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아벨로스>

아벨로스(arbelos)란 그리스어로 구두 수선공이 사용하는 칼을 의미하는데, 위 그림의 색칠


한 부분과 같이 생긴 도형을 의미한다. (옛날 구두 수선공들은 이런 모양의 칼을 사용했다)
최초로 이런 형태의 도형에 대해 연구한 수학자는 아르키메데스였다고 생각된다. 반원의 지
름 위에 있는 꼭지점은 반지름 위의 임의의 점이다. 아벨로스에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
다.

1. 작은 반원의 지름을 그림과 같이 ,    이라 할 때, 두 작은 반원의 원주의 길이의 합


 
은            로서, 큰 반원의 원주의 길이와 같다.
 

2. 아래 그림과 같이 점 B에서 큰 원의 지름 AC에 대한 수선 BD를 작도하면 아벨로스의


넓이는 지름이 BD인 원의 넓이와 같다.

증명: 그림에서 각 변의 길이가

와 같을 때 관계식
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벨로스의 넓이
  

    
3. 선분BD의 양쪽에서 아벨로스에 내접하는 두 원  ′ 은 동일한 반지름  를 가

진다. 이 두 원을 아르키메데스의 원이라 한다.

증명:아래 오른쪽 그림의 두 직각삼각형을 보자.


i)왼쪽 삼각형: 그림에서 삼각형의 높이는 
 이다. 이제 이 높이를 이용하여 다음 그림
에서  과 의 관계식을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오른쪽 삼각형: 그림에서 삼각형의 높이는 


     이다. 그러면 i)과 같이 하면, 아래
그림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아르키메데스 원 두 개에 동시에 외접하는 반지름이 최소인 원의 넓이는 아벨로스의 넓


이와 같다.

증명: 위 문제 3번에서,   와 지름 AC사이의 거리는 각각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이라 하면,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아르키메데스 원 두 개의 외접원의 지름은    이 되어, 외접원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아벨로스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외접원의 넓이는 아벨로스의 넓이와 같다.

5. 중심이 A이고 반지름이 AB인 원과 큰 반원의 원주가 만나는 점을 ′ , 중심이 C이고 반


지름이 BC인 원과 큰 반원의 원주가 만나는 점을  ′ 이라 하면, ′ 을 지나고 직선 BD에
접하는 원과  ′ 을 지나고 직선 BD에 접하는 원의 반지름은 같다. 이 두 원의 반지름은 3.
의 아르키메데스의 원과 같다.

증명:점A를 좌표 원점으로 하는 좌표평면에서, ′ 의 좌표    는

을 만족하므로 ′   


    이고, 점 B의
좌표가   이므로 원  의 반지름은
       
   이다.
 
마찬가지로, ′ 의 좌표는 방정식

으로부터  ′        


      이므로 원 ′ 의 반지름은
           
   이다.
 
6.호 ′  ′ 과 호 ADC에 내접하는 원  의 반지름은 아르키메데스의 원의 반지름  과
같다. 또 원  에 접하고 점 B를 지나는 원 중 반지름이 최소인 원 ′ 의 반지름도  과
같다. 이 때 원  를 아폴로니우스의 원이라 한다.

또, 그림과 같이 선분  ′ ′ 을 선분 BD와 평행하고 점 ′ 을 지나도록 작도하면, 중심


″ 이 선분  ′ ′ 위에 있고 호 AB, BC에 접하는 원 ″ 의 반지름은  이 된다.

증명:아래 그림에서 점 O를 지름 AC의 중점이라 하면, 삼각형  와 삼각형  에 코


사인법칙을 사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  cos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그림에서    ′    ′ 라 하면,
        ...................(1)
 
            ........(2)
 
 
(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고, 점 B를 지나고 원  에 접하는 원의 지름의 최솟값은      ,
즉 원 ′ 의 반지름은  이다.
  
이제 원 ″ 의 반지름이    임을 보이자. 다음 그림과 같이 원 ″ 의 반지름이

 ′이라 하고    ′ , 점P,Q를 호 AB, BC의 중심이라 하면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여기에    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7. 호 AB와 BC에 동시에 접하는 직선의 접점을 E,F라 하면, E,F는 각각 선분 AD, CD위에
있고, 선분 BD, EF는 서로 이등분하며, 점 E,D,F,B는 한 원 위에 있다.

증명:그림과 같이 선분 AD와 호 AB의 교점을 E, 선분 CD와 호 BC의 교점을 F라 하면,


선분 AB, BC, CA는 모두 반원의 지름이므로 ∠  ∠  ∠   이고, 따라
서 사각형 EBFD는 직사각형이 되어, 선분 BD, EF는 서로 이등분하며, 점 E,D,F,B는 한
원 위에 있다.

이제 점 E,F가 원호에 대한 접점임을 보이면 점 E,F가 문제에서 주어진 두 접점임이 확실


해지므로 증명이 끝난다.
사각형 EBFD가 직사각형이므로 ∠  ∠ 이고, 삼각형ADB와 삼각형 DCB가 직각
삼각형이므로 ∠  ∠ 이며, 따라서 ∠  ∠ 가 되어 점 E는 호 AB에 대
한 접선이 된다. 마찬가지로 점 F는 호 BC에 대한 접선이다.
8. 아벨로스의 아래쪽 두 반원 속에 원래 아벨로스와 닮은 아벨로스를 각각 작도하였을 때
왼쪽 그림과 같이 점 B를 지나는 두 반원  , ′ 은 둘 다 반지름이  이다. 또, 오른쪽 그
림과 같이 점     와  ′  ′  ′  ′ 를 호의 중점 또는 끝점이 되도록 정의하면, 사각
형  와  ′ ′ ′ ′ 는 직사각형이고, 두 직사각형은 닮음의 위치에 있으며, 닮음의 중
심 ″ 은 선분  ′ ′ 위에 있고, ″ ′   이다.

증명: 아래 그림에서 아벨로스들의 닮음에 의하여 다음 비례식이 성립하고, 따라서 두 원


 ′ 의 반지름은  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각형  와  ′ ′ ′ ′ 는 직사각형이고, 두 직사각형은 닮음의 위치에 있음을 증명하
자. 다음 그림과 같은 아벨로스에서 점 D가 호 AC의 중점이면 ∠  
∠  ∠   이다. 이 때 앞 문제에서 한 것과 비슷하게 하면 사각형 EBFD는
직사각형이고,              이 된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사각형  와  ′ ′ ′ ′ 는 닮은 도형이고 대응변이 평행하
므로 닮음의 위치에 있다. 이제 닮음의 중심의 위치를 구하자.
     
다음 그림에서, 두 원  ′ 의 반지름은    이므로   ′ 의 좌표는    이
 
  
고, 따라서 직선  ′ 의 방정식은    .... (1) 가 된다.

또, 점   ′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직선  ′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1)과 (2)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실 식을 정리하는 과정이 좀 복잡하긴 하지만 여기에는 적지 않

았다....)
이것은 문제6의 (3)에서 구한  ′ 과 같고, 따라서  ′ 과  ′ 의 교점 ″ 은  ′ ′ 위에
있다.
(1)에 의하여 ″ 의 좌표는  이고, 따라서 원 ″ 의 반지름은  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