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05.

명제의 증명 [2회]

1 다음 중 용어의 정의가 옳지 않은 것은? 4 다음은    가 실수일 때, 명제


① 원 : 평면에서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  이면    또는   이다.’
점들의 모임 가 참임을 그 대우를 이용하여 증명하는 과정이다.
② 동위각 : 두 직선이 다른 한 직선과 만날 때 각 직선의 ㈎, ㈏, ㈐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같은 쪽에서 이루는 각
<증 명>
③ 평행사변형 :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은 사각형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④ 직사각형 : 네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사각형
‘ ≥ 이고  ≥ 이면  ≥ 이다.’
⑤ 빗변 :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의 대변
 ≥ 이고  ≥ 일 때,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 ≥ 
∴  ≥ ㈎
한편,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2 다음 중 ‘정리’가 아닌 것은?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 가 참이므로 주어진
① 정삼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 이다.
명제도 참이다.
②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수직이다.
③ 사각형의 네 내각의 크기의 합은  이다.
④ 크기에 관계 없이 모양이 같은 두 도형은 닮음이다.
⑤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5 다음은 두 실수 ,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가 성립함을 증명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 ㈏, ㈐에
3 다음은 명제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다.’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를 증명하는 과정이다. ㈎, ㈏, ㈐에 알맞은 것을 써넣
으시오. <증 명>
(ⅰ)    ≥    일 때,
<증 명>
              
[가정] 사각형 ABCD 에서
∠A  ∠ B  ∠ C  ∠ D     ㈎      ㈏ 
         
[결론] 
AC  
BD
[증명] 삼각형 ABC 와 삼각형 D CB 에서 이때,    ≥ 이므로
          ㈐ 
AB  ㈎ (평행사변형의 성질)
∠ABC  ∠D CB (가정), ∴          ≤     

㈏ 는 공통
⋯ (생략)⋯
∆ABC ≡ ∆D CB ( ㈐ 합동)
∴
AC  
BD
05. 명제의 증명 [2회]

6 다음은 두 실수 , 에 대하여     일 때,
10   일 때,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  가 성립함을 증명하는 과정이다.
㈎, ㈏, ㈐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증 명>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11   일 때,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7   ,   일 때,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12 둘레의 길이가 인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
시오.

 
8   ,   일 때,    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13   ,   일 때, 부등식        ≥     이 성립함
을 증명하시오. 또 등호가 언제 성립하는지 말하시오.

9   일 때,  

   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