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 함수방정식

 코시 함수방정식

 코시 함수방정식 함수  가 임의의 실수  에 대해 코시 함수방정식

        

를 만족하면 임의의 유리수 에 대해

     

즉 유리수 비를 갖는 들끼리는 일차함수의 관계에 있다

증명 귀납적으로 임의의 실수 와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해

       


 
개

  
       
 개

 

             


  
개


이므로 이 자연수일 때 이 성립한다 여기에  대신  을 대입하고 양변을 으
로 나누면  
 
    
 

도 성립한다 이것은    꼴일 때에 해당한다 다시 이 식의 에 를 대입하
면은 자연수
   
      
  

이므로 이 임의의 양의 유리수      에 대해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코시 함수방정식에      을 대입했을 때        즉

  

이므로 은    일 때도 성립한다 또 에 를 대입하면      


 즉
   

로 홀함수이고 여기서       등으로 이 음수일 때도 이


성립한다 
 코시 함수방정식 

          도 코시 함수방정식이다  대신    를 대입하고  를 이


항하면 같다

 코시 함수방정식의 조건만으로는  가    꼴의 일차함수임을 바로 얻어낼 수


는 없음이 알려져있다어려운 반례가 존재한다 그런데 코시 함수방정식의 일차함
수가 아닌 해는 표현하기조차 어려운 매우 난해한 것들이라서 코시 함수방정식에 다
른 조건이 조금만 추가되어도 해는 일차함수로 곧 한정되곤 한다 예를 들어

 단조증가또는 감소 조건을 추가하면 꼴뿐이다

 연속 조건을 추가해도 꼴뿐이다

 아주 작은 구간에서라도 위 또는 아래로 유계이면즉     또는    


인 상수  이 존재하면 꼴뿐이다

증명  우선 유리수 에 대해서는

     

이므로        를 만족하는 가 조밀하게 존재한다 이 함수가 단조


증가혹은 단조감소하려면     를 모든 실수 에 대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확
장시킨 것일 수밖에 없다

 연속 조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 더 강화하여 가 꼴이 아니면 의 범위를 아주 작은 구간으로 잡더라도  의


값은 실수 전체에서 조밀하게 가짐을 보이자 함수의 그래프 위에  
  인원점으
로부터의 기울기가 다른 두 점     가 존재한다 임의의 유리수  에
대해             이므로

선분  를 유리수비로 내분하는 점은 다시 이 그래프 위의 점이다

유리수는 실수 전체에서 조밀하므로 을 유리수 전체에서 움직일 때 이런 내분점들


은 직선  를 조밀하게 덮는다 직선  는 원점을 지나지 않으므로   위에 조밀
한 점들에 대해 원점으로부터의 기울기를 생각하면 실수 전체에 대해 조밀한 분포를
갖게 된다 또한 각각의 특정한 기울기 에 대해 그 기울기 을 갖는 점은 실수 전체
에서 조밀하다    인 를 하나 잡으면 임의의 유리수 에 대해    
로   가 모두 그런 기울기를 갖는 가 되므로 즉 아무리 작은 구간을 잡아도
이 기울기 을 갖는 가 반드시 존재한다 따라서 처음의 주장이 증명되었다 

          인 함수      는      을


 함수방정식

         인 함수      는       를

      인 함수      는       을 만족한다

단 은 유리수이고   의 부호는 정의구역의 범위를 따른다

증명  임의의 실수 와 적당한 양의 상수 에 대해

    

로 정의하자 그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코시 함수방정식을 만족한다 따라서 임의의 유리수 에 대해    가 성


립한다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주 코시 함수방정식의 결과를 증명할 때처럼 직접                 


 등을 보여서 증명할 수도 있다
한편 에서 을 정의역에 포함시키면        에서    이 된다
정의역이    이면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로 짝함수이다 즉    일 때의 결과를    에 대칭적으로 복제한 함수이다

 옌센 함수방정식 모든 실수  에 대해
 
     
 
 

를 만족하는 함수      는 코시 함수방정식의 일반해를 라 할 때  


  꼴이다는 상수
 코시 함수방정식 

증명      으로 치환하면 도 같은 함수방정식을 만족한다 그리고


   이다    을 대입하면    이것을 다시 원래의 식에 대입
하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또한 가 이 코시 함수방정식을 만족하면 원래의 식도      


     로 잘 만족되므로 원래의 식과 가 코시 함수방정식을 만족
한다는 것은 동치이다 

          의 치환을 생각하면            도 옌센 함수방


정식의 다른 꼴이다

예제 

모든 실수       에 대해 코시 함수방정식이 성립하면 모든 실수  에 대해 코시
함수방정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증명 조건에 의해    양 음 일 때 성립하고 와 를 바꿔 대입하면   


음 양 일 때도 성립한다      을 대입하면    이고    를 대입하면
      즉     로 홀함수이다    로 치환하면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고 여기의 에    를 대입하면    양 양 일 때


가 된다 그럼 다시 홀함수임에서    음 음 일 때도 바로 나온다 

예제 

 는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함수      가 모든 양수  에 대해  


            를 만족하면     임을 보여라 모의 

증명    이면      으로 나타낼 수 있고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 함수는 단조증가이다 합코시를 만족하면서 단조증가인 함수는    꼴


뿐임이 잘 알려져있고      에서    즉    이므로     이다 
 함수방정식

 쉬어갑시다 
는 년에 이를 만족하는 연속함수가    는 적당한 상수 꼴의 일차함
수뿐임을 증명하였다 년에 는 한 점에서 연속이라는 조건만 있어도 같은 결
론을 얻을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다시 년 후에는 매우 작은 양수 들에 대해서  가
음이 아니라는혹은 양이 아니라는 조건만 있어도 충분함을 증명하였다
세기를 달구었던 의 문제들 중에 번째 문제가 바로 이 함수방정식을 일반화하
는 것이다 년  은  기저를 도입하여 코시 함수방정식을 만족하는 불
연속인 함수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연습문제

 다음 조건을 항상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호주 

         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이고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인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단 은 실수의 집합이다 한국  차

 모든 유리수 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       아일랜드 

 다음 관계를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             

 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임의의 실수  에 대해

           

를 만족하는 모든 함수      를 결정하여라 미국 

 모든 양수  에 대해서
     

을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러시아  최종


 함수방정식 함수의 특성 

 함수방정식 함수의 특성

 전사덮대응와 단사홑대응와 전단사일대일대응 증가와 감소 음양 볼록과 연속


등 여러 가지 함수의 특성을 고려하자

 변수분리형 식이      꼴로 정리되면    상수함수 이다

예제 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에서 로의 함수 를 모두 구하여라 불가리아  차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풀이        으로 두면

         

가 그대로 성립하고    이다 에    를 대입하면      즉


일때

  

이므로 홀함수이다 에  대신 를 대입하면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즉           로 치환하면

  
  상수
 

  따라서   꼴이고   일 때도 성립      답


임을 알게 된다  
    는 임의의 상수 

연습문제

 다음의 두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     을 모두 구하여라

     

    이면      통신강좌 


 함수방정식

 모든 실수 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연속함수  를 모두 구하여라

             

       는        일 때      을 만족하는 함수이다     


를 만족하는 두 증가함수        는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하여라
폴란드  차

 모든    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단조증가함수      을 모두 구하여라

             오폴 

 다음을 만족하는 함수      을 모두 구하여라 폴란드  차

                 

 모든     에 대해

              

를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단 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인도 

      가 임의의     에 대해

        

일 때 임의의    에 대해     임을     일 때     일 때 보


여라 단  는 음 아닌 모든 정수들의 집합이다 통신강좌  확장

 함수방정식           의 연속인 실수함수해  가 딱 하나뿐이도록 하


는 음이 아닌 실수의 쌍  를 모두 구하여라
 함수방정식 다항식 

 함수방정식 다항식

 다항식에 대한 함수방정식에서는 차수 비교나 계수 비교를 해볼 수 있다

 항등정리 등 다항식만의 여러 성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제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모든 다항식을 구하여라 통신강좌 

풀이       로 치환하면

    

를 얻는다          인 다항식이므로    인 가 무한히 많


으므로 항등정리에 의해 상수함수이다 그리고      꼴은 늘 잘 만족한다   
답       는 임의의 실수 

별해 상수함수일 수는 없다 일차함수일 수도 없다 이차함수는 넣어보면   꼴이 된


다 차   함수라 하고       
  좌변은    
    라 하자 
 
    이고 우변은    
    이므로      즉    인데 이것은 모
순이다 

예제 

다음을 만족하는 복소수 계수 다항식  를 모두 구하여라 통신강좌 

       

풀이 우선 상수함수라면    에서     만 가능하다 이제 차 이상일 때만 보


자 그럼 다항식  는 근을 가지므로 임의의 한 근을 라 하자 준식에서     이면
     이므로          도 차례로 모두 의 근이다 만일    이면 위의 열이
점점 절댓값이 커져서      이면 점점 절댓값이 작아져서 무한 개의 해가 된다 그
런데 차 이상의 다항식은 유한 개의 근만 가지므로 결국    또는 이다 한편 준
식의 에    을 대입한            에서     이면       
이므로 가  의 근이면    도 근이다 에 의해      또는 이다
 함수방정식

        인 가 있을 때 복소평면에서 생각할 때  을 중심으로 하는 두


   
단위원의 교점이므로     이다 그럼    도  의 근이 되는데 이것은
에 어긋나므로 모순이다

 위와 같은 가 없을 때    또는      이니    또는 이다 이것들만


 의 근이므로        꼴이고 이것을 원식에 대입하면      
임이 바로 나온다

   답      은 임의의 자연수 

연습문제

 모든 실수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정수계수 다항식 를 모두 구하여라

    유고슬라비아 

 이 아닌 모든 실수 에 대해 다음을 만족시키는 실계수 다항식  를 모두 구하여


라 오폴 
   
 
       
 

 모든 실수 에 대해서 다음을 만족하는 실계수 다항식  을 모두 구하여라

                    오폴 

    은 실수 계수의 다항식들이고 모든 에 대해

      상수

이다  가 상수함수이거나    가 상수함수임을 보여라 조티코프 

 다음을 만족하는 실계수 다항식  를 모두 구하여라 호주 

          
 정수 함수방정식 

 정수 함수방정식

    등을 범위로 하는 함수방정식에서는 귀납법 최소원의 원리 이산성 조밀성


등 수의 여러 가지 성질이 응용될 수 있다

예제 

     인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해
 
     
 
 

를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통신강좌 

  
풀이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모든 자연수 에 대해
          임을 귀납법으로 보이자    일 때는  뿐이므로 자명하다
 일 때 성립함을 가정하고 일 때를 생각하자     꼴이면      로 성
립한다     꼴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로 역시 성립한다 따라서 귀납법이 성립하고 결국  는 상수함수이다 그리고 모든
상수함수는 문제의 조건을 잘 만족한다    답 모든 상수함수 

예제 

임의의 자연수    에 대해           을 만족하는 함수     


이 존재하는가 소련 

풀이 존재하지 않는다    이면  은 준식에 의해 두 함숫값의 합이므로 보다


작은 함숫값이 존재한다 즉    인 들은 최소인 항일 수 없고 따라서  이 최
소그리고 유일이다 두 번째로 작은 항여럿이면 그 중 하나을  라 하면와 는
둘 다  이상임에 유의                  로 모순이다   
답 아니오 

연습문제

 다음을 만족하는 함수        을 모두 구하여라

 임의의 정수   에 대해             


 함수방정식

 임의의 정수 에 대해        루마니아지역예선 

 정의역과 공변역이 모두 음이 아닌 정수 집합이며 모든 에 대하여

     

를 만족하는 는 없음을 보여라 통신강좌 

  를 양의 유리수 전체의 집합이라고 하자    에 속하는 모든 에 대해서 다음


을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     가 존재하기 위한 의 조건을 찾아라

    

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해         

 다음을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모든 자연수       에 대


해     이라 할 때         일반화
 여러 가지 함수방정식 

 여러 가지 함수방정식

예제 

을 모든 실수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모든     에 대해 다음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


     을 모두 찾아라  

       

풀이 조건식을 확장하여 항을 모두 개 더한 꼴을 생각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이면
        

이 식에서 와 를 맞바꿔 대입해도 우변은 그대로이므로         


즉     가 늘 성립한다 따라서     의 상수함수이고 다시 준식에 대입하면
     이므로    이 된다    답 영함수 

연습문제

 는 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      로 정의할 때

    

를 만족시키는 함수           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라

 모든 실수  에 대해          를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아벨콘테스트결선 

 다음을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찾아라 오폴 

임의의     에 대해          
 함수방정식

 함수      단 은 실수 전체의 집합 이 임의의 두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다음을 증명하여라

     

            한국 

 모든 실수  에 대해

             

인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이차 함수방정식

 다음을 만족시키는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         

 가 을 제외한 모든 실수들의 집합일 때    


  인 모든   
 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북유럽 

        

 다음을 만족시키는 함수      를 모두 구하여라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