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매일 먹는 정수 대수_풀이

회차 요일

1회 3월 18일

2회 3월 19일

3회 3월 20일

4회 3월 21일
[문제 1]

   이다. 를 구하여라.(단, 자연수 에 대해   ×  ×⋯  ×)

   에서 방정식 3개 얻어보자.


우선 은 9의 배수이므로 모든 자리수의 합이 의 배수가 되어야
한다. 자리수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 ≡mod
에서     이다.
또한 11의 배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od
에서     이다.
두 식을 더하면 짝수이므로 홀, 짝이 같다.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일 때   이므로 모순
따라서   
[문제 2]

다음 연립방정식을 만족하는 정수해 쌍 를 구하여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        

         에서 처음 식과 두 번째 식의 차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이다.
   
⑴   인 경우 처음 식에서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가 가능하다. 마지막 식에서는     ⇒     ⇒       에서
 
 ±
이다.
  일 때   이 되어 해가 안 된다.
  이면   이 되어 역시 해가 안 된다.
⑵       인 경우
모든 식이        으로 바뀐다.
   의 순열이 해가 된다.

[다른 풀이]
세 식을 모두 더하면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이 된다.
               라 두면       이고
         에서         의 순열이
가능하다.       일 때
              에서   라 두면
     이다. 첫 식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이므로 해가 없다.
     일 때               에서
  라 두면     이고 첫 식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에서   이다.
즉     따라서 이들의 순열이 해가 된다.
[문제 3]

    을 만족하는 1보다 큰 정수 을 구하여라. (단, 은 이하의 자연수


중 과 서로소인 자연수의 개수, 은 의 양의 약수의 개수이다.)

우선 이 4 또는 소수이면 방정식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제 이외에는 해가 없음을 보이자.


을 4가 아닌 합성수라고 하자.    ≻ 라 두자.
     을 생각해보자.
좌변은 의 양의 약수 중 1을 제외한 약수의 개수다.
우변은  ≤   ≻ 인 의 개수가 된다.
즉 좌변의 개수에 포함되는 수들은 모두 우변의 개수에서
카운트 된다. 따라서   ≤   이다. 하지만
  는 우변의 개수에 카운팅 되지만
  ∣⇒  ∣ 이지만  ≥ 이므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방정식을 만족하지 못한다.
[문제 4]

정수 에 대해      는 홀수이고        을 나눈다.


     ∣        ≥ 임을 보여라.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   가 홀수이므로)
        라 두면  ≡mod이다.
또한   ≡   mo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귀납가정에 의하여 성립한다.
[문제 5]

아래의 물음에 답하여라.


     ⋯      는 합성수이다.  ≤  ≤  ≤ 
⑴       ≤  ≤ 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수열
⋯ 이 존재하는가?
⑵        ≤  ≤ 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수열
⋯ 이 존재하는가?

⑴      ⋯       ≤  ≤  ≤  이 합성수이고


연속한 두 항이 서로소인 양의 정수 수열은 존재한다.
  라고 하자. 그러면 연속한 두 항은 연속한 정수이므로
    
서로소다. 그리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에 주목하자. 이 수는 항상 정수이고

    ≥ 이면 합성수임은 자명하다.
     이면  이 2보다 큰 짝수이므로 합성수이다.
     이면 즉   일 때 합성수가 되도록 잡으면 된다.
  에서   ⋯이고      로
잡으면 충분하다.

⑵ 이 역시 가능하다.
이번에는      로 잡자. 그러면     을

만족한다. 그리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오른쪽 항은 항상 2보다 크다.
왼쪽 항이 1이 되는 경우는   이다. 그 이외엔 항상 합성수다.
따라서     이 합성수만 되면 되고 이는
  ⋯  에서     로 잡으면
성공이다!

[다른 풀이]
⑴      으로 잡자. 그러면     이다.
   
그리고 각 항은 합성수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합성수다.
[문제 6]
 
∣    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 을 구하여라.
 


다음을 보이자. ∣  이면  ≻  이다.

   ≡mod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를 생각하자.



     ≡ mod이므로 ∣   이다.  ≡ mod
 
이므로 ∣  이다.    이고  ≤ 이다.  ≤ 이라 하자. 그러면 ∣  ∣   이
  


므로  ≡ mod가 되어
  가 된다. 이는 모순. 따라서    이므로
∣   ⇒    ≤  에서  ≻ 이다.
문제로 돌아와서 WLOG  ≤  이라 하자.  ≺ 이면
∣인 소인수 가 존재하고
 
 ≤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  이다.
 

 
즉 ∣   이어야 한다.    이므로 ∣
 

  이면 성립한다.
따라서   

comment.

이   을 나눌 수 있을까라는 의문으로부터 위 보조정리가
시작되는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등 초기의 몇 개의 값을 계산해보니

  의 소인수가 보다 크게 되어 서로소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보조정리를 증명하게 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