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025 한완기 확률과 통계 정오표 (업데이트: 2024.01.

29)

정오사항으로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본문
추가날짜 위치 내용
01.23 책갈피 빠른 정답 F3·07 ② → ③
01.29 책갈피 빠른 정답 E5·30  → 

해설
추가날짜 위치 내용
01.23 해설 7p 빠른 정답 F3·07 ② → ③
01.29 해설 7p 빠른 정답 E5·30  → 
다른 문항 해설이 적혀 있어 이 해설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교과서적 해법 1

주어진 확률변수  의 정의를 차근차근 해석해 보자.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을 생각하면 주어진 시행을  번 반복한 뒤의 점 P 의 좌표가 중요한 것
을 알 수 있다.

이때 시행의 규칙을 보면 점 P 의 좌표는 시행을  번 반복할 동안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 이하인 사건이 일어난 횟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알
1)
수 있다.

따라서 주사위를  번 던져 나온 눈의 수가  이하인 사건이 일어난 횟수를


 이라 하면,  이상인 사건이 일어난 횟수는    이고 점 P 의 좌표는

·  ·          


01.23 191p F3·07 해설

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E   E    E   


 
이때  은 독립시행에서의 횟수이므로  ∼ B    이라 할 수 있다. 이항

분포의 평균은  임을 활용하자.


∴ E   E     ·     

교과서적 해법 2

[교과서적 해법1]과 같이  의 정의 및 주어진 시행을 보면 독립시행이므로 점


P 의  좌표와  좌표 모두 이항분포를 따를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점 P 의 좌표의 평균, 즉 기대 좌표를 먼저 구하여 그 점과 직선 사이


의 거리를 구하면 그 값이 곧 E 이다.
점 P 의  좌표를  라 하면  는 주사위를  번 던져 나온 눈의 수가  이
하인 사건의 횟수에 을 곱한 값이다. 이때 주사위를  번 던져 나온 눈의 수

가  이하인 사건의 횟수는 이항분포 B    을 따르므로
  



E    × · 
   
또한 점 P 의  좌표를  라 하면  는 주사위를  번 던져 나온 눈의 수가
 이상인 사건의 횟수이므로


 ∼ B   


 →

E  ·   

즉, 점 P 의 기대 좌표는    이다.

·  ·    
∴ E       

  
  

교과서적 해법 3

한 번의 독립시행에서 점 P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의 변화가 어떤


확률분포를 갖는지 생각해 보면,  번 반복된 시행 이후의 거리의 기댓값을
구할 수 있다.

직선      과 원점, 그리고 주어진 시행을 생각해 보면 점 P 는 항상 직


선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각 시행이 반복될 때마다 직선으로부터 거리가 더해
진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하는지를 구해 보자.
임의의 점에서 한 번의 시행 이후 이동할 수 있는 경우는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 이하일 때:  축 양의 방향으로  만큼 이동
 이상일 때:  축 양의 방향으로  만큼 이동

이다. 이때 직선의 기울기와 직각삼각형의 닮음비를 생각하면 각각의 경우 점


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 
 이하일 때: ·    만큼 증가
 
 
 이상일 때: ·    만큼 증가
 

한다. 따라서 이 시행을  번 반복했을 때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


이하인 사건의 횟수를  이라 하면 점 P 가 원점에서 시작하므로

 
            
 

이후의 풀이과정은 [교과서적 해법1]과 같다.

CHECK 각주 해설 본문의 각주

1)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 이상인 사건의 횟수를 기준으로 잡아도 당연히 결과


는 같다.

정답 ③
다른 문항 해설이 적혀 있어 이 해설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교과서적 해법

주어진 시행을  번 반복하여 확인한  개의 수 모두 , ,  중 하나이므로,


 개의 수의 곱이  의 배수이려면  개의 수 중 ,  이 적어도 하나씩은 있어
야 한다. 즉,

01.29 178p E5·30 해설 (구하는 확률)  ( 와  이 모두 적어도 하나씩 있을 확률)

이때 여사건의 확률을 생각하면, 구하는 확률은

 ( 가 없거나,  이 없을 확률)


  {( 가 없을 확률)( 이 없을 확률)(,  이 모두 없을 확률)}
이다. 각각의 확률을 구하자. 먼저 확인한  개의 수 중  가 없으려면 각 시행

에서  또는  이 적힌 공을 뽑아야 하므로 그 확률은    이다. 이는  이
없을 확률도 마찬가지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 와  이 모두 없을 확률은 각 시행에서 모두  이 적힌 공만을 뽑을 확



률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구하는 확률)          
  

∴     
정답 

사소한 오타 오류
본문
중요 정오사항 없음

해설
중요 정오사항 없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