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0

최상위 수학

1
2
정답과 풀이

Ⅰ1
도형의 기초

기본 도형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7~15쪽

② 4 5 6 ⑤

⑴ 3개 ⑵ 10개 ⑶ 6개 ⑷ 8개 ③ ③ ⑴ 45 ⑵ 26 ⑤

}
3a+b
25`cm D{ ②, ④ 1 ③ 45ù
4

55ù ④ 60ù 160ù 5시 15분, 5시 39 ;1¤1; 분

(가) 180ù (나) 180ù (다) ∠y 20쌍 180ù 56ù ②

⑴ 70ù ⑵ 6`cm ⑶ 5`cm 30ù ⑴ ∠f, ∠i, ∠m ⑵ ∠h, ∠k ⑶ 1 ⑴ 40ù ⑵ 55ù

⑴ ∠x=70ù ,`∠y=140ù ⑵ ∠x=25ù,`∠y=155ù 0ù

최상위 01
NOTE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개수 구하기

한 평면 위의 서로 다른 4개의 점 A, B, C, D 중 어느 세 점도 한 표에서와 같이 한 점에서 그을 수 있는 직선의 개수는 3이고


직선 위에 있지 않을 때,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개수를 구해 보자. ABê=BAê, AC ê=CAê, y와 같이 2가지씩 중복이 발생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4개의 점 A, B, C, D 중 두 점을 지나는 직선
A B C D
4_(4-1) 4_3
의 개수는 = =6이다.
A AB ê AC ê ADê 2 2

B BAê BCê BDê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한 평면 위의 서로 다른 n개의 점 중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을 때,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개수
C CAê CBê CDê
n(n-1)
는  이다.
D DAê DBê DCê 2

2 Ⅰ 도형의 기초
문제 풀이

⑷ 오른쪽 그림과 같이 8개


① 점이 움직인 자리는 선이 된다.
$
② 점이 연속으로 이어져서 직선(길이가 무한함)이 되므로 "#

직선 위의 점의 개수는 무수히 많다. %


&
③ 한 점을 지나는 평면은 무수히 많다.
④ 평면과 평면이 만나면 교선이 생긴다.
CA³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⑤ 평면도형은 점과 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 # $ % &

직육면체의 꼭짓점의 개수가 교점의 개수이므로 a=8 ① AB³ " # $ % &

또, 직육면체의 모서리의 개수가 교선의 개수이므로 b=12 ② CD³ " # $ % &

∴ 2a-b=2_8-12=4 ③ BA³ " # $ % &

④ DC³ " # $ % &


원기둥에서 원 모양의 두 밑면은 평면이고, 직사각형
⑤ AC³ " # $ % &
모양의 옆면은 곡면이다.
따라서 CA³에 포함되는 것은 ③ BA³이다.
따라서 a=2, b=1, c=0, d=2이므로
a+b+c+d=2+1+0+2=5

" # $ % &
교점이 없는 도형은 원기둥, 원뿔대, 반구, 구이므로
AB³와 CD³를 합한 부분은 AB³이다.
a=4

평면만으로 이루어진 도형은 사면체, 사각기둥, 삼각뿔, 팔
" # $ % &
면체이므로 b=4
BA³와 DE³의 공통 부분은 없다.
평면과 곡면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원기둥, 원뿔대, 반구이

므로 c=3
" # $ % &
곡면만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구이므로 d=1
BE³와 CB³의 공통 부분은 BCÓ이다.
∴ a+b-c+d=4+4-3+1=6

" # $ % &
직선 l을 세 점 A, B, C를 사용하여 나타내면
AB ê, BAê, ACê, CAê, BC ê, CB ê 이다. DE³와 DC³의 공통 부분은 점 D이다.

 직선의 양 끝은 무한이 연장되므로 직선 위의 두 점을 이용해 같은
직선을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DA³와 BA³의 공통 부분은 BA³이다.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6_5
" ⑴ a= =15
3_(3-1) 2
=3(개)
2 b=6_5=30
# $ ∴ a+b=15+30=45
⑵ 서로
 다른 5개의 점 중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 않을 때,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개수는
5_(5-1) 5_4
=10(개) =10
2 # &
2
이고, 오른쪽 그림에서 세 점 A,
$ %
%
B, C는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
$

⑶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 ABê=ACê=BCê
&
4_(4-1) ∴ a=10-2=8
=6(개)
2
" % 또, 서로 다른 5개의 점 중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을 때, 두 점을 지나는 반직선의 개수는

1. 기본 도형 3
5_4=20

이고, 마찬가지로 세 점 A, B, C는 한 직선 위에 있으
1 2 3 4
므로` AB³=AC³`, CB³`=CA³
QRÓ는 QP³에 포함되지 않는다.
∴ b=20-2=18

∴ a+b=8+18=26
1 2 3 4

PR³와 QP³의 공통 부분은 PQÓ이다.


① ⑤
" # $ % &
1 2 3 4
ACÓ와 ADÓ를 합한 부분은 ADÓ이다. QRÓ와 RSÓ의 공통 부분은 점 R이다.

" # $ % & ㄱ. 예각
BCÓ와 BEÓ의 공통 부분은 BCÓ이다. ㄴ. 직각
③ ㄷ. 평각
" # $ % & ㅁ. 예각
ABÓ와 BCÓ의 공통 부분은 점 B이다. ㅂ. 0ù+90ù<y-90ù+90ù<90ù+90ù에서
④ 90ù<y<180ù
" # $ % & 이므로 각 y는 둔각
ABÓ와 CDÓ의 공통 부분은 없다. 따라서 a=2, b=1이므로
⑤ a-b=2-1=1
" # $ % &

BDÓ와 CEÓ의 공통 부분은 CDÓ이다. ③ 예각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20ù+30ù=50ù인 경우는
(예각)+(예각)=(예각)이 되고,
점 D는 ABÓ의 중점이므로
45ù+45ù=90ù인 경우는
DBÓ=;2!; ABÓ=10(cm)
(예각)+(예각)=(직각)이 되며,
점 E는 ACÓ의 중점이므로 60ù+60ù=120ù인 경우는

ECÓ=;2!; ACÓ=15(cm) (예각)+(예각)=(둔각)이 된다.

점 F는 BCÓ의 중점이므로
∠AOC=;4#;∠AOD이므로
BFÓ=FCÓ=;2!; BCÓ=5(cm)

DFÓ=DBÓ+BFÓ=10+5=15(cm) ∠COD=;4!;∠AOD이고, ∠EOB=;4#;∠DOB이므로


EFÓ=ECÓ-FCÓ=15-5=10(cm)
∠DOE=;4!;∠DOB이다.
∴ DFÓ+EFÓ=15+10
∴ ∠COE=∠COD+∠DOE
=25(cm)
=;4!;∠AOD+;4!;∠DOB

두 점 A(a), B(b)의 중점 C의 좌표를 구하면 =;4!;(∠AOD+∠DOB)

}
a+b
C{ =;4!;_180ù=45ù
2

}의 중점 D의 좌표는
a+b
따라서 A(a), C{
2
(∠x+∠y=90ù …… ㉠
;2!;{a+ }=;2!;{ }
a+b 3a+b
2 2 {∠y+∠z=90ù …… ㉡
9∠x+∠z=70ù
3a+b
= …… ㉢
4
㉠+㉡+㉢을 하면
}
3a+b
∴ D{
4 2∠x+2∠y+2∠z=250ù
4 Ⅰ 도형의 기초
∠x+∠y+∠z=125ù …… ㉣ 5시 x분이라 하면
따라서 ㉣-㉢을 하면 ∠y=55ù |30ù_5-5.5ù_x|=67.5ù
다른 풀이
Ú 150ù-5.5ùx=67.5ù일 때
∠AOC=∠BOD이므로 5.5ùx=82.5ù
∠x+∠y=∠y+∠z=90ù   ∴ ∠x=∠z 82.5
∴ x= =15
∠x+∠z=70ù이므로 ∠x=∠z=35ù 5.5
∴ ∠y=90ù-∠x=90ù-∠z Û 5.5ùx-150ù=67.5ù일 때

=90ù-35ù=55ù 5.5ùx=217.5ù
217.5
∴ x= =39;1¤1;
5.5
④ 7530"=60"_125+30"
따라서 구하는 시각은 5시 15분, 5시 39 ;1¤1; 분이다.
=125'+30"
=60'_2+5'+30"
∠x+∠z= 180ù  이고, ∠y+∠z= 180ù  이므로
=2ù+5'+30"
∠x+∠z=∠y+∠z   ∴ ∠x= ∠y
=2ù5'30"

5개의 서로 다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


;6%;_90ù=75ù이므로 꼭지각의 개수는

∠a=90ù-75ù=15ù 5_(5-1)=20(쌍)

또, ;2#;_90ù=135ù이므로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
∠b=180ù-135ù=45ù 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B EH
F
∴ ∠a+∠b=15ù+45ù=60ù D
∠a+∠b+∠c+∠d+∠e C G
D
 +∠f+∠g F
E
30ù 360ù =180ù
시침은 1분에 =0.5ù, 분침은 1분에 =6ù씩
60 60
움직인다. 12시를 기준으로 시침까지의 각도는 시침이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2시간만큼 움직이고 40분만큼 더 움직였으므로
∠x+∠x+3∠x=90ù
30ù_2+0.5ù_40=80ù
5∠x=90ù Z YY
또, 12시를 기준으로 분침까지의 각도는 분침이 40분만큼 ±
Y
∴ ∠x=18ù ±
움직였으므로
Y
∠y+40ù+30ù=90ù ±
6ù_40=240ù Y
∴ ∠y=20ù
따라서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의 크기는
∴ 2∠x+∠y=2_18ù+20ù
240ù-80ù=160ù
=56ù
다른 풀이

시침이 움직인 각의 크기는 30ù_(시)+0.5ù_(분),


ABÓ⊥CDê, OAÓ=OBÓ일 때, CDê를 ABÓ의 수직이등분
분침이 움직인 각의 크기는 6ù_(분)이므로
선이라 한다.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30ù_(시)-5.5ù_(분)|
⑴ ∠POB=90ù이므로
따라서 2시 40분을 가리키고 있을 때, 시침과 분침이 이루
∠POD=90ù-20ù=70ù
는 각의 크기는
⑵ PQê가 ABÓ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30ù_2-5.5ù_40|=|60ù-220ù|
BOÓ=AOÓ=6`cm
=160ù
⑶ PQÓ=10`cm이고,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의 크기 구하기
ABÓ가 PQÓ를 수직이등분하므로
시침이 움직인 각의 크기는 30ù_(시)+0.5ù_(분)
분침이 움직인 각의 크기는 6ù_(분)이므로 POÓ=QOÓ=5`cm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30ù_(시)-5.5ù_(분)| 따라서 점 Q에서 ABÓ까지의 거리는 5`cm이다.

1. 기본 도형 5
∠AOD=10∠COD이므로 ⑴ 접은 각의 크기는 서로 같 & " %
± Y
Y
∠AOD=∠AOC+∠COD에서 으므로 Z
# $
10∠COD=90ù+∠COD, 9∠COD=90ù ∠BAC=∠DAC=∠x
∴ ∠COD=10ù 따라서 2∠x+40ù=180ù
또, ∠BOE=3∠DOE이므로 이므로
∠COB=∠COD+∠DOE+∠BOE에서 2∠x=140ù   ∴ ∠x=70ù
90ù=10ù+∠DOE+3∠DOE, 4∠DOE=80ù 또, 평행선과 엇각의 성질에 의하여
∴ ∠DOE=20ù ∠y=∠BAD=2∠x
∴ ∠COE=∠COD+∠DOE ∴ ∠y=2∠x=140ù
=10ù+20ù ⑵ 접은 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30ù ∠CBD=∠ABC=∠x & " $
± Y
또, 평행선과 엇각의 성질에 의 Z
Y
Y
하여 # %
⑶ ∠c의 동위각은 ∠h, ∠k, ∠p이므로 x=3 ∠ABD=∠BAE=50ù
∠b의 엇각은 ∠e, ∠q이므로 `y=2 따라서 2∠x=50ù이므로
∴ x-y=3-2=1 ∠x=25ù
또한, ∠ACB=∠CBD=25ù이므로
∠y=180ù-25ù=155ù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점
M
±
A, B, C에서 두 직선 l, m에 평 ±
"
± 평행선과 엇각의 성질에 의 & " '
# ± M
행한 직선을 그으면 평행선과 엇 ±
± $ 하여
각의 성질에 의하여 ± ±
N Y Z ±
∠ADC=∠DAF # $ %
N
∠x=20ù+20ù=40ù
=∠CAD=30ù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점 Y± ± Y±

M ∠BAC=∠EAB
A, B, C에서 두 직선 l, ±Y
=;2!;(180ù-∠CAF)
" Y ± ±Y

m에 평행한 직선을 그으 ± #


$ Y± Y ±

Y ± Y ±
면 평행선과 동위각, 엇각 N =;2!;(180ù-2_∠CAD)
의 성질에 의하여
35ù={∠x+20ù-(220ù-3∠x)} =;2!;(180ù-2_30ù)=60ù

 +{2∠x-10ù-(∠x+30ù)} ∴ ∠x=∠EAB=60ù
=(4∠x-200ù)+(∠x-40ù) 또, 평행선과 엇각의 성질에 의하여
=5∠x-240ù ∠y=∠CAF=60ù
5∠x=275ù   ∴ ∠x=55ù ∴ ∠x-∠y=60ù-60ù=0ù

6 Ⅰ 도형의 기초
STEP
실력 높이기 16~21쪽

a+b+2c
3 ㄱ, ㅂ ;1Á8; a+;3!; 56 2시 43 ;1¦1; 분
4

5시 16 ;1¢1; 분, 5시 38 ;1ª1; 분 48ù 20ù

∠b의 동위각:∠f, ∠i / ∠c의 엇각:∠e, ∠l 10ù 180ù 60ù

80ù 24ù 1`:`2 170ù 50ù 50ù

150ù 60ù 18ù 40ù 55ù 335ù

290ù

문제 풀이

풀이 단계 ∴ CMÓ=ACÓ-AMÓ
ㄱ. 평행한 두 직선이 서로 다른 한 직선과 만날 때,
동위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3!;a-{;1°8;a-;3!;}

=;1¤8;a-;1°8;a+;3!;
ㄴ. 서로 다른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오직 하나뿐이다.

ㄷ. 서로 다른 두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나거나 만나지 않는다.
확인 단계 =;1Á8;a+;3!;
ㄹ. 선분 AB의 길이가 5`cm이면 ABÓ=5`cm이다.
ㅅ. 선분의 양 끝 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은 수직이
등분선 위에 있다. DEê=EFê=DFê이므로 직선의 개수는
따라서 참인 것은 ㅁ, ㅂ, ㅇ, ㅈ이므로 a=4 6_(6-1)
-2=13   ∴ a=13
2
거짓인 것은 ㄱ, ㄴ, ㄷ, ㄹ, ㅅ이므로 b=5
DE³=DF³, FE³=FD³이므로 반직선의 개수는
∴ 2a-b=2_4-5=3
6_(6-1)-2=28   ∴ b=28
선분의 개수는
ㄱ.
6_(6-1)
" # $ % =15   ∴ c=15
2
ABÓ와 BC³의 공통 부분은 점 B이다. ∴ a+b+c=13+28+15
ㅂ. =56
" # $ %  한 평면 위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점 중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으면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개수와 선분의 개수가 일치한다. 하지
AB³와 BA³의 공통 부분은 ABÓ이다.
만 한 직선 위에 있는 세 점이 존재하는 경우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개수
보다 선분의 개수가 더 많음에 유의해야 한다.
a+b
A½B의 좌표가 이므로 (A½B)½C의 좌표는
2

;2!;{ +c}=;2!;{ }
a+b a+b+2c
2 2 2시 x분에 시침과 분침이 일직선이 된다고 하면
a+b+2c |30ù_2-5.5ù_x|=180ù
=
4 이때 시침보다 분침이 움직인 각도가 더 크므로
5.5ùx-60ù=180ù
서술형
5.5ùx=240ù
표현 단계 ABÓ=a이므로 ACÓ=;3!;a이고,
∴ x=43 ;1¦1;
CDÓ=;3!; CEÓ=;3!;(ABÓ-ACÓ-BEÓ)
따라서 구하는 시각은 2시 43 ;1¦1;분이다.
=;3!;{;3@;a-2}=;9@;a-;3@;

변형 단계 ADÓ=ACÓ+CDÓ=;3!;a+;9@;a-;3@;=;9%;a-;3@; 서술형

이므로 표현 단계 분침은 한 시간에 360ù,


360ù
AMÓ=;2!; ADÓ=;2!;{;9%;a-;3@;}=;1°8;a-;3!; 시침은 한 시간에
12
=30ù만큼 움직이므로

1. 기본 도형 7
360ù 30ù 변형 단계 ∠CAB`:`∠ABD=5`:`4이므로
분침은 1분에 =6ù, 시침은 1분에 =0.5ù
60 60
만큼 움직인다. ∠CAB=180ù_;9%;=100ù,
바늘이 12시일 때를 0ù라 하면 5시 x분일 때
∠ABD=180ù_;9$;=80ù
변형 단계

(시침이 움직인 각도)=30ù_5+0.5ùx
풀이 단계 lm이므로
=150ù+0.5ùx
(분침이 움직인 각도)=6ùx ∠x=∠CAD=;2!;∠CAB=;2!;_100ù=50ù
따라서 5시와 6시 사이에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y=∠CBD=;2!;∠ABD=;2!;_80ù=40ù
풀이 단계

각의 크기는
확인 단계 ∴ ∠x-∠y=50ù-40ù=10ù
150ù+0.5ùx-6ùx 또는 6ùx-(150ù+0.5ùx)이
다.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Ú 150ù+0.5ùx-6ùx=60ù에서
30ù+(∠x+20ù)+90ù=180ù
5.5ùx=90ù    ∴ x=:»5¼5¼:=:Á1¥1¼:=16 ;1¢1; ∴ ∠x=40ù
Û 6ùx-(150ù+0.5ùx)=60ù에서 또, 20ù+∠z+90ù=180ù이므로

5.5ùx=210ù   ∴ x=;:@5!5):);=:¢1ª1¼:=38;1ª1;
∠z=70ù
평행선과 엇각의 성질에 의하여
확인 단계 따라서 구하는 시각은 5시 16`;1¢1;`분, ∠y=∠z=70ù
∴ ∠x+∠y+∠z=40ù+70ù+70ù
5시 38`;1ª1;`분이다.
=180ù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 Y ±


Y± 접은 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
Y± " %
Y Z
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Y % Z
Y ± Y ± ∠DEC=∠D'EC=∠y
Z ±
(∠x+10ù)+(∠x-10ù) Y ± Y± △CED'에서 내각의 크기의 합은 ±
Y
[
 +(2∠x-30ù)+3∠x # $
180ù이므로
 +(∠x+10ù)+(2∠x+10ù) ∠y+20ù+90ù=180ù
=180ù ∴ ∠y=70ù
10∠x=190ù ∠x=180ù-70ù_2=40ù
∴ ∠x=19ù 또, ∠DCE=∠D'CE=20ù이므로
∠y=∠x+10ù=19ù+10ù=29ù ∠z=90ù-20ù_2=50ù
∴ ∠x+∠y=19ù+29ù=48ù ∴ ∠x+∠y-∠z=40ù+70ù-50ù=60ù

서술형 오른쪽 그림의 점 C에서 두


M
직선 l, m과 평행한 직선을 그으 "
표현 단계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
Y ±
∠COD=∠GOH=∠y 면 동위각, 엇각, 맞꼭지각의 크기
± $
Z
변형 단계 즉, ∠AOC=9∠BOC=9∠x이고, 가 각각 같고, △ABC의 세 내각 ±
#
Z N
∠COE=9∠COD=9∠y이다. 의 크기의 합이 180ù이므로
풀이 단계 ∠AOC+∠COE=180ù이므로 ∠x+60ù+∠y+40ù=180ù
9∠x+9∠y=180ù, 9(∠x+∠y)=180ù ∴ ∠x+∠y=80ù
확인 단계 ∴ ∠x+∠y=20ù
오른쪽 그림의 두 점 A, B에서 Z
M
∠b와 같은 위치에 있는 각, 즉 동위각은 ∠f, ∠i이고, 두 직선 l, m과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 Z ±Z

∠c와 엇갈린 위치에 있는 각, 즉 엇각은 ∠e, ∠l이다. ∠x=(60ù-∠y)+60ù ±Z ± #


± N
∴ ∠x+∠y=120ù ±

서술형
한편 ∠x`:`∠y=3`:`2이므로

표현 단계 lm이므로 ∠CAB+∠ABD=180ù ∠x=120ù_;5#;=72ù

8 Ⅰ 도형의 기초
∠y=120ù_;5@;=48ù ∠FA'B=20ù, &
" %
∴ ∠x-∠y=72ù-48ù=24ù ∠EA'F=90ù이므로 Y
)
±
# $
∠EA'G ± " ( ±
$
=180ù-(20ù+90ù) %
=70ù

서술형
또, ∠EGA'=∠HGD'=60ù(맞꼭지각)이고,

표현 단계 보조선 OD를 긋고 ∠OCD=∠a라 하자. △EA'G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변형 단계 : ∠x+70ù+60ù=180ù
# ∴ ∠x=50ù
; B
B %
B
9 " B 0 B B $
오른쪽 그림의 점 B에서 " %
M
풀이 단계 CDÓ=OAÓ=ODÓ=OBÓ이므로 △DOC와 △BOD 두 직선 l, m과 평행한 직선을 Y Z ± #
는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다. 긋고,
N
한 외각의 크기는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 $ &
∠DAB=∠a, ∠ECB=∠b
의 합과 같으므로 라 하면 평행선에서 엇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ODB=∠OBD=2∠a ∠a+∠b=30ù
BCÓOZÓ이므로 ∠y=2∠a+2∠b=2(∠a+∠b)
∠BOZ=∠DBO=2∠a(엇각)이고, =2_30ù=60ù
∠AOZ=∠OCB=∠a(동위각) ∠x=3∠a+3∠b=3(∠a+∠b)
확인 단계 ∴ ∠XOZ`:`∠YOZ=∠a`:`2∠a=1`:`2 =3_30ù=90ù
∴ ∠x+∠y=90ù+60ù=150ù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 "


M
Y
다음 그림의 세 점 A, B, C를 지나고 두 직선 l, m과 ∠ABC=60ù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DAB=∠ABE(엇각)이므로 $
±
Z
N
B M ∠x=∠y+60ù # &

B " ∴ ∠x-∠y=60ù
C
#
B C D
$ E
N 서술형
B C D B C D E ±
표현 단계 오른쪽 그림과 같이  " 1
B M
B
∠a+∠b+∠c+∠d+10ù=180ù ∠PAD=3∠a, O
# B %
∴ ∠a+∠b+∠c+∠d=170ù ∠ RCD=7 ∠ a라 하 Y B
N
2 $ 3
자.
변형 단계 꼭짓점 D를 지나고 두 직선 l, m에 평행한
직선 n을 그으면
ABÓCDÓ이므로 #
% ∠ADC=3∠a+7∠a=90ù
∠BCD=∠ABC ± C 즉, 10∠a=90ù이므로 ∠a=9ù
=30ù(엇각) ± ∠PAD=3_9ù=27ù,
B ±
BCÓDEÓ이므로 "
$ & '
∠RCD=7_9ù=63ù
∠BCD+∠a=30ù+∠a=70ù(동위각) 풀이 단계 ABCD는 정사각형이므로 ∠CDB=45ù
∴ ∠a=40ù △CDQ에서 한 외각의 크기는 이웃하지 않는 두
또, BCÓDEÓ이므로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b=∠BCD=30ù(엇각) ∠RCD=∠CDB+∠x, 63ù=45ù+∠x
∴ 2∠a-∠b=2_40ù-30ù=50ù 확인 단계 ∴ ∠x=18ù

1. 기본 도형 9
lm이므로 엇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BCD=∠a+∠b

따라서 ∠ABC=30ù+70ù=100ù이고, lm이므로 ∠IJA=∠BCD=∠a+∠b

2∠ABD=3∠CBD에서 또한, △EGF와 △DHE에서

∠ABD`:`∠CBD=3`:`2 ∠EDH+∠EHD=∠c+∠d
풀이 단계 %
∴ ∠CBD=100ù_;5@;=40ù ± B C

C
# $
M
"
B
△ABD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 D '
E

∠BAD=180ù-(45ù+25ù) ) F
(
G
=110ù B C
N
* +
∴ ∠DAF=;2!;∠BAD=55ù
즉, DHIJ의 내각의 총합은 360ù이므로
ADÓBCÓ이므로 ∠a+∠b+25ù+∠c+∠d+∠e+∠f=360ù
∠x=∠DAF=55ù 확인 단계 ∴ ∠a+∠b+∠c+∠d+∠e+∠f=335ù
다른 풀이

ADÓBCÓ이므로 " %
오른쪽 그림의 두 점 F, G를
Y ± )
Y ±
∠BAE=∠DAE=∠x ' 지나고 두 직선 l, m과 평행한 직 ± (
M
± Y±
∠DBE=∠ADB=25ù ± Y "
#
&
$ 선을 그으면 △ABC에서 한 외각 Z±
± ± ± '
평행사변형에서 이웃한 두 내각의 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 ± N
$ &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x+∠x+45ù+25ù=180ù이다.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 ±
%
∴ ∠x=55ù ∠ECD=10ù+50ù=60ù
∴ ∠CED=180ù-(60ù+50ù)=70ù
서술형 평행선의 성질을 이용하면 위의 그림에서
표현 단계 보조선을 긋고 각 점을 A~J로 나타낸다. (∠x-40ù)+(∠y-70ù)=180ù
변형 단계 △ACB에서 한 외각의 크기는 이웃하지 않는 두 ∴ ∠x+∠y=290ù

10 Ⅰ 도형의 기초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22~25쪽

15`cm y=2x 4`cm 40ù 12ù 50ù

180ù-4∠a 10ù 360ù 128ù 풀이 참조 270ù

풀이 참조

문제 풀이

주어진 조건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EF=∠ABE=60ù(엇각),


  2∠BEC=∠CEF이므로 " # $
Z M
     Y ±
" % & # ' $ ∠y=∠CEF=;3@;∠BEF
AEÓ=2EBÓ이므로 Y
=;3@;_60ù=40ù
Z
N
% & '
EBÓ=;3!; ABÓ=;3!;_18=6(cm)
또, ∠BED=180ù-∠BEF=120ù,
ACÓ=2BCÓ이므로
2∠AEB=∠AED이므로
BCÓ=ABÓ=18`cm
∠x=∠AED=;3@;∠BED
점 D는 ABÓ의 중점이므로

DBÓ=;2!; ABÓ=;2!;_18=9(cm) =;3@;_120ù=80ù

점 F는 ECÓ의 중점이므로 ∴ ∠x-∠y=80ù-40ù=40ù

EFÓ=CFÓ=;2!; ECÓ

=;2!; (EBÓ+BCÓ)=;2!;_24=12(cm)
오른쪽 그림의 두 점 B, C에 "
M
Y Y
∴ EBÓ=BFÓ=BCÓ-CFÓ=18-12=6(cm) 서 두 직선 l, m과 평행한 직선을 # ±Y
±Y &
DEÓ=DBÓ-EBÓ=9-6=3(cm) 그으면 $ Y
N
∴ DFÓ=DEÓ+EFÓ=3+12=15(cm) (108ù-∠x)+(108ù-2∠x) Y %

=180ù
216ù-3∠x=180ù, 3∠x=36ù
∴ ∠x=12ù
∠A+∠B=y yy`㉠
∠CDE+∠DCE=180ù-x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오각형 "
B B M
ABCDE에서 lm일 때, ∠a와 ∠b에 대
∠C+∠D=2(180ù-x)=360ù-2x yy`㉡ # ±B
하여 &
±C
그런데 ∠A+∠B+∠C+∠D=360ù이므로 (108ù-∠a)+(108ù-∠b)=180ù C
$
216ù-∠a-∠b=180ù N
㉠, ㉡에서 C %
∴ ∠a+∠b=36ù
y+360ù-2x=360ù 즉, ∠a와 ∠b의 크기의 합은 36ù로 항상 일정하다.
y-2x=0   ∴ y=2x

접은 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DEÓBCÓ이므로 ∠DIB=∠IBC(엇각)
∠BDC=∠BDE   yy`㉠
따라서 △DBI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또, 평행선에서 엇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DIÓ=DBÓ=3`cm
∠BDC=∠EBD   yy`㉡
이때 DEÓ=DIÓ+IEÓ이므로
㉠, ㉡에서 ∠BDE=∠EBD이므로 △EBD는 이등변삼
IEÓ=DEÓ-DIÓ=7-3=4(cm)
각형이고,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또, ∠EIC=∠ICB(엇각)이므로 △EIC는 이등변삼각형
∠BDE=∠EBD
이다.
=;2!;(180ù-80ù)=50ù
∴ CEÓ=IEÓ=4`cm
1. 기본 도형 11
△ABC는 ABÓ=A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따라서 ∠x`:`∠y=3`:`2이므로

∠ACB=∠ABC=∠a ∠x=160ù_;5#;=96ù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y=160ù_;5@;=64ù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CAD=2∠a ∴ 2∠x-∠y=2_96ù-64ù

또, △CAD는 ACÓ=CD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128ù

∠CDA=∠CAD=2∠a
ACÓDEÓ이므로 ;1¦5;(바퀴)=;1¦5;_360ù=168ù,
∠EDF=∠CAD=2∠a`(동위각) 720ùÖ360ù=2(바퀴),
따라서 ∠ADC+∠CDE+∠EDF=180ù이므로
;8&;(바퀴)=;8&;_360ù=315ù,
2∠a+∠CDE+2∠a=180ù
∴ ∠CDE=180ù-4∠a 22.5ùÖ360ù=;1Á6;(바퀴),

1;9$;(바퀴)=:Á9£:_360ù=520ù
ADÓBCÓ이므로
∠DEF=∠EFB=50ù`(엇각)
오른쪽 그림에서 지구 "
또, 접은 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BEF=∠DEF=50ù 의 위도와 경도는 항상 수직
따라서 △BEF에서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이므로
∠"∠#∠$±이므로
∠EBF=180ù-(50ù+50ù)=80ù ABÓ⊥BCÓ, ACÓ⊥BCÓ이다. (△"#$의 내각의 크기의 합)±

∴ ∠ABE=∠ABF-∠EBF 따라서 # $

=90ù-80ù ∠A=∠B=∠C=90ù
=10ù 이므로 △ABC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270ù이다.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E
E F F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 "
M
지도 상의 거리를 환산한 것은 두 지점의 거리를 평면
B $
기의 합과 같다. C D # 위의 거리로 생각한 것이고, 실제 거리는 둥근 지구 표면을
D
C 따라 움직인 곡선의 거리이다. 따라서 실제 거리는 지도 상
오른쪽 그림에서 △ABC의 세 내 F
N
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의 거리를 환산한 것보다 항상 크게 된다. 또, 지구 위의 두
(180ù-∠a)+(180ù-∠b-∠c)+(180ù-∠d-∠e) 지점 사이의 거리는 실제로는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므로
=180ù 두 지점을 차를 타고 이동한 거리는 실제로는 ‘곡선’이다.
540ù-∠a-∠b-∠c-∠d-∠e=180ù
∴ ∠a+∠b+∠c+∠d+∠e=360ù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직선 l, m과 평행한 세 직선을


그으면

Y
M
±
±
Y± ±
Y± Y±
±Y ± Y±

± ±Y
±
N
Z
Y±
±

∠y+(∠x-50ù)+70ù=180ù
∴ ∠x+∠y=160ù

12 Ⅰ 도형의 기초
2 위치 관계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27~33쪽

ㄴ,`ㅁ ㄱ,`ㅁ,`ㅅ cd

⑴ BEÓ,`CFÓ ⑵ ADÓ,`BEÓ ⑶ ABÓ,`ADÓ,`BCÓ,`CFÓ ⑷ ADÓ, DEÓ, DFÓ ⑸ ACÓ, ADÓ, CFÓ, DFÓ DFÓ

② ㄴ,`ㅁ,`ㅇ ⑴ 3 ⑵ 3 17

⑴ ABÓ,`DCÓ,`EFÓ,`HGÓ ⑵ 면 AEHD,`면 BFGC ⑶ 면 AEFB,`면 EFGH ⑷ 면 EFGH,`면 BFGC ⑸ 4`cm ⑹ 90ù

④ ③, ⑤ ⑴ 3 ⑵ 2 5 ⑴ 면 ABCD,`면 EFGH ⑵ 6`cm

8개 ⑴ 면 DEFM ⑵ 면 FKLM, 면 GHIJ ㄴ,`ㅁ,`ㅅ,`ㅇ ㄷ,`ㅁ,`ㅂ,`ㅊ

최상위 02
NOTE 평면의 범위는 무한하다.

오른쪽 그림을 보면 두 평면이 오직 한 점에 평면을 나타낼 때는 단지 시각적인 이해를 위해 평행사변형으로


서만 만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두 평면 나타내지만 사실은 무한히 뻗어 나간다. 그래서 그림을 정확히 그
이 오직 한 점에서만 만나는 것은 실제로는 리면 두 평면은 한 점에서만 만나는 것이 아니라 한 직선에서 만
불가능하다. 나게 된다.

2. 위치 관계 13
문제 풀이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평면 위에 있지 M N O
ㄴ. 점 B는 직선 m에 속하지 않고, 두 직선 l, n에 속한다.
않은 세 직선 l, m, n이 한 점에서 만날
ㅁ. 직선 l과 직선 m의 공통 부분은 점 A이다.
때, 이들 중 두 직선을 포함하는 평면은`
직선 l과 직선 m을 포함하는 평면, 직선
ㄴ. 서로 다른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1개이다.
l과 직선 n을 포함하는 평면, 직선 m과
ㄷ. 서로 다른 세 점을 지나는 직선은 없을 수도 있다.
직선 n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평면의 개수는 3이다.
ㄹ. 한 직선과 두 점에서만 만나는 직선은 없다.
ㅂ.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점을 지나고, 이 직선에 수직인
Ú 4개의 점 A, B, C, D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의 개수:
직선은 1개이다.
1
Û 평면
 위의 4개의 점 중 2개와 점 E 또는 점 F로 만들 수
한 평면 P 위에 4개의 직선 a, b, 1
E
있는 평면의 개수:
c, d가 있을 때, ab, bc이면 ac B 4_3
 _2=12
이고, ad이므로 cd이다. C 2
D
Ü 평면
 위의 4개의 점 중 1개와 두 점 E, F로 만들 수 있
는 평면의 개수:4

⑷ BCÓ와 만나는 모서리 ABÓ, BEÓ, CAÓ, CFÓ와 BCÓ와 Ú, Û, Û에서 평면의 개수는 1+12+4=17

평행한 모서리 EFÓ를 제외한 ADÓ, DEÓ, DFÓ는 꼬인 위  한 평면 위에 있는 네 점이 존재하는 경우


치에 있다. 평면 위에 있는 여러 개의 점 중 사용하는 점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면 쉽
게 구할 수 있다.
⑸ BEÓ와 만나지 않는 모서리는 BEÓ와 평행한 모서리 ADÓ,
CFÓ와 BE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 ACÓ, DFÓ이다.
직선과 평면이 수직이려면 직선은 평면과 한 점에서

주어진 전개도로 삼각뿔을 만들면 " $ &


만나고, 그 점을 지나는 평면 위의 최소한 2개의 직선과 동

오른쪽 그림과 같다. 시에 수직이어야 한다.

따라서 AB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 ' 즉, BEÓ⊥DEÓ, BEÓ⊥EFÓ


#
는 DFÓ이다. %
직선과 평면이 수직이려면 직선은 평면과 한 점에서
만나고, 그 점을 지나는 평면 위의 최소한 2개의 직선과 동
①, ③ l⊥m, l⊥n이면 직선 m과 직선 n은 만나거
시에 수직이어야 한다.
나 평행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즉, 면 ABC 위의 두 모서리 ABÓ와 BCÓ에 대하여
④, ⑤ lm, l⊥n이면 직선 m과 직선 n은 수직이거나 꼬
ABÓ⊥BEÓ, BCÓ⊥BEÓ이면 면 ABC와 BEÓ는 수직이다.
인 위치에 있다.

⑴ CIÓ와 수직인 면은 면 CGHD이므로 a=1


ㄱ. 서로 만나지도 평행하지도 않은 두 직선은 꼬인
 AEJI와 평행한 모서리는 CGÓ, DHÓ이므로 b=2

위치에 있으므로 한 평면 위에 있지 않다.
∴ a+b=1+2=3
ㄷ, ㅂ, ㅅ. 한 직선과 그 직선 위에 있지 않은 한 점이 평
⑵ EJÓ와 평행한 평면은 면 AICD이므로 c=1
면을 하나로 결정한다.
 AICD와 수직인 모서리는 AEÓ, IJÓ, CGÓ, DHÓ이므로

ㄹ. 평행하거나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이 평면을 하나로
d=4
결정한다.
CD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EÓ, IJÓ, EJÓ, JGÓ,
EHÓ이므로 e=5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평면 M
∴ c-d+e=1-4+5=2
위에 있지 않고, 서로 평행한 세 직 N

선 l, m, n에 대하여 이들 중 두 O
AB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CDÓ, DEÓ, EFÓ, CFÓ
직선을 포함하는 평면은 직선 l과 직선 m을 포함하는 이므로 a=4
평면, 직선 l과 직선 n을 포함하는 평면, 직선 m과 직선 ABÓ와 평행한 모서리는 DFÓ이므로 b=1
n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평면의 개수는 3이다. ∴ a+b=5
14 Ⅰ 도형의 기초
ㄷ. 한 평면에 수직인 두 평면은 만나거나 평행하다.
두 평면 P와 Q가 한 직선에
1 ㄹ. 한 직선에 수직인 두 직선은 만나거나 평행하거나 꼬인
서 만나면 공간은 4개의 부분으로
위치에 있다.
나누어지고, 세 평면 P, Q, R가 0
2
ㅂ. 한 직선에 평행한 두 평면은 만나거나 평행하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점 O에서
3
만나면 공간은 8개의 부분으로 나
ㄱ. l⊥m, m⊥n이면 두 직선 l, n은 만나거나 평행
누어진다.
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 -
" ,

ㄴ. P⊥Q, Q⊥R이면 두 평면 P, R는 만나거나 평행하다.


전개도로 입체도형을 만들면
ㄹ. lm,
 m⊥n이면 두 직선 l, n은 만나거나 꼬인 위치
오른쪽 그림과 같다. $ *
# +

에 있다.
⑴ 면 ABCN과 평행한 면은
' ㅅ. lP,
 mP이면 두 직선 l, m은 만나거나 평행하거
.
면 DEFM이다.
% )
& (
나 꼬인 위치에 있다.
⑵ ABÓ와 수직인 면은 면 FKLM,
ㅇ. P⊥Q, P⊥R이면 두 평면 Q, R는 만나거나 평행하다.
면 GHIJ이다.
ㅈ. lP, lQ이면 두 평면 P, Q는 만나거나 평행하다.

ㄱ. 한 평면에 평행한 두 직선은 만나거나 평행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2. 위치 관계 15
STEP
실력 높이기 34~38쪽

④,`⑤ 6 풀이 참조 20 풀이 참조 ⑤

5 ㄱ,`ㄹ,`ㅁ 6 EHÓ ①, ④ 면 IJKL

꼬인 위치 7 2 2 15ù EFÓ, FGÓ

④ ②,`⑤

문제 풀이

④ 서로 다른 세 직선 중에서 두 직선이 반드시 평행 서술형

하지는 않다. 풀이 단계 평면이 하나로 결정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⑤ 공간에서 서로 만나지 않는 두 직선은 평행하거나 꼬인 첫째,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이 주어진 경
위치에 있다. 우
둘째, 한 직선과 그 직선 밖에 있는 한 점이 주어
진 경우
네 직선 a, b, c, d 중에서 두 직 B 셋째,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이 주어진 경우
C
선을 포함하는 평면은 넷째, 평행한 두 직선이 주어진 경우
직선 a와 직선 b를 포함하는 평면, E 한 직선 위에 있는 세 점은 한 평면을 결정할 수
D
직선 a와 직선 c를 포함하는 평면, 없으므로 6개의 점 A, B, C, D, E, F로 만들 수
직선 a와 직선 d를 포함하는 평면, 있는 평면은 다음과 같이 13개이다.
직선 b와 직선 c를 포함하는 평면, Ú 평면 P 위의 두 점과 평면 Q 위의 한 점으로
직선 b와 직선 d를 포함하는 평면, 만들 수 있는 평면
직선 c와 직선 d를 포함하는 평면으로 평면의 개수는 6이다. ⇨ 면 ABD, 면 ABE, 면 ABF, 면 BCD, 면
BCE, 면 BCF, 면 ACD, 면 ACE, 면 ACF
Û 평면
 P 위의 한 점과 평면 Q 위의 세 점 D, E,
서술형 F로 만들 수 있는 평면
표현 단계 두 직선이 평행하려면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해 ⇨ 면 ADEF, 면 BDEF, 면 CDEF
야 한다. Ü 평면 P 위의 세 점으로 만들 수 있는 평면
① 만나지 않는다. ⇨ 면 ABC
② 한 평면 위에 있다.
풀이 단계 PQ이므로 두 평면 P와 Q는 만나지 않는다.
전개도로 입체도형을 만들면 오 " &

직선 a는 평면 P 위에 있고, 직선 b는 평면 Q 위
른쪽 그림과 같다.
에 있으므로 두 직선 a, b는 서로 만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꼬인 위치에 있다. '
그런데 두 직선 a, b는 한 평면 R 위에 있다. # %

⑤ ACÓ와 DEÓ는 한 점 A(E)에서 만


확인 단계 따라서 두 직선 a, b는 한 평면 위에 있으면서 서 $
난다.
로 만나지 않으므로 서로 평행하다.

CDÓ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ADÓ, BCÓ, CGÓ, DHÓ

Ú 평면 P 위의 두 점과 평면 Q 위의 한 점으로 만들 이므로

수 있는 평면의 개수:3_3=9 a=4

Û 평면 P 위의 한 점과 평면 Q 위의 두 점으로 만들 수 있 또, CDÓ와 평행한 모서리는 ABÓ, EFÓ, HGÓ이므로

는 평면의 개수:3_3=9 b=3

Ü평
 면 P와 평면 Q:2 ∴ 2a-b=2_4-3=5

Ú, Û, Ü에서 평면의 개수는  CDÓ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CDÓ와 수직인 평면 CBFG, 평면
AEHD 위에 있는 모서리임을 이해한다.
9+9+2=20

16 Ⅰ 도형의 기초
꼬인 위치는 공간에서 만나 / )
* .
AB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CHÓ, DIÓ, EJÓ, GHÓ,
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은 두 " (
% HIÓ, IJÕ, JFÓ이므로 a=7
직선의 위치 관계이므로 보기 중 ,
ABÓ와 평행한 모서리는 FGÓ이므로 b=1
+ -

에서 KNÓ, DGÓ, MNÓ이 CJÓ와 꼬 ABÓ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AFÓ, BGÓ이므로 c=2
# '
$ &

인 위치에 있다. ∴ a-2b+c=7-2+2=7

서술형 서로 평행한 평면은 면 ABCDE와 면 FGHIJ이므로


변형 단계 주어진 전개도로 입 , .
1쌍이다. 즉, x=1
) + /

체도형을 만들면 오 *
면 ABCDE와 수직인 평면은 옆면 5개이므로 y=5
-
른쪽 그림과 같다. 면 ABGF와 수직인 평면은
# %
" & (

풀이 단계 E FÓ 와 수직인 면은 면 ABCDE와 면 FGHIJ이므로 z=2


$ '
면 ABMN과 ∴ 3x-y+2z=3-5+4=2
면 CFIL이므로 a=2
LÕM과
Ó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CFÓ, DEÓ, NAÓ, 면 ACD와 수직인 모서리는 AEÓ, CGÓÓ, DHÓ이므로
IFÕ이므로 b=4 a=3
확인 단계 ∴ a+b=2+4=6 면 AEHD와 수직인 면은 면 ACD, 면 AFE,
면 CGHD, 면 EFGH이므로 b=4
서술형 면 ACF와 평행한 면은 없으므로 c=0
표현 단계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2a-b+c=6-4+0=2
① 만나지 않는다.
② 평행하지 않는다. △AFC는 정삼각형이므로 ∠AFC=60ù
③ 한 평면 위에 있지 않다. △ACD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ACD=45ù
변형 단계 CD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EÓ, BFÓ, EFÓ, 또, 면 ACD와 CGÓ는 수직이므로 ∠ACG=90ù
EHÓ, FGÓ, GHÓ, IJÕ, JKÓ, JGÓ이고, DHÓ와 수직으로  AFC+∠ACD-∠ACG
∴∠
만나는 모서리는 ADÓ, CDÓ, IKÓ, JKÓ, EHÓ, GHÓ이 =60ù+45ù-90ù=15ù
므로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모서리는 EHÓ,
GHÓ, JKÓ이다.
AC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풀이 단계 그러므로 이 중에서 면 JGHK에 포함되지 않는
DHÓ, EFÓ, FGÓ, GHÓ, EHÓ이고,
모서리는 EHÓ이다.
DH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확인 단계 EHÓ
ACÓ, AFÓ, CFÓ, EFÓ, FGÓ이다.
따라서 ACÓ, DHÓ와 동시에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두 평면 P, Q가 수직이 되려면 평면 P가 평면 Q에 EFÓ, FGÓ이다.
수직인 직선을 포함해야 하므로 두 평면 P, Q가 수직이 되
기 위한 조건은 AOÓ⊥CDÓ, AOÓ⊥BOÓ이다.
② 면 ACD와 평행한 모서리는 EFÓ, FGÓ, GHÓ, HEÓ의
4개이다.
면 ABMN과 수직인 면 , .

) + /
④ AD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CFÓ, CGÓ, EFÓ, GHÓ
은 면 BCLM, 면 CDEF, * 의 4개이다.
-
면 FGHI, 면 IJKL이고, 이
# %
" & (

중에서 면 CDEF와 평행한 ① lm, l⊥n이면 두 직선 m, n은 만나거나 꼬인


$ '
면은 면 IJKL이다. 위치에 있다.
③ l ⊥m, l⊥n이면 두 직선 m, n은 만나거나 평행하거나
CEÓ와 KIÓ는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으므로 꼬 꼬인 위치에 있다.
인 위치에 있다. ④ P⊥Q, Q⊥R이면 두 평면 P, R는 만나거나 평행하다.

2. 위치 관계 17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39~41쪽

13 9 8 ㄴ, ㅂ CIÓ, DJÓ, EKÓ, FLÓ, HIÓ, IJÕ, KLÓ, LGÓ

0 ②, ④ 4 1과 7, 2와 9, 3과 8, 4와 12, 5와 11, 6과 10

문제 풀이

Ú 면 ABC, 면 ABD, 면 ABE, 면 ABF의 4개 CDÓ와 평행한 면은 면 AGLF, 면 GHIJKL이므로


Û 면 ACD, 면 ACE, 면 ACF, 면 BCD, 면 BCE, a=2
면 BCF의 6개 면 ABCDEF와 평행한 모서리는 GHÓ, HIÓ, IJÕ, JKÓ, KLÓ,
Ü 면 ADEF, 면 BDEF의 2개 LGÓ이므로 b=6
Ý 면 CDEF의 1개 AGÓ와 평행하지 않은 면은 면 ABHG, 면 AGLF,
따라서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면 ABCDEF, 면 GHIJKL이므로 c=4
4+6+2+1=13 ∴ a-b+c=2-6+4=0

BEÓ와 평행한 면은 면 AHJD, 면 CGFIJD이므로


① 면 DEG와 모서리 DH는 한 점에서 만난다.
a=2
③ 면 EGH와 면 DEG가 이루는 각은 90ù가 아니다.
BC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HÓ, DJÓ, EFÓ, FGÓ, FIÓ,
⑤ 모서리 DE와 모서리 GH는 꼬인 위치에 있다.
HIÓ, IJÕ이므로 b=7
∴ a+b=2+7=9
주어진 전개도로 입체도형을 만들 # %
+ )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 (

CD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FÓ, BGÓ, JHÓ, EIÓ, *


$
AB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FGÓÓ, GHÓ, HIÓ, IFÓ이므로 모서리의 개수는 8이다. '
IJÕ, CIÓ, IFÓ이므로 a=3

% ABÓ와 평행한 평면은 면 CFI이므로 b=1


AD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
" (
ABÓ와 한 점에서 만나는 평면은 면 FGHI, 면 BCIJ이므로
리는 BCÓ, EJÓ, FIÓ, JIÕ이다.
# '
) +
c=2
$ &

∴ a-b+c=3-1+2=4
*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은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 주어진 전개도로 입체도형을 만들 때 평행한 면은


도 않으며 한 평면 위에 있지 않다. 1과 7, 2와 9, 3과 8, 4와 12, 5와 11, 6과 10이다.

18 Ⅰ 도형의 기초
3 작도와 합동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43~48쪽

ㄷ,`ㅅ,`ㅈ ⑴ ㉢ → ㉠ → ㉡ ⑵ ③, ⑤ ㄹ,`ㅂ,`ㅅ ⑴ ㉡ → ㉠ → ㉢ ⑵ ③ ⑶ ②, ④

⑴ ㉠ → ㉣ → ㉡ → ㉤ → ㉢ → ㉥ ⑵ ② ⑶ ③ ⑴ △AOD, △COB ⑵ ③ ⑤

5 8 ② ACÓ의 길이 또는 ∠B의 크기 또는 ∠C의 크기

ㄱ,`ㄹ SAS 합동 △ACE, ASA 합동 ⑴ △ACD, SAS 합동 ⑵ 120ù

60ù-∠a 120ù

최상위 03
NOTE 삼각형이 결정되기 위한 조건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a, b, x일 때, 어느 한편, a-b와 b-a=-(a-b)는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다르므


B C
한 변의 길이는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보 로 a-b와 b-a 중 최댓값은 |a-b|와 같다.
다 작다. 따라서 ⑴ ~ ⑶에 의하여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a, b, x일 때,
⑴ a<b+x에서 a-b<x Y 삼각형이 결정되기 위한 x의 범위는 |a-b|<x<a+b이다.
⑵ b<a+x에서 b-a<x
⑶ x<a+b

3. 작도와 합동 19
문제 풀이

Ú 평각의 이등분선의 작도로 90ù의 작도가 가능하다. ⑴ 세 점 O, A, B를 중심으로 각각 반지름의 길이가


Û 90ù의 삼등분선의 작도로 30ù, 60ù의 작도가 가능하다. 같은 원을 그린 것이므로
Ü 각의
 이등분선의 작도로 다음 각의 작도가 가능하다. OAÓ=OBÓ=OCÓ=ODÓ=ADÓ=BCÓ
90ù`Ú`45ù`Ú`22.5ù`Ú`… 따라서 △AOD, △COB가 정삼각형이다.
60ù`Ú`30ù`Ú`15ù`Ú`7.5ù`Ú`… ⑵ ②, ③ OC³, OD³가 직각인 ∠AOB의 삼등분선이므로
Ý 작도
 가능한 각끼리 더하거나 뺀 각의 작도가 가능하다. ∠AOC=∠COD=;3!;_∠AOB=30ù
135ù=90ù+45ù, 120ù=90ù+30ù, 75ù=60ù+15ù, …
∴ ∠AOD=∠AOC+∠COD=60ù
따라서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으로 그릴 수 없는 각은
 AOC에서 OAÓ=OCÓ, ∠AOC=30ù이므로

ㄷ, ㅅ, ㅈ이다.
∠OAC=∠OCA=75ù
∴ ∠AOD+∠OCA
⑵ ① 두 점 A, B는 점 O를 중심으로 하는 원 위에
④ △BOD에서 OBÓ=ODÓ, ∠BOD=30ù이므로
있으므로 OAÓ=OBÓ
∠OBD=75ù
② 점 P는 두 점 A, B를 중심으로 각각 반지름의 길이
①, ⑤ △COB는 정삼각형이므로 ∠OBC=60ù,
가 같은 원을 그려 만나는 점이므로 APÓ=BPÓ
OBÓ=BCÓ
④ OP³는 ∠XOY의 이등분선이므로
또한, OAÓ=OBÓ이므로 OAÓ=BCÓ
∠XOP=∠YOP
 OBÓ=OCÓ와 ∠COB=60ù임을 통해서도 △COB가 정삼각형임을
알 수 있다.
ㄱ, ㅇ. PQê는 ABÓ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마찬가지로 OAÓ=ODÓ와 ∠AOD=60ù임을 통해서 △AOD가 정삼각형
임을 알 수 있다.
AÕMÓ=;2!; ABÓ, ∠AMP=90ù

ㄴ, ㅁ. 두 점 A, B를 중심으로 각각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그린 것이므로 APÓ=AQÓ=BPÓ=BQÓ △ABC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 "

ㄷ. △APM과 △AQM에서 점은 한 점에서 만나며 이 점이 세 점 A, B,


0
APÓ=AQÓ, ∠AMP=∠AMQ=90ù C를 지나는 원의 중심이 된다.
# $
이고, △AQP는 APÓ=AQ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PM=∠AQM

따라서 ∠PAM=∠QAM이므로 x`cm가 가장 긴 변일 때, 3+7>x   ∴ x<10

△APMª△AQM (ASA 합동) 7`cm가 가장 긴 변일 때, 3+x>7   ∴ x>4

∴ MPÓ=MQÓ ∴ 4<x<10
따라서 x의 값으로 알맞은 자연수의 개수는 5, 6, 7, 8, 9의 5
이다.
⑶ ① 점 P는 두 점 C, D를 중심으로 각각 반지름의
다른 풀이
길이가 같은 원을 그려 만나는 점이므로 CPÓ=DPÓ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다른 두 변의 길이의 차보다 크
③ 두 점 C, D는 점 O를 중심으로 하는 원 위에 있으므
고, 다른 두 변의 길이의 합보다 작아야 한다.
로 COÓ=DOÓ
즉,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a, b, x라 하면
⑤ OPê는 직선 AB의 수선이므로
|a-b|<x<a+b이므로
∠AOP=∠BOP=90ù
7-3<x<3+7, 4<x<10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x의 개수는 5, 6, 7, 8, 9의 5이다.
⑶ ①, ②, ④ 두 점 P, Q를 중심으로 각각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그린 것이므로
CPÓ=DPÓ=AQÓ=BQÓ (4, 5, 6), (4, 5, 8), (4, 5, 10), (4, 6, 8),
③ 두 점 A, C를 중심으로 각각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4, 6, 10), (4, 8, 10), (5, 6, 8), (5, 6, 10),
원을 그린 것이므로 ABÓ=CDÓ (5, 8, 10), (6, 8, 10) 중에서
 CPD는 ∠AQB와 크기가 같은 동위각을 작도한
⑤∠ (가장 긴 변의 길이)<(다른 두 변의 길이의 합)을 만족하
것이므로 ∠CPD=∠AQB 는 삼각형의 개수는 (4, 5, 10), (4, 6, 10)을 제외한 8이다.

20 Ⅰ 도형의 기초
① ∠B=180ù-(∠A+∠C)이므로 ABÓ의 양 끝 각 ⑴ △BCE와 △ACD에서
∠A, ∠B가 주어진 것과 같은 경우이다. △ABC가 정삼각형이므로 BCÓ=ACÓ`
따라서 삼각형이 하나로 결정된다. 또, △ECD가 정삼각형이므로 `CEÓ=CDÓ
② ABÓ, BCÓ의 끼인각인 ∠B가 주어지지 않고, ∠A가 주 ∠BCE=60ù+∠ACE=∠ACD
어졌으므로 삼각형이 하나로 결정되지 않는다. ∴ △BCEª△ACD`(SAS 합동)
③ ABÓ, ACÓ의 끼인각인 ∠A가 주어졌으므로 삼각형이 하 ⑵ △BCEª△ACD이므로 ∠CDA=∠CEB이고,
나로 결정된다. △BCE에서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④ ∠A=180ù-(∠B+∠C)이므로` ABÓ의 양 끝 각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A, ∠B가 주어진 것과 같은 경우이다. ∠CBE+∠CEB=∠ECD
따라서 삼각형이 하나로 결정된다. 따라서 △FBD에서
⑤ 세 변의 길이가 주어졌으므로 삼각형이 하나로 결정된 ∠BFD=180ù-(∠CBE+∠CDA)
다. =180ù-(∠CBE+∠CEB)
=180ù-∠ECD
=180ù-60ù=120ù
∠A의 크기와 ABÓ의 길이가 주어졌을 때,
Ú∠
 A가 끼인각이 되는 경우 ACÓ의 길이가 주어지면 삼
△ABD와 △CBE에서
각형이 하나로 결정된다.
△ABC가 정삼각형이므로 ABÓ=CBÓ
Û∠
 A가 양 끝 각 중의 하나가 되는 경우 ∠B의 크기가
또, △BDE가 정삼각형이므로 BDÓ=BEÓ
주어지면 삼각형이 하나로 결정된다.
∠ABD=60ù-∠DBF=∠CBE
Ü ∠A가 양 끝 각 중의 하나가 되는 경우 ∠C의 크기가
∴ △ABDª△CBE`(SAS 합동)
주어지면 ∠B의 크기를 구할 수 있으므로 삼각형이 하
따라서 ∠BCE=∠BAD이고,
나로 결정된다.
∠BAD+∠ABD=∠BDE=60ù이므로
따라서 ACÓ의 길이 또는 ∠B의 크기 또는 ∠C의 크기가
∠BCE=∠BAD=∠BDE-∠ABD=60ù-∠a
주어질 때, 삼각형 ABC를 작도할 수 있다.

△ABD와 △BCE에서
ㄱ. 한 밑각의 크기가 같은 두 이등변삼각형은 모양은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같지만 크기가 다를 수도 있다. ABÓ=BCÓ, ∠B=∠C=60ù
ㄴ. SAS 합동 또, BDÓ=CEÓ이므로
ㄷ. ASA 합동 △ABDª△BCE (SAS 합동)
ㄹ. 세 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두 삼각형은 모양은 같지만 따라서 ∠BAD=∠CBE이므로
크기가 다를 수도 있다. ∠AFB=180ù-(∠BAF+∠ABF)
ㅁ,`ㅂ,`ㅅ. ASA 합동 =180ù-(∠CBE+∠ABF)
따라서 두 삼각형이 합동이 아닌 것은 ㄱ, ㄹ이다. =180ù-∠ABC
=180ù-60ù=120ù
△ABC와 △DBE에서 ∴ ∠DFE=∠AFB
∠B는 공통,`ABÓ=DBÓ =120ù(맞꼭지각)
또, ABÓ=BDÓ, AEÓ=CDÓ이므로
BCÓ=BDÓ+DCÓ=BAÓ+AEÓ=BEÓ
∴ △ABCª△DBE`(SAS 합동)

△ABD와 △ACE에서
ABÓ=ACÓ,`∠A는 공통
또, ∠ADB=∠AEC=90ù이므로 ∠ABD=∠ACE
∴ △ABDª△ACE`(ASA 합동)

3. 작도와 합동 21
STEP
실력 높이기 49~53쪽

1 풀이 참조 SSS 합동 ③ 풀이 참조 풀이 참조

x>5 14<x<28 10`cm ② 정삼각형

△ADC, SAS 합동 90ù 6`cm 9`cmÛ` 풀이 참조

130ù

문제 풀이

또, OPÓ는 공통이므로
ABÓ=5`cm, ACÓ=4`cm, ∠B=50ù인 조건으로 작도
할 수 있는 삼각형은 다음과 같다.
△AOPª△BOP (SSS 합동)
" "
△AOP와 △BOP에서
ADN
ADN
ADN ADN OP³는 ∠XOY의 이등분선이므로 ∠AOP=∠BOP

±
∠PAO=∠PBO=90ù이므로 ∠OPA=∠OPB
±
# $
# $ 또, OPÓ는 공통이므로
∴ a=2 △AOPª△BOP (ASA 합동)
또한, 한 변의 길이가 6`cm, 두 각의 크기가 40ù, 50ù인 조 ∴ APÓ=BPÓ
건이 주어지면 나머지 한 각의 크기가 90ù임을 알 수 있으
므로 작도할 수 있는 삼각형은 다음과 같다. 서술형

" 표현 단계 " ③
" 3
" ± ② ②
± # &
ADN ± ADN 1 2

± ± ± $ %


# $ # $ # $ 4
ADN
변형 단계 두 점 P, Q의 수직이등분선과 오각형 ABCDE의
∴ b=3
교점이 구하는 점이고,
∴ 2a-b=2_2-3=1
풀이 단계 작도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PQÓ를 긋는다.
서술형
② 두 점 P, Q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풀이 단계 삼각형이 한 가지로 결정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같은 두 원을 그린다.
①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질 때
③ 두 원의 교점을 연결한다.
②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질 때
확인 단계 ③의 직선과 오각형의 교점을 R, S라 하면 오각형
③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질 때
ABCDE 위의 점에서 두 점 P, Q에 이르는 거리
조건에서 두 변의 길이와 끼인각이 아닌 다른 한 각
가 같은 점 R, 점 S가 작도된다.
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삼각형 ABC는 다음과 같
이 2가지로 작도된다.
서술형
$
표현 단계 ④ ⑤
" ) ③
 DN $
 DN
B # " B # 1
"
 DN  DN ②

% '

(
# $
두 점 A, B는 점 O를 중심으로 하는 원 위의 점이므로 &

OAÓ=OBÓ 변형 단계 두 변 AB, BC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은 ∠B의


점 P는 두 점 A, B를 중심으로 각각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이등분선 위에 있고, 두 점 A, C에서 같은 거리에
원을 그려 만나는 점이므로 APÓ=BPÓ 있는 점은 ACÓ의 수직이등분선 위에 있다.

22 Ⅰ 도형의 기초
따라서 ∠B의 이등분선과 ACÓ의 수직이등분선의 △ACD와 △BCE에서
교점이 구하는 점이다. △ABC, △CDE는 정삼각형이므로
풀이 단계  B를 중심으로 적당한 원을 그려 ABÓ, BCÓ와
①점 ACÓ=BCÓ, CDÓ=CEÓ`
만나는 두 점을 각각 D, E라 하자. ∠ACD=∠BCE=60ù
② 두 점 D, E를 각각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 ∴ △ACDª△BCE (SAS 합동)
이가 같은 두 원을 그려 두 원이 만나는 점을 F
라 하자. 서술형

③ BF³를 그린다. 이때 BF³가 ∠B의 이등분선이 표현 단계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다. ABÓ=BCÓ=CAÓ, ∠A=∠B=∠C=60ù
④ 두 점 A, C를 각각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 ADÓ=BEÓ=CFÓ이므로 AFÓ=BDÓ=CEÓ
이가 같은 두 원을 그려 두 원이 만나는 두 점 변형 단계 △ADF, △BED, △CFE에서
을 각각 G, H라 하자. ADÓ=BEÓ=CFÓ yy`㉠
⑤ GHê를 그린다. 이때 GHê가 ACÓ의 수직이등분 ∠A=∠B=∠C=60ù yy`㉡
선이다. AFÓ=BDÓ=CEÓ yy`㉢
확인 단계 BF³와 GHê의 교점을 P라 하면 ABÓ, BCÓ에서 같은 풀이 단계 ㉠, ㉡, ㉢에서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
거리에 있고, 두 점 A, C에서도 같은 거리에 있는 가 각각 같으므로
점 P가 작도된다. △ADFª△BEDª△CFE (SAS 합동)
∴ DFÓ=EDÓ=FEÓ (대응변)
확인 단계 따라서 △DEF는 정삼각형이다.
세 변의 길이 x-2, x, x+3 중에서 가장 긴 변의 길
이가 x+3이므로 삼각형을 작도할 수 있으려면
△ABE와 △ADC에서
(x-2)+x>x+3이어야 한다. 즉,
△ADB, △ACE는 정삼각형이므로
2x-2>x+3   ∴ x>5
ABÓ=ADÓ, AEÓ=ACÓ
∠BAE=60ù+∠BAC=∠DAC
서술형 ∴ △ABEª△ADC (SAS 합동)

표현 단계 △ABC의 세 변의 길이는 7`cm, 21`cm, x`cm이


므로
△ABF와 △DAE에서
변형 단계 가장 긴 변의 길이가 x`cm일 때와 21`cm일 때로 ABCD는 정사각형이므로
ABÓ=DAÓ, ∠ABF=∠DAE=90ù
나누어 생각한다.
또, BFÓ=AEÓ이므로
풀이 단계 Ú x`cm가 가장 긴 변일 때
x<7+21 △ABFª△DAE (SAS 합동)

∴ x<28 ∠ADE+∠AED=90ù이고, ∠ADE=∠BAF이므로

Û 21`cm가 가장 긴 변일 때 ∠BAF+∠AED=90ù
∴ ∠DGF=∠AGE
21<x+7
=180ù-(∠BAF+∠AED)
∴ x>14
=180ù-90ù=90ù
확인 단계 ∴ 14<x<28

△ABF와 △AEH에서
△AQB와 △APC에서 △ABC와 △ADE는 합동인 정삼각형이므로
△AQP,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ABÓ=AEÓ=4`cm
AQÓ=APÓ, ABÓ=ACÓ ∠ABF=∠AEH=60ù
또, ∠QAB=60ù+∠PAB=∠PAC이므로 ∠BAF=60ù-∠FAH=∠EAH
△AQBª△APC (SAS 합동) ∴ △ABFª△AEH`(ASA 합동)
∴ QBÓ=PCÓ=PBÓ+BCÓ 따라서 AHÓ=AFÓ=3.5`cm, HEÓ=FBÓ=2.5`cm
=6+4=10(cm) ∴ AHÓ+HEÓ=3.5+2.5=6(cm)

3. 작도와 합동 23
② 두 점 P, Q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OBE와 △OCF에서 정사각형 ABCD의 두 대각선
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므로 같은 두 원을 그려 교점을 D라 하자.

OBÓ=OCÓ, ∠OBE=∠OCF=45ù ③ 두 점 A, D를 연결하고 AEÓ=AÕ'EÓ인 점 A'을

∠BOE=90ù-∠EOC=∠COF 정한다.

∴ △OBEª△OCF`(ASA 합동) ④ 같은 방법으로 OY³에 대하여 점 A"을 정한다.

따라서 겹쳐진 부분의 넓이는


확인 단계 두 점 A', A"을 연결한 선분과 OX³, OY³의 교점
을 각각 B, C라 하면 △ABC의 둘레의 길이가 최
△OEC+△OCF=△OEC+△OBE=△OBC
소인 삼각형의 두 꼭짓점 B, C가 작도된다.
=6_6_;4!;=9(cmÛ`)

 크기가 같은 두 정사각형에 대하여 한 정사각형의 꼭짓점이 다른 정


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과 일치하는 경우 두 정사각형의 겹쳐진 부분 서술형

의 넓이는 정사각형의 넓이의 ;4!;임을 이해한다. 표현 단계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ACÓ=BCÓ


△CED는 정삼각형이므로 CEÓ=CDÓ
서술형
변형 단계 △AEC와 △BDC에서
표현 단계 %
ACÓ=BCÓ yy`㉠
" 2
② ③ 9 ∠ACE=60ù-∠BCE=∠BCD yy`㉡
& CEÓ=CDÓ yy`㉢
#
"
1 풀이 단계 ㉠, ㉡, ㉢에서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

( 가 각각 같으므로 △AECª△BDC (SAS 합동)
0
3 4 :
$ ∠AEC=∠BDC (대응각)이므로
" ④ ∠AEB
' =360ù-(∠AEC+∠BEC)
변형 단계  A를 OX³와 OY³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각
점 =360ù-(∠BDC+∠BEC)
각 A', A"이라고 하면 ABÓ=AÕ'BÓ, ACÓ=AÕ"CÓ이 =360ù-{(∠BDE+60ù)+(∠BED+60ù)}
므로 △ABC의 둘레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두 꼭 =360ù-{120ù+(∠BDE+∠BED)}
짓점 B, C는 두 점 A', A"을 연결한 선분과 OX³, =360ù-{120ù+(180ù-∠EBD)}
OY³의 교점이다. =360ù-{120ù+(180ù-70ù)}
풀이 단계 작도 순서는 다음과 같다. =130ù
① 점 A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려 OX³와의 교점 확인 단계 따라서 △AECª△BDC를 이용하여
을 P, Q라 하자. ∠AEB=130ù임을 확인할 수 있다.

24 Ⅰ 도형의 기초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54~56쪽

2 ⑤ 8 90ù 5`cm 42`cm

45ù ⑤

㉠ 원과 넓이가 같은 정사각형의 작도 ㉡ 주어진 정육면체의 부피의 2배인 정육면체의 작도 풀이 참조

문제 풀이

각 도형을 작도할 때, 컴퍼스를 이용하는 횟수는 다음 ∠DAC=90ù+∠BAC=∠BAG


∴ △ADCª△ABG`(SAS 합동)
과 같다.
따라서 △ADH와 △PBH에서
ㄱ. 각의 이등분선의 작도:3번
ㄴ. 평행선의 작도:4번 ∠ADH=∠PBH`(∵ △ADCª△ABG),

ㄷ. 크기가 같은 각의 작도:4번 ∠AHD=∠BHP`(맞꼭지각)이고,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ㄹ.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의 작도:2번
ㅁ. 직각의 삼등분선의 작도:3번 ∠DPB=∠BPH=∠DAH=90ù

따라서 a=1, b=2, c=2이므로


2a-b+c=2_1-2+2=2 △ADC와 △BEC에서
△ABC, △CDE는 정삼각형이므로
ACÓ=BCÓ, CDÓ=CEÓ`
∠XOY의 두 반직선 OX³와 OY³로부터 같은 거리에
∠ACD=60ù-∠BCD=∠BCE
있는 점은 ∠XOY의 이등분선 위의 점이고, 점 A와 점 B
∴ △ADCª△BEC`(SAS 합동)
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은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
따라서 BEÓ=ADÓ=3`cm이므로
위의 점이다.
BDÓ+BEÓ=2+3=5(cm)
따라서 ∠XOY의 이등분선과 ABÓ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
을 구하면 된다.
△ABC와 △FDC에서
ACÓ=FCÓ, BCÓ=DCÓ,
aÉbÉc, a+b+c=20이고, c<a+b이므로
∠ACB=60ù-∠ACD=∠FCD이므로
2c<a+b+cÉ3c, 2c<20É3c
△ABCª△FDC`(SAS 합동)
∴ :ª3¼:Éc<10
∴ FDÓ=6`cm, CFÓ=9`cm
그런데, c는 자연수이므로 7 또는 8 또는 9이다. 또, △ABC와 △EBD에서
Ú c=9일 때 a+b=11, aÉbÉc이므로 6ÉbÉ9 ABÓ=EBÓ, BCÓ=BDÓ,
따라서 삼각형이 될 수 있는 경우는 (2, 9, 9), ∠ABC=60ù-∠ABD=∠EBD이므로
(3, 8, 9), (4, 7, 9), (5, 6, 9)의 4가지이다. △ABCª△EBD`(SAS 합동)
Û c=8일 때 a+b=12, aÉbÉc이므로 6ÉbÉ8 ∴ EBÓ=6`cm, DEÓ=9`cm
따라서 삼각형이 될 수 있는 경우는 (4, 8, 8), 따라서 오각형 BCFDE의 둘레의 길이는
(5, 7, 8), (6, 6, 8)의 3가지이다. BCÓ+CFÓ+FDÓ+DEÓ+EBÓ
Ü c=7일 때 a+b=13, aÉbÉc이므로 b=7 =12+9+6+9+6=42(cm)
따라서 삼각형이 될 수 있는 경우는 (6, 7, 7)의 1가지
이다. ABÓ`:`BCÓ=2`:`3이므로 " %

Ú, Û, Ü에 의하여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4+3+1=8 ABÓ=2a, BCÓ=3a라 하면 B


B '
BEÓ`:`ECÓ=1`:`2이므로
B
△ADC와 △ABG에서 BEÓ=a, ECÓ=2a이고, 점 F는
# B & B $
ADEB, ACFG는 정사각형이므로 CDÓ의 중점이므로
ADÓ=ABÓ, ACÓ=AGÓ CFÓ=FDÓ=a
3. 작도와 합동 25
따라서 △ABE와 △ECF에서 ∠AEF=∠AFE=45ù
ABÓ=ECÓ, BEÓ=CFÓ, ∠B=∠C=90ù이므로  GFH=∠AFE-∠AFG

△ABEª△ECF`(SAS 합동) =45ù-30ù=15ù
따라서 ∠EAB=∠FEC이므로 ∠EHD=∠HEB=∠AEF+∠AEB
∠AEF=180ù-(∠AEB+∠FEC) =45ù+30ù=75ù
=180ù-(∠AEB+∠EAB)  AHF에서 ∠FAH=60ù,
⑤△
=180ù-90ù ∠AHF=∠EHD=75ù(맞꼭지각)이므로 이등변삼각
=90ù 형이 아니다.
또, AEÓ=EFÓ이므로 ∠AFE=∠FAE=45ù 따라서 AFÓ+FHÓ이므로 AEÓ+FHÓ
이때 점 F를 지나고 ADÓ와 평행 " %

한 선분 HF를 그으면
)
[방법 1] 정삼각형을 작도한 후 그 한 내각의 이등분선
ADÓHFÓBCÓ이므로 '
을 작도하고 이 각을 90ù의 각에 2번에 걸쳐 옮기면 3등분
∠DAF=∠AFH,
# & $ 된다.
∠CEF=∠HFE
[방법 2] 정삼각형을 작도한 후 그 한 내각의 이등분선을 작
∴ ∠DAF+∠CEF=∠AFH+∠HFE
도하고 이 각을 90ù의 각에 옮기고 남은 각을 이등분하면 3
=∠AFE
등분 된다.
=45ù

△ABE와 △AGF에서 Ⅰ. 한 가지만 보고 전체가 모두 그럴 것이라고 생각


∠BAE=∠GAF=60ù, ∠AEB=∠AFG=30ù, 하는 경우이다.
AEÓ=AFÓ이므로 Ⅱ. 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방법을 무턱대고 적용해서는 안
△ABEª△AGF (ASA 합동) 되는 경우이다.
① ABÓ=AGÓ`(대응변) 
Ⅲ. 확실하게 입증된 것은 굳이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②, ③, ④ △AEF는 ∠FAE=90ù이고, AEÓ=AFÓ인 이다.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따라서 (나)의 상황을 가장 적당하게 설명한 것은 Ⅱ이다.

26 Ⅰ 도형의 기초
Ⅰ 단원 종합 문제 57~60쪽

}
3a+b
①, ⑤ 21`cm P{ ②, ④ 45ù 60ù
4

⑤ 50ù 160ù 5시 10;1!1);분, `5시 43;1¦1;분 95ù

① ㄴ, ㄷ, ㄹ, ㅅ 면 CGHD, 면 EFGH 8 11

② ⑤ △FCE, ASA 합동 45ù 3쌍

③, ④ △BCE, SAS 합동 120ù 140ù

문제 풀이

① AB³와 BC³의 공통 부분은 BC³이다. 평행사변형의 대변은 서로 평행하므로

⑤ ACÓ와 CD³의 공통 부분은 점 C이다. ∠A+∠B=180ù


2∠x+∠x=180ù, 3∠x=180ù, ∠x=60ù
∴` ∠B=60ù
PRÓ=;2!; ABÓ+;2!; BCÓ
 평행사변형에 대하여 이웃한 두 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180ù이다.

=;2!;_16+;2!;_10

=8+5=13(cm)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2쌍의 맞꼭지각이 생긴
QRÓ=QCÓ-RCÓ=;2!; ACÓ-;2!; BCÓ
다. 즉, 한 점에서 만나는 세 직선 l, m, n에 대하여 두 직
=;2!;_26-;2!;_10 선 l과 m이 만나서 2쌍, 두 직선 m과 n이 만나서 2쌍, 두
직선 l과 n이 만나서 2쌍의 맞꼭지각이 생긴다.
=13-5=8(cm)
또, 두 직선 l과 p가 만나서 2쌍, 두 직선 m과 p가 만나서
∴` PRÓ+QRÓ=13+8=21(cm)
2쌍, 두 직선 n과 p가 만나서 2쌍이 생긴다.
따라서 총 12쌍의 맞꼭지각이 생긴다.
ABÓ=b-a이므로 " 1 #
B C
b-a
APÓ=
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b-a 3a+b M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a+ = 이다. 두 직선 l, m과 평행한 직선을 그으 ±
±
4 4
± "
}
3a+b 면 삼각형에서 한 외각의 크기는 그
∴` P{
4 N
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의 ± Y
±
합과 같으므로
① ∠a+∠f=∠d
30ù+∠x=80ù
③ ∠b와 ∠e는 엇각 관계이다.
∴ ∠x=80ù-30ù=50ù
⑤ ∠e의 동위각은 ∠c와 ∠g이다.

lm이면 동위각의 크기가 같 ±


∠BOD=∠BOC+∠COD $ % M
으므로 Z ±
#
=;4!;(∠AOC+∠COE) ± [ ±
∠x=180ù-130ù=50ù Y ± N
" 0 &
=;4!;∠AOE ' 삼각형에서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4!;_180ù=45ù
∠y=40ù+∠x
∠BOD=∠GOF (맞꼭지각)이므로 =40ù+50ù=90ù
∠GOF=45ù 또, ∠z+(180ù-∠y)=110ù이므로
∠z=110ù-90ù=20ù
∠B=∠x라 하면 ∠A=2∠x ∴ ∠x+∠y+∠z=50ù+90ù+20ù=160ù
단원 종합 문제 27
5시 x분이라 하면 ⑤ ABÓ와 면 BFHD는 한 점에서 만난다.
|30ù_5-5.5ù_x|=90ù
Ú 150ù-5.5ùx=90ù일 때
△ABE와 △FCE에서
60
5.5ùx=60ù   ∴ x= =10 ;1!1); BEÓ=CEÓ, ∠AEB=∠FEC (맞꼭지각)
5.5
Û 5.5ùx-150ù=90ù일 때 ABÓDFÓ이므로

5.5ùx=240ù   ∴ x=
240
=43 ;1¦1; ∠ABE=∠FCE (엇각)
5.5
∴ △ABEª△FCE`(ASA 합동)
따라서 구하는 시각은 5시 10;1!1); 분, 5시 43 ;1¦1; 분이다.

보조선 BD를 그으면 △ABD "


두 점 A, B에서 두 직선 l, ±
M Y
± 와 △ACE에서 △ABC, △ADE #
± "
m과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
Y ± 가 정삼각형이므로
± ± # ±
(5ù+∠x)+80ù=180ù &
± ABÓ=ACÓ, ADÓ=AEÓ % $
±
∴ ∠x=95ù N
∠BAD=60ù-∠DAC=∠CAE
∴ △ABDª△ACE (SAS 합동)
① 한 직선을 포함하는 평면은 무수히 많다.
따라서 ∠x=∠CAE이고, △ACE의 내각의 크기의 합이
②, ③, ④, ⑤ 1
180ù이므로
∠CAE+75ù+60ù=180ù에서 ∠CAE=45ù
ㄱ. Pl, Pm이면 두 직선 l, m은 만나거나 평행 ∴ ∠x=45ù
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ㅁ. lm, l⊥n이면 두 직선 m, n은 만나거나 꼬인 위치
에 있다. Ú △ABC와 △DCB에서

ㅂ. lP, m⊥P이면 두 직선 l, m은 만나거나 꼬인 위치 BCÓ는 공통, ABÓ=DCÓ, ACÓ=DBÓ

에 있다. ∴ △ABCª△DCB (SSS 합동)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 ㄹ, ㅅ이다. Û△
 ABD와 △DCA에서
ADÓ는 공통, ABÓ=DCÓ, ACÓ=DBÓ
∴ △ABDª△DCA (SSS 합동)
AIÓ와 평행한 면은 면 CGHD, 면 EFGH이다.
Ü△
 ABP와 △DCP에서
ABÓ=DCÓ
IKÓ와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은 꼬인 위치에
△ABCª△DCB이므로 ∠BAP=∠CDP
있는 모서리의 개수는 AEÓ, DHÓ, CGÓ, JFÓ, EFÓ, EHÓ, HGÓ,
△ABDª△DCA이므로 ∠ABP=∠DCP
FGÓ의 8이다.
∴ △ABPª△DCP (ASA 합동)
따라서 합동인 삼각형은 모두 3쌍이다.
Ú 5개의 점 A, B, C, D, E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의
개수:1
Û 평면
 위의 5개의 점 중 2개와 점 F로 만들 수 있는 평면 ① 점 Q는 두 점 C, D를 중심으로 각각 반지름의 길
5_4 이가 같은 원을 그려 만나는 점이므로 CQÓ=DQÓ
의 개수: =10
2
② 두 점 C, D는 점 P를 중심으로 하는 원 위에 있으므로
Ú, Û에서 평면의 개수는 1+10=11
CPÓ=DPÓ
⑤ PQ ê는 직선 AB의 수선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전개도 " . *
+ -

∠PHC=∠PHD=90ù
를 접어 입체도형으로 만들어 # % )

& (

살펴보면 KNÓ과 만나지도 않고,


,
평행하지도 않은 꼬인 위치에 / △ADE와 △BCE에서
있는 모서리는 JGÓ, ABÓ , EFÓ , $ ' ABCD는 직사각형이므로 ADÓ=BCÓ
BCÓ이다. DEÓ=CEÓ이고, △ED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28 Ⅰ 도형의 기초
∠CDE=∠DCE =∠DBA+∠ADB
∠ADE=90ù+∠CDE =60ù+60ù
=90ù+∠DCE =120ù
=∠BCE
∴ △ADEª△BCE (SAS 합동) ACÓDEÓ이므로
∠DEB=∠ACB=75ù`(동위각)
△ADC와 △ABH에서 또,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
ADÓ=ABÓ, ACÓ=AHÓ 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DAC=60ù+∠BAC=∠BAH ∠DME=∠DEB-∠EDM
∴ △ADCª△ABH (SAS 합동) =75ù-35ù
따라서 ∠ADC=∠ABH이므로 =40ù
∠DFH=∠BDC+∠DBH ∴ ∠DMC=180ù-∠DME
=∠BDC+∠DBA+∠ABH =180ù-40ù
=∠BDC+∠DBA+∠ADC =140ù

단원 종합 문제 29
ⅠⅠ 1
평면도형

다각형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63~68쪽

55ù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13 4가지 90

정오각형 십일각형 (가) EDÓ (나) ∠ABC (다) ADÓ (가) 엇각 (나) ∠DAB (다) ∠EAC

(가) ABÓ (나) ∠ACE (다) ∠ECD (라) ∠B 75ù 60ù 45ù

⑴ 125ù ⑵ 120ù 52.5ù 60ù ∠BIC=126ù, ∠IEC=36ù ⑴ 40ù ⑵ 90ù

45ù 21ù 180ù ⑴ 116ù ⑵ 102ù ⑴ ∠AEB=∠EAD=36ù ⑵ 108ù

174ù ⑴ 540ù ⑵ 360ù

최상위 04
NOTE n각형의 대각선의 개수

오른쪽 그림과 같은 오각형 ABCDE의 대각 " 이때 ACÓ=CAÓ, ADÓ=DAÓ, y와 같이 2가지씩 중복이 된다.
선의 총 개수를 구해 보자. 따라서 오각형 ABCDE의 대각선의 개수는
# & 5_(5-3) 5_2
A B C D E = =5이다.
2 2
A ACÓ ADÓ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
$ %
B BDÓ BEÓ
의 개수는 n-3이고 2가지씩 중복이 발생하므로 n각형의 대각선
n(n-3)
C CAÓ CEÓ 의 총 개수는 이다.
2
D DAÓ DBÓ

E EBÓ ECÓ

위와 같이 한 꼭짓점에서 이웃한 꼭짓점으로 대각선을 그을 수 없기


때문에,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5-3=2이다.

30 ⅠⅠ 평면도형
문제 풀이

n(n-3)
다각형에서 한 내각의 크기와 " =44, n(n-3)=88=11_8
2
그 외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 n=11
&
(∠E의 외각의 크기) # ± 따라서 구하는 다각형은 십일각형이다.
=180ù-(∠E의 내각의 크기)
=180ù-125ù $ %
∠&의 외각
△ABC와 △AED에서
=55ù ABÓ=AEÓ, BCÓ= EDÓ , ∠ABC =∠AED
이므로 △ABCª△AED`(SAS합동)
삼각형 AGF, 삼각형 AGE, y ∴ ACÓ= ADÓ
사각형 AGFE, 사각형 AGFD, y 같은 방법으로 하면 ACÓ=BDÓ=CEÓ= ADÓ =BEÓ
오각형 AGFED, 오각형 AGFEC, y 따라서 정오각형의 모든 대각선의 길이는 서로 같다.
육각형 AGFEDC, 육각형 BGFEDC, y
따라서 만들 수 있는 다각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 △ABC의 꼭짓점 A를 지나 BCÓ에 평행한 직선 DE
각형이다. 를 그으면
∠B=∠DAB( 엇각 ), ∠C=∠EAC( 엇각 )
Ú 작은 삼각형 1개로 이루어진 , ∴ ∠A+∠B+∠C=∠A+ ∠DAB + ∠EAC
정삼각형:9개 =180ù
Û 작은 삼각형 4개로 이루어진
정삼각형:3개 △ABC의 점 C를 지나고 ABÓ 에 평행한 반직선 CE
Ü 작은 삼각형 9개로 이루어진 를 그으면 ABÓ CE³이므로
정삼각형:1개 ∠A= ∠ACE (엇각), ∠B= ∠ECD (동위각)
따라서 정삼각형의 개수는 ∴ ∠ACD= ∠ACE + ∠ECD =∠A+ ∠B
9+3+1=13

 작은 정삼각형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ABC의 세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B에


대한 외각의 크기는
360ù-(120ù+135ù)=105ù
찾을 수 있는 다각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
한 내각과 이웃하는 외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형의 4가지이다.
∠B=180ù-105ù=75ù
다른 풀이
구하는 다각형을 n각형이라 하면
∠BAC=180ù-120ù=60ù
n-3=12, n=15
∠BCA=180ù-135ù=45ù
이므로 십오각형이다.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따라서 십오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B=180ù-(60ù+45ù)=75ù
15_(15-3)
=90
2
△CDE에서
(가)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같은 ∠DCE=180ù-(70ù+30ù)=80ù
다각형은 정다각형이다. ∴ ∠ACB=∠DCE=80ù(맞꼭지각)

(나) 구하는 다각형을` n각형이라 하면 따라서 △ACB에서

n(n-3) ∠A=180ù-(80ù+40ù)=60ù
=5, n(n-3)=10=5_2
2 다른 풀이
∴ n=5 △ACB와 △CDE에서 ∠ACD는 ∠DCE와 ∠ACB의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다각형은 정오각형이다. 외각이므로
∠ACD=∠A+40ù=30ù+70ù
구하는 다각형을` n각형이라 하면 ∴ ∠A=100ù-40ù=60ù
1. 다각형 31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비가 3`:`4`:`5이므로 세 ∠IAC=∠a, ∠ICA=∠b라 하면
내각의 크기를 각각 3∠a, 4∠a, 5∠a라 하면 ∠a+∠b=180ù-60ù=120ù
3∠a+4∠a+5∠a=180ù   ∴ ∠a=15ù 삼각형의 세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따라서 가장 작은 내각의 크기는 2∠a+2∠b=360ù-(180ù-∠B)
3∠a=3_15ù=45ù =180ù+∠B
다른 풀이 ∴ ∠B=2(∠a+∠b)-180ù
가장 작은 내각의 크기는 =240ù-180ù=60ù
3
180ù_ =180ù_;4!;=45ù
3+4+5

∠B+∠ACB=180ù-72ù=108ù이므로
문제의 조건에 맞게 그림을 그 "
∠BIC=180ù-(∠IBC+∠ICB)
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180ù-;2!;(∠B+∠ACB)
 A=70ù이므로
⑴∠
# $
∠B+∠C=180ù-∠A =180ù-;2!;_108ù
=180ù-70ù=110ù
=180ù-54ù=126ù
∴ ∠BIC=180ù-(∠IBC+∠ICB)
△ICE에서 ∠BIC=∠ICE+∠IEC, ∠ICE=90ù이므로
=180ù-;2!;(∠B+∠C)=125ù ∠IEC=∠BIC-∠ICE
⑵ ∠IBC+∠ICB=180ù-∠BIC =126ù-90ù=36ù
=180ù-150ù=30ù
∴ ∠A=180ù-(∠B+∠C)
=180ù-2(∠IBC+∠ICB) ⑴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180ù-2_30ù=120ù ∠ABC=∠C=∠x
∴ ∠BAD=∠ABC+∠C=2∠x
∠IAC=∠a, ∠ICA=∠b라 하면 또, △BAD도 이등변삼각형이므로
2∠a+2∠b=(180ù-∠CAB)+(180ù-∠ACB) ∠BDA=∠BAD=2∠x
=360ù-(∠CAB+∠ACB) 따라서 △DBC에서
=360ù-105ù=255ù ∠DBE=∠C+∠CDB이므로
∴ ∠a+∠b=127.5ù ∠x+2∠x=120ù
따라서 △IAC에서 ∴ ∠x=40ù
∠AIC=180ù-(∠a+∠b) ⑵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180ù-127.5ù  ABC=∠C=30ù

=52.5ù ∴ ∠BAD=∠C+∠ABC
다른 풀이 =30ù+30ù=60ù
삼각형의 세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또, △ABD도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AE+∠ACD % ∠BDA=∠BAD=60ù
=360ù-(180ù-∠B) * 따라서 △DBC에서
$
=180ù+∠B ∠x=∠C+∠BDC
=180ù+75ù ± =30ù+60ù=90ù
#
& "
=255ù
∴ ∠AIC=180ù-(∠IAC+∠ICA)

=180ù-;2!;(∠CAE+∠ACD) 보조선 BC를 그으면 △ABC에서


∠DBC+∠DCB=180ù-115ù=65ù
=180ù-;2!;_255ù ∴ ∠A=180ù-(40ù+30ù+∠DBC+∠DCB)
=180ù-127.5ù=52.5ù =180ù-(40ù+30ù+65ù)=45ù

32 ⅠⅠ 평면도형
다른 풀이
⑴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ADÓ의 연장선 위 "
180ù_(5-2)
=108ù
에 점 E를 잡으면 △ABD에서 5
∠BDE=40ù+∠BAD △ABE, △EAD는 각각 ABÓ=AEÓ, EAÓ=EDÓ인 이등
또, △ADC에서 % 변삼각형이므로
±
±
∠CDE=30ù+∠CAD
# ±
&
$
∠AEB=∠EAD=;2!;_(180ù-108ù)=36ù
따라서
⑵ △AEF에서
∠BDC=∠BDE+∠CDE
∠x=180ù-(∠FAE+∠FEA)
=(40ù+∠BAD)+(30ù+∠CAD)
=180ù-(36ù+36ù)
=70ù+∠A
=108ù
즉, ∠A=∠BDC-70ù
=115ù-70ù=45ù
오른쪽 그림에서 ABDF의 내 ( ±
" '
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B ±
CAÓ, CEÓ와 BDÓ가 만나는 #
± ∠a=360ù-(77ù+105ù+85ù) C &
점을 각각 F, G라 하자.
=93ù ± ±
± "
△AFD에서 %
또, △GCE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
± ± '
∠CFG=40ù+52ù=92ù Y $
±
$ &
180ù이므로
△BGE에서 ± ±
( ±
± ∠b=180ù-(60ù+39ù)=81ù
∠CGF=30ù+37ù=67ù
∴ ∠a+∠b=93ù+81ù=174ù
%
따라서 △FCG에서
∠x+92ù+67ù=180ù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 &
"
∴ ∠x=21ù Y Z F
선 AE를 그으면 맞꼭지각의 B )
GH (
성질에 의하여 C ' E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선 " #
# B
∠AHE=∠GHF이므로
CD를 그으면 △GCD에서 ( D
C H △AHE와 △GHF에서 $
∠g+∠GCD+∠GDC G
D ) ∠f+∠g=∠x+∠y
$ '
=∠g+(∠c+∠ICD) * +
 a+∠b+∠c+∠d+∠e+∠f+∠g
∴∠
 +(∠d+∠IDC) E F
=∠a+∠b+∠c+∠d+∠e+∠x+∠y
=180ù   yy`㉠ % &
=(오각형 ABCDE의 내각의 크기의 합)
△BJF에서 ∠b+∠f=∠HJI
=180ù_(5-2)
△AHE에서 ∠a+∠e=∠IHJ
=540ù
이고, ∠HIJ=∠CID(맞꼭지각)이므로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선 AB " G
'
∠ICD+∠IDC=∠HJI+∠IHJ Y B
를 그으면 △ABG와 △CFG에 Z &
=∠a+∠b+∠e+∠f (
# C F

따라서 ㉠에 대입하면 D
∠x+∠y=∠c+∠f E
∠a+∠b+∠c+∠d+∠e+∠f+∠g=180ù $ %
 a+∠b+∠c+∠d
∴∠
 +∠e+∠f
⑴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ù이므로
=∠a+∠b+∠d+∠e+∠x+∠y
82ù+74ù+(180ù-120ù)+(180ù-∠x)+80ù=360ù
=(사각형 ABDE의 내각의 크기의 합)
476ù-∠x=360ù
=360ù
∴ ∠x=116ù
⑵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ù이므로
62ù+73ù+55ù+56ù+(180ù-∠x)+36ù=360ù
462ù-∠x=360ù
∴ ∠x=102ù
1. 다각형 33
STEP
실력 높이기 69~73쪽

10개 170 15 54 24 204

50ù 60ù 102.5ù 205ù ⑴ 108ù ⑵ 360ù 324ù

770ù 30ù 45ù ;2!;배 70ù 18ùÉ∠x<22.5ù

문제 풀이

Ú 와 같은 모양:6개 서술형

360ù
표현 단계 정n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이므로
n
360ù
Û 와 같은 모양:2개 변형 단계 =30ù   ∴ n=12
n
n(n-3)
풀이 단계 n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이다.
2
즉, 정십이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Ü 와 같은 모양:2개
12_(12-3)
확인 단계 =54
2
따라서 만들 수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
6+2+2=10(개) 길이가 같은 두 변 사이에 있는 점 " )

이 A일 때, 만들 수 있는 이등변삼각형 # (
 정사각형의 모양에 따라 분류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은 △ABH, △ACG, △ADF의 3개
$ '
이다.
% &
다각형의 내부의 한 점 O에서 각 꼭짓점에 선분을 그 같은 방법으로 하면 나머지 꼭짓점 B,
으면 변의 개수만큼 삼각형이 생긴다. 이때 삼각형이 모두 C, y, H에서도 이등변삼각형이 각각 3개씩 만들어지므로
20개 생겼으므로 이 다각형은 이십각형이다. 구하는 이등변삼각형의 개수는 3_8=24
따라서 이십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20_(20-3) 서술형
=170
2 표현 단계 대각선 AD, BE, CF를 긋고, 그 교점을 O라 하자.
변형 단계 "

서술형 # '

0
표현 단계 오른쪽 다음 그림과 같이
$ &
6개 도시를 그림으로 그린
%
다.
풀이 단계 위의 그림에서 ABÓCFÓ이므로
△ABO=△ABC=34
변형 단계 오른쪽 그림과 같이 6개의 즉, △ABO=△BCO=△CDO=△DEO
도시를 꼭짓점으로 하는 =△EFO=△FAO이므로 정육각형 ABCDEF
육각형을 만들면 직통 도 의 넓이는
로는 각 변과 대각선이 된 확인 단계 34_6=204
다.
∠B=∠E=90ù이므로 ABÓDEÓ "
풀이 단계 ∴ (직통
 도로의 개수) %

=(육각형의 변의 개수) ∴ ∠CFE=∠A=40ù(동위각), ±


±
'
 +(육각형의 대각선의 개수) ∠AFD=∠A=40ù(엇각)
6_(6-3) 또한 △DFC에서 ∠CDF=30ù이고,
=6+ =6+9
2 ∠CFE=40ù이므로 # $
&
확인 단계 =15 ∠DCF=∠CFE-∠CDF
34 ⅠⅠ 평면도형
=40ù-30ù=10ù 다른 풀이

∴ ∠DCF+∠AFD=10ù+40ù=50ù △ABE, △CDB가 이등변삼각형 "

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B B


# C &
서술형
∠a+∠b+∠c D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


표현 단계 ∠EBC=∠a, ∠ACD=∠b라 하자. D
$ %
변형 단계 %
=108ù
" Z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선 AC, DF "
&
± B
' 를 그으면 %
± Y
BB CC ∠GDF+∠GFD (
B C # C & F
#
$ =∠GAC+∠GCA
'
풀이 단계 △ABF에서 60ù+∠a=83ù   ∴ ∠a=23ù ∴ ∠a+∠b+∠c+∠d+∠e+∠f D

△ABC에서 60ù+3∠a=3∠b =(△ABC의 내각의 크기의 합) $

60ù+3_23ù=3∠b   ∴ ∠b=43ù  +(△DEF의 내각의 크기의 합)


△BCE에서 ∠x=43ù-23ù=20ù =180ù_2=360ù
△BCD에서 ∠y=2_43ù-2_23ù=40ù
확인 단계 ∴ ∠x+∠y=20ù+40ù=60ù
정오각형과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각각
180ù_(5-2) 180ù_(6-2)
사각형 ABCD의 내각의 크기의 " =108ù, =120ù이므로
5 6
± %
합은 360ù이므로 ∠IBC=∠a, ∠y=360ù-(108ù+120ù)=132ù
±
∠ICB=∠b라 하면 *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75ù+130ù+2(∠a+∠b)=360ù Y C ∠x=360ù-{(180ù-120ù)+132ù+(180ù-108ù)}=96ù
C $
B
∴ ∠a+∠b=77.5ù B
#
∠z=∠x=96ù이므로
또, △IBC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x+∠y+∠z=96ù+132ù+96ù=324ù
180ù이므로 ∠x+∠a+∠b=180ù, ∠x+77.5ù=180ù 다른 풀이

∴ ∠x=102.5ù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_(5-2)=540ù


∠x+∠z=(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 " B  -2_(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
&Z
선 AD를 그으면 사각형 ± C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
%
Y
ABCD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 ± =540ù-2_120ù-108ù=192ù
± ± ± ∴ ∠x+∠y+∠z=192ù+132ù=324ù
360ù이므로 $
#
∠a+70ù+65ù
 +120ù+80ù+∠b=360ù
서술형
∴ ∠a+∠b=25ù
표현 단계 AIÕ와 다른 선분의 교점을 각각 J, K, L, M이라
△AED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하고, GKÓ와 FLÓ의 연장선의 교점을 N이라 하자.
∠y=180ù-(∠a+∠b)=180ù-25ù=155ù
변형 단계 △JHI에서 (
∴ ∠x=360ù-∠y=360ù-155ù=205ù "
±
∠GJK=∠H+∠I` , '
+ .
△GJK에서 # - *
/
⑴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GKL=∠G+∠GJK &

180ù_(5-2) =∠G+∠H+∠I` ) $
=108ù이고, %
5
△KNL에서 ∠GKL=50ù+∠KLN
△ABE, △CDB는 각각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즉, ∠G+∠H+∠I=50ù+∠KLN이므로
∠a=∠c=;2!;_(180ù-108ù)=36ù ∠KLN=∠G+∠H+∠I-50ù
∴ ∠b=108ù-36ù_2=36ù 이때 ∠KLN=∠FLM이므로
∴ ∠a+∠b+∠c=36ù+36ù+36ù=108ù ∠FLM=∠G+∠H+∠I-50ù
1. 다각형 35
△FLM에서 △AME와 △CME에서
∠LME=∠F+∠FLM AEÓ=MDÓ=CEÓ
=∠F+∠G+∠H+∠I-50ù MEÓ는 공통
풀이 단계 육각형 ABCDEM의 내각의 " ∠MEA=∠MEC=90ù
크기의 총합은 - 이므로 △AMEª△CME`(SAS 합동) yy`㉡
.
#
180ù_(6-2)=720ù이므로 ㉠, ㉡에 의하여 MCÓ=MAÓ=;2!;ABÓ
&
∠A+∠B+∠C+∠D
 +∠E+∠LME=720ù
$
%
확인 단계 따라서 MCÓ의 길이는 ABÓ의 길이의 ;2!;배이다.

∠A+∠B+∠C+∠D+∠E+∠F+∠G
 +∠H+∠I-50ù=720ù
확인 단계  A+∠B+∠C+∠D+∠E+∠F+∠G
∴∠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H+∠I=770ù ∠C=3∠a, ∠ABF=3∠b라
Y "
)
하고, ABÓ와` CEÓ의 교점을 G, ±
C C B ±
CEÓ와 BDÓ의 교점을 H라 하면 C ( BB
' # $
△AED는 정삼각형이므로 ∠EAD=60ù
△AGC에서
∴ ∠EAB=90ù-60ù=30ù
60ù+2∠a=120ù   ∴ ∠a=30ù
△ABE는 ABÓ=AE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C에서
∠ABE=;2!;_(180ù-30ù)=75ù ∠ABF=3∠b=∠ACB+∠BAC
△ABD는 ABÓ=ADÓ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90ù+60ù=150ù
∴ ∠b=50ù
∠ABD=;2!;_(180ù-90ù)=45ù
∠HBC=180ù-∠HBF=180ù-100ù=80ù
∴ ∠DBE=∠ABE-∠ABD
이므로 △HBC에서
=75ù-45ù=30ù
∠x=180ù-(∠HBC+∠HCB)
=180ù-(80ù+30ù)=70ù
△DEA는 DEÓ=DA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DEA=;2!;_(180ù-35ù)=72.5ù
△AÁOBÁ은 이등변삼각 "
"m "f
또, △DEC는 DEÓ=DCÓ인 이등변삼각형이고, 형이므로 Y
"„ Y
Y
∠EDC=35ù+90ù=125ù이므로 ∠AÁOBÁ=∠AÁBÁO=∠x 0
Y Y Y
#„ #m #
Y
∠DEC=;2!;_(180ù-125ù)=27.5ù ∴ ∠BÁAÁAª

∴ ∠x=∠DEA-∠DEC=72.5ù-27.5ù=45 =∠AÁOBÁ+∠AÁBÁO=2∠x
또, △BÁAÁAª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ÁAÁAª=∠BÁAªAÁ=2∠x
서술형
따라서 △AªOBÁ에서 ∠AªBÁBª=∠x+2∠x=3∠x
표현 단계  M에서 BCÓ, A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AªBÁBª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ªBªBÁ=3∠x
E라 하자.
같은 방법으로 하면 ∠BªAªA£=∠BªA£Aª=4∠x,
변형 단계 "
∠A£BªB£=5∠x
. 이때 이등변삼각형 BªAªA£는 만들어지므로
&
∠BªAªA£는 `90ù보다 작아야 한다.
# $
% 즉, 4∠x<90ù   ∴ ∠x<22.5ù
풀이 단계 △AME와 △MBD에서 또, △A£BªB£는 만들어지지 않아야 하므로 ∠A£BªB£는
AÕMÓ=MBÓ 90ù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MAE=∠BMD(동위각) 즉, 5∠x¾90ù   ∴ ∠x¾18ù
∠AME=∠MBD(동위각) 따라서 구하는 ∠x의 범위는
이므로 △AMEª△MBD(ASA 합동) yy`㉠ 18ùÉ∠x<22.5ù

36 ⅠⅠ 평면도형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74~75쪽

정칠각형, 정팔각형, 정구각형 45ù ④ 720ù 95ù

92ù 24 풀이 참조

문제 풀이

조건 (가)에서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의 크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a+∠b+∠c+∠d+∠e+∠f+∠g
기가 같은 다각형은 정다각형이다. H
=180ù B
구하는 다각형을 정n각형이라 하면 '
G
# C
n(n-3)
조건 (나)에서 <30이므로` n(n-3)<60 Y
2 E H F
D
180ù_(n-2) E C G
&
조건 (다)에서 >120ù이므로 B F
n $
D E H
180ù_(n-2)>120ù_n %

60ù_n>360ù   ∴ n>6
360ù
조건 (라)에서 >30 이므로 `n<12
n
조건 (다), (라)에서 6<n<12이므로 `n=7, 8, 9, 10, 11
이고, 이 중 (나)를 만족하는 `n의 값은 `7, 8, 9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선 " X )
Z
Y
따라서 구하는 다각형은 정칠각형, 정팔각형, 정구각형이다. AB, CH를 그으면 # (

∠x+∠y=∠z+∠w이므로
[
'
∠a+∠b+∠c+∠d+∠e $
∠ADE=∠a, ∠ABF=∠b라 하면  +∠f+∠g+∠h &
사각형 ABCD에서 %
=(ABDG의 내각의 크기의 합)
60ù+2∠b+150ù+2∠a=360ù
 +(CEFH의 내각의 크기의 합)
∴ ∠a+∠b=75ù
=360ù+360ù=720ù
△AED에서
∠AED=180ù-(60ù+∠a)=120ù-∠a
또, △BEF에서 ∠x+∠b=∠AED이므로
∠x=∠AED-∠b=(120ù-∠a)-∠b
=120ù-(∠a+∠b)=120ù-75ù ∠AEB=∠DEF=130ù(맞꼭 "

지각)이므로 보조선 AB를 그으면 BB %


=45ù
∠EAB+∠EBA ±
& ( ± $
=180ù-130ù=50ù
CC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 "
( △ABC에서 '
#
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H
∠CAB+∠CBA=180ù-60ù=120ù
B +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 ' 이고, ∠EAG=∠a, ∠EBG=∠b라 하면
G
# C
로 )
D H ∠CAB+∠CBA
Y
F
△HBF에서 D *
=∠EAB+∠EBA+2∠a+2∠b
E &
∠IHJ=∠b+∠f $
C G =50ù+2∠a+2∠b
△JCG에서 % 이므로 120ù=50ù+2∠a+2∠b  
∠HJI=∠c+∠g ∴ ∠a+∠b=35ù
따라서 △HIJ에서 따라서 △AGB에서
∠x=∠IHJ+∠HJI ∠AGB=180ù-(∠GAB+∠GBA)
=(∠b+∠f )+(∠c+∠g) =180ù-(∠EAB+∠EBA+∠a+∠b)
=∠b+∠c+∠f+∠g =180ù-(50ù+35ù)=95ù

1. 다각형 37
180ù_(n-2)+180ù_n
EDÓ의 연장선과 직선 l이 만나 $
=(∠AÁ+360ù-∠AÁBÁAª)_n
는 점을 F라 하면 lm이므로 "
±

± 360ù_n-360ù=360ù_n+(∠AÁ-∠AÁBÁAª)_n
∠GDE=∠AFE(엇각) #
%
∴ (∠AÁBÁAª-∠AÁ)_n=360ù
사각형 AFEB와 사각형 BEDC에 & Y
'
( 그런데 ∠AÁ은 ∠AÁBÁAª보다 15ù만큼 작으므로
서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고, M N ∠AÁBÁAª-∠AÁ=15ù이다.
따라서 15ù_n=360ù   ∴ n=24
∠CBE=∠ABE,
∠AFE=∠CDE,
∠BCD=74ù, ∠BAF=70ù이므로
70ù+∠BEF=74ù+∠BED에서 n개의 점을 AÁ, Aª, A£, …,
"“ m
∠BED=∠BEF-4ù An이라 하면 오른쪽 그림에서 볼록
따라서 ∠BEF=∠x(맞꼭지각), ∠BED=∠x-4ù이므 다각형의 꼭짓점 Ai+1의 한 외각의
로 ∠BEF+∠BED=180ù에서 크기는
"“ "“ ƒ
∠x+(∠x-4ù)=180ù   ∠Ai+1Ai+2Ai+∠Ai+1AiAi+2이고
∴ ∠x=92ù 볼록다각형의 모든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AÁAªAn+∠AÁAnAª)+(∠AªA£AÁ+∠AªAÁA£)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선 "‰ "i  +…+(∠An-1AnAn-2+∠An-1An-2An)
BÁBª, BªB£, y, BnBÁ을 그어 주  +(∠AnAÁAn-1+∠AnAn-1AÁ)
"„ "g
어진 다각형을 정n각형 #‰ #g =360ù
#„ #s
BÁBªyBn과 n개의 이등변삼각형 #m #f #e
"s
∠AÁAªAn, ∠AÁAnAª, y, ∠AnAÁAn-1, ∠AnAn-1AÁ
"m
으로 나누어 생각하면, 주어진 다 중 최소인 것을 ∠a라 하면
"f "e 2n_∠aÉ360ù
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정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180ù
∴ ∠aÉ
n
 +(이등변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_n
180ù
=∠AÁ_n+(360ù-∠AÁBÁAª)_n 즉, 한 각의 크기가 보다 크지 않은 삼각형이 반드시
n
이므로 있다.

38 ⅠⅠ 평면도형
2 원과 부채꼴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77~80쪽

①, ③ ⑴ x=15 ⑵ y=100 ④ 4`:`1 120ù

2p`cm 20`cm 3배

⑴ 둘레의 길이:(5p+10)`cm, 넓이::ª2°:p`cmÛ`` ⑵ 둘레의 길이:{;2&;p+14}`cm, 넓이:{49-:¢4»:p}`cmÛ`

1`:`1 (24+6p)`cm ⑴ (18p-36)`cmÛ` ⑵ 30p`cmÛ` (48-8p)`cmÛ` {54-:ª2¦:p}`cmÛ`

48p`cmÛ`

최상위 05
NOTE 원의 둘레의 길이 구하기

모든 원은 크기는 달라도 모양은 같기 때문에 원주율은 항상 일정하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둘레의 길이를 l이라 하면
다. (원의 둘레의 길이) l
p= = 이므로 l=2pr이다.
(원의 둘레의 길이) (지름의 길이) 2r
즉, 원의 크기와 관계없이 의 값은 3.141592y
(지름의 길이) 즉, 원주율 p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면 원의 둘레의 길이를 쉽게
로 항상 일정하고 이 값을 p라고 약속한 것이다. 구할 수 있다.

2. 원과 부채꼴 39
문제 풀이

다른 풀이
호의 길이와 부채꼴의 넓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
µAB`:`µ BC`:`µCDA=1`:`2`:`6이므로
례한다.
∠AOB`:`∠BOC`:`∠COA(큰 쪽의 각)=1`:`2`:`6
1
∴ ∠AOB=360ù_ =360ù_;9!;=40ù
⑴ 120ù`:`40ù=x`:`5, 40x=600 1+2+6
∴ x=15 ∠BOC=2∠AOB=80ù이므로
⑵ 15`:`3=yù`:`20ù, 3y=300 ∠AOC=40ù+80ù=120ù
∴ y=100 따라서 2p_3`:`µABC=360ù`:`120ù
120
∴ µABC=2p_3_ =2p(cm)
360
① ∠AOB=2∠COD이므로 µAB`:`µ CD=2`:`1
∴ µAB=2µ CD ADÓOCÓ이므로 %
$
±
④ 부채꼴의
 넓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만 삼각형 ∠DAO=∠COB=30ù(동위각) ADN
± ±
"
의 넓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는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DOÓ를 그으면 0 #

⑤ (부채꼴
 AOB의 넓이)=2_(부채꼴 COD의 넓이) △AOD는 OAÓ=ODÓ인 이등변삼
이므로 각형이므로

(부채꼴 COD의 넓이)=(부채꼴 AOB의 넓이)_;2!; ∠ADO=∠DAO=30ù


∴ ∠AOD=180ù-(30ù+30ù)=120ù
따라서 30ù`:`120ù=5`:`µAD에서
△OAB는 OAÓ=OB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µAD=20`cm
∠OAB=∠OBA=;2!;_(180ù-120ù)=30ù
ABÓCDÓ이므로 ∠AOC=∠OAB=30ù(엇각) △EBD는 직각삼각형이므로
따라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EDB=90ù-22.5ù=67.5ù
µAB`:`µAC=∠AOB`:`∠AOC △ODB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120ù`:`30ù=4`:`1 ∠ODB=∠OBD=67.5ù
∴ ∠BOD=180ù-(67.5ù+67.5ù)=45ù
∠BOC=180ù-45ù=135ù이므로
보조선 OB를 그으면 △AOB와
" µ BD`:`µ BC=45ù`:`135ù=1`:`3
△BOC는 정삼각형이므로 0
따라서 µ BC 는 µ BD의 3배이다.
∠AOB=∠BOC=60ù
#
따라서 µAC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는
$ ⑴ (어두운 부분의 둘레의 길이)
∠AOC=∠AOB+∠BOC
=(큰 부채꼴의 호의 길이)
=120ù
 +(작은 부채꼴의 호의 길이)+2_5

=2p_10_;3¤6¼0;+2p_5_;3¤6¼0;+2_5
µ BC=2µAB, µADC=6µAB이므로
µAB`:`µ BC`:`µADC=1`:`2`:`6 =:Á3¼:p+;3%;p+10

따라서 µAB의 길이는 원의 둘레의 길이의 =5p+10(cm)



1
=;9!;, (어두운 부분의 넓이)
1+2+6
=(큰 부채꼴의 넓이)-(작은 부채꼴의 넓이)
µ BC의 길이는 원의 둘레의 길이의
2 =p_10Û`_;3¤6¼0;-p_5Û`_;3¤6¼0;
=;9@;
1+2+6
이므로 µABC의 길이는 원의 둘레의 길이의 =:Á;6);¼:p-:ª6°:p=:ª2°:p(cmÛ`)

;9!;+;9@;=;3!; ⑵ (어두운 부분의 둘레의 길이)


=(부채꼴의 호의 길이)
∴ µABC=;3!;_(2p_3)=2p(cm)
 +2_(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

40 ⅠⅠ 평면도형
=2p_7_;3»6¼0;+2_7 ⑵ (어두운 부분의 넓이)

=;2&;p+14(cm) =(지름의 길이가 12`cm인 반원의 넓이)


 +(지름의 길이가 10`cm인 반원의 넓이)
(어두운 부분의 넓이)
 -(지름의 길이가 2`cm인 반원의 넓이)
=(정사각형 ABCD의 넓이)-(부채꼴 BCD의 넓이)
=;2!;_p_6Û`+;2!;_p_5Û`-;2!;_p_1Û`
=7_7-p_7Û`_;3»6¼0;
=18p+:ª2°:p-;2!;p
=49-:¢4»:p(cmÛ`)
=30p(cmÛ`)
 특이한 모양의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에는 넓이를 구할 수 있는 도
형(삼각형, 사각형, 원, 부채꼴, y)들의 합 또는 차를 이용하여 구한다.
(어두운 부분의 넓이) & ADN
" %
=(사각형 ABCD의 넓이)
 -{(사각형 EFGD의 넓이) '
(
반원 O에서
 +(반원의 넓이)}
# $
µ BC=2p_;2%;_;3!6*0);=;2%;p(cm)
=8_8-{4_4+;2!;_p_4Û`}
또, 부채꼴 BCD에서
=48-8p(cmÛ`)
µ BD=2p_5_;3»6¼0;=;2%;p(cm)

(어두운 부분의 넓이) ADN


∴ µ BC`:`µ BD=;2%;p`:`;2%;p=1`:`1 "
%
=3_{(ABCD의 넓이) ADN

 -(반지름의 길이가 3`cm인 #


$
 반원의 넓이)}
(어두운 부분의 둘레의 길이) "
ADN
=3_{3_6-;2!;_p_3Û`}
%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 ADN

+(부채꼴의 호의 길이)_4 =54-:ª2¦:p(cmÛ`)


=6_4+{2p_3_;3»6¼0;}_4
# $
=24+6p(cm) OÕO'Ó=12`cm이므로 두 원 O, O'의 "

반지름의 길이는 12`cm이다. 따라서


0
OAÓ=OÕO'Ó=OÕ'BÓ=OCÓ=OÕ'CÓ이고,
$
⑴ 오른쪽 그림에서 ㉠의 넓이 " % △OCO'은 정삼각형이므로
0
는 부채꼴의 넓이에서 삼각형의

∠AOC=∠BO'C=120ù
ADN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 △AOCª△BO'C(SAS 합동) #

p_6Û`_;3»6¼0;-;2!;_6_6 따라서 △AOC=△BO'C이므로


# $
ADN
위의 그림과 같이 어두운 부분을 이동시켜 생각하면
=9p-18(cmÛ`)
(어두운 부분의 넓이)=(부채꼴 AOC의 넓이)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의 넓이의 2배이므로
(어두운 부분의 넓이)=2_(9p-18) =p_12Û`_;3!6@0);

=18p-36(cmÛ`) =48p(cmÛ`)

2. 원과 부채꼴 41
STEP
실력 높이기 81~86쪽

④ ∠BOC=2∠BAC 또는 ∠BAC=;2!;∠BOC 30ù 2

1`:`1 2`:`1 35ù (96-16p)`cmÛ` ⑴ 32`cmÛ` ⑵ 8p`cmÛ`

20p (200-50p)`cmÛ` (144-24p)`cmÛ` 8aÛ`-2aÛ`p {;2(;+;4(;p}`cmÛ` {:ª4°:p-18}`cmÛ`

호의 길이:6배, 넓이:18배 둘레의 길이:(28p+80)`m, 넓이:(56p+160)`mÛ` 풀이 참조

(400+64p)`cmÛ` 12p`cm 53p`mÛ`

문제 풀이

① ∠AOD=∠GOE`(맞꼭지각) ∠OBC=∠OCB=∠x
따라서 △OBC에서
② 3∠AOB=2∠GOF
4∠x+∠x+∠x=180ù, 6∠x=180ù
∴ ∠AOB=;3@;∠GOF
∴ ∠x=30ù
③ 3µAB=2µ GF이므로 µAB=;3@;µ GF

⑤ 3µAB=2µ GF이므로 양변에 3을 곱하면 서술형

9µAB=6µ GF 표현 단계 보조선 OD를 긋는다.


변형 단계 ADN

Y
서술형 %
$
표현 단계 AO³와 원 O가 만나는 점을  "
" ± 0 #
D라 하고, ∠ABO=∠x, YZ
△ODB는 ODÓ=OB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ACO=∠y라 하자. 0
Z
Y ∴ ∠ODB=∠OBD
변형 단계  O의 반지름의 길이는 모두
원 #
$
또한, OCÓBDÓ이므로 ∠AOC=∠OBD(동위각)
같으므로 AOÓ=BOÓ=COÓ %
즉, ∠OBD=∠ODB=20ù이므로
즉, △ABO와 △ACO는 이
∠DOB=180ù-(20ù+20ù)=140ù
등변삼각형이므로
∴ ∠DOC=20ù
∠ABO=∠BAO=∠x yy`㉠
풀이 단계 부채꼴 COD와 부채꼴 DOB에서 호의 길이는 중
∠ACO=∠CAO=∠y yy`㉡
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풀이 단계 △ABO에서 외각의 성질에 의하여
20ù`:`140ù=x`:`14
∠BOD=∠ABO+∠BAO=∠x+∠x=2∠x
확인 단계 ∴ x=2
△AOC에서 외각의 성질에 의하여
∠COD=∠ACO+∠CAO=∠y+∠y=2∠y
보조선 OC를 그으면 △AOC $
∴ ∠BOC=∠BOD+∠COD %
는 OAÓ=O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2∠x+2∠y
∠OAC=∠OCA " #
=2(∠x+∠y) 0
ACÓODÓ이므로
확인 단계 ㉠, ㉡에서 ∠BAC=∠x+∠y이므로
∠BOD=∠OAC(동위각)
∠BOC=2∠BAC 또는 ∠BAC=;2!;∠BOC ∠COD=∠OCA(엇각)
따라서 ∠COD=∠BOD이고, 한 원에서 중심각의 크기가

µAC`:`µ BC=1`:`4이므로 같은 두 현의 길이는 같으므로 `CDÓ=BDÓ이다.

∠AOC`:`∠BOC=1`:`4 ∴ CDÓ`:`BDÓ=1`:`1

∴ ∠BOC=4∠x
OAÓBCÓ이므로 ∠AOC=∠OCB=∠x`(엇각)이고, 보조선 OB를 그으면 △OAM과 △OBM에서
△OBC는` OBÓ=O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OAÓ=OBÓ, AÕMÓ=BÕM,Ó OÕMÓ은 공통이므로

42 ⅠⅠ 평면도형
△OAMª△OBM(SSS 합동) 풀이 단계 (부채꼴 BCG의 넓이)=p_2Û``_;3¤6¼0;=;3@;p
따라서 ∠OMA=∠OMB=90ù이므로
(부채꼴 GDH의 넓이)=p_4Û`_;3¤6¼0;=;3*;p
∠AOM=60ù, ∠AOC=180ù-60ù=120ù
한 원에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부채꼴 HEI의 넓이)=p_6Û`_;3¤6¼0;=6p
µAC`:`µAD=120ù`:`60ù=2`:`1
(부채꼴 IFJ의 넓이)=p_8Û`_;3¤6¼0;=:£3ª:p

확인 단계 따라서 네 개의 부채꼴의 넓이의 합은


∠CPD=∠x라 하면 "
△OCP는 `COÓ=CPÓ인 이등변삼각 ;3@;p+;3*;p+6p+:£3ª:p=20p
0
±
형이므로 Y
Y %
∠COP=∠CPO=∠x Y Y
1
# $ 구하는 어두운 부분의 넓이는 오 ADN
∴ ∠OCB=∠COP+∠CPO
른쪽 그림의 ㉠의 넓이의 8배와 같다. ㉠
=∠x+∠x=2∠x
∴ (어두운 부분의 넓이) ADN
또, △OBC는 `OBÓ=O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5_5-p_5Û`_;3»6¼0;}_8
∠OBC=∠OCB=2∠x
△OBP에서 ={25-:ª4°:p}_8=200-50p(cmÛ`)
∠AOB=∠OBC+∠OPB
=2∠x+∠x=3∠x
이고 ∠AOB=105ù이므로 3∠x=105ù   ∴ ∠x=35ù 서술형

표현 단계 △EBC가 정삼각형이므로

평행사변형의 밑변을 CDÓ라 할 때 높이, 즉 ABÓ와 CDÓ


∠ABE=90ù-∠EBC=90ù-60ù=30ù
변형 단계 이때 어두운 부분의 넓이는
사이의 거리는 원의 지름의 길이와 같다.
(사각형 ABCD의 넓이)-(부채꼴 ABE의 넓이)
(어두운 부분의 넓이)
 -(부채꼴 DCE의 넓이)
=(평행사변형의 넓이)-(원의 넓이)
로 구할 수 있으므로
=8_12-p_4Û`=96-16p(cmÛ`)
풀이 단계 (어두운 부분의 넓이)
 평행사변형의 넓이 구하기
(평행사변형의 넓이)=(밑변의 길이)_(높이) =12_12-{p_12Û`_;3£6¼0;}_2

확인 단계 =144-24p(cmÛ`)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어두운 ADN


" %
부분을 이동시켜서 생각하면 (어두운 부분의 넓이) B
" %
(어두운 부분의 넓이) =(직사각형 ABCD의 넓이)
B
=2_(작은 정사각형의 넓이) -2_(반지름의 길이가 a인 원의 넓이) B
=2_(4_4)
# $
=2a_4a-2_p_aÛ`=8aÛ`-2aÛ`p
# $
=32(cmÛ`)
⑵ (어두운 부분의 넓이)

=(반지름의 길이가 8`cm인 부채꼴 BAD의 넓이)
ABÓ의 중점을 N이라 하고, 두 점 M, N을 연결한 선분이
 -(지름의 길이가 8`cm인 반원의 넓이)
CDÓ와 만나는 점을 E라 하자.
=p_8Û`_;3»6¼0;-p_4Û`_;3!6*0); ADN %
"
=16p-8p ADN
&
/ .
=8p(cmÛ`)
#
$

서술형 (어두운 부분의 넓이)


360ù =(정사각형 ABCD의 넓이)_;2!;
표현 단계 정육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가 =60ù이므로
6
변형 단계 네 개의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모두 60ù이다.  +(부채꼴 CEM의 넓이)-(△NBM의 넓이)

2. 원과 부채꼴 43
=6_6_;2!;+p_3Û`_;4!;-3_9_;2!; (넓이)=(p_9Û`-p_5Û`)+20_4_2
=81p-25p+160=56p+160(mÛ`)
=;2(;+;4(;p(cmÛ`)
확인 단계 따라서 둘레의 길이는 (28p+80)`m,
넓이는 (56p+160)`mÛ`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
4„ 5 다음 그림과 같이 캔 4개를 끈으로 묶는 경우에 대하
(
△ACD의 내부의 나머지 부분의 넓 *
& 4 여 끈의 길이를 구하면
ADN
이를 각각 SÁ, Sª라 하자. 4m
'
△ACD Ú 2r_4+{2pr_;4!;}_4
# $
ADN
=SÁ+Sª+S+T =8r+2pr
={(부채꼴 FAH의 넓이)-S}
Û 2r_4+{2pr_;3¤6¼0;}_2
 +{(부채꼴 ECG의 넓이)-S}+S+T
=2_(부채꼴 FAH의 넓이)-S+T  +{2pr_;3!6@0);}_2
±
즉, 6_6_;2!;=2_{p_5Û`_;3¢6°0;}-S+T이므로 =8r+2pr
Ü
6r_2+{2pr_;2!;}_2
18=:ª4°:p-S+T
=12r+2pr
이때 :ª4°:p는 약 19.6이므로 :ª4°:p>18이다.
따라서 끈이 가장 적게 드는 경우는 Ú, Û의 경우이고, 끈
∴ (S와 T의 차)=:ª4°:p-18(cmÛ`) 의 길이는 8r+2pr이다.

원이 지나간 자리는 오른쪽 그림


처음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중심각의 크기를 의 어두운 부분과 같다. ADN
± ADN
∴ (어두운 부분의 넓이) ±
xù라 하면 호의 길이와 부채꼴의 넓이는 각각

2pr_;36{0;, prÛ`_;36{0; =(직사각형의 넓이)_5


 +(부채꼴의 넓이)_5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3배, 중심각의 크기를` 2배로
2x =(10_8)_5+{p_8Û`_;3¦6ª0;}_5
늘릴 때, 호의 길이는 2p_3r_ 이므로
360
=400+64p(cmÛ`)
2x
2pr_;36{0;`:`2p_3r_ =1`:`6
360
따라서 호의 길이는 처음 부채꼴의 호의 길이의 6배가 된다. 서술형

2x  A의 이동에 따라 E~M까지 정하면 다음 그림



또한, 넓이는` p_(3r)Û`_ 이므로 표현 단계
360
과 같다.
2x
prÛ`_;36{0;`:`p_(3r)Û`_ =1`:`18
360 & ' , -
% $
따라서 넓이는 처음 부채꼴의 넓이의 18배가 된다. ( +
ADN
M
" ADN # ) * .
ADN
서술형
변형 단계 꼭짓점 A가 움직인 총 거리는 점 A에서 점 E, 점
표현 단계 (안쪽 반원 트랙의 반지름의 길이)=5(m)
E에서 점 J, 점 J에서 점 M까지 움직인 거리의 합
(바깥쪽 반원 트랙의 반지름의 길이)=9(m)
이므로
변형 단계 둘레의 길이는
(꼭짓점 A가 움직인 총 거리)=µAE+µ`EJ+µ JM
(안쪽 원의 둘레의 길이)
풀이 단계 µAE=2p_8_;3»6¼0;=4p(cm)
 +(바깥쪽 원의 둘레의 길이)+20_4,
넓이는 (곡선 트랙의 넓이)+(직선 트랙의 넓이) µ`EJ=2p_10_;3»6¼0;=5p(cm)
로 구할 수 있으므로
µ JM=2p_6_;3»6¼0;=3p(cm)
풀이 단계 (둘레의 길이)
=2p_5+2p_9+20_4=28p+80(m) 확인 단계 ∴ µAE+µ`EJ+µ JM`=4p+5p+3p=12p(cm)

44 ⅠⅠ 평면도형
서술형
지름의 길이가 각각 2`m, 4`m, 8`m인 사분원과

표현 단계 끈의 길이가 8`m이 반지름의 길이가 8`m인 반원이다.


AN 풀이 단계 (구하는 넓이)
므로 강아지가 움
직일 수 있는 땅은 AN
AN =p_2Û`_;4!;+p_4Û`_;4!;+p_8Û`_;4#;
AN
오른쪽 그림의 어 =p+4p+48p
AN AN AN
두운 부분과 같다. 확인 단계 =53p(mÛ`)
변형 단계 즉, 강아지가 움직
일 수 있는 땅은 반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87~89쪽

20ù 3배 (48p-64)`cmÛ` (10p+20)`cm ⑴ (48p+96)`cm ⑵ 72p`cmÛ`

3.6초 8pr 1`:`1 원 약 43pÛ`, 56.25pÛ`, 225p

정삼각형, 정오각형 풀이 참조

문제 풀이

보조선 OA를 그으면 △OAB와 △OAC에서 (부채꼴 DEO의 넓이)=p_8Û`_;3»6¼0;=16p(cmÛ`)


OAÓ는 공통, OBÓ=OCÓ (㉠의 넓이) ADN
" &
µAB=µAC이므로 ∠AOB=∠AOC =2_{(부채꼴 AEO의 넓이)

∴ △OABª△OAC(SAS 합동)  -(삼각형 AOE의 넓이)}
0
따라서 ∠OAB=∠OAC=;2!;_40ù=20ù이고, =2_[{p_8Û`_;3»6¼0;}-;2!;_8_8]
△OCA는 `OAÓ=O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2_(16p-32)
∠ACO=∠OAC=20ù =32p-64(cmÛ`)
∴ (어두운 부분의 넓이)
∠CPD=∠x라 하면 =(부채꼴 DEO의 넓이)+(㉠의 넓이)
"
△OCP는 `COÓ=CPÓ인 이등변삼 =16p+(32p-64)
0
Y
각형이므로 =48p-64(cmÛ`)
%
∠COP=∠CPO=∠x Y
# $ 1
△OCP에서
∠OCB=∠COP+∠CPO=∠x+∠x=2∠x AGÓ=GDÓ=ADÓ`(원의 반지름) " %

또, △OBC는 `OBÓ=O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이므로 △AGD는 정삼각형이다.


∠OBC=∠OCB=2∠x 따라서
△OBP에서 ∠DAG=60ù,
(
# $
∠AOB=∠OBP+∠OPB=2∠x+∠x=3∠x ∠CDG=90ù-60ù=30ù
따라서 ∠AOB는 ∠COD의 3배이고, 호의 길이는 중심각 ∴ µ DG=2p_20_;3¤6¼0;=:ª3¼:p(cm)
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µAB 의 길이는 µ CD 의 길이의 3배
µ CG=2p_20_;3£6¼0;=:Á3¼:p(cm)
이다.

2. 원과 부채꼴 45
∴ (어두운 부분의 둘레의 길이)
=µ DG+µ CG+CDÓ 0

=:ª3¼:p+:Á3¼:p+20
S
±

=10p+20(cm)

⑴ 어두운 부분의 둘레의 길이를 곡선 부분과 선분으 원의 중심이 움직인 거리는 위의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
로 나누어 생각해 보면 이가 2r, 중심각의 크기가 60ù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 4개와
Ú
    Û 중심각의 크기가 240ù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 2개를 합한
것과 같다. 즉,
(원의 중심이 움직인 거리)

=4_{2p_2r_;3¤6¼0;}+2_{2p_2r_;3@6$0);}

Ú (곡선의 길이) =;3*;pr+:Á3¤:pr=8pr


=;2!;_(반지름의 길이가 12`cm인 원의 둘레의 길이)

 +(반지름의 길이가 9`cm인 원의 둘레의 길이)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원 OÁ, Oª, y, On의 반지
 +(반지름의 길이가 6`cm인 원의 둘레의 길이) 름의 길이를` 각각 rÁ, rª, y, rn이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가 3`cm인 원의 둘레의 길이) (원 O의 둘레의 길이)=2pr
(나머지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
=;2!;_2p_12+2p_9+2p_6+2p_3
=2prÁ+2prª+y+2prn=2p(rÁ+rª+y+rn)
=12p+18p+12p+6p
이때 지름 AB의 길이는 2r=2(rÁ+rª+y+rn)이고 원 O
=48p(cm)
의 둘레의 길이는 2pr=2p(rÁ+rª+y+rn)이므로 원 O
Û (선분의 길이)=(원 O의 지름의 길이)_4
의 둘레의 길이와 나머지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서로 같다.
=24_4=96(cm)
따라서 구하는 비는` 1`:`1이다.
Ú, Û에서
(어두운 부분의 둘레의 길이)=48p+96(cm)
㉠, ㉡, ㉢에 공통으로 들어갈 도형은 원이다.
⑵ 다음 그림과 같이 어두운 부분을 이동시켜서 생각하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10p이므로 그 넓이는 공


식에 의해 약 43pÛ`이다.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Á2°:p이므로 그 넓이는

:ª;4@;°:pÛ`(=56.25pÛ`)이다.
(어두운 부분의 넓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2pr=30p에서 r=15이
=;2!;_(반지름의 길이가 12`cm인 원의 넓이)
므로 원의 넓이는 225p이다.
=;2!;_p_12Û`=72p(cmÛ`)
둘레의 길이가 같은 평면도형 중 넓이가 가장 큰 도형
은 원이다.
360ù 360ù
점 P는 1초에 =20ù, 점 Q는 1초에 =30ù
18 12
회전한다. 두 점 P, Q가 x초 후에 처음 만난다고 하면 두
점의 회전한 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180ù
20ùx+30ùx=180ù   ∴ x= =3.6(초)
50ù

46 ⅠⅠ 평면도형
ⅠⅠ 단원 종합 문제 90~92쪽

153 5개 ④ ③ 십삼각형 ③

100ù 80ù 70ù 90ù 125ù 80ù

540ù ④ 32 60ù ④ :»3ª:p`cmÛ`

60`cmÛ` (288-72p)`cmÛ` (9p-12)`cmÛ`

문제 풀이

a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IBC+∠ICB=180ù-130ù=50ù


(a-3)이므로 대각선이 15개인 다각형은 ∴ ∠A=180ù-2(∠IBC+∠ICB)
a-3=15   ∴ a=18 =180ù-2_50ù=80ù
십팔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18_(18-3) 18_15 ∠ACB=180ù-(35ù+75ù)=70ù
= =135
2 2
이므로` b=135 ∴ ∠ACD=;2!;∠C=35ù

∴ a+b=153 따라서 △ADC에서


∠x=35ù+35ù=70ù
AEÓ와 길이가 같은 대각선은 ACÓ, BDÓ, BFÓ, CEÓ, DFÓ
의 5개이다. ∠ECD+∠CDE=130ù이므로
∠ECD+70ù=130ù   ∴ ∠ECD=60ù
④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사각형 ∠ACB=∠ECD=60ù(맞꼭지각)
은 마름모이지만, 내각의 크기 따라서 △ABC에서
가 항상 같지는 않다. ∠x+∠ACB=150ù, ∠x+60ù=150ù
∴ ∠x=90ù
③ 외각은 다각형의 각 꼭지점에서 한 변과 그 변에
이웃하는 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이다.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30ù+65ù+75ù+55ù+80ù+(180ù-∠x)=360ù
구하는 다각형을 n각형이라 하면 ∴ ∠x=125ù
n(n-3)
=65, n(n-3)=130=13_10
2
∴ n=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선을 그
B ±
±
따라서 구하는 다각형은 십삼각형이다. 으면 D
∠a+∠b=180ù-110ù=70ù ± ±
C
이므로 ± YE
① ∠A+∠B+∠C=180ù이고, ∠C+∠z=180ù이
±
므로 ∠z=∠A+∠B ∠c+∠d
③ ∠C+∠z=180ù =360ù-(65ù+60ù+∠a+∠b+50ù+15ù)

④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다. =100ù


∴ ∠x=180ù-(∠c+∠d)=180ù-100ù=80ù

∠DBF+30ù=60ù   ∴ ∠DBF=30ù
따라서 △ABC에서 ∠x=70ù+30ù=100ù 오른쪽 그림에서 " H
K
E
다른 풀이 ∠h=∠a+∠b, ∠g=∠i+∠j FG K
B # % J
△ADE에서 ∠AED=180ù-(70ù+60ù)=50ù 이므로 C $ &
∠a+∠b+∠c+∠d+∠e J
∠CFE=∠BFD=30ù(맞꼭지각) D I
'
(
따라서 △CFE에서 ∠x=180ù-(30ù+50ù)=100ù  +∠f+∠g M N

단원 종합 문제 47
=∠a+∠b+∠c+∠d+∠e+∠f+∠i+∠j
=(∠d+∠e+∠f+∠j)+(∠a+∠b+∠c+∠i)
=(사각형 ABCD의 내각의 크기의 합)
=;2!;_p_{:Á2°:}Û`+;2!;_p_4Û``

 +;2!;_15_8-;2!;_p_{:Á2¦:}Û`
ⅠⅠ
 +(△EFG의 내각의 크기의 합) =60(cmÛ`)

=360ù+180ù=540ù  오른쪽 그림에서


"
어두운 부분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와 같다.
④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는다.
# $

한 원에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


로 작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80`:`x=8`:`2   ∴ x=20 r+2r+r=12   ∴ r=3
80`:`120=8`:`y   ∴ `y=12 따라서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 x+y=20+12=32 8r=8_3=24(cm)
∴ (어두운 부분의 넓이)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정비례하므로 =(직사각형의 넓이)-8_(원의 넓이)
∠AOB`:`∠BOC`:`∠COA=1`:`2`:`3 =12_24-8_p_3Û``

∴ ∠AOB=360ù_
1
=60ù =288-72p(cmÛ`)
1+2+3

보조선 OC를 그으면


④ ∠AOD=`3∠AOB이지만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AOC=∠BOC=;2!;_180ù=90ù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으므로
ADÓ+3ABÓ ∴ (어두운 부분의 넓이) $

=(부채꼴 AOC의 넓이) ADN

(어두운 부분의 넓이)  -(삼각형 CDO의 넓이) %


" #
ADN ADN 0 ADN
=p_8Û`_;3@6#0);-p_4Û`_;3@6#0);=:»3ª:p(cmÛ`) =p_6Û`_;3»6¼0;-;2!;_4_6

=9p-12(cmÛ`)
(어두운 부분의 넓이)
=(ABÓ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
 +(ACÓ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
 +(삼각형 ABC의 넓이)
 -(BCÓ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

48 ⅠⅠⅠ 평면도형
ⅠⅠⅠ 1
입체도형

다면체와 회전체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95~98쪽

② ③ ③ ④ ③ 면B

⑴ 점 I ⑵ GFÓ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가 다르다. 면 A의 눈의 수:5, 면 B의 눈의 수:1 ③

⑤ 풀이 참조

최상위 06
NOTE 정다면체의 꼭짓점과 모서리의 개수 구하기

정다면체의 모양을 떠올려서 꼭짓점과 모서리의 개수를 구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정삼각형의 2개의 모서리가 겹쳐서 하나의
도형이 복잡해질수록 어려워진다. 하지만 정다면체의 각 꼭짓점에 모서리가 만들어지므로 정이십면체의 모서리의 개수는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음을 이용하면 꼭짓점과 모서리의 개수를 쉽 20_3
=30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
게 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정다각형의 꼭짓점과 모서리의 개수를 빠르고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이십면체는 한 꼭짓점에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5개의 정삼각형이 모인다. 즉, 정삼각형의 5개
의 꼭짓점이 겹쳐서 하나의 꼭짓점이 만들어진
다. 따라서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의 개수는
20_3
=12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

1. 다면체와 회전체 49
문제 풀이

② 사각뿔은 면이 5개인 오면체이다. ⑧


⑨ ⑦
#
⑩ ⑥ ④
각 다면체의 면의 개수를 구하면 ⑤ ③
" ②
①5 ②6 ③4 ④5 ⑤5 ①
따라서 면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것은 ③이다.
꼭짓점 A에는 ①, ②, ③, ④, ⑤의 5개의 면이 모이고, 꼭

옆면의 모양이 직사각형이고, 두 밑면이 평행하고 합 짓점 B에는 ④, ⑤, ⑥, ⑦의 4개의 면이 모인다.

동이므로 구하는 다면체는 각기둥이다. 또, 팔면체이므로 따라서 이 전개도로 만든 입체도형은 각 꼭짓점에 모인 면

각기둥의 밑면 2개를 빼면 6개의 옆면을 가진다. 따라서 밑 의 개수가 다르므로 정다면체가 될 수 없다.

면의 모양이 육각형이므로 육각기둥이다.


주어진 전개도로 입체도형을 만들면 면 A는 눈의 수

④ 정다면체의 면의 모양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 가 2인 면과 평행하므로 면 A의 눈의 수는 5, 면 B는 눈의

각형 중 하나이다. 수가 6인 면과 평행하므로 면 B의 눈의 수는 1이다.

 정다면체는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일 뿐만 아니라 각 꼭짓점


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다. ③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르면 그 단
면은 항상 원이다.

잘려진 단면은 △ACH이고, △ACH의 세 변은 모두


① ②
정육면체의 세 면의 대각선이므로
ACÓ=CHÓ=AHÓ
따라서 잘려진 단면인 △ACH는 정삼각형이다.
③ ④

주어진 전개도로 정육면체를 만들면 $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면 E와 서로 평행 %
#' &
인 면은 면 B이다.
"

주어진 전개도로 정팔면체를 +

만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 '

⑴ 꼭짓점 A와 겹쳐지는 점은 점 I $ (
" *

이다. # )

&
⑵ CDÓ
 와 겹쳐지는 선분은 GFÓ이
다.

50 ⅠⅠⅠ 입체도형
STEP
실력 높이기 99~101쪽

풀이 참조 이등변삼각형 ⑴ 정삼각형:8, 정사각형:6 ⑵ 모서리:24, 꼭짓점:12

21 ① 정팔면체 ② 62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⑴ ABÓ ⑵ DBÓ ⑶ ACÓ

문제 풀이

서술형
변삼각형이다.

표현 단계 정다면체에서 한 면의 모양이 될 수 있는 것은 정
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이다.
⑴ 정육면체에서 삼각뿔을 잘라 내는 것이므로 잘린
정삼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60ù
단면은 정삼각형이고, 처음 정육면체의 각 면은 각 모서
정사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90ù
리의 중점을 연결한 정사각형이 남는다. 따라서 남은 입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108ù
체도형에서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의 개수를 차례대로 구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120ù
하면
       ⋮
(정삼각형의 개수)=(정육면체의 꼭짓점의 개수),
변형 단계 정다면체는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
(정사각형의 개수)=(정육면체의 면의 개수)
고, 한 꼭짓점에 모이는 각의 크기의 합은 360ù보
이므로 남은 입체도형의 면은 정삼각형 모양 8개, 정사
다 작아야 한다.
각형 모양 6개이다.
풀이 단계 한 꼭짓점에 한 꼭짓점에
가능 ⑵ 정삼각형 8개와 정사각형 6개의 전체 모서리의 개수는
면의 모양 모이는 모이는 도형
여부
면의 개수 각의 크기의 합
3_8+4_6=48
3 60ù_3=180ù  정사면체
이때 각 모서리는 모두 접해 있으므로
4 60ù_4=240ù  정팔면체
정삼각형
5 60ù_5=300ù  정이십면체 (모서리의 개수)=:¢2¥:=24
6 60ù_6=360ù _
또, 정삼각형 8개와 정사각형 6개의 전체 꼭짓점의 개수는
3 90ù_3=270ù  정육면체
정사각형
4 90ù_4=360ù _ 3_8+4_6=48
3 108ù_3=324ù  정십이면체 이때 네 꼭짓점이 한 꼭짓점에 겹쳐지므로
정오각형
4 108ù_4=432ù _
(꼭짓점의 개수)=:¢4¥:=12
정육각형 3 120ù_3=360ù _

± ±
± ± ± ± ±
 ± ±
± ± ±
± ± 서술형

표현 단계 원래의 입체도형인 정육면체에서 새로 추가되는


따라서 정다면체의 한 면이 정삼각형인 경우는 3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를 더하여 구하자.
가지, 정사각형인 경우는 1가지, 정오각형인 경우 변형 단계 정육면체에서 꼭짓점은 8개, 모서리는 12개, 면은
는 1가지가 있다. 6개이다.
확인 단계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고, 한 꼭짓점 이때 새로운 입체도형에서는 삼각형이 8개 생겼으
에 모이는 각의 크기의 합이 360ù보다 작아야 하 므로 새로 생긴 꼭짓점의 개수는 8_3=24,
므로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모서리의 개수는 8_3=24, 면의 개수는 8이다.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의 5개만이 존재한다. 풀이 단계 즉, 새로운 입체도형에서
꼭짓점의 개수:8-8+24=24
정육각뿔에서 꼭짓점 V를 지나고 7
모서리의 개수:12+24=36
밑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면의 개수:6+8=14
△VAD, △VBE, △VCF, y이고, ∴ v=24, e=36, f=14
' &
이 삼각형은 두 변의 길이가 같은 이등 " %
확인 단계 ∴ ;vE;_f=;2#4^;_14=21
# $

1. 다면체와 회전체 51
세 점 L, M, D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르면 단면인 삼 ㄱ. ㄴ.
각형 LMD는 DLÓ=DM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서술형
ㄷ. ㄹ.
표현 단계 정육면체의 모든 면은 정사각형이다.
변형 단계 각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을 연결하면 대각선
의 교점이 새로운 입체도형의 꼭짓점이 된다.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풀이 단계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은 모두 6개이므로 새로
운 입체도형의 꼭짓점은 6개이다. ㅁ. ㅂ.

새로운 입체도형의 모서리는 두 밑면에 있는 꼭짓


점에서 4개의 옆면에 있는 꼭짓점에 연결하면 총
8개의 모서리가 생기고 옆면에 있는 4개의 꼭짓점 직사각형 마름모

을 차례로 연결하면 4개의 모서리가 생기므로 모 ㅅ. ㅇ.


서리의 총 개수는 12이고, 그 길이가 모두 같다.
확인 단계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은 6개, 모서리는 12개, 면은 8개인 오각형 육각형
정팔면체가 만들어진다.


"
② 원뿔을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항
% %
상 원이다. #

$ $


서술형 " % "
표현 단계 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이고, 각 꼭짓점에 모이
&
는 면의 수가 모두 같은 다면체는 정다면체이다.
$ # $
변형 단계 정다면체 중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5인
것은 정이십면체뿐이다. ⑶
"
풀이 단계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은 12개, 모서리는 30개, 면 % %
&
은 20개이다.
# #
확인 단계 ∴ 12+30+20=62 $

52 ⅠⅠⅠ 입체도형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102~104쪽

풀이 참조 36 7개 ⑴ 58 ⑵ 60 120 풀이 참조

281개 ㉠ : 정사각뿔, ㉡ : 원뿔, ㉢ : 원기둥, ㉣ : 구 풀이 참조

문제 풀이

⑵ 한 꼭짓점은 세 면을 공유하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모양의 저금통을
꼭짓점의 총 개수는
만들 수 있다.
(5_12)+(6_20) 180
= =60
3 3

큰 정육면체의 각 모서리에 있는 이 입체도형은 팔각형 6개와 삼각형 8개로 이루어져


작은 정육면체들은 두 면 이상 색칠되 있다.
    
어 있다. 이때 색칠된 면이 2개인 작은      이 입체도형의 꼭짓점의 총 개수는 24이고, 임의의 한 꼭짓
    
정육면체들은 오른쪽 그림의 어두운      점에 대하여 이웃하는 3개의 꼭짓점에는 대각선을 그을 수
    
부분에 있는 정육면체들이므로 구하는 없다.
정육면체의 개수는 3_12=36 즉, 한 꼭짓점에서 다른 20개의 점과 연결하여 대각선 20
개를 그을 수 있지만, 이 중에서 겉면에 놓이
게 되는 대각선의 개수는 오른쪽 그림과 같
이 10개이므로 한 꼭짓점에서 안쪽에 놓이게
쌓을 수 있는 쌓기나무의 개수를 적어보면
되는 대각선의 총 개수는 20-10=10이다.
Ú 가장 적게 사용한 경우 Û 가장 많이 사용한 경우
마찬가지로 나머지 점에서도 안쪽에 놓이게 되는 대각선을
           
10개씩 그을 수 있고 같은 대각선이 2개씩 생긴다.
     

    따라서 안쪽에 놓이는 대각선의 총 개수는


  24_10
=120이다.
2
총 쌓기나무의 수:16개 총 쌓기나무의 수:23개
따라서 구하는 쌓기나무의 수의 차는 23-16=7(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왼쪽 단면과 오른쪽 단면을 각각


정이십면체의 면은 20개, 꼭짓점은 12개이므로 꼭짓 돌린 후 두 입체도형을 합쳐 만든다.
점 부분을 자르면 그 부분에 정오각형이 12개 생기므로 새 Ú
로 만들어진 입체도형은 정오각형인 면이 12개, 정육각형
인 면이 20개로 총 32개의 면을 가지고 있다.
축구공 모양의 입체도형에서 한 모서리는 두 면을 공유하
고, 한 꼭짓점은 세 면을 공유한다. Û
12개의 정오각형은 모서리와 꼭짓점이 각각 5개씩이고, 20
개의 정육각형은 모서리와 꼭짓점이 각각 6개씩이다.
⑴ 한 모서리는 두 면을 공유하므로
모서리의 총 개수는 Ú+Û

(5_12)+(6_20) 180
= =90
2 2
∴ (모서리의 개수)-(면의 개수)
=90-32=58
1. 다면체와 회전체 53
직육면체의 어느 한 점에서 보 한 면이라도 보이는 정육면체는 최대

았을 때, 앞과 뒤, 왼쪽과 오른쪽, 311-28-2=281(개)이다.


개
위와 아래는 동시에 보이지 않는다.  (7_13)+(11_13)+(7_11)=311과 같이 계산하면 두 면이 보
이는 정육면체와 세 면이 보이는 정육면체를 각각 2번, 3번씩 세게 된다.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앞, 오
따라서 두 면이 보이는 정육면체의 개수와 세 면이 보이는 정육면체의 개
른쪽, 위가 동시에 보일 때 정육면 수를 각각 1번, 2번씩 빼주어야 한다.
개
체의 개수가 최대로 많이 보인다.
개
이때 보이는 면은
㉠:정사각뿔, ㉡:원뿔, ㉢:원기둥, ㉣:구
(7_13)+(11_13)+(7_11)=311(개)
이고, 두 면이 보이는 정육면체는
6+10+12=28(개) 탁상용 달력:삼각기둥, 책:직육면체,
세 면이 보이는 정육면체는 1개이므로 카메라 삼각대:삼각뿔, 냉장고:직육면체, 냄비:원기둥

54 ⅠⅠⅠ 입체도형
2 겉넓이와 부피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106~110쪽

⑴ 겉넓이:648`cmÛ`, 부피:1008`cmÜ`  ⑵ 겉넓이:556`cmÛ`, 부피:888`cmÜ`

⑴ 겉넓이:480`cmÛ`, 부피:455`cmÜ`  ⑵ 겉넓이:600`cmÛ`, 부피:880`cmÜ`

겉넓이:612`cmÛ`, 부피:648`cmÜ` 288`cmÛ`

⑴ 겉넓이:{:Á;3$;¼:p+96}`cmÛ`, 부피:80p`cmÜ`  ⑵ 겉넓이:202p`cmÛ`, 부피:314p`cmÜ`

겉넓이:140p`cmÛ`, 부피:147p`cmÜ` 겉넓이:148p`cmÛ`, 부피:145p`cmÜ` 11개

겉넓이:150`cmÛ`, 부피:100`cmÜ` :£3ª:`cmÜ` :Á;3@;°:`cmÜ` :£3ª: 120ù

⑴ 겉넓이:90p`cmÛ`, 부피:84p`cmÜ`  ⑵ 겉넓이:54p`cmÛ`, 부피:57p`cmÜ` 192p`cmÜ` 1`cm

4`:`1 27개 240p`cmÜ` 900p`cmÛ`

최상위 07
NOTE 구의 부피를 이용해 구의 겉넓이 구하기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의 겉면을 매우 작은 조각 반지름의 길이가 r인 구의 부피는 ;3$;prÜ`이므로


들로 나누면 곡면이 아니라 다각형으로 볼 수 있
;3$;prÜ`=;3!;_(구의 겉넓이)_r, (구의 겉넓이)=4prÛ`이다.
다. 즉, 구를 무수히 많은 각뿔로 나누면 구의 겉
넓이와 부피 사이이 관계를 알 수 있다. 즉, 구의 겉넓이와 부피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구의 부피를 이용
(구의 부피)=(모든 각뿔들의 부피의 합) 해 구의 겉넓이를 구할 수 있다.

=[;3!;_(각뿔의 밑넓이)_(각뿔의 높이)]의 합

=;3!;_(각뿔의 밑넓이의 합)_(각뿔의 높이)

=;3!;_(구의 겉넓이)_(구의 반지름의 길이)

2. 겉넓이와 부피 55
문제 풀이

⑴ (밑넓이)={;2!;_10_12}+{;2!;_6_8} ⑴ (겉넓이)=(밑넓이)_2+(옆넓이)

=84(cmÛ`) ={p_6Û`_;3!6)0);}_2
(옆넓이)=(13+13+8+6)_12=480(cmÛ`)
 +{6_2+2p_6_;3!6)0);}_8
∴ (겉넓이)=(밑넓이)_2+(옆넓이)
=84_2+480=648(cmÛ`) =:Á;3$;¼:p+96(cmÛ`)
(부피)=(밑넓이)_(높이) (부피)=(밑넓이)_(높이)
=84_12=1008(cmÜ`)
={p_6Û`_;3!6)0);}_8=80p(cmÜ`)
⑵ (밑넓이)=(10_8)-{;2!;_4_3}=74(cmÛ`)
⑵ (겉넓이)=(작은 원기둥의 옆넓이)
(옆넓이)=(7+5+4+10+8)_12=408(cmÛ`)  +(큰 원기둥의 겉넓이)
∴ (겉넓이)=(밑넓이)_2+(옆넓이) =2p_2_5+{(p_7Û`)_2+2p_7_6}
=74_2+408=556(cmÛ`) =202p(cmÛ`)
(부피)=(밑넓이)_(높이) (부피)=(큰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기둥의 부피)
=74_12=888(cmÜ`) =(p_7Û`_6)+(p_2Û`_5)=314p(cmÜ`)

⑴ 겉넓이는 잘라 내기 전의 겉넓이와 같으므로


(겉넓이)
(겉넓이)=(밑넓이)_2+(옆넓이)
={(큰 원기둥의 밑넓이)-(작은 원기둥의 밑넓이)}_2
=(10_7)_2+(10+7+10+7)_10
 +(큰 원기둥의 옆넓이)+(작은 원기둥의 옆넓이)
=480(cmÛ`)
=(p_5Û`-p_2Û`)_2+(2p_5_7)+(2p_2_7)
(부피)=(잘라 내기 전 직육면체의 부피)
=140p(cmÛ`)
 -(잘라 낸 직육면체의 부피)
(부피)=(큰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기둥의 부피)
=10_7_10-7_5_7=455(cmÜ`)
=p_5Û`_7-p_2Û`_7

⑵ 겉넓이는 잘라 내기 전의 겉넓이와 같으므로
=147p(cmÜ`)
(겉넓이)=10_10_6=600(cmÛ`)
다른 풀이
(부피)=(잘라 내기 전 정육면체의 부피)
(부피)=(밑넓이)_(높이)
 -(잘라 낸 직육면체의 부피)
=(p_5Û`-p_2Û`)_7=147p(cmÜ`)
=10_10_10-4_5_6
=880(cmÜ`)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ADN
ADN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겉넓이)=(밑넓이)_2+(옆넓이) ADN
오른쪽 그림과 같다.
=(13_8-10_5)_2
ADN
(겉넓이)
 +(3+5+10+3)_2_12 ADN
=(밑넓이)_2+(옆넓이)
=612(cmÛ`)
={(아래 원기둥의 밑넓이)-(안쪽 원기둥의 밑넓이)}_2
(부피)=(잘라 내기 전 직육면체의 부피)
 +(아래 원기둥의 옆넓이)+(위 원기둥의 옆넓이)
 -(잘라 낸 직육면체의 부피)
 +(안쪽 원기둥의 옆넓이)
=(3+10)_(5+3)_12-5_10_12
=(p_6Û`-p_1Û`)_2
=648(cmÜ`)
 +(2p_6_2)+(2p_4_5)+(2p_1_7)
=148p(cmÛ`)
(바깥쪽 면의 겉넓이)=(6_6-2_2)_6 (부피)=(아래 원기둥의 부피)+(위 원기둥의 부피)
=192(cmÛ`)  -(안쪽 원기둥의 부피)
(안쪽 면의 겉넓이)=(2_2_4)_6=96(cmÛ`) =(p_6Û`_2)+(p_4Û`_5)-(p_1Û`_7)
∴ (겉넓이)=192+96=288(cmÛ`) =145p(cmÜ`)

56 ⅠⅠⅠ 입체도형
주어진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오른쪽 삼각뿔의 부피)

=;3!;_{;2!;_16_8}_3 ADN ADN ADN


10_10_6=600(cmÛ`)
이고, 여기에 원기둥 모양의 구멍 하나를 뚫으면 그 겉넓이 =64(cmÜ`)
는 원기둥의 옆넓이만큼 더해지고,
따라서 12(16-a)=64이므로 a=:£3ª:
(원기둥의 밑넓이)_2만큼 줄어든다.
즉, 구멍 하나를 뚫을 때마다 겉넓이는
2p_1_10-p_1Û`_2=18p(cmÛ`) 옆면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
씩 늘어난다. 이와 같으므로
n개의 구멍을 뚫었을 때, 처음 정육면체의 겉넓이의 2배보 ∠x
2p_18_ =2p_6   ∴ ∠x=120ù
다 커진다고 하면 360ù
다른 풀이
600+18np>2_600, 18np>600
600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r, 원뿔의 모선의 길이가 l일
n> =10.6157y
18p 때, 전개도에서 옆면인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따라서 11개의 구멍을 뚫었을 때, 입체도형의 겉넓이가 처
∠x=;lR;_360ù이므로 ∠x=;1¤8;_360ù=120ù
음으로 정육면체의 겉넓이의 2배보다 커진다.

(겉넓이) ADN
⑴ ADN ADN ADN
=(밑넓이)+(옆넓이) ADN
ADN
ADN ADN
=(5_5)+[{;2!;_5_12}_2+{;2!;_5_13}_2] ADN

=150(cmÛ`) ADN

(부피)=;3!;_(직육면체의 부피)
(밑넓이)=(작은 원의 넓이)+(큰 원의 넓이)
=;3!;_5_5_12
=p_3Û`+p_6Û`=45p(cmÛ`)
=100(cmÜ`) (옆넓이)=(큰 부채꼴의 넓이)-(작은 부채꼴의 넓이)
=p_6_10-p_3_5=45p(cmÛ`)
입체도형의 밑넓이는 정사각형 ABCD의 넓이의 ;2!;이 ∴ (겉넓이)=(밑넓이)+(옆넓이)
고 높이는 정육면체의 높이와 같으므로 =45p+45p=90p(cmÛ`)
(부피)=(큰 원뿔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입체도형의 부피)=;3!;_{;2!;_4_4}_4
=;3!;_p_6Û`_8-;3!;_p_3Û`_4
=:£3ª:(cmÜ`)
=84p(cmÜ`)
⑵ (겉넓이)=(원뿔의 옆넓이)+(원기둥의 옆넓이)
주어진 전개도로 만든 삼각뿔의 겨 %
 +(원기둥의 밑넓이)
냥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삼각뿔
=p_3_5+2p_3_5+p_3Û`
은 밑면이 △BEF이고, 높이가 ADN

&
=15p+30p+9p=54p(cmÛ`)
DAÓ(=DCÓ)이므로 ADN
(부피)=(원뿔의 부피)+(원기둥의 부피)
(부피)=;3!;_{;2!;_5_5}_10
# " $

ADN =;3!;_p_3Û`_4+p_3Û`_5
'
=:Á;3@;°:(cmÜ`) =57p(cmÜ`)

두 그릇에 담긴 물의 양이 같으므로 두 입체도형의 부


(부피)=(원기둥의 부피) M
피가 같다. ADN
 -(원뿔의 부피)
(왼쪽 삼각기둥의 부피)
B
ADN
=p_6Û`_8-;3!;_p_6Û`_8
=;2!;_8_(16-a)_3 ADN
ADN
ADN

=192p(cmÜ`)
=12(16-a)(cmÜ`) ADN

2. 겉넓이와 부피 57
다른 풀이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기둥의 부피)=p_rÛ`_18=18prÛ`(cmÜ`)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의 비가 12:4=3:1이므로 부피의
비는
(원뿔의 부피)=;3!;_p_3Û`_6=18p(cmÜ`)
3Ü`:1Ü`=27:1
두 도형의 부피가 같으므로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쇠공은 최대 27개까지 만
18prÛ`=18p, rÛ`=1 들 수 있다.
∴ r=1(cm) (∵ r>0)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의 부피)=;3$;_p_6Ü`=288p(cmÜ`) r`cm라 하면 구의 부피는
SADN
SADN
(원뿔의 부피)=;3!;_p_6Û`_6=72p(cmÜ`) ;3$;prÜ`=120p   ∴ rÜ`=90

∴ (구의 부피)`:`(원뿔의 부피)=288p`:`72p (원기둥의 부피)=p_rÛ`_2r=2prÜ`


=4`:`1 =180p(cmÜ`)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기둥에 꼭 맞게 들어가는 (원뿔의 부피)=;3!;p_rÛ`_2r=;3@;prÜ`=60p(cmÜ`)


구, 원뿔이 있을 때,
(원뿔의 부피)`:`(구의 부피)`:`(원기둥의 부피) ∴ (원기둥의 부피)+(원뿔의 부피)=180p+60p
=1`:`2`:`3 =240p(cmÜ`)
이므로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다른 풀이
같고 높이는 구의 지름의 길이와 같은 원뿔의 부피는
구의 부피의 ;2!;이다. 한편 원뿔의 밑넓이가 일정할 때, 높이가 절반으로 지름의 길이에 관계없이
줄어들면 부피도 절반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와 높 (원뿔의 부피):(구의 부피):(원기둥의 부피)
이가 모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은 원뿔의 부피는 구의 부피의 ;4!;이다. =1:2:3
이므로 구의 부피가 120p`cmÜ`일 때, 원뿔과 원기둥의 부피
는 각각 60p`cmÜ`, 180p`cmÜ`이므로
반지름의 길이가 12`cm인 쇠공의 부피는
(원기둥의 부피)+(원뿔의 부피)=180p+60p
;3$;_p_12Ü`=2304p(cmÜ`)
=240p(cmÜ`)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쇠공의 부피는

;3$;_p_4Ü`=:ª;3%;¤:p(cmÜ`)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따라서 만들 수 있는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쇠공의 개수 (구의 부피)=(줄어든 물의 양)이므로
를 n이라 하면 ;3$;prÜ`=p_15Û`_20, rÜ`=3375
:ª;3%;¤:p_n=2304p   ∴ n=27 따라서 r=15이므로 구의 겉넓이는
따라서 최대 27개까지 만들 수 있다. 4prÛ`=4p_15Û`=900p(cmÛ`)이다.

58 ⅠⅠⅠ 입체도형
STEP
실력 높이기 111~117쪽

:¢6¦:`cmÜ` 겉넓이:96`cmÛ`, 부피:48`cmÜ` 1296`cmÜ` 2`cm ;3*;

40p`cmÛ` 겉넓이:140p`cmÛ`, 부피:112p`cmÜ` 88p`cmÜ` 33p`cmÛ` 56p`cmÜ`

:£3Á:p 85p`cmÛ` 8`:`3 :Á;3!;¼:p`cmÜ` 10분 35분

1`:`26 1008p`cmÜ` :£3ª:p`cmÜ` 2`cm 3`:`2`:`1 6`:`p`:`2

32p`cmÛ` p

문제 풀이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정육 % $ 서술형

면체의 부피에서 삼각뿔 B-PQR의 1 3 표현 단계 점선을 따라 접으면 오른쪽 그림 %


"
#
부피를 뺀 것과 같다. 2
과 같은 삼각뿔이 된다.
(
) ADN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가 2`cm (삼각뿔의 부피)
& .
' ADN
이므로 =;3!;_(밑넓이)_(높이)
" # $

BPÓ=BQÓ=BRÓ=1(cm)
변형 단계 △BNM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 ADN
삼각뿔 B-PQR의 부피는 △PQB를 밑면으로, BRÓ를 높 /
뿔의 부피와 △DMN을 밑면으
이로 생각하면
로 하는 삼각뿔의 부피는 같다.
V=;3!;_{;2!;_BPÓ_BQÓ}_BRÓ=;6!;(cmÜ`) 풀이 단계 Ú △BNM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뿔의 부피는

∴ (구하는 부피)=2_2_2-;6!;=:¢6¦:(cmÜ`) (삼각뿔의 부피)

=;3!;_△BNM_(선분 AD의 길이)

=;3!;_{;2!;_3_3}_6=9(cmÜ`)

Û△
 DMN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뿔의 밑넓이는
(겉넓이)=(밑면인 정사각형의 넓이) △DMN=6_6-{2_;2!;_6_3+;2!;_3_3}
 +4_(옆면인 이등변삼각형의 넓이)
=:ª2¦:(cmÛ`)
=6_6+4_{;2!;_6_5}=36+60
이고, 점 A(C)에서 △DMN에 내린 수선의
=96(cmÛ`) 길이는 △DMN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뿔의 높
(부피)=;3!;_(밑넓이)_(높이) 이이므로 이 수선의 길이를 h`cm라 하면

(삼각뿔의 부피)=;3!;_△DMN_h
=;3!;_6_6_4=48(cmÜ`)

=;3!;_:ª2¦:_h=;2(;h

Ú, Û에서 ;2(;h=9   ∴ h=2`

확인 단계 따라서 점 A(C)에서 △DMN에 내린 수선의 길


밑면이 NFGC이고, 높이가 MNÓ인 사각기둥이므로 이는 2`cm이다.
(부피)=[;2!;_(6+12)_12]_12=1296(cmÜ`)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육면체에 대하여 "


% 서술형
두 점 M, N이 각각 AEÓ, BFÓ의 중점일 때, 밑
$
표현 단계 [그릇 1, 2]에 담겨 있는 물의 양이 같으므로 물의
면이 △BNC이고, 높이가 ABÓ인 삼각기둥의 . #
/ 부피가 같다.
부피는 정육면체의 부피의 ;4!;이다. &
) 변형 단계 [그릇 1]의 물의 양은 삼각뿔의 부피와 같고,
' (
[그릇 2]의 물의 양은 삼각기둥의 부피와 같다.

2. 겉넓이와 부피 59
풀이 단계 물의 양을 V라 하면 [그릇 1]에서 (겉넓이)=(밑넓이)+(옆넓이)

V=;3!;_{;2!;_4_3}_8=16(cmÜ`) =(p_2Û`+p_3Û`)+(p_3_12-p_2_8)
=33p(cmÛ`)
[그릇 2]에서 V=;2!;_4_x_3=6x(cmÜ`)

[그릇 1, 2]에 담겨 있는 물의 양은 서로 같으므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오른쪽 단면과 왼쪽 단면을 각각 돌


6x=16 린 후 두 입체도형을 합쳐서 그리면 다음과 같다.
확인 단계 x의 값은 ;3*;이다. ADN

ADN ADN

ADN
입체도형의 높이를 h, 겉넓이를 S, 부피를 V라 하면
ADN
V=(큰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기둥의 부피)
이 회전체는 두 개의 원뿔대를 붙여 놓은 것과 같다.
이므로
(회전체의 부피)=2_(원뿔대의 부피)
16p=p_{;2%;}Û`_h-p_{;2#;}Û`_h
(원뿔대의 부피)
16p=4ph   ∴ h=4(cm) =(큰 원뿔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 S=2_{(큰 원기둥의 밑넓이)-(작은 원기둥의 밑넓이)}
=;3!;_p_4Û`_6-;3!;_p_2Û`_3=28p(cmÜ`)
 +(큰 원기둥의 옆넓이)+(작은 원기둥의 옆넓이)
(회전체의 부피)=2_28p=56p(cmÜ`)
=2_[p_{;2%;}Û`-p_{;2#;}Û`]+(5p_4)+(3p_4)

=40p(cmÛ`) 1회전 시켜서 생기는 입체도형은 다음과 같다.


Z
 
%
서술형  
 $
표현 단계 (겉넓이)=(밑넓이)+(옆넓이) 

(부피)=(큰 원뿔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 #



변형 단계 (원뿔대의 밑넓이)=p_4Û`+p_8Û``    Y

(원뿔대의 옆넓이)=p_8_10-p_4_5
(회전체의 부피)
(큰 원뿔의 부피)=;3!;_p_8Û`_6 =(바깥쪽 원기둥의 부피)+(큰 원뿔의 부피) 
-(안쪽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작은 원뿔의 부피)=;3!;_p_4Û`_3
(바깥쪽 원기둥의 부피)=p_2Û`_3=12p
풀이 단계 (원뿔대의 겉넓이)=(16p+64p)+(80p-20p)
(큰 원뿔의 부피)=;3!;_p_2Û`_2=;3*;p
=140p(cmÛ`)
(원뿔대의 부피)=128p-16p=112p(cmÜ`) (안쪽 원기둥의 부피)=p_1Û`_4=4p
확인 단계 겉넓이:140p`cmÛ`, 부피:112p`cmÜ` (작은 원뿔의 부피)=;3!;_p_1Û`_1=;3!;p

(회전체의 부피)=12p+;3*;p-4p-;3!;p=:£3Á:p
(부피)=(원기둥의 부피)  M
ADN
 -(원뿔의 부피)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p_4Û`_6 ADN
원 O의 둘레의 길이는 원뿔의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이의
 -;3!;_p_2Û`_6 2.4배이므로 2pr_2.4=2p_12   ∴ r=5
ADN
=88p(cmÜ`) ∴ (원뿔의 겉넓이)=(밑넓이)+(옆넓이)
=p_5Û`+p_5_12=85p(cmÛ`)

ADN
ADN ADN
△AMP와 △MBQ에서 "

ADN APÓ=MQÓ=8(cm) ADN


.
ADN 1
ADN ADN
∠MAP=∠BMQ (동위각) ADN
ADN ∠APM=∠MQB=90ù #
2 )
ADN

60 ⅠⅠⅠ 입체도형
이므로 =125p`:`875p=1`:`7이므로
△AMPª△MBQ (ASA 합동) 1`:`7=5`:`x   ∴ x=35

∴ MPÓ=BQÓ=QHÓ=;2!;_12=6(cm)
확인 단계 따라서 35분이 더 필요하다.

따라서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6`cm이므로


(작은 원뿔의 부피)=;3!;_p_8Û`_6=128p(cmÜ`)
(원뿔의 부피)=;3!;_p_12Û`_16=768p(cmÜ`)
(원뿔대의 부피)=(큰 원뿔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원기둥의 부피)=p_6Û`_8=288p(cmÜ`)
∴ (원뿔의 부피)`:(원기둥의 부피)=768p`:`288p =;3!;_p_24Û`_18-128p
=8`:`3 =3328p(cmÜ`)
∴ (작은 원뿔의 부피)`:(원뿔대의 부피)

서술형
=128p`:`3328p=1`:`26

표현 단계 주어진 통나무의 밑면의 반지름


IADN
의 길이를 r`cm라 하고, 원뿔과 180ù 회전 시킨 회전체의 모양
원기둥의 높이를 각각 2h`cm, IADN 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ADN

3h`cm라 하자. SADN ADN

변형 단계 (원래의 통나무의 부피) (부피)=;2!;_{;3$;p_12Ü`}-;2!;_{;3$;p_6Ü`}


=(원뿔의 부피)+(원기둥의 부피)
=1008p(cmÜ`)
=;3!;_prÛ`_2h+prÛ`_3h=:Á3Á:prÛ`h(cmÜ`)

(깎아서 만든 원뿔의 부피) 원기둥의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3!;_prÛ`_5h=;3%;prÛ`h(cmÜ`) 높이는 8r`cm이므로


(원기둥의 부피)=p_rÛ`_8r=64p(cmÜ`)
즉, :Á3Á:prÛ`h-;3%;prÛ`h=20p이므로
rÜ`=8   ∴ r=2
10
2prÛ`h=20p   ∴ h=
rÛ` 따라서 공 한 개의 부피는 ;3$;p_2Ü`=:£3ª:p(cmÜ`)

(원래 통나무의 부피)=:Á3Á:prÛ`h=:Á3Á:prÛ`_


10
풀이 단계
rÛ`
110 남아 있는 물의 높이를 x`cm라 하면 빠져나간 물의
확인 단계 = p(cmÜ`)
3 높이는 (6-x)`cm이다.
(원기둥에서 빠져나간 물의 양)=(쇠구슬의 부피)이므로

(측우기의 부피)=;3!;_p_6Û`_10=120p(cmÜ`) p_3Û`_(6-x)=;3$;_p_3Ü`

측우기에 빗물이 1분에 12p`cmÜ`씩 채워지고 있으므로 빗 6-x=4   ∴ x=2

물이 완전히 다 채워지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따라서 남아 있는 물의 높이는 2`cm이다.


120p
=10(분)
12p
직사각형, 반원, 삼각형을 BCÓ를 회 % $

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키면 오른쪽 그림


Y 0
서술형 과 같은 회전체가 된다. 이때 직사각형
표현 단계 물통의 남은 부분의 부피는 높이가 15`cm인 원뿔 ABCD의 ABÓ=x라 하면 " Y #

대의 부피이다. ADÓ=2x이므로
변형 단계 (원뿔대의 부피) 원기둥의 부피 VÁ=p_xÛ`_2x=2pxÜ`
=(큰 원뿔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구의 부피 Vª=;3$;pxÜ`
=;3!;_p_10Û`_30-;3!;_p_5Û`_15
원뿔의 부피 V£=;3!;_p_xÛ`_2x=;3@;pxÜ`
=1000p-125p=875p(cmÜ`)
풀이 단계 더 필요한 시간을 x분이라 하면 ∴ VÁ`:`Vª`:`V£=2pxÜ``:`;3$;pxÜ``:`;3@;pxÜ`
(작은 원뿔의 부피)`:`(원뿔대의 부피) =3`:`2`:`1
2. 겉넓이와 부피 61
;4!;_(4_p_4Û`)=16p(cmÛ`)
서술형

표현 단계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가 a`cm이므로 구의 평면 부분의 넓이는

반지름의 길이는 ;2A;`cm이다. {;2!;_p_4Û`}_2=16p(cmÛ`)

또한, 사각뿔의 밑면의 한 변의 길이와 높이는 각 따라서 구하는 겉넓이는 16p+16p=32p(cmÛ`)


각 a`cm이다.
변형 단계 VÁ=a_a_a=aÜ`(cmÜ`)

Vª=;3$;p_{;2A;}Ü`= p(cmÜ`)
aÜ` (구의 부피)=;3$;_p_12Ü` ADN
6
aÜ` =2304p(cmÜ`)
V£=;3!;_a_a_a= (cmÜ`)
3 ADN
∴ a=2304p
aÜ` aÜ`
풀이 단계 VÁ`:`Vª`:`V£=aÜ``:` p`:` (정팔면체의 부피)
6 3
=6aÜ``:`paÜ``:`2aÜ`` =(정사각뿔의 부피)_2
확인 단계 =6`:`p`:`2 =[;3!;_{;2!;_24_24}_12]_2=2304(cmÜ`)

∴ b=2304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구의 ;4!;이므로
2304p
∴ ;bA;= =p
곡면 부분의 넓이는 2304

62 ⅠⅠⅠ 입체도형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118~120쪽

;6%;aÜ` 72`cmÜ` :¢5¥:p`cmÜ` 32`cmÛ` 3`cmÜ` 738`cmÛ`

112p`cmÜ` 192p`cmÜ` 풀이 참조 풀이 참조 풀이 참조

문제 풀이

Ü a_b_c=4_3_1일 때
(구하는 부피)=(정육면체 부피)-(삼각뿔의 부피)

=aÜ`-;3!;_{;2!;_a_a}_a=;6%;aÜ`

(겉넓이)=2_(4+3+12)=38(cmÛ`)
Ý a_b_c=3_2_2일 때
4개의 삼각뿔 A-BCF, A-EFH, C-ADH,
C-FGH의 부피는 모두 같으므로
(삼각뿔 C-AFH의 부피)
(겉넓이)=2_(6+4+6)=32(cmÛ`)
=(정육면체의 부피)-(삼각뿔 C-FGH의 부피)_4
따라서 겉넓이가 최소가 되는 직육면체의 겉넓이는 32`cmÛ`
=6Ü`-[;3!;_{;2!;_6_6}_6]_4 이다.
=216-36_4=72(cmÜ`)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cm라 하면
(정육면체의 부피)=aÜ`=18(cmÜ`)
주어진 도형을 1회전 시키면 오 M
∴ (정팔면체의 부피)=(정사각뿔의 부피)_2
른쪽 그림과 같은 입체도형이 된다. "
=[;3!;_{;2!;_a_a}_;2A;]_2
이때 BHÓ의 길이를` r`cm라 하면 I„ADN
ADN

(△ABC의 넓이)=;2!;_3_4
ADN
=;6!;aÜ`
SADN
# )

=;2!;_5_r ADN ImADN =;6!;_18


$
∴ r=:Á5ª:
=3(cmÜ`)

위쪽 원뿔의 높이를 hÁ`cm, 아래쪽 원뿔의 높이를 hª`cm라


정육면체 모양의 쌓기나무의 각 면은 정사각형으로
하면 회전체의 부피는
이루어져 있다. 입체도형의 겉에 나타난 정사각형의 개수
(위쪽 원뿔의 부피)+(아래쪽 원뿔의 부피)이므로
를 구해보면 윗면과 밑면에 나타난 정사각형의 개수는
(부피)=;3!;_p_{:Á5ª:}Û`_hÁ+;3!;_p_{:Á5ª:}Û`_hª 4_4_2=32

=;2$5*;phÁ+;2$5*;phª=;2$5*;p(hÁ+hª) 옆면에 나타난 정사각형의 개수는 4_3_4+2=50


이때 쌓기나무의 한면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2$5*;p_5=:¢5¥:p(cmÜ`) 3_3=9(cmÛ`)
이므로 구하는 겉넓이는
(32+50)_9=738(cmÛ`)
12=12_1_1=6_2_1=4_3_1=3_2_2이므
로 가로로 a개, 세로로 b개, 높이로 c개 붙였다고 하면
주어진 전개도로 입체도형을 만
Ú a_b_c=12_1_1일 때
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ADN
따라서 구하는 입체 도형의 부피는
ADN
(겉넓이)=2_(12+1+12)=50(cmÛ`) (원기둥의 부피) ADN

Û a_b_c=6_2_1일 때  -(잘린 부분의 부피)

=p_4Û`_10-;2!;_(p_4Û`_6)

(겉넓이)=2_(6+2+12)=40(cmÛ`) =160p-48p=112p(cmÜ`)

2. 겉넓이와 부피 63
△DHC와 △FGD에서 " & 음식물을 작은 알갱이로 분해할수록 알갱이의 겉넓
HCÓ=GDÓ=4(cm) ' ADN 이, 즉 음식물에 소화액이 닿는 부분이 넓어지게 되므로 소
( %
∠DHC=∠FGD=90ù ADN ADN
화가 더 잘된다.
∠DCH=∠FDG (동위각) # )
$
ADN
이므로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2`cm, 4`cm, 6`cm인 직육
△DHC≡△FGD (ASA 합동) 면체의 부피는 2_4_6=48(cmÜ`)이고, 가로, 세로, 높이
∴ FGÓ=DHÓ=GBÓ=3(cm) 가 각각 ;2!;씩 줄어든 직육면체의 부피는
따라서 주어진 도형을 1회전 시키면 ADN
1_2_3=6(cmÜ`)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은 입체도형이 된 ADN
ADN
따라서 비누를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비누의 크기가 줄어드
다.
ADN 는 속도는 빨라진다.
(원기둥의 부피)=p_4Û`_5 ADN

=80p(cmÜ`)
윗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20`cm일 때 휴지 한 바퀴를
(원뿔대의 부피)=;3!;_p_8Û`_6-;3!;_p_4Û`_3 돌려서 사용하는 휴지의 길이는 40p`cm이지만, 윗면의 반
=112p(cmÜ`) 지름의 길이가 10`cm가 되면 휴지 한 바퀴를 돌려서 사용
따라서 구하는 회전체의 부피는 하는 휴지의 길이는 20p`cm가 되므로 같은 길이의 휴지를
80p+112p=192p(cmÜ`) 사용하려면 두 바퀴를 돌려야 한다. 따라서 윗면의 반지름
의 길이가 줄어들수록 남은 휴지의 양은 급격히 줄어든다.

64 ⅠⅠⅠ 입체도형
ⅠⅠⅠ 단원 종합 문제 121~124쪽

② 삼각기둥 ㅁ, ㅅ 5 면 IDJ 풀이 참조

44 ③, ⑤ ①, ④ ②, ④ ⑤ 12p`cmÛ`

480p`cmÜ` 66p`cmÛ` ② 105`cmÜ` 112p`cmÜ` 216p`cmÛ`

③ :Á:¤9¼:¼:p`cmÛ` 432p`cmÜ` 36p`cmÜ` 125p`cmÛ`

문제 풀이

다면체와 그 옆면의 모양은 각각 다음과 같다.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는 각각 다음과 같다.
① 사각뿔-삼각형 ③ 육각기둥-직사각형 ① 정사면체:3 ② 정육면체:3
④ 오각뿔-삼각형 ⑤ 오각기둥-직사각형 ③ 정팔면체:4 ④ 정십이면체:3
⑤ 정이십면체:5
(나), (다)에서 두 밑면이 평행하고 합동이므로 각기둥
또는 원기둥이고, (라)에서 옆면은 모두 직사각형이므로 각 ① ④
기둥이다.
따라서 (가)에 의해 오면체가 되는 각기둥은 삼각기둥이다.

각 면이 모두 합동이고,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 ② 구를 자른 단면은 모두 원으로 모양은 같지만 크기


가 같은 다면체는 정다면체이다. 가 다르므로 합동이 아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다면체는 ㅁ. 정팔면체, ㅅ. 정사면체이다. ④ 원기둥을 밑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직사각
형이다.
면의 개수가 가장 적은 정다면체는 정사면체이고, 꼭 ① ② ③
짓점의 개수는 4이므로 a=4
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정다면체는 정이십면체이고, 면의
개수는 20이므로 b=20 ④ ⑤
∴ ;aB;=:ª4¼:=5

주어진 전개도로 만들어지 +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키면 다음과 같은
는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 '

회전체가 된다.
같다. $ (

" *

① ②
따라서 면 HEG와 평행한 면은
M
# )

면 IDJ이다. M
&

③ ④
ㄹ.  M
" M

 꼭짓점에 모이는 각의 크기의 합이 360ù보다 작아야


한 따라서 주어진 그림과 같은 회전체가 되는 것은 ⑤이다.
하는데 꼭짓점 A에 모이는 각의 크기의 합이
90ù_4=360ù가 되기 때문에 정육면체를 만들 수 없다.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킨 회전체는 도넛 모양이고 원의 ADN

ADN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는 각각 14, 21, 9이므로 중심 O를 지나면서 회전축에 수직인
14+21+9=44 평면으로 자르면 그 단면은 오른쪽
단원 종합 문제 65
그림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넓이는
p_4Û`-p_2Û`=12p(cmÛ`)

이의 2배이다.
원 A의 둘레의 길이는 원뿔의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ⅠV
2p_10=2pr_2   ∴ r=5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를 V라 하면 따라서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5`cm이다.
V=(큰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기둥의 부피)
=p_7Û`_20-p_5Û`_20=480p(cmÜ`) ADN
원뿔의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
길이를 `r`cm라 하면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 M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이)
ADN SADN
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부채꼴의 호의 길이)
ADN
(회전체의 밑넓이) 이므로
ADN
=(아래 원기둥의 밑넓이)_2
ADN 2pr=2p_20_;3!6@0);   ∴ r=:ª3¼:
=p_5Û`_2=50p(cmÛ`)
∴ (겉넓이)=(밑넓이)+(옆넓이)
(회전체의 옆넓이)
=p_{:ª3¼:}Û`+p_:ª3¼:_20
=(위 원기둥의 옆넓이)+(아래 원기둥의 옆넓이)
=2p_1_3+2p_5_1=16p(cmÛ`) =:Á:¤9¼:¼:p(cmÛ`)
∴ (겉넓이)=50p+16p=66p(cmÛ`)
 원뿔의 전개도에 대하여 옆면인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가 l, 중심
각의 크기가 ∠x이고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r일 때,
∠x
(부피)=;3!;_(△ABF의 넓이)_BCÓ r=
360ù
_l

=;3!;_{;2!;_5_4}_3=10(cmÜ`)
(부피)=(반구의 부피)+(원기둥의 부피)

=;3$;_p_6Ü`_;2!;+p_6Û`_8=432p(cmÜ`)
(부피)=(큰 사각뿔의 부피)-(작은 사각뿔의 부피)

=;3!;_6_6_10-;3!;_3_3_5=105(cmÜ`)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cm라 하면 정육면
체의 부피가 216`cmÜ`이므로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 ADN
ADN ADN
ADN aÜ`=216=6Ü`   ∴ a=6
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ADN 따라서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2!;_6=3(cm)이므로
(부피)=(원뿔의 부피)
 +(원기둥의 부피) (구의 부피)=;3$;_p_3Ü`=36p(cmÜ`)
=;3!;_p_3Û`_4+p_5Û`_4=112p(cmÜ`)

([그림 2]의 겉넓이)


(겉넓이)=(원뿔의 옆넓이)+(원기둥의 옆넓이) =;8!;_(구의 겉넓이)+3_[;4!;_(원의 넓이)]
 +(원기둥의 밑넓이)
=;8!;_(4p_10Û`)+3_[;4!;_(p_10Û`)]
=p_6_10+2p_6_10+p_6Û`
=216p(cmÛ`) =125p(cmÛ`)

66 ⅠV 입체도형
ⅠV 1
통계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128~137쪽

⑴ 풀이 참조 ⑵ 20`% 15점 ㄴ, ㅅ ⑴ 62.5`kg ⑵ 30`% ⑶ 5명

⑴ 165`cm ⑵ 11명 ⑶ 28명 ⑷ 160`cm 4 ㄹ, ㅂ

⑴ 10 ⑵ 34`% ⑶ 80점 ⑷ 60점 이상 80점 미만,`46명 ⑴ 36명 ⑵ 37.5`%

⑴ 8개 ⑵ 4할 ⑶ ;3$;a ①,`④ ⑴ 풀이 참조 ⑵ 15 ⑶ 50`%

⑴ 7명 ⑵ 147.5`cm ⑶ 40 ⑴ 50명 ⑵ 16명 ⑴ 남학생, 14명 ⑵ 600`cm ⑶ 36:25

⑴ ㄴ ⑵ ㄷ ⑶ ㄹ ⑷ ㄱ ② ㅂ,`ㅇ 0.05 0.1

4x+3y
2`:`9 1`:`3 20`% 60명
7

⑴ 12명 ⑵ 35 ⑶ 40`% ⑴ A:100명, B:200명 ⑵ 100 ⑶ 0

최상위 08
NOTE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히스토그램 위에 (명)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직사각형에서 도수분포다각형 바깥쪽에 있



도수분포다각형을 그렸을 때, " 는 부분을 비어있는 안쪽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수분
 #
△ACB와 △ECD에 대하여 ABÓ=DEÓ,  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히스토그램의 직
$
∠ACB=∠ECD이고  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다.
% &

∠ABC=∠EDC=90ù이므로     (점)

∠BAC=∠DEC
∴ △ACBª△ECD (ASA 합동)
따라서 △ACB와 △ECD의 넓이는 서로 같다.

1.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67
문제 풀이

상 A+;2!;a 미만이므로 도수분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


⑴ 줄기 잎
0 7 8 7 다.
1 2 0 9 2
키(cm) 계급값(cm) 도수(명)
2 5 4 7 7 0 1 이상 미만
140 ~ 145 142.5 5
3 7 8
145 ~ 150 147.5 7

⑵ 줄기가
 1이고 잎이 5 이상인 것은 19`m로 1개이고, 줄 150 ~ 155 152.5 20
155 ~ 160 157.5 15
기가 2이고 잎이 3 이하인 것은 20`m, 21`m로 2개이므
160 ~ 165 162.5 11
로 15`m 이상 23`m 이하를 던진 학생 수는
165 ~ 170 167.5 2
1+2=3(명)이다. 또한 전체 학생 수는 잎의 개수와 같
합계 60
으므로 3+4+6+2=15(명)이다.
따라서 15`m 이상 23`m 이하를 던진 학생은 전체의 ⑴` 키가 가장 큰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165`cm 이상
170`cm 미만이므로 키가 가장 큰 학생의 키는 최소한
;1£5;_100=20(%)이다.
165`cm 이상이다.
 백분율 구하기 ⑵` 키가 163`cm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160`cm 이상
(비교하는 양) 165`cm 미만으로 이 계급의 도수는 11명이다.
백분율(%)= _100
(전체의 양)
⑶` 키가 155`cm 이상인 학생은
15+11+2=28(명)
남학생의 점수의 합을 구하면 ⑷` 키가 10번째로 큰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160`cm 이상
55+64+61+69+78+77+70+86+82+90 165`cm 미만이므로 키가 10번째로 큰 학생의 키는
=732(점) 최소한 160`cm 이상이다.
여학생의 점수의 합을 구하면
58+51+64+62+73+75+72+84+85+93
기록이 15.0초 이상 16.0초 미만인 학생은 a명, 기록
=717(점)
이 16.0초 이상 17.0초 미만인 학생은 b명이므로 도수분포
따라서 남학생의 점수의 합과 여학생의 점수의 합의 차는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732-717=15(점)이다.
기록(초) 도수(명)
이상 미만
ㄴ. 계급의 가운데 값을 계급값이라 한다. 14.0 ~ 15.0 4

ㅅ. 계급의 개수가 너무 많거나 적으면 정확한 분포 상태를 15.0 ~ 16.0 a


16.0 ~ 17.0 b
파악하기 어렵다.
17.0 ~ 18.0 12
합계 60
⑴ 45`kg 이상 50`kg 미만인 계급에 속하는 도수는
30-(6+10+8+1)=5(명) 기록이 16.0초 미만인 학생이 전체의 40`%이므로
따라서 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은 60`kg 이상 65`kg 미 4+a=60_;1¢0¼0;, 4+a=24   ∴ a=20
만이므로 이 계급의 계급값은
또, 나연이네 반 전체 학생 수는 60명이므로
60+65
=62.5(kg) 4+20+b+12=60   ∴ b=24
2
⑵ 몸무게가 55`kg 이상인 학생은 8+1=9(명)이므로 전 ∴ |a-b|=|20-24|=4

체의 ;3»0;_100=30(%)이다.

⑶ 몸무게가
 20번째로 무거운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ㄹ.` 각 계급에 속하는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는 도

45`kg 이상 50`kg 미만이므로 이 계급의 도수는 5명이 수를 나타내므로 일정하지 않다.

다. ㅂ. 히스토그램에서
 각 직사각형의 넓이는 각 계급의 도수
에 정비례한다.

주어진 표에서 계급의 크기는 147.5-142.5=5(cm)

이고, 계급값이 A, 계급의 크기가 a인 계급은 A-;2!;a 이 히스토그램을 도수분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68 ⅠV 통계
계급(점) 계급값(점) 도수(명) 8+8+6+2=24(명)

따라서 ;6@0$;=0.4, 즉 전체의 4할이다.


이상 미만
30 ~ 40 35 10
40 ~ 50 45 14
⑶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가 일정하므로 직사각형의 넓이
50 ~ 60 55 20
60 ~ 70 65 30 는 세로의 길이에 해당하는 도수에 정비례한다.
70 ~ 80 75 16 5분 이상 10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6명, 25분 이상 30
80 ~ 90 85 8 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8명이므로 25분 이상 30분 미
90 ~ 100 95 2 만인 계급에 해당하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x라 하면
합계 100 6:a=8:x

⑴ 계급값이
 55점인 계급은 50점 이상 60점 미만이고, 이 따라서 x를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계급의 도수는 20명이므로 a=20 8a=6x, x=;6*;a   ∴ x=;3$;a


또, 계급값이 95점인 계급은 90점 이상 100점 미만이
고, 이 계급의 도수는 2명이므로 b=2 ① (계급의 계급값, 계급의 도수)의 순서쌍을 구하고,
∴ ;bA;=:ª2¼:=10 선분으로 연결하면 도수분포다각형이 된다.

⑵ 전체 학생 수가 100명이고, 40점 이상 60점 미만인 학 ④ 히스토그램의 각 직사각형의 윗변의 중점을 차례로 연

생은 14+20=34(명)이므로 40점 이상 60점 미만인 학 결하여 만든 것이 도수분포다각형이다.

생은 전체의 ;1£0¢0;_100=34(%)이다.
⑴ (명)

⑶ 성적이
 상위 10`%`이내에 들려면 100_;1Á0¼0;=10(명) 

이내에 들어야 한다. 성적이 높은 쪽에서 열 번째인 학 

생이 속하는 계급은 80점 이상 90점 미만이므로 상위 

10`%`이내에 들려면 최소한 80점을 받아야 한다.



⑷ 20점부터 시작하여 계급의 크기가 20점인 도수분포표로 
        N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⑵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30`m 이상 35`m 미만이므로


계급(점) 도수(명) 30+35
이 계급의 계급값은 =32.5(m)이다.
이상 미만
2
20 ~ 40 10
따라서 a=32.5
40 ~ 60 34
 , 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은 15`m 이상 20`m 미만이

60 ~ 80 46
15+20
80 ~ 100 10 므로 이 계급의 계급값은 =17.5(m)이다.
2
합계 100
따라서 b=17.5
따라서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60점 이상 80점 미만이 ∴ a-b=32.5-17.5=15
고, 그 계급의 도수는 46명이다. ⑶ 던지기 기록이 20`m 이상 35`m 미만인 학생 수는
5+11+14=30(명)이므로 전체의

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6#0);_100=50(%)이다.

80-(4+8+18+12+2)=36(명)
⑵ 성적이 70점 미만인 학생은 4+8+18=30(명)이므로 도수분포다각형을 도수분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전체의 ;8#0);_100=37.5(%)이다. 계급(cm) 도수(명)


이상 미만
140 ~ 145 2
145 ~ 150 10
⑴ 계급은 변량을 나눈 구간이므로 계급의 개수는 8개 150 ~ 155 13
이다. 155 ~ 160 8

⑵ 25분 이상 30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160 ~ 165 4

60-(4+6+16+10+8+6+2)=8(명) 165 ~ 170 3


합계 40
이므로 통학 시간이 20분 이상 걸리는 학생은

1.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69
⑴ 키가 160`cm 이상인 학생은 4+3=7(명)이다. ⑴ 키가 145`cm 이상 155`cm 미만인 여학생과 남학
⑵ 키가 작은 쪽에서 10번째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생은 각각 14+8=22(명), 12+24=36(명)이다.
145`cm 이상 150`cm 미만이므로 이 계급의 계급값은 따라서 키가 145`cm 이상 155`cm 미만인 학생은 남학
145+150
=147.5(cm) 생이 14명 더 많다.
2
⑶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⑵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많은 계급(cm) 계급값(cm)
이상 미만
히스토그램의 넓이와 같고, 히스토그램의 넓이는 135 ~ 140 137.5
140 ~ 145 142.5
(계급의 크기)_(도수의 총합)이다. 따라서 가로의 한
145 ~ 150 147.5
눈금의 길이가 1이므로 계급의 크기를 1로 두면
170 ~ 175 172.5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1_40=40 따라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많은 계급의 계급값의
합은

⑴ 현정이네 반 전체 학생 수를 x명이라 하면 몸무게 137.5+142.5+147.5+172.5=600(cm)


⑶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가 45`kg 이상 50`kg 미만인 학생이 전체의 ;5!;이고, 이
도수의 총합에 비례하므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도수의
계급의 도수가 10명이므로 x_;5!;=10   ∴ x=50 총합을 구하여 그 비를 구하면 된다.

따라서 전체 학생 수는 50명이다. 남학생의 도수의 총합은

⑵ 몸무게가 60`kg 이상인 학생 수를 a명이라 하면 8+12+24+14+10+4=72(명)이고,

60`kg 미만인 학생 수는 4a명이고, 전체 학생 수가 여학생의 도수의 총합은

50명이므로 2+10+14+8+4+6+4+2=50(명)

a+4a=50, 5a=50   ∴ a=10 이므로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의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

즉, 60`kg 미만인 학생 수는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비는

4_a=4_10=40(명) 72:50=36:25

이므로 몸무게가 50`kg 이상 55`kg 미만인 학생을 b명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이라 하면 (계급의 크기)_(도수의 총합)의 값과 같으므로 계급의 크기가 같을 때,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비는 도수의 총합
4+10+b+10=40   ∴ b=16 의 비와 같다.
따라서 50`kg 이상 55`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16명이
다.
⑴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많으면 그래프는 성적이 높
다른 풀이
은 쪽인 오른쪽으로 치우친 그래프가 그려진다.:ㄴ
⑵ 50`kg
 이상 55`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a명, 65`kg 이
⑵ 어려운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으므로 성적이 낮은 쪽인
상 70`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b명이라 하자.
왼쪽에 많이 분포한다. 따라서 왼쪽으로 치우친 그래프
학급 전체 학생 수는 50명이므로
가 그려진다.:ㄷ
4+10+a+10+6+b=50,
⑶ 아침, 저녁으로 출퇴근하는 자동차가 많기 때문에 M자
30+a+b=50, a+b=20 …… ㉠
형 곡선이 생긴다.:ㄹ
몸무게가 60`kg 미만인 학생 수는
⑷ 성적이 고른 반의 성적은 가운데에 가장 많은 학생이 분
4+10+a+10=24+a(명), 몸무게가 60`kg 이상인 학
포하기 때문에 대칭형 곡선이 생긴다.:ㄱ
생 수는 6+b(명)이고, 몸무게가 60`kg 미만인 학생 수
가 60`kg 이상인 학생 수의 4배이므로 자료가 가장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의 도수분포
24+a=4_(6+b), 곡선은 대칭형으로 나타나며, 대칭형 중에서도 폭이 좁을
24+a=24+4b, a=4b …… ㉡ 수록 분포가 고르다.
㉡을 ㉠에 대입하면 즉, ②와 ⑤는 모두 대칭형이지만, ⑤보다 ②의 폭이 더 좁
a+b=4b+b=5b=20   ∴ b=4 으므로 ②가 가장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a=4_b=4_4=16
따라서 50`kg 이상 55`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16명이 ㅂ. ( 어떤 계급의 도수)
다. =(도수의 총합)_(그 계급의 상대도수)

70 ⅠV 통계
ㅇ. 전체
 도수가 다른 두 자료에서는 도수가 크다고 해서
키가 140`cm 이상 145`cm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를
상대도수도 크다고 할 수 없다.
x라 하면 키가 140`cm 이상인 학생은 전체의 32`%이므로
(x+0.2)_100=32   ∴ x=0.12
1반 학생 중 A형인 학생의 상대도수는 또, 상대도수의 총합은 1이므로 키가 130`cm 이상
a=;2°0;=0.25 135`cm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를 y라 하면

2반 학생 중 O형인 학생의 상대도수는 y=1-(0.06+0.18+0.24+0.12+0.2)=0.2


따라서 키가 130`cm 이상 135`cm 미만인 학생은 전체의
b=;4¥0;=0.2
0.2_100=20(%)이다.
∴ a-b=0.25-0.2=0.05

계급의 도수는 학생 수이므로 정수이다.


(그 계급의 도수) 즉, (도수의 총합)_(어떤 계급의 상대도수)가 정수이어
(도수의 총합)=
(어떤 계급의 상대도수)
야 하므로 도수의 총합은 상대도수의 분모들의 공배수이어
8
= =20(명) 야 한다.
0.4
따라서 전체 학생 수가 될 수 있 2`>³`10  5  4  6  12
∴ a=;2ª0;=0.1
는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는 상 2`>³` 5  5  2  3  6
다른 풀이 3`>³` 5  5  1  3  3
대도수의 분모 10, 5, 4, 6, 12의
도수와 상대도수는 정비례 관계이므로 도수가 8명에서 2명 5`>³` 5  5  1  1  1
최소공배수이므로
1  1  1  1  1
으로 ;4!;이 되었으므로 상대도수도 `;4!;이 된다. 2Û`_3_5=60(명)이다.

따라서 a=0.4_;4!;=0.1  세 자연수 a, b, c에 대하여

;a!;_N, ;b!;_N, ;c!;_N이 모두 자연수가 되려면 N은 a의 배수, b의 배


수, c의 배수이어야 한다. 즉, N은 세 자연수 a, b, c의 공배수이어야 한다.
전체 학생 수의 비가 3`:`1이므로 두 반의 전체 학생
수를 각각 3a명, a명이라 하고, 어떤 계급의 도수의 비가
상대도수의 분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3이므로 도수를 각각 2b명, 3b명이라 하면 상대도수의
비는 성적(점) 상대도수
이상 미만
2b 3b 40 ~ 50 0.1
`:` =;3@;`:`3=2`:`9
3a a 50 ~ 60 0.2
60 ~ 70

A, B 두 중학교의 1학년 학생 수를 a명이라 하면 70 ~ 80 0.2


80 ~ 90 0.15
A 중학교의 1학년 학생의 상대도수는 ;1350;
90 ~ 100 0.05

B 중학교의 1학년 학생의 상대도수는 ;45A0;


합계 1

따라서 1학년 학생의 상대도수의 비는 ⑴ 수학


 성적이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0.1+0.2+0.2+0.15+0.05)=0.3
;1350;`:`;45A0;=1`:`3
따라서 구하는 학생 수는
40_0.3=12(명)
두 반을 합반했을 때, 전체 학생 수는
⑵ 각 계급의 상대도수는 그 계급의 도수에 정비례하므로
40+30=70(명)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상대도수가 가장 큰 계급인 60점
1반에서 혈액형이 A형인 학생 수는 40x명, 2반에서 혈액
이상 70점 미만이고 계급값은
형이 A형인 학생 수는 30y명이므로 두 반에서 혈액형이 A 60+70
=65(점)   ∴ a=65
형인 학생은 2
(40x+30y)명 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은 상대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인

따라서 두 반을 합반했을 때, 혈액형이 A형인 학생의 상대 90점 이상 100점 미만이고 계급값은

도수는 90+100
=95(점)   ∴ b=95
2
40x+30y 4x+3y
= ∴ 2a-b=2_65-95=35
70 7
1.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71
⑶ 수학
 성적이 70점 이상인 학생의 비율은 또, B 중학교에서 영어 성적이 90점 이상 100점 미만인
0.2+0.15+0.05=0.4 계급의 상대도수는 `0.1이다.
이므로 전체의 0.4_100=40(%)이다. 따라서 A 중학교에서 상위 25`%`이내에 들려면
0.05+0.2=0.25이므로 80점 이상 받아야 하고, B 중학
⑴ A 중학교에서 영어 성적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교에서 상위 10`%`이내에 들려면 90점 이상 받아야 한
계급의 상대도수는 0.45이고, 그 계급의 도수는 45명이 다.
므로 즉, x=80, y=90이므로
45 |x-2y|=|80-2_90|
(전체 학생 수)= =100(명)
0.45
=100
 B 중학교에서 영어 성적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또,
⑶ 상대도수의 그래프와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계급의 상대도수는 0.3이고, 그 계급의 도수는 60명이므
는 (계급의 크기)_(상대도수의 총합), 즉

(계급의 크기)_1이므로 계급의 크기가 같으면 상대도
60
( 전체 학생 수)= =200(명) 수의 그래프와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서
0.3
⑵A
 중학교에서 영어 성적이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 로 같다.
의 상대도수는 따라서 a=b이므로 a-b=0이다.
1-(0.1+0.2+0.45+0.05)=0.2

72 ⅠV 통계
STEP
실력 높이기 138~145쪽

6명, 8명 30권 5 42.5`% x=8, y=3 7명

80 1 6시간 이상 8시간 미만 5 8배

117 30 20점 ①, ③ 10명 6명

9`:`11 5명 6시간 이상 7시간 미만 5배 50명

6명 a=275, b=65, c=12, d=900, e=40 x=2 50명 ①, ④

10a+11b
0 :õa‚: 1학년 2 48명
21

9명

문제 풀이
풀이 단계 11-4=7(명)
은정이네 모둠과 현정이네 모둠의 학생 수는 각각 잎 확인 단계 따라서 구하는 학생 수는 7명이다.
의 개수와 같으므로 6명, 8명이다.
몸무게가 36`kg 이상 44`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전
책을 가장 많이 읽은 학생은 43권을 읽었고, 가장 적 체 도수 40명의 25`%이므로
게 읽은 학생은 13권을 읽었으므로 30권을 더 많이 읽었다. 2+a=40_;1ª0°0;, 2+a=10   ∴ a=8

b=40-(2+8+18+2)=10  
a+2a+8+3a+2=40, 6a+10=40
∴ ab=8_10=80
6a=30   ∴ a=5

계급의 크기는 인접한 계급값의 차와 같으므로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학생은 15명이고, 90점 이상
3-1=2(시간)   ∴ a=2
100점 미만인 학생은 2명이므로 80점 이상인 학생은
즉, 계급의 크기가 2시간이므로
15+2=17(명)
b-3=2(시간)   ∴ b=5
따라서 80점 이상인 학생은 전체의
∴ |2a-b|=|2_2-5|=|-1|=1
;4!0&;_100=42.5(%)이다.
공부 시간이 5번째로 많은 학생이 속하는 계급의 계급
값은 7시간이고, 계급의 크기는 2시간이므로 구하는 계급
서술형

82.5 은 6시간 이상 8시간 미만이다.


표현 단계 전체 학생 40명의 82.5`%는 40_ =33(명)
100
변형 단계 수학 성적이 80점 미만인 학생 수는 33명이므로 서술형

2+3+6+9+x+5=33 yy`㉠ 표현 단계 전체 학생 수가 50명이므로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40-33=7(명)이므로 3+11+a+b+7=50   ∴ a+b=29 yy`㉠
y+4=7 yy`㉡ 변형 단계 영어 성적이 70점 이상인 학생 수는
풀이 단계 ㉠에서 25+x=33   ∴ x=8 a+b+7=29+7=36(명)이므로
㉡에서 y=3 풀이 단계 계급값이 75점인 학생 수 a는
확인 단계 ∴ x=8, y=3
a=;3!;_36=12

㉠에서 12+b=29   ∴ b=17


서술형
확인 단계 ∴ |a-b|=|12-17|=5
표현 단계 전체 학생 50명의 78`%는 50_;1¦0¥0;=39(명)이므

로 서술형

변형 단계 160`cm 미만인 학생은 39명, 160`cm 이상인 학 표현 단계 영어 성적이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b+7)명이
생은 50-39=11(명)이다. 고, 영어 성적이 60점 미만인 학생 수는 3명이다.

1.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73
변형 단계 b+7=17+7=24이므로 삼각형 a~l의 밑변의 길이는 모두 같으므로 높이가 같으
풀이 단계 24Ö3=8 면 넓이가 같다.
확인 단계 따라서 8배이다. a=b, c=d=g=h=k=l, e=f=i=j

계급의 크기가 3이고, 계급값이 7.5인 계급은 도수분포다각형을 도수분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7.5-;2#; 이상 7.5+;2#; 미만이므로 계급(점) 계급값(점) 도수(명)
이상 미만
40 ~ 50 45 2
a=7.5-;2#;=6, b=7.5+;2#;=9
50 ~ 60 55 5
∴ aÛ`+bÛ`=6Û`+9Û`=117 60 ~ 70 65 8

다른 풀이
70 ~ 80 75
80 ~ 90 85 4
계급의 크기가 3이므로 b-a=3 …… ㉠
90 ~ 100 95 1
a+b
계급값이 7.5이므로 =7.5 …… ㉡ 합계 30
2
㉠에서 b=a+3이므로 ㉡에 b대신 a+3을 대입하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학생 수를 x명이라 하면 전
a+(a+3) 체 학생 수가 30명이므로
=7.5, a+(a+3)=15
2
2+5+8+x+4+1=30   ∴ x=10
2a+3=15, 2a=12   ∴ a=6
따라서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학생 수는 10명이다.
∴ b=a+3=6+3=9
∴ aÛ`+bÛ`=6Û`+9Û`=117
전체 학생 수가 30명이므로 수학 성적이 70점 이상 80

서술형
점 미만인 학생 수는 30-(2+7+9+4+2)=6(명)

표현 단계 계급의 크기는 10점,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70점


이상 80점 미만이므로 계급값은 도수분포다각형의 가장 (명)

70+80 높은 꼭짓점에서 가로축에 수
=75(점), 세 번째로 성적이 우수한 학생 
2
선을 그으면 오른쪽 그림과 같

이 속하는 계급은 80점 이상 90점 미만이므로
이 두 다각형으로 나누어진다.

80+90
계급값은 =85(점)이다. 이때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
2 
       (점)
변형 단계 즉, x=10, y=75, z=85이므로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풀이 단계 2x-y+z=20-75+85 히스토그램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다.
확인 단계 =30 따라서 수선의 왼쪽 부분의 넓이를 A라 하면
A=10_(2+7)+5_9=135
학생의 성적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선의 오른쪽 부분의 넓이를 B라 하면
학생 성적(점) B=5_9+10_(6+4+2)=165
A 85 ∴ A`:`B=135`:`165=9`:`11
B 80
C 70
전체 학생 수를 x명이라 하면 2시간 이상 4시간 미만
D 75
인 학생은 4+5=9(명)이므로
E 90
;[(;_100=18   ∴ x=50
점수가 가장 높은 학생은 E이고, 점수가 가장 낮은 학생은
따라서 구하는 도수는
C이므로 구하는 차는 90-70=20(점)
다른 풀이
50-(2+4+5+7+8+10+9)=5(명)

점수가 가장 높은 학생은 E, 점수가 가장 낮은 학생은 C이


고, E는 B보다 10점이 높고, C는 B보다 10점이 낮다. TV 시청 시간이 8시간 이상인 학생 수는 5명, 7시간
따라서 두 학생 E와 C의 점수 차는 10-(-10)=20(점) 이상인 학생 수는 5+9=14(명), 6시간 이상인 학생 수는
5+9+10=24(명)이므로 TV 시청 시간이 23번째로 많은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의 길이와 높이로 결정된다. 학생은 6시간 이상 7시간 미만인 계급에 속한다.

74 ⅠV 통계
150`cm 이상 155`cm 미만인 계급의 여학생의 도수가 3명,
직사각형의 넓이는 도수에 정비례한다. 가장 큰 도수
상대도수가 0.15이므로
는 10명, 가장 작은 도수는 2명이므로 가장 큰 직사각형의
(도수) 3
넓이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의 넓이의 5배이다. (전체 여학생 수)= = =20(명)
(상대도수) 0.15
따라서 나연이네 반 학생은 모두 30+20=50(명)이다.
서술형

표현 단계 전체 학생 수를 x명이라 하자.
(그 계급의 도수)
(어떤 계급의 상대도수)= 이므로
변형 단계 17초 미만인 학생 수는 6+10+15=31(명)이고, (도수의 총합)
31
전체의 62`%이므로 _100=62 A=;2°0;=0.25, E=20_0.2=4, B=20_0.3=6
x
풀이 단계 3100=62x   ∴ x=50 5+B+D+E=20에서 D=5
확인 단계 따라서 전체 학생 수는 50명이다. 따라서 B+D=11, C=;2°0;=0.25

서술형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25이므
표현 단계 전체 학생 50명의 26`%는 50_;1ª00¤ ;=13(명)이므로 로 국어 성적이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학생은 전체의
변형 단계 기록이 18초 이상인 학생은 13명이고, 0.25_100=25(%)
풀이 단계 17초 미만인 학생은 31명이다. ∴ a=25
확인 단계 따라서 기록이 17초 이상 18초 미만인 학생 수는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25이므로 국
50-13-31=6(명) 어 성적이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학생은 전체의
0.25_100=25(%)
도수분포표를 완성해 보면 다음과 같다. ∴ b=25
∴ a-b=25-25=0
국어 성적(점) 계급값(점) 도수(명) (계급값)_(도수)
이상 미만
50 ~ 60 55 5 a=275
60 ~ 70 b=65 10 650 수학 성적이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70 ~ 80 75 c=12 d=900 a명, 상대도수는 b이므로 전체 도수는 ;bA;명이다.
80 ~ 90 85 9 765
수학 성적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90 ~ 100 95 4 380
합계 e=40 2970 cÖ;bA;=:õa‚:

∴ a=275, b=65, c=12, d=900, e=40


서술형

A(x)=(x 를 계급값으로 가지는 계급에 속하는 학생 수) 표현 단계 각 학년의 상대도수를 비교한다.

에 계급값 55, 65, 75, 85, 95를 각각 대입하면 변형 단계 1학년 학생 중에서 독서 시간이 90분 이상인 학생

A(55)=5, `A(65)=10, `A(75)=12, `A(85)=9, 수는 6+4=10(명)

A(95)=4 2학년 학생 중에서 독서 시간이 90분 이상인 학생

따라서 p=10, q=75, r=95이므로 수는 8+4=12(명)

px+q=r에 대입하여 풀면 (그 계급의 도수)


풀이 단계 (어떤 계급의 상대도수)=
(도수의 총합)
10x+75=95, 10x=20
이므로 각 학년의 상대도수를 구해 보면
∴ x=2
1학년 : ;4!0);=0.25, 2학년 : ;5!0@;=0.24
 새로운 기호가 주어진 경우 수를 잘 대입하고 기호의 의미를 알맞게
해석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확인 단계 따라서 독서 시간이 90분 이상인 학생의 비율은
1학년이 더 높다.

150`cm 이상 155`cm 미만인 계급의 남학생의 도수가


3명, 상대도수가 0.1이므로 1, 2, 3반의 70점 이상인 학생 수는 각각

(도수) 3 (10_0.4x)명, (20_0.1x)명, (30_0.2x)명이고, 세 반


(전체 남학생 수)= = =30(명)
(상대도수) 0.1 의 전체 학생에 대하여 과학 성적이 70점 이상인 계급의 상

1.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75
대도수는 0.4이므로
상대도수의 총합은 1이므로 20분 이상 25분 미만인
(과학 성적이 70점 이상인 학생 수)
계급의 상대도수는
(전체 학생 수)
10_0.4x+20_0.1x+30_0.2x 1-{;4!;+;3!;+;1Á6;+;4!;}=;4°8;
=
10+20+30
따라서 현정이네 반 전체 학생 수가 2`>³`4  3  16  48
4x+2x+6x
= 2`>³`2  3  `8`  24
60 될 수 있는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
12x 2`>³`1  3  `4`  12
= 는 상대도수의 분모 4, 3, 16, 48의
60 2`>³`1  3  `2`  `6
최소공배수이므로
3`>³`1  3  `1`  `3
=;5!;x=0.4
2Ý`_3=48(명)이다. 1  1  `1`  `1
∴ x=2
서술형

서술형 표현 단계 상대도수의 총합이 1이므로


(그 계급의 도수) 변형 단계 (60`m 이상 70`m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
표현 단계 (어떤 계급의 상대도수)=
(도수의 총합)
=1-(0.10+0.14+0.16+0.22+0.14+0.06)
이므로
풀이 단계 =1-0.82
변형 단계 (어떤 계급의 도수)
=0.18
=(도수의 총합)_(그 계급의 상대도수)
확인 단계 (60`m 이상 70`m 미만인 계급의 학생 수)
풀이 단계 A 학급에서 수학 성적이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50_0.18
50a명이고, B 학급에서 수학 성적이 80점 이상인
=9(명)
학생 수는 55b명이다.
50a+55b 50a+55b
따라서 =
50+55 105
10a+11b
확인 단계 =
21

76 ⅠV 통계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146~148쪽

46`% ②, ⑤ 16배 25명 55`% 46

am+bn
161 x=9, y=13, z=6 x=0,`y=5
m+n

문제 풀이

히스토그램에서 직사각형의 넓이는 도수에 정비례하므로


전체 남학생 수는 1+2+9+6+4+2+1=25(명),
각 계급의 도수를 비교해 보면 25`m 이상 30`m 미만인 계
전체 여학생 수는 3+4+5+7+5+1=25(명)
급의 도수가 16명으로 가장 크고, 45`m 이상 50`m 미만인
이므로 지훈이네 반 전체 학생 수는 25+25=50(명)이다.
계급의 도수가 1명으로 가장 작다. 따라서 가장 큰 직사각
던지기 기록이 20`m 이상 30`m 미만인 남학생은
형의 넓이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의 넓이의 16배이다.
2+9=11(명), 여학생은 5+7=12(명)이므로
20`m 이상 30`m 미만인 학생은 전체의
11+12
_100=46(%)이다.
50
[ ~  ] 성적별 맞힌 문제 번호를 조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성적(점) 맞힌 문제 번호 도수(명)
0 2
①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가 25명으로 같으므로 두 도수
4 1번 또는 2번 5
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같
5 3번 8
다. 따라서 색칠하지 않은 부분을 공통으로 뺀 부분인 8 1번과 2번 11
어두운 두 부분의 넓이도 같다. 9 (1번과 3번) 또는 (2번과 3번) 9
② 전체적으로 남학생의 그래프가 여학생의 그래프보다 오 13 1번과 2번과 3번 5

른쪽으로 더 치우쳐 있으므로 남학생의 던지기 기록의 합계 40

합이 더 크다.
③ 남학생 중에서 8번째로 멀리 던진 학생은 30`m 이상 2개 이상의 문제를 맞힌 학생은 8점, 9점, 13점을 받
35`m 미만인 계급에 속하고, 여학생 중에서 가장 멀리 은 학생이므로 11+9+5=25(명)이다.
던진 학생은 35`m 이상 40`m 미만인 계급에 속하므로
남학생 중에서 8번째로 멀리 던진 학생의 기록은 여학
생의 최고기록보다 낮다.
⑤ 도수의 총합이 같으므로 두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 3번 정답자는 5점, 9점, 13점을 받은 학생이므로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같다. 8+9+5=22(명)이다.

따라서 전체의 ;4@0@;_100=55(%)이다.

남학생과 여학생 전체의 던지기 기록을 도수분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번 정답자의 수가 최소일 때는 8점, 13점을 받은 학
기록(m) 도수(명)
10
이상
~ 15
미만
3 생만 1번을 맞힌 경우이므로 1번 정답자는
15 ~ 20 5 11+5=16(명) 이상이다.
20 ~ 25 7 즉, a=16
25 ~ 30 16
2번 정답자의 수가 최대일 때는 4점, 8점, 9점, 13점을 받
30 ~ 35 11
은 학생이 모두 2번을 맞힌 경우이므로 2번 정답자는
35 ~ 40 5
40 ~ 45 2 5+11+9+5=30(명) 이하이다.
45 ~ 50 1 즉, b=30
합계 50 ∴ a+b=46

1.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77

최상위1-2(정답)001-080.indd 77 19. 12. 17. 오후 6:31


상대도수의 총합은 1이므로 도수의 총합이 20명이므로
b=1-(0.02+0.1+0.28+0.24+0.14+0.06) 2+4+x+3+5+y+1=20
=0.16 즉, x+y=5 …… ㉠
1반과 2반의 전체 도수의 비는 4`:`5이고, 50점 이상 60점 성적의 합이 108점이므로
미만인 계급의 도수의 비는 1`:`1이므로 50점 이상 60점 미 1_2+3_4+4_x+5_3+6_5+8_y+9_1=108
만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비는 4x+8y=40

(1반)`:`(2반)=;4!;`:`;5!;=5`:`4 ∴ x+2y=10 …… ㉡
㉠에서 y=5-x이므로 ㉡에 y`대신 `5-x를 대입하면
즉, a`:`0.16=5`:`4에서 a=0.2
x+2(5-x)=10, x+10-2x=10   ∴ x=0
1반에서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 y=5-x=5-0=5
c=1-(0.05+0.15+0.2+0.3+0.1+0.025)
=0.175  변량의 총합 구하기
(변량의 총합)={(변량)_(도수)}의 총합
∴ 10a-100b+1000c=2-16+175=161

(가)에서 x=1.5z이므로 z=;3@;x …… ㉠ 두 반의 학생 수를 각각 mk명, nk명이라 하면 두 반


의 독서반 학생의 상대도수는 각각 a, b이므로 두 반의 독
(나)에서 ;5Ó0;_2=;5Õ0;+0.1, 2x=y+5
서반 학생 수는 각각 amk명, bnk명이 된다.
∴ y=2x-5 …… ㉡ 따라서 두 반 전체 학생에 대한 독서반 학생의 상대도수는
도수의 총합이 50명이므로 5+x+12+y+5+z=50 (am+bn)k am+bn
=
∴ x+y+z=50-(5+12+5)=28 …… ㉢ (m+n)k m+n
㉢에 ㉠, ㉡을 대입하면

x+(2x-5)+;3@;x=28, 11x=99

∴ x=9

∴ y=2_9-5=13, z=;3@;_9=6

78 ⅠV 통계

최상위1-2(정답)001-080.indd 78 19. 12. 17. 오후 6:32


ⅠV 단원 종합 문제 149~151쪽

6명 880`kg 풀이 참조 20 2 a=80, b=65

8명 40명 0.36 41`:`39 6 68초

0.35 ;bA;명 :ª3°: x=;1Á0; 12 20명

3명 20

문제 풀이

줄기가 3인 잎 중에서 5보다 작은 잎의 수는 4개이고, a-b=15이므로 a>b이다.


줄기가 2인 잎의 수는 2개이므로 몸무게가 35`kg보다 가벼 따라서 a는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에 속하고, b는 60
운 학생 수는 4+2=6(명)이다. 점 이상 70점 미만인 계급에 속한다. 가능한 a와 b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7+21+32+37+34+30+34+45+43+45+40 a 80 80 85 85

 +46+48+45+58+55+54+57+60+69 b 60 65 60 65

=880(kg) a-b 20 15 25 20

따라서 a와 b의 값은 각각
a=80, b=65
몸무게(kg) 도수(명)
이상 미만
20 ~ 30 2
30 ~ 40 5
40 ~ 50 7 히스토그램에서 직사각형의 넓이는 도수에 정비례한다.
50 ~ 60 4 25분 이상 30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이와 30분 이
60 ~ 70 2 상 35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비가 8`:`3이므
합계 20 로 도수의 비도 8`:`3이다.
따라서 2반의 30분 이상 35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가 3명이
므로 25분 이상 30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8명이다.
11 이상 13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x라 하면
{(계급값)_(도수)}의 총합은
6_1+8_2+10_5+12_x+14_2=220 두 자료에서 계급의 크기가 같으므로 도수분포다각형
100+12x=220, 12x=120 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히스토그램에서 직
∴ x=10 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학생 수에 정비례한다.
따라서 도수의 총합은 2반의 학생 수는
1+2+5+10+2=20 2+4+7+10+8+3+1=35(명)
이므로 1반의 학생 수를 x명이라 하면
주어진 영어 성적 자료와 도수분포표를 비교하여 표 8`:`7=x`:`35   ∴ x=40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1반의 학생 수는 40명이다.

성적(점)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점) 도수(명)


이상 미만
50 ~ 60 55, 50 2
통학 시간이 25분 이상 걸리는 학생 수는 각각
60 ~ 70 65, 60, 65, 4
1반은 40-(3+5+8+9)=15(명)
70 ~ 80 70, 70, 75, 70, 75 c=5
80 ~ 90 80, 85, 85, 80, 80, 6
2반은 35-(2+4+7+10)=12(명)

90 ~ 100 90, 95, 95 d=3 따라서 1반과 2반을 합반했을 때, 통학 시간이 25분 이상
합계 20 걸리는 학생들의 상대도수는
15+12
따라서 c-d=5-3=2 =;7@5&;=0.36
40+35
단원 종합 문제 79
도수분포다각형의 가로축의 눈금이 5이고, 20분 이상 D=25_0.32.=8, E=;2°5;=0.2, F=1이므로

25분 미만인 계급은 가로의 길이가 각각 ;2%;로 오른쪽과 왼 8x+0.2=1에서

쪽으로 나누어지므로 왼쪽 부분의 넓이를 A라 하면 8x=0.8   ∴ x=;1Á0;

A=5_(3+5+8)+;2%;_9=102.5

오른쪽 부분의 넓이를 B라 하면 통학 시간이 25분 이상 걸 40`kg 미만인 학생은 2+6=8(명)

리는 학생 수가 15명이므로 ;2¥5;_100=32(%)   ∴ a=32

B=;2%;_9+5_15=97.5 45`kg 이상인 학생은 8+5=13(명)

∴ A`:`B=102.5`:`97.5=41`:`39 ;2!5#;_100=52(%)   ∴ b=52

∴ |b-2a|=|52-2_32|=12
=:Á2ª:=6
A+B
a=(계급값)=
2
70점 미만인 학생이 전체의 80`%이므로 60점 이상

10초부터 계급의 크기가 6초가 되도록 계급을 나누면 7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를 a라 하면

10초 이상 16초 미만인 계급부터 52초 이상 58초 미만인 (0.12+0.28+a)_100=80, (0.4+a)_100=80

계급까지 나누어지기 때문에 처음 계급의 계급값과 마지막 40+100a=80, 100a=40

계급의 계급값의 합은 ∴ a=0.4

10+16 52+58 ∴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학생 수`)=50_0.4


+ =13+55=68(초)
2 2 =20(명)
 계급값 구하기
계급 ‘a 이상 b 미만’에서 계급의 크기가 k일 때, 계급값은 a+;2K; 또는 수학 성적이 60점 미만인 학생의 상대도수가
b-;2K;와 같이 구할 수도 있다. 0.12+0.28=0.4
이므로 60점 이상인 학생의 상대도수는
1-0.4=0.6
1반부터 3반까지의 학생 전체에 대한 O형의 상대도수는
따라서 60점 이상인 학생 수는 50_0.6=30(명)이므로 계
(1반, 2반, 3반의 O형인 학생 수)
(1반, 2반, 3반의 전체 학생 수) 급값이 75점인 계급, 즉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학

=
15+12+15 생 수는 30_;1Á0;=3(명)
39+41+40

=;1¢2ª0;=0.35
주어진 그래프를 도수분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학 성적(점) 계급값(점) 상대도수 도수(명)


(그 계급의 도수) 이상 미만
(도수의 총합)= 이므로 40  ~` 50 45 0.12 6
(어떤 계급의 상대도수)
50  ~` 60 55 0.28 14
1학년 5반의 전체 학생 수는 ;bA;명이다. 60  ~` 70 65 0.4 20
70  ~` 80 75 0.06 3
80  ~` 90 85 0.08 4
30`kg 이상 35`kg 미만인 계급의 도수가 2명, 전체 도 90  ~`100 95 0.06 3
수가 25명이므로 상대도수는 합계 1 50

A=;2ª5;=0.08 성적이 높은 쪽에서 10번째인 학생은 70점 이상 80점 미만


40`kg 이상 45`kg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가 0.16이므로 인 계급에 속하므로 a=75
C=25_0.16=4 성적이 낮은 쪽에서 10번째인 학생은 50점 이상 60점 미만
45`kg 이상 50`kg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가 0.32이므로 인 계급에 속하므로 b=55
D=25_0.32=8 ∴ a-b=75-55=20
2+B+C+D+5=25에서 B=6

=:ª3°:
C 4 4
∴ = =
A_B 0.08_6 0.48

80 ⅠV 통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