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자기주도학습지도사

9 강. 대화모델

Preview *** 나는 어떤 대화유형의 교사/부모인가?

1. 나는 어떤 유형의 교사/부모인가?

2. 문제 행동의 주 원인은 어른이다.

[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징표]

초등학생
∙수업 중에 집중을 잘 못한다
∙나이에 맞지 않은 성적 묘사나폭언을 한다
∙자주 싸우고 남을 못 살게 군다
∙자해 행위를 한다
∙도벽, 거짓말, 속임수를 잘 쓴다
∙선생님의 주의를 계속 끌려고 한다

청소년(중고등학생)
∙가출 , 무단 결석이나 자퇴
∙원조교제, 성병감염, 혼전 임신
∙폭력집단에 가입하거나 흉기를 갖고 다닌다
∙범죄를 저지른다
∙술, 담배, 환각제 등을 복용한다
∙자살에 대해 말하거나 시도한다
자기주도학습지도사

3. 감정코칭 대화 5단계

1단계 아이의 감정을 포착한다.

2단계 강한 감정일수록 더 좋은 기회다.

3단계 아이의 감정을 들어주고 공감한다.

4단계 감정을 의식하도록 돕는다.

5단계 바람직한 행동으로 선도한다.

4. 자기주도학습코칭이란 ?

가. 코칭의 정의

코칭은 개인과 조직이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최상의 가치를 실현 할 수 있도록


돕는 수평적 파트너십이다.

코칭이란 개인과 조직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고객들에게 영감을 주는


사고 확장과 창조적인 과정 속에서 고객과 함께하는 것이다.

나. 학습코칭

상대가 이미 가지고 있는 답을 쉽게 찾도록 돕는다는 철학에 기반한다.

학습자가 스스로 하도록 도움으로써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접근능력을 개발해


주는 역할로 90% 이상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기대한다.

코칭은 코치가 원하는 것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데려다 주는 대화방법으로 한 사람의 잠재력을 개발하여 탁월한 성취를
이루도록 돕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지도사

다. 코칭 철학

• 사람은 누구나 가능성과 잠재 능력을 갖고 있다 .


•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고 있다 .
• 자신의 문제에 대한 답은 자신이 가지고 있다 .
• 모든 사람에게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
• 그 사람에게 필요한 해답은 모두 그 사람 내부에 있다 .
•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파트너가 필요하다 .
[코칭의 기술] 에노모토 히데타케

라. 코치의 특성

마. 코치와 코치이

코칭의 성과를 이루기 위하여


코치이와 제공자인 코치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어떻게 할 것인가 ?

5. 대화 모델

가. 코칭 대화 모델의 이해

코칭 대화 모델은 코칭의 효과를 정해진 코칭 시간에 효과적으로 프로페셔널


하게 진행하기 위한 대화 진행 형식이다 .

코칭은 많은 경우 1회기를 50분 기준으로 하며 30분에서 2시간을 진행한다 .


자기주도학습지도사

나 . 코칭대화 모델단계

<Stages of GROW Model>

G oal
원하는 목표 , 미래의 원하는 것이 이루어진 모습

R eality
현실로 원하는 목표와 가장 멀리 있는 지금의 상태

O bstacles, O ptions
원하는 목표를 가는 과정의 장애물
장애물 인식 후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는 가능한 방법들

W ay Forward, W ill, Wrap up


위에서 찾은 방법을 실행하여 목표를 이루는 구체적인 실행계획

다. Grow 진행 방법

• 초점 맞추기 : 현재 상황 , 목표 파악 , 갭의 정의

• 가능성 발견 : 생각할 수 있는 방법 , 다른 시각

• 실행계획 수립 : SMART 기준, 예상되는 영향


(Specific/ Measurable/ Attainable/ Realistic/ Time limit)

• 장애요소 제거 : 장애물 파악, 대책 확인

• 마무리 : 대안의 요점 정리, 인정과 축하


자기주도학습지도사

6. 코칭 언어

- 상대방을 포용하는 언어, 감사의 언어, 칭찬의 언어, 긍정의 언어,


원하는 바를 I message 로 말하기, 생각을 말하기, 현재와 미래언어,
선호와 확약의 언어 등

- 비언어(어조, 억양, 소리 크기, 제스츄어)를 포함한 모든 언어이며,


각종 대화기술에 기저 함

- 언어의 종류: 긍정 언어, 중립 언어, 상대 언어, 부정 언어


- 긍정 언어와 중립 언어가 핵심 언어임
- 중립 언어: 판단 / 지시 / 충고 / 비평 / 비난 / 질책하지 않는,
즉 주관적이지 않고, 객관적이며, 사실에 입각하되 긍정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예)

A : 너는 1 시간만 더 한다고 했잖아. 지금 도대체 몇 시간째야?


도대체 약속은 언제 지킬 거니 ?

< 중립 언어로 변환 >


A :

- 상대 언어: 상대적 언어란 절대적 언어의 반대말


상대가 있다는 뜻 = 비교
많은 경우에 비교를 통해서 상대적인 옳고 그름의 언어를 사용

• 상대적인 비교언어가 아닌 있는 사실을 그대로 표현하는


중립 언어의 필요성
• 대화 시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용의 자세가 필요

예)

• 상대적 언어 : 맞다 , 틀리다 , 항상 , 늘 , 절대로


• 중립 언어 : ‘ ’
자기주도학습지도사

<실습> *** 코칭언어로 바꾸기

• 늘 혼자 놀아요.

• 컴퓨터만 하려고 해요.

• 게임만 좋아해요.

• 자주 참견을 해요.

• 언제나 고기만 찾아요.

오늘의 성찰

오늘 배운 것 세 가지를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세요.

오늘의 소감을 느낌단어로 말씀해 주세요.

앞으로 시도해 볼 것은 무엇인지 말씀해 주세요.


(오늘 당장, 일주일 이내에, 한 달 이내에 해야 할 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