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과학 1. 과학자는 어떻게 탐구할까요?

⑴ 관찰 땅콩 길이 측정하기

관찰의 뜻과 방법 측정 부분 땅콩에서 긴 부분의 길이


- 줄자를 사용해 땅콩의 길이를 잼.
탐구하고자 하는 대상의 특징을 자세히 - 실을 사용해 땅콩의 길이를 잰 뒤 실의
관찰의 뜻
살펴보는 것 측정 방법 길이를 자로 잼.
- 눈, 코, 입, 귀, 피부의 다섯 가지 감각 - 모눈종이 위에 땅콩을 올려놓고 길이를
기관을 사용함. 표시한 뒤 표시한 모눈의 눈금 수를 셈.
- 감각 기관만으로 관찰하기 어려울 때 측정 값이
관찰 방법 측정 도구의 종류, 측정 방법, 측정한 사람이
돋보기, 현미경, 청진기 등의 도구를
다른 까닭 다르기 때문임.
사용하면 대상을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음. 땅콩 길이를 - 알맞은 측정 도구를 선택함.
가장 정확히 - 올바른 방법으로 측정 도구를 사용함.
나의 생각이나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말하
주의할 점 재는 방법 - 여러 번 측정해 결과를 비교함.
는 것은 관찰해 알아낸 것이 아님.

땅콩 관찰하기
감각 기관 관찰 결과 ⑶ 예상
눈 눈사람 모양처럼 생김. 예상의 뜻과 방법
귀 흔들면 ‘후드득’ 소리가 남.
예상의 뜻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생각하는 것
코 속껍질에 싸인 땅콩에서 구수한 냄새가 남.
이미 관찰하거나 경험해 알고 있는 것에서
입 깍지를 까서 먹으면 달고 쓴 맛이 남. 예상 방법
규칙을 찾아내면 더 쉽게 예상할 수 있음.
피부 손으로 만지면 표면이 까끌까끌함.

⑵ 측정
크기가 다른 알갱이를 플라스틱 통에 넣고 흔들기
측정의 뜻과 방법
알갱이의 종류 관찰 결과
탐구하고자 하는 대상의 길이, 무게, 시간, 쌀과 땅콩 땅콩이 쌀 위로 올라옴.
측정의 뜻
온도 등을 재는 것
쌀과 아몬드 아몬드가 쌀 위로 올라옴.
여러 가지 측정 도구를 사용함.
- 자: 길이를 잼. 쌀과 검은콩 검은콩이 쌀 위로 올라옴.
측정 방법 - 저울: 무게를 잼.
- 시계: 시간을 잼.
•관찰 결과에서 나타난 규칙
- 온도계: 온도를 잼. - 크기가 큰 알갱이가 작은 알갱이 위로 올라옴.
- 대상을 측정하기에 알맞은 측정 도구 •검은콩과 아몬드를 통에 넣고 흔들었을 때 나
를 선택함. 타날 변화 예상하기
주의할 점
- 여러 번 반복하여 측정해야 정확한 결과 - 알갱이의 크기가 큰 아몬드가 검은콩 위로
를 얻을 수 있음. 올라올 것임.

과학 3학년 1 1학기 1단원


과학
⑷ 분류 이곳에서 일어난 일 추리하기

분류의 뜻과 방법 ㉣

탐구 대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
분류의 뜻
무리 짓는 것
- 분류 대상들을 관찰해 대상들의 특징
을 찾음. ㉡
분류 방법
- 대상들의 특징 중에서 한 가지를 골라
분류 기준을 세움.
누가 분류하더라도 같은 분류 결과가 나올
주의할 점 관찰한 내용 추리한 내용
수 있는 것이 과학적인 분류 기준임.
발이 큰 공룡이 처음에는
㉠ 큰 발자국 간격이 처음에
걸어가다가 갑자기 뛰었을
는 좁다가 점점 넓어짐.
공룡 분류하기 것임.

•공룡을 두 무리로 나눌 수 있는 특징 ㉡ 작은 발자국 간격이 일 발이 작은 공룡은 일정한


정함. 빠르기로 걸었을 것임.
- 날개가 있는 것과 없는 것, 등에 돌기가 있
㉢ 큰 발자국과 작은 발자 발이 큰 공룡과 발이 작은
는 것과 없는 것, 땅을 딛고 있는 다리가 네 국이 뒤섞여 복잡하게 공룡이 몸싸움을 벌였을
개인 것과 아닌 것, 머리에 뿔이 있는 것과 찍혀 있음. 것임.
없는 것 등 발이 큰 공룡이 발이 작은 공
㉣ 큰 발자국만 찍혀 있음.
•분류 기준에 따라 공룡 분류하기 룡을 입에 물고 갔을 것임.
예 분류 기준: 날개가 있는가?

그렇다. 그렇지 않다.

⑹ 의사소통

의사소통의 뜻과 방법

의사소통의
다른 사람과 생각이나 정보를 주고받는 것

- 정확한 용어를 사용해 간단하게 설명함.
의사소통
- 표, 그림, 몸짓 등을 사용해 내용을 더
방법
⑸ 추리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음.

추리의 뜻과 방법

관찰 결과, 과거 경험, 이미 알고 있는 것
추리의 뜻 등을 바탕으로 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추리한 내용 설명하기
생각하는 것
•내가 추리한 내용을 친구들에게 잘 전달할 수
- 탐구 대상을 다양하고 정확하게 관찰
있는 방법
해야 함.
- 관찰한 것을 과거 경험이나 이미 알고 - 공룡 발자국 간격과 방향의 변화를 숫자,
추리 방법
있는 것과 관련지어 생각해야 함. 화살표 등을 사용해 눈에 띄게 표현함.
- 추리한 것이 관찰 결과를 모두 설명할 - 공룡 발자국 그림에 나의 추리와 관련이 있는
수 있어야 함. 부분을 색연필로 표시하면서 설명함.

과학 3학년 2 1학기 1단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