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4

수학 잘하는 학생들이 보는 중등 수학 심화서

유형 심화

중학

정답과 풀이 1 2
005
I.
 24
기본 도형 직선은 AB ê, AC ê, AD ê, BC ê, BD ê, CD ê의 6개이므로 a=6
반직선은 AB³, AC³, AD³, BÕA,³ BC³, BD³, CA³, CB³, CD³, DÕA³, DB³,
DC³의 12개이므로 b=12
01 기본 도형 선분은 ABÓ, ACÓ, ADÓ, BCÓ, BDÓ, CDÓ의 6개이므로 c=6

1
∴ a+b+c=6+12+6=24

STEP 교과서를 정복하는 핵 심 유 형


본교재 007 ~ 010쪽
006  18개

반직선은 AE³, BE³, CE³, DE³, BÕA³, CÕA,³ DÕÕA,³ EÕA의


³ 8개이다.
001 2 002 ②, ③ 003 ③, ④ 004 ㄱ, ㄷ 005 24 선분은 ABÓ, ACÓ, ADÓ, AEÓ, BCÓ, BDÓ, BEÓ, CDÓ, CEÓ, DEÓ의 10개이다.
006 18개 007 14개 008 20 009 3`cm 따라서 구하는 서로 다른 반직선의 개수와 선분의 개수의 합은
010 12`cm 011 4`cm 012 12`cm 013 3`cm 014 64ù 8+10=18(개)
015 100ù 016 95ù 017 22ù 018 100ù
019 30쌍 020 ③ 021 6`cm 007  14개

네 점 A, B, C, D 중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반직선은

001 2 AD³, BD³, CD³, BÕA,³ CA³, DÕA³의 6개이고, 네 점 A, B, C, D 중 한


점과 점 E를 이어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반직선은 AE³, BE³, CE³,
(교점의 개수)=(꼭짓점의 개수)=9(개)
DE³, EÕA³, EB³, EC³, ED³의 8개이므로 모두 6+8=14(개)
∴ a=9
(교선의 개수)=(모서리의 개수)=16(개)
∴ b=16 008  20
면의 개수는 9개이므로 c=9 직선은 AB ê, AC ê, AD ê, AE ê, BC ê, BDê, BE ê, CD ê, CE ê, DE ê의 10개
∴ a-b+c=9-16+9=2 이므로 a=10
반직선의 개수는 직선의 개수의 2배이므로 20개이다.   ∴ b=20
002  ②, ③ 선분의 개수는 직선의 개수와 같으므로 10개이다.   ∴ c=10
∴ a+b-c=10+20-10=20
② 면과 면이 만나서 생기는 교선은 직선 또는 곡선이다.
[다른 풀이]
③ 직육면체에서 교선의 개수는 12개, 면의 개수는 6개이므로 교선의 개
직선은 AB ê, ACê, AD ê, AEê, BC ê, BDê, BE ê, CD ê, CE ê, DEê의 10개
수는 면의 개수의 2배이다.
이므로 a=10
④ 오각뿔의 교점의 개수와 면의 개수는 모두 6개로 같다.
반직선은 AB³, BÕA³, AC³, CA³, AD³, DÕÕA³, AE³, EÕA³, BC³, CB³, BD³,
⑤ 육각기둥의 교점의 개수는 12개, 교선의 개수는 18개이므로 그 합은
DB³, BE³, EB³, CD³, DC³, CE³, EC³, DE³, EÕD³의 20개이므로 b=20
12+18=30(개)이다.
선분은 ABÓ, ACÓ, ADÓ, AEÓ, BCÓ, BDÓ, BEÓ, CDÓ, CEÓ, DEÓ의 10개이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③이다.
므로 c=10
∴ a+b-c=10+20-10=20
003  ③, ④

③ AC³와 CÕA는
³ 시작점과 방향이 모두 다르므로 서로 다른 반직선이다.
009  3`cm
④ ‌오른쪽 그림에서 CÕA는
³ AÕD에
³ 포
l
함되지 않는다. A B C D AÕNÓ=;2!;`ACÓ=;2!;_22=11(cm)
⑤ ‌오른쪽 그림에서 BÕD와
³ CB³의 공 ABÓ=22-6=16(cm)
l
통인 부분은 BCÓ이다. A B C D
AÕMÓ=;2!;`ABÓ=;2!;_16=8(cm)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④이다.
∴ MNÓ=AÕNÓ-AÕM=
Ó 11-8=3(cm)

004  ㄱ, ㄷ

ㄴ. 선분은 양 끝 점을 포함한다.
010  12`cm

ㄹ. 시작점과 방향이 모두 같아야 같은 반직선이다. Ó ;2!;`MBÓ=;2!;_14=7(cm)이므로


NÕB=
ㅁ, ‌ㅂ. 반직선은 한쪽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모양이고, 직선은 양쪽 방향
ABÓ=3NBÓ=3_7=21(cm)
으로 뻗어나가는 모양이므로 반직선과 직선은 길이를 생각할 수 없다.
이때 3APÓ=4BPÓ이므로 APÓ`:`BPÓ=4`:`3
ㅅ. ‌서로 다른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오직 하나뿐이며, 두 점을 지나는
선은 무수히 많다. ∴ APÓ=;7$;`ABÓ=;7$;_21=12(cm)

002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 2021-05-12 오후 1:23:27


011  4`cm 017  22ù

ACÓ=2CDÓ이므로 ACÓ`:`CDÓ=2`:`1 ∠AOC+∠COB=180ù에서


∴ ACÓ=;3@;`ADÓ=;3@;_24=16(cm) ∠AOC+;3@;∠AOC=180ù
ABÓ=3BCÓ이므로 ABÓ`:`BCÓ=3`:`1
;3%;∠AOC=180ù ∴ ∠AOC=108ù
∴ BCÓ=;4!;`ACÓ=;4!;_16=4(cm)
∠COB=180ù-108ù=72ù이므로
∠x+(4∠x-38ù)=72ù, 5∠x=110ù ∴ ∠x=22ù
012  12`cm

ABÓ=2AÕMÓ=2_9=18(cm) 018  100ù


ABÓ`:`BCÓ=3`:`1이므로 18`:`BCÓ=3`:`1 90ù+(∠x+10ù)+(4∠x-35ù)=180ù에서
3BCÓ=18   ∴ BCÓ=6(cm) 5∠x+65ù=180ù, 5∠x=115ù
따라서 BNÓ=;2!;`BCÓ=;2!;_6=3(cm), MBÓ=AÕMÓ=9`cm이므로 ∴ ∠x=23ù
∴ ∠y=90ù+(∠x+10ù)=90ù+(23ù+10ù)=123ù
MNÓ=MBÓ+BNÓ=9+3=12(cm)
∴ ∠y-∠x=123ù-23ù=100ù

013  3`cm
019  30쌍
LBÓ=;2!;`ABÓ, BÕM=
Ó ;2!;`BCÓ이므로
6개의 직선을 a, b, c, d, e, f라고 하면
LÕMÓ=LBÓ+BÕMÓ=;2!;(ABÓ+BCÓ)=;2!;_(28+16)=22(cm) 직선 a와 b, a와 c, a와 d, a와 e, a와 f, b와 c, b와 d, b와 e, b와 f,
c와 d, c와 e, c와 f, d와 e, d와 f, e와 f로 만들어지는 맞꼭지각이 각
∴ LNÓ=;2!;`LÕMÓ=;2!;_22=11(cm) 각 2쌍이므로 2_15=30(쌍)
[다른 풀이]
따라서 LBÓ=;2!;`ABÓ=;2!;_28=14(cm)이므로
한 점에서 만나는 서로 다른 n개의 직선으로 만들어지는 맞꼭지각은
NBÓ=LBÓ-LNÓ=14-11=3(cm) n(n-1)쌍이므로 한 점에서 만나는 서로 다른 6개의 직선으로 만들어
지는 맞꼭지각은 6_(6-1)=30(쌍)
014  64ù

∠AOB+∠BOC=90ù, ∠BOC+∠COD=90ù이므로 020 ③


2∠BOC+∠AOB+∠COD=180ù ③ ACÓ⊥BDÓ인지 알 수 없다.
2∠BOC+52ù=180ù, 2∠BOC=128ù
∴ ∠BOC=64ù 021  6`cm
[다른 풀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 DEF D
∠AOB+∠BOC=90ù, ∠BOC+∠COD=90ù이므로
의 점 D에서 EFê에 내린 수선의
∠AOB=∠COD=;2!;_52ù=26ù 발을 H라고 하면 점 D와 EF ê 사 E H
18 cm F
∴ ∠BOC=90ù-26ù=64ù 이의 거리는 삼각형 DEF의 높이
와 같으므로 DHÓ의 길이이다.
015  100ù 이때 두 삼각형 ABC와 DEF의 넓이가 같으므로

∠x`:`∠y=1`:`3, ∠x`:`∠z=2`:`1이므로 ;2!;_9_12=;2!;_18_DHÓ


∠x`:`∠y`:`∠z=2`:`6`:`1 54=9`DHÓ   ∴ DHÓ=6(cm)
6
∴ ∠y=180ù_ =180ù_;3@;=120ù, 따라서 점 D와 직선 EF 사이의 거리는 6`cm이다.
2+6+1
1
∠z=180ù_ =180ù_;9!;=20ù
2+6+1
∴ ∠y-∠z=120ù-20ù=100ù

016  95ù

시침이 12를 가리킬 때부터 5시간 10분 동안 움직인 각도는


30ù_5+0.5ù_10=155ù
분침이 12를 가리킬 때부터 10분 동안 움직인 각도는
6ù_10=60ù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는 155ù-60ù=95ù

01 기본 도형 003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 2021-05-12 오후 1:23:28


STEP 2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심 화 유 형
본교재 012 ~ 014쪽
026  5개

직선과 선분의 각각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차를 구하는 것이므로


직선과 선분의 개수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만 생각하면 된다.
4개의 점 D, E, F, G는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4개의 점 D, E, F, G
022 20 023 ④ 024 25개 025 ①, ⑤
중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직선은 DGê의 1개이고, 선분은
026 5개 027 16 028 16 029 36`cm
DEÓ, DFÓ, DGÓ, EFÓ, EGÓ, FGÓ의 6개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개수와 선분
030 72`cm 031 6 032 105ù 033 75ù
의 개수의 차는 6-1=5(개)
034 44분 035 28 036 18쌍 037 135ù
[다른 풀이]
038 140ù 039 59 직선은 AB ê, AC ê, AD ê, AEê, AF ê, AG ê, BC ê, BD ê, BE ê, BF ê, BGê,
   CD ê, CE ê, CF ê, CG ê, DGê의 16개

022  20 선분은 ABÓ, ACÓ, ADÓ, AEÓ, AFÓ, AGÓ, BCÓ, BDÓ, BEÓ, BFÓ, BGÓ,
CDÓ, CEÓ, CFÓ, CGÓ, DEÓ, DFÓ, DGÓ, EFÓ, EGÓ, FGÓ의 21개
교점의 개수는 꼭짓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9개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직선의 개수와 선분의 개수의 차는 21-16=5(개)
∴ a=9 yy 20`%
교선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으므로 14개이다.
∴ b=14 yy 20`%
027  16
면의 개수는 7개이므로 c=7 yy 20`%
서로 다른 직선의 개수가 최대이려면 오른쪽 그림 A
한 꼭짓점에서 만나는 교선의 최대 개수는 4개이므로 d=4 yy 20`%
과 같이 6개의 점 중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B
∴ a+b-c+d=9+14-7+4=20 yy 20`% F
있지 않아야 한다.
즉 직선은 AB ,ê AC ,ê ADê, AEê, AF ,ê BCê, BDê, C
023 ④   BE ê, BF ê, CD ê, CE ê, CF ê, DE ê, DF ê, EF ê의 E
D
n각기둥의 교점의 개수는 꼭짓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2n개이다. 15개이므로 x=15
∴ a=2n 서로 다른 직선의 개수가 최소이려면 오른
n각기둥의 교선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으므로 3n개이다. 쪽 그림과 같이 6개의 점이 한 직선 위에 있어야 한다.  
∴ b=3n ∴ y=1
원기둥의 교점은 없으므로 c=0 ∴ x+y=15+1=16
원기둥의 교선은 2개이므로 d=2
∴ a+b+c+d=2n+3n+0+2=5n+2
028  16

Ú 지름을 제외하고 점 A를 지나는 직선은 AB ê, AC ê )


024  25개
지름을 제외하고 점 E를 지나는 직선은 BE ê, CE ê |
지름을 포함하지
}
직선의 개수가 2개일 때, 교점의 개수는 1개 지름을 제외하고 점 D를 지나는 직선은 BD ê, CD ê 않는 직선 : 7개
|
직선의 개수가 3개일 때, 교점의 개수는 1+2=3(개) 원주 위의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BC ê 0
직선의 개수가 4개일 때, 교점의 개수는 1+2+3=6(개) 지름을 포함하는 직선은 AD ê
⋮ 즉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직선은 모두 2+2+2+1+1=8(개)
직선의 개수가 n개일 때, 교점의 개수는 ∴ x=8 yy 30`%
n(n-1) Û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점 중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
1+2+3+y+(n-1)= (개)
2
는 반직선의 개수는 직선의 개수의 2배이므로 지름 위의 두 점을 이
n(n-1)
따라서 교점의 개수가 300개이므로 =300
2 어 만들 수 있는 반직선을 제외한 반직선은
n(n-1)=600=25_24   ∴ n=25 2_`7=14(개)
따라서 한 평면 위에 그은 직선의 개수는 25개이다. 이때 지름 위의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반직선은 AD³, ED³, DÕÕA,³
EÕA³의 4개이므로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반직선은 모두
14+4=18(개)  
025  ①, ⑤
∴ y=18 yy 30`%
① 오른쪽 그림에서 ABÓ와 BCÓ Ü 지름 위에 있지 않은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선분의 개수는 지름
의 공통인 부분은 점 B이 l
A B C D E 을 포함하지 않는 직선의 개수와 같으므로 `7개이고, 지름 위의 두 점
다. 을 이어 만들 수 있는 선분은 AEÓ, ADÓ, DEÓ의 3개이므로 만들 수
⑤ 오른쪽 그림에서 CA³와 CDÓ 있는 서로 다른 선분은 모두 7+3=10(개)
의 공통인 부분은 점 C이 l
A B C D E ∴ z=10 yy 30`%
다. Ú~Ü에서 x+y-z=8+18-10=16 yy 10`%

004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 2021-05-12 오후 1:23:29


029  36`cm (∠a+∠x)+(∠b+∠y)=180ù이므로
∠x+∠y+75ù=180ù
ABÓ=2LBÓ, BCÓ=2BMÓ이므로
∴∠x+∠y=105ù
ACÓ=ABÓ+BCÓ=2(LBÓ+BMÓ)=2_15=30(cm)
BCÓ=4ABÓ에서 ABÓ`:`BCÓ=1`:`4이므로

BCÓ=;5$;`ACÓ=;5$;_30=24(cm)
033  75ù

∠BOC+100ù+∠AOE=180ù, ∠BOC+∠AOE=80ù
따라서 CDÓ=3BCÓ=3_24=72(cm)이므로
∴ ∠AOE=80ù-∠BOC
CNÓ=;2!;`CDÓ=;2!;_72=36(cm) 이때 30ùÉ∠BOCÉ55ù이므로
Ú ∠BOC=30ù일 때, ∠AOE=80ù-30ù=50ù
Û ∠BOC=55ù일 때, ∠AOE=80ù-55ù=25ù
030  72`cm
Ú, Û에서 25ùÉ∠AOEÉ50ù
APÓ=a`cm라고 하면 따라서 ∠AOE의 크기가 가장 클 때와 가장 작을 때의 합은
APÓ`:`PBÓ=2`:`7이므로 PBÓ=;2&;`APÓ=;2&;a(cm) 50ù+25ù=75ù

∴ ABÓ=APÓ+PBÓ=a+;2&;a=;2(;a(cm)
034  44분
AQÓ`:`QBÓ=7`:`5이므로
360ù
AQÓ=;1¦2;`ABÓ=;1¦2;_;2(;a=:ª8Á:a(cm) 원 O를 1회전 하는 데 OÕA³는 36분이 걸리므로 1분에 , 즉 10ù씩
36
360ù
PQÓ=AQÓ-APÓ=:ª8Á:a-a=:Á8£:a(cm) 움직이고, OB³는 72분이 걸리므로 1분에 , 즉 5ù씩 움직인다.
72
이때 점 M은 PBÓ의 중점이므로  yy 35`%
OÕA³와 OB³가 이루는 각이 처음으로 130ù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x
PMÓ=;2!;`PBÓ=;2!;_;2&;a=;4&;a(cm)
분이라고 하면 현재의 위치의 OÕA³를 기준으로 하여 x분 동안 OÕA³와
PMÓ=PQÓ+QMÓ이므로 ;4&;a=:Á8£:a+2 OB³가 움직인 각도는 각각 10ù_x, 90ù+5ù_x이므로
10ù_x-(90ù+5ù_x)=130ù, 5ù_x=220ù
14a=13a+16   ∴ a=16
∴ x=44 yy 55`%
∴ ABÓ=;2(;a=;2(;_16=72(cm) 따라서 OÕA³와 OB³가 이루는 각이 처음으로 130ù가 될 때까지 44분이 걸
린다.  yy 10`%

031 6

㈎에서 두 점 E, F의 위치는 다음 그림과 같다.


035  28

시침은 1시간 동안 30ù만큼 움직이고 1분 동안 0.5ù만큼 움직이므로 시


A E B F
침이 시계의 12를 가리킬 때부터 2시간 x분 동안 움직인 각도는
㈏에서 점 H의 위치는 다음 그림과 같다. 30ù_2+0.5ù_x=60ù+0.5ù_x
분침은 1분 동안 6ù만큼 움직이므로 분침이 시계의 12를 가리킬 때부터
A H E B F
x분 동안 움직인 각도는
㈐에서 두 점 C, D의 위치는 다음 그림과 같다. 6ù_x
C A H E D B F 이때 두 바늘이 이루는 각이 둔각이므로
6ù_x-(60ù+0.5ù_x)>90ù
따라서 점 G의 위치는 다음 그림과 같다.
5.5ù_x-60ù>90ù
C A H E D B G F 따라서 5.5ù_27-60ù=88.5ù, 5.5ù_28-60ù=94ù이므로
구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의 값은 28이다.
이때 AEÓ=4이므로 DFÓ=;2#;`AEÓ=;2#;_4=6

036  18쌍
032  105ù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꼭지각은 3_(3-1)=6(쌍)이
∠APB=∠a, ∠CPQ=∠b라고 하자. B' 고,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꼭지각은 2쌍이다.
A D
접은 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x 즉 세 직선이 점 A, 점 C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꼭지각은 각각 6쌍이고,
C'
∠APB'=∠APB=∠a, 30ù 두 직선이 점 B, 점 D, 점 E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꼭지각은 각각 2쌍
Q
a b y
∠C'PQ=∠CPQ=∠b a b 이다.
B C
이때 2∠a+2∠b+30ù=180ù이므로 P 따라서 서로 다른 5개의 직선이 5개의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꼭지각
2(∠a+∠b)=150ù ∴ ∠a+∠b=75ù 은 모두 6+6+2+2+2=18(쌍)

01 기본 도형 005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 2021-05-12 오후 1:23:29


037  135ù

∠AOC+∠COG+∠GOF+∠FOB=180ù
STEP
3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최 고 난 도 유 형

본교재 015 ~ 017쪽


이때 ∠COG=∠AOG-∠AOC=4∠AOC-∠AOC=3∠AOC,
∠GOF=3∠FOB이므로
040 78ù 041 ⑴ 12 ⑵ 63 042 64
∠AOC+3∠AOC+3∠FOB+∠FOB=180ù
043 ㄱ, ㄷ, ㅁ, ㅂ 044 117ù 045 67
4(∠AOC+∠FOB)=180ù
∴ ∠AOC+∠FOB=45ù 046 :£1¤1¼:분 047 100ù
∴ ∠DOE=∠COF`(맞꼭지각) 창 의 융 합
=180ù-(∠AOC+∠FOB)
048 15 049 103`m
=180ù-45ù=135ù

038  140ù 040  78ù

∠a=;3@;∠b에서 ∠a`:`∠b=2`:`3이고 ∠COD=∠x라고 하면  B A


C
y
∠DOE=;2#;∠COD=;2#;∠x
∠a=;2!;∠c에서 ∠a`:`∠c=1`:`2이므로 x
AEê⊥DHê에서 ∠DOE=90ù이므로 D O x H
∠a`:`∠b`:`∠c=2`:`3`:`4 yy 40`%
∠AOF=∠COD=∠b`(맞꼭지각)이므로 ;2#;∠x=90ù ∴ ∠x=60ù y
G
E F
∠BOE=∠a+∠b+∠c=180ù ∴ ∠COD=60ù
3
∴ ∠b=180ù_ =60ù, ∠EOF=∠AOB`(맞꼭지각)이므로
2+3+4
4 ∠EOF=∠AOB=∠y라고 하면
∠c=180ù_ =80ù yy 40`%
2+3+4
∠FOG=;2#;∠AOB=;2#;∠y이고
∴ ∠AOE=∠AOF+∠FOE
∠GOH=∠COD=60ù`(맞꼭지각)
=∠b+∠c
∴ ∠EOH=∠EOF+∠FOG+∠GOH
=60ù+80ù=140ù yy 20`%
=∠y+;2#;∠y+60ù=;2%;∠y+60ù
039  59 이때 AE ê⊥DHê에서 ∠EOH=90ù이므로
두 점 A, B와 네 점 P, Q, R, S를 좌 y
;2%;∠y+60ù=90ù, ;2%;∠y=30ù ∴ ∠y=12ù
3S B(6, 3)
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C
따라서 ∠EOF=12ù이므로
같으므로 P R
-4 O 6x ∠FOH=90ù-∠EOF=90ù-12ù=78ù
(육각형 PAQRBS의 넓이)
=(사각형 ADBC의 넓이)
D
A(-4, -5) Q -5
-(삼각형 CPS의 넓이)
-(삼각형 RQD의 넓이)

=10_8-;2!;_4_3-;2!;_6_5

=80-6-15=59
041  ⑴ 12 ⑵ 63

[다른 풀이] ⑴ x의 값이 가장 작으면서 원래 직선과 처음으로 일치할 때는 180ù만큼


위의 그림에서 회전한 후이다.
(육각형 PAQRBS의 넓이) 이때 원래 직선이 다섯 번째 회전한 직선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사다리꼴 SPRB의 넓이)+(사다리꼴 PAQR의 넓이) xù+2xù+3xù+4xù+5xù=15xù이므로
15xù=180ù
=;2!;_(6+10)_3+;2!;_(4+10)_5
∴ x=12
=24+35=59
⑵ 원래 직선이 네 번째 회전한 직선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xù+2xù+3xù+4xù=10xù이고
네 번째 회전한 직선이 원래 직선과 수직이 되었으므로 원래 직선이
네 번째 회전한 직선과 이루는 각의 크기로 가능한 것은
90ù, 270ù, 450ù, 630ù, 810ù, y
즉 10xù=90ù, 270ù, 450ù, 630ù, 810ù, y
∴ xù=9ù, 27ù, 45ù, 63ù, 81ù, y
이때 50<x<80이므로 x=63

006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 2021-05-12 오후 1:23:30


∠e ∠f
042  64 Û [그림 2]에서 =
∠f ∠g
=;3@;이므로 ∠f=;3@;∠g

Ú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직선은 l의 1개   ∴ a=1 ∠e=;3@;∠f=;3@;_;3@;∠g=;9$;∠g


Û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선분은
이때 ∠e+∠f+∠g=152ù이므로
AÕÁAªÓ, AÕÁA£Ó, y, AÁÕAÁ¼Ó : 9개
AÕªA£Ó, AÕªA¢Ó, y, AªÕAÁ¼Ó : 8개 ;9$;∠g+;3@;∠g+∠g=:Á9»:∠g=152ù

AÕ£A¢Ó, AÕ£A°Ó, y, A£ÕAÁ¼Ó : 7개 ∴ ∠g=72ù


⋮ Ú, Û에서 ∠c+∠g=45ù+72ù=117ù
A»ÕAÁ¼Ó : 1개
이므로 모두 9+8+7+6+5+4+3+2+1=45(개)
045  67
∴ b=45
Ü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반직선은 한 평면 위에 일치하지 않는 10개의 직선을 그을
시작점이 AÁ인 반직선 : AÕÁAª³의 1개 때 10개의 직선이 서로 만나지 않으면 평면은 오른
시작점이 Aª, A£, y, A»인 반직선 : 각각 2개씩 쪽 그림과 같이 최소 11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시작점이 AÁ¼인 반직선 : AÁ¼ÓA»³의 1개 ∴ m=11
이므로 모두 1+2_8+1=18(개)   ∴ c=18 또한 한 평면 위에 일치하지 않는 직선을 그을 때
Ú~Ü에서 a+b+c=1+45+18=64 나누어지는 평면의 최대 개수를 구하면 다음 표와 같다.
직선의 개수(개) 1 2 3

043  ㄱ, ㄷ, ㅁ, ㅂ
직선
다음 그림과 같이 ABÓ를 6등분 하는 점을 차례대로 C, D, E, F, G라고
하자. 평면의
2 4=2+2 7=2+2+3
최대 개수(개)
A C D E F G B
직선의 개수(개) 4 5 y
ㄱ. (AB)★B=E★B=F,
‌ AB=F이므로
(AB)★B=AB
ㄴ. (AB)A=FA=D,
‌ B★A=F이므로 직선 y
(AB)A+B★A
ㄷ. A(BA)=AE=D,
‌ A★B=D이므로
평면의
A(BA)=A★B 11=2+2+3+4 16=2+2+3+4+5 y
최대 개수(개)
ㄹ. (B★A)A=FA=D,
‌ B★A=F이므로
(B★A)A+B★A 따라서 n개의 직선을 그을 때 나누어지는 평면의 최대 개수는
ㅁ. A(BA)=AD=C,
‌ (AB)A=EA=C이므로 (2+2+3+4+y+n)개이므로
A(BA)=(AB)A 10개의 직선을 그을 때 나누어지는 평면의 최대 개수는
ㅂ. (AB)B=EB=G,
‌ (AB)B=FB=G이므로 2+2+3+4+y+10=56   ∴ n=56
(AB)B=(AB)B ∴ m+n=11+56=67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ㅁ, ㅂ이다.

046  ':£1¤1¼: 분
044  117ù 시계의 시침이 1시간 동안 움직이는 각의 크기는 30ù, 1분 동안 움직이
Ú [그림 1]에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각은 ∠AÁOAª, ∠AÁOA£, 는 각의 크기는 0.5ù, 분침이 1분 동안 움직이는 각의 크기는 6ù
∠AÁOA¢, ∠AÁOA°, ∠AªOA£, ∠AªOA¢, ∠AªOA°, 이때 구하는 시간은 7시와 8시 사이에 첫 번째로 시침과 분침이 직각을
∠A£OA¢, ∠A£OA°, ∠A¢OA°이므로 모든 각의 크기의 합은 이루는 시각부터 두 번째로 직각을 이루는 시각까지이다.
∠a+(∠a+∠b)+(∠a+∠b+∠c) Ú 7 시 x분에 첫 번째로 시침과 분침이 직각을 이룬다고 하면
+(∠a+∠b+∠c+∠d)+∠b 시침이 시계의 12를 가리킬 때부터 7시간 x분 동안 회전한 각도는
+(∠b+∠c)+(∠b+∠c+∠d)+∠c+(∠c+∠d)+∠d 30ù_7+0.5ù_x=210ù+0.5ù_x
=4∠a+6∠b+6∠c+4∠d=750ù 분침이 시계의 12를 가리킬 때부터 x분 동안 회전한 각도는 6ù_x
이때 ∠a`:`∠b`:`∠c`:`∠d=1`:`2`:`3`:`4에서 시침이 분침보다 더 많이 회전한 상태이므로
∠b=2∠a, ∠c=3∠a, ∠d=4∠a이므로 (210ù+0.5ù_x)-6ù_x=90ù, -5.5ù_x=-120ù
4∠a+6_2∠a+6_3∠a+4_4∠a=750ù ∴ x=:ª1¢1¼:
50∠a=750ù ∴ ∠a=15ù
∴ ∠c=3∠a=3_15ù=45ù 즉 첫 번째로 시침과 분침이 직각을 이루는 시각은 7시 :ª1¢1¼:분이다.

01 기본 도형 007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7 2021-05-12 오후 1:23:31


Û 7 시 y분에 두 번째로 시침과 분침이 직각을 이룬다고 하면 따라서 n개의 선분을 그어서 생기는 교점의 개수는
시침이 시계의 12를 가리킬 때부터 7시간 y분 동안 회전한 각도는 n(n-1)
1+2+3+y+(n-1)= (개)이므로
2
30ù_7+0.5ù_y=210ù+0.5ù_y
n(n-1)
분침이 시계의 12를 가리킬 때부터 y분 동안 회전한 각도는 6ù_y =105, n(n-1)=210=15_14  
2
분침이 시침보다 더 많이 회전한 상태이므로
∴ n=15
6ù_y-(210ù+0.5ù_y)=90ù, 5.5ù_y=300ù
∴ y=:¤1¼1¼:

즉 두 번째로 시침과 분침이 직각을 이루는 시각은 7시 :¤1¼1¼:분이다.


049  103`m 창 의 융 합

㈐에서 공원은 민수네 집과 도서관 사이에 위치한다.


Ú, Û에서 7시와 8시 사이에 시침과 분침이 90ù 이하의 각을 이루는 시
㈏에서 민수네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도서관에서 공원까지의 거리
간은 :¤1¼1¼:-:ª1¢1¼:=:£1¤1¼:(분) 동안이다. 의 비가 2`:`3이므로 민수네 집을 일직선 위의 제일 왼쪽 점에 대응시키
고 공원과 도서관의 위치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047  100ù 민수네 집 공원 도서관

∠ABC=∠x, ∠HGI=∠y라 하고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음을 ㈑에서 학교는 민수네 집과 공원 사이에 있고, ㈎에서 학교와 공원 사이
이용하여 각의 크기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의 거리가 25`m이므로 학교의 위치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b 25 m
A
a C
x L 민수네 집 학교 공원 도서관
D B h
x J 민수네 집과 학교 사이의 거리를 x`m라고 하면 ㈒에서 공원과 도서관
c50ù 50ù y 60ù 60ù g
d F 사이의 거리는 민수네 집과 학교 사이의 거리의 4배이므로 4x`m이다.
E G
y K
xm 25 m 4x m
e I
H
f 민수네 집 학교 공원 도서관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에서 (x+25)`:`4x=2`:`3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a+∠b+∠x=180ù 3(x+25)=8x, 3x+75=8x, -5x=-75   ∴ x=15
∴ ∠x=180ù-∠a-∠b 이때 공원과 도서관 사이의 거리는 4x=4_15=60(m)이고 ㈓에서
삼각형 DEF에서 ∠c+∠d+50ù=180ù 문구점과 도서관 사이의 거리는 18`m이므로 가능한 문구점의 위치`(㉠,
∴ ∠c+∠d=130ù ㉡)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삼각형 GHI에서 ∠e+∠f+∠y=180ù 60 m
∴ ∠y=180ù-∠e-∠f 15 m 25 m 18 m 18 m
삼각형 JKL에서 ∠g+∠h+60ù=180ù 민수네 집 학교 공원 ㉠ 문구점 도서관 ㉡ 문구점

∴ ∠g+∠h=120ù yy 35`% 따라서 문구점의 위치가 ㉡일 때, 학교와 문구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사각형 BFGJ의 네 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되므로 학교와 문구점 사이의 최대 거리는
∠x+∠y+50ù+60ù=360ù 25+60+18=103(m)
(180ù-∠a-∠b)+(180ù-∠e-∠f)+50ù+60ù=360ù
∴ ∠a+∠b+∠e+∠f=110ù yy 35`%
∴ ∠a+∠b-∠c-∠d+∠e+∠f+∠g+∠h
‌
=(∠a+∠b+∠e+∠f)-(∠c+∠d)+(∠g+∠h)
=110ù-130ù+120ù=100ù yy 30`%

048  15 창 의 융 합

교점이 생기려면 선분을 2개 이상 그어야 한다.


주어진 규칙에 따라 선분을 그었을 때 생기는 교점의 개수를 구하면 다
음 표와 같다.
가로의 수와 세로의 수의 합 선분의 개수(개) 교점의 개수(개)
3 2 1
4 3 3=1+2
5 4 6=1+2+3
6 5 10=1+2+3+4
⋮ ⋮ ⋮

008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8 2021-05-12 오후 1:23:32


02 위치 관계 ④ ‌모서리 BCÓ와 평행한 모서리는 EFÓ, HIÓ, LKÓ의
3개이다. B
A F
E

1
⑤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C D
STEP 교과서를 정복하는 핵 심 유 형 CÕI,Õ DJÓ, EKÓ, FLÓ, HÕI,Õ IJÓ, GLÓ, LKÓ의 8개이다. G L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⑤이다. H K
본교재 019 ~ 022쪽
I J
050 ㄴ, ㄹ 051 5 052 7개 053 7 054 ③, ⑤
055 ③ 056 ② 057 12 058 ㄱ, ㄴ 059 ②, ④ 055 ③
060 9 061 3 062 ②, ③ 063 ⑤ ① ‌오른쪽 그림의 정육면체에서 l//m, m⊥n이면  l
064 ⑴ 210ù ⑵ 210ù 065 l//n, p//q 066 84ù l⊥n(nÁ)이거나 l과 n(nª)은 꼬인 위치에 있다. m nÁ

067 125ù 068 15ù 069 26ù 070 135ù nª

② ‌오른쪽 그림의 정육면체에서 l⊥m, l//n이면 l


050  ㄴ, ㄹ m⊥n(nÁ)이거나 m과 n(nª)은 꼬인 위치에 있다.
nÁ m

ㄱ. 오른쪽 그림에서 l//m, m⊥n이면 l⊥n이다.  n



l
④,‌⑤ 오른쪽 그림의 정육면체에서 l⊥m, m⊥n이면 l
m
m
l//n(nÁ)이거나 l⊥n(nª)이거나 l과 n(n£)은 꼬 n¢

ㄷ. 오른쪽 그림에서 l⊥m, m⊥n이면 l//n이다.  m 인 위치에 있거나 l과 n(n¢)은 수직이 아니고 만 n£ nÁ

l 난다.

n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056 ②

주어진 전개도로 삼각기둥을 만들면 오른쪽 그림 J H


051 5
과 같다.
I(A, G)
CD ê와 평행한 직선은 HGê의 1개이므로 x=1 ① 모서리 AB와 평행한 면은 면 JCEH의 1개이다.
오른쪽 그림에서 AH ê와 한 점에서 만나는 직 ② ‌면 IJH와 수직인 모서리는 ABÓ, JCÓ, HEÓ의 C E
선은 AB ê, BC ê, CD ê, EF ê, FGê, GH ê의 6개 A H 3개이다.
이므로 y=6 B G ③ ‌면 CDE와 평행한 모서리는 IJÕ, IHÓ, JHÓ의 3개 D(B, F)

∴ y-x=6-1=5 C F 이다.
D E
④ 모서리 IJ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ABÓ, IHÓ, JCÓ의 3개이다.
⑤ 모서리 GF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CEÓ, JHÓ의 2개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052  7개

네 점 A, B, C, D 중 세 점으로 정해지는 평면은 평면 P의 1개뿐이고, 057  12


네 점 A, B, C, D 중 두 점과 점 E로 정해지는 평면은 평면 ABE,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
평면 ACE, 평면 ADE, 평면 BCE, 평면 BDE, 평면 CDE의 6개이 CHÓ, DÕIÕ, EÕJÕ, GHÓ, HIÓ, IJÓ, FJÓ의 7개이므로 B E
므로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1+6=7(개) a=7 C D
모서리 DI와 평행한 면은 면 ABGF, 면 AFJE,
F
053 7 면 BGHC의 3개이므로 b=3
G J

A D 모서리 BG와 수직인 면은 면 ABCDE, H I


모서리 AD와 평행한 모서리는 BCÓ, EFÓ의 2개
이므로 x=2 면 FGHIJ의 2개이므로 c=2
모서리 BE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 a+b+c=7+3+2=12
AEÓ, BCÓ, EFÓ의 3개이므로 y=3 E F
모서리 EF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BÓ , B C 058  ㄱ, ㄴ
DCÓ의 2개이므로 z=2 ㄷ. l//P, m⊥P이면 다음과 같은 위치 관계가 가능하다.
∴ x+y+z=2+3+2=7
l l l l

054  ③, ⑤ m Pm P P
m
P
m

③ ‌모서리 GL과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AGÓ, FLÓ의 2개이다. l⊥m l, m은 꼬인


m m 위치에 있다.
m m
m m
l l l l l l l lm m

P P P P P 위치 관계
P P P
02 009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9 2021-05-12 오후 1:23:34


l l l l l l l l
mmm m
‌m/P,
ㄹ. l/ Pm
P P P 다음과
/P이면
mm m/ P P 같은
P P위치 관계가 가능하다. ④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에서 P⊥Q이고 Q//R이 P
mmm m mmm m
면 P⊥R이다. Q R
mmm m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mmm m

PPP P PPP P PPP P PPP P


⑤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에서 P⊥Q이고 P//R이 P
면 Q⊥R이다. Q
l//m l⊥m l, m은 수직이 l, m은 꼬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③이다. R
아니고 만난다. 위치에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풀이 첨삭

059  ②, ④ 공간에서 항상 평행하거나 수직인 위치 관계


⑴ 항상 평행한 위치 관계
①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 C ①한
‌ 직선에 평행한 서로 다른 두 직선은 항상 평행하다.
CFÓ, CGÓ, DGÓ, EFÓ의 4개이다. B l//m, l//n이면 m//n
② 모서리 BF와 평행한 모서리는 없다.
l l
③ 면 CFG와 수직인 모서리는 ACÓ, DGÓ, EFÓ D m m
G
의 3개이다. E
F n
④ 면 ADGC와 평행한 모서리는 BEÓ, EFÓ, BFÓ n
의 3개이다.
②한
‌ 평면에 평행한 서로 다른 두 평면은 항상 평행하다.
⑤ 모서리 CF를 포함하는 면은 면 BFC, 면 CFG의 2개이다.
P//Q, P//R이면 Q//R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④이다.
P

060 9 R
Q
모서리 AC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
BDÓ, BEÓ, DGÓ, EFÓ, FGÓ, EGÓ의 6개이므로 x=6 ③한
‌ 직선에 수직인 서로 다른 두 평면은 항상 평행하다.
면 EFG와 수직인 면은 면 BEFC, 면 CFGD, B D l⊥P, l⊥Q이면 P//Q
면 BEGD의 3개이므로 y=3 l l
C
∴ x+y=6+3=9 E G P Q P Q

F
061 3 ④한
‌ 평면에 수직인 서로 다른 두 직선은 항상 평행하다.
주어진 종이를 점선을 따라 접어 만든 입체도형은 A P⊥l, P⊥m이면 l//m
오른쪽 그림과 같다. P P P
모서리 EF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BÓ의 m l l l
m m
1개이므로 a=1
B(C, D) F
면 ADF와 수직인 면은 면 ABE, 면 CEF의 2개
E ⑵ 항상 수직인 위치 관계
이므로 b=2
①한
‌ 평면에 수직인 평면과 평행한 평면은 항상 수직이다.
∴ a+b=1+2=3
P⊥Q, P//R이면 Q⊥R
062  ②, ③ P P P
Q R Q
①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에서 P//Q이고 Q//R이 P Q
R R
면 P//R이다. Q
R ②한
‌ 평면에 평행한 평면과 수직인 직선은 항상 수직이다.
②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에서 P//Q이고 P⊥R이 P P//Q, P⊥l이면 Q⊥l
면 Q⊥R이다. R P P P P
l l
Q
l l
③ P⊥Q이고
‌ P⊥R이면 다음과 같은 위치 관계가 가능하다. Q Q Q Q

P P P
P P P P P P
Q Q Q Q
Q RQ RQ R QR QR R
R R R

Q⊥R Q, R는 수직이 Q//R


아니고 만난다.

010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0 2021-05-12 오후 1:23:36


063 ⑤ 068  15ù

① ∠c의 동위각은 ∠g, ∠j이다.  a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를 시작점으로 F


② ∠d의 동위각은 ∠h, ∠k이다. b d 하고 ED³, GF³에 평행한 BH³를 그으면 H 4x+15ù C
c D
④ ∠c의 엇각은 ∠e, ∠l이다. ∠HBA=∠DEA
G
③ ∠d의 엇각은 ∠i이다. e l =2∠x+20ù`(동위각)
h i 2x+20ù 4x+15ù
⑤ ∠e의 엇각은 ∠c이다. f g k ∠HBC=∠FGC A E B
j 2x+20ù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4∠x+15ù`(동위각)
따라서 (2∠x+20ù)+(4∠x+15ù)=125ù이므로
6∠x+35ù=125ù, 6∠x=90ù

064
∴ ∠x=15ù
 ⑴ 210ù ⑵ 210ù

⑴ ∠c의 엇각은 ∠d, ∠j이므로 e d


b a 069  26ù
구하는 각의 크기의 합은 f
110ù c 30ù ∠ECD=∠ECF=26ù`(접은 각)이므로
∠d+∠j
h g j ∠z=90ù-(26ù+26ù)=38ù
=(180ù-110ù) k
60ù i 40ù ADÓ// BCÓ이므로
+(180ù-40ù) l
∠y=∠ECB`(엇각)=26ù+∠z=26ù+38ù=64ù
=70ù+140ù=210ù
∠FEC=∠y=64ù`(접은 각)이므로
⑵ ∠d의 동위각은 ∠a, ∠g이므로 구하는 각의 크기의 합은
∠x=180ù-(64ù+64ù)=52ù
∠a+∠g=(180ù-30ù)+60ù=150ù+60ù=210ù
∴ ∠x-∠y+∠z=52ù-64ù+38ù=26ù

070  135ù
065  l//n, p//q
오른쪽 그림과 같이 꺾인 점을 지나면 45ù
a a m
두 직선 l, n이 직선 p와 만날 때, 엇각의 크 p q r 서 두 직선 m, n에 평행한 직선을 각 b
기가 59ù로 같으므로 l//n 각 그으면 동위각과 엇각의 크기가 각 a+b k
l c
59ù 120ù
두 직선 p, q가 직선 n과 만날 때, 동위각의 61ù 각 같으므로 a+b+c a+b+c+d
m d
n
크기가 121ù로 같으므로 p//q 59ù ∠a+∠b+∠c+∠d+45ù=180ù 45ù
n l
121ù 121ù ∴ ∠a+∠b+∠c+∠d=135ù

풀이 첨삭

066
평행선의 성질의 활용
 84ù
m m
a a
정삼각형 ABC의 한 각의 크기는 60ù이므로 A
l
y a
∠BAC=∠BCA=60ù이고 B 60ù x b b
l//m이므로 ∠x=42ù+60ù=102ù`(엇각) n n
60ù c a+b c
∠x+60ù+∠y=180ù이므로 42ù m
∠y=180ù-(60ù+102ù)=18ù C (∠a+∠b)+∠c=180ù
∴ ∠x-∠y=102ù-18ù=84ù

067  125ù

2
오른쪽 그림에서 l//m이므로  A
x l
∠x=45ù`(동위각) B 75ù STEP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심 화 유 형
80ù
45ù+∠BAC+75ù=180ù이므로 z y
80ù k 본교재 024 ~ 026쪽
C n
∠BAC=60ù
m
삼각형 ABC의 세 각의 크기의 합이 45ù 75ù 071 10 072 26개 073 84 074 3개 075 ⑤
180ù이므로 076 10 077 ㄱ, ㄷ 078 14 079 7 080 8
60ù+80ù+∠z=180ù   ∴ ∠z=40ù 081 ③, ④ 082 350ù 083 ①, ③ 084 78ù 085 84ù
또 k//n이므로 ∠y=∠z=40ù`(엇각) 086 117ù 087 180ù 088 145ù
∴ ∠x+∠y+∠z=45ù+40ù+40ù=125ù

02 위치 관계 011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1 2021-05-12 오후 1:23:37


071  10 075 ⑤

Ú 교점의 개수가 최대가 될 때는 오른쪽 그림과 같 ① ‌모서리 AB와 평행한 모서리는 EFÓ, HQÓ의  A D
이 어느 두 직선도 평행하지 않고, 어느 세 직선 2개이다. B C
도 한 점에서 만나지 않도록 그릴 때이므로 교점 ② ‌모서리 AE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의 최대 개수는 10개이다. BDÓ, BPÓ, DQÓ, FPÓ, PQÓ, QHÓ의 6개이다. E H
∴ x=10 ③ ‌모서리 BD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Q
F G
P
Û 교점의 개수가 최소가 될 때는 오른쪽 그림과 BFÓ, DHÓ의 2개이다.
같이 5개의 직선을 모두 평행하게 그릴 때이므 ④ 모서리 PQ와 평행한 모서리는 BDÓ의 1개이다.
로 교점의 최소 개수는 0개이다. ⑤ ‌모서리 DQ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BÓ, AEÓ, BFÓ, EFÓ, EHÓ,
∴ y=0 FPÓ의 6개이다.
Ú, Û에서 x+y=10+0=10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076  10
072  26개
D
주어진 전개도로 만든 입체도형은 오른쪽 E
Ú 평면 P 위의 한 점 A와 평면 Q 위의 두 점으로 만들 수 있는 서로 다 그림과 같다.
F(B)
른 평면은 평면 ADE, 평면 ADG, 평면 AEG, 평면 AFG의 4개 이때 직선 DE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A(C, G)
이고, 평면 P 위의 점 B, 점 C일 때도 마찬가지로 각각 4개이므로 CH ê, FKê, MNê, HI`ê, KJ ê의 5개이므로 I J
모두 4+4+4=12(개) x=5 H(L, M) K(N)
Û 평면 P 위의 두 점 A, B와 평면 Q 위의 한 점으로 만들 수 있는 서 직선 MN과 한 점에서 만나는 직선은
로 다른 평면은 평면 ABD, 평면 ABE, 평면 ABF, 평면 ABG의 AB ê, CH ê, IH`ê, FKê, JK ê의 5개이므로 y=5
4개이고, 평면 P 위의 두 점 A, C, 두 점 B, C일 때도 마찬가지로 ∴ x+y=5+5=10
각각 4개이므로 모두 4+4+4=12(개)
Ü 평면 P 위의 세 점으로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평면은 평면 P의 1개
Ý 평면 Q 위의 세 점으로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평면은 평면 Q의 1개
077  ㄱ, ㄷ

Ú~Ý에서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12+12+1+1=26(개) ABÓ와 평면 P의 교점 B를 지나는 평면 P 위의 두 직선이 ABÓ와 수직


이면 평면 P와 ABÓ가 수직이다.
따라서 평면 P와 ABÓ가 수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073  84 ABÓ⊥BCÓ, ABÓ⊥BEÓ

A
B
078  14

모서리 EF를 연장한 직선과 수직으로 만나는 면 A


D B
은 면 BEGC, 면 AHJD의 2개이므로 x=2 C
C  yy 30`% D
E
[그림 1] [그림 2] 면 HIJ와 평행한 모서리는 ABÓ, BCÓ, CDÓ, ADÓ, F H
G
[그림 1]에서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12개이므로 EFÓ, FGÓ, GEÓ의 7개이므로 y=7 yy 30`%
면 BEGC와 평행한 모서리는 FIÓ, AHÓ, HJÓ, I J
a=12
[그림 2]에서 모서리 CD와 평행한 모서리는 7개이므로 b=7 DJÓ, ADÓ의 5개이므로 z=5 yy 30`%
∴ ab=12_7=84 ∴ x+y+z=2+7+5=14 yy 10`%

079 7
074  3개
주어진 전개도로 입체도형을 만들면 오른쪽 그 B(D) J(H)
주어진 전개도로 만든 정육면체는 오른 A(I) L 림과 같다.
C A(E, G) I
쪽 그림과 같다. H(B, D) E(G) 모서리 CF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DF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ÕJÕ, BÕJÕ, JIÓ의 3개이므로 a=3
CNÓ, GLÓ, ANÓ, NMÓ, LMÓ, ILÓ M(K) 모서리 AB와 평행한 면은 면 CFI의 1개이므 F
N(J)
C F
HLÓ과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로 b=1
ANÓ, EFÓ, CFÓ, FMÓ, NMÓ, CNÓ 면 ABJ와 만나는 면은 면 DCFE, 면 GFIH, 면 BCIJ의 3개이므로
따라서 DFÓ, HLÓ과 동시에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NÓ, CNÓ, NMÓ c=3
의 3개이다. ∴ a+b+c=3+1+3=7

012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2 2021-05-12 오후 1:23:39


080 8 삼각형 ABE에서

면 ABFE와 수직인 직선은 ADê, BC ê, EI ê, A ;2#;∠a+2∠a+;2#;∠a=180ù, 5∠a=180ù   ∴ ∠a=36ù


D
FG ê, JKê의 5개이므로 a=5 C
B L ∴ ∠ABE=2∠a=72ù, ∠EAB=;2#;∠a=54ù yy 35`%
면 BFGJKC와 수직인 면은 면 ABCD, J
E K I ABÓ//DFÓ이므로 ∠ECF=∠ABC=72ù`(엇각)
면 ABFE, 면 CKLHID, 면 JKL,
H
면 EFGHI의 5개이므로 b=5 F ∠GCF=2∠ECG이므로 ∠GCF=;3@;∠ECF=;3@;_72ù=48ù
G
면 ABCD와 평행한 면은 면 EFGHI,
∠GFC=∠EAB=54ù`(엇각)이므로 삼각형 GFC에서
면 JKL의 2개이므로 c=2
∠x=180ù-(54ù+48ù)=78ù  yy 35`%
∴ a+b-c=5+5-2=8

085  84ù
081  ③, ④
꺾인 점을 지나면서 세 직선 l, m, n A
3x l
② ∠g의 엇각은 ∠i, ∠m이다.  에 평행한 두 직선 p, q를 긋고 평행선 a
b a e 5x
③ ∠c와 ∠g의 크기가 같은지는 알 수 없다. h 에서 동위각과 엇각의 크기가 각각 같
c d f
i g 3x
④ ∠p의 엇각은 ∠f, ∠j, ∠r이다. 음을 이용하여 각의 크기를 표시하면 p 6x a B
j l 4x q
m
⑤ ∠b의 동위각은 ∠f, ∠i, ∠g이다. kq t 오른쪽 그림과 같다.
m p s 4x 7x 180ù-13x
r C n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④이다. n o
점 A에서
3∠x+5∠x+∠a=180ù이므로

082
∠a=180ù-8∠x
 350ù
이때 ∠ABC=∠a+(180ù-13∠x)이므로
∠x의 엇각은 ∠a, ∠b이고  9∠x=(180ù-8∠x)+(180ù-13∠x)
∠y의 동위각은 ∠c, ∠d이다. a b
x d 30∠x=360ù ∴ ∠x=12ù
65ù
이때 ∠b+∠d=180ù이고 ∴ ∠a=180ù-8∠x=180ù-96ù=84ù
∠a=65ù`(맞꼭지각), 75ù c y

∠c=180ù-75ù=105ù이므로
086  117ù
∠x의 모든 엇각의 크기와 ∠y의 모든 동위각의 크기의 합은
∠a+∠b+∠c+∠d=∠a+∠c+(∠b+∠d) 세 점 A, I, G가 한 직선 위에 있고,
=65ù+105ù+180ù=350ù ∠EIG=90ù이므로 ∠AIH=180ù-(90ù+54ù)=36ù
∴ ∠AIB=∠AIH=36ù`(접은 각)
이때 ADÓ//BCÓ이므로
083  ①, ③ ∠IJE=∠HIB`(엇각)=36ù+36ù=72ù
오른쪽 그림에서  k M 삼각형 JIE에서 ∠IEJ=180ù-(54ù+72ù)=54ù이고,
K l m
∠KAB=10ù+10ù+10ù+25ù=55ù, 10ù n ∠IEF=∠DEF`(접은 각)이므로
10ù
∠ABR=35ù+5ù+15ù=55ù 10ù B o ∠DEF=;2!;∠DEI=;2!;_(180ù-54ù)=63ù
35ù
이므로 ∠KAB=∠ABR
A 25ù 5ù ∠EIF=∠IEJ=54ù`(엇각)
즉 두 반직선 k, r를 연장한 직선과 직선
P 15ù 5ù ∴ ∠EIF+∠DEF=54ù+63ù=117ù
o가 만나서 생기는 엇각의 크기가 같으 pq R
므로 k//r rs
또한 ∠MAB=10ù+25ù=35ù, 087  180ù
∠ABP=35ù이므로 ∠MAB=∠ABP ∠CAG=∠a, ∠GBD=∠b라 하고 A C
a l
즉 두 반직선 m, p를 연장한 직선과 직선 o가 만나서 생기는 엇각의 크 세 점 E, F, G를 각각 지나면서 두 직 2a
3a E F a
기가 같으므로 m//p 선 l, m에 평행한 세 직선을 긋고 평행 G
3b 2b
따라서 서로 평행한 두 반직선을 바르게 짝 지은 것은 ①, ③이다. 선에서 동위각과 엇각의 크기가 각각 b
m
같음을 이용하여 각의 크기를 표시하면 B b D

084
오른쪽 그림과 같다.
 78ù
∠AGB=∠a+∠b=36ù
2∠DAB=3∠ABC이므로 ∠CAE=3∠a, ∠EBD=3∠b이므로
∠DAB=3∠a, ∠ABC=2∠a라고 하면 ∠x=3∠a+3∠b=3(∠a+∠b)=3_36ù=108ù
∠DAE=∠EAB=;2!;∠DAB=;2#;∠a ∠CAF=2∠a, ∠FBD=2∠b이므로
∠y=2∠a+2∠b=2(∠a+∠b)=2_36ù=72ù
ADÓ//BCÓ이므로 ∠BEA=∠DAE=;2#;∠a`(엇각) yy 30`% ∴ ∠x+∠y=108ù+72ù=180ù

02 위치 관계 013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3 2021-05-12 오후 1:23:41


088  145ù 091  8번째

점 B를 지나면서 두 직선 l, m에 평행 G A F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를 지나고  l£


l lª'
a x lª
한 직선을 긋고 평행선에서 동위각과 lª//lª', l£//l£', y이 되도록 반직선 lª', l£'
D … 60ù
엇각의 크기가 각각 같음을 이용하여 a E l£', y을 그으면
B x 40ù lÁ
각의 크기를 표시하면 오른쪽 그림과 y x번째 반직선까지의 각의 크기의 합이 60ù40ù


b m l
같다. b C H 180ù, 360ù, 540ù, 720ù, y P 20ù
∠a+∠b=∠ABC=90ù 즉 180ù_n`(n은 자연수)일 때 x번째 반직선은 직선 l과 평행하게 된다.
∠x+∠b=∠EBC=45ù 이때 20ù+40ù+60ù+80ù+100ù+120ù+140ù+160ù=720ù이므로
∠GAC=∠ACH`(엇각)이므로 8번째 반직선이 처음으로 직선 l과 평행하게 된다.
∠a+45ù=∠y+45ù
∴ ∠a=∠y 092  360ù
이때 ∠a`:`∠b=7`:`2이므로 ∠b=90ù_;9@;=20ù 두 점 B, C를 각각 지나면서 두 직선 l, m A

∠x=45ù-∠b=45ù-20ù=25ù 에 평행한 두 직선 p, q를 그은 후 E a
l
∠DCF=∠f라 하고 평행선에서 동위각과 b D f
∠y=∠a=90ù-∠b=90ù-20ù=70ù b C
F p
∴ 3∠x+∠y=3_25ù+70ù=75ù+70ù=145ù 엇각의 크기가 각각 같음을 이용하여 각의 c d-f e
q
크기를 표시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B d-f e G
m
삼각형 ABG에서
∠a+∠c+(∠d-∠f)+∠e=180ù

STEP
3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최 고 난 도
본교재 027 ~ 029쪽
유 형 ∴ ∠a+∠c+∠d+∠e=180ù+∠f    yy ㉠
이때 직선 p에서 ∠f+∠b=180ù이므로
㉠의 양변에 ∠b를 더하면
∠a+∠b+∠c+∠d+∠e
089 28 090 14 091 8번째 092 360ù
=(180ù+∠f)+∠b=180ù+(∠f+∠b)=180ù+180ù=360ù
093 720ù 094 85ù 095 86ù 096 20ù
창 의 융 합
093  720ù
097 ⑴ 점 D ⑵ 19초 098 ⑴ 98ù ⑵ 100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점 F, G, H를 각각 지 A E B
나고 AB ê와 CD ê에 평행한 세 직선을 그으면 J F K
089  28 ∠BEF=∠EFJ`(엇각), L G M

직선 AE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BI ,ê IJ ,ê A D


∠KFG=∠FGL`(엇각), N H O

JD ê, IKê, JKê, KM §, KLê, LMê, FL ,ê MH §의 J ∠MGH=∠GHN`(엇각),


B I
I C ∠OHI=∠HIC`(엇각) C D
10개이므로 a=10 yy 25`%
직선 IK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AB ê , E K ∴ ∠AEF+∠EFG+∠FGH+∠GHI+∠HIC
H
AD ê, DJ ê, AE ê, DHê, EHê, EF ê, HMê, LMê M =∠AEF+(∠EFJ+∠JFG)+(∠FGL+∠LGH)
F G
L +(∠GHN+∠NHI)+∠HIC
의 9개이므로 b=9 yy 25`%
면 ABFE와 평행한 직선은 DJê, JKê, KM §, HM §, DHê의 5개이므로 =(∠AEF+∠BEF)+(∠JFG+∠KFG)
c=5 yy 20`% +(∠LGH+∠MGH)+(∠NHI+∠OHI)
면 BFLKI와 수직인 면은 면 ABFE, 면 ABIJD, 면 DJKMH, =180ù+180ù+180ù+180ù=720ù
면 EFLMH의 4개이므로 d=4 yy 20`%
∴ a+b+c+d=10+9+5+4=28 yy 10`% 094  85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다섯 개의 점  A 20ù M


090 F l
 14 F, E, R, L, K를 각각 지나고 두 B P 20ù
주어진 전개도로 만든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 Q M 직선 l, m에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Q G E
P(R) H
림과 같다. A(O, K) Ú ∠AFP=∠MAF=20ù`(엇각) C
x
N(L) R L S
직선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PQ ê, D ∠AFE=120ù이므로 D T
C(E) H I
QÕMê, MNê, QDê, MHê, CDê, DHê, GHê의 ∠PFE=120ù-20ù=100ù U K
B(F, J) G(I) ∠PFE+∠FEQ=180ù
45ù m
8개이므로 a=8 N J 15ù O
직선 FG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PQ ê, AR ê, MNê, RC ê, MHê, QDê 이므로 ∠FEQ=180ù-100ù=80ù
의 6개이므로 b=6 ∠QER=120ù-80ù=40ù
∴ a+b=8+6=14 ∠ERS=∠QER=40ù`(엇각)

014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4 2021-05-12 오후 1:23:42


Û ∠IJK=120ù이므로 096  20ù
∠KJO=180ù-(45ù+120ù)=15ù
∠BAD=2∠DFE이므로 A B C
∴ ∠UKJ=∠KJO=15ù`(엇각) x l
∠DFE=∠a라고 하면 2a
D 2a 2b
∠LKU=120ù-15ù=105ù x I
∠BAD=2∠a 180ù-a 3b
y
∠TLK+∠LKU=180ù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를 지 a
m
∠TLK=180ù-105ù=75ù E F y G H
나면서 두 직선 l, m에 평행한
∠RLT=120ù-75ù=45ù
직선을 긋고
∠SRL=∠RLT=45ù`(엇각)
∠DGF=∠y라고 하면
Ú, Û에서 ∠x=∠ERS+∠SRL=40ù+45ù=85ù
∠IDG=∠DGF=∠y`(엇각)
이때 ∠BDI=∠ABD=∠x`(엇각)이고
095  86ù ∠CBD+∠HGD=320ù이므로
∠BDG=∠x+∠y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B, C를 지나 H A F
l =(180ù-∠CBD)+(180ù-∠HGD)
160ù-2b a a
면서 두 직선 l, m에 평행한 두 직선 p, 160ù-2b I x =360ù-(∠CBD+∠HGD)
q를 긋고 p
B E =360ù-320ù=40ù
2b-84ù C q
∠BAE=∠EAF=∠a, b
J ∴ ∠y=40ù-∠x    yy ㉠
b
∠BCK=∠KCD=∠b라고 하자. K 84ù
m ∠DFE와 ∠DGF의 크기의 차가 45ù이므로 ∠a-∠y=45ù
∠JCD=∠CDG=84ù`(엇각)이고 D G
∴ ∠a=∠y+45ù=(40ù-∠x)+45ù=85ù-∠x   yy ㉡
∠BCD=2∠b이므로
2∠FDG=3∠ADB이므로
∠BCJ=2∠b-84ù
∠ADB=2∠b, ∠FDG=3∠b라고 하면
이때 ∠CBI=∠BCJ=2∠b-84ù`(엇각)이므로
점 D에서 2∠a+(180ù-∠a)+3∠b+40ù+2∠b=360ù
∠ABI=76ù-(2∠b-84ù)=160ù-2∠b
∠a+5∠b=140ù, 5∠b=140ù-∠a
즉 ∠HAB=∠ABI=160ù-2∠b`(엇각)이므로
점 A에서 (160ù-2∠b)+2∠a=180ù ∴ ∠b=;5!;_(140ù-∠a)

2(∠a-∠b)=20ù   ∴ ∠a-∠b=10ù =;5!;_(140ù-85ù+∠x)=11ù+;5!;∠x     yy ㉢


∠BCE=180ù-∠BCK=180ù-∠b이므로
삼각형 DFG에서
사각형 ABCE에서
3∠b+(180ù-∠a)+∠y=180ù이므로
∠a+76ù+(180ù-∠b)+(180ù-∠x)=360ù
㉠, ㉡, ㉢에 의해
∴ ∠x=76ù+∠a-∠b
=76ù+10ù=86ù 3_{11ù+;5!;∠x}+(180ù-85ù+∠x)+(40ù-∠x)=180ù
[다른 풀이] ;5#;∠x=12ù   ∴ ∠x=20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를 지나면서 두 A F
l
직선 l, m에 평행한 직선 n을 긋고 CDÓ의
B
76ù a a
I x 097  ⑴ 점 D ⑵ 19초 창 의 융 합
연장선과 직선 n의 교점을 I라 하고 H n
E ⑴ 개미의 이동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AE=∠EAF=∠a, b Cx
b ‌ A와 만나는 모서리 중에서 모서리 JK와 평행한 모서리는 ABÓ
➊점
∠BCK=∠KCD=∠b라고 하자. K 84ù a
m 이므로 점 B에 도착한다.
∠IBH=∠FAB=2∠a`(동위각)이고 D JG
➋ ‌점 B와 만나는 모서리 중에서 면 GHIJKL과 수직으로 만나는 모
∠CBH=180ù-76ù=104ù이므로
서리는 BHÓ이므로 점 H에 도착한다.
∠IBC=2∠a-104ù
➌ ‌점 H와 만나는 모서리 중에서 모서리 DE와 꼬인 위치에 있으면서
이때 ∠BIC=∠CDG=84ù`(엇각)이고
면 AGLF와 평행하지 않는 모서리는 HIÓ이므로 점 I에 도착한다.
∠BCI=180ù-2∠b이므로
➍ ‌점 I와 만나는 모서리 중에서 모서리 FL과 평행한 모서리는 ICÓ이
삼각형 BCI에서
므로 점 C에 도착한다.
(2∠a-104ù)+(180ù-2∠b)+84ù=180ù
➎ ‌점 C와 만나는 모서리 중에서 모서리 DJ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
2(∠a-∠b)=20ù   ∴ ∠a-∠b=10ù
리는 CDÓ이므로 점 D에 도착한다.
AEÓ의 연장선과 직선 m의 교점을 J라고 하면 l//m이므로 F
⑵ 점 A에서 출발한 개미가 이동하는 경로는
∠EJD=∠EAF=∠a`(엇각) B A E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점 D까지 가는
이때 ∠DCE=180ù-∠b이므로 C D
데 이동한 총 거리는 10 cm
사각형 CDJE에서 L
6+10+6+10+6=38(cm)
(180ù-∠b)+84ù+∠a+∠x=360ù H G
따라서 개미가 이동을 마칠 때까지 걸린 시 K
264ù+(∠a-∠b)+∠x=360ù I 6 cm J
264ù+10ù+∠x=360ù   ∴ ∠x=86ù 간은 :£2¥:=19(초)

02 위치 관계 015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5 2021-05-12 오후 1:23:44


098  ⑴ 98ù ⑵ 100ù 창 의 융 합
03 작도와 합동
1
⑴ 오른쪽 그림에서 두 평면거울이 서로 41ù 거울
평행하므로 ∠a=41ù`(엇각) 빛
41ù STEP 교과서를 정복하는 핵 심 유 형
이때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는 같으므
a x
본교재 031 ~ 033쪽
로 ∠b=∠a=41ù
거울 b
따라서 ∠a+∠x+∠b=180ù이므로
099 ②, ⑤ 100 ⑤ 101 ㉣ → ㉢ → ㉠ → ㉡
41ù+∠x+41ù=180ù  
102 ②, ③ 103 7개 104 ②, ④ 105 4 106 ②
∴ ∠x=98ù
25ù
107 90ù 108 △PAB≡△PDC, SAS 합동
⑵ 빛이 직선 l에 수직으로 들어갔으므로  H
∠AGH=90ù-25ù=65ù
A G 109 14`cmÛ` 110 13`cm 111 16ù 112 ④
빛의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빛 B 113 16`cmÛ`
30ù
x F
∠CGF=∠AGH=65ù
C E
이때 ∠AGC=180ù-(65ù+65ù)=50ù
P D 거울 099  ②, ⑤
이므로 ∠ACG=180ù-(90ù+50ù)=40ù 거울
m l ② ‌크기가 같은 각을 작도하면 오른 X
∴ ∠BCG=30ù+40ù=70ù A C
점 C에서 평면거울에 들어간 빛의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는 같으므 쪽 그림과 같으므로 컴퍼스의 최

로 ∠DCF=∠BCG=70ù이고 소 사용 횟수는 4회이다. O P


BY DQ
∠PCD=∠ACB=30ù`(맞꼭지각) ④ ‌주어진 선분의 길이의 2배가 되는

∴ ∠x=∠PCF`(엇각) 선분은 길이가 같은 선분을 2번 연달아 작도하면 작도할 수 있다.

=∠DCF+∠PCD ⑤ 두 선분의 길이를 비교할 때는 컴퍼스를 사용한다.

=70ù+30ù=100ù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⑤이다.

풀이 첨삭 100 ⑤

오른쪽 그림에서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가 ① ‌㉠, ㉣에서 그린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같으므로
같으므로 ∠a=90ù-•=∠b PCÓ=PDÓ=QAÓ=QBÓ
a b ③ QAÓ=QBÓ이므로 △AQB는 이등변삼각형이다.
⑤ 작도 순서는 ㉥ → ㉣ → ㉠ → ㉤ → ㉢ → ㉡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101 ㉣→㉢→㉠→㉡
㉢ ㉠ ㉡

A B D C
위의 그림에서 작도 순서는 ㉣ → ㉢ → ㉠ → ㉡이다.

102  ②, ③

① a=2이면 3a-4=3_2-4=2   ∴ 11=2+9


② a=4이면 3a-4=3_4-4=8   ∴ 11<8+9
③ a=7이면 3a-4=3_7-4=17   ∴ 17<9+11
④ a=8이면 3a-4=3_8-4=20   ∴ 20=9+11
⑤ a=10이면 3a-4=3_10-4=26   ∴ 26>9+11
따라서 a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②, ③이다.

103  7개

Ú 가장 긴 변의 길이가 15`cm일 때
15>5+7, 15>5+9, 15<5+12, 15<7+9, 15<7+12,
15<9+12이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있는 세 막대의 길이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5`cm, 12`cm, 15`cm), (7`cm, 9`cm, 15`cm),
(7`cm, 12`cm, 15`cm), (9`cm, 12`cm, 15`cm)

016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6 2021-05-12 오후 1:23:45


Û 가장 긴 변의 길이가 12`cm일 때 따라서 ∠OMA=∠OMB이고
12=5+7, 12<5+9, 12<7+9이므로 ∠OMA+∠OMB=180ù이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있는 세 막대의 길이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OMA=90ù
(5`cm, 9`cm, 12`cm), (7`cm, 9`cm, 12`cm)
Ü 가장 긴 변의 길이가 9`cm일 때
9<5+7이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있는 세 막대의 길이를 순서쌍으 108  △PAB≡△PDC, SAS 합동
로 나타내면 (5`cm, 7`cm, 9`cm) △PAB와 △PDC에서
Ú~Ü에서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삼각형은 4+2+1=7(개) PAÓ=PDÓ, ABÓ=DCÓ
이때 △PAD는 PAÓ=PD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PAD=∠PDA
104  ②, ④ 따라서 ∠PAB=∠PAD+90ù=∠PDA+90ù=∠PDC이므로
① ‌세 변의 길이가 주어졌지만 8=3+5이므로 삼각형이 그려지지 않 △PAB≡△PDC`(SAS 합동)
는다.
②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이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109  14`cmÛ`

③ ‌∠C는 ABÓ, B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지지 △AFD와 △EFC에서
않는다. AFÓ=EFÓ, ∠AFD=∠EFC`(맞꼭지각),
④ ‌∠C=180ù-(60ù+75ù)=45ù이므로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 ADÓ// BEÓ이므로 ∠DAF=∠CEF`(엇각)
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이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 △AFD≡△EFC`(ASA 합동)
⑤ ‌세 각의 크기가 주어지면 무수히 많은 삼각형이 그려지므로 △ABC 따라서 사다리꼴 ABCD의 넓이는 △ABE의 넓이와 같으므로
가 하나로 정해지지 않는다. ;2!;_7_4=14(cmÛ`)
따라서 △ABC가 하나로 정해지는 것은 ②, ④이다.

105 4
110  13`cm
Ú 세 변의 길이가 10`cm, 7`cm, 13`cm일 때
△AQB와 △APC에서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지고 13<10+7이므로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은
ABÓ=ACÓ, AQÓ=APÓ,
1개이다.   ∴ a=1
∠QAB=60ù+∠PAB=∠PAC이므로
Û 한 변의 길이가 8`cm이고 두 각의 크기가 40ù, 60ù일 때
△AQB≡△APC`(SAS 합동)
주어진 두 각을 제외한 나머지 한 각의 크기는
∴ QBÓ=PCÓ=PBÓ+BCÓ=8+5=13(cm)
180ù-(40ù+60ù)=80ù
즉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은 다음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8`cm이
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40ù와 60ù, 60ù와 80ù, 40ù와 80ù가 될 수 111  16ù
있으므로 3개이다.   ∴ b=3
△AED와 △CED에서
DEÓ는 공통, ADÓ=CDÓ, ∠ADE=∠CDE=45ù
∴ △AED≡△CED`(SAS 합동)
이때 ADÓ// BFÓ이므로 ∠DAE=∠AFC=37ù`(엇각)
40ù 60ù 60ù 80ù 40ù 80ù ∴ ∠DCE=∠DAE=37ù
8 cm 8 cm 8 cm
따라서 △ECF에서
Ú, Û에서 a+b=1+3=4
∠CEF=180ù-(37ù+90ù+37ù)=16ù

106 ②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진 삼각형의 작도는 다음과 같 112 ④


은 순서로 한다. △ADF, △BED, △CFE에서
Ú 한 변의 길이 → 끼인각 → 다른 한 변의 길이`(①, ③) ADÓ=BEÓ=CFÓ, AFÓ=BDÓ=CEÓ`(①),
Û 끼인각 → 한 변의 길이 → 다른 한 변의 길이`(④, ⑤) ∠DAF=∠EBD=∠FCE=60ù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BC를 작도하는 순서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ADF≡△BED≡△CFE`(SAS 합동)
∴ ∠ADF=∠BED=∠CFE, FDÓ=DEÓ=EFÓ`(②)
107  90ù 이때 △DEF는 정삼각형이므로
△OAM과 △OBM에서 ∠DEF=∠EFD=∠FDE=60ù`(③)
AÕMÓ=BÕMÓ, OAÓ=OBÓ, OÕMÓ은 공통 ∴ ∠ADF+∠BDE=180ù-∠FDE=180ù-60ù=120ù`(⑤)
∴ △OAM≡△OBM`(SSS 합동)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03 작도와 합동 017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7 2021-05-12 오후 1:23:46


113  16`cmÛ` P Q

△OMB와 △ONC에서
l
OBÓ=OCÓ, ∠MOB=90ù-∠BON=∠NOC, A B C

∠OBM=∠OCN=45ù
∴ △OMB≡△ONC`(ASA 합동) ㄱ. 직선 l과 PQ ê가 평행하므로 ∠ABP=∠QPB`(엇각)
∴ (사각형 OMBN의 넓이)=△OMB+△OBN ㄴ. ‌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ONC+△OBN=△OBC APÓ=ABÓ=PBÓ
=;4!;_(사각형 ABCD의 넓이) 즉 △PAB는 정삼각형이므로 ∠PBA=60ù
∴ ∠PBC=180ù-∠PBA=180ù-60ù=120ù
=;4!;_8_8=16(cmÛ`) ㄷ. ‌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BQÓ=BCÓ=QCÓ

2
즉 △QBC는 정삼각형이므로 ∠QBC=60ù
STEP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심 화 유 형 ∴ ∠PBQ=180ù-(∠PBA+∠QBC)
본교재 035 ~ 037쪽 =180ù-(60ù+60ù)=60ù
이때 △PBQ는 PBÓ=QB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114 ⑤ 115 ㄱ, ㄴ, ㄷ 116 8개 117 5개
∠PQB=∠QPB=;2!;_(180ù-60ù)=60ù
118 8개 119 4개 120 ③ 121 7`cm
따라서 △PBQ는 정삼각형이다.
122 8`cm 123 108ù 124 120ù 125 45ù
ㄹ. ‌△PAB, △PBQ, △QBC는 한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정삼각형
126 90ù 127 31`cm 128 130ù 129 36ù
이므로 ACÓ=2PQÓ
130 32ù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116  8개
114 ⑤
이등변삼각형이므로 길이가 같은 두 변의 길이를 a라 하고 나머지 한 변
작도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 길이를 b라고 하자.
㉠ ‌점 B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려 AB ê, BC ê와의 교점을 각각 P, Q라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a, a, b이고 둘레의 길이가 33이므로
고 한다.
2a+b=33
㉦ ‌점 C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BPÓ인 원을 그려 BC ê와의 교
이때 a, b가 모두 자연수이고 b<2a이므로 이를 만족하는 순서쌍
점을 T라고 한다.
(a, a, b)는 (16, 16, 1), (15, 15, 3), (14, 14, 5), (13, 13, 7),
㉣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BPÓ인 원을 그려 AB ê와의
(12, 12, 9), (11, 11, 11), (10, 10, 13), (9, 9, 15)의 8개이다.
교점을 R라고 한다.
따라서 구하는 이등변삼각형의 개수는 8개이다.
㉡ 컴퍼스로 PQÓ의 길이를 잰다.
㉧ ‌점 T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PQÓ인 원을 그려 ㉦에서 그 117  5개
린 원과의 교점을 U라고 한다.
Ú 나무 막대 3개를 사용할 때
㉤ ‌점 R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PQÓ인 원을 그려 ㉣에서 그린
6<3+5, 8=3+5, 8<3+6, 8<5+6이므로
원과의 교점을 S라고 한다.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 CU ê를 긋는다.
(3`cm, 5`cm, 6`cm), (3`cm, 6`cm, 8`cm),
㉢ AS ê를 그어 CU ê와의 교점을 D라고 한다.
(5`cm, 6`cm, 8`cm)
이때 생기는 사각형 ABCD가 평행사변형이고, ㉦과 ㉣, ㉧과 ㉤, ㉥과
Û 나무 막대 4개를 사용할 때
㉢은 순서가 서로 바뀌어도 상관 없다.
(3+5)<6+8, (3+6)<5+8, (3+8)=5+6, (5+6)=3+8,
따라서 작도 순서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5+8)>3+6, (6+8)>3+5이므로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115  ㄱ, ㄴ, ㄷ
(6`cm, (3+5)`cm, 8`cm), (5`cm, 8`cm, (3+6)`cm)
작도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Ú, Û에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3+2=5(개)
➊ ‌직선 l 위의 한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APÓ인 원을
그려 직선 l과의 교점을 B라고 한다. 118  8개

➋ ‌점 B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APÓ인 원을 그려 직선 l과의 Ú 가장 긴 변의 길이가 5`cm일 때


교점을 C라고 한다. 5>2+2, 5=2+3, 5<2+4, 5<3+3, 5<3+4이므로
➌ ‌점 C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APÓ인 원을 그려 ➋에서 그린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원과의 교점 중 점 P쪽의 교점을 Q라고 한다. (2`cm, 4`cm, 5`cm), (3`cm, 3`cm, 5`cm),
➍ PQ ê를 그린다. (3`cm, 4`cm, 5`cm) yy 25`%

018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8 2021-05-12 오후 1:23:48


Û 가장 긴 변의 길이가 4`cm일 때 121  7`cm
4=2+2, 4<2+3, 4<3+3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B에서 대 D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A
각선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고 F
(2`cm, 3`cm, 4`cm), (3`cm, 3`cm, 4`cm) yy 25`% O
하자. 18 cm E
Ü 가장 긴 변의 길이가 3`cm일 때
△BOF와 △DOE에서 B C
3<2+2, 3<2+3이므로
BOÓ=DOÓ, ∠BOF=∠DOE`(맞꼭지각),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FBO=90ù-∠BOF=90ù-∠DOE=∠EDO
(2`cm, 2`cm, 3`cm), (2`cm, 3`cm, 3`cm) yy 25`%
이므로 △BOF≡△DOE`(ASA 합동)
Ý 가장 긴 변의 길이가 2`cm일 때
∴ BFÓ=DEÓ yy 40`%
2<2+2이므로
즉 △ABC와 △ACD는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각각 같으므로 넓이가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같다. 따라서
(2`cm, 2`cm, 2`cm) yy 15`%
Ú~Ý에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ACD=△ABC=;2!;_(사각형 ABCD의 넓이)
3+2+2+1=8(개) yy 10`% =;2!;_126=63(cmÛ`) yy 30`%

이므로 ;2!;_18_DEÓ=63, 9DEÓ=63


∴ DEÓ=7(cm) yy 30`%
119  4개

Ú∠
 P가 주어진 두 변의 끼인각일 때 122  8`cm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이므로 작도 가능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에서 ABÓ의 연장 F D
삼각형은 1개이다. 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고 하면 A
Û∠
 P가 주어진 두 변의 끼인각이 아닐 때 △ABE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8 cm
다음 그림과 같이 작도 가능한 삼각형은 3개이다. ∠BAE=∠BEA=45ù
7 cm 7 cm 이때 ∠CED=75ù이므로 75ù
5 cm 7 cm 5 cm B C
5 cm E
35ù 35ù 35ù ∠AED=180ù-(45ù+75ù)=60ù
P P P
△AED는 AEÓ=DE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Ú, Û에서 작도 가능한 삼각형의 개수는 모두 1+3=4(개)
∠EAD=∠EDA=;2!;_(180ù-60ù)=60ù

즉 △AED는 정삼각형이다.
∴ ∠FAD=180ù-(45ù+60ù)=75ù
120 ③ 따라서 △AFD와 △ECD에서
① ‌㉠, ㉢에서 그린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같으므로 ∠FAD=∠CED=75ù, ∠FDA=180ù-(90ù+75ù)=∠CDE,
OAÓ=OBÓ=PCÓ=PDÓ=PEÓ ADÓ=EDÓ이므로 △AFD≡△ECD`(ASA 합동)
②,‌ ③ △AOB≡△EPD≡△DPC이므로 ∴ BCÓ=FDÓ=CDÓ=8(cm)
ABÓ=EDÓ=DCÓ
△ECD에서 123  108ù
ECÓ<EDÓ+DCÓ=ABÓ+ABÓ=2ABÓ ∠ABE=∠EBC=∠a라고 하면  A
④ ‌∠DPE=∠DPC이므로 PD³는 ∠EPC의 이등분선이다. ABÓ=ACÓ이므로
⑤ 작도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B=∠ABC=2∠a E
㉢ ‌점 O를 중심으로 원을 그려 OX³, OY³와의 교점을 각각 A, B라 △BCD에서 BCÓ=BDÓ이므로
D
고 한다. ∠BDC=∠BCD=2∠a 2a
㉠ ‌점 P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OAÓ인 원을 그려 PQ³와의 교 ∠a+2∠a+2∠a=180ù이므로 a
a 2a
점을 C라고 한다. B C
5∠a=180ù   ∴ ∠a=36ù
㉡ ‌컴퍼스로 ABÓ의 길이를 잰다. △ABC에서
㉣ ‌점 C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ABÓ인 원을 그려 ㉠에서 ∠BAC=180ù-(2∠a+2∠a)
그린 원과의 교점을 D라고 한다. =180ù-4∠a
㉥ ‌점 D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ABÓ인 원을 그려 ㉠에서 =180ù-4_36ù=36ù
그린 원과의 교점을 E라고 한다. △ABD와 △EBC에서
㉤ ‌PE³를 긋는다. ABÓ=EBÓ, BDÓ=BCÓ, ∠ABD=∠EBC이므로
이때 ∠EPC의 크기는 ∠XOY의 크기의 2배가 된다. △ABD≡△EBC`(SAS 합동)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 ∠BEC=∠BAD=36ù

03 작도와 합동 019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19 2021-05-12 오후 1:23:49


△ABE에서 BAÓ=BEÓ이므로 ∴ ‌(오각형 EDBCF의 둘레의 길이)

∠AEB=;2!;_(180ù-36ù)=72ù =EDÓ+DBÓ+BCÓ+CFÓ+FEÓ
=CAÓ+ABÓ+BCÓ+CAÓ+ABÓ
∴ ∠AEC=∠AEB+∠BEC=72ù+36ù=108ù
=4+7+9+4+7=31(cm) yy 30`%

124  120ù

△ABD와 △BCE에서 128  130ù


ABÓ=BCÓ, ∠ABD=∠BCE=60ù, BDÓ=CEÓ이므로
△AEC와 △ADB에서
△ABD≡△BCE`(SAS 합동) ACÓ=ABÓ, AEÓ=ADÓ, ∠EAC=60ù-∠BAE=∠DAB
∠BAD=∠CBE=∠a,  A 이므로
∠ADB=∠BEC=∠b라고 하면
a △AEC≡△ADB`(SAS 합동)
△ABD에서 ∠a+60ù+∠b=180ù ∴ ∠AEC=∠ADB
∴ ∠a+∠b=120ù
E △BED에서 ∠BED=∠a,  A
△BDP에서 ∠a+∠b+∠BPD=180ù a P b ∠BDE=∠b라고 하면 D
B C
120ù+∠BPD=180ù   D
70ù+∠a+∠b=180ù이므로
b b
∴ ∠BPD=60ù ∠a+∠b=110ù 70ù a E
∴ ∠APB=180ù-∠BPD=180ù-60ù=120ù ∴ ‌∠BEC
B C
=360ù-(∠AEC+∠AED+∠BED)
125  45ù =360ù-(∠ADB+60ù+∠BED)

△GBC와 △EDC에서 =360ù-(60ù+∠b+60ù+∠a)


BCÓ=DCÓ, GCÓ=ECÓ, ∠BCG=90ù-∠GCD=∠DCE =360ù-(120ù+110ù)=130ù
∴ △GBC≡△EDC`(SAS 합동)
∠EDC=∠GBC=90ù-71ù=19ù
∠DHE=180ù-64ù=116ù 129  36ù
따라서 △DHE에서 △BCD와 △ACD에서
∠DEH=180ù-(19ù+116ù)=45ù BCÓ=ACÓ, BDÓ=ADÓ, CDÓ는 공통이므로
△BCD≡△ACD`(SSS 합동)
126  90ù ∴ ∠BCD=∠ACD=;2!;_60ù=30ù
△ADC와 △ABG에서 또한, △BCD와 △BED에서
ADÓ=ABÓ, ACÓ=AGÓ, ∠DAC=90ù+∠BAC=∠BAG BCÓ=BEÓ, ∠DBC=∠DBE, BDÓ는 공통이므로
이므로 △ADC≡△ABG`(SAS 합동)   ∴ ∠ADC=∠ABG △BCD≡△BED`(SAS 합동)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Ó와 DCÓ의 교점 D
따라서 ∠BED=∠BCD=30ù이므로
을 H, BGÓ와 DCÓ의 교점을 P라고 하면 △EBD에서 ∠BDE=180ù-(42ù+30ù)=108ù
G
△DHA와 △BPH에서 E A 이때 ∠ABD=60ù-42ù=18ù이고
H
∠DHA=∠BHP`(맞꼭지각)이므로 P △ABD에서 ADÓ=DBÓ이므로
x F
∠ADH+∠DAH ∠BAD=∠ABD=18ù
B C
=∠ABP+∠BPH ∴ ∠ADE=180ù-(18ù+18ù+108ù)=36ù
∠ADH+90ù=∠ABP+(180ù-∠x)
이때 ∠ADH=∠ABP이므로 90ù=180ù-∠x
∴ ∠x=90ù
130  32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ADÓ의 연장선과  D


127  31`cm
FEÓ의 연장선의 교점을 G라고 하면
A
58ù
G

△ABC와 △DBE에서 △GDE와 △BCE에서


E
ABÓ=DBÓ, BCÓ=BEÓ, ∠ABC=60ù-∠ABE=∠DBE DEÓ=CEÓ, ∠GDE=∠BCE=90ù,
F
∴ △ABC≡△DBE`(SAS 합동)   yy ㉠ yy 35`% ∠DEG=∠CEB`(맞꼭지각)이므로 B C
또한, △ABC와 △FEC에서 △GDE≡△BCE`(ASA 합동)
ACÓ=FCÓ, BCÓ=ECÓ, ∠ACB=60ù-∠ACE=∠FCE ∴ DGÓ=CBÓ    yy ㉠
∴ △ABC≡△FEC`(SAS 합동) yy ㉡ 이때 △DAF는 DAÓ=DF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에서 △ABC≡△DBE≡△FEC yy 35`% ∠DFA=∠DAF=58ù

020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0 2021-05-12 오후 1:23:51


△DAF에서 ∠ADF=180ù-(58ù+58ù)=64ù △PGD에서 ∠GPD+∠PGD+∠PDG=180ù
∴ ∠FDG=180ù-64ù=116ù ∠BPE+∠EDC+∠PDG=180ù yy ㉠
DFÓ=BCÓ이므로 ㉠에서 △DFG는 DFÓ=DG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이때 ∠EDC+∠PDG=180ù-∠GDC=180ù-90ù=90ùyy ㉡

∠DFE=;2!;_(180ù-116ù)=32ù ㉠, ㉡에서
∠BPE+90ù=180ù   ∴ ∠BPE=90ù
∴ b=90
∴ a+b=32+90=122

3
133  6`cm
STEP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최 고 난 도 유 형
△PBC는 이등변삼각형이고  6 cm
A D
본교재 038 ~ 040쪽 △PBC≡△QAB이므로
QAÓ=QBÓ=PBÓ=PCÓ,
131 5`cm 132 122 133 6`cm 134 72`cmÛ` ∠QAB=∠QBA=∠PBC
Q

135 18ù 136 70ù 137 50ù 138 7개 =∠PCB=15ù


15ù
P
139 288`cmÛ` ∴ ∠QBP=90ù-∠PBC-∠QBA B C
15ù 15ù
창 의 융 합
=90ù-15ù-15ù=60ù
140 ⑴ 20 ⑵ 54`mÛ` 141 24`cmÛ` 이때 △QBP에서 PBÓ=QBÓ이므로

∠BPQ=∠BQP=;2!;_(180ù-60ù)=60ù

131  5`cm 즉 △QBP는 정삼각형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를 지나면서 ACÓ A 한편, △QAB와 △QAP에서

에 평행한 직선을 긋고 BCÓ와 만나는 점을 ∠AQB=180ù-2_15ù=150ù이므로


D ∠AQP=360ù-∠AQB-∠BQP
G라고 하자. 10 cm
4 cm
=360ù-150ù-60ù=150ù
이때 △ABC가 정삼각형이고 ACÓ// DGÓ C
이므로
B
G F ∴ ∠AQB=∠AQP   yy ㉠
4 cm
∠DGB=∠ACB=60ù`(동위각) QBÓ=QPÓ yy ㉡
E AQÓ는 공통 yy ㉢
△DBG에서 ∠DBG=60ù이므로
∠BDG=180ù-(60ù+60ù)=60ù ㉠, ㉡, ㉢에 의해 △QAB≡△QAP`(SAS 합동)이므로

즉 △DBG는 정삼각형이므로 APÓ=ABÓ=6`cm

DGÓ=DBÓ=4`cm
△DGF와 △ECF에서
DGÓ=ECÓ=4`cm, ∠GDF=∠CEF`(엇각), 134  72`cmÛ`
∠DGF=∠ECF`(엇각)이므로
△DAH와 △FEC에서
△DGF≡△ECF`(ASA 합동) DHÓ=FCÓ yy ㉠
따라서 DFÓ=EFÓ이므로
∠AHD=∠ECF=90ù yy ㉡
DFÓ=;2!;`DEÓ=;2!;_10=5(cm) ADÓ// BEÓ에서 ∠DAH=∠FEC`(엇각)이므로
∠ADH=90ù-∠DAH=90ù-∠FEC=∠EFC   yy ㉢

132  122 ㉠, ㉡, ㉢에 의해 △DAH≡△FEC`(ASA 합동)


∴ HÕAÓ=CEÓ
△GBC와 △EDC에서
△DAH와 △ABG에서
BCÓ=DCÓ, CGÓ=CEÓ,
DÕAÓ=ABÓ, ∠DAH=90ù-∠BAG=∠ABG,
∠GCB=90ù-∠DCG=∠ECD이므로
∠ADH=90ù-∠DAH=90ù-∠ABG=∠BAG
△GBC≡△EDC`(SAS 합동) 이므로 △DAH≡△ABG`(ASA 합동)
∴ △DCE=△GBC
∴ HÕAÓ=GBÓ
=;2!;_8_8=32(cmÛ`) 이때 △FCE의 넓이가 36`cmÛ`이므로
∴ a=32 ;2!;_CEÓ_6=36, 3CEÓ=36   ∴ CEÓ=12(cm)
ADÓ// BCÓ이므로 ∠PGD=∠GBC`(동위각)
HÕAÕÓ=GBÓ=CEÓ=12`cm이므로
△GBC≡△EDC`(SAS 합동)이므로 ∠GBC=∠EDC
∴ ∠PGD=∠EDC △ABH=;2!;_12_12=72(cmÛ`)

03 작도와 합동 021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1 2021-05-12 오후 1:23:52


135  18ù 또한, △BCP와 △QCP에서
BPÓ=QPÓ, ∠BPC=∠QPC=90ù, CPÓ는 공통
오른쪽 그림과 같이 ADÓ의 연장선 위에  A
∴ △BCP≡△QCP`(SAS 합동) yy 20`%
ACÓ=DFÓ인 점 F를 잡으면 C
즉 ∠BCP=∠QCP이므로 ∠BCQ=2∠BCP=2_25ù=50ù
AEÓ=ACÓ+CEÓ=DFÓ+ADÓ=AFÓ B
∴ ∠CBR=∠BCQ=50ù  yy 30`%
△AFE에서 78ù
D E
∠AFE=∠AEF
60ù
=;2!;_(180ù-60ù)=60ù F
즉 △AFE는 정삼각형이므로 AFÓ=FEÓ=AEÓ
△ABE와 △FDE에서 138  7개
ABÓ=FDÓ, AEÓ=FEÓ, ∠EAB=∠EFD=60ù이므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각각 a`cm, b`cm, c`cm`(aÉbÉc)라고 하자.
△ABE≡△FDE`(SAS 합동) 가장 긴 변의 길이가 c`cm이므로 c<a+b
∴ ∠ABE=∠FDE=180ù-78ù=102ù 이때 a+b+c=18이므로 a+b=18-c, 2c<a+b+c  
따라서 △ABE에서 ∴ 2c<18, 즉 c<9
∠AEB=180ù-(60ù+102ù)=18ù 이때 c는 자연수이므로 c=1, 2, 3, 4, 5, 6, 7, 8
또 aÉc, bÉc이므로 a+b+cÉc+c+c=3c

136  70ù
18É3c이므로 6Éc
∴ c=6 또는 c=7 또는 c=8
오른쪽 그림과 같이 CDÓ의 연장선 위에  G
Ú ‌c=6일 때, a+b=12, aÉbÉ6이므로
BEÓ=DGÓ가 되도록 점 G를 잡으면 a=6, b=6
△ABE와 △ADG에서 A D Û ‌c=7일 때, a+b=11, aÉbÉ7이므로
ABÓ=ADÓ, BEÓ=DGÓ, 45ù
a=4, b=7 또는 a=5, b=6
F
∠ABE=∠ADG=90ù이므로 Ü ‌c=8일 때, a+b=10, aÉbÉ8이므로
△ABE≡△ADG`(SAS 합동) 65ù a=2, b=8 또는 a=3, b=7 또는 a=4, b=6 또는 a=5, b=5
즉 AEÓ=AGÓ이고 B C Ú~Ü에서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1+2+4=7(개)
E
∠BAE=∠DAG이므로
∠GAF=∠DAG+∠DAF
=∠BAE+∠DAF
=90ù-∠EAF
=90ù-45ù=45ù 139  288`cmÛ`
△AEF와 △AGF에서 I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F에서 EBÓ의 연장
AEÓ=AGÓ, AFÓ는 공통, D
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점 G에서 HCÓ
∠EAF=∠GAF=45ù이므로 A H
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고 하면 E 12 cm 16 cm
△AEF≡△AGF`(SAS 합동)
△ABC와 △PBF에서
∴ ∠AFD=∠AFE=180ù-(45ù+65ù)=70ù B C
BCÓ=BFÓ, P
∠ABC=90ù-∠CBP=∠PBF, Q

137  50ù ∠ACB=90ù-∠ABC


F G
=90ù-∠PBF=∠PFB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CQÓ를 그으면  A
△ABC≡△PBF`(ASA 합동)
△BCQ와 △CBR에서
Q R ∴ PFÓ=ACÓ=16`cm
BCÓ는 공통    yy ㉠
△ABC에서 ABÓ=ACÓ이므로 ∴ △BEF=;2!;_BEÓ_PFÓ
P
∠CBQ=∠BCR    yy ㉡
=;2!;_12_16=96(cmÛ`)
BCÓ//QRÓ이므로 B C
25ù 같은 방법으로 하면 △ABC≡△QGC`(ASA 합동)이므로
∠AQR=∠ABC`(동위각),
∠ARQ=∠ACB`(동위각) GQÓ=BAÓ=12`cm
이때 ∠ABC=∠ACB이므로 ∠AQR=∠ARQ ∴ △CGH=;2!;_CHÓ_GQÓ=;2!;_16_12=96(cmÛ`)
즉 AQÓ=ARÓ이므로 '
이때 △IDA=;2!;_DÕAÓ_IAÓ=;2!;_12_16=96(cmÛ`)이므로
BQÓ=ABÓ-AQÓ=ACÓ-ARÓ=CRÓ    yy ㉢
㉠, ㉡, ㉢에 의해 △BCQ≡△CBR`(SAS 합동) (색칠한 부분의 넓이)=△BEF+△CGH+△IDA
∴ ∠BCQ=∠CBR yy 50`% =96+96+96=288(cmÛ`)

022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2 2021-05-12 오후 1:23:54


140  ⑴ 20 ⑵ 54`mÛ`  창 의 융 합 컴퍼스는 ➋, ➌, ➍, ➎, ➏, ➐, ➒, ➓, , 에서 사용되므로 b=10
∴ ab=2_10=20

보물 상자가
묻혀 있는 곳
보물 상자가

묻혀 있는 곳

➌ ➏ ➐ ➊
➑ ➏
바위 ➎ ➎

➒ ➌
➒➋ ➍ ➋바위
사과나무 감나무
➐ ➑
사과나무 감나무

⑴ Ú ‌바위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사과나무와 바위 사이의


거리의 5배인 원을 그린다. (➊~➐)
⑴ Ú ‌바위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사과나무와 바위 사이의

➊ ‌눈금 없는 자를 사용하여 사과나무를 출발점으로 하고 바위 방


거리의 5배인 원을 다음과 같이 그릴 수 있다. (➊~➑) 서 동

향으로 뻗은 반직선을 그린다.


➊ ‌눈금 없는 자를 사용하여 사과나무를 출발점으로 하고 바위 남방
➋ 컴퍼스를 사용하여 사과나무와 바위 사이의 거리를 잰다.
향으로 뻗은 반직선을 그린다.
➌ ‌컴퍼스를 사용하여 ➋에서 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고 바위를
➋ 컴퍼스를 사용하여 사과나무와 바위 사이의 거리를 잰다.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려 ➊에서 그린 반직선과 만나는 지점에
➌ ‌컴퍼스를 사용하여 ➋에서 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고 바위를
표시한다.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려 ➊에서 그린 반직선과 만나는 지점에
➍ ‌컴퍼스를 사용하여 사과나무를 중심으로 하고 ➌에서 표시한
표시한다.
지점 사이의 거리를 잰다. (사과나무와 바위 사이의 거리의 2배
➍ ‌컴퍼스를 사용하여 ➌에서 표시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 ➋에
에 해당하는 거리이다.)
서 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➊에서 그린 반직선과
➎ ‌컴퍼스를 사용하여 ➌에서 표시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 ➍에 열쇠의 위치

만나는 지점에 표시한다.
서 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➊에서 그린 반직선과 ⑥ ①
➎ ‌컴퍼스를 사용하여 ➍에서 표시한 지점을 중심으로
④ ⑤ 하고 ➋에
만나는 지점에 표시한다. ⑨ ③ ⑦
서 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⑫원을 그려
바위 ➊에서 그린 반직선과
➏ ‌컴퍼스를 사용하여 ➎에서 표시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 ➍에 ⑪ ⑩② 북
만나는 지점에 표시한다. 사과나무 감나무 ⑧
서 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➊에서 그린 반직선과 서 동
➏ 컴
‌ 퍼스를 사용하여 ➎에서 표시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 ➋에
만나는 지점에 표시한다.
서 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➊에서 그린 반직선과 남

➐ ‌컴퍼스를 사용하여 바위를 중심으로 하고 바위와 ➏에서 표시


만나는 지점에 표시한다.
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➐ ‌컴퍼스를 사용하여 ➏에서 표시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 ➋에
Û ‌감나무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감나무와 바위 사이의
서 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➊에서 그린 반직선과
거리의 3배인 원을 그린다. (➑~ )
만나는 지점에 표시한다.
➑ ‌눈금 없는 자를 사용하여 감나무를 출발점으로 하고 바위 방향
➑ ‌컴퍼스를 사용하여 바위를 중심으로 하고 바위와 ➐에서 표시
으로 뻗은 반직선을 그린다.
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➒ ‌컴퍼스를 사용하여 감나무와 바위 사이의 거리를 잰다.
Û ‌감나무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감나무와 바위 사이의
➓ ‌컴퍼스를 사용하여 바위를 중심으로 하고 ➒에서 잰 거리를 반
거리의 3배인 원을 그린다. (➒~ )
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➑에서 그린 반직선과 만나는 지점에
이때 컴퍼스를 사용한 횟수가 왼쪽 풀이 Ú의 경우보다 늘어나므로 2
표시한다.
배의 길이를 이용하여 작도하는 것이 컴퍼스 사용 횟수를 최소한으로
‌컴퍼스를 사용하여 ➓에서 표시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 ➒에
할 수 있다.
서 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➑에서 그린 반직선 C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Ó를 밑변으
과 만나는 지점에 표시한다.
로 생각하면 ∠CAB=90ù일 때,
‌컴퍼스를 사용하여 감나무를 중심으로 하고 감나무와 에서 9m
△ABC의 높이가 최대가 되므로
표시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넓이도 최대가 된다.
➐과 에서 두 원이 만나는 지점 (●)이 보물 상자가 묻혀 있는 곳의 위 B
A 12 m
따라서 구하는 △ ABC의 넓이의
치를 가리킨다.
따라서 눈금 없는 자는 ➊, ➑에서 사용되므로 a=2 최댓값은 ;2!;_12_9=54(mÛ`)

03 작도와 합동 023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3 2021-05-12 오후 1:23:55


141  24`cmÛ` 
II.
창 의 융 합

△AED≡△FED이므로 ADÓ=BCÓ=FDÓ
평면도형의 성질
△CFG≡△HFG이므로 CFÓ=HFÓ
한편, △BEF와 △HGD에서
BFÓ=BCÓ-CFÓ=FDÓ-HFÓ=HDÓ   yy ㉠ 04 다각형
yy ㉡

1
∠EBF=∠GHD=90ù
ADÓ//BCÓ이므로 ∠DFC=∠ADF`(엇각)
STEP 교과서를 정복하는 핵 심 유 형
∴ ∠EFB=90ù-∠DFC
본교재 043 ~ 045쪽
=90ù-∠ADF
=∠GDH yy ㉢
142 103 143 ②, ④ 144 정십이각형
㉠, ㉡, ㉢에 의해 △BEF≡△HGD`(ASA 합동)
145 7개 146 56ù 147 24ù 148 ②
이때 사각형 ABCD의 넓이는
149 96ù 150 720ù 151 155ù 152 318ù
△AED+△FED+△CFG+△HFG+△BEF+△HGD
=2△FED+2△HFG+2△HGD
153 720ù 154 150ù 155 19ù 156 90개
=2(△FED+△HFG+△HGD) 157 135ù 158 96ù 159 96ù
=8_6=48(cmÛ`)
∴ (사각형 DEFG의 넓이)=△FED+△HFG+△HGD
142  103
=;2!;_(사각형 ABCD의 넓이)
주어진 다각형을 n각형이라고 하면
=;2!;_48=24(cmÛ`) n-3=12   ∴ n=15
즉 십오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15_(15-3) 15_12
= =90(개)
2 2
∴ a=90
십오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모두 그었을 때 생기는 삼각형의 개
수는 15-2=13(개)   ∴ b=13
∴ a+b=90+13=103

143  ②, ④

② ‌다음 그림과 같이 사각형이 삼각형보다 변의 개수는 많지만 가장 큰


내각의 크기는 삼각형이 사각형보다 크다.

120ù
30ù 30ù

④ ‌다음 그림과 같이 모든 대각선의 길이가 같은 정다각형은 정사각형과


정오각형뿐이다.

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은 가장 긴 대각선 3개


에 의해 6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누어지므로 가장 긴
대각선의 길이는 한 변의 길이의 2배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④이다.

144  정십이각형

㈎, ㈏에서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같은 다각형은


정다각형이다.
㈐에서 대각선의 개수가 54개이므로
n(n-3)
=54, n(n-3)=108=12_9
2
∴ n=12
따라서 구하는 다각형은 정십이각형이다.

024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4 2021-05-12 오후 1:23:55


145  7개 150  720ù

정십칠각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l에 대하 l ∠a+∠b+∠c+∠d+∠e+∠f+∠g+∠h


여 좌우대칭이다. 즉 직선 l의 왼쪽의 대각선과 같 =(6개의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은 길이의 대각선은 직선 l의 오른쪽에도 그릴 수 -(칠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_2
있음을 알 수 있다. =180ù_6+360ù-360ù_2
따라서 정십칠각형에서 길이가 서로 다른 대각선 =1080ù+360ù-720ù=720ù
의 개수는 7개이다. [다른 풀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DGÓ, EFÓ를 그으면  A
146  56ù
•+×=▲+★이므로 B a H
b h
△BEC에서 ∠EBC+∠ECB=180ù-62ù=118ù이므로 ∠a+∠b+∠c+∠d
C c
∠DBC+∠FCB=2(∠EBC+∠ECB)=2_118ù=236ù +∠e+∠f+∠g+∠h g G
∴ ∠ABC+∠ACB=(180ù-∠DBC)+(180ù-∠FCB) =(삼각형 ADG의 내각의 크기의 합)
d f
+(오각형 BCEFH의 내각의 크기의 합) D
=360ù-(∠DBC+∠FCB) e F
=360ù-236ù=124ù =180ù+180ù_(5-2)
E
따라서 △ABC에서 =180ù+540ù=720ù
∠x=180ù-(∠ABC+∠ACB)=180ù-124ù=56ù

147  24ù

△ABC에서 ABÓ=ACÓ이므로
151  155ù

∠ACB=∠ABC=∠x 사각형 ABCD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 ∠CAD=∠x+∠x=2∠x ∠ADC+∠ABC=360ù-(125ù+75ù)=160ù
△ACD에서 CAÓ=CDÓ이므로 ∴ ∠ADO+∠ABO=;2!;(∠ADC+∠ABC)
∠CDA=∠CAD=2∠x
△DBC에서 ∠DCE=∠x+2∠x=3∠x =;2!;_160ù=80ù
△DCE에서 DCÓ=DEÓ이므로 따라서 사각형 ABOD에서
∠DEC=∠DCE=3∠x ∠x=360ù-(125ù+∠ADO+∠ABO) 
△DBE에서 ∠EDF=∠x+3∠x=4∠x =360ù-(125ù+80ù)=155ù
따라서 4∠x=96ù이므로 ∠x=24ù

148 ②

△ACG에서 A E 152  318ù


∠FGD=∠x+32ù x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 42ù a
△BFE에서 20ù
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음을 이용하여 각 a+42ù
G x+32ù b b+c g
∠GFD=48ù+20ù=68ù 의 크기를 표시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48ù
△FDG에서 이때 사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c d+e f+g f
68ù y
B D d e
(∠x+32ù)+68ù+∠y=180ù F (∠a+42ù)+(∠b+∠c)+(∠d+∠e)
32ù
∴ ∠x+∠y=80ù C +(∠f+∠g)=360ù
∴ ∠a+∠b+∠c+∠d+∠e+∠f+∠g=318ù
149  96ù

∠ABD=∠DBE=∠EBC=∠a,
∠ACD=∠DCE=∠ECP=∠b라고 하면
△ABC에서 3∠b=3∠a+∠x 153  720ù

∴ ∠b=∠a+;3!;∠x    yy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선을 그으면  l


∠i+∠j=∠k+∠l, k h
△DBC에서 2∠b=2∠a+48ù a
ji
∠d+∠e=∠m+∠n g
∴ ∠b=∠a+24ù yy ㉡ b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e
f
d
㉠, ㉡에서 ;3!;∠x=24ù ∴ ∠x=72ù c m n
180ù_(6-2)=720ù이므로
△EBC에서 ∠b=∠a+∠y   yy ㉢ ∠a+∠b+∠c+∠d+∠e+∠f+∠g+∠h+∠i+∠j
㉡, ㉢에서 ∠y=24ù =∠a+∠b+∠c+∠m+∠n+∠f+∠g+∠h+∠k+∠l
∴ ∠x+∠y=72ù+24ù=96ù =720ù

04 다각형 025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5 2021-05-12 오후 1:23:57


154  150ù 159  96ù

주어진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고 하면 180ù_(5-2)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08ù이므로
180ù_(n-2)+360ù=2160ù 5
180ù_n=2160ù ∠JED=108ù-90ù=18ù, ∠JDE=108ù-60ù=48ù
∴ n=12 따라서 △EJD에서
따라서 정십이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EJD=180ù-(18ù+48ù)=114ù
180ù_(12-2) ∴ ∠FJH=∠EJD=114ù`(맞꼭지각)
=150ù
12 ∠IFJ=60ù, ∠IHJ=90ù이므로 사각형 FIHJ에서
∠FIH=360ù-(60ù+90ù+114ù)=96ù
∴ ∠x=∠FIH=96ù`(맞꼭지각)
155  19ù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F A


l

2
180ù_(5-2) 55ù E
=108ù
5 55ù STEP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심 화 유 형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를 지나고 두 직 B
53ù H
108ù D 본교재 047 ~ 049쪽
선 l, m에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53ù x m
I C G
∠ABH=∠FAB=55ù`(엇각) 160 77개 161 54개 162 24개 163 126개
∴ ∠HBC=108ù-55ù=53ù
164 195ù 165 61ù 166 95ù 167 74ù
따라서 ∠BCI=∠HBC=53ù`(엇각)이므로
168 60ù 169 900ù 170 180ù 171 540ù
∠x=180ù-(53ù+108ù)=19ù
172 36개 173 360ù 174 54개 175 22개
176 10개 177 123ù
156  90개

한 내각의 크기와 한 외각의 크기의 합이 180ù이므로 주어진 정다각형의


160  77개
2
한 외각의 크기는 180ù_ =24ù
13+2 구하는 다각형을 n각형이라고 하면
주어진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고 하면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n-3)개이므로 a=n-3
360ù 이때 생기는 삼각형의 개수는 (n-2)개이므로 b=n-2
=24ù   ∴ n=15
n
a+b=23이므로 (n-3)+(n-2)=23
따라서 정십오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2n-5=23, 2n=28   ∴ n=14
15_(15-3) 14_(14-3) 14_11
=90(개)
2 따라서 십사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2
=
2
=77(개)

161  54개
157  135ù
찾을 수 있는 정다각형은 정삼각형과 정육각형이고 그 개수는 다음과
180ù_(8-2)
정팔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35ù 같다.
8
△EFG는 FEÓ=FG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FEG=;2!;_(180ù-135ù)=22.5ù
25개 10개 3개
같은 방법으로 △DEF에서 ∠DFE=22.5ù
따라서 △IEF에서
∠x=∠EIF`(맞꼭지각)=180ù-(22.5ù+22.5ù)=135ù

158  96ù

360ù 6개 3개 1개
정오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72ù이고,
5
360ù
정육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60ù이므로
6
∠DEP=72ù, ∠EDI=72ù+60ù=132ù, ∠DIP=60ù 6개
따라서 사각형 EDIP에서 따라서 찾을 수 있는 정다각형은 모두
∠x=360ù-(72ù+132ù+60ù)=96ù 25+10+3+6+3+1+6=54(개)

026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6 2021-05-12 오후 1:23:58


162  24개 166  95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A에서 만들 수 있 A H aE


80ù
는 이등변삼각형은 △ABH, △ACG, A a
B G
△ADF의 3개이다. 100ù D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꼭짓점 B, C, y, H에 P b
C F Q
서도 이등변삼각형을 3개씩 만들 수 있으므로 70ù
B F
구하는 이등변삼각형의 개수는 8_3=24(개) D E C
110ù b

∠BEP=∠CEP=∠a, ∠BFP=∠AFP=∠b라고 하면
163  126개
△EAD에서 ∠ADC=2∠a+(180ù-100ù)=2∠a+80ù이고
18개의 점 PÁ, Pª, P£, y, PÁ¥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만든 다각형은 △FDC에서 ∠ADC=2∠b+(180ù-70ù)=2∠b+110ù이므로
정십팔각형이므로 대각선의 개수는 2∠a+80ù=2∠b+110ù
18_(18-3) 2(∠a-∠b)=30ù   ∴ ∠a-∠b=15ù
=135(개) yy 30`%
2 ECÓ와 PFÓ의 교점을 Q라고 하면
이 대각선 중에서 길이가 8인 대각선은 PÕÁPÁ¼Ó, PÕªPÁÁÓ, PÕ£PÁªÓ, y, PÕ»PÁ¥Ó △CFQ에서 ∠FQC=180ù-(110ù+∠b)=70ù-∠b
의 9개이다. yy 40`% ∠EQP=∠FQC=70ù-∠b`(맞꼭지각)이므로
따라서 정십팔각형의 대각선 중에서 길이가 8보다 짧은 대각선의 개수는 △EPQ에서 ∠a+∠EPF+(70ù-∠b)=180ù
135-9=126(개) yy 30`% ∴ ∠EPF=110ù-(∠a-∠b)=110ù-15ù=95ù

164  195ù
167  74ù
△BCE는 BCÓ=CE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E
∠ABD=∠CBO=∠a,  D
∠E=∠B=42ù 42ù
∠ACE=∠BCO=∠b라고 하면
△BCE에서 △OCB에서 ∠a+53ù+∠b=180ù이므로 B a
D
∠ECF=∠B+∠E=42ù+42ù=84ù a
A ∠a+∠b=127ù x A
∴ ∠ACD=∠ECF=84ù B 53ù
42ù C F △ABC에서 O
b b
△ACE에서 ∠ABC=180ù-2∠a,
C E
∠CAE+84ù+42ù=180ù이므로
∠ACB=180ù-2∠b이므로
∠CAE=54ù
∠x=180ù-(∠ABC+∠ACB)
∴ ∠BAC=180ù-∠CAE=180ù-54ù=126ù
=180ù-{(180ù-2∠a)+(180ù-2∠b)}
이때 ADÓ는 ∠CAE의 이등분선이므로
=180ù-{360ù-2(∠a+∠b)}
∠DAC=∠EAD=;2!;∠CAE=;2!;_54ù=27ù =2(∠a+∠b)-180ù
△ACD에서 =2_127ù-180ù=254ù-180ù=74ù
27ù+84ù+∠ADC=180ù ∴ ∠ADC=69ù
∴ ∠BAC+∠ADC=126ù+69ù=195ù 168  60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Ó를 긋고 A


165  61ù
∠ABD=∠DBE=∠a,
△BED는 BDÓ=BEÓ인 이등변삼각형이고 A ∠ACD=∠DCE=∠b라고 하면 D
105ù
△CFE는 CEÓ=CF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58ù △EBC에서
a E b
∠BDE=∠BED=∠a,  F ∠EBC+∠ECB=180ù-150ù=30ù a b
D B C
b 150ù
∠CEF=∠CFE=∠b라고 하면 a △DBC에서
∠DEF=180ù-(∠a+∠b)  yy ㉠ a b ∠BDC+∠DBC+∠DCB
B C
△BED에서 E =∠BDC+(∠a+∠EBC)+(∠b+∠ECB)
∠B+∠a+∠a=180ù이므로 ∠B=180ù-2∠a =∠BDC+(∠a+∠b)+(∠EBC+∠ECB)
△CFE에서 =105ù+(∠a+∠b)+30ù=180ù
∠C+∠b+∠b=180ù이므로 ∠C=180ù-2∠b ∴ ∠a+∠b=45ù
이때 △ABC에서 ∠A+∠B+∠C=180ù이므로 따라서 △ABC에서
58ù+(180ù-2∠a)+(180ù-2∠b)=180ù ∠A=180ù-(∠ABC+∠ACB)
238ù=2∠a+2∠b   ∴ ∠a+∠b=119ù =180ù-{(2∠a+∠EBC)+(2∠b+∠ECB)}
㉠에서 ∠DEF=180ù-(∠a+∠b) =180ù-{2(∠a+∠b)+(∠EBC+∠ECB)}
=180ù-119ù=61ù =180ù-(2_45ù+30ù)=180ù-120ù=60ù

04 다각형 027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7 2021-05-12 오후 1:24:00


169  900ù 172  36개

오른쪽 그림과 같이 GIÓ, CDÓ를 그으면 A 세 다각형 P, Q, R를 각각 l각형, m각형, n각형이라고 하면


∠HGI+∠HIG=∠HCD+∠HDC a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각각
∴ ‌∠a+∠b+∠c+∠d+∠e+∠f F J (l-3)개, (m-3)개, (n-3)개이다.
B b f i e E
+∠g+∠h+∠i 이때 (l-3)`:`(m-3)`:`(n-3)=2`:`3`:`4이므로
G I
=∠a+∠b+∠c+∠d+∠e l-3=2k, m-3=3k, n-3=4k`(k는 자연수)라고 하면
+∠f+∠FGI+∠HGI c H d l-2=2k+1, m-2=3k+1, n-2=4k+1 yy 30`%
+∠JIG+∠HIG+∠i C D 세 다각형의 모든 내각의 크기의 합이 5400ù이므로
=∠a+∠b+∠c+∠d+∠e+∠f+∠FGI+∠JIG+∠HCD 180ù_(l-2)+180ù_(m-2)+180ù_(n-2)
+∠HDC+∠i =180ù_(2k+1)+180ù_(3k+1)+180ù_(4k+1)
=(∠a+∠b+∠c+∠HCD+∠HDC+∠d+∠e) =180ù_(2k+1+3k+1+4k+1)
+(∠f+∠i+∠FGI+∠JIG) =180ù_(9k+3)=5400ù
=(오각형 ABCDE의 내각의 크기의 합) 9k+3=30, 9k=27   ∴ k=3 yy 50`%
+(사각형 FGIJ의 내각의 크기의 합) l-3=6에서 l=9
=180ù_(5-2)+360ù=540ù+360ù=900ù m-3=9에서 m=12
n-3=12에서 n=15

170  180ù
따라서 세 다각형 P, Q, R는 각각 구각형, 십이각형, 십오각형이므로
구하는 세 다각형의 변의 개수의 합은
∠PAB=∠a, ∠PBA=∠b,  9+12+15=36(개) yy 20`%
A D
∠QCD=∠c, ∠QDC=∠d라고 하면 a d
a d
사각형 ABCD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P Q
360ù이므로 b c
b c
B C
173
2(∠a+∠b+∠c+∠d)=360ù
 360ù
∴ ∠a+∠b+∠c+∠d=180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Ó, BCÓ, CDÓ, DÕAÓ D
△PBA와 △QDC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모두 180ù이므로
(∠P+∠a+∠b)+(∠Q+∠c+∠d)=180ù+180ù=360ù 를 그으면 d
△ABF에서 e h
∠P+∠Q+(∠a+∠b+∠c+∠d)=360ù E H
∠ABF+∠BAF=180ù-∠f A a c C
∠P+∠Q+180ù=360ù ∴ ∠P+∠Q=180ù F G
△BCG에서 g
f
∠BCG+∠CBG=180ù-∠g b
171  540ù
△CDH에서 B
△IKJ에서  f+g ∠CDH+∠DCH=180ù-∠h
H I
G J
∠HIK=∠f+∠g e f+g f △DAE에서
l//m이므로 hC ∠DAE+∠ADE=180ù-∠e
g
∠GHF=∠HIK F B id c D
A h 이때 사각형 ABCD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b K
=∠f+∠g`(동위각) h+i a i ∠a+∠b+∠c+∠d+(180ù-∠f)
L E
한편, ∠GFH=∠h, M +(180ù-∠g)+(180ù-∠h)+(180ù-∠e)
l m
∠CBE=∠i라고 하면 =∠a+∠b+∠c+∠d-(∠e+∠f+∠g+∠h)+720ù=360ù
△GFH에서 ∴ (∠e+∠f+∠g+∠h)-(∠a+∠b+∠c+∠d)=360ù
∠e+(∠f+∠g)+∠h=180ù이므로
∠e+∠f+∠g=180ù-∠h
사각형 BEDC에서
∠b+∠c+∠d+∠i=360ù이므로 174  54개
∠b+∠c+∠d=360ù-∠i
만들어지는 다각형은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외각의 크기가 30ù로
∠AFB=∠GFH=∠h`(맞꼭지각)이고
같으므로 정다각형이다.
∠FBA=∠CBE=∠i`(맞꼭지각)이므로
만들어지는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고 하면
△ABF에서 ∠FAL=∠h+∠i
360ù
∴ ∠a=∠FAL=∠h+∠i`(맞꼭지각) =30ù   ∴ n=12
n
∴ ‌∠a+∠b+∠c+∠d+∠e+∠f+∠g
따라서 만들어지는 다각형은 정십이각형이므로
=(∠h+∠i)+(360ù-∠i)+(180ù-∠h)
12_(12-3)
=(∠h+∠i)-(∠i+∠h)+540ù=540ù 대각선의 개수는 =54(개)
2

028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8 2021-05-12 오후 1:24:02


175  22개

한 내각의 크기가 (정수)ù이면 한 외각의 크기도 180ù-(정수)ù=(정수)ù


STEP
3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최 고 난 도
본교재 050 ~ 051쪽
유 형

이다.
360ù
정n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n
이므로 178 540ù 179 360ù 180 20 181 24ù 182 20
창 의 융 합
360
이 정수이려면 n은 360의 약수이어야 한다.
n 183 100ù 184 장미꽃
360=2Ü`_3Û`_5이므로 360의 약수의 개수는
(3+1)_(2+1)_(1+1)=24(개)
이때 n¾3이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n은 1과 2를 제외한 24-2=22(개) 178  540ù
이다. Ú 오른쪽 그림에서  b a
따라서 한 내각의 크기가 (정수)ù인 정다각형은 22개이다. a+b
∠a+∠b+∠c+∠d+∠e+∠f c c+d j
+∠g+∠h+∠i+∠j d i
176  10개 =(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 e+f
i+j

108ù e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y
=360ù f g+h g h
180ù_(5-2) 108ù
=108ù
5 Û 오른쪽 그림에서 
144ù k
즉 원의 내부에 생기는 다각형은 내각의 크기 ∠k+∠l+∠m+∠n+∠o
y

가 360ù-2_108ù=144ù로 모두 같고 변의 =(5개의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l o


길이도 모두 같으므로 정다각형이다. -(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_2
이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고 하면 =180ù_5-360ù_2
한 내각의 크기가 144ù이므로 =180ù m n
180ù_(n-2) Ú, Û에서
=144ù, 180ù_n-360ù=144ù_n
n
∠a+∠b+∠c+∠d+∠e+∠f+∠g+∠h+∠i+∠j
36ù_n=360ù   ∴ n=10
+∠k+∠l+∠m+∠n+∠o
따라서 원의 내부에 생기는 정다각형은 정십각형이므로 원주를 빈틈없
=360ù+180ù=540ù
이 채우려면 모두 10개의 정오각형이 필요하다.
이므로 주어진 그림에서 색칠한 각의 크기의 합은 540ù이다.

177  123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팔각형과 정육각 A B


108ù
형의 한 변에 평행하고 정오각형의 한 점 C D
l
I
C를 지나는 직선을 l이라고 하자. E x
정오각형, 정육각형, 정팔각형의 한 내각
120ù H
108ù
108ù x
179  360ù
F
의 크기는 각각 G Ú 오른쪽 그림에서  g f
180ù_(5-2) ∠a+∠b+∠c+∠d+∠e+∠f e
=108ù,
5 +∠g+∠h+∠i h
180ù_(6-2) 180ù_(8-2) =(9개의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d
=120ù, =135ù이므로
6 8 i
-(구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_2
∠ABC=135ù-108ù=27ù
=180ù_9-360ù_2=900ù c
ABÓ//l이므로 ∠BCD=∠ABC=27ù`(엇각) a
b
∠DCE=108ù-27ù=81ù
Û 오른쪽 그림에서  y
∠IEF=∠DCE=81ù`(동위각) m l
보조선을 그으면 맞꼭지각의 크기가 서로 같으 n
이때 오각형 EFGHI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_(5-2)=540ù이고 x
므로 ∠m+∠n=∠x+∠y o
∠IHG=∠x`(맞꼭지각)이므로 p k
j
∴ ∠j+∠k+∠l+∠m+∠n+∠o+∠p
81ù+108ù+108ù+∠x+120ù=540ù
=∠j+∠k+∠l+∠x+∠y+∠o+∠p
∴ ∠x=123ù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180ù_(5-2)=540ù
Ú, Û에서
(∠a+∠b+∠c+∠d+∠e+∠f+∠g+∠h+∠i)
-(∠j+∠k+∠l+∠m+∠n+∠o+∠p)
=900ù-540ù=360ù

04 다각형 029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29 2021-05-12 오후 1:24:03


180  20 이때 △AªB£Bª≡△AÁBªBÁ`(SAS 합동)이므로
∠AªBªB£=∠AÁBÁBª=∠a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길이가 각각 x, 3, y A
=∠AÁ+18ù
∴ ∠AªBªAÁ 
인 세 변의 연장선으로 삼각형 ABC를 5 5
5 =(180ù-2∠a)+18ù 
만들면 주어진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가 y
x =198ù-2∠a
모두 같으므로 외각의 크기도
6 점 Bª에서 ∠AªBªAÁ+∠a+∠b+∠a=360ù이므로
360ù 4 6
=60ù로 모두 같다. 4 (198ù-2∠a)+∠a+∠b+∠a=360ù
6
B 4 3 C
따라서 삼각형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6 ∠b+198ù=360ù   ∴ ∠b=162ù
세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그 길이는 4+3+6=13이다. 즉 ∠B£BªBÁ은 정n각형의 한 내각이고 그 크기가 162ù이므로
ABÓ=13이므로 5+x+4=13   ∴ x=4 180ù_(n-2)
=162ù, 180ù_n-360ù=162ù_n
n
ACÓ=13이므로 5+y+6=13   ∴ y=2
∴ xÛ`+yÛ`=4Û`+2Û`=20 18ù_n=360ù   ∴ n=20

181  24ù
183  100ù 창 의 융 합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A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D
180ù_(5-2) a a
=108ù이므로 z ∠BAD=∠ADC=∠a라고 하면 F
5 180ù-a 180ù-a
B y E 사각형 ABCD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AED=108ù P B C
△ ADE는 AEÓ = EDÓ 인 이등변삼각형이 x 360ù이므로 E

므로 ∠BCD=∠ABC=;2!;_(360ù-2∠a)=180ù-∠a
C D
∠ADE=∠DAE=;2!;_(180ù-108ù)=36ù 이어 붙인 사다리꼴은 모두 합동이므로
같은 방법으로 △BCD도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BD=∠CDB=36ù ∠DCE=180ù-∠a
이때 △PCD는 정삼각형이므로 ∠PDC=60ù 이때 ∠BCE는 정십팔각형의 한 내각이므로
∴ ∠x=∠CDE-(∠ADE+∠PDC) 180ù_(18-2)
∠BCE= =160ù
18
=108ù-(36ù+60ù)=12ù yy 30`%
점 C에서 2_(180ù-∠a)+160ù=360ù
△PBC에서 BCÓ=CPÓ이고 ∠BCP=108ù-60ù=48ù이므로
2∠a=160ù   ∴ ∠a=80ù
∠CBP=;2!;_(180ù-48ù)=66ù ∴ ∠BCD=180ù-∠a=180ù-80ù=100ù
∴ ∠y=∠CBP-∠CBD=66ù-36ù=30ù yy 20`% [다른 풀이]
위의 그림과 같이 PEÓ를 그으면 △BCP와 △EDP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합동인 사다리꼴 18개 A D
BCÓ=EDÓ, PCÓ=PDÓ, ∠BCP=∠EDP=48ù이므로 를 이어 붙이면 내부에 생기는 도형은 정십 BC
△BCP≡△EDP`(SAS 합동) ∴ BPÓ=EPÓ 팔각형이다.
△ABP와 △AEP에서 이때 정십팔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ABÓ=AEÓ, BPÓ=EPÓ, APÓ는 공통이므로 180ù_(18-2)
=160ù이므로
△ABP≡△AEP`(SSS 합동) 18
∴ ∠PAB=∠PAE 점 C에서 2∠BCD+160ù=360ù
2∠BCD=200ù   ∴ ∠BCD=100ù
즉 ∠PAE=;2!;∠BAE=;2!;_108ù=54ù이므로
∠z=∠PAE-∠DAE=54ù-36ù=18ù yy 40`%
∴ ∠x+∠y-∠z=12ù+30ù-18ù=24ù yy 10`% 184  장미꽃 창 의 융 합

Ú A Û A
182  20
B J B J
Aª AÁ C I C I
주어진 그림은 정n각형의 한 변을 밑변으로 하는
합동인 n개의 이등변삼각형을 꼭짓점끼리 붙여 놓 D H D H
F F
은 것이고 이 도형의 일부분을 확대하면 오른쪽 그
E G E G
림과 같다. y y
Bª A A
Ü Ý
∠AÁBªBÁ=∠a, ∠B£BªBÁ=∠b라고 하면 a a aa
△AÁBªBÁ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 BÁ B J B K J
b C I C I
∠AÁBÁBª=∠AÁBªBÁ=∠a O H
D O H D
△AÁBªBÁ에서 ∠AÁ+∠a+∠a=180ù F F
∴ ∠AÁ=180ù-2∠a E G E G

030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0 2021-05-12 오후 1:24:05


Ú△
 ACE와 △AIG에서
ACÓ=AIÓ, CEÓ=IGÓ,
05 원과 부채꼴
1
180ù_(5-2)
∠ACE=∠AIG= =108ù이므로
5 STEP 교과서를 정복하는 핵 심 유 형
△ACE≡△AIG`(SAS 합동)
본교재 053 ~ 055쪽
∴ ∠CAE=∠IAG=;2!;_(180ù-108ù)=36ù

같은 방법으로 185 ⑴ 112ù ⑵ 50`cm 186 6`cm 187 60`cmÛ`


∠ACI=∠ECG=∠CEA=∠GEI 188 32`cm 189 8`cm 190 24p
=∠EGC=∠IGA=∠AIC 191 40p`cmÛ` 192 16p`cm, (32p-64)`cmÛ`
=∠GIE=36ù 193 70p`cmÛ` 194 (24p+36)`cm 195 36p`cmÛ`
따라서 색칠한 삼각형 5개는 모두 합동인 이등변삼각형이다. 196 18p`cm 197 (8p+48)`cm 198 6p`cm
Û△
 JAB≡△BCD≡△DEF≡△FGH≡△HIJ`(SAS 합동)이 199 (16p+240)`cmÛ` 200 80p`mÛ`
므로 오각형 BDFHJ는 정오각형이다.
Ü 정오각형 BDFHJ의 모든 내각의 이등분선을 각각 그으면 한 점 O
에서 만나게 되고 5개의 합동인 삼각형으로 나누어진다. 185  ⑴ 112ù ⑵ 50`cm

(색칠한 부분의 넓이)=5_(삼각형 ACB의 넓이)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Ó를 그으면 16 cm A


(색칠하지 않은 부분의 넓이)=5_(사각형 CDOB의 넓이) △AOC에서 OAÓ=OCÓ이므로 28ù
Ý 점 O를 지나고 BDÓ와 평행한 직선을 그어 BJÓ와의 교점을 K라고 하 ∠OAC=∠ACO=28ù
O 28ù
면 △BDO=△BDK이므로 ∴ ∠AOC‌=180ù-(28ù+28ù)=124ù
9 cm
(사각형 CDOB의 넓이)=(삼각형 CDK의 넓이) µAB=µAC이므로 B C
△ACB와 △CDK에서 ∠AOB=∠AOC=124ù
∠ACB=∠BCD=36ù, CBÓ=CDÓ이고, ∴ ∠BOC=360ù-(124ù+124ù)=112ù
ACÓ=CJÓ>CKÓ이므로 ⑵ µAB=µAC이므로
△ACB의 넓이가 △CDK의 넓이보다 더 넓다. ACÓ=ABÓ=16(cm)
즉 삼각형 ACB의 넓이가 사각형 CDOB의 넓이보다 더 넓다. OCÓ=OBÓ=9(cm)이므로
Ú~Ý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더 넓으므로 장미꽃을 심은 부분의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넓이가 더 넓다. ABÓ+ACÓ+OBÓ+OCÓ=16+16+9+9=50(cm)

186  6`cm

△COD에서 OCÓ=ODÓ이므로
∠OCD=∠ODC=;2!;_(180ù-140ù)=20ù

ABÓ// CDÓ이므로
∠AOC=∠OCD=20ù`(엇각)
∠BOD=∠ODC=20ù`(엇각)
따라서 20`:`140=µAC`:`21이므로
1`:`7=µAC`:`21, 7µAC=21   ∴ `µAC=3(cm)
이때 ∠AOC=∠BOD이므로 µ BD=µAC=3(cm)
∴ µAC+µ BD=3+3=6(cm)
[다른 풀이]
µAC와 µ BD의 중심각의 크기의 합은 180ù-140ù=40ù
따라서 µAC+µ BD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가 40ù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
와 같으므로
(µAC+µ BD)`:`µ CD=40`:`140
(µAC+µ BD)`:`21=2`:`7, 7_(µAC+µ BD)=42
∴ µAC+µ BD=6(cm)

05 원과 부채꼴 031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1 2021-05-12 오후 1:24:06


187  60`cmÛ` 191  40p`cmÛ`

ABÓ// OCÓ이므로
∠OAB=∠DOC=40ù`(동위각) 12 cm 4 cm
△OAB에서 OAÓ=OBÓ이므로 ∠OBA=∠OAB=40ù O
A B A B
∴ ∠AOB=180ù-(40ù+40ù)=100ù O 12 cm

따라서 (부채꼴 AOB의 넓이)`:`(부채꼴 COD의 넓이)=100`:`40이므로


(부채꼴 AOB의 넓이)`:`24=5`:`2, 2_(부채꼴 AOB의 넓이)=120
위의 그림과 같이 일부분을 이동하면
∴ (부채꼴 AOB의 넓이)=60(cmÛ`)
(색칠한 부분의 넓이)

188  32`cm =(지름의 길이가 12`cm인 원의 넓이)


+(지름의 길이가 4`cm인 원의 넓이)
AEÓ// CDÓ이므로 E
30ù =p_6Û`+p_2Û`
∠OAE=∠BOD=30ù`(동위각) 30ù D
120ù =36p+4p=40p(cmÛ`)
오른쪽 그림과 같이 OEÓ를 그으면 A 30ù B
8 cm 30ù O
△AOE에서 OAÓ=OEÓ이므로
∠OEA=∠OAE=30ù C
192  16p`cm, (32p-64)`cmÛ``

∴ ∠AOE=180ù-(30ù+30ù)=120ù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지름의 길이가 8`cm인 원의 둘레의 길이의 2배와
∠AOC=∠BOD=30ù`(맞꼭지각)이므로 같으므로 8p_2=16p(cm)
120`:`30=µAE`:`µAC, 4`:`1=µAE`:`8 구하는 넓이는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
∴ µAE=32(cm) 이의 2배와 같으므로 4 cm

{p_4Û``-;2!;_8_8}_2=(16p-32)_2
189  8`cm
=32p-64(cmÛ`)
∠DPO=∠a라고 하면 C
4 cm 2a
△DOP에서 DOÓ=DPÓ이므로
54ù
2a
a
D
a
193  70p`cmÛ``
∠DOP=∠DPO=∠a P
A O B
360ù
∴ ∠ODC=∠a+∠a=2∠a 정오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72ù이므로
5
△ODC에서 ODÓ=OCÓ이므로 ∠BAF=∠FEG=∠GDH=72ù
∠OCD=∠ODC=2∠a ABÓ=AEÓ=DEÓ=5(cm)이므로
△OPC에서 EGÓ=EFÓ=5+5=10(cm),
∠AOC=2∠a+∠a=3∠a이므로 DÕHÓ=DGÓ=5+10=15(cm)
3∠a=54ù   ∴ ∠a=18ù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즉 ∠DOP=18ù이므로
p_5Û`_;3¦6ª0;+p_10Û`_;3¦6ª0;+p_15Û`_;3¦6ª0;
∠COD=180ù-(54ù+18ù)=108ù
따라서 54`:`108=µAC`:`µ CD이므로 =5p+20p+45p=70p(cmÛ`)
1`:`2=4`:`µ CD   ∴ µ CD=8(cm)
194  (24p+36)`cm
190  24p
각 원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하는 정다각형 3 cm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3 cm
은 정육각형이고,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
=(지름의 길이가 8`cm인 원의 둘레의 길이) 180ù_(6-2)
기는 ` =120ù
+(지름의 길이가 6`cm인 원의 둘레의 길이) 6 120ù
+(지름의 길이가 2`cm인 원의 둘레의 길이)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반지
=8p+6p+2p=16p(cm) 름의 길이가 3`cm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 a=16p 360ù-120ù=240ù인 부채꼴의 둘레의 길
(색칠한 부분의 넓이) 이의 6배와 같으므로
=(지름의 길이가 8`cm인 원의 넓이) {2p_3_;3@6$0);+3+3}_6=(4p+6)_6=24p+36(cm)
-(지름의 길이가 6`cm인 원의 넓이)
+(지름의 길이가 2`cm인 원의 넓이)
=p_4Û``-p_3Û``+p_1Û`` 195  36p`cmÛ``

=16p-9p+p=8p(cmÛ`) ∠DCB=180ù-60ù=120ù
∴ b=8p ∠DCE=∠BCA=60ù이므로
∴ a+b=16p+8p=24p ∠ECA=180ù-60ù=120ù

032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2 2021-05-12 오후 1:24:08


∴ (색칠한 부분의 넓이) 200  80p`mÛ``
=(부채꼴 ECA의 넓이)+△EDC
강아지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은 오른쪽 4m
-(부채꼴 DCB의 넓이)-△ABC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부채꼴 ECA의 넓이)-(부채꼴 DCB의 넓이) 10 m
따라서 강아지가 움직일 수 있는 2m 6m
=p_12Û`_;3!6@0);-p_6Û`_;3!6@0); 영역의 최대 넓이는
8m
10 m 270ù
=48p-12p=36p(cmÛ`) p_10Û`_;3@6&0);+p_4Û`_;3»6¼0;

+p_2Û`_;3»6¼0;
196  18p`cm =75p+4p+p=80p(mÛ`)

세 원은 모두 반지름의 길이가 18`cm로 18 cm


같은 원이므로 A
18 cm
ABÓ=BCÓ=CAÓ=18(cm)
B 60ù
즉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C
∠ACB=60ù
18 cm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반
지름의 길이가 18`cm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60ù인 부채꼴 ACB의 호의

2
길이의 3배와 같으므로
STEP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심 화 유 형
{2p_18_;3¤6¼0;}_3=18p(cm)
본교재 057 ~ 059쪽

201 10`cm 202 7`cm 203 3배 204 64`cmÛ`


197  (8p+48)`cm
205 (18p+48)`cm 206 1`:`1 207 140p`mÛ`
오른쪽 그림에서 곡선 부분의 길이는 120ù
4 cm 208 :Á2£:p`cmÛ` 209 (104-20p)`cmÛ`
{2p_4_;3!6@0);}_3=8p(cm)
16 cm
직선 부분의 길이는 210 16p`cm 211 :£3ª:p`cmÛ`
16_3=48(cm) 212 (6p-8)`cmÛ` 213 방법 B, 4`cm
따라서 필요한 끈의 최소 길이는 120ù 120ù
214 20p`mÛ` 215 :£3ª:p`cm
8p+48(cm)
216 14p`cm 217 (48p+120)`cmÛ

198  6p`cm
201  10`cm
D C
A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Ó, ODÓ를 그으면  C
D
△AOC에서 OAÓ=OCÓ이므로 12 cm
5 cm 42ù
l ∠OCA=∠OAC=42ù 84ù
B 4 cm C A 3 cm B 42ù
A
∴ ∠BOC=42ù+42ù=84ù 70ù O 35ù B
점 B가 움직인 경로를 나타내면 위의 그림과 같으므로
△ODB에서 OBÓ=ODÓ이므로 35ù
점 B가 움직인 거리는
∠ODB=∠OBD=35ù
D
2p_4_;3»6¼0;+2p_5_;3»6¼0;+2p_3_;3»6¼0; ∴ ∠AOD=35ù+35ù=70ù

=2p+;2%;p+;2#;p=6p(cm) µAD`:`µ BC=∠AOD`:∠BOC이므로


µAD`:`12=70`:`84, µAD`:`12=5`:`6, 6µAD=60
∴ µAD=10(cm)

199  (16p+240)`cmÛ``
202  7`cm
원이 지나간 자리는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Ó를 그으면 C
부분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µ BC`:`¨ BDC=5`:`13이므로 3x
p_4Û``+(12_4)_5
5 100ù
=16p+240(cmÛ`) ∠BOC=360ù_
5+13
=100ù A B
3x 4x O
12 cm ∴ ∠AOC=180ù-100ù=80ù
4 cm D
∠CDO`:`∠AOD=3`:`4이므로

05 원과 부채꼴 033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3 2021-05-12 오후 1:24:09


∠CDO=3∠x, ∠AOD=4∠x라고 하면 205  (18p+48)`cm
△OCD에서 OCÓ=ODÓ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DCO=∠CDO=3∠x
이때 △OCD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이 180ù이므로 =(반지름의 길이가 6`cm인 원의 둘레의 길이)_;2!;
3∠x+3∠x+(4∠x+80ù)=180ù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원의 둘레의 길이)
10∠x=100ù   ∴ ∠x=10ù +(반지름의 길이가 2`cm인 원의 둘레의 길이)+6_8
즉 ∠AOD=4∠x=4_10ù=40ù이므로
=2p_6_;2!;+2p_4+2p_2+6_8
∠BOD=180ù-40ù=140ù
이때 원 O의 둘레의 길이가 18`cm이므로 =6p+8p+4p+48=18p+48(cm)

µ BD=18_;3!6$0);=7(cm)
206  1`:`1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원 OÁ, Oª, y, OÇ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Á, rª, y, rÇ이라고 하면
203  3배 (원 O의 둘레의 길이)=2pr
△OBD에서 OBÓ=ODÓ이므로 P (나머지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
∠OBD=∠ODB 50ù =2prÁ+2prª+y+2prÇ=2p(rÁ+rª+y+rÇ)
이때 지름 AB의 길이는 2r=2(rÁ+rª+y+rÇ)이고
=;2!;_(180ù-60ù)=60ù
D 원 O의 둘레의 길이는 2pr=2p(rÁ+rª+y+rÇ)이므로
△ABD에서 ∠ADB=90ù이므로 C 70ù 원 O의 둘레의 길이와 나머지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서로 같다.
∠BAD=180ù-(90ù+60ù)=30ù 40ù 80ù
60ù 60ù 따라서 원 O의 둘레의 길이와 나머지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의 비는
△PAD에서 A 30ù B
40ù O 1`:`1이다.
∠PAD=180ù-(90ù+50ù)=40ù
∴ `∠OAC=∠PAD+∠BAD=40ù+30ù=70ù yy 40`%
OCÓ를 그으면 207  140p`mÛ`

△AOC에서 OAÓ=OCÓ이므로 첫 번째 돌멩이를 던진 후 x초 후에


∠OCA=∠OAC=70ù 두 물결이 처음 만난다고 하자. 2(x-5) m
yy 30`% 2x m
∴ ∠AOC=180ù-(70ù+70ù)=40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x초 후의 첫 번
14 m
이때 ∠COD=180ù-(40ù+60ù)=80ù이므로 째 물결이 그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
∠AOD=∠AOC+∠COD=40ù+80ù=120ù 이는 2x`m이고, 두 번째 물결이 그
따라서 µAD`:`µAC=∠AOD`:`∠AOC에서 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x-5)`m이다.
µAD`:`µAC=120`:`40=3`:`1 두 물결이 만날 때 두 물결이 그리는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이 14`m
이므로 µAD의 길이는 µAC의 길이의 3배이다. yy 30`% 이므로
2x+2(x-5)=14, 4x=24   ∴ x=6
즉 구하는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각각
2_6=12(m), 2_(6-5)=2(m)
204  64`cmÛ``
따라서 두 물결이 그리는 두 원의 넓이의 차는
∠QOB=∠a라고 하면  C p_12Û`-p_2Û`=144p-4p=140p(mÛ`)
R
∠AOP=∠QOB=∠a`(맞꼭지각) 90ù-a S
ABÓ⊥CDÓ이므로 ∠POC=90ù-∠a P
이때 △POS에서 POÓ=PSÓ이므로 A
a O
B 208  ;;'Á2£;;p`cmÛ``
a Q
∠PSO=∠POS=90ù-∠a D
오른쪽 그림과 같이 BDÓ , B'DÓ 를 그
∴ ∠OPS A
D 으면 △DBCª△DB'C'이므로 색칠 25ù C'
=180ù-{(90ù-∠a)+(90ù-∠a)} 6 cm
한 부분의 넓이는 부채꼴 BDB'의 넓
=2∠a
이와 같다. A' C
△POR에서 OPÓ=ORÓ이므로 이때 ∠BDC=∠B'DA'=45ù이므로 B B'
∠ORP=∠OPR=2∠a
∠BDA'=∠B'DC=45ù-∠A'DC
∴ ∠ROQ=2∠a+2∠a=4∠a
=45ù-25ù=20ù
부채꼴 ROQ의 넓이를 x`cmÛ`이라고 하면
∴ ∠BDB'=20ù+25ù+20ù=65ù
∠a`:`4∠a=16`:`x, 1`:`4=16`:`x
따라서 BDÓ=6`cm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 x=64
따라서 부채꼴 ROQ의 넓이는 64`cmÛ`이다. p_6Û`_;3¤6°0;=;;Á2£;;p(cmÛ`)

034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4 2021-05-12 오후 1:24:10


209  (104-20p)`cmÛ`` 213  방법 B, 4`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E, F에서  A 60ù 60ù


2 cm 8 cm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G, H라고 E 4 cm
F 45ù 2 cm 4 cm 4 cm
하면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45ù O H
△ABC-△EBG-△FHC B C
8 cm G 8 cm D
-(부채꼴 EGD의 넓이) 4 cm 4 cm
120ù 12 cm
-(부채꼴 FHD의 넓이)
[방법 A] [방법 B]
=;2!;_24_12-;2!;_8_8-;2!;_4_4-p_8Û`_;3»60¼ ;-p_4Û`_;3»60¼ ;
Ú 방법 A에서
=144-32-8-16p-4p
곡선 부분의 길이는 {2p_2_;3¤60¼ ;}_6=4p(cm)
=104-20p(cmÛ`)
직선 부분의 길이는 4_6=24(cm)
즉 필요한 끈의 최소 길이는 (4p+24)`cm
210  16p`cm
Û 방법 B에서
오른쪽 그림에서 ABÓ, AHÓ, BHÓ, EBÓ, ECÓ,  A D 곡선 부분의 길이는
E
BCÓ는 모두 사분원의 반지름이므로
F H {2p_2_;3¤60¼ ;}_2+{2p_2_;3!60@ ;) }_2=;3$;p+;3*;p=4p(cm)
△ABH, △EBC는 정삼각형이다.
즉 ∠ABH=∠EBC=60ù이므로 직선 부분의 길이는 8+4+12+4=28(cm)
∠ABE=∠HBC=90ù-60ù=30ù G 즉 필요한 끈의 최소 길이는 (4p+28)`cm
B C
∴ ∠EBH=∠ABH-∠ABE 24 cm Ú, Û에서 (4p+28)-(4p+24)=4(cm)이므로 방법 B가 방법 A
=60ù-30ù=30ù 보다 끈이 4`cm 더 필요하다.

∴ µ EH=2p_24_;3£6¼0;=4p(cm)

같은 방법으로
µ HG=µ GF=µ FE=4p(cm) 214  20p`mÛ``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4p_4=16p(cm) 360ù
정육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60ù이고,
6
한 내각의 크기는 180ù-60ù=120ù
211  ;;£3ª;;p`cmÛ`` 말뚝과 A 부분 사이의 최단 거리는 2`m이므
로 염소가 울타리 밖에서 움직일 수 있는 영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Ó를 그으면  C 5m
역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60ù A
△AOC에서 OAÓ=OCÓ이므로 30ù 2m 240ù
따라서 염소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의 최대 2m
∠ACO=∠CAO=30ù 60ù
30ù 60ù 넓이는
∴ ∠COB=30ù+30ù=60ù A B 60ù
O 8 cm 60ù 3 m
이때 △AOC와 △OBC는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각각 같으므로 넓이 p_5Û`_;3@6$0);+{p_3Û`_;3¤6¼0;}_2 1m
가 서로 같다.
+{p_1Û`_;3¤6¼0;}_2
따라서 위의 그림과 같이 일부분을 이동하면 구하는 넓이는
부채꼴 COB의 넓이와 같으므로 =;;°3¼;;p+3p+;3!;p=20p(mÛ`)
p_8Û`_;3¤6¼0;=;;£3ª;;p(cmÛ`)

212  (6p-8)`cmÛ`
215  :£3ª:p`cm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부채꼴 AOC의 넓이와 반원 O'의 넓이의 합에서
사각형 BOCO'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B
이때 △OCO'과 △OBO'에서
OÕO'Ó은 공통, OÕ'CÓ=OÕ'BÓ, OCÓ=OBÓ이므로 60ù
l
△OCO'ª△OBO'`(SSS 합동) O 8 cm A O

∴ (사각형 BOCO'의 넓이)=2△OCO'=2_{;2!;_4_2}=8(cmÛ`) 점 O가 움직인 경로를 나타내면 위의 그림과 같으므로


점 O가 움직인 거리는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부채꼴 AOC의 넓이)+(반원 O'의 넓이)-(사각형 BOCO'의 넓이) 2p_8_;3»6¼0;+2p_8_;3¤6¼0;+2p_8_;3»6¼0;

=p_4Û`_;3»6¼0;+p_2Û`_;2!;-8=4p+2p-8=6p-8(cmÛ`) =4p+;3*;p+4p=:£3ª:p(cm)

05 원과 부채꼴 035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5 2021-05-12 오후 1:24:12


216  14p`cm 따라서 원 O의 중심이 움직인
12 cm
A
경로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
정삼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60ù이므 120ù
A ㉢
로 원 O의 중심이 움직인 거
로 점 P가 움직인 경로를 나타내면 오 3 cm ㉡
120ù 리는 반지름의 길이가 12`cm 60ù Q
른쪽 그림과 같다. yy 25`% 60ù P P B
60ù 60ù
6 cm 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부채꼴 ㉠의 호의 길이는
B 60ù 360ù-(60ù+60ù)=240ù인
2p_6_;3@6$0);=8p(cm) C C
㉠ 240ù 60ù 부채꼴의 호의 길이의 2배와
6 cm
 yy 20`% 같다.
부채꼴 ㉡의 호의 길이는 P 따라서 구하는 거리는

2p_3_;3!6@0);=2p(cm) yy 20`% 2¨ABC=2_{2p_12_;3@6$0);}=32p(cm)

부채꼴 ㉢의 호의 길이는

2p_6_;3!6@0);=4p(cm) yy 20`%

따라서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8p+2p+4p=14p(cm) yy 15`%


219 ③

217  (48p+120)`cmÛ`
[그림 1]에서 가장 작은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Á, 중간 크기의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ª, 가장 큰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이라고 하면
원 O가 지나간 자리는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x
6 cm rÁ+rª+r£= 이므로
부분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6 cm
2

{p_16Û`_;3£6¤0;-p_10Û`_;3£6¤0;} a=;2!;_2p_rÁ+;2!;_2p_rª+;2!;_2p_r£+x
10 cm 36ù 3 cm
O =p(rÁ+rª+r£)+x
+{p_6Û`_;3»6¼0;}_2+p_6Û`_;3!6$0$;
144ù =;2!;px+x={;2!;p+1}x
+(10_6)_2
6 cm
[그림 2]에서 작은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5¥;;p+18p+;;¦5ª;;p+120=48p+120(cmÛ`)
x
큰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r¢+r°= 이므로
2
b=;2!;_2p_r¢+;2!;_2p_r°+x

=p(r¢+r°)+x

=;2!;px+x={;2!;p+1}x

[그림 3]에서
x

3
c=;2!;_2p_ +x
2
STEP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최 고 난 도 유 형
=;2!;px+x={;2!;p+1}x
본교재 060 ~ 062쪽
∴ a=b=c
218 32p`cm 219 ③ 220 225
221 16p 222 :°3¼:p`cm 223 :£3ª:p`cmÛ`
224 74p+152 225 80ù 220  225
창 의 융 합
(㉠의 넓이) A D
226 ⑴ (1600p+15200)`cmÛ` ⑵ (2400-600p)`cmÛ` =(한 변의 길이가 5`cm인 정사각형의
227 ⑴ (200-40p)`m ⑵ 12p`m 넓이)-(반지름의 길이가 5`cm인 사
10 cm
분원의 넓이) ㉡

218  32p`cm =5Û`-p_5Û`_;4!;


B

C
두 원 P, Q의 둘레를 따라 원 O가 한 바퀴 돌 때, =25-:ª4°:p(cmÛ`)
O
원 O가 두 원 P, Q와 동시에 만나는 경우는 오른
(㉡의 넓이)
쪽 그림과 같다.
=(부채꼴 ADC의 넓이)-△ADC
이때 삼각형 OPQ는 세 변의 길이가 세 원의 지 P Q
름의 길이와 같은 정삼각형이므로 한 내각의 크 =p_10Û`_;4!;-;2!;_10_10

기는 60ù이다. =25p-50(cmÛ`)

036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6 2021-05-12 오후 1:24:13


∴ (색칠한 부분의 넓이) 223  ;;£3ª;;p`cmÛ``
={△ABC-(㉠의 넓이)-(㉡의 넓이)}_2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Ó, ODÓ, OFÓ, OGÓ E
=[;2!;_10_10-{25-:ª4°:p}-(25p-50)]_2 D F
를 그으면
C G
={50-25+:ª4°:p-25p+50}_2 µAC=µ CD=µDE=µ EF=µ FG=µ GB P
이므로 A B
={75-:¦4°:p}_2 I O
∠AOC=∠COD=∠DOE H 16 cm
=∠EOF=∠FOG=∠GOB
=150-:¦2°:p(cmÛ`)
=180ù_;6!;=30ù yy 20`%
따라서 a=150, b=-:¦2°:이므로
이때 △OCH와 △DOI에서
a-2b=150-2_{-:¦2°:}=150+75=225 OCÓ=DOÓ    yy ㉠
∠COH=30ù, ∠ODI=90ù-(30ù+30ù)=30ù이므로
∠COH=∠ODI   yy ㉡
∠OCH=90ù-30ù=60ù, ∠DOI=30ù+30ù=60ù이므로
∠OCH=∠DOI   yy ㉢
221  16p ㉠, ㉡, ㉢에서 △OCHª△DOI`(ASA 합동) yy 30`%
△ABC가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점 M이 지나는 곡선과 직선 l로 둘 ∴ (사각형 CHIP의 넓이)‌=△OCH-△OPI
러싸인 부분은 다음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과 같다. =△DOI-△OPI
=△POD yy 20`%

따라서 도형 CHID의 넓이는 부채꼴 COD의 넓이와 같으므로
B AÁ Mª Bª
㉠ MÁ ㉢
(색칠한 부분의 넓이)=(부채꼴 COD의 넓이)_2
150ù ㉡
60ù 120ù
l ={p_8Û`_;3£6¼0;}_2
A M 4 C BÁ Aª M£ Cª

이때 △MÁCBÁ+△MªBÁAª=△ABC=T이므로 =;;£3ª;;p(cmÛ`) yy 30`%


S=(색칠한 부분의 넓이)
=(부채꼴 ㉠의 넓이)+△MÁCBÁ
+(부채꼴 ㉡의 넓이)+△MªBÁAª+(부채꼴 ㉢의 넓이)

=p_4Û`_;3!6%0);+△MÁCBÁ+p_4Û`_;3»6¼0;+△MªBÁAª
224  74p+152
+p_4Û`_;3!6@0); 4
2B A
2
=:ª3¼:p+4p+:Á3¤:p+△ABC A 4
2
4
D
=16p+T D a
a C D
A
C
∴ S-T=16p 12 4
D b
A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 지나간 부분은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과


222  ;;°3¼;;p`cm 같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이 정팔각형 A¢, A° (A의 넓이)={p_4Û`_;3»6¼0;}_4=16p


의 변을 따라 내부를 한 바퀴 돌아서 제자 한편, 자르고 남은 두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는 모두 12이고 중심각의
리로 올 때까지 점 A가 움직인 위치를 순 크기를 각각 ∠a, ∠b라고 하면 두 부채꼴의 넓이의 합은 반지름의 길이
A¤A£
서대로 나타내면 AÁ, Aª, y, A¥이다. A 가 12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a+∠b인 부채꼴의 넓이와 같다.
이때 정팔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AÁ, Aª 즉 ∠a+∠b=360ù-(90ù+90ù)=180ù이므로
75ù
180ù_(8-2)
8
=135ù이므로 (B의 넓이)=p_16Û`_;3!6*0);-p_12Û`_;3!6*0);=128p-72p=56p
A¦, A¥ P
∠APAÁ=135ù-60ù=75ù
(C의 넓이)={2Û`_3+p_2Û`_;3»6¼0;}_2=(12+p)_2=2p+24
따라서 점 A가 움직인 거리는
(D의 넓이)=(8_4)_4=128
부채꼴 APAÁ의 호의 길이의 5배와 같으므로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 지나간 부분의 넓이는
{2p_8_;3¦6°0;}_5=;;°3¼;;p(cm)
16p+56p+(2p+24)+128=74p+152

05 원과 부채꼴 037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7 2021-05-12 오후 1:24:14


225  80ù 227  ⑴ (200-40p)`m ⑵ 12p`m 창 의 융 합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Ó, OBÓ, OCÓ, ODÓ,  C ⑴


OEÓ를 긋자. D
B
10ù
µAB`:`µ BC`:`µ CD`:`µ DE=1`:`2`:`3`:`4 3a 2aa A O O'
이므로 4a 39 m (39+1) m
O A B
∠AOB=∠a라고 하면
∠BOC=2∠a, ∠COD=3∠a, E
가장 짧은 한 바퀴는 1레인을 따라 달릴 때이다.
∠DOE=4∠a 1레인에서 곡선 구간 1개의 길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40`m이고 중심
이때 ∠AOC=∠a+2∠a=3∠a=∠COD이고 각의 크기가 180ù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같다. 즉 곡선 구간 2개의
OÕAÓ=OCÓ=ODÓ`(반지름)이므로 길이의 합은 반지름의 길이가 40`m인 원의 둘레의 길이와 같고 1레
△OAC와 △OCD는 합동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인을 따라 한 바퀴 돌 때의 거리가 400`m이므로
∴ ∠OAC=∠OCA=∠OCD 2ABÓ+2p_40=400, 2ABÓ=400-80p
=∠ODC=;2!;_(180ù-3∠a)=90ù-;2#;∠a ∴ ABÓ=200-40p(m)

△OBC에서 OBÓ=OCÓ이므로 ⑵ (41+1) m

∠OBC=∠OCB=∠OCA+10ù={90ù-;2#;∠a}+10ù=100ù-;2#;∠a
(39+1) m
사각형 OBCD에서
O O'
5∠a+2{90ù-;2#;∠a}+2{100ù-;2#;∠a}=360ù이므로
5∠a+180ù-3∠a+200ù-3∠a=360ù
∴ ∠a=20ù
이웃한 두 레인을 각각 한 바퀴 도는 거리의 차는 곡선 구간에서 생기
△OCE에서 ∠COE=3∠a+4∠a=7∠a=7_20ù=140ù이므로
므로 1레인과 2레인의 곡선 구간의 거리의 차와 같다.
∠OCE=;2!;_(180ù-140ù)=20ù (2레인의 곡선 구간의 길이)-(1레인의 곡선 구간의 길이)
∴ ∠ACE=∠OCA+∠OCE =2p_42-2p_40
={90ù-;2#;_20ù}+20ù=90ù-30ù+20ù=80ù =84p-80p=4p(m)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4레인에 4p m
출발선
있는 선수는 1레인에 있는 선수보 4p m
226  ⑴ (1600p+15200)`cmÛ`  창 의 융 합 다 4p_3=12p(m) 앞에서 출발 4p m
1 2 3 4
결승선
⑵ (2400-600p)`cmÛ`` 해야 한다.

⑴ ‌로봇청소기가 지나간 자리는 오른쪽 그림 40 cm


의 색칠한 부분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p_40Û`+(40_70)_2 70 cm 납

+(120_40)_2
120 cm
=1600p+5600+9600
=1600p+15200(cmÛ`)
⑵ 로봇청소기가 청소하지 못한 부분은 다음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이다.

책장
20 cm

탁자
침대

책장과 벽면이 닿는 곳에서 로봇청소기가 청소하지 못하는 한 부분(


부분)의 넓이는
‌(한 변의 길이가 20`cm인 정사각형의 넓이)
-(반지름의 길이가 20`cm인 사분원의 넓이)
=20Û`-p_20Û`_;4!;=400-100p(cmÛ`)
따라서 로봇청소기가 청소하지 못한 부분의 넓이는
(400-100p)_6=2400-600p(cmÛ`)

038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8 2021-05-12 오후 1:24:16


232
III.
②
입체도형의 성질 ①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의 5가지이다.
② 면의 모양이 정삼각형인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팔면체, 정이십면체
06 다면체와 회전체 의 3가지이다.

1
③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모서리의 개수는 12개로 같다.
⑤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의 개수와 정육면체의 모서리의 개수는 12개로
STEP 교과서를 정복하는 핵 심 유 형
같다.
본교재 065 ~ 068쪽
따라서 정다면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228 ③ 229 23 230 2개 231 14개 232 ② 풀이 첨삭


233 정팔면체 234 6, 4
정다면체가 5가지뿐인 이유
235 ⑴ GFÓ ⑵ IEÕ`(=ICÓ), IJÕ`(=IHÓ), DCÓ`(=DEÓ), DJÓ(=DHÓ)
정다면체는 입체도형이므로
236 ⑤ 237 ⑤ 238 60ù 239 이등변삼각형
⑴ 한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가 3개 이상이어야 한다.
240 ㄱ, ㄴ, ㄹ 241 ④ 242 ⑤ ⑵ 한 꼭짓점에 모인 각의 크기의 합은 360ù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정다면체의 면이 될 수 있는 다각형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243 244 :ª5¢:p`cm 정오각형뿐이고 만들 수 있는 정다면체는 다음과 같이 5가지이다.
정삼각형
245 120ù 246 ①, ⑤ 247 1 248 ④
60ù
60ù 60ù
60ù 60ù 60ù 60ù 60ù 60ù
228
60ù 60ù 60ù
③
정사면체
정사면체 정팔면체
정팔면체 정이십면체
정이십면체
① 오각기둥 - 직사각형 ② 사각뿔 - 삼각형
④ 삼각기둥 - 직사각형 ⑤ 사각뿔대 - 사다리꼴 정사각형 정오각형

90ù 108ù 108ù


229  23
90ù 90ù 108ù
주어진 각기둥을 n각기둥이라고 하면 n각기둥의 모서리의 개수는 3n개
정육면체
정육면체 정십이면체
정십이면체
이므로 3n=21   ∴ n=7
즉 주어진 각기둥은 칠각기둥이므로
면의 개수는 7+2=9(개)   ∴ x=9
꼭짓점의 개수는 2_7=14(개)   ∴ y=14 233  정팔면체
∴ x+y=9+14=23 ㈎에서 각 면의 모양이 정삼각형인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팔면체,
정이십면체이다.
230  2개 ㈏에서 한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가 4개인 정다면체는 정팔면체이다.
따라서 ㈎, ㈏를 모두 만족하는 정다면체는 정팔면체이다.
ㄱ. 각뿔대의 두 밑면과 옆면은 서로 수직이 아니다.
ㄷ. n각뿔대의 면의 개수는 (n+2)개, n각뿔의 면의 개수는 (n+1)개
이므로 n각뿔대가 n각뿔보다 면의 개수가 234  6, 4
(n+2)-(n+1)=1(개) 더 많다. 주어진 전개도로 정육면체를 만들면 눈의 수가 2인 면과 눈의 수가 5인
ㄹ. n각뿔의 모서리의 개수는 2n개이다. 면이 평행하므로 평행한 두 면의 눈의 수의 합은 2+5=7이다.
ㅁ. 오각기둥은 면의 개수가 5+2=7(개)이므로 칠면체이다. 따라서 면 A는 눈의 수가 1인 면과 평행하므로 면 A의 눈의 수는 6, 면
따라서 다면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ㄴ, ㄷ의 2개이다. B는 눈의 수가 3인 면과 평행하므로 면 B의 눈의 수는 4이다.

231  14개
235  ⑴ GFÓ ⑵ IEÓ`(=ICÓ), IJÓ`(=IHÓ), DCÓ`(=DEÓ), DJÓ`(=DHÓ)
㈎, ㈏를 만족하는 다면체는 각뿔대이므로 구하는 다면체를 n각뿔대라
주어진 전개도로 만들어지는 정다면체는 I
고 하면 밑면은 n각형이므로 ㈐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팔면체이다. A(G)
n(n-3)
=14, n(n-3)=28 ⑴ ABÓ와 겹치는 모서리는 GFÓ이다.
2 B(F) J(H)
이때 7_4=28이므로 n=7 ⑵ AB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따라서 구하는 다면체는 칠각뿔대이므로 IÕEÕ`(=IÕCÕ), IÕJÕ`(=IÕHÕ), DCÓ`(=DEÓ), C(E)
D
꼭짓점의 개수는 2_7=14(개) DÕJÕ(=DHÓ)이다.

06 다면체와 회전체 039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39 2021-05-12 오후 1:24:17


풀이 첨삭 236 ⑤

정팔면체의 전개도 문제 해결하기 정사면체의 꼭짓점의 개수는 4개이므로 v=4, 모서리의 개수는 6개이
⑴ 만나는 점 확인하기 므로 e=6, 면의 개수는 4개이므로 f=4
정팔면체의 꼭짓점은 6개이고, 전개 ① v+2=4+2=6=e
H
도에서 꼭짓점은 10개이므로 만나는 ② 2v-2f=2_4-2_4=0
A J I
G ③ e-f=6-4=2
꼭짓점이 4쌍 있다. 전개도에서 만나
는 꼭짓점끼리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 B ④ 2e=2_6=12, 3f=3_4=12이므로 2e=3f
D E F
과 같다. 즉 꼭짓점 A와 G, J와 H, ⑤ v-e+f=4-6+4=2
C
B와 F, C와 E가 만난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⑵ 겨냥도에 꼭짓점 나타내기


➊ ‌전개도에서 임의로 한 면(색칠한 면)을 정해 겨냥도에 나타낸 237 ⑤
다. 이때 ⑴에서 찾은 만나는 점은 꼭짓점에 함께 나타낸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점 D, P, F를 지나는 평 A D
H P
C(E) 면은 GHÓ의 중점 Q를 지난다. B C
A J I 이때 △DAP, △FBP, △FGQ, △DHQ가
G D
B(F) 모두 합동이므로 DPÓ=FPÓ=FQÓ=DQÓ E
B H
D E F Q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모양, 즉 사각형 DPFQ F G
C 의 모양은 마름모이다.
➋ ‌모서리 AD에서 두 점 A, D가 이웃한 점이므로 면 ABD를
다음 그림과 같이 겨냥도에 옮겨 꼭짓점을 나타낼 수 있다. 풀이 첨삭

H C(E) ②,‌③ 사각형 DPFQ에서 PQÓ+DFÓ이므로 대각선의 길이가 같지


A J I 않고 ∠PFQ+90ù이므로 직사각형이 될 수 없다.
G D
B(F)
B
D E F
C A(G)

➌ ‌면 ADJ에서 꼭짓점 J(H)를 다음 그림과 같이 겨냥도에 나 238  60ù


타낼 수 있다. B
주어진 전개도로 만든 정육면체는 오른쪽 그림과
H A
C(E) 같다.
A J I 정육면체를 이루는 면은 모두 합동인 정사각형이
G D
B(F) J(H) 고, ABÓ, BCÓ, CAÓ는 각각 합동인 정사각형의 대각
B C
D E F
선이므로 그 길이가 같다.
C A(G) 즉 △ABC는 세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정삼각형이고, 정삼각형의 한
➍ ‌면 JDE는 ➌에서 겨냥도로 제대로 옮겼음을 확인할 수 있 내각의 크기는 `60ù이므로 ∠ABC=60ù
다. 한편 면 JEI에서 꼭짓점 I를 다음 그림과 같이 겨냥도에
나타낼 수 있다.
H C(E) 239  이등변삼각형
A J I
G D 세 점 P, Q, D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를 때 생 A
B(F) J(H)
B I 기는 단면은 오른쪽 그림과 같은 △PQD이다.
D E F P
이때 △APD, △AQD는 합동이므로
C A(G) Q
DPÓ=DQÓ B D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모양, 즉 △PQD의 모
⑶ 정팔면체의 전개도에서 만나는 모서리 확인하기 양은 이등변삼각형이다. C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D를 기준 H
➌ ➍
으로 생각하면 ➊, ➋로 나타낸 모서 A➍ J ➌I
G

리끼리 겹치고, 꼭짓점 I를 기준으로
B
D➊ E ➋ F

240  ㄱ, ㄴ, ㄹ
생각하면 ➌, ➍로 나타낸 모서리끼
➋ ➊
리 겹친다. 이때 남은 모서리 ➎끼리 C
ㄷ. ‌원뿔을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반지름의 길이가 다

겹친다. 른 원이다.
ㅁ. 원뿔대를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사다리꼴이다.

040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0 2021-05-12 오후 1:24:18


241 ④ 245  120ù

평면도형 ABCD를 직선 BD를 회전축으로 하여 주어진 원뿔의 전개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 12 cm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A D 므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고 하면
‌주어진 평면도형을 회전축에 대하여 선대칭 이동한 x
2p_12_ =2p_4 4 cm
360
후 생각하면 편리하다. x
B C p=8p   ∴ x=120
15
D D 따라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120ù이다.
A A A'

B C C'
B
C 246  ①, ⑤

주어진 전개도로 만들어지는 회전체는 오른쪽 A(B)

242 ⑤ 그림과 같다. 6 cm


① 회전체는 원뿔대이다.
직각삼각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② ④ C(D)
② 모선의 길이는 BDÓ의 길이와 같으므로 6`cm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원뿔이고 원뿔을 오른 5 cm
③ 전개도에서 µ CD의 길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쪽 그림과 같은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살펴보면 ①
5`cm인 원의 둘레의 길이와 같으므로 µ CD=2p_5=10p(cm)
다음과 같다. ③
⑤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항상 원이지만 그 크기는 다
① ② ③ ④
를 수 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①, ⑤이다.
따라서 회전체를 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모양이 될 수 없는 것은 ⑤이다.
풀이 첨삭

원뿔대의 단면
243  원뿔대를 오른쪽 그림과 같은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④

주어진 도형을 직선 l에 대하여 선대칭 이동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회전


② ③
체의 겨냥도를 그리면 다음 그림과 같다.
① ② ③ ④
l

247 1
244  :ª5¢:p`cm
오른쪽 그림의 부채꼴 BAC에서 중심각의 aù A
6 cm 3 cm
크기를 aù라고 하면
A A D E
a B C
5 cm 2p_6_ =2p_2   ∴ a=120 x cm
5 cm 4 cm 360
4 cm
C 이때 부채꼴 DAE에서
B 2 cm
3 cm C 3 cm 2p_3_;3!6@0);=2p_x   ∴ x=1
B r cm

직각삼각형 ABC를 변 AB를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위의 그림과 같다.
이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인 원의 넓 248 ④
이가 가장 큰 경우는 점 C를 지나도록 자를 때이다. 원기둥을 끈으로 팽팽하게 두 바퀴 감으므로
이때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ABC에서 ABÓ를 밑변으로 할 때의 높 끈의 경로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전개도에서 B B
이이므로 단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점 A에서 모선 AB의 중점까지, 모선 AB의
;2!;_3_4=;2!;_5_r   ∴ r=:Á5ª: 중점에서 점 B까지 각각 직선으로 나타난다. A A
따라서 끈의 경로를 전개도 위에 바르게 나타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둘레의 길이는 2p_:Á5ª:=:ª5¢:p(cm) 낸 것은 ④이다.

06 다면체와 회전체 041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1 2021-05-12 오후 1:24:20


STEP 2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심 화 유 형
본교재 070 ~ 072쪽
252  ①, ②

정다면체의 각 면의 한가운데에 있는 점을 연결하여 만든 다면체는 다음


과 같다.

249 팔각뿔 250 35 251 11개 252 ①, ② ① ② ③

253 정십이면체, 점 B와 점 E 254 정이십면체


255 60 256 35 257 21 258 60개
259 ㄷ, ㅇ 260 오각형 261 40p`cmÛ`
`정사면체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팔면체 정육면체
262 52 263 4`cm 264 12`cm 265 (72p+20)`cm ④ ⑤
266 15`cm

249  팔각뿔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정이십면체 정십이면체
주어진 다각형으로 만들어지는 다면체는 오른쪽 그림과 따라서 바르게 짝 지어지지 않은 것은 ①, ②이다.
같이 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같은 사각뿔, 사각기둥이
차례대로 붙어 있는 모양이다. 풀이 첨삭

이 입체도형의 모서리의 개수는 16개이고 구하는 각뿔 정다면체의 각 면의 한가운데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다면체


을 n각뿔이라고 하면 n각뿔의 모서리의 개수는 2n개이 (정다면체의 쌍대다면체)
므로 정다면체의 각 면의 한가운데 점을 연결하면 또 하나의 정다면체를
2n=16   ∴ n=8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구하는 각뿔은 팔각뿔이다. ⑴ 정사면체 정사면체 ⑵ 정육면체 정팔면체
⑶ 정팔면체 정육면체 ⑷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⑸ 정이십면체 정십이면체

250  35 이와 같이 정다면체가 쌍을 이루는 것을 정다면체의 쌍대라고 한다.


(바깥쪽 정다면체의 면의 개수)=(안쪽 정다면체의 꼭짓점의 개수)
주어진 각뿔대를 n각뿔대라고 하면
면의 개수는 (n+2)개, 꼭짓점의 개수는 2n개이므로
(n+2)+2n=29, 3n+2=29, 3n=27   ∴ n=9 253  정십이면체, 점 B와 점 E

이때 주어진 각뿔대는 구각뿔대이므로 구각뿔대의 모서리의 개수는 주어진 전개도에서 면의 모양이 정오각형이고 면의 개수가 12개이므로
3_9=27(개) 만들어지는 정다면체는 정십이면체이다. 이때 주어진 전개도로 만들어
밑면이 다각형이고 옆면의 모양이 삼각형인 다면체는 각뿔이다. 즉 주어 지는 정십이면체는 다음 그림과 같으므로 꼭짓점 A와 만나는 점은 점
진 각뿔을 m각뿔이라고 하면 밑면은 m각형이므로 B, 점 E이다.
180ù_(m-2)=900ù, m-2=5   ∴ m=7
C
이때 주어진 각뿔은 칠각뿔이므로 칠각뿔의 꼭짓점의 개수는 B D
D E
7+1=8(개)
F A(B, E) C
따라서 a=27, b=8이므로 a+b=27+8=35
F(H) G
G
A

H
251  11개

주어진 사각뿔대를 네 점 K, L, F, E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르면 다음 풀이 첨삭


그림과 같이 단면이 사각형 KLFE인 두 입체도형으로 나누어진다.
정십이면체의 전개도에서 만나는 점 찾기
A K K D 정십이면체는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이 3개이므로 전개도의 꼭짓
B L C
L 점 A와 겹치는 점은 2개이다.
오면체 육면체 C
오른쪽 그림에서 표시한 점을 기준으
H B
E E 로 접는 것을 생각하면 점 A와 점 B D E
F F G F
가 겹쳐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점
즉 주어진 사각뿔대를 잘라 생기는 작은 입체도형의 면의 개수는 5개이 B와 점 E가 겹쳐진다.
G
고, 큰 입체도형의 면의 개수는 6개이다. A
따라서 점 A와 만나는 점은 점 B와
따라서 구하는 두 입체도형의 면의 개수의 합은 H
점 E이다.
5+6=11(개)

042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2 2021-05-12 오후 1:24:21


254  정이십면체 모서리의 개수는 12+8_3=36(개)이므로
구하는 합은 24+36=60(개)
v`:`f=3`:`5에서 5v=3f   ∴ v=;5#;f yy 25`%

e`:`f=3`:`2에서 2e=3f   ∴ e=;2#;f yy 25`% 259  ㄷ, ㅇ


이때 v-e+f=2이므로 다음과 같이 자르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5#;f-;2#;f+f=2, ;1Á0;f=2   ∴ f=20 yy 40`% ㄱ. ㄴ. ㄹ. ㅁ.

따라서 면의 개수가 20개이므로 구하는 정다면체는 정이십면체이다.


 yy 10`%
정삼각형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사다리꼴 직사각형
사다리꼴직사각형 마름모
마름모 오각형
오각형 육각형
육각형
ㅂ. ㅅ. ㅈ.
255  60

주어진 전개도로 정팔면체를 만들면 오른쪽 그림과 36


직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
마름모 오각형오각형 육각형
정삼각형 육각형
이등변삼각형 사다리꼴
6
같다. 4 9 따라서 단면의 모양이 될 수 없는 것은 ㄷ, ㅇ이다.
평행한 두 면에 적힌 수의 곱이 72로 일정하므로 a b
a_9=72   ∴ a=8 d c
4_b=72   ∴ b=18 260  오각형

36_c=72   ∴ c=2 주어진 전개도를 접어 정육면체를 만든 후 A(C, E) N(F)


6_d=72   ∴ d=12 세 점 C, P, Q를 지나는 평면으로 잘랐을 D M(G)
∴ ad-bc=8_12-18_2=96-36=60 때 생기는 단면은 오른쪽 그림과 같은 오각
형이다. B
K
Q
I
256  35 P J(H, L)

정사면체의 면의 개수는 4개이므로 a=4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의 개수는 12개이므로 b=12 261  40p`cmÛ`
정십이면체의 모서리의 개수는 30개이지만 정 l
십이면체의 모서리를 잘라 그 전개도를 만들려 3 cm
2 cm
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최대 11개의 모서리를
3 cm
자르지 않아야 한다. O
O
즉 잘라야 하는 최소한의 모서리의 개수는 2 cm
30-11=19(개)이므로 c=19 2 cm
∴ a+b+c=4+12+19=35
주어진 원 O를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켰을 때 생기는 회전
체는 도넛 모양이고 이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257  21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위의 그림과 같이 자르는 평면이 원의 중심 O를
지나야 한다.
정육면체의 꼭짓점의 개수는 8개, 모서리의 개수는 12개, 면의 개수는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넓이의 최댓값은
6개이다. 정육면체 20개를 모서리를 1개씩 공유하도록 연결한 입체도형
(큰 원의 넓이)-(작은 원의 넓이)
은 19개의 모서리에서 모서리와 꼭짓점이 중복되므로 연결한 입체도형
=p_7Û`-p_3Û`=40p(cmÛ`)
의 모서리는 20개의 정육면체의 모서리의 총 개수보다 19개 줄어들고,
꼭짓점은 2_19=38(개) 줄어든다.  yy 30`%
v=8_20-38=122 yy 20`% 262  52
e=12_20-19=221 yy 20`%
l
f=6_20=120 yy 20`% A
∴ v-e+f=122-221+120=21 yy 10`% 10 cm 10 cm
3 cm 6 cm 6 cm
D 3 cm 4 cm
B 4 cm C
E
258  60개 4 cm
1 cm 5 cm 1 cm
4 cm

4 cm 5 cm
정육면체의 8개의 꼭짓점에서 삼각뿔을 잘라내면 잘라낸 부분에 삼각형
인 면이 8개가 생긴다. 즉 정육면체의 한 꼭짓점마다 꼭짓점은 3개가 새 주어진 평면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
로 생기고 한 개가 없어져서 2개씩 늘어나고, 모서리는 3개씩 늘어난다. 전체와 이 회전체를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위의 그림
따라서 남은 입체도형에서 꼭짓점의 개수는 8+8_2=24(개), 과 같다.  yy 20`%

06 다면체와 회전체 043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3 2021-05-12 오후 1:24:23


(단면의 둘레의 길이) 원뿔대의 전개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 6 cm
10 cm
=ABÓ+BDÓ+µ DE+ECÓ+CAÓ+(작은 삼각형의 둘레의 길이) 므로
=10+4+{;2!;_2p_4}+4+10+(6+5+5) (작은 원의 둘레의 길이)
12 cm
=2p_6=12p(cm)
=4p+44(cm) yy 30`%
(큰 원의 둘레의 길이)
(단면의 넓이)
=2p_12=24p(cm)
=(큰 삼각형의 넓이)+(반원의 넓이)-(작은 삼각형의 넓이)
옆면의 짧은 호의 길이는 밑면 중 작은 원의 둘레의 길이와 같고 긴 호의
=;2!;_16_6+;2!;_p_4Û`-;2!;_6_4 길이는 큰 원의 둘레의 길이와 같으므로
=8p+36(cmÛ`) yy 30`% (옆면의 둘레의 길이)=2p_6+2p_12+2_10
따라서 a=4p+44, b=8p+36이므로 =12p+24p+20
2a-b=2_(4p+44)-(8p+36)=52 yy 20`% =36p+20(cm)
따라서 구하는 원뿔대의 전개도의 둘레의 길이는

263  4`cm
12p+24p+(36p+20)=72p+20(cm)

주어진 직각삼각형을 변 AC를 회전축으로 A 266  15`cm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른쪽
오른쪽 그림에서  y cm 120ù
그림과 같은 원뿔이 되고 이 회전체를 회전 20 cm r cm
r cm x cm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항상 원 2py_;3!6@0);=2pr이므로 r=;3!;y
이다. B 12 cm C 2p(x+y)_;3!6@0);=2pR이므로
넓이가 회전체의 밑면의 넓이의 ;1»6;인 단면
R=;3!;(x+y)
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R cm
이때 R-r=5이므로 ;3!;(x+y)-;3!;y=5
p_rÛ`=(p_12Û`)_;1»6;

rÛ`=81   ∴ r=9`(∵ r>0) ;3!;x=5   ∴ x=15


이때 단면이 밑면으로부터 h`cm의 높이에 A 따라서 구하는 원뿔대의 모선의 길이는 15`cm이다.
서 잘린 것이라고 하면
20 cm (16-h) cm
(큰 삼각형의 넓이)
=(작은 삼각형의 넓이) 9 cm h cm
+(사다리꼴의 넓이)이므로 B C

3
12 cm
;2!;_12_16=;2!;_9_(16-h)+;2!;_(9+12)_h STEP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최 고 난 도 유 형
192=144-9h+21h, 12h=48   ∴ h=4 본교재 073 ~ 075쪽
따라서 밑면으로부터 4`cm의 높이에서 자를 때이다.
267 30`cm 268 40 269 3`:`5 270 146
264  12`cm 271 100개 272 (256p-384)`cmÛ` 273 24 274 48
창 의 융 합
주어진 원뿔의 전개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 O
므로 점 A에서 출발하여 다시 점 A로 돌아
275 9초 후

오는 가장 짧은 선은 AÕA'Ó이다.
12 cm 276 ⑴ 정오각형 : 12개, 정육각형 : 20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고 하면 ⑵ 면 : 32개, 꼭짓점 : 60개, 모서리 : 90개
A A' ⑶ 42개
x 2 cm
2p_12_ =2p_2   ∴ x=60
360
△OAA'에서 OÕAÓ=OÕA'Ó이므로
∠OAA'=∠OA'A 267  30`cm

=;2!;_(180ù-60ù)=60ù 주어진 정팔면체의 전개도의 일부를 이용하 A 15 cm C B


60ù 60ù
여 AEÓ의 중점 M에서 출발하여 면을 따라 M 60ù N
따라서 △OAA'은 정삼각형이므로 구하는 선의 길이는
세 모서리 AD, CD, CF 위의 점들을 지나 E F
AÕA'Ó=OÕA'Ó=12`cm D
BFÓ의 중점 N에 이르는 최단 거리를 나타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최단 거리는 MNÓ의 길이와 같다.
265  (72p+20)`cm
이때 두 점 M, N은 각각 AEÓ, BFÓ의 중점이므로 사각형 AMNB는 평
주어진 사다리꼴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 행사변형이다.
전체는 원뿔대이다. ∴ MNÓ=ABÓ=2`ACÓ=2_15=30(cm)

044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4 2021-05-12 오후 1:24:24


268  40 271  100개

주어진 육각뿔을 1개의 평면으로 자르면 육각뿔 1개와 육각뿔대 1개가 정십이면체의 꼭짓점의 개수는 20개이다.
생긴다. 같은 방법으로 자르는 평면이 하나씩 늘어날 때마다 육각뿔대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십이면체의 한 꼭짓점 A에서 A
1개씩 늘어난다. 즉 a개의 평면으로 주어진 육각뿔을 자르면 육각뿔 1개 다른 꼭짓점으로 선분을 그을 때, 정십이면체의 면에
와 육각뿔대 a개가 생긴다. 포함되는 경우는 빨간색 선으로 나타낸 선분 9개이다.
육각뿔의 면의 개수는 7개, 육각뿔대의 면의 개수는 8개이므로 육각뿔을 또 자기 자신에는 선분을 그을 수 없으므로 한 꼭짓
a개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 생기는 입체도형의 면의 개수의 합은 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7+8_a=47, 8a=40   ∴ a=5 20-(9+1)=10(개)이다.
따라서 주어진 육각뿔을 5개의 평면으로 잘랐으므로 육각뿔 1개와 육각뿔 20_10
따라서 정십이면체의 대각선의 개수는 =100(개)
2
대 5개가 생긴다.
이때 구하는 모서리의 개수의 합은
2_6+3_6_5=102(개)이므로 b=102
272  (256p-384)`cmÛ`
꼭짓점의 개수의 합은 7+2_6_5=67(개)이므로 c=67
주어진 원뿔대의 색칠한 부분을 전개도 O
∴ a+b-c=5+102-67=40 16 cm 4 cm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B xù B' 8 cm
16 cm
269  3`:`5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고 하면
A
M
A'
x
정사각형 ABCD를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l 2p_32_ =2p_8 8 cm
A 360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 x=90
D' D
E
같다. 따라서 △OAM은 직각삼각형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이때 직선 l이 변 BC와 만나는 점을 F라고 하면 (부채꼴 AOA'의 넓이)-△OAM
(사각형 D'C'CD의 넓이)
C' F C =p_32Û`_;3»6¼0;-;2!;_32_(16+8)
=;4%;_(사각형 ABCD의 넓이)이므로 B =256p-384(cmÛ`)
2_(사각형 EFCD의 넓이)

=;4%;_(사각형 ABCD의 넓이)


273  24
∴ (사각형 EFCD의 넓이)=;8%;_(사각형 ABCD의 넓이) l
l
EDÓ_CDÓ=;8%;_ADÓ_CDÓ, EDÓ=;8%;`ADÓ A D A 5
F D
즉 EDÓ=;8%;(AEÓ+EDÓ)에서
6
EDÓ=;8%;`AEÓ+;8%;`EDÓ, `;8#;`EDÓ=;8%;`AEÓ B C E C
B 7
∴ EDÓ=;3%;`AEÓ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이가 최대가 되도록 원뿔대
∴ AEÓ`:`EDÓ=AEÓ`:`;3%;`AEÓ=3`:`5 를 만들려면 회전축이 위의 그림과 같이 점 B를 지나는 직선 l이어야 한
다. 이때 단면은 사다리꼴 FECD와 같으므로 단면의 넓이의 최댓값은

270  146 M=;2!;_(10+14)_6=72 yy 40`%

정사각형인 면이 12개, 정육각형인 면이 8개, 정팔각형인 면이 6개이므 l


로 입체도형의 면의 개수는 m
A D 3
12+8+6=26(개)   ∴ f=26 yy 20`% A D
정사각형의 변의 개수는 4개씩 12개, 정육각형의 변의 개수는 6개씩 8
6
개, 정팔각형의 변의 개수는 8개씩 6개이고 한 모서리에서 면이 2개씩
C E B 5 C
모이므로 입체도형의 모서리의 개수는 B
4_12+6_8+8_6
=72(개)   ∴ e=72 yy 35`%
2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이가 최소가 되도록 원뿔대
정사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4개씩 12개, 정육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를 만들려면 회전축이 위의 그림과 같이 선분 AD의 중점을 지나는 직선
6개씩 8개, 정팔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8개씩 6개이고 한 꼭짓점에서 m이어야 한다. 이때 단면은 사다리꼴 AECD와 같으므로 단면의 넓이
면이 3개씩 모이므로 입체도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의 최솟값은
4_12+6_8+8_6
3
=48(개)   ∴ v=48 yy 35`% m=;2!;_(6+10)_6=48 yy 40`%
∴ v+e+f=48+72+26=146 yy 10`% ∴ M-m=72-48=24 yy 20`%

06 다면체와 회전체 045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5 2021-05-12 오후 1:24:25


274  48 따라서 두 달팽이 A, B가 동시에 출발하여 3+6=9(초) 후에 두 번째
로 만난다.
한 평면이 정육면체의 모서리 하나를 지나면서 자를 때마다 정육면체에
서 하나의 모서리였던 것이 나누어진 두 입체도형의 모서리가 되어 1개 276  ⑴ 정오각형 : 12개, 정육각형 : 20개  창 의 융 합
씩 늘어난다. ⑵ 면 : 32개, 꼭짓점 : 60개, 모서리 : 90개
또한, 평면과 모서리의 교점이 단면의 꼭짓점이 되므로 평면과 모서리의 ⑶ 42개
교점이 많을수록 단면의 변의 개수가 늘어난다.
⑴ 축구공 모양의 입체도형에서 정오각형은 정이십면체의 각 꼭짓점마
즉 정육면체의 모서리를 가장 적게 지나는 평면으로 자를 때, 두 입체도
다 한 개씩 생기므로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의 개수와 같은 12개이다.
형의 모서리의 개수의 합은 최소가 되고, 모서리를 가장 많이 지나는 평
또 정육각형은 정이십면체의 각 면마다 한 개씩 생기므로 정이십면체
면으로 자를 때 두 입체도형의 모서리의 개수의 합은 최대가 된다.
의 면의 개수와 같은 20개이다.
Ú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단면의 모양이 삼각
⑵ 축구공 모양의 입체도형은 정오각형 12개, 정육각형 20개로 이루어
형 또는 사각형이 되고 단면의 꼭짓점이
져 있으므로 (면의 개수)=12+20=32(개)
정육면체의 꼭짓점 위에 있도록 자르면
정오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5개씩 12개, 정육각형의 꼭짓점의 개수
두 입체도형의 모서리의 개수의 합이 최 [그림 1] [그림 2]
는 6개씩 20개이고, 한 꼭짓점에서 면이 3개씩 모이므로
소가 된다.
5_12+6_20
[그림 1]에서 만든 두 입체도형의 모서리의 개수의 합은 (꼭짓점의 개수)= =60(개)
3
(정육면체의 모서리의 개수)+(잘린 단면의 변의 개수)_2 정오각형의 변의 개수는 5개씩 12개, 정육각형의 변의 개수는 6개씩
=12+3_2=18(개) 20개이고, 한 모서리에서 면이 2개씩 모이므로
[그림 2]에서 만든 두 입체도형의 모서리의 개수의 합은 5_12+6_20
(모서리의 개수)= =90(개)
(삼각기둥의 모서리의 개수)_2=3_3_2=18(개) 2
⑶ 정오각형의 개수를 x개라고 하면
따라서 구하는 모서리의 개수의 합의 최솟값은 18개이므로 a=18
정오각형의 변의 개수는 5개씩 x개, 정삼각형의 변의 개수는 3개씩
Û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단면의 모양이 육각형이 되고 단면
20개이고, 한 모서리에서 면이 2개씩 모이므로
의 꼭짓점이 모두 정육면체의 모서리 위에 있도록 자르
5_x+3_20
면 두 입체도형의 모서리의 개수의 합이 최대가 된다. =60, 5x=60   ∴ x=12
2
따라서 두 입체도형의 모서리 개수의 합은 즉 정오각형의 개수는 12개이다.
(잘리지 않은 모서리의 개수)+(잘린 모서리의 개수)_2 주어진 다면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십이면체를
+(단면의 변의 개수)_2=6+6_2+6_2=30(개)이므로 b=30 각 꼭짓점에 모인 모서리의 중점을 지나는 평면으
Ú, Û에서 a+b=18+30=48 로 자른 입체도형이다.
이때 정오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5개씩 12개, 정

275  9초 후 창 의 융 합 삼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3개씩 20개이고, 한 꼭짓점에서 면이 4개


5_12+3_20
씩 모이므로 (꼭짓점의 개수)= =30(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진 원뿔의 전개도 O 4
에서 옆면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밑면인 xù 12a cm 따라서 구하는 합은 12+30=42(개)
원의 둘레의 길이가 서로 같으므로 옆면인
P P 풀이 첨삭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고 하면
3a cm
x 정다면체의 꼭짓점의 개수와 모서리의 개수
2p_12a_ =2p_3a  ∴ x=90
360 ⑴ ‌(꼭짓점의 개수)
즉 주어진 원뿔의 전개도는 오른쪽 그림과 O
=(한 면의 꼭짓점의 개수)_(정다면체의 면의 개수)
같고 △ OPP'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 12a cm
Ö(한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
9 cm
로 PÕP'Ó=OÕP'Ó=9`cm
P P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의 개수
이때 달팽이 A가 점 P에서 출발하여 점 9 cm P' 9 cm
3a cm 정삼각형의 꼭짓점 5개가 겹쳐지므로
P'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3(;=3(초), (꼭짓점의 개수)
달팽이 B가 점 O에서 출발하여 점 P'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3_20Ö5=12(개)

;3(;=3(초)이므로 출발하여 3초 후 두 달팽이 A, B는 점 P'에서 처음으


⑵ ‌(모서리의 개수)=(한 면의 변의 개수)_(정다면체의 면의 개수)
로 만난다.
Ö(한 모서리에 모인 면의 개수)
이후 달팽이 A는 점 P'에서 점 P까지 갔다가 다시 점 P'까지의 거리, 즉
‌정이십면체의 모서리의 개수
9+9=18(cm)의 거리를 :Á3¥:=6(초) 동안 움직인다. 정삼각형의 변 2개가 겹쳐지므로
또 달팽이 B는 점 O로 되돌아갔다가 다시 점 P'까지의 거리, 즉 (모서리의 개수)
=3_20Ö2=30(개)
9+9=18(cm)의 거리를 :Á3¥:=6(초) 동안 움직이므로 점 P'에서 처음
으로 만난 지 6초 후에 다시 점 P'에서 만난다.

046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6 2021-05-12 오후 1:24:26


07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다른 풀이]
주어진 입체도형의 겉면에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를 구하면

1
윗면과 아랫면에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2_4=8(개)
STEP 교과서를 정복하는 핵 심 유 형 옆면에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2_4+2_10=28(개)
본교재 077 ~ 080쪽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한 변의 길이가 5`cm인 정사각형
8+28=36(개)의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277 ⑴ 414`cmÛ` ⑵ 324`cmÜ` 278 1050`cmÜ` (5_5)_36=900(cmÛ`)
279 5`cm 280 900`cmÛ ` 281 115`cmÜ`
282 42`mL 283 ④ 284 198p`cmÜ` 281  115`cmÜ`
285 120 286 116p`cmÛ`, 104p`cmÜ`
주어진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자르기 전 직육면체의 겉넓이와 같으므로
287 10 288 288`cmÜ` 289 3 직육면체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290 5`cm 291 192p`cmÛ ` , 192p`cmÜ `
(7_5)_2+(7_2+5_2)_h=190
292 320p`cmÛ` 293 (108p+72)`cmÜ` 70+24h=190, 24h=120   ∴ h=5
294 4`cm 295 272p`cmÛ` 296 124p`cmÛ` 따라서 주어진 입체도형의 높이는 5`cm이므로
297 27개 298 ㄱ, ㄴ, ㄷ 299 972p`cmÜ` (부피)‌=(잘라 내기 전 직육면체의 부피)-(잘라 낸 직육면체의 부피)
=7_5_5-60=175-60=115(cmÜ`)

277  ⑴ 414`cmÛ` ⑵ 324`cmÜ`


282  42`mL
⑴ (밑넓이)=6_7-;2!;_3_4=42-6=36(cmÛ`) 자르기 전 처음 나무토막의 겉넓이는
(옆넓이)‌=(6_2+7_2)_9+(3+4+5)_9 (3_4)_2+(3_2+4_2)_6
=234+108=342(cmÛ`) =24+84=108(cmÛ`) 6 cm
∴ (겉넓이)=36_2+342=414(cmÛ`) 이 나무토막을 한 모서리의 길이가 1`cm인 정육
⑵ (부피)=36_9=324(cmÜ`) 면체로 자른 정육면체는 모두 3_4_6=72(개)
이때 자른 정육면체 1개의 겉넓이는 4 cm
278  1050`cmÜ` (1_1)_6=6(cmÛ`)이므로 72개의 정육면체
3 cm

의 겉넓이는 6_72=432(cmÛ`)
(밑넓이)=;2!;_15_4+;2!;_(15+9)_10
72개의 정육면체를 칠하는 데 168`mL의 페인트가 들었으므로 처음 나
=30+120=150(cmÛ`) 무토막을 칠하는 데 필요한 페인트의 양을 x`mL라고 하면
∴ (부피)=150_7=1050(cmÜ`) 432`:`108=168`:`x에서 432x=18144   ∴ x=42

279
따라서 자르지 않은 처음 나무토막의 겉면에 색을 칠하는 데 필요한 페
 5`cm
인트의 양은 42`mL이다.
어항 안에 물체를 넣었을 때 물의 부피는
40_40_40-20_20_20=64000-8000=56000(cmÜ`)
283 ④
물체를 꺼냈을 때 물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밑면의 넓이의 합)=p_7Û`_2=98p(cmÛ`)
40_40_h=56000, 1600h=56000   ∴ h=35
따라서 내려간 물의 높이는 40-35=5(cm) (옆넓이)=2p_7_6+2p_4_5=84p+40p=124p(cmÛ`)

[다른 풀이] ∴ (겉넓이)=98p+124p=222p(cmÛ`)

내려간 물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40_40_h=20_20_20, 1600h=8000   ∴ h=5 284  198p`cmÜ`
따라서 내려간 물의 높이는 5`cm이다. 처음 병과 거꾸로 세웠을 때의 병에 들어 있는 물의 부피는 같으므로 병
의 부피는 [그림 1]에서 병에 들어 있는 물의 부피와 [그림 2]에서 병의
280  900`cmÛ`
빈 공간의 부피의 합과 같다.
한 모서리의 길이가 5`cm인 정육면체 1개의 겉넓이는 ∴ (병의 부피)=p_3Û`_15+p_3Û`_7
(5_5)_6=150(cmÛ`) =135p+63p=198p(cmÜ`)
정육면체 한 면의 넓이는 5_5=25(cmÛ`)
이때 주어진 입체도형에서 옆면이 맞닿아 있는 경우는 6가지, 밑면이 맞 285  120
닿아 있는 경우는 6가지이고, 각 경우마다 2개의 면이 맞닿아 있으므로
x x
맞닿아 있는 면의 개수는 (6+6)_2=24(개) (밑넓이)=p_6Û`_ = p(cmÛ`)
360 10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x 3x
(옆넓이)={2p_6_ +6_2}_9= p+108(cmÛ`)
150_10-25_24=1500-600=900(cmÛ`) 360 10

07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047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7 2021-05-12 오후 1:24:27


x 3x x
∴ (겉넓이)= p_2+ p+108= p+108(cmÛ`) 이때 사각뿔의 높이는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와 같으므로 12`cm
10 10 2
이다.
이때 주어진 입체도형의 겉넓이가 (60p+108)`cmÛ`이므로
x x ∴ (부피)=;3!;_72_12=288(cmÜ`)
p+108=60p+108, p=60p   ∴ x=120
2 2

286  116p`cmÛ`, 104p`cmÜ` 289 3

주어진 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3 cm 2 cm A 그릇에 들어 있는 물의 부피는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른쪽
2 cm ;3!;_{;2!;_4_7}_9=42(cmÜ`)
그림과 같으므로
B 그릇에 들어 있는 물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의 합) 2 cm 3 cm
=(위쪽 밑면의 넓이) {;2!;_7_x}_4=14x(cmÜ`)
1 cm 4 cm
+(가운데 밑면의 넓이) 이때 두 그릇 A, B에 같은 양의 물이 들어 있으므로
+(아래쪽 밑면의 넓이) 14x=42   ∴ x=3
=(p_5Û`-p_3Û`)+(p_3Û`-p_1Û`)+(p_5Û`-p_1Û`)
=16p+8p+24p=48p(cmÛ`)
(옆넓이)=(바깥쪽 옆면의 넓이)+(안쪽 옆면의 넓이) 290  5`cm
=(2p_5_5)+(2p_3_2+2p_1_3)
사각뿔의 밑면의 한 변의 길이를 x`cm라고
=50p+12p+6p=68p(cmÛ`) 15-x
cm
하면 옆면인 이등변삼각형의 높이는 2
∴ (겉넓이)=48p+68p=116p(cmÛ`) 15-x
∴ (부피)=p_5Û`_5-p_3Û`_2-p_1Û`_3 `cm이므로
2
=125p-18p-3p=104p(cmÜ`) 오려 낸 사각뿔의 겉넓이는 x cm
‌ 15-x
xÛ`+{;2!;_x_ }_4=15x(cmÛ`) 15 cm
l 2
주어진 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
2 cm 이때 오려 낸 사각뿔의 겉넓이가 처음 정사각형의 넓이의 ;3!;이므로
전 시키면 그림에서 ①, ③, ⑤는 원기둥의 옆

면을 만들고 ②, ④, ⑥은 원기둥의 밑면이 된 2 cm

③ 15x=(15_15)_;3!;, 15x=75   ∴ x=5
다. 이때 2 cm ⑤
3 cm ① 따라서 구하는 사각뿔의 밑면의 한 변의 길이는 5`cm이다.
(①이 회전해서 생긴 면의 넓이) ⑥
=2p_1_3=6p(cmÛ`) 4 cm
1 cm
(③이 회전해서 생긴 면의 넓이) 291  192p`cmÛ`, 192p`cmÜ`
=2p_(1+4-2)_2=12p(cmÛ`)
주어진 직각삼각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⑤가 회전해서 생긴 면의 넓이)=2p_5_5=50p(cmÛ`)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른쪽
(②가 회전해서 생긴 면의 넓이)=p_3Û`-p_1Û`=8p(cmÛ`) 10 cm
그림과 같으므로 8 cm
(④가 회전해서 생긴 면의 넓이)=p_5Û`-p_3Û`=16p(cmÛ`)
(겉넓이)=(밑넓이)+(원기둥의 옆넓이)
(⑥이 회전해서 생긴 면의 넓이)=p_5Û`-p_1Û`=24p(cmÛ`) 6 cm
+(원뿔의 옆넓이)
따라서 주어진 도형이 회전해서 생긴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p_6Û`+2p_6_8+p_6_10
6p+12p+50p+8p+16p+24p=116p(cmÛ`)
=36p+96p+60p=192p(cmÛ`)
(부피)=(원기둥의 부피)-(원뿔의 부피)
287  10
=p_6Û`_8-;3!;_p_6Û`_8

(겉넓이)=6_6+12_12+[;2!;_(6+12)_h]_4 =288p-96p=192p(cmÜ`)

=180+36h(cmÛ`)
이때 사각뿔대의 겉넓이가 540`cmÛ`이므로
180+36h=540, 36h=360   ∴ h=10
292  320p`cmÛ`

중심이 O인 원의 둘레의 길이는 원뿔의 밑

288
면의 둘레의 길이의 4배이므로
 288`cmÜ` l cm
(2p_8)_4=64p(cm) O
사각뿔 O-ABCD의 밑면 ABCD의 넓이는 정육면체의 한 면의 넓이 원뿔의 모선의 길이를 l`cm라고 하면 8 cm
의 ;2!;이므로 2pl=64p   ∴ l=32
∴ (겉넓이)‌=p_8Û`+p_8_32
(밑넓이)=(12_12)_;2!;=72(cmÛ`) =64p+256p=320p(cmÛ`)

048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8 2021-05-12 오후 1:24:29


293  (108p+72)`cmÜ` 288p`:`:£3ª:p=27`:`1이므로 지름의 길이가 12`cm인 쇠구슬 한 개를

주어진 입체도형은 다음 그림과 같이 두 개의 입체도형으로 나눌 수 있다. 녹여서 지름의 길이가 4`cm인 쇠구슬을 최대 27개 만들 수 있다.

12 cm
P P
298  ㄱ, ㄴ, ㄷ

원기둥의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


12 cm
6 cm 면 원기둥과 원뿔의 높이는 모두 2r, 구의 반지름
의 길이는 r이다. 2r
O B O B
A 6 cm
A
(구의 부피)=;3$;prÜ`,
(원기둥의 부피)=prÛ`_2r=2prÜ`, r
[그림 1] [그림 2]
[그림 1]과 같은 입체도형의 부피는 (원뿔의 부피)=;3!;_prÛ`_2r=;3@;prÜ`이므로
{;3!;_p_6Û`_12}_;4#;=108p(cmÜ`) (원뿔의 부피)`:`(구의 부피)`:`(원기둥의 부피)
[그림 2]와 같은 삼각뿔 P-OAB의 부피는 =;3@;prÜ``:`;3$;prÜ``:`2prÜ`=1`:`2`:`3
;3!;_{;2!;_6_6}_12=72(cmÜ`) ㄱ. (원뿔의 부피)=;3!;_(원기둥의 부피)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108p+72)`cmÜ`이다. ㄴ. ‌(원기둥의 옆넓이)=2pr_2r=4prÛ`이므로
(원기둥의 옆넓이)=(구의 겉넓이)
294  4`cm ㄷ. (구의 부피)=2_(원뿔의 부피)
원뿔대 모양의 그릇에 담겨 있는 물의 부피는 ㄹ. (구의 부피)=;3@;_(원기둥의 부피)
(큰 원뿔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3!;_(p_4Û`)_(3+3)-;3!;_(p_2Û`)_3

=32p-4p=28p(cmÜ`)
299  972p`cmÜ`

모양과 크기가 같은 원기둥 모양의 컵 1개에 담아야 하는 물의 양은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28pÖ7=4p(cmÜ`) r`cm, 높이는 6r`cm이다.
이때 컵 1개에 들어가는 물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이때 원기둥의 부피가 4374p`cmÜ`이므로
p_1Û`_h=4p   ∴ h=4 prÛ`_6r=4374p   ∴ rÜ`=729=9Ü`
따라서 컵 1개에 들어가는 물의 높이는 4`cm이다. 따라서 구의 반지름의 길이가 9`cm이므로 구 한 개의 부피는
;3$;p_9Ü`=972p(cmÜ`)
295  272p`cmÛ`

잘라 내고 남은 구의 겉넓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8`cm인 구의 겉넓이의

;8&;과 반지름 길이가 8`cm인 사분원 3개의 넓이의 합과 같다.

∴ (겉넓이)=;8&;_4p_8Û`+{p_8Û`_;4!;}_3
STEP 2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심 화 유 형
본교재 082 ~ 085쪽
=224p+48p=272p(cmÛ`)
300 384`cmÛ`, 208`cmÜ` 301 850`cmÛ`
296  124p`cmÛ` 302 24`cmÜ` 303 486`cmÜ` 304 288`cmÛ`
주어진 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4 cm 305 (144p-288)`cmÜ ` 306 5`:`4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307 (3p+106)`cmÛ` 308 (126p-72)`cmÛ`


309 60 310 3`cm 311 4`cm
(겉넓이)=4p_4Û`_;2!;+4p_6Û`_;2!;
6 cm 312 컵 B : 5번, 컵 C : 1번 313 108p`cmÛ`
+(p_6Û`-p_4Û`) 314 28`cmÜ ` 315 567p`cmÜ ` 316 (312p-80)`cmÛ`
=32p+72p+20p=124p(cmÛ`)
317 12통 318 252p`cmÜ` 319 6`:`3`:`2
320 90p`cmÜ` 321 864`cmÛ` 322 1152p`cmÜ`
297  27개

지름의 길이가 12`cm인 쇠구슬 한 개의 부피는


;3$;p_6Ü`=288p(cmÜ`)
300  384`cmÛ`, 208`cmÜ`

(바깥쪽 6개의 면의 겉넓이)=(7_7-3_3)_6=240(cmÛ`)


지름의 길이가 4`cm인 쇠구슬 한 개의 부피는
(안쪽 6개의 구멍의 겉넓이)=(3_2_4)_6=144(cmÛ`)
;3$;p_2Ü`=:£3ª:p(cmÜ`)
∴ (겉넓이)=240+144=384(cmÛ`)

07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049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49 2021-05-12 오후 1:24:30


처음 정육면체의 부피는 7_7_7=343(cmÜ`) 304  288`cmÛ`
사각기둥 모양인 구멍 1개의 부피는 3_3_7=63(cmÜ`)
세 정육면체의 모서리의 길이는 각각 
∴ (부피)=(처음 정육면체의 부피)-3_(구멍 1개의 부피)
2`cm, 4`cm, 6`cm이고 입체도형의
+2_(한가운데에 있는 정육면체의 부피) 4 cm
겉넓이가 최소가 되려면 겹치는 부분의
=343-3_63+2_(3_3_3)
넓이가 최대가 되어야 하므로 입체도형
=343-189+54=208(cmÜ`)
이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겉넓이가 최 6 cm 2 cm

301
소가 된다.
 850`cmÛ`
∴ ‌(겉넓이의 최솟값)
처음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5_5)_6=150(cmÛ`) =(2_2+4_4+6_6)_6-(2_2)_4-(4_4)_2
한 번 자를 때마다 정사각형 모양의 단면이 2개씩 더 생기므로 14번 자 =336-16-32=288(cmÛ`)
를 때, 새로 생기는 정사각형 모양의 단면의 개수는 2_14=28(개)
즉 새로 생긴 면의 넓이의 합은 28_(5_5)=700(cmÛ`) 305  (144p-288)`cmÜ`
따라서 15개의 직육면체의 겉넓이의 합은
통의 밑면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물을 흘려보낸 8 cm
150+700=850(cmÛ`)
후 남아 있는 물의 양은
8 cm
{p_8Û`_;4!;-;2!;_8_8}_9
302  24`cmÜ`
45ù

=(16p-32)_9=144p-288(cmÜ`)
나무토막 하나의 부피는 2_2_2=8(cmÜ`)
위에서 본 모양 위에 각 자리에 올 수 있는 나무토막의 2 306  5`:`4
개수를 알아보면 각 자리에 반드시 필요한 나무토막의 3 3
개수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나머지 자리에 나무토막 Ú 직사각형 ABCD를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 A D

이 가장 많이 필요할 때와 가장 적게 필요할 때의 개수를 써넣으면 다음 킬 때 생기는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8
과 같다. Vx=p_9Û`_2-p_1Û`_2
1
=162p-2p=160p B
Ú 나무토막이 가장 많을 때 C

2 2 2
3 2 3

∴ (부피)=8_(2+2+2+3+2+3)=112(cmÜ`)
2
Û 나무토막이 가장 적을 때 Û 직사각형 ABCD를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5 D
1 2 1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 3 A
3 1 3 림과 같으므로 8

∴ (부피)=8_(1+2+1+3+1+3)=88(cmÜ`) Vy=p_5Û`_8-p_3Û`_8
B C
Ú, Û에서 구하는 부피의 차는 112-88=24(cmÜ`) =200p-72p=128p
Ú, Û에서 Vx`:`Vy=160p`:`128p=5`:`4
303  486`cmÜ`
307  (3p+106)`cmÛ`
주어진 정육면체를 세 점 A, B, C를 지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 아랫
주어진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 6 cm 1 cm
부분에 해당하는 입체도형은 [그림 1], [그림 2]로 나눌 수 있다. 3 cm
므로
4 cm 2 cm
E 3 cm A
(밑넓이)=6_3-p_2Û`_;4!; 5 cm
3 cm 3 cm
D C
F B 9 cm =18-p(cmÛ`)
9 cm
C
3 cm 9 cm (옆넓이)=[4+3+6+1+{2p_2_;4!;}]_5
9 cm
[그림 1] [그림 2] yy 40`% =(14+p)_5=70+5p(cmÛ`)
세 점 A, B, C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르면 이 평면은 EFÓ의 중점 D를 지 ∴ (겉넓이)=(18-p)_2+70+5p
나므로 [그림 1]에서 나누어지는 두 입체도형의 부피는 서로 같다. =36-2p+70+5p=3p+106(cmÛ`)
 yy 30`%
∴ (아랫 부분의 부피) 308  (126p-72)`cmÛ`

=;2!;_([그림 1]의 잘라 내기 전 직육면체의 부피)+([그림 2]의 부피) 색칠한 입체도형의 밑넓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6`cm, 중심각의 크기가 90ù인
=;2!;_(9_9_6)+9_9_3 부채꼴의 넓이에서 직각삼각형의 넓이를 뺀 것의 6 cm

=243+243=486(cmÜ`) yy 30`% 2배이므로

050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0 2021-05-12 오후 1:24:31


(밑넓이)={p_6Û`_;3»6¼0;-;2!;_6_6}_2 삼각뿔 G-DEF의 꼭짓점 G에서 밑면 DEF에 내린 수선의 길이 즉,

=(9p-18)_2=18p-36(cmÛ`) 높이를 h`cm라고 하면 삼각뿔 G-DEF의 부피는 72`cmÜ`이므로

∴ (색칠한 입체도형의 겉넓이) ;3!;_54_h=72, 18h=72   ∴ h=4

=(18p-36)_2+[{2p_6_;3»6¼0;}_15]_2 따라서 구하는 수선의 길이는 4`cm이다.  yy 40`%

=36p-72+90p=126p-72(cmÛ`)
312  컵 B`:`5번, 컵 C`:`1번

(컵 A의 부피)=p_1Û`_6=6p(cmÜ`)
309  60
(컵 B의 부피)=p_2Û`_3=12p(cmÜ`)
잘라 낸 정사면체의 한 면의 넓이는 처음 정사면체의 한 면의 넓이의 ;9!; (컵 C의 부피)=p_3Û`_4=36p(cmÜ`)
(원뿔 모양의 물통의 부피)=;3!;_p_6Û`_10=120p(cmÜ`)
이다. 또 처음 정사면체의 각 면의 넓이는 모두 ;4!;_180=45(cmÛ`)이다.
컵 A로 4번 물을 부었으므로 더 채워야 하는 물의 부피는
처음 정사면체의 한 면에 대하여 잘라 낸 정삼각형이 3개씩이고, 잘린 단
120p-6p_4=96p(cmÜ`)
면마다 정삼각형 1개가 생겼으므로
이때 96p`cmÜ`만큼 물을 더 채우기 위해 컵 B로 물을 x번 부었다고 하면
SÁ=4_{45-3_;9!;_45}+4_;9!;_45=120+20=140 컵 C로 물을 10-4-x=6-x(번) 부었으므로
12p_x+36p_(6-x)=96p, 24x=120   ∴ x=5
잘라 낸 정사면체 1개의 겉넓이는 4_;9!;_45=20(cmÛ`)이고, 모두 4개
따라서 물을 컵 B로 5번, 컵 C로 6-5=1(번) 부었다.
의 정사면체를 잘라 내었으므로
Sª=4_20=80
313  108p`cmÛ`
∴ SÁ-Sª=140-80=60
주어진 원뿔대의 전개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310  3`cm OAÓ=x`cm, OBÓ=y`cm라고 하면
x cm
O
주어진 삼각기둥을 세 점 C, P, F를 지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 생기는 2p_x_;3»6¼0;=2p_3에서 x=12 A y cm
두 입체도형은 다음 그림과 같다. 3 cm
B
2p_y_;3»6¼0;=2p_6에서 y=24
6 cm F 6 cm F F
E E
∴ (옆넓이)=p_6_24-p_3_12 6 cm
6 cm 6 cm 6 cm =144p-36p=108p(cmÛ`)
D D
C C C
A
6 cm
A
6 cm P
6 cm 314  28`cmÜ`
P B P B B
처음 만든 입체도형에서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 높이
처음 삼각기둥의 부피는 {;2!;_6_6}_6=108(cmÜ`) 를 4h`cm라고 하면 붙인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r`cm, 높이는
APÓ=x`cm라고 하면 BPÓ=(6-x)`cm 3h`cm이다. 즉 처음 만든 입체도형과 최대한 큰 원뿔이 되도록 깎아 만
이때 꼭짓점 B를 포함하는 입체도형은 삼각뿔이므로 든 조각품은 다음 그림과 같다.

Vª=;3!;_{;2!;_6_6}_(6-x)=36-6x
3h cm
한편, VÁ+Vª=5Vª+Vª=6Vª이므로
108=6_(36-6x), 108=216-36x 7h cm
36x=108   ∴ x=3 4h cm
따라서 APÓ의 길이는 3`cm이다. r cm r cm

(처음 만든 입체도형의 부피)=prÛ`_4h+;3!;_prÛ`_3h


311  4`cm
=5prÛ`h(cmÜ`)
삼각뿔 G-DEF의 부피는 삼각뿔 D-EFG의 부피와 같다.
(완성한 조각품의 부피)=;3!;_prÛ`_7h=;3&;prÛ`h(cmÜ`)
(삼각뿔 D-EFG의 부피)=;3!;_{;2!;_6_6}_12=72(cmÜ`)
이때 완성한 원뿔 모양의 조각품이 처음 입체도형보다 부피가 32`cmÜ`만
 yy 20`%
큼 줄어들었으므로
삼각뿔 G-DEF의 밑면인 △DEF의 넓이를 구하면
△DEF=(사각형 ABCD의 넓이)-2△DAE+△EBF 5prÛ`h-;3&;prÛ`h=32, ;3*;prÛ`h=32   ∴ prÛ`h=12

=12_12-[2_{;2!;_12_6}+;2!;_6_6] 따라서 완성한 원뿔 모양의 조각품의 부피는

=144-(72+18)=54(cmÛ`) yy 40`% ;3&;prÛ`h=;3&;_12=28(cmÜ`)

07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051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1 2021-05-12 오후 1:24:33


315  567p`cmÜ` 318  252p`cmÜ`

△ABF에서 장난감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의 최대 부피는 오


∠ABF=180ù-(90ù+45ù)=45ù 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6`cm인 구의 6 cm
이므로 △ABF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8&;이다. 6 cm
이때 AFÓ=BFÓ=9`cm이므로 주어진 평면 5 cm
6 cm 따라서 장난감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의 최대
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킬
부피는
때 생기는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9 cm
∴ (부피)
3 cm ;3$;p_6Ü`_;8&;=252p(cmÜ`)
6 cm
=(위에 있는 원기둥의 부피)
+(원뿔대의 부피) 319  6`:`3`:`2

+(아래에 있는 원기둥의 부피)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라고 하면


(정육면체의 부피)=xÜ`
=p_6Û`_5+{;3!;_p_9Û`_9-;3!;_p_6Û`_6}+p_6Û`_6
(사각뿔의 부피)=;3!;_(x_x)_x=;3!;xÜ`
=180p+171p+216p=567p(cmÜ`)
(구의 부피)=;3$;p_{;2!;x}Ü`=;6!;pxÜ`=;6!;_3_xÜ`=;2!;xÜ`

xÜ`>;2!;xÜ`>;3!;xÜ`이므로

316  (312p-80)`cmÛ` (정육면체의 부피) : (구의 부피) : (사각뿔의 부피)

색칠한 부분을 180ù만큼 회전시킬 때 4 cm 8 cm 2 cm =xÜ``:`;2!;xÜ``:`;3!;xÜ`=6`:`3`:`2


생기는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
므로 10 cm
320  90p`cmÜ`
6 cm
(윗면의 넓이) 4 cm 원기둥 모양의 상자에서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3`cm,
=;2!;_(p_12Û`-p_8Û`)=40p(cmÛ`) 높이는 6_4=24(cm)이므로 원기둥 모양의 상자의 부피는
p_3Û`_24=216p(cmÜ`)
(바깥쪽 면의 넓이)
구 모양의 초콜릿 3개의 부피는
=;4!;_4p_12Û`+{;2!;_p_12Û`-16_2-;2!;_16_6}
3_{;3$;p_3Ü`}=108p(cmÜ`)
=144p+(72p-32-48)
원뿔 모양의 초콜릿 1개의 부피는
=216p-80(cmÛ`)
;3!;_p_3Û`_6=18p(cmÜ`)
(안쪽 면의 넓이)
따라서 상자의 빈 공간의 부피는
=;2!;_(2p_8_2+p_8_10)=;2!;_112p=56p(cmÛ`)
216p-(108p+18p)=90p(cmÜ`)
∴ (겉넓이)=40p+(216p-80)+56p=312p-80(cmÛ`)
321  864`cmÛ`

주어진 정팔면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사각형  A


BCDE를 밑면으로 하는 두 정사각뿔
317  12통
A-BCDE와 F-BCDE를 붙여 놓은 것이다. B
O E
D
(두 반구의 밑넓이를 제외한 겉넓이의 합) ① 3m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cm, 사각형 C
=(①의 넓이)+(②의 넓이) BCDE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O라고 하면 F
④ 4m
=;2!;_4p_3Û`+;2!;_4p_5Û` AFÓ=BDÓ=CEÓ=a`cm, OAÓ=OFÓ=;2!; AFÓ=;2!;a(cm)

=18p+50p=68p(mÛ`) 즉 정팔면체의 부피는 밑면의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각각 a`cm인 정사각


② 5m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3`m이므로 형이고, 높이가 ;2!;a`cm인 사각뿔의 부피의 2배와 같다.  yy 30`%
큰 반구의 밑넓이에서 원기둥의 밑넓이를 뺀 부
∴ (정팔면체의 부피)=(사각뿔의 부피)_2
분의 넓이는
(④의 넓이)=p_5Û`-p_3Û`=16p(mÛ`) =[;3!;_{;2!;_a_a}_;2!;a]_2
(원기둥의 옆넓이)=(③의 넓이)=2p_3_4=24p(mÛ`) =;6!;aÜ`(cmÜ`) yy 30`%
∴ (조형물의 겉넓이)=68p+16p+24p=108p(mÛ`)
이때 정팔면체의 부피가 288`cmÜ`이므로
이때 페인트를 칠하는 면의 넓이는 조형물의 겉넓이와 같으므로
108p`mÛ`이다. ;6!;aÜ`=288, aÜ`=1728=12Ü`    ∴ a=12  yy 30`%
따라서 조형물의 모든 면에 페인트를 칠하려면 108pÖ9p=12(통)의 따라서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12`cm이므로 구하는 정육면체
페인트가 필요하다. 의 겉넓이는 12_12_6=864(cmÛ`) yy 10`%

052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2 2021-05-12 오후 1:24:34


322  1152p`cmÜ` 325  72p

사각뿔의 겉넓이가 2400`cmÛ`이므로 직각삼각형 AOC와 BOD를 x축을 회전축으 A


2 4
30_30+4△ABC=2400, 4△ABC=1500   로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른 3
O 6
∴ △ABC=375(cmÛ`) 쪽 그림과 같다. D
C
이때 반구의 중심을 O라고 하면 점 O는 사각형 BCDE의 두 대각선의 이 회전체의 부피는 두 원뿔의 부피의 합과 같 B
교점과 같으므로 삼각뿔 O-ABC의 부피는 사각뿔 A-BCDE의 부 으므로

피의 ;4!;이다. VÁ=;3!;_p_2Û`_3+;3!;_p_4Û`_6=4p+32p=36p

반구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직각삼각형 AOC와 BOD를 y축을 회전축으 6 A


로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른 4
;3!;_375_r=;4!;_6000, 125r=1500   ∴ r=12 O
쪽 그림과 같다. D C
∴ (반구의 부피)=;2!;_;3$;p_12Ü`=1152p(cmÜ`) 이때 원기둥에서 원뿔을 빼고 남은 부분의 부 B 3
2
피는 원기둥의 부피의 ;3@;와 같으므로

Vª=;3@;_(p_6Û`_4)+;3@;_(p_3Û`_2)=96p+12p=108p

3
따라서 `VÁ과 Vª의 차는 108p-36p=72p
STEP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최 고 난 도 유 형

본교재 086 ~ 088쪽 326  1040`cmÛ`

[그림 1]의 입체도형의 바깥쪽 부분은


323 2 324 15`cm 325 72p 326 1040`cmÛ`
넓이가 5_2=10(cmÛ`)인 면이 10_2=20(개),
327 33개 328 1127 329 1872p`cmÜ` 넓이가 3_2=6(cmÛ`)인 면이 12_2=24(개),
330 15분 넓이가 5_3=15(cmÛ`)인 면이 10_2=20(개)이므로
창 의 융 합
(바깥쪽 부분의 넓이)=10_20+6_24+15_20=644(cmÛ`)
331 4배 332 ㈏  yy 45`%
[그림 1]의 입체도형의 가운데에는 [그림 2]의 입체도형과 같은 모양의
공간이 비어 있으므로 [그림 1]의 입체도형의 안쪽 부분의 넓이는 [그림
323 2
2]의 겉넓이에서 바깥 표면의 뚫린 부분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상자 A에는 반지름의 길이가 24Ö4=6(cm)인 구 모양의 공이 가로, 즉 [그림 1]의 입체도형의 안쪽 부분은
세로, 높이에 각각 2개씩 2_2_2=8(개) 들어 있으므로 공 전체의 겉 넓이가 5_2=10(cmÛ`)인 면이 6_2=12(개),
넓이의 합은 넓이가 3_2=6(cmÛ`)인 면이 8_2=16(개),
8_(4p_6Û`)=1152p(cmÛ`) 넓이가 5_3=15(cmÛ`)인 면이 6_2=12(개)이므로
상자 B에는 반지름의 길이가 24Ö8=3(cm)인 구 모양의 공이 가로, (안쪽 부분의 넓이)
세로, 높이에 각각 4개씩 4_4_4=64(개) 들어 있으므로 공 전체의 겉 =10_12+6_16+15_12=396(cmÛ`) yy 45`%
넓이의 합은 따라서 [그림 1]의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644+396=1040(cmÛ`)
64_(4p_3Û`)=2304p(cmÛ`)  yy 10`%
따라서 a=1152p, b=2304p이므로
b
a
=
2304p
1152p
=2 327  33개

(처음 정육면체의 겉넓이)=15_15_6=1350(cmÛ`) yy 15`%


324  15`cm 원기둥 모양의 구멍 하나를 뚫으면 그 겉넓이는 원기둥의 옆넓이만큼 늘
어나고 원기둥의 두 밑면의 넓이만큼 줄어든다.
처음 캔에 담겨 있던 주스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구멍 하나를 뚫을 때마다 늘어나는 겉넓이)
처음 캔에 담겨 있던 주스의 부피는
=(2p_1)_15-(p_1Û`)_2
(p_6Û`)_h=36ph(cmÜ`)
=28p=28_3=84(cmÛ`) yy 30`%
원뿔 모양의 컵 1개에 담겨 있는 주스의 부피는
이때 n개의 구멍을 뚫었을 때, 처음 정육면체의 겉넓이의 3배보다 커진
[;3!;_(p_3Û`)_14]_;7%;=30p(cmÜ`) 다고 하면
캔에 남아 있는 주스의 부피는 1350+84_n>1350_3, 1350+84n>4050
(p_6Û`)_10=360p(cmÜ`) Ú n=32일 때, 1350+84_32=4038<4050
즉 36ph=30p_6+360p이므로 Û n=33일 때, 1350+84_33=4122>4050 yy 45`%
36ph=540p   ∴ h=15 Ú, Û에서 입체도형의 겉넓이가 처음 정육면체의 겉넓이의 3배보다 커
따라서 처음 캔에 담겨 있던 주스의 높이는 15`cm이다. 지게 하려면 구멍을 최소 33개 뚫어야 한다. yy 10`%

07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053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3 2021-05-12 오후 1:24:35


328  1127 물의 높이가 ABÓ가 된 이후 완전히 다 빠져나간 물의 부피는 높이가 ABÓ
인 원뿔의 부피와 같으므로
입체도형의 밑면의 모양은 오른쪽 그림 B
의 빗금친 부분과 같다. 120ù ;3!;_p_4Û`_9=48p(cmÜ`)
120ù
OAÓ=AO'Ó=OO'Ó=O'BÓ=OBÓ M 구멍 1개당 1분에 6p`cmÜ`씩 일정한 속도로 물이 빠져나가므로 물의 높
O O'
=10`cm`(원의 반지름) 이가 ABÓ가 된 이후 물이 완전히 다 빠져나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y분
10 cm
이므로 △OAO', △OO'B는 정삼각형 이라고 하면
이다. A
48p=6p_y   ∴ y=8
∴ ∠AOB=∠AO'B=60ù+60ù=120ù 즉 물의 높이가 ABÓ가 된 이후 물이 완전히 다 빠져나갈 때까지 걸리는
이때 AÕMÓ, BÕMÓ은 각각 △OAO', △OO'B의 높이이므로 시간은 8분이다.
ABÓ=(10_0.87)_2=17.4(cm) 따라서 가득 찬 물이 완전히 빠지는 데 7+8=15(분)이 걸린다.
(색칠한 부분의 넓이)
=(부채꼴 AO'B의 넓이)-(마름모 OAO'B의 넓이)
100
331  4배 창 의 융 합
=p_10Û`_;3!6@0);-10_17.4_;2!;= p-87(cmÛ`)
3 수조 A에는 직육면체 모양의 벽돌이 들어 있으므로 벽돌의 높이까지는
(밑면에서 잘려진 부분의 넓이) 물이 빨리 차고, 그 후로는 수조 B와 같은 속력으로 물의 높이가 올라간
=(부채꼴 AOB의 넓이)+(색칠한 부분의 넓이) 다.
100 200 이때 수조 B의 그래프가 나타내는 시간 t와 높이 h 사이의 관계식은
=p_10Û`_;3!6@0);+ p-87= p-87(cmÛ`)
3 3
h=;1@2$;t=2t이므로 3초 후 물의 높이는 2_3=6(cm)이다.
200
∴ (부피)=[p_10Û`-{ p-87}]_21
3 수조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100 (수조 A에 들어 있는 벽돌의 부피)
={ p+87}_21=700p+1827(cmÜ`)
3
=(3초 후 수조 A에 물이 채워진 높이까지의 부피)
따라서 a=700, b=1827이므로 b-a=1827-700=1127
-(3초 후 수조 B에 물이 채워진 높이까지의 부피)
=p_rÛ`_12-p_rÛ`_6=6prÛ`(cmÜ`)
329  1872p`cmÜ`
따라서 수조의 부피는 prÛ`_24=24prÛ`(cmÜ`)이므로 수조의 부피는 벽
주어진 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6 cm 돌의 부피의 24prÛ`Ö6prÛ`=4(배)이다.
6 cm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 12 cm
림과 같다. 6 cm 332  ㈏ 창 의 융 합
이때 회전체의 부피는 원뿔대 4개의 부피의 6 cm
12 cm 같은 양의 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었으므로 세 가지 모양의 원유 저장 탱
합에서 원뿔 2개의 부피의 합을 뺀 것과 같다.
6 cm 크는 겉넓이가 모두 같다.
(원뿔대 1개의 부피)
㈏ (구 모양의 탱크의 겉넓이)=4prÛ`=4_3_rÛ`=12rÛ`
=;3!;_(p_12Û`)_12-;3!;_(p_6Û`)_6 6 cm 6 cm
㈐ ‌사각기둥 모양의 탱크의 높이를 hÁ이라고 하면 사각기둥 모양의 탱크
=576p-72p=504p(cmÜ`) 와 구 모양의 탱크의 겉넓이가 같으므로
(원뿔 1개의 부피)=;3!;_(p_6Û`)_6=72p(cmÜ`) (r_r)_2+(r+r+r+r)_hÁ=12rÛ`
2rÛ`+4rhÁ=12rÛ`, 4rhÁ=10rÛ`
∴ (부피)=504p_4-72p_2=1872p(cmÜ`)
∴ hÁ=;2%;r   yy ㉠

330  15분 ㈎ ‌원기둥 모양의 탱크의 높이를 hª라고 하면 원기둥 모양의 탱크와 구
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 물을 빼기 시작하여 물의 높이가 ABÓ가 될 때까 모양의 탱크의 겉넓이가 같으므로
지 총 8개의 구멍에서 물이 빠져나간다. prÛ`_2+2pr_hª=12rÛ`
물의 높이가 ABÓ가 될 때까지 빠져나간 물의 부피는 높이가    OAÓ인 원뿔 6rÛ`+6rhª=12rÛ`, 6rhª=6rÛ`
대의 부피와 같으므로 ∴ hª=r   yy ㉡

{;3!;_p_8Û`_18}-{;3!;_p_4Û`_9} 구 모양의 탱크의 부피는 ;3$;prÜ`=;3$;_3_rÜ`=4rÜ`

=384p-48p=336p(cmÜ`) ㉠에 의해 사각기둥 모양의 탱크의 부피는


구멍 1개당 1분에 6p`cmÜ`씩 일정한 속도로 물이 빠져나가므로 물의 높 (r_r)_hÁ=rÛ`_;2%;r=;2%;rÜ`
이가 ABÓ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x분이라고 하면
㉡에 의해 원기둥 모양의 탱크의 부피는
336p=8_6p_x   ∴ x=7
prÛ`_hª=prÛ`_r=prÜ`=3rÜ`
즉 물의 높이가 ABÓ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7분이다.
이때 물의 높이가 ABÓ가 된 이후에는 원뿔의 꼭짓점 B에 있는 1개의 구 이때 r>0이므로 ;2%;rÜ`<3rÜ`<4rÜ`
멍에서만 물이 빠져나간다. 따라서 가장 많은 원유를 담을 수 있는 원유 저장 탱크는 ㈏이다.

054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4 2021-05-12 오후 1:24:36


336  13명
IV. 자료의 정리와 해석 수학 성적이 90점 이상 10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A명이라고 하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4A명이므로
3+8+4A+9+A=40, 5A=20   ∴ A=4
08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따라서 수학 성적이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1
9+4=13(명)

STEP 교과서를 정복하는 핵 심 유 형


본교재 091 ~ 094쪽
337  40개 이상 50개 미만

칭찬 스티커의 개수가 30개 이상 40개 미만인 학생 수는


333 ⑴ 풀이 참조 ⑵ ㄱ, ㄹ 334 ①, ④
40_;1ª0°0;=10(명)
335 40`% 336 13명 337 40개 이상 50개 미만
이때 칭찬 스티커의 개수가 40개 이상 50개 미만인 학생 수는
338 15`% 339 8명 340 ③ 341 40명 342 16
40-(5+6+10+8)=11(명)
343 6명 344 ㄱ, ㄹ 345 2`:`3 346 44명 347 ④
따라서 칭찬 스티커의 개수가 15번째로 많은 학생이 속한 계급은 40개
348 ④ 349 13
이상 50개 미만이다.

333  ⑴ 풀이 참조 ⑵ ㄱ, ㄹ 338  15`%


⑴ (1|2는 12회) 전체 학생은 40명이므로 7+12+a+b+3+c=40
줄기 잎 ∴ a+b+c=18
1 2 4 7 1
이때 a`:`b`:`c=3`:`2`:`1이므로 c=_18=3
2 1 1 3 5 6 9 3+2+1
3 5 6 6 8 따라서 기록이 40초 이상 60초 미만인 학생은
4 0 3 6 7 8 3+c=3+3=6(명)이므로
5 1 5
전체의 ;4¤0;_100=15(%)
⑵ ㄴ. ‌줄기가 1인 잎이 3개, 줄기가 2인 잎이 6개, 줄기가 3인 잎이 4
개, 줄기가 4인 잎이 5개, 줄기가 5인 잎이 2개이므로 잎이 가장
많은 줄기는 2이다.
339  8명

ㄷ. ‌윗몸 일으키기 기록이 가장 좋은 학생의 기록은 55회, 가장 나쁜 헌혈 횟수가 12회 미만인 주민 수는


학생의 기록은 12회이므로 그 차는 55-12=43(회)이다. 5+7+9=21(명)
이때 헌혈 횟수가 12회 미만인 주민은 전체의 42`%이므로

(전체 주민 수)_;1¢0ª0;=21   ∴ (전체 주민 수)=50(명)

334  ①, ④
헌혈 횟수가 12회 이상 16회 미만인 주민이 전체의 30`%이므로
이 계급의 도수는
① 5번째로 높은 학생의 점수는 86점이므로 A 모둠에 있다.
50_;1£0¼0;=15(명)
④ 전체 학생 수는 4+6+7+4+4=25(명)이고 점수가 85점 이상인
학생은 86점, 90점, 92점, 96점, 98점의 5명이므로 따라서 현혈 횟수가 16회 이상 20회 미만인 주민 수는
50-(5+7+9+15+6)=8(명)
전체의 ;2°5;_100=20(%)

따라서 상위 20`%에 속한다.


340 ③

① (전체 학생 수)=2+8+5+11+4=30(명)
② ‌올린 게시글 수가 14개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12개 이상 16개 미만
335  40`% 이므로 계급의 도수는 5명이다.
③ ‌올린 게시글 수가 8개 미만인 학생 수는 2명, 12개 미만인 학생 수는
줄기가 3인 학생 수는 줄기가 4인 학생 수의 ;2#;배이고 줄기가 3인 학생
2+8=10(명)이므로 올린 게시글 수가 9번째로 적은 학생이 속하는
이 6명이므로 줄기가 4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계급은 8개 이상 12개 미만이다.
6=;2#;_x   ∴ x=6_;3@;=4 ④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16개 이상 20개 미만이고 그 계급의 도수는
11명이다.
이때 전체 학생 수는 2+5+6+4+3=20(명)이고 기록이 35`m 이상
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은 4개 이상 8개 미만이고 그 계급의 도수는 2
인 학생은 1+4+3=8(명)이므로 전체의 ;2¥0;_100=40(%) 명이다.

08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055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5 2021-05-12 오후 1:24:37


따라서 도수가 가장 큰 계급과 가장 작은 계급의 도수의 차는 ㄹ. ‌계급의 크기는 2시간이고, 전체 학생 수가 45명이므로 도수분포다각
11-2=9(명)이다. 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2_45=90이다.
⑤ ‌히스토그램에서 각 직사각형의 넓이는 그 계급의 도수에 정비례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ㄱ, ㄹ이다.
즉 올린 게시글의 수가 8개 이상 12개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8명, 20
개 이상 24개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4명이므로 8개 이상 12개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20개 이상 24개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 345  2`:`3
의 넓이의 8Ö4=2(배)이다. (명)
주어진 도수분포다각형을 히스토그램으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12
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10
이때 모눈 한 칸의 넓이를 a라고 하면
8
341  40명 A=2a+8a+;2!;_12a=16a 6
A B
4
(A의 넓이) : (B의 넓이)=4`:`5이고 두 직사각형의 넓이는 그 계급의 B=;2!;_12a+10a+5a+3a=24a 2
도수에 정비례하므로
∴ A`:`B=16a`:`24a=2`:`3 0
8`:`a=4`:`5, 4a=40   ∴ a=10 4 8 12 16 20 24 28 (분)

따라서 아람이네 반 전체 학생 수는
7+8+10+9+5+1=40(명)
346  44명

세로축의 눈금 한 칸이 나타내는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자.


342  16
SÁ=;2!;_5_2x=5x, Sª=;2!;_5_2x=5x
전체 학생 수는 2+3+7+12+10+6=40(명)
이때 SÁ+Sª=40이므로
상위 15`%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40_;1Á0°0;=6(명)이고 실기 점수가 5x+5x=40, 10x=40   ∴ x=4
9점 이상인 학생 수가 6명이므로 A=9 따라서 세로축의 눈금 한 칸이 나타내는 학생 수는 4명이므로 국어 성적
이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상위 70`%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40_;1¦0¼0;=28(명)이고 실기 점수가
8_4+3_4=32+12=44(명)
7점 이상인 학생 수가 12+10+6=28(명)이므로 B=7
∴ A+B=9+7=16

347 ④

343  6명 100`m 달리기 기록이 19초 이상 21초 미만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


실기 점수가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면 19초 이상인 학생이 전체의 25`%이므로
전체 학생 수는 3+x+9+7+5=x+24(명) x+3=40_;1ª0°0;, x+3=10   ∴ x=7
실기 점수가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학생이 전체의 20`%이므로
이때 17초 이상 19초 미만인 학생 수는 40-(6+10+7+3)=14(명)
(x+24)_;1ª0¼0;=x, x+24=5x ① 도수가 같은 계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4x=24   ∴ x=6 ② 계급의 크기는 15-13=2(초)이다.
따라서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학생 수는 6명이다. ③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17초 이상 19초 미만이다.
[다른 풀이] ④ ‌기록이 21초 이상인 학생 수는 3명이고, 기록이 19초 이상인 학생 수
실기 점수가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계급에 속하는 학생들을 제외한 나 는 7+3=10(명)이므로 달리기 기록이 나쁜 쪽에서 10번째인 학생이
머지 학생 3+9+7+5=24(명)은 전체의 100-20=80(%)이므로 속하는 계급은 19초 이상 21초 미만이다.
⑤ ‌전체 학생 수가 40명이므로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전체 학생 수)_;1¥0¼0;=24   ∴ (전체 학생 수)=30(명)
부분의 넓이는 40_2=80이다.
따라서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학생 수는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30-(3+9+7+5)=6(명)

344  ㄱ, ㄹ
348 ④

① ‌(A반 학생 수)=2+6+9+6+4+3=30(명)
ㄱ. (전체 학생 수)=8+10+12+7+5+3=45(명)
(B반 학생 수)=1+3+5+10+7+4=30(명)
ㄴ.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한 쪽에서 10번째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8시
④ ‌계급값이 65점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60점 이상 70점 미만이다.
간 이상 10시간 미만이므로 이 계급의 도수는 7명이다.
이때 계급의 도수는 A반은 9명, B반은 5명이므로 A반이 B반보다
ㄷ.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6시간 미만인 학생은 8+10=18(명)이므로
더 크다.
전체의 ;4!5*;_100=40(%)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056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6 2021-05-12 오후 1:24:38


349  13 즉 여학생 중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들의 팔 굽혀 펴기 횟수의 합은
74+65=139(회)   ∴ B=139 yy 20`%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 A-B=242-139=103 yy 10`%
=(계급의 크기)_(도수의 총합)
이고 계급의 크기는 5`cm로 같으므로 구하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도수분 353  A=35, B=10
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비는 남학생과 여학생
주어진 자료를 도수분포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의 전체 학생 수의 비와 같다.
성적(점) 변량 도수(명)
(남학생 수)=3+5+8+11+5+3=35(명)
0이상 ~ 10미만 5, 5 2
(여학생 수)=2+3+5+7+10+3=30(명)
10 ~ 20 10, 10, 15, 15, 15, 6
따라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 20 ~ 30 20, 20, 25, 25 4
의 넓이의 비는 35`:`30=7`:`6이므로 A=7, B=6 30 ~ 40 30, 30, 35, 35, 5
∴ A+B=7+6=13 40 ~ 50 40, 40, 45 3
합계 20

A-B=25에서 A>B이므로
변량 A가 속하는 계급은 30점 이상 40점 미만이고

2
변량 B가 속하는 계급은 10점 이상 20점 미만이다.
STEP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심 화 유 형 30ÉA<40, 10ÉB<20
본교재 096 ~ 098쪽 이때 한 문제당 점수가 5점씩이므로
A의 값은 30 또는 35, B의 값은 10 또는 15이고,
350 9개 351 20명 352 103 353 A=35, B=10 A-B=25이므로 A=35, B=10
354 4명 355 41 356 16권 이상 24권 미만
357 20명 358 10`% 359 44`% 360 ㄱ, ㄷ, ㅂ
354  4명

361 13명 362 120 363 SÁ=Sª 364 25`% 봉사 활동 시간이 14시간 이상 18시간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x명, 22시간
이상 26시간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y명이라고 하면
8+x+15+y+3=40이므로 x+y=14
350  9개 이때 x, y의 최소공배수가 20이므로 x와 y는 20의 약수이고, 이 중
전체 선수 수는 2+8+4+5+1=20(명) x<y, x+y=14를 만족하는 x, y의 값을 각각 구하면
x=4, y=10
즉 전체 선수의 ;4!;은 20_;4!;=5(명)
따라서 봉사 활동 시간이 14시간 이상 18시간 미만인 학생 수는 4명이다.
이때 홈런 수가 많은 선수의 홈런 수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42개, 39
개, 35개, 34개, 33개, y이므로 도대표 선발전 참가 기회가 주어진 선 355  41

수 5명 중에서 홈런 수가 가장 많은 선수의 홈런 수는 42개, 홈런 수가 메시지 수가 20개 미만인 학생 수는 12+9=21(명)


가장 적은 선수의 홈런 수는 33개이다. ㈎에서 (전체 학생 수)_;1£0°0;=21  
따라서 구하는 차는 42-33=9(개)
∴ (전체 학생 수)=60(명) yy 30`%

351
전체 학생 수가 60명이므로
 20명
12+9+a+b+13=60   ∴ a+b=26    yy ㉠
줄기가 6과 7인 여학생 수의 합을 x명이라고 하면 또한 ㈏에서 메시지 수가 25번째로 많은 학생이 속한 계급이 20개 이상
반 전체 학생 수는 2+4+4+x+3+1+1=x+15(명) 30개 미만이어야 하므로 메시지가 30개 이상 40개 미만인 학생 수는
줄기가 6과 7인 학생 수의 합이 반 학생 전체의 25`%이므로 24-13=11(명) 이하가 되어야 한다. 즉 b의 값은
(x+15)_;1ª0°0;=x, x+15=4x, 3x=15   ∴ x=5 0, 1, 2, 3, 4, 5, 6, 7, 8, 9, 10, 11 중에서 하나이다.  yy 30`%
㉠에서
따라서 반 전체 학생 수는 5+15=20(명)
b=0일 때, a의 값은 가장 크고 그 값은 26
yy 30`%
352  103
b=11일 때, a의 값은 가장 작고 그 값은 15
따라서 구하는 합은 26+15=41  yy 10`%
남학생은 1+3+5+4+2=15(명)이므로 상위 20`%에 속한 남학생은

15_;1ª0¼0;=3(명)이다.  yy 25`%
356  16권 이상 24권 미만

대여한 책의 수가 c권 이상 d권 미만인 계급의 계급값은


즉 남학생 중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들의 팔 굽혀 펴기 횟수의 합은
c+d
84+80+78=242(회)   ∴ A=242 yy 20`% c+d=120에서 =60(권)이고
2
여학생은 2+4+2+1+1=10(명)이므로 상위 20`%에 속한 여학생은 b-a=8에서 계급의 크기가 8권이므로

10_;1ª0¼0;=2(명)이다. yy 25`% c=60-;2*;=56, d=60+;2*;=64

08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057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7 2021-05-12 오후 1:24:39


즉 오른쪽과 같은 도수분포표를 책의 수(권) 도수(명) 세 계급의 도수를 각각 10k명, 12k명, 9k명`(k는 자연수)이라고 하면
예상할 수 있다. ⋮ ⋮ 2+4+10k+12k+9k+7+6=50, 31k=31   ∴ k=1
따라서 대여한 책의 수가 20권인 16이상 ~ 24미만 즉 발 길이가 245`mm 이상 250`mm 미만인 학생 수는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16권 이상 24 ~ 32 9k=9_1=9(명)이므로
24권 미만이다. 32 ~ 40 245`mm 이상인 학생 수는 9+7+6=22(명)
40 ~ 48 따라서 발 길이가 245`mm 이상인 학생은 전체의
48 ~ 56
56 ~ 64 7 ;5@0@;_100=44(%)
64 ~ 72 3
합계
360  ㄱ, ㄷ, ㅂ

357  20명 ㄱ. ‌(A동의 가구 수)=4+9+15+8+6+3=45(가구)


(B동의 가구 수)=3+2+9+13+11+7=45(가구)
14`cm 이상 16`cm 미만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따라서 A동과 B동의 가구 수는 45가구로 같다.
16`cm 이상 18`cm 미만인 학생 수는 2x명,
ㄴ. 한 달 수도 사용량이 14`mÜ` 미만인 가구는
18`cm 이상 20`cm 미만인 학생 수는 5x명,
A동은 4+9=13(가구), B동은 3+2=5(가구)이므로
20`cm 이상 22`cm 미만인 학생 수는 4x명, 13+5
전체의 _100=20(%)이다.
22`cm 이상 24`cm 미만인 학생 수는 3x명이다. 45+45
전체 학생 수가 60명이므로 ㄷ. ‌B동에서 한 달 수도 사용량이 26`mÜ` 이상인 가구 수는 7가구,
x+2x+5x+4x+3x=60, 15x=60   ∴ x=4 22`mÜ` 이상인 가구 수는 11+7=18(가구)이므로 수도량이 10번째
따라서 한 뼘의 길이가 18`cm 이상 20`cm 미만인 학생 수는 로 많은 가구가 속한 계급은 22`mÜ` 이상 26`mÜ` 미만이다.
5x=5_4=20(명) ㄹ. ‌B동의 그래프가 A동의 그래프보다 오른쪽으로 더 치우쳐 있으므로
B동 가구들의 한 달 수도 사용량이 A동 가구들의 한 달 수도 사용
358  10`% 량보다 전체적으로 많은 편이다.
ㅂ. ‌한 달 수도 사용량이 6`mÜ` 이상 10`mÜ` 미만인 가구가 A동에 4가구,
TV 시청 시간이 5시간 이상 7시간 미만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B동에 3가구 있지만 주어진 히스토그램과 도수분포다각형만으로 한
(전체 학생 수)=8+12+x+20+14+6=x+60(명)
달 수도 사용량이 가장 적은 가구가 어느 동인지는 알 수 없다.
TV 시청 시간이 5시간 이상인 학생이 전체의 75`%이므로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ㄱ, ㄷ, ㅂ이다.
(x+60)_;1¦0°0;=x+40
75x+4500=100x+4000
25x=500   ∴ x=20 361  13명

따라서 전체 학생은 20+60=80(명)이고 TV 시청 시간이 1시간 이상 영어 성적이 90점 이상인 학생 수는 9명이고 전체의 15`%이므로
3시간 미만인 학생은 8명이므로 전체의 (전체 학생 수)_;1Á0°0;=9   ∴ (전체 학생 수)=60(명)
;8¿¥0;_100=10(%)
이때 영어 성적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다른 풀이]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학생 수는 (x-5)명이므로
TV 시청 시간이 5시간 이상 7시간 미만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3+6+9+(x-5)+x+12+9=60, 2x+34=60
(전체 학생 수)=8+12+x+20+14+6=x+60(명) 2x=26   ∴ x=13
TV 시청 시간이 5시간 미만인 학생은 8+12=20(명)이고 전체의 따라서 영어 성적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학생 수는 13명이다.
100-75=25(%)이므로 (x+60)_;1ª0°0;=20
x+60=80   ∴ x=20 362  120
따라서 전체 학생은 20+60=80(명)이고 TV 시청 시간이 1시간 이상
소음도가 45`dB 미만인 도시는 5곳이고 전체의 10`%이므로
3시간 미만인 학생은 8명이므로 전체의
(전체 도시 수)_;1Á0¼0;=5   ∴ (전체 도시 수)=50(곳) yy 20`%
;8¥0;_100=10(%)
이때 소음도가 75`dB 이상 85`dB 미만의 도시 수를 x곳이라고 하면

359  44`% 85`dB 이상 95`dB 미만인 도시 수는 ;3!;x곳이므로

발 길이가 235`mm 이상 240`mm 미만인 학생 수와 240`mm 이상 5+14+9+6+x+;3!;x=50, ;3$;x=16   ∴ x=12 yy 30`%


245`mm 미만인 학생 수의 비가 5`:`6이고, 240`mm 이상 245`mm
즉 소음도가 75`dB 이상 85 dB 미만인 도시는 12곳이므로 전체의
미만인 학생 수와 245`mm 이상 250`mm 미만인 학생 수의 비가 4`:`3
이므로 235`mm 이상 240`mm 미만, 240`mm 이상 245`mm 미만, ;5!0@;_100=24(%)이다. yy 30`%
245`mm 이상 250`mm 미만인 학생 수의 비는 10`:`12`:`9이다. 따라서 a=24이므로 5a=5_24=120 yy 20`%

058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8 2021-05-12 오후 1:24:40


363  SÁ=Sª 올바른 줄기와 잎 그림에서 전체 학생 수는 6+7+5+2=20(명)이므로

1반의 학생 수는  (명) 상위 25`%에 속하는 학생 수는 20_;1ª0°0;=5(명)


12 1반
3+5+9+13+5=35(명) 2반 이때 5명의 줄넘기 횟수를 가장 많은 횟수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82회,
10
2반의 학생 수는 81회, 76회, 75회, 74회이므로 구하는 횟수의 차는 82-74=8(회)
8
2+7+11+12+3=35(명) Sª
6
즉 1반과 2반의 학생 수가 같으므로 각
4
반의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 2

P
366  7개
싸인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다. 0 무게가 11`kg 이상 13`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x개라고 하면 5`kg 이
15 20 25 30 35 40 45 (m)
빗금친 부분의 넓이를 P라고 하면 상 7`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2.4x개이다. yy 20`%
(1반의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SÁ+P 무게가 9`kg 미만인 수박의 수가 전체 수박의 수의 58`%이므로
(2반의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P+Sª
7+2.4x+10=(7+2.4x+10+14+x+2)_;1°0¥0;
따라서 SÁ+P=P+Sª이므로 SÁ=Sª
1700+240x=1914+197.2x

364  25`% 42.8x=214   ∴ x=5 yy 40`%


따라서 5`kg 이상 7`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1반의 전체 학생 수는 2+7+8+7+4+2=30(명)이므로 1반에서 상
2.4x=2.4_5=12(개), 11`kg 이상 13`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5개
위 20`%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30_;1ª0¼0;=6(명) 이므로 구하는 도수의 차는 12-5=7(개)  yy 40`%
이때 1반에서 80점 이상인 학생 수가 4+2=6(명)이므로 1반에서 상위
20`% 이내에 드는 학생들은 사회 성적이 80점 이상이다.
한편 2반의 전체 학생 수는 3+6+9+6+6+1=31(명)이고 2반에서
367  51

사회 성적이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6+1=7(명)이므로 연수에 참가한 직원 전체에서


1반에서 사회 성적이 상위 20`% 이내에 드는 학생 중 1명이 2반으로 옮 나이가 30세 미만인 직원 수는 3+30=33(명),
기면 2반의 전체 학생 수는 31+1=32(명)이고, 나이가 35세 미만인 직원 수는 3+30+12+45=90(명),
2반에서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7+1=8(명)이 된다. 나이가 40세 미만인 직원 수는
따라서 1반에서 반을 옮긴 학생은 2반에서 최소한 상위 3+30+12+45+20+58=168(명)이므로
김유리 사원이 속하는 계급은 35세 이상 40세 미만이다.
;3¥2;_100=25(%) 이내에 들 수 있다.
이때 참가한 직원 전체에서 나이가 35세 이상 40세 미만인 직원 수는
20+58=78(명)이고, 나이가 35세 이상 40세 미만인 직원 중에서
150-90=60(명)이 김유리 사원보다 나이가 적다.
Ú A회사 직원 중에서 김유리 사원보다 나이가 적은 직원 수가 가장 많

STEP
3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최 고 난 도 유 형

본교재 099 ~ 101쪽


으려면 35세 이상 40세 미만인 계급에 속하는 김유리 사원을 제외한
A회사 직원 19명이 모두 김유리 사원보다 나이가 적은 직원이어야
한다.
∴ M=3+12+19=34
365 8회 366 7개 367 51 368 26 Û A회사 직원 중에서 김유리 사원보다 나이가 적은 직원 수가 가장 적
369 3`:`2 370 7명 371 36`% 372 13 으려면 35세 이상 40세 미만인 계급에 속하는 나머지 회사 직원
창 의 융 합
58명이 모두 김유리 사원보다 나이가 적어야 하고, A회사 직원 중에서
373 408000원 60-58=2(명)만이 김유리 사원보다 나이가 적어야 한다.
374 ⑴ 16`:`00 이상 17`:`00 미만 ⑵ 95명 ∴ m=3+12+2=17
Ú, Û에서 M+m=34+17=51

365  8회

선호가 작성한 줄기와 잎 그림에서 줄기가 1인 것만 보면 원래 자료는 368  26

18 81, 16 61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잎을 줄기로, 줄기를 잎으로 바 운동 시간이 40시간 이상 50시간 미만인 선수의 수를 B명이라고 하면
꿔서 올바른 줄기와 잎 그림을 그리면 다음과 같다. 8+A+18+B+6=50   ∴ A+B=18   yy ㉠

운동 시간이 24시간 이하인 선수의 수는 50_;1£0¤0;=18(명)이므로


(5|4는 54회)
잎(남학생) 줄기 잎(여학생)
7 4 5 3 5 7 7 8+A¾18   ∴ A¾10    yy ㉡
7 7 3 2 6 1 2 8 운동 시간이 45시간 이상인 선수의 수는 50_;1Á0¤0;=8(명)이므로
6 5 3 7 2 4 B+6¾8   ∴ B¾2    yy ㉢
1 8 2 ㉠~㉢을 모두 만족하는 자연수 A, B의 값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8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059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59 2021-05-12 오후 1:24:42


A 10 11 12 13 14 15 16 즉 2반에서 10분 이상 15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가 4명이므로 25분 이상
B 8 7 6 5 4 3 2 30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4_2=8(명)이다. yy 10`%
두 자료에서 계급의 크기가 같으므로 도수분포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
따라서 A의 최댓값은 16, 최솟값은 10이므로 그 합은
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히스토그램에서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학생 수
16+10=26
에 정비례한다.
(2반의 전체 학생 수)=2+4+7+10+8+3+1=35(명) yy 25`%
369  3`:`2 이때 1반의 전체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쓴 용돈이 6000원 이상인 학생이 전체의 55`%이므로 6000원 미만인 8`:`7=x`:`35, 7x=280   ∴ x=40 yy 10`%
학생은 전체의 100-55=45(%)이고 학생 수가 3+5+10=18(명) 통학 시간이 25분 이상 걸리는 학생 수는 1반은
이므로 40-(3+5+8+9)=15(명), 2반은 8+3+1=12(명)이므로 모두
15+12=27(명)이다. yy 25`%
(전체 학생 수)_;1¢0°0;=18   ∴ (전체 학생 수)=40(명)
따라서 1반과 2반을 합하면 전체 학생 수는 40+35=75(명)이므로 통
쓴 용돈이 6000원 이상 8000원 미만인 계급의 학생 수는
학 시간이 25분 이상 걸리는 학생들은 전체의 ;7@5&;_100=36(%)
40-(3+5+10+1)=21(명)
6000원 이상 7000원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a명,  yy 20`%
7000원 이상 8000원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b명이라고 하면

a+b=21이고 b=;4#;a이므로
372  13

a+;4#;a=21   ∴ a=12, b=9 여학생의 몸무게를 나타낸 도수분포다각형에서 35`kg 이상 40`kg 미만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가장 높은 (명) 인 계급의 도수가 b명이므로


12 여학생 수는 1+b+7+9+3+2=b+22(명)
꼭짓점에서 가로축에 수선을 그어 각각
10 남학생 수와 여학생 수가 같고, 여학생 중에서 몸무게가
의 넓이를 구하면
8 40`kg 미만인 학생은 소은이네 반 전체 학생의 8`%이므로
A=1000_{3+5+10+;2!;_12} 6
(전체 학생 수)=(b+22)+(b+22)=2b+44(명)에서
4 A B
=24000
2 (2b+44)_;10*0;=1+b, 16b+352=100+100b
B=1000_{;2!;_12+9+1} 0
3000 5000 7000 9000 (원) 84b=252   ∴ b=3
=16000 4000 6000 8000 남학생 수와 여학생 수는 각각
∴ A`:`B=24000`:`16000=3`:`2 b+22=3+22=25(명)
남학생의 몸무게를 나타낸 도수분포다각형에서 남학생 수는
370  7명 1+3+5+8+a+3=a+20(명)이므로
a+20=25   ∴ a=5
전체 참가자는 40명이므로
∴ 2a+b=2_5+3=13
2+7+9+x+5+y+3=40   ∴ x+y=14
이때 x`:`y=5`:`2이므로

x=
5
5+2
_14=10, y=
2
5+2
_14=4 373  408000원 창 의 융 합

3번 모두 다른 점수를 얻으려면 3+4+5=12(점)을 얻어야 한다. 2회차 공연에 입장한 사람은 7세 이하 유아가 2명, 7세 초과 12세 이하
또 2번만 같은 점수인 경우는 3+3+4=10(점), 3+3+5=11(점), 어린이가 2명, 12세 초과 65세 이하 일반이 14명, 65세 초과 경로가 2명
4+4+3=11(점), 4+4+5=13(점), 5+5+3=13(점), 이다.
5+5+4=14(점)이므로 점수가 12점인 경우는 3번 모두 다른 점수이거 이때 일반 1명의 입장료를 x원이라고 하면 7세 초과 12세 이하의 어린
나 모두 4점을 얻은 경우이다. 이 1명의 입장료는 ;3@;x원이므로
이때 점수가 12점인 10명 중에서 3번 모두 다른 점수를 얻은 참가자가
8명이므로 3번 모두 4점을 얻은 참가자 수는 10-8=2(명)이다. ;3@;x_2+x_14=368000, :¢3¤:x=368000
따라서 3번 모두 같은 점수를 얻은 참가자는 3+3+3=9(점)의 2명, ∴ x=24000
4+4+4=12(점)의 2명, 5+5+5=15(점)의 3명이므로 구하는 참가 따라서 일반 1명의 입장료는 24000원, 어린이 1명의 입장료는
자 수는 2+2+3=7(명)
24000_;3@;=16000(원)이다.

이때 1회차 공연에 입장한 7세 이하의 사람은 유아가 3명, 7세 초과 12


371  36`%
세 이하 어린이가 3명, 12세 초과 65세 이하 일반이 15명, 65세 초과 경
2반의 그래프에서 통학 시간이 10분 이상 15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 로가 4명이므로
의 넓이와 통학 시간이 25분 이상 30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이 (1회차 공연에 입장한 사람들의 입장료의 합)
의 비가 1`:`2이므로 도수의 비도 1`:`2이다. yy 10`% =16000_3+24000_15=408000(원)

060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0 2021-05-12 오후 1:24:43


374  ⑴ 16`:`00 이상 17`:`00 미만 ⑵ 95명 창 의 융 합
09 상대도수와 그 그래프
1
⑴ 각 계급의 입장한 손님 수, 퇴장한 손님 수, 워터파크에 남아 있는 손
님 수를 도수분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TEP 교과서를 정복하는 핵 심 유 형
입장한 퇴장한 남아 있는
시각(시 : 분) 본교재 103 ~ 105쪽
손님 수(명) 손님 수(명) 손님 수(명)
13`:`00이상
~ 14`:`00 미만
110 5 105
375 0.25 376 ③ 377 8명 378 0.3 379 14명
14`:`00 ~ 15`:`00 80 15 170
15`:`00 ~ 16`:`00 45 60 155 380 ③ 381 50명 382 1 383 3 384 163
16`:`00 ~ 17`:`00 14 125 44 385 80 386 ㄱ, ㄴ 387 10명 388 12명
17`:`00 ~ 18`:`00 1 40 5
합계 250
375  0.25
따라서 워터파크에 남아 있는 손님 수가 두 번째로 적은 계급은
16`:`00 이상 17`:`00 미만이다. (전체 학생 수)=15+35+55+45+30+20=200(명)

⑵ 무료 이용권을 받은 손님 수가 최대가 되는 경우는 14시부터 14시 20 제자리높이뛰기 기록이 50`cm 이상인 학생 수는

분 이전에 80명이 입장하고 14시 50분 이후부터 15시 이전에 15명이 30+20=50(명)

퇴장한 경우이므로 무료 이용권을 받은 손님 수의 최댓값은 따라서 제자리높이뛰기 기록이 50`cm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05+80=185(명)이다. ;2°0¼0;=0.25
무료 이용권을 받은 손님 수가 최소가 되는 경우는 14시부터 14시 20
분 이전에 15명이 퇴장하고 14시 50분 이후부터 15시 이전에 80명이
입장한 경우이므로 무료 이용권을 받은 손님 수의 최솟값은 376 ③

105-15=90(명)이다. 18
(도수의 총합)= =40이므로
0.45
따라서 놀이기구 무료 이용권을 받은 손님 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185-90=95(명) a=;4¤0;=0.15, b=0.3_40=12

∴ a+b=0.15+12=12.15

377  8명
6
(전체 참가자 수)= =50(명)
0.12
나이가 20세 이상인 참가자가 전체의 72`%이므로 10세 이상 20세 미만
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0.12+0.72)=0.16
따라서 나이가 10세 이상 20세 미만인 참가자 수는
0.16_50=8(명)

378  0.3

만족도가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0.25_40=10(명)
이때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40-(2+4+4+10+8)=12(명)
따라서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4!0@;=0.3

379  14명

기록이 6초 이상 6.5초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05이므로 이 계급의


도수는 0.05_140=7(명)
기록이 6.5초 이상 7초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1이므로 이 계급의
도수는 0.1_140=14(명)
따라서 달리기 기록이 20번째로 좋은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6.5초 이상
7초 미만이고 그 계급의 도수는 14명이다.

09 상대도수와 그 그래프 061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1 2021-05-12 오후 1:24:43


380 ③ 384  163

① 상대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은 100`g 이상 150`g 미만이고 그 계급의 1, 2학년에서 각 계급의 상대도수와 상대도수의 차를 구하면 다음 표와
도수는 14개이므로 과수원에서 수확한 사과는 같다.
14 상대도수
총 =350(개)이다.
0.04 기록(cm) 상대도수의 차
1학년 2학년
②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상대도수가 가장 큰 계급인 250`g 이상 300`g
160이상 ~ 170미만 0.1 0.12 0.02
미만이다. 170 ~ 180 0.22 0.1 0.12
③ ‌계급값이 325`g인 계급은 300`g 이상 350`g 미만이므로 구하는 계급 180 ~ 190 0.16 0.18 0.02
의 도수는 0.12_350=42(개)이다. 190 ~ 200 0.2 0.19 0.01
④ ‌무게가 200`g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200 ~ 210 0.18 0.21 0.03
0.04+0.16=0.2이므로 전체의 0.2_100=20(%)이다. 210 ~ 220 0.14 0.2 0.06
⑤ ‌무게가 300`g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합계 1 1
0.12+0.06=0.18이므로 전체의 0.18_100=18(%)이다. 따라서 상대도수의 차가 가장 큰 계급은 170`cm 이상 180`cm 미만이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므로 그 계급의 도수의 합은 55+20=75(명)   ∴ a=75
상대도수의 차가 가장 작은 계급은 190`cm 이상 200`cm 미만이므로
그 계급의 도수의 합은 50+38=88(명)   ∴ b=88
∴ a+b=75+88=163

381  50명

성적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385  80

1-(0.06+0.12+0.34+0.16)=0.32 A 중학교에서 95점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02, 90점 이상인 계급


전체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의 상대도수의 합은 0.1+0.02=0.12, 85점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0.12x=0.32x-10 합은 0.18+0.1+0.02=0.3
0.2x=10   ∴ x=50 즉 A 중학교에서 상위 30`% 이내에 들려면 적어도 85점 이상 받아야
따라서 전체 학생 수는 50명이다. 하므로 x=85
B 중학교에서 95점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14, 90점 이상인 계급
의 상대도수의 합은 0.16+0.14=0.3
즉 B 중학교에서 상위 30`% 이내에 들려면 적어도 90점 이상 받아야 하
므로 y=90
382 1
∴ 2x-y=2_85-90=80
두 집단의 어떤 계급의 도수를 각각 9m, 7m이라 하고 그 계급의 상대
도수를 각각 5n, 4n이라고 하면
386  ㄱ, ㄴ
두 집단의 전체 도수의 비는
9m 7m ㄱ, ‌ㄷ. 상대도수의 총합은 항상 1이고 1반과 2반의 계급의 크기가 같으
`:` =;5(;`:`;4&;=36`:`35
5n 4n 므로 각 그래프와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다.
따라서 a=36, b=35이므로 두 자연수 a, b의 차는 ㄴ. ‌1반의 전체 학생 수가 50명이므로 운동 시간이 9시간 이상 12시간
a-b=36-35=1 미만인 학생 수는 0.4_50=20(명)
2반의 전체 학생 수가 40명이므로 운동 시간이 9시간 이상 12시간
미만인 학생 수는 0.3_40=12(명)
따라서 운동 시간이 9시간 이상 12시간 미만인 학생 수는 1반이 2반
보다 20-12=8(명) 더 많다.
383 3
ㄹ. ‌2반의 그래프가 1반의 그래프보다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
남학생에서 제기차기 기록이 8개 이상 12개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으므로 2반 학생들의 운동 시간이 1반 학생들의 운동 시간보다 상대
;4¥0;=0.2 적으로 더 많은 편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ㄱ, ㄴ이다.
여학생에서 제기차기 기록이 8개 이상 12개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x명
x
이라고 하면 이 계급의 상대도수는 이므로
50 387  10명
x
0.2`:` =5`:`7에서 A 야구단에서 타율이 2.5할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50
x 0.3+0.1=0.4이고 그 계급의 도수가 16명이므로
=1.4   ∴ x=14
10 16
(전체 선수의 수)= =40(명)
∴ A=50-(10+11+14+8+4)=3 0.4

062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2 2021-05-12 오후 1:24:44


이때 A 야구단에서 타율이 1.5할 이상 2할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390  4시간
1-(0.05+0.35+0.3+0.1)=0.2
9
따라서 타율이 2할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0.05+0.2=0.25이 전체 합창부 학생 수는 =150(명)
0.06
므로 구하는 선수의 수는 0.25_40=10(명)
연습 시간이 3시간 이상 4시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5Á0;=0.34

388  12명 연습 시간이 4시간 이상 5시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5£0;=0.22

B 야구단에서 타율이 3할 이상 3.5할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연습 시간이 5시간 이상 6시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0.06+0.28+0.34+0.22)=0.1
;6»0;=0.15
이때 (0.22+0.1)_100=32(%)이므로 노래 연습을 한 시간이 많은 쪽
이때 타율이 2.5할 이상 3할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에서 상위 32`%에 드는 학생의 노래 연습 시간은 최소 4시간 이상이다.
1-(0.1+0.1+0.25+0.15)=0.4이므로
[다른 풀이]
B 야구단에서 타율이 2.5할 이상 3할 미만인 선수의 수는 9
전체 합창부 학생 수는 =150(명)
0.4_60=24(명) 0.06
A 야구단에서 타율이 2.5할 이상 3할 미만인 선수의 수는 연습 시간이 2시간 이상 3시간 미만인 계급에 속하는 학생 수는
0.3_40=12(명) 0.28_150=42(명)
따라서 구하는 선수의 수의 차는 24-12=12(명) 연습 시간이 5시간 이상 6시간 미만인 계급에 속하는 학생 수는
150-(9+42+51+33)=15(명)
이때 노래 연습을 한 시간이 많은 쪽에서 상위 32`%에 드는 학생 수는

150_;1£0ª0;=48(명)

따라서 노래 연습을 한 시간이 많은 쪽에서 48번째로 많은 학생이 속하

STEP 2 실전문제 체화를 위한 심 화 유 형


본교재 107 ~ 109쪽
는 계급은 4시간 이상 5시간 미만이므로 상위 32`% 이내에 드는 학생의
노래 연습 시간은 최소 4시간 이상이다.

389 0.04 390 4시간 391 18 392 13명 391  18


393 6명 394 30명 395 400 396 ㄴ, ㄹ 상대도수의 총합은 1이므로 나이가 30세 이상 40세 미만인 계급의 상대
397 227등 398 3`:`4 399 A 마을이 27명 더 많다. 도수는
400 64명 401 ② 1-{;7#;+;2Á8;+;1Á4;+;4!;}=;1£4;

전체 관람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각 계급의 도수는


389  0.04 ;7#;x명, ;2Á8;x명, ;1£4;x명, ;1Á4;x명, ;4!;x명
빨강색과 초록색을 좋아하는 학생 수의 비와 상대도수의 비는 같으므로 이때 각 계급의 도수는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a`:`b=3`:`4 x는 분모 4, 7, 14, 28의 최소공배수, 즉 28의 배수이어야 한다.
4a=3b   ∴ a=;4#;b 9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28의 배수는 28, 56, 84이므로
x=28 또는 x=56 또는 x=84
상대도수의 총합은 항상 1이므로
따라서 나이가 30세 이상 40세 미만인 관람객 수는
;4#;b+0.3+0.28+b+0.14=1
;1£4;_28=6(명) 또는 ;1£4;_56=12(명) 또는 ;1£4;_84=18(명)이므로
;4&;b=0.28   ∴ b=0.16
A의 값이 될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18이다.
따라서 a=;4#;b=;4#;_0.16=0.12이므로
풀이 첨삭
b-a=0.16-0.12=0.04
B D
[다른 풀이] 기약분수 , 에 곱하여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구하기
A C
상대도수의 총합은 항상 1이므로 B D
, 중 어느 것에 곱해도 그 결과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
a+b=1-(0.3+0.28+0.14)=0.28 A C
이때 빨강색과 초록색을 좋아하는 학생 수의 비와 상대도수의 비는 같으 연수는 A, C의 공배수이다.
므로 a`:`b=3`:`4

a=0.28_;7#;=0.12
392  13명
b=0.28_;7$;=0.16 키가 145`cm 이상 150`cm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x명이라고 하면 키가
∴ b-a=0.16-0.12=0.04 155`cm 이상 160`cm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1.5x명이다.

09 상대도수와 그 그래프 063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3 2021-05-12 오후 1:24:45


또한 키가 160`cm 이상 165`cm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조사한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각 계급의 도수는
x+0.06_50=x+3(명) ;2Á0Á0;x명, ;2£5;x명, ;4!;x명, ;5@;x명, ;2£0;x명, ;4Á0;x명
이때 도수의 총합이 50명이므로
이때 각 계급의 도수는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x가 될 수 있는 수는 4, 5,
3+x+7+1.5x+(x+3)+2=50, 3.5x+15=50
20, 25, 40, 200의 공배수이다.
3.5x=35   ∴ x=10
4, 5, 20, 25, 40, 200의 최소공배수는 200이고, 전교생 수가 620명이
따라서 키가 160`cm 이상 165`cm 미만인 학생 수는
므로 x가 될 수 있는 수는 200의 배수이면서 620보다 작은 수이다.
x+3=10+3=13(명)
∴ x=200, 400, 600
즉 조사한 학생 수는 최대 600명, 최소 200명이다.
393  6명
따라서 a=600, b=200이므로 a-b=600-200=400
㈎에서 점심을 먹는 데 걸리는 시간이 8분 이상 12분 미만인 학생 수는
54명이고, 그 계급의 상대도수가 0.18이므로 연우네 중학교 1학년 전체 396  ㄴ, ㄹ
54 전체 학생 100명 중에서 O형인 학생 수는 100_0.06=6(명)
학생 수는 =300(명) yy 20`%
0.18
이때 O형인 여학생의 상대도수가 0이므로 전체 학생 중에서 O형인 학
㈏에서 점심을 먹는 데 걸리는 시간이 20분 이상인 학생이 전체의 34`%
생 6명은 모두 남학생이다.
이고, 24분 이상 28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가 0.02이므로 20분 이상
O형인 남학생의 상대도수가 0.1이므로 남학생 수는
24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34-0.02=0.32  yy 20`%
6
상대도수의 총합은 1이므로 점심을 먹는 데 걸리는 시간이 16분 이상 20 =60(명)
0.1
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즉 여학생 수는 100-60=40(명)이므로 주어진 상대도수를 이용하여
1-(0.06+0.18+0.22+0.32+0.02)=0.2 yy 20`% 혈액형에 대한 학생 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점심을 먹는 데 걸리는 시간이 12분 이상 16분 미만인 학생 수는
학생 수(명)
0.22_300=66(명)이고, 16분 이상 20분 미만인 학생 수는 혈액형
남학생 여학생 전체 학생
0.2_300=60(명)이다. yy 20`% A형 18 10 28
따라서 점심을 먹는 데 걸리는 시간이 12분 이상 16분 미만인 학생 수와 B형 24 18 42
16분 이상 20분 미만인 학생 수의 차는 66-60=6(명) yy 20`% AB형 12 12 24
O형 6 0 6

394  30명 합계 60 40 100

과학 성적이 60점 미만인 학생 수가 9명이고 그 상대도수의 합이 ㄱ. ‌A형인 남학생 수는 18명, A형인 여학생 수는 10명이므로 A형인
9 남학생 수는 A형인 여학생 수보다 18-10=8(명) 더 많다.
0.04+0.08=0.12이므로 전체 학생 수는 =75(명)
0.12 ㄴ. ‌B형인 남학생 수는 24명, O형인 남학생 수는 6명이므로 B형인 남
과학 성적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학생 수와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학생 수는 O형인 남학생 수의 24Ö6=4(배)이다.
학생 수를 각각 9x명, 8x명이라고 하면 ㄷ. ‌A형인 여학생 수는 10명, AB형인 여학생 수는 12명이므로 그 차는
9+0.12_75+9x+8x+0.08_75=75 12-10=2(명)이다.
17x+24=75, 17x=51   ∴ x=3 ㄹ. AB형인 남학생 수와 AB형인 여학생 수는 모두 12명으로 같다.
따라서 과학 성적이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ㄴ, ㄹ이다.
8x+0.08_75=8_3+6=30(명)
397  227등

395  400 1학년 1반에서 영어 듣기 평가 점수가 40점 이상 60점 미만인 학생은


각 계급의 상대도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2명이고 이 계급의 상대도수는
1-(0.1+0.15+0.4+0.05)=0.3
상대도수
시간(시간) 12
소수 기약분수 ∴ (1학년 1반의 전체 학생 수)= =40(명)  yy 20`%
0.3
4이상 ~ 5미만 0.055 ;2Á0Á0; 1학년 전체에서 영어 듣기 평가 점수가 40점 이상 60점 미만인 학생은
191명이고 이 계급의 상대도수는
5 ~ 6 0.12 ;2£5;
1-(0.034+0.13+0.308+0.146)=0.382
6 ~ 7 0.25 ;4!; 191
∴ (1학년 전체 학생 수)= =500(명) yy 20`%
0.382
7 ~ 8 0.4 ;5@; 1학년 1반의 전체 학생 수가 40명이므로
1학년 1반에서 18등까지의 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4!0*;=0.45
8 ~ 9 0.15 ;2£0;
이때 1학년 1반에서 60점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9 ~ 10 0.025 ;4Á0;
0.4+0.05=0.45이므로 1학년 1반에서 18등인 학생의 영어 듣기 평가
합계 1 1 점수는 60점 이상이다. yy 30`%

064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4 2021-05-12 오후 1:24:46


또 1학년 전체 학생 수는 500명이므로 60점 이상인 학생 수는 따라서 두 중학교 1학년 전체 학생 중에서 수학 성적이 80점 이상 90점
(0.308+0.146)_500=227(명) 미만인 학생 수는
따라서 1학년 1반에서 18등인 학생은 1학년 전체에서 최소한 227등 안 0.2_180+0.14_200=36+28=64(명) yy 20`%
에 든다고 할 수 있다. yy 30`%
401 ②

398  3`:`4 1학년 1반에서 읽은 책의 수가 20권 이상 28권 미만인 학생은 78명이고


A팀의 전체 선수의 수를 x명, B팀의 전체 선수의 수를 y명이라고 하면 이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0.3+0.22=0.52이므로
78
앉은키가 90`cm 이상 95`cm 미만인 A팀과 B팀의 선수의 수의 비가 (1학년 1반의 전체 학생 수)= =150(명)
0.52
4`:`7이므로
1학년 전체에서 읽은 책의 수가 20권 이상 28권 미만인 학생은 168명이
0.16x`:`0.35y=4`:`7
고 이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0.18+0.24=0.42이므로
1.12x=1.4y   ∴ x=1.25y 168
(1학년 전체 학생 수)= =400(명)
따라서 앉은키가 80`cm 미만인 A팀과 B팀의 선수의 수의 비는 0.42
{(0.02+0.1)_x}`:`{(0.05+0.15)_y} 이때 1학년 1반에서 읽은 책의 수가 36권 이상인 학생 수는
=0.12x`:`0.2y 0.02_150=3(명)
=(0.12_1.25y)`:`0.2y 읽은 책의 수가 32권 이상인 학생 수는 (0.02+0.02)_150=6(명)이
=0.15y`:`0.2y 므로 읽은 책의 수가 많은 쪽에서 6번째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32권
=3`:`4 이상 36권 미만이다.
1학년 전체에서 읽은 책의 수가 36권 이상인 학생 수는

399  A 마을이 27명 더 많다. 0.12_400=48(명)이고 읽은 책의 수가 32권 이상 36권 미만인 1학년 1


반 학생 3명 중에서 2명은 읽은 책의 수가 많은 쪽에서 6번째인 학생보다
A 마을과 B 마을에서 1인당 쌀 소비량이 210`g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
읽은 책의 수가 더 많으므로
수의 합은
n>48+2=50    yy ㉠
A 마을 : 0.1+0.3+0.35=0.75
또한 1학년 전체에서 읽은 책의 수가 32권 이상 36권 미만인 학생 수는
B 마을 : 0.05+0.25+0.3=0.6
0.16_400=64(명)이므로
360
∴ (A 마을의 전체 주민 수)=
0.75
=480(명) nÉ48+64=112   yy ㉡
252 ㉠, ㉡에서 n의 값으로 가능한 것은 ② 100이다.
(B 마을의 전체 주민 수)= =420(명)
0.6
이때 1인당 쌀 소비량이 220`g 이상 230`g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A 마을 : 1-(0.1+0.3+0.35+0.15)=0.1

3
B 마을 : 1-(0.05+0.25+0.3+0.35)=0.05
즉 1인당 쌀 소비량이 220`g 이상인 주민 수는 STEP 최상위권 굳히기를 위한 최 고 난 도 유 형
A 마을 : 0.1_480=48(명)
본교재 110 ~ 112쪽
B 마을 : 0.05_420=21(명)
따라서 1인당 쌀 소비량이 220`g 이상인 주민 수는 A 마을이 B 마을보 402 110명 403 68`% 404 150명 405 2반
다 48-21=27(명) 더 많다.
406 6 407 90곳 408 0.45 409 50개
창 의 융 합

400  64명 410 ⑴ 0.3 ⑵ 132개


B 중학교 1학년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411 ⑴ 남학생이 66명 더 많다. ⑵ 8시 40분 이상 9시 미만
A 중학교 1학년 학생 수는 (x-20)명이다.
중간고사 수학 성적이 50점 이상 60점 미만인 학생이 53명이므로
0.15_(x-20)+0.13x=53, 0.28x-3=53 402  110명

0.28x=56   ∴ x=200 yy 30`% 그래프의 세로 눈금 한 칸의 크기를 x라고 하면 1학년 1반의 상대도수의


즉 A 중학교 1학년 학생은 200-20=180(명), B 중학교 1학년 학생은 총합은 1이므로
200명이다. yy 10`% x+3x+6x+8x+7x=1
A 중학교에서 중간고사 수학 성적이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상 25x=1   ∴ x=0.04
대도수는 즉 그래프의 세로 눈금 한 칸의 크기는 0.04이다.
1-(0.1+0.15+0.2+0.25+0.1)=0.2 yy 20`% 이때 1학년 전체에서 수행평가 성적이 80점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B 중학교에서 중간고사 수학 성적이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상 1-(2+4+8)_0.04=1-0.56=0.44
대도수는 따라서 1학년 전체에서 수행평가 성적이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1-(0.11+0.13+0.2+0.3+0.12)=0.14 yy 20`% 0.44_250=110(명)

09 상대도수와 그 그래프 065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5 2021-05-12 오후 1:24:47


403  68`% 점수(점) 수정 전 도수(명) 수정 후 도수(명)
50이상 ~ 100미만 5 40_0.05=2
상대도수의 총합은 항상 1이므로
100 ~ 150 4 40_A
0.08+0.24+a+b+0.14+0.06=1
150 ~ 200 9 40_0.25=10
a+b=0.48    yy ㉠ 200 ~ 250 10 40_0.225=9
㉠의 양변에 25를 곱하면 25a+25b=12 250 ~ 300 11 40_B
이때 25a, 25b가 모두 3의 배수이고 a>b이므로 300 ~ 350 1 40_0.025=1
25a=9, 25b=3   ∴ a=0.36, b=0.12 합계 40 40
따라서 키가 155`cm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수정 후 50점 이상 100점 미만인 선수는 3명 줄었으므로 수정 전 50점
0.08+0.24+0.36=0.68이므로 키가 155`cm 미만인 학생은 전체의
이상 100점 미만인 선수들 중 3명이 한 계급 올라갔고, 수정 후 150점
0.68_100=68(%)
이상 200점 미만인 선수는 1명 증가했으므로 수정 전 100점 이상 150점
미만인 선수들 중 1명이 한 계급 올라갔다.
즉 수정 후 100점 이상 150점 미만인 선수의 수는 4+3-1=6(명)
404  150명
∴ A=;4¤0;=0.15
1학년 전체 학생 수를 a명, 2학년 전체 학생 수를 b명이라고 하면 10초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2학년이 1학년의 4배이므로 또 수정 후 200점 이상 250점 미만인 선수는 1명 줄었으므로 수정 전
200점 이상 250점 미만인 선수들 중 1명이 한 계급 올라갔고, 300점 이
4_0.04a=0.12b, 16a=12b   ∴ a=;4#;b  yy 35`%
상 350점 미만인 계급의 수정 전과 수정 후의 도수가 같으므로 수정 전
즉 a`:`b=3`:`4이므로 a=3x, b=4x`(x는 자연수)라고 하면 250점 이상 300점 미만인 선수들 중 계급이 올라간 학생은 없다.
a, b의 최소공배수가 1800이므로 x >ù 3x 4x 즉 수정 후 250점 이상 300점 미만인 선수의 수는 11+1=12(명)
x_3_4=1800   3 4
∴ B=;4!0@;=0.3
∴ x=150 yy 30`%
∴ a=3_150=450, b=4_150=600 yy 25`% ∴ 20A+10B=20_0.15+10_0.3=3+3=6
따라서 1학년의 전체 학생 수는 450명, 2학년의 전체 학생 수는 600명 ‌위와 같이 A의 값을 구한 후 상대도수의 총합이 1임을 이용하여 B의 값을

이므로 구하는 차는 600-450=150(명) yy 10`% 구해도 된다.

405  2반 407  90곳

2반에서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a, b의 최대공약수가 9이므로


40-(2+3+5+12+5+3)=10(명)이므로 이 계급의 상대도수는 a=9k, b=9k'`(k, k'은 서로소)라고 하면
9k
;4!0);=0.25이다. 10`¾ 이상 15`¾ 미만인 계급에서 전체 도시 수는
0.125
=72k(곳)

3반에서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0.25_32=8(명) 9k'


20`¾ 이상 25`¾ 미만인 계급에서 전체 도시 수는 =45k'(곳)
0.2
또 1반에서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2반에서 70점 이
이때 72k=45k'이고 k, k'은 서로소이므로
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2배이므로 0.25_2=0.5
9_8_k=9_5_k'에서 k=5, k'=8
25
∴ (1반의 전체 학생 수)= =50(명) ∴ (전체 도시 수)=45k'=45_8=360(곳)
0.5
이때 1반에서 90점 이상 10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따라서 평균 기온이 15`¾ 이상 20`¾ 미만인 도시 수는
50-(1+3+4+8+25+7)=2(명)이고, 0.25_360=90(곳)
3반에서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다른 풀이]
32-(2+1+3+8+14+1)=3(명)이다. 주어진 상대도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즉 80점 이상인 학생 수는 1반에서 7+2=9(명), 기온(¾) 상대도수
2반에서 5+3=8(명), 3반에서 3+1=4(명)이다. 5 이상
~ 10미만
;1Á0;
따라서 각 반에서 80점 이상인 학생의 비율은 1반에서 ;5»0;=0.18,
10 ~ 15 ;8!;
2반에서 ;4¥0;=0.2, 3반에서 ;3¢2;=0.125이므로 A반에 배치된 학생의
15 ~ 20 ;4!;
비율이 가장 높은 반은 2반이다.
20 ~ 25 ;5!;

25 ~ 30 ;5!;
406 6
30 ~ 35 ;8!;
선발전에 참가한 양궁 선수 수는 변함이 없으므로 수정 후 도수를 구하
면 다음 표와 같다. 합계 1

066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6 2021-05-12 오후 1:24:48


각 계급의 도수가 자연수가 되어야 하므로 도수의 총합은 각 계급의 상 410  ⑴ 0.3 ⑵ 132개 창 의 융 합
대도수의 분모 4, 5, 8, 10의 최소공배수의 배수이다. 즉 도수의 총합은
14
40의 배수이므로 도수의 총합을 40n곳이라고 하면 ⑴ 판매된 전체 상품 수는 =350(개)
0.04
a=40n_;8!;=5n, b=40n_;5!;=8n 상품의 가격이 4만 원 이상 8만 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0.18_350=63(개), 상품의 가격이 12만 원 이상 16만 원 미만인 계
이때 5n, 8n의 최대공약수는 n이고 a, b의 최대공약수가 9이므로 n=9
급의 도수는 0.22_350=77(개)이다.
∴ (전체 도시 수)=40n=40_9=360(곳)
판매된 상품의 가격이 16만 원 미만인 상품의 개수가 259개이므로
따라서 평균 기온이 15`¾ 이상 20`¾ 미만인 도시 수는
8만 원 이상 12만 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4!;_360=90(곳) 259-(14+63+77)=105(개)
이때 판매된 상품의 가격이 4만 원 미만인 상품 수는 14개,
8만 원 미만인 상품 수는 14+63=77(개),
408  0.45
12만 원 미만인 상품 수는 14+63+105=182(개)
3학년 남학생의 상대도수가 0.64이고, 여학생의 상대도수는 따라서 판매된 상품의 가격이 100번째로 낮은 상품이 속하는 계급은
1-0.64=0.36이므로 두 상대도수의 차는 0.64-0.36=0.28
8만 원 이상 12만 원 미만이고 이 계급의 상대도수는 ;3!50) ;% =0.3
이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84명 많으므로 3학년 전체 학생 수는
84 ⑵ 상품의 가격이 16만 원 이상 20만 원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300(명) yy 30`%
0.28 350-(14+63+105+77+42)=49(개)
2학년 전체 학생이 180명이고 전교생이 700명이므로 1학년 전체 학생 토요일의 각 계급의 상대도수가 일요일의 각 계급의 상대도수와 같으
수는 므로 일요일의 상대도수의 분포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700-(180+300)=220(명) yy 10`%
가격(만 원) 상대도수
전교생에 대한 전체 여학생의 상대도수가 1-0.55=0.45이므로 전체
0 이상
~ 4 미만
0.04
여학생 수는 0.45_700=315(명)
2학년 여학생의 상대도수는 1-0.4=0.6이므로 2학년 여학생 수는 4 ~ 8 0.18

0.6_180=108(명) 8 ~ 12 0.3
3학년 여학생의 상대도수는 0.36이므로 3학년 여학생 수는 12 ~ 16 0.22
0.36_300=108(명)
16 ~ 20 ;3¢5»0;=0.14
즉 1학년 여학생 수는 315-(108+108)=99(명) yy 40`%
따라서 1학년 전체 학생에 대한 1학년 여학생의 상대도수는 20 ~ 24 ;3¢5ª0;=0.12
;2»2»0;=0.45 yy 20`% 합계 1

따라서 일요일에 판매된 상품의 가격이 8만 원 이상 20만 원 미만인

409  50개 상품은 (0.3+0.22+0.14)_200=132(개)

B 양계장의 전체 달걀 수를 x개라고 하면
무게가 48`g 이상 54`g 미만인 B 양계장의 달걀 수는 0.24x개이다.
또 A 양계장에서 무게가 48`g 이상 54`g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2 411  ⑴ 남학생이 66명 더 많다.  창 의 융 합
이고, 이 계급의 달걀 수는 B 양계장과 같으므로 A 양계장의 전체 달걀 ⑵ 8시 40분 이상 9시 미만
수는
⑴ ‌등교 시각이 7시 20분 이상 7시 40분 미만인 여학생이 15명이고, 그
0.24x
=;5^;x(개) 계급의 상대도수는 0.06이므로 전체 여학생 수는
0.2
한편, A 양계장에서 무게가 66`g 이상 72`g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5
=250(명)
0.06
1-(0.02+0.12+0.2+0.26+0.34)=0.06
남학생에서 등교 시각이 8시 이상 8시 20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이 계급의 두 양계장의 상대도수가 같으므로 무게가 66`g 이상 72`g 미
1-(0.08+0.1+0.24+0.2+0.04)=0.34
만인 계급의 B 양계장의 상대도수도 0.06이다.
이므로 등교 시각이 8시 이상 8시 20분 미만인 남학생 수는
이 계급에 속하는 달걀 수는 A 양계장이 B 양계장보다 3개 더 많으므로
0.34_400=136(명)
0.06_;5^;x=0.06_x+3 이때 등교 시각이 8시 이상 8시 20분 미만인 여학생 수는
6x=5x+250   ∴ x=250 0.28_250=70(명)
즉 B 양계장의 전체 달걀은 250개이고 B 양계장에서 무게가 60`g 이상 따라서 등교 시각이 8시 이상 8시 20분 미만인 학생은 남학생이 여학
66`g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생보다 136-70=66(명) 더 많다.
1-(0.04+0.16+0.24+0.3+0.06)=0.2 ⑵ ‌등교 시각이 7시 이상 7시 20분 미만인
따라서 B 양계장에서 무게가 60`g 이상 66`g 미만인 달걀 수는 남학생은 0.08_400=32(명), 여학생은 0.02_250=5(명)
0.2_250=50(개) 32+5=37(명)

09 상대도수와 그 그래프 067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7 2021-05-12 오후 1:24:49


등교 시각이 7시 20분 이상 7시 40분 미만인
남학생은 0.1_400=40(명), 여학생은 0.06_250=15(명)
40+15=55(명)
등교 시각이 8시 40분 이상 9시 미만인
남학생은 0.04_400=16(명), 여학생은 0.14_250=35(명)
16+35=51(명)
따라서 학생 수가 두 번째로 적은 계급은 8시 40분 이상 9시 미만이다.

068 정답과 풀이

해_001-068_중1-2 고쟁이수학본문ok.indd 68 2021-05-12 오후 1:24:49


중단원 TEST I. 기본 도형 04  60`cm

APÓ=a`cm라고 하면 APÓ`:`PBÓ=2`:`3이므로

PBÓ=;2#;`APÓ=;2#;a(cm)
01 기본 도형 워크북 002 ~ 003쪽

∴ ABÓ=APÓ+PBÓ=a+;2#;a=;2%;a(cm)
01 ③ 02 37 03 12개 04 60`cm
05 ;1¦5; 06 :£2£: 07 81ù 08 108ù AQÓ`:`QBÓ=2`:`1이므로 QBÓ=;3!;`ABÓ=;3!;_;2%;a=;6%;a(cm)

09 7 10 62ù 11 110ù 12 70 PQÓ=PBÓ-QBÓ=;2#;a-;6%;a=;3@;a(cm)이므로

;3@;a=16   ∴ a=24
01 ③
∴ ABÓ=;2%;a=;2%;_24=60(cm)
① 오각기둥의 교점의 개수는 꼭짓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10개이고, 교선
[다른 풀이]
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으므로 15개이므로 n=15-10=5
② 서로 다른 3개의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꼭지각은 APÓ`:`PBÓ=2`:`3이므로 APÓ=;5@;`ABÓ
3_2=6(쌍)이다.   ∴ n=6
AQÓ`:`QBÓ=2`:`1이므로 AQÓ=;3@;`ABÓ
③ 원기둥의 교점은 없고, 교선은 2개이므로 n=2-0=2
④ 오른쪽 그림에서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 A B C ∴ PQÓ=AQÓ-APÓ=;3@;`ABÓ-;5@;`ABÓ=;1¢5;`ABÓ
에 있을 때,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서로 다
른 반직선은 AC³, BC³, BÕA,³ CA³의 4개이므로 n=4 ∴ ABÓ=:Á4°:`PQÓ=:Á4°:_16=60(`cm)
⑤ 오른쪽 그림에서 서로 다른 4개
의 직선이 만나서 생기는 교점의
최대 개수는 6개, 최소 개수는 1 05  ;1¦5;
개이므로 n=6-1=5
네 점 A, B, P, Q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따라서 n의 값이 가장 작은 것은 ③이다.

A(a) Q P B(b)

02  37
점 P의 좌표는 b-;5!;`ABÓ=b-
b-a a+4b
= 이므로
5 5
Ú 반지름을 포함하는 직선은 AC ê, `CE ê의 2개 점 Q의 좌표는
반지름을 포함하지 않는 직선은 ADê, AEê, AF ê, BDê, BEê, BFê, a+4b
a+;3!;`APÓ=a+;3!;_{ -a}
CF ê, D Fê, E Fê의 9개 5
즉 만들 수 있는 직선은 모두 2+9=11(개) a+4b a
=a+ -
15 3
∴ x=11
15a a+4b 5a
Û반
 지름 위의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반직선을 제외한 반직선은 = + -
15 15 15
2_ 9=18(개) 11a+4b
= =;1!5!;a+;1¢5;b
이때 ACÓ 위의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반직선은 AC³, BC³, CÕA,³ 15
BÕA의
³ 4개이고, CEÓ 위의 두 점을 이어 만들 수 있는 반직선도 4개이 따라서 m=;1!5!;, n=;1¢5;이므로 m-n=;1!5!;-;1¢5;=;1¦5;
므로 만들 수 있는 반직선은 모두 18+4+4=26(개)
∴ y=26
Ú, Û에서 x+y=11+26=37 06  :£2£:

11개의 점 PÁ, Pª, P£, y, PÁÁ이 나타내는 수를 각각 pÁ, pª, p£, y, pÁÁ
03  12개 이라고 하자.
ABÓ=2-1=1이므로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점 중 두 점을 이어 만든 선분의 개
수와 직선의 개수는 같다. AÕPÁÓ=;1Á2;, AÕPªÓ=;1ª2;, AÕP£Ó=;1£2;, y, AÕPÁÁÓ=;1!2!;
이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직선 위에 있는 세 점 A B C ∴ pÁ=1+;1Á2;, pª=1+;1ª2;, p£=1+;1£2;, y, pÁÁ=1+;1!2!;
A, B, C로 만들어지는 선분은 ABÓ, ACÓ, BCÓ의
3개이지만 직선은 AC ê의 1개이다. ∴ pÁ+pª+p£+y+pÁÁ
따라서 한 직선 위에 있는 세 점으로 만들어지는 선분과 직선의 개수의 ={1+;1Á2;}+{1+;1ª2;}+{1+;1£2;}+y+{1+;1!2!;}
차는 3-1=2(개)이므로 구하는 선분과 직선의 개수의 차는
1+2+3+y+11
6_2=12(개) =11+ =11+;1^2^;=:£2£:
12

중단원 TEST 069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69 2021-05-12 오후 1:25:52


07  81ù 11  110ù

∠BEC'`:`∠DEC'=6`:`7이고 ∠EOF=∠BOC`(맞꼭지각)이므로
∠DEC=∠DEC'`(접은 각)이므로 ∠AOF=∠AOE-∠EOF
∠BEC'`:`∠DEC'`:`∠DEC=6`:`7`:`7 =∠AOE-∠BOC
6 =90ù-∠BOC
∴ ∠BEC'=180ù_ =180ù_;1£0;=54ù,
6+7+7
이때 20ùÉ∠BOCÉ50ù이므로
7
∠DEC=180ù_ =180ù_;2¦0;=63ù Ú ∠BOC=20ù일 때, ∠AOF=90ù-20ù=70ù
6+7+7
삼각형 DEC에서 ∠EDC=90ù-∠DEC=90ù-63ù=27ù Û ∠BOC=50ù일 때, ∠AOF=90ù-50ù=40ù
∴ ∠BEC'+∠EDC=54ù+27ù=81ù Ú, Û에서 40ùÉ∠AOFÉ70ù
따라서 ∠AOF의 크기가 가장 클 때와 가장 작을 때의 합은
70ù+40ù=110ù

08  108ù
12  70
360ù
시침이 1시간 동안 움직인 각도는 =24ù이므로 두 점 P, Q와 네 점 A, B, C, D를 좌표평 y
15
P 7B E
24ù 면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시침이 1분 동안 움직인 각도는 =0.4ù
60 ∴ (육각형 PADQCB의 넓이)
360ù
분침이 1분 동안 움직인 각도는 =6ù =(사각형 PFQE의 넓이)
60 -2 C
시침이 시계의 15를 가리킬 때부터 6시간 45분 동안 움직인 각도는 -(삼각형 BCE의 넓이) A O 6 x

24ù_6+0.4ù_45=162ù -(삼각형 AFD의 넓이)


F Q
D -5
분침이 시계의 15를 가리킬 때부터 45분 동안 움직인 각도는 =8_12-;2!;_6_7-;2!;_2_5
6ù_45=270ù =96-21-5=70
따라서 6시간 45분이 지났을 때,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 중에서 작은
쪽의 각의 크기는 270ù-162ù=108ù

09 7
∠q 3 3
= 에서 ∠q= ∠p   yy ㉠
∠p 4 4
∠r 3 3
= 에서 ∠r= ∠q  
∠q 4 4
yy ㉡
02 위치 관계 워크북 004 ~ 005쪽
∠s 3 3
= 에서 ∠s= ∠r   yy ㉢ 01 a//f, c⊥d 02 ③, ④ 03 13 04 6
∠r 4 4
㉠, ㉡, ㉢을 변끼리 더하면 05 ①, ② 06 ⑤ 07 32 08 30ù 09 68ù
3
∠q+∠r+∠s= (∠p+∠q+∠r) 10 100ù 11 140ù 12 61ù
4
이때 ∠p+∠q+∠r+0ù이므로
∠q+∠r+∠s
=
∠BOE 3
∠p+∠q+∠r ∠AOD 4
= 01  a//f, c⊥d

따라서 a=3, b=4이므로 a+b=3+4=7 주어진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6개의 직선의 위치 관 a


계를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d
f
∴ a//f, c⊥d
b c e
10  62ù
02  ③, ④
∠COG+∠EOB=90ù+90ù=180ù이고
② 모서리 AH와 평행한 모서리는 DEÓ, LÕM,Ó IPÓ의 A H
∠COG+∠EOB B G
3개이다.
=(∠COE+∠EOG)+(∠EOG+∠GOB) C
③ 모서리 CD와 모서리 OP는 평행하다. D E F
=(∠COE+∠GOB)+2∠EOG
④ 모서리 KL과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CKÓ, I P
=56ù+2∠EOG J
DLÓ의 2개이다. O
이므로 180ù=56ù+2∠EOG K N
⑤ 모서리 EM과 평행한 모서리는 AIÓ, BJÓ, CKÓ, L M
∴ ∠EOG=;2!;_(180ù-56ù)=62ù DLÓ, FNÓ, GOÓ, HPÓ의 7개이다.
∴ ∠HOF=∠EOG=62ù`(맞꼭지각)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④이다.

070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0 2021-05-12 오후 1:25:53


03  13

모서리 DE와 평행한 모서리는 BCÓ, FGÓ, HIÓ의 A

3개이므로 a=3 B 4개 6개
E
모서리 CD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BÓ,
C D
AEÓ, BFÓ, EÕI,Õ FGÓ, HIÓ의 6개이므로 b=6
모서리 CG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BCÓ,
F I
CDÓ, FGÓ, GHÓ의 4개이므로 c=4
G H
∴ a+b+c=3+6+4=13 7개 8개
따라서 최소 4개, 최대 8개의 부분으로 나뉘므로 a=4, b=8

04 6 ∴ ab=4_8=32

주어진 전개도로 만든 입체도형은 오른쪽 I(A, G)


08  30ù
그림과 같은 삼각기둥이다. J
H 오른쪽 그림에서 p//q이므로 A
모서리 GF와 평행한 모서리는 JCÓ, HEÓ의 x
∠FHG=∠BGI=75ù`(동위각) 20ù
2개이므로 a=2 D(B, F) B D E
∴ ∠b=∠FHG=75ù`(맞꼭지각) l
선분 EG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C
C 20ù 75ù a
E ∠a`:`∠b=5`:`3이므로
JHÓ, CDÓ, JCÓ의 3개이므로 b=3 F
∠a`:`75ù=5`:`3, 3∠a=375ù 75ù 75ù
면 HEFG와 평행한 모서리는 JCÓ의 1개이므로 c=1 m
I G H b
∴ ∠a=125ù
∴ a+b+c=2+3+1=6 p q
l//m이므로
∠DCF=∠FHG=75ù`(엇각)
05  ①, ② ∠DFC=180ù-125ù=55ù이므로
① 면 ABFE와 면 MNHD는 평행하지 A 8 cm 삼각형 CFD에서
D
않다. B M 75ù+55ù+∠CDF=180ù
C
② 모서리 MN과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 E ∴ ∠CDF=50ù
H
는 ABÓ, ADÓ, EFÓ, EHÓ의 4개이다. F 이때 ∠ABD=20ù`(맞꼭지각)이고
③ 면 ABMD와 만나는 면은 면 ABFE, N G ∠ADB=180ù-50ù=130ù이므로
면 BFNM, 면 MNHD, 면 AEHD의 4개이다. 삼각형 ABD에서 20ù+130ù+∠x=180ù
④ 면 MNHD와 수직인 면은 면 ABMD, 면 EFNH의 2개이다. ∴ ∠x=30ù
⑤ 점 M과 면 AEHD 사이의 거리는 선분 AB의 길이와 같고

ABÓ=;2!;`ADÓ=;2!;_8=4(cm)이므로 4`cm이다. 09  68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를 지나고 A


x
D'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①, ②이다. 64ù
AÕD'Ó, BCÓ에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D x
∠x+36ù=64ù   ∴ ∠x=28ù 36ù
64ù
06 ⑤ 또 (2∠y+36ù)+64ù=180ù이므로 y y
36ù
A 2∠y=80ù   ∴ ∠y=40ù B C
① 모서리 AE와 평행한 모서리는  D
BFÓ, CÕIÓ, DHÓ, JGÓ의 4개이다. B ∴ ∠x+∠y=28ù+40ù=68ù
C
② 모서리 BC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ABÓ, BFÓ, CIÓ, JGÓ의 4개이다. E
K
H
10  100ù
I J
③ 면 CIKD와 평행한 모서리는 F D
G
AEÓ, BFÓ, JGÓ의 3개이다. A
B x
④ 면 BFGJIC와 수직인 면은 면 ABCD, 면 IJK, 면 EFGH, 75ù I 45ù 45ù E
면 ABFE, 면 JGHK의 5개이다. H 75ù 45ù J 55ù
30ù 55ù
⑤ 모서리 IJ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BÓ, AEÓ, CDÓ, DHÓ, EFÓ, F
C G
GHÓ의 6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위의 그림과 같이 점 E를 지나고 AB ê, FG ê에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HIC=∠ABC=75ù`(동위각)
∠CIJ=180ù-75ù=105ù이므로
07  32
삼각형 ICJ에서
세 평면에 의하여 공간이 몇 개의 부분으로 나뉘는지 살펴 보면 다음과 105ù+30ù+∠IJC=180ù   ∴ ∠IJC=45ù
같다. ∠DJE=∠IJC=45ù`(맞꼭지각)

중단원 TEST 071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1 2021-05-12 오후 1:25:54


삼각형 DJE에서 ∠DEJ=180ù-(90ù+45ù)=45ù 02  2개
이때 ∠JEF=∠EFG=55ù`(엇각)이므로
aÉb라 하고 a+b=10을 만족하는 순서쌍 (a, b)를 구해 보면
∠x=∠DEJ+∠JEF=45ù+55ù=100ù
(1, 9), (2, 8), (3, 7), (4, 6), (5, 5)
이때 9>1+4, 8>2+4, 7=3+4, 6<4+4, 5<4+5이므로 구하는
11  140ù
삼각형이 될 수 있는 변의 길이의 순서쌍 (a, b, 4)는 (4, 6, 4), (5, 5, 4)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B, D를 지나고 A P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2개이다.
l
두 직선 l, m에 평행한 두 직선을 그으면 15ù
C B
정삼각형의 한 각의 크기는 60ù이고
D x E 03  ③, ④
∠ABC=∠PAB=15ù`(엇각)이므로
∠CBD=60ù-15ù=45ù ①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진 경우이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60ù
∴ ∠BDE=∠CBD=45ù`(엇각) 35ù m
②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이므로 △ABC가
Q F 하나로 정해진다.
이때 ∠DFQ=35ù+60ù=95ù이므로
∠EDF=∠DFQ=95ù`(엇각) ③ ‌∠C는 ABÓ, A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지지
∴ ∠x=∠BDE+∠EDF=45ù+95ù=140ù 않는다.
④ ‌∠A+∠B=180ù이므로 △ABC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12  61ù ⑤ ‌∠B=180ù-(70ù+50ù)=60ù이므로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


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이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접었던 종이테이프를 다시 펼치면 다음 그림과 같다.
따라서 △ABC가 하나로 정해지는 조건이 아닌 것은 ③, ④이다.
H A B J
x x x x
C
x D E x
F
04  16`cmÛ`
I 64ù K
△ABF와 △CEF에서
G
ABÓ=CEÓ, ∠ABF=∠CEF=90ù,
∠AFB=∠CFE`(맞꼭지각)이므로
∠BAF=90ù-∠AFB=90ù-∠CFE=∠ECF
HÕJÕ// IKÓ이므로 ∠HAC=∠ACD=∠x`(엇각) ∴ △ABF≡△CEF`(ASA 합동)
∠CAD=∠HAC=∠x`(접은 각) ∴ BFÓ=EFÓ
∴ ∠GAB=180ù-(∠HAC+∠CAD)=180ù-2∠x 이때 ABÓ=CEÓ=4`cm이고
리본이 좌우대칭이므로 ∠GBA=180ù-2∠x BCÓ=BFÓ+FCÓ=EFÓ+FCÓ=3+5=8(cm)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GB에서 ∠GAB+64ù+∠GBA=180ù
△ABC=;2!;_8_4=16(cmÛ`)
(180ù-2∠x)+64ù+(180ù-2∠x)=180ù
4∠x=244ù   ∴ ∠x=61ù
05  45ù

ABÓ`:`BCÓ=3`:`5이므로
ABÓ=3k`(k>0)라고 하면 BCÓ=5k
03 작도와 합동 워크북 006 ~ 007쪽 BEÓ`:`ECÓ=2`:`3이므로 BEÓ=2k, ECÓ=3k
CFÓ`:`FDÓ=2`:`1이므로 CFÓ=2k, FDÓ=k
01 8 02 2개 03 ③, ④ 04 16`cmÛ` 05 45ù
△ABE와 △ECF에서
06 46ù 07 52ù 08 60ù 09 90ù 10 12 ABÓ=ECÓ, BEÓ=CFÓ, ∠ABE=∠ECF=90ù
11 14`cm 12 45ù ∴ △ABE≡△ECF`(SAS 합동)
따라서 AEÓ=EFÓ이고

01 8
∠AEF=180ù-(∠AEB+∠FEC)
=180ù-(∠EFC+∠FEC)
오른쪽 그림과 같이 엇각을 이용하여 직선 l과 평 ➊
=180ù-90ù=90ù
P
행하고 점 P를 지나는 직선을 작도하면 컴퍼스는 이므로 △AEF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➋, ➌, ➍, ➎에서 사용하므로 x=4 ➋
➍ ∴ ∠AFE=45ù
l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길이가 2b-a인


06
a ➍
 46ù
선분을 작도하면 컴퍼스는 ➋, ➌,
➍, ➎에서 사용하므로 y=4 ➋ ➌ △BCD와 △BED에서
b b
∴ x+y=4+4=8 ➊ BDÓ는 공통, ∠BDC=∠BDE=90ù, CDÓ=EDÓ
a
➎ 2b-a ∴ △BCD≡△BED`(SAS 합동)   yy ㉠

072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2 2021-05-12 오후 1:25:56


△BCF와 △CBE에서 90ù+∠PBC+∠PCB=180ù
BCÓ는 공통, BFÓ=CEÓ, ∠CBF=∠BCE ∴ ∠PBC+∠PCB=90ù
∴ △BCF≡△CBE`(SAS 합동)   yy ㉡
㉠에서 ∠EBD=∠CBD=23ù이므로 10  12
∠CBE=∠CBD+∠EBD=23ù+23ù=46ù
△ABC와 △FBE에서
따라서 ㉡에서 ∠BCF=∠CBE=46ù
ABÓ=FBÓ, BCÓ=BEÓ, ∠ABC=60ù+∠ABE=∠FBE이므로
△ABC≡△FBE`(SAS 합동)   yy ㉠
07  52ù
△ABC와 △DEC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M에서 두 변 AC,  A ACÓ=DCÓ, BCÓ=ECÓ, ∠ACB=60ù-∠ACE=∠DCE이므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라고 하면 △ABC≡△DEC`(SAS 합동)   yy ㉡
△AMD와 △MBE에서 D M ㉠, ㉡에서 △ABC≡△FBE≡△DEC이므로
ACÓ// MEÓ이므로 FBÓ=DEÓ=ABÓ=5, FEÓ=DCÓ=ACÓ
∠DAM=∠EMB`(동위각)   yy ㉠ 38ù 이때 오각형 EFBCD의 둘레의 길이는 47이므로
C B
E
DÕMÓ//CBÓ이므로 EFÓ+FBÓ+BCÓ+CDÓ+DEÓ=47
∠DMA=∠EBM=38ù`(동위각) yy ㉡ EFÓ+5+13+CDÓ+5=47   ∴ EFÓ+CDÓ=24
AÕMÓ=MBÓ   yy ㉢ ∴ ACÓ=FEÓ=CDÓ=;2!;_24=12
㉠, ㉡, ㉢에 의해
△AMD≡△MBE`(ASA 합동)
즉 DÕM=
Ó EBÓ이고, 사각형 DCEM은 직사각형이므로
11  14`cm

DÕMÓ=CEÓ   ∴ CEÓ=EBÓ 오른쪽 그림과 같이 BGÓ를 그으면  F

△CME와 △BME에서 △BCG와 △DCE에서 A G


D
MEÓ는 공통, CEÓ=BEÓ, ∠MEC=∠MEB=90ù BCÓ=DCÓ, CGÓ=CEÓ,
∴ △CME≡△BME`(SAS 합동) ∠BCG=90ù-∠GCD=∠DCE E

따라서 MCÓ=MBÓ에서 △MCB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BCG≡△DCE`(SAS 합동) B C


∠MCE=∠MBE=38ù 따라서 △BCG의 넓이는 △DCE의 넓
∴ ∠ACM=90ù-38ù=52ù 이와 같으므로 ABÓ=x`cm라고 하면

;2!;xÛ`=98, xÛ`=196   ∴ x=14`(∵ x>0)


08  60ù
∴ ABÓ=14`cm
△ACD와 △BCE에서
ACÓ=BCÓ, CDÓ=CEÓ, ∠ACD=60ù+∠ACE=∠BCE이므로 12  45ù
△ACD≡△BCE`(SAS 합동)
∴ ∠CAD=∠CBE △CFE의 둘레의 길이가 정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의 ;2!;이므로
△ABF에서 EFÓ+CEÓ+CFÓ=BCÓ+CDÓ
∠AFB=180ù-(∠ABF+∠FAB) ∴ EFÓ=(BCÓ-CEÓ)+(CDÓ-CFÓ)
=180ù-{(60ù-∠CBE)+(60ù+∠CAD)} =BEÓ+DFÓ
=180ù-120ù=60ù △AEF와 △AGF에서
AFÓ는 공통, AEÓ=AGÓ, EFÓ=BEÓ+DFÓ=DGÓ+DFÓ=GFÓ
09  90ù 이므로 △AEF≡△AGF`(SSS 합동)
△ABG와 △ADC에서 ∴ ∠EAF=∠GAF
ABÓ=ADÓ, AGÓ=ACÓ, 이때 ∠EAG=∠EAD+∠DAG
∠BAG=90ù+∠BAC=∠DAC =∠EAD+∠BAE
∴ △ABG≡△ADC`(SAS 합동) =∠BAD=90ù
이때 ∠ABG=∠ADC=∠a,  A ∴ ∠EAF=∠GAF=;2!;∠EAG=;2!;_90ù=45ù
∠AGB=∠ACD=∠b라고 하면 C
△ABG에서 B
(∠BAC+90ù)+∠a+∠b=180ù
78ù
D E
∠BAC+∠a+∠b=90ù
△ABC에서 60ù
F
∠BAC+∠a+∠PBC+∠PCB+∠b
=180ù

중단원 TEST 073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3 2021-05-12 오후 1:25:57


∠x=180ù-(∠ABC+∠ACB)
중단원 TEST II. 평면도형의 성질
=180ù-{(180ù-2∠a)+(180ù-2∠b)}
=180ù-{360ù-2(∠a+∠b)}

04 다각형 워크북 008 ~ 009쪽 =2(∠a+∠b)-180ù


=2_132ù-180ù=84ù
01 230개 02 135ù 03 37ù 04 84ù 05 93ù
06 318ù 07 1080ù 08 24개 09 20개
05  93ù
10 120ù 11 정삼각형, 정사각형 12 정십이각형
△ABC에서 87ù+∠ABC+∠ACB=180ù이므로
87ù+3(∠RBC+∠RCB)=180ù
01  230개 3(∠RBC+∠RCB)=93ù
∴ ∠RBC+∠RCB=31ù
주어진 다각형을 n각형이라고 하면
△QBC에서 ∠PQR=2∠RBC+∠RCB   yy ㉠
이 다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은 (n-3)개이다.
8_(8-3) △SBC에서 ∠PSR=∠RBC+2∠RCB   yy ㉡
이때 팔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20(개)이므로
2 ㉠+㉡을 하면
n-3=20   ∴ n=23 ∠PQR+∠PSR=3∠RBC+3∠RCB
따라서 주어진 다각형은 이십삼각형이므로 대각선의 개수는 =3(∠RBC+∠RCB)
23_(23-3) =3_31ù=93ù
=230(개)
2

06  318ù
02  135ù △EFH에서  E A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비가 3`:`4`:`5이므로 ∠EHA=∠e+42ù eGa


H
세 내각의 크기를 각각 3kù, 4kù, 5kù`(k는 자연수)라고 하면 △AGH에서 42ù
3kù+4kù+5kù=180ù ∠BGD=∠a+∠GHA B b d D
F
12kù=180ù   ∴ k=15 =∠a+∠e+42ù c
따라서 주어진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는 각각 이므로 ∠a+∠e=∠BGD-42ù
C
3_15ù=45ù, 4_15ù=60ù, 5_15ù=75ù ∴ ‌∠a+∠b+∠c+∠d+∠e
이때 크기가 가장 큰 외각의 크기는 내각의 크기가 가장 작은 45ù일 때이 =∠BGD-42ù+∠b+∠c+∠d
므로 180ù-45ù=135ù =(사각형 BCDG의 내각의 크기의 합)-42ù
=360ù-42ù=318ù

03  37ù
07  1080ù
∠DAC=∠a, ∠DBC=∠b라고 하면 E D
주어진 그림에서 색칠한 각의 크기의 합은
∠EAD=2∠a, ∠EBD=2∠b x
47ù (5개의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EAG와 △CGB에서 F C
G 32ù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칠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_2
47ù+3∠a=32ù+3∠b
2aa 2b b =180ù_5+180ù_(5-2)+360ù-360ù_2
3(∠b-∠a)=15ù
A B =900ù+540ù+360ù-720ù=1080ù
∴ ∠b-∠a=5ù
△EAF와 △DFB에서
47ù+2∠a=∠x+2∠b
08  24개

∴ ∠x=47ù-2(∠b-∠a)=47ù-2_5ù=37ù 세 다각형 P, Q, R를 각각 l각형, m각형, n각형이라고 하면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각각
(l-3)개, (m-3)개, (n-3)개이다.
04  84ù 이때 (l-3)`:`(m-3)`:`(n-3)=3`:`5`:`7이므로
∠ABD=∠CBO=∠a,  D l-3=3k, m-3=5k, n-3=7k`(k는 자연수)라고 하면
∠ACE=∠BCO=∠b라고 하면 l-2=3k+1, m-2=5k+1, n-2=7k+1이고,
B a
△OCB에서 a 세 다각형의 모든 내각의 크기의 합이 3240ù이므로
x A
∠a+48ù+∠b=180ù이므로 180ù_(l-2)+180ù_(m-2)+180ù_(n-2)
48ù b b =180ù_(3k+1)+180ù_(5k+1)+180ù_(7k+1)
∠a+∠b=132ù O C E
△ABC에서 =180ù_(3k+1+5k+1+7k+1)
∠ABC=180ù-2∠a, ∠ACB=180ù-2∠b이므로 =180ù_(15k+3)=3240ù

074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4 2021-05-12 오후 1:25:58


15k+3=18, 15k=15   ∴ k=1 △ABC에서 ∠ABC=180ù-(15ù+15ù)=150ù
l-3=3에서 l=6 이때 구하는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고 하면 한 내각의 크기가 150ù이
m-3=5에서 m=8 므로
n-3=7에서 n=10 180ù_(n-2)
=150ù, 180ù_n-360ù=150ù_n
n
따라서 세 다각형 P, Q, R는 각각 육각형, 팔각형, 십각형이므로 구하는
30ù_n=360ù   ∴ n=12
세 다각형의 변의 개수의 합은 6+8+10=24(개)
따라서 구하는 정다각형은 정십이각형이다.

09  20개

만들어지는 다각형은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외각의 크기가 45ù로


같으므로 정다각형이다.
만들어지는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고 하면
360ù
=45ù   ∴ n=8
n
따라서 만들어지는 정다각형은 정팔각형이므로 대각선의 개수는
8_(8-3)
=20(개)
05 원과 부채꼴 워크북 010 ~ 011쪽
2
01 16`cmÛ` 02 225ù 03 72
04 (25p+400)`cmÛ` 05 (9p+30)`cmÛ`
10  120ù
180ù_(6-2) 06 24p`cmÛ` 07 :Á5¤:p 08 (9p-18)`cmÛ`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20ù
6
09 12p`cmÛ` 10 16p`cm 11 6p+26 12 80
△DEP와 △EFQ에서
∠DEP=∠EFQ=120ù, DEÓ=EFÓ, EPÓ=FQÓ
∴ △DEP≡△EFQ`(SAS 합동) 01  16`cmÛ``
∠EDP=∠FEQ=∠a, ∠EPD=∠FQE=∠b라고 하면
OBÓ=OAÓ=ABÓ이므로 △OAB는 정삼각형이다.
△DEP에서 120ù+∠a+∠b=180ù 즉 ∠AOB=60ù이므로
∴ ∠a+∠b=60ù
∠AOM=;2!;∠AOB=;2!;_60ù=30ù
이때 △GEP에서
∠EGP=180ù-(∠a+∠b)=180ù-60ù=120ù ∴ ∠AOD=180ù-(30ù+70ù)=80ù
∴ ∠DGQ=∠EGP=120ù`(맞꼭지각) (부채꼴 AOB의 넓이)`:`(부채꼴 AOD의 넓이)=60`:`80이므로
12`:`(부채꼴 AOD의 넓이)=3`:`4, 3_(부채꼴 AOD의 넓이)=48
11  정삼각형, 정사각형 ∴ (부채꼴 AOD의 넓이)=16(cmÛ`)

구하는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고 하면


360 180_(n-2) 02  225ù
a= , b= 이므로
n n 두 점 P, Q의 속력의 비가 7`:`3이므로 점 P는 매분 7k씩, 점 Q는 매분
a 360 n 2
= _ = 3k`(k>0)씩 움직인다고 하자.
b n 180_(n-2) n-2
2 점 P가 점 A에서 출발하여 점 B까지 원 O의 둘레를 따라 움직이는 데
이때 가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n-2가 2의 약수이어야 하므로
n-2 걸린 시간은 20분이므로 점 P가 움직인 호의 길이는
n-2=1 또는 n-2=2 7k_20=140k
∴ n=3 또는 n=4 점 Q가 점 A에서 출발하여 점 B까지 원 O의 둘레를 따라 움직이는 데
따라서 구하는 정다각형은 정삼각형, 정사각형이다. 걸린 시간은 20+8=28(분)이므로 점 Q가 움직인 호의 길이는
3k_28=84k
12  정십이각형 이때 두 점 P, Q가 움직인 호의 길이의 비는 140k`:`84k=5`:`3이고
한 원에서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구하는
오른쪽 그림의 △ABC와 △BCD에서  A
중심각의 크기는
ABÓ=BCÓ, BCÓ=CDÓ, ∠ABC=∠BCD이므로
5
△ABC≡△BCD`(SAS 합동) B 30ù 360ù_ =225ù
5+3
∴ ∠BAC=∠CBD
C
△ABC는 BA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03  72
∠BAC=∠BCA   ∴ ∠CBD=∠BCA D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x=30ù이므로 ∠CBD+∠BCA=30ù
(2p_3)_4+2p_6=24p+12p=36p(cm)
∴ ∠BCA=;2!;_30ù=15ù ∴ a=36p

중단원 TEST 075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5 2021-05-12 오후 1:25:59


오른쪽 그림과 같이 색칠한 부분의 일부분을 이 6 cm 이때 반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2!;_(10-2)=4이므로
동하면 구하는 넓이는
(반원 O'의 넓이)=;2!;_p_4Û``=8p`
p_6Û``-;2!;_12_12=36p-72(cmÛ`) 6 cm ∴ (부채꼴 AOD의 넓이)=8p
∴ b=36p-72 따라서 부채꼴 AOD의 호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 a-b=36p-(36p-72)=72
;2!;_5_l=8p   ∴ l=;;Á5¤;;p`

∴ µAD=;;Á5¤;;p`
04  (25p+400)`cmÛ`

오른쪽 그림과 같이 색칠한 부분의 일부분을


이동하면 구하는 넓이는
20 cm
08  (9p-18)`cmÛ``

(한 변의 길이가 20`cm인 정사각형의 넓이) 오른쪽 그림의 삼각형 PO'O에서 P

+(반지름의 길이가 5`cm인 사분원의 넓이)_4 O'PÓ=O'OÓ이므로 ∠O'PO=∠O'OP=45ù ㉠ 45ù ㉡


∴ ∠PO'O=180ù-(45ù+45ù)=90ù
=20_20+{p_5Û`_;3»6¼0;}_4 B 45ù
O
즉 ㉠, ㉡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O'
6 cm
=25p+400(cmÛ`)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일부분을 이동하면 구하 A D
는 넓이는
05  (9p+30)`cmÛ`
{p_6Û`_;3¢6°0;-;2!;_6_3}_2 B 45ù 45ù
C
O' O O''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E에서 ABÓ에 A 16 cm D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고 EFÓ와 CDÓ ={;2(;p-9}_2
F G
의 교점을 G라고 하면 12 cm E
=9p-18(cmÛ`)
µ DE=µ EC이므로
B C
∠DGE=∠EGC=;2!;_180ù=90ù 09  12p`cmÛ``
CDÓ가 반원의 지름이고 µ DE=µ EC이므로 점 G는 반원의 중심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OPÓ, OQÓ를 그으면 A
∴ DGÓ=GEÓ=6(cm) R P
µAP=µ PQ=µ QB이므로
∴ (색칠한 부분의 넓이) ∠AOP=∠POQ=∠QOB=30ù
S Q
=(사각형 FBCG의 넓이)+(부채꼴 EGC의 넓이)-△FBE 이때 △PRO와 △OSQ에서 T

=16_6+p_6Û`_;3»6¼0;-;2!;_6_(16+6) POÓ=OQÓ    yy ㉠
∠OPR=180ù-(30ù+90ù)=60ù O B
=96+9p-66=9p+30(cmÛ`) 12 cm
∠QOS=∠AOP+∠POQ=30ù+30ù=60ù이므로
∠OPR=∠QOS   yy ㉡
06  24p`cmÛ``
∠POR=30ù, ∠OQS=180ù-(60ù+90ù)=30ù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B'DÓ를 그으면  60ù D ∠POR=∠OQS   yy ㉢
A
△ DBCª △ DB'C'이므로 색칠한 12 cm
㉠, ㉡, ㉢에서 △PROª△OSQ`(ASA 합동)
C'
부분의 넓이는 부채꼴 BDB'의 넓이와 ∴ (사각형 PRST의 넓이)‌=△PRO-△TSO
같다. A' C =△OSQ-△TSO=△TOQ
이때 ∠A'DC=90ù-60ù=30ù이므로 B ∴ (색칠한 부분의 넓이)=(부채꼴 POQ의 넓이)
B'
∠BDA'‌=∠B'DC=45ù-∠A'DC
=p_12Û`_;3£6¼0;=12p(cmÛ`)
=45ù-30ù=15ù
∴ ∠BDB'=15ù+30ù+15ù=60ù
따라서 BDÓ=12`cm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10  16p`cm
p_12Û`_;3¤6¼0;=24p(cmÛ`)

07  ;;Á5¤;;p
l
O 8 cm
(㉠의 넓이)=(㉢의 넓이)이므로 D
중심 O가 움직인 경로를 나타내면 위의 그림과 같으므로 중심 O가 움직
(부채꼴 AOD의 넓이) E
인 거리는
=(㉠의 넓이)+(㉡의 넓이) ㉠ ㉡ ㉢
2
=(㉢의 넓이)+(㉡의 넓이) A B {2p_8_;3»6¼0;}_2+(2p_8)_;2!;
C O O'
10
=(반원 O'의 넓이) =8p+8p=16p(cm)

076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6 2021-05-12 오후 1:26:01


11  6p+26 중단원 TEST III. 입체도형의 성질
원의 중심 O가 움직인 경로를 나타내면 오른 A
3
쪽 그림과 같으므로 원의 중심 O가 움직인 거
리는 오각형 ABCDE의 둘레의 길이와 부채
B 5
7
O
06 다면체와 회전체 워크북 012 ~ 013쪽

6
꼴 5개의 호의 길이의 합과 같다. 4 E 01 31개 02 ㄴ, ㄹ 03 12개 04 정팔면체
이때 부채꼴 5개의 중심각의 크기의 합은 오각 4
C 05 296 06 81 07 6개 08 48`cm 09 ㄱ
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360ù이다. D
10 65p`cmÛ` 11 ⑤ 12 (100p-200)`cmÛ`
따라서 원의 중심 O가 움직인 거리는
(5+6+4+4+7)+2p_3=6p+26
01  31개
12  80
㈎에서 주어진 다면체의 밑면을 n각형이라고 하면
180ù_(n-2)=1440ù, n-2=8   ∴ n=10
O ㈏에서 옆면의 모양이 삼각형인 다면체는 각뿔이므로 주어진 다면체는
2 cm 십각뿔이다.
120ù 4 cm 따라서 십각뿔의 꼭짓점의 개수는 10+1=11(개), 모서리의 개수는
6 cm 2_10=20(개)이므로 구하는 합은 11+20=31(개)
60ù

원 O가 지나간 자리는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과 같다.


∴ (원 O가 지나간 자리의 넓이)

={p_10Û`_;3!6@0);-p_6Û`_;3!6@0);}+{p_4Û`_;3»6¼0;}_2 02  ㄴ, ㄹ

+p_4Û`_;3¤6¼0;+(6_4)_2 주어진 전개도로 입체도형을 만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3¢;;p+8p+;3*;p+48 ㄱ. 정사각형인 면이 6개, 육각형인 면이 8개이므로 면
=32p+48(cmÛ`) 의 개수는 6+8=14(개)이다.
따라서 a=32, b=48이므로 a+b=32+48=80 ㄴ. 정사각형의 변의 개수는 4개씩 6개, 육각형의 변의 개수는 6개씩 8개
이고, 한 모서리에서 면이 2개씩 모이므로
4_6+6_8
(모서리의 개수)= =36(개)
2
ㄷ. 정사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4개씩 6개, 육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6개씩 8개이고, 한 꼭짓점에서 면이 3개씩 모이므로
4_6+6_8
(꼭짓점의 개수)= =24(개)
3
ㄹ.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은 정사각형인 면 1개, 육각형인 면 2개로
1+2=3(개)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ㄴ, ㄹ이다.

03  12개

주어진 정육면체를 네 점 M, N, F, H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르면 다음


그림과 같이 단면이 사각형 MFHN인 두 입체도형으로 나누어진다.
A N N D
M M
B C
오면체 칠면체
E H H
F F G

즉 주어진 정육면체를 잘라 생기는 작은 입체도형의 면의 개수는 5개이


고, 큰 입체도형의 면의 개수는 7개이다.
따라서 구하는 두 입체도형의 면의 개수의 합은 5+7=12(개)

중단원 TEST 077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7 2021-05-12 오후 1:26:01


04  정팔면체 08  48`cm

△ABC에 평행한 평면 A
4v=3f에서 v=;4#;f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으로 자르면 △DKE에서 I 16 cm
D
2e=3f에서 e=;2#;f ∠DKE=60ù, KÕDÓ=KEÓ이므로 H
C
∠KDE=∠KED=60ù J
K
이때 v-e+f=2이므로 E B
즉 △DKE는 정삼각형이다. G
F
;4#;f-;2#;f+f=2, ;4!;f=2   ∴ f=8 ∴ DEÓ=KEÓ   …… ㉠
L
△BEF에서 ∠EBF=60ù, BEÓ=BFÓ이므로
따라서 면의 개수가 8개이므로 구하는 정다면체는 정팔면체이다.
∠BEF=∠BFE=60ù
즉 △BEF는 정삼각형이다.
∴ EFÓ=EBÓ   …… ㉡
05  296 ㉠, ㉡에서 DEÓ+EFÓ=KEÓ+EBÓ=KBÓ=16(cm)
같은 방법으로 FGÓ+GHÓ=LGÓ+GCÓ=LCÓ=16(cm),
나무토막은 가로, 세로, 높이로 각각 
DÕIÕ+HÕIÕ=AÕI+
Õ IJÕ=AÕJÕ=16(cm)
16Ö2=8(개)씩 만들어진다.
3 2 2 2 2 2 2 3 ∴ (육각형의 둘레의 길이)=DEÓ+EFÓ+FGÓ+GHÓ+HÕIÕ+DIÓ
이때 큰 정육면체의 한 면에서 작은 정 2 1 1 1 1 1 1 2 =16+16+16=48(cm)
육면체의 색칠된 면의 개수를 적어 보면 2 1 1 1 1 1 1 2
2 1 1 1 1 1 1 2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1 1 1 1 1 1 2
Ú초
 록색이 한 면만 색칠된 작은 정육 2 1 1 1 1 1 1 2
2 1 1 1 1 1 1 2
면체의 개수는 큰 정육면체의 꼭짓점
과 모서리를 포함하지 않고 면에 위
3 2 2 2 2 2 2 3
09 ㄱ
치한 작은 정육면체의 개수와 같으므로 주어진 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다음과
(6_6)_6=216(개)   ∴ a=216 같다.
Û 두 면이 색칠된 작은 정육면체의 개수는 큰 정육면체의 꼭짓점을 포 A
ㄱ. ㄴ.   ㄷ. ㄹ. A
A A D
함하지 않고 모서리에 위치한 작은 정육면체의 개수와 같으므로 D

6_12=72(개)   ∴ b=72 C
B B C B C B
Ü 세 면이 색칠된 작은 정육면체의 개수는 큰 정육면체의 꼭짓점에 위 C
치한 작은 정육면체의 개수와 같으므로 8개
따라서 원뿔을 만드는 회전축이 될 수 없는 것은 ㄱ이다.
∴ c=8
Ú~Ü에서 a+b+c=216+72+8=296

10  65p`cmÛ`
06  81 l
정육면체의 꼭짓점의 개수는 8개, 모서리의 개수는 12개, 면의 개수는 6
4 cm
개이다. 정육면체 80개를 꼭짓점을 1개씩 공유하도록 연결한 입체도형 5 cm
은 79개의 꼭짓점에서 꼭짓점이 중복되므로 꼭짓점만 79개 줄어든다.
4 cm 5 cm
v=8_80-79=561
e=12_80=960
f=6_80=480
주어진 반원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켰을 때 생기는 회전
∴ v-e+f=561-960+480=81
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위의
그림과 같이 자르는 평면이 반원의 중심을 지나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넓이의 최댓값은
07  6개 (큰 원의 넓이)-(작은 원의 넓이)=p_9Û`-p_4Û`=65p(cmÛ`)

주어진 전개도를 접어 정육면체를 만든 B(J) A(K)


후 세 점 P, Q, R를 지나는 평면으로 C(I)
F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은 오른쪽 그림과 P
같은 육각형이다. M
11 ⑤
Q L(N)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변의 개수는 6개 점 A에서 원뿔의 옆면을 따라 한 바퀴 돌아 다시 점 A까지 끈으로 연결
이다. D(H) R E(G) 할 때 끈의 길이가 가장 짧게 되는 경로는 직선이므로 ⑤이다.

078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8 2021-05-12 오후 1:26:03


12  (100p-200)`cmÛ` 03  (568+30p)`cmÛ`

주어진 원뿔의 색칠한 부분을 전개도에 나 O 주어진 세 모양을 이용하여 입체도형을


3 cm 5 cm
타내면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고, xù 20 cm 그려 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점 A에서 출발하여 다시 점 A로 돌아오는 이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직육면체의 겉넓 6 cm
A A'
가장 짧은 선은 AÕA'Ó이다. 이와 원기둥의 옆넓이의 합으로 구할 수 7 cm
5 cm 10 cm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고 하면 있다. 14 cm
x ∴ (겉넓이)
2p_20_ =2p_5   ∴ x=90
360
=(직육면체의 겉넓이)+(원기둥의 옆넓이)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2_(14_10+10_6+14_6)+(2p_3_5)
(부채꼴 AOA'의 넓이)-△OAA'
=568+30p(cmÛ`)
=p_20Û`_;3»6¼0;-;2!;_20_20

=100p-200(cmÛ`)
04  (384p-768)`cmÜ`

색칠한 입체도형의 밑넓이는 오른쪽 그림과 같


이 반지름의 길이가 8`cm, 중심각의 크기가 90ù
인 부채꼴의 넓이에서 직각삼각형의 넓이를 뺀 8 cm
것의 2배이므로
90
(밑넓이)={p_8Û`_ -;2!;_8_8}_2
360

07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16p-32)_2
워크북 014 ~ 015쪽
=32p-64(cmÛ`)
01 810`cmÛ` 02 4`cm 03 (568+30p)`cmÛ` ∴ (색칠한 입체도형의 부피)=(32p-64)_12
04 (384p-768)`cmÜ` 05 ③ 06 63`cmÜ` =384p-768(cmÜ`)
07 18`cmÜ` 08 304p`cmÛ`, 576p`cmÜ` 09 162분
10 128p`cmÜ` 11 ② 12 120
05 ③

01  810`cmÛ` 처음 삼각기둥의 부피는 {;2!;_4_4}_10=80(cmÜ`)

[1단계]에서 보이는 정육면체의 면의 개수는 1_6=6(개) PBÓ=x`cm라고 하면 PEÓ=(10-x)`cm


[2단계]의 입체도형을 앞, 뒤, 위, 아래, 왼쪽, 오른쪽의 6개의 방향에서 이때 꼭짓점 E를 포함하는 입체도형은 삼각뿔이므로
바라볼 때의 그림은 다음과 같다. Vª=;3!;_{;2!;_4_4}_(10-x)=:¥3¼:-;3*;x(cmÜ`)

한편, VÁ+Vª=4Vª+Vª=5`Vª이므로

80=5_{:¥3¼:-;3*;x}, 16=:¥3¼:-;3*;x, 8x=32   ∴ x=4


[앞, 아래, 왼쪽] [뒤, 오른쪽] [위]
따라서 PBÓ의 길이는 4`cm이다.
즉 [2단계]에서 보이는 정육면체의 면의 개수는 (1+2)_6=18(개)
이와 같은 방법으로
[3단계]에서 보이는 면의 개수는 (1+2+3)_6=36(개) 06  63`cmÜ`
[4단계]에서 보이는 면의 개수는 (1+2+3+4)_6=60(개)
작은 쪽의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O
[5단계]에서 보이는 면의 개수는 (1+2+3+4+5)_6=90(개)
부분이다.
이때 정육면체의 한 면의 넓이는 3_3=9(cmÛ`)
이때 △QDO≡△QCG`(ASA 합동)이므 3 cm
따라서 [5단계]의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90_9=810(cmÛ`) A P
D
로 QDÓ=QCÓ=;2!;_6=3(cm) B Q
C
02  4`cm 또 △PDO≡△PAE`(ASA 합동)이므로 6 cm E
H
6 cm
칸막이가 있을 때 물의 부피는 PDÓ=PAÓ=;2!;_6=3(cm) F G
10_8_3+5_8_6=240+240=480(cmÜ`)
∴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
칸막이가 있을 때 물의 부피와 칸막이가 없을 때 물의 부피가 서로 같으
=(삼각뿔 O-EGH의 부피)-(삼각뿔 O-PQD의 부피)
므로 칸막이가 없을 때의 물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10+5)_8_h=480, 120h=480   ∴ h=4 =;3!;_{;2!;_6_6}_12-;3!;_{;2!;_3_3}_6
따라서 칸막이를 없앴을 때, 물의 높이는 4`cm이다. =72-9=63(cmÜ`)

중단원 TEST 079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79 2021-05-12 오후 1:26:04


07  18`cmÜ`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
=(원뿔의 부피)+(반구의 부피)
처음 입체도형의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 높이를 5h`cm
라고 하면 붙인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r`cm, 높이는 4h`cm이다. =;3!;_p_8Û`_6+;2!;_;3$;p_4Ü`
즉 처음 입체도형과 최대한 큰 원뿔이 되도록 깎아 만든 입체도형은 다 128 512
=128p+ p= p(cmÜ`)
음 그림과 같다. 3 3
따라서 구하는 회전체의 부피는
512
p_;4#;=128p(cmÜ`)
4h cm 3

9h cm 11 ②
5h cm 방울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의 최대 부피는 오
r cm r cm 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2`cm인 12 cm

구의 ;8&;이다.
12 cm
(처음 입체도형의 부피)=prÛ`_5h+;3!;_prÛ`_4h=:Á3»:prÛ`h(cmÜ`)
따라서 방울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의 최대 부
(새로 만든 입체도형의 부피)=;3!;_prÛ`_9h=3prÛ`h(cmÜ`) 피는

이때 처음 입체도형보다 새로 만든 입체도형의 부피가 20`cmÜ`만큼 줄어 ;3$;p_12Ü`_;8&;=2016p(cmÜ`)

들었으므로 :Á3»:prÛ`h-3prÛ`h=20, :Á3¼:prÛ`h=20   ∴ prÛ`h=6


12  120
따라서 새로 만든 입체도형의 부피는 3prÛ`h=3_6=18(cmÜ`)
상자 속에 공 18개가 들어 있으므로 9개씩 2층으로 쌓여 있다.
즉 상자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각각 1_2_3=6(cm),

08  304p`cmÛ`, 576p`cmÜ`
높이는 2_2=4(cm)이므로
(상자의 부피)=6_6_4=144(cmÜ`)
주어진 평행사변형 ABCD를 변 BC를 회 A 9 cm D
8 cm (공 1개의 부피)=;3$;p_1Ü`=;3$;p(cmÜ`)
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 10 cm
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① ② ∴ (상자에서 공이 차지하지 않는 빈 공간의 부피)
C
원뿔 ①과 원뿔 ②의 옆넓이가 같으므로 B =144-;3$;p_18=144-24p(cmÜ`)
(겉넓이) 6 cm
따라서 a=144, b=-24이므로
=(원뿔의 옆넓이)_2+(원기둥의 옆넓이)
a+b=144+(-24)=120
=(p_8_10)_2+2p_8_9
=160p+144p=304p(cmÛ`)
이때 구하는 회전체의 부피는 원뿔 ①과 원뿔 ②의 부피가 같으므로 밑면
의 반지름의 길이가 8`cm이고 높이가 9`cm인 원기둥의 부피와 같다.
∴ (부피)=p_8Û`_9=576p(cmÜ`)

09  162분

6분 동안 넣은 물의 양은 ;3!;_p_6Û`_10=120p(cmÜ`)

즉 1분 동안 넣은 물의 양은 120pÖ6=20p(cmÜ`)

원뿔 모양의 빈 그릇의 부피는 ;3!;_p_18Û`_30=3240p(cmÜ`)

이때 빈 그릇에 물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을 x분이라고 하면


3240p=20p_x   ∴ x=162
따라서 빈 그릇에 물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162분이다.

10  128p`cmÜ`

주어진 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270ù만큼 회전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는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의 ;4#;이다.

080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0 2021-05-12 오후 1:26:04


중단원 TEST IV. 자료와 정리와 해석 05  10명

던지기 기록이 40`m 이상 50`m 미만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전체 학생 수는
08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워크북 016 ~ 017쪽
5+8+14+x+3=x+30(명)
01 ⑤ 02 25명 03 15명 04 5 05 10명 기록이 40`m 이상 50`m 미만인 학생이 전체의 25`%이므로

06 6개, 9개 07 35`% 08 5명 09 178 10 25`% (x+30)_;1ª0°0;=x, x+30=4x

3x=30   ∴ x=10

01 ⑤
따라서 40`m 이상 50`m 미만인 학생 수는 10명이다.
[다른 풀이]
⑤ 하루네 모둠에서 점수가 높은 쪽에서 3번째에 있는 학생의 실기 점수 던지기 기록이 40`m 이상 50`m 미만인 계급에 속하는 학생들을 제외한
는 24점이다. 이 학생이 아름이네 모둠으로 간 후 점수가 높은 학생의 나머지 학생은 5+8+14+3=30(명)이고 전체의 100-25=75(%)
점수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30점, 27점, 26점, 24점, 22점, …이다. 이므로
따라서 아름이네 모둠에서 점수가 높은 쪽에서 4번째에 있게 된다.
(전체 학생 수)_;1¦0°0;=30   ∴ (전체 학생 수)=40(명)

따라서 40`m 이상 50`m 미만인 학생 수는


02  25명 40-(5+8+14+3)=10(명)
줄기가 4, 5, 6인 여학생 수의 합을 (x+2)명이라고 하면
혜원이네 반 학생 수는 3+1+5+(x+2)+4+3=x+18(명)
줄기가 4, 5, 6인 여학생 수의 합이 반 전체의 36`%이므로 06  6개, 9개

(x+18)_;1£0¤0;=x+2, 36x+648=100x+200 열량이 30`kcal 이상 40`kcal 미만인 과일의 수를 x개라고 하면 열량이


60`kcal 이상 70`kcal 미만인 과일의 수는 1.5x개이다.
64x=448   ∴ x=7
열량이 30`kcal 이상 50`kcal 미만인 과일의 수가 전체의 35`%이므로
따라서 혜원이네 반 전체 학생 수는 7+18=25(명)
x+8=(7+x+8+10+1.5x)_;1£0°0;

100x+800=875+87.5x, 12.5x=75   ∴ x=6


03  15명
따라서 열량이 30`kcal 이상 40`kcal 미만인 과일의 수는 6개, 열량이
키가 155`cm 이상 160`cm 미만인 학생 수를 x명, 60`kcal 이상 70`kcal 미만인 과일의 수는 1.5x=1.5_6=9(개)
165`cm 이상 170`cm 미만인 학생 수를 y명이라고 하면
3+2+x+9+y=30이므로 x+y=16
이때 x, y의 최소공배수가 30이므로 x와 y는 30의 약수이고, 이 중 07  35`%
x>y, x+y=16을 만족하는 x, y의 값을 각각 구하면 턱걸이 횟수가 10회 이상 12회 미만, 12회 이상 14회 미만, 14회 이상
x=10, y=6 16회 미만인 계급의 도수의 비가 16`:`13`:`8이므로 세 계급의 도수를
따라서 키가 160`cm 이상인 학생 수는 9+6=15(명) 각각 16k명, 13k명, 8k명`(k는 자연수)이라고 하면
6+12+28+16k+13k+8k=120, 37k=74   ∴ k=2

04 5
즉 턱걸이 횟수가 12회 이상 14회 미만인 학생 수는
13k=13_2=26(명), 14회 이상 16회 미만인 학생 수는
최대 풍속이 120 km/h 미만인 태풍의 수는 4+3=7(개) 8k=8_2=16(명)
㈎에서 (전체 태풍의 수)_;1ª0°0;=7   따라서 턱걸이 횟수가 12회 이상인 학생은 26+16=42(명)이므로 전체

∴ (전체 태풍의 수)=28(개) 의 ;1¢2ª0;_100=35(%)


전체 태풍의 수는 28개이므로
4+3+a+7+b=28   ∴ a+b=14    yy ㉠
또한 ㈏에서 최대 풍속이 13번째로 쎈 태풍이 속한 계급이 08  5명
120`km/h 이상 150`km/h 미만이어야 하므로 최대 풍속이
컴퓨터 사용 시간이 45분 미만인 학생 수는 1+2=3(명)이고 전체의
180`km/h 이상 210`km/h 미만인 태풍 수는 12-7=5(개) 이하가
10`%이므로
되어야 한다.
즉 b의 값은 0, 1, 2, 3, 4, 5 중에서 하나이다. (전체 학생 수)_;1Á0¼0;=3   ∴ (전체 학생 수)=30(명)

㉠에서 이때 컴퓨터 사용 시간이 60분 이상 75분 미만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b=0일 때, a의 값은 가장 크고 그 값은 a=14 하면 75분 이상 90분 미만인 학생 수는 (x+8)명이므로
b=5일 때, a의 값은 가장 작고 그 값은 b=9 1+2+6+x+(x+8)+2+1=30, 2x=10   ∴ x=5
따라서 구하는 차는 14-9=5 따라서 컴퓨터 사용 시간이 60분 이상 75분 미만인 학생은 5명이다.

중단원 TEST 081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1 2021-05-12 오후 1:26:05


09  178 02  18

㈎ 남학생 수는 1+3+7+9+4+1=25(명), 상대도수의 총합은 1이므로 만족도가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여학생 수는 1+2+5+8+6+3=25(명)이므로 상대도수는 1-{;9!;+;6!;+;9@;+;6!;}=;3!;
a=25, b=25
조사한 전체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각 계급의 도수는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4명 더 많은 계급은 15권 이상 18권 미만이므로
15+18 ;9!;x명, ;6!;x명, ;9@;x명, ;3!;x명, ;6!;x명
계급값은 =16.5(권)이다.  
2
이때 각 계급의 도수는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x는 분모 3, 6, 9의 최소공
∴ c=16.5
배수, 즉 18의 배수이어야 한다.
㈐ 계급의 크기는 6-3=3(권)이므로 남학생이 읽은 책의 수를 나타내
따라서 A의 값이 될 수 있는 수 중 가장 작은 수는 18이다.
는 그래프와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3_25=75이다.
∴ d=75
㈑ 읽은 책의 수가 18권 이상인 학생 수는 남학생이 1명, 03  18`%
여학생이 6+3=9(명)이므로 1+9=10(명) 전체 학생이 400명이므로 학습 시간이 90분 이상 120분 미만인 계급의
따라서 읽은 책의 수가 18권 이상인 학생은 전체의 도수는 0.32_400=128(명)
10 학습 시간이 90분 이상 150분 미만인 학생이 208명이므로 120분 이상
_100=20(%)이다.
25+25
150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208-128=80(명)
∴ e=20
즉 학습 시간이 120분 이상 150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 a+b+2c+d+e=25+25+2_16.5+75+20=178
;4¥0¼0;=0.2

10  25`% 이때 학습 시간이 150분 이상 180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0.06+0.2+0.32+0.2+0.04)=0.18
1반의 전체 학생 수는 1+3+5+12+4+3+2=30(명)이므로 1반에
따라서 학습 시간이 150분 이상 180분 미만인 학생은 전체 학생의
서 상위 30`%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30_;1£0¼0;=9(명)
0.18_100=18(%)
이때 1반에서 70점 이상인 학생 수가 4+3+2=9(명)이므로 1반에서
상위 30`% 이내에 드는 학생들의 과학 실험 점수는 70점 이상이다.
04  8명
한편 3반의 전체 학생 수는 2+4+11+7+5+2+1=32(명)이고 3반
에서 70점 이상인 학생 수는 5+2+1=8(명) 윗몸 일으키기 기록이 10회 이상 20회 미만인 학생 수는 24명이고, 상대
24
따라서 1반에서 상위 30`% 이내에 드는 학생은 3반에서 최소한 상위 도수가 0.12이므로 1학년 전체 학생 수는 =200(명)
0.12
;3¥2;_100=25(%) 이내에 든다. 윗몸 일으키기 기록이 50회 이상인 학생이 전체의 14`%이고, 60회 이상
70회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가 0.06이므로 50회 이상 60회 미만인 계
급의 상대도수는 0.14-0.06=0.08
상대도수의 총합은 1이므로 윗몸 일으키기 기록이 40회 이상 50회 미만
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0.12+0.18+0.3+0.08+0.06)=0.26
이때 윗몸 일으키기 기록이 30회 이상 40회 미만인 학생 수는
09 상대도수와 그 그래프 워크북 018 ~ 019쪽
0.3_200=60(명)이고, 40회 이상 50회 미만인 학생 수는
01 ⑴ A=0.15, B=10 ⑵ 15`% 02 18 0.26_200=52(명)이다.
03 18`% 04 8명 05 ⑤ 06 12 따라서 윗몸 일으키기 기록이 30회 이상 40회 미만인 학생 수와 40회 이

07 84등 08 123명 09 ③, ④ 상 50회 미만인 학생 수의 차는 60-52=8(명)

05 ⑤
01  ⑴ A=0.15, B=10 ⑵ 15`%
대기 시간이 25분 이상인 고객 수가 5명이고 그 상대도수의 합이
⑴ 음악 실기 점수가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의 도수가 14명이고 이 0.08+0.02=0.1이므로 전체 고객 수는
14 5
계급의 상대도수가 0.35이므로 전체 학생 수는 =40(명) =50(명)
0.35 0.1
∴ A=;4¤0;=0.15, B=0.25_40=10 대기 시간이 15분 이상 20분 미만인 고객 수와 20분 이상 25분 미만인
고객 수를 각각 5x명, 4x명이라고 하면
⑵ 음악 실기 점수가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22_50+0.32_50+5x+4x+5=50
;4¢0;=0.1 9x+32=50, 9x=18   ∴ x=2
따라서 음악 실기 점수가 90점 이상인 학생은 전체의 따라서 대기 시간이 20분 미만인 고객 수는
{1-(0.15+0.25+0.35+0.1)}_100=0.15_100=15(%) 11+16+5x=27+5_2=37(명)

082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2 2021-05-12 오후 1:26:06


06  12 09  ③, ④

남학생과 여학생에서 각 계급의 상대도수와 상대도수의 차를 구하면 다 ① ‌B 중학교의 그래프가 A 중학교의 그래프보다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
음 표와 같다. 으므로 B 중학교 학생들이 A 중학교 학생들보다 1인당 운동 시간이
상대도수 더 많은 편이다.
성적(점) 상대도수의 차
남학생 여학생 ② ‌A 중학교에서 9시간 이상 12시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50이상 ~ 60미만 0.12 0.05 0.07 1-(0.1+0.2+0.25+0.05)=0.4
60 ~ 70 0.14 0.2 0.06 각 계급의 상대도수는 그 계급의 도수에 정비례하므로 도수가 가장
70 ~ 80 0.24 0.35 0.11 큰 계급의 상대도수는 0.4이다.
80 ~ 90 0.34 0.25 0.09 ③ ‌B 중학교에서 15시간 이상 18시간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90 ~ 100 0.16 0.15 0.01
1-(0.05+0.15+0.3+0.35)=0.15
합계 1 1
각 계급의 상대도수는 그 계급의 도수에 정비례하므로 도수가 가장
따라서 상대도수의 차가 가장 큰 계급은 70점 이상 80점 미만이므로 그 작은 계급은 상대도수가 가장 작은 3시간 이상 6시간 미만이다.
계급의 도수의 합은 12+14=26(명)   ∴ a=26 ④ 두 집단에서 상대도수가 크다고 해서 도수가 큰지는 알 수 없다.
상대도수의 차가 가장 작은 계급은 90점 이상 100점 미만이므로 그 계급 ⑤ 상대도수만으로 두 자료의 도수를 알 수 없다.
의 도수의 합은 8+6=14(명)   ∴ b=14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④이다.
∴ a-b=26-14=12

07  84등

1학년 1반에서 100`m 달리기 기록이 14초 이상 16초 미만인 학생은


7명이고 상대도수가 0.28이므로
7
(1학년 1반의 전체 학생 수)= =25(명)
0.28
1학년 전체에서 100`m 달리기 기록이 14초 이상 16초 미만인 학생은
54명이고 상대도수가 0.18이므로
54
(1학년의 전체 학생 수)= =300(명)
0.18
1학년 1반의 전체 학생 수가 25명이므로 1학년 1반에서 8등까지의 학생

이 차지하는 비율은 ;2¥5;=0.32

이때 1학년 1반에서 16초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0.04+0.28=0.32이므로 1학년 1반에서 8등인 학생의 달리기 기록은
16초 미만이다.
또 1학년 전체 학생 수는 300명이므로 달리기 기록이 16초 미만인 학생
수는 (0.1+0.18)_300=84(명)
따라서 1학년 1반에서 8등인 학생은 1학년 전체에서 적어도 84등 안에
든다고 할 수 있다.

08  123명

여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남학생 수는 (x+150)명이다.


키가 150`cm 이상 155`cm 미만인 학생은 155명이므로
0.2(x+150)+0.3x=155
0.5x+30=155, 0.5x=125   ∴ x=250
즉 남학생은 250+150=400(명), 여학생은 250명이다.
남학생에서 키가 160`cm 이상 165`cm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0.02+0.14+0.2+0.32+0.1)=0.22
여학생에서 키가 160`cm 이상 165`cm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0.1+0.18+0.3+0.24+0.04)=0.14
따라서 이 중학교 전체 학생 중에서 키가 160`cm 이상 165`cm 미만인
학생 수는
0.22_400+0.14_250=88+35=123(명)

중단원 TEST 083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3 2021-05-12 오후 1:26:07


대단원 TEST 05  -;4!;

I. 기본 도형 워크북 020 ~ 023쪽 MCÓ=;2!;`ACÓ, CNÓ=;2!;`BCÓ, MPÓ=;2!;`MNÓ이므로


01 ①, ③ 02 11 03 11 04 2 PCÓ=MCÓ-MPÓ

05 -;4!; 06 ⑤ 07 54 08 63ù 09 10 =;2!;`ACÓ-;2!;`MNÓ

10 ②, ④ 11 ③ 12 24 13 273ù 14 9ù =;2!;`ACÓ-;2!;(MCÓ+CNÓ)
15 110ù 16 115ù 17 72ù 18 41ù 19 38
=;2!;`ACÓ-;2!;{;2!;`ACÓ+;2!;`BCÓ}
20 5 21 60ù 22 25ù 23 94ù
24 2`cm =;4!;`ACÓ-;4!;`BCÓ

=;4!;(ABÓ-BCÓ)-;4!;`BCÓ
01  ①, ③
=;4!;`ABÓ-;2!;`BCÓ
① 구는 입체도형이다.
③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오직 하나뿐이다. 따라서 x=;4!;, y=-;2!;이므로

x+y=;4!;+{-;2!;}=;4!;+{-;4@;}=-;4!;
02 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5개의 점 중에서 어느 세 점도 A E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을 때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06
직선의 개수는 최대가 된다.
B ⑤
이때 직선은 ABê, ACê, ADê, AEê, BC ê, BDê, D
BE ê, CD ê, CE ê, DE ê의 10개이므로 ∠b
C =;3@;에서 ∠b=;3@;∠a
∠a
M=10
∠c
오른쪽 그림과 같이 5개의 점이 한 직선 위에 있 =;3@;에서 ∠c=;3@;∠b=;3@;_;3@;∠a=;9$;∠a
∠b
을 때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직선의 개수가 최소 ∠d
=;3@;에서 ∠d=;3@;∠c=;3@;_;9$;∠a=;2¥7;∠a
가 된다. ∠c
∴ m=1 ∠BOD=∠b+∠c

∴ M+m=10+1=11 =;3@;∠a+;9$;∠a=:Á9¼:∠a

∠AOE=∠a+∠b+∠c+∠d
03  11
=∠a+;3@;∠a+;9$;∠a+;2¥7;∠a=;2^7%;∠a
길이가 2인 선분은 AÕÁA£Ó, AÕªA¢Ó, y, AÁ£ÓAÁ°Ó의 13개이므로 a=13
∠BOD
길이가 5인 선분은 AÕÁA¤Ó, AÕªA¦Ó, y, AÁ¼ÓAÁ°Ó의 10개이므로 b=10 ∴ =:Á9¼:∠aÖ;2^7%;∠a
∠AOE
길이가 7인 선분은 AÕÁA¥Ó, AÕªA»Ó, y, A¥ÓAÁ°Ó의 8개이므로 c=8
=:Á9¼:_;6@5&;=;1¤3;
∴ a-b+c=13-10+8=11

04 2

3ACÓ=ABÓ에서 ACÓ=;3!;`ABÓ=;3!;_24=8 07  54
3CDÓ=CEÓ에서 원래 직선이 1번 회전한 직선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xù
CDÓ=;3!;`CEÓ 원래 직선이 2번 회전한 직선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xù-2xù
원래 직선이 3번 회전한 직선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xù-2xù+3xù
=;3!;(ABÓ-ACÓ-EBÓ) 원래 직선이 4번 회전한 직선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xù-2xù+3xù-4xù
=;3!;_(24-8-4)

=;3!;_12=4 따라서 원래 직선이 9번 회전한 직선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xù-2xù+3xù-4xù+5xù-6xù+7xù-8xù+9xù=5xù이고
∴ MCÓ=MDÓ-CDÓ=;2!;`ADÓ-4
9번 회전한 직선이 원래 직선과 수직이 되었으므로
=;2!;(ACÓ+CDÓ)-4 5xù=90ù, 270ù, 450ù, 630ù, y
∴ x=18, 54, 90, 126, y
=;2!;_(8+4)-4=2
이때 40<x<60이므로 x=54

084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4 2021-05-12 오후 1:26:08


08  63ù ⑤ ‌P⊥Q, l//P, m//Q이면 l과 m`(mÁ)은 한 점에서 만나거나 l과
m`(mª)은 평행하거나 l과 m`(m£)은 꼬인 위치에 있다.
∠COG+∠EOB=90ù+90ù=180ù이고
P P P
∠COG+∠EOB=(∠COE+∠EOG)+(∠EOG+∠GOB)
Q Q Q
=(∠COE+∠GOB)+2∠EOG l l
mÁ l
=54ù+2∠EOG
mª m£
이므로 180ù=54ù+2∠EOG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④이다.
∴ ∠EOG=;2!;_(180ù-54ù)=63ù

∴ ∠HOF=∠EOG=63ù`(맞꼭지각)
11 ③

주어진 전개도로 만들어지는 정육면체 N(J)


K(M)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A(G, I)
H
③A
 CÓ와 EKÓ는 꼬인 위치에 있으므
09  10
로 한 평면 위에 있지 않다. C L
n=1, 2, 3, y일 때, 나누어지는 영역의 개수를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B(D, F) E

12  24

IMÓ과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f(1)=2 f(2)=4=f(1)+2 f(3)=7=f(2)+3 ABÓ, AFÓ, CDÓ, DEÓ, GHÓ, GJÓ, KLÓ, KNÓ의 8개이므로 a=8
면 DGJE와 평행한 모서리는 AKÓ, AFÓ, FNÓ, KNÓ, BCÓ, BLÓ, LMÓ,
IMÓ, HÕIÕ, CHÓ의 10개이므로 b=10
y
면 EJIMNF와 수직으로 만나는 면은 면 ABCDEF, 면 KLMN,
면 BLMIHC, 면 AKNF, 면 GHIJ, 면 DGJE의 6개이므로 c=6
f(4)=11=f(3)+4 f(5)=16=f(4)+5 ∴ a+b+c=8+10+6=24
따라서 f(n)=f(n-1)+n이므로 f(n)-f(n-1)=n
이 식에 n=10을 대입하면 f(10)-f(9)=10
13  273ù

사각형 ABCD에서  l m n
∠BAD+85ù+(180ù-92ù)+93ù z D p

10
A 93ù
 ②, ④ =360ù 95ù 85ù 92ù
q
∠BAD+266ù=360ù   B C
① ‌l//m, l⊥n이면 m과 n`(nÁ)은 한 점에서 수직으로 만나거나 m과 95ù x r
∴ ∠BAD=94ù
n`(nª)은 꼬인 위치에 있다. y
l l
∴ ∠z=∠BAD=94ù`(맞꼭지각)
두 직선 p, r와 직선 l이 만나서 생기는 엇각의 크기가 95ù로 같으므로

m m nª p//r
∴ ‌∠x=180ù-∠z=180ù-94ù=86ù`(엇각)
② P//Q, Q//R이면 P//R이다. ∠y=∠ADC=93ù`(동위각)
∴ ∠x+∠y+∠z=86ù+93ù+94ù=273ù
P
Q
R
14  9ù
③ ‌P⊥Q, Q⊥R이면 P와 R`(RÁ)는 한 직선에서 만나거나
오른쪽 그림과 같이 꺾인 점을 지나고 두 A P
P와 R`(Rª)는 평행하다. l
직선 l, m에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3x 112ù
P P 5x B
∠ADC=∠PAD=112ù`(엇각) 50ù
RÁ Q Q C
∠BDC=112ù-3∠x 130ù
Rª 50ù D m
이때 ∠CEQ=180ù-130ù=50ù이므로 E Q
④ P//Q, Q⊥R이면 P⊥R이다. ∠BCD=∠CEQ=50ù`(동위각) 112ù-3x
P △BCD에서
R 5∠x+50ù+(112ù-3∠x)=180ù
Q 2∠x=18ù   ∴ ∠x=9ù

대단원 TEST 085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5 2021-05-12 오후 1:26:09


15  110ù 이와 같은 규칙을 이용하면 주어진 그림에서
27ù+32ù+45ù+∠x=14ù+29ù+36ù+12ù+54ù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점 P, Q, R를 각각 60ù 10ù
l 104ù+∠x=145ù  
지나면서 두 직선 l, m에 평행한 세 직선 p
a P
∴ ∠x=41ù
p, q, r를 그으면 a
q
l//p이므로 ∠a=60ù+10ù=70ù`(동위각) b Q
R b
r//m이므로 ∠b=60ù-20ù=40ù 20ù
r
19  38
m
p//q, q//r이므로 20ù x<y<7에서 7이 가장 긴 변의 길이이므로 7<x+y
∠x=∠a+∠b=70ù+40ù=110ù Ú x=1일 때, 이를 만족하는 y의 값은 없다.
Û x=2일 때, y=6   ∴ x+y=2+6=8
Ü ‌x=3일 때, y=5, 6
16  115ù
∴ x+y=3+5=8 또는 x+y=3+6=9
∠PAB=∠a라고 하면 B' Ý ‌x=4일 때, y=5, 6
A E D
△ABP에서 ∠APB=90ù-∠a a
C' ∴ x+y=4+5=9 또는 x+y=4+6=10
∠PQC=∠b라고 하면 Q Þ x=5일 때, y=6   ∴ x+y=5+6=11
50ù b
△QPC에서 ∠QPC=90ù-∠b Ú~Þ에서 x+y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는
B C
이때 ∠APB=∠APE`(접은 각), P
8, 9, 10, 11이므로 그 합은 8+9+10+11=38
∠QPC=∠QPC'`(접은 각)이므로
2∠APB+50ù+2∠QPC=180ù
20 5
2(90ù-∠a)+50ù+2(90ù-∠b)=180ù
㈎에서 ABÓ=8, BCÓ=5, ∠A=35ù인 삼각형 ABC는 다음 그림과 같
2∠a+2∠b=230ù   ∴ ∠a+∠b=115ù
이 2개이다.
∴ ∠PAB+∠PQC=∠a+∠b=115ù
C
C
17
5
 72ù 5
A 35ù 35ù
B A B
C F 8 8
l
x
G B ∴ x=2
xR ㈏에서 한 변의 길이가 4이고, 두 각의 크기가 각각 35ù, 40ù인 삼각형은
D 3y E
y m 나머지 한 각의 크기가 180ù-(35ù+40ù)=105ù이므로 다음 그림과
P y A y Q 같이 한 변의 길이가 4이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35ù와 40ù, 105ù와
∠DAP=∠y라고 하면 ∠GAP=4∠DAP이므로 35ù, 105ù와 40ù가 될 수 있으므로 3개이다.
∠GAD=∠GAP-∠DAP=4∠DAP-∠DAP 35ù
=3∠DAP=3∠y
정사각형 AEFG는 정사각형 ABCD를 점 A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것 40ù

이므로 ∠EAQ=∠DAP=∠y 105ù 105ù 105ù


35ù 40ù 35ù 40ù
∠GAP+∠EAQ=90ù이므로
4 4 4
4∠y+∠y=90ù, 5∠y=90ù
∴ y=3
∴ ∠y=18ù
∴ x+y=2+3=5
위의 그림과 같이 점 D를 지나고 두 직선 l, m에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CDR=∠x`(엇각), ∠ADR=∠y`(엇각)이므로
21  60ù
∠x+∠y=90ù, ∠x+18ù=90ù   ∴ ∠x=72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를 지나면서 QBÓ에 P
35ù
평행한 직선을 긋고, PÕMÓ의 연장선과의 교
18  41ù 점을 R라고 하자. Q
25ù
다음 그림과 같이 l//m일 때, l, m에 평행한 두 직선을 그으면 △QMB와 △RMA에서
∠b-∠a=∠c-∠d이므로 ∠a+∠c=∠b+∠d이다. MBÓ=MAÓ, A B
M
QBÓ//ARÓ이므로
l m l m 25ù
∠MBQ=∠MAR`(엇각), R

∠QMB=∠RMA`(맞꼭지각)
a c a b-a d
d d ∴ △QMB≡△RMA`(ASA 합동)
b a c-d
∴ BQÓ=ARÓ, ∠MQB=∠MRA
이때 APÓ=BQÓ이므로 ARÓ=APÓ

086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6 2021-05-12 오후 1:26:11


즉 △PAR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MQB=∠MRA=∠APM=35ù
대단원 TEST
따라서 △QMB에서 II. 평면도형의 성질 워크북 024 ~ 027쪽

∠QMB=180ù-∠QBM-∠MQB=180ù-25ù-35ù=120ù이므로
01 50개 02 26 03 540ù 04 16ù 05 90ù
∠PMA=180ù-∠QMB=180ù-120ù=60ù
06 40ù 07 496ù 08 1260ù 09 17 10 126ù
11 25개 12 170개 13 50`cm 14 7`cm
22  25ù
15 2p+4 16 21`:`10 17 30p`cmÛ` 18 16 19 20p
△BCG와 △DCE에서 20 24p`cm 21 20p 22 (2p+52)`cm
BCÓ=DCÓ, GCÓ=ECÓ,
23 :£6Á:p`cm 24 88p`mÛ`
∠BCG=90ù-∠GCD=∠DCE이므로
△BCG≡△DCE`(SAS 합동)
즉 ∠GBC=90ù-65ù=25ù이므로 ∠EDC=∠GBC=25ù 01  50개
이때 ∠DCE=∠BCG=40ù이므로
만들 수 있는 정사각형을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DCE에서
∠DEF=180ù-(25ù+40ù+90ù)=25ù

23  94ù

△ACE와 △DCB에서
ACÓ=DCÓ, CEÓ=CBÓ, 16개 9개 4개 1개
∠ACE=∠DCE+60ù=∠DCB
∴ △ACE≡△DCB`(SAS 합동)
△ACE에서 ∠AEC=∠DBC=60ù-26ù=34ù이고
∠ACE=180ù-∠ECB=180ù-60ù=120ù이므로
∠EAC=180ù-∠ACE-∠AEC
=180ù-120ù-34ù=26ù 9개 8개 2개 1개
따라서 △PAC에서 따라서 구하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APC=180ù-∠PAC-∠PCA=180ù-26ù-60ù=94ù 16+9+4+1+9+8+2+1=50(개)

24  2`cm 02  26
오른쪽 그림과 같이 AEÓ의 연장선 A D
주어진 다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2개 그
과 BCÓ의 연장선의 교점을 G라고 었을 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의 세 부분으로
E
하면 10 cm 나누어졌으므로 주어진 다각형은 오른쪽 그림과
∠DAE=∠EAF이고  같은 팔각형이다.
B G
∠CGE=∠DAE`(엇각)이므로 F C 팔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EAF=∠CGE 8_(8-3)
=20(개)이므로 a=20
즉 △AFG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2
FGÓ=FAÓ=10`cm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모두 그었을 때 생기는 삼각형은 8-2=6(개)
이때 △AFE와 △GFE에서 이므로 b=6
∠AEF=∠GEF=90ù, EFÓ는 공통, ∴ a+b=20+6=26
∠AFE=90ù-∠EAF=90ù-∠EGF=∠GFE
∴ △AFE≡△GFE`(ASA 합동)
03  540ù
△GFE=△AFE=20`cmÛ`이므로
△EFJ에서 ∠FJI=∠e+∠f이므로 A
;2!;_10_CEÓ=20   ∴ CEÓ=4(cm)
△ACJ에서 a
한편, △ADE와 △GCE에서 ∠a+∠c+∠e+∠f=180ù b G g F
B E
h g f e
∠ADE=∠GCE=90ù, DEÓ=CEÓ, △BHG에서 ∠b+∠g+∠h=180ù e+f
H J
∠AED=∠GEC`(맞꼭지각) △IDJ에서 ∠i+∠d+∠j=180ù i ij
c I d
∴ △ADE≡△GCE`(ASA 합동) ∴ ‌∠a+∠b+∠c+∠d+∠e
∴ CGÓ=DAÓ=DCÓ=2CEÓ=2_4=8(cm) +∠f+∠g+∠h+∠i+∠j C D
∴ FCÓ=FGÓ-CGÓ=10-8=2(cm) =180ù+180ù+180ù=540ù

대단원 TEST 087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7 2021-05-12 오후 1:26:12


04  16ù 08  1260ù

∠ABD=∠DBE=∠EBC=∠a, D (색칠한 각의 크기의 합)


∠ACD=∠DCE=∠ECF=∠b A x
E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_2
라고 하면 y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48ù
△ABC에서 48ù+3∠a=3∠b -(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_2
aa b b
3∠b-3∠a=48ù, 3(∠b-∠a)=48ù a b ={180ù_(6-2)+180ù_2+180ù_(5-2)+360ù}-360ù_2
B
C F
∴ ∠b-∠a=16ù =(720ù+360ù+540ù+360ù)-720ù
△DBC에서 ∠x+2∠a=2∠b =1260ù
∴ ∠x=2∠b-2∠a=2(∠b-∠a)=2_16ù=32ù
△EBC에서 ∠y+∠a=∠b
09  17
∴ ∠y=∠b-∠a=16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길이가 각각 x, 2, y인 A
∴ ∠x-∠y=32ù-16ù=16ù 4 4
세 변의 연장선으로 삼각형 ABC를 만들면 4
x y
주어진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으므
360ù
로 외각의 크기도 =60ù로 모두 같다. 9
05  90ù 6 7
7
9
따라서 삼각형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세 B C
∠ADE=∠CDE=∠a,  A D 7 2 9
a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그 길이는
a
∠GBE=∠FBE=∠b라고 하면
B a 2b 7+2+9=18이다.
∠DFC=∠ADF=∠a`(엇각) b a F C
b ABÓ=18이므로 4+x+7=18   ∴ x=7
∠BCD=∠GBC=2∠b`(엇각) G
E ACÓ=18이므로 4+y+9=18   ∴ y=5
△DFC에서 2∠a+2∠b=180ù ∴ x+2y=7+2_5=17
이므로 2(∠a+∠b)=180ù
∴ ∠a+∠b=90ù
△BEF에서 ∠BFE=∠DFC=∠a`(맞꼭지각)이므로 10  126ù
∠BED=180ù-(∠a+∠b)=180ù-90ù=90ù 360ù
정오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72ù,
5
360ù
정팔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45ù이므로
8

06  40ù
∠DCL=72ù, ∠DKL=45ù, ∠CDK=72ù+45ù=117ù
따라서 사각형 DCLK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DEC에서 ∠EDC+∠ECD=180ù-70ù=110ù 72ù+∠x+45ù+117ù=360ù
∴ ∠ADC+∠BCD=2(∠EDC+∠ECD)=2_110ù=220ù
∠x+234ù=360ù
사각형 ABCD에서
∴ ∠x=126ù
∠A+∠B+∠BCD+∠ADC=360ù이므로
∠A+∠B+220ù=360ù
∴ ∠A+∠B=140ù 11  25개
이때 ∠A`:`∠B=5`:`2이므로 구하는 두 정다각형을 정m각형, 정n각형이라고 하면
2 두 정다각형의 변의 개수는 각각 m개, n개이므로
∠B=140ù_ =40ù
5+2
(m-2)`:`(n-2)=8`:`13   yy ㉠
이때 m-2=8k, n-2=13k`(k는 자연수)로 놓으면
180ù_8k 180ù_13k 8 13
`:` =12`:`13, `:` =12`:`13
m n m n
07  496ù
8n`:`13m=12`:`13, 104n=156m  
△FHJ에서  A
E ∴ n=;2#;m    yy ㉡
∠GFH=44ù+∠d a
f
㉡을 ㉠에 대입하면
△CFG에서 J
∠FCI=44ù+∠d+∠c B b
44ù
e D (m-2)`:`{;2#;m-2}=8`:`13
오각형 ABCDE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I
13m-26=12m-16   ∴ m=10
Fc C d
180ù_(5-2)=540ù이므로
G H ∴ n=;2#;m=;2#;_10=15
∠a+∠b+44ù+∠c+∠d+∠e+∠f
=540ù 따라서 두 정다각형의 변은 각각 10개, 15개이므로 모든 변의 개수의 합은
∴ ∠a+∠b+∠c+∠d+∠e+∠f=540ù-44ù=496ù 10+15=25(개)

088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8 2021-05-12 오후 1:26:14


12  170개 [그림 2]에서 작은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d, 큰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
를 e라고 하면 d+e=1이므로
180ù_(5-2)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08ù,
5 lª=;2!;_2p_d+;2!;_2p_e+2
정사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90ù이므로
=p(d+e)+2=p+2
∠BCG=108ù, ∠DCG=90ù
∴ lÁ+lª=(p+2)+(p+2)=2p+4
이때 ∠BCD+∠BCG+∠DCG=360ù이므로

16
∠BCD+108ù+90ù=360ù
 21`:`10
∴ ∠BCD=162ù
즉 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가 162ù이므로 두 부채꼴 A, B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a, b라고 하면
180ù_(n-2)
=162ù (부채꼴 A의 넓이)=;2!;_a_8p=4ap
n
180ù_n-360ù=162ù_n, 18ù_n=360ù (부채꼴 B의 넓이)=;2!;_b_14p=7bp
∴ n=20 즉 4ap`:`7bp=6`:`5이므로 20ap=42bp
따라서 정이십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10a=21b   ∴ a`:`b=21`:`10
20_(20-3)
=170(개)
2
17  30p`cmÛ`

13  50`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색칠한 부분의 일부
120ù
분을 이동하면
ADÓ// COÓ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
20ù 20ù 120ù 60ù
∠AOC=∠OAD=20ù`(엇각) A
D =(반지름의 길이가 18`cm이고 중심각 18 cm
5 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ODÓ를 그으면 40ù
의 크기가 60ù인 부채꼴의 넓이)
C 20ù O
△AOD에서 OAÓ=ODÓ이므로 160ù B
-(반지름의 길이가 6`cm이고 중심
∠ODA=∠OAD=20ù 각의 크기가 120ù인 부채꼴의 넓이)_2
∴ ∠BOD=20ù+20ù=40ù
=p_18Û`_;3¤6¼0;-{p_6Û`_;3!6@0);}_2
이때 ∠BOC=180ù-∠AOC=180ù-20ù=160ù이므로
µAC`:`¨CBD=∠AOC`:`(∠BOC+∠BOD) =54p-24p=30p(cmÛ`)
5`:`¨CBD=20`:`200
5`:`¨CBD=1`:`10   ∴ ¨CBD=50(cm) 18  16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빗금친 부분 제외)

14  7`cm 의 넓이를 S라고 하면 구하는 넓이는 4S이다.


S=(반지름의 길이가 4인 사분원의 넓이) 4
∠APE=∠x라고 하면 
2x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사분원의 넓이)_2
△EPA에서 PEÓ=EÕAÓ이므로 E D 2x O C
P -(빗금친 부분의 넓이)_2 2
∠EAP=∠EPA=∠x 4x
∴ ∠AEO=∠x+∠x=2∠x
x
x
3x 3x
14 cm =p_4Û`_;4!;-{p_2Û`_;4!;}_2-{p_2Û`_;4!;-;2!;_2_2}_2
A
△EAO에서 EAÓ=AOÓ이므로 B =4p-2p-2p+4=4
∠AOE=∠AEO=2∠x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OPA에서 ∠OAB=∠x+2∠x=3∠x 4S=4_4=16
△OAB에서 OAÓ=OBÓ이므로
∠OBA=∠OAB=3∠x 19  20p
△OPB에서 ∠BOC=∠x+3∠x=4∠x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반원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의 3배와 같으
따라서 µAD`:`µ BC=∠AOD`:`∠BOC=2∠x`:`4∠x=1`:`2이므로 므로
µAD`:`14=1`:`2, 2µAD=14   ∴ µAD=7(cm)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2p_4_;2!;}_3=12p(cm)
∴ a=12p
15  2p+4 A A
[그림 1]에서 가장 작은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a, 중간 크기의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b, 가장 큰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c라고 하면 60ù 60ù

a+b+c=1이므로

lÁ=;2!;_2p_a+;2!;_2p_b+;2!;_2p_c+2 60ù 60ù 60ù 60ù


B C B C

=p(a+b+c)+2=p+2 색칠한 부분의 일부분을 위의 그림과 같이 이동하면

대단원 TEST 089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89 2021-05-12 오후 1:26:15


(색칠한 부분의 넓이)={p_4Û`_;3±¤6¼0;}_3=8p(cmÛ`) 23  :£6Á:p`cm
∴ b=8p
△ABC는 ABÓ=A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a+b=12p+8p=20p
∠ACB=;2!;_(180ù-120ù)=30ù
20  24p`cm 점 B가 움직인 경로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정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120ù이므로

(부채꼴 CAD의 호의 길이)=2p_4_;3!6@0);=;3*;p(cm) C B


A 30ù A
(부채꼴 DBE의 호의 길이) 3 cm
120ù 150ù
120ù 60ù
=2p_(4+4)_;3!6@0);=:Á3¤:p=;3*;p_2(cm) B 5 cm C A B C

(부채꼴 ECF의 호의 길이) ∴ (점 B가 움직인 거리)


=(반지름의 길이가 5`cm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150ù인 부채꼴의 호
=2p_(4+8)_;3!6@0);=8p=;3*;p_3(cm)
의 길이)+(반지름의 길이가 3`cm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60ù인 부
⋮ 채꼴의 호의 길이)
(n번째로 그려지는 부채꼴의 호의 길이)=;3*;p_n(cm) =2p_5_;3!6%0);+2p_3_;3¤6¼0;
따라서 9번째로 그려지는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ª6°:p+p=:£6Á:p(cm)
;3*;p_9=24p(cm)

24  88p`mÛ`
21  20p
말뚝과 A 부분 사이의 최단 거리는 6`m 2m
△DEC에서 이므로 강아지가 A 부분에 있는 구멍을 60ù
∠ECD=180ù-(∠DEC+∠EDC) 통해 울타리 밖으로 나갈 때 움직일 수 6m
240ù B
=180ù-(90ù+30ù)=60ù A
있는 영역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8m 60ù
ACÓ// DEÓ이므로 과 같고 영역의 최대 넓이는
∠ACE=∠CED=90ù`(엇각) (반지름의 길이가 8`m이고 중심각의 크
∴ ∠ACD=∠ACE+∠ECD=90ù+60ù=150ù 기가 240ù인 부채꼴의 넓이)+(반지름의 길이가 2`m이고 중심각의 크
오른쪽 그림과 같이 색칠한 부분의 일부분을 A 기가 60ù인 부채꼴의 넓이)_2
이동하면 30ù 8
F =p_8Û`_;3@6$0);+{p_2Û`_;3¤6¼0;}_2
(색칠한 부분의 넓이) E
60ù 128
=(부채꼴 ACD의 넓이) B
4 C 60ù = p+;3$;p=44p(mÛ`)
3
-(부채꼴 FCG의 넓이) G 60ù
또한, 강아지가 B 부분에 있는 구멍을
30ù 2m
=p_8Û`_;3!6%0);-p_4Û`_;3!6%0); D
통해 울타리 밖으로 나갈 때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6m
=:¥3¼:p-:ª3¼:p=20p A 240ù
과 같고 영역의 최대 넓이는 위와 같은 B
60ù 8m
방법으로 44p`mÛ`이다.
22  (2p+52)`cm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1 cm 44p_2=88p(mÛ`)
1 cm

7 cm 5 cm
7 cm
6 cm
8 cm
8 cm

[그림 1] [그림 2]
[그림 1]과 같이 내부에서 원의 중심이 움직인 거리는
(6+5)_2=22(cm)
[그림 2]와 같이 외부에서 원의 중심이 움직인 거리는
2p_1+8_2+7_2=2p+30(cm)
따라서 두 원의 중심이 움직인 거리의 합은
22+(2p+30)=2p+52(cm)

090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90 2021-05-12 오후 1:26:16


이때 정삼각형의 꼭짓점은 3개이므로 같은 정삼각형이 3번씩 중복된다.
대단원 TEST 따라서 만들 수 있는 정삼각형은 24Ö3=8(개)
III. 입체도형의 성질 워크북 028 ~ 031쪽

01 ②, ④ 02 3개 03 31 04 ⑤ 05 ②
06  36`cm
06 36`cm 07 ④ 08 ㈎ - ㄴ, ㈏ - ㄷ, ㈐ - ㄱ
주어진 정팔면체의 전개도의 일부를 이용하 B 18 cm A
09 72`cmÛ` 10 173p-316 11 12`cm 12 9 E
60ù
60ù
여 ADÓ의 중점 M에서 출발하여 면을 따라 M
13 224`cmÜ` 14 768`cmÛ` 15 40`cmÛ` 16 184 N
60ù
세 모서리 AC, BC, BF 위의 점들을 지나 D
17 (576+72p)`cmÜ` 18 95`cmÛ` 19 6 F C
EFÓ의 중점 N에 이르는 최단 거리를 나타내
20 616`cmÜ ` 21 664p`cmÜ ` 22 64개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최단 거리는 MNÓ의 길이와 같다.
23 135p`cmÜ` 24 p 이때 두 점 M, N은 각각 ADÓ, EFÓ의 중점이므로 사각형 AENM은 평
행사변형이다.

01  ②, ④
따라서 달팽이의 이동 거리는
MNÓ=AEÓ=2ABÓ=2_18=36(cm)
① 6+2=8(개) ② 5+1=6(개) ③ 6+2=8(개)
④ 7+2=9(개) ⑤ 7+1=8(개)
따라서 면의 수가 8개가 아닌 것은 ②, ④이다. 07 ④

① ② ③ ⑤
02  3개

ㄱ. 각뿔을 밑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잘라야 각뿔대가 만들어진다.


ㄹ. ‌회전체를 어떻게 자르는지에 따라 단면의 모양은 원이 아닐 수도 따라서 단면의 모양이 될 수 없는 것은 ④이다.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 ㅁ의 3개이다.
08  ㈎ -ㄴ, ㈏ -ㄷ, ㈐ -ㄱ
03  31 주어진 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키면 다음 그림과 같
직육면체의 꼭짓점의 개수는 8개, 모서리의 개수는 12개, 면의 개수는 6 은 도형이 각각 생긴다.
개이다. 직육면체 30개를 꼭짓점을 1개씩 공유하도록 연결한 입체도형
은 29개의 꼭짓점이 중복되므로 꼭짓점만 29개 줄어든다.
v=8_30-29=211
e=12_30=360
f=6_30=180
∴ v-e+f=211-360+180=31 ㈎ ㈏ ㈐
세 도형에 일정한 속력으로 물을 넣는다고 하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04 ⑤ 긴 원기둥에 물을 넣을 때에는 물의 높이가 느리고 일정하게 증가한다.
또 반지름의 길이가 짧은 원기둥에 물을 넣을 때에는 물의 높이가 빠르
5 4 3 2 1 고 일정하게 증가한다.
A B
10 9 8 7 6 따라서 세 도형 ㈎, ㈏, ㈐에 해당하는 그래프를 보기에서 찾아 짝 지으
15 14 13 12 11
20 19 18 17 16 면 ㈎`-ㄴ, ㈏`-ㄷ, ㈐`-ㄱ이다.

주어진 전개도로 정이십면체를 만들면 점 A와 겹쳐지는 점은 점 B이다.


따라서 점 A에 모이는 면에 쓰인 수는 1, 5, 6, 10, 11이므로 점 A에 모 09  72`cmÛ`
이는 면에 쓰인 수가 아닌 것은 ⑤이다. 주어진 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 8 cm
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와 회 ㉠

05 ② 전체를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4 cm
12 cm

주어진 정육면체의 꼭짓점 A에서는 정삼각형 ACF, ACH, AFH를 자른 단면은 각각 오른쪽 그림과 같다. ㉡

만들 수 있고, 꼭짓점 B에서는 정삼각형 BDE, BDG, BEG를 만들 수 이때 두 도형 ㉠, ㉡은 합동이므로 ㉠, 8 cm


있다. ㉡의 높이는 12_;2!;=6(cm)로 같다.
이와 같이 정육면체의 각 꼭짓점마다 정삼각형을 3개씩 만들 수 있으므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넓이는
로 8개의 꼭짓점에서 만들 수 있는 정삼각형의 개수는 모두
(㉠의 넓이)_2=[;2!;_(8+4)_6]_2=72(cmÛ`)
8_3=24(개)이다.

대단원 TEST 091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91 2021-05-12 오후 1:26:17


10  173p-316 13  224`cmÜ`
l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밑넓이)=;2!;_(10+4)_4=28(cmÛ`)
단면은 원이고, 그중 넓이가 가장 큰 경우는 오른
8 cm 8 cm
각기둥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겉넓이가 248`cmÛ`이므로
쪽 그림에서 ABÓ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이므로 반
2_28+(10+5+4+5)_h=248
지름의 길이가 5+8=13(cm)일 때이다. 6 cm
6 cm 24h=192   ∴ h=8
∴ a=p_13Û`=169p 6 cm
A B ∴ (부피)=28_8=224(cmÜ`)
5 cm
8 cm
14  768`cmÛ`
또 회전체를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 8 cm 8 cm (바깥쪽 6개의 면의 겉넓이)=(11_11-7_7)_6
를 때 생기는 단면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6 cm =432(cmÛ`)
b={p_8Û`_;2!;} (안쪽 6개의 구멍의 겉넓이)=(7_2_4)_6
6 cm
=336(cmÛ`)
+[;2!;_(16+26)_12-p_6Û`] 5 cm 5 cm
16 cm 8 cm ∴ (겉넓이)=432+336=768(cmÛ`)
+;2!;_16_8

=32p+(252-36p)+64
15  40`cmÛ`

=316-4p 16=16_1_1=8_2_1=4_4_1=4_2_2이므로
∴ a-b=169p-(316-4p)=173p-316 정육면체 16개를 붙여서 직육면체를 만드는 데
가로로 a개, 세로로 b개, 높이로 c개 붙였다고 하면
Ú a_b_c=16_1_1일 때

11  12`cm
A (겉넓이)=2_(16+1+16)=66(cmÛ`)
주어진 원뿔의 전개도를 그리면 오른쪽 그림
Û a_b_c=8_2_1일 때
과 같다. xù
18 cm
점 P에서 출발하여 원뿔의 옆면을 따라 한
P P'
바퀴 돌아 다시 점 P로 돌아오는 가장 짧은 (겉넓이)=2_(8+2+16)=52(cmÛ`)
선의 길이는 PÕP'Ó이다. B B' Ü a_b_c=4_4_1일 때
3 cm
원뿔의 전개도에서 ∠BAB'=xù라고 하면
(부채꼴의 호의 길이)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이)이므로 (겉넓이)=2_(4+4+16)=48(cmÛ`)
x Ý a_b_c=4_2_2일 때
2p_18_ =2p_3   ∴ x=60
360
이때 ∠BAB'=60ù이고 APÓ=AÕP'Ó이므로

∠APP'=∠AP'P=;2!;_(180ù-60ù)=60ù
(겉넓이)=2_(8+4+8)=40(cmÛ`)
따라서 △APP'은 정삼각형이다.
Ú~Ý에서 겉넓이가 최소가 되는 직육면체의 겉넓이는 40`cmÛ`이다.
한편, APÓ=2PBÓ에서 APÓ`:`PBÓ=2`:`1이므로 ‌겉넓이가 최소가 되려면 겹치는 면이 최대한 많아야 한다.
APÓ=;3@;`ABÓ=;3@;_18=12(cm) 즉 Ý의 그림과 같이 쌓아야 한다.

∴ PÕP'Ó=APÓ=12`cm
16  184

주어진 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 8 cm

12 9 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5 cm 9 cm
반지름의 길이가 OBÓ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90ù인 부채꼴에서
(겉넓이) 4 cm
2p_(OAÓ+36)_;3»6¼0;=2pR   =(p_8Û`)_2+2p_8_9+2p_4_5
=128p+144p+40p
∴ R=(OAÓ+36)_;4!;
=312p(cmÛ`)
또 반지름의 길이가 OAÓ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90ù인 부채꼴에서 (부피)=p_8Û`_9-p_4Û`_5
2p_OAÓ_;3»6¼0;=2pr   ∴ r=OAÓ_;4!; =576p-80p=496p(cmÜ`)
따라서 a=312, b=496이므로
∴ R-r=(OAÓ+36)_;4!;-OAÓ_;4!;=9 b-a=496-312=184

092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92 2021-05-12 오후 1:26:19


17  (576+72p)`cmÜ` 21  664p`cmÜ`

사각형 EFGH의 내부에서 원기둥의 밑 A D 사각형 ABCD를 y축을 회전축으로 하


면이 움직이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네 귀 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입체도형은 6 cm 8 cm
B C 8 cm
퉁이의 색칠한 부분은 밑면이 지나지 못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E 8 cm
한다. H (부피)
9 cm
색칠한 부분을 모아 붙이면 F ={(큰 원뿔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11 cm 12 cm
12 cm G
3 cm -(원기둥의 부피)
와 같으므로 원기둥의 밑면이 지나지 못하는 사각형
={;3!;_p_12Û`_16-;3!;_p_6Û`_8}-p_1Û`_8
EFGH 위의 넓이는 6_6-p_3Û`=36-9p(cmÛ`) =(768p-96p)-8p=664p(cmÜ`)
따라서 원기둥이 최대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의 밑면의 넓이는 사각형
EFGH의 넓이에서 (36-9p)`cmÛ`를 뺀 것과 같다.
22  64개
∴ (부피)=(밑넓이)_(높이)
={12_9-(36-9p)}_8 반지름의 길이가 1`cm인 쇠구슬을 최대 n개 만들 수 있다고 하면
=(72+9p)_8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구 모양의 쇠구슬 한 개의 부피와 반지름의 길
=576+72p(cmÜ`) 이가 1`cm인 구 모양의 쇠구슬 n개의 부피의 합이 같아야 한다.
;3$;p_4Ü`=;3$;p_1Ü`_n   ∴ n=64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1`cm인 구 모양의 쇠구슬을 최대 64개 만들 수
18  95`cmÛ` 있다.
사각뿔 모양의 상자에서 옆면의 높이를 x`cm라고 하면
끈의 최소 길이는 23  135p`cmÜ`
5+5+x_4=10+4x(cm) 반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원기둥의 높이를 각각 3r`cm, 7r`cm라고 하
10+4x=38, 4x=28   ∴ x=7 면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3r`cm이므로
따라서 정사각뿔 모양의 상자의 겉넓이는
(처음 석고의 부피)=;2!;_;3$;p_(3r)Ü`+p_(3r)Û`_7r
(밑넓이)+(옆넓이)=5_5+{;2!;_5_7}_4
=18prÜ`+63prÜ`=81prÜ`(cmÜ`)
=25+70=95(cmÛ`) 석고를 깎아서 가장 큰 구를 만들면 반지름의 길이는 3r`cm이므로
(새로 만든 석고의 부피)=;3$;p_(3r)Ü`=36prÜ`(cmÜ`)

19 6 이때 새로 만든 석고는 처음 석고보다 부피가 75p`cmÜ`만큼 줄어들었으


므로 81prÜ`-36prÜ`=75p
A 그릇에 들어 있는 물의 부피는
45prÜ`=75p   ∴ rÜ`=;4&5%;=;3%;
;3!;_{;2!;_12_8}_18=288(cmÜ`)
따라서 처음 석고의 부피는 81prÜ`=81p_;3%;=135p(cmÜ`)
B 그릇에 들어 있는 물의 부피는
{;2!;_12_x}_8=48x(cmÜ`)
24 p
이때 두 그릇 A, B에 같은 양의 물이 들어 있으므로
288=48x   ∴ x=6 VÁ=;3$;p_9Ü`=972p
정팔면체가 구 안에 꼭 맞게 들어 있으 A
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20  616`cmÜ` OAÓ=OBÓ=OCÓ=ODÓ E 9 cm

=OEÓ=OFÓ=9`cm B D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의 길이, 높 1 b cm
-
3 c cm O
이때 정팔면체는 합동인 두 사각뿔로 이 C
이를 각각 a`cm, b`cm, c`cm라
1 c cm
- 1 a cm 루어져 있고 사각뿔 A-BCDE의 밑
고 하면 3 -3 b cm F
(직육면체의 부피)=abc 면인 사각형 BCDE의 넓이는
a cm
=648(cmÜ`) ;2!;_BDÓ_CEÓ=;2!;_18_18=162(cmÛ`)
(잘라 낸 삼각뿔 1개의 부피)
즉 사각뿔 A-BCDE의 부피는
1 1
;3!;_{;2!;_;3!;a_;3!;b}_;3!;c= abc= _648=4(cmÜ`)
162 162 ;3!;_(사각형 BCDE의 넓이)_OAÓ=;3!;_162_9=486(cmÜ`)이고
따라서 잘라 낸 삼각뿔은 직육면체의 각 꼭짓점의 개수인 8개와 같으므 정팔면체의 부피는 사각뿔 A-BCDE의 부피의 2배이므로
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VÁ 972p
Vª=2_486=972   ∴ = =p
648-4_8=648-32=616(cmÜ`) Vª 972

대단원 TEST 093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93 2021-05-12 오후 1:26:20


변량 A가 속하는 계급은 90점 이상 100점 미만이다.
대단원 TEST 즉 주어진 자료를 도수분포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IV. 자료의 정리와 해석 워크북 032 ~ 035쪽
성적(점) 변량 도수(명)
01 49개 02 10번째 03 45`% 04 160 05 11 50이상 ~ 60미만 50, 50, 55, 55 4
60 ~ 70 60, 65, 65, 65, B 5
06 550 07 4명 08 52`% 09 50배 10 4
70 ~ 80 70, 70, 70, 75, 75, 75 6
11 75`% 12 ④ 13 80명 14 ㄱ, ㄴ 80 ~ 90 80, 80, 85, 85, 85 5
15 12번째 16 156명 17 1`:`9 18 ④ 90 ~ 100 90, 90, 90, 95, A 5
19 남학생이 6명 더 많다. 합계 1 25
20 ⑴ 남학생 : 300명, 여학생 : 200명 ⑵ 45 이때 수행평가 성적은 5점 간격이므로 A의 값은 90 또는 95, B의 값은
60 또는 65

01  49개
A-B=35이므로 A=95, B=60
또 성적이 5번째로 좋은 학생은 90점 이상 100점 미만인 계급에 속하고
하위 5명의 칭찬 스티커의 개수의 총합이 95개이므로 이 계급의 도수는 5명이므로 C=5
(10+x)+15+17+22+23=95, 87+x=95   ∴ x=8 ∴ A+B+C=95+60+5=160
상위 5명의 칭찬 스티커의 개수의 총합이 306개이므로
56+62+63+64+(60+y)=306, 305+y=306   ∴ y=1
따라서 받은 칭찬 스티커의 개수가 가장 많은 학생의 칭찬 스티커의 개 05  11

수는 64개, 가장 적은 학생의 칭찬 스티커의 개수는 15개이므로 영어 성적이 90점 이상 100점 미만인 학생 수를 B명이라고 하면
구하는 차는 64-15=49(개) 2+3+A+5+B=25이므로 A+B=15
영어 성적이 높은 쪽에서 10번째인 학생이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
02  10번째 에 속하므로
B+5<10   ∴ B<5
줄기가 7인 잎의 개수는 줄기가 6인 잎의 개수의 ;3@;이므로 따라서 B의 값이 최대일 때, 즉 B=4일 때 A의 값은 최소이므로 A의

줄기가 6인 잎의 개수는 4_;2#;=6(개) 최솟값은 15-4=11

줄기가 9인 잎의 개수를 x개라고 하면


전체 학생 수는 6+4+7+x=17+x(명)이고 06  550
맥박 수가 85회 이상인 학생 수는 (4+x)명이므로 전체 학생 수는 4+5+7+10+8+6=40(명)
(17+x)_;1¢0¥0;=4+x, (17+x)_;2!5@;=4+x 상위 35`%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40_;1£0°0;=14(명)
204+12x=100+25x, 13x=104   ∴ x=8 타수가 350타 이상인 학생 수는 6명,
따라서 맥박 수가 90회 이상인 학생 수는 8명이므로 맥박 수가 88회인 타수가 300타 이상인 학생 수는 8+6=14(명)
승훈이는 이 반에서 맥박 수가 10번째로 빠르다. 이므로 상위 35`% 이내에 드는 학생 중에서 한글 타수가 가장 느린 학생
이 속하는 계급은 300타 이상 350타 미만이다.   ∴ a=300
03  45`% 또 상위 60`%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40_;1¤0¼0;=24(명)
전체 학생은 40명이므로 타수가 250타 이상인 학생 수는 10+8+6=24(명)
2+a+10+b+4+c=40 이므로 상위 60`% 이내에 드는 학생 중에서 한글 타수가 가장 느린 학생
∴ a+b+c=24 이 속하는 계급은 250타 이상 300타 미만이다.   ∴ b=250
이때 a`:`b`:`c=2`:`5`:`1이므로 ∴ a+b=300+250=550
2
a= _24=6
2+5+1
따라서 7시간 미만인 학생 수는 2+a+10=2+6+10=18(명)이므로 07  4명

전체의 ;4!0*;_100=45(%) 휴대전화 사용 시간이 60분 이상 80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x명이라고
하면 20분 이상 40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1.5x명이다.

04  160 휴대전화 사용 시간이 60분 미만인 학생 수가 전체 학생 수의 65`%이므로

4+1.5x+10=(4+1.5x+10+x+4+2)_;1¤0°0;
A-B=35에서 A>B
자료에서 성적이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계급에 속하는 변량은 65점, 14+1.5x=13+1.625x, 0.125x=1   ∴ x=8
65점, 60점, 65점이고 도수분포표에서 이 계급의 도수는 5명이므로 B 따라서 20분 이상 40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1.5x=1.5_8=12(명),
점은 이 계급에 속하는 변량이다. 60분 이상 80분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8명이므로 구하는 두 계급의 도수
변량 B가 속하는 계급은 60점 이상 70점 미만이고 A=B+35이므로 의 차는 12-8=4(명)

094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94 2021-05-12 오후 1:26:21


08  52`% 12 ④

과학 실험 점수가 60점 이상 70점 미만, 70점 이상 80점 미만, 80점 이 9


① (전체 학생 수)= =50(명)  
0.18
상 90점 미만인 학생 수의 비가 3`:`7`:`6이므로 세 계급의 학생 수를 각
② 과학 성적이 45점인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40점 이상
각 3x명, 7x명, 6x명이라고 하면
50점 미만이므로 이 계급의 도수는 0.06_50=3(명)
3+7+3x+7x+6x+8=50
16x=32   ∴ x=2 ③ 과학 성적이 상위 10`% 이내에 드는 학생은 50_;1Á0¼0;=5(명)
즉 60점 이상 70점 미만, 70점 이상 80점 미만,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④ 과학 성적이 50점 이상 6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5¥0;=0.16
학생은 각각 3_2=6(명), 7_2=14(명), 6_2=12(명)이다.
따라서 과학 실험 점수가 70점 이상 90점 미만인 학생 수는 과학 성적이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0.06+0.16+0.1+0.28+0.18)=0.22
14+12=26(명)이므로 전체의 ;5@0^;_100=52(%)
⑤ 과학 성적이 80점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09  50배
0.22+0.18=0.4
따라서 과학 성적이 80점 이상인 학생은
세로축 눈금 한 칸이 나타내는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전체의 0.4_100=40(%)
(삼각형 SÁ의 넓이)=;2!;_1_2x=5   ∴ x=5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따라서 세로축의 눈금 한 칸이 나타내는 학생 수는 5명이므로 도수분포
다각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13  80명
2_(5+25+40+35+15+5)=2_125=250
각 계급의 도수가 자연수가 되어야 하므로 도수의 총합은 각 계급의 상
이때 (삼각형 Sª의 넓이)=(삼각형 SÁ의 넓이)=5이므로 도수분포다각
대도수의 분모인 5, 10, 20의 공배수가 되어야 한다. 5, 10, 20의 최소
형과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삼각형 Sª의 넓이의
공배수가 20이므로 도수의 총합은 20의 배수인 20n명`(n은 자연수)이
250Ö5=50(배)
되어야 한다.
10 4 계급값이 가장 작은 계급은 6회 이상 10회 미만이므로 이 계급의 도수를
a명, 계급값이 가장 큰 계급은 26회 이상 30회 미만이므로 이 계급의 도
자란 키가 8`cm 이상 10`cm 미만인 학생 수를 x명이라고 하면 자란 키
수를 b명이라고 하자.
가 10`cm 이상 12`cm 미만인 학생 수는
50-(2+6+9+x+5+4+1)=23-x(명)   a=;1£0;_20n=6n, b=;2£0;_20n=3n이므로
자란 키가 10`cm 미만인 학생 수가 10`cm 이상인 학생 수보다 8명 더 6n과 3n의 최대공약수는 3n이고 3n=12에서 n=4
많으므로 따라서 이 조사에 참여한 학생 수는 20n=20_4=80(명)
x+17=(23-x+10)+8, 2x=24   ∴ x=12
즉 자란 키가 8`cm 이상 10`cm 미만인 학생 수는 12명, 10`cm 이상
12`cm 미만인 학생 수는 23-12=11(명)이다. 14  ㄱ, ㄴ

이때 가장 높은 꼭짓점, 즉 자란 키가 8`cm 이상 10`cm 미만인 계급의 ㄱ. ‌1반과 3반의 전체 학생 수를 각각 2a명, 5a명`(a는 자연수)이라 하
꼭짓점에서 가로축에 내린 수선으로 나누어지는 두 다각형의 넓이를 구 고 어떤 계급의 도수를 각각 3b명, 7b명`(b는 자연수)이라고 하면 이
하면 수선을 기준으로 왼쪽 다각형의 넓이는 계급의 상대도수의 비는
2_(2+6+9)+;2!;_2_12=34+12=46 3b 7b
`:` =;2#;`:`;5&;=15`:`14
2a 5a
오른쪽 다각형의 넓이는 12
ㄴ. (도수의 총합)= 이므로 도수가 16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x
;2!;_2_12+2_(11+5+4+1)=12+42=54
12 x
16Ö =16_ =;3$;x
따라서 a`:`b=46`:`54=23`:`27이므로 a=23, b=27 x 12
∴ b-a=27-23=4 ㄷ. 상대도수의 총합은 항상 1이다.
4
=80이므로 도수가 20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1
ㄹ. (도수의 총합)=
 75`% 0.05

여학생에서 몸무게가 55`kg 이상인 학생 수는 2명, 50`kg 이상인 학생 ;8@0);=0.25


수는 5+2=7(명), 45`kg 이상인 학생 수는 8+5+2=15(명)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몸무게가 15번째로 무거운 여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45`kg 이상 50`kg
미만이다.
남학생의 전체 학생 수는 2+3+7+6+1+1=20(명)
15  12번째

따라서 남학생에서 45`kg 이상인 학생 수는 7+6+1+1=15(명)이므로 가격이 7만 원 이상 8만 원 미만인 신발이 8켤레이고 그 계급의 상대도
여학생에서 몸무게가 15번째로 무거운 학생은 남학생에서 무거운 순서 8
수는 0.16이므로 전체 신발 수는 =50(켤레)
0.16
대로 상위 ;2!0%;_100=75(%) 이내에 든다. 가격이 5만 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대단원 TEST 095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95 2021-05-12 오후 1:26:22


0.08+0.14=0.22이므로 가격이 5만 원 미만인 신발 수는
19  남학생이 6명 더 많다.
0.22_50=11(켤레)
따라서 가격이 5만 원인 신발은 가격이 저렴한 쪽에서 최소 12번째이다. 독서량이 14권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남학생에서 0.06+0.04=0.1, 여학생에서 0.2+0.02=0.22이고
이 계급의 학생 수가 남학생은 25명, 여학생은 88명이므로
25
16  156명 (전체 남학생 수)=
0.1
=250(명)

컴퓨터를 사용한 시간이 60분 이상인 학생 수가 60명이고 그 상대도수 88


(전체 여학생 수)= =400(명)
0.22
60
의 합이 0.16+0.04=0.2이므로 전체 학생 수는 =300(명) 독서량이 2권 이상 5권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를 구하면
0.2
컴퓨터를 사용한 시간이 40분 이상 50분 미만인 학생 수와 50분 이상 남학생 : 1-(0.24+0.32+0.22+0.06+0.04)=0.12
60분 미만인 학생 수를 각각 3x명, 4x명이라고 하면 여학생 : 1-(0.18+0.28+0.26+0.2+0.02)=0.06
(0.1+0.14)_300+3x+4x+60=300 이때 독서량이 5권 미만인 학생 수를 구하면
7x+132=300, 7x=168   ∴ x=24 남학생 : 0.12_250=30(명)
따라서 컴퓨터를 사용한 시간이 50분 이상인 학생 수는 여학생 : 0.06_400=24(명)
4x+60=4_24+60=156(명) 따라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30-24=6(명) 더 많다.

20  ⑴ 남학생 : 300명, 여학생 : 200명 ⑵ 45

17  1`:`9 ⑴ ‌남학생에서 수학 성적이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1학년 1반 학생 수를 x명, 1학년 전체 학생 수를 y명이라고 하면 봉사 0.15이므로 전체 남학생 수는
45
활동 시간이 10시간 이상 12시간 미만인 1학년 1반 학생 수와 전체 학생 =300(명)
0.15
수의 비가 4`:`9이므로
여학생에서 수학 성적이 60점 이상 7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48x`:`0.18y=4`:`9, 4.32x=0.72y   ∴ y=6x
0.2이므로 전체 여학생 수는
따라서 봉사 활동 시간이 10시간 미만인 1학년 1반 학생 수와 전체 학 40
=200(명)
생 수의 비는 0.2
{(0.04+0.16+0.28)_x}`:`{(0.08+0.3+0.34)_y} ⑵ 남학생에서 수학 성적이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48x`:`0.72y 1-(0.1+0.15+0.35+0.15)=0.25
=0.48x`:`(0.72_6x) 여학생에서 수학 성적이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0.48x`:`4.32x 1-(0.15+0.2+0.3+0.1)=0.25
=1`:`9 이때 남학생에서 80점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0.25+0.15=0.4이므로 상위 40`% 이내에 들려면 적어도 80점 이
상을 받아야 한다.   ∴ x=80

18 ④ 또 여학생에서는 80점 이상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합은


0.25+0.1=0.35이므로 80점 이상을 받으면 상위 35`% 이내에 든다.
① ‌상대도수의 총합은 항상 1이고 A 중학교와 B 중학교의 계급의 크기
∴ y=35
가 같으므로 각각의 그래프와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서
∴ x-y=80-35=45
로 같다.
②A
‌ 중학교에서 달리기 기록이 16초 이상 20초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
의 합은 0.36+0.2=0.56이므로 학생 수는 0.56_50=28(명)이다.
③ ‌달리기 기록이 12초 이상 14초 미만인 A 중학교 학생 수는
0.1_50=5(명), B 중학교 학생 수는 0.06_200=12(명)이므로
B 중학교가 A 중학교보다 12-5=7(명) 더 많다.
④A
‌ 중학교에서 달리기 기록이 12초 미만인 학생 수는
0.02_50=1(명),
14초 미만인 학생 수는 (0.02+0.1)_50=6(명),
16초 미만인 학생 수는 (0.02+0.1+0.22)_50=17(명)
이므로 달리기 기록이 10번째로 빠른 학생이 속하는 계급은 14초 이
상 16초 미만이다.
⑤B
‌ 중학교의 그래프가 A 중학교의 그래프보다 전체적으로 오른쪽으
로 치우쳐 있으므로 B 중학교 학생들의 달리기 기록이 A 중학교 학
생들의 달리기 기록보다 느린 편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096 정답과 풀이

해_069-096_중1-2 고쟁이수학워크북ok.indd 96 2021-05-12 오후 1:26:22


3
I.
STEP 본교재 027 ~ 029쪽
기본 도형
089 28 090 14 091 8번째 092 360ù
093 720ù 094 85ù 095 86ù 096 20ù
01 기본 도형 창 의 융 합

097 ⑴ 점 D ⑵ 19초 098 ⑴ 98ù ⑵ 100ù


STEP 1 본교재 007 ~ 010쪽

001 2 002 ②, ③ 003 ③, ④ 004 ㄱ, ㄷ


005 24 006 18개 007 14개 008 20
009 3`cm 010 12`cm 011 4`cm 012 12`cm
013 3`cm 014 64ù 015 100ù 016 95ù
017 22ù 018 100ù 019 30쌍 020 ③
021 6`cm

STEP 2 본교재 012 ~ 014쪽

022 20 023 ④ 024 25개 025 ①, ⑤


03 작도와 합동
026 5개 027 16 028 16 029 36`cm
030 72`cm 031 6 032 105ù 033 75ù
STEP 1 본교재 031 ~ 033쪽

034 44분 035 28 036 18쌍 037 135ù 099 ②, ⑤ 100 ⑤ 101 ㉣ → ㉢ → ㉠ → ㉡
038 140ù 039 59 102 ②, ③ 103 7개 104 ②, ④ 105 4
106 ② 107 90ù
108 △ PAB≡ △ PDC, SAS 합동 109 14`cmÛ`
STEP 3 본교재 015 ~ 017쪽
110 13`cm 111 16ù 112 ④ 113 16`cmÛ`
040 78ù 041 ⑴ 12 ⑵ 63 042 64
043 ㄱ, ㄷ, ㅁ, ㅂ 044 117ù 045 67 STEP 2 본교재 035 ~ 037쪽

046 :£1¤1¼:분 047 100ù


114 ⑤ 115 ㄱ, ㄴ, ㄷ 116 8개 117 5개
창 의 융 합 118 8개 119 4개 120 ③ 121 7`cm
048 15 049 103`m 122 8`cm 123 108ù 124 120ù 125 45ù
126 90ù 127 31`cm 128 130ù 129 36ù
130 32ù
02 위치 관계
STEP 3 본교재 038 ~ 040쪽
STEP 1 본교재 019 ~ 022쪽
131 5`cm 132 122 133 6`cm 134 72`cmÛ`
050 ㄴ, ㄹ 051 5 052 7개 053 7 135 18ù 136 70ù 137 50ù 138 7개
054 ③, ⑤ 055 ③ 056 ② 057 12 139 288`cmÛ`
058 ㄱ, ㄴ 059 ②, ④ 060 9 061 3 창 의 융 합

062 ②, ③ 063 ⑤ 064 ⑴ 210ù ⑵ 210ù 140 ⑴ 20 ⑵ 54`mÛ` 141 24`cmÛ`


065 l//n, p//q 066 84ù 067 125ù 068 15ù
069 26ù 070 135ù

STEP 2 본교재 024 ~ 026쪽

071 10 072 26개 073 84 074 3개


075 ⑤ 076 10 077 ㄱ, ㄷ 078 14
079 7 080 8 081 ③, ④ 082 350ù
083 ①, ③ 084 78ù 085 84ù 086 117ù
087 180ù 088 145ù

빠른 정답 097

해_097-104_중1-2 고쟁이수학빠답ok.indd 97 2021-05-12 오후 1:28:57


II . 평면도형의 성질
04 다각형 05 원과 부채꼴
STEP 1 본교재 043 ~ 045쪽 STEP 1 본교재 053 ~ 055쪽

142 103 143 ②, ④ 144 정십이각형 185 ⑴ 112ù ⑵ 50`cm 186 6`cm 187 60`cmÛ`
145 7개 146 56ù 147 24ù 148 ② 188 32`cm 189 8`cm 190 24p 191 40p`cmÛ`
149 96ù 150 720ù 151 155ù 152 318ù 192 16p`cm, (32p-64)`cmÛ` 193 70p`cmÛ `
153 720ù 154 150ù 155 19ù 156 90개 194 (24p+36)`cm 195 36p`cmÛ` 196 18p`cm
157 135ù 158 96ù 159 96ù 197 (8p+48)`cm 198 6p`cm
199 (16p+240)`cmÛ` 200 80p`mÛ`
STEP 2 본교재 047 ~ 049쪽

160 77개 161 54개 162 24개 163 126개


STEP 2 본교재 057 ~ 059쪽

164 195ù 165 61ù 166 95ù 167 74ù 201 10`cm 202 7`cm 203 3배 204 64`cmÛ`
168 60ù 169 900ù 170 180ù 171 540ù 205 (18p+48)`cm 206 1`:`1 207 140p`mÛ`
172 36개 173 360ù 174 54개 175 22개 208 :Á2£:p`cmÛ` 209 (104-20p)`cmÛ` 210 16p`cm
176 10개 177 123ù
211 :£3ª:p`cmÛ` 212 (6p-8)`cmÛ`
STEP 3 본교재 050 ~ 051쪽 213 방법 B, 4`cm 214 20p`mÛ`
178 540ù 179 360ù 180 20 181 24ù 215 :£3ª:p`cm 216 14p`cm 217 (48p+120)`cmÛ
182 20

3
창 의 융 합
STEP 본교재 060 ~ 062쪽
183 100ù 184 장미꽃
218 32p`cm 219 ③ 220 225
221 16p 222 :°3¼:p`cm 223 :£3ª:p`cmÛ`
224 74p+152 225 80ù
창 의 융 합

226 ⑴ (1600p+15200)`cmÛ` ⑵ (2400-600p)`cmÛ`


227 ⑴ (200-40p)`m ⑵ 12p`m

098 빠른 정답

해_097-104_중1-2 고쟁이수학빠답ok.indd 98 2021-05-12 오후 1:28:57


III. 입체도형의 성질

06 다면체와 회전체 07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STEP 1 본교재 065 ~ 068쪽 STEP 1 본교재 077 ~ 080쪽

228 ③ 229 23 230 2개 231 14개 277 ⑴ 414`cmÛ` ⑵ 324`cmÜ` 278 1050`cmÜ` 279 5`cm
232 ② 233 정팔면체 234 6, 4 280 900`cmÛ` 281 115`cmÜ` 282 42`mL 283 ④
235 ⑴ GFÓ ⑵ IEÕ`(=ICÓ), IJÕ`(=IHÓ), DCÓ`(=DEÓ), DJÓ`(=DHÓ) 284 198p`cmÜ` 285 120 286 116p`cmÛ`, 104p`cmÜ`
236 ⑤ 237 ⑤ 238 60ù 239 이등변삼각형 287 10 288 288`cmÜ` 289 3 290 5`cm
240 ㄱ, ㄴ, ㄹ 241 ④ 242 ⑤ 291 192p`cmÛ`, 192p`cmÜ` 292 320p`cmÛ`
293 (108p+72)`cmÜ` 294 4`cm 295 272p`cmÛ`
243 244 :ª5¢:p`cm 245 120ù 246 ①, ⑤ 296 124p`cmÛ` 297 27개 298 ㄱ, ㄴ, ㄷ 299 972p`cmÜ`

247 1 248 ④
STEP 2 본교재 082 ~ 085쪽

300 384`cmÛ`, 208`cmÜ` 301 850`cmÛ` 302 24`cmÜ`


STEP 2 본교재 070 ~ 072쪽
303 486`cmÜ` 304 288`cmÛ` 305 (144p-288)`cmÜ`
249 팔각뿔 250 35 251 11개 252 ①, ② 306 5`:`4 307 (3p+106)`cmÛ`
253 정십이면체, 점 B와 점 E 254 정이십면체 255 60 308 (126p-72)`cmÛ` 309 60 310 3`cm
256 35 257 21 258 60개 259 ㄷ, ㅇ 311 4`cm 312 컵 : B 5번, C
컵 : 1번 313 108p`cmÛ`
260 오각형 261 40p`cmÛ` 262 52 263 4`cm 314 28`cmÜ` 315 567p`cmÜ` 316 (312p-80)`cmÛ`
264 12`cm 265 (72p+20)`cm 266 15`cm 317 12통 318 252p`cmÜ` 319 6`:`3`:`2 320 90p`cmÜ`
321 864`cmÛ` 322 1152p`cmÜ`
STEP 3 본교재 073 ~ 075쪽

267 30`cm 268 40 269 3`:`5 270 146 STEP 3 본교재 086 ~ 088쪽

271 100개 272 (256p-384)`cmÛ` 273 24 323 2 324 15`cm 325 72p 326 1040`cmÛ`
274 48 327 33개 328 1127 329 1872p`cmÜ `
창 의 융 합
330 15분
275 9초 후 창 의 융 합
276 ⑴ 정오각형 : 12개, 정육각형 : 20개 331 4배 332 ㈏
⑵ 면 : 32개, 꼭짓점 : 60개, 모서리 : 90개
⑶ 42개

빠른 정답 099

해_097-104_중1-2 고쟁이수학빠답ok.indd 99 2021-05-12 오후 1:28:58


IV. 자료의 정리와 해석

08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09 상대도수와 그 그래프


STEP 1 본교재 091 ~ 094쪽 STEP 1 본교재 103 ~ 105쪽

333 ⑴ 풀이 참조 ⑵ ㄱ, ㄹ 334 ①, ④ 335 40`% 375 0.25 376 ③ 377 8명 378 0.3
336 13명 337 40개 이상 50개 미만 338 15`% 379 14명 380 ③ 381 50명 382 1
339 8명 340 ③ 341 40명 342 16 383 3 384 163 385 80 386 ㄱ, ㄴ
343 6명 344 ㄱ, ㄹ 345 2`:`3 346 44명 387 10명 388 12명
347 ④ 348 ④ 349 13
STEP 2 본교재 107 ~ 109쪽

STEP 2 본교재 096 ~ 098쪽


389 0.04 390 4시간 391 18 392 13명
350 9개 351 20명 352 103 393 6명 394 30명 395 400 396 ㄴ, ㄹ
353 A=35, B=10 354 4명 355 41 397 227등 398 3`:`4 399 A 마을이 27명 더 많다.
356 16권 이상 24권 미만 357 20명 358 10`% 400 64명 401 ②
359 44`% 360 ㄱ, ㄷ, ㅂ 361 13명 362 120
363 SÁ=Sª 364 25`% STEP 3 본교재 110 ~ 112쪽

402 110명 403 68`% 404 150명 405 2반


STEP 3 본교재 099 ~ 101쪽
406 6 407 90곳 408 0.45 409 50개
365 8회 366 7개 367 51 368 26 창 의 융 합

369 3`:`2 370 7명 371 36`% 372 13 410 ⑴ 0.3 ⑵ 132개


창 의 융 합 411 ⑴ 남학생이 66명 더 많다. ⑵ 8시 40분 이상 9시 미만
373 408000원
374 ⑴ 16`:`00 이상 17`:`00 미만 ⑵ 95명

100 빠른 정답

해_097-104_중1-2 고쟁이수학빠답ok.indd 100 2021-05-12 오후 1:28:59


중단원 TEST III. 입체도형의 성질

06 다면체와 회전체 워크북 012 ~ 013쪽

01 31개 02 ㄴ, ㄹ 03 12개 04 정팔면체


중단원 TEST I. 기본 도형
05 296 06 81 07 6개 08 48`cm
01 기본 도형 워크북 002 ~ 003쪽
09 ㄱ 10 65p`cmÛ`
12 (100p-200)`cmÛ`
11 ⑤

01 ③ 02 37 03 12개 04 60`cm
05 ;1¦5; 06 :£2£: 07 81ù 08 108ù 07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워크북 014 ~ 015쪽

09 7 10 62ù 11 110ù 12 70
01 810`cmÛ` 02 4`cm 03 (568+30p)`cmÛ`
04 (384p-768)`cmÜ` 05 ③ 06 63`cmÜ`
02 위치 관계 워크북 004 ~ 005쪽 07 18`cmÜ` 08 304p`cmÛ`, 576p`cmÜ` 09 162분
10 128p`cmÜ ` 11 ② 12 120
01 a//f, c⊥d 02 ③, ④ 03 13 04 6
05 ①, ② 06 ⑤ 07 32 08 30ù
09 68ù 10 100ù 11 140ù 12 61ù

03 작도와 합동 워크북 006 ~ 007쪽 중단원 TEST IV. 자료의 정리와 해석

01 8
05 45ù
02 2개
06 46ù
03 ③, ④
07 52ù
04 16`cmÛ`
08 60ù
08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워크북 016 ~ 017쪽

09 90ù 10 12 11 14`cm 12 45ù 01 ⑤ 02 25명 03 15명 04 5


05 10명 06 6개, 9개 07 35`% 08 5명
09 178 10 25`%

중단원 TEST II. 평면도형의 성질


09 상대도수와 그 그래프 워크북 018 ~ 019쪽

01 ⑴ A=0.15, B=10 ⑵ 15`% 02 18


04 다각형 워크북 008 ~ 009쪽 03 18`% 04 8명 05 ⑤ 06 12
07 84등 08 123명 09 ③, ④
01 230개 02 135ù 03 37ù 04 84ù
05 93ù 06 318ù 07 1080ù 08 24개
09 20개 10 120ù 11 정삼각형, 정사각형
12 정십이각형

05 원과 부채꼴 워크북 010 ~ 011쪽

01 16`cmÛ` 02 225ù 03 72
04 (25p+400)`cmÛ` 05 (9p+30)`cmÛ`
06 24p`cmÛ` 07 :Á5¤:p 08 (9p-18)`cmÛ`
09 12p`cmÛ` 10 16p`cm 11 6p+26 12 80

빠른 정답 101

해_097-104_중1-2 고쟁이수학빠답ok.indd 101 2021-05-12 오후 1:28:59


대단원 TEST

I. 기본 도형 워크북 020 ~ 023쪽

01 ①, ③ 02 11 03 11 04 2
05 -;4!; 06 ⑤ 07 54 08 63ù
09 10 10 ②, ④ 11 ③ 12 24
13 273ù 14 9ù 15 110ù 16 115ù
17 72ù 18 41ù 19 38 20 5
21 60ù 22 25ù 23 94ù 24 2`cm

II. 평면도형의 성질 워크북 024 ~ 027쪽

01 50개 02 26 03 540ù 04 16ù


05 90ù 06 40ù 07 496ù 08 1260ù
09 17 10 126ù 11 25개 12 170개
13 50`cm 14 7`cm 15 2p+4 16 21`:`10
17 30p`cmÛ` 18 16 19 20p 20 24p`cm
21 20p 22 (2p+52)`cm 23 :£6Á:p`cm 24 88p`mÛ`

III. 입체도형의 성질 워크북 028 ~ 031쪽

01 ②, ④ 02 3개 03 31 04 ⑤
05 ② 06 36`cm 07 ④
08 ㈎ - ㄴ, ㈏ - ㄷ, ㈐ - ㄱ 09 72`cmÛ` 10 173p-316
11 12`cm 12 9 13 224`cmÜ ` 14 768`cmÛ`
15 40`cmÛ` 16 184 17 (576+72p)`cmÜ`
18 95`cmÛ` 19 6 20 616`cmÜ` 21 664p`cmÜ`
22 64개 23 135p`cmÜ` 24 p

IV. 자료의 정리와 해석 워크북 032 ~ 035쪽

01 49개 02 10번째 03 45`% 04 160


05 11 06 550 07 4명 08 52`%
09 50배 10 4 11 75`% 12 ④
13 80명 14 ㄱ, ㄴ 15 12번째 16 156명
17 1`:`9 18 ④ 19 남학생이 6명 더 많다.
20 ⑴ 남학생 : 300명, 여학생 : 200명 ⑵ 45

102 빠른 정답

해_097-104_중1-2 고쟁이수학빠답ok.indd 102 2021-05-12 오후 1:29:00


해_097-104_중1-2 고쟁이수학빠답ok.indd 103 2021-05-12 오후 1:29:00
해_097-104_중1-2 고쟁이수학빠답ok.indd 104 2021-05-12 오후 1:29:0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