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수능(94~17학년도), 모의고사(03~16년)

단원 : 수열 (점화식 활용)
1.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다항식  는 다음 두 성질 (가)와 3. 3)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정의되는 수열
(나)를 갖는다. 

에서        일 때, 


 의 값은?

(가)    
[3점][2003년 6월]
(나)         ′
 
①  ②    ③  × 
  의 상수항은? 1)

④  ⑤   

[1.5점][1995학년도 수능]
①  ②  ③ 
④  ⑤ 

4. 4) 다음은 제 행에 두 개의  을 나열하고, 제   행에는 제 


행의 수를 나열한 뒤 그 각각의 수 사이에 양쪽 두 수의 합을
추가하여 나열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  행은 제  행의  과 
2. 그림과 같이 제  행에는  개, 제 행에는  개, …, 제  행에
사이에      을,  와  사이에      을 추가하여 나열한
는  개의 직사각형을 나열하고 그 안에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것이다. 이때, 제 행의  번째에 나타나는 수는?
수를 써 넣었다.
[3점][2003년 6월]
(규칙 1) 각 행의 양쪽 끝 직사각형에는  부터  까
지의 자연수를 순서대로 써 넣는다.
(규칙 2) 각 행의 안쪽 직사각형에는 바로 위 행의 인
접한 직사각형에 쓰인 두 수의 합을 써 넣는다.

①  ②  ③  ④  ⑤ 

이때,    의 값은? 2)

5. 5) 수열  에서 각각의 자연수 에 대하여 세 항    ,  ,


[3점][2003학년도 수능]    은 등차수열을 이루고, 세 항  ,    ,    는 등비수
①  ②  ③ 
열을 이룬다.  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④  ⑤ 
[4점][2004년 3월]

1 7
2 수 리 영 역 점화식 활용
━━━━━━━━━━━━━━━━━━━━━━━━━━━━━━━━━━━━━━━━━━━━━━━━━━━━━━━━━━

6. 수열   을 9.

수열   의 계차수열은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정의할 때, 

  의 값은? 6)


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9)


[3점][2007년 10월]
[4점][2005년 10월]
①  ②  ③ 
④  ⑤ 

7. 그림과 같이 자연수  에 대하여 log 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를  행에 차례로 배열할 때,  행에 배열된 자연수의 10. 그림과 같이 넓이가  인 정삼각형 모양의 타일을 다음과 같
 은 규칙으로 붙인다.
개수를  라 하자.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단계] : 정삼각형 모양의 타일을 한 개 붙인다.
(단,   는  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 단계] :   단계에서 붙여진 타일의 바깥쪽 테두리
7)

[4점][2005년 6월] 의 각 변에 정삼각형 모양의 타일을 붙인다.

이와 같이  단계를 시행했을 때, 타일로 덮인 부분의 전체의


넓이를 구하시오. 10)

[  점][2008년 7월]

 단계  단계  단계

8. 수열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8)

[3점][2007년 10월]

2 7
점화식 활용
수 리 영 역 3
━━━━━━━━━━━━━━━━━━━━━━━━━━━━━━━━━━━━━━━━━━━━━━━━━━━━━━━━━━

11. 자연수 을  진법으로 나타냈을 때, 일의 자리의 수를  이 14. 수열  의 계차수열   에 대하여




라 하자.   의 값은?
 
 11)

lim    ,   
→∞

  
[2점][2009년 7월]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14)

①  ②  ③  ④  ⑤ 


[3점][2011년 3월]

 15. 그림과 같이 선분 AB 를 한 변으로 하는 정각형을 차례로


12. 수열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의 값은?

 12)

그린다. 등차수열 에 대하여 선분 AB 의 양 끝점에 각각  ,


 를 대응시키고, 정삼각형의 꼭짓점 중 점 A , B 를 제외한 꼭
[4점][2010년 6월]
배포
* *

helpmemath

작성자
* *
짓점에  , 정사각형의 꼭짓점 중 점 A , B 를 제외한 두 꼭짓점
(가)    에  ,  를 대응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정각형의
(나) 의 계차수열 에 대하여    이다. 꼭짓점 중 점 A , B 를 제외한 꼭짓점에 시계방향으로  를 대응

①  ②  ③  시키자.        ,            일 때,어두운
④  ⑤  부분에 배열된 숫자들 중 정십오각형의 꼭짓점에 대응되는 수를
구하시오. 15 )

[4점][2011년 7월]

13. 수열 은    이고,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13)

[4점][2010년 9월]

3 7
4 수 리 영 역 점화식 활용
━━━━━━━━━━━━━━━━━━━━━━━━━━━━━━━━━━━━━━━━━━━━━━━━━━━━━━━━━━


16. 수열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의 값을 구하시



오. 16 )

[4점][2012년 4월]

(가)   
(나) 의 계차수열 에 대하여      이다.

17. 17) 수열 의 계차수열을 이라 할 때,


   ,     
이다.  의 값을 구하시오.

[  점][2013년 7월]

18. 수열  의 일반항은      이다. 수열  의 계차수



열을  이라 할 때, 

의 값은? 18)

[3점][2015년 9월]
①  ②  ③  ④  ⑤ 

4 7
점화식 활용
수 리 영 역 5
━━━━━━━━━━━━━━━━━━━━━━━━━━━━━━━━━━━━━━━━━━━━━━━━━━━━━━━━━━
[해설] 수2-(4)수열-(h)점화식활용 4) ①

각 행의 항의 수가 1, 2, 4, 8, 16, …,  씩 증가하는 계차수열이므로
1) ③ 

     에서  ‘    (제 7행의 항의 수)=   




(∵ (첫째항)=2)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때, 제 7행의 2의 위치는 정가운데 나타나므로 33번째 나타난다.
즉,   는  인 계수가  인  차식이므로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제 7행의 31번째에 나타나는 수는 9이다.
          으로 놓을 수 있다.
(제  행) 1 1
                로 놓으면
(제  행) 1 2 1
           ′ 에서 (제  행) 1 3 2 3 1
                     (제  행) 1 4 3 5 2 5 3 4 1
                (제  행) ⋯ 5 7 2 7 5 ⋯

∴               (제  행) ⋯ 7 9 2 9 7 ⋯

       에서        (제  행) ⋯ 9 11 2 11 9 ⋯

   이므로   
5) 28

       에서   
 
    [출제의도] 여러 가지 수열의 규칙을 추측할 수 있다.


수열의 각 항을 차례로 구해 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을 구해보면
2) ⑤
 ,  ,  ,  , …
②번 대각선     ⋯ 의 계차수열이 ①이므로    
   
수열      ⋯ 의 일반항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따라서,    는  이다.
6)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440
log       에서  ≦ log   <

∴    ≦ <  
이를 만족하는 자연수의 개수가  이다.
 →  ≦ < 2개
 →  ≦ < 6개
 →  ≦ < 12개
3) ①
 →  ≦ < 20개
 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2, 6, 12, 20
 
  

4 6 8
양변에  을 더하면          
 이 때,        라 하면,  은 첫째항이 4이고, 공차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문제에서 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n=1, 2, 3, …)  

∴       



∴        


5 7
6 수 리 영 역 점화식 활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1)에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2)-(1)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수열   은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다.

8) 96     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 이라 하면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13) 39
    
 ⋅     ∴       
 
   
9) 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즉,             이므로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97

 
  
       
  

    
10) 136 

 단계의 타일로 덮인 넓이   
    
 

 단계의 타일로 덮인 넓이     

   
 
 
  
 단계의 타일로 덮인 넓이     


 단계의 타일로 덮인 넓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계의 타일로 덮인 넓이   
→∞ →∞
 
lim lim      
 
 
 

  
11) ①      
이므로    이다.
[출제의도] 진법을 활용한 수열의 합 계산하기
자연수 을  진법으로 나타내면
15) 
     ⋯
등차수열 의 공차를 라 하면
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어두운 영역에 배열된 수열       ⋯ 을  라 하면

12) ③  


           이고

   이므로     라 하면,




정십오각형에서 어두운 부분에 대응되는 항은    일 때이고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6 7
점화식 활용
수 리 영 역 7
━━━━━━━━━━━━━━━━━━━━━━━━━━━━━━━━━━━━━━━━━━━━━━━━━━━━━━━━━━
16) 295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52
[출제의도] 계차수열 이해하기

         


  

18) ④

수열  의 계차수열이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7 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