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6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아름다운 건축물을 만들 수 있다.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1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3 삼각형의 외심
5 평행사변형의 성질
7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2 직각삼각형의 합동 조건
4 삼각형의 내심
6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되짚어 보기

여러 가지 삼각형 초 3~4
1 다음 삼각형의 이름을 각각 말하시오.

⑴ ⑵ ⑶

평행선의 성질 중1
2 다음 그림에서 M∥N일 때, ∠Y의 크기를 구하시오.
▶ 평행한 두 직선이 한 직선과
n n
만날 때 ⑴ ⑵
130$
① 동위각의 크기는 서로 같 l l
50$
다.
② 엇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x x
m m

삼각형의 합동 조건 중1
3 다음 삼각형 중에서 서로 합동인 것을 찾아 기호 f을 써서 나타내고, 그때의 합동 조
건을 말하시오.

A 10 cm G
E D
8 cm 30$ 60$ 10 cm

B 30$ C 30$
10 cm H I
F

삼각형의 내각과 외각
4 다음 그림에서 ∠Y의 크기를 구하시오.
중1
⑴ A ⑵ A
▶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고, 삼각형의 한 60$ 80$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
40$ x
지 않은 두 내각의 크기의 합 B
C
과 같다. 50$ x
B C

이전에 배운 내용의 이해도를 표시해 보세요.


144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0 50 100
단원을 시작
하며 우리의 모임 장소는 어디일까?

가은이의 수학 일기

9월 ○○◯일

오늘 수학 시간에 선생님께서 조별 과제를 내 주셨다.


나는 지효, 유찬이와 같은 조가 되어 발표를 준비하게 되었다.
우리는 토요일까지 각자 맡은 자료를 수집한 후 일요일에 만나 내용을 정리하기로 했다.
어디에서 만나는 것이 좋을까?
우리 집 근처에서 만나면 나는 좋지만 다른 친구들은 거리가 멀어서 내가 미안할 것 같다.
아! 각자의 집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곳을 모임 장소로 정하면 되겠구나.

그럼 그 위치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이 단원에서는 세 지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장소를 찾아보는 활동을 통해 삼


각형과 사각형의 성질을 알아본다.

단원을 시작하며 145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전통 지붕 양식인 맞배지붕은 좌우대칭인 이등변삼각형 모양이다.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은 무엇인가요?


탐구 학습

열기 색종이로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한 후, 물음에 답하여 보자.

B C

➊ 직사각형 모양의 색종이를 ➋ 접은 색종이를 대각선을 ➌ 색종이를 펼쳐서 △"#$


반으로 접는다. 따라 자른다. 를 만든다.

⑴ △"#$는 어떤 삼각형인지 말하여 보자.


⑵ △"#$에서 ∠#와 크기가 같은 각을 말하여 보자.

다지기 ⑴ △"#$는 "#“"$“이므로 이다.


⑵ △"#$에서 ∠#와 크기가 같은 각은 이다.

키우기 이등변삼각형은 어떤 성질이 있을까?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이등변삼각형은 두 변의 길이가 서로 같은 삼각형이다.


꼭지각
이때 길이가 같은 두 변 사이의 끼인각을 꼭지각, 꼭지각의 대
변을 밑변, 밑변의 양 끝 각을 밑각이라고 한다.
밑각

밑변

탐구 학습에서 이등변삼각형의 두 밑각의 크기는 서로 같음을 알 수 있다.

146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이제 다음과 같이 △"#$에서 "#“"$“이면 ∠#∠$임 A

을 설명하여 보자.

B C

생각 ∠#와∠$를 각각 포함하는
열기 ∠"를 이등분하는 보조선을
삼각형 두 개를 만들어
그어 두 삼각형을 만들면 되겠네.
합동임을 보이면 돼.

설명 1 단계 | 보조선 긋기
하기
∠"의 이등분선을 그어 변 #$와의 교점을 %라고 하자. A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와 △"$%에서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각각 "#“"$“ UUA① B C
D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을
때, 두 삼각형은 서로 합동이 ∠#"%∠$"% UUA②
다. "%“는 공통 UUA③
①, ②, ③에서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각각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f△"$%이다.
3 단계 | 이등변삼각형의 두 밑각의 크기가 서로 같음을 보이기
따라서 ∠#∠$이다.
즉, 이등변삼각형에서 두 밑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한편,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 A

등분함을 알아보자.
앞에서 △"#%f△"$%이므로
#%“$%“
B C
D
이다. 또, ∠"%#∠"%$이고 ∠"%# ∠"%$±이
므로
∠"%#∠"%$±
이다. 즉, 이등변삼각형에서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1.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147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이등변삼각형에서
➊ 두 밑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➋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이등변삼각형에서는
한 내각의 크기만 알아
도 나머지 각의 크기를
개념 확인 모두 알 수 있어.

문제 1 다음 그림에서 ∠Y의 크기를 구하시오.


⑴ A ⑵ A
70$ x

x
B C
B C
110$

문제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인 이등변삼각형 "#$에서 ∠"의 A

이등분선과 밑변 #$의 교점을 %라고 하자. ∠#"%±, 25$

#$“ADN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의 크기
B C
D
⑵ ∠$의 크기 8 cm

⑶ #%“의 길이

148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이등변삼각형이 되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이등변삼각형이 다음과 같이 △"#$에서 ∠#∠$이면 "#“"$“임을 설 A

되는 조건 명하여 보자.

B C

생각
열기 "#“와 "$“를 각각 포함하는 삼각형 ∠"를 이등분하는 보조선을
두 개를 만들어 합동임을 보이면 돼. 그어 두 삼각형을 만들면 되겠네.

설명 1 단계 | 보조선 긋기
하기
∠"의 이등분선을 그어 변 #$와의 교점을 %라고 하자. A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와 △"$%에서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 B C
D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
을 때, 두 삼각형은 서로 합동 ∠#"%∠$"% UUA①
이다.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½±이므로
∠"%#∠"%$ UUA②
"%“ 는 공통 UUA③
①, ②, ③에서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
로 △"#%f△"$%이다.
3 단계 |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이 이등변삼각형임을 보이기
따라서 "#“"$“이다.
즉,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등변삼각형이 되는 조건
➊ 두 변의 길이가 같은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다.
➋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다.

1.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149
| 이등변삼각형이 되는 조건 이해하기

예제 1 다음 그림에서 Y의 값을 구하시오.
⑴ A ⑵ A
D 72$
x cm 6 cm x cm

B 36$ 36$ C
64$ 58$
B C
7 cm

풀이 ⑴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 ± ± ±
따라서 두 내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즉, "#“#$“이므로 Y이다.
⑵ △%#$에서 ∠%#$∠%$#이므로 %$“%#“ADN
또, △%#$에서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은 두 내각의 크기
의 합과 같으므로
∠"%$∠%#$ ∠%$#± ±±
따라서 두 내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즉, "$“%$“이므로 Y이다.
⑴ ⑵

문제 3 다음 그림에서 Y의 값을 구하시오.
⑴ A ⑵
D
110$
50$ A
70$ x cm
x cm 5 cm

B 35$
80$ C
B C
8 cm

정보 처리

오른쪽 그림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분 "#의


수직이등분선 M을 그린 후 그 위에 점 1를 잡은 것이다. l
직선 M 위에서 점 1의 위치를 움직이면서 두 선분 1", P

1#의 길이를 측정하여 비교해 보자.

A B

150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스스로 확인하기 정답 및 풀이 276쪽

1 4
다음 그림에서 ∠Y의 크기를 구하시오. 오른쪽 그림은 강의 폭을
⑴ A ⑵ A 구하기 위하여 측정한 것
68$ x
을 나타낸 것이다. 강의
130$ 폭 #$“의 길이가 "#“의
x B C D
B C
길이와 같음을 설명하시
오.

2
오른쪽 그림과 같은 A
5
64$ D
△"#$에서 ∠"±, 6 cm 6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인 A
x cm
∠"%#±, ∠$± △"#$에서 #$“ 위의 점 1에서
B C
8 cm
이고 "#“ADN일 때, Y 32$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
D E
의 값을 구하시오. 각 %, &라고 하자. "#“ADN, C
B
P
△"#$의 넓이가 ADN™A일 때,
1%“ 1&“의 값을 구하시오.

3
l
오른쪽 그림에서 직선 M은 선 6 발전 문제

분 "#의 수직이등분선이다. P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10 cm
1"“ADN, "#“ADN 모양의 종이를 접었을 때, 종
A B
일 때, ".“ #1“의 값을 구 M
이가 겹치는 부분은 어떤 삼각
16 cm
하시오. 형인지 구하고, 그렇게 생각하
는 이유를 말하시오.

이 단원의 이해도를 표시해 보세요.


0 50 100
1.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151
직각삼각형의 합동 조건
직각삼각형의 합동 조건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바레인 국제 무역 센터는 두 개의 직각삼각형이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는


모양이다.

직각삼각형의 합동 조건은 무엇인가요?


탐구 학습

열기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인 두 직각삼각형 A D

"#$와 %&'는 "#“%&“ADN, ∠"∠%±이


5 cm 5 cm
다. ∠#와 ∠&의 크기를 구하고, 두 삼각형이 서로 합동인 30$ 30$

지 말하여 보자. B C E F

다지기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
두 삼각형 "#$와 %&'에서
"#“%&“ADN
∠"∠%±
따라서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두 삼각형
"#$와 %&'는 서로 합동이다.

키우기 두 직각삼각형은 어떤 조건이 주어질 때 서로 합동일까?

직각삼각형의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직각삼각형에서 한 예각의 크기를


합동 조건 알면 다른 예각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의 대 따라서 빗변의 길이가 같은 두 직각삼각형 A D

변을 빗변이라고 한다. "#$와 %&'에서 한 예각의 크기가 같으면 두


빗변
삼각형은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90$- 90$-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와 △%&' B C E F

는 서로 합동이 된다.

즉,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두 직각삼각형은 서로 합동이다.

152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이제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직각삼각형의 또 다른 합동 조건을 알아
보자.

∠$∠'±인 두 직각삼각형 "#$와 %&' A D

에서 "#“%&“, "$“%'“이면 △"#$f△%&'


임을 설명하여 보자.

B C E F

생각
두 변 "$와 %'의 길이가 같으니까 세 점 #, $ ' , &는 한 직선 위에
열기 있으므로 △"#&가 만들어지겠네.
△%&'를 뒤집어 서로 겹쳐 보면….

설명 1 단계 | 이등변삼각형 만들기
하기
오른쪽 그림과 같이 △%&'를 뒤집어 길이가 같은 두 변 A(D)

"$와 %'가 서로 겹치도록 놓으면


∠"$# ∠%'&± ±
±
B E
C(F)
이다. 따라서 세 점 #, $ ' , &는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가 만들어진다.
이때 △"#&는 "#“"&“이므로 이등변삼각형이다.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와 △%&'에서
∠$∠'± UUA①
"#“%&“ UUA②
또,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UUA③
①, ②, ③에서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f△%&'이다.
즉,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각각 같은 두 직각삼각형은 서로 합동
이다.

2. 직각삼각형의 합동 조건 153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직각삼각형의 합동 조건
➊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두 직각삼각형은 서로 합동이다.
➋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각각 같은 두 직각삼각형은 서로 합동이다.

개념 확인

문제 1 다음 직각삼각형 중에서 서로 합동인 것을 모두 찾아 기호 f을 써서 나타내시오.

A F I
G

5 cm 40$ 5 cm
50$ 5 cm 50$
E
40$
B C D H

M P
J

5 cm 4 cm 5 cm 4 cm

K L N O Q R
4 cm 5 cm

정보 처리

오른쪽 그림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90:의 이


등분선 M을 그린 후 그 위에 점 1를 잡은 것이다. 점 1에서
X
두 반직선 09와 0: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라고 l
A
할 때, 직선 M 위에서 점 1의 위치를 움직이면서 두 선분 P
1", 1#의 길이를 측정하여 비교해 보자.
O B Y

154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스스로 확인하기 정답 및 풀이 276쪽

1 4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D F 오른쪽 그림과 같이 D
60$ A
∠#∠'±인 두 직각삼 6 cm ∠"±, "#“"$“인 E
6 cm 7 cm
30$
4 cm
각형 "#$, %&'에 대하여 B C 직각이등변삼각형
3 cm E
B C
물음에 답하시오. "#$의 두 꼭짓점 #, $

⑴ 합동인 두 삼각형을 기호 f을 써서 나타내고, 에서 꼭짓점 "를 지나는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합동 조건을 말하시오. %, &라고 하자. #%“ADN, $&“ADN일 때,

⑵ %'“의 길이를 구하시오. △"%#의 넓이를 구하시오.

5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
다음 그림에서 Y, Z의 값을 구하시오.
∠$±인 직각삼각형 "#$
⑴ A x cm ⑵ A
D 7 cm 에서 "&“는 ∠"의 이등분선이 D
y$
E x cm 고 "#“⊥%&“, $&“ADN일 때,
y cm 45$
3 cm B C
E 6 cm
B 32$ C △#&%의 넓이를 구하시오.
D
B 4 cm C

6 발전 문제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l
A
오른쪽 그림과 같은 △"#$ A ∠"±, "#“"$“인
에서 #$“의 중점을 .이라 하 6 cm 직각이등변삼각형 "#$에
8 cm D
고, 점 .에서 두 변 "#, "$ E 서 꼭짓점 "를 지나는 직선 B C
D E 6 cm
2 cm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B C M을 긋고, 두 꼭짓점 #, $에
M
&라고 하자. "%“ADN, 서 직선 M에 내린 수선의 발
$&“ADN, .%“.&“일 때, "#“의 길이를 구하시오. 을 각각 %, &라고 하자. #%“ADN, $&“ADN일 때,
%&“의 길이를 구하시오.

이 단원의 이해도를 표시해 보세요.


0 50 100
2. 직각삼각형의 합동 조건 155
삼각형의 외심
삼각형의 외심의 성질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전통 지붕에 사용되었던 기와인 수막새가 원 모양이라고 할 때, 깨진 부


분은 원의 중심을 찾아 복원할 수 있다.

삼각형의 외심은 무엇인가요?


탐구 학습

열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 순서에 따라 활동을 하고, 물음에 답하여 보자.

A A

O
B C B C

➊ 삼각형 "#$를 그리고, 변 "#의 수직 ➋ 변 #$의 수직이등분선을 그린다.


이등분선을 그린다.

⑴ 활동 ➊, ➋에서 그린 선의 교점을 0라고 할 때, 변 $"의 수직이등분선이 점 0를 지


나는지 확인하여 보자.
⑵ 점 0에서 세 꼭짓점 ", #, $에 이르는 거리를 재어 비교하여 보자.

다지기 ⑴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린 변 $"의 수직이등분


선은 점 0를 . A

⑵ 점 0에서 세 꼭짓점 ", #, $에 이르는 거리를 재어 보면


그 거리는 . O
B C

키우기 모든 삼각형에서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날까?

삼각형의 외심 △"#$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남을 알아보자.

생각 두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점 %가 #$“를 이등분하는 것을


교점 0에서 나머지 한 변에 내린 수선의 보이기 위해서는 0%“를 포함한
열기 합동인 두 삼각형을 만들면 돼.
발 %가 그 변을 이등분함을 보이면 돼.

156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설명 1 단계 | 두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 찾기
하기
△"#$에서 변 "#와 변 "$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을 A

0라고 하자.
"#“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이때 점 0는 두 변 "#, "$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점이므로 O
한 점 0에서 두 점 ", #에
0"“0#“, 0"“0$“ UUA① B C
이르는 거리는 같다.
O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이제 점 0에서 변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고 하면 A
A B

△0#%와 △0$%에서
∠0%#∠0%$± UUA② O

①에서0#“0$“ UUA③ C
B
D
0%“ 는 공통 UUA④
②, ③, ④에서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
로 △0#%f△0$%이다.
3 단계 |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이 한 점에서 만남을 보이기
#%“$%“이므로 0%“ 는 #$“의 수직이등분선이다. 따라서 △"#$의 세 변의 수
직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A 한편, 0"“0#“0$“이므로 점 0에서 △"#$의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F O E 모두 같고, 점 0를 중심으로 하고 0"“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리면 이 원은

B C
△"#$의 세 꼭짓점을 모두 지난다.
D

△0"'f△0#'
△0#%f△0$% 이처럼 △"#$의 모든 꼭짓점이 원 0 위에 있을 때, 이 외접원 A
△0$&f△0"&
원 0는 △"#$에 외접한다고 한다.
이때 원 0를 △"#$의 외접원이라 하고, 외접원의 중 O
심 0를 △"#$의 외심이라고 한다.
B C
외심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삼각형의 외심
➊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외심)에서 만난다.
➋ 외심에서 삼각형의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모두 같다.

3. 삼각형의 외심 157
| 삼각형의 외심의 성질 이해하기
예제 1 따라 하기
오른쪽 그림에서 점 0는 A 오른쪽 그림에서 점 0는 A

△"#$의 외심이다. 30$ △"#$의 외심이다.


40$
∠0"#±, ∠0$"± ∠0#"±, O
35$
O 25$ B C
일 때, ∠Y의 크기를 구하시오. ∠0$"±일 때, ∠Y의 x
x
B C
크기를 구하시오.

풀이 점 0는 △"#$의 외심이므로 0"“0#“0$“ 풀이 점 0는 △"#$의 외심이므로 0"“0#“0$“


이다. 즉, △0"#, △0#$, △0$"는 모두 이다. 즉, △0"#, △0#$, △0$"는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이등변삼각형이므로
∠0#"±, ∠0$#∠Y, ∠0"# , ∠0#$ ,
∠0"$± ∠0"$
이때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 이때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
므로 므로
 ± ∠Y ± ± ±
∠Y± ∠Y
±

문제 1 다음 그림에서 점 0는 △"#$의 외심일 때, ∠Y의 크기를 구하시오.


⑴ A ⑵ A
30$
x

O 31$ x
O
B C B C
24$ 20$

정보 처리・의사소통

오른쪽 그림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삼각형


"#$를 그린 후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을 그려 외심을 찾
A
은 것이다. 삼각형의 한 점을 움직이면서 예각삼각형, 직
각삼각형, 둔각삼각형일 때 외심의 위치를 찾아보고, 각
경우에 대하여 어떤 특징이 있는지 설명하여 보자. O
B C

158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스스로 확인하기 정답 및 풀이 277쪽

1 4
오른쪽 그림에서 점 0는 A 오른쪽 그림에서 점 0는 A

△"#$의 외심일 때, 0"“ △"#$의 외심일 때, z


9 cm
의 길이를 구하시오. O ∠Y ∠Z ∠[의 값을 구하
x O
6 cm 시오. y
B C B C

2 5
오른쪽 그림에서 점 0는 A
오른쪽 그림에서 점 0는 A
△"#$의 외심일 때,
△"#$의 외심이다. F E
∠0#$±, ∠0$"± 20$ △"#$의 둘레의 길이를 구 6 cm O
O 5 cm
25$ C
하시오.
일 때, ∠0$#의 크기를 구하 B B C
5 cm D
시오.

창의•융합
6
3 유적지를 발굴하던 중 오른쪽

오른쪽 그림에서 점 0는 A 그림과 같이 깨어진 얼굴 무늬

△"#$의 외심일 때, 65$ 수막새가 출토되었다. 이 수막

∠Y의 크기를 구하시오. O 새를 원 모양이라고 할 때, 원래


x 의 모양으로 복원하기 위해 원
B C
의 중심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
시오.

이 단원의 이해도를 표시해 보세요.


0 50 100
3. 삼각형의 외심 159
삼각형의 내심
삼각형의 내심의 성질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삼각형 모양의 시계에서 시곗바늘을 고정하는 원의 중심은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찾을 수 있다.

삼각형의 내심은 무엇인가요?


탐구 학습

열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 순서에 따라 활동을 하고, 물음에 답하여 보자.

A A

I
B C B C

➊ 삼각형 "#$를 그리고, ∠"의 이등분선 ➋ ∠#의 이등분선을 그린다.


을 그린다.

⑴ 활동 ➊, ➋에서 그린 선의 교점을 *라고 할 때, ∠$의 이등분선이 점 *를 지나는지 확


인하여 보자.
⑵ 점 *에서 세 변 "#, #$, $"에 이르는 거리를 재어 비교하여 보자.

다지기 ⑴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린 ∠$의 이등분선은 점 *를


. A

⑵ 점 *에서 세 변 "#, #$, $"에 이르는 거리를 재어 보면 그


I
거리는 . B C

키우기 모든 삼각형에서 세 내각의 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날까?

삼각형의 내심 △"#$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남을 알아보자.

생각 두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 *와 *$“가 ∠$를 이등분하는 것을


열기 나머지 한 꼭짓점을 연결한 선분이 보이기 위해서는 *$“를 포함한 합동인
∠$를 이등분하는 것을 보이면 돼. 두 삼각형을 만들면 돼.

160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설명 1 단계 | 두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 찾기
하기
△"#$에서 ∠"와 ∠#의 이등분선의 교점을 *라 하고, A

점 *에서 세 변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 &, '라고 하자. F
∠#의 이등분선 위의 한 점 이때 점 *는 ∠", ∠#의 이등분선 위의 점이므로 I
*에서 그 각의 두 변에 이르 B E C
는 거리는 같다. *%“*'“, *%“*&“ UUA①
A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I
이제 점 $와 점 *를 연결하는 *$“ 를 그으면 A
B
C △*$&와 △*$'에서
D
∠*&$∠*'$± UUA② F

*$“ 는 공통 UUA③ I
B E C
①에서*&“*'“ UUA④
②, ③, ④에서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
로 △*$&f△*$'이다.
3 단계 | 세 내각의 이등분선이 한 점에서 만남을 보이기
∠*$&∠*$'이므로 *$“는 ∠$의 이등분선이다. 따라서 △"#$의 세 내각의
A
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D
I F

B C
E 한편, *%“*&“*'“이므로 점 *에서△"#$의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모두 같
△*"%f△*"'
고, 점 *를 중심으로 하고 *%“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리면 이 원은 △"#$의
△*#%f△*#&
△*$&f△*$' 세 변과 각각 한 점에서 만난다.

접점에서 접선과 반지름은 어떤 직선 M과 원 0가 한 점 5에서 만날 때, 직선 M은 원


수직으로 만난다. 즉,
0에 접한다고 한다. 이때 직선 M을 원 0의 접선이라 하고, O
05“⊥M이다.
원과 접선이 만나는 점 5를 접점이라고 한다.
l
T
접점 접선

이처럼 원 *가 △"#$의 세 변에 모두 접할 때, 이 원 A
내접원
*는 △"#$에 내접한다고 한다.
D
이때 원 *를 △"#$의 내접원이라 하고, 내접원의 중심 F
I
*를 △"#$의 내심이라고 한다.
B C
E 내심

4. 삼각형의 내심 161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삼각형의 내심
➊ 삼각형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은 한 점(내심)에서 만난다.
➋ 내심에서 삼각형의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모두 같다.

| 삼각형의 내심의 성질 이해하기

예제 1 오른쪽 그림에서 점 *는 △"#$의 내심이다. A

∠*#"±, ∠*$#±일 때, ∠Y의 크기를 구하시오. x

26$ I
30$
B C

풀이 점 *는 △"#$의 내심이므로
∠*"#∠*"$∠Y, ∠*#$∠*#"±, ∠*$"∠*$#±
이때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Y ± ± ±, ∠Y±
±

문제 1 다음 그림에서 점 *는 △"#$의 내심일 때, ∠Y의 크기를 구하시오.


⑴ A ⑵ A
x 50$

34$ I
I
20$ x
B C
B C

추론・의사소통

정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의 위치를 찾아보고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자.

삼각형의 내심은 세 내각의 삼각형의 외심은 세 변의


이등분선의 교점이야.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야.

162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스스로 확인하기 정답 및 풀이 278쪽

1 4
오른쪽 그림에서 점 *는 A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
2 cm
△"#$의 내심일 때, Y, Z의 D 의 내심 *를 지나고 변 #$에 평
11 cm
I 8 cm
값을 구하시오. y$ 행한 직선이 "#“, "$“와 만나
x cm I
D E
B C 는 점을 각각 %, &라고 하자.
E 30$
B C
"#“ADN, "$“ADN일
때, △"%&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시오.

2 창의•융합
오른쪽 그림에서 점 *는 △"#$ A
5
다음 그림은 서윤이네 집에 있는 계단 밑 공간과 공의 크
의 내심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D
F 기를 나타낸 것이다. 계단 밑 공간에 농구공, 축구공, 배구
5 cm
⑴ △#*%와 합동인 삼각형 I
B C 공, 핸드볼공, 볼링공 중 어떤 공을 넣을 수 있는지 모두
⑵ &$“의 길이 E
8 cm
말하시오. (단, 계단의 폭은 충분히 넓다.)

74 cm
24 cm

3 70 cm

다음 그림에서 점 *는 △"#$의 내심일 때, ∠Y의 크기


를 구하시오.

⑴ A ⑵ A 농구공 축구공 배구공


35$ x 반지름 12 cm 반지름 11 cm 반지름 9.5 cm
I
I x 130$
30$ B C
B C
핸드볼공 볼링공
반지름 9 cm 반지름 8.5 cm

이 단원의 이해도를 표시해 보세요.


0 50 100
4. 삼각형의 내심 163
모래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찾기
모래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을 찾아보자.

준비물 모래, 두꺼운 종이, 받침대

실험 방법

➊ 두꺼운 종이에 예각삼각형을 그린 후 세 꼭짓점에 ➋ 받침대에 두꺼운 종이를 올려놓고, 그 위에 모래를


크기가 같은 개의 구멍을 뚫는다. 부어 구멍으로 모래가 흘러나오도록 한다.

실험 결과

오른쪽과 같이 삼각형의 세 꼭짓점에 뚫은 구멍으로 모래가 흘러내려


만들어지는 선분은 삼각형의 각 변의 수직이등분선이며, 그 교점이 삼
각형의 외심이다.

추론・의사소통

두꺼운 종이로 삼각형을 만들어 받침대에 올려놓고, 그 위에 모래를 부어 만들어지는


선분을 관찰하고, 그 선분의 교점이 내심인 이유를 설명하여 보자.

164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평행사변형의 성질
평행사변형의 성질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스페인 마드리드에 있는 건축물인‘푸에르타 데 유로파(Puerta de


Europa)'의 벽면은 평행사변형 모양이다.

평행사변형의 성질은 무엇인가요?


탐구 학습

열기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한 후, 물음에 답하여 보자.


A D A' D C'
A A

C' D A'
B C B C B C

➊ 색종이를 잘라 평행사변형 ➋ 평행사변형 "#$%의 대각 ➌ ➋에서 만들어진 두 삼각형


"#$%를 만든다. 선 "$를 잘라 두 개의 삼 을 포개어 본다.
각형을 만든다.

⑴ 평행사변형 "#$%에서 길이가 서로 같은 변을 모두 말하여 보자.


⑵ 평행사변형 "#$%에서 크기가 서로 같은 각을 모두 말하여 보자.

다지기 위의 활동에서 만든 두 개의 삼각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완 A(C')

전히 포개어지므로
⑴ "#“ , #$“ 이다.
B(D) C(A')
⑵ ∠#"$∠%$", ∠#$"∠%"$이므로 평행사
변형 "#$%에서 ∠"∠#"$ ∠%"$∠%$" ∠#$" ,
∠# 이다.

키우기 평행사변형에는 어떤 성질이 있을까?

평행사변형의 삼각형 "#$를 기호 △"#$로 나타낸 것과 같이 사각형 D


A
대변, 대각의 성질 "#$%를 기호로 "#$%와 같이 나타낸다. 이때 서로 마주 대각

보는 변을 대변, 서로 마주 보는 각을 대각이라고 한다. 대변


B C

위의 탐구 학습에서 평행사변형의 두 쌍의 대변의 길이와 두 쌍의 대각의 크기


평행사변형은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한 사각형이다. 는 각각 같음을 알 수 있다.

5. 평행사변형의 성질 165
이제 "#$%에서 "#“∥%$“, "%“∥#$“이면 A D

"#“%$“, "%“#$“이고, ∠"∠$, ∠#∠%임을


설명하여 보자.
B C

생각
열기 대각선을 그어 생기는 △"#$와 평행선에서 엇각의 성질을 이용하
△$%"가 서로 합동임을 보이면 돼. 면 합동임을 설명할 수 있어!

설명 1 단계 | 대각선 긋기
하기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행사변형 "#$%에 대각선 "$를 A D

긋자.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B C


△"#$와 △$%"에서
"#“∥%$“이므로
∠#"$∠%$" (엇각) UUA①
"%“∥#$“이므로
∠"$#∠$"% (엇각) UUA②
"$“는 공통 UUA③
①, ②, ③에서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
로 △"#$f△$%"이다.
3 단계 | 평행사변형의 대변, 대각의 성질 찾기
따라서 "#“%$“, "%“#$“, ∠#∠%이다.
또, ①, ②에 의하여
∠"∠#"$ ∠$"%
∠%$" ∠"$#
∠$
즉, 평행사변형의 두 쌍의 대변의 길이는 각각 같고, 두 쌍의 대각의 크기도 각각
같다.

166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행사변형의 대변, 대각의 성질


평행사변형에서
➊ 두 쌍의 대변의 길이는 각각 같다.
➋ 두 쌍의 대각의 크기는 각각 같다.

| 평행사변형의 대변, 대각의 성질 이해하기

예제 1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에서 A 7 cm D


∠#±, "#“ADN, "%“ADN일 때, 다음을
5 cm
구하시오.
80$
⑴#$“, %$“의 길이 B C

⑵ ∠", ∠$, ∠%의 크기

풀이 ⑴ 평행사변형에서 대변의 길이는 각각 같으므로


#$“"%“ADN, %$“"#“ADN
⑵ 평행사변형에서 대각의 크기는 각각 같으므로
∠"∠$, ∠%∠#±
한편, ∠" ∠# ∠$ ∠%±이므로

∠"∠$Å\± ∠# ∠% ^

Å\± ± ± ^

Å@±±

⑴ #$“ADN, %$“ADN ⑵ ∠"±, ∠$±, ∠%±

문제 1 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에서 Y, Z의 값을 구하시오.


⑴ A 4 cm D ⑵ A D
110$
3 cm
y cm

y$ x$
B x cm C
B C

5. 평행사변형의 성질 167
평행사변형의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는지 알아보자.
대각선의 성질
"#$%에서 두 대각선의 교점을 0라고 할 때, A D

"#“∥%$“, "%“∥#$“이면 0"“0$“, 0#“0%“임을 설


O
명하여 보자.
B C

생각 두 대각선을 그어 생기는 평행선에서 엇각의 성질을


열기 △"#0와 △$%0가 이용하면 합동임을
합동임을 보이면 돼. 설명할 수 있어!

설명 1 단계 | 두 대각선 긋기
하기
평행사변형 "#$%에서 두 대각선 "$, %#의 교점을 0 A D

라고 하자.
O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B C
△"#0와 △$%0에서 "#“∥%$“이므로
∠0"#∠0$% (엇각) UUA①
∠0#"∠0%$ (엇각) UUA②
평행사변형에서 대변의 길이는 서로 같으므로
"#“%$“ UUA③
①, ②, ③에서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
로 △"#0f△$%0이다.
3 단계 | 평행사변형의 대각선의 성질 찾기
따라서 0"“0$“, 0#“0%“이다.
즉,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행사변형의 대각선의 성질
평행사변형에서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168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개념 확인

그럼 $0“"0“ADN이고,
평행사변형에서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해! #%“#0“A DN 구나!

문제 2 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에서 Y, Z의 값을 구하시오.


⑴ A D ⑵ A D
y cm x cm
5 cm O 4 cm
x cm y cm O
7 cm 12 cm
B C B C

문제 3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에서 △"0%의 넓 A


16 cP
D

이가 ADN™A 일 때, 평행사변형 "#$%의 넓이를 구하시오.


O
(단, 점 0는 두 대각선의 교점이다.)
B C

추론・의사소통

다음 그림을 보고 평행사변형 "#$%의 두 대각선의 교점 0를 지나는 직선이 "#$%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이유를 설명하여 보자.
A D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니까….
O

B C

5. 평행사변형의 성질 169
스스로 확인하기 정답 및 풀이 278쪽

1 4
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에서 Y, Z의 값을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 A D

구하시오. 형 "#$%에서
B C
⑴ A D ⑵ A 13 cm D ∠":∠#:일 때,
y$
10 cm ∠$와 ∠%의 크기를 구하시오.
x cm 15 cm
125$ 3y cm
B C
B (x+10) cmC

5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 A D
2
형 "#$%의 넓이가 ADN™A
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에서 ∠Y, ∠Z의 크 O
일 때, △0#$의 넓이를 구하 B C
기를 구하시오.
시오. (단, 점 0는 두 대각선의
⑴ A D ⑵ A D
x y x
y 교점이다.)

75$ 120$
56$ 60$ B
B C
C

6 발전 문제

7 cm
3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 A D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 A D 변형 "#$%에서 ∠"의 4 cm


16 cm x cm y cm
변형 "#$%에서 점 0는 이등분선과 $%“의 연장선 B C
O 10 cm F

두 대각선의 교점일 때, 20 cm 의 교점을 &라 하고, "&“와


B C E
△"#0의 둘레의 길이를 #$“의 교점을 '라고 하자.

구하시오. "#“ADN, "%“ADN일 때, Y Z의 값을 구하시오.

이 단원의 이해도를 표시해 보세요.


170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0 50 100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어떤 위치에 있더라도 항상 수평을 유지하며 움직이는 놀이 기구가 있다.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탐구 학습

열기 색종이를 잘라서 만든 합동인 두 삼각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한 후, 물음에 답


하여 보자.
A D

B C
➊ 합동인 두 삼각형 모양의 색종이에 두 쌍의 ➋ 대응하는 각이 엇갈리도록 길이가 같은 변을
대응하는 각을 표시한다. 맞대어 사각형 "#$%를 만든다.

⑴ 사각형 "#$%에서 "#“, #$“와 길이가 같은 변을 각각 말하여 보자.


⑵ 사각형 "#$%에서 "#“, #$“와 평행한 변을 각각 말하여 보자.

다지기 ⑴ 합동인 두 삼각형에서 대응하는 변의 길이는 같으므로


"#“ , #$“
⑵ 합동인 두 삼각형에서 대응하는 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 ∠"$#∠$"%
∠#"$∠%$" (엇각)이므로
"#“∥ 두 쌍의 대변이 평행하니
사각형 "#$%는
∠"$#∠$"% (엇각)이므로 평행사변형이네.

#$“∥

키우기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은 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 될까?

평행사변형이 되는 탐구 학습에서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은 사각형은 평행사변형임을 알


조건 찾기 수 있다.

이제 사각형이 어떤 조건을 만족시킬 때 평행사변형이 되는지 알아보자.

6.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171
"#$%에서 "#“%$“, "%“#$“이면 "#“∥%$“, A D

"%“∥#$“임을 설명하여 보자.

B C

생각 대각선을 그어 합동인
두 쌍의 대변이
열기 삼각형을 찾아 엇각의 크기가
평행함을 보이면 돼.
같음을 보이면 돼.

설명 1 단계 | 대각선 긋기
하기
오른쪽 그림과 같이 "#“%$“, "%“#$“인 "#$% A D

에 대각선 "$를 긋자.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B C

△"#$와 △$%"에서
"#“$%“ UUA①
#$“%"“ UUA②
"$“는 공통 UUA③
①, ②, ③에서 대응하는 세 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f△$%"이다.

3 단계 | 두 쌍의 대변이 평행함을 보이기


따라서 A D

∠#"$∠%$",
∠#$"∠%"$
B C
이다.
엇각의 크기가 각각 서로 같으므로
"#“∥%$“,
"%“∥#$“
이다.
즉,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므로 "#$%는 평행사변형이다.

그러므로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은 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다.

172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설명하기

예제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 ∠#∠%인 A D

"#$%는 평행사변형임을 설명하시오.

B C

풀이 #"“의 연장선 위에 점 &를 잡으면


E
∠%"# ∠%"&± UUA①
∠#의 동위각을 찾아 그
A D
크기가 같음을 보이면 돼! "#$%에서 ∠" ∠# ∠$ ∠%±
이고, ∠"∠$, ∠#∠%이므로
∠" ∠#± UUA②
B C
①, ②에서 ∠%"&∠#이다.
E
동위각의 크기가 서로 같으므로 "%“∥#$“이다.
A D
마찬가지로 "#“∥%$“이다.
따라서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므로 "#$%는 평행사변형이다.
B C
풀이 참조

문제 1 오른쪽 그림과 같은 "#$%에서 "#“∥%$“, "#“%$“ A D

이면 "#$%는 평행사변형임을 다음 순서에 따라 설명하


시오.
B C

⑴ "#$%에 대각선 "$를 그어 △"#$f△$%"임을 설명하시오.


⑵ "#$%가 평행사변형인 이유를 설명하시오.

문제 2 오른쪽 그림과 같은 "#$%에서 두 대각선의 교점을 0라 A D

고 할 때, 0"“0$“, 0#“0%“이면 "#$%는 평행사변형


O
임을 다음 순서에 따라 설명하시오.
B C

⑴ "#$%에서 △0"#f△0$%, △0"%f△0$#임을 설명하시오.


⑵ "#$%가 평행사변형인 이유를 설명하시오.

6.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173
평행사변형이 되는 일반적으로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조건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다음의 어느 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다.
➊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다.
➋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➌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다.
➍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다.
➎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개념 확인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것을 이등분하면
각각 같으면 평행사변 평행사변형이야.
형이야.

문제 3 다음 중에서 "#$%가 평행사변형인 것을 모두 찾으시오.


(단, 점 0는 두 대각선 "$, #%의 교점이다.)
⑴ "#“ADN, #$“ADN, $%“ADN, %"“ADN
⑵ ∠"±, ∠#±, ∠$±
⑶ "#“∥%$“, "%“#$“ADN
⑷ "%“ADN, #$“ADN, ∠%"$±, ∠#$"±
⑸ "0“ADN, #0“ADN, $0“ADN, %0“ADN

의사소통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한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같은 사각형은 평행


어떤 사각형이 되는지
사변형이 되는지 말하여 보자. 그림을 그려 볼까?

174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스스로 확인하기 정답 및 풀이 279쪽

1 3
다음 그림과 같은 사각형은 모두 평행사변형이다. 그 이 오른쪽 그림과 같은 A D
35$ F
유를 각각 말하시오. 평행사변형 "#$%에서 O

⑴ 5 cm ⑵ #&“%'“일 때, "&$'
125$ 55$ E
4 cm 는 어떤 사각형이 되는지 말 B C
4 cm 28$
125$
하고, ∠"'$의 크기를 구하시오.
5 cm

⑶ 6 cm ⑷
4 cm 5 cm
4 cm
10 cm

6 cm 4 발전 문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행사변 A D


P
형 "#$%의 두 꼭짓점 #, % 55$

에서 대각선 "$에 내린 수선 x Q
2 의 발을 각각 1, 2라고 하자.
B C

"#“%$“인 사각형 "#$%에 한 조건을 추가할 때, 다


∠%1$±일 때, ∠Y의 크기를 구하시오.
음 중에서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을 추가한 사람을 모두
찾으시오.

창의•융합
성준 혜림
5
"#“∥$%“ "%“#$“
다음 그림과 같은 좌표평면 위에 한 점을 추가하여 네 점
을 꼭짓점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을 모두 그리시오.
y
유찬 지호

∠" ∠#± ∠#"$∠"$%

민정
O x
∠" ∠%±

이 단원의 이해도를 표시해 보세요.


0 50 100
6.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175
컴퓨터
& 수학

넓이가 같은 삼각형 만들기


오른쪽 그림에서 M∥N일 때, 직선 M 위의 두 점 ", #에서 직 A B
l
선 N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1, 2라고 하면 평행선 M, N 사
이의 거리는 일정하므로 "1“#2“이다.
따라서 △"$%와 △#$%는 밑변이 공통이고 높이가 같으므
로 그 넓이가 같다. m
C P Q D

이를 이용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다음과 같이 "#$%와 넓이가 같은 삼각형을 만들어 보자.

( ABCD의 넓이)=32.04 ( ABCD의 넓이)=32.04


( ABE의 넓이)=32.04
D D
A A

B C B C E

위의 그림과 같이 "#$%의 한 꼭짓점 %를 지나고 대각선 "$와 평행한 직선을 그어 #$“의 연


장선과의 교점을 &라고 하자. "$“∥%&“이므로 △"$%와△"$&는 밑변 "$가 공통이고 높이가
같으므로 그 넓이가 같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의 넓이가 같음을 알 수 있다.
"#$%의 넓이와
( "#$%의 넓이)(△"#$의 넓이) (△"$%의 넓이)
(△"#$의 넓이) (△"$&의 넓이)
(△"#&의 넓이)

문제 해결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이 직선 $% 위에 놓인 오각형 "#$%&가 있다. A

오각형 "#$%&와 넓이가 같은 삼각형을 한 변이 직선 $% 위에 오도록


B E
그려 보자.

C D

176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필요한 고소 작업대의 지지대에서 마름모 모양을 찾아


볼 수 있다.

직사각형의 성질은 무엇인가요?


탐구 학습

열기 직사각형 "#$%에서 두 대각선을 긋고, 그 길이를 재어 비교하여 보자.

다지기 직사각형 "#$%에 두 대각선을 그으면 오른쪽 그림과 같고, A D


컴퍼스로 두 대각선의 길이를 재어 비교하면 "$“ #%“
이다.
B C

키우기 모든 직사각형에서 두 대각선의 길이는 같을까?

직사각형의 성질 탐구 학습에서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길이는 서로 같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직사각형은 네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으므로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직사각형은 네 내각의 크기가 같다. 따라서 직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고, 평행사변형의 성질을 모두 만족시킨
모두 같은 사각형이다.
다. 즉,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직사각형이 평행사변형임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A D

"#$%에서 "$“%#“임을 설명하여 보자.

B C

생각
두 대각선을 그어 △"#$와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같고, 네 내각의 크기가
열기 △%$#가 합동임을 보이면 돼. 모두 같다는 것을 이용하면 되겠군!

7.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177
설명 1 단계 | 두 대각선 긋기
하기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에 두 대각선 "$, A D

%#를 긋자.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B C
△"#$와 △%$#에서 직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므로
"#“%$“ UUA①
"#$%는 직사각형이므로
∠"#$∠%$#± UUA②
#$“ 는 공통 UUA③
①, ②, ③에서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각각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f△%$#이다.
3 단계 |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음을 보이기
따라서 "$“%#“이므로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길이는 서로 같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직사각형의 성질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개념 확인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두 대각선은 길이가 서로
같으므로 #%“"$“ADN야! $0“Å"$“A DN 구나!

문제 1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에서 다음을 구하시오. A


12 cm
D

⑴ "0“의 길이
O
⑵ ∠"0%의 크기
38$
B C

178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마름모의 성질은 무엇인가요?
마름모의 성질 마름모는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따
라서 마름모는 평행사변형이고, 평행사변형의 성질을 모두 만족시킨다. 즉, 마름

마름모는 네 변의 길이가 모두
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같은 사각형이다.

마름모가 평행사변형임을 이용하여 마름모 "#$%에 A

서 "$“⊥#%“임을 설명하여 보자.


B D

생각 두 대각선을 그어 합동임을 설명하려면 두 대각선이


열기 △"#0와 △"%0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는 것을
합동임을 보이면 돼. 이용하면 돼.

설명 1 단계 | 두 대각선 긋기
하기
마름모 "#$%에서 두 대각선 "$, #%의 교점을 0라 A

고 하자.
B D
O
2 단계 | 두 삼각형이 합동임을 보이기
△"#0와 △"%0에서 C

"#“"%“ UUA①
마름모는 평행사변형이므로
#0“%0“ UUA②
"0“는 공통 UUA③
①, ②, ③에서 대응하는 세 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0f△"%0이다.

3 단계 | 두 대각선이 서로 수직임을 보이기


따라서 ∠"0#∠"0%이고, ∠"0# ∠"0%±이므로
∠"0#∠"0%±이다.
즉, "$“⊥#%“이므로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수직이다.

7.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179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마름모의 성질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 마름모의 대각선의 성질 이해하기


예제 1 따라 하기
오른쪽 그림과 같은 마름모 x cm A 8 cm 오른쪽 그림과 같은 마름모 A
x cm
"#$%에서 Y, Z의 값을 구하 "#$%에서 Y, Z의 값을 구하 y$
B D B D
O O
시오. y$ 시오. 10 cm
C C

풀이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 풀이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


하므로 하므로

Y@Å Y 

마름모 "#$%에서 "$“⊥#%“이므로 마름모 "#$%에서 "$“⊥#%“이므로


Z Z
Y, Z Y , Z

문제 2 오른쪽 그림과 같은 마름모 "#$%에서 $0“ADN, A


63$
∠#"0±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B D
O
⑴ "0“의 길이
6 cm
⑵ ∠$%0의 크기 C

문제 3 오른쪽 그림과 같은 마름모 "#$%에서 "0“ADN, A

#%“ADN일 때, "#$%의 넓이를 구하시오. 3 cm


O
B D
8 cm

180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정사각형의 성질은 무엇인가요?
정사각형의 성질 정사각형은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마름모이다. 즉,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정사각형은 네 변의 길이가 모
또, 정사각형은 네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으므로 직사각형이
두 같고, 네 내각의 크기가 모 다. 즉,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두 같은 사각형이다.
이등분한다.

정사각형은 마름모도 되고
직사각형도 되는구나!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사각형의 성질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개념 확인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두 대각선은 서로


이등분하므로 #0“Å"$“A DN 야! 수직이므로 ∠"0%±네!

문제 4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사각형 "#$%에서 다음을 구하시오. A


6`cm
D

⑴ "$“의 길이
⑵ ∠#"0의 크기 O

⑶ "#$%의 넓이 B C

정보 처리・의사소통

오른쪽 그림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 순서에


따라 사각형을 그린 것이다. 이 도형은 어떤 사각형인지
말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여 보자.

➊ 서로 수직인 두 직선을 그린다.


➋ ➊의 두 직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➌ ➊, ➋에서 그린 두 직선과 원이 만나는 네 점을 연
결하여 사각형을 그린다.

7.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181
여러 가지 사각형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여러 가지 사각형 사각형 중에서 한 쌍의 대변이 서로 평행한 것이 사다리꼴이고, 사다리꼴 중에
사이의 관계 서 또 다른 한 쌍의 대변이 서로 평행한 것이 평행사변형이다.
또, 평행사변형 중에서 한 내각이 직각인 것이 직사각형이고,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서로 같은 것이 마름모이다.
그리고 직사각형 중에서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서로 같은 것이 정사각형이
고, 마름모 중에서 한 내각이 직각인 것이 정사각형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사각형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직사각형
한 쌍의 한 내각이 이웃하는 두 변의
대변이 다른 한 쌍의 직각이다. 길이가 서로 같다.
서로 대변이 서로
평행하다. 평행하다.

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정사각형


한 내각이
이웃하는 두 변의
직각이다.
길이가 서로 같다.
마름모

개념 확인

문제 5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평행사변형 "#$%는 어떤 사각형인지 말하시오.


⑴ "#“#$“ ⑵ ∠#±
⑶ "$“⊥#%“ ⑷ "$“#%“
⑸ ∠"±, "$“⊥#%“

182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스스로 확인하기 정답 및 풀이 280쪽

1 4
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에서 Y, Z의 값을 구 다음 그림에서 ⑴, ⑵, ⑶, ⑷에 알맞은 조건을 각각 보기
하시오. 에서 모두 찾으시오.
⑴ A D ⑵ A D 직사각형
x$ A D
x cm y$
⑴ ⑵
14 cm O
O A D B C A D
52$
y$ 34$
B C B C A
O O
B C B C
평행사변형 B D 정사각형
⑶ O ⑷
C
마름모
보기

ㄱ. "$“#%“ ㄴ. ∠$±

2 ㄷ. ∠"∠# ㄹ. 0"“0#“

오른쪽 그림과 같은 마름모 A ㅁ. "$“⊥#%“ ㅂ. "#“"%“

"#$%에서 Y, Z의 값을
y$ x cm
B D
구하시오. 5 cm O
58$

창의•융합
5
오른쪽 그림과 같은 고소 작업
대에서 "#$%는 마름모이
고 %$“, #$“의 연장선과 직선 M
3
의 교점을 각각 점 &, '라고 하 x$ A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사각형 A D
B D
y cm 자. "$“의 연장선과 직선 M이 점 35$ C
"#$%에서 Y, Z의 값을 구하 E F
x$ 10 cm 1에서 수직으로 만나고 l
O P
시오.
∠$&1±일 때, Y의 값을
B C
구하시오.

이 단원의 이해도를 표시해 보세요.


0 50 100
7.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183
놀이
& 수학

사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숫자 퍼즐 풀기


다음 그림의 와 안에 부터 까지의 자연수를 한 번씩 써넣어 여섯 개의 작은 삼각형의 세 꼭
짓점에 쓰여 있는 수의 합이 서로 같도록 만들려고 한다. 아래 문제 1, 2, 3, 4를 풀어 B, C, D, E, F,
G의 값을 구하여 안에 써넣고, 안에 알맞은 수를 써넣어 보자.

1 오른쪽 그림과 A D 2 오른쪽 그림과 같은 A (2c-9) cm D


12 cm
같은 평행사변형 직사각형 "#$%에서
7 cm a cm
b cm O
"#$%에서 B, C O D의 값을 구하시오.
의 값을 구하시오. B C B C
(2+c) cm

3 오른쪽 그림과 같은 A
5 cm
4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 A D
f cm
마름모 "#$%에서 4 cm e cP
사각형 "#$%의 넓이

△"0%의 넓이를 B
O
D 가 ADN™A일 때, G의 값 O
d cm
FADN™A라고 할 때, E, 을 구하시오.
B C
F의 값을 구하시오. C

184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스스로 마무리하기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정답 및 풀이 281쪽

개념 콕콕
01 오른쪽 그림에서 ∠Y의 크 A
x
기는?
1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① ± ② ±
(1) 이등변삼각형의 두 밑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③ ± ④ ± 112$
(2)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
B C
이등분한다. ⑤ ±

2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1) 외심에서 세 꼭짓점에 (2) 내심에서 세 변에 이
이르는 거리는 같다. 르는 거리는 같다.
02 오른쪽 그림에서 △"#$ D

는 "#“"$“인 이등변삼 A x

각형이고, △%#&는
∠%&#±인 직각삼각 55$
B C
E
형이다. ∠#$"±일
때, ∠Y의 크기를 구하시오.
3 평행사변형의 성질
(1) 두 쌍의 대변의 길이는 각각 같다.
(2) 두 쌍의 대각의 크기는 각각 같다.
(3)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인 직각삼각 20 cm
E 12 cm

4 형 "#$에서 ∠"의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B D C
이등분선이 #$“와 만나 16 cm
(1) 직사각형: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는 점을 %, 점 %에서 변 "#에 내린 수선의 발을
(2) 마름모: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라고 할 때, △&#%의 둘레의 길이는?
(3) 정사각형: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① ADN ② ADN ③ ADN
수직이등분한다. ④ ADN ⑤ ADN

스스로 마무리하기 185


스스로 마무리하기

04 오른쪽 그림에서 점 0는 A 07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 (4x-3) cm


A D
△"#$의 외심이다. 형 "#$%에서 Y Z [의 42$

∠#±일 때, ∠Y의 O x 값을 구하시오.


72$ y$ z$
크기는? B 24$ C 56$
B C
(2x+3) cm
① ± ② ± ③ ±
④ ± ⑤ ±

08 오른쪽 그림과 같은 A D

"#$%에서 점 0는 두
0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0 A 대각선의 교점일 때, 다음
O

가 △"#$에 외접하고 B C
B 중에서 "#$%가 평행
p"#p#$, O 사변형이 되는 것을 모두 고르면? (정답 개)
p#$p$" ① "#“#$“ADN, $%“%"“ADN
일 때, ∠"의 크기를 구하 C ② ∠"±, ∠#±, ∠$±
시오. ③ "0“#0“ADN, $0“%0“ADN
④ "%“#$“ADN, ∠%"$∠"$#±
⑤ "#“∥%$“, "%“#$“ADN

06 오른쪽 그림에서 점 *는 A
y
△"#$의 내심이다.
09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 A E D
∠$±일 때,
I 사각형 "#$%에서
∠Y ∠Z의 값은? x
74$ ∠"#%, ∠#%$의 이
B C
등분선이 "%“, #$“와 B F C
① ± ② ± ③ ±
만나는 점을 각각 &, '라고 하면 &#'%는 마
④ ± ⑤ ±
름모가 된다. 이때 ∠#&%의 크기를 구하시오.

186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정답 및 풀이 281쪽

서술형 사고력 높이기

10 ∠$±인 직각삼각형 "#$에서 "#“ADN,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12$
D

#$“ADN, $"“ADN일 때, 외접원과 내접원 평행사변형 "#$%


E
의 둘레의 길이의 차를 구하시오. 에서 점 &는 변 "# F
78$
의 중점이고, 점 %에 B C

서 선분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고 하자. ∠'%$±,
∠#±일 때, ∠"'&의 크기를 구하시오.

11 오른쪽 그림에서 A D 13 오른쪽 그림에서 P Q

"#$%는 정사각형 △1#", △2#$, A


R
80$
이고, △"1#는 P x △3"$는
60$
"#“"1“인 이등변삼 B C △"#$의 세 변을 B C
각형일 때, ∠Y의 크기 각각 한 변으로 하는
를 구하시오. 정삼각형이다. ∠"$#±, ∠#"$±일 때,
∠123의 크기를 구하시오.

학습 내용 점검 나의 학습 일기

1.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01, 02번 이 단원을 배우고 나서 새롭게 알게


된 점이나 부족한 점을 적어 보세요.
2. 직각삼각형의 합동 조건 ▶03번

3. 삼각형의 외심 ▶04, 05번

4. 삼각형의 내심 ▶06, 10번

5. 평행사변형의 성질 ▶07, 12번

6.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08, 13번

7.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09, 11번

학습 태도 점검

흥미도 집중도 참여도 협동심

스스로 마무리하기 187


함께하는
프로젝트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평계 만들기

벽에 건 액자가 지면과 수평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수평계를 이용하면 액자가 지면과 수평인지 아닌지 쉽게 알 수 있다. 현재는 다양한 모양의 수평계
가 있지만 고대 사람들은 다음 그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지면과의 수평을 확인하였다고 한다. 이
도구는 "#“"$“인 이등변삼각형 모양으로 #$“의 중점 .을 표시하고 줄의 한쪽 끝을 점 "에 고정
한 다음 추를 매달아 늘어뜨린 것이다. (EBSMath, 2017년)

"

# $
.

탐구 과제 1 고대 사람들이 사용한 수평계는 이등변삼각형의 어떤 성질을 이용하였는지 모둠별로 설명하여


보자.

2 모둠별로 다음 단계에 따라 수평계를 만들어 보고, 교실 안에 있는 사물들이 지면과 수평인지


확인하여 보자.

준비물 두꺼운 종이, 실, 추, 연필, 자, 가위

➊ 두꺼운 종이에 이등변삼각 ➋ 꼭지각에 구멍을 뚫고, 밑 ➌ 뚫어 놓은 구멍에 추를 매


형을 그린 후 오려 낸다. 변의 중점을 찾아 표시한 단 실을 연결하여 고정한
다. 다.

188 Ⅴ.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