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05.

명제의 증명 [1회]

1 다음 문장의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4 다음은 명제 ‘    ≠  이면  ≠  또는  ≠ 이다.’를


⑴ 용어의 뜻을 명확하게 정한 문장을 그 용어의 증명하는 대신에 증명해도 되는 명제는?
(이)라고 한다. ①      이면    또는   이다.
⑵ 이미 알려진 사실이나 성질을 이용하여 어떤 명제의 ②      이면   이고   이다.
가정으로부터 결론을 이끌어 내어 그 명제가 참임 ③    또는   이면      이다.
을 밝히는 과정을 (이)라고 한다. ④  ≠ 이고  ≠ 이면    ≠  이다.
⑶ 증명된 명제 중에서 기본이 되는 것이나, 여러 성질 ⑤   이고   이면      이다.
을 증명할 때 자주 이용되는 명제를 (이)라고
한다.

5 다음은 실수 에 대하여 명제
‘  가 무리수이면 는 무리수이다.’
를 증명하는 과정이다. ㈎, ㈏에 알맞은 것을
2 다음 명제를 ‘정의’와 ‘정리’로 구별하시오.
써넣으시오.
⑴ 직각삼각형 ABC 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를 각
<증 명>
각 , 라 하고, 빗변의 길이를 라 하면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     이 성립한다.
‘가 유리수이면   는 ㈎ 이다.’
⑵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 유리수이므로
갖는 수를 소수라고 한다.

⑶ 둔각삼각형은 한 내각의 크기가 둔각인 삼각형이다.    (, 는 정수,  ≠ )로 놓으면


  

이때,   도 정수이므로   는 유리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3 다음은 명제 ‘두 자연수 , 에 대하여 , 가 홀수이면
는 홀수이다.’를 증명하는 과정이다. ㈎, ㈏, ㈐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증 명>
[가정] 두 자연수 , 는 모두 ㈎ 이다. 6 다음은 세 실수 , , 에 대하여 명제

[결론] 두 자연수 , 의 곱 는 ㈎ 이다. ‘  ,   이면   이다.’


를 증명하는 과정이다. ㈎, ㈏에 알맞은 것을
[증명] 두 자연수 , 를 각각
써넣으시오.
    ,      (, 은 자연수)
이라 하면 <증 명>
            ㈏     이면     이고,   이면     이므
이고   ㈏   이 ㈐ 이므로 는 로
㈐ 이다.       , 즉 ㈎

따라서 명제 ‘두 자연수 , 에 대하여 , 따라서 ㈏ 이다.


가 홀수이면 는 홀수이다.’ 이다.
05. 명제의 증명 [1회]

7 <보기>의 부등식 중에서 항상 성립하는 것만을 있는 10 두 양수 ,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대로 골라라. (단, , 는 실수이다.) ⑴     일 때, 의 최댓값
⑵   일 때,   의 최솟값
<보 기>
ㄱ.        ㄴ.    ≤ 
ㄷ.        ≥      ㄹ.     ≥   

 
8 다음은 >, >일 때, 부등식  ≥ 

 를
11 두 양수 ,  

 에 대하여        의 최솟값을
 
증명하는 과정이다. ㈎~㈑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구하시오.
<증 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12   일 때,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 ≥ 


여기서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는

  
  ㈑ , 즉   일 때이다.

9 다음은 네 실수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을 증명하는 과정이다. ㈎, ㈏, ㈐에 알맞은 것을
 
써넣으시오. 13 두 양수 ,  에 대하여     일 때,    의
 
<증 명> 최솟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등호는     , 즉 ㈐ 일 때 성립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