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모의고사 ( )반 ( )번

기출 9. 수학적 귀납법 이름 ( )

1. 수열  은   이고,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3.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의


      ≥  값을 구하시오. 3)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 의 값은?1) ㈏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 
    이 중근을 갖는다.
 

4. 두 수열 { }, { }이
2. 수열  은   이고,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자연수 n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
   이홀수인경우 
   
 
 이짝수인경우         × 



를 만족시킨다.  의 값은? 2)

① 27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4)


② 30
③ 33
④ 36
⑤ 39

- 1 -
모의고사 ( )반 ( )번
기출 9. 수학적 귀납법 이름 ( )

5. 곡선     위의 점을        이라 하자. 점   (0, 0)이고, 6.일반항이    인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 


직선       의 기울기를  이라 할 때, 수열 { }이 다음 조건을 이라 하자. 다음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
만족시킨다. (단, 은 자연수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한 것이다.
㈏    인 상수  에 대하여
(ⅰ) n=1일 때,
            ⋯ 이다.
(좌변)=       (우변)=1이므로 (*)이 성립한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5)
(ⅱ) n=m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보 기 >  

ㄱ.    
     

  


이다.

ㄴ.            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 
ㄷ.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의 최댓값은 13이다.        


① ㄱ  ㈎     
 

② ㄴ 

③ ㄱ, ㄷ
 ㈎   ㈏  
 

④ ㄴ, ㄷ

⑤ ㄱ, ㄴ, ㄷ
   이다.
 

따라서 n=m+1일 때도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주어진 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
한다.

위의 ㈎, ㈏에 알맞은 식을 각각 f(m), g(m)이라 할 때, f(2)+g(1)의


값은? 6)

① 7
② 8
③ 9
④ 10
⑤ 11

- 2 -
모의고사 ( )반 ( )번
기출 9. 수학적 귀납법 이름 ( )

7.자연수 N을 음이 아닌 정수 m과 홀수 p에 대하여 8.다음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나타낼 때, f(N)=m이라 하자.      

 
예를 들어,    × 이므로 f(72)=3이다.
이 성립함을 보이는 과정이다.
다음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한 것이다.
  ㈎     
 
(ⅰ) n=1일 때,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    
 
따라서 n=1일 때 (*)이 성립한다.  
(ⅱ)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음이 아닌 정수 m과 홀수 p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고, p는 홀수이므로 ㈏ 도 홀수이다.
위의 ㈎, ㈐에 알맞은 식을 각각 f(k), g(n)이라 하고,
따라서            이다. ㈏에 알맞은 수를 a라 할 때,   ×  의 값은? 8)

그러므로 n=k+1일 때도 (*)이 성립한다. ① 50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② 55
  
     이다. ③ 60
④ 65
위의 ㈎에 알맞은 수를 a, ㈏에 알맞은 식을 g(p)라 할 때, a+g(11)
⑤ 70
의 값은? 7)

① 95
② 97
③ 99
④ 101
⑤ 103

- 3 -
모의고사 ( )반 ( )번
기출 9. 수학적 귀납법 이름 ( )

9.다음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0.다음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한 것이다.


 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는 과정이다.
⑴ n=1일 때,
(ⅰ) n=1일 때,
좌변    ×    ×   
(좌변)=1, (우변)=1이므로 (*)이 성립한다.
우변    ×    ×      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n=m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⑵ n=m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n=m+1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

이다.      
 
n=m+1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n=m+1일 때도 (*)이 성립한다.
⑴, ⑵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위의 ㈎, ㈏에 알맞은 식을 각각 f(m), g(m)이라 할 때,
따라서 n=m+1일 때도 성립한다.   ×  의 값은? 10)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① 15


② 18
위의 ㈎, ㈏에 알맞은 식을 각각 f(m), g(m)이라 할 때, f(4)+g(2)의
③ 21
값은? 9)
④ 24
① 34
⑤ 27
② 36
③ 38
④ 40
⑤ 42

- 4 -
모의고사 ( )반 ( )번
기출 9. 수학적 귀납법 이름 ( )

11.다음은  ≥ 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12.다음은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1이 8의 배수임을 수학적

     ⋯                ⋯⋯  


 귀납법으로 증명하는 과정이다.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는 과정이다. (i)   일때     (가) 이므로

  은 8의 배수이다
   
주어진 식 (*)의 양변을  로 나누면 (ii)    일 때,    이 8의 배수라고 가정하면

         (단,  은 자연수)
                ⋯⋯ ㉠
    
으로 놓을 수 있다.
이다.  ≥  인 자연수 n에 대하여    
     일 때,  -1  (나) ×   

(ⅰ) n=2일 때, (좌변)= ㈎ , (우변)=  이므로   ×( (다)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  일 때도    은 8의 배수이다.
(ⅱ) n=k ( 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i), (ii)에서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은 8의 배수
    이다.
     ⋯    ⋯⋯ ㉡
   
위의 과정에서 ㈎, ㈏에 알맞은 수를 각각  라 하고, ㈐에 알맞은

이다. ㉡의 양변에  을 더하면 식을  )이라 할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한편,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n=k+1일 때도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 ≥  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하므로 (*)도 성립한다.
위의 ㈎에 알맞은 수를 p, ㈏에 알맞은 식을 f(k)라 할 때,
 ×   의 값은? 11)

① 14
② 16
③ 18
④ 20
⑤ 22

- 5 -
모의고사 ( )반 ( )번
기출 9. 수학적 귀납법 이름 ( )

<정답 및 해설>

1) [정답/모범답안] 5
[해설] 5) [정답/모범답안] 3
[해설]
  
ㄱ.              이고 직선     의 기울기가  이므로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참)
  
 ≥ 이므로       
ㄴ. 직선       의 기울기  은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 ㈏에서 수열  은 첫째항이 3이고, 공차가    
따라서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을 만족시키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n=1, 2, 3, ⋯ 을 차례로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2) [정답/모범답안] 3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거짓)
     ×    
           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즉, 의 최댓값은 13이다. (참)
3) [정답/모범답안] 29
[해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조건 ㈏에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이 중근을 가지므
로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
6) [정답/모범답안] 5
즉,        [해설]
따라서 수열  은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므로 (ⅰ)   일 때,
     ×    (좌변)       , (우변) 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4) [정답/모범답안] 105
     

    이다.
 

[해설]     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수열  을 첫째항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

0, 0, 1, 1, 1, 2, 2, 2, 3, ⋯
       


수열  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6 -
모의고사 ( )반 ( )번
기출 9. 수학적 귀납법 이름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따라서 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9) [정답/모범답안] 1


[해설]
(ⅰ), (ⅱ)에 의하여 주어진 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다.
(ⅰ)   일 때,
따라서              이므로
(좌변)=1, (우변)=1이므로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ⅱ)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7) [정답/모범답안] 2 이다.
[해설]     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ⅰ)   일 때,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     ⋯   
따라서 n=1일 때 (*)이 성립한다. 

(ⅱ)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음이 아닌 정수 과 홀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는 홀수이므로    도 홀수이다.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다.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
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이다. 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8) [정답/모범답안] 2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정답/모범답안] 5


           
   [해설]
⑴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좌변)  ×     ×   

               (우변)  ×     ×     
 이므로 (*)이 성립한다.
      ⑵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이다.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 7 -
모의고사 ( )반 ( )번
기출 9. 수학적 귀납법 이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정답/모범답안] 90
     
 
 
 (    )×  [해설]
(ⅰ)   일 때,     8 이므로
       (    ) × 
  은 8의 배수이다.
     
(ⅱ)   일 때,   이 8의 배수라 가정하면
       
    단 은 자연수)로 놓을 수 있다.
 (    )×     
이때     이므로
따라서 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    일 때,
⑴, ⑵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정답/모범답안] 5 따라서     일 때도    은 8의 배수이다.
[해설]
(ⅰ), (ⅱ)에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은 8의 배수이다.
   
주어진 식 (*)의 양변을  로 나누면 따라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인 자연수 에 대하여
 
(ⅰ)   일 때, (좌변)=  , (우변)=  이므로 ㉠이 성립한다.
 
(ⅱ)    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의 양변에  을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한편,
   
  나    
       
   
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 ≥ 인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이 성립하므

(*)도 성립한다.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