원이고 세 점 D ,
직각삼각형 ABC 의 외접원과 내접원 E , F 는 접점일 때, 
AD 의 길이
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를 구하시오.
①  cm ②  cm
③  cm ④  cm ⑤  cm

17번. 다음 그림은 ∠ A   이고


12번. 오른쪽 그림에서 점 O 는 
AB 
AC 인이등변삼각형이다.
△ ABC 의 외심인 동시에 △ ACD 의 
CD 
BF 
BD 
CE 일 때,
외심이다.∠ B   일 때, ∠ D 의 크
∠ FDE 의 크기를 구하시오.
기를 구하시오.

18번. 다음 그림과 같이 
RS  
RT 인
13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등변삼각형 RST 의 세 변 위에 정
∠ A   이고 
AB 
AC 인 직
삼각형 ABC 의 세 꼭짓점이 있다.
각이등변삼각형 ABC 의 두 꼭짓
∠ RAC  ∠ ∠ ABS  ∠
점 B , C 에서 꼭짓점 A 를 지나는
∠ BCT  ∠ 라 할 때, ∠를 ∠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와 ∠ 로 나타내시오.
D , E 라 하자. 
BD  cm ,   의 길이를
CE  cm 일 때, DE
구하시오.

19번. 다음 그림에서 점 I 가 삼각형


14번. 오른쪽 그림은 폭이
ABC 의 내심일 때, ∠  ∠ 의 크
 cm 인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
CB
기를 구하시오.
를 접는 선으로 하여 접은 것이다.

AB  cm 일 때, ∆ ABC 의 넓이
는?
①  cm  ②  cm  ③  cm  ④  cm  ⑤  cm 

20번. 다음 그림과 같이 중심이 O 인 원의 외부의 점 P 에


서 이 원에 접선을 그었을 때, 그 접점을 A B 라 하자. 선
분 OP 의 길이를 라 하고,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할 때,
삼각형 PAB 의 내심을 R 라 할 때, 선분 PR 의 길이를 구
15번. 오른쪽 그림에서 점 O 는 △ ABC
하시오.
의 외심이다. BC  cm 이고 ∆ OBC 의
둘레의 길이가  cm 일 때,∆ ABC 의 외
접원의 넓이는?
①  cm  ②  cm  ③  cm 
④  cm  ⑤  cm 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1. 삼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 
1번 ④ 2번 ② 3번 ③ ∠DCE   ∠ACE   ×   
 
4번 ③ 5번 ③ 6번 ④ 따라서 ∆BCD 에서 ∠D  ∠DCE  ∠DBC      
7번 ② 8번 ④ 9번 ④
6번. ∆ABC 에서 ∠DAC  ∠ABC  ∠ACB 이므로
10번 ② 11번 ② 12번 
    ∠ACB ∴∠ACB      
13번  cm 14번 ③ 15번 ③ 즉, ∠ABC  ∠ACB 이므로 ∆AB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
AC 
AB  cm
16번  cm 17번  18번 ∠  ∠  ∠
 ∆ACD 에서 ∠ADC    ∠EDC      
19번  20번   즉, ∠DAC  ∠ADC 이므로 ∆ACD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CD 
CA  cm
1번. ∆ABC 에서 
AB 
AC 이므로
 7번. ∠A  ∠라 하면 ∠ABE  ∠ 이므로
∠ABC ∠C  ×     

∠B  ∠   , ∠C  ∠  

BD 는 ∠B 의 이등분선이므로
∠  ∠    ∠     이므로
 
∠ABD  ∠ABC  ×    ∠   ∴ ∠   ∴ ∠C      
 
따라서 ∆ABD 에서 ∠      
8번. ∆ABE 와 ∆ADE 에서
∠ABE  ∠ADE   , 
AE 는 공통, 
AB 
AD
2번. ∆ABE 와 ∆ACE 에서 
AB 
AC , 
BE 
CE , 
AE 는 공통
∴ ∆ABE ≡ ∆ADE ( RHS 합동)
이므로 ∆ABE ≡ ∆ACE ( SSS 합동) ∴ ∠BAE  ∠CAE
즉, 
DE 
BE 
AD 
AB  cm 이므로 
CD      cm
즉, 
AD 가 이등변삼각형 ABC 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이므로
 따라서 ∆DEC 의 둘레의 길이는
CD 
BD  cm

DE 
EC 
CD  
BE 
EC 
CD 
BC 
CD      cm

3 번 . ∆ABC 에 서 ∠B  ∠C 이 므 로
 를 그으면 점 I
9번. 오른쪽 그림과 같이 CI

AC 
AB  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P
를 그으면 ∆ABC  ∆ABP  ∆ACP 이므 는 ∆ABC 의 내심이므로

  ∠ICB  ∠ICA   ×   
로    ×  × 
PD  ×  × 
PE 
 
이때 ∠IAB       이므로
   
PD 
PE ∴ 
PD 
PE  cm
∠IAB  

4번. ∆BMD 와 ∆CME 에서


10번.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cm 라 하면
∠MDB  ∠MEC   , 
BM 
CM , 
BD 
CE
 
∴ ∆BMD ≡ ∆CME ( RHS 합동) ∆ABC   × ×        ×  × 
 
즉, 
DM 
EM (①)이고 ∠B  ∠C (②)이므로 
AB 
AC 
   ∴   ∴ ∆AIC   ×  ×    cm 
또, ∠DMB  ∠EMC (④)이므로 
∠DMB  ∠C  ∠EMC  ∠C   (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11번. 직각삼각형 ABC 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과 일치하므로 외
 
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
AB  ×    cm
 
5번. ∆ABC 에서 
AB 
AC 이므로
따라서 외접원의 둘레의 길이는  ×    cm

∠ABC  ∠ACB   ×      
 ∆ABC   ×  ×    cm  이므로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

 
∴ ∠DBC   ∠ABC   ×    
  이를  cm 라 하면 ∆ABC   × r ×       

∠ACE      이므로
∴ 
Ⅳ. 도형의 성질 목운중학교 2학년 수학

4. 도형의 성질 / 4-1. 삼각형의 성질 2학년 ______ 반 ______ 번 이름: ____________

따라서 내접원의 둘레의 길이는 


17번. ∠B  ∠C   ×     

 ×    cm
△BDF ≡ △CED 에서 ∠BDF  ∠CED
그러므로 외접원과 내접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BFD  ∠CDE 이므로
     cm
∠BDF  ∠CDE      
∴ ∠FDE      
12번. ∆ABC 에서 ∠AOC  ∠B   ×   
∠OAD  ∠ 라 하면 
OA 
OD 이므로 ∠ODA  ∠OAD  ∠ 18번. △CBT 에서 ∠CBT      ∠    ∠
또, ∠OCD  ∠ 라 하면 이므로 ∠RST  ∠RTS  ∠CTB    ∠CBT  ∠

OC 
OD 이므로 ∠ODC  ∠OCD  ∠     ∠  ∠ ∠  ∠  
∴ ∠D  ∠ODA  ∠ODC  ∠  ∠ △BAS 에서
∠AOC  ∠OAD  ∠D  ∠OCD   이므로 ∠SAB    ∠  ∠AS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AB
이때 ∠D  ∠  ∠ 이므로 ∠D   ∴ ∠D       ∠  ∠    ∠  ∠

13번. ∆ABD 와 ∆CAE 에서


∠BDA  ∠AEC   , 
AB 
CA , 19번. ∠A  ∠C  
∠BAD    ∠CAE  ∠ACE ∠C
∴ ∆ABD ≡ ∆CAE ( RHA 합동)

∠    ∠A   
 
∠A
따라서 
AD 
CE  cm , 
AE 
BD  cm 이므로 ∠    ∠C   


DE 
AD 
AE      cm

∴ ∠  ∠     ∠A  ∠C      

14번. ∠CBA  ∠CBD (접은 각)이고, 
AC 
BD 이므로
∠CBD  ∠BCA (엇각) ∴ ∠CBA  ∠BCA 20번.
즉, ∆ABC 는 
AB 
AC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
OP  
OA 
OB 이고 △PAB
따라서 
AC 
AB  cm 이므로 의 내심이 R 이므로
 △PAO ≡ △PBO
∆ABC   ×  ×    cm 

∠PAO  ∠PBO   이고, 
AB
와 
OP 가 수직으로 만나는 점
15번.
은 Q 이므로
∆OBC 의 둘레의 길이가  cm 이므로
∠OAQ    ∠QAP  ∠APQ

OB 
OC    ∴ 
OB 
OC  cm
한편, △OAR 는 △ARP 에서
 
점 O 는 ∆ABC 의 외심이므로 OB 
OC  ×    cm ∠ORA  ∠RAP  ∠RPA  ∠RAQ  ∠QAO

 ∠OAR ( ∵ 점 R 는 △ABP 의 내심)
따라서 ∆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cm 이므로 외접
이므로 △OAR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원의 넓이는  ×    cm 
따라서 
OA 
OR 이므로 점 R 는 원 위의 점이다.
∴ 
PR 
OP 
OR   

16번. 
AD 
AF  cm 라 하면

BE 
BD    cm , 
CE 
CF    cm
< 끝 >
이때 
BC 
BE 
CE 이므로  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