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4-03

Ⅳ. 자극과 반응/ 1. 자극과 감각 기관/ 3. 냄새를 맡는 코, 맛을 보는 혀, 4. 여러 가지


단 원
자극을 받아들이는 피부
코와 혀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냄새를 맡는 과정과 맛을 느끼는 과정을 설명
할 수 있다.
학습목표
피부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감각점에 따른 피부 감각을 설명할 수 있다.

[저작권 위반 경고] 본 자료는 저작권법(제25조 2항)에 따라 본 수업 목적으로만 사용합니다.


이 자료를 타인에게 공유 또는 다른 공간에 게시하는 행위는 저작권법 위반에 해당됩니다.

☆ 알아보기 1 - 코의 구조와 자극의 전달 (p134)

기체 물질 → 후각 상피의 후각 세포 → 후각 신경 → 뇌

☆ 알아보기 2 - 혀의 구조와 자극의 전달 (p135)

액체 물질 → 유두 → 맛봉오리의 맛세포 → 미각 신경 → 뇌

▪ 맛의 종류 :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 알아보기 3 - 피부 감각 (p 136)

▪ 감각의 종류 : 접촉, 압박, 따뜻함, 차가움, 통증

▪ 각 감각점의 분포는 몸의 부위에 따라 (일정하게 / 다르게) 분포함


1. 사람의 감각 중에서 가장 예민하지만 가장 5. 맛세포에서 느낄 수 있는 맛이 아닌 것끼리
피로해지기 쉬운 감각은? 짝지어진 것은?

① 시각 ② 청각 ③ 후각 ① 쓴맛, 매운맛 ② 단맛, 감칠맛


④ 미각 ⑤ 피부 감각 ③ 짠맛, 신맛 ④ 매운맛, 떫은맛
⑤ 단맛, 쓴맛
2. 후각 세포와 맛세포에서 감각할 수 있는 자극원을 * 매운맛은 통증, 떫은맛은 압력으로 분류된다.
옳게 짝지은 것은?

후각 세포 맛세포
① 액체 물질 액체 물질
② 기체 물질 기체 물질 6. 사람은 다른 곳보다 혀 끝이나 손가락 끝의
③ 액체 물질 기체 물질 감각이 더 예민하다. 그 이유를 옳게 설명한
④ 기체 물질 액체 물질 것은?
⑤ 전기 자극 파장이 짧은 빛
① 감각점의 수가 많기 때문에
② 몸의 말단 부위이기 때문에
3. 미각의 성립 경로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③ 통점보다 온점이 많기 때문에
① 자극 → 맛봉오리 → 미각 신경 → 대뇌 ④ 맛세포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 맛세포 ⑤ 압점이 자극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② 자극 → 유두 → 미각 신경 → 맛봉오리
→ 대뇌
③ 자극 → 미각 신경 → 맛세포 → 맛봉오리
→ 대뇌
④ 자극 → 맛봉오리 → 유두 → 맛세포 →
대뇌
⑤ 자극 → 유두 → 맛봉오리 → 미각 신경
→ 대뇌

4. 다음은 우리가 음식 맛을 어떻게 느끼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가) 눈을 감고 사과와 양파를 맛보게 한다.


(나) 눈과 코를 막고 사과와 양파를 맛보게 한다.
(다) 실험 결과 (가)에서는 사과와 양파의 맛을
구별했으나, (나)에서는 구별하지 못했다.

위 실험 결과 알 수 있는 사실로 옳은 것은?
① 음식 맛은 코를 통해 느낀다.
② 음식 맛은 시각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③ 음식 맛은 미각만으로 완벽하게 느낀다.
④ 음식 맛은 후각과 미각의 상호 작용으로
느낀다.
⑤ 음식 맛은 후각과 시각의 상호 작용으로
느낀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