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8

이해 쏙쏙술술풀이 본문 9~17쪽

Ⅰ 기본 도형 1. 기본 도형 6˘_15=90˘이다.
따라서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의 크기는
1 점, 선, 면, 각 90˘-67.5˘=22.5˘이다.
I
p. 9~ 16 기
a시 b분일 때, 12시를 기준으로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본
1 ⑴ 면의 개수는 5개이다. 꼭짓점 도
(교점)
각 중 작은 각의 크기는 |30a-5.5b|˘이므로 형
⑵ 교점은 선과 선 또는
면 모서리 |30_2-5.5_15|˘=|60-82.5|˘=|-22.5|˘
선과 면이 만나서 생기 (교선) =22.5˘
는 점으로 삼각기둥에
22.5˘
서는 꼭짓점과 같다.
따라서 6개이다. 8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마주 보는 각의 크기는
⑶ 교선은 면과 면이 만나서 생기는 선으로 삼각기둥 같다.
에서는 모서리와 같다. 따라서 9개이다. ⑴ 2x+20=90, 2x=70 ∴ x=35
⑴ 5개 ⑵ 6개 ⑶ 9개 ⑵ 3x-54=2x ∴ x=54
⑴ 35 ⑵ 54
2 ㄷ. 면과 면이 만나서 생기는 교선은 직선이 될 수도
있고, 곡선이 될 수도 있다. 9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점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ㄱ, ㄴ, ㄹ 발까지의 거리이므로 AF”이다.
AF”
3 ④ 시작점과 방향이 모두 같아야 같은 반직선이므로
AC≥와 CA≥는 같은 반직선이 아니다. 1단계

⑤ AC”는 ACÍ 위의 두 점 A, C를 포함하여 점 A에서 C Step p. 17~ 21

점 C까지의 일부분이므로 AC”+ACÍ이다. 01 ④ 02 22 03 ③ 04 2쌍


④, ⑤ 05 직선:3 개, 반직선: 6 개, 선분: 3개
06 직선:1개, 반직선:4개, 선분:3개 07 ④
4 ⑴ (두 점 B, C 사이의 거리) 08 ⑤ 09 ③, ④ 10 ⑴ ;3!; ⑵ ;2#;
=(선분 BC의 길이)=(선분 AD의 길이)=4`cm 11 12`cm 12 16`cm 13 ⑴ 58 ⑵ 24
⑵ (두 점 A, C 사이의 거리) 14 ∠x=35˘, ∠y=55˘ 15 ⑴ 50 ⑵ 15
=(선분 AC의 길이)=5`cm 16 65˘ 17 30˘ 18 120˘ 19 ④
⑴ 4`cm ⑵ 5`cm 20 105˘ 21 ④
22 ∠x=35˘, ∠y=40˘, ∠z=105˘ 23 110˘
5 ⑵ ∠AOC=∠AOB+∠BOC=55˘+75˘=130˘ 24 ⑴ x=20 , y=55 ⑵ x=23 , y=37
⑴ ∠AOB=55˘, ∠BOC=75˘ ⑵ 130˘ 25 ⑴ 50 ⑵ 0 26 ⑴ 2쌍 ⑵ 6쌍
27 ④ 28 ③ 29 AM”=5`cm, ∠a=90˘
6 0˘<∠a<90˘이므로 ∠a는 예각 30 ⑴ 6 `cm ⑵ 4.8`cm
90˘<∠b<180˘이므로 ∠b는 둔각
∠c=180˘-90˘=90˘이므로 ∠c는 직각 01 입체도형에서 교점의 개수는 꼭짓점의 개수와 같고,
∠a:예각, ∠b:둔각, ∠c:직각 교선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다.
직육면체의 꼭짓점은 8개이고, 모서리는 12개이므로
7 시침은 1시간에 30˘, 1분에 0.5˘씩 움직이므로 오후 2 교점은 8개, 교선은 12개이다. ④
시 15분에 시침이 움직인 각도는 12시를 기준으로 할
때 02 면의 개수는 6개이므로 a=6
30˘_2+0.5˘_15=60˘+7.5˘=67.5˘ 꼭짓점의 개수는 6개이므로 b=6
분침은 1분에 6˘씩 움직이므로 오후 2시 15분에 분침 모서리의 개수는 10개이므로 c=10
이 움직인 각도는 12시를 기준으로 할 때 ∴ a+b+c=6+6+10=22 22

Ⅰ. 기본 도형 9
이해 쏙쏙술술풀이

03 ③ A B C D ˙k AD” 10 ⑴ AP”=PQ”=QB”=;3!; AB”


A B C D ˙k CD”
⑵ AB”=3AP”, AQ”=2AP”에서 ;3!; AB”=;2!; AQ”
∴ AD”+CD”
③ ∴ AB”=;2#; AQ”

04 반직선은 시작점과 방향이 모두 같아야 같은 반직선이 ⑴ ;3!; ⑵ ;2#;


다.
따라서 서로 같은 것은 ABÍ=BCÍ, AB≥=AC≥의 2쌍 11 MN”=NB”=4`cm
이다. 2쌍 MB”=2NB”=2_4=8(cm)
AM”=MB”=8`cm
05 직선:ABÍ, ACÍ, BCÍ의 3개 ∴ AN”=AM”+MN”=8+4=12(cm) 12`cm
반직선:AB≥, AC≥, BA≥, BC≥, CA≥, CB≥의 6개
선분:AB”, AC”, BC”의 3개 12 AB”=x`cm라 하면 `BC”=;2{;`cm이다. … 30`%

n개의 점이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경우 직선과 선분 MN”=MB”+BN”=;2!; AB”+;2!; BC”=;2{;+;4{;=12


n(n-1)
의 개수는 개이고, 반직선의 개수는 ;4#;x=12 ∴ x=12_;3$;=16
2
n(n-1)개이다. 따라서 AB”=16`cm이다. … 70`%

∴ (직선의 개수)=(선분의 개수)=


3_(3-1) 16`cm
=3(개)
2 채점 기준 배점
(반직선의 개수)=3_(3-1)=6(개) AB”, BC”의 길이를 미지수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30`%
직선:3개, 반직선:6개, 선분:3개 AB”의 길이 구하기 70`%

06 직선:ABÍ=ACÍ=BCÍ의 1개 13 ⑴ 32+x=90, x=58


반직선:AC≥(=AB≥), BC≥, CA≥(=CB≥), BA≥의 4개 ⑵ x+3x-6=90, 4x=96, x=24
선분:AB”, AC”, BC”의 3개 ⑴ 58 ⑵ 24
직선:1개, 반직선:4개, 선분:3개
14 ∠y+35˘=90˘, ∠y=55˘
∠x+∠y=90˘, ∠x=35˘ ∠x=35˘, ∠y=55˘
07 원 위에 있는 어떤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으므
로 두 점을 이어서 만들 수 있는 직선은 ABÍ, ACÍ,
ADÍ, BCÍ, BDÍ, CDÍ의 6개이다.
15 ⑴ 40+90+x=180, x=50
⑵ 50+3x+5x+10=180, 8x=120, x=15
따라서 반직선은 12개, 선분은 6개 만들 수 있다.
⑴ 50 ⑵ 15

16 x+15+2x+5+2x+10=180
08 ⑤ AM”=;2!; AB”, BN”=;2!; BC”이지만 AB”와 BC”의 5x=150, x=30
길이는 같은지 다른지 알 수 없으므로 AM”과 BN” ∴ ∠COD=2_30˘+5˘=65˘ 65˘
의 길이가 같은지 다른지 알 수 없다.
⑤ 17 ∠BOC=;6!;_90˘=15˘
∠COD=3_15˘=45˘
09 ① AN”=AM”+MN”=MB”+MN” ∴ ∠DOE=180˘-90˘-15˘-45˘=30˘ 30˘
=2NB”+NB”=3NB”
② 2MN”=MB”=AM” 18 ∠AOC=∠a, ∠BOE=∠b라 하면
⑤ AB”=2MB”=2_2MN”=4MN” ∠a+2∠a+∠b+2∠b=180˘
③, ④ 3(∠a+∠b)=180˘

10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17~21쪽

∠a+∠b=60˘ … 70`% 각의 크기는 360˘-187.5˘=172.5˘이다. ④


∴ ∠COE=2(∠a+∠b)=2_60˘=120˘ … 30`%

120˘ 22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마주 보는 각의 크기는


같다. I
채점 기준 배점

∠AOC와 ∠BOE의 크기의 합 구하기 70`% ∠x=35˘, ∠z=105˘ 본
∠COE의 크기 구하기 30`%
∠x+∠y+∠z=180˘에서 도

∠y=180˘-(∠x+∠z)=180˘-(35˘+105˘)
19 ∠x=2∠a라 하면 ∠y=4∠a, ∠z=3∠a이다.
=40˘
2∠a+4∠a+3∠a=180˘
∠x=35˘, ∠y=40˘, ∠z=105˘
9∠a=180˘, ∠a=20˘
∴ ∠y=4∠a=4_20˘=80˘
23 2x˘+40˘=6x˘-20˘
4x˘=60˘ ∴ x=15 … 50`%
4
∠y= _180˘=80˘ ④ ∠AOC=2_15˘+40˘=70˘ … 20`%
2+4+3
∴ ∠COB=180˘-70˘=110˘ … 30`%

20 시침은 1시간에 30˘, 1분에 0.5˘씩 110˘


11 12 1
움직이고, 분침은 1분에 6˘씩 움직 10 2 채점 기준 배점
9 3 x의 값 구하기 50`%
이므로 12시를 기준으로 했을 때 9 8 4
7 6 5
∠AOC의 크기 구하기 20`%
시 30분에 ∠COB의 크기 구하기 30`%
(시침이 움직인 각도)
=30˘_9+0.5˘_30=270˘+15˘=285˘이고, 24 ⑴ 2x˘+3x˘+4x˘=180˘에서
(분침이 움직인 각도)=6˘_30=180˘이다. 9x˘=180˘ ∴ x=20
∴ (시침이 움직인 각도)-(분침이 움직인 각도) 2x˘+2y˘-50˘+4x˘=180˘에서
=285˘-180˘=105˘ 2y˘+70˘=180˘ ∴ y=55
⑵ 90˘+x˘+4x˘-25˘=180˘에서
a시 b분일 때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의 5x˘=115˘ ∴ x=23
크기는 12시를 기준으로 |30a-5.5b|˘이다. x˘+y˘+30˘+90˘=180˘에서
|30_9-5.5_30|˘=|270-165|˘=105˘ y˘+143˘=180˘ ∴ y=37
105˘ ⑴ x=20, y=55 ⑵ x=23, y=37

21 분침은 1분에 6˘씩 움직이므로 25 ⑴ x˘=50˘+y˘ ∴ x-y=50


11 12 1
∠①=360˘-6˘_45=360˘-270˘ 10 ① ② 2 ⑵ 2x˘+x˘+20˘=4x˘-20˘, x=40
9 3
=90˘ 8 4 y˘+4x˘-20˘=180˘
7 6 5
시침은 1시간에 30˘, 1분에 0.5˘씩 움 y˘+160˘-20˘=180˘, y=40
직이므로 ∴ x-y=0 ⑴ 50 ⑵ 0
∠②=30˘_2+0.5˘_45=60˘+22.5˘=82.5˘
∴ ∠①+∠②=90˘+82.5˘=172.5˘ 26 ⑴ ∠AOC와 ∠BOD, ∠AOD와 ∠BOC의 2쌍이
다.
a시 b분일 때, 12시를 기준으로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⑵ ∠AOC와 ∠BOD, ∠AOD와 ∠BOC, ∠AOE
각의 크기는 |30a-5.5b|˘인데 이 각이 180˘보다 큰 와 ∠BOF, ∠AOF와 ∠BOE, ∠COE와
경우 360˘에서 빼서 구한다. ∠DOF, ∠COF와 ∠DOE의 6쌍이다.
|30a-5.5b|˘=|30_2-5.5_45|˘
=|60-247.5|˘=|-187.5|˘ n개의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꼭지각의
=187.5˘ 쌍의 개수는 n(n-1)쌍이다.
따라서 2시 45분에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 중 작은 ⑴ 2_(2-1)=2(쌍)

Ⅰ. 기본 도형 11
이해 쏙쏙술술풀이

⑵ 3_(3-1)=6(쌍) ⑴ 2쌍 ⑵ 6쌍 는 서로 평행하다.
또, ∠ASR의 엇각이 ∠SRD이고
27 두 직선이 만나서 생기는 맞꼭지각은 2쌍이다. ∠ASR+∠SRD이므로 직선 AB와 직선 CD는 평
직선 AE와 직선 BF, 직선 AE와 직선 CG, 행하지 않다.
직선 AE와 직선 DH, 직선 BF와 직선 CG, 따라서 서로 평행한 두 직선을 기호로 나타내면
직선 BF와 직선 DH, 직선 CG와 직선 DH EFÍ//GHÍ이다. EFÍ//GHÍ
따라서 맞꼭지각은 6_2=12(쌍)이다.
3 120˘ 60˘ l
75˘
4개의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므로 x
4_(4-1)=12(쌍)의 맞꼭지각이 생긴다. ④
45˘

25˘
28 ③ BC”에 수직이고 BC”의 중점을 지나는 직선을 BC” m

의 수직이등분선이라 한다. BH”+CH”이므로 AH” 75˘+45˘=60˘+∠x+25˘


는 BC”의 수직이등분선이 아니다. ∴ ∠x=3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120˘60˘ 60˘ l
p
29 직선 l은 AB”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l은 AB”를 이등 l, m에 평행한 직선 p, q, 15˘
15˘ q
20˘
분하고 AB”와 수직으로 만나는 직선이다. r를 긋는다. 20˘
25˘ r
∴ AM”=BM”=;2!; AB”=5`cm, ∠a=90˘ ∠x=15˘+20˘=35˘
25˘ m
AM”=5`cm, ∠a=90˘ 35˘

30 ⑴ 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C이므로


AC”가 점 A와 BC” 사이의 거리이다.
∴ AC”=6`cm 1단계
⑵ 점 C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H
A
C Step p. 26 ~ 29

10 cm
6 cm 01 ③ 02 65˘
;2!;_AB”_CH” 03 ⑴ ∠EBA, ∠HCA ⑵ ∠BAC, ∠HCG
B C
8 cm
04 ∠x=80˘, ∠y=60˘, ∠z=40˘ 05 40
=;2!;_BC”_AC” 06 ⑴ 180 ⑵ 150 07 ④ 08 l//n, l//k
09 ④ 10 ∠x=130˘, ∠y=50˘ 11 182˘
;2!;_10_CH”=;2!;_8_6 12 ④ 13 35˘ 14 30 15 75˘
∴ CH”=4.8`cm ⑴ 6`cm ⑵ 4.8`cm 16 50˘ 17 138˘ 18 55˘ 19 112˘
20 40˘ 21 40˘ 22 30˘ 23 155˘
24 20˘

01 ① ∠a의 동위각은 ∠d이다.


2 평행선의 성질
∠d=180˘-112˘=68˘
p. 22 ~ 25 ② ∠b의 동위각은 ∠e이다.

1 ⑴ ∠a의 동위각은 ∠d이므로 95˘이다. ∠b와 ∠c는 맞꼭지각이다.


⑵ ∠c의 엇각은 ∠b이므로 180˘-90˘=90˘이다. ③ ∠c의 엇각은 ∠e로 112˘이다.
⑴ 95˘ ⑵ 90˘ ④ ∠e의 엇각은 ∠c이다.
∠c=180˘-126˘=54˘
2 ∠APF의 동위각이 ∠ASH이고 ⑤ ∠a=126˘, ∠`f=180˘-112˘=68˘
∠APF=∠ASH=70˘이므로 직선 EF와 직선 GH ∠a와 ∠`f는 크기가 같지 않다. ③

12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21~27쪽

02 ∠x의 동위각은 ∠b이고 ∠x의 l m ⑵ 3x˘=2x˘+15˘(∵ 엇각)


l
g 3x˘
엇각은 ∠d이다. e n x˘=15˘ z˘ y˘
a d m
∠d는 ∠b의 맞꼭지각이므로 x f z˘=180˘-3x˘
b c I
2x˘+15˘
∠d=∠b=65˘이다. =180˘-45˘=135˘ n

65˘ y˘=135˘(∵ 엇각) 본

∴ x+y=15+135=150 형
03 한 교점을 가린 후 동위각과 엇각을 각각 찾는다. ⑴ 180 ⑵ 150
⑴ D A I D A I
07 ∠a=180˘-80˘=100˘로 엇각
E H E H l
B C B C
의 크기가 같지 않으므로 두 직 80˘
F G F G 선 l, m은 평행하지 않다.
a
∠BAC와 엇갈린 위치에 있는 각은 ∠EBA와 m
80˘
∠HCA이다.


D A I D A I
08 ∠a=180˘-75˘=105˘이고, 75˘
l
E B H E B H ∠b=75˘ a b
c 100˘
C C m
∠c=180˘-100˘=80˘이고, d
F G F G 75˘ n
∠FBC와 같은 위치에 있는 각은 ∠BAC와 ∠d=100˘이다. 105˘
k
∠HCG이다. ∠a는 동위각인 ∠d와 크기가
⑴ ∠EBA, ∠HCA ⑵ ∠BAC, ∠HCG 같지 않으므로 직선 l, m은 평행하지 않다.
두 직선 l과 n은 동위각의 크기가 75˘로 같으므로 평
04 두 직선이 평행하면 동위각의 크기와 엇각의 크기가 행하다.
각각 서로 같다. ∴ l//n
∠x=80˘(∵ 동위각), ∠y=60˘(∵ 엇각) 두 직선 l과 k는 엇각의 크기가 105˘로 같으므로 평행
∠z=180˘-(80˘+60˘)=180˘-140˘=40˘ 하다.
∠x=80˘, ∠y=60˘, ∠z=40˘ ∴ l//k l//n, l//k

05 a˘=2x˘+60˘( ∵ 엇각)이 l 09 ① 두 직선 l, m의 평행과 관계없이 항상


므로 2x˘+60˘

∠a+∠b=180˘이다.
2x˘+60˘+x˘=180˘ b˘ m
x˘ ② 두 직선 l, m의 평행과 관계없이 항상
3x˘=120˘ ∠a+80˘=180˘이다. ∠a=100˘
∴ x=40
③ 맞꼭지각의 크기는 항상 같으므로 ∠b=80˘
④ ∠c가 80˘이면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두 직선
두 직선이 평행하면 동측내각의 크기의 합이 180˘임을
l과 m은 평행하다.
이용한다.
⑤ ∠a+∠d=180˘, ∠d=80˘
x˘=b˘(∵ 맞꼭지각) ∠a와 ∠d는 서로 엇각인데 ∠a+∠d이므로 두
2x˘+60˘+x˘=180˘ 직선 l과 m은 평행하지 않다.
3x˘+60˘=180˘ ④
∴ x=40 40
10 ∠z=50˘(∵ 동위각) a
06 ⑴ x˘=z˘(∵ 동위각) b
l ∠x=180˘-50˘=130˘

z˘+y˘=x˘+y˘=180˘ 60˘
m ∠y=∠z=50˘(∵ 동위각) 50˘ x z
∴ x+y=180 l
y
n m
z˘ y˘
∠x=130˘, ∠y=50˘

Ⅰ. 기본 도형 13
이해 쏙쏙술술풀이

11 ∠z=118˘(∵ 엇각) `
l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l, x
120˘ 118˘ l
∠x=180˘-118˘=62˘ m에 평행한 직선 n을 긋는다.
n 42˘ n
∠y=120˘(∵ 동위각) z ∠x=180˘-42˘=138˘ 30˘
m
∴ ∠x+∠y=62˘+120˘ x 68˘ 30˘ m
70˘ y
=182˘ k 138˘

182˘
18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l, 20˘ l
20˘ n
12 ∠y=60˘(∵ 동위각) 60˘ m에 평행한 직선 n, k를 긋는 25˘
l 25˘
∠z=180˘-125˘=55˘ x k
다. 30˘
30˘ m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이 y 125˘ ∠x=25˘+30˘=55˘
z m
180˘이므로 55˘
∠x=180˘-60˘-55˘=65˘

19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l, 50˘
l
50˘
13 l//m이므로 m에 평행한 직선 n, k를 긋는 62˘
n
75˘
∠a=70˘(∵ 동위각) x a 다.
l 62˘
k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 ∠x=50˘+62˘=112˘ 37˘
m
70˘ 37˘
이 180˘이므로 m

∠x=180˘-75˘-70˘=35˘ 112˘
35˘
20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l, x
14 l//m이므로 l m에 평행한 직선 n, k를 긋는
l
y˘ x˘+25˘ 40˘ n
y˘=2x˘+15˘(∵ 엇각) 2x˘+15˘ 80˘ 100˘
m 다. 100˘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 k
50˘ ∠x=40˘ 30˘
의 합이 180˘이므로 m
30˘
150˘
2x˘+15˘+x˘+25˘+50˘=180˘ … 60`%
40˘
3x˘=90˘ ∴ x=30 … 40`%

30
채점 기준 배점 21 ∠ABD=100˘(∵ 엇각)
x˘에 대한 식 세우기 60`% ∠ABE=180˘-100˘ A C
x의 값 구하기 40`%
=80˘ 100˘

∠ABC=∠CBE D E
B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를 지 E
l
35˘ =40˘(∵ 접은 각)
나고 두 직선 l, m에 평행한 P n ∴ ∠ACB=40˘(∵ 엇각) 40˘
직선 n을 긋는다. Q
40˘ m
∠EPQ=35˘(∵ 엇각) F
∠FPQ=40˘(∵ 엇각) 22
∴ ∠EPF=∠EPQ+∠FPQ=35˘+40˘=75˘ A 75˘
x D
75˘
75˘ 75˘ x
C B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l, m에 평 l n m
∠ABC=∠DAB=75˘(∵ 엇각)
행한 직선 n을 긋는다. 158˘
∠ABD=∠ABC=75˘(∵ 접은 각)
∠x+22˘=72˘, ∠x=50˘
22˘ 75˘+75˘+∠x=180˘
22˘ x 150˘+∠x=180˘
x
50˘ ∴ ∠x=30˘ 30˘

14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27~30쪽

23 a l ④ AB≥와 AE≥는 시작점이 같고 방향도 같으므로 같은


반직선이다.
b
c ⑤ BE”=3CD”, AD”=3CD” ∴ BE”=AD”
25˘ I
a ② 기
m
d 25˘+d 25˘+c+d 본
03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점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까 도
∠a+∠b+∠c+∠d+25˘=180˘ 지의 거리를 말한다. 형
∴ ∠a+∠b+∠c+∠d=155˘ 155˘ ① 점 O와 점 A 사이의 거리는 OA”로 6.2`cm이다.
② OB”와 AC”는 점 B에서 수직으로 만나므로 직교한
24 x l
다.
50˘ 110˘
③ ABÍ와 OBÍ는 직교하므로 직선 AB는 직선 OB의

x+50˘ 40˘
수선이다.
x m
④ ADÍ와 OBÍ는 점 B에서 수직으로 만나므로 점 B는
∠x+50˘+40˘=110˘
점 O에서 직선 AD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 ∠x=20˘ 20˘
⑤ 점 O와 AD” 사이의 거리는 OB”로 5.4`cm이다.

2단계 04 직선은 ABÍ(=ACÍ=BCÍ), ADÍ, AEÍ, BDÍ, BEÍ,


B Step p. 30 ~ 33
CDÍ, CEÍ, DEÍ의 8개이므로 a=8 … 30`%

01 30 02 ② 03 ⑤ 04 16 반직선은 AB≥(=AC≥), AD≥, AE≥, BA≥, BC≥, BD≥,

05 5`cm 06 ⑴ 4`cm ⑵ 4.8`cm 07 ;;™3º;;``cm BE≥, CA≥(=CB≥), CD≥, CE≥, DA≥, DB≥, DC≥, DE≥,
EA≥, EB≥, EC≥, ED≥의 18개이므로 b=18 … 30`%
08 ⑴ ∠x=140˘, ∠y=102˘ ⑵ ∠x=30˘, ∠y=55˘
선분은 AB”, AC”, AD”, AE”, BC”, BD”, BE”, CD”,
09 ⑴ ∠DAC, ∠ACI ⑵ ∠DAC, ∠CBG
CE”, DE”의 10개이므로 c=10 … 30`%
⑶ ∠ACI, ∠ABF 10 ③, ⑤ 11 257˘
∴ a+b-c=8+18-10=16 … 10`%
12 ∠C=120˘, ∠D=60˘ 13 7시 5;1∞1;분
16
14 90˘ 15 300˘ 16 118˘ 17 m//n, k//i 채점 기준 배점
18 150˘ 19 ⑴ ∠x=110˘, ∠y=35˘ a의 값 구하기 30`%

⑵ ∠x=55˘, ∠y=45˘, ∠z=105˘ b의 값 구하기 30`%


c의 값 구하기 30`%
20 ⑴ 30˘ ⑵ 70˘ 21 ⑴ 107.5˘ ⑵ 157.5˘ a+b-c의 값 구하기 10`%
⑶ 117.5˘ ⑷ 15˘ 22 x=60, y=20
23 30˘ 24 21˘ 25 65˘ 05 주어진 길이를 이용해 AE”, AB”의 길이를 차례로 구한다.
AE”=PE”-PA”=13-5=8(cm)
01 입체도형에서 교점의 개수는 꼭짓점의 개수와 같고, 교선
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다. AB”=BC”=CD”=DE”=;4!; AE”=;4!;_8=2(cm)
육각기둥의 꼭짓점의 개수는 12개, 모서리의 개수는 점 M은 BE”의 중점이므로
18개이므로 a=12, b=18이다.
BM”=;2!; BE”=;2!;_3BC”=3(cm)
∴ a+b=12+18=30 30
∴ AM”=AB”+BM”=2+3=5(cm) 5`cm
02 시작점과 방향이 모두 같아야 같은 반직선이다.
① BC≥와 BD≥는 시작점이 같고 방향도 같으므로 같은
06 평행사변형에서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은 각각 평행하다.
⑴ AD”//BC”이므로 점 A와 BC”와의 거리는 DE”의 길
반직선이다.
이와 같다. 따라서 4`cm이다.
② AB”=BC”=CD”=DE”=;4!; AE” ∴ AE”=4CD” ⑵ AB”//DC”이므로 점 C와 AB”와의 거리는 AF”의 길
③ 같은 직선 위의 두 점을 각각 이은 직선이므로 같은 이와 같다. 따라서 4.8`cm이다.
직선이다. ⑴ 4`cm ⑵ 4.8`cm

Ⅰ. 기본 도형 15
이해 쏙쏙술술풀이

07 직선 위에 점 A, B, C, D, M을 그리면 다음과 같다. 10 동위각의 크기가 같은 두 직선은 평행하다.


16 cm
1 cm
∠s=∠i이므로 l//m이고 ∠s+∠a이므로 두 직선 n
D A MC B 과 k는 평행하지 않다.
AD”=x`cm라 하면 AM”=BM”=(x+1)cm이다. 따라서 ∠g와 맞꼭지각인 ∠e, 동위각인 ∠c, ∠c와 맞
16=(x+1)_2+x 꼭지각인 ∠a의 크기는 모두 같다. ③, ⑤

3x=14 ∴ x=;;¡3¢;; … 80`%


11 평행한 두 직선에서 동위각의 크기는 같다.
∴ AC”={;;¡3¢;;+1}+1=;;™3º;;(cm) … 20`% ∠x=180˘-120˘=60˘ `
∠y=75˘ 120˘
58˘
;;™3º;;`cm 128˘
∠z=180˘-58˘=122˘ x 75˘
y
채점 기준 배점 ∴ ∠x+∠y+∠z x 58˘ z
AD”의 길이 구하기 80`% y 한 강
=257˘
AC”의 길이 구하기 20`%
257˘
08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⑴ ∠x=180˘-40˘=140˘ 12 평행사변형은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이 각각 평행하므로 이
웃하는 두 각의 크기의 합이 180˘이다.
∠y=140˘-38˘=102˘
∠A+∠B=180˘이므로
⑵ `(∠x+10˘)+∠x
+(∠x-10˘)=90˘ x+10˘ ∠A=180˘_;3@;=120˘, ∠B=180˘_;3!;=60˘
y x
∴ ∠x=30˘ x-10˘
2x-25˘ 평행사변형에서 두 쌍의 대각의 크기는 각각 같으므로
x
∠y+90˘+2∠x-25˘ ∠C=∠A=120˘, ∠D=∠B=60˘
=180˘ ∠C=120˘, ∠D=60˘
∴ ∠y=55˘
⑴ ∠x=140˘, ∠y=102˘ ⑵ ∠x=30˘, ∠y=55˘ 13 시침과 분침은 1분에 각각 0.5˘, 6˘씩 회전한다.
7시와 8시 사이에 시침과 분침이 일직선을 이루는 시
09 평면 위의 두 직선이 다른 한 직선과 만나서 생기는 각 중
에서 서로 같은 위치에 있는 두 각을 동위각, 엇갈린 위치에 있는
각을 7시 x분이라 하면 시침은 210˘+0.5˘_x만큼
두 각을 엇각이라 한다. 회전한 상태이고 분침은 6˘_x만큼 회전한 상태이다.
두 직선과 만나는 다른 한 직선을 서로 다르게 잡아 생 일직선을 이루려면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도가 180˘
각한다. 이므로
⑴ 직선 EH와 직선 FI가 다른 한 직선 DG와 만날 210˘+0.5˘_x=6˘_x+180˘이다.
때:∠DAC 6˘_x-0.5˘_x=30˘
직선 DG와 직선 EH가 다른 한 직선 FI와 만날 5.5˘_x=30˘
때:∠ACI 30
x= =;1^1);=5;1∞1;
5.5
⑵ 직선 DG와 직선 FI가 다른 한 직선 EH와 만날
따라서 7시와 8시 사이에 시침과 분침이 일직선을 이
때:∠DAC
직선 EH와 직선 DG가 다른 한 직선 FI와 만날 루는 시각은 7시 5;1∞1;분이다. 7시 5;1∞1;분
때:∠CBG
⑶ (∠EAD의 맞꼭지각)=∠BAC 14 평행한 두 직선에서 엇각의 크기는 같다.
직선 DG와 직선 FI가 다른 한 직선 EH와 만날 점 C를 지나면서 직선 l에 평행 B A
l
때:∠ACI 한 직선 n을 그으면
직선 EH와 직선 FI가 다른 한 직선 DG와 만날 ∠ABC=∠BCF(∵ 엇각) n
F C
때:∠ABF ∠FCD=∠CDE(∵ 엇각) m
D E
⑴ ∠DAC, ∠ACI ⑵ ∠DAC, ∠CBG △BDC에서
⑶ ∠ACI, ∠ABF ∠DBC+∠BCF+∠FCD+∠CDB=180˘

16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31~33쪽

∠BCF+∠FCD=90˘ 18 평행한 두 직선에서 동측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


∴ ∠x=90˘ ∠PQR=2∠SQR이므로

∠SQR=;2!;∠PQR=;2!;_(10˘+50˘)=30˘ I
∠ABC=∠a, ∠EDC=∠b라 하면 l//m이므로
ST”//QR”이므로 ∠TSQ+∠SQR=180˘ 기
∠ABD+∠BDE=180˘ 본
∴ ∠TSQ=180˘-30˘=150˘ 150˘ 도
2∠a+2∠b=180˘ 형
∴ ∠a+∠b=90˘
l//m이므로 19 평행한 두 직선에서 엇각의 크기는 같다.
∠x=∠ABC+∠CDE=∠a+∠b=90˘ 90˘ ⑴ ∠y=180˘-145˘=35˘
∠x=180˘-(60˘-30˘)-(75˘-35˘)=110˘
15 동위각의 크기가 같은 두 직선은 평행하다.
⑵ ∠x=180˘-(80˘+45˘)=55˘
직선 l, m을 제외한 두 직선
l
z 50˘ ∠y=45˘
을 각각 n, k라 하면 n y
∠z=180˘-(45˘+30˘)=105˘
두 직선 n, k의 동위각의 크 k 130˘ x y
⑴ ∠x=110˘, ∠y=35˘
기가 같으므로 n//k이고, 130˘
115˘ z ⑵ ∠x=55˘, ∠y=45˘, ∠z=105˘
∠x+∠y=180˘이다. m
60˘
∠z=180˘-60˘=120˘
∴ ∠x+∠y+∠z=300˘ 300˘ 20 ⑵
a l
평행한 두 직선 l, m에서
d ∠a+ ∠b+ ∠c= ∠d+ ∠e 이
b
다.
16 평행한 두 직선에서 동측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 c
e
m
l//m이므로 ∠EDC+∠BCD=180˘(∵ 동측내각)
⑴ ∠BCD=∠ABC=45˘(∵ 엇각)
에서
△ECD에서 ∠x+∠ECD=75˘
∠BCD=180˘-(21˘+35˘)=124˘
∴ ∠x=30˘
∠BCE=∠ECD=∠DEC=62˘
⑵ 50˘+80˘+30˘=90˘+∠x 50˘
∴ ∠x=180˘-62˘=118˘ 118˘ 50˘
l
∴ ∠x=70˘
80˘
17 동위각의 크기가 같은 두 직선은 평행하다.
30˘
x
m
∠ABD=60˘이고 l n 30˘
A m
∠CDF=62˘ 로 동위각의 C E ⑴ 30˘ ⑵ 70˘
60˘ 118˘
크기가 같지 않으므로 두 62˘ 118˘
B k
j D 62˘ F G
직선 l ,m 은 평행하지 않 L 21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의 크기를 구할 때, 시
다. 62˘ 110˘ H
O i 침과 분침이 회전한 각도의 차가 180˘보다 큰 경우 360˘에서 빼
P
∠CDB= ∠EFD=118˘ 서 구한다.
로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두 직선 m, n은 평행하 ⑴ |30˘_1-5.5˘_25|=|30˘-137.5˘|
다. =|-107.5˘|=107.5˘
두 직선 m, n은 평행하고, 두 직선 l, m은 평행하지 ⑵ |30˘_3-5.5˘_45|=|90˘-247.5˘|
않으므로 두 직선 l, n은 평행하지 않다. =|-157.5˘|=157.5˘
∠EFD=118˘이고 ∠FHL=110˘로 동위각의 크기 ⑶ |30˘_2-5.5˘_55|=|60˘-302.5˘|
가 같지 않으므로 두 직선 k, j는 평행하지 않다. =|-242.5˘|=242.5˘
∠CDF=∠LOP=62˘로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각의 크기가 180˘보다 크므로 구하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k, i는 평행하다. 360˘-242.5˘=117.5˘이다.
두 직선 k, i는 평행하고 두 직선 k, j는 평행하지 않으 ⑷ |30˘_6-5.5˘_30|=|180˘-165˘|
므로 두 직선 i, j는 평행하지 않다. =|15˘|=15˘
따라서 m//n이고, k//i이다. m//n, k//i ⑴ 107.5˘ ⑵ 157.5˘ ⑶ 117.5˘ ⑷ 15˘

Ⅰ. 기본 도형 17
이해 쏙쏙술술풀이

22 2x˘+20˘ 3단계
l



x˘+10˘
160˘-2x˘ AStep p. 34 ~ 35

m 1 78개 2 ∠x=76˘, ∠y=68˘ 3 8시 24분


x˘-10˘ x˘-10˘
n 4 20˘ 5 100˘ 6 20˘ 7 9˘
x˘-10˘
8 283˘
160˘-2x˘+x˘+10˘=x˘+x˘-10˘
∴ x=60 … 60`%

y˘+(x˘-10˘)=x˘+10˘
1 직선을 하나씩 그릴 때 먼저 있던 직선과 모두 교점이
생기도록 그어야 교점의 개수가 최대가 된다.
∴ y=20 … 40`%
직선이 1개일 때:0개
x=60, y=20
직선이 2개일 때:1개
채점 기준 배점
x의 값 구하기 60`%
직선이 3개일 때:1+2=3(개)
y의 값 구하기 40`% 직선이 4개일 때:1+2+3=6(개)

따라서 직선이 13개이면 교점의 개수는
23 평행한 보조선을 그어 해결한다. 1+2+3+…+11+12=78(개)이다. 78개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160˘
l
l, m에 평행한 직선 n, k를 n ㉠ 20˘ 2 D A
㉡ 36˘ l
그으면 k ㉢ E
x
x y
㉠=160˘-20˘=140˘ m
F
㉡=180˘-㉠=180˘-140˘=40˘ 50˘ 18˘ m
50˘ B C
㉢=70˘-㉡=70˘-40˘=30˘
∴ ∠x=㉢=30˘(∵ 엇각) 30˘ l//m이므로
∠ADC=∠DCB=36˘
∴ ∠FCB=18˘, ∠ACB=18˘_3=54˘
24 정사각형의 대각선과 한 변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45˘이
다. △ABC에서
∠EAD+∠DCF=∠ADC=90˘이고 ∠x=180˘-(50˘+54˘)=76˘
∠EAD:∠DCF=11:4이므로 △FBC에서
4 ∠y=50˘+18˘=68˘
∠DCF=90˘_ =24˘
11+4 ∠x=76˘, ∠y=68˘
△DCF에서 ∠BDC=45˘이므로
∠CFD=45˘-24˘=21˘ 21˘ 3 구하는 시각을 8시 x분이라 하고 시계를 그렸을 때 큰
각에서 작은 각을 뺀 각의 크기가 모두 0˘ 이상 180˘
이하이므로
25 종이를 접을 때, 접은 각의 크기는 같다.
⁄ 30_8-5.5x=108 ∴ x=24
B'
A' ¤ 30_8-5.5x=-108 ∴ x=63.27…
Q R
˙k 8시와 9시 사이가 아니다.
A D
P x
40˘ 50˘ x
B 40˘ C 따라서 구하는 시각은 8시 24분이다. 8시 24분
D' S

C' 4 ∠AFE=∠ABE=50˘이고 ABCD는 평행사변


∠PD'Q=∠PD'B=40˘(∵ 접은 각)이므로 형이므로 ∠BAD=180˘-50˘=130˘이다.
∠BD'R=40˘+40˘+50˘=130˘ ∠FAE=∠BAE이므로
∠BD'R=∠D'RD`(∵ 엇각)이고 ∠x=(130˘-10˘)÷2=60˘
∠D'RS=∠SRD(∵ 접은 각)이므로 ∠AEB=∠EAD=∠x+10˘=70˘이므로
∠x+∠x=130˘ ∠y=180˘-70˘_2=40˘
∴ ∠x=65˘ 65˘ ∴ ∠x-∠y=60˘-40˘=20˘ 20˘

18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33~40쪽

5 점 B를 지나면서 직선 l에
A 60˘
8 180˘-b a
l
l 180˘-c b
평행한 직선 n을 그으면 30˘ C c 180˘-c
c
x D n
∠CDB=50˘(∵ 동위각) 3a+b
B a 180˘+a-b 26˘
30˘ 50˘ m I
∠ABD=60˘(∵ 동위각) 50˘ E 360˘+a-b-c
m 540˘+a-b-2c 기
∠CBD=60˘-30˘=30˘ 본
540˘+∠a-∠b-2∠c+26˘=3∠a+∠b 도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므로 형
566˘=2∠a+2∠b+2∠c
∠x+30˘+50˘=180˘
∴ ∠a+∠b+∠c=283˘ 283˘
∴ ∠x=100˘

점 P를 지나도록 연장선을
60˘
그으면 PQRS 의 내각 30˘ S l
P x
의 크기의 합은 360˘이므
150˘
로 60˘ 50˘
Ⅰ 기본 도형 2. 위치 관계
m
∠x=360˘-150˘ Q R

=-60˘-50˘ 1 위치 관계
=100˘ p. 36 ~ 40

100˘ 직선 l 위에 있는 점:점 B, 점 C
1
직선 m 위에 있지 않은 점:점 A, 점 C, 점 E
따라서 직선 l 위에는 있고 직선 m 위에는 없는 점은
점 C이다.
6
111˘ 63˘ 70˘ ③
l
㉠ ㉠ 70˘ ㉡
x
2 ⑴ AB”와 한 점 A에서 만나는 변은 AD”이고, 한 점 B

에서 만나는 변은 BC”이다.
m
42˘ ⑵ 사다리꼴이므로 AD”와 BC”가 평행하다.
㉠=111˘-63˘=48˘ ⑴ AD”, BC” ⑵ BC”
㉡=48˘+70˘=118˘
3 ⑴ 모서리 AB와 평행한 모서리는 DC”, EF”, HG”이
∴ ∠x=180˘-(42˘+118˘)=20˘ 20˘
다.
⑵ 모서리 CG와 만나지도, 평행하지도 않은 모서리는
AB”, EF”, AD”, EH”이다.
7 ∠PAB=3∠a, ∠BAC=∠a라 하고 ⑴ DC”, EF”, HG” ⑵ AB”, EF”, AD”, EH”
∠BCA=3∠b, ∠BCR=∠b라 하면
∠PAC=4∠a, ∠ACR=4∠b에서 4 ⑴ 모서리 AD와 평행한 면은 면 BFGC, 면 EFGH
4∠a+4∠b=180˘ 이다.
∴ ∠a+∠b=45˘ ……㉠ ⑵ DH”⊥EH”, DH”⊥HG”이므로 점 D와 면 EFGH
△ABC는 AB”=AC”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사이의 거리는 DH”=CG”=3`cm이다.
∠ABC=∠ACB=3∠b이고 ⑴ 면 BFGC, 면 EFGH ⑵ 3`cm
∠ABC=∠PAB+∠BCR=3∠a+∠b이므로
5 ⑴ 면 ABCD에 수직인 AE”, BF”, CG”, DH”를 포함하
3∠b=3∠a+∠b에서
는 면 ABFE, 면 BFGC, 면 CGHD, 면 AEHD
∠a=;3@;∠b ……㉡ 가 면 ABCD에 수직인 면이다.
㉠, ㉡에서 ∠a=18˘, ∠b=27˘ ⑵ 면 AEHD와 수직인 면은 면 ABCD, 면 ABFE,
∴ ∠BCR-∠BAC=27˘-18˘=9˘ 9˘ 면 EFGH, 면 CGHD인데 이 중 BC”를 포함하는

Ⅰ. 기본 도형 19
이해 쏙쏙술술풀이

면은 면 ABCD이다. 04 ㅂ.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은 한 평면 위에 있지 않


⑴ 면 ABFE, 면 BFGC, 면 CGHD, 면 AEHD 다. ㅂ
⑵ 면 ABCD
05 ⑴ 한 직선에 평행한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다.
∴ l//n
⑵ 평행한 두 직선 중 한 직선이 어떤 직선과 수직이면
다른 한 직선도 그 직선과 수직이다. ∴ l⊥n
1단계 ⑶ 한 직선에 수직인 두 직선은 평행하다. ∴ l//n
C Step p. 41~ 46
⑴ l//n ⑵ l⊥n ⑶ l//n
01 점 A, 점 B, 점 E 02 ⑤
03 ⑴ 점 C, 점 G ⑵ AE”, EF”, EH” ⑶ 면 ABCD, 06 ① ABÍ와 CDÍ는 평행하지 않으므로 한 점에서 만난다.
면 AEHD, 면 CGHD ⑷ 점 A, 점 B, 점 F, 점 E ② CDÍ와 DEÍ는 한 점에서 만나지만 수직으로 만나지
04 ㅂ 05 ⑴ l//n ⑵ l⊥n ⑶ l//n 는 않는다.
06 ③ 07 ③ 08 ④ 09 1개 ④ DEÍ와 EFÍ의 교점은 점 E이다.
10 4개 11 ③, ④ 12 ⑴ AE” ⑵ BG”, CH” ⑤ 점 C에서 DEÍ에 내린 수선의 발이 점 D가 아니므
13 ①, ④ 14 10 15 ⑴ 면 ABCD, 면 AEHD 로 점 C와 DEÍ 사이의 거리는 CD”가 아니다.
⑵ 면 ABCD, 면 EFGH ⑶ 면 ABCD, 면 BFGC

16 ⑤ 17 l//m 18 ⑴ AE”, BF”, CG”, DH”
⑵ 2`cm 19 13 `20 ② 21 3쌍
07 ① 점 C와 ABÍ 사이의 거리는 BC”가 아니므로 8`cm
22 ⑴ 면 AGLF, 면 BHIC, 면 ABCDEF, 면 GHIJKL
가 아니다.
⑵ 면 ABCDEF, 면 GHIJKL 23 ⑴ 7`cm
② ABÍ와 ADÍ는 수직으로 만나지 않는다.
⑵ 4`cm ⑶ 6`cm 24 ⑴ Q//R ⑵ Q⊥R
③ ADÍ와 BCÍ는 평행하므로 만나지 않는다.
25 ① 26 ③ 27 ②, ⑤ 28 ③
④ ADÍ와 CDÍ는 수직으로 한 점에서 만난다.
29 BE”, DE” 30 ⑴ 2개 ⑵ 4개 ⑶ 꼬인 위치에 있다.
31 ① 32 ④ 33 ⑴ ⊥ ⑵ // ⑶ ⊥ ⑷ ⊥ ⑤ ∠BAD+90˘이므로 점 B에서 ADÍ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A가 아니다. ③
01 변 CD 밖에 있는 꼭짓점은 변 CD를 지나지 않는 점
으로 점 A, 점 B, 점 E이다. 점 A, 점 B, 점 E 08 ④ 서로 평행하지도 않고 만나지도 않는 두 직선은 공
간에서만 존재하므로 평면을 결정할 수 없다. ④
02 ⑤ 점 B는 직선 m 위에 있지 않으므로 직선 m은 점
B를 지나지 않는다. ⑤ 09 한 직선과 그 직선 밖의 한 점은 오직 하나의 평면을
결정한다. 1개
03 ⑴ A D ⑵ A D

C C
10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D
B B
E
H
E
H 은 한 평면을 결정한다. 네 점
F G F G A, B, C, D 중 세 점으로 결 A
C
∴ 점 C, 점 G ∴ AE”, EF”, EH” 정되는 서로 다른 평면의 개수
B
⑶ A D ⑷ A D 는 평면 ABC, ABD, ACD,

B C B C BCD의 4개이다. 4개
H H
E E
F G F G 11 ① 서로 만나지 않는 두 직선은 평행하거나 꼬인 위치
∴ 면 ABCD, 면 AEHD, ∴ 점 A, 점 B, 에 있다.
면 CGHD 점 F, 점 E ② 한 직선에 수직인 서로 다른 두 직선은 평행하거나
⑴ 점 C, 점 G ⑵ AE”, EF”, EH” 만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⑶ 면 ABCD, 면 AEHD, 면 CGHD ⑤ 수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은 한 평면 위에 있다.
⑷ 점 A , 점 B , 점 F, 점 E ③, ④

20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41~45쪽

12 ⑴ A 모서리 FJ 와 평행한 모서리는 ⑤ FH”와 면 ABCD는 평행하다. ⑤


B E AE”이다.
C
F
D 17 한 평면에 수직인 두 직선은 서로 l m
J 평행하다. I
G

∴ l//m P 본
H I

⑵ A 모서리 BC와 수직인 모서리는 형
l//m
B E BG”, CH”이다.
C D
F 18 ⑴ 면 ABCD와 한 점에서 만나는 모서리는 AE”,
G J
BF”, CG”, DH”이고 모두 면 ABCD에 수직이다.
H I ⑴ AE” ⑵ BG”, CH” ⑵ 모서리 DH는 면 EFGH에 수직이므로 DH”의 길
이가 점 D와 면 EFGH 사이의 거리이다.
13 ① AD”와 만나는 모서리는 AB”, AE”, DC”, DH”의 4 ∴ 2`cm
개이다.
⑴ AE”, BF”, CG”, DH” ⑵ 2`cm
② 모서리 CG와 평행한 모서리는 AE”, BF”, DH”의 3
개이다. 19 점 B와 면 DEF 사이의 거리는 CF”의 길이와 같다.
③ BF”와 FG”는 한 점 F에서 만난다. ∴ a=8 … 45`%
④ EH”와 CG”는 꼬인 위치에 있다. ①, ④ 점 B와 면 ADFC 사이의 거리는 AB”의 길이와 같다.
∴ b=5 … 45`%
14 AC”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BF”, DH”, EF”, ∴ a+b=8+5=13 … 10`%
FG”, GH”, HE”의 6개이다.
13
∴ a=6 … 45`%
채점 기준 배점
AE”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BC”, CD”, FG”, a의 값 구하기 45`%
GH”의 4개이다. b의 값 구하기 45`%
a+b의 값 구하기 10`%
∴ b=4 … 45`%

∴ a+b=6+4=10 … 10`%
20 점 D와 면 BCFE 사이의 거리는 점 D에서
10
면 BCFE에 내린 수선의 발 E까지의 거리와 같으므
채점 기준 배점
a의 값 구하기 45`% 로 DE”, AB”이다. ②
b의 값 구하기 45`%
a+b의 값 구하기 10`% 21 서로 만나지 않는 면이 서로 평행한 면이다.
따라서 면 ABCD와 면 EFGH, 면 AEHD와
15 ⑴ 모서리 AD는 면 ABCD와 면 AEHD 위에 있으 면 BFGC, 면 ABFE와 면 CGHD가 서로 평행하므
므로 모서리 AD를 포함하는 면은 면 ABCD, 면 로 3쌍이다. 3쌍
AEHD이다.
⑵ 모서리 BF와 점 B에서 만나는 면은 면 ABCD이 22 ⑴ 면 AGHB와 만나는 면은 면 AGLF, 면 BHIC,
고 점 F에서 만나는 면은 면 EFGH이다. 면 ABCDEF, 면 GHIJKL이다.
⑶ 모서리 EH와 만나지 않는 면은 면 ABCD, 면 ⑵ 면 BHIC와 수직인 면은 면 ABCDEF,
BFGC이다. 면 GHIJKL이고 둘 다 면 FLKE와 만난다.
⑴ 면 ABCD, 면 AEHD ⑴ 면 AGLF, 면 BHIC, 면 ABCDEF,
⑵ 면 ABCD, 면 EFGH ⑴ 면 GHIJKL
⑶ 면 ABCD, 면 BFGC ⑵ 면 ABCDEF, 면 GHIJKL

16 ③ FH”를 포함하는 면은 면 EFGH의 1개이다. 23 ⑴ 면 ABCD와 면 EFGH 사이의 거리는 CG”의 길


④ FH”와 한 점에서 만나는 면은 면 ABFE, 이와 같다. ∴ 7`cm
면 AEHD, 면 BFGC, 면 CGHD의 4개이다. ⑵ 면 AEHD와 평행한 면은 면 BFGC이고, 두 면

Ⅰ. 기본 도형 21
이해 쏙쏙술술풀이

사이의 거리는 GH”의 길이와 같다. ∴ 4`cm 29 주어진 전개도를 접어서 만든 사각 A


⑶ 면 ABFE와 평행한 면은 면 CGHD이고 두 면 사 뿔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모서리
이의 거리는 FG”의 길이와 같다. ∴ 6`cm AC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E D
⑴ 7`cm ⑵ 4`cm ⑶ 6`cm BE”, DE”이다.
B
C
BE”, DE”
24 ⑴ 한 평면에 평행한 두 평면은 항상
P
평행하다. Q 30 주어진 전개도를 접어서 만든 M(A, I) L(J)
∴ Q//R 정육면체는 오른쪽 그림과 D(B, H)
R E(G)
같다. N K
⑵ 한 평면에 평행한 평면과 수직인
R ⑴ AN”과 수직으로 만나는 C
F
평면은 서로 수직이다.
P 면은 면 MDEL, 면 NCFK의 2개이다. … 20`%
∴ Q⊥R
⑵ NK”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DM”, EL”, DC”,
Q
EF”의 4개이다. … 40`%

⑶ AC”와 DF”는 만나지도 평행하지도 않으므로 꼬인


⑴ Q//R ⑵ Q⊥R 위치에 있다. … 40`%

⑴ 2개 ⑵ 4개 ⑶ 꼬인 위치에 있다.
25 모서리 CG와 수직인 면은 면 ABCD, 면 EFGH의 2 채점 기준 배점
개이다. ① ⑴ 구하기 20`%
⑵ 구하기 40`%
⑶ 구하기 40`%

26 ① 면 ABCD와 평행한 모서리는 EF”, FG”, GH”, HE”


의 4개이다. 31 ① l과 m은 한 점에서 만나거나 꼬인 위치에 있을 수
② DH”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B”, BC”, EF”, 도 있다. ①
FG”, BF”의 5개이다.
③ BC”와 평행한 면은 면 AEHD, 면 EFGH의 2개 32 ① 수직으로 만날 수도 있다.
이다. ② 꼬인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④ 면 ABCD와 수직인 면은 면 AEHD, 면 AEFB, ③ 평행할 수도 있다.
면 DHGC의 3개이다. ⑤ 만날 수도 있다. ④
⑤ 면 EFGH와 수직인 모서리는 AE”, DH”의 2개이
다.
33 ⑴ l⊥P, P//Q이면 l⊥Q이다.
⑵ P⊥l, P⊥m이면 l//m이다.

⑶ P//Q, Q⊥R이면 P⊥R이다.
⑷ P⊥Q, P//R이면 Q⊥R이다.
27 ② 면 DEFG와 수직인 면은 면 ABED, 면 BEF, 면 ⑴ ⊥ ⑵ // ⑶ ⊥ ⑷ ⊥
CFG, 면 ADGC의 4개이다.
⑤ 두 평면이 평행한 경우에만 평면 사이의 거리를 구
할 수 있다.
2단계
②, ⑤
B Step p. 47 ~ 49

01 ③ 02 5 03 11개 04 ③
28 주어진 전개도를 접어 만든 삼각기둥은 J H
05 ⑴ 꼬인 위치에 있다. ⑵ 한 점에서 만난다.
오른쪽 그림과 같다. A(I, G) 06 ③ 07 ⑴ 2개 ⑵ 2개 ⑶ 4개 08 ①
따라서 면 HEFG와 평행한 모서리는 C E 09 ⑤ 10 ② 11 ③ 12 ⑤
JC”이다. 13 11 14 ②, ④ 15 8개 16 ①
B(D, F)
17 ⑤ 18 10

22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45~49쪽

01 점 P는 직선 l 위에 있지 않다. ˙k 직선 l은 점 P를 지 ⑶ AB”, AD”, EF”, EH””의 4개


나지 않는다. ⑴ 2개 ⑵ 2개 ⑶ 4개
① 점 C를 지나는 직선은 l과 m이다.
I
② 직선 l은 점 F를 지나지 않는다. 08 BG”는 AB”와 수직인 모서리가 아니다.

④ 세 점 B, C, F를 모두 지나는 직선은 없다. ㄱ. AB”와 수직인 모서리는 AD”, AE”, BC”, BF”의 4개 본
⑤ 점 A는 직선 l 위에 있으나 점 E는 직선 l 위에 있 ㄴ. BG” 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D” , EH” , 도

지 않다. ③ AE”, DH”, CD”, EF”의 6개
ㄷ. AD”와 평행한 면은 면 BFGC, 면 EFGH의 2개
02 변의 연장선 중에서 GHÍ와 한 점에서 만나는 직선은 ①
ABÍ, BCÍ, DEÍ, EFÍ, FGÍ, HAÍ의 6개이므로
a=6이다. … 45`% 09 주어진 입체도형에서는 FB”와 만나지 않는 모서리는 모두
FB”와 꼬인 위치에 있다.
GHÍ와 평행한 직선은 CDÍ뿐이므로 b=1이다. … 45`%
F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EH”, GH”, AE”,
∴ a-b=6-1=5 … 10`%
CH”, AC”의 5개이다. ⑤
5
채점 기준 배점
a의 값 구하기 45`%
10 주어진 조건으로 나올 수 있는 위치 관계가 한 가지가 아
닐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b의 값 구하기 45`%
a-b의 값 구하기 10`% ① l//m, l//n이면 m//n이다.
③ l//m, l⊥n이면 두 직선 m, n은 수직으로 만나거
03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서로 다른 세 점은 한 평면을 결 나 꼬인 위치에 있다.
정한다.
④ l⊥m, l⊥n이면 두 직선 m, n은 평행하거나 한
평면 P 위의 두 점과 점 A를 지나는 평면은 면 ABC, 점에서 만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면 ABD, 면 ABE, 면 ABF, 면 ACD, 면 ACE, ⑤ l⊥m, m⊥n이면 두 직선 l, n은 평행하거나 한
면 ACF, 면 ADE, 면 ADF, 면 AEF의 10개이고, 점에서 만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②
5개의 점 B, C, D, E, F 중 세 점으로 만들어지는 평
면은 평면 P의 1개이므로 모두 11개이다. 11개 11 공간에서 서로 다른 두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나거나 평행하
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04 평면에서 일치하거나 평행하지 않는 두 직선은 한 점에서 ㄱ. 평행하지 않은 두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나거나 꼬인
만난다. 위치에 있다.
③ 점 B를 지나고 직선 l에 수직인 직선은 오직 한 개 ㄷ. 한 평면에 평행한 서로 다른 두 직선은 평행하거나
이다. ③ 한 점에서 만난다.
ㅁ. 한 직선과 꼬인 위치에 있는 서로 다른 두 직선은
05 공간에서 두 직선이 만나지도, 평행하지도 않을 때 두 직
선은 꼬인 위치에 있다고 한다. 평행하거나 한 점에서 만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⑴ AD”와 BC”는 평행하지도 만나지도 않으므로 꼬인 ③
위치에 있다.
12 공간에서 두 평면은 일치하거나 한 직선에서 만나거나 평
⑵ 면 ACD와 모서리 BD는 점 D에서 만난다. 행하다.
⑴ 꼬인 위치에 있다. ⑵ 한 점에서 만난다. ① P⊥Q, R⊥Q이면 두 평면 P, R는 평행하거나 만
난다.
06 꼬인 위치는 공간에서 직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에서만 존
재한다. ② P//Q, Q⊥R이면 P⊥R이다.
③ 한 점에서 만날 수도 있다. ③ ③ P//Q, Q//R이면 P//R이다.
④ P⊥Q, P⊥R이면 두 평면 Q, R는 평행하거나 만
07 AEGC는 직사각형임을 생각하여 AC”와 수직인 모서 난다. ⑤
리를 찾는다.
⑴ 면 BFGC, 면 EFGH의 2개 13 BC”와 평행한 모서리는 윗면에 1개, 아랫면에 2개이다.
⑵ AE”, CG”의 2개 BC”와 평행한 모서리는 FE”, HI”, LK”의 3개이고,

Ⅰ. 기본 도형 23
이해 쏙쏙술술풀이

AF”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BH”, CI”, DJ”, EK”, 면 AEHD와 평행한 모서리는 BC”, FG”, BF”, CG”의
GH”, HI”, JK”, KL”의 8개이다. 4개이므로 b=4 … 30`%

∴ a+b=3+8=11 11 모서리 AE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BC”, CD”,


FG”, GH”의 4개이므로 c=4 … 30`%
14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은 평행하지도 만나지도 않는다. ∴ a+b+c=10 … 10`%
① 모서리 AB와 모서리 AE를 동시에 포함하는 면은 10
면 ABFE뿐이다. 채점 기준 배점
② 면 BFGC와 평행한 모서리는 AD”, AE”, EH”, a의 값 구하기 30`%
b의 값 구하기 30`%
HD”의 4개이다. c의 값 구하기 30`%
③ 면 EFGH와 수직인 모서리는 AE”, BF”, CG”, DH” a+b+c의 값 구하기 10`%

의 4개이다.
④ 면 AEGC와 평행한 모서리는 BF”, DH”의 2개이
다. 3단계

⑤ EG”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B”, BC”, CD”, AStep p. 50 ~ 51

DA”, BF”, DH”의 6개이다. ②, ④ 1③ 28 3 5개 4 13


5 14개 6 9개
[15
~16] 문제의 전개도를 이용하 N(L) 6 cm A(K, I)
여 사각기둥을 만들면 오른쪽 M
J 1 ① AD”=CF”=4`cm
E B(H) ② AB”, BC”, AC”의 3개
그림과 같다. 7 cm
4 cm
D(F) C(G) ③ AD”, DE”, DF”의 3개
12 cm
15 전개도를 접은 모양을 생각 ④ 면 ABC, 면 DEF의 2개
하여 조건에 맞는 모서리를 찾는다. ⑤ 평행하다. ③
면 ABEN과 한 점에서 만나는 모서리의 개수는 AJ”,
BC”, NM”, ED”의 4개, 면 LMJK와 평행한 모서리의 2 AB”와 수직인 모서리는 AD”, AE”, BF”, BG”의 4개이
개수는 ED”, DC”, CB”, BE”의 4개이다. 므로 a=4,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DG”,
∴ 4+4=8(개) 8개 DH”, EH”, FG”의 4개이므로 b=4이다.
∴ a+b=4+4=8 8
16 직선과 면 사이의 수직 거리를 구한다.
BE”와 면 MFGJ 사이의 거리는 LK”와 MJ” 사이의 거 3 주어진 전개도로 정육면체를 만 ㉠
리와 같으므로 4`cm이다. ① 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A ㉢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것은
17 공간에서 평행하지도, 만나지도 않는 두 직선은 서로 꼬인 ㉡ ㉣
㉠, ㉡, ㉢, ㉣, ㉤의 5개이다.
위치에 있다고 한다.
㉤ B
① AB”와 수직으로 만나는 모서리는 AG”와 BH”이다. 5개
② EK”와 평행한 모서리는 DJ”, CI”, BH”, AG”, FL”의
5개이다. 4 모서리 IJ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D”, BC”,
③ HI”와 만나는 모서리는 BH”, CI”, GH”, IJ”의 4개이 AE”, BF”, EH”, FG”, KG”, LH”의 8개이므로 a=8이
다. 다.
④ KE”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B”, AF”, BC”, 모서리 IL과 평행한 모서리는 AD”, BC”, JK”, EH”,
CD”, GL”, GH”, HI”, IJ”의 8개이다. FG”의 5개이므로 b=5이다.
⑤ KJ”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F”, FE”, BC”, ∴ a+b=8+5=13 13
CD”, AG”, FL”, BH”, CI”의 8개이다. ⑤
5 6개의 점 A, B, C, D, E, F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
18 면 AEHD와 수직인 모서리는 AB”, EF”의 2개이므로 은 평면 P의 1개이고, 점 A, B, C, D, E, F의 점 중
a=2 … 30`% 2개와 점 Q로 이루어지는 평면은 점 A, B, C, D, E,

24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49~59쪽

F로 만들 수 있는 직선의 개수와 같으므로 13개이 5 1. ∠C와 크기가 같은 각 ∠PCQ를 작도한다.


다.(ABÍ, ACÍ, ADÍ, AEÍ, AFÍ, BCÍ, BDÍ, BEÍ, BFÍ, 2. 점 C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b인 원을 그려
CDÍ, CEÍ, DEÍ, EFÍ) CP≥와의 교점을 A라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a인 원
I
따라서 14개의 평면을 만들 수 있다. 14개 을 그려 CQ≥와의 교점을 B라 한다.

3. 점 A와 C를 이으면 △ABC가 된다. 본
6 AI”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BC”, CD”, DE”, FJ”, ∴ ③ `⁄`② `⁄`① ③ `⁄`② `⁄`① 도

GH”, BG”, CH”, EJ”, GF”의 9개이다. 9개
6 1. 직선 l 위에 주어진 선분과 길이가 같은 BC”를 작도
한다.
2. ∠B, ∠C와 크기가 같은 각을 각각 작도한다.
3. 2에서의 교점을 A라 하면 △ABC가 된다.
∴ ③ `⁄`② `⁄`① ③ `⁄`② `⁄`①

7 △ABC™△DEF이므로
Ⅰ 기본 도형 3. 작도와 합동
A D
3 cm 4 cm 3 cm 4 cm
1 작도와 합동
B C E F
p. 52 ~ 64 5 cm 5 cm
∴ (△DEF의 둘레의 길이)=3+4+5=12(cm)
1 ③ 선분의 길이를 연장할 때는 자를 사용한다.
12`cm
④ 두 선분의 길이를 비교할 때는 컴퍼스를 사용한다.
③, ④ 8 △ABO와 △DCO에서
AO”=DO”, BO”=CO”이고
2 ④
∠AOB=∠DOC(∵ 맞꼭지각)이므로
A ③
X
C
△ABO™△DCO(SAS 합동)이다.
O △ABD와 △DCA에서
D①B P ② YQ
AB”=DC”,
① 점 O를 중심으로 적당한 원을 그려 OA≥, OB≥와의
∠ABD=∠DCA(∵ △ABO™△DCO)
교점을 각각 C, D라 한다.
BD”=CA”이므로
② 점 P를 중심으로 OC”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ABD™△DCA(SAS 합동)이다.
을 그려 P’Q≤와의 교점을 Y라 한다.
△ABC와 △DCB에서`
③ 점 Y를 중심으로 CD”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AB”=DC”`(∵ △ABO™△DCO),
원을 그려 ②에서 그린 원과의 교점을 X라 한다.
CA”=BD”, BC”는 공통이므로
④ 두 점 X와 P를 잇는 반직선을 그으면 ∠XPY가
△ABC™△DCB(SSS 합동)이다.
∠AOB와 크기가 같은 각이다.
풀이 참조
△ABD와 △DCA에서
3 ③ 4+5<10이므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될 수 AB”=DC”`(∵ △ABO™△DCO),
없다. ③ BD”=CA”, AD”는 공통이므로
△ABD™△DCA(SSS 합동)이다.
4 1. 직선 l 위에 길이가 a인 선분 BC를 작도한다. △ABC와 △DCB에서 AB”=DC”,
2. 점 B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c인 원을 그리 ∠BAC=∠CDB(∵ △ABO™△DCO),
고, 점 C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b인 원을 그 AC”=DB”이므로
려 그 교점을 A라 한다. △ABC™△DCB(SAS 합동)이다.
3. 점 A와 B, 점 A와 C를 이으면 △ABC가 된다. △ABO™△DCO, △ABD™△DCA,
∴ ① `⁄`③ `⁄`② ① `⁄`③ `⁄`② △ABC™△DCB

Ⅰ. 기본 도형 25
이해 쏙쏙술술풀이

9 ⑴ △ADC와 △ABE에서 ⑴ ① `⁄`⑤ `⁄`④ `⁄`③ `⁄`②


△DBA와 △ACE는 정삼각형이므로 ⑵ 엇각의 크기가 같으면 두 직선은 평행하다.
AD”=AB”, AC”=AE”이고
∠DAC=60˘+∠BAC=∠BAE 13 45˘는 90˘의 반이므로 ∠AOB의 이 ③
A ②
∴ △ADC™△ABE(SAS 합동) 등분선을 작도하면 된다. P
C
⑵ D ① 점 O를 중심으로 원을 그려
a E OA≥, OB≥와의 교점을 각각 C, D O D B

A
a
라 한다.
Q
② 두 점 C, D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B C
각각 그려 만나는 교점을 P라 한다.
△ADC™△ABE이므로
③ 두 점 O, P를 잇는 직선을 그으면 OP≥가 ∠AOB
∠ACD=∠AEB=∠a라 하면
의 이등분선이다.
△EQC에서 ∠QEC=60˘-∠a,
풀이 참조
∠ECQ=60˘+∠a
∴ ∠EQC=180˘-(∠QEC+∠ECQ)
1단계
=180˘-(60˘-∠a+60˘+∠a)
=180˘-120˘=60˘ C Step p. 65 ~ 71

01 ③ 02 ①, ③ 03 ③
⑴ SAS 합동 ⑵ 60˘
04 ① ⁄`② ⁄`③ (또는 ② ⁄`① ⁄`③)
05 ① ⁄`③ `⁄`② ⁄`④ ⁄`⑤ 06 ③
10 AB”의 수직이등분선과 직선 l과 ③
② 07 ⑤ 08 3<x<15 09 ①
의 교점 P를 구한다. ②
B 10 AB”, ∠A, ∠B, C, C 11 ③ 12 ③
① AB”를 긋는다. ①
13 ㄷ, ㄹ, ㅁ 14 ④ 15 BC” 16 ①, ⑤
② 두 점 A, B를 중심으로 반지 A
17 54 18 ③ 19 ①
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l 20 ㄱ과 ㄷ(ASA 합동), ㄴ과 ㅁ(SAS 합동), ㄹ과 ㅂ(SSS
P

그린다. 합동) 21 ② 22 ㄱ, ㄴ, ㄹ
③ ②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을 긋는다. 23 ③ 24 ㈎ CD” ㈏ DA” ㈐ AC” ㈑ SSS
④ 직선 l과 ③의 직선이 만나는 점이 점 P이다. 25 ㈎ OB” ㈏ OD” ㈐ 맞꼭지각 ㈑ SAS 26 SAS 합동
풀이 참조 27 △ABC™△CDA, ASA 합동
28 ㈎ ∠COD ㈏ ∠ABO ㈐ ASA 29 ③
11 ④ PA”=PR”(∵ 반지름)이지만 PR”와 RQ”의 길이가 30 60˘ 31 90˘
같지 않을 수 있다. 32 ① ⁄`③ ⁄`② (또는 ③ ⁄`① ⁄`②) 33 ③
④ 34 ⑤ 35 풀이 참조 36 ㉢ ⁄`㉡ ⁄`㉠
37 ④ 38 ③ 39 풀이 참조
12 ① 점 P를 지나는 직선을 그 ①

어 직선 l과의 교점을 A ②
Q ③
m 01 ① 선분의 길이를 옮길 때에는 컴퍼스를 사용한다.
D P
라 한다. ④ ② 작도할 때에는 눈금 없는 자를 사용한다.
B
⑤ 점 A를 중심으로 한 원 l ④ 두 선분의 길이를 비교할 때에는 컴퍼스를 사용한
A ⑤C
을 그려 직선 PA, l과의 다.
교점을 각각 B, C라 한다. ⑤ 작도할 때에는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를 사용한다.
④ 점 P를 중심으로 AB”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③
원을 그려 직선 PA와의 교점을 D라 한다.
③ 점 D를 중심으로 BC”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02 컴퍼스는 원을 그리거나 두 선분의 길이를 비교할 때,
을 그려 ④에서 그린 원과의 교점을 Q라 한다. 주어진 선분의 길이를 다른 직선 위로 옮길 때 사용한
② 두 점 P, Q를 잇는 직선을 그으면 직선 PQ는 직선 다. 두 점을 잇는 선분을 그리거나 선분을 연장할 때에
l과 평행하다. 는 눈금 없는 자를 사용한다. ①, ③

26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60~67쪽

03 점 B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AB”인 원을 그려 09 x<3x, 3x-5<3x이므로 가장 긴 변의 길이는 3x이


직선 l과 만나는 점을 C라 하면 AB”=BC”이고, 이때 다.
사용되는 작도 도구는 컴퍼스이다. ③ 3x<x+3x-5 ∴ x>5 ①
I

04 ①, ② 두 점 A, B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AB” 10 ① 직선 l을 긋고, 그 위에 AB”와 길이가 같은 선분을 본
인 원을 각각 그려 두 원의 교점을 C라 한다. 작도한다. 도

③ 두 점 A, C와 두 점 B, C를 각각 이으면 △ABC ② 점 A를 중심으로 ∠A와 크기가 같은 각을 작도한
는 정삼각형이다. 다.
따라서 작도 순서는 ① `⁄`② `⁄`③ 또는 ② `⁄`① `⁄` ③ 점 B를 중심으로 ∠B와 크기가 같은 각을 작도한
③이다. 다.
① ⁄`② ⁄`③ (또는 ② ⁄`① ⁄`③) ④ ②와 ③의 교점을 C라 하고, 두 점 A와 C, 두 점 B
와 C를 각각 연결한다. AB”, ∠A, ∠B, C, C
05 ① 점 O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리고 OA≥, OB≥와의
교점을 각각 C, D라 한다. 11 1. 직선 l 위에 a와 길이가 같은 BC”를 작도한다.
③ 점 P를 중심으로 OC”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2. 점 B, C를 각각 중심으로 하여 반지름의 길이가 각
을 그리고 P’Q≤와의 교점을 X라 한다. 각 b, c인 원을 그리고 그 교점을 A라 한다.
② CD”의 길이를 잰다. 3. 두 점 A와 B, 두 점 A와 C를 각각 잇는다.
④ 점 X를 중심으로 CD”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 ㉤ `⁄`(㉠` fi3∞ ㉡) `⁄`(㉢` fi3∞ ㉣) ③
원을 그려 ③에서 그린 원과의 교점을 Y라 한다.
⑤ 두 점 P, Y를 잇는 반직선을 그리면 ∠YPX가 12 ㉠ ∠A와 크기가 같은 각을 작 ㉡C

도한다.
∠AOB와 크기가 같은 각이다. ㉠
∴ ① `⁄`③ `⁄`② `⁄`④ `⁄`⑤
㉡ 점 A를 중심으로 AB”, AC” ㉢

① ⁄`③ `⁄`② ⁄`④ ⁄`⑤


와 길이가 같은 선분을 각각
A
작도한다. ㉡
B

06 OA”=OB”=PC”=PD”, AB”=CD”, ㉢ 두 점 B, C를 연결한다. ③


∠XOY=∠CPD ③
13 ㄱ. AB”+CA”<BC”이므로 △ABC를 그릴 수 없다.
ㄴ. AB”와 BC”의 끼인각인 ∠B가 주어지지 않았으므
07 ① 6+7=13<14 ② 2+4=6<8
③ 3+3=6<7 ④ 5+8=13<14 로 △ABC가 하나로 정해지지 않는다.
①, ②, ③, ④는 한 변의 길이가 나머지 두 변의 길이
의 합보다 크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없다.
C
⑤ 한 변의 길이가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보다 작 4 cm
75˘
고,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차보다 크므로 삼각형을 A
8 cm B
만들 수 있다. ⑤ ㅂ. 세 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무수히 많다.
A
08 삼각형에서 한 변의 길이는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차
A
보다 크므로 9-6<x, 3<x ……㉠ … 45`% 40˘
40˘
삼각형에서 한 변의 길이는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
보다 작으므로 x<9+6, x<15 ……㉡ … 45`% 80˘ 60˘ 80˘60˘
B C B C ㄷ, ㄹ, ㅁ
㉠, ㉡에서 3<x<15 … 10`%

3<x<15 14 ① 두 변의 길이의 합이 나머지 한 변의 길이보다 항상


채점 기준 배점
크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x가 어떤 수보다 큰지 구하기 45`%
x가 어떤 수보다 작은지 구하기 45`% ② ∠B와 ∠C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삼각형의 내각
x의 값의 범위 구하기 10`% 의 크기의 합이 180˘인 것을 이용해 ∠A의 크기도

Ⅰ. 기본 도형 27
이해 쏙쏙술술풀이

알 수 있다. 즉, CA”와 그 양 끝 각 ∠A, ∠C의 크 형과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같아서


기를 알 수 있으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ASA 합동이다. ①
③ AB” , CA” 와 그 끼인각인 ∠A 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20 ⁄ ㄱ에서 나머지 한 각은 180˘-(50˘+85˘)=45˘
④ AB”, CA”와 그 끼인각이 아닌 ∠C가 주어졌으므로 이므로 ㄱ과 ㄷ은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
△ABC가 하나로 정해지지 않는다. 기가 같으므로 ASA 합동이다.
⑤ ∠A와 ∠C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나머지 한 각 ¤ ㄴ과 ㅁ은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으
∠B의 크기도 알 수 있다. 즉, BC”와 그 양 끝 각인 므로 SAS 합동이다.
∠B, ∠C의 크기를 알 수 있으므로 △ABC가 하 ‹ ㄹ과 ㅂ은 세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SSS`합동이다.
나로 정해진다. ④ ㄱ과 ㄷ(ASA 합동), ㄴ과 ㅁ(SAS 합동),
ㄹ과 ㅂ(SSS 합동)
15 ∠C의 크기와 CA”의 길이가 주어졌으므로 BC”의 길
이를 알면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BC” 21 두 삼각형이 SAS 합동이려면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
각의 크기가 같아야 하므로 필요한 조건은 BC”=EF”
16 ② 가로가 2`cm, 세로가 6`cm이고 가로가 3`cm, 세로 이다. ②
2
가 4`cm인 두 직사각형은 넓이가 12`cm 로 같지만
합동은 아니다. 22 ㄱ. 대응하는 세 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합동이
다.(SSS 합동)
③ 정삼각형들은 세 각이 모두 60˘로 세 각의 크기가
ㄴ.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서로 같지만 변의 길이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같으므로 합동이다.(SAS 합동)
따라서 세 각의 크기가 같다고 합동인 삼각형은 아
ㄹ.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
니다.
가 각각 같으므로 합동이다.(ASA 합동)
④ 모양과 크기가 모두 같아야 합동이다. ①, ⑤
ㄱ, ㄴ, ㄹ
17 ∠E의 대응각은 ∠B이므로 ∠E=∠B=50˘에서
x=50 … 45`%
23 △ABD와 △CBD에서
AB”=CB”, AD”=CD”, BD”는 공통이므로
BC”의 대응변은 EF”이므로 BC”=EF”=4`cm에서
△ABD™△CBD(SSS 합동)이다.
y=4 … 45`%
합동인 두 도형에서 대응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 x+y=50+4=54 … 10`%
∠ABD=∠CBD, ∠BAD=∠BCD,
54
채점 기준 배점
∠ADB=∠CDB이다.
x의 값 구하기 45`% 합동인 두 도형의 넓이는 같으므로 △ABD=△CBD
y의 값 구하기 45`%
이다. ③
x+y의 값 구하기 10`%

24 △ABC와 △CDA에서
18 ① ∠A의 대응각은 ∠E이므로 ∠A=∠E=130˘이 AB”=CD”, BC”=DA”, AC”는 공통
다. ∴ △ABC™△CDA(SSS 합동)
② ∠C의 대응각은 ∠G이므로 ∠C=∠G=90˘이다. ㈎ CD” ㈏ DA” ㈐ AC” ㈑ SSS
③ ①, ②에서 ∠A=130˘, ∠C=90˘이므로
∠B=360˘-130˘-55˘-90˘=85˘이다. 25 △OAD와 △OBC에서
④ BC”의 대응변은 FG”이므로 BC”=FG”=6`cm이다. OA”=OB”, OD”=OC”
⑤ EF”의 대응변은 AB”이므로 EF”=AB”=3`cm이 ∠AOD=∠BOC(∵ 맞꼭지각)
다. ③ ∴ △OAD™△OBC(SAS 합동)
㈎ OB” ㈏ OD” ㈐ 맞꼭지각 ㈑ SAS
19 ① 한 변의 길이가 6`cm이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180˘-(60˘+70˘)=50˘, 70˘이므로 보기의 삼각 26 △BAC와 △EAD에서

28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67~71쪽

BA”=EA”, ∠A는 공통, AC”=AD” 32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은 선분의 양 끝점에서 같은 거리


∴ △BAC™△EAD(SAS 합동) SAS 합동 에 있는 점들을 연결하여 생기는 직선이므로 작도 과
정에서 AB”의 양 끝점 A, B를 각각 중심으로 반지름
27 △ABC와 △CDA에서 I
의 길이가 같은 원을 그리는 것이다.

∠ACB=∠CAD(∵ 엇각), ①, ③ 점 A, B를 중심으로 하여 반지름의 길이가 같 본
∠BAC=∠DCA(∵ 엇각), 은 원을 그리고, 두 원의 교점을 각각 P, Q라 도

AC”는 공통이므로 △ABC™△CDA(ASA 합동)이 한다.
다. △ABC™△CDA, ASA 합동 ② 두 점 P, Q를 잇는 직선을 긋는다.
∴ ①` ⁄`③ ⁄`② 또는 ③ ⁄`① ⁄`②
28 △ABO와 △CDO에서 BO”=DO”
① ⁄`③ ⁄`② (또는 ③ ⁄`① ⁄`②)
∠AOB=∠COD(∵ 맞꼭지각)
∠ABO=∠CDO(∵ AB”//CD”이므로 엇각) 33 ① 점 A를 중심으로 원을 그린 것이므로 AP”=AQ”
따라서 △ABO™△CDO(ASA 합동)이다. ② PQ”는 AB”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AO”=BO”
㈎ ∠COD ㈏ ∠ABO ㈐ ASA ③ BO”와 BP”의 길이는 관계가 없다.
④ ∠AOP=∠BOP=90˘
29 △ACE와 △BCD에서 ⑤ 작도 순서는 ㉠` ⁄`㉢` ⁄`㉡ 또는 ㉢` ⁄`㉠` ⁄`㉡이
AC”=BC”, CE”=CD”, 다. ③
∠ACE=∠ACD+60˘=∠BCD
∴ △ACE™△BCD(SAS 합동) 34 ① AP”=BP”(∵ 반지름)
∴ BD”=AE”, ∠DBC=∠EAC ② QA”=QB”(∵ 반지름)
∠DBC+∠AEC=∠DBC+∠BDC=60˘ ③ △APQ™△BPQ(SSS 합동)이므로
∴ ∠BPE=180˘-(∠DBC+∠AEC)=120˘ ∠APM=∠BPM
∠BAE와 ∠BDE는 같은 크기의 각인지 알 수 없다. ④ △APM™△BPM(SAS 합동)이므로
③ AM”=BM”
⑤ 작도 순서는 ㉡ `⁄`㉠ `⁄`㉢이다. ⑤
30 △AFD, △BDE, △CEF에서 AF”=BD”=CE”,
∠A=∠B=∠C=60˘, AD”=BE”=CF” 35 점 A를 지나고 변 BC에 수직인 A
직선을 작도한다.
∴ △AFD™△BDE™△CEF(SAS 합동)
① 점 A를 중심으로 원을 그린
∴ DE”=EF”=FD” H C

다. … 30`% B
△DEF는 정삼각형이므로 ∠DFE=60˘이다. 60˘ ②
② ①의 원과 직선 BC와의 교 ②

31 △ABE와 △BCF에서 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 ③

AB”=BC”`(∵ ABCD는 정사각형), BE”=CF”, 의 길이가 같은 두 원을 각각 그린다. … 40`%

∠ABE=∠BCF=90˘ ③ ②의 교점과 점 A를 이었을 때, BC”와의 교점을 H


∴ △ABE™△BCF(SAS 합동) … 50`% 라 하면 AH”가 △ABC의 높이이다. … 30`%

∴ ∠BAE=∠CBF 풀이 참조
△ABE에서 채점 기준 배점
① 그리기 30`%
∠BAE+∠AEB=90˘=∠CBF+∠AEB
② 그리기 40`%
△GBE에서 ③ 그리기 30`%

∠BGE=180˘-(∠CBF+∠AEB)=90˘
∴ ∠x=∠BGE=90˘(∵∵ 맞꼭지각) … 50`% 36 P ㉡
C ㉠

90˘
채점 기준 배점
합동인 두 삼각형 찾기 50`% l
A B
∠x의 크기 구하기 50`% ㉢

Ⅰ. 기본 도형 29
이해 쏙쏙술술풀이

㉢ 직선 l 위의 한 점 A에서 A를 중심으로 하고 AP” 01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것을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직선 l이 만나는 점을 B라 작도라고 한다.

한다. ` ④ 두 선분의 길이를 비교할 때는 컴퍼스를 사용한다.


⁄`㉡ 두 점 B, P를 중심으로 하고 AP”를 반지름으로 ④
하는 두 원의 교점을 C라 한다.
`⁄`㉠ 두 점 P와 C를 연결한다. ㉢ ⁄`㉡ ⁄`㉠ 02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합동이다. (ASA 합동)

37 ㉡, ㉢의 작도 과정에서 크기가 같은 각의 작도를 이용 AE”=DE”=3`cm A 3 cm D


하였고, ∠BAC=∠XPY이므로 동위각의 크기가 같 ∠AEB=∠DEC=110˘
46˘
(∵ 맞꼭지각) E
으면 두 직선은 평행하다는 성질을 이용하였다. ④ 110˘ 6.4 cm
∠CDE=180˘-110˘-24˘
24˘
38 ① 점 O를 중심으로 원을 그린 것이므로 OA”=OB” =46˘이므로 B C
② 점 A, B를 중심으로 각각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 ∠BAE=∠CDE
을 그린 것이므로 AP”=BP” ∴ △ABE™△DCE(ASA 합동)
③ OA”와 BP”의 길이는 관계가 없다. ∴ AB”=DC”=6.4`cm 6.4`cm
④ OP”가 ∠XOY의 이등분선이므로
∠AOP=∠BOP에서 2∠AOP=∠AOB
03 원에서 반지름의 길이는 모두 같다.
⑤ 작도 순서는 ㉡ `⁄`㉠ `⁄`㉣ `⁄`㉢ 또는 ㉡ `⁄`㉣ `⁄`
△AOB와 △COD에서 AB”=CD”,
㉠ `⁄`㉢이다. ③
OA”=OB”=OC”=OD”(∵ 반지름)
∴ △AOB™△COD(SSS 합동)
39 변 AD의 연장선과 변 BC의 연장선의 교점을 E라 하
따라서 ∠AOB=∠COD이다.
고, ∠DEC의 이등분선을 작도한다.
OB”, OC”, 반지름, SSS
D
A P ④


C
04 두 변의 길이가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① E B 합동이다. (SAS 합동)

△ABD와 △ACE에서 △ABC, △ADE가 정삼각
① AD”의 연장선과 BC”의 연장선의 교점 E를 잡는다.
형이므로 AB”=AC”, AD”=AE”,
② 점 E를 중심으로 원을 그린다.
∠BAD=∠BAC+∠CAD
③ ②의 원과 직선 AD, BC와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
=∠DAE+∠CAD=∠CAE
고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두 원을 각각 그린다.
∴ △ABD™△ACE(SAS 합동)
④ ③의 교점과 점 E를 잇는 직선이 CD”와 만나는 점
△ABD™△ACE, SAS 합동
을 P라 한다.
풀이 참조
05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질 때에도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두 변
의 길이의 합보다 작을 때에만 삼각형이 하나로 정해진다.

2단계
① 2+5<8에서 두 변의 길이의 합이 나머지 한 변의

B Step p. 72~ 75 길이보다 작으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없다.


② 세 각의 크기가 주어지면 모양은 같지만 크기가 다
01 ④ 02 6.4`cm 03 OB”, OC”, 반지름, SSS
른 삼각형을 무수히 많이 만들 수 있다.
04 △ ABD™ △ACE, SAS`합동 05 ③, ④
06 120˘ 07 12˘ 08 ⑴ 3<x<13 ⑵ 20`cm2 ⑤ 주어진 조건으로 그려지는 삼각형은 2개이다.
09 AE”, ∠DAC, ∠CAE, SAS 10 ④ C
2
11 24 `cm 12 90˘ 13 65˘ 14 20˘
C 5 cm
15 ④ 16 ④ 17 60˘ 18 90˘ 5 cm
19 30˘ 20 180˘ 21 63˘ 22 (a+b)cm 40˘
A B
7 cm ③, ④

30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71~74쪽

06 정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해 합동인 두 삼각형을 찾는다. △ABD™△ACE이므로


△ABE와 △CAD에서 A ① ∠BAD=∠CAE
AB”=CA”, BE”=AD”, ② BD”=CE”
D I
∠ABE=∠CAD=60˘이므로 ③ ∠ABD=∠ACE
P 기
△ABE™△CAD(SAS 합동) ⑤ ∠ACE=∠ABD=∠ADE=60˘이므로 본
∴ ∠BAE=∠ACD 도
B
E
C △ADF와 △ECF에서 형
∴ ∠APC ∠DAF+∠ADF=∠CEF+∠ECF
=180˘-(∠PAC+∠ACP) ∠DAF+60˘=∠CEF+60˘
=180˘-(∠PAC+∠BAE) ∴ ∠DAF=∠CEF ④
=180˘-∠BAC
=180˘-60˘ 11 합동인 두 삼각형을 찾는다.
=120˘ 120˘ △EAD와 △EBF에서
∠AED=∠BEF(∵ 맞꼭지각), ED”=EF”,
07 △AHB와 △ECB에서 AB”=EB”, HB”=CB” ∠EDA=∠EFB(∵ 엇각)
∠ABH=∠ABC+∠CBH ∴ △EAD™△EBF(ASA 합동)
=∠ABC+∠ABE=∠EBC ABCD의 넓이는 △DFC의 넓이와 같으므로
∴ △AHB™△ECB(SAS 합동)
;2!;_12_4=24(cm2)이다. 24`cm2
∴ ∠AHB=∠ECB=12˘ 12˘

08 ⑴ 8-5<x<8+5 12 △ABE와 합동인 삼각형을 찾는다.

∴ 3<x<13 … 40`% AE”=AC”-EC” A

⑵ △ABC가 오른쪽 그림과 A AE=8-4=4(cm)


4 cm E
8 cm D
같이 ∠ABC=90˘일 때, x cm △ABE와 △CBE에서
5 cm 4 cm
넓이가 최대가 된다. AB”=CB”, AE”=CE”, B C
B 8 cm C BE”는 공통
⑵ ∴ △ABC=;2!;_8_5
∴ △ABE™△CBE(SSS`합동)
⑵ ∴ △ABC=20(cm2) … 60`% ∴ ∠BEC=∠BEA=90˘ 90˘
⑴ 3<x<13 ⑵ 20`cm2
채점 기준 배점
⑴ 구하기 40`%
13 △ABE와 △ADE에서 A D

⑵ 구하기 60`% AB”=AD”, AE”는 공통,


∠BAE=∠DAE=45˘이므로
70˘ E
09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합동이 △ABE™ △ADE(SAS `합동)
B C
다. (SAS 합동) 이다. … 40`% F
△ABD와 △ACE에서 AB”=AC”, AD”=AE” ∴ ∠AED=∠AEB=70˘
∠BAD=60˘-∠DAC=∠CAE 또한, ∠FEC=∠AED=70˘(∵ 맞꼭지각)
∴ △ABD™△ACE(SAS 합동) △EFC에서 ∠EFC+∠FEC+∠ECF=180˘
∴ ADCE=△ADC+△ACE ∠EFC+70˘+45˘=180˘
=△ADC+△ABD=△ABC ∴ ∠EFC=65˘ … 60`%

따라서 ADCE의 넓이는 △ABC의 넓이와 같으므 65˘


로 점 D의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다. 채점 기준 배점
△ABE™△ADE임을 구하기 40`%
AE”, ∠DAC, ∠CAE, SAS
∠EFC의 크기 구하기 60`%

10 합동인 삼각형과 정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해 크기가 같은


각을 찾는다. 14 합동인 두 삼각형을 먼저 찾는다.

Ⅰ. 기본 도형 31
이해 쏙쏙술술풀이

△ABE와 △DCE에서 AE”=DE”, E D


A
E
40˘
AB”=DC”, ∠BAE=∠CDE 30˘ 30˘
A D
F
∴ △ABE™△DCE(SAS`합동)
따라서 EB”=EC”이므로 △EBC는 30˘ 30˘
B C
이등변삼각형이다. B C △DBC와 △ECB에서
∴ ∠EBC=(180˘-40˘)÷2=70˘ BD”=CE”, BC”는 공통, ∠DBC=∠ECB=120˘
∴ ∠EBA=90˘-∠EBC=90˘-70˘=20˘ 20˘ ∴ △DBC™△ECB(SAS`합동)
∠BDC=(180˘-120˘)÷2=30˘
15 합동인 삼각형을 찾아 길이가 같은 변과 크기가 같은 각을
알아본다.
∠DBF=∠DBC-∠EBC=120˘-30˘=90˘
∴ ∠DFB=90˘-30˘=60˘ 60˘
① △BAG™△DCA™△FEC이므로
AC”=CE”, AB”=CD”
∴ BC”=DE”
18 △ADC와 △ABG가 합동임을 구한다.
D
② ∠ADC=∠CFE이므로 △CID에서 G
∠ICD+∠IDC=∠FCE+∠CFE=90˘ A

∴ ∠CID=90˘ E Q
P F
③ ∠ACI=90˘-∠FCE=∠CFE
B C
④ AH”와 CD”의 길이는 같은지 알 수 없다.
△ADC와 △ABG에서 AD”=AB”, AC”=AG”,
⑤ △ABH와 △CDI에서
∠DAC=90˘+∠BAC=∠BAG
AB”=CD”, ∠BAH=∠DCI,
∴ △ADC™△ABG(SAS`합동)
∠AHB=180˘-(∠BAH+∠ABH)
또, △AQG와 △PQC에서 ∠AGQ=∠PCQ,
=180˘-(∠BAH+∠ADC)
∠AQG=∠PQC이므로 ∠CPQ=∠GAQ=90˘
=90˘=∠CID
∴ ∠PBC+∠PCB=180˘-90˘=90˘ 90˘
∠ABH=∠CDI
∴ △ABH™△CDI(ASA 합동) ④
19 △DMA와 △DMB에서 MA”=MB”,
∠AMD=∠BMD=90˘, MD”는 공통
16 △ABE와 △ADC의 관계를 알아본다.
∴ △DMA™△DMB(SAS 합동) … 40`%
D
A 따라서 ∠CAE=∠DAM=∠DBM=30˘이다.
E
또, △AME와 △ACE에서 AM”=AC”,
F ∠MAE=∠CAE, AE”는 공통
B C ∴ △AME™△ACE(SAS`합동)
△ABE와 △ADC에서 ∠AEM=∠AEC=90˘
AB”=AD”, AE”=AC” ∴ ∠AME=∠ACE=60˘
∠BAE=60˘+∠BAC=∠DAC ∴ ∠DMC=90˘-60˘=30˘ … 60`%
∴ △ABE™△ADC(SAS`합동) 30˘
∴ ∠ADC=∠ABE, DC”=BE” 채점 기준 배점

△DBA와 △ACE는 정삼각형이므로 △DMA™△DMB임을 구하기 40`%


∠DMC의 크기 구하기 60`%
∠DAB=∠EAC=60˘
AC”⊥BE”인지는 알 수 없다. ④
20 △ABE와 △BCF에서 A D

17 △ABC가 정삼각형일 때, △DBA, △ABC, △ACE AB”=BC”, BE”=CF”,


는 모두 합동인 삼각형이다. ∠ABE=∠BCF=90˘
F
△ABC가 정삼각형이므로 세 개의 삼각형은 모두 합 ∴ △ABE™△BCF P
B C
동이다. (SAS`합동) … 40`% E

32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74~76쪽

따라서 ∠EAB=∠FBC, ∠AEB=∠BFC이므로 1 A F


∠EAB+∠BFC=90˘이다.
C
∴ ∠PAD+∠PFD
E I
=(90˘-∠EAB)+(180˘-∠BFC) 기
70˘ 본
=270˘-(∠EAB+∠BFC) B
D

=270˘-90˘=180˘ … 60`%
△ABF와 △CBD에서 AB”=CB”, BF”=BD”, 형
180˘ ∠ABF=∠CBD=30˘
∴ △ABF™△CBD(SAS`합동)
채점 기준 배점
∠BAF=∠BCD=180˘-(70˘+30˘)=80˘
△ABE와 △BCF가 합동임을 알아내기 40`%
∠PAD+∠PFD의 값 구하기 60`% ∴ ∠FAC=∠BAF-60˘=80˘-60˘=20˘ 20˘

21 △ADQ와 합동인 삼각형을 붙여 합동인 삼각형을 만든


다. 2 A D
G
A D
45˘
E F
72˘ Q

B C
C FB”=EB”`(∵ EBFG의 한 변)
Q' B P
위의 그림과 같이 △ADQ와 합동인 삼각형을 변 AB BC”=BA”`(∵ ABCD의 한 변)
에 붙이면 △APQ와 △APQ'에서 AP”는 공통, ∠FBC=90˘-∠ABF=∠EBA
AQ”=AQ'”`(∵ △ADQ™△ABQ') ∴ △FBC™△EBA(SAS`합동)
∠PAQ'=90˘-∠PAQ ∴ FC”=EA” EA”
=90˘-45˘=45˘=∠PAQ
∴ △APQ™△APQ'(SAS`합동) 3 E
∴ ∠APB=∠APQ=180˘-(45˘+72˘)=63˘ F
D
63˘ A

22 길이가 같은 두 변을 가지고 있는 삼각형을 찾아 합동인지 B C


알아본다. ⑴ △ABC와 △DBE에서 AB”=DB”, BC”=BE”,
△QBA와 △PCA에서 Q ∠ABC=60˘-∠EBA=∠DBE
QA”=PA”, BA”=CA”, A ∴ △ABC™△DBE(SAS 합동)
∠QAB=60˘+∠PAB a cm △ABC와 △FEC에서 AC”=FC”, BC”=EC”,
=∠PAC ∠ACB=60˘-∠ECA=∠FCE
P C
b cm B
∴ △QBA™△PCA ∴ △ABC™△FEC(SAS`합동)
(SAS`합동) 따라서 △ABC와 합동인 삼각형은 △DBE와
∴ BQ”=CP”=BC”+PB”=a+b(cm) △FEC의 2개이다.
(a+b)cm ⑵ △ABC™△DBE에서
∠BAC=∠BDE=60˘+∠ADE
∠DAF=360˘-60˘-60˘-∠BAC
∠DAF=360˘-60˘-60˘-(60˘+∠ADE)
3단계

A Step p. 76~ 77 ∠DAF=180˘-∠ADE


∴ ∠ADE+∠DAF
1 20˘ 2 EA” 3 ⑴ 2개 ⑵ 180˘
=∠ADE+(180˘-∠ADE)=180˘
4 60˘ 5 16.5`cm 6 8`cm
⑴ 2개 ⑵ 180˘

Ⅰ. 기본 도형 33
이해 쏙쏙술술풀이

4 G
Ⅱ 평면도형 1. 다각형
D 30˘
A
F
1 다각형 (1)
E P
p. 80~ 88
B C
AD”=AB”`(∵ ADEB의 한 변) 1 다각형에서 한 내각의 크기와 그 외각의 크기의 합은
AC”=AG”`(∵ ACFG의 한 변) 180˘이므로
∠DAC=∠DAB+∠BAC (∠B의 외각의 크기)=180˘-55˘=125˘ 125˘
=∠BAC+∠CAG=∠BAG
∴ △ACD™△AGB(SAS`합동) 2 변의 길이와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다각형은 정다
∠ADB=∠ABD=45˘ 각형이고, 변의 개수가 5개이므로 정오각형이다.
(∵ △ADB는 ∠DAB=90˘인 직각이등변삼각형) 정오각형
∴ ∠ADC=∠ABG=45˘-30˘=15˘
∴ ∠DBP=45˘+15˘=60˘ 60˘ 3 내각의 크기와 변의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구하는 다

5 △AED가 정삼각형이 되도록 A 각형은 정다각형이다.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


DB”의 연장선 위에 점 E를 잡 각선의 개수가 6개이므로 꼭짓점의 개수는
으면 15 cm 6+3=9(개)이다.
16.5 cm
△ACD와 △ABE에서 따라서 정구각형이다. 정구각형
E C
AC”=AB” B 60˘
D
(∵ △ABC는 정삼각형) 4 ⑴ 85˘+∠x+35˘+30˘=180˘, ∠x=30˘
AD”=AE”`(∵ △ADE는 정삼각형) ⑵ ∠x-20˘+40˘+110˘=180˘, ∠x=50˘
∠CAD=60˘-∠DAB=∠BAE ⑴ 30˘ ⑵ 50˘
∴ △ACD™△ABE(SAS`합동)
∴ DB”+DC”=DB”+BE”=DE”=AD”=16.5(cm) 5 ⑴ 삼각형의 세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이므로
16.5`cm ∠x+138˘+98˘=360˘, ∠x+236˘=360˘
∴ ∠x=360˘-236˘=124˘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YX”에 A'
대하여 점 A와 대칭인 점
X ⑵ ∠x+124˘+113˘=360˘, ∠x+237˘=360˘
B P ∴ ∠x=360˘-237˘=123˘
A', YZ”에 대하여 점 A와
A
대칭인 점 A"을 작도한다. Y ⑴ 124˘ ⑵ 123˘
C Q
이때 A'A"”과 YX”, YZ”의 Z

교점을 각각 P, Q라 하면 A" 6 AB”=AC”이므로 ∠ABC=∠ACB=40˘,


△APQ의 둘레의 길이는 A'A"”이 된다. ∠DAC=40˘+40˘=80˘
(∵ AP”=A'P”, AQ”=A"Q”) AC”=DC”이므로 ∠DAC=∠ADC=80˘
마찬가지 방법으로 △DBC에서 ∠x=40˘+80˘=120˘
AB”+BC”+CA”=A'B”+BC”+A"C”æA'A"”
즉, △ABC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A'A"”이다. ∠x=3∠B=3_40˘=120˘ 120˘
이때 ∠A'YX=∠AYX, ∠AYZ=∠A"YZ이고
∠XYZ=30˘이므로 ∠A'YA"=60˘ 7 △AJC에서 ∠EJF=35˘+25˘=60˘
또, YA'”=YA"”에서 ∠YA'A"=∠YA"A'=60˘ △FBD에서 ∠EFJ=40˘+55˘=95˘
따라서 △YA'A"은 정삼각형이다. △EFJ에서 ∠x=180˘-60˘-95˘=25˘
∴ A'A"”=YA'”=YA”=8(cm)
따라서 △ABC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8`cm이다. 35˘+∠x+55˘+25˘+40˘=180˘
8`cm ∴ ∠x=25˘ 25˘

34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77~91쪽

1단계 06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삼


C Step p. 89~ 92
각형의 개수는 (n-2)개이다.
01 ③ 02 ⑴ 120˘ `⑵ 70˘ 03 ②, ④ a=9-3=6, b=9-2=7
04 ③, ④ 05 9 개 06 13 07 23 ∴ a+b=6+7=13 13
08 7개 09 44개 10 14개 11 정팔각형
12 ⑴ 45˘ ``⑵ 30˘ 13 ⑴ ∠x=115˘ 07 십삼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
⑵ ∠x=50˘, ∠y=80˘ 14 72˘ 수는 13-3=10(개)이므로 a=10
15 ⑴ 69˘ `⑵ 80˘ 16 ⑴ 75˘ `⑵ 30˘ 내부의 한 점에서 각 꼭짓점에 선분을 그었을 때 생기
17 5˘ 18 74˘ 19 35˘ 20 80˘ 는 삼각형의 개수는 13개이므로 b=13
21 68˘ 22 220˘ 23 73˘ ∴ a+b=23 23
II
01 ① 일부가 곡선이므로 다각형이 아니다. 평
08 n각형의 내부의 한 점에서 각 꼭짓점에 선분을 그었을 면
② 선분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으므로 다각형이 아니 때 생기는 삼각형의 개수는 n개므로 이 다각형은 십각 도

다. 형이다. … 50`%
③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도형이므로 다각형이다. 십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
④ 일부가 곡선이므로 다각형이 아니다. 는 10-3=7(개)이다. … 50`%
⑤ 곡선으로만 둘러싸여 있으므로 다각형이 아니다. 7개

채점 기준 배점
다각형의 종류 구하기 50`%
02 다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내각과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 구하기 50`%

180˘이다.
⑴ 60˘+∠x=180˘, ∠x=120˘ 09 구하는 다각형을 n각형이라 하면 n-3=8, n=11
⑵ 110˘+∠x=180˘, ∠x=70˘ ⑴ 120˘ `⑵ 70˘ 따라서 십일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11_8
=44(개)이다. 44개
03 ① 삼각형에서는 세 변의 길이가 같으면 세 각의 크기 2
가 같다.
② 네 각의 크기가 같다고 해서 정사각형인 것은 아니 10 내부의 한 점에서 각 꼭짓점에 선분을 그었을 때 생기
다. 는 삼각형의 개수가 7개인 다각형은 칠각형이다.
③ 정오각형은 다섯 개의 변의 길이와 다섯 개의 각의 따라서 칠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크기가 모두 같다. 7_(7-3)
=14(개)이다. 14개
2
④ 육각형에서 여섯 개의 변의 길이가 같다고 해서 여
섯 개의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11 변의 길이와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으므로 이 다각형
⑤ 정십이각형은 모든 변의 길이와 모든 내각의 크기 을 정n각형이라 하면
가 같다. ②, ④ n(n-3)
=20, n(n-3)=40=8_5 ∴ n=8
2
04 ① 변의 길이가 모두 같지 않고, 각의 크기도 같지 않 따라서 이 다각형은 정팔각형이다. 정팔각형
다.
② 다각형이 아니다. 12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
⑤ 변의 길이는 모두 같으나 각의 크기가 같지 않다. ⑴ 3∠x-65˘+∠x+∠x+20˘=180˘
③, ④ 5∠x=225˘, ∠x=45˘
⑵ 4∠x-20˘+∠x+10˘+∠x+10˘=180˘
05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6∠x=180˘, ∠x=30˘
(n-3)개이다. 변의 개수가 12개인 다각형은 십이각 ⑴ 45˘ `⑵ 30˘
형이므로 십이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
각선은 모두 12-3=9(개)이다. 9개 13 ⑴ ∠A+∠B+∠C=180˘에서

Ⅱ. 평면도형 35
이해 쏙쏙술술풀이

∠A+30˘+80˘=180˘이므로 ∠A=70˘ 20 △DBC에서


∴ ∠BAD=∠CAD=35˘ ∠DBC+∠DCB=180˘-130˘=50˘ … 40`%

또한, △ABD에서 △ABC에서


∠BAD+∠ABD+∠BDA=180˘ ∠B+∠C=2(∠DBC+∠DCB)=2_50˘=100˘
35˘+30˘+∠x=180˘ ∴ ∠x=115˘ ∴ ∠x=180˘-100˘=80˘ … 60`%

⑵ DE”//B’C’에서 채점 기준 배점
∠DBC+∠DCB의 크기 구하기 40`%
∠y=∠ADE=80˘(∵ 동위각)
∠x의 크기 구하기 60`%
△CAB에서 ∠x+80˘+50˘=180˘
∴ ∠x=50˘
⑴ ∠x=115˘ ⑵ ∠x=50˘, ∠y=80˘ 130˘=90˘+;2!;∠x ∴ ∠x=80˘ 80˘

14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를 각각 5∠x, 7∠x, 8∠x라 21 ∠ICA+∠IAC=180˘-56˘=124˘


하면 ∠BAC+∠BCA=360˘-2(∠ICA+∠IAC)
5∠x+7∠x+8∠x=180˘, 20∠x=180˘, ∠x=9˘ =360˘-2_124˘=112˘
따라서 가장 큰 내각의 크기는 8∠x=72˘이다. ∴ ∠x=180˘-112˘=68˘
72˘

56˘=90˘-;2!;∠x, ;2!;∠x=34˘
15 ⑴ ∠x+50˘=119˘, ∠x=69˘
⑵ ∠x+(180˘-150˘)=110˘ ∴ ∠x=68˘ 68˘
∠x+30˘=110˘, ∠x=80˘ ⑴ 69˘ `⑵ 80˘
22 A

16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80˘

크기의 합과 같다. x
25˘
⑴ ∠x=25˘+50˘=75˘ D 35˘
B C
⑵ ∠x+(180˘-75˘)=135˘ E

∠x+105˘=135˘, ∠x=30˘ ⑴ 75˘ `⑵ 30˘ △ABD에서 ∠BDE=25˘+∠BAD


△ADC에서 ∠CDE=∠DAC+35˘
17 △ABD에서 120˘=∠x+2∠x+15˘ ∴ ∠BDC=∠BDE+∠CDE
3∠x=105˘ ∴ ∠x=35˘ =25˘+∠BAD+∠DAC+35˘
∠y=∠CED=180˘-(120˘+30˘)=30˘ =25˘+80˘+35˘=140˘ … 70`%
∴ ∠x-∠y=5˘ 5˘ ∴ ∠x=360˘-∠BDC=360˘-140˘=220˘ … 30`%

220˘
18 △ABC에서 ∠ACD=∠x+2∠EBC 채점 기준 배점
∠BDC의 크기 구하기 70`%
∠ECD=;2!;∠ACD=;2!;∠x+∠EBC ∠x의 크기 구하기 30`%

△EBC에서 ∠ECD=37˘+∠EBC

;2!;∠x=37˘ ∴ ∠x=74˘ 74˘ 23 △BFE에서 ∠GFD=∠b+50˘ A


△ACG에서 ∠FGD=∠a+30˘ a
△FGD에서
B E
19 AB”=AC”이므로 ∠ABC=∠ACB=∠x ∠GFD+∠FGD+∠FDG
b 50˘
∠DAC=∠x+∠x=2∠x
=∠b+50˘+∠a+30˘+27˘ G
AC”=DC’이
” 므로 ∠ADC=2∠x 27˘
=180˘ 30˘ F
∠DCE=∠DBC+∠BDC=∠x+2∠x
∴ ∠a+∠b=73˘ D
=3∠x=105˘ C

∴ ∠x=35˘ 35˘ 73˘

36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91~97쪽

04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_(6-2)=720˘


2 다각형 (2)
이므로
p. 93~ 95
∠x+115˘+130˘+110˘+120˘+135˘=720˘
1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_(5-2)=540˘ ∴ ∠x=110˘ 110˘
이다.
∠x=540˘-115˘-118˘-80˘-111˘=116˘ 05 ⑴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360˘이므로
116˘ ∠x=360˘-(180˘-108˘)-60˘-130˘=98˘
⑵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2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이다. 180˘_(5-2)=540˘이므로
65˘+60˘+90˘+∠x+(180˘-95˘)=360˘ ∠x=540˘-(180˘-70˘)-86˘-135˘-120˘
∴ ∠x=60˘ 60˘ =89˘ II

⑴ 98˘ `⑵ 89˘ 면
360˘ 도
3 정n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이다. 형
n 06 ⑴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x
360˘ 합은
=30˘, 360˘=30˘_n ∴ n=12 108˘ 100˘
n 72˘
180˘_(5-2)=540˘ 100˘ 123˘
80˘
따라서 이 정다각형은 정십이각형이다.
이므로
정십이각형
∠x+108˘+100˘+123˘+100˘=540˘
∴ ∠x=540˘-(108˘+100˘+123˘+100˘)
=109˘
⑵ ∠OBC=∠a, ∠OCB=∠b라 하면
1단계

C Step p. 96~ 98 ABCD에서 90˘+2∠a+2∠b+120˘=360˘


∴ ∠a+∠b=75˘
01 ③ 02 ③ 03 53 04 110˘
`05 ⑴ 98˘ `⑵ 89˘ ⑴ 109˘ `⑵ 105˘ 또, △OBC에서 ∠x+∠a+∠b=180˘
06
07 ∠x=75˘, ∠y=105˘ 08 170˘ 09 12 ∴ ∠x=180˘-75˘=105˘
10 360˘ 11 40˘ 12 360˘ 13 ③, ⑤ ⑴ 109˘ `⑵ 105˘
14 정구각형 15 ③ 16 ③ 17 36˘
18 150˘ 07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이므로
∠y=360˘-(180˘-85˘)-70˘-90˘=105˘이다.
이웃하는 내각과 외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므로
01 이 다각형을 n각형이라 하면 n-3=9
∴ n=12 ∠x=180˘-105˘=75˘이다.

따라서 십이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x=75˘, ∠y=105˘

180˘_(12-2)=1800˘이다. ③
08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이므로
∠x+∠y+(180˘-130˘)+(180˘-100˘)
02 이 다각형을 n각형이라고 하면
+(180˘-120˘)=360˘
180˘_(n-2)=1440˘, n-2=8
∴ ∠x+∠y=170˘ 170˘
∴ n=10
따라서 십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10개이다. ③
09 구하는 다각형을 n각형이라 하면
(내각의 크기의 합)+(외각의 크기의 합)
03 이 다각형을 n각형이라고 하면
=180˘_(n-2)+360˘=180˘_n이다.
180˘_(n-2)=1620˘, n-2=9
180˘_n=1260˘, n=7 … 60`%
∴ n=11
구하는 다각형은 칠각형이므로 a=7, b=7-2=5
11_(11-3)
a= =44, b=11-2=9 ∴ a+b=12
2 … 40`%

∴ a+b=44+9=53 53 12

Ⅱ. 평면도형 37
이해 쏙쏙술술풀이

채점 기준 배점 각형을 정n각형이라 하면
다각형의 종류 구하기 60`% 180˘_(n-2)
a+b의 값 구하기 40`% =140˘, 180˘_(n-2)=140˘_n
n
40˘_n=360˘ ∴ n=9
10 A
a D 따라서 정구각형이다. 정구각형
b
f
E e F 15 주어진 정다각형의 한 내각과 한 외각의 크기를 각각
c G d
C 2∠x, ∠x라 하면
B
2∠x+∠x=180˘, 3∠x=180˘, ∠x=60˘
점 B와 점 C를 이으면 ∠EGF=∠CGB(∵ 맞꼭지
한 외각의 크기가 60˘인 정다각형을 찾는다.
각)이고, △EGF와 △CGB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각
360˘
각 180˘이다. =60˘ ∴ n=6 ③
n
따라서 ∠e+∠f=∠GBC+∠GCB이다.
∴ ∠a+∠b+∠c+∠d+∠e+∠f 180˘_(5-2)
16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08˘
=∠a+∠b+∠c+∠d+∠GBC+∠GCB 5
=360˘(∵ ABCD의 내각의 크기의 합) 이다.
360˘ △ABE와 △ED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180˘-108˘
∠AEB=∠DEC= =36˘이다.
2
11 오른쪽 그림에서
50˘ ∠AED=108˘이므로 ∠x=108˘-36˘-36˘=36˘
∠a+∠b=25˘+35˘=60˘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
35˘
은 180˘이므로
25˘
50˘+30˘+∠a+∠b+∠x 17 정오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30˘
a x 360˘
=180˘ b ∠DEF=∠EDF= =72˘
5
80˘+60˘+∠x=180˘ ∴ ∠x=180˘-72˘-72˘=36˘ 36˘
∴ ∠x=40˘ 40˘
18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2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므로 180˘_(6-2)
=120˘이고
∠a+∠c+∠e=180˘, ∠b+∠d+∠f=180˘이다. 6
∴ ∠a+∠b+∠c+∠d+∠e+∠f=360˘ ∠ABF=∠BAC=∠x=;2!;_(180˘-120˘)=30˘

△ABP에서 ∠y=180˘-30˘-30˘=120˘
주어진 각의 크기의 합은 삼각형 6개의 내각의 크기의
∴ ∠x+∠y=150˘ 150˘
합에서 육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을 두 번 뺀 것과 같
다.
2단계
∴ 6_180˘-2_360˘=1080˘-720˘=360˘
360˘ B Step p. 99~ 103

01 ⑤ 02 14개 03 14개 04 ④
05 62˘ 06 45˘ , 20 개 07 ④ 08 47˘
13 ③ 정십이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09 2880˘ 10 ② 11 ① 12 ②
180˘_(12-2) 13 ③ 14 ④ 15 ④ 16 65˘
=150˘
12
17 ⑴ 180˘ ⑵ 360˘ `18 ③
360˘
⑤ 정n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이므로 n에 따 19 ∠x=30˘, ∠y=120˘
n
라 달라진다. ③, ⑤ 20 ∠BIC=130˘, ∠BOC=50˘ 21 360˘
22 360˘ 23 ① 24 36˘ 25 174˘
26 255˘ 27 80˘ 28 80˘ 29 140˘
14 변의 길이와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으므로 구하는 다

38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97~100쪽

01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 ∠x=62˘


크기의 합과 같다.
A ∠x+28˘+30˘=120˘ ∴ ∠x=62˘ 62˘

06 구하는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 하면


x 110˘ 100˘
a=n-3, b=n-2
B C D
a+b=11에 a=n-3, b=n-2를 대입하면
∠ACD=180˘-110˘=70˘
n-3+n-2=11, 2n=16 ∴ n=8 … 40`%
∠CAD=∠BAC=100˘-70˘=30˘
360˘
∠x=30˘+110˘=140˘ ⑤ 따라서 정팔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45˘
8
8_(8-3) II
02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같은 다각형이 대각선의 총 개수는 =20(개)이다. … 60`%
2 평
정다각형이다. 면
45˘, 20개 도
:왼쪽 그림과 같은 정삼각형 9개 형
채점 기준 배점
정다각형의 종류 알아내기 40`%
:왼쪽 그림과 같은 정삼각형 3개 한 외각의 크기와 대각선의 총 개수 구하기 60`%

:왼쪽 그림과 같은 정삼각형 1개 07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이다.


①, ②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이므로
삼각형, 정사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이
:왼쪽 그림과 같은 정육각형 1개 고, 정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외각의 크
기의 합과 같다.
따라서 정다각형은 모두 9+3+1+1=14(개)이다. ③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4개 180˘_(5-2)=540˘이다.
④ 정구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03 7개의 점 중 이웃하지 않는 두 점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의
180˘_(9-2)
개수는 칠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와 같다. =140˘이다.
9
(다리의 개수)=(칠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
360˘
7_(7-3) ⑤ 정십이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30˘이다.
(다리의 개수)= =14(개) 14개 12
2 ④

04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_(n-2)이고, 한 꼭


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n-3)개이다. 08 회전시켜도 각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④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이므로 다 AC”를 점 C를 중심으로 40˘ 회전시킨 A'

각형의 변의 개수를 알 수 없다. 것이 A’'C”이므로 ∠A'CD=40˘ A


D
△A'DC에서 93˘
④ B'
∠DA'C+93˘+40˘=180˘ 40˘

∴ ∠DA'C=47˘ B C
05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선분 BC를 A ∴ ∠BAC=∠DA'C=47˘ 47˘
그으면 x

△ABC에서 D 09 한 내각과 한 외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


28˘ 30˘
∠DBC+∠DCB 120˘ 한 외각의 크기를 ∠x라 하면 한 내각의 크기는 8∠x
B
=180˘-∠x-28˘-30˘ C 이다.
=122˘-∠x 한 내각과 한 외각의 크기를 합하면 180˘이므로
△DBC에서 8∠x+∠x=9∠x=180˘이다.
120˘+122˘-∠x=180˘ ∠x=20˘

Ⅱ. 평면도형 39
이해 쏙쏙술술풀이

360˘ ∠DCE=∠DBC+∠BDC
=18이므로 이 다각형은 정십팔각형이다.
20 ˘ 45˘+∠DBC=∠DBC+∠BDC
따라서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_(18-2)=2880˘
∴ ∠BDC=45˘
이다. 2880˘

10 보조선을 그어 맞꼭지각의 크기가 같음을 이용한다. ∠D=;2!;∠A이므로

a ∠BDC=;2!;_90˘=45˘이다. ②
f

b 20˘
30˘ e
13 구할 수 있는 각을 구하여 삼각형의 내각, 외각의 성질을
d
c 이용한다.
∠b=180˘-28˘-37˘=115˘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180˘_(6-2)=720˘ 43˘
∠a+43˘=∠b
∠a+∠b+∠c+∠d+∠e+∠`f+20˘+30˘=720˘ a
∠a=115˘-43˘=72˘ 28˘ x
∴ ∠a+∠b+∠c+∠d+∠e+∠`f=670˘ b c
∠x=180˘-72˘=108˘
② 43˘ 37˘

180˘_(n-2)
11 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n
이다.
43˘+28˘+43˘+37˘+∠c=180˘ ∴ ∠c=29˘
① 정이십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x+43˘+29˘=180˘ ∴ ∠x=108˘ ③
180˘_(20-2)
=162˘이다.
20
180˘_(n-2) 14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_(n-2)이다.
② =150˘
n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32˘ 73˘
180˘_n-360˘=150˘_n 180˘_(6-2)=720˘이다. a
30˘_n=360˘, n=12 ∠a+∠b 105˘ xb
68˘
정십이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720˘-73˘-132˘-105˘
112˘ 104˘
12_(12-3) -112˘-104˘-68˘
=54(개)
2
=126˘
1440˘
③ =8이므로 정팔각형이다. ∠x=180˘-(∠a+∠b)=180˘-126˘=54˘
180˘
360˘ ④
④ =24이므로 정이십사각형이다.
15˘
정이십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5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n-3)개이다.
180˘_(24-2)=3960˘이다.
⑤ 7+3=10에서 정십각형이므로 한 외각의 크기는
5_(5-3)
ㄷ. 오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5(개)
2
360˘
=36˘이다. ① ㄷ. 이다.
10˘
ㄹ. 정사각형은 네 각의 크기와 네 변의 길이가 모두
12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같은 사각형이다. ④
크기의 합과 같다.
D
16 보조선을 그어 맞꼭지각의 크기가 같음을 이용한다.
A
O
21˘ a

B C E
△ABC에서 x y
b
2∠DCE=90˘+2∠DBC, 70˘ 24˘

∠DCE=45˘+∠DBC ∠a+∠b=180˘-21˘-70˘-24˘=65˘
△DBC에서 ∠x+∠y=∠a+∠b=65˘ 65˘

40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100~102쪽

17 보조선을 그어 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을 이용한다. ∠CBO=;2!;(180˘-44˘)=68˘


⑴ 오른쪽 그림에서 `
a ∠BCO=;2!;(180˘-56˘)=62˘
∠b+∠e=∠`f+∠g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각의 크기의 합은 b e ∴ ∠BOC=180˘-68˘-62˘=50˘ … 50`%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 c


f g
d 채점 기준 배점
∠BIC의 크기 구하기 50`%
다. ∠BOC의 크기 구하기 50`%
∴ ∠a+∠b+∠c+∠d+∠e=180˘
⑵ 오른쪽 그림에서 ` f e
∠A=180˘-44˘-56˘=80˘
∠`f+∠e=∠g+∠h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각의 크기의 합은 사 b d ∠BIC=90˘+;2!;∠A=90˘+40˘=130˘
a c II
g h
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다. ∠BIC=130˘, ∠BOC=50˘ 평
∴ ∠a+∠b+∠c+∠d+∠e+∠f=360˘ 면

⑴ 180˘ ⑵ 360˘ 21 n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이다.

j
a a+b i
18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이다. b i+j
90˘+45˘+70˘+87˘+∠a=360˘ c+d
g+h
∴ ∠a=68˘ c
d h
76˘+69˘+84˘+45˘+42˘+(180˘-∠b)=360˘ g
180˘-∠b=44˘, ∠b=136˘ e+f
e f
∴ ∠a+∠b=68˘+136˘=204˘ ③
구하는 각의 크기는 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과 같
다.
180˘_(n-2)
19 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n
이다. ∴ ∠a+∠b+∠c+∠d+∠e+∠`f+∠g+∠h
△AFE에서 AF”=EF”이고 F +∠i+∠j=360˘
∠AFE=120˘이므로 A E 360˘
y x
∠FAE=30˘
△ABE에서 22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
B D 의 합과 같다.
∠EAB=∠FAB-∠FAE
C ∠EKJ=∠A+∠C, ∠KJD=∠B+∠F
=120˘-30˘=90˘
∠A+∠B+∠C+∠D+∠E+∠F
∠ABE=60˘(∵ △ABE™△CBE이므로
=∠EKJ+∠KJD+∠D+∠E
∠ABE=;2!;∠ABC) =360˘(∵ KJDE의 내각의 크기의 합) 360˘
∴ ∠x=180˘-(90˘+60˘)=30˘
180˘_(n-2)
또한, △AFE와 △DEF는 이등변삼각형이고 서로 합 23 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n
이다.

동이다. 180˘_(5-2)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08˘
따라서 ∠AEF=∠EAF=∠FDE=∠DFE=30˘ 5
이다. 이고, 정팔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 ∠y=180˘-(30˘+30˘)=120˘ 180˘_(8-2)
=135˘이다.
8
∠x=30˘, ∠y=120˘
a 45˘
b c 135˘
108˘ 135˘
108˘
20 ∠IBC=;2!;∠B=22˘, ∠ICB=;2!;∠C=28˘
108˘ 135˘
△IBC에서
e d
∠BIC=180˘-∠IBC-∠ICB
=180˘-22˘-28˘=130˘ … 50`% ∠b=180˘-108˘=72˘

Ⅱ. 평면도형 41
이해 쏙쏙술술풀이

∠c=360˘-108˘-135˘=117˘ 27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


∠a=360˘-∠b-∠c-45˘ 의 합과 같다.

=360˘-72˘-117˘-45˘=126˘ AH”=HB”이므로 ∠HAB=∠HBA=20˘이다.


∠d=360˘-108˘-135˘=117˘ ∠BHG=20˘+20˘=40˘
∠e=(180˘-117˘)÷2=31.5˘ ① HB”=BG”이므로 ∠BHG=∠BGH=40˘이다.
∠HBG=180˘-40˘-40˘=100˘
24 직선 l, m과 평행한 2개의 보조선을 그어 평행선의 성질 ∠GBC=180˘-100˘-20˘=60˘
을 이용한다.
GB”=GC”이므로 ∠GBC=∠GCB=60˘이다.
A
a l ∠FGC=20˘+60˘=80˘이고
a
B 108˘-a ∠GCD=180˘-60˘=120˘이므로
E
36˘+b ∠EGC=80˘÷2=40˘,
C b
m
72˘-b
D 72˘-b ∠ECG=120˘÷2=60˘이다.
108˘-∠a+36˘+∠b=180˘(∵ 동측내각) ∴ ∠x=180˘-60˘-40˘=80˘ 80˘
∴ ∠b-∠a=36˘ 36˘

25 ∠B+∠C=180˘-64˘=116˘ 28 크기가 같은 각과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을 이용한다.


AB”=AE”이므로 ∠ABE=∠AEB
;2!;(∠B+∠C)=58˘
∴ ∠AEB=∠ABD+50˘
∴ ∠DBC+∠ECB=58˘ CB”=CD이
” 므로 ∠CBD=∠CDB
∠BIC=180˘-58˘=122˘=∠EID … 60`% ∴ ∠CDB=∠CBE+50˘
AEID에서 ∠a+∠b+64˘+122˘=360˘ △BED에서 ∠DBE+∠BDE+∠BED=180˘
∴ ∠a+∠b=174˘ … 40`% 50˘+∠CBE+50˘+∠ABD+50˘=180˘
채점 기준 배점 ∴ ∠ABD+∠CBE=30˘
∠BIC의 크기 구하기 60`%
∠a+∠b의 크기 구하기 40`%
∴ ∠ABC=∠ABD+∠CBE+50˘=80˘
80˘

∠ABD=∠x, ∠ACE=∠y라 하면
∠x+∠y=(180˘-64˘)÷2=58˘
29 보조선을 그어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을 이용한다.
△EBC에서 ∠a=∠EBC+∠ECB=2∠x+∠y
AC”를 그으면 △FAC에서
△DBC에서 ∠b=∠DBC+∠DCB=∠x+2∠y
∠AFC=180˘-∠FAC-∠FCA=95˘
∴ ∠a+∠b=3∠x+3∠y=3(∠x+∠y)=174˘
∴ ∠FAC+∠FCA=85˘
174˘
∠ADC
=180˘-∠DAF-∠DCF-∠FAC-∠FCA
26 ∠ABC+∠ACB=180˘-75˘=105˘ … 30`%
=180˘-∠DAF-∠DCF-85˘
∠EBC+∠ECB=;3@;_105˘=70˘ =50˘
∴ ∠DAF+∠DCF=45˘
∠DBC+∠DCB=;3!;_105˘=35˘
△FAC에서
∠BEC=180˘-70˘=110˘ ∠FAB+∠FCB=∠DAF+∠DCF=45˘이므로
∠BDC=180˘-35˘=145˘ … 50`% ∠BAC+∠BCA=180˘-45˘-95˘=40˘
∴ ∠BEC+∠BDC=110˘+145˘=255˘ … 20`% ∴ ∠EBG=∠ABC=180˘-40˘=140˘
255˘
채점 기준 배점
∠DAF+∠DCF=95˘-50˘=45˘
∠B+∠C의 크기 구하기 30`%
∠BEC, ∠BDC의 크기 구하기 50`% ∠DAB+∠DCB=2_45˘=90˘
∠BEC+∠BDC의 크기 구하기 20`% ∴ ∠EBG=∠ABC=50˘+90˘=140˘ 140˘

42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102~111쪽

3단계 ∠x=360˘-90˘-120˘-135˘=15˘이다. 15˘


AStep p. 104~ 105

360˘
1 8개 2⑤ 3 315˘ 4 15˘ 5 정육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60˘이므로
6
5 70˘ 6 108˘
∠GFE=30˘, ∠GDE=20˘이다.
180˘_(6-2)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십구각 A¡ 또, ∠FED= =120˘이므로
A™ A¡ª 6
형은 점 A1과 A10A11”의 중 △GFD에서
점을 이은 선에 의해 좌우대 A£ A¡•
∠x=180˘-(180˘-120˘)-30˘-20˘=70˘이다.
칭이다. 70˘
A¢ A¡¶
따라서 길이가 서로 다른 대
각선은 A1A3”, A1A4”, …,
A¡º A¡¡ II
6 BF”=CG”, AB”=BC”, ∠ABF=∠BCG

A1A9”, A1A10”의 8개이다. 8개 ∴ △ABF™△BCG(SAS 합동) 면

180˘_(5-2) 형
∠ABF=∠BCG= =108˘
2 오른쪽 그림에서
P
E
Q
5
F ∠BAF=∠CBG=∠a, ∠AFB=∠BGC=∠b라
∠BOD=∠DOC=∠COA C x D
=180˘÷3=60˘ 하면 ∠a+∠b=180˘-108˘=72˘
A 45˘ 45˘ B
∠ODF=∠OCF O ∠AHG=∠BHF=180˘-(∠a+∠b)
=180˘-(45˘+60˘) =180˘-72˘=108˘ 108˘
=75˘
∴ ∠x=360˘-(60˘+75˘+75˘)=150˘

∠x=∠PFQ=∠OPF+∠POQ+∠OQF
=45˘+60˘+45˘=150˘ ⑤
Ⅱ 평면도형 2. 원과 부채꼴

3
e 1 원 (1)
d p. 107~ 114
a f
g 45˘
1 ③ 현과 호로 이루어진 도형은 활꼴이다.
c
h ④ 반원일 때 활꼴과 부채꼴이 같아진다. ③, ④
b

∠`a+∠`b+∠`c+∠`d+∠`e+45˘ 2 부채꼴의 넓이는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


=∠`a+∠`b+∠`c+∠`d+∠`g+∠`h=360˘ 므로
∴ ∠`a+∠`b+∠`c+∠`d+∠`e=315˘ 50:x=5:20, 50:x=1:4
∴ x=200 200
∠`f=45˘+∠a+∠e
∠ f+∠b+∠c+∠d=360˘ 3 ∠AOE=∠BOF=60˘(∵ 맞꼭지각)
45˘+∠a+∠e+∠b+∠c+∠d=360˘ ∠EOC=∠DOF=90˘-60˘=30˘
∴ ∠a+∠b+∠c+∠d+∠e=360˘-45˘=315˘ ㄱ. ∠AOE=∠BOF이므로 μAE=μ BF
315˘ ㄴ. ∠AOE=∠BOF이므로 AE”=B’F’
ㄷ. μAE:μ EC=60:30=2:1
4 정사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90˘이고, 정육각형의 한 ㄷ. ∴ μAE=2μ EC
180˘_(6-2) ㄹ. μAE:μ EB=60:120=1:2
내각의 크기는 =120˘, 정팔각형의
6
ㄹ. ∴ μ EB=2μAE
180˘_(8-2)
한 내각의 크기는 =135˘이므로 ㅁ.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으므
8

Ⅱ. 평면도형 43
이해 쏙쏙술술풀이

로 EB”+2AE”이다. 1단계
ㅂ. △AOE는 OA”=OE”`(∵ 반지름)이므로 이등변 C Step p. 115~ 120

삼각형이고, ∠AOE=60˘이다. 01 ① 02 180˘ 03 ④


∴ ∠OEA=∠OAE=(180˘-60˘)÷2=60˘ 04 ⑴ 10 ⑵ 15 05 ⑴ 100 ⑵ 90
따라서 △AOE는 정삼각형이므로 AE”=OA이
” 다. 06 ⑤ 07 ③ 08 4`cm 09 5`cm
ㄱ, ㄴ, ㄷ, ㅂ 10 ③ 11 110˘ 12 x=4 , y=48
13 ⑴ 40˘ ⑵ 14`cm2 14 ⑴ 7 ⑵ 85
4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큰 원의 둘레의 길이와 15 ② 16 9`cm 17 ③ 18 ②, ⑤
2
19 ⑴ 둘레의 길이: 12p`cm, 넓이: 36p `cm
작은 원의 둘레의 길이를 합하여 구하고, 넓이는 큰 원
⑵ 호의 길이:4p`cm, 넓이:8p`cm2
의 넓이에서 작은 원의 넓이를 빼서 구한다.
20 둘레의 길이:16p`cm, 넓이:16p`cm2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2p_2+2p_4
21 ⑴ 5`cm ⑵ 81p`cm2 22 ④
=12p(cm)
23 (18+5p)cm 24 ⑴ 18p`cm2 ⑵ 10`cm
(색칠한 부분의 넓이)=p_42-p_22=12p(cm2)
25 60˘ 26 120˘ 27 ②
둘레의 길이:12p`cm, 넓이:12p`cm2 28 (30+10p)cm 29 8p`cm
30 (18+2p)cm, (36+4p)cm2
5 ⑴ l=2p_4_;3•6º0;=;;¡9§;;p(cm) 31 (168+16p)cm2

S=p_42_;3•6º0;=;;£9™;;p(cm2)
01 ① 원에서 호와 그에 대한 두 반지름으로 이루어진 도
⑵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는 3`cm이고, 중심각의 크 형을 부채꼴이라고 한다.
기는 360˘-120˘=240˘이므로 현과 호로 이루어진 도형은 활꼴이다. ①

l=2p_3_;3@6$0);=4p(cm)
02 한 원에서 부채꼴과 활꼴이 같아지는 경우는 반원일
2
S=p_3 _;3@6$0);=6p(cm ) 2 때이므로 중심각의 크기는 180˘이다. 180˘

⑴ l=;;¡9§;;p`cm, S=;;£9™;;p`cm2 03 ④ 부채꼴 COD에 대한 중심각은 ∠COD이다.



⑵ l=4p`cm, S=6p`cm2

04 ⑴ 같은 크기의 중심각에 대한 호의 길이는 같으므로


6 중심각의 크기를 모르는 경우 S=;2!;rl을 이용한다. x=10이다.
반지름의 길이가 6`cm, 호의 길이가 2p`cm이므로 ⑵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40:80=6:(x-3), 1:2=6:(x-3)
(부채꼴의 넓이)=;2!;_6_2p=6p(cm2)
x-3=12 ∴ x=15
6p`cm2 ⑴ 10 ⑵ 15

05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⑴ 50:x=4:8, 50:x=1:2
∴ x=100 … 50`%

⑵ (x-30):(x+30)=5:10
(x-30):(x+30)=1:2
x+30=2x-60
∴ x=90 … 50`%

⑴ 100 ⑵ 90
채점 기준 배점
⑴ 구하기 50`%
⑵ 구하기 50`%

44 이해쏙쏙 술술풀이
본문 112~118쪽

06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25:100=x:16, x=4 … 50`%

∠AOB:∠BOC:∠COA=μAB:μ BC:μ CA 부채꼴의 넓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2:3:4 25:100=12:y, y=48 … 50`%

∴ ∠COA=360˘_;9$;=160˘ x=4, y=48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μ CA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는 ∠COA=160˘ x의 값 구하기 50`%
이다. ⑤ y의 값 구하기 50`%

07 ∠ABO=∠BOC=60˘(∵ 엇각) 13 ⑴ μAB:μ BC:®CDA=1:2:6


OA”=OB”이므로 ∠ABO=∠BAO=60˘ 중심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정비례하므로
∴ ∠AOB=60˘ 1 II
∠AOB=360˘_ =40˘이다.
1+2+6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μAB와 μ BC의 길이도 같다. 평
⑵ 색칠한 부분은 부채꼴이고, 중심각의 크기는 부채 면
∴ μAB=8`cm ③ 도
꼴 BOC의 중심각의 크기의 ;2&;배이다. 형

08 OA”=OC”이므로 14 cm
∴ (색칠한 부분의 넓이)=4_;2&;=14(cm2)
∠OAC=∠OCA=20˘이다. C
20˘ ⑴ 40˘ ⑵ 14`cm2
∠AOC=180˘-20˘-20˘ 20˘ B
A O
=140˘
14 ⑴ 같은 크기의 중심각에 대한 현의 길이는 같으므로
∠COB=180˘-140˘=40˘
x=7
μ AC:μ BC=∠AOC:∠COB=140˘:40˘=7:2
⑵ 같은 길이의 현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14:μ BC=7:2
x=85
∴ μ BC=4(cm) 4`cm
⑴ 7 ⑵ 85

09 ∠CAO=∠DOB=40˘(∵ 동위각) 15 AB”=CD”=DE”=EF”이므로


OA”=OC”이므로 ∠CAO=∠ACO=40˘ ∠AOB=∠COD=∠DOE=∠EOF
∴ ∠AOC=180˘-40˘-40˘=100˘ … 40`% 3∠x=150˘, ∠x=50˘ ②
∠BOD:∠AOC=40˘:100˘=2:5
μ BD:μ AC=2:5이므로 μ AC=5(cm)이다. … 60`% 16 AC”//OD”이므로
5`cm ∠CAO=∠DOB=60˘(∵ 동위각)
채점 기준 배점 OC”=OA”이므로 ∠CAO=∠ACO
∠AOC의 크기 구하기 40`% ∠COD=∠ACO(∵ 엇각)
μAC의 길이 구하기 60`%
∠COD=∠DOB이므로 CD”=DB”=9`cm 9`cm

10 OA”=OD”이므로 17 ③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는다.


∠OAD=∠ODA=(180˘-100˘)÷2=40˘ ③
∠AOB=∠OAD=40˘(∵ 엇각)
∠AOB:∠AOD=40˘:100˘=2:5이므로 18 ① μAB=μ CE=μ DE
6:μ AD=2:5 ∴ 2μAB=μ CE+μ DE=μ CD>CD”
∴ μ AD=15(cm) ③ ② AB”=CE”=DE”
CE”+DE”=AB”+AB”=2AB”
11 부채꼴 AOB의 넓이와 부채꼴 COD의 넓이의 비가 ③ △AOB=△COE=△DOE이지만
48p:88p=6:11이므로 60:x=6:11
△AOB+;2!;△COD이다.
∴ ∠x=110˘ 110˘
④ 2AB”=CE”+DE”>CD” ∴ 2AB”+CD”
12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⑤ ∠AOB=∠COE=∠DOE

Ⅱ. 평면도형 45
이해 쏙쏙술술풀이

∴ (부채꼴 AOB의 넓이)_2 24 ⑴ (부채꼴의 넓이)=;2!;_9_4p=18p(cm2) … 50`%

=(부채꼴 COD의 넓이) ②, ⑤ ⑵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l이라 하면

19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에 대하여 60=;2!;_12_l ∴ l=10(cm) … 50`%

(원의 둘레의 길이)=2pr, (원의 넓이)=pr2 ⑴ 18p`cm2 ⑵ 10`cm


⑴ (둘레의 길이)=2p_6=12p(cm) 채점 기준 배점
(원의 넓이)=p_62=36p(cm2) ⑴ 구하기 50`%
⑵ 구하기 50`%
⑵ (호의 길이)=;2!;_2p_4=4p(cm)
25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라 하면
(반원의 넓이)=;2!;_p_42=8p(cm2)
p_62_;36{0;=6p, ;1”0;=6
⑴ 둘레의 길이:12p`cm, 넓이:36p`cm2
⑵ 호의 길이:4p`cm, 넓이:8p`cm2 ∴ x=60 60˘

20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26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원 O'의 둘레의 길이)`+(원 O의 둘레의 길이) 27p=;2!;_r_6p, r=9
=2p_5+2p_3=10p+6p=16p(cm) … 50`%
이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라 하면
(색칠한 부분의 넓이)=(원 O'의 넓이)-(원 O의 넓이)
(색칠한 부분의 넓이)=p_52-p_32 2p_9_;36{0;=6p
(색칠한 부분의 넓이)=25p-9p=16p(cm2) … 50`% ∴ x=120 120˘
둘레의 길이:16p`cm, 넓이:16p`cm2
채점 기준 배점 27 (색테이프의 길이) 6 cm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구하기 50`% =2p_3+6_2 3 cm
색칠한 부분의 넓이 구하기 50`%
=6p+12(cm)

21 원의 둘레의 길이를 l, 넓이를 S, 반지름의 길이를 r라 ②


하면
⑴ S=pr2=25p ∴ r=5(cm)(∵ r>0) 28 직선으로 된 부분의 길이는 120˘
⑵ l=2pr=18p, r=9 10_3=30(cm), 10 cm 10 cm
2 2
S=pr =p_9 =81p(cm ) 2 곡선으로 된 부분의 길이는
⑴ 5`cm ⑵ 81p`cm2 2p_5=10p(cm)이므로 120˘
120˘ 5 cm
끈의 길이의 최솟값은
10 cm
22 작은 원의 지름의 길이가 6`cm이므로 반지름의 길이 30+10p(cm)이다.
는 3`cm이다. (30+10p)cm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2p_3+2p_6_;2!;=6p+6p=12p(cm) 29 ∠BCA=∠DCE=60˘
∠DCB=180˘-60˘=120˘
(색칠한 부분의 넓이)
μ BD=2p_12_;3!6@0);=8p(cm) 8p`cm
=p_32+p_62_;2!;=9p+18p=27p(cm2)

30 (원의 중심이 움직인 직선 거리) 120˘
=6_3=18(cm)
23 주어진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60˘
(원의 중심이 움직인 곡선 거리)
2p_9_;3!6)0);=5p(cm)이므로 =2p_1=2p(cm) 6 cm
둘레의 길이는 9+9+5p=18+5p(cm)이다. ∴ (원의 중심이 움직인 거리) 120˘ 2 cm 120˘
(18+5p)cm =18+2p(cm) … 50`%

46 이해쏙쏙 술술풀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