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자기주도학습지도사

10 강. 라포형성기술, 경청기술

<Preview> ***라포란?

1. 라포(Rapport)란 ?

(친밀한) 관계 , (프)마음의 관계, 유대, 마음이 연결된 상태, 마음이 통하는 상태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의미하는 라포는 상담과 티칭에서 가장 중요한


열쇠다. 라포가 형성되었다면 내담자나 학습자는 상담자(교사)에게 자신의 마음을
숨기지 않을 것이다.

학습코칭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라포를 형성해야 하고 사전 단계


로 공감대의 형성(타인의 감정이나 경험 , 사고 등에 대한 이해 등)을 위해서 노력
하여야 한다 .

상대방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신뢰관계, 협조관계, 동맹관계를 말한다.

관계를 결정짓는 태도의 모든것, 원하는 결과를 얻는 소통의 언어


(마이크 아킬레라)

상대방의 세계에 들어가 당신이 그를 이해하고 강력한 유대감을 갖고 있다고


느끼게 만드는 능력이다.(토니 로빈슨)
한솔자기주도학습지도사_10차시.hwp

2. 라포 (Rapport) 형성 기술의 종류

페이싱 (Pacing) : 보조 맞추기

미러링 (Mirroring) : 거울처럼 따라 하기

백트래킹 (Backtracking) : 추적하기

캘리브레이션 (Calibration) : 알아차리기

3. 라포(Rapport) 형성기술

가. 페이싱(Pacing): 보조 맞추기

Pace: 보조를 맞추다. 속도를 유지하다. 자기에게 맞는 속도를 찾다.

- 시각 : 눈높이를 맞추는 것
- 청각 : 음성의 높낮이, 억양, 속도, 크기 등을 맞추는 것
- 체감각 : 감정, 움직임의 방향, 체온 등

[ 실습 ]

나. 미러링 (Mirroring): 거울처럼 따라 하기

Mirror: 거울처럼 잘 보여주다, 반영하다, 비추다.

- 상대방의 특정 행동을 거울처럼 반영하는 것


- 상대방의 행동에 맞추는 것
- 행동은 그 사람의 내적 상태의 외적 표현

[ 실습 ]
자기주도학습지도사

다. 백트래킹 (Backtracking): 추적하기

Backtrack (방금 왔던 길을) 되짚어 가다 .

- 상대방의 말을 그대로 따라 맞추는 것


- 말을 맞춘다는 것은 곧 상대방의 내적 지도에 맞춘다는 것
- 순서 백트래킹: 감정과 말을 그대로 따라한다 .
- 요약 백트래킹: 말을 요약하며 뒤이어 말 한다 .

[ 실습 ]

라. 캘리브레이션 (Calibration) : 알아차리기

Calibration(계기 등에) 눈금 매기기, (계기의) 눈금

- 상대방의 모습이나 상태를 민감하게 관찰하여 비언어적 변화를 살피는 것

- 얼굴표정 , 호흡 , 신체상태 , 마음상태 등에 나타나는 징후나 변화를 얼마나


빨리 식별하는가가 중요

- 단서 파악하기
• 비언어적 변화를 살피는 것이다 .
• 얼굴 표정 , 호흡 , 신체상태 , 마음상태 등에 나타나는 징후나
변화를 살핀다 .
한솔자기주도학습지도사_10차시.hwp

<래포기술 Tip>

1. 얼굴의 긴장을 풀어라.

2. 몸의 좌우 균형감을 유지하라.

3. 어떤 자리에서든 밝고 환한 미소를 지어라.

4. 최대한 올바를 자세로 인사 / 악수하라.

5. 고개를 끄덕이고 상대의 몸짓을 따라하면서 분위기를 이끌어 가라.

6. 손을 이용해 강하고 절도 있는 제스처를 취하라.

7. 목소리의 높낮이에 변화를 주라.

8. 다른 사람의 개인 영역을 존중하라.

9. 상대에게 좋은 감정의 닻을 내려라.

10. 다양한 상황에 대한 행동 계획을 세워라.


-레이맨 래포 형성법-

4. 우리는 어떻게 의사소통을 하는가?

7 우리가 쓰는 말
38 어조, 억양, 음성
55 비언어적 몸짓

-화났을 때 단서나 신호
호흡변화, 피부색변화, 눈물, 땀, 노려봄, 눈맞춤 회피, 콧구멍, 눈썹,
이를 악물기, 주먹 쥐기, 안절부절못함, 심각한 표정, 얼굴을 찡그림,
물러서기 , 다가서기 등
자기주도학습지도사

5. 경청기술의 개념

가 . 경청의 정의

- Hearing
청각기관으로 소리를 감지하는 것, 그냥 들리는 대로 듣는 것,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채 단순히 듣는 행위

- Listening
주의 깊게 듣는 것, 귀를 기울임, 주의를 기울여 듣고 말하는 사람의
얼굴 표정, 소리, 어조의 패턴, 몸짓, 언어감정 등을 이해하려고
주의를 기울이는 행위

- Attentiveness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들으면서, 친절하고 예의 있는 자세를 보이며,
끊임없이 상대방의 입장에서 듣는 행위

- 경청이란 학습자가 하는 말 이면의 숨은 뜻, 더 근원적인 과정,


배움을 더욱 심화시켜 줄 핵심적인 주제에 관해서 듣는 것

- 경청이란 학습자의 비전, 가치관, 목적이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에 대해


듣는 것

- 경청이란 학습자를 방해하는 요소, 두려움, 후퇴하게 하는 것,


그리고 변화를 반대하고 학습자의 약점과 실패를 지적하면서 뒤로
움츠려야 할 이유들을 읊어대는 내부의 방해 공작원(그레믈린)의
소리를 듣는 것
한솔자기주도학습지도사_10차시.hwp

나. 경청의 3 단계

1단계 경청 : 주관적 경청

• 주의력을 우리 자신에게 기울이는 것


• 주관적으로 듣는다. 나의 기준과 틀로 상황과 학생을 판단한다.
•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을 듣지만, 그 말이 우리 자신에게 의미하는 것에
집중한다.
• 상대방의 말을 나의 생각의 색깔로 해석해서 듣는다.
• 뭔가 내가 말을 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 학생의 의견보다 그에 맞춘 나의 생각이나 의견이 더 중요하다.
• 말을 하려고 준비하면서 듣는다.
• 학습자는 내가 뭔가 잘 못 말했나 하는 생각이 든다.

2 단계 경청 : 상대 중심 경청

• 타인의 말에 날카로운 집중력을 발휘하는 것!


• 사람들이 취한 자세를 통해서 그 여부를 알 수 있다.
몸을 앞으로 기울이고 상대방에게 대단한 집중력을 보일 것이다.
• 말하는 것을 듣되 말하지 않는 것에도 주목한다.
• 학습자는 편안하게 말을 하게 된다. 공감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 집중력을 발휘하여 듣는다.
주위를 집중해서 다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 .

3 단계 경청 : 직관적 경청

• 360 도 각도에서 다각도로 듣는 것


• 감각으로 관측할 수 있는 모든 것
• 활동적인 것, 무 활동적인 것, 상호작용에 관한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경청과정
• 때로는 환경적인 듣기라는 말로 표현, 광범위하게 듣는다.
감정을 잡아내고 바디 랭귀지와 환경에까지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
자기주도학습지도사

6. 경청기술의 종류

가. 적극적 경청
말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비판이나 판단 없이 그대로 수용하고 그 사람의 감정을
진심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태도로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경청

나. 공감적 경청
경청하는 과정에서 자신보다는 말하는 사람의 입장과 감정을 이해하고 동감을 표
현하는 경청

• 상대방의 닫힌 상태를 열고 들어갈 수 있다.


• 상대방을 공감적으로 경청하면 심리적인 행복감을 얻는다.
• 공감적 경청은 자신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위험부담도 있다.
잘못하면 자신이 상처를 받을 수도 있다.

다. 맥락적 경청
듣고 이해해야 될 모든 것을 파악하기 위해 말이나 단어 이상의 맥락을 듣는 경청

7. 경청 시 유의점

- 우리의 지식(Knowledge), 경험(Experience), 의도(Intention)는 우리가 듣는


것을 필터링하고 우리가 말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

- 외부의 소음 & 내부의 소음

8. 경청의 효과

- 말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말하기 쉽게 해준다.


- 즐거운 사람이 되고 말하는 사람으로부터 호감을 산다.
- 많은 지식이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이해하게 되고 진의를 포착할 수 있다.
-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 협력을 얻을 수 있다.
- 인격형성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 반성과 감상력을 키울 수 있다.
- 사회적으로 성장 할 수 있다.
한솔자기주도학습지도사_10차시.hwp

<실습> ***경청의 적절한 반응

감정이입하기(Empathize)
예)

인정하기(Acknowledge)
예)

반영하기(Reflect)
예)

요약하기 (Summarize)
예)

<경청기술 Tip>
1. 말하지 말라.

2. 말하는 사람을 편하게 해줘라.

3. 당신이 듣고자 하는 것을 상대에게 보여줘라.

4. 산만하게 하는 것을 없애라.

5. 말하는 사람에게 감정을 이입하라!

6. 이미 알고 있다고 성급하게 예측하지 않는다.

7. 말을 중단 시키지 않는다.

8. 자기만의 규칙을 세운다.


예) 상대방의 이야기를 중간에 끊지 않겠다.
조언, 충고, 가르치기를 하지 않겠다. 등

9. 적극적으로 공감한다.

10. 요점을 정리해서 확인한다.


예) 아 ~ 이런 말이라는 거구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