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

1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1 맞꼭지각 4 삼각형의 외각
두 직선이 만날 때, 와 ′ 처럼 마주 보는 각을 맞꼭지각이라 한다. 성질 삼각형의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다.
증명 앞의 그림에서 ∠ 의 외각은
 ′
∠     ∠ ∠
참고 삼각형에서 외각과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을 내대각(內
성질 맞꼭지각의 크기는 같다. 對角)이라 부른다.
증명    °   ′ 이므로   ′


 5 평행선이 될 조건 ( 의 역)
′
성질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면 두 직선은 평행하다.
증명 두 직선  과  ′이 직선 과 만날 때 동위각을 ,  ′
이라 하자. 증명해야 할 내용은    ′ 이면  과  ′은
평행하다는 것이다.
2 동위각과 엇각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같은 위치에 있는 와 를 동위각(同 
位角)이라 하고, 엇갈린 위치에 있는 ′ 과 를 엇각이라 한다. 


 
′ ′ ′
′ 
 

만일  과  ′ 이 평행하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평행한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동위각 와 의 크기는 당연
평행하지 않은 두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나므로 그 점을
히 같다. 또, 맞꼭지각으로서 와 ′ 의 크기가 같으므로 엇각 ′ 와
 라 하자. 직선  위의 점  에서 점  를 연결하면
의 크기도 당연히 같다.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     °,   ′    ′  °

′ 두 식을 변변 빼면    ′   ′  °
그런데    ′ 이므로  ′  °

따라서 두 직선  과  ′은 일치하게 되므로 모순이다.

6 삼각형이 될 조건
3 삼각형의 내각의 합 성질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합은 나머지 한 변의 길이보다

성질
크다.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다.
증명 ∆ 에서 점  ,  를 중심으로 하고 변  ,
증명 ∆ 에서 변  와 평행한 직선  를 그으면
 를 반지름으로 하는 두 원을 각각 그리면
  ∠ (엇각),   ∠ (동위각)이다.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2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7 다각형의 대각선의 개수 11 직각삼각형의 닮음


   성질
성질 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 이다. 두 직각삼각형의 닮음으로부터 다음 관계가 유도된다.

단,  ≧ 이다.

증명 각형의 한 꼭지점  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
는   개이다(개의 꼭지점 중에서  ,  ,  
개를 제외). 따라서 개의 꼭지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
각선의 개수는   개이다. 이 중에서  와  

 처럼 같은 것이 개씩 중복되어 있으므로, 각형
   (1)    ⋅
의 대각선의 개수는  개이다.
 (2)    ⋅

 (3)    ⋅

증명 (1)∆ 와 ∆ 는
∠  ∠ , ∠ 는 공통으로 같으므로

닮음이다. 따라서  :   : 
따라서    ⋅

(2)∆ 와 ∆ 는
∠  ∠ , ∠ 는 공통으로 같으므로
닮음이다. 따라서  :   : 

8 따라서    ⋅
다각형의 내각의 합
(3)∆ 와 ∆ 는
성질 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   × °이다. ∠  ∠, ∠  ∠ 이므로
단,  ≧ 이다. 닮음이다. 따라서  :  : 
증명 앞의 그림에서 각형의 한 꼭지점  에서 대각선을 그 따라서    ⋅
으면   개의 삼각형이 생긴다(개의 꼭지점 중에
서  ,  개를 제외).
한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  개
12 이등변삼각형
의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   × °이다.
두 변의 길이가 같은 삼각형을 이등변(二等邊)삼각형이라 한다.
성질 이등변삼각형의 두 밑각의 크기는 같다.
증명 ∆ 에서    일 때 ∠  ∠ 임을 보
9 삼각형의 합동
이면 된다. ∠ 의 이등분선을  라 하면 ∆
한 도형이 다른 도형과 포개어질 때, 두 도형을 합동이라 한다.
와 ∆ 는    ,  는 공통변으로 같고,
두 삼각형이 합동일 조건은 다음과 같다.
∠  ∠ 이므로 합동이다.
(1) 대응하는 세 변의 길이가 같을 때
따라서 ∠  ∠
(2)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을 때
(3)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끝각의 크기가 같을 때 

10 삼각형의 닮음
한 도형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다른 도형과 포갤 수 있을 때, 두 도  

형을 닮음이라 한다. 두 삼각형이 닮음일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대응하는 세 변의 길이의 비가 같을 때 참고 ∆ 와 ∆가 합동이므로    이고
(2)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의 비가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을 때 ∠  ∠  °이다. 즉, 이등변삼각형의
(3) 대응하는 세 각의 크기가 같을 때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3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13 이등변삼각형이 될 조건 ( 의 역) 16 삼각형의 각과 변의 관계
성질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다. 성질 삼각형에서 각이 클수록 마주 보는 변도 길다.
증명 앞의 그림에서 ∠  ∠ 일 때    임을 보 증명 ∆ 에서 ∠  ∠ 일 때    임을 보
이자. ∠ 의 이등분선을  라 하면 ∠  ∠ 이 이면 된다. ∠  ∠ 인 점 를 변  위에
고 ∠  ∠ 이므로 ∠  ∠ 잡으면 이등변삼각형 ∆ 에서    이므로
이다. 따라서 ∆ 와 ∠는 대응하는 한 변     
 의 길이가 같고 그 양끝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합동    
이다. 따라서     



14 삼각형의 중점 연결 정리
성질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은 나머지 한 변과
 
평행하고, 그 길이는 나머지 한 변의 길이의 절반이다.
증명 ∆ 에서 두 변  ,  의 중점을 각각  , 
라 하자. :    : :이고
∠ 는 공통각이므로, ∆ 와 ∆ 는 닮음이
17 삼각형의 내각의 이등분선
다. 따라서  : :
성질 ∆ 에서 ∠ 의 이등분선을  라 하면
  :  :

  

 

또, 동위각 ∠ 와 ∠ 의 크기가 서로 같으므


로  와  는 평행하다.  

증명 점  를 지나면서  와 평행한 직선이  의 연장


선과 만나는 점을  라 하자. 와  가 평행하므
15 삼각형의 변과 각의 관계 로 끼리 같고(동위각), 끼리 같다(엇각).
그런데 조건에서    이므로 ∆ 는 이등변삼각
성질 삼각형에서 변이 길수록 마주 보는 각도 크다.
형이다. 따라서   
증명 ∆ 에서    일 때 ∠  ∠ 임을 보이
면 된다.    인 점 를 변  위에 잡으면 
이등변삼각형 ∆ 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와 ∆ 는 대응하는 세 각의 크기가 같으


 
 므로 닮음이다. 따라서
   :   :
  :
4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 는    ,  은 공통변으로 같고,
18 삼각형의 외각의 이등분선
∠  ∠ 이므로 합동이다.
성질 ∆ 에서 ∠ 의 외각의 이등분선을 라 하면 따라서    이므로  는  와 마찬가지로
 :  : 원의 반지름이다. 따라서 두 점  와  는 모두 원 위의
점이다. 그러나 이 경우 원의 접선  이 원과 두 점에서

만나게 되므로 모순이다.

  20
 피타고라스의 정리
성질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를 , 라 하고
증명 점  를 지나면서  와 평행한 직선이  와 만나
는 점을  라 하자.  와  가 평행하므로 끼리 빗변의 길이를  라 할 때,      이 성립한다.
같고(엇각), 끼리 같다(동위각). 그런데 조건에서
   이므로 ∆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따라서   

  증명 직각삼각형을 °씩 회전시키면서 다음 그림과 같이 붙

여서 한 변의 길이가   인 정사각형을 만들자.
 

 

∆ 와 ∆ 는 대응하는 세 각의 크기가 같으  


므로 닮음이다. 따라서 

 :   :
 
 : 

큰 정사각형의 넓이는 가운데 색칠한 정사각형의 넓이와


4개의 합동인 직각삼각형의 넓이의 합이므로
19 
원의 접선과 반지름        ×  

성질 원의 접선은 접점을 지나는 반지름과 수직이다. 따라서     
참고 피타고라스(Pythagoras)
:기원전 약 569-475, 그리스


 21 원의 접선의 길이
성질 원 밖의 한 점에서 원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는 같다.
증명 접선  이 접점  에 대하여  와 수직이 아니고, 접
증명 원 밖의 한 점  에서 원에 두 접선  와  를 그으
점이 아닌 점  에 대하여  과 수직이라고 가정했
면 ∆ 와 ∆ 에서    , 는 공통
을 때 모순을 찾아보자.
변으로 같으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  


 

  

   이 되도록 점  를 잡으면, ∆ 와 


5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증명  ′ 에서  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 라 하면
22 공통외접선의 길이
    ′ 
두 원에 동시에 접하는 직선을 공통접선이라 한다. 공통접선 중에서
  ′    
같은 방향에 있는 것을 공통외접선이라 하고, 반대 방향에 있는 것을
공통내접선이라 한다.       
따라서         

공통외접선  ′
공통내접선

성질 반지름의 길이가  ,  (   )이고, 중심 사이의 거리 


가  인 두 원의 공통외접선의 길이는

  
      

 24 현의 성질
 성질 원의 중심에서 현에 내린 수선은 그 현을 이등분한다.

 증명 원의 중심 에서 현  에 수선  를 내리면
 ∆ 와 ∆ 에서    (반지름)이고
 는 공통변으로 같으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증명  ′에서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라 하면
   이다. 따라서  는  를 이등분한다.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25 현의 길이
성질 원의 중심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두 현의 길이는 같다.
증명 중심  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두 현  와 ′ ′ 을
23 공통내접선의 길이 생각해보자.
성질 반지름의 길이가  ,  (   )이고, 중심 사이의 거리 
가  인 두 원의 공통외접선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   ′ (반지름) 이고    ′(가정) 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  ′  ′
따라서     ′  ′  ′  ′
6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26 공통현과 중심선 

두 원이 두 점  와  에서 만날 때 선분  를 공통현이라 한다. 


  
 

 ′ 
 참고 그림에서  가 원의 지름인 경우는 중심각 ∠
의 크기가 °이므로, 원주각 ∠ 의 크기는 그
성질 두 원의 공통현  는 중심끼리 연결한 직선  ′ 에
절반인 °이다. 즉, 원의 지름과 원 위의 한 점을 연결
의해 수직이등분된다.
하여 만든 삼각형은 항상 직각삼각형이다.
증명 두 삼각형 ∆ ′ 과 ∆ ′ 은 대응하는 세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합동이다.
따라서 ∠ ′  ∠ ′
28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
 성질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증명 원주각 ∠ , ∠ , ∠ 의 크기는 모두
 ′ 중심각 ∠ 의 크기의 절반으로서 같다.
 
 
이등변삼각형  에서 꼭지각 ∠의 이등분선은 마
주 보는 변  를 수직이등분한다. 따라서 직선  ′
은 공통현  를 수직이등분한다. 
 

27 원주각과 중심각
원의 호  에 대하여, 원 위의 한 점  를 연결할 때 생기는 각
29 원의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
∠ 를 원주각(圓周角)이라 하고, 원의 중심  를 연결할 때
생기는 각 ∠ 를 중심각(中心角)이라 한다. 성질 원의 접선이 접점  에서의 현과 이루는 각 ∠ 의
크기는 그 현에 대한 원주각 ∠ 의 크기와 같다.



 



성질 같은 호  에 대하여 원주각 ∠ 의 크기는 중심 증명 ∠  °  ∠ ′
각 ∠ 의 크기의 절반이다.  ∠ ′  ∠
증명 삼각형의 외각의 크기는 마주 보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 ′
과 같으므로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7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따라서  :   : 
30 원과 비례
따라서    ⋅
성질 두 현  와  또는 이들의 연장선이 만나는 점을
 라 하면 ⋅  ⋅ 가 성립한다. 


  


 
 
 

앞의 그림에서 ⋅ 를 방멱(方冪)이라 부르기 때


문에 이 성질을 「방멱 정리」라고도 한다.
32 예각삼각형이 될 조건
증명  와  ,  와  를 연결하여 두 삼각형 ∆ 와
∆ 를 만들자. 성질 ∆ 에서 ∠ 가 예각이면, 각을 끼고 있는 두 변
과 마주 보는 변의 길이 사이에는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         

 
 


[그림1] [그림2]
 
[그림1]에서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
∠  ∠ , ∠  ∠ 증명     
[그림2]에서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           
∠  ∠ 이고 ∠ 는 공통각으로 같다.             
따라서 두 삼각형 ∆ 와 ∆ 는 대응하는 세
   ⋅
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닮음이다.
  
따라서 두 그림에서 다음의 닮음비가 성립한다.
 :   :
따라서 ⋅  ⋅
33 둔각삼각형이 될 조건
성질 ∆ 에서 ∠ 가 둔각이면, 각을 끼고 있는 두 변
31 원의 할선과 접선 과 마주 보는 변의 길이 사이에는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성질 원 밖의 한 점  에서 그은 할선(割線 원을 자르는 선)을        
 라 하고, 접선을  라 하면    ⋅ 

  

 증명     

           
증명 원의 접선이 접점에서 현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그 현에
            
대한 원주각의 크기와 같으므로 ∠  ∠
    ⋅
이고 ∠ 는 공통각으로 같으므로, 두 삼각형 ∆
  
와 ∆ 는 닮음이다.
8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34 코사인 법칙 36 스튜어트의 정리
성질 삼각형의 한 각 와 세 변 사이에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성질 삼각형  에서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증명 ∆ 의 점  에서 변  에 수선  를 내리면
증명 ∠   라 두고, 코사인 법칙을 적용하면
     
∆ 에서       cos ⋯①
  sin        
∆ 에서
  sin      cos 
      cos °   
     cos
    cos ⋯②
 ①×  ②× 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
 스튜어트(Matthew Stewart):1717-1785, 스코틀랜드

참고 코사인 법칙에서   °이면 cos  이므로 참고 스튜어트의 정리에서   이면


직각삼각형에서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얻어진다.       
즉, 코사인 법칙은 직각삼각형에서 성립하는 피타고라스 이므로        
의 정리를 일반적인 삼각형으로 확장한 개념이다. 따라서 파퓨스의 중선 정리를 얻을 수 있다.

35 파퓨스의 중선 정리 37 삼각형의 오심(五心)


삼각형에서 한 꼭지점과 마주 보는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을 중선(中 삼각형에서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그 점을 삼각형의 중심이라
線)이라 한다. 한다.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삼각형의 중심은 다음 5가지이다.
성질 ∆ 의 중선  에 대하여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1) 내심 :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

         (2) 외심 :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
(3) 무게중심 : 세 중선의 교점

(4) 수심 : 세 꼭지점에서 내린 수선의 교점
  (5) 방심 : 한 내각의 이등분선과 다른 두 꼭지점의 외각의 이등분선

의 교점 (방심은 자주 쓰이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다.)
   

증명 ∠   라 두고, ∆ 에 코사인 법칙을 적용
38 삼각형의 내심
하면        cos ⋯①
마찬가지로, ∆ 에 코사인 법칙을 적용하면 성질 삼각형에서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을 삼각형의 내심
  
      cos°    (內心)이라 한다. 내심은 하나뿐이고, 내심에서 삼각형의

    cos ⋯② 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모두 같다.

①② 하면       증명 ∆ 에서 두 각 ∠ , ∠ 의 이등분선의 교점을


참고 파퓨스(Pappus):약 290-350, 그리스 라 했을 때,  가 ∠ 의 이등분선임을 보이자.
9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 따라서     
   이고  는 공통으로 같으므로, 피타고라

 스 정리에 의해    이다.
따라서  는  를 수직이등분한다.

참고      이므로 이것을 반지름으로 삼아 원을
  그리면 ∆ 의 외부에서 접하는 원이 생기는데, 이

에서 ∆ 의 세 변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 원을 삼각형의 외접원(外接圓)이라 한다. 즉, 외심이란

 라 하면,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끝각의 말은 외접원의 중심이란 뜻이다.

크기가 같으므로 ∆ 와 ∆ 는 합동이고, 


∆ 와 ∆ 도 합동이다.
따라서     
   이고  는 공통으로 같으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  이다. 따라서 대응하는 두 변 
의 길이가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  
와 ∆ 는 합동이다.
따라서 ∠  ∠
따라서 는 ∠ 의 이등분선이다.
참고      이므로 이것을 반지름으로 삼아 원을
그리면 ∆ 의 내부에서 접하는 원이 생기는데, 이
원을 삼각형의 내접원(內接圓)이라 한다. 즉, 내심이란
40 삼각형의 무게중심
말은 내접원의 중심이란 뜻이다. 성질 삼각형의 세 중선의 교점을 무게중심이라 한다.
 (1) 무게중심은 하나뿐이다.
(2) 무게중심은 중선의 길이를 꼭지점으로부터 :로

 내분한다.
 (3) 세 중선에 의해 나누어진 6개의 삼각형의 넓이는 모
두 같다.
   증명 (1)∆ 에서 두 중선  와  의 교점을 라
했을 때, 의 연장선 가 중선임을 보이자.


39 삼각형의 외심
성질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을 삼각형의 외심
 
(外心)이라 한다. 외심은 하나뿐이고, 외심에서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이르는 거리는 모두 같다. 
  
증명 ∆ 에서 두 변  ,  의 수직이등분선의 교    
점을 라 했을 때, 에서 변  에 내린 수선 
가  를 이등분함을 보이자. 

    인 점  를 잡으면 ∆ 와 ∆


는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의 비가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
가 같으므로 닮음이다.
 
따라서 와  , 즉  와  는 평행하다.
 따라서 ∆ 와 ∆ 는  의 길이가 같고

  엇각으로서 끼리,  끼리 같으므로 합동이다.



따라서   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으 따라서 ∆ 와 ∆ 는 합동이다.
므로, ∆ 와 ∆ 는 합동이고, ∆ 와 따라서   
∆ 도 합동이다. 따라서  는 중선이다.
10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2) 앞의 그림에서 ∆ 와 ∆ 가 합동이므로
42 선분의 중점의 좌표
   이다.
따라서 :    : : 성질 좌표평면에서 두 점    ,    를 잇는
    
따라서 무게중심  는 중선  를 :로 내분한다.

선분  의 중점은    이다.
  
(3) 아래 그림에서 ∆ 와 ∆ 는 밑변의 길이 증명 선분  의 중점을   라 하자. 축, 축과 평
와 높이가 같으므로 넓이가 같다. 마찬가지로 ∆ 행한 선을 그어서 두 점 ′ ,  ′ 를 잡으면 두 직각삼각
와 ∆ 도 넓이가 같고, ∆ 와 ∆ 도 형 ∆′ 와 ∆ ′는 합동이다.
넓이가 같다. 따라서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큰 삼각형을 보면 ∆ 와 ∆ 도 밑변의 길이
와 높이가 같으므로 넓이가 같다.  ′

따라서       
따라서        
같은 방법으로 하면   
따라서 세 중선에 의해 나누어진 6개의 삼각형의 넓이는
모두 같다.
43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좌표
성질    ,    ,    를 꼭지점으
41 두 점 사이의 거리 로 갖는 ∆ 의 무게중심은
        
성질 좌표평면에서 두 점    ,     사이의 
 

 
거리는    
         
    증명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세 중선(한 꼭지점과 마주 보는 변
증명 두 점  ,  에서 축, 축에 수선을 내려서 직각삼각형 의 중점을 연결한 선)의 교점임을 앞에서 공부했다.
 를 만들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 의 무게중심을   라 하자.
        변  의 중점을  라 하면, 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이다. 축, 축과 평행한 선을 그어서 색칠한 두 직각
삼각형을 만들면 두 삼각형은 닮음이다.
11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무게중심은 중선을 :로 분할하므로 
  
 : : 
따라서 색칠한 두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는 :이고,

높이도 :이다.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엇각으로서 끼리 같고,  끼리 같고,  가 공통으로
따라서 같으므로 ∆ 와 ∆ 는 합동이다.
        같은 방법으로 하면 ∆ 는 ∆ , ∆ ,
 ,   
  ∆ 와 모두 합동이다.
따라서  ,  ,  는 ∆ 의 세 변의 중점이다.
따라서  ,  ,  에서 각각 마주 보는 변에 수선을 내
리면 이들의 교점은 ∆ 의 외심이 된다.
44 최단거리와 무게중심
즉, ∆ 의 수심은 ∆ 의 외심이다.
성질 ∆ 의 내부의 한 점  에 대하여 ∆ 의 외심은 하나뿐이므로, ∆ 의 수심도
       하나뿐이다.
이 최소가 되는 점  는 ∆ 의 무게중심이다.
증명 ∆ 의 세 꼭지점을
   ,    ,     46 수족삼각형
라 하고, ∆ 의 내부의 한 점을   라 하자.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서 마주 보는 변에 내린 수선의 발(垂足)을 꼭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에 의해
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을 수족삼각형이라 한다. 그림에서 ∆ 의
      
수족삼각형은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성질 예각삼각형 ∆ 의 세 변 위에 꼭지점이 있는 삼각
형 중에서 둘레의 길이가 최소인 것은 수족삼각형이다.
      
따라서    ,    증명 ∆ 의 세 변 위에 점을 잡아서 ∆ 를 하나
 
그리자.
일 때 최소이다.
따라서   는 ∆ 의 무게중심이다. 


45 삼각형의 수심 ″
′
성질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서 내린 수선의 교점을 수심(垂心)
이라 한다. 수심은 하나뿐이다.
  
증명 ∆ 의 세 변과 평행선으로 ∆ 를 만들자.
12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점  를 변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을 각각 증명 평행사변형의 내부의 한 점을 지나면서 각각의 변과 평행
 ′ ,  ″ 라 하면, ∆ 의 둘레의 길이는 한 선을 그으면, 작은 4개의 평행사변형이 생기고, 이들
       ′      ″ 이다. 은 대각선에 의해 넓이가 각각 이등분된다.
따라서 이 길이가 최소일 때는 선분  ′  ″ 이다.
 
따라서 우리의 목표는  ′  ″ 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 
그림에서  ′   ″   이므로 ∆ ′  ″  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그런데 ∠ ′  ″ 는 ∠  

로서 항상 일정하므로,  ′  ″ 가 최소가 되려면  ′ ,
즉  가 최소가 되어야 한다. 그림에서 마주 보는 삼각형의 넓이의 합은
따라서  는  의 수선이어야 한다.       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면,  는  의 수선이어야 하
로서 서로 같다.
고,  는  의 수선이어야 한다.
따라서 ∆ 는 ∆ 의 수족삼각형이다.

49 직사각형
47 네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사각형을 직사각형(直四角形)이라 한다.
평행사변형
성질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를 이등분한다.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이 평행한 사각형을 평행사변형이라 한다.
증명 ∆ 와 ∆ 는    ,  는 공통변으
성질 (1) 평행사변형의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의 길이는 서로 같
로 같고, ∠  ∠  °이므로 합동이다.
고, 마주 보는 두 쌍의 각의 크기도 서로 같다.
따라서    이다. 또, 직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
(2)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이등분한다.
므로   ,    이다.
증명 (1) 와  가 평행하므로 엇각으로서 끼리 같고,
 끼리 같고,  는 공통으로 같다.  
따라서 ∠  ∠ 이고, ∆ 와 ∆ 는 합
동이다. 따라서    이다.

같은 방법으로 ∠  ∠ 이고    이다.
 
 
 
참고 다음은 직사각형이 될 조건이다.

(1) 네 각이 모두 직각이다.(정의)
 
  (2) 평행사변형이고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다.
(2)∆ 와 ∆ 가 합동이므로    (3) 평행사변형이고 한 각이 직각이다.
따라서 ∆ 와 ∆ 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양
끝각이 같으므로 합동이다.
따라서    이고    이다. 50 직사각형의 길이 분할
참고 다음은 평행사변형이 될 조건이다.
성질 직사각형 의 내부에 한 점  를 잡으면
(1)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이 평행하다.(정의)
(2)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의 길이가 같다.          
(3) 마주 보는 두 쌍의 각의 크기가 같다.  
(4) 두 대각선이 서로를 이등분한다.
(5) 마주 보는 한 쌍의 변이 평행하고 길이가 같다. 

 

48 평행사변형의 넓이 분할 증명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성질 평행사변형이 내부의 한 점에 의해 네 개의 삼각형으로
              
분할될 때, 마주 보는 삼각형의 넓이의 합은 서로 같다.
13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  아랫변의 양끝각의 크기가 같은 사다리꼴을 등변(等邊)사다리꼴이라


 
한다.

성질 (1) 등변사다리꼴에서 평행이 아닌 한 쌍의 마주 보는 변

 의 길이는 같다.
(2) 등변사다리꼴에서 두 대각선의 길이는 같다.
 
증명 (1) 점  에서  에 평행한 선  를 그으면
∠  ∠ , ∠  ∠
이므로 ∆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51 마름모 따라서   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사각형을 마름모라 한다. 사각형  는 평행사변형이므로   
성질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수직이등분한다. 따라서   

증명 ∆ 와 ∆ 는   ,   ,  


 는 공통으로 같으므로 합동이다.
따라서 ∠  ∠


  

  (2)∆ 와 ∆ 는    ,  는 공통

으로 같고, ∠  ∠ 이므로 합동이다.
따라서   

∆와 ∆는   , 는 공통으로
같고, ∠  ∠이므로 합동이다.
54 사다리꼴의 중점 연결 정리
따라서 ∠  ∠  °,   
또, ∆와 ∆는 합동이므로    성질 사다리꼴  에서 변  ,  의 중점을 각각
따라서   ,   이고  와  는 수직.  ,  라 하면,  는  와 평행하고 그 길이는

참고 다음은 마름모가 될 조건이다.        이다.

(1)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다.(정의)
 
(2) 두 대각선이 서로를 수직이등분한다.
(3) 평행사변형이고 두 대각선이 수직으로 만난다.
 
(4) 평행사변형이고 한 쌍의 이웃하는 변의 길이가 같다.

 
증명 직선  가  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을 라 하자.
52 정사각형  와  가 평행하므로 ∠  ∠ (엇각)
네 각의 크기가 같고 네 변의 길이가 같은 사각형을 정사각형(正四角 이고 ∠  ∠ (맞꼭지각)이다.
形)이라 한다.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를 수직이등 또,  가  의 중점이므로    이다.
분한다. 다음은 정사각형이 될 조건이다. 따라서 ∆ 와 ∆ 는 합동이다.
(1) 네 각이 직각이고 네 변의 길이가 같다.(정의) 따라서   
(2) 직사각형이고 두 대각선이 수직이다. 따라서 ∆ 에서  는  와 평행하고
(3) 마름모이고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다.   
                
(4) 평행사변형이고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고 수직이다.   
 

 
53 사다리꼴
한 쌍의 마주 보는 변이 평행한 사각형을 사다리꼴이라 한다. 특히,  

14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55 사각형의 넓이 분할
성질 사각형이 두 대각선에 의해 네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될 사각형
때, 마주 보는 삼각형의 넓이의 곱은 서로 같다.
마주 보는 한 쌍의
증명 사각형  가 두 대각선에 의해 네 개의 삼각형으 변이 평행하면
로 분할될 때, 그 넓이를 , , ,  라 하자.

사다리꼴

마주 보는 두 쌍의
  변이 평행하면

 
평행사변형

  네 각의 크기가 같으면 네 변의 길이가 같으면

∆ 의 높이를 라 하면 ∆ 의 높이도 이다.


직사각형 마름모
 
따라서 :     :    :
 
∆의 높이를 라 하면 ∆ 의 높이도 이다. 네 변의 길이가 같으면 네 각의 크기가 같으면

 
따라서 :     :     :
 
정사각형
따라서 :    : 
따라서     
참고 앞의 그림에서 사각형  가 와  가 평행
인 사다리꼴이면 ∆ 의 넓이와 ∆ 의 넓이
가 같아지므로        57 내접사각형의 내각의 합
따라서   
성질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마주 보는 내각의 크기의 합은
따라서      가 성립한다.
°이다.
증명 같은 호에 대하여 원주각의 크기는 중심각의 크기의 절반

  
 이므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56 사각형 사이의 관계
 
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직사각형 마름모 58 내접사각형의 외각
정사각형
성질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외각 ∠ 의 크기는 그와
이웃한 내각을 마주 보는 각 ∠ 의 크기와 같다.
15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 


    
   
  

 sin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같은 방법으로 하면      
  
증명 ∠ °  ∠ ∠ 따라서 ∆ 의 넓이는
참고 사각형에서 외각과 이웃한 내각을 마주 보는 각을 내대각        
(內對角)이라 부른다. 
    
 
     
  
59    
삼각형의 넓이
    
성질 두 변의 길이가 ,  이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 인   
   

삼각형의 넓이는   sin

증명 삼각형의 높이를 라 하면, 삼각형의 넓이는
  
61 등적변형:사각형을 삼각형으로
     sin      sin 
   주어진 도형을 같은 넓이를 가진 다른 모양의 도형으로 바꾸는 것을
등적변형(等積變形)이라 한다. 다음은 사각형을 삼각형으로 등적변
 형하는 방법이다.

 

 

60 변의 분할과 넓이 사각형  의 꼭지점  에서 대각선  와 평행한 선을 그어
서  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을  라 하자.
성질 넓이가  인 ∆ 의 세 변을 각각 :으로 분
 와  가 평행하므로 ∆ 와 ∆ 의 넓이는 같다.
할하는 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 의 넓이는
따라서 사각형  의 넓이는 ∆ 의 넓이와 같다.
   
  즉, 사각형  는 ∆ 로 등적변형된 것이다.
 
증명 ∆ 의 세 변의 길이를 각각    ,   ,
   라 하면, 이들을 :으로 분할하는 선분들
의 길이는 다음 그림과 같다.
62 등적변형:오각형을 사각형으로
  다음은 오각형을 사각형으로 등적변형하는 방법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오각형  의 꼭지점  에서 대각선  와 평행한 선을 그어
서  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을  라 하자. 
 와  가 평행하므로 ∆ 와 ∆ 의 넓이는 같다.
따라서 오각형  의 넓이는 사각형  의 넓이와 같다. 
즉, 오각형  는 사각형  로 등적변형된 것이다.


 
63 등적변형:삼각형의 넓이의 이등분
같은 방법으로, 호  에 대하여 ∠  ∠
다음은 주어진 삼각형 ∆ 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방법이다.
이므로 ∆ 와 ∆ 는 닮음이다.
 따라서  :   :
따라서 ⋅  ⋅ ⋯②
 ①② 하면
⋅  ⋅
     
  ⋅
 
 
참고 톨레미(Claudius Ptolemy)
 위에 임의의 점  를 잡는다.  의 중점  에 대하여  와 :약 85-165, 그리스
평행한 선  를 긋는다. 그러면 직선  가 ∆ 의 넓이를 이 참고 직사각형의 마주 보는 내각의 합은 °이므로, 직사각
등분한다. 형의 외접원을 그릴 수 있다. 따라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증명 ∆  ∆  ∆ 직사각형에 톨레미의 정리를 적용하면 피타고라스의 정
 ∆ ∆ 리가 얻어진다. 즉, ⋅  ⋅  ⋅
 ∆ 으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64 톨레미의 정리
성질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의 곱의
합은 두 대각선의 곱과 같다. 즉, 65 심슨의 정리
⋅  ⋅  ⋅
성질 삼각형  의 외접원 위의 한 점  에서 이 삼각형

의 세 변 또는 그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  , ,  은
모두 한 직선 위에 있다.

  

증명 ∠  ∠ 가 되도록 점  를 대각선   


위에 잡으면, 호  에 대하여 ∠  ∠ 

이므로 ∆ 와 ∆ 는 닮음이다.
따라서  :    : 
따라서 ⋅  ⋅ ⋯①
17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증명 ∠ ∠  °임을 보이면 된다. 증명 점  를 지나면서 직선  과 평행한 선을  라 하자.
원의 지름에 대한 원주각은 °라는 사실과, 원에 내접

하는 사각형의 마주 보는 각의 합은 °라는 사실을 
기억하자.

 

 


 
  
 ∆ 와 ∆ 는 닮음이므로   
 
 
 ∆ 와 ∆ 는 닮음이므로   
 
따라서
  
 ⋅ ⋅
(1)∠  ∠  °이므로 두 점  ,  는    
지름이  인 원 위에 있다. 따라서 호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2)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  에서 외각 ∠ 참고 메넬라우스(Menelaus):약 70-130, 이집트
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는 내각을 마주 보는 각 ∠
(즉, ∠ )의 크기와 같으므로
∠  ∠ 67 체바의 정리
(3)∠  ∠  °이므로 두 점  ,  은
지름이  인 원 위에 있다. 따라서 사각형  는
성질 ∆ 의 내부의 한 점  에서 세 꼭지점을 연결한

원에 내접하므로 직선이 세 변과 만나는 점을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1), (2), (3)의 결과에 의해

∠  ∠  °
참고 심슨(Robert Simson)

:1687-1768, 스코틀랜드 

 

증명 높이가 같은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밑변의 길이의 비
66 메넬라우스의 정리
와 같으므로
성질 한 직선  이 ∆ 의 세 변 또는 그 연장선과 만나  ∆ ∆
    
는 점을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같은 방법으로 하면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 체바(Giovanni Ceva):1647-1734, 이탈리아
18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68 페르마 점 69 헤론의 공식
삼각형의 내부의 한 점에서 세 꼭지점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최소인 성질 삼각형에서 각의 크기를 모르더라도 세 변의 길이를 알면
점을 페르마 점이라 한다. 페르마 점의 위치를 구해보자. 넓이를 구할 수 있다. ∆ 의 세 변의 길이를
′   ,   ,   
  
라 하고, 둘레 길이의 절반을    라 하
 
면, ∆ 의 넓이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의 내부의 한 점  를 잡는다. ∆ 를 점  를 중심으로
° 회전시킨 삼각형을 ∆ ′ ′ 라 하면, ∆ ′는
  
   ′,  ′   °
이므로 정삼각형이다. 따라서    ′ 
증명
따라서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우리가 구하는 페르마 점은  이다. ∆ 의 넓이는     sin  이므로

즉, 페르마 점  를 기준으로 위의 그림을 다시 그리면 다음과 같다.

     sin 
′ 
′ 
     cos 
 

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에서 네 점  ′ ,  ′,    ,  가 한 직선 위에 있고 
             
∆ ′ 는 정삼각형이므로 
∠  ∠ ′ ′  ° ∠ ′   ° 여기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페르마 점은 ∆ 의 내부의 한 점  를 잡았을 때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점을 뜻한다.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참고 헤론(Heron):약 10-75, 이집트
°
참고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헤론의
  공식과 비슷한 것으로 원에 내접
하는 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브
참고 페르마(Pierre de Fermat)
라마굽타(Brahmagupta 598-670 인도)의 공식이 있다.
:1601-1665, 프랑스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를 , , ,  라
참고 페르마가 제시한 이 문제를 갈릴레이의 제자인 토리첼리    
하고 둘레 길이의 절반을    라 하면,
(Torricelli 1608-1647 이탈리아) 가 해결했기 때문에, 
페르마 점을 「토리첼리 점」이라고도 부른다. 
넓이는             이다.
19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증명 외분점을   라 하자.  : : 이
70 선분의 내분점의 좌표
므로    :    :
선분  위에 있으면서 그 길이를
따라서         
 : :
  
으로 분할하는 점  를 「선분  를 : 으로 내분(內分)」하는 따라서   
 
점이라 한다. 단, 과 은 양수이다.
성질 좌표평면에서 두 점    ,    를 잇는 
선분  를 : 으로 내분하는 점  는
     

  
    
 
증명 내분점을   라 하자. 축, 축과 평행한 선을 

그어서 점 ′ ,  ′ 를 잡으면 두 직각삼각형 ∆′
와 ∆ ′ 는 닮음이고,  :   : 이므     
로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마찬가지로 하면    를 얻을 수 있다.

 
따라서   
 


72 원의 방정식
 
성질 좌표평면에서 중심이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
′  인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증명 원 위의 무수히 많은 점 중에서 임의로 점   를
    
잡자. 원은 이 점  가 모두 모여서 생기는 도형이므로,
점  의 자취(locus 지나간 흔적)가 원의 방정식이다.
같은 방법으로 하면, ′:  ′ : 이므로
   
   를 얻을 수 있다.
 
참고 만일    이면 내분점  는 선분  의 중점이 되   
고, 그 좌표는 에서 공부한
    
  

    

가 된다.

 

71 선분의 외분점의 좌표 원의 반지름이  이므로   


선분  의 밖에, 즉 연장선 위에 있으면서
따라서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점  를 「선분  를 : 으로 외분(外分)」하는
즉,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점   는 무수히 많고,
점이라 한다. 단, 과 은 서로 다른 양수이다.
이 점들이 하나하나 모여서 원을 만드는 것이다.
성질 좌표평면에서 두 점    ,    를 잇는
참고 원 중에서 중심이 원점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선분  를 : 으로 외분하는 점  는
      인 원을 단위원(單位圓)이라 부른다.

  
    단위원의 방정식은    이다.
20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73 아폴로니우스의 원 74 대칭이동과 최단거리 #1


고정된 두 점에서의 거리의 비가 일정한 점들의 자취는 원이 되는데, 문제 그림과 같이 두 점  ,  와 직선  이 있다. 직선 
이 원을 아폴로니우스의 원이라 한다. 위에 점  를 잡아서    의 길이가 가장 짧도록
문제 좌표평면 위의 두 점     와   에서 할 때, 점  의 위치를 정하여라.
의 거리의 비가  :  : 인 점  의 자취

는 선분  를 : 로 내분하는 점과 외분하는 점을
지름의 양끝점으로 하는 원이다. 


 

풀이  와  중에서 어느 한 점, 예를 들어 점 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 ′ 라 하자.

 
  
 :  : 

풀이  : : 를 만족하는 점을   라


하면, ⋅   ⋅  이므로 ′

          색칠한 두 직각삼각형은 합동이므로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따라서    가 최소가 되려면 점  가 점  의
따라서 점  의 자취는 중심이  이고 반지름의 위치에 있어야 하고, 이때 최단거리  ′ 는 두 점 사이
길이가  인 원이다. ⋯① 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한편, 선분  를 : 로 내분하는 점을  , 외분하
는 점을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75 대칭이동과 최단거리 #2
   
        
  문제 그림과 같이 사잇각이  인 두 해안선  와  가
따라서 선분  의 중점은  로서 ①의 원의 중 있다.    인 섬  에서 배를 타고 출발하여 
심과 일치하고, 선분  의 길이는 와  에 들렀다가 다시 섬  로 돌아오는 최단거리를
    
    
 구하여라.
로서 ①의 원의 지름의 길이다.
따라서 두 점  와  는 ①의 원의 지름의 양끝점이다.


참고 아폴로니우스(Apollonius)
: 기원전 약 262-190, 그리스 
참고

위의 그림에서 
 : :
즉    이면 점  의 풀이 점  를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각각
자취는 원이 아니라 ,  라 하면    ,    이므로
선분  의 수직이등분선이 된다.     
     
≧ 
21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




 

 

따라서 최단거리가 나올 때는 점  ,  가 각각  와
두 해안선의 교점일 때이고, 이때 최단거리는 ∆
에서 코사인법칙을 적용하여
  77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
 
     ⋅⋅ 다각형으로 둘러싸인 입체도형을 다면체(多面體)라 한다. 이때 다면
    cos 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을 면이라 부르고, 다각형의 변을 모서리
따라서 섬까지의 거리 와, 두 해안선이 이루는 각  가 라 부른다.
주어지면 최단거리  를 구할 수 있다.
보기 문제의 그림에서 ← 꼭지점(vertex)
(1)   °이면     이므로    ←면(face)
(2)   °이면     이므로   
←모서리(edge)

(3)  °이면  
 
 이므로   

영어의 앞 글자를 따서 꼭지점의 개수를 , 면의 개수를  , 모서리의


개수를  라 하자.
성질     
76 평행이동과 최단거리 증명  개의 면에 차례로 번호를 붙여보자. 예를 들면
문제 그림과 같이 두 지점  ,  사이에 일정한 폭의 강이    ,    ,    , ⋯
흐르고 있다. 강에 수직으로 다리를 놓아  에서  까 그러면 다면체의 면은 , ,  , ⋯,  이다.
지 최단거리로 강을 건너려면 다리는 어느 위치에 놓아

야 할까?






 면  의 꼭지점과 변의 개수를 각각 ,  이라 하자.


면  의 꼭지점과 변 중에서 면 과 공통인 것을 제외
풀이 선분  를 강의 폭  만큼 아래쪽으로 평행이동한
한 개수를 각각 ,   라 하자.
선분을 ′  라 하자.
면  의 꼭지점과 변 중에서 면 ,  와 공통인 것을
 에서  까지의 길은      이고 이때 강
의 폭  는 일정하므로,    가 최소이면 된다. 제외한 개수를 각각 ,   라 하자.
    ′    ≧ ′  ⋮
따라서 ′  가 강변의 아래쪽과 만나는 곳에 다리를 놓 그러면 그림에서 다음 관계가 성립함을 쉽게 알 수 있다.
아야 한다.
22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       × °
(3) 정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 이
      
고, 한 꼭지점에 정각형이 개 모일 때 내각의 합은
     
   × °
⋮ °를 넘을 수 없으므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 식들을 모두 더하면 따라서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의 순서쌍은
이때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따라서  의 순서쌍은


따라서       ,  ,  ,  ,  

참고
따라서 정다면체는 5개뿐이다.
오일러(Leonhard Euler)
이제, 이들의 정체를 알아보자.
:1707-1783, 스위스

    일 때


즉, 한 꼭지점에 정삼각형이 개 모일 때
 
   ,    이므로 ①에서   ,   
 
즉, 정삼각형이   개 모여서 정사면체가 된다.

78 정다면체
각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이고 각 꼭지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은
볼록한 다면체를 정다면체(正多面體)라 한다.
성질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로 5개뿐이다.
    일 때
증명 정다면체의 면, 모서리, 꼭지점의 개수를 각각  ,  , 
즉, 한 꼭지점에 정삼각형이 개 모일 때
라 하면,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에 의해
 
     ⋯①    ,    이므로 ①에서   ,   
 
이다. 정다면체의 각 꼭지점에 정각형이 개 모인다 즉, 정삼각형이   개 모여서 정팔면체가 된다.
고 하자. 예를 들면, 다음 그림과 같이 정육면체는 각 꼭
지점에 정사각형이 개 모인다.(  ,   )

    일 때


(1) 정다면체의 면의 개수  를 구하자. 한 모서리에 면 즉, 한 꼭지점에 정사각형이 개 모일 때
이 개씩 생기므로  개의 모서리에는 개의 면이 생  
   ,    이므로 ①에서   ,   
  
긴다. 그 중에 개씩 중복되므로   
 즉, 정사각형이   개 모여서 정육면체가 된다.
정다면체의 꼭지점의 개수 를 구하자. 한 모서리에 꼭
지점이 개씩 생기므로  개의 모서리에는 개의 꼭

지점이 생긴다. 그 중에 개씩 중복되므로   

(2) 정각형에서  ≧ 이다. 또, 다면체가 되려면 한 꼭
지점에 개 이상의 면이 모여야 하므로  ≧ 이다.
23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    일 때
즉, 한 꼭지점에 정삼각형이 개 모일 때 정다면체 전개도    
 
   ,    이므로 ①에서   ,   
 
즉, 정삼각형이   개 모여서 정이십면체가 된다.
면   개
모서리   개
꼭지점   개
정사면체 정삼각형이 개

    일 때


즉, 한 꼭지점에 정오각형이 개 모일 때
 
   ,    이므로 ①에서   ,    면   개
 
모서리   개
즉, 정오각형이   개 모여서 정십이면체가 된다.
꼭지점   개

정육면체 정사각형이 개

면   개
모서리   개
79 정다면체 요점 정리 꼭지점   개
참고 플라톤(Platon):기원전 427-347, 그리스 정팔면체 정삼각형이 개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플라톤은 세계를 구성하는 5가지 기본 원소를
불, 흙, 공기, 천체, 물로 정의하고 이들을 정다면체와 연관지었다. 그
래서 5가지의 정다면체를 플라톤의 입체라고도 부른다.

면   개
모서리   개
꼭지점   개
정십이면체 정오각형이 개
(1) 가장 뾰족한 모양을 가진 정사면체
☞ 가장 날카로운 성질을 가진 불을 상징

(2) 가장 안정된 모양을 가진 정육면체


☞ 가장 안정된 성질을 가진 흙을 상징

(3) 팔랑개비처럼 바람을 불면 쉽게 돌아가는 정팔면체


면   개
☞ 바람을 불러일으키는 공기를 상징
모서리   개
(4) 정십이면체 꼭지점   개
☞ 12개의 별자리로 이루어진 천체를 상징 정이십면체
정삼각형이 개
(5) 둥글둥글한 정이십면체
☞ 가장 쉽게 굴러갈 수 있으므로 활동적인 물을 상징
24쪽
2023 기본도형 총정리

80 정사면체의 성질
성질 정사면체의 꼭지점에서 밑변에 내린 수선의 발은 밑변의
무게중심이다.
증명




정사면체  의 꼭지점  에서 밑변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 에서 변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이라 하면,  ⊥ 이고  ⊥ 이므
로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따라서 정삼각형 ∆ 에서    이다.
따라서 정삼각형 ∆ 에서  ⊥ 이다.
따라서  은  의 수직이등분선이고,  은 
위에 존재한다.
같은 방법으로 하면,  은  에서  에 내린 수직이
등분선 위에 존재한다.
따라서  은 ∆ 의 중선의 교점이므로 ∆ 의
무게중심이다.
참고 이 성질은 정사면체가 아니더라도 밑변 ∆ 가 정삼
각형이고      이기만 하면 성립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