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8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최형용 강영준 권태윤 박재연 박종오 소신애 송찬욱 오세호 임요한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창의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언어와 매체는 인간을 인류라는 집단 속에서 문화적 존재로 자리매김하도록 도와

줍니다. 사람들은 삶 속에서 기쁨이나 슬픔과 같은 감정을 드러낼 때는 물론 다른 사

람과 논의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도 언어와 매체에 크게 의존합니다. 따라서 언어와

매체는 단순한 수단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역동적인 모습을 가지는 존재

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언어와 매체』 교과서는 언어의 다양한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 줌으로써 그 속에 존

재하는 규칙과 규범이 어떠한 것인지 그리고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의 한계를 매체

를 통해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낱낱이 제시해 줍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판

적·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을 기르도록 해 줍니다.

우리는 이 책을 펴내면서 다음과 같은 부분에 특히 역점을 두었습니다.

첫째, ‘ 2015 개정 교육 과정’을 충실하게 반영하였습니다. 『언어와 매


체』 과목은 국어와 매체 언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개인적·사회적 소통

능력과 태도를 길러 국어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교과

서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본질로서의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고, 다양한 국어 자

료와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적용 능력’을 함양하며 국어와 매체 문화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학습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였습니다.


둘째,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학
습 자료를 구성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어 자료와 풍부한 매체 자료를
제시하되 학생들의 눈높이에 적합하도록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또한 단순히 흥미만

을 유발하거나 실생활과 유리된 자료는 배제하도록 노력을 경주하였습니다. 특히 급

변하는 다매체적 언어 환경에 적합하면서도 활용도 높은 학습 자료를 엄선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습니다.

셋째, 학습 활동을 ‘기초 다지기’와 ‘탐구하고 활용하는 학습 활동’


의 이원 체계로 구성하여 단계적인 활동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기초 다지기’는
이해 활동으로서 바탕글의 내용과 구조를 즉각적이고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

니다. ‘탐구하고 활용하는 학습 활동’에서는 학습 목표에 도달함과 동시에 학습 내용을

한층 깊고 넓게 생각해 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생각이 뛰어노는 창의·융합 놀이터’를 제시하였습니다.

우리는 이 교과서를 활용하여 공부하는 학생들이 언어와 매체의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질서를 접하기를 희망합니다. 그리고 그 속에서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고 언어

와 매체에 대한 감각을 익혀 정확하고도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기를 바랍니

다. 또한 자신이 다음 세대의 주인공임을 깨닫고 주체적으로 삶을 영위하여 국어 문

화와 매체 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지은이 일동.
• 이 교과서는 ‘대단원-중단원-소단원’의 세 단계로 구성하였습니다.

• 언어 영역과 매체 영역의 독자성과 통합성을 고려하여 단원의 체제를 구성하였습니다.

• 다양한 언어
자료와 매체 자료를 풍부히 제시하여 실제 생활에서 언어와 매체를
탐구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다음과 같은 활동 아이콘을 제시하여 자료의 성격이나 활동의 단위를 밝혀 두었습니다.

동영상 듣기 인터넷 짝 활동 모둠 활동

대단원 길잡이
1 언어의 본질 2 매체의 본질

대단원을 배우는 이유와 배울 ●대단원 학습 목표●


•언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국어의 특성과 위상을 파악할 수 있다.
•매체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매체 언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1) 언어의 특성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2) 매체 언어의 특성

내용을 안내하였다. | 미술 | 심리 | 소통 |

그림으로 마음 사전 만들기

언어는 인간의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언어와 국어의 특성을

대단원 학습 목표 단원에서 성취해 알면 인간의 삶을 더욱 잘 이해하게 되고,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매체가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언어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과 더불어 의사소통 과정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매체와 매

야 할 목표를 확인한다. 체 언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다음 질문에 답하며 나의 학습 정도를 확인하고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대단원 한눈에 보기 단원의 구성을 인간의 삶에서 언어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알고 있나요?

이 단원에서는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언어의 세계 속에서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졌음을 느껴 본 적이 있나요?

한눈에 살펴본다. 보편적인 특성을 탐구한 후, 다른 언어와 비교할 때 국어가 지니는 특성과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을 이해해 보자. 그리고 매체가 발달해 온 과정을 바탕으로 매체의 유 내가 알고 있는 매체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복합 양식적 특성을 지닌 매체 언어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나의 학습 상황 나는

을 진단하고 학습 계획을 세운다. 할 것이다.

10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대단원 길잡이 11

중단원 도입 1 ●중단원 학습 목표●


•인간의 삶과 관련하여 언어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국어의 특성과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을 이해할 수 있다.

언어의 본질
중단원 학습 목표를 알고, 중단
원 학습을 준비한다. 다음은 지구촌 곳곳의 인사말이다. 그 뜻이 저마다 다른 까닭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센 베노?
(당신의 가축들은 잘 지내나요?)

생각 열기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안녕하세요?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평안하세요?)

아부셴!

학습 동기를 강화한다. (좋은 새벽입니다!)

미리 보기 중단원 학습 내용을 미
리 살펴본다.
앗살람 알라이쿰.
(당신께 신의 평화가 함께하기를.)

12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 언어의 본질 13


소단원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발음할 때 혀의 최고점이 앞쪽에 있는 모음을 전설 모음, 뒤쪽에 있는 모음을 후
설 모음이라고 하고, 혀의 최고점이 높은 모음을 고모음, 낮은 모음을 저모음, 그 중
모음 사각도
단모음을 발음할 때의 혀의 최고
3 라디오 방송 대본을 소리 내어 읽어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학습의 주안점 간인 모음을 중모음이라고 한다. 그리고 해당 모음을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둥글


것이다.
1
점의 위치를 간략하게 도표화한
제시된 단어 카드를 활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음운의 체계 이해하기 게 되는 모음을 원순 모음, 그렇지 않은 모음을 평순 모음이라고 한다. [ㅣ] [ㅟ] [ㅡ] [ㅜ] 높음
조선 시대의 설 풍습 가운데 흥미로운 게 하나 있습니다. 아이들이 설을 맞아 서당

혀의 높낮이
• 음운의 변동 탐구하기 돼지 되지 왼 웬
5 위와 같은 단모음에 반모음이 결합된 것을 이중 모음이라고 한다. 반모음 ‘j’는 [ㅔ] [ㅚ] [ㅓ] [ㅗ]
에서 글을 가르쳐 주시는 훈장님께 세배를 가면, 훈장님은 세뱃돈 대신 짐승 이름을
쓴 종이를 하나씩 봉투에 담아 줬습니다. 아이들은 집에 돌아가 그 종이를 꺼내 머리
‘ㅣ’와 비슷한 자리에서 발음되고, ‘w’는 ‘ㅗ/ㅜ’와 비슷한 자리에서 발음된다. 이러

[ㅐ]
⑴ 두 사람씩 짝을 지은 후, 한 사람이 카드의 단어들을 임의의 순서로 부르면 다른
[ㅏ]
맡에 붙여 놓죠. 어떤 짐승들의 이름이 쓰여 있었을까요?
낮음
한 점에서는 모음과 비슷하지만 혼자서는 음절을 이룰 수 없다는 점에서는 자음과 한 사람이 그것을 받아 적어 보자. 기가 세고 성급한 아이에게는 소 우(牛) 자, ‘소처럼 진득해져라.’ 이런 뜻이겠죠.
앞 뒤
혀의 앞뒤
비슷하다. 표준 발음을 기준으로 할 때 국어에는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약삭빠른 아이에게는 돼지 시(豕), 게으른 아이에게는 닭 계(鷄), 주의력이 산만한 아
이에게는 거위 아(鵝), 욕심 많은 아이에게는 양 양(羊), 행동거지가 느린 아이에게는
ㅞ, ㅢ’와 같은 11개의 이중 모음이 있다. 이중 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나
말 마(馬) 자를 써 준답니다. 아이가 봉투를 받아 오면 부모는 짐승값을 챙깁니다. 곡
음운의 체계 5 10 혀의 위치가 달라진다. 식 됫박이나 찬거리를 마련해서 훈장님께 가져다주는 거죠. “소값이요!”, “닭값이요!”
한 언어에서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다음으로 자음 체계를 알아보자. 표준 발음을 기준으로 할 때 국어에는 19개의 라고 이름을 붙이고서 말이죠. 아이들이 자신의 부족한 점을 깨닫고 스스로 반성하게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 ● 만드는 이런 풍습, 참 멋지지 않습니까?
음운에는 분절(分節) 음운 외에
최소의 말소리를 음운이라고 한다. 예 자음이 있다. 이들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엠비시(MBC),「타박타박역사기행」,2017년1월29일방송
비분절(非分節) 음운도 있다. 분
컨대 국어에서 ‘물[水]’과 ‘불[火]’은 ‘ㅁ’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입술소리(양순음), 잇몸소리(치조음), 센입천장소리(경
절 음운은 ‘모음, 자음, 반모음’과 ⑵ 표기상 구별되는 모음이 발음상으로도 구별되는지 확인해 보고, 발음이 구별되지
같이 나누어 분리할 수 있는 음 소리와 ‘ㅂ’ 소리의 차이로 말의 뜻이 구개음), 여린입천장소리(연구개음), 목청소리(성문음)로 나뉜다. 입술소리는 두 입 않는다면 그 까닭을 이야기해 보자.

언어
다음 단어를 발음할 때 어떤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지 써 보자.
운인 반면, 비분절 음운은 나누어
분리할 수 없고 분절 음운에 얹 달라진다. 이러한 ‘ㅁ’, ‘ㅂ’ 각각을 음운 10 15 술을 맞대어 내는 소리이고, 잇몸소
혀서만 실현될 수 있는 음운이다. 단어 발음 음운변동
이라고 한다. ‘산[山]’과 ‘손[手]’에서 말 리는 혀끝을 윗잇몸에 대어 내는 소 ① 코안
‘눈[눈][眼]’과 ‘눈[눈ː][雪]’처럼 말
소리의 길이에 따라 말의 뜻이 ② 입안 성급한 [ ]
의 뜻을 달라지게 하는 ‘ㅏ’와 ‘ㅗ’ 역시 음 리이다. 센입천장소리는 혀의 앞부 ③ 목청
달라질 때, 이러한 말소리의 길이
④ 입술 붙이고서 [ ]
가 비분절 음운에 해당한다. 운이다. 이와 같은 음운은 한 언어 안에 있는 분을 센입천장에 대어 내는 소리이
⑤이
⑥ 잇몸 멋지지 [ ] 음절의 끝소리 현상,
다른 음운들과 더불어 일정한 체계를 이루고 있다. 며, 여린입천장소리는 혀의 뒷부분
2
⑦ 센입천장
20 을 여린입천장에 대어 내는 소리이 ⑧ 여린입천장 다음 단어의 음운 변동 과정을 자음 체계와 관련하여 알아보자.
⑨ 기도 ⑵ 밑줄 친 부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 현상의 공통점을 말해 보자.
다. 목청소리는 목청 사이에서 내는 ⑩ 식도 변동음운 조음위치 조음방법
국어의 음운 체계 중 모음 체계를 먼저 알아보자. 표준 발음을 기준으로 할 때 국 15
‘엌’의 음절 끝 ‘ㅋ’이
소리이다. 발음 기관 파열음 ⑶ 다음 표준 발음법 규정에 따라 발음해야 하는 부분을 찾고, 정확한 발음을 적어 보자.
어에는 10개의 단모음이 있다. 단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에  (으)로 바뀌는
부엌문 ㅋ 여린입천장소리
조음 방법에 따라서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으로 나뉜다. 파열음 거센소리  이/가
변화가 없는 모음이다. 이들은 해당 모음을 발음할 때의 혀의 앞뒤 위치, 혀의 높낮
제 12 항 받침 ‘ㅎ’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은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고, 마찰 일어남.
이, 입술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ㅎ(ㄶ, ㅀ)’ 뒤에 ‘ㄱ, ㄷ, ㅈ’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
25 음은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좁힘으로써 마찰시켜 내는 소리이다. 파찰음은 폐 파열음
● 부억문 여린입천장소리 비음 ‘ㅁ’ 앞의 파열음 서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
혀의 앞뒤 위치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음절 발음될 수 있는 최소의
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서서히 마찰시켜 내는 소리이다. 파열 단위.
 이 같은 조음 2. ‘ㅎ(ㄶ, ㅀ)’ 뒤에 ‘ㅅ’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ㅅ’을 [ㅆ]으로 발음한다.
혀의 높낮이 입술 모양 평순 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
음과 파찰음은 목청문(성문)의 상태에 따라 다시 예사소리(평음), 된소리(경음), 거

조음 말소리의 산출에 관여하 위치의 비음 ‘ㅇ’으로 바 3. ‘ㅎ’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한다.


ㅣ ㅟ ㅡ ㅜ 는 발음 기관 즉, 목청(성대), 목 뀌는  이/가
고모음 4. ‘ㅎ(ㄶ, 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
이중 모음 발음의 허용
센소리(유기음)로 구분된다. 그리고 비음은 폐에서 나온 공기의 대부분을 코로 내 젖, 혀, 이, 입술[부엉문]
따위의 움직임
일어남. 을 발음하지 않는다.
표준 발음법에서는 단모음 ‘ㅟ’와 중모음 ㅔ ㅚ ㅓ ㅗ 을 통틀어 이르는 말.
보내면서 내는 소리이고, 유음은 혀의 중앙이나 양옆으로 공기를 흘려보내면서 내 ●
‘ㅚ’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목청문(성문) 양쪽 목청(성대)
저모음 ㅐ ㅏ
것도 허용한다. 30 는 소리이다. 사이에 있는 좁은 틈.

60 Ⅱ.국어의탐구와활용 (1)음운의체계와변동 61
54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55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인터넷은 실시간으로 다양한 양식의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쌍
방향 매체이다. 그러한 특성으로 인해 생산자와 수용자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주로
전자 매체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등장한
(나) 인터넷 신문

학습의 주안점 수용자에 머물던 개인이 누리집, 블로그, 온라인 동호회 등을 만들어 자신의 생각 매체를 통칭하여
다음전자
1
매체라고
자료를 보고
한다. 전자 매체는 전화, 라디오
매체의 유형에 따른 특성을 탐구해 보자.
문화 검색
• 매체의 유형 이해하기 을 전달하고 정보를 생산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언제 등의 아날로그 방식의 매체부터
• 매체의 유형에 따른 특성 기기종이
컴퓨터, 이동 통신(가) 등의신문

이해하기
5 어디서나, 누구와도 편리하게 소통할 수 있는 세상이 도래한 것이다. 지털 방식의 매체에 이르기까지
신라 왕족들은 깔끔했다, 1,200년 전 수세식 화장실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기사 입력 2017년 9월 27일 08 : 00
기술이 발달하고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와 같은 이동 통신 기기가 개발되면서 매
14 문화 2017년 9월 27일 기자 전자 우편 보내기

체는 더욱 다변화하고 있다. 책이나 신문과 같은 기존 매체가 전자책, 인터넷 신문 경주 동궁과 월지 인근에서 발견


등으로 분화된 것은 물론 누리 소통망, 스마트 텔레비전 등과 같이 새로운 형식의
신라 왕족들은 깔끔했다, 1,200년 전 수세식 화장실 변기·배수로 갖춘 국내 첫 ‘수세식’
“고대의 화장실 중 가장 고급형”

뉴 미디어가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오늘날 뉴 미디어는 즉각적인 상호 작용을 경주 동궁과 월지 인근에서 발견
변기·배수로 갖춘 국내 첫 ‘수세식’
매체란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 정보와 지식, 사상과 정서를 전달하고 공유하는 10 가능하게 하여 실제 대화를 하듯 현장감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고대의 화장실 중 가장 고급형”
통일 신라 왕실의 수세식 화장실
수단을 일컫는다. 현대 사회에서는 책, 신문, 전화, 라디오, 사진, 광고, 영화, 텔레비 매체는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는 도구에 머물지 않는다. 어떤 매체를 선택하느냐 화강암을 타원형으로 다듬고 바닥에
화강암을 타원형으로 다듬고 바닥에 구멍을 냈다. 그 실시간 많이 본 기사
구멍을 냈다. 그 위에 어른 키 크기의 납
전, 컴퓨터, 인터넷, 이동 통신 기기 등 다양한 매체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는 의미를 어떻게 구성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또한 매체의 발달과 분화 작한 돌을 깔아 발판으로 삼았다. 1,200
위에 어른 키 크기의 납작한 돌을 깔아 발판으로 삼았다. 1 내일부터 예년 기온 회복
2 수면 부족, 건강에 악영향
1,200여 년 전 통일 신라 왕실에서 사용했던 수세식 화장 3 가수 아다미 정규 음반 발매
따라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의 유형과 특 는 다양한 문화를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 따라서 매체의 유형과 여 년 전 통일 신라 왕실에서 사용했던
실의 모습이다. ‘큰 일’을 마치고 난 다음에는 화장실 옆 4 신라 왕족들은 깔끔했다
수세식 화장실의 모습이다. ‘큰 일’을 마 5 아들 위한 아빠의 감동 마라톤
성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매체의 유형과 특성은 매체 발달 10 특성을 정확히 알고 활용하는 능력은 효율적이고 에 둔 항아리에서 물을 떠서 변기 구멍에 쏟아부었다. 말
치고 난 다음에는 화장실 옆에 둔 항아

매체
하자면 수동식이다.
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15 합리적인 의사소통은 물론, 현대 사회의 새 리에서 물을 떠서 변기 구멍에 쏟아부었 통일 신라 왕실의 수세식 화장실

다. 말하자면 수동식이다. 갖춘 수세식 화장실이 한국에서 확인된


매체는 대체로 보다 많은 내용을 더 멀리, 더 빠르게 전달하고 오랫동안 보존하 롭고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향유하기
8세기 무렵 만든 국내 첫 수세식 화장 것은 처음이다. 국립 경주 문화재 연구소 17 2 공유하기

전체 댓글 8 최근 순 추천 순
려는 인간의 욕망이 당대의 기술과 결부되면서 발달해 왔다. 직접 만나서 소통해야 위한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실 유구(건물의 자취)가 경주 동궁과 월 는 경주 동궁과 월지 북동쪽 인접 지역에
등록
지(안압지의 옛 이름, 사적 제18호) 인근 서 발굴한 화장실 유물을 공개했다.
하는 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자가 발명되었고, 그로 인해 인류는 지식을 기 ↳ 그 옛날에 수세식 화장실이라니 대단해요! 08:22
에서 발견됐다. 변기와 배수 시설을 고루 -    기자 ↳ 저 정도를 가지고 고급형은 무슨, 기사가 과장이 심하네. 09:01
록하고 축적하며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인쇄술이 발명되어 문자로 기록된 15 ↳ 무려 1,200년 전이라잖아요~. 09:05

내용을 널리 유통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점차 지식이 대중화되었다. 오늘날 인쇄


- 『중앙 일보』 , 2017년 9월 27일 기사 - 『중앙 일보』 , 2017년 9월 27일 기사
매체는 책, 신문, 잡지 등 인쇄되는 모든 것을 일컫는다. 주로 전문적인 생산자가 수
용자에게 지식이나 정보를 전달하고, 내용을 생성하고 나면 수정이나 보완이 어렵 ⑴ (가) 와 (나) 의 매체가 지닌 특성을 정리해 보자. ⑵ 종이 신문과 인터넷 신문을 읽은 경험을 떠올려 보고, 내가 생각하는 각 매체의
장단점을 자유롭게 써 보자.
다는 특성이 있다.
(가) (나)

전자 기술의 발달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획기적으로 극복하는 매체의 발달로 20 누리 소통망 여러 사람과 유
용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인맥
• •‌‌전자‌우편이나‌댓글로‌기사와‌관련한‌의
이어졌다. 먼저 전화의 발명은 정보의 전달 시간을 크게 단축하였고 원거리 의사소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을 관리할 수 있게 해 주는 사 견을‌전달할‌수‌있고,‌다른‌사람과‌의견
회 관계망 서비스를 가리키는 을‌주고받을‌수도‌있다.
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전파를 이용한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발명은 대량의 정
우리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의 발명은 문자로 기록된 내용을 널리 유통할 수 있게 하였다. • •
보를 수많은 익명의 수용자에게 동시에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격적인 대중 매 (social network service)’를 줄여
• 은/는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으로, 다양한 양식의 정보를 주고받으며 ‘에스엔에스(SNS)’라고도 한다.


대중 매체 신문, 잡지, 영화, 텔
체의 시대를 열었다. 뒤이어 컴퓨터가 발명되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거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쌍방향 매체이다. ●
뉴 미디어(new media) 전자
레비전 따위와 같이 많은 사람
대한 컴퓨터 통신망인 인터넷이 탄생하였고, 그 결과 우리 사회는 엄청난 변화를 25 • 은/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매체를 가리키는 말로, 현재에 공학 기술이나 통신 기술이 발
에게 대량으로 정보와 사상을 도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달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전달
전달하는 매체. 맞게 되었다. 매체.

32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33


30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31

소단원 이론 소단원 학습을 위해 필요한 개 학습 활동 풍부한 국어 자료와 매체 자료를


념과 원리 등을 설명하고, ‘기초 다지기’에서 바탕으로 다양한 탐구 활동과 적용 활동을
기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시하였다.

창의·융합 놀이터
(나)

그림으로 마음 사전 만들기
대단원 학습 내용을 다양한 영 의사소통 도구로서 그림이 지니는 가치와 기능을 이해하고, 그림을 활용
하여 마음 사전을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나만의 마음 사전을 만들고, 이를
기쁘다 바라는 일이 이루어져 기분이 좋고 즐겁다.

바탕으로 의사소통해 보자.

역과 융합하여 창의적 사고력


“일곱, 여덟, 아홉, 열, 열하나……. 와아!”
처음으로 줄넘기를 열 개도 넘게 했을 때의 마음.

1 다음 자료를 보고 그림의 가치와 기능을 이해해 보자.


좋아하는 친구의 생일 파티에 초대받았을 때
드는 마음.

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가) 인류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 빠뜨려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그림이다. 문자가 없


던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음성 언어로만 의사소통을 했을까? 말하고 나면 허공으로
흩어지는 음성은 당시에 기록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소통에 여러 가지 한계가 있었을
퇴근하는 아빠가 들고 온 케이크를 보고
폴짝폴짝 뛰는 마음.

것이다. 같은 말을 들었는데 시간이 흘러 서로 다르게 기억할 수도 있고, 말의 뜻을 치과 의사 선생님께서


잘못 알아들어 예기치 않은 다툼이 생겼을지도 모른다. 충치가 없다고 말씀해 주셨어.
다행히 인류는 직립 보행을 하면서 손으로 도구를 사용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동굴 벽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였다. 거북이, 고래, 물개, 들소 등 구석기 동굴 유적
에는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
찝찝하다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걱정스러운 일로 마음에 걸리는 데가 있다.
다. 이런 그림들은 대개 먹을
거리를 알리거나 피해야 할 공
포의 대상, 혹은 숭배해야 할
대상을 알리는 데에 쓰였을 것
으로 추측된다. 이처럼 구석
놀이터에서 주운 돈으로 과자를 사 먹는 마음.
기 시대 사람들에게 그림은 훌 ‘주인을 찾아 줘야 하나?’
륭한 언어였다. 하지만 구석기
시대에만 그림이 이용된 것은 숙제를 하다 말고 놀러 나갈 때 드는 마음.

아니다. 글자 발명 이후에도 중 구석기 시대 동굴 벽화

세, 근대에 이르기까지 그림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꾸준히 활용되었다. 아빠가 발가락을 만지다가 귤을 까서 줄 때의 마음.

현대에도 그림은 여전히 가치가 있다.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국가 간 교역이 활발


해지면서 어느 때보다 문화적으로 접촉이 빈번한 지금, 그림이 지닌 의사소통의 힘
은 그 가치를 더욱 발하고 있다. 해외여행을 가서 그 나라의 말을 잘 몰라도 교통 표 운동장에서 신나게 노는데
지판이나 안내소, 화장실 표시 등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은 그림 덕분이다. 또한 현관문을 잠갔는지 생각이 나지 않는 거야.
인터넷 환경에서 문자 언어보다 이모티콘이 감정을 표현하는 데에 더 효율적인 경우
- 박성우 글·김효은 그림, 『아홉 살 마음 사전』 에서
가 있다는 것은 그것을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대부분 인정할 것이다.

42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창의·융합 놀이터 43

대단원 마무리

대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확인 다음 설명의 올바른 답이 가리키는 번호를 표에서 찾아 색칠하며 배운 내용을 확인해 보자. 다음 평가표를 작성하며 학습 정도를 점검해 보자.

평가

하고, 학습 목표에 어느 정도
점검 항목
충분 보통 미흡
음절의 끝소리 현상, 품사는 흔히
‘ㄷ’, ‘ㅅ’, ‘ㄴ’, ‘ㄹ’은 모두
된소리되기(경음화)는 음운 ‘형태’, ‘기능’, ‘의미’의
조음 방법이 다르지만 조음
변동 유형 가운데 ‘첨가’에 기준으로 분류된다. 1 실제 국어 생활을 바탕으로 음운의 체계와 변동을 탐구하였다.
위치는 같다.
해당한다.
예 6번 아니요 7번
2 품사의 분류와 특성, 단어의 구조와 형성, 의미 관계를 탐구하였다.
예 2번 아니요 1번

도달했는지 점검한다.
예 9번 아니요 12번
3 문장의 짜임, 문법 요소의 개념과 표현 효과를 탐구하였다.

성질이나 상태를
동사는 사물의 ‘먹이’의 ‘-이’는 어근의 ‘덮밥’은 어근의 배열
나타내고 형용사는
사물의
방식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4 담화의 개념과 특성을 탐구하고 이를 의사소통에 활용하였다.
품사를 바꾸므로 한정적
나타낸다.
동작이나 작용을 접사에 해당한다. 배열 방식과 다르다.
8번 5 시대 변화에 따른 국어 자료의 차이와 특성을 이해하였다.
17번 아니요
예 예 16번 아니요 23번 예 10번 아니요 30번
6 다양한 사회와 갈래에 따른 국어 자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국어

배운 내용 확인하기 다양한 문제를 안은문장,


자료를 생산하였다.
‘길다’와 ‘짧다’는 정도의 관형사절을 가진
안은문장은 상대 높임법 체계 중
측면에서 대립하는 부사절을 가진
반의 관계에 속한다. 홑문장에 속한다. 비격식체 표현에는 해요체와
해체가 있다.
14번
예 33번 아니요 29번 20번 아니요

해결하며 배운 내용을 확인한다.



예 32번 아니요 35번

발화의 상황 맥락은
부사 사회적,
용언 앞에 문화적 배경과
부정문 가운데 붙인 것은 관련된 화자와 한자의 음과
‘못’을 청자의 지식을
‘안’이나 . 가리킨다. 뜻을 빌려
적은 고유 이 단원에서는 국어의 구조와 국어 자료의 특성을 탐구하고, 이를 실제 언어생활에
에 속한다 명사 표기,
긴 부정문 이두, 구결,
향찰은
차자 표기에 활용해 보았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자신에게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앞으

스스로 점검하기 학습 목표 도달 정
예 26번 아니요 해당한다.
31번 27번
예 25번 아니요 로의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예 18번 아니요
1 2 3 4 5 6 7 19번
중세 국어의
‘어엿브다’는
현대 국어의 8 9 10 11 12 13 14

도를 점검한다.
계층
‘예쁘다’와 세대, 성별, 사회
의미가 같다. 쓰이는
15 16 17 18 19 20 21 등에 따라 달리 나는
속한다.
예 28번 아니요 말도 방언에
21번 22 23 24 25 26 27 28
22번
예 15번 아니요
29 30 31 32 33 34 35
할 것이다.

배움 이끌기 앞으로의 학습 계획을


126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대단원 마무리 127

세운다.
I II
언어와 매체의 본질 국어의 탐구와 활용

1 언어의 본질 12 1 국어 구조의 탐구와 활용 52

(1) 언어의 특성 14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54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20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64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76


2 매체의 본질 28
(4) 담화의 개념과 요건 92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30

(2) 매체 언어의 특성 36 2 국어 자료의 탐구와 활용 100

(1) 국어의 변천 102


창의·융합 놀이터_그림으로 마음 사전 만들기 42
(2) 다양한 국어 자료 112

창의·융합 놀이터_챗봇 대화 시나리오 만들기


 122
III IV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생활 속 언어와 매체

1 매체 자료의 수용과 생산 132 1 국어와 삶 186

(1) 매체 자료의 수용 134 (1) 국어의 규범 188

(2) 매체 자료의 생산 146 (2) 국어 생활의 성찰 200

2 매체와 사회 156 2 매체와 삶 206

(1) 매체 언어와 인간관계 158 (1) 매체 언어생활의 성찰 208

(2)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 166 (2) 매체 문화의 발전 214

창의·융합 놀이터_문학과 매체 융합하기 174 창의·융합 놀이터_올바른 인터넷 언어생활을 위


한 노래 만들기 222

부록
듣기 대본 229 국어 규범 238

활동지 233 저자 및 출처 243


언어와 매체의 본질
I
1 언어의 본질

2 매체의 본질

비판적·창의적 의사소통 공동체· 자기 성찰·


사고 대인 관계 계발
교과 역량
자료·정보
활용 문화 향유
●대단원 학습 목표●
•언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국어의 특성과 위상을 파악할 수 있다.
•매체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매체 언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교과서 본문 교과서 본문 지도서 본문 수업 지도안


1단원 1단원 1단원 1단원 차시별 지도안

언어는 인간의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언어와 국어의 특성을
알면 인간의 삶을 더욱 잘 이해하게 되고,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언어와 국어의 특성을 알아야 하는 이유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매체가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언어의 본질을
언어와 국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
이해하는 것과 더불어 의사소통 과정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매체와 매
체 언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매체와 매체 언어의 특성을 알아야 하는 이유 ▶ 언어와 국어의 특성, 매체와 매체 언어의 특성에 대한 학습의 의의

이 단원에서는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언어의
「 」 : 중단원 1 - (1) 언어의 보편성
보편적인 특성을 탐구한 후,」「다른 언어와 비교할 때 국어가 지니는 특성과 세계 속
「 」 : 중단원 1 - (2) 국어의 특수성
한국어의 위상을 이해해 보자.」 그리고 「매체가 발달해 온 과정을 바탕으로 매체의 유
세계 여러 언어와 비교할 때 한국어가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나 상태 「 」 : 중단원 2 - (1)
형과 특성을 이해하고,」「복합 양식적 특성을 지닌 매체 언어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 」 : 중단원 2 - (2)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보자.」 ▶ 이 단원의 학습 내용 안내

10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1 언어의 본질 2 매체의 본질
(1) 언어의 특성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2) 매체 언어의 특성

● 주요 내용 | 미술 | 심리 | 소통 | ● 의사소통의 유형
•‌일방향적 소통 
언어의 특성 그림으로 마음 사전 만들기 : 책, 신문, 텔레비전 방송 등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 생산자 → 수용자

국어의 특성

•음운의 특성 •‌쌍방향적 소통 


•어휘의 특성 : 인터넷, 이동 통신 등
•문장의 특성

생산자 → 수용자

매체 언어의
매체의 특성
특성

•인간의 삶 이해
•효과적인 의사소통

다음 질문에 답하며 나의 학습 정도를 확인하고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인간의 삶에서 언어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알고 있나요? 아니요

세계 속에서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졌음을 느껴 본 적이 있나요? 예

내가 알고 있는 매체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텔레비전, 스마트폰, SNS, 인터넷

나는 언어와 국어의 특성을 배우고 국어의 위상을 확인한 후에 매체의 유형을 알아보

고 매체와 매체 언어의 특성을 학습 할 것이다.

대단원 길잡이 11
1
언어의 본질 모의 평가
중단원 모의 평가

수행 평가
중단원 수행 평가

다음은 지구촌 곳곳의 인사말이다. 그 뜻이 저마다 다른 까닭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센 베노?
(당신의 가축들은 잘 지내나요?)

안녕하세요?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평안하세요?)

아부셴!
(좋은 새벽입니다!)

앗살람 알라이쿰.
(당신께 신의 평화가 함께하기를.)

예시 답안
•목축을 중시하는 문화, 잦은 전란으로 생명의 안위가 중요했던 역사, 새벽부터 부지런히 일하는 민족의 특성, 특정 종교를 중시하는 문화 등이
언어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인간은 저마다 다른 환경에서 다양한 문화를 이루며 살고 언어는 그 문화의 산물로서 해당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고스란히 반영하기 때문이다.
•‌언어는 문화의 산물이며 인사말에는 해당 문화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12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중단원 학습 목표●
•인간의 삶과 관련하여 언어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국어의 특성과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을 이해할 수 있다.

● 사피어 - 워프 가설
에드워드 사피어(Edward Sapir)와 그의 제자인 벤자민 리 워프(Benjamin Lee
Whorf)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무지개의 색이 몇 가지냐고 묻는다. 저마다 언어
가 다른 부족들은 네 가지라고도 일곱 가지라고도 답했다. 이를 통해 사피어와 워
프는 색을 나타내는 단어의 개수에 따라 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의 색을 구별하는
능력이 결정된다고 생각했다. 이것을 ‘언어 결정론’ 또는 ‘사피어 - 워프 가설’이라고
한다. 이는 언어와 사고의 영향 관계에 대한 탐구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 언어의 본질 13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1) 언어의 특성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사회적 조건에 따라
동물의 언어와 달리 문화의 산물로서 이 • ‌언어와 사고의 상호 영향
서로 영향을 주고받 다르게 나타나는 한
효율적이고 청조적인 를 반영하고 전승하
는 언어와 사고 편 사회를 유지하고 관계 탐구하기
인간의 언어 며 창조하는 언어
발전시키는 언어
• ‌언어와 사회·문화의 관계
탐구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1) 바탕글 듣기

● 언어와 사고의 관계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인간과 동물을 구별 짓는 특징 중 하나이


언어적 인간이라는 뜻의 ‘호모 로퀜스’와 관련됨.
언어 사고 다. 동물이 제한된 소리나 동작으로 기본적인 의사를 교환하는 데에 비해 인간은
<상호 영향 관계> 몇 가지 음운과 단어로 무수히 많은 문장을 만들어 낸다. 이처럼 효율적이고 창조
언어의 효율성과 창조성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줌.
 ‌이름을 잘 알고 있는 대상은 상 적인 인간의 언어는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자. 10
대적으로 수월하게 떠올림. ▶ 동물의 언어와 달리 효율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의 언어
•‌사고가 언어에 영향을 줌.
 ‌발화자에게 가까운 것을 먼저
인식하는 사고의 경향이 언어에
반영되어 ‘여기저기’나 ‘오늘내 언어와 사고 일반적으로 두 대상의 선후 관계를 따지기 어렵다는 말. 여기서는 ‘말’과 ‘생각’
일’은 표현이 자연스러운 데 비 중 어떤 것이 어떤 것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명하게 말하기 어려움을 드러냄.
해 ‘저기여기’나 ‘내일오늘’은 어
색함.
말이 먼저일까, 생각이 먼저일까? 이 논쟁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를 따지
말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생각이 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는 것처럼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이름을 알지 못하는 대상을 떠올리기는 어렵지
언어 생각
만 이름을 잘 알고 있는 대상은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떠올리는 것을 보면 언어가 사
고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저기’나 ‘오늘내일’은 표현이 자연스러운 15

데 비해 ‘저기여기’나 ‘내일오늘’은 어색하다. 이는 발화자에게 가까운 것을 먼저 인


‘여기저기’의 ‘여기’, ‘오늘내일’의 ‘오늘’
식하는 사고의 경향이 언어에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언어와 사고의 영향 관계에 대한 논란
사고가 언어에 영향을 줌.

14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이처럼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주는지 사고가 언어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명하게 ● 언어와 사회의 관계 ①

말하기는 매우 어렵다. 어린이가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을 관찰해 보면, 언어 능력 사회 언어


언어와 사고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주는 사례
이 발달하면서 사고력이 발달하고 발달된 사고력이 다시 언어 능력의 발달로 이어 사회적 조건(지역, 성별, 세대, 연령
등)에 따라 언어의 모습이 달라짐.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언어와 사고는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일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언어를 바탕으로
5 영향을 주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는 것이다. 그 사람이 속한 사회의 특성을 유
▶ 언어와 사고의 상호 영향 관계 추할 수 있고, 그 사람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음.

언어와 사회

언어는 지역이나 성별, 세대, 연령과 같은 사회적 조건에 따라 그 모습이 달라진


언어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조건
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이 사용하는 언어를 바탕으로 그 사람이 속한 사회의 특성
을 유추할 수 있고, 그 사람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사회적 조건에 따라 달리 나
10 타나는 언어의 사례를 살펴보자. ▶ 사회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언어 ● 언어와 사회의 관계 ②

‘부추’를 일컫는 말은 ‘푸초, 염지, 솔, 정구지, 졸, 분추, 쉐우리’ 등으로 지역에 따 언어


유지, 발전
사회
‘부추’의 지역 방언
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신분 제도가 있었던 과거에는 신분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계층적 요인 •‌인간은 사회 집단에 따라 다양하
달랐고, 신분 제도가 사라진 오늘날에는 연령이나 직업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다 게 분화된 언어를 사용하여 소통
함.
높임말과 낮춤말
•‌집단 간의 갈등을 언어로 조정하
르게 나타난다. 세대마다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 세대 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거 여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냄.

15 나, 특정 분야에서 사용하는 말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이다.


전문어 ▶ 사회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언어의 사례
이처럼 인간은 사회 집단에 따라 다양하게 분화된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의사
단순하거나 동질적인 것에서 복잡하거나 이질적인 것으로 갈려 나감.
를 표현하고, 서로의 생각을 나눈다. 또 집단 간의 이익이 달라 발생하는 갈등을 언
의사소통
어로 조정하여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기도 한다. 언어가 사회라는 공동체를 유지
언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 사회의 유지·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언어

(1) 언어의 특성 15
● 언어에 반영된 문화의 예 언어와 문화
•우리나라
언어에는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형성한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우리말
•‌농사 관련 용어
문화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
의 발달
농경 •‌‘rice’에 해당하는 에 ‘쟁기, 보습, 멍에, 호미, 낫, 도리깨, 따비, 괭이’와 같은 농사 관련 용어가 발달되
문화 말이 ‘모, 벼, 쌀, 모두 농기구의 일종임.
밥’과 같이 다양 어 있고, 영어의 ‘rice’에 해당하는 말이 ‘모, 벼, 쌀, 밥’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하게 나타남.
밥이 되는 과정마다 이를 가리키는 말이 있음.
공동체 ‘우리’라는 단어를
것은 우리나라가 쌀이 주식인 농경 문화를 근간으로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예로부 5
중시 많이 사용함. 사물의 바탕이나 중심이 되는 것.
문화
터 우리 민족이 ‘우리’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도 공동체를 중시하는 문화가
•‌스웨덴 북부 키루나 지역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눈이 많이 오는 스웨덴 북
눈이 많이 내리는 기후,
순록을 중심으로 한 경제 활동 부 키루나 지역의 언어에는 눈과 순록에 관한 단어가 많다. 눈이 많이 내리는 기후
와 순록을 중심으로 한 경제 활동이 키루나 지역의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기
눈과 순록에 관한 단어가 많음.
때문에 그와 같은 단어가 많이 생겨난 것이다. ▶ 언어에 반영되어 있는 문화 10

● 언어와 문화의 관계 언어는 그 자체가 언중이 오랜 세월에 걸쳐 이룩한 문화의 산물이자 그러한 문화
문화 전승, 창조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서 공동생활을 하는 언어 사회 안의 대중. 문화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
를 후대에 전승하는 매개체이고, 더 나아가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수단이기도 하
언어 문화
언어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 언어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산물 다. 그러므로 어떤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문화의 산물이자 문화 전승과 창조의 수단인 언어

1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여 의 사 소 통 을/를 한다.


•언어는 인간의 사고, 사 회 ,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언어와 사고는 서로 영 향 을/를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

2 언어의 특성과 해당 사례를 바르게 연결해 보자.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

rice 언어 능력 향상 부추

모 벼 쌀 밥 사고력 향상 푸초 염지 정구지 졸

16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1) 언어의 특성 17
1 다음 자료의 내용을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해 보고, 비슷한 사례를
더 찾아 써 보자.

愛 玩
사랑할 애 희롱할 완
아직도
애완동물이라는 ‘애완동물’에는 동물을 ‘즐길 거리’로
표현을 쓰시나요? 여기는 과거의 인식이 담겨 있습니다.

서로를 행복하게 하고,


서로를 지켜 주며,
함께 늙어 가는
하지만 오늘날
동물의 의미는 달라졌습니다.

동물은 우리의
‘반려동물’입니다.
伴 짝반

侶 짝려

예시 답안
언어와 사고는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주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
계에 있다. ‘애완동물’의 ‘애완’에는 동물을 희롱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이것은 동물을 하나의 소중한 생명
체로 대하기보다는 장난감과 같은 ‘즐길 거리’로 여기는 우리의 사고가 반영된 결과이며, 이런 말은 사람
들에게 동물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심어 줄 우려가 있다. 그러나 만약 ‘애완동물’을 서로를 지켜 주는 짝이
라는 뜻이 담긴 ‘반려동물’로 순화하여 사용하면 이런 우려를 덜고 동물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개선해 나
갈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폐경(閉經)’ 대신 ‘완경(完經)’이라는 말을 사용한다거나 ‘살색’ 대신 ‘살구색’을 사용하는 등 말
을 순화하여 말에 담긴 부정적 인식을 바로잡으려는 노력들을 찾아볼 수 있다.

18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동영상 자료
활동 2 제시 영상

2 다음 대화 장면으로 짐작할 수 있는 ‘재준’의 사회적 특성을 찾아보자.

재준, 선준의 허리 검사 결과를 설명한다.



재준 : ‌룸바 스파인 엠아르아이 검사상 엘포-파
● ●
이브-에스원 사이 디스크 에이치엔피 소
견입니다. 특히 4번, 5번은 요추 탈출 증
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략)
선준 : ‌선배님, 좀 전에 너무 어렵게 설명하시던
데요? 제 허리 많이 안 좋은 거죠?
재준 : ‌1번, 4번, 5번 디스크, 곧 재발할 것 같은
데 수술하고 빨리 재활 시작하는 거 추천
한다. 오늘 출국한다고? 뉴스에서 봤는데.
선준 : ‌네, 밤에요.
재준 : ‌빨리 가 봐라. 정신없을 낀데. 간다. 몸 관리 잘하고.
- 티브이엔(TVN), 「응답하라 1994」 에서


룸바 스파인(lumbar spine) 허리뼈.

엘포 - 파이브-에스원(L4 - 5 - S1) 4, 5번 허리뼈와 1번 엉치뼈.
예시 답안 ●
에이치엔피(HNP: Herniated Nucleus Pulposus) 추간판이 돌출되어 요통 및 신경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
‘재준’은 ‘룸바 스파인’ 등의 의학 전문 용어를 사용하여 다른 의사에게 ‘선준’의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이로써 그가 의사라는 직업군에 속한 사람
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이 같은 전문어는 의사 집단에 속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효율적인 의사소통 수단이지만 ‘선준’처럼 그에 속하지 않은 사
람들은 이해하기 어렵다. 그래서 ‘재준’은 ‘선준’이 이해할 수 있는 말로 다시 설명해 주었는데, 이 과정에서 ‘선준’이 ‘재준’을 ‘선배’로 부르고 존대
하는 것을 보면 두 사람이 선후배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의사와 환자에 대해 대화하는 공적인 자리에서는 표준어를 쓰던 ‘재준’이 후배인

3 <보기>에 드러난 언어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선준’과의 사적인 대화에서는 경상도 방언을 쓰는 것으로 보아 ‘재
준’이 경상도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보기

영어로 ‘seaweed’는 ‘김’, ‘미역’, ‘다시마’ 등


의 해조류를 통칭하는 말이다. 우리가 밥반찬
으로 ‘김’을 즐겨 먹고 생일에 ‘미역국’을 끓여
먹으며 요리를 할 때 ‘다시마’를 우린 육수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영어권에서는 보통 이것
들을 식품으로 여기지 않는다.

⑴ <보기>와 같은 차이가 나타나는 까닭을 언어의 특성과 관련지어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우리에게는 ‘김’,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가 각각 다른 음식이기 때문에 우리말에는 이를 가리키는 말이 세부적으로 발달되었다.
그러나 영어권에서는 이를 식품으로 여기지 않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말 또한 발달하지 않아 이것들을 모두 ‘seaweed’로 통칭하는
것이다. 이처럼 언어에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형성한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⑵ 다른 나라 말에 비해 발달한 우리말이나, 우리말에 비해 발달한 다른 나라의 말을
더 조사해 보자.
예시 답안
‘깻잎’, ‘고들빼기’, ‘부추’ 등 우리 식탁에는 여러 가지 나물들이 저마다의 이름으로 오르내리지만, 영어권에서는 보통 이를 ‘herb’로
통칭한다. 반면에 영어권에는 ‘butter’, ‘cream’, ‘cheese’, ‘margarine’ 등 유제품 관련 어휘가 발달하였지만, 이들 각각을 가리키
는 우리말은 따로 없다. (1) 언어의 특성 19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국어의 특수성과 한국 높아진 한국어의 위상
국어의 음운, 어휘, 문
어의 위상에 대한 학습 과 한국어를 발전시키 • ‌국어의 특성 이해하기
장 면에서의 특성
안내 고 보급하기 위한 방안
•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 알기

듣기 자료
소단원 (2) 바탕글 듣기

세계에는 수천 개의 언어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언어가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5

공통적인 특성도 있고 각 언어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도 있다. 이 단원에서


는 다른 언어와 차별화되는 국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세계 속에서 한국어가 어떤
● 국어의 특성 ① 위상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자. ▶ 국어의 특성과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에 대한 학습 안내
어떤 사물이 다른 사물과의 관계 속에서 가지는 위치나 상태.
음운의 특성

파열음의 삼중 대립
국어의 특성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평음) (경음) (유기음) 국어의 음운에는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성이 있다. 국어의 자음 중 파 10
ㄱ, ㄷ, ㅂ
ㄱ, ㄷ, ㅂ ㄲ, ㄸ, ㅃ ㅋ, ㅌ, ㅍ
열음은 다른 언어의 자음과는 달리 예사소리(평음), 된소리(경음), 거센소리(유기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 ㄲ, ㄸ, ㅃ ㅋ, ㅌ, ㅍ
● 국어의 특성 ② 음)로 대립한다. 이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과 같은 언어의 자음이 울림소리
g, d, b
어휘의 특성 (유성음)와 안울림소리(무성음)로 대립하는 것과는 다른 특성이다.
k, t, p
음성 친족
감각어 상징어 관계어 높임말 국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발달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울림소리 안울림소리


(평음) (경음) (유기음) (유성음) (무성음)
● ‌예사소리(평음)/된소리(경음)/
거센소리(유기음)의 대립 ㄱ ㄲ ㅋ g k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
장 작은 소리의 단위이다. 국어의 자 파열음 ㄷ ㄸ ㅌ d t
음 중 파열음의 예사소리(평음), 된소
리(경음), 거센소리(유기음)가 대립한다 ㅂ ㅃ ㅍ b p
는 것은 ‘기/끼/키’, ‘달/딸/탈’, ‘불/뿔/
풀’에서 보듯이 ‘ㄱ/ㄲ/ㅋ’, ‘ㄷ/ㄸ/ㅌ’, ▶ 음운의 특성 - 파열음의 삼중 대립
‘ㅂ/ㅃ/ㅍ’가 각 단어의 뜻을 구별해 주
는 음운임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영 국어의 어휘에는 감각어가 발달하였다. 예를 들어 같은 계열의 색채를 표현할 때
어는 ‘grip(잡다)/crip(절름거리는 말)’, 신체의 내부 또는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일어나는 느낌을 표현하는 단어.
‘dale(골짜기)/tale(이야기)’, ‘bull(황소)/ 에 우리는 그 색감의 차이에 따라 ‘노랗다, 누렇다, 노르스름하다, 누르스름하다, 노 15
pull(당기다)’에서 보듯이 ‘g/k’, ‘d/t’,
‘b/p’에 의해 각 단어의 뜻이 구별되며,
이들은 유성음과 무성음의 이중 대립 리끼리하다, 누리끼리하다’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고, ‘샛노랗다, 싯누렇다’,
체계를 이루고 있다. 우리말을 배우는
외국인들이 우리말의 예사소리, 된소 ‘새파랗다, 시퍼렇다’처럼 접두사를 활용하여 표현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도 있다.
리, 거센소리를 잘 구별하지 못하는 이
유가 여기에 있다. 그들의 언어에는 이 샛 -, 싯 -, 새 -, 시 -
런 소리의 대립이 없기 때문이다. 음성 상징어 역시 발달하였는데 ‘알록달록, 얼룩덜룩’, ‘팔딱팔딱, 펄떡펄떡’, ‘달그
의성어, 의태어

20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양성 모음 : 작고 밝은 느낌 / 음성 모음 : 크고 어두운 느낌

락, 덜그럭’ 등 모음 조화를 활용하여 어감의 미묘한 차이를 표
두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뒤의 모음이 앞 모음의 영향으로 그와 가깝거나 같은 소리로 되는 언어 현상.
현하기도 한다. 또한 국어에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가 발
달하였다. 영어에서 ‘aunt’로 통칭하는 대상이 우리말에서는 ‘이
공통으로 쓰는 이름.
모, 숙모, 고모’ 등으로 세분된다. 다른 언어에 비해 높임을 나타
높임말
5 내는 어휘가 발달한 것도 국어의 특성이다. 예를 들어 ‘주다’라
는 뜻의 영어 단어 ‘give’에 해당하는 국어 어휘에는 ‘드리다, 바
치다, 올리다’ 등 다양한 높임말이 존재한다.
▶ 어휘의 특성 - 감각어, 음성 상징어, 친족 관계어, 높임말의 발달
기본적으로 국어의 문장은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으로
나타난다. 이는 ‘주어-서술어-목적어’의 어순으로 나타나는 영어, 중국어와 다른
10 점이다.

● 국어의 특성 ③
국어 영어 중국어

我   爱   你.
문장의 특성
나는 너를 사랑한다. I love you.
주어 목적어 서술어 주어 서술어 목적어 주어 서술어 목적어 •‘주어 - 목적어 - 서술어’의 어순
•‌주어 등의 필수 성분이 생략된 문장
▶ 문장의 특성 - 어순 이 많음.

국어의 문장에서는 문장 성분이 생략되는 일이 많다. 문장을 이루는 성분 중 주 나는 너를 사랑한다.

(주어) 목적어 서술어


어, 목적어, 서술어 등 그 문장의 성립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성분을 실제 대화에
주성분 :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서술어의 자릿수에 따라 달라짐.
서는 쉽게 생략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주어를 거의 모든 경우에 필수적으로 요
구하는 영어와 달리 국어에는 주어가 생략된 문장이 많다.

영어 국어

When did you come? (너는 언제 왔어?) 언제 왔어?


I just got here. (나는 방금 왔어.) 방금.
▶ 문장의 특성 - 문장 성분의 생략


모음 조화 두 음절 이상의 단
어에서, 뒤의 모음이 앞 모음
국어의 특성에 관한 설명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해 보자. 의 영향으로 그와 가깝거나 같
은 소리로 되는 언어 현상. ‘ㅏ’,
‘ㅗ’ 따위의 양성 모음은 양성
•국어의 파열음은 울림소리와 안울림소리로 대립한다. , ×
모음끼리, ‘ㅓ’, ‘ㅜ’ 따위의 음성
•국어에는 감각어가 발달하였지만, 음성 상징어는 발달하지 않았다. , ×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국어에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가 발달하였다. , × 현상이다. ‘깎아’, ‘숨어’, ‘알록달
•국어의 문장은 기본적으로 ‘주어 - 목적어 - 서술어’의 어순으로 나타난다. , × 록’, ‘얼룩덜룩’, ‘졸졸’, ‘줄줄’ 따
위가 있다.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21


22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 ● 한국어의 위상

한국 경제의 위상이 높아짐.


한국의 경제가 성장하면서 우리나라의 기업과 제품이 해외에 많이 알려졌고, 취
높아진 한국 경제의 위상
업이나 유학을 위해 한국에 오는 외국인도 해마다 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의 드 한국 문화의 위상이 높아짐.

라마와 대중음악 등이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으면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이


한국 문화의 위상도 높아짐.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짐.
5 많아졌고, 한국 문화에도 관심이 높아졌다. 교육부 국립 국제 교육원 2017년 자료
에 따르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기관인 세종 학당의
수강생 수가 2007년 740명에서 2016년 4만 9천여 명으로 9년 만에 약 66배 증가
하였고,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응시자 수는

1997년 2,692명에서 2016년 25만 141명으로 약 93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실만


10 봐도 한국어가 세계의 주요 언어로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높아지고 있는 한국의 경제적·문화적 위상과 한국어의 위상
이렇게 날로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한국어를 더욱 발전시키고 효과적으로 보 ● 한국어의 발전과 보급 방안

외국인이 어려워하는 부분과 흥미


급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를 느끼는 부분 파악

제대로 배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한국인은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음운 현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기 어려운 이유 다양한 학습 방법과 교육 자료
상이나 어휘 체계, 문장 구조 등이 외국인에게는 생소할 수 있다. 외국인이 한국어 개발

15 를 학습할 때에 어려워하는 부분과 흥미를 느끼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다


한국어 발전과 보급 방안 ① 우리말을 사랑하고 올바로 사용
하는 태도
양한 학습 방법과 교육 자료를 개발한다면 그들이 더욱 쉽고 재미있게 한국어를 배
한국어 발전과 보급 방안 ②
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우리말을 사랑하고 올바
한국어 발전과 보급 방안 ③
로 사용하는 것이다. 규범에 맞게 말을 하고 글을 쓰며,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으
로 대화할 때에 한국어는 더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고 전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있을
20 것이다. ▶ 한국어를 발전시키고 보급하기 위한 방안

다음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본문에서 찾아 정리해 보자.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는 근거 한국어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방안

• 세종 학당의 수강생 수가 증가하였다. •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제대로 배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다양한 한국어 학습 방법과 교육 자료를 개발해야
•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응시자 수가 증가하였다. •
한다.
우리가 우리말을 사랑하고 올바로 사용한다.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23


1 다음 활동을 하며 국어의 특성을 탐구해 보자.

⑴ <보기>의 단어를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사용하는 외국인들이 발음하기 어려


워하는 까닭을 음운의 특성과 관련지어 이야기해 보자.
보기

떡볶이, 꼬까신, 풀뿌리, 두텁떡

예시 답안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에서는 유성음과 무성음이 대립하지만, 국어의 파열음에서는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대
립한다. 그래서 외국인들은 ‘떡볶이[떡뽀끼]’의 ‘ㄸ, ㅃ, ㄲ’, ‘꼬까신’의 ‘ㄲ’, ‘풀뿌리’의 ‘ㅍ, ㅃ’, ‘두텁떡’의 ‘ㄷ, ㅌ, ㄸ’을
구분하여 명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워한다.

⑵ 다음 단어를 인터넷 번역기에 입력하여 영어로 번역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알 수


있는 국어 어휘의 특성을 정리해 보자.

한국어 ▼ 번역하기 영어 ▼
예시 답안
울긋불긋 colorful
노랗다 / 누렇다 / 샛노랗다 / 싯누렇다 / yellow/yellow/deep yellow/vivid yellow/
노르스름하다 / 누르스름하다 yellowish/yellowish

감감하다 / 깜깜하다 / 껌껌하다 / 캄캄하 Far away/very dark/pitch-black/pitch-


다 / 컴컴하다 dark/dark

삼촌 / 외삼촌 / 큰아버지 / 작은아버지 uncle/maternal uncle/uncle/one’s uncle

밥 / 진지 meal/meal

국어 어휘의 특성
• 감각어가 발달하였다.
색채어가 발달하였다.
모음 조화를 활용하여 어감의 미묘한 차이를 표현한다.
•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가 발달하였다.
높임을 나타내는 어휘가 발달하였다.

24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⑶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한 ‘마이클’이 밑줄 친 것과 같이 말한 까닭을 생각해 보고,
국어의 특성과 관련지어 ‘하나’가 한 말의 빈칸을 채워 보자.

‘나는 먹었어 김밥.’이 아니라


마이클, 점심으로 하나, 나는 ‘ 나는 김밥 먹었어. ’(이)라고 해야 해.
뭐 먹었어? 먹었어 김밥. 왜냐하면 한국어의
 어순


 일반적으로 ‘주어- 목적어

- 서술어’의 순이기
때문이야.

예시 답안
•‌‘마이클’이 밑줄 친 것과 같이 말한 까닭 : 영어는 ‘주어 - 서술어 - 목적어’의 어순으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2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위상을 확인해 보자.

(가) 프랑스 파리에서 한국어를 정규 과목으로 채택한 중·고등학교가 네 곳으로 늘었


다. 주프랑스 한국 교육원은 파리시 교육청이 최근 장송 드 사이 고교에 한국어 수업
을 정식으로 개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장송 드 사이 고교는 그동안 토요일에만 비
정규 과목으로 한국어를 가르쳐 오다가 최근 교육청의 인가를 받아 한국어를 정규
과목으로 편성했다. 이에 앞서 프랑스 교육부는 올해 초 한국어를 대학 입학 자격 시
험인 바칼로레아의 스물세 번째 공식 외국어 교과 목록에 추가한 바 있다.
 - 『케이비에스(KBS) 뉴스』, 2017년 9월 25일 기사

(나) 세계 언어 순위 - 5천만 명 이상 사용 언어(2017년)

순위 언어 사용 국가 수 사용자 수(백만 명)

1 중국어 37 1,284

2 스페인어 31 437

3 영어 106 372
4 아랍어 57 295
5 힌디어 5 260

12 한국어 7 77.2
13 독일어 27 76.8
 - 에스놀로그(Ethnologue)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25


⑴ (가) 와 (나) 의 자료가 뜻하는 바를 한국어의 위상과 관련지어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외국에서 한국어가 국가의 정규 교육 과정에 편성되고 외국의 대학 입시에서도 한국어가 외국어 과목으로 당당히 자
리를 잡았다는 것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많은 사람들이 한국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 주는 자료를 통해 세계 속 한
국어의 위상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⑵ 한국어의 위상을 알 수 있는 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더 조사해 보자.


예시 답안
•‌최근 세계 패션쇼에서 한글을 디자인에 활용한 의상이 등장하여 인기를 모았다.
•‌영어 사전의 대명사로 통하는 영국의 옥스포드 사전에 ‘김치’, ‘막걸리’, ‘온돌’, ‘태권도’, ‘불고기’, ‘소주’와 같은 한국
어들이 발음 그대로 실려 설명되어 있다.

동영상 자료
활동 3 제시 영상

3 모둠별로 외국인이 한국어를 잘 배울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 보자.

⑴ 다음 영상을 보고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어려워하는 점을 알아보자.

- 제이티비시(JTBC), 「비정상 회담」 에서


예시 답안
한국어에는 동음이의어나 때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말들이 많아서 의사소통 과정에서 혼동이 발생하
는 경우가 있다.

•자신의 나라의 언어에는 없는 발음이 있어서 발음하기가 쉽지 않아 곤란을 겪는다.

26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⑵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국인이 한국어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방법
을 모둠별로 마련한 후 발표해 보자.

예 케이팝(K-pop)으로 떠나는 한국어 여행

- 박선영·안용준, 『케이팝 코리안(K-pop korean)』

우리 모둠의 방법

예시 답안
•‌발음이 비슷한 어휘를 활용한 언어유희 표현이 담긴 담화 장면을 풍부하게 제시하여 담화 맥락에 대한 이해
도를 높이고 함께 웃으면서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한다.
•‌외국인들과 함께 우리의 문화나 언어 습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
•‌외국인들이 좋아하는 한국 영화나 드라마의 장면을 활용하여 그 안에 담긴 문화나 풍습, 가치관 등을 설명하
면서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인다.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27


2
매체의 본질 모의 평가
중단원 모의 평가

수행 평가
중단원 수행 평가

평소 내가 가장 즐겨 사용하는 매체가 무엇인지 떠올려 보고 그 까닭을 말해 보자.

예시 답안
•‌휴대 전화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마치 신체 일부처럼 항상 지니고 다니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많이 사용한다. 동영상도 보고 원하는 정보도 찾아보고 가끔 쇼핑도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자주 사용한다.
•‌전화나 인터넷도 많이 사용하지만 제일 자주 접하는 것은 책이다. 학생으로서 공부를 하는 것이 중요한 일과이다 보니 책을 가장 자주 접하게 된다.
28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중단원 학습 목표●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 매체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소통 현상과 관련하여 매체 언어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 의사소통
의사소통이란 생각이나 뜻이 서로 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이라고 하는데 그 어원은 라틴어 ‘communicare’에서 왔고 ‘나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의사
소통은 결코 홀로 하는 것이 아니며, 누군가와 나누는 과정을 뜻한다.

● 의사소통의 조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필수 조건이 필요하다. 가장 먼저 정보를 주고받는 주체가 필
요하다. 우리가 흔히 화자와 청자, 발신자와 수신자로 부르는 이들은 정보를 주고받는데, 만약 이들이 없
다면 의사소통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둘째로 메시지가 있다. 메시지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상대방과 주고
받는 내용에 해당한다. 셋째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이다. 현대 사회의 매체는 음성 언어, 문자 언어를
포함하여 TV, 라디오, 인터넷, 휴대 전화 등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맥락이 있다. 의사소통
이 어떤 맥락에 놓이느냐에 따라 주고받는 메시지에 미묘한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

 매체의 본질 29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매체의 정의와 매체 이 음성, 문자, 인쇄 매체 전자 기술의 발달로 인
해의 필요성 의 특성 한 매체의 발달 • ‌매체의 유형 이해하기
• ‌매체의 유형에 따른 특성
이해하기
인터넷 매체의 특성 및
매체 이해와 활용의 의
인터넷이 사회에 미친 뉴 미디어의 등장

영향

듣기 자료
소단원 (1) 바탕글 듣기

● 매체의 정의와 예 매체란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 정보와 지식, 사상과 정서를 전달하고 공유하는
매체의 정의
의사소통의 매개체. 정
매체의 보와 지식, 사상과 정서 수단을 일컫는다. 현대 사회에서는 책, 신문, 전화, 라디오, 사진, 광고, 영화, 텔레비
정의 를 전달하고 공유하는
수단 전, 컴퓨터, 인터넷, 이동 통신 기기 등 다양한 매체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책, 신문, 전화, 라디오,
매체의 사진, 광고, 영화, 텔레 따라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의 유형과 특
예 비전, 컴퓨터, 인터넷,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조건
이동 통신 기기 등
성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매체의 유형과 특성은 매체 발달 10
매체의 유형을 구분하는 기준
● 매체의 유형과 특성 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 매체의 정의와 매체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할 필요성

말 직접 만나서 소통해야 하 매체는 대체로 보다 많은 내용을 더 멀리, 더 빠르게 전달하고 오랫동안 보존하
(음성 므로 시공간적인 제약이
언어) 있음. 매체 발달의 경향 - 인간의 욕망이 반영됨.
려는 인간의 욕망이 당대의 기술과 결부되면서 발달해 왔다. 직접 만나서 소통해야
글 시공간적 한계를 벗어났
(문자 으며, 지식의 기록, 축적,
언어) 보존이 가능하게 됨.
하는 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자가 발명되었고, 그로 인해 인류는 지식을 기
음성 언어의 한계 - 시공간적인 제약 문자 언어가 지닌 장점
내용이 널리 유통되도록 록하고 축적하며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인쇄술이 발명되어 문자로 기록된 15
하여 지식이 대중화됨. 주
인쇄 로 전문적인 생산자가 수
매체 용자에게 지식이나 정보 내용을 널리 유통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점차 지식이 대중화되었다. 오늘날 인쇄
를 전달. 수정·보완이 어 인쇄술이 사회에 미친 영향
려움. 매체는 책, 신문, 잡지 등 인쇄되는 모든 것을 일컫는다. 주로 전문적인 생산자가 수
정보의 전달 시간 단축, 인쇄 매체가 지닌 속성
전자 원거리 의사소통 가능. 본 용자에게 지식이나 정보를 전달하고, 내용을 생성하고 나면 수정이나 보완이 어렵
매체 격적 대중 매체 시대를 인쇄 매체가 지닌 한계
엶. 다는 특성이 있다. ▶ 매체의 발달 방향 및 음성, 문자, 인쇄 매체의 특성

매체의 발달 방향
전자 기술의 발달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획기적으로 극복하는 매체의 발달로 20
전자 매체가 지닌 장점
보다 많은 내용을 더 멀리, 더 빠르 이어졌다. 먼저 전화의 발명은 정보의 전달 시간을 크게 단축하였고 원거리 의사소
게, 더 오랫동안 보존하는 방향

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전파를 이용한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발명은 대량의 정


대중 매체가 지닌 속성
보를 수많은 익명의 수용자에게 동시에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격적인 대중 매

신문, 잡지, 영화, 텔레비전 따위와 같이 많은 사람에게 대량으로 정보와 사상을 전달하는 매체.

대중 매체 신문, 잡지, 영화, 텔
체의 시대를 열었다. 뒤이어 컴퓨터가 발명되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거
레비전 따위와 같이 많은 사람
대한 컴퓨터 통신망인 인터넷이 탄생하였고, 그 결과 우리 사회는 엄청난 변화를 25
에게 대량으로 정보와 사상을 인터넷으로 세계가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됨.
전달하는 매체. 맞게 되었다. ▶ 전자 기술의 발달로 인한 매체의 발달

30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인터넷은 실시간으로 다양한 양식의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쌍
인터넷 매체의 특성 전자 매체
방향 매체이다. 그러한 특성으로 인해 생산자와 수용자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주로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등장한
인터넷이 매체 환경에 끼친 영향
매체를 통칭하여 전자 매체라고
수용자에 머물던 개인이 누리집, 블로그, 온라인 동호회 등을 만들어 자신의 생각
인터넷 매체로 인해 매체 수용자가 정보 생산자가 됨. 한다. 전자 매체는 전화, 라디오
을 전달하고 정보를 생산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언제 등의 아날로그 방식의 매체부터
컴퓨터, 이동 통신 기기 등의 디
5 어디서나, 누구와도 편리하게 소통할 수 있는 세상이 도래한 것이다. 지털 방식의 매체에 이르기까지
인터넷이 사회에 미친 영향 ▶ 인터넷 매체의 특성 및 인터넷이 사회에 미친 영향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기술이 발달하고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와 같은 이동 통신 기기가 개발되면서 매
터치 스크린을 주 입력 장치로 장착한 휴대용 피시. ● ‌인터넷으로 인한 매체 수용자
의 변화
체는 더욱 다변화하고 있다. 책이나 신문과 같은 기존 매체가 전자책, 인터넷 신문
일의 방법이나 모양이 다양하고 복잡해짐. ● •‌다양한 양식의 정보
등으로 분화된 것은 물론 누리 소통망, 스마트 텔레비전 등과 같이 새로운 형식의 를 실시간으로 소통
여러 사람과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인맥을 관리할 수 있게 해 주는 사회 관계망 서비스. 인터넷의 •‌상호 소통 가능한 쌍

속성 방향 매체
뉴 미디어가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오늘날 뉴 미디어는 즉각적인 상호 작용을 •‌생산자와 수용자의
전자 공학 기술이나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전달 매체. 뉴 미디어의 특성 경계 소멸
10 가능하게 하여 실제 대화를 하듯 현장감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뉴 미디어의 등장
매체는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는 도구에 머물지 않는다. 어떤 매체를 선택하느냐 정보의 단순한 수용자
매체 에서 벗어나 스스로
수용자의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
는 의미를 어떻게 구성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또한 매체의 발달과 분화 변화 하는 생산자의 역할까
매체가 의미 형성에 영향을 미침. 지 할 수 있게 됨.
는 다양한 문화를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 따라서 매체의 유형과
특성을 정확히 알고 활용하는 능력은 효율적이고
15 합리적인 의사소통은 물론, 현대 사회의 새
롭고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향유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 매체 이해와 활용의 의의

● 기술 발달로 인한 뉴 미디어의 등장

기존 책, 신문
기술의 미디어 ↓
발달, 의 전자책, 인터
이동 변화 넷 신문 등
통신

기기 누리 소통망,
미디어
개발 스마트 텔레비

전등
등장

누리 소통망 여러 사람과 유용
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인맥을
관리할 수 있게 해 주는 사회 관
계망 서비스를 가리키는 우리말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로서, 영어의 ‘소셜 네트워크 서
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순화한 말이다. 흔히 영어 단어
• 인 쇄 술 의 발명은 문자로 기록된 내용을 널리 유통할 수 있게 하였다.
의 앞 글자만 따서 ‘에스엔에스
•‌인 터 넷 은/는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으로, 다양한 양식의 정보를 주고받으며 (SNS)’라고도 한다.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쌍방향 매체이다. ●
뉴 미디어(new media) 전자
•‌뉴 미 디 어 은/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매체를 가리키는 말로, 현재에 공학 기술이나 통신 기술이 발
도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달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전달
매체.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31


1 다음 자료를 보고 매체의 유형에 따른 특성을 탐구해 보자.

(가) 종이 신문

14 문화 2017년 9월 27일

신라 왕족들은 깔끔했다, 1,200년 전 수세식 화장실


경주 동궁과 월지 인근에서 발견
변기·배수로 갖춘 국내 첫 ‘수세식’
“고대의 화장실 중 가장 고급형”
화강암을 타원형으로 다듬고 바닥에
구멍을 냈다. 그 위에 어른 키 크기의 납
작한 돌을 깔아 발판으로 삼았다. 1,200
여 년 전 통일 신라 왕실에서 사용했던
수세식 화장실의 모습이다. ‘큰 일’을 마
치고 난 다음에는 화장실 옆에 둔 항아
리에서 물을 떠서 변기 구멍에 쏟아부었 통일 신라 왕실의 수세식 화장실

다. 말하자면 수동식이다. 갖춘 수세식 화장실이 한국에서 확인된


8세기 무렵 만든 국내 첫 수세식 화장 것은 처음이다. 국립 경주 문화재 연구소
실 유구(건물의 자취)가 경주 동궁과 월 는 경주 동궁과 월지 북동쪽 인접 지역에
지(안압지의 옛 이름, 사적 제18호) 인근 서 발굴한 화장실 유물을 공개했다.
에서 발견됐다. 변기와 배수 시설을 고루  -    기자

- 『중앙 일보』 , 2017년 9월 27일 기사

⑴ (가) 와 (나) 의 매체가 지닌 특성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가) (나)

• 정보의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계가 일방향적이다. •‌전자 우편이나 댓글로 기사와 관련한 의
‌
활자의 크기, 모양, 음영으로 중요도를 표현하기도
견을 전달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의견
하고, 도표, 사진 등 시각적인 정보로 내용을 표현
한다. 을 주고받을 수도 있다.
• ‌정보가 활자화되어 유통되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 • ‌문자, 사진, 도표, 그림, 동영상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한다.
이 걸리며 수정이나 보완이 어렵다. ‌
수용자가 주요어(키워드)를 활용하여 기사를 검색한 뒤 선택적인 읽
기를 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기사가 작성되고 나서 독자가 바로 접할 수 있고 수정이나 보완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기사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 등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독자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거나 관련성이 적은 광고나 정보 등에
노출될 수 있다.
32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기사 내용을 인쇄하거나 컴퓨터 등의 매체에 내려받기 하는 등 쉽게
저장할 수 있다.
(나) 인터넷 신문

검색
문화

신라 왕족들은 깔끔했다, 1,200년 전 수세식 화장실


기사 입력 2017년 9월 27일 08 : 00
기자 전자 우편 보내기

경주 동궁과 월지 인근에서 발견
변기·배수로 갖춘 국내 첫 ‘수세식’
“고대의 화장실 중 가장 고급형”

통일 신라 왕실의 수세식 화장실

화강암을 타원형으로 다듬고 바닥에 구멍을 냈다. 그 실시간 많이 본 기사

위에 어른 키 크기의 납작한 돌을 깔아 발판으로 삼았다. 1 내일부터 예년 기온 회복


2 수면 부족, 건강에 악영향
1,200여 년 전 통일 신라 왕실에서 사용했던 수세식 화장 3 가수 아다미 정규 음반 발매
실의 모습이다. ‘큰 일’을 마치고 난 다음에는 화장실 옆 4 신라 왕족들은 깔끔했다
5 아들 위한 아빠의 감동 마라톤
에 둔 항아리에서 물을 떠서 변기 구멍에 쏟아부었다. 말
하자면 수동식이다.

17 2 공유하기

전체 댓글 8 최근 순 추천 순
등록

↳ 그 옛날에 수세식 화장실이라니 대단해요! 08:22


↳ 저 정도를 가지고 고급형은 무슨, 기사가 과장이 심하네. 09:01
↳ 무려 1,200년 전이라잖아요~. 09:05

- 『중앙 일보』 , 2017년 9월 27일 기사

⑵ 종이 신문과 인터넷 신문을 읽은 경험을 떠올려 보고, 내가 생각하는 각 매체의


장단점을 자유롭게 써 보자.

예시 답안
•‌종이 신문의 장단점
- ‌종이 신문은 댓글을 달거나 기자에게 전자 우편을 보낼 수 없어서 상호 소통에 한계가 있지만 인
터넷이나 이동 통신 기기 등에 익숙하지 않은 계층에게 여전히 유익하다.
- ‌종이 신문은 제공된 정보만을 수동적으로 접해야 하지만 광고 창이 뜨지 않는 등 인터넷 신문보다
기사의 내용에 집중하기가 쉽다.
- ‌종이 신문은 즉물적이어서 감촉을 느끼며 읽을 수 있고 직접 펜으로 밑줄을 긋거나 중요 기사 등
을 오려서 따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넷 신문의 장단점
- ‌인터넷 신문은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면 언제 어디서든 접할 수 있으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 기
기에 익숙하지 않은 계층에게 소외감을 줄 수 있다.
- ‌인터넷 신문은 주요어를 활용하여 기사를 선별하여 읽을 수 있으나 광고 창이 뜨는 등 기사의 내
용에 집중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 ‌인터넷 신문은 수용자가 기사의 내용에 즉각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등 상호 소통이 가능하지만, 그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33
과정에서 자칫 감정적인 대립이나 갈등이 벌어질 우려도 있다.
2 야구 경기의 인터넷 중계방송 화면을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화면 설정 [[ ]] 20,322명 경기 정보
다른 경기 보기
생중계 드림 팀 2 VS 1 나눔 팀 보람 팀 4 vs 7 슬기 팀
4회 말

생중계

지혜 팀 2 vs 5 아람 팀

녹화

최근 경기
▶ ■ ‖◀ ▶‖ 00 : 32 : 00 나눔 팀 2 vs 4 지혜 팀 5/25
드림 팀 3 vs 7 보람 팀 5/24
실시간 문자 중계 ✚ 새로 고침 슬기 팀 8 vs 3 지혜 팀 5/22
- 5구 스트라이크 삼진 아웃 은혜 팀 4 vs 3 아람 팀 5/21
- 3번 타자 타석에 들어섭니다.

경기 화면 경기 정보 경기 기록 나가기

드림 팀 2 VS 1 나눔 팀
경기 시작 32분 경과
전체 선수 보기 ▼ 전체 선수 보기 ▼
3회 말
김OO 이OO
181cm / 75kg 양 팀 상대 전적 185cm / 72kg
경기 성적 7승 3패 좌투 좌타 | 외야수
방어율 3.75 드 승 7:5 패 나
타율 0.347
림 패 3:4 승 눔
팀 패 2:5 승 팀
드림 팀에게 응원 한마디 나눔 팀에게 응원 한마디
등록 등록
양 팀 최근 3경기 결과
현재 323개의 응원 글 ✚ 새로 고침 현재 256개의 응원 글 ✚ 새로 고침
드림팀
정이*** 18:20 mind*** 18:19
초반부터 정말 잘하고 있네요. 더욱 힘내 패 드림 팀 3 : 7 보람 팀 승 오늘 선수 명단이 예상하고 크게 다른데,
주세요. ^^ 승 드림 팀 5 : 1 보람 팀 패 감독에게 묘수가 있는 걸까요?
high*** 18:21 승 드림 팀 4 : 0 보람 팀 패 주아*** 18:21
이번 경기가 아~~~~주 중요하니 전력 다 이유가 있겠죠. 믿어 보자고요!
을 다해서 필승하길! 나눔팀
장익*** 18:22
초롱*** 18:21 패 나눔 팀 2 : 4 지혜 팀 승 아, 제발 이번에는 큰 점수 차로 시원하게
드림 팀 이겨라, 파이팅 파이팅! 승 나눔 팀 4 : 3 지혜 팀 패 이겼으면 좋겠어요.
패 나눔 팀 4 : 5 지혜 팀 승 매번 너무 아슬아슬했어요.

34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⑴ 인터넷 중계방송에서 ㉠ ~ ㉤ 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다른 경기들의 진행 상황과 결과를 보여 준다.

방송 중계와 별도로 문자를 통해서 실제 현장에서 벌어지는 경기 장면을 이해할 수 있다.

출전하는 선수에 대한 개인 기록으로서, 선수 개개인에 대한 수용자의 궁금증을 해소시켜 준다.

양 팀의 전적을 확인하기도 하고, 최근 성적을 통해 팀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짐작하게 해 준다.

자신이 좋아하는 팀과 선수에 대한 응원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치이며, 팬들 사이에


의사소통의 통로가 되어 준다.

⑵ 텔레비전 중계방송과 인터넷 중계방송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 인터넷 중계방송이


어떤 변화를 불러왔는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전체 화면으로 볼 수도 있고, 화면을 분할하여 여러 경기를 동시
에 시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텔레비전 중계방송과 달리 이용자가 과거에 있었던 중계방송을 텔레비전은 주로 혼자 보거나
시간의 제약 없이 다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족처럼 아는 사람과 함께 보지만,
인터넷 중계방송이 생기면서 모르는
사람하고도 의사소통하며 경기를
볼 수 있게 되었어.

•‌화면의 동영상, 아나운서와 해설 위원의 설명, 각종 창에 제공된 경기 및


선수들에 대한 정보까지 접할 수 있다.
•‌다양한 정보로 인해 몰입이나 집중이 떨어질 수 있으나 수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을 수 있고, 수용자의 의견
등을 게시판 등을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
⑶ 주변에서 최근 들어 새롭게 등장한 매체를 찾아보고 그 특성을 적어 보자.
예시 답안

매체 특성

인터넷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드


웹 드라마
라마로, 한 편당 방송 시간이 짧아 ‘미니 드라마’로 불리기도 한다.
이미지를 주로 활용하여 구성하는 뉴스 형식 중 하나로, 이동 통신 기기 등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카드 뉴스 가독성과 이미지 비율을 높인 신개념 뉴스이다. 본래 누리 소통망 등에서 정보 전달을 위해 이미지를 중심으로 짧
은 글을 첨부하던 것이 언론에까지 흘러들어 카드 뉴스로 발전하였다.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을 통해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
가상 현실
제 주변 환경·상황과 상호 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만들어 주는 매체를 말한다. 건물 안의 매장을 자유롭
(VR. Virtual Reality)
게 돌아다니며 마음에 드는 제품을 선택해 보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 현실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35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2) 매체 언어의 특성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복합 양식성의
음성 언어와 문 매체 언어의 등 매체 언어의 복
유기적이고 종 •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매
자 언어 장과 개념 합 양식성
합적인 성격
체 언어 이해하기
• ‌매체 언어의 특성 이해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2) 바탕글 듣기

● ‘의사소통 수단’의 변화 예부터 사람들은 음성 언어를 사용하여 생각과 느낌을 주고받았다. 음성 언어로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음성 언어
•얼굴을 맞댄 의사소통
•섬세한 감정까지 전달 이루어지는 대화에서는 얼굴을 맞대고 의미를 주고받기 때문에 표정이나 말투, 몸
음성 상황 맥락을 공유하는 음성 언어 음성 언어를 보조하는 비언어적인 표현
•즉각적인 반응
언어
•시공간적인 제약 짓 등이 의미 전달에 보조적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섬세한 감정까지 전달할 수 있
•보존을 할 수 없는 한계

고 서로 즉각적으로 반응을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같은 시간과 공간에 있어야 의


음성 언어가 지닌 장점
•시공간적인 제약 극복
문자
•복잡하고 많은 내용 전달 사소통할 수 있고, 발화된 음성은 곧장 사라져 버려 대화 내용을 보존할 수 없다는 10
언어
•논리적인 성격 음성 언어의 시공간적인 한계와 보존의 어려움
한계가 있다. ▶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음성 언어

•매체를 사용한 의미 작용 음성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간은 문자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복합 양식적인 특성(소
매체
리, 음성, 이미지, 문자,
언어
동영상 등이 함께 어우 기록된 문자는 시간이 지나도 음성처럼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
러져 의미를 형성함.) 문자 언어의 보존 가능성
없이 널리, 많은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문자 언어로 하는 의사소통은 상대
문자 언어가 지닌 장점
방의 반응을 즉각 살피기는 어렵지만 비교적 복잡하고 많은 내용을 논리적으로 전 15
문자 언어의 논리적인 성격
달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 음성 언어를 극복한 문자 언어

● 매체 언어의 특징 현대 사회에서 기술이 발달하고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면서 우리가 사용하는 언


글자의 크기, 모양, 색을
인쇄 다르게 하거나, 도표, 사 어 양식에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주로 음성 언어나 문자 언어를 사용하던
매체 진, 그림 등의 시각 자료
언어 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에서 나아가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는 매체 언어로도 의사소통하게 된 것이다.
복합 양식성을 띰.

소리, 음성, 동영상, 하 ‘매체 언어’란 전통적인 개념의 언어와 구분하여 매체를 사용한 의미 작용을 강조 20
전자
이퍼텍스트 등 매우 다 매체 언어의 정의
매체
양한 요소들을 활용하는 하는 개념으로서, 오늘날의 다양한 매체에 사용되는 언어를 가리킨다.
언어
복합 양식성을 띰.
▶ 매체 언어의 등장과 개념
매체 언어는 소리, 음성, 이미지, 문자, 동영상 등이 함께 어우러져 의미를 만들어
내는 복합 양식의 특성을 지닌다. 인쇄 매체에 나타나는 언어만 살펴보아도 필요에
매체 언어의 핵심 특징
따라 글자의 크기와 모양, 색을 다르게 하거나 도표와 사진, 그림 등의 시각 자료를
인쇄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적 특징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내용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문자만 제시하는 것과는 25

차이가 있다. ▶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적인 특징

36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의 예
전자 매체에 쓰이는 매체 언어는 더욱 복합적인 양상을 띤다. 인쇄 매체인 책에
청각 시각 언어
는 문자와 시각 자료만 담을 수 있는 데에 반해 전자 매체인 전자책에는 소리, 음 적인 적인 적인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이용하는 디지털 도서. 요소 요소 요소

성, 동영상도 담을 수 있고 하이퍼텍스트까지 활용하는 것을 떠올리면 이를 쉽게 배우 자막
다양한 형태의 기호를 활용하는 전자 매체 언어 잔잔한 들이 “우리
이해할 수 있다. 텔레비전의 경우에는 소리, 음성, 문자, 동영상이 한데 어우러져 화 음악 웃는 가족
영상 ~”
5 면을 구성하고, 인터넷 환경에서는 이모티콘이나 누리집 주소 등을 연결하는 하이
감정을 표현하는 기호로, ‘그림말’로 쓰이기도 함.
● 종합적인 의미 형성
퍼링크 기능을 활용하기도 한다. ▶ 전자 매체 언어에서 한층 강화된 복합 양식성
‘따뜻한 가족애’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은 단순히 다양한 요소를 사용한다는 의미에 그치지 않
는다. 예를 들어 어떤 영화의 예고편에서 잔잔한 음악이 깔리고, 배우들이 함께 밝
청각적인 요소 시각적인 요소
게 웃는 영상을 보여 주면서 “우리 가족의 이야기를 들어 보실래요?”라는 자막이
언어적인 요소
10 제시된다면, 우리는 각각의 요소들이 결합하면서 만들어 내는 종합적인 의미를 바
복합 양식성의 의미
탕으로 이 영화가 따뜻한 가족애를 그릴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요컨대 매체 언어
다양한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만든 주제
에서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다양한 요소가 상호 작용하면서 의미를 구성하고 의사
각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떼어 낼 수 없는.
소통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 복합 양식성의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성격

하이퍼텍스트(hypertext) 사
용자에게 비순차적인 검색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텍스트. 문
서 속의 특정 자료가 다른 자료
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
다음 설명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해 보자. 어 서로 넘나들며 원하는 정보
를 얻을 수 있다.

하이퍼링크(hyperlink) 하이
•음성 언어는 많은 내용을 논리적으로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다. , ×
퍼텍스트 문서 내의 단어나 구,
•인쇄 매체는 오로지 문자만 사용하여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 ×
기호, 화상과 같은 요소를 그 하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은 다양한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미를 구성하는 특성 이퍼텍스트 내의 다른 요소 또
을 가리킨다. , × 는 다른 하이퍼텍스트 내의 다
른 요소와 연결한 것.

(2) 매체 언어의 특성 37
1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언어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가) 대화 (나) 종이 초청장

초청장
나 공연하니까 꼭 와 줘.
토요일 2시 소강당에서 해. 그래, 음악 동아리 ‘한마음’에서 그동안
그때면 갈 수 있어. 갈고닦은 실력을 발휘하기 위해 ‘한
마음 한뜻으로’ 행사를 준비하였습니
다. 다양한 공연과 체험 활동까지 알
차게 마련하였으니 부디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음악 동아리 한마음 올림.

때: 20년 월 일(토요일) 오후 2시
곳: 초록 고등학교 소강당

(다) 전자 초청장

11:00 80% 11:00 80%

음악 동아리 ‘한마음’에서 그동
안 갈고닦은 실력을 발휘하기 위
‘한마음 한뜻으로’
해 ‘한마음 한뜻으로’ 행사를 준비
행사에 초대합니다
하였습니다. 다양한 공연과 체
험 활동까지 알차게 마련하였으니
부디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 주
시기를 바랍니다.

때 : ‌20년 월 일(토요일)
오후 2시
곳 : 초록 고등학교 소강당
20년 월 일(토) 오시는 방법 안내
행사까지 5일 전

38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11:00 80% 11:00 80%

사진첩 방명록

이름 비밀번호

남기실 말씀

↳ 성공적인 행사가 되길 기원합니다!


↳ 힘내라. 내 친구 멋있다.

맛보기 영상
기타 문의
동아리 게시판 바로 가기
www.초록고등학교.hs.kr/한마음

방문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⑴ (가) 와 (나) 에 쓰인 언어의 특성을 <보기>에서 골라 그 기호를 써 보자.


보기

ㄱ. 정보의 생산자와 수용자가 시공간적인 맥락을 공유한다.


ㄴ. 정보의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계가 일방향적인 성격을 띤다.
ㄷ. 내용이 보존 가능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널리 전달할 수 있다.
ㄹ. 즉각 반응을 보일 수 있고, 표정이나 말투, 몸짓 등도 의미 전달에 활용된다.

•(가) : ㄱ, ㄹ
  •(나) : ㄴ, ㄷ

⑵ (다) 에 쓰인 언어의 특성을 (가) , (나) 와 비교하여 설명해 보자.

•‌(다) 는 사진과 동영상을 제시한 것으로 보아 (가) , (나) 에 비해 다양한 요소를 복합


적으로 활용한다.
• ‌(가)는 의사소통 당시 시공간적인 맥락을 공유한 사람들 간에만 정보가 한정되어 알려지는 대신에 (다)는 시
공간적인 한계를 벗어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 ‌(나)는 수용자의 반응을 전달하기 어렵지만 (다)는 방명록 등을 통해서 수용자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2) 매체 언어의 특성 39
듣기 자료
활동 2 제시문 듣기

2 여행 장소를 소개하는 글을 인터넷 블로그에 게시하려고 한다. 다음 활동을 하며 매체


언어의 특성을 탐구해 보자.

⑴ 다음 글의 표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하여 적어 보자.

초가을 추천 여행지
초가을의 어느 날, 가족과 함께 강원도 평창의 이효석 문
지도를 넣어 장소를 학관과 정선의 아우라지를 방문했습니다. 두 지역은 차로 멀
지 않은 곳에 있어 같은 날에 둘러보기 좋았습니다.
표시해 주면 내용이 더
평창군 봉평면은 소설가 이효석의 고장입니다. 그의 작
쉽게 이해될 거야. 품 세계를 엿볼 수 있는 문학관이 있고, 소설 「메밀꽃 필 무
렵」 의 배경처럼 메밀꽃이 흐드러지게 피는 메밀밭으로 유
명합니다. 제가 갔을 때에도 메밀꽃이 한창이었는데요, 소
이 부분에 실제 메밀 금을 가득히 뿌려 놓은 것 같은 메밀밭의 모습이 정말 인상
적이었습니다.
밭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이효석 문학관의 전시실은 사진, 잡지, 초간본 등의 풍부
보여 주면 느낌이 더 생 한 자료와 함께 그의 생애와 작품 세계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잘 꾸며져 있었습니다. 해마다 가을에는 이효석의 문
생하게 전달될 것 같아.
학 정신을 기리는 ‘효석 문화제’가 열리기도 하는데요, 안
‘효석 문화제’에 하이퍼링크 
를 걸어 두고 구체적인 정보 타깝게도 저는 날짜가 맞지 않아 문화제에 참여할 수 없었
를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법 습니다. 백일장과 보물찾기, 영화 상영 등 다채로운 행사가
일 거야.
준비된다고 하니 방문을 계획하시는 분들은 관련 누리집에
서 미리 정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철도 자전거’를 타고 정선의  강원도까지 먼 길을 갔는데 봉평만 둘러보고 오는 게 아
풍경을 담았던 동영상을 제시
해 준다면, 철도 자전거를 탔 쉬워 근처 정선에 가서 철도 자전거를 타 보았습니다. 시원
던 생생한 기분에 공감하는 한 바람을 맞으며 정선의 산과 들, 물길이 만들어 낸 천혜
데에 도움이 될 거야.
의 자연 풍경을 감상할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철도 자
전거의 종착지는 강원도 무형 문화재인 정선 아리랑의 발
상지 ‘아우라지’입니다. 그래서인지 곳곳에서 정선 아리랑
‘정선 아리랑’을 하이퍼링크 
이 흘러나왔는데요, 애잔한 노랫가락을 듣고 있다 보니 왠
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하거나, 악보와 가사를 하이 지 모르게 마음이 뭉클하였습니다. 아우라지에서는 뱃사공
퍼링크하여 보여 준다면 생생 이 직접 줄을 당겨 움직이는 줄배도 탈 수 있으니 꼭 체험
한 글이 될 거야.
해 보시기 바랍니다.
문학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강원도 여행, 몸도 마음도 편
안해지는 그곳으로 이번 가을 떠나 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40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⑵ 작성한 방안을 친구와 바꿔 읽어 보고 그와 관련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해 보자.

지도를 넣어 장소를 표시해 주자는 방안이 참 좋다. 실제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예시 답안
•‌‘효석 문화제’에 하이퍼링크를 걸어 둔다면, 앞으로 효석 문화제에 참석하고 싶은 사람들
에게 좋은 안내가 될 거야. 그리고 효석 문화제를 홍보하는 효과도 함께 누릴 수 있겠지.

3 <보기>를 읽고 ‘마셜 매클루언’이 매체의 특성을 살려 매체를 정의한 것처럼 내가 생각


하는 매체 언어의 특성을 한 문장으로 표현하고 그렇게 쓴 까닭을 말해 보자.
보기

캐나다의 매체(미디어) 이론가이자 비평


가인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
1911~1980)은 지금까지도 영향력 있는 이
론가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1964년 『미디어
의 이해』 라는 저서에서 ‘미디어는 메시지다.’
라는 말로 매체를 정의하였다. 이는 매체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의미를 구성하고
의사소통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함축
미디어는 메시지다.
함으로써 매체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로 볼
(The medium is the message.)
수 있다.

예 “매체 언어는 관현악단이다. 서로 다른 여러 요소가 하나로 어우러지기 때문이다.”

“매체 언어는  ”
예시 답안
•‌“매체 언어는 철도다.” : 매체 언어는 여러 가지 사회와 문화를 연결해 주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게 할 수 있으므로, 매체 언어는 철도다.
•‌“매체 언어는 비빔밥이다.” : 매체 언어는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므로,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하여 맛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비빔밥과 같다.
•‌“매체 언어는 알 수 없는 미래다.” : 매체 언어는 문자부터 전자 매체에 이르기까지 줄곧 발전해 왔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2)
매체 언어의 특성 41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또한 어떻게 변하게 될지 알 수 없기에, 알 수 없는 미래다.
그림으로 마음 사전 만들기
의사소통 도구로서 그림이 지니는 가치와 기능을 이해하고, 그림을 활용
하여 마음 사전을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나만의 마음 사전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해 보자.

1 다음 자료를 보고 그림의 가치와 기능을 이해해 보자.

(가) 인류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 빠뜨려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그림이다. 문자가 없


던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음성 언어로만 의사소통을 했을까? 말하고 나면 허공으로
보존이 불가능함.
흩어지는 음성은 당시에 기록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소통에 여러 가지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같은 말을 들었는데 시간이 흘러 서로 다르게 기억할 수도 있고, 말의 뜻을
잘못 알아들어 예기치 않은 다툼이 생겼을지도 모른다. ▶ 음성 언어로만 의사소통을 할 때의 문제점
다행히 인류는 직립 보행을 하면서 손으로 도구를 사용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동굴 벽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였다. 거북이, 고래, 물개, 들소 등 구석기 동굴 유적
에는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
다. 이런 그림들은 대개 먹을
거리를 알리거나 피해야 할 공
구석기 시대에 그림이 의사소통 수단으로 쓰인
포의 대상, 혹은 숭배해야 할
대표적인 예
대상을 알리는 데에 쓰였을 것
으로 추측된다. 이처럼 구석
기 시대 사람들에게 그림은 훌
륭한 언어였다. 하지만 구석기
시대에만 그림이 이용된 것은
아니다. 글자 발명 이후에도 중 구석기 시대 동굴 벽화

세, 근대에 이르기까지 그림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꾸준히 활용되었다.


▶ 구석기 시대부터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되어 온 그림
현대에도 그림은 여전히 가치가 있다.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국가 간 교역이 활발
해지면서 어느 때보다 문화적으로 접촉이 빈번한 지금, 그림이 지닌 의사소통의 힘
은 그 가치를 더욱 발하고 있다. 해외여행을 가서 그 나라의 말을 잘 몰라도 교통 표
지판이나 안내소, 화장실 표시 등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은 그림 덕분이다. 또한
만국 공통으로 쓰이는 표시
인터넷 환경에서 문자 언어보다 이모티콘이 감정을 표현하는 데에 더 효율적인 경우
대면하지 않고 문자 언어로만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므로 비언어·준언어적 요소를 활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모티콘이 보완 역할을 함.
가 있다는 것은 그것을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대부분 인정할 것이다.
▶ 현대에도 가치가 더욱 발하고 있는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그림

42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나)

기쁘다 바라는 일이 이루어져 기분이 좋고 즐겁다.

“일곱, 여덟, 아홉, 열, 열하나……. 와아!”


처음으로 줄넘기를 열 개도 넘게 했을 때의 마음.

좋아하는 친구의 생일 파티에 초대받았을 때


드는 마음.

퇴근하는 아빠가 들고 온 케이크를 보고


폴짝폴짝 뛰는 마음.

치과 의사 선생님께서
충치가 없다고 말씀해 주셨어.

찝찝하다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걱정스러운 일로 마음에 걸리는 데가 있다.

놀이터에서 주운 돈으로 과자를 사 먹는 마음.


‘주인을 찾아 줘야 하나?’

숙제를 하다 말고 놀러 나갈 때 드는 마음.

아빠가 발가락을 만지다가 귤을 까서 줄 때의 마음.

운동장에서 신나게 노는데


현관문을 잠갔는지 생각이 나지 않는 거야.

- 박성우 글·김효은 그림, 『아홉 살 마음 사전』 에서

창의·융합 놀이터 43
⑴ (가) 에서 언급한 사례 이외에 현대 사회에서 그림이 유용하게 쓰이는 경우를 더
조사해 보자.
예시 답안
•‌유아들이 언어를 습득하고 의사소통 방식을 익혀 나갈 때 그림 카드 등이 활용된다.
•‌사용 설명서의 그림 등에서와 같이 문자만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복잡한 내용을 그림과 함께 제시함으로써 사
용자가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게 할 수 있다.
•‌교과서나 백과사전 등에서 지식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내용을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활용된다.

⑵ (가) 를 참고하여 (나) 에서 뜻풀이와 그림을 함께 제시하여 얻은 효과를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단어의 뜻풀이는 추상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 구체적으로 이해하기가 힘든데, 여기에 그림을 통해 구체적인 상
황을 함께 제시해 줌으로써 추상적인 의미와 실제 감정의 맥락을 연결하여 단어의 뜻을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
할 수 있게 해 준다.
•‌문자로 제시된 뜻풀이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그림 속 인물의 표정이나 태도 등을 통해서 어떤
감정을 전달하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해 준다.

⑶ (나) 의 단어 중 하나를 골라 나의 상황에 맞게 그림과 간단한 문구로 표현해 보고,


나만의 뜻풀이를 덧붙여 보자.
예시 답안

고른 단어 : 찝찝해

단어의 뜻 : 찝찝하다 -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걱정스러운 일로 마음에 걸리는 데가 있다.

그림 : 나만의 뜻풀이 :

상대방이 내가 보낸 문자 메시지
를 읽고도 답을 주지 않고 있을
때의 마음.

가게에서 거스름돈을 더 돌려받


았는데도 모른 척 가게를 나왔을
때의 마음.

친구와 싸웠는데 그날 화해하지


못하고 잠들 때의 마음.

문구 : 조금만 더 하면 새 무기를 얻을 수 있는데 포기하고 컴퓨터


를 꺼야 하다니…….

44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2 나만의 마음 사전을 만들어 친구와 의사소통해 보자.

⑴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를 하나 골라 나만의 그림과 문구, 뜻풀이로 표현해 보자.


예시 답안

고른 단어 : 몽롱해

단어의 뜻 : 몽롱하다 - 의식이 흐리멍덩하다.

그림 : 나만의 뜻풀이 :

짝사랑하는 그 녀석이 나보고 오


늘 멋지다고 말해 주었을 때의 마
음.

하루 종일 쓴 과제를 저장하지 않
고 컴퓨터를 꺼 버렸을 때의 마
음.

수업 시간에 졸다가 선생님의 호


명 소리에 깼을 때의 마음.

문구 : 너무 달콤하고 맛있어서 정신을 못 차리겠어.

⑵ 고른 단어와 단어의 뜻을 가린 다음 작성한 그림과 문구, 뜻풀이를 친구와 바꿔


보면서 상대방이 어떤 단어를 생각하였는지 맞혀 보자.
예시 답안
생략

창의·융합 놀이터 45
모의 평가 어휘 학습 자료
대단원 대단원
모의 평가 어휘 학습지
다음 학습 내용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 보고, 해당 지시대로 승강기를 타고 움직였을 때 몇
층에 도착하게 되는지 알아보자. 예시 답안
도착한 층 : 20층

학습 내용  × 25층

6층
24층
어린이가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을 보면, 언
어와 사고는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일방적으
아래로 23층
5층
로 영향을 주는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위로 22층
21층
3층
직업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다른 것은 사 20층
아래로
회적 요인이 언어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뒷 4층 19층
받침한다. 위로
18층

혈연과 상하 관계를 중시하는 우리나라의 문 5층 17층


아래로
화로 인하여 우리말에 친족어와 높임말이 발달 16층
6층
하였다. 위로 15층
14층
7층
인쇄 매체를 활용한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일 아래로 13층 출발
3층
반적으로 대중이 정보를 생산하거나 전달한다. 12층
위로
11층
2층 10층
인터넷의 발달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일반 대 아래로
4층 9층
중의 정보 생산 가능성을 위축시켰다.
위로 8층
7층
매체를 선택하는 행위는 의미를 전달하는 행 5층
아래로 6층
위일 뿐만 아니라 의미를 구성하는 행위이기도 7층
하다. 위로
5층
4층
매체 언어는 복합 양식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2층 3층
아래로
다양한 요소가 결합하면서 만들어 내는 종합적 5층 2층
인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위로
1층

46 Ⅰ. 언어와 매체의 본질
다음 평가표를 작성하며 학습 정도를 점검해 보자.

평가
점검 항목
충분 보통 미흡

1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이해하였다.

2 국어의 특성과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을 이해하였다.

3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 매체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였다.

4 현대 사회의 소통 현상과 관련하여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적 특성을


이해하였다.

이 단원에서는 언어와 국어의 특성 및 한국어의 위상을 이해하고, 매체와 매체 언어


의 특성을 파악하며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 보았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자신에게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앞으로의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나는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언어와 국어가 지닌 특성들을 파악하였고 한국어의 위상이


과거와 달리 매우 높아졌음을 실감하게 되었다. 앞으로 국어의 규범을 충분히 익혀 국어의 위
상에 걸맞게 올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또한 매체와 매체 언어에 대해

배우면서 의사소통 과정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았고, 앞으로 매체와 매체 언어가


지닌 사회적 영향력 등에 대해서 더 공부 할 것이다.

대단원 마무리 47
국어의 탐구와 활용
II
1 국어 구조의 탐구와 활용

2 국어 자료의 탐구와 활용

비판적·창의적 의사소통 공동체· 자기 성찰·


사고 대인 관계 계발
교과 역량
자료·정보
활용 문화 향유
●대단원 학습 목표●
•‌실제 국어 생활을 바탕으로 음운, 단어, 문장, 담화의 특성을 탐구하고 국어 생활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시대, 사회, 갈래에 따른 국어 자료의 차이와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국어 자료를 생산할
수 있다.

교과서 본문 교과서 본문 지도서 본문 수업 지도안


2단원 2단원 2단원 2단원 차시별 지도안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 원활하게 의사소통하려면 언


어를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가 사용하는
효과적인 언어생활의 요건
언어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국어 자료의 특
언어 이해·사용 능력의 향상 방법 ① 방법 ②
성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국어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효과적인 언어생활
방법 ③
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효과적인 언어생활을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과 이를 기르기 위한 방법

이 단원에서는 음운, 단어, 문장, 담화로 이루어진 국어의 구조를 이해하고 시대,
사회, 갈래에 따른 다양한 국어 자료를 탐구한다. 음운의 체계와 변동, 품사의 분류,
중단원 1 - (1)
단어의 짜임과 의미 관계,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담화의 개념과 요건을 이해하고
중단원 1 - (2) 중단원 1 - (3) 중단원 1 - (4)
이를 실제 국어 생활에 활용해 보자. 또한 국어의 변천 과정을 살피고 사회와 갈래에
중단원 2 - (1)
따라 다른 사용 양상을 보이는 국어 자료를 이해함으로써 상황에 맞는 적절한 국어
중단원 2 - (2)
자료를 생산해 보자. ▶ 이 단원의 학습 내용 안내

50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1 국어 구조의 탐구와 활용 2 국어 자료의 탐구와 활용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1) 국어의 변천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2) 다양한 국어 자료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4) 담화의 개념과 요건

| 과학 | 기술 | 미래 |

챗봇 대화 시나리오 만들기

● 효과적인 언어생활의 요건 ● ‌언어 이해·사용 능력의 향상


방법
언어 이해 언어 사용
능력 능력 언어 구조의 실제 국어
체계적 이해 생활에 활용

효과적인 언어생활 향유 다양한 국어


적절한 국어
자료의 특성
자료 생산
탐구
● 국어의 구조

음운 단어 문장 담화

다음 질문에 답하며 나의 학습 정도를 확인하고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국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있나요? 아니요

단어의 발음이나 뜻을 모르거나 문장을 잘못 이해하여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나요? 예

같은 내용을 의사소통 상황에 따라 다르게 생산해 본 적이 있나요?

“벌써 10시네.”라는 같은 내용을 아버지께 곧 축구 경기가 시작될 것이


니 같이 시청하자는 청유의 의미로, 이야기를 더 나누자고 하는 친구에
게 그만 집에 가야 한다는 거절의 의미로 다르게 생산한 적이 있다.

나는 이 단원 학습을 통해 국어의 구조와 국어 자료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

탕으로 실제 국어 생활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노력 할 것이다.

대단원 길잡이 51
1
국어 구조의 탐구와 활용 모의 평가
중단원 모의 평가

수행 평가
중단원 수행 평가

다음을 서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끼리 연결해 보고, 왜 그렇게 연결하였는지 말해


보자.

저해

ㅈ ㅎ
ㅓ ㅐ

“저 해를 봐.”
“멋지구나!”

저 해를 봐.

예시 답안
왼쪽의 카드들이 각각 오른쪽의 두 번째 카드, 첫 번째 카드, 네 번째 카드, 세 번째 카드의 순으로 연결된다. 점들은 아직 의미를 이루지 못하는
음운들과 연결되고, 점과 점을 이은 선은 음운들을 결합하여 의미를 이룬 단어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과 선을 이어 이루어진 면은 단어들
이 모여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문장과 연결되고, 면들이 모여 이루어진 입체 도형은 둘 이상의 발화가 연속되어 이루어지는 유기적인 연결체
인 담화와 연결될 수 있다.

52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중단원 학습 목표●
•실제 국어 생활을 바탕으로 음운의 체계와 변동을 탐구할 수 있다.
•단어의 특성과 짜임, 의미 관계를 탐구하고, 실제 국어 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를 탐구하고, 실제 국어 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담화의 개념과 특성을 탐구하고, 적절하고 효과적인 국어 생활을 할 수 있다.

● 국어의 단위

음운 한 언어에서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최소의 말소리

형태소 의미를 가지는 말의 최소 단위

분리하여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나 이에 준하는 말. 또는 그 말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기


단어
능을 나타내는 말

어절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마디. 문장 성분의 최소 단위로서 띄어쓰기의 단위가 됨.

문장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언어 형식

발화 어떤 문장이 구체적인 상황에서 실현된 것

담화 둘 이상의 발화가 연속되어 이루어지는 유기적인 연결체

 국어 구조의 탐구와 활용 53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의
음운의 개념과 국어의 음
음운 변동의 개념과 유형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와 • ‌음운의 체계 이해하기
운 체계
이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 ‌음운의 변동 탐구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1) 바탕글 듣기

음운의 체계 5

한 언어에서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 음운의 개념

음운에는 분절(分節) 음운 외에
최소의 말소리를 음운이라고 한다. 「예
「 」 : 음운의 예
비분절(非分節) 음운도 있다. 분
컨대 국어에서 ‘물[水]’과 ‘불[火]’은 ‘ㅁ’
절 음운은 ‘모음, 자음, 반모음’과
같이 나누어 분리할 수 있는 음 소리와 ‘ㅂ’ 소리의 차이로 말의 뜻이
운인 반면, 비분절 음운은 나누어
분리할 수 없고 분절 음운에 얹 달라진다. 이러한 ‘ㅁ’, ‘ㅂ’ 각각을 음운 10

혀서만 실현될 수 있는 음운이다.


이라고 한다. ‘산[山]’과 ‘손[手]’에서 말
‘눈[눈][眼]’과 ‘눈[눈ː][雪]’처럼 말
소리의 길이에 따라 말의 뜻이 의 뜻을 달라지게 하는 ‘ㅏ’와 ‘ㅗ’ 역시 음
달라질 때, 이러한 말소리의 길이
가 비분절 음운에 해당한다. 운이다.」 이와 같은 음운은 한 언어 안에 있는
음운의 특징
다른 음운들과 더불어 일정한 체계를 이루고 있다. ▶ 음운의 개념과 특징

● 음운의 개념과 예 국어의 음운 체계 중 모음 체계를 먼저 알아보자. 표준 발음을 기준으로 할 때 국 15


국어의 단모음 개수
한 언어에서 말의 뜻을
개념 구별하여 주는 최소의 말 어에는 10개의 단모음이 있다. 단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에
소리

‘물[水]’과 ‘불[火]’의 ‘ㅁ’


변화가 없는 모음이다. 이들은 해당 모음을 발음할 때의 혀의 앞뒤 위치, 혀의 높낮
과 ‘ㅂ’, ‘산[山]’과 ‘손[手]’ 단모음의 구분 기준

의 ‘ㅏ‘와 ’ㅗ‘ 이, 입술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혀의 앞뒤 위치 전설 모음 후설 모음

혀의 높낮이 입술 모양 평순 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 ㅣ ㅟ ㅡ ㅜ
이중 모음 발음의 허용
표준 발음법에서는 단모음 ‘ㅟ’와 중모음 ㅔ ㅚ ㅓ ㅗ
‘ㅚ’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저모음 ㅐ ㅏ
것도 허용한다.
▶ 단모음의 개념과 구분 기준

54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발음할 때 혀의 최고점이 앞쪽에 있는 모음을 전설 모음, 뒤쪽에 있는 모음을 후
전설 모음의 개념 후설 모음의 개념 모음 사각도
설 모음이라고 하고, 혀의 최고점이 높은 모음을 고모음, 낮은 모음을 저모음, 그 중 단모음을 발음할 때의 혀의 최고
고모음의 개념 저모음의 개념
점의 위치를 간략하게 도표화한
간인 모음을 중모음이라고 한다. 그리고 해당 모음을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둥글
중모음의 개념 원순 모음의 개념 것이다.
게 되는 모음을 원순 모음, 그렇지 않은 모음을 평순 모음이라고 한다. [ㅣ] [ㅟ] [ㅡ] [ㅜ] 높음
평순 모음의 개념 ▶ 혀의 앞뒤 위치, 혀의 높낮이, 입술 모양에 따른 모음의 구분

혀의 높낮이
5 위와 같은 단모음에 반모음이 결합된 것을 이중 모음이라고 한다. 반모음 ‘j’는 [ㅔ] [ㅚ] [ㅓ] [ㅗ]
이중 모음의 개념 반모음의 특징 ①
‘ㅣ’와 비슷한 자리에서 발음되고, ‘w’는 ‘ㅗ/ㅜ’와 비슷한 자리에서 발음된다. 이러 [ㅐ]
발음될 수 있는 최소의 단위. [ㅏ]
● 낮음
한 점에서는 모음과 비슷하지만 혼자서는 음절을 이룰 수 없다는 점에서는 자음과
반모음이 모음과 비슷한 자리에서 발음된다는 점 반모음의 특징 ② 앞 뒤
혀의 앞뒤
비슷하다. 표준 발음을 기준으로 할 때 국어에는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이중 모음의 종류
ㅞ, ㅢ’와 같은 11개의 이중 모음이 있다. 이중 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나
이중 모음의 특징
10 혀의 위치가 달라진다. ▶ 이중 모음의 개념과 특징

다음으로 자음 체계를 알아보자. 표준 발음을 기준으로 할 때 국어에는 19개의 ● 국어 모음 체계


자음의 구분 기준 국어의 자음 개수
●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
자음이 있다. 이들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기준 이나 혀의 위치 변화
말소리의 산출에 관여하는 발음 기관 즉, 목청(성대), 목젖, 혀, 이, 입술 따위의 움직임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국어의 자음 개수와 구분 기준 유무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입술소리(양순음), 잇몸소리(치조음), 센입천장소리(경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의 분류
구개음), 여린입천장소리(연구개음), 목청소리(성문음)로 나뉜다. 「입술소리는 두 입 변화가 없는 변화가 있는
「 」 : 자음의 조음 위치 설명 모음 모음
15 술을 맞대어 내는 소리이고, 잇몸소
단모음 이중 모음
리는 혀끝을 윗잇몸에 대어 내는 소 ① 코안
② 입안 전설
혀의
리이다. 센입천장소리는 혀의 앞부 ③ 목청 앞뒤
모음, ㅑ, ㅕ,
후설 ‘j’ ㅛ, ㅠ,
위치
④ 입술 모음 계 ㅒ, ㅖ,
분을 센입천장에 대어 내는 소리이 ㅢ
⑤이
혀의 고모음,
며, 여린입천장소리는 혀의 뒷부분 ⑥ 잇몸 높낮 중모음,
⑦ 센입천장 이 저모음

20 을 여린입천장에 대어 내는 소리이 ⑧ 여린입천장 원순 ‘w’ ㅘ, ㅙ,


⑨ 기도 입술 모음, 계 ㅝ, ㅞ
모양 평순
다. 목청소리는 목청 사이에서 내는 ⑩ 식도
모음

소리이다.」 ▶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의 분류와 특징 발음 기관

조음 방법에 따라서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으로 나뉜다. 「파열음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의 분류 「 」 : 자음의 조음 방법 설명
은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고, 마찰
25 음은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좁힘으로써 마찰시켜 내는 소리이다. 파찰음은 폐

음절 발음될 수 있는 최소의
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서서히 마찰시켜 내는 소리이다. 파열 단위.
● ●
음과 파찰음은 목청문(성문)의 상태에 따라 다시 예사소리(평음), 된소리(경음), 거 조음 말소리의 산출에 관여하
양쪽 목청(성대) 사이에 있는 좁은 틈. 는 발음 기관 즉, 목청(성대), 목
센소리(유기음)로 구분된다. 그리고 비음은 폐에서 나온 공기의 대부분을 코로 내 젖, 혀, 이, 입술 따위의 움직임
설측음 [l]로, ‘달’, ‘일’ 등이 이에 속함.
을 통틀어 이르는 말.
보내면서 내는 소리이고, 유음은 혀의 중앙이나 양옆으로 공기를 흘려보내면서 내 ●
혀끝으로 잇몸을 가볍게 치면서 공기를 구강 가운데로 내보내는 경타음 [r]로, ‘나라’, ‘다리’ 등이 이에 속함. 목청문(성문) 양쪽 목청(성대)
30 는 소리이다.」 ▶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의 분류와 특징 사이에 있는 좁은 틈.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55


●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의 분류 지금까지 설명한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입술소리(양순음) 두 입술

잇몸소리(치조음) 혀끝 - 윗잇몸 조음 위치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입술소리 잇몸소리 목청소리
센입천장소리 혀의 앞부분 - 조음 방법 소리 소리
(경구개음) 센입천장
예사소리 ㅂ ㄷ ㄱ
여린입천장소리 혀의 뒷부분 -
(연구개음) 여린입천장
파열음 된소리 ㅃ ㄸ ㄲ
목청소리(성문음) 목청 사이
거센소리 ㅍ ㅌ ㅋ

●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의 분류 예사소리 ㅅ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 마찰음 된소리 ㅆ ㅎ
파열음 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
거센소리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
마찰음 를 좁힘으로써 마찰시 예사소리 ㅈ
켜 내는 소리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 파찰음 된소리 ㅉ


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파찰음 서서히 마찰시켜 내는 거센소리 ㅊ
소리

폐에서 나온 공기의 대 비음 ㅁ ㄴ ㅇ
비음 부분을 코로 내보내면
서 내는 소리 유음 ㄹ
혀의 중앙이나 양옆으
유음 로 공기를 흘려 보내면
서 내는 소리

1 다음 모음을 발음해 보고 모음 체계상 어떻게 구분되는지 정리해 보자.

혀의 앞뒤 위치 혀의 높낮이 입술 모양

ㅣ 전설 모음 고모음 평순 모음

ㅏ 후설 모음 저모음 평순 모음

ㅚ 전설 모음 중모음 원순 모음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자음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좁


비음 ㅁ, ㄴ, ㅇ
힘으로써 마찰시켜 내는 소리

혀의 앞부분을 센입천장에 센입천장


ㅅ, ㅆ, ㅎ
대어 내는 소리 소리

폐에서 나온 공기의 대부분


마찰음 ㅈ, ㅉ, ㅊ
을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56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 음운 변동의 개념과 유형 ● ‘교체’의 개념 ● ‘교체’의 유형 ①

음운이 조건 환경에 따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 음절 끝에 위치한 자음


개념 음절의
라 달리 실현되는 현상 교체 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이 [ㄱ, ㄴ, ㄷ, ㄹ, ㅁ,
끝소리
현상 ㅂ, ㅇ] 중 하나로 소리
음운의 변동 유형 교체, 탈락, 첨가, 축약 현상
나는 현상

음운이 조건 환경에 따라 달리 실현되는 현상을 음운 변동이라고 한다. 일반적으 파열음 뒤에서 예사소
리가 된소리로 바뀌거
음운 변동의 개념
나, 용언의 어간 말 비
로 국어의 음운 변동은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로 나눌 수 있다. 된소리
음 ‘ㄴ, ㅁ’ 뒤, 관형사형
되기
음운 변동의 유형 ▶ 음운 변동의 개념과 유형 어미 ‘- (으)ㄹ’ 뒤, 한자
(경음화)
어 내 ‘ㄹ’ 뒤에서 예사
소리가 된소리로 바뀌
는 현상
교체는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이다. 음절의 끝소리 현
교체의 개념
5 상, 된소리되기(경음화),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교체 현상의 예 ▶ 교체 현상의 개념과 예

음절의 끝소리 현상

음절 끝에 위치한 자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중 하나로 소


음절의 끝소리 현상의 개념
리 나는 현상이다. 이때 ‘ㄱ, ㄷ, ㅂ’이 아닌 자음이 음절 끝에서 [ㄱ],
음절의 끝소리 현상 중 교체에 해당하는 경우
[ㄷ], [ㅂ]으로 바뀌는 경우가 교체에 해당한다.
10 예 밖 → [박], 동 + 녘 → [동녁], 옷 → [옫], 낮 → [낟], 꽃 → [꼳], 끝 → [끋], 잎 → [입]
▶ 음절의 끝소리 현상의 개념과 예

● ‘교체’의 유형 ②
된소리되기(경음화)
파열음 ‘ㅂ, ㄷ, ㄱ’이 비
「 」 : 된소리되기 개념 비음
「파열음 뒤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거나, 용언의 어간 말 비음 ‘ㄴ, ㅁ’ 뒤, 음 앞에서 각각 비음 [ㅁ],

[ㄴ], [ㅇ]으로 바뀌는 현상
 독서 [독써], 책방 [책빵] 등  품고 [품 ː 꼬], 안고 [안 ː 꼬] 등
유음 ‘ㄹ’ 앞이나 뒤에서 비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 한자어 내 ‘ㄹ’ 뒤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 유음
음 ‘ㄴ’이 유음 [ㄹ]로 바뀌
 할 것을 [할꺼슬], 갈 데가 [갈떼가] 등  발전 [발쩐], 출석 [출썩] 등 화
는 현상
상이다.
」 모음 ‘ㅣ’나 반모음 ‘j’로 시
작되는 형식 형태소 앞에
구개
15 예 국 + 밥 → [국빱], 신 - + - 고 → [신 ː 꼬], 할 줄 → [할쭐], 발달 → [발딸] ▶ 된소리되기의 개념과 예
음화
서 잇몸소리 ‘ㄷ, ㅌ’이 각
각 구개음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

비음화
‘ㄹ’의 비음화
파열음 ‘ㅂ, ㄷ, ㄱ’이 비음 앞에서 각각 비음 [ㅁ], [ㄴ], [ㅇ]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독립[동닙], 법률[범뉼], 종로[종
바음화의 개념
노]’ 등에서처럼 ‘ㄹ’이 ‘ㄹ’을 제
예 잡 - + - 는 → [잠는], 듣 - + - 는 → [든는], 국물 → [궁물] ▶ 비음화의 개념과 예
외한 다른 자음 뒤에서 비음 [ㄴ]
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유음화

20 유음 ‘ㄹ’ 앞이나 뒤에서 비음 ‘ㄴ’이 유음 [ㄹ]로 바뀌는 현상이다.


유음화의 개념
예 신라 → [실라], 칼날 → [칼랄] ▶ 유음화의 개념과 예
※예외적 경우 : 한자어에 ‘란, 량, 력, 로, 론, 료, 례, 령’ 등이
접사처럼 붙어 이뤄진 말들의 경우 ‘ㄴㄴ’으로 발음된다.
 ‌의견란 → [의견난], 생산량 → [생산냥], 결단력 → [결딴녁],
구개음화 입원료 → [이붠뇨], 상견례 → [상견녜]

모음 ‘ㅣ’나 반모음 ‘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 앞에서 잇몸소리 ‘ㄷ, ㅌ’이 각각 형태소 내부의 구개음화
구개음화의 개념 형태소 내부에서 일어난 구개음
구개음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구개음화’에서 ‘구개음’은 센입천장소리를 화의 예로는 ‘티다[打]>치다’,
25 가리킨다. ‘둏다[好]>죻다 (>좋다)’ 등이
있다. 이것은 근대 국어 시기에
예 굳 - + - 이 → [구지], 밭 + 이 → [바치] ▶ 구개음화의 개념과 예 일어난 음운 변화이다.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57


둘 이상의 자음이 연쇄된 것.

● ‘탈락’의 개념 탈락은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이다. 「자음군 단순화, ‘ㅎ’ 탈락, ‘ㄹ’ 탈락, ‘ㅡ’
탈락의 개념 「 」 : 탈락의 유형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
현상 탈락」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탈락 현상의 개념과 유형

● ‘탈락’의 유형
자음군 단순화
음절 끝에 위치한 두 자
자음군
음 중 하나가 탈락하는
단순화 음절 끝에서는 하나의 자음밖에 발음될 수 없기 때문에 두 자음 중 하나가 탈락
현상
자음군 단순화가 발생하는 이유 자음군 단순화의 개념
용언의 어간 말 ‘ㅎ’이 모 하는 현상이다. 예 흙 → [흑], 삶 → [삼 ː], 값 + 도 → [갑또], 앉 - + - 는 → [안는] 5
‘ㅎ’ 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탈락 접미사 앞에서 탈락하는 ▶ 자음군 단순화의 개념과 예
현상

용언의 어간 말 ‘ㄹ’이 특
‘ㄹ’
정 어미 앞에서 탈락하
‘ㅎ’ 탈락
탈락
는 현상
용언의 어간 말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용언의 어간 말 ‘ㅡ’가 모
‘ㅡ’ ‘ㅎ’ 탈락의 개념
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탈락 어미나 접미사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이다.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예 ‌좋 - + - (으)ㄴ → [조 ː 은], 놓 - + - 아 → [노아],

잃 - + - 어 → [이러], 쌓 - + - 이 - + - 다 → [싸이다] 10
▶ ‘ㅎ’ 탈락의 개념과 예

‘ㄹ’ 탈락

용언의 어간 말 ‘ㄹ’이 특정 어미 앞에서 탈


‘ㄹ’ 탈락의 개념
락하는 현상이다.
예 ‌날 - + - 는 → [나는], 갈 - + - 니 → [가 ː 니],

살 - + - ㄴ → [산 ː], 불 - + - 오 → [부 ː 오] 15
▶ ‘ㄹ’ 탈락의 개념과 예

‘ㅡ’ 탈락

용언의 어간 말 ‘ㅡ’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ㅡ’ 탈락의 개념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이다.
● ‘첨가’의 개념과 유형 예 ‌쓰 - + - 어 → [써], 잠그 - + - 아도 → [잠가도]
▶ ‘ㅡ’ 탈락의 개념과 예
없던 음운이 새로 끼어드
개념 는 현상

‘ㄴ’ 첨가: 파생어나 합성 첨가는 없던 음운이 새로 끼어드는 현상이다. ‘ㄴ’ 첨가가 대표적이다. 20
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나 반 첨가의 개념 첨가의 유형 ▶ 첨가 현상의 개념과 유형
유형 모음 ‘j’로 시작하는 경우,
앞뒤의 말 사이에 ‘ㄴ’이
첨가되는 현상
‘ㄴ’ 첨가

파생어나 합성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나 반모음 ‘j’로 시작하
‘ㄴ’ 첨가의 개념

는 경우, 앞뒤의 말 사이에 ‘ㄴ’이 첨가되는 현상이다.
자음군 둘 이상의 자음이 연쇄
된 것. 예 맨 - + 입 → [맨닙], 솜 + 이불 → [솜 ː 니불], 색 + 연필 → [생년필] ▶ ‘ㄴ’ 첨가의 개념과 예
※그 외의 첨가 현상 :
반모음 첨가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반모음이 첨가되는 현상)  되어 → [되어/되여]

58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축약은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으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거센소리되기(유
축약의 개념 축약의 유형
기음화)가 대표적이다. ▶ 축약 현상의 개념과 유형

거센소리되기(유기음화)
‘ㅎ’의 유기성
예사소리 ‘ㅂ, ㄷ, ㄱ, ㅈ’이 ‘ㅎ’과 합쳐져 거센소리 [ㅍ, ㅌ, ㅋ, ㅊ]으로 발음되는 거센소리되기는 ‘ㅎ’의 유기성 때
거센소리되기의 개념
문에 일어난다. 그러나 ‘ㅎ’의 유
5 현상이다. 예 입학 → [이팍], 낳 - + - 다 → [나 ː 타], 많 - + - 고 → [만 ː 코], 좋 - + - 지 → [조 ː 치]
기성은 ‘ㅋ, ㅌ, ㅍ, ㅊ’에 비해서
는 약한 편이다. ‘ㅎ’은 음성적으
로 예사소리와 거센소리의 중간
적 성질을 지닌 소리라고 할 수
있다.

● ‘축약’의 개념과 유형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 거센소리되기의 개념과 예 개념 음운으로 발음되는 현상

거센소리되기(유기음화) :
지금까지 표준 발음법에 근거하여 국어의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을 살펴보았다. 예사소리 ‘ㅂ, ㄷ, ㄱ, ㅈ’
유형 이 ‘ㅎ’과 합쳐져 거센소
리 [ㅍ, ㅌ, ㅋ, ㅊ]으로 발
그런데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은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다. 현실 발음에서는 ‘ㅔ’와 음되는 현상
 눈[眼] 눈[雪 ː], 말[馬] 말[言 ː], 밤[夜] 밤[栗 ː] 등
‘ㅐ’가 잘 구별되지 않는다거나, 말소리의 길이에 따른 의미 변별이 점차 사라져 가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이 차이가 나는 예
는 것 등이 그 예이다. 「언어 규범은 오랜 기간 고정되어 있는 반면 실제 언어는 끊
「 」 :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10 임없이 변하는 까닭에
」 이러한 차이가 생겨난다. 따라서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을
언어의 역사성 : 언어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음운이나 어휘 등의 측면에서 생성, 성장, 소멸하며 변화하는 특성
정확히 이해하고 올바른 발음을 익히는 동시에 실제 언어생활에서 관찰되는 현실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의 차이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발음과 표준 발음의 차이 또한 인식할 필요가 있다.
▶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와 이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1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음운 변동의 유형에는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교 체 ,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탈 락 , 없던 음운이 새로 끼어드는 첨 가 ,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
의 음운으로 발음되는 축 약 이/가 있다.

2 다음 단어들을 소리 나는 대로 적고, 어떤 음운 변동이 일어났는지 써 보자.

단어 발음 음운 변동 단어 발음 음운 변동

물난리 [ 물랄리 ] 유음화 한여름 [ 한녀름 ] ‘ㄴ’ 첨가


거센소리되기
외곬 [ 외골 ] 자음군 단순화 끓지 [ 끌치 ]
(유기음화)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59


1 제시된 단어 카드를 활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돼지 되지 왼 웬

⑴ ‌ 사람씩 짝을 지은 후, 한 사람이 카드의 단어들을 임의의 순서로 부르면 다른



한 사람이 그것을 받아 적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⑵ ‌
표기상 구별되는 모음이 발음상으로도 구별되는지 확인해 보고, 발음이 구별되지
않는다면 그 까닭을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돼지’와 ‘되지’의 모음 ‘ㅙ’와 ‘ㅚ’, ‘왼’과 ‘웬’의 모음 ‘ㅚ’와 ‘ㅞ’가 발음상 구별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표기상
구별되는 모음이 발음상으로는 구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 이유는 규범으로 정해 놓은 표기는 고정되어 있는
반면 실제 발음(현실 발음)은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ㅙ’, ‘ㅚ’, ‘ㅞ’는 현대 중앙어(중부 방언)의 청년층의 말에서
는 사실상 구별되지 않으며, 이들은 모두 [wE]로 발음된다(이때 [E]는 모음 높이(조음 시 혀의 높이)상 ‘ㅔ[e]’와 ‘ㅐ[]’
의 중간에 해당하는 발음이다.). ‘ㅙ’와 ‘ㅞ’가 구별되지 않는 이유는 ‘ㅔ’와 ‘ㅐ’가 합류되어 [E]로 발음됨으로 인해 더
이상 구별되지 않게 된 것이다. 또한, 이들 이중 모음과 ‘ㅚ’가 구별되지 않는 이유는 ‘ㅚ’가 현실 발음에서는 대부분
단모음 ‘ㅚ[]’가 아닌 이중 모음 [wE]로 발음되고 있기 때문이다.

2 다음 단어의 음운 변동 과정을 자음 체계와 관련하여 알아보자.


예시 답안

변동 음운 조음 위치 조음 방법
‘엌’의 음절 끝 ‘ㅋ’이
파열음
부엌문 ㅋ 여린입천장소리 ‘ㄱ’ (으)로 바뀌는
거센소리 음절의 끝소리 현상 이/가

일어남.
파열음
부억문 ㄱ 여린입천장소리 비음 ‘ㅁ’ 앞의 파열음
예사소리 ‘ㄱ’ 이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 ‘ㅇ’으로 바
뀌는 비음화 이/가
여린
[부엉문] ㅇ 비음
일어남.
입천장소리

60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3 라디오 방송 대본을 소리 내어 읽어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조선 시대의 설 풍습 가운데 흥미로운 게 하나 있습니다. 아이들이 설을 맞아 서당


에서 글을 가르쳐 주시는 훈장님께 세배를 가면, 훈장님은 세뱃돈 대신 짐승 이름을
쓴 종이를 하나씩 봉투에 담아 줬습니다. 아이들은 집에 돌아가 그 종이를 꺼내 머리
맡에 붙여 놓죠. 어떤 짐승들의 이름이 쓰여 있었을까요?
기가 세고 성급한 아이에게는 소 우(牛) 자, ‘소처럼 진득해져라.’ 이런 뜻이겠죠.
약삭빠른 아이에게는 돼지 시(豕), 게으른 아이에게는 닭 계(鷄), 주의력이 산만한 아
이에게는 거위 아(鵝), 욕심 많은 아이에게는 양 양(羊), 행동거지가 느린 아이에게는
말 마(馬) 자를 써 준답니다. 아이가 봉투를 받아 오면 부모는 짐승값을 챙깁니다. 곡
식 됫박이나 찬거리를 마련해서 훈장님께 가져다주는 거죠. “소값이요!”, “닭값이요!”
라고 이름을 붙이고서 말이죠. 아이들이 자신의 부족한 점을 깨닫고 스스로 반성하게
만드는 이런 풍습, 참 멋지지 않습니까?
 - 엠비시(MBC), 「타박타박 역사 기행」 , 2017년 1월 29일 방송

⑴ 다음 단어를 발음할 때 어떤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지 써 보자.


예시 답안

단어 발음 음운 변동

성급한 [ 성그판 ] 거센소리되기

붙이고서 [ 부치고서 ] 구개음화

멋지지 [ 먿찌지 ] 음절의 끝소리 현상, 된소리되기

예시 답안 ⑵ ‌밑줄 친 부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 현상의 공통점을 말해 보자.


‘닭, 써, 만드는’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 현상의 공통점은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인 ‘탈락’이라는 점이다. ‘닭 → [닥]’에서는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고, ‘쓰 - + - 어 → [써]’에서는 ‘ㅡ’ 탈락이 일어나고, ‘만들 - + - 는 → [만드는]’에서는 ‘ㄹ’ 탈락이 일어난다.
⑶ ‌다음 표준 발음법 규정에 따라 발음해야 하는 부분을 찾고, 정확한 발음을 적어 보자.

제 12 항 받침 ‘ㅎ’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1. ‌‘ㅎ(ㄶ, ㅀ)’ 뒤에 ‘ㄱ, ㄷ, ㅈ’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
서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
2. ‘ㅎ(ㄶ, ㅀ)’ 뒤에 ‘ㅅ’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ㅅ’을 [ㅆ]으로 발음한다.
3. ‘ㅎ’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한다.
4. ‌‘ㅎ(ㄶ, 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
을 발음하지 않는다.

예시 답안
놓죠 [노초], 많은 [마는], 않습니까 [안씀니까]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61


4 만화를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아, 더워. 입 떼고 마셔.
나도 물 좀 줘.

야, 입 떼고 마시라고!
입 대고 마시라며?

⑴ 밑줄 친 부분의 발음을 적고, 두 사람의 대화에서 오해가 생긴 까닭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밑줄 친 •입 떼고 [ ] [입떼고](표준 발음), [입떼고/입때고](현실 발음)


부분의 발음 •입 대고 [ ] [입대고](표준 발음), [입대고/입데고/입때고/입떼고](현실 발음)

음운 체계의 현실 발음에서 모음 ‘ㅔ’와 ‘ㅐ’가 잘 구분되지


관점 않기 때문이다.
오해가 생긴
까닭 현실 발음에서 ‘입 대고’라는 말은 ‘입’과 ‘대고’ 사이에 쉼을 두지
음운 변동의 않고 발음하면 된소리되기가 일어나(‘ㅂ’ 뒤에서 ‘ㄷ’이 된소리인
관점 [ㄸ]이 될 수 있으므로) [입때고]로 발음할 수 있어 ‘입 떼고’와 ‘입
대고’의 2음절의 초성 발음이 [ㄸ]으로 같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⑵ ‌위와 같은 오해가 발생할 수 있는 사례를 한 가지씩 더 찾아서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김밥 싸 와.”와 “김밥 사 와.”의 경우 된소리되기로 인해 발음이 같아질 수 있다. “빨리 낳으세요.”와 “빨리 나으세요.”
의 경우에도 ‘ㅎ’ 탈락으로 인해 발음이 같아진다. “식혀 먹어.”와 “시켜 먹어.”도 거센소리되기로 인해 발음이 같아진
다. 그 밖에 ‘게’와 ‘개’처럼 ‘ㅔ’와 ‘ㅐ’가 발음상 구별되지 않는 경우도 이러한 사례에 포함될 수 있다.

62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5 모둠별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둠 구성원 모두 다음 단어를 발음해 보고, 둘 중 어떻게 발음한 사람이 많은지



결과를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선릉 [설릉]으로 발음한 사람: 

[선능]으로 발음한 사람: 

음운론 [으물론]으로 발음한 사람: 

[으문논]으로 발음한 사람: 

광안리 [광알리]로 발음한 사람: 

[광안니]로 발음한 사람: 


예시 답안
‘선릉’을 [설릉]으로, ‘음운론’을 [으물론]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들 단어에서 ‘유음화’라는 음운 변동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반면, ‘선릉’을 [선능]으로
‘음운론’을 ‘[으문논]’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들 단어에서 ‘ㄹ의 비음화’라는 음운 변동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동일한 음운론적 조건 환경에서 일어
날 수 있는 음운 변동이 둘 이상 공존할 때, 이들 음운 변동은 경쟁 관계에 있다고 한다. ‘ㄴㄹ’ 연쇄에서의 ‘유음화’와 ‘ㄹ의 비음화’는 이러한 의미
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음운 변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쟁 관계의 음운 변동 간에도 세력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과 세대에 따
라서도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또한 표준 발음법’(제 5 장 음의 동화, 제 20 항, 다만.) 해설에서도 한자어에서 ‘ㄴ’과 ‘ㄹ’이 결합하면서도 [ㄹㄹ]로 발
음되지 않고 [ㄴㄴ]으로 발음되는 예들이 있는데, 이것은 실제의 발음을 고려하여 정한 것이기에 [ㄴㄴ]으로 발음하는 단어와 [ㄹㄹ]로 발음하는
단어는 개별적으로 정하여 사전에 그 발음을 표시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처럼 ‘ㄴ’과 ‘ㄹ’이 결합할 때의 발음은 일률적이지 않으므로 실제
의 발음을 고려해야 하는데, 그 실제 발음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위 단어들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발음될 수 있는 것이다.
⑵ ‌위 단어들의 표준 발음을 조사해 보자.
예시 답안

선릉 음운론 광안리

표준 발음이
[설릉] [으문논]
제시되지 않음.
예시 답안
• [광안니]가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선릉[설릉]’과 ‘음운론[으문논]’으로 ‘ㄴㄹ’의 연쇄를 달리 발음하는 것은 단어 경계의 인식 차이에 따른 발음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ㄴㄹ’이 연쇄될 때 [ㄴㄴ] 또는 [ㄹㄹ]으로 발음될 수 있는데, 단어에 경계가 없다고 인식할 때
[ㄹㄹ]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어 ‘선릉[설릉]’과 같이 발음하고, ‘음운론(음운/론)’과 같이 경계가 있다고 인식할 때 [ㄴㄴ]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어 ‘음운론[으문논]’과 같이 발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으로 본다면 ‘광안리’는 ‘광안/리’와 같이 단어의 경계가 있는 편에 속한다
고 볼 수 있으므로 ‘ㄹ의 비음화’가 일어난 [ㄴㄴ]으로 발음하여 [광안니]로 발음하는 것이 표준 발음으로 더 적절하다.
•‌[광알리]가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로마자 표기 용례 사전」(국립국어원, 2000)을 참고하면, ‘광안리 (해수욕장)’의 로마자 표기법이 ‘Gwangalli’
이다. 그러므로 ‘광안리’는 ‘유음화’가 일어난 [ㄹㄹ]로 발음하여 [광알리]로 발음하는 것이 표준 발음으로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⑶ ‌
<보기>를 참고하여 위 단어들이 개인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까닭을 이야기해
보고, 모둠별로 논의하여 ‘광안리’의 표준 발음을 정해 보자.
보기

‘ㄴ’과 ‘ㄹ’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 유음화와 ‘ㄹ’의 비음화가 경쟁 관계에 놓인다.
‘인력’은 [일력]으로 발음하지만, ‘흡인력’은 [흐빈녁]으로 발음하는 것과 같이 같은 조
건에서 다르게 발음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 바로 그 때문이다.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63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품사의 분류와 단어의 구조와 단어 간의 의미
특성 형성 관계 • ‌품사에 따른 개별 단어의
특성 탐구하기
• ‌단어의 짜임과 형성 과정,
의미 관계 탐구하기
●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

공통된 성질을 바탕으로


개념 단어들을 갈래지은 것

분류 듣기 자료
‘형태’, ‘기능’, ‘의미’
기준
소단원 (2) 바탕글 듣기

● ‘형태’에 따른 품사의 분류 품사의 분류와 특성


문장에서 모습을 바꾸
불변어 지 않는 단어 공통된 성질을 바탕으로 단어들을 갈래지은 것을 품사라고 한다. 품사를 분류하
품사의 개념
문장에서 모습을 바꿀 는 기준으로는 흔히 ‘형태’, ‘기능’, ‘의미’가 꼽힌다. ▶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
가변어 수 있는 단어
품사 분류 기준
※ 체언이 서술어가 되게 만드는 조사인 ‘형태’에 따른 분류는 어떤 단어가 상황에 따라 모습을 바꾸는지 여부를 따지는 10
서술격 조사 ‘- 이다’는 다른 조사와 달리 품사 분류 기준 ① ‘형태’에 따른 품사 분류의 의미
‘이다, 이면, 이니…’ 등에서처럼 형태가 것이다. ‘나무’처럼 문장에서 모습을 바꾸지 않는 단어를 ‘불변어’라고 하고, ‘가다’
바뀔 수 있어 가변어에 속함. 불변어의 예 불변어의 개념 가변어의 예
처럼 ‘가고’, ‘가면’, ‘가서’와 같이 그 모습을 바꿀 수 있는 단어를 ‘가변어’라고 한다.
가변어의 개념 ▶ ‘형태’에 따른 품사의 분류
‘기능’에 따른 분류는 단어가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따지는 것이다. 문장은 ‘무엇
품사 분류 기준 ② ‘기능’에 따른 품사 분류의 의미
이 무엇이다’, ‘무엇이 어떠하다’, ‘무엇이 무엇을 어찌하다’, ‘어떤 무엇이 어떻게 어
문장 구조의 예
찌하다’ 등으로 그 구조를 나눌 수 있다. 이때 ‘무엇’의 자리에 쓰이는 것을 ‘체언’이 15
체언의 개념
라고 하고, ‘어떠하다’나 ‘어찌하다’의 자리에 쓰이는 것을 ‘용언’이라고 한다. 또 ‘어
용언의 개념
떤’이나 ‘어떻게’의 자리에 쓰이는 것을 ‘수식언’이라고 하고, ‘무엇이’의 ‘이’나 ‘무엇
수식언의 개념
품사의 분류 을’의 ‘을’처럼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관계언’이라고 한다. ‘아’, ‘어머’
형태 기능 의미 관계언의 개념

명사
처럼 한 문장에서 다른 단어들과 특별한 관련이 없는 것은 ‘독립언’이라고 한다.
독립언의 개념 ▶ ‘기능’에 따른 품사의 분류
체언 대명사 ‘의미’에 따른 분류는 어떤 단어의 구체적인 의미가 아니라 일정한 단어의 무리가 20
수사 품사 분류 기준 ③ ‘의미’에 따른 품사 분류의 의미

불변어 관형사 가지는 추상적인 의미를 따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들
수식언 명사의 개념
부사
을 ‘명사’, 명사를 대신하는 단어들을 ‘대명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단
독립언 감탄사 대명사의 개념 수사의 개념
조사 어들을 ‘수사’라고 한다. 또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동사’, 사물
동사의 개념
관계언 서술격 조사
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들을 ‘형용사’라고 한다. 그리고 ‘어떤’의 의미로
‘이다’ 형용사의 개념
가변어
동사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는 단어들을 ‘관형사’, ‘어떻게’의 의미로 뒤에 오는 말을 수식 25
용언 관형사의 개념 부사의 개념
형용사
하는 단어들을 ‘부사’라고 하고,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 가운데 서술격 조사 ‘이 조사의 개념
다’만 가변어로 인정된다. 단어들을 ‘조사’, 놀람, 느낌, 부름, 대답 등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감탄사’라고 한다.
감탄사의 개념 ▶ ‘의미’에 따른 품사의 분류

64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이렇게 모두 아홉 개로 분류된 국어의 품사는 저마다 일정한 특성을 지니고 있 ● ‘기능’에 따른 품사의 분류

문장의 ‘무엇’의 자리에


다. 먼저 체언의 특성을 살펴보자. 체언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가 있다. 체언 쓰이는 것
체언의 종류
문장의 ‘어떠하다’, ‘어
용언 찌하다’의 자리에 쓰이
는것
•독립은 김구 선생이 그토록 바라던 것이었다.
문장의 ‘어떤’이나 ‘어떻
고유 명사 의존 명사 수식언 게’의 자리에 쓰이는 것
•나도 너도 이것을 어디에서 샀는지 잘 모른다.
1인칭 대명사 2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지시 대명사 문장의 ‘무엇이’의 ‘이’나
‘무엇을’의 ‘을’처럼 다른
5 •부부가 아이 둘을 모두 훌륭한 사람으로 키웠다. 관계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
양수사 보통 명사 는것

한 문장에서 다른 단어
독립언 들과 특별한 관련이 없
명사에는 ‘김구’와 같이 다른 것들과 구별하여 부르는 고유 명사가 존재하는데 이 는것
고유 명사의 예 고유 명사의 개념
는 특정한 대상을 지시한다는 점에서 ‘사람’처럼 같은 종류의 모든 사물에 두루 쓰
고유 명사의 특징 보통 명사의 예 보통 명사의 개념
이는 보통 명사와 차이가 있다. 또한 명사 가운데는 ‘것’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 ● 체언의 종류
의존 명사의 예
고 꾸며 주는 말과 함께 쓰여야 하는 의존 명사가 있다. 일반적인 명사들은 홀로 쓰 명사
보통 명사, 고유 명사,
의존 명사, 자립 명사
의존 명사의 개념 자립 명사의 개념
10 일 수 있으므로 자립 명사라고 한다. 대명사에는 ‘나’나 ‘너’처럼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 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의 예 인칭 대명사
수사 서수사, 양수사
것과, ‘이것’, ‘어디’처럼 사물이나 장소를 가리키는 것이 있다. 사람을 가리키는 대
지시 대명사의 예 지시 대명사의 개념 인칭 대명사의 개념
명사에는 인칭의 구별이 있어 ‘나’는 1인칭, ‘너’는 2인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
인칭 대명사의 특징 ①
한 ‘나’는 ‘우리’, ‘너’는 ‘너희’처럼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따로 있는 것도 특성이다. ● 용언의 종류와 특성
인칭 대명사의 특징 ②
•‌목적어를 가질 수 있음.
수사에는 ‘첫째’, ‘둘째’와 같이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사와 ‘하나’, ‘둘’과 같이 수량을 •‌‘- 는’, ‘- 는다’, ‘- 는구
서수사의 예 서수사의 개념 양수사의 예 양수사의 개념 동사 나’와 결합할 수 있음.
15 나타내는 양수사가 있다. 서수사와 양수사 모두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들’과 결 •‌청유형과 명령형이 가
능함.
수사의 특성
합할 수 없다는 특성이 있다. ▶ 체언의 종류와 특성 •‌목적어를 가질 수 없음.
•‌‘- 는’, ‘- 는다’, ‘- 는구
형용사 나’와 결합할 수 없음.
•‌청유형과 명령형이 불
가능함.
다음으로 용언의 특성을 살펴보자. 용언에는 동사와 형용사가 있다.
용언의 종류

•도서관에 책을 읽는 학생들이 많구나.


동사 형용사
•다음 역에서 내리자. 짐들 빠짐없이 다 챙겨라.
동사 동사

동사의 특성 ① - 목적어를 가짐.


20 동사는 ‘책을’과 같은 동작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
를 가질 수 있고, ‘읽는’, ‘읽는다’, ‘읽는구나’와 같이
동사의 특성 ② - 현재를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 ‘- 는’이나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는 -’과 결합 가능함. 동사의 청유형과 명령형
‘-는’, ‘-는다’, ‘-는구나’와 결합할 수 있지만 형용 일반적으로 동사는 청유형과 명
령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흐르
사는 그럴 수 없다. 또 동사는 보통 ‘내리자’, ‘챙겨 다’, ‘피다’와 같이 작용을 나타내
청유형의 예 명령형의 예
는 동사의 경우 의인화 등의 방
라’와 같이 청유형과 명령형이 가능하지만 형용사
동사의 특성 ③ - 청유형과 명령형이 가능함. 형용사의 특성 ③ - 청유형과 명령형이 불가능함. 법이 아니면 청유형과 명령형으
25 는 그럴 수 없다는 차이도 있다. ▶ 용언의 종류과 특성 로 실현되기 어렵다.

형용사의 특성 ①, ② - 목적어를 가지지 못하며, 관형사형 어미 ‘- 는’이나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는 -’과 결합하지 못함.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65


● 수식언의 종류와 특성 수식언에는 관형사와 부사가 있다. 이들은 서로 꾸미는 대상이 다르다.
수식언의 종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관형사 나타내 주며, 언제나 체
언만을 꾸며 줌.
•헌 건물을 부수고 새 건물을 지었다.
용언을 꾸며 주는 것이
관형사 관형사
일반적이나 다른 부사나
부사 •잠을 너무 많이 자면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도 있다.
절, 문장 전체를 꾸며 주
기도 함. 부사 부사 부사

‘헌’이나 ‘새’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 주는 관형사인데 관형사는 언제


수사와 수 관형사의 구별 관형사의 예 관형사의 개념

‘지켜야 할 것 가운데 첫째가 안


나 체언만을 꾸며 준다. 부사는 ‘많이’와 같이 용언을 꾸며 주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5
관형사의 특성 부사의 특성 ①
전이다.’의 ‘첫째’처럼 조사와 결 ●
‘너무’처럼 다른 부사를 꾸며 주기도 하고, ‘오히려’처럼 절이나 문장 전체를 꾸며
합하여 쓰이는 것은 수사이고, 부사의 특성 ② 주어와 술어를 갖추었으나 독립하여 쓰 부사의 특성 ③
‘첫째 아이’의 ‘첫째’처럼 체언 앞 주기도 한다. 이지 못하고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 수식언의 종류와 특성
에 쓰이며 조사와 결합하지 못하 쓰이는 단위.

는 것은 수 관형사이다.
● 관계언의 종류와 특성
관계언에는 조사가 있다. 조사는 다른 품사와 달리 결합하는 말에 일정한 특성이
주어나 부사어, 목적 관계언의 종류


어 등의 자격을 나타 있다.
내며 주로 체언과 결

합함.


조 단어나 구를 같은 자
속 •내가 누나와 동생에게 선물을 주었다. 10
사 격으로 이어 주며 주

로 체언과 결합함. 주격 조사 접속 조사 부사격 조사

•저 산은 아까는 가지도 못할 것 같았다.
보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 보조사 보조사 보조사
조 며 체언이나 부사, 어
사 미와 결합함.

문장에서 ‘가’, ‘에게’, ‘을’과 같이 주어나 부사어, 목적어 등의 자격을 나타내는 격


격 조사의 예 격 조사의 개념
격 조사의 종류
조사나, ‘와’와 같이 단어나 구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접속 조사는 주로 체언
주격 조사 이 / 가, 께서 등 접속 조사의 예 접속 조사의 개념 격 조사와 접속 조사의 특성
목적격 조사 을 / 를 과 결합한다. ‘산은’, ‘아까는’의 ‘은’,
보조사의 예 ①
관형격 조사 의
‘는’과 같이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 15
에, 에서, (으)로, 보조사의 개념
부사격 조사
에게 등 는 보조사는 체언뿐만 아니라 부
보격 조사 이/가 보조사의 특성 ①

호격 조사 아/야
사에도 결합할 수 있고 ‘가지도’의
서술격 조사 이다 ‘도’처럼 어미에도 결합할 수 있다.
보조사의 예 ② 보조사의 특성 ②
그러나 관형사와는 어떤 경우에도
보조사의 특성 ③
결합하는 일이 없다. ▶ 관계언의 종류와 특성 20

● 독립언의 종류와 특성

문장의 다른 단어와 특
감탄사
별한 관련이 없어 문장 독립언에는 감탄사가 있다. 감탄사는 문장의 다른 단어와 특별한 관련이 없기
에서 놓이는 위치가 상 독립언의 종류 감탄사의 특성
대적으로 자유로움.
때문에 다음 문장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놓이는 위치가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절 주어와 술어를 갖추었으나
독립하여 쓰이지 못하고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쓰이는 단위. •‌글쎄, 내가 말했잖아요. / 내가, 글쎄, 말했잖아요. / 내가 말했잖아요, 글쎄.
▶ 독립언의 종류와 특성

66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하나의 단어는 하나의 품사로 사용되는 일이 기본이지만 하나의 단어가 두 개 이 ● 품사 통용의 개념과 예
‘품사 통용’의 개념
하나의 단어가 두 개 이상
상의 품사로 사용되는 일도 있다. 이를 ‘품사 통용’이라고 한다. 개념
의 품사로 사용되는 일

‘모두가 합심하여 문제
를 모두 해결하였다.’에서

‘모두’가 명사와 부사로
•모두가 합심하여 문제를 모두 해결하였다. 사용됨.
명사 부사

‘전체’라는 의미를 지님.


‘모두가’의 ‘모두’는 격 조사와 결합하였다는 점과 그 의미로 보아 명사임을 알 수
‘모두’를 명사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
5 있다. 반면에 ‘모두 해결하였다’의 ‘모두’는 ‘빠짐없이’의 의미로 뒤에 오는 동사를
‘모두’를 부사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
수식하고 있으므로 부사임을 알 수 있다. ▶ 품사 통용의 개념과 예

● 단어(單語)의 정의와 특징
단어란 분리하여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나 이에 준하는 말, 또는 그 말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말
을 뜻한다. 자립적으로 쓸 수 있다는 것은 의미를 유지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 분리해서 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모자’, ‘빨리’ 등과 같은 국어의 명사, 부사는 하나의 자립 형태소로서 단어를 이룰 수 있지만, ‘먹다’의 어
간 ‘먹-’이나 어미 ‘-다’는 자립 형식이 아니므로 동사나 형용사의 경우 ‘먹는다’와 같이 반드시 어간과 어미가 결합된 형
태가 자립성을 갖는 하나의 단어가 된다. 또한 ‘것, 수’ 등의 의존 명사나 ‘이/가, 을/를’ 등의 조사(助詞)는 최소 자립 형식
이라고 할 수 없기는 하지만, 의존 명사는 다른 단어와 동일한 통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조사는 부분적인 분리성
을 지니고 있기에 단어로 규정될 수 있다.

1 다음 문장의 단어들을 품사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보자.

아! 저 멋진 경치를 너희 둘과 함께 보고 싶다.

아 저 멋진 경치 를 너희 둘 과 함께 보고 싶다

1단계
불변어 불변어 가변어 불변어 불변어 불변어 불변어 불변어 불변어 가변어 가변어
형태

2단계
독립언 수식언 용언 체언 관계언 체언 체언 관계언 수식언 용언 용언
기능

3단계
감탄사 관형사 형용사 명사 조사 대명사 수사 조사 부사 동사 형용사
의미

2 다음 두 문장에서 ‘오늘’의 품사가 각각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오늘의 날씨는 어떨까요? 명사
•오늘 해야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자. 부사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67


● 형태소의 종류

분류 기준 종류

의미의 실질(어휘) 형태소, 형식


실질성 (문법) 형태소
단어의 구조와 형성 자립성 의존 형태소, 자립 형태소

의미를 가지는 말의 최소 단위를 형태소라고 한다. 이때 의미는 어휘적인 것뿐만


형태소의 개념 형태소 분류 기준 ① - 의미의 실질성
이 아니라 문법적인 것도 포함한다. 가령 ‘푸르다’라는 단어는 어휘적인 의미를 지
실질(어휘) 형태소의 개념
닌 형태소 ‘푸르-’와 문법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 ‘-다’가 결합한 것이다. 이때 어
실질(어휘) 형태소의 예
휘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 ‘푸르-’를 실질 형태소 혹은 어휘 형태소라고 하고, 문 5
● 어근과 접사의 개념과 예
법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 ‘-다’를 형식 형태소 혹은 문법 형태소라고 한다.
단어에서 의미의 중심부를 형식(문법) 형태소의 개념 형식(문법) 형태소의 예 ▶ 형태소의 개념과 의미의 실질성에 따른 형태소의 종류
이루는 부분 형태소는 자립성에 따라서도 그 종류를 나눌 수 있다. ‘푸르-’나 ‘-다’는 문장에서
어근
 ‌‘개살구’의 ‘살구’, ‘먹이’
의 ‘먹-’ 형태소 분류 기준 ② - 자립성의 유무 의존 형태소의 예
자립적으로 쓰일 수 없기 때문에 의존 형태소라고 하고, ‘하늘’과 같은 형태소는 문
단어에서 의미의 주변부를 의존 형태소의 개념 자립 형태소의 예
이루는 부분
접사
 ‌‘개살구’의 ‘개-’, ‘먹이’ 장에서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자립 형태소라고 한다.
의 ‘-이’ 자립 형태소의 개념 ▶ 자립성에 따른 형태소의 종류

형태소 가운데는 새로운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것들이 있다. 이때 의미의 중심부 10


단독으로 쓰이지 아니하고 항상 다른 어근이나 단어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구성하는 부분.
어근과 어간 ●

어근은 단어를 형성할 때 실질적


를 이루는 부분을 어근이라고 하고 주변부를 접사라고 한다. 가령 ‘개살구’, ‘먹이’
어근의 개념 파생어에서의 어근의 예
의미를 지닌 중심 부분이고 어간
라는 단어에서는 의미의 중심부를 이루는 ‘살구’와 ‘먹-’이 어근이 되고, 주변부인
은 용언의 활용에서 변하지 않는 파생어에서의 접사의 예
부분이다. ‘먹이다’의 경우 어근 ‘개-’와 ‘-이’가 접사가 된다. ‘눈물’이라는 단어에서는 ‘눈’과 ‘물’ 둘 다 의미의 중심
은 ‘먹-’이고 어간은 ‘먹이-’이다. 합성어에서의 어근의 예
어간은 용언에만 쓰이는 개념이 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모두 어근의 자격을 갖는다.
기 때문에 체언인 ‘눈물’의 경우
어간이 없다.
개살구 먹이 눈물
● 접사의 종류

분류 개 - + 살구 먹- + -이 눈  + 물
종류
기준 접사 어근 어근 접사 어근 어근

놓이는 ▶ 어근과 접사의 개념과 예


접두사, 접미사
위치
접사는 놓이는 위치에 따라 그 종류를 나눌 수 있다. ‘개살구’의 ‘개-’처럼 어근의 15
한정적 접사,
기능 접사의 분류 기준 ① 접두사의 예
지배적 접사
앞에 오는 것을 접두사라고 하고, ‘먹이’의 ‘-이’처럼 어근의 뒤에 오는 것을 접미사
접두사의 개념 접미사의 예 접미사의 개념

‘먹다’의 구조 라고 한다. 또한 기능에 따라 나누면 ‘개살구’의 ‘개-’처럼 일정한 의미만을 더할 뿐


접사의 분류 기준 ② 한정적 접사의 예
용언의 경우 어간이 형태소 하나
어근의 품사와 동일한 품사의 단어를 만드는 접사를 한정적 접사라고 하고, ‘먹이’의
로 이루어져 있으면 단일어이다. 한정적 접사의 개념 지배적 접사의 예
예를 들어 ‘먹다’는 형태소 두 개 ‘-이’처럼 어근의 품사와 다른 품사의 단어를 만드는 접사를 지배적 접사라고 한다.
로 이루어져 있지만 단일어로 처 지배적 접사의 개념 ▶ 놓이는 위치와 기능에 따른 접사의 종류
리한다. 이때의 ‘- 다’는 종결 어
미로서 새로운 단어 형성의 기능
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일 단어는 형태소 하나로 이루어진 것과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눌 수 20
단어의 분류 기준 - 단어의 구조(단어의 구성 방식)
어라는 점을 강조하여 ‘먹다’를
있다. ‘하늘’, ‘바다’처럼 형태소 하나로 이루어진 단어를 단일어라고 하고 ‘개살구’,
‘먹 -’처럼 표현하는 일도 있다. 단일어의 예 단일어의 개념
● ‘먹이’, ‘눈물’, ‘덮밥’처럼 형태소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복합어라고 한다.
접사 단독으로 쓰이지 아니하 복합어의 예 복합어의 개념
고 항상 다른 어근이나 단어에 복합어는 다시 ‘개살구’, ‘먹이’처럼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파생어와 ‘눈물’, ‘덮밥’
붙어 새로운 단어를 구성하는 파생어의 예 파생어의 개념 합성어의 예
부분. 처럼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합성어로 나눌 수 있다. ▶ 구성 방식에 따른 단어의 종류
합성어의 개념

68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단어 단일어 예 하늘, 바다

복합어 파생어 예 개살구, 먹이

합성어 예 눈물, 덮밥

통사적 합성어의 예 - 명사 + 명사 통사적 합성어의 개념


합성어 가운데는 ‘눈물’, ‘밤낮’처럼 어근의 배열 방식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 단일어와 복합어
비통사적 합성어의 예 - 용언의 어간 + 명사, 용언의 어간 + 용언
형태소 하나로 이루어진
배열 방식과 동일한 것도 있지만 ‘덮밥’, ‘검붉다’처럼 다른 것도 있다. 앞엣것을 통 단일어
단어  ‘하늘’, ‘바다’ 등
비통사적 합성어의 개념 - 어근의 배열 방식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 방식과 다른 것
사적 합성어라고 하고 뒤엣것을 비통사적 합성어라고 한다.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 형태소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로, 다시
‘덮밥’, ‘검붉다’가 비통사적 합성어인 이유 - ‘덮은밥’, ‘검고붉다’처럼 용언의 어간은 어미와 결합하여 나타나야 함.
복합어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
어 배열 방식을 따른다면 어간인 ‘덮-’, ‘검-’은 어미와 결합하여 나타나야 한다. 뉨.
▶ 어근의 배열 방식에 따른 합성어의 종류  ‘개살구’, ‘눈물’ 등
5 복합어 가운데는 합성어나 파생어로 간주하기 힘든 것도 있다. 최근 축약의 방법
● 합성어와 파생어
으로 만들어진 신조어들이 그 예이다. ‘열공(열심히 공부함.)’과 ‘국대(국가 대표)’는
축약어의 예 ①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
합성어
두 단어의 앞 음절만 따서 결합한 축약어이고, ‘칼제비(칼국수와 수제비를 한번에 어  ‘눈물’, ‘덮밥’ 등
축약어의 예 ②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맛볼 수 있는 음식)’와 ‘쌈추(쌈용 배추)’는 앞 단어의 앞부분과 뒤 단어의 뒷부분을 파생어 단어  ‘개살구’, ‘먹이’

따서 결합한 축약어이다. 이들 축약어는 파생어보다는 합성어에 가깝지만 전형적
축약어의 특징 - 단어와 단어가 결합하여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어근과 어근이 결합한 합성어와
10 인 합성어와는 차이가 있다. ▶ 축약어의 종류와 특성 ●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
성어
유사하지만 단어의 일부분만을 가져와 결합시켰다는 점에서 어근 전체가 결합한 합성어와 차이가 있음.
이상에서 언급한 ‘파생어’, ‘합성어’, ‘축약어’는 단어를 그 구조에 따라 분류한 것 어근의 배열 방식이 우
구조에 따른 단어의 분류 단어 형성 방법의 분류 통사적 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이고, 이들의 단어 형성 방법을 이를 때는 각각 ‘파생’, ‘합성’, ‘축약’이라고 한다. 합성어 배열 방식과 동일한 것
 ‘눈물’, ‘밤낮’ 등
▶ 구조에 따른 단어의 분류와 단어 형성 방법의 분류
어근의 배열 방식이 우
비통
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사적
배열 방식과 다른 것
합성어
 ‘덮밥’, ‘검붉다’ 등

● 축약어

파생어보다는 합성어에
특징 가깝지만 전형적인 합성
어와는 차이를 보임.
1 다음 표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예 ‘열공’, ‘칼제비’ 등

형태소 하늘 이 푸르- -다

형태소의 실질성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종류 자립성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 의존 형태소 의존 형태소

2 다음 단어들을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로 분류해 보자.

단어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

헛살다, 어깨동무, 바다,  어깨동무,


바다, 민들레 헛살다, 날개
여닫다, 날개, 민들레 여닫다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69


● 유의 관계의 개념과 특징 단어 간의 의미 관계
말소리는 다르지만 단어
개념 의 의미가 서로 비슷한 단어들 가운데는 서로 일정한 의미 관계를 보이는 것이 있다. 그중 말소리는 다
경우
르지만 의미가 서로 비슷한 경우를 유의 관계라고 하고 이러한 관계에 있는 단어들
단어 간의 의미가 비슷한
유의 관계의 개념 유의어의 개념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여
특징 항상 서로 대치하여 쓸 수 을 유의어라고 한다.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
지 않은 경우도 존재함.

•꿈틀대다 - 꿈틀거리다 5

•속 - 안 / 참다 - 견디다

그런데 그 의미가 비슷한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꿈틀대다’와 ‘꿈틀거리다’는 그


유의 관계의 특징 - 의미의 유사성 정도에 차이가 있음. 언제나 서로 대치하여 쓸 수 있는 유의 관계의 예

의미가 매우 비슷해서 거의 언제나 서로 대치하여 쓸 수 있다. 그러나 ‘속’과 ‘안’의
언제나 서로 대치하여 쓸 수 있는 유의어가 지닌 특징 다른 것으로 바꾸어 놓다. 서로 대치하여 쓸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하는 유의 관계의 예 ①
경우 ‘건물 속’과 ‘건물 안’처럼 서로 대치하여 쓸 수도 있지만 ‘가난 속에서’처럼 ‘속’
을 ‘안’으로 바꾸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참다’와 ‘견디다’도 ‘구두가 열에 잘 견딘 10
서로 대치하여 쓸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하는 유의 관계의 예 ②
다.’와 같이 사물이 주어일 때는 ‘견딘다’ 대신 ‘참는다’를 대치하여 쓸 수 없다.
▶ 유의 관계와 유의어의 개념과 특징

● 반의 관계의 개념과 특징 둘 이상의 단어에서 의미가 서로 짝을 이루어 대립하는 경우는 반의 관계라고 하


반의 관계의 개념
둘 이상의 단어에서 의미
개념 가 서로 짝을 이루어 대
고 이러한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반의어라고 한다.
립하는 경우 반의어의 개념

정도의 측면에서 대립하는


특징 경우와 상호 배타적으로
대립하는 경우가 존재함. •길다 - 짧다 / 쉽다 - 어렵다
길이의 정도, 난이도의 정도의 측면에서 대립하는 경우로, 길지도 짧지도 않거나 쉽지도 어렵지도 않은 중간의 정도가 존재함.
•참 - 거짓 / 살다 - 죽다 15

반의 관계는 ‘길다-짧다’, ‘쉽다-어렵다’처럼 정도의 측면에서 대립하는 경우도


정도의 측면에서 대립하는 반의 관계의 예 반의 관계의 특징 ①
있고, ‘참-거짓’, ‘살다-죽다’처럼 상호 배타적으로 대립하는 경우도 있다.
상호 배타적으로 대립하는 반의 관계의 예 반의 관계의 특징 ② ▶ 반의 관계와 반의어의 개념과 특징
● 상하 관계의 개념과 특징

한 단어가 의미상 다른 단 한 단어가 의미상 다른 단어를 포함하거나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는 상


개념 어를 포함하거나 다른 단 상하 관계의 개념
어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
하 관계라고 한다. 이때 포함하는 단어를 상의어라고 하고, 포함되는 단어를 하의
•‌포함하는 단어를 상의 상의어의 개념 - 의미상 다른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하의어의 개념 - 의미상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단어
어, 포함되는 단어를 하 어라고 한다. 20
의어라 함.
특징 •‌상의어일수록 일반적이
고 포괄적인 의미를, 하
의어일수록 개별적이고
한정적인 의미를 지님. •식물 - 나무 / 나무 - 소나무


대치하다 다른 것으로 바꾸어
놓다. ‘식물-나무’의 관계에서 ‘식물’은 상의어, ‘나무’는 하의어이다. 그러나 ‘나무-소나
상하 관계 의미상 ‘식물’이 ‘나무’를 포함하는 단어이며, ‘나무’는 ‘식물’에 포함되는 단어임. 상하 관계

70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무’의 관계에서는 ‘나무’가 상의어, ‘소나무’가 하의어이다. 대체로 상의어일수록 일
의미상 ‘나무’가 ‘소나무’를 포함하는 단어이며, ‘소나무’는 ‘나무’에 포함되는 단어임.
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하의어일수록 개별적이고 한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상의어와 하의어의 특징 ▶ 상하 관계와 상의어, 하의어의 개념과 특징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려면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도 알아야 한다. 다의어 ● 다의어와 동음이의어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가
는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가진 단어를 일컫고 동음이의어는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 다의어
진 단어
다의어의 개념 동음이의어의 개념
5 른 단어를 가리킨다. 동음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
이의어 른 단어

손01 「명사」 손02 「명사」


「1」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부분. 손등, 「1」 다른 곳에서 찾아온 사람.
손바닥, 손목으로 나뉘며 그 끝에 「2」 여관이나 음식점 따위의 영업하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있어, 무엇을 장소에 찾아온 사람.
10 만지거나 잡거나 한다. 「3」 지나가다가 잠시 들른 사람.
「2」 = 손가락. 「4」 = 손님마마.
「3」 = 일손 「3」.
「4」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사람의 힘
손03 「명사」 『민속』
이나 노력, 기술.
날짜에 따라 방향을 달리하여 따라다니
15 「5」 어떤 사람의 영향력이나 권한이 미
면서 사람의 일을 방해한다는 귀신.
치는 범위.
「6」 사람의 수완이나 꾀.

‘손’은 사전에서 ‘01, 02, 03’과 같이 구분하여 풀이하고 있는데, 이는 ‘손’이라는


사전에서 동음이의어를 표기하는 방법
단어가 동음이의어로 쓰임을 나타낸다. 한편 이 가운데 ‘손01’, ‘손02’를 보면 뜻풀이가
20 여러 개 제시되어 있다. 뜻풀이가 하나만 제시되어 있는 ‘손03’과 비교해 보면 ‘손01’,
사전에서 다의어를 표기하는 방법
‘손02’는 뜻이 여러 개 있는 다의어임을 알 수 있다.
▶ 사전에서의 ‘손’의 뜻풀이를 통해 살펴본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특징

1 다음 단어들이 서로 어떤 의미 관계에 놓여 있는지 생각하여 빈칸을 채워 보자.


감정 상하 관계 기쁨 반의 관계 슬픔 유의 관계 비애

2 ‌다음 문장들에 나오는 ‘다리’의 의미 관계를 고려하여 빈칸에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구분


하여 써 보자.

다리를 건너다. / 친구들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다. / 다리에 쥐가 나다.


다의어 동음이의어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71


1 다음 대화를 바탕으로 품사의 특성을 탐구해 보자.

항상 따뜻하게 보살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늘만큼 큰 은혜 잊지 않을게요. 앞으로도 늘 건강하세요.

그래, 우리 모두 지금보다 더 행복하자.


열심히 노력한 만큼 꼭 뜻을 이룰 거야. 포기하지 말고. ^^

⑴ ‌
품사 분류 기준 중 ‘의미’를 적용하여, 밑줄 친 단어들을 동사와 형용사로 분류해
보자.
예시 답안

동사 형용사

동사 : 잊지, 이룰, 포기하지, 말고 형용사 : 따뜻하게, 건강하세요, 행복하자

⑵⑴
 을 바탕으로 활용형이 잘못된 단어들을 찾고, 잘못된 까닭을 설명해 보자.
예시 답안

잘못된 단어들 잘못된 까닭

건강하세요, ‘건강하다’, ‘행복하다’는 사람의 상태를 나타내고 ‘건강한다’, ‘행복한다’가


행복하자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형용사인데 각각 명령형과 청유형으로 잘못 사용되
고 있다.

⑶  대화에 쓰인 ‘만큼’의 품사가 각각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띄어쓰기가 다른 이



유를 설명해 보자.
예시 답안
‘하늘만큼’의 ‘만큼’은 체언 뒤에서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내는 조사(격 조사)이고, ‘노력한 만큼’의
‘만큼’은 앞의 내용에 상당한 수량이나 정도임을 나타내는 말로서 관형어 ‘노력한’의 수식을 받는 명사(의존 명
72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사)이다. 이로 인해 조사 ‘만큼’은 앞말에 붙여 쓰고 명사 ‘만큼’은 앞말과 띄어 쓰는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2 다음 글을 읽고 단어의 형성 방법을 알아보자.

오늘 온 가족이 벚꽃 놀이를 다녀온 후 중국집에 갔다. 이런저런 음식들을 시켜 놓고 이야


기를 나누다 보니 탕수육이 나왔다. 그런데 막냇동생이 별안간 탕수육에 소스를 부어 버렸
다. 나는 부먹파 아니고 찍먹파인데! 화가 치솟아 속이 부글부글하였지만, 철없는 동생이 모
르고 한 일이니 그냥 참기로 하였다. 아무리 생각해도 나는 정말 너그러운, 참 좋은 맏형이다.

⑴ ‌
밑줄 친 단어들을 합성어와 파생어로 분류하고, 파생어는 다시 품사가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해 보자.
예시 답안

합성어 이런저런, 철없는

품사가 변하지 않은 것 치솟아, 맏형


파생어
품사가 변한 것 놀이, 생각해도

⑵⑴
‌ 에서 파생어로 분류한 단어들의 접사가 접두사인지 접미사인지 구분해 보고,
접사의 의미나 역할을 추측해 보자.
예시 답안

단어 접사(접사의 종류) 접사의 의미나 역할

치솟아 치-(접두사) ‘위로 향하게’ 또는 ‘위로 올려’의 뜻을 더함.

맏형 맏 - (접두사) 놀이, 생각해도

놀이 - 이(접미사) 동사의 어간에 붙어 명사를 만듦.

생각해도 - 하다(접미사) 명사에 결합하여 동사를 만듦.

⑶  음은 ‘부먹파’와 ‘찍먹파’라는 단어가 형성된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빈칸에 들어



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예시 답안

의미 만든 단어 단어 형성 방법

부어 먹기 부먹
1단계 축약
찍어 먹기 찍먹

‘부먹’하는 사람 부먹파
2단계 파생
‘찍먹’하는 사람 찍먹파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73


3 다양한 단어 형성 방법을 활용하여 다음 상황에 어울리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보자.
예시 답안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상황 만든 단어(활용한 방법)

예 껍질칼(합성),
채소의 껍질을 얇게 벗겨 내는 데 사용하는 칼인
채껍칼(축약, 합성),
‘필러(peeler)’를 우리말로 어떻게 부르면 좋을까?
껍질깎개(합성, 파생)

많은 사람이 모이는 인기 있는 장소를 뜻하는 ‘핫 인기장(파생),


인장(← 인기 장소)(축약),
플레이스(hot place)’를 우리말로 순화해 봐야지. 뜨는곳(합성)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직접 찾아가서 봉사하는 도움이뜰(파생, 합성), 두손모아


(합성), 직봉사(← 직접 찾아 봉
우리 동아리의 이름은 무엇으로 할까? 사하는 사람들)(축약)

몸에 좋은 음료를 손수 만들어 판매하는 가게에는 건강음료옹달샘(합성)


맛수소(맛있는 수제 음료
어떤 이름을 붙이면 좋을까? 판매소)(축약, 파생)

4 다음 활동을 하며 단어의 의미 관계를 탐구해 보자.

⑴ 다음 각 속담에서 밑줄 친 말들의 의미 관계가 어떠한지 적어 보자.


예시 답안

속담 의미 관계

가는 날이 장날. 상하 관계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반의 관계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반의 관계

감기 고뿔도 남을 안 준다. 유의 관계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상하 관계

팔이 안으로 굽지 밖으로 굽나. 반의 관계

74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⑵⑴
 의 속담에 사용된 단어의 다른 의미들을 살펴보고 빈칸을 채워 보자.
예시 답안

다의어 주로 약 따위가 효험을 나타


듣다 듣다
내다.
사람이나 동물이
소리를 감각 기관을
눈물, 빗물 따위의 액체가 방
통해 알아차리다. 듣다
동음이의어 울져 떨어지다.

남쪽.
동음이의어 남

자기 이외의
다른 사람. 아무런 관계가 없거나 관계를

다의어 끊은 사람.

⑶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예시 답안

단어의 뜻은 문맥에 따라 달라지므로 유의어나 반의어가 여럿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낯을 씻어라.’에 쓰인 ‘낯’의 유의어는 ‘얼굴’ (이)지만, ‘너를 볼 낯이 없다.’에
쓰인 ‘낯’의 유의어는 ‘면목’이 된다. 또 ‘날이 서다.’에 쓰인 ‘서다’의 반의어는 ‘무뎌지
다’이지만, ‘질서가 서다.’에 쓰인 ‘서다’의 반의어는 ‘무너지다’ 이/가 된다.

5 ‘이다’가 다른 조사 및 용언과 공통되는 특성을 각각 정리해 보고, ‘이다’의 품사를 조


사로 인정할 경우 품사 분류 기준 중 ‘형태’와 관련하여 생기는 문제를 말해 보자.
예시 답안

다른 조사들과 공통되는 특성
•책이, 책을, 책에, 책과 ……
일반적인 조사와 마찬가지로 ‘이다’도 체언 뒤에
•책이다
결합함.

용언과 공통되는 특성
•‌책이 어렵고, 책이 어려우니, 책이 어
려워서, 책이 어렵게 …… 일반적인 용언과 마찬가지로 ‘이다’도 다양한 어
•‌책이고, 책이니, 책이어서, 책이게 …… 미와 결합함.

품사 분류 기준인 ‘형태’는 단어가 상황에 따라 모습을 바꾸는지 여부를 따지는 것인데 ‘이다’를 조사로 인
정할 경우 조사 가운데 ‘이다’의 경우만 가변어에 해당하게 되므로 조사는 불변어인 경우와 가변어인 경우
가 혼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다’의 존재 때문에 조사의 경우에는 ‘형태’라는 품사 분류 기준을 일관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75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3) 소단원 (3) 소단원 (3) 소단원 (3) 소단원 (3)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문장의 짜임 문법 요소
• ‌문장의 짜임 이해하기
•문법 요소의 개념
•홑문장과 겹문장의 개념 • ‌문법 요소의 종류와 표현
•‌높임 표현, 시간 표현, 피동과 사동
•겹문장의 종류
표현, 부정 표현, 인용 표현 효과 탐구하기

● 겹문장의 종류

이어진 둘 이상의 문장이 연결 ● ‌문장의 짜임에 따른 문장의


문장 어미로 연결되어 있는 것 종류

하나의 문장에 다른 문 주어와 서술어가 하나씩


안은 듣기 자료 홑문장
장이 문장 성분의 자격 있는 문장
문장 소단원 (3) 바탕글 듣기
으로 들어가 있는 것
주어와 서술어가 둘 이
겹문장 상 있는 문장
● 이어진문장의 종류 문장의 짜임
앞뒤 절의 순서를 바꾸
어도 의미에 큰 변화가
주어와 서술어가 하나씩 있는 문장을 홑문장이라고 하고, 둘 이상 있는 문장을 겹
대등적 없으며, ‘나열’의 ‘-고’, 홑문장의 개념 겹문장의 개념
연결 ‘대조’의 ‘-지만’, ‘선택’ 문장이라고 한다. 주어는 생략되는 일이 많아 주로 서술어의 수로 이를 구별한다.
의 ‘-거나’ 등의 연결 어 홑문장과 겹문장의 구별 방법
미가 사용됨.

앞뒤 절의 순서를 바
꾸면 의미가 달라지 •어제 나는 친구에게 편지를 받았다. - 홑문장
며, ‘원인’의 ‘-아/-어
서’, ‘-(으)니까’, ‘조건’의 홑문장의 예 - ‘나는’(주어), ‘받았다’(서술어)
종속적
연결 ‘-(으)면’, ‘-거든’, ‘양보’ •어제 나는 친구에게 편지를 받았는데, 그 편지에는 정성이 가득 담겼다. 10
의 ‘-아/-어도’, ‘-더라 이어진문장의 예 - ‘나는’(주어), ‘받았다’(서술어) + ‘- 는데’(연결 어미) + ‘정성이’(주어), ‘담겼다’(서술어) 겹문장
도’ 등의 연결 어미가 사
용됨.
•어제 나는 친구에게 정성이 가득 담긴 편지를 받았다.
안은문장의 예 - ‘나는’(주어), ‘받았다’(서술어) : 안은문장, ‘정성이’(주어), ‘담기다’(서술어) : 안긴문장 ▶ 홑문장과 겹문장의 개념과 구별 방법

겹문장에는 이어진문장과 안은문장이 있다. 「둘 이상의 문장이 연결 어미로 연결


겹문장의 종류 어간에 붙어 다음 말에 연결하는 구실을 하는 어미.


되어 있는 것은 이어진문장이고,
」 하나의 문장에 다른 문장이 문장 성분의 자격으로
「 」 : 이어진문장의 개념 안은문장의 개념
들어가 있는 것은 안은문장이다. 세 번째 문장에서 ‘정성이 가득 담긴’은 ‘어제 나는
체언 앞에서 체언의 뜻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문장 성분. 안긴문장
친구에게 편지를 받았다.’라는 문장에 관형어의 자격으로 안겨 있다. 15
안은문장 ▶ 이어진문장과 안은문장의 개념과 예
이어진문장에는 「대등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과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
「 」 : 이어진문장의 종류
장이
」 있다. 이어진문장에는 연결 어미가 사용된다.
이어진문장의 특징

•이 아이는 상완이고 저 아이는 희영이야. - 대등적 연결


‘이 아이는’(주어), ‘상완이다’(서술어) + ‘- 고’(연결 어미) + ‘저 아이는’(주어), ‘희영이다’(서술어)
•날씨가 좋으면 오후에 잠깐 산책하러 가자. - 종속적 연결
‘날씨가’(주어), ‘좋다’(서술어) + ‘- (으)면’(연결 어미) + (주어 ‘우리’ 생략), ‘산책하러 가자’(서술어)

첫 번째 문장은 대등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으로, 앞뒤 절의 순서를 바꾸어도 20


대등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의 특징


의미에 큰 변화가 없다. 반면 두 번째 문장은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으로,
연결 어미 어간에 붙어 다음 말
에 연결하는 구실을 하는 어미. 앞뒤 절의 관계가 대등하지 않기 때문에 순서를 바꾸면 의미가 달라진다.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의 특징 ▶ 대등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과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의 특징과 예

76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대등적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어미에는 ‘나열’의 ‘-고’, ‘대조’의 ‘-지만’, ‘선택’의
대등적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어미의 종류 대등적 연결과 종속적 연결
‘-거나’ 등이 있다. 종속적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어미에는 ‘원인’의 ‘-아/-어서’, 동일한 연결 어미가 대등적 연결
과 종속적 연결에 모두 사용되기
‘-(으)니까’, ‘조건’의 ‘-(으)면’, ‘-거든’, ‘양보’의 ‘-아/-어도’, ‘-더라도’ 등이 있다.
종속적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어미의 종류 ▶ 대등적 연결과 종속적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어미의 종류 도 한다. ‘-고’는 ‘나는 빵을 먹었
고, 동생은 밥을 먹었다.’에서는
「 」 : 안은문장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 대등적 연결 어미로 사용되었지만
안은문장은 「그 안에 들어가 있는 안긴문장의 성격에 따라」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

‘손을 씻고 밥을 먹어라.’에서는 종
안은문장 속에 절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문장.
속적 연결 어미로 사용되었다.
5 장, 관형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안긴문장의 종류
인용절을 가진 안은문장으로 나누어진다. 「안은문장에는 보통
「 」 : 안은문장의 특징

전성 어미가 사용된다.」 ▶ 안은문장의 종류와 특징
용언의 어간에 붙어 다른 품사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어미.

•나는 네가 영원히 행복하기를 바란다.


명사절

위 문장은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이다. ‘네가 영원히 행복하기’는 체언이 주로 ● 안긴문장의 종류 ❶

명사형 전성 어미
10 사용되는 목적어 자리에 쓰였다. ‘나는 행복을 바란다.’를 위 문장과 비교해 보면 명 특
‘- 기’와 ‘- (으)ㅁ’이 붙
명사절의 특징 ① 명 징
어 명사처럼 사용됨.

사인 ‘행복’ 자리에 ‘네가 영원히 행복하기’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네가 영원히 절
나는 네가 영원히 행

복하기를 바란다.
행복하다.’라는 문장에 명사형 전성 어미 ‘-기’를 붙여서 명사처럼 사용한 것이다.
명사절의 특징 ② 관형사형 전성 어미
명사형 전성 어미에는 ‘-기’와 ‘-(으)ㅁ’이 있다. ▶ 명사절의 특징과 예 특 ‘- (으)ㄴ’, ‘- 는’, ‘- 던’,
관 징 ‘- (으)ㄹ’이 붙어 관형
명사형 전성 어미의 종류 형 사처럼 사용됨.

절 동생이 색종이로 만든
예 쟁반을 어머니께 선물
•동생이 색종이로 만든 쟁반을 어머니께 선물했다. 했다.
관형사절
부사형 전성 어미

‘- 게’, ‘- 도록’ 등이 붙
부 징
어 부사처럼 사용됨.
15 위 문장은 관형사절을 가진 안은문장이다. ‘색종이로 만든’은 체언을 수식하는 관 사

관형사절의 특징 ① 도라지꽃이 빛깔도 곱

형어 자리에 쓰였다. ‘동생이 새 쟁반을 어머니께 선물했다.’를 위 문장과 비교해 보 게 피어 있다.

따로 전성 어미가 붙
면 관형사인 ‘새’ 자리에 ‘색종이로 만든’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색종이로 (쟁반 서
특 지 않고 주어의 상태
징 나 행위를 서술하는

서술어 자리에 쓰임.
을) 만들다.’라는 문장에 관형사형 전성 어미 ‘-ㄴ’을 붙여서 관형사처럼 사용한 것 절
관형사절의 특징 ② 예 바닷가가 공기가 좋다.
이다. 관형사형 전성 어미에는 ‘-(으)ㄴ’, ‘-는’, ‘-던’, ‘-(으)ㄹ’이 있다.
관형사형 전성 어미의 종류 ▶ 관형사절의 특징과 예

20 •도라지꽃이 빛깔도 곱게 피어 있다.


부사절


안긴문장 안은문장 속에 절의
위 문장은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이다. ‘빛깔도 곱게’는 용언을 수식하는 부사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문장.
부사절의 특징 ① ●
어 자리에 쓰였다. ‘도라지꽃이 한가득 피어 있다.’를 위 문장과 비교해 보면 부사인 전성 어미 용언의 어간에 붙어
다른 품사의 기능을 수행하게
‘한가득’ 자리에 ‘빛깔도 곱게’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빛깔도 곱다.’라는 문장에 하는 어미.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77


부사형 전성 어미 ‘-게’를 붙여서 부사처럼 사용한 것이다. 부사형 전성 어미에는
전성 어미와 품사 부사절의 특징 ②

전성 어미는 어떤 절의 문법적
‘-게’, ‘-도록’ 등이 있다. ▶ 부사절의 특징과 예
부사형 전성 어미의 종류
성격을 임시로 바꾸어 주는 역할
을 한다. 따라서 전성 어미가 붙
을 때 그 단어의 품사가 변하는 •바닷가가 공기가 좋다.
것은 아니다. ‘만든’은 동사이지 서술절
관형사가 아니고, ‘곱게’는 형용
사이지 부사가 아니다.
위 문장은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이다. ‘공기가 좋다’는 주어의 상태나 행위를
서술절의 특징 ①
서술하는 서술어 자리에 쓰였다. ‘바닷가가 시원하다.’를 위 문장과 비교해 보면 서 5

술어인 ‘시원하다’ 자리에 ‘공기가 좋다’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명사절, 관형사


절, 부사절과 달리 서술절에는 전성 어미가 따로 없다. ▶ 서술절의 특징과 예
서술절의 특징 ②

● 안긴문장의 종류 ❷ - 인용절 •선생님께서 “너 금요일까지 보고서 내야 돼.”라고 말씀하셨다.


직접 인용절
누군가의 말이나 생각
직접 을 직접 인용한 부분으 •선생님께서 내가 금요일까지 보고서를 내야 된다고 말씀하셨다.
인용절 로, 따옴표를 하고 조사
‘(이)라고’를 붙임. 간접 인용절

누군가의 말이나 생각을


간접 간접적으로 인용한 부분
인용절 으로, 따옴표를 하지 않 위 두 문장은 인용절을 가진 안은문장이다. 누군가의 말이나 생각을 인용한 부분 10
고 조사 ‘고’를 붙임. 인용절의 개념
을 인용절이라고 한다. 인용절에는 전성 어미 대신 조사 ‘(이)라고’, ‘고’가 사용된다.
인용절의 특징
인용절에는 직접 인용절과 간접 인용절이 있는데 직접 인용절에는 따옴표를 하고
인용절의 종류 직접 인용절의 특징
조사 ‘(이)라고’를 붙인다. 간접 인용절에는 따옴표를 하지 않고 조사 ‘고’를 붙이는
긴접 인용절의 특징
데, 이때 종결 어미는 해라체로 바꾸고 대명사도 화자의 관점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
▶ 인용절의 개념과 종류

다음 문장의 종류를 찾아 바르게 연결해 보자.

승준이가 자기도 찬성한다고 얘기했어요.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연희가 집으로 돌아갔음이 분명하다. 관형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네 전화를 눈이 빠지도록 기다렸어.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수호는 마당이 있는 집에서 살았다.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우리 학교는 시설이 좋다. 인용절을 가진 안은문장

78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문법 요소 ● 높임 표현의 개념과 종류

화자가 어떤 대상을 대우
국어에서는 높임, 시간, 피동, 사동, 부정, 인용 등의 개념이 일정한 문법 형식으 개념 하는 태도가 언어 형식으
문법 요소의 개념 로 표현된 것
로 표현되는데 이들을 문법 요소라고 한다. 다음에서 문법 요소의 종류와 표현 효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
종류
법, 상대 높임법
과를 탐구해 보자. ▶ 문법 요소의 개념

5 「화자가 어떤 대상을 대우하는● 태도가 언어 형식으로 표현된 것을 높임 표현이라 ● ‌주체 높임법의 개념과 실현

「 」 : 높임 표현의 개념 어떤 사회적 관계나 태도로 대하다. 방법
고 한다. 높임법에는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이 있다. 문장의 주어가 지시하는
높임법의 종류 ▶ 높임 표현의 개념과 종류 개념
대상을 높이는 것

주격 조사 ‘께서’, 선어말
실현 어미 ‘- (으)시 -’, ‘주무시
•할아버지께서 집으로 가신다. → 직접 높임법 방법 다’, ‘잡수시다, ‘계시다’
주격 조사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등의 몇몇 동사로 표현됨.
•할아버지께서는 시력이 좋으시다. → 간접 높임법
종류 직접 높임, 간접 높임
주격 조사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주체 높임법은 문장의 주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이는 것이다. 「주체 높임법은 주 ● ‌객체 높임법의 개념과 실현 방
주체 높임법의 개념 「 」 : 주체 높임법의 실현 방법 법
10 격 조사 ‘께서’, 선어말 어미 ‘-(으)시-’, 혹은 ‘주무시다’, ‘잡수시다’, ‘계시다’와 같은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
활용 어미에 있어서 맨 뒤에 오는 어말 어미 앞에 나타나는 어미. 개념 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이
몇몇 동사로 표현된다.」 첫 번째 문장은 주격 조사 ‘께서’를 쓰고 서술어에는 선어말 는것
첫 번째 문장의 주체 높임법 실현 방법 ① 첫 번째 문장의 주체 높임법 실현 방법 ②
부사격 조사 ‘께’나 ‘모시
어미 ‘-(으)시-’를 붙여 ‘할아버지’를 높였다. 두 번째 문장의 경우 주어의 지시 대상 실현 다’, ‘드리다’, ‘뵙다’, ‘여쭈
첫 번째 문장의 높임의 대상. 문장의 주체를 높였으므로 직접 높임법임. 방법 다’ 등의 몇몇 동사로 표
은 ‘시력’이지만, 그것이 ‘할아버지의 시력’이기 때문에 서술어에 ‘-(으)시-’를 사용 현됨.
두 번째 문장의 높임의 대상과 관련된 대상 ‘시력’을 높인 이유 두 번째 문장의 주체 높임법 실현 방법
하여 ‘할아버지’를 간접적으로 높였다. ▶ 주체 높임법의 개념과 실현 방법
두 번째 문장의 높임의 대상 간접 높임법

15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높임 표현의 오용과 남용


목적어 객체 높임의 특수 동사
높임 표현을 잘못 사용하거나 과
•할머니께 선물을 드렸다.
부사격 조사 객체 높임의 특수 동사 도하게 사용하는 현상을 자주 발
견할 수 있다. ‘저에게 여쭈어 보
세요.’는 객체 높임의 동사 ‘여쭈
객체 높임법은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이는 것으로, 부사 다’로 ‘저’를 높이고 있으므로 잘
객체 높임법의 개념
못된 문장이다. ‘이 옷은 손빨래
격 조사 ‘께’나 ‘모시다’, ‘드리다’, ‘뵙다’, ‘여쭈다’와 같은 몇몇 동사로 표현된다. 첫 번
가 안 되세요.’는 주체 높임의 선
객체 높임법의 실현 방법
째 문장은 ‘데리고’ 대신에 ‘모시고’를 써서 목적어의 지시 대상인 ‘할머니’를, 두 번 어말 어미 ‘-(으)시-’가 필요하지
첫 번째 문장의 객체 높임법 실현 방법 첫 번째 문장의 높임의 대상 않은 상황에서 이를 과도하게 붙
20 째 문장은 ‘주었다’ 대신에 ‘드렸다’를 써서 부사어의 지시 대상인 ‘할머니’를 높였다. 여 사용한 것이다.
두 번째 문장의 높임의 대상

•선생님, 지금 눈이 와요.

청자 해요체(비격식체) 대우하다 어떤 사회적 관계나
•호진아, 지금 눈이 와. 태도로 대하다.
청자 해체(비격식체) ●
선어말 어미 활용 어미에 있어
서 맨 뒤에 오는 어말 어미 앞
상대 높임법은 화자가 청자를 대우하는 태도를 나타내며 주로 종결 어미로 표현 에 나타나는 어미.
상대 높임법의 개념 상대 높임법의 실현 방법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79


된다. 두 문장을 비교해 보면 청자가 누구냐에 따라 종결 어미가 달리 선택된다는
상대 높임법 체계 청자의 나이, 사회적 지위, 친분 관계 등에 따라. 이 밖에도 격식성, 화자의 의도나 목적 등에 영향을 받음.

•격식체
것을 알 수 있다. 상대 높임을 나타내는 표현에는 격식체와 비격식체가 있다. 격식
상대 높임을 나타내는 표현의 종류
하십시오체 •가십시오. 체 표현은 높임의 정도를 하십시오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의 네 등급으로 세분
(아주높임) •날씨가 좋습니다. 가십시오, 좋습니다 가오, 좋소 가게, 좋네 가라, 좋다

하오체 •가오. 하여 표시하고 주로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한다. 비격식체 표현은 높임의 정도를
격식체 표현의 특징
(예사 높임) •날씨가 좋소.
해요체와 해체의 두 등급으로만 나누어 표시하고 주로 사적인 자리나 친밀한 사이 5
하게체 •가게. 가요, 좋아요 가, 좋아 비격식체 표현의 특징
(예사 낮춤) •날씨가 좋네. 에서 사용한다. ▶ 상대 높임법의 개념과 실현 방법

해라체 •가라.
(아주낮춤) •날씨가 좋다.

•비격식체 다음으로 시간 표현을 알아보자. 상황이 발생한 시점을 표시하는 문법 요소를 시


시제의 개념
해요체 •가요. 제라고 한다. 시제는 보통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미래 시제로 나뉜다. 이는 화자가
(두루높임) •날씨가 좋아요. 시제의 종류
해체 •가. 말을 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사
시제 구분의 기준 과거 현재 미래
(두루낮춤) •날씨가 좋아.
건이 발생하는 시점인 사건시 10
과거 시제
● 상대
‌ 높임법의 개념과 실현 방 의 관계에 따른 구분이다. 과거 사건시 발화시

화자가 청자를 대우하는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개념 과거 시제의 개념
태도를 나타내는 것 현재 시제
앞선 것, 현재 시제는 사건시와 사건시 = 발화시
실현
종결 어미로 표현됨.
방법
발화시가 일치하는 것, 미래 시
격식체(하십시오체, 하오 현재 시제의 개념
종류 체, 하게체, 해라체), 비격 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나 미래 시제 15
식체(해요체, 해체)
미래 시제의 개념 발화시 사건시
중인 것이다.
▶ 시제의 개념과 종류

과거 시제는 주로 선어말 어미 ‘-았- / -었-’이나 ‘-았었- / -었었-’으로 표현된다.


과거 시제 표현 방법 ① 과거 시제 표현 방법 ②
이 외에 선어말 어미 ‘-더-’도 과거의 상황을 나타내는 데에 종종 사용된다.
과거 시제 표현 방법 ③

•재찬이는 노래를 (잘 불렀다. / 잘 불렀었다. / 잘 부르더라.)

일반적인 과거 시제는 ‘불렀다’와 같이 ‘-았-/-었-’으로 표현된다. ‘-았었-/-었 20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 았 - / - 었 -’의 기능
었-’은 과거에 있었던 상황이면서 현재와 다르거나 단절된 상황에 쓰인다. 위 문장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 았었 - / - 었었 -’의 기능
에서 ‘불렀었다’ 역시 과거의 상황을 표현하지만 ‘불렀다’와 비교하면 지금은 재찬
이가 노래를 잘 부르지 못한다는 의미가 덧붙기도 하고, 과거의 상황이 현재와 단
절된 상황이라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한편 ‘-더-’는 화자가 과거에 경험하였거나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 더 -’의 기능
깨달은 사실을 돌이켜 표현할 때 주로 쓰인다. 따라서 ‘부르더라’는 재찬이의 노래 25

를 직접 들었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 과거 시제의 표현 방법과 기능

80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우리 집 강아지가 밥을 맛있게 먹는다. ● 시제의 개념과 종류

상황이 발생한 시점을 표


개념
시하는 문법 요소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는 ‘-ㄴ- / -는-’이다. 위 문장에서 ‘-ㄴ- / -는-’ 과거


사건시가 발화시
보다 앞선 것
현재 시제 표현 방법
은 현재 시제를 표현한다. 그러나 ‘-ㄴ- / -는-’은 서술어가 동사이고 ‘-다’, ‘-구나’, 종류 현재
사건시와 발화시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ㄴ- / - 는 -’이 사용되는 경우 가 일치하는 것
‘-군’ 등 일부 어말 어미가 쓰일 때만 붙는다. 서술어에 형용사나 서술격 조사가 쓰 사건시가 발화시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ㄴ -/ - 는 -’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미래
보다 나중인 것
5 인 경우, 혹은 어말 어미가 ‘-다’, ‘-구나’, ‘-군’ 등이 아닌 경우에는 ‘산이 아름답다.’,
서술어에 형용사가 쓰인 경우
‘송희는 우리 학교 학생이다.’, ‘우리 집 강아지가 밥을 맛있게 먹네.’와 같이 현재를
서술어에 서술격 조사 ‘이다’가 쓰인 경우 어말 어미가 ‘- 다’, ‘- 구나’, ‘- 군’이 아닌 경우
표시하는 표현이 따로 나타나지 않는다. ▶ 현재 시제의 표현 방법과 사용 환경
기본형 자체로 현재 시제를 나타냄.

•내일부터 날이 추워지겠습니다. 기온은 계속 떨어질 것입니다. - 추측

•제가 더 노력하겠습니다. 저는 반드시 약속을 지킬 것입니다. - 의지

10 미래 상황을 나타낼 때에는 ‘-겠-’과 ‘-(으)ㄹ 것이-’가 많이 쓰인다. ‘-겠-’


미래 시제 표현 방법
미래와 추측
과 ‘-(으)ㄹ 것이-’는 ‘추측’의 의미를 표현하기도 하고, 화자의 ‘의지’를 표현 ‘-겠-’과 ‘-(으)ㄹ 것이-’가 반드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 겠 -’과 ‘- (으)ㄹ 것이 -’의 기능
하기도 한다. 화자가 추측과 의지를 표현하는 상황은 보통 미래의 상황이므로 시 미래 상황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새벽에 오느라고 추웠겠
‘-겠-’과 ‘-(으)ㄹ 것이-’는 주로 미래를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나 내년에 인천으 다.’는 과거 상황과 관련한 추측
미래의 상황에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ㄴ- / - 는 -’이 사용되는 경우의 예 을 표현한다. ‘그 애도 널 그리워
로 이사 간다.’와 같이 미래의 상황에 현재를 나타내는 시간 표현 ‘-ㄴ- / -는-’을 사 하고 있을 거야.’에서는 현재 상
황과 관련한 추측을 표현한다.
15 용하면 이미 계획되고 정해진 사실임을 강조하는 표현 효과가 있다.
미래의 상황에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ㄴ - / - 는 -’이 사용되는 경우의 표현 효과 ▶ 미래 시제의 표현 방법과 기능

한편 어떤 동작이 일어나는 모습을 표현하는 문법 요소를 동작상이라고 한다. 동


동작상의 개념
작상에는 어떤 동작이 진행되고 있음을 표현하는 진행상과, 동작이 이미 끝났음을
동작상의 종류
표현하는 완료상이 있다.

● 동작상의 개념과 종류

•윤지가 청바지로 가방을 (만들고 있었다. / 만들어 버렸다.) 개념


어떤 동작이 일어나는 모
습을 표현하는 문법 요소

어떤 동작이 진행
되고 있던 상태를

20 위 문장에서 ‘만들고 있었다’는 윤지가 청바지로 가방을 만드는 동작이 끝나지 표현하는 것으로,

‘-고 있다’, ‘-아/-

어 가다’ 등으로 표
않고 아직 진행되고 있던 상태를 표현한다. 반면 ‘만들어 버렸다’는 청바지로 가방 현함.
진행상의 기능 종류
어떤 동작이 이미
을 만드는 동작이 이미 끝났던 상태를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진행상은 ‘-고 있다’, 끝났던 상태를 표
완료상의 기능 완
현하는 것으로, ‘-

‘-아/-어 가다’ 등으로 표현하고, 완료상은 ‘-아/-어 있다’, ‘-아/-어 버리다’ 등으로 상
아/-어 있다’, ‘-
진행상의 표현 방법 완료상의 표현 방법 아/-어 버리다’ 등
으로 표현함.
표현한다. ▶ 동작상의 개념과 종류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81


(주어) (목적어) (능동사) 다음으로 피동 표현을 알아보자.
능동문 : 언니가 동생을 업었다.

피동문: 동생이 언니에게 업혔다. •언니가 동생을 업었다. - 능동문


(주어) (부사어) (피동사)

● 능동문과 피동문의 개념 •동생이 언니에게 업혔다. - 피동문

행동의 주체를 주어로


한 문장
능동문
 언니가 동생을 업었
다.
위와 같이 같은 상황을 두고서 ‘언니가 동생을 업었다.’로 표현할 수도 있고 ‘동생
행동의 대상을 주어로 이 언니에게 업혔다.’로 표현할 수도 있다. 첫 번째 문장은 행동의 주체를 주어로 한 5
한 문장
피동문
 동생이 언니에게 업
혔다. 문장이고, 두 번째 문장은 행동의 대상을 주어로 한 문장이다. 행동의 주체를 주어
능동문의 개념
로 한 문장을 능동문이라고 하고, 행동의 대상을 주어로 한 문장을 피동문이라고
피동문의 개념
피동문으로 바뀔 수 있는 능동
문의 요건
한다. 이때 「능동문의 목적어 ‘동생을’은 피동문의 주어 ‘동생이’에, 능동문의 주어
「 」 : 능동문과 피동문의 문장 구조 대응 관계
피동문은 능동문의 목적어를 주 ‘언니가’는 피동문의 부사어 ‘언니에게’에, 능동사 ‘업었다’는 피동사 ‘업혔다’에 각
어로 한 문장이라고 규정할 수도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서술어가 각 대응한다.」 ▶ 능동문과 피동문의 개념과 문장 구조 10
타동사여서 목적어를 가지고 있
는 능동문만이 피동문으로 바뀔 피동문에는 피동사를 이용한 피동문, 접미사 ‘-되다’, ‘-받다’, ‘-당하다’를 이용
단형 피동 장형 피동
수 있음을 뜻한다.
한 피동문, ‘-아/어지다’를 이용한 피동문이 있다. 피동사는 동사의 어간에 피동 접
미사 ‘-이-’, ‘-히-’, ‘-리-’, ‘-기-’가 붙어 만들어진 ‘보이다’, ‘먹히다’, ‘팔리다’, ‘쫓
기다’ 등을 말한다. ‘활용하다’, ‘사랑하다’, ‘침략하다’와 같이 접미사 ‘-하다’가 붙
● 피동문의 형성 방법과 기능 은 동사가 사용된 경우에는 ‘-하다’ 자리에 ‘-되다’, ‘-받다’, ‘-당하다’ 등을 사용한 15

•‌동사의 어간에 피동 접
미사 ‘- 이-’, ‘- 히-’,
‘활용되다’, ‘사랑받다’, ‘침략당하다’로 피동문을 만들기도 한다. ‘믿다’, ‘주다’와 같
‘- 리-’, ‘-기-’가 붙어
만들어진 피동사를 사 은 동사는 ‘-아 / -어지다’를 붙여 ‘믿어지다’, ‘주어지다’로 피동문을 만들 수 있다.
용함.
•‌접미사 ‘- 하다’가 붙은
형성
동사의 ‘- 하다’ 자리에 ‘-아 / -어지다’가 붙는 동사 중에는 ‘믿다’처럼 ‘믿기다’, ‘믿어지다’가 모두 가능한
방법
접미사 ‘- 되다’, ‘-받다’,
‘- 당하다’ 등을 붙여 만 동사도 있고, ‘주다’와 같이 ‘주어지다’만 가능하고 피동 접미사가 붙을 수 없는 동사
든 동사를 사용함.
•‌동 사 의 어 간 에
‘- 아/- 어지다’를 붙여 도 있다. ▶ 피동문의 종류와 형성 방법 20
만든 동사를 사용함.

•‌행동의 주체보다는 대
상을 부각하고 싶을 때
기능
사용함. •나뭇가지가 차를 긁었다. → 차가 나뭇가지에 긁히었다.
•‌행동의 주체를 굳이 드 능동문(행동의 주체인 ‘나뭇가지’를 부각함.) → 피동문(행동의 대상인 ‘차’를 부각함.)
러낼 필요가 없거나 드
러낼 수 없을 때 사용함.
•시상식에서 시상자가 내 이름을 불렀다. → 시상식에서 내 이름이 불리었다.
능동문(행동의 주체가 ‘시상자’임이 드러남.) → 피동문(행동의 주체가 ‘시상자’임이 드러나지 않음.)

「피동문은 행동의 주체보다는 대상을 부각하고 싶을 때, 혹은 행동의 주체를 굳이


「 」 : 피동문의 기능
드러낼 필요가 없거나 드러낼 수 없을 때 주로 사용한다. 첫 번째는 ‘나뭇가지’보다
 ‘날이 갈수록 그의 이미가 넓어졌다.’, ‘날이 많이 선선해졌다.’ 등
‘차’를 부각하는 상황에서 피동문이 사용되었고, 두 번째는 굳이 행동의 주체를 드 25

러낼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피동문이 사용되었다.

82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다음으로 사동 표현을 알아보자. (주어) (목적어) (주동사)
주동문 : 아이가 밥을 먹는다.

•아이가 밥을 먹는다. - 주동문 사동문: 아빠가 아이에게 밥을 먹인다.


(주어) (부사어) (목적어) (사동사)
•아빠가 아이에게 밥을 먹인다. - 사동문

아이가 밥을 먹는 상황은 ‘아이가 밥을 먹는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 주동문과 사동문의 개념

5 ‘아빠’가 아이에게 밥을 먹도록 하고 있다면, ‘아이가 밥을 먹는다.’라고 표현할 수 주어의 지시 대상이 스스로

행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



도 있지만 더 구체적으로 ‘아빠가 아이에게 밥을 먹인다.’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 아이가 밥을 먹는다.

주어의 지시 대상이 다른 사
‘아빠가 아이에게 밥을 먹인다.’와 같이 주어의 지시 대상이 다른 사람이나 대상으 사 람이나 대상으로 하여금 어
사동문의 예 사동문의 개념 동 떤 행동을 하게 만드는 것을
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드는 것을 표현하는 문장을 사동문이라고 하고, ‘아 문 표현하는 문장  아빠가 아
이에게 밥을 먹인다.
이가 밥을 먹는다.’와 같이 주어의 지시 대상이 스스로 행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
주동문의 예 주동문의 개념
10 장을 주동문이라고 한다. 주동문 ‘아이가 밥을 먹는다.’와 사동문 ‘아빠가 아이에게
능동문과 피동문, 주동문과 사
밥을 먹인다.’를 비교해 보면 「사동문에 ‘아빠’라는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였고, 주동 동문
「 」 : 주동문과 사동문의 문장 구조 대응 관계
능동문은 피동문의 짝이 되는 개
문의 주어 ‘아이가’는 사동문의 부사어 ‘아이에게’에, 주동사 ‘먹는다’는 사동사 ‘먹
념이고 주동문은 사동문의 짝이
인다’에 각각 대응한다.」 ▶ 주동문과 사동문의 개념과 문장 구조 되는 개념일 뿐, 능동문과 주동문
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아이
사동문에는 사동사를 이용한 사동문, 접미사 ‘-시키다’를 이용한 사동문, ‘-게 하 가 밥을 먹는다.’의 경우 피동문
단형 사동 장형 사동
‘밥이 아이에게 먹힌다.’와의 관
15 다’를 이용한 사동문이 있다. 사동사는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사동 접미사 ‘-이-’,
계에서는 능동문이고, 사동문 ‘아
‘-히-’, ‘-리-’, ‘-기-’, ‘-우-’, ‘-구-’, ‘-추-’가 붙어 만들어진 ‘먹이다’, ‘읽히다’, ‘돌 빠가 아이에게 밥을 먹인다.’와의
관계에서는 주동문이다.
리다’, ‘숨기다’, ‘비우다’, ‘돋구다’, ‘낮추다’ 등을 말한다. ‘변화하다’, ‘활용하다’, ‘공
부하다’와 같이 접미사 ‘-하다’가 붙은 동사가 사용된 경우에는 ‘-하다’ 대신 ‘-시키 ● 사동문의 형성 방법과 특징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다’를 사용한 ‘변화시키다’, ‘활용시키다’, ‘공부시키다’로 사동문을 만든다. ‘자게 하 에 사동 접미사 ‘- 이 -’,
‘-히 -’, ‘- 리 -’, ‘- 기 -’,
20 다’, ‘놀게 하다’와 같이 ‘-게 하다’를 붙여 사동문을 만들 수도 있다. ‘-우 -’, ‘- 구 -’, ‘- 추 -’
▶ 사동문의 종류와 형성 방법 가 붙어 만들어진 사동
사를 사용함.
형성
•‌접미사 ‘- 하다’가 붙은
방법
동사의 ‘- 하다’ 자리에
•아빠가 아이에게 밥을 (먹인다. / 먹게 한다.) 접미사 ‘- 시키다’를 붙
여 만든 동사를 사용함.
•‌동사의 어간에 ‘- 게 하
다’를 붙여 만든 표현을
사용함.
사동사를 이용한 사동문과 ‘-게 하다’를 이용한 사동문에는 시키는 행위의 직접 사동사를 이용한 사동문
과 ‘- 게 하다’를 이용한
특징
성에 차이가 있다. 위 문장의 ‘먹인다’와 ‘먹게 한다’를 비교해 보면 ‘먹인다’는 아빠 사동문은 시키는 행위의
직접성 면에 차이를 지님.
가 직접 숟가락으로 밥을 떠서 아이에게 먹이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사동사를 이용한 사동문의 기능 – 주어가 대상의 행위에 참여한 경우에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직접 사동)
25 ‘먹게 한다’는 아빠가 아이에게 밥을 먹으라고 지시만 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경
‘-게 하다’를 이용한 사동문의 기능 - 주어가 대상의 행위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간접 사동)
향이 있다. ▶ 사동사와 ‘-게 하다’를 이용한 사동문의 차이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83


동작의 대상인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밥을 먹다’의 ‘먹다’, ‘노래를 부르다’의 ‘부르다’ 따위.
● 피동문과 사동문의 차이 「피동문은 원래 문장(능동문)이 타동사 서술어를 가진 경우에만 만들 수 있다. 그
「 」 : 피동문과 사동문의 차이
타동사 서술어를 가진
피동문
경우에만 만들 수 있음. 러나 사동문은 원래 문장(주동문)이 타동사 서술어를 가진 때에는 물론 자동사나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주어에만 미치는 동사. ‘꽃이 피다.’의 ‘피다’, ‘해가 솟다.’의 ‘솟다’ 따위
타동사는 물론 자동사, 형용사 서술어를 가진 경우에도 만들 수 있다.」
사동문 형용사 서술어를 가진
경우에도 만들 수 있음.

주동문 서술어 주동문 사동문

자동사 ‘웃다’ 친구들이 웃는다. 지호가 친구들을 웃긴다.

타동사 ‘먹다’ 말이 당근을 먹는다. 이모가 말에게 당근을 먹인다.

형용사 ‘넓다’ 길이 넓다. 사람들이 길을 넓힌다.


▶ 피동문과 사동문의 차이

다음으로 부정 표현을 알아보자. 부정문은 ‘안(아니)’, ‘못’, ‘-지 않다(아니하다)’,


청유문과 명령문의 부정 부정문의 형식

청유문과 명령문에는 ‘우리 오


‘-지 못하다’ 등의 부정 형식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긍정문이 참이 아니라는 것을 5
부정문의 개념
늘은 만나지 말자.’, ‘내일은 늦
표현하는 문장이다. 부정문에는 용언 앞에 부정 부사 ‘안’이나 ‘못’을 붙이는 짧은
게 오지 마라.’와 같이 ‘-지 않다’, 부정문의 종류
‘-지 못하다’ 대신에 ‘-지 말다’가 부정문과 용언 뒤에 ‘-지 않다’, ‘-지 못하다’를 붙이는 긴 부정문이 있다.
사용된다. 청유문과 명령문에서 ▶ 부정문의 개념과 종류
짧은 부정문은 쓰이지 않는다. 서술어에 동사가 사용된 경우 ‘안’과 ‘-지 않다’가 쓰인 부정문은 ‘의지 부정’을 나
의지 부정과 능력 부정의 표현이 가능한 환경 의지 부정문의 형식
타내고, ‘못’과 ‘-지 못하다’가 쓰인 부정문은 ‘능력 부정’을 나타낸다. 의지 부정은
능력 부정문의 형식
주체에게 그 행위를 할 의지가 없음을 나타내고 능력 부정은 주체에게 그 행위를 10
의지 부정의 의미 능력 부정의 의미

● 부정문의 개념과 종류
할 능력이 없음을 나타낸다. ▶ 부정문의 의미

대응하는 긍정문이 참이
개념 아니라는 것을 표현하는
문장
•내가 싫어 말 안 했나. 수줍어서 말 못 했나.
‘안(아니)’, ‘못’, ‘- 지 않다
형성 (아니하다)’, ‘- 지 못하다’
방법 등의 부정 형식을 사용하
여 만듦.
‘내가 싫어 말 안 했나.’는 ‘안’이 사용된 짧은 부정문으로 의지 부정을 나타내고,
용언 앞에 부정 의지 부정을 나타낸 짧은 부정문의 예
짧은 부사 ‘안’이나 ‘수줍어서 말 못 했나.’는 ‘못’이 사용된 짧은 부정문으로 능력 부정을 나타낸다.
부정문 ‘못’을 붙인 부
능력 부정을 나타낸 짧은 부정문의 예 ▶ 의지 부정과 능력 부정이 나타난 짧은 부정문의 예
정문
종류
용언 뒤에 ‘- 지
긴 않다.’, ‘- 지 못
부정문 하다’를 붙인
•벌써 가을이 왔는지 날씨가 (안 덥다. / 덥지 않다.) 15
부정문 형용사
•한 달 동안 비가 (안 왔다. / 오지 않았다.)
의지를 가질 수 없는 대상
● 부정문의 의미

‘안’과 ‘-지 않다’가 쓰인


의지 부정문. 주체에게 그 행위 그러나 첫 번째 문장처럼 ‘안’과 ‘-지 않다’가 형용사에 사용되면 의지 부정의 의
부정 를 할 의지가 없음을 나타 ‘안’과 ‘-지 않다’가 의지 부정의 의미를 더하지 않는 경우 ①
냄. 미를 더하지 않는다. 두 번째 문장과 같이 동사 서술어가 사용된 경우에도 주어 자
‘못’과 ‘-지 못하다’가 쓰인
능력 부정문. 주체에게 그 행위 리에 의지를 가질 수 없는 대상이 오면 ‘안’이나 ‘-지 않다’는 중립적인 부정을 나타
부정 를 할 능력이 없음을 나타 ‘안’과 ‘-지 않다’가 의지 부정의 의미를 더하지 않는 경우 ②
냄. 낸다. ▶ ‘안’과 ‘-지 않다’가 의지 부정의 의미를 더하지 않는 경우 20

84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다음으로 인용 표현을 알아보자. 이미 존재하는 말이나 생각을 옮겨 표현하는 것 ● 인용의 개념과 종류
인용의 개념
이미 존재하는 말이나 생
을 인용이라고 한다. 원래의 문장 형식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옮기는 것을 직접 인 개념
각을 옮겨 표현하는 것
직접 인용의 개념 인용 표현의 종류 ①
용이라고 하고, 원래의 문장을 자신의 표현으로 바꿔 옮기는 것을 간접 인용이라고 원래의 문장 형
직접 식을 바꾸지 않
간접 인용의 개념 인용 표현의 종류 ②
인용 고 그대로 옮기
한다. ▶ 인용의 개념과 종류
종류
는것

원래의 문장을
간접
자신의 표현으로
인용
바꿔 옮기는 것
5 •토요일은 비가 내리겠습니다.
•일기 예보에서 “토요일은 비가 내리겠습니다.”라고 보도했습니다. - 직접 인용 ● 인용문의 기능

전달하는 정보의 출처를


•일기 예보에서 토요일은 비가 내리겠다고 보도했습니다. - 간접 인용 인용문
밝힐 수 있음.

원래의 문장을 더욱 생
직접
생하게 전달하는 효과를
인용문
얻을 수 있음.
인용문을 사용하면 전달하는 정보의 출처를 밝힐 수 있다. 첫 번째 문장은 정보
인용문의 기능
의 출처가 드러나지 않는 데 반해 두 번째, 세 번째 문장은 정보의 출처가 ‘일기 예
10 보’라는 것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또한 직접 인용문을 사용하면 원래의 문장을 더
직접 인용문의 기능
욱 생생하게 전달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 인용문의 기능

1 다음 문장이 표현하고 있는 시제를 찾아 바르게 연결해 보자.

우편물이 이제 곧 도착할 것이다. 과거 시제

부모님께서 등산을 좋아하시는구나. 현재 시제

그 전시회에 사람이 정말 많이 왔더라. 미래 시제

2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에 사용된 문법 요소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피동 표현에는 ‘피’,


사동 표현에는 ‘사’, 부정 표현에는 ‘부’라고 표시해 보자.

발길을 돌리지 못하고(부) 백사장에 서서 바다를 바라본다. 막힌(피 ) 것이 전혀 없는


수평선은 사람의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다( 사 ). 수평선 위로 짙게 물들던 노을빛은
주어진( 피 ) 운명을 체념한 듯 어떤 저항도 하지 않고( 부 ) 서서히 자신을 낮추며( 피 ) 잦
아든다.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85


1 다음 활동을 하며 문장의 짜임을 탐구해 보자.

⑴  음 선행절과 후행절을 연결하여 이어진문장을 만들 때 알맞은 연결 어미를 모



두 써 보고, 연결 관계가 어떠한지 표시해 보자.
예시 답안

선행절 연결 어미 후행절 연결 관계

바닷물은 시원했- -고, -으며 수영은 즐거웠다. 대등

- 어서,
입맛이 없- 점심을 먹기 싫어요. 종속
- 으니까

- 고,
저녁은 맛있었- 영화도 재미있었다. 대등
- 으며

- 면,
혹시 비가 오- 빨래를 걷어라. 종속
- 거든

⑵  보기>와 같이 두 문장을 결합하여 안은문장으로 나타내 보고, 제시된 질문의 답


<
변으로 어울리는 문장이 각각 무엇인지 말해 보자.
보기

•그 영화는 국제 대회에서 상을 받았다. 그 영화는 내일 개봉한다.

•국제 대회에서 상을 받은 그 영화는 내일 개봉한다.


안은문장
•내일 개봉하는 그 영화는 국제 대회에서 상을 받았다.

•그 학생이 축제에서 춤을 매우 잘 추었어. 그 학생이 춤 동아리 부원으로 뽑혔어.


예시 답안

•축제에서 춤을 매우 잘 춘 학생이 춤 동아리 부원으로 뽑혔어.


안은문장
•춤 동아리 부원으로 뽑힌 학생이 축제에서 춤을 매우 잘 추었어.

어떤 학생이 그 학생이 춤 동아리에


춤 동아리에 뽑혔어? 왜 뽑혔어?

- 축제에서 춤을 매우 잘 춘 학생 - 춤 동아리 부원으로 뽑힌 학생


이 춤 동아리 부원으로 뽑혔어. 이 축제에서 춤을 매우 잘 추었어.

86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⑶ 다음 안은문장에서 각각 표시된 안긴문장의 종류가 무엇인지 빈칸에 써 보자.
예시 답안

뜻깊고 의미 있는 자리에 모두 함께할 수 있도록 연락을 취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형사절 부사절 명사절

2 다음 각 상황에서 사용된 높임 표현이 적절하지 않은 까닭을 적고 알맞게 바꿔 써 보자.


예시 답안

부장님, 곧 시작하실
회의에 참석해 주시기
•적절하지 않은 까닭 : ‘곧 시작하실 회의’는 회의를
바랍니다.
시작하는 주체인 자신을 높이는 것이 된다.

•바꿔 쓴 표현 : 부장님, 곧 시작할 회의에 참석해 주

시기 바랍니다.

할머니한테 •적절하지 않은 까닭 : 할머니는 높임의 대상이므로


잘 갖다 줄게요.
‘한테’와 ‘주다’ 대신 ‘께’와 ‘드리다’를 사용해야 한다.

•바꿔 쓴 표현 : 할머니께 잘 갖다 드릴게요.

지금부터 회의
시작할게. 먼저 •적절하지 않은 까닭 :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급우들
누가 발표할래?
에게도 격식체 문장과 높임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꿔 쓴 표현 : 지금부터 회의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누가(어느 분이) 발표하시겠습니까?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87


3 다음 활동을 하며 시간 표현을 이해해 보자.

⑴  의 내용과 흐름을 고려했을 때 제시된 시간 표현 중 가장 적합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하나를 골라 표시해 보자.
예시 답안

어릴 적 나는 산 높고 물 맑은 조용한 시골 마을에서 (자랐다/자랐었다). 봄이면


진달래가 지천에 흐드러졌고 여름이면 녹음이 (울창하였다/울창하였었다). 친구들
과 얼굴이 벌겋게 되도록 뛰어놀다가 어둑어둑해질 무렵 집으로 돌아가면, 머릿수
건을 (두르시는/두르신/두르시던) 어머니가 마루에 앉아 나물이나 마늘 같은 것들
을 (다듬고 계셨다/다듬으셨다).

⑵  음 문장들에서 시간 표현을 찾아 밑줄을 그어 보고, 미래에 일어날 상황을 서로



다른 시간 표현을 사용하여 나타낸 까닭을 설명해 보자.

•내일 교생 선생님이 오신다.


•내일 아무래도 체육 수업은 안 하겠다.

예시 답안
•‌미래에 일어날 상황을 서로 다른 시간 표현을 사용하여 나타낸 까닭: 미래의 상황 중 이미 계획되고
정해진 사실임을 강조하고자 할 때에는 현재를 나타내는 시간 표현 ‘- ㄴ - / - 는 -’을 쓰고, 추측의 의
미를 표현하고자 할 때는 ‘- 겠 -’을 쓴다.

88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듣기 자료
활동 4 제시문 듣기

4 다음 글을 읽고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을 탐구해 보자.

옷을 몹시 좋아해서 옷에 관한 한 사치를 마다 않는 왕에게 사기꾼이 들러붙습니


다. 사기꾼은 착한 사람에게만 보이는 옷감으로 옷을 만든다고 거짓말을 합니다. 그
러면서 너무 예민한 작업이라 왕에게는 옷을 완성한 후에 보여 주겠다고 하죠. 왕은
신하들에게 옷을 구경하고 오게 합니다. 이미 소문을 들은 신하들은 사기꾼의 옷을
칭송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드디어 새 옷이 공개되는 날, 왕의 눈에는 빈 옷걸이만
보입니다. 하지만 여기저기에서 찬탄하는 목소리가 들려오죠. 왕은 차마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었습니다. 옷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자신이 착하지 않
다는 말과 같으니까요. 결국 왕은 보이지 않는 옷을 입어 보고 거미줄처럼 가볍다며
사기꾼을 칭찬합니다. 어쩌면 자신을 강하게 확신했던 나머지 환각을 보았을지도 모
를 일입니다. 어쨌든 왕은 그 옷을 입고 행진을 하기로 합니다. 온 나라 사람들이 이
신기한 옷을 구경하러 모입니다. 하나같이 옷을 칭찬하며 행진을 봅니다. 그때, 한
아이가 외칩니다.
“벌거숭이다! 임금님은 벌거숭이다!”
- 조정현, 『동화 넘어 인문학』 에서

⑴ 이 글에서 밑줄 친 ‘보이다’가 피동사인지 사동사인지 각각 판단해 보자.


예시 답안
•보이는 : 피동사    •보여 : 사동사    •보이지 : 피동사

⑵ 다음 사동문을 주동문으로 바꾸어 보고 그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사동문 왕은 신하들에게 옷을 구경하고 오게 합니다.

주동문 신하들이 옷을 구경하고 옵니다.

주동문에서는 행동을 시키는 사람(사동주)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옷을 구경하고 오는’ 행동


차이
이 신하들의 자발적 행동인 것으로 해석된다.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89


5 <보기>의 문장들을 다음 항목에 따라 구분해 보자.
보기

㉮ 이 세상에 못 오를 산이 어디 있나.
㉯ 안 갈 거면 어서 이리 와서 앉아라.
㉰ 신뢰가 깨지면 함께하지 못할 것이다.
㉱ 은혜는 단것을 싫어해서 잘 안 먹는다.
㉲ 힘들었지만 나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 못 가 본 길이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 법이다.
㉴ 종수가 거기에 참석하지 않은 까닭을 나는 알고 있지.
㉵ 그 배우는 발목 부상으로 결국 무대에 오르지 못했다.

예시 답안

의지 부정 표현이 쓰인 문장 능력 부정 표현이 쓰인 문장

㉯, ㉱, ㉲, ㉴ ㉮, ㉰, ㉳, ㉵

6 다음 활동을 하며 인용 표현의 효과를 이해해 보자.

⑴ 제시된 직접 인용문을 간접 인용문으로 바꿔 써 보자.


예시 답안

직접 인용문 간접 인용문

친구가 나에게 “지은아, 빨리 가자.”


 친구가 나에게 빨리 가자고 말했다.
라고 말했다.

친구가 나에게 “야, 빨리 가자니까.”


 친구가 나에게 빨리 가자고 말했다.
라고 말했다.

⑵⑴
 을 바탕으로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의 표현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직접 인용문은 원래의 발화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는 반면 간접 인용문에서는 부르는 말이나 감탄사, 강조의 의미를
지니는 어미(‘-자니까’) 등이 온전히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원래의 발화가 가진 명제 내용만을 표현하게 된다.

90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7 학생이 쓴 자기소개서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자기소개서

저는 어려서부터 문학을 좋아하여 꾸준히 교내 문학 동아리에서 활동하였습니다.


동아리 선생님께서는 늘 문학 작품을 읽을 때 등장인물의 삶 속으로 들어가 보라라
고 강조하셨습니다. 그 의미를 진정 깨달은 것은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을
읽은 때였습니다. 베르테르의 감정에 몰입되어 작품에서 헤어 나오지 않았는데, 특
히 절망에 빠진 그의 외침은 지금도 머릿속에서 잊혀지지가 않습니다.
문학을 읽으면서 바람 소리 하나에도 쓸쓸함과 서글픔 혹은 설렘과 황홀감, 이 모
든 것이 깃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언젠가부터 마음에 와닿는 시나 소설의
구절을 보거든 이를 직접 도화지에 옮겨 적어 책갈피로 만드는 취미도 갖게 되었습
니다. 책갈피를 누군가에게 전하며 문학 작품을 소개시켜 주었을 때에는 큰 기쁨을
느끼며 ‘나눔’의 가치를 깨달았습니다.

⑴  장의 짜임을 고려했을 때 연결이 어색한 부분을 찾아 밑줄을 긋고 적절하게 바



꿔 써 보자.

바꿔 쓴 문장 예시 답안
•‌연결이 어색한 부분 : 언젠가부터 마음에 와닿는 시나 소설의 구절을 보거든 이를 직접 도
화지에 옮겨 적어 책갈피로 만드는 취미도 갖게 되었습니다.
•‌바꿔 쓴 문장 : 언젠가부터 마음에 와닿는 시나 소설의 구절을 보면 이를 직접 도화지에
옮겨 적어 책갈피로 만드는 취미도 갖게 되었습니다.

⑵ 문법 요소를 잘못 사용한 표현을 찾고 올바르게 고쳐 써 보자.


예시 답안

잘못 사용한 표현 고쳐 쓴 표현

•인용 표현 •들어가 보라라고 •들어가 보라고

•부정 표현 •헤어 나오지 않았는데 •헤어 나오지 못했는데

•피동 표현 •잊혀지지가 •잊히지가

•사동
•높임 표현
표현 •소개시켜 •소개해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91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4) 소단원 (4) 소단원 (4) 소단원 (4) 소단원 (4)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4) 담화의 개념과 요건


학습의 주안점

● 글의 짜임 • ‌담화의 개념과 구성 요소

담화의 개념과 구성 요소 담화의 요건 이해하기


• ‌담화의 요건 이해하고 활용
통일성 응집성 하기
담화의 개념과 언어적 맥락과 비 문장의 표면적
담화의 의미에 언어적 맥락(상황 의미와 실제 발 내용적 측면에서 일관된 형식적 측면에서 발화들이
영향을 주는 구 맥락, 사회·문화적 화 의미가 불일 목적이나 주제를 가져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
성 요소 맥락)의 개념 치하는 사례 한다는 담화의 특성 어야 한다는 담화의 특성

듣기 자료
소단원 (4) 바탕글 듣기

담화의 개념과 구성 요소
담화의 구성 요소
어떤 문장이 구체적인 상황에서 실현된 것을 발화라고 한다. 담화는 둘 이상의

언어 발화가 연속되어 이루어지는 유기적인 연결체를 가리킨다. 화자(필자)와 청자(독


화자 청자 조직이나 구성 요소들이 서로 긴밀하여 떼어 낼 수 없는. 담화 구성 요소 ①
(필자) (독자) 자), 그리고 그들이 속한 여러 가지 환경인 맥락은 구체적인 언어 표현과 함께 담화 10
담화 구성 요소 ② 담화 구성 요소 ③ 담화 구성 요소 ④
맥락
를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인간의 의사소통에는 이러한 여러 요소가 관여하기 때문
담화 구성 요소 ① ~ ④ 관계하여 참여함.
에 동일한 문장일지라도 그것이 특정 상황에서 실현되었을 때의 발화 의미는 서로
화자와 청자가 누구인지, 어떠한 환경에서 말하는지에 따라 같은 문장이라도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
다를 수 있다. ▶ 담화의 개념과 구성 요소

● 발화의
‌ 의미 해석에 영향을 미
치는 ‘맥락’의 종류
예를 들어 “다음 주 시험 기간이잖아.”라는 동일한 문장이 어떤 상황에서는 공부

언어적 맥락 를 해야 돼서 영화를 보러 가지 않겠다는 거절의 의미를 지닐 수도 있고, 게임을 그 15

해당 발화의 앞뒤 언어 표현을 바탕
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맥락 만하고 시험공부를 하라는 명령의 의미를 지닐 수도 있다. 즉 어떤 발화의 궁극적

비언어적 맥락 인 의미는 구체적인 담화 상황에서만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담화가 이뤄지는 맥락을 고려해야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음. ▶ 구체적 담화 상황에서만 파악되는 발화의 궁극적 의미
•화자와 청자의 관계 발화의 의미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에는 언어적 맥락과 비언어적 맥락이 있
상황 •‌화자와 청자가 속
맥락 한 구체적인 시간 다. 언어적 맥락은 해당 발화의 앞뒤 언어 표현을 바탕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맥락을
적, 공간적 상황 등
해당 발화의 전이나 후에 이루어진 다른 발화의 내용
•‌화자와 청자가 속한 말한다. 비언어적 맥락은 상황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나눌 수 있다. 상황 맥 20
사회· 사회나 문화의 배
문화적 경, 역사, 이념, 공
맥락 동체의 가치관이나
락은 화자와 청자의 관계, 그들이 속한 구체적인 시간적, 공간적 상황 등과 관련된
신념 등 나이, 사회적 지위, 친밀한 정도 등
다. 사회·문화적 맥락은 화자와 청자가 속한 사회나 문화의 배경, 역사, 이념, 공동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생각이나 견해.

92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체의 가치관이나 신념 등과 관련된다. 예컨대 우리나라에서는 “식사하셨습니까?”가 ●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

관습적으로 마련된 언어
만날 때의 인사말로, “언제 밥 먹자.”가 헤어질 때의 인사말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러 형식, 즉 발화 의미와 일치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하는 인사말의 예 하는 문장 유형을 사용하
한 용법은 ‘끼니’를 중시하는 우리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비추어 해석될 수 있다. 는 경우로서 ‘명령’이라는
위의 두 예문을 우리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해석하는 경우 단순한 의문문, 청유문으로 해석됨.
직접 언어 행위를 수행하기 위
화행 해서 명령형 종결 어미인
이렇듯 발화의 의미 해석에는 여러 맥락이 관여한다. 따라서 우리는 맥락을 고려 ‘- (어 / 아)라’를 사용하거
언어적 맥락, 비언어적 맥락(상황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나 ‘명령한다’라는 동사를
5 하고 배경지식을 활용하면서 담화를 창의적으로 생산하고 해석한다. 사용하여 발화 의미를 전
하는 방법
▶ 언어적 맥락과 비언어적 맥락의 개념
표현하고자 하는 발화 의
미와 일치하는 문장 유형
동희 : 엄마, 자전거가 없어요. 간접 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문
화행 장 유형을 사용하여 발화
어머니 : 아까 형이 농구한다고 나갔다. → 그렇기 때문에 자전거가 없음.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발화
의미를 전하는 방법

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만 해석하면 위 대화에서 어머니의 말은 「동문서답(東問西
겉으로 볼 때 엉뚱해 보이는 발화
答)에 가깝다.」 그러나 이러한 발화로도 완벽하게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형
「 」 : 자전거가 없다는 말에 자전거와 관련된 이야기는 하지 않고, 농구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
10 이 평소 농구하러 갈 때 자전거를 가져간다는 맥락을 ‘동희’가 알고 있다면 어머니
의 말에서 자전거가 없는 까닭을 추론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맥락을 고려하여 담화를 창의적으로 생산하고 해석하는 사례
「문장이 나타내는 ㉠ 표면적 의미가 ㉡ 실제 상황에서의 발화 의미와 일치하지 않 ● ‌문장의 표면적 의미와 실제 발
「 」 : 발화가 이루어지는 맥락을 고려해야만 발화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경우 화 의미의 관계
는 경우는
」 다음 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네가 오늘 와 주면 좋겠다.”는 평서형 “네가 오늘 와 주면 좋겠다.”
명령의 의미를 전하는 경우 간접 화행에 해당함.
종결 어미 ‘-다’가 사용된 평서문이지만 실제 담화에서는 ‘오라’는 명령의 의미를 표면적 의미: 바람을 전달하는 평서
명령문을 사용했을 때 청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서문을 사용함.

15 전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또 “이게 도대체 뭐 하는 짓이냐?”는 의문형 종결 어
분노의 감정을 전하는 경우 간접 화행에 해당함.
‘좋겠다’는 ‘오라’는 명령의
미 ‘-냐’가 사용된 의문문이지만 실제 담화에서는 질문이 아니라 분노의 감정을 표 바람을 드러냄. 의미를 드러냄.
답을 듣기 위한 의문문이 아니라 상대의 행동을 꾸짖기 위해 의문문의 형식을 사용함.
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명령’은 자칫 청자를 불쾌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표면적 의미 표면적 의미
= 실제 발화 ≠ 실제 발화
의미 의미
직접적인 명령문보다는 의문문이나 평서문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공손성을 높이는 경우가 많다. ▶ 문장의 표면적 의미와 실제 발화 의미의 불일치 사례

친구에게 “이것을 들어라.”라는 명령의 발화를 완곡하게 하고자 할 때, 다음 빈칸에 들어갈 수


있는 언어 표현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 보자.

•이것 좀 들어 주면 고맙겠어.
• 이것 좀 들어 줄래?
• 이것 좀 들어 주면 좋겠다.

(4) 담화의 개념과 요건 93


담화의 요건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내용과 형식, 두 가지 측면에서 담화가 갖


추어야 할 요건이 있다.
● ‌내용적 측면에서 담화가 갖춰 먼저 내용적 측면에서 갖추어야 할 담화의 요건을 생각해 보자. 대화가 원활하
야 할 요건

화자와 청자
게 이루어지려면 화자와 청자가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협력하여야 하고, 글의 내용 5
글 전체가 하
가 공통의 목
나의 주제로 을 명확하게 전달하려면 글 전체가 하나의 주제로 엮여야 한다. 담화가 내용적 측
적을 가지고
엮여야 함.
협력해야 함.
면에서 일관된 목적이나 주제를 가지는 특성을 담화의 통일성이라고 한다.
통일성의 개념 ▶ 담화가 내용적 측면에서 갖추어야 할 요소인 ‘통일성’
담화의 통일성

윤희 : ‌오늘 본 영화 어땠어? 나는 주인공의 행동이 이해되면서도, 한편으로는 너무 자


기주장만 내세우는 것이 아닌가 싶었어. 주인공의 행동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곤
란한 상황에 빠진 거잖아. 10

정민 : ‌오늘 본 영화 나는 괜찮았어. 물론 저번에 본 영화가 더 재미있었지만. 아, 그때


새로 생긴 영화관 갔었는데 시설이 정말 좋더라. 다음에는 거기로 가자. 정말 그
주인공은 왜 그렇게 고집을 부린다니?

위 대화에서 ‘윤희’는 오늘 본 영화와 그 주인공의 행동에 관하여 일관성 있게 말


하고 있는 데 반해, ‘정민’은 오늘 본 영화에 관하여 말하다가 저번에 본 영화와 새 15

로 생긴 영화관을 언급하고, 다시 오늘 본 영화의 주인공에 관하여 이야기하고 있


다. ‘정민’의 담화는 너무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고 주제가 일관되지 않으므로 통
일성을 갖추었다고 보기 어렵다. ▶ 담화의 통일성을 갖추기 위한 조건인 ‘일관성’

● ‌형식적 측면에서 담화가 갖춰 다음으로 담화가 형식적 측면에서 갖추어야 할 요건을 알아보자. 담화를 구성하
야 할 요건
는 발화들은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어야 한다. 여러 가지 형식적 장치로써 각 발 20
담화를 구성 여러 가지 형
발화들은 유기성이 있어야 함. 응집성의 개념
하는 발화들 식적 장치로
은 밀접하게 써 각 발화가 화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특성을 담화의 응집성이라고 한다. 응집성을 위한 대표
관련을 맺고 유기적으로
있어야 함. 연결됨.
적인 형식적 장치로는 지시 표현과 접속 표현이 있다.
발화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담화의 응집성을 높이는 장치 ▶ 담화가 형식적 측면에서 갖추어야 할 요소인 ‘응집성’
지시 표현은 담화 안에 이미 등장한 언어 표현을 대신함으로써 응집성을 높인다.
담화의 응집성
지시 표현의 기능
이러한 기능을 하는 지시 표현에는 ‘이’, ‘그’, ‘저’와 같은 지시 관형사, ‘이것’, ‘그것’,
‘저것’, ‘여기’, ‘거기’, ‘저기’와 같은 지시 대명사, ‘이렇다’, ‘그렇다’, ‘저렇다’와 같은 25

지시 형용사, ‘이리’, ‘그리’, ‘저리’와 같은 지시 부사 등이 있다.


▶ 담화의 응집성을 갖추기 위한 ‘지시 표현’의 종류

㉮ ‌어느 마을에 아름다운 소녀가 살고 있었어요. 그 소녀는 발명하기를 좋아했어요.


㉯ 아빠 : 너는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준복이 같은 녀석과 결혼하겠다는 거냐?
딸 : 그 사람, 돈은 없죠. 하지만 인생에서 그것만 중요한 건 아니잖아요?

94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에서 ‘그 소녀’는 앞 문장의 ‘아름다운 소녀’를 가리킨다. ㉯에서 ‘그 사람’은 ‘아 ● 응집성을 위한 형식적 장치 ❶
지시 관형사를 통해 앞선 담화 안에 이미 등장한 ‘아름다운 소녀’를 대신하여 응집성을 높임.  - 지시 표현
빠’가 말한 ‘준복’을 가리키고, ‘그것’은 앞서 언급한 ‘돈’을 가리킨다. 동일한 표현을
지시 대명사 지시
이, 그, 저
관형사
반복하기보다 이러한 지시 표현들을 사용하면 보다 간결하면서도 내용이 긴밀히
지시 표현의 효과 지시 이것, 그것, 저것,
연결되어 응집성 있는 담화가 된다. ▶ 응집성 있는 담화를 만들어 주는 지시 표현 종
대명사 여기, 거기, 저기

지시 이렇다, 그렇다,
형용사 저렇다
5 ㉰ 그는 항상 타인을 배려한다. 착한 심성이 그를 돋보이게 한다. → 두 문장이 별개로 느껴짐. 지시
이리, 그리, 저리
부사
㉱ 그는 항상 타인을 배려한다. 그런 착한 심성이 그를 돋보이게 한다. →두
‌ 문장의 관계가
명시적으로 드러남.
•‌담화 안에 이미 등장한 언
어 표현을 대신함.
•‌동일 표현의 반복을 피하므
㉱에서 ‘그런’은 앞 문장의 ‘항상 타인을 배려한다.’라는 내용을 가리킨다. ‘그런’이 효
로 간결하고 긴밀한 문장을
지시 형용사를 통해 앞선 담화의 내용을 가리켜 두 문장을 연결시킴. 만듦.

•‌문장 간의 관계를 명시적으
빠진 ㉰에서는 두 문장이 별개로 느껴지지만, ㉱에서는 문장 간의 관계가 명시적으 로 드러냄.

로 드러나면서 두 문장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있다. 담화의 응집성을 높임.
▶ 문장 간의 관계를 드러내면서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해 주는 지시 표현
10 접속 표현은 발화 간의 연결 관계를 분명하게 보여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 ● 응집성을 위한 형식적 장치 ❷
‘그래서’, ‘하지만’ 등의 접속 부사들이 대표적인 접속 표현이다.
 - 접속 표현
앞의 체언이나 문장의 뜻을 뒤의 체언이나 문장에 이어 주면서 뒤의 말을 꾸며 주는 부사.
접속 표현의 효과
㉲ 봄이 왔다. 눈물이 난다. •‌발화 간의 연결 관계를 분명하게
보여 줌.
㉳ 봄이 왔다. 그리고 눈물이 난다. •‌발화 의미가 좀 더 구체화되고 분
순접 관계를 드러내는 접속 부사 명해짐.
㉴ 봄이 왔다. 그래서 눈물이 난다.
인과 관계를 드러내는 접속 부사
15 ㉵ 봄이 왔다. 하지만 눈물이 난다.
역접 관계를 드러내는 접속 부사 담화의 응집성을 높임.

접속 표현이 없는 ㉲에서는 담화를 이루는 두 발화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명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처럼 접속 표현을 사용하면 발화 의미가 좀 더 구체화되
고 분명해진다. ▶ 발화 의미를 구체화하는 접속 표현

다음 글에서 지시 표현을 모두 찾아 밑줄을 긋고, 괄호에 알맞은 접속 표현을 써 보자.

어제 소문을 듣고 찾아간 분식집은 허름한 골목에 있었다. 그곳은 특이한 떡볶이로 유


명한데, 그것을 먹기 위해 많은 사람이 줄을 서서 자리가 나기를 기다렸다. 우리 일행도 ●
접속 부사 앞의 체언이나 문장
그렇게 한 시간여를 기다린 끝에 드디어 안으로 들어갔고 그 떡볶이를 시켜 맛을 보았다. 의 뜻을 뒤의 체언이나 문장에
( 그러나 ) 기대가 컸던 탓일까. 오랜 기다림을 감수할 만큼 맛있지는 않았다. 이어 주면서 뒤의 말을 꾸며 주
는 부사.

(4) 담화의 개념과 요건 95


1 다음 활동을 하며 담화의 맥락과 의미를 탐구해 보자.

(가)

할머니,
나 산책 오늘 날씨가
다녀오마. 좀 추워요.

(나)

이제 오면 어떡해.
지금이 몇 시니? 지금?
5시 20분인데?

(다)

제인, 잭. 차린 건 없지만 음식이 이렇게 많은데


많이 드세요. 왜 반대로 말을 하지?

96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⑴ ‌
(가)~(다)의 담화에서 파악할 수 있는 상황 맥락을 적어 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밑줄 친 발화의 목적을 추측해 보자.
예시 답안

상황 맥락 밑줄 친 발화의 목적

산책 나가시는 할머니가 추우실까 봐 손자 할머니가 옷을 더 따뜻하게 입으시도록 하


(가)
가 걱정하는 상황 거나 산책 나가시는 것을 만류하고자 함.

친구가 약속 시간을 어기고 늦게 도착한 상 약속 시간을 어기고 늦게 도착한 친구에게


(나)
황 불만을 드러내고자 함.

외국인 손님을 집으로 초대해서 음식을 대 정성 들여 준비한 음식이지만 손님이 부담


(다)
접하는 상황 없이 드실 수 있게 하고자 함.

⑵⑴
‌ 을 바탕으로 다음 발화를 상황에 맞는 보다 적절한 발화로 바꿔 써 보자.

지금? 바꿔 쓴 표현
5시 20분인데?
예시 답안
오래 기다렸지?
늦어서 정말 미안해.

⑶ ‌
(다)에서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던 까닭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관 지어 이야
기해 보자.
예시 답안
한국에서는 겸손이나 겸양을 미덕으로 하던 문화가 있어서 자신의 노고나 노력을 낮추어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나 직설적인 화법에 익숙한 외국인의 입장에서는 상황에 맞지 않는 발화라고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게 된 것이다.
(4) 담화의 개념과 요건 97
듣기 자료
활동 2 제시문 듣기

2 학생이 쓴 발표문을 읽고 담화의 요건을 이해해 보자.

자전거 이용자가 점점 늘고 있는데요, 요즘은 자전거 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고 가


볍게 나들이를 다녀올 수 있는 곳도 많아 자전거 타기가 더없이 좋습니다. 그런데
자전거 이용자가 느는 만큼 사고도 늘고 있어 문제입니다. 도로 교통 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2006년에 발생한 전체 교통사고 발생 건수 가운데 자전거 교통사고 발생 건
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3.7퍼센트였습니다. 그러나 2015년에는 그 수치가 7.5퍼센트
로 증가하여 10년 사이 자전거 교통사고의 점유율이 두 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자전거 이용자의 증가와 자전거 교통사고의 증가
자전거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자전거 통행 방법을 숙지하고 이를 지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도 활성화되어 있는 만큼 관련 정보
를 찾아보고 이를 적절히 이용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입니다. 우리나라의 도로 교통
법에서는 자전거 역시 ‘차’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전거 이용자는 차의
통행 방법을 알고,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다음에서 자전거 안전을 위한 통행 방법
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자전거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

자전거 도로가 설치된 곳에서는 반드시 그 도로를 이용하고, 그렇지 않은 도로에


서는 가장 오른쪽 차도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이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보도 주
행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13세 미만의 어린이나 65세 이상의 어르신, 신
체 장애인은 예외적으로 보도 주행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보행자의 안
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하고, 가급적 차도에 가까운 쪽에서 주행합니다. 횡단보도를
이용할 때에는 자전거에서 내린 후 자전거를 끌고 걸어서 횡단해야 합니다.
▶자전거 안전을 위해 자전거 이용자가 지켜야 할 통행 방법
또한 자전거의 제동 장치와 바퀴 상태 등을 수시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다면 운전
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항상 머리, 팔꿈치 등을 위한 보호 장구를 착용하며, 특히
어린이가 동승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것을 착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자전거의 방향
을 바꿀 때에는 미리 수신호를 하여 다른 대상에  전거 전용 도로

게 방향 전환을 예고합니다. 그리고 특별한 경 안내 표지

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양손으로 운전대를 잡


고, 운전 중에 휴대 전화와 같은 다른 기기를 조
작해서는 안 됩니다. ▶안전한 자전거 이용을 위한 방법 안내

횡단보도의 자전거 횡단로

98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⑴ 이 담화의 주제를 한 문장으로 적어 보자.
예시 답안
•주제 : 자전거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자전거 통행 방법을 알고 준수하여야 한다.

⑵ ‌ 담화에서 통일성을 해치는 문장을 찾아 밑줄을 긋고,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설



명해 보자.

예시 답안
•‌통일성을 해치는 문장 : ‘또한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도 활성화되어 있는 만큼 관련 정보를 찾아보고 이를
적절히 이용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입니다.’
•‌그렇게 생각한 까닭 : 자전거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알고 준수하여야 할 자전거 통행 방법과 관련성이 적
은 내용이기 때문이다.

⑶ ‌ 글에서 밑줄 친 지시 표현이 무엇을 가리키는지 적고, 그것을 지시 표현 자리



에 넣어 읽어 보자.
예시 답안

그 자전거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차지하 이


자전거 통행 방법
는 비율

그러한 그것
예외적으로 보도 주행을 하는 보호 장구

⑷ ‌
빈칸에 알맞은 접속 표현을 각각 써 보고, 접속 표현을 사용한 것과 사용하지 않
은 것의 표현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접속 표현을 사용하면 문장과 문장 사이의 관계가 더욱 분명히 드러나 전하고자 하는 의미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
달될 수 있다.

(4) 담화의 개념과 요건 99


2
국어 자료의 탐구와 활용 모의 평가
중단원 모의 평가

수행 평가
중단원 수행 평가

다음은 일간 신문 『만세보』 에 실린 광고이다. 광고 문구를 읽어 보고, 무엇과 관련한 광고


인지 말해 보자.

이물은
빗도곱고
드리기도쉬운
상등물감이니
사다드려보시오

룡표와표와
표
셰상에뎨일
물

1908년 6월 12일

이물은라도지지도안코
벗지도아니참죠흔물이오
예시 답안
물감(물)(광고문 안에 ‘물감’, ‘물’으로 표기되어 있다. ‘ㅏ’와 ‘ㆍ’는 표기상의 혼란에 따른 것이다.) 내용상 염색약 광고
인 듯하다.(예전에는 염색약을 물감으로 부른 것으로 추측된다.)

100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중단원 학습 목표●
•‌시대 변화에 따른 국어 자료의 차이를 살피고 각각의 자료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성을 이해
할 수 있다.
•‌다양한 사회와 갈래에 따른 국어 자료의 차이와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국어 자료를 생
산할 수 있다.

● 언어의 역사성
언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 소멸, 변화의 과정을 겪게 된다.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변화하기 때문에 한 시대, 한 사회 안에 살면서 언어의 변화를 느끼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옛
날에 사용했던 말들과 지금 사용하는 말들을 비교해 보면 어떤 말들이 새로 생기고, 사라지고,
바뀌었는지 알 수 있다. 사회와 문화, 언어의 변화에 따라 완전히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없어진
말들이 있는 반면, 표기만 바뀌거나 표기는 그대로인데 의미가 바뀐 경우도 있다.

● 표준어와 방언
표준어는 한 나라의 규범이 되는 말로 인정된 말이고, 방언은 각 지방이나 사회별로 분화된
말이다. 국민들이 각각 자신이 속한 지방이나 사회의 방언만을 사용하면 국민 간의 의사소통
에 불편이 생기고, 한 국가로서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데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국
민이 지키고 따를 수 있도록 정해 놓은 언어가 표준어이다.

 국어 자료의 탐구와 활용 101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1) 국어의 변천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우리말 표기가 나타난 시기로,
현대 국어와 비교했을 때 변화·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과도기 • ‌시대별 국어 자료의 특징
차자 표기를 사용했던 고대 국어
소멸되거나 그 흔적을 남기는 등 적 모습을 보이는 근대 국어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 중세 국어 이해하기
• 국어의 변천 과정 이해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1) 바탕글 듣기

● 고대 국어 시기의 표기 고대 국어
시기 삼국 시대~고려 건국 전
삼국 시대부터 고려 건국 전까지의 국어를 고대 국어라고 한다. 이 시기에는 우

표기 차자(借字) 표기 리말을 표기할 고유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고대 국어는 한자로 표기된 자료나 한
한글이 창제되지 않았던 시기이기 때문
우리말을 표기할 고유의 문자가 없 자를 이용한 차자(借字) 표기 자료에서만 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차자 표기란 다
어서 다른 나라의 글자를 빌려 씀.
 한자의 음·뜻을 빌려 적은 고유
명사 표기, 이두(吏讀), 구결(口訣), 른 나라의 글자를 빌려 쓰되 그것을 우리말식으로 쓴 것을 말한다. 한자의 음과 뜻 10
향찰(鄕札) 등 차자 표기의 개념
을 빌려 적은 고유 명사 표기, 이두(吏讀), 구결(口訣), 향찰(鄕札) 등이 이러한 차자
차자 표기의 예
고유 명사 표기 향찰 표기 표기에 해당한다.
어휘적 의미는
한자의 음이나 한자의 뜻을, 다음은 고대 국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 자료이다.
뜻을 빌려 적 문법적 의미는 ▶ 우리말 표기가 없던 고대 국어 시기의 차자(借字) 표기
음. 한자의 음을 빌
려 적음.

買忽一云水城 |현대어| ‘매홀’은 ‘수성’이라고도 한다.


매 홀 일 운 수 성
-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地理志)」 에서 15

夜入伊遊行如可 |신라어| 밤드리 노니다가


야 입 이 유 행 여 가
- 「처용가(處容歌)」 에서 |현대어| 밤이 들도록 노닐다가

은 고유 명사 표기의 예로서, 고구려의 지명을 표기한 것이다. ‘買忽(매홀)’은


한자의 음을 빌려 지명을 적은 것이고, ‘水城(수성)’은 한자의 뜻을 빌려 지명을 적
음차(音借) 훈차(訓借)
은 것이다. 이러한 표기를 바탕으로 고구려어에서 ‘물[水]’을 나타내던 말은 ‘매’와 20
고구려 때의 한자어 발음은 현대의 한자어 발음과 달랐음을 알 수 있음.
비슷하게 발음했고, ‘성(城)’을 나타내던 말은 ‘홀’과 비슷하게 발음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 고대 국어의 차자(借字) 표기 중 고유 명사 표기

102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이러한 차자 표기는 단어뿐 아니라 문장을 표기하는 데에도 활용되었다. 은향
찰로 표기된 향가의 일부이다. 어휘적 의미를 지닌 요소는 한자의 뜻을 빌려 적고,
향찰(鄕札)로 기록한 신라 때의 노래. 명사, 용언의 어간과 같이 실질적 의미를 지니는 경우는 한자의 뜻을 빌림.
문법적 의미를 지닌 요소는 한자의 음을 빌려 적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에서 ‘夜
조사, 어미, 접사와 같이 형식적 의미를 지니는 경우는 한자의 음을 빌림. 향찰 표기의 ‘如(다 여)’는 한자의
入(밤 들-), 遊行(노니- : 놀 - + 니-)’처럼 어휘적 의미를 지닌 부분은 한자의 뜻을 뜻을 나타내는 우리말에서 음을
취해 ‘다’로 읽는다.
5 빌려 적은 반면, ‘伊(-이), 可(-가)’처럼 문법적 의미를 지닌 부분은 한자의 음을 빌
려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는 고대 국어의 어휘와 문법
형태소를 부분적으로나마 알 수 있다. ▶ 고대 국어의 차자(借字) 표기 중 향찰 표기

다음 향찰 표기에 사용된 각 글자가 한자의 음과 뜻 중 무엇을 빌린 것인지 써 보자.

夜 入 伊 遊 行 如 可

밤야 들입 저이 놀유 닐(=갈) 행 다(=같을) 여 옳을 가 ● 중세 국어의 특징 ❶

뜻 뜻 음 뜻 뜻 뜻 음 시기 고려 시대 ~ 16세기 말

표기 한글 표기

당시 우리말의 음운, 어휘, 문법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음.

특징
중세 국어
현대 국어에 와서 의미가 달라진
단어들을 알 수 있음.
중세 국어는 고려 시대부터 16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가리킨다. 중세 국어를 다시
10 전기 중세 국어와 후기 중세 국어로 나누기도 한다. 이전의 차자 표기 자료와 달리, •‌어리다 : 어리석다[愚] 
의미의 → 나이가 적다[幼]
「한글로 표기된 문헌 자료에는 당시 우리말의 음운, 어휘, 문법의 특징이 잘 반영되 이동 •‌어엿브다 : 불쌍하다
[憐] → 예쁘다[美]
「 」 : 우리말의 특징을 제대로 반영하기에는 한계
어 있다.」 가 있었던 차자 표기와 달리 한글로 표기된 문헌 ▶ 우리말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는 중세 국어 시기 •‌놈 : ‘사람’의 평칭(平稱)
자료는 당시 우리말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음. → 비칭(卑稱)
•‌겨집 : 여자, 아내의 평
다음은 중세 국어 문헌 자료의 일부이다. 의미의 칭(平稱) → 비칭(卑稱)
축소 •‌장 : 여럿 가운데 제
일, 매우, 몹시 → 여럿
가운데 제일

‌·이런젼··로어·린百·姓··이니 |현대어|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


15 르·고·져··배이·셔·도·:내제 성이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성조와 방점
··들시·러펴·디:몯·노·미하·니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자가 많다. 중세 국어 시기에는 성조가 존재

·라·내·이·爲·윙··야:어엿·비너
했는데, 글자의 왼쪽에 점을 찍어
내가 이를 위하여 불쌍히 여겨 새로
·겨·새·로·스·믈여·듧字···
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점을 방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점이라고 한다. 평성(낮은 소리)
노·니 은 점을 찍지 않았고, 상성(처음
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은 점
20 - 『훈민정음(訓民正音)』 언해본(諺解本) 에서
을 두 개 찍었으며, 거성(높은 소
리)은 점을 한 개 찍었다.

(1) 국어의 변천 103


부처가 중생의 교화를 위해 여러 모습으로 변화함.
부:톄百·億·世·솅界·갱·예化·황

|현대어| 부처가 백억 세계에 화신하여
身신··야敎·化·황·샤·미·리 교화하심이 달이 천 개의 강에 비침과
·즈믄·매비․취요·미··니·라 같다.
- 『월인석보(月印釋譜)』 에서

남·지·니어·든·암:겨지·비어·든·수 |현대어| 남자라면 암탉, 여자라면 수탉 5

·으로·라 으로 하라.
-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 에서

모·기·장거·든누·른조·닷 |현대어| 목이 몹시 마르거든 누런 좁

·되시·서·믈마·래글·혀 쌀 다섯 되를 씻어 물 한 말에 끓여
-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 에서 10

위의 문헌에 나타나는 어휘 중에는 현대 국어에서 그 의미가 달라


진 것도 있고,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된 것도 있다.
의 ‘어·린’, ‘·노·미’, ‘:어엿·비’에서의 ‘어리다’, ‘놈’, ‘어엿브다’는
그 의미가 달라진 어휘이다. ‘어리다’는 중세 국어 시기에 ‘어리석
의미의 변화(이동) : ‘어리석다’ → ‘나이가 적다’
다[愚]’의 의미로 쓰였으나, 이후에는 ‘나이가 적다[幼]’의 의미로 쓰 15

이게 되었다. ‘놈[者]’은 현재와 달리 비하의 의미 없이 ‘사람’을 가리


의미의 변화(축소) : 사람을 가리키던 평칭(平稱) → 비칭(卑稱)
키는 일반적인 말로 사용되었다. ‘어엿브다’는 중세 국어 시기에 ‘불
의미의 변화(이동) : ‘불쌍하다’ → ‘예쁘다’
쌍하다[憐]’를 뜻했으나, 이후에는 ‘예쁘다[美]’를 뜻하게 되었다. 의
‘:겨지·비’에서의 ‘겨집[女]’도 중세 국어 시기에는 ‘여자, 아내’를 가리키던 일
의 ‘·장’은 ‘여럿 가운데 제일’이라는 뜻 외에 ‘매우, 몹시’의
의미의 변화(축소) : 여자, 아내를 가리키던 평칭(平稱) → 비칭(卑稱)
반적인 말이었다. 20
의미의 변화(축소) : ‘여럿 가운데 제일’, ‘매우, 몹시’ → ‘여럿 가운데 제일’
의미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예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휘의 의미가 달라질
언어는 역사성을 지니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게 되며, 어휘의 의미 또한 달라질 수 있음.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중세 국어의 어휘 중 현대 국어에서 의미가 달라진 사례
‘하다’와 ‘다’
중세 국어에서 ‘하다[多]’는 ‘많다’ 한편 의 ‘하·니·라’에서 ‘하다’는 ‘많다[多]’의 뜻을 지닌 고유어이나, 지금은 쓰
의 ‘·즈믄·매’에서 ‘즈믄’과 ‘’ 역시 현대 국어에서 더 이상
를 뜻하는 말이었고, ‘다[爲]’는 ‘행동하다’를 뜻하는 현대 국어의 ‘하다’는 중세 국어에서는 ‘다’로 표기되다가 ‘ㆍ’가 ‘ㅏ’로 음운 변화가 되면서 지금의 ‘하다’로 표기되게 되었음.
‘행동하다’를 뜻하는 말이었다. 현 이지 않는다.
쓰이지 않게 된 어휘이다. ‘즈믄’은 ‘천(千)’을 뜻하는 고유어이고, ‘’은 ‘강(江)’
대 국어의 ‘하다’는 ‘다’가 ‘ㆍ>
25
ㅏ’의 음운 변화를 겪은 것이다.


을 뜻하는 고유어이다. 의 ‘남·지·니’에서 ‘남진’도 ‘사내, 남편’을 뜻하던 말이었으
화신하다 부처가 중생의 교화
를 위해 여러 모습으로 변화하다. 나, 현대 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이러한 예들은 국어의 어휘가 끊임없이 경쟁

104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과 소멸의 과정을 겪어 현재에 이르렀음을 보여 준다. ▶ 현대 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고유어

의 ‘·암’, ‘·수
‘하다’, ‘즈믄’, ‘’, ‘남진’ 등은 새로운 어휘들과의 경쟁의 과정에서 뒤처지면서 소멸하게 됨. ‘ㅎ’ 종성 체언
중세 국어의 흔적이 현대 국어에까지 남아 있는 어휘들도 있다. 중세 국어 시기에는 ‘ㅎ’을 종성

’은 중세 국어 시기에 ‘’과 ‘숳’에 각각 ‘[鷄]’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암 으로 가지고 있는 체언들이 있었
다. 이 같은 ‘ㅎ’ 종성 체언의 ‘ㅎ’
컷’을 의미했던 ‘[雌]’과 ‘수컷’을 의미했던 ‘숳[雄]’은 당시에 종성으로 ‘ㅎ’을 지니
‘ㅎ’ 종성 체언
은 근대 국어 시기에 사라졌다.

고 있었다. 이러한 ‘ㅎ’ 종성 체언이 ‘’이라는 말과 결합하여 합성어가 만들어질


음절의 구성에서 마지막 소리인 자음.
5
어두 자음군

때, ‘ㅎ’과 ‘ㄷ’이 거센소리인 ‘ㅌ’으로 축약되어 각각 ‘·암’과 ‘·수’이 되었다. 현


중세 국어 시기에는 ‘ㅳ, ㅄ, ㅶ’
중세 국어의 ‘ㅎ’ 종성 체언이 현대 국어에까지 남아 있게 됨. 과 같은 자음의 연쇄가 어두 위
대 국어에서 ‘암탉’, ‘수탉’은 이때 만들어진 말이 이어져 내려온 것이다. 치에 올 수 있었다. 예컨대 ‘

의 ‘조·’은 현대 국어에서 ‘좁쌀’로 나타난다. 중세 국어에서 ‘쌀[米]’을 뜻하던


▶ 현대 국어에 흔적이 남아 있는 중세 국어의 어휘 - ‘ㅎ’ 종성 체언 (뜻)’, ‘(씨)’, ‘(짝)’과 같은 말
에서 어두 초성의 두 자음이 모

‘’의 ‘ㅂ’이 발음되었던 까닭에 ‘좁쌀’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중세 국어의 ‘’과


두 발음되었다.

‘’의 ‘ㆍ(아래아)’는 이후 ‘ㅏ’로 변화하여 현대 국어에서는 ‘닭’과’ ‘쌀’로 나타난다.


중세 국어에서 ‘ㅄ’은 어두 자음군으로서 두 자음이 모두 발음되었는데, 그중에 앞 자음이 앞 글자의 받침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흔적이 남게 되었음.
10 ● 중세 국어의 특징 ❷
중세 국어에서 사용되던 모음 ‘ㆍ’가 소멸되면서, 기존의 다른 모음으로 대체됨. ▶ 현대 국어에 흔적이 남아 있는 중세 국어의 어휘 - 어두 자음군 ‘ㅄ’
특징

현대 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고
유어가 발견되거나, 현대 국어에 흔
적을 남긴 경우가 있음.

현대 국어에서 사라진 고유어

•하다 : 많다[多] •즈믄 : 천(千)


• : 강(江) •남진 : 사내, 남편

1 다음 단어가 지닌 의미를 시대별로 써 보자.


현대 국어에 흔적을 남긴 것
중세 국어 현대 국어
•‌ [雌] : 암컷,
어리다 어리석다[愚] 나이가 적다[幼] 숳 [雄] : 수컷
•‌ [雌] +  → 암 
→ 암탉
•‌숳 [雄] +  → 수 
놈 ‘사람[者]’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말  ‘사람’을 홀하게 이르는 말 ‘ㅎ’
종성
→ 수탉
체언
어엿브다 불쌍하다[憐] 예쁘다[美] ⇨ 중세 국어 때 ‘ㅎ’
종성 체언과의 결합
에서 생긴 합성어 표
기를 그대로 씀.

2 ‌다음은 『월인석보(月印釋譜)』 권 1 의 첫 장이다. 표시한 한자에 대응하는 고유어를 써 보자. •‌ : 쌀 [米]
•‌조 +  → 조 → 좁

어두
⇨ ‘ㅂ’이 발음되었던
자음군
당시 관습이 남아, 현
‘ㅄ’
대 국어에서도 발음
되면서 좁쌀로 표기
하게 됨.

부어 먹기



(1) 국어의 변천 105


● 근대 국어의 특징

시기 17세기 초~19세기 말 근대 국어

특징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근대 국어라고 한다. 중세 국어에 비하
현대 국어에 가까워져 중세 국어와 여 근대 국어는 현대 국어에 더욱 가까워진 모습을 보여 준다.
현대 국어의 과도기적 모습을 보임.
다음은 근대 국어 문헌 자료의 일부이다.
•‌죠 → 죵희
⇨ 모음 ‘ㆍ’가 ‘ㅡ’로

원컨셰샹은셔로권야졍셩으로
변화, 자음 ‘ㅇ’의 첨가
|현대어| 원컨대 세상 사람은 서로 권하 5
•‌다 → 들다
음운의
변화
⇨ 모음 ‘ㆍ’가 ‘ㅡ’ 공경라부억의졔일긔바는가마두 여 정성으로 공경하라. 부엌의 제일 기
다리며글시쓴죵희을르며몹슬말노
로 변화, 자음 ‘ㆁ’이 ● 꺼리거나 피하는.
‘ㄴ’, ‘ㄱ’이 ‘ㄷ’으로 하는 바는 가마(솥) 두드리며 글씨 쓴
을지고욕지말며강과파마늘
변화 ●
종이를 사르며 몹쓸 말로 사람을 꾸짖
등쇽을쎨지말며에털과즘에를
•‌몯 → 몹슬 불에 태워 없애며.
어휘 ⇨ ‘사용하지 못할 정 고 욕하(는 것이니 그리하)지 말며 또
살오지말며더러온남그로음식드지말
의미의 도로 나쁜’의 의미가
변화 ‘악독하고 고약한’으 생강과 파, 마늘 등을 썰지 말며 닭의 10
로 변화됨.
며 털과 짐승의 뼈를 사르지 말며 더러운
•‌몯 + ㄹ → 몹슬
어두
자음군
⇨ ‘ㅄ’에서 ‘ㅂ’이 발 - 『조군령적지(竈君靈蹟誌)』 에서 나무로 음식 만들지 말며
음되었던 까닭에 현
‘ㅄ’의
재까지도 ‘몹쓸’에 흔
흔적
적을 남김.

● 위 문헌에 나타난 근대 국어는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과도기적 모습을 보여


기하다 꺼리거나 피하다.
준다. 예컨대 중세 국어의 ‘죠[紙]’가 위 문헌에는 ‘죵희’로 나타나며, 그것이 현대
한 상태에서 다른 새로운 상태로 옮아가거나 바뀌어 가는 도중의 시기.

사르다 불에 태워 없애다.

106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국어에서는 ‘종이’가 된 것을 들 수 있다. ‘죠>죵희’의 변화는 ‘ㆍ>ㅡ’의 변화 및
‘ㆍ’의 변화
‘ ’ 첨가에 의한 것이다. 또한 위 문헌에는 중세 국어의 「‘다[造]’ 대신 ‘들다’가
중세 국어와 비교했을 때 음운에 변화가 생김.
」 ‘ㆍ’는 중세와 근대에 걸쳐 점차
「 」 : 중세 국어와 비교했을 때 음운에 변화가 생김. (둘째 음절의 모음 ‘ㆍ’ → ‘ㅡ’, 자음 ‘ㆁ’ → ‘ㄴ’, ‘ㄱ’ → ‘ㄷ’)
다른 모음으로 변화되었다. 중세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현대 국어에서 ‘만들다’가 되었다.
국어 시기에는 단어의 둘째 음
한편 ‘몹슬’이라는 말은 중세 국어 ‘몯다’로부터 온 말이다. ‘몯’은 ‘못 쓸’, 즉 절 이하에서 주로 ‘ㅡ’로 변화되
중세 국어와 비교했을 때 어휘 의미에 변화가 생김. 었고, 근대 국어 시기에는 단어의
5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나쁜’의 의미를 지녔으나 점차 그 의미가 변하여 ‘악독하고 첫째 음절에서 주로 ‘ㅏ’로 변화

고약한’을 뜻하게 되었다. ‘다’의 ‘ㅂ’이 발음되었던 까닭에 현재까지도 ‘몹쓸’에


되었다. ‘[心]>마음’에서 그

‘ㅄ’이 어두 자음군이었기 때문에 발음이 되었던 ‘ㅂ’이 앞 글자의 받침으로 들어가게 됨.


러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그 흔적이 남아 있다. ▶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과도기적 모습을 보이는 근대 국어 밖에 ‘ㅗ(>ㅜ)’나 ‘ㅓ’로 변화된
경우도 있다.

다음 단어의 어형 변화 과정을 정리해 보자.

중세 국어 근대 국어 현대 국어

죠[紙] 죵희 종이

다[造] 들다 만들다

(1) 국어의 변천 107


1 <보기>를 참고하여 ‘살코기’의 단어 형성 과정을 생각해 보고, 빈칸을 채워 보자.
보기

중세 국어 시기 현대 국어

 +  → 암 → 암탉

‘ㅎ’ 종성 체언 거센소리로 축약 ᆞ>ㅏ

예시 답안

중세 국어 시기 현대 국어

 + 고기 → 코기 → 살코기

‘ㅎ’ 종성 체언 거센소리로 축약 ᆞ>ㅏ

2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에 나오는 대화문을 읽고, 오른쪽 사람의 말을 현대 국어로


바꿔 써 보자.

모·로·리로·다그:마·:엇·디니
:네 · 이 ·· 그 · 믐 · 北京의갈 · 가
·리·오하·히:어·엿·비너·기·샤·모
가·디:몯·가
·미편안·면가·리·라

예시 답안

왼쪽 사람 : 네가 이달 그믐께 북경에 갈까 가지 못할까?


오른쪽사람: 모르겠구나. 그 말을 어찌 이르겠느냐? 하늘이 불쌍히 여기시어 몸이 편안하면 갈 것이다.

108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3 중국어 학습서인 『박통사(朴通事)』를 서로 다른 시기(16세기, 17세기)에 우리말로 번역
한 것을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가) ·됴··신누의:님·하:네:나· |현대어| 남 : 마음 좋으신 누이님이여,


·후·시···라:다고·려

(당신이) 나에게 슬갑 한 벌 만들어
긔··:쉬·우니·라 … ·내··라 주십시오.
너·주·어:젼::호·마 여 : 그것은 가장 쉬우니라. … 내가 만
-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 에서 들어 너에게 주어 전송(배웅)하마.

(나) 됴흔각시아네날을부슬갑 |현대어| 남 : 마음 좋은 각시여, 당신이


을라주고려 나에게 슬갑 한 부 만들어 주구려.
뎌장쉬오니 … 내라너주 여 : 그것은 가장 쉬우니, … 내가 만들
어送路마 어 너에게 주어 송로(배웅)하마.
-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에서


후시[護膝] = 슬갑(膝甲). 추위를 막기 위하여 바지 위에다 무릎까지 내려오게 껴입는 옷. 앞쪽에 끈을 달아 허리띠에 걸쳐
맨다.

⑴ ‌
다음 빈칸을 채우며 (가)와 (나)의 번역에서 차이가 나는 단어들의 모습을 확인해
보자.
예시 답안

(가) (나) (가) (나)

  ··라 라

·후·시 슬갑 :다고·려 주고려

⑵ ‌
(가)와 (나) 중 어떤 것이 더 나중에 번역된 것일지 추측해 보고, 그렇게 생각한 까
닭을 말해 보자.
예시 답안
(나)가 더 나중에 번역된 것이다. 우선 성조를 나타내는 방점과 ‘ㅿ’과 같은 자음이 (가)에는 나타나 있으나 (나)에는 나
타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가)에는 중세 국어 시대에 쓰이던 ‘다[造]’가 쓰이고 있으나 (나)에는 근대 국어 시대
에 쓰이던 ‘들다’가 쓰이고 있다는 점으로 볼 때 (가)는 16세기의 국어 자료이고 (나)는 17세기의 국어 자료임을 알
수 있다.

(1) 국어의 변천 109


듣기 자료
활동 4 제시문 듣기

4 다음 글을 읽고 제시된 활동을 해 보자.

‘무지개’를 ‘공중에 떠 있는 물방울이 햇빛을 받아 나타나는, 반원 모양의 일곱 빛


깔의 줄’이라고 사전적으로 풀이하면, ‘무지개’가 우리에게 주는 아름다운 연상이 사
하나의 관념이 다른 관념을 불러일으키는 현상.
라질 정도로 ‘무지개’는 아름다운 우리말이다. 국어의 역사를 잘 알지 못하면 ‘무지
개’가 ‘물’과 ‘지개’로 분석될 수 있다는 사실에 언뜻 수긍하지 못할 것이다. ‘무지개’
는 원래 ‘물’과 ‘지개’의 합성어인데, ‘ㅈ’ 앞에서 ‘ㄹ’이 탈락하여 ‘무지개’가 되었다.
‘무지개’에 ‘물’이 관계되는 것에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므로 ‘물’은 이해가 되겠
는데, ‘지개’는 무엇이냐고 묻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 ‘물’과 ‘지개’의 합성어인 ‘무지개’

문헌에 처음 보이는 형태는 ‘므지게’인데, 15세기의 『용비어천가』나 『석보상절』과


연구의 자료가 되는 서적이나 문서.
같은 훈민정음 창제 초기의 문헌에 등장한다. ‘물[水]’의 15세기 형태인 ‘믈’에 ‘지게’
가 합쳐진 것으로, ‘지게’의 ‘ㅈ’ 앞에서 ‘믈’의 ‘ㄹ’이 탈락
한 것이다. ‘지게’는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
만, 제주 지역에서 ‘지게문’ 또는 ‘구들셋문’이라
고 말하는 ‘짝문(오른쪽과 왼쪽의 두 문짝으로
이루어진 문)’을 뜻한다. 한자로는 ‘문(門)’이 戶
나 ‘호(戶)’를 ‘지게’라고 하였지만, ‘문(門)’보다
는 ‘호(戶)’를 지칭하는 것에 많이 쓰였다.
‘문(門)’은 ‘대문’이나 ‘정문’ 등의 문을 뜻하지만,
‘호(戶)’는 이보다는 작은 문을 일컫는 말이었다. 이
문의 윗부분이 무지개의 윗부분처럼 둥근 형태로 되
사람, 사물, 사건 등의 대상에 이름을 지어 붙임.
어 있어서 무지개를 ‘물로 된 문’으로 명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 ‘무지개’의 처음 형태인 ‘므지게’를 통한 의미 추정

결국 ‘믈[水]과 지게[戶]’가 합쳐져서 ‘믈지게’가 되었던 것이


‘ㅈ’ 앞에서 ‘ㄹ’이 탈락하여 ‘므지게’가 되고(15세기에 이미 나타남.), 이것이 원순 모

음화를 일으켜 ‘무지게’가 된 후(17세기) 다시 ‘ㅔ’와 ‘ㅐ’의 혼동으로 ‘무지개’가 된 것
이다(19세기). ▶ ‘믈지게’가 ‘무지개’로 변화되는 과정

그런데 오늘날에는 ‘쌍무지개 뜨는 언덕’과 같은 표현에서 보는 것처럼 무지개가


‘뜬다’고 하지만 옛날에는 무지개가 ‘선다’고 하였다. 아무래도 무지개는 해가 뜨듯
‘뜨는’ 것이 아니라 ‘서는’ 것이라야 제맛이 날 것 같다. ▶ ‘무지개’와 관련한 옛말이 주는 맛

오늘날에는 ‘무지개’를 발견하고 그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다.


이제 젊은이들에게 ‘무지개’란 단어는 동화 속에나 나오는 잊힌 단어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 홍윤표, 『살아 있는 우리말의 역사』 에서
▶ ‘무지개’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느끼지 못하는 오늘날에 대한 안타까움


원순 모음화 입술소리(ㅂ, ㅃ, ㅍ, ㅁ) 밑의 ‘ㅡ(ㆍ)’가 ‘ㅜ(ㅗ)’로 바뀌는 음운 현상.

110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⑴ 빈칸을 채우며 ‘무지개’의 단어 형성 과정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믈[水]

므지개 무지게 무지개

지게 [戶]
   

ㄹ 탈락 원순 모음화 ‘ㅔ’와 ‘ㅐ’의 혼동


(15세기) (17세기) (19세기)

⑵ ‌
옛날에는 ‘무지개가 뜬다.’가 아니라 ‘무지개가 선다.’라고 말했던 까닭을 말해
보자.
예시 답안
‘무지개’는 어원적으로 ‘물로 된 문’을 의미했으므로 ‘무지개가 선다’라고 말했을 것이다.

⑶ ‌‘부시’와 ‘부싯돌’의 뜻을 참고하여 ‘부싯돌’의 단어 형성 과정을 추측해 보자.

부시

「명사」 부싯돌을 쳐서 불이 일어나게 하는 쇳조


각. 【< 부쇠 < 역해 > ← 불 + 쇠】

부싯–돌

「명사」 부시로 쳐서 불을 일으키는 데 쓰는 석


영(石英)의 하나. 아주 단단하고 회색, 갈색, 검
은색 따위를 띤다.

예시 답안
‘부싯돌’은 ‘부시 +ㅅ(사이시옷) + 돌[石]’로 이루어진 말이다. 이때 ‘부시’는 ‘블[火] + 쇠[金]’에서 ‘ㄹ’ 탈락이 일어나
‘브쇠(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음.)’로 되었다가 여기서 다시 원순 모음화가 일어나 ‘부쇠(17세기 문헌에 출현)’가 된 뒤
다시 ‘ㅚ>ㅔ>ㅣ’의 음운 변화를 거쳐 ‘부시(19세기 문헌에 출현)’가 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 국어의 변천 111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2) 다양한 국어 자료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지역과 사회에 따른 국어 자료의 특성 국어 자료의 갈래별 특성
• ‌다양한 국어 자료의 특성
지역 방언 사회 방언 정보 전달의 글 설득의 글 이해하기
피동 표현과 인용 표현 • ‌상황과 목적에 맞는 국어
지역 방언의 개념과 지 대상에 관한 정보를 제
사회 방언의 개념과 종 이 많은 기사문과 제 자료 생산하기
역 방언 간의 차이 및 공하여 수용자를 설득
류 및 특징 목·전문·내용으로 구
특징 하는 광고문의 특징
성되는 공고문의 특징

듣기 자료
소단원 (2) 바탕글 듣기
사물이나 현상의 모양이나 상태.
● 방언의 개념과 유형 지역과 사회에 따라 국어가 사용되는 양상은 일정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지역
언어는 지역적 요인, 사회적 요인에 따라 분화되는데, 이를 방언이라고 함.
지역적 요인과 사회적 요
개념 과 사회에 따른 국어의 차이를 이해하고 있어야 상황에 맞는 국어 자료를 생산할
인에 따라 분화된 말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으
유형
로 나뉨.
수 있다. 또한 글의 갈래에 따라서도 국어가 사용되는 양상이 달라지므로 개별 갈
기사문, 공고문, 광고문 등
래가 지닌 국어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목적에 맞는 국어 자료를 생산할 수 있도록 10
정보 전달의 글, 설득의 글, 친교 및 정서 표현의 글 등
해야 한다. ▶ 상황과 목적에 맞는 국어 자료 생산의 필요성

● 지역 방언
지역과 사회에 따른 국어 자료의 특성
개념
국어는 지역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따라 분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화된 말
한 언어가 산맥이나 하천 등 지리적
요인에 따라 분화된 말
을 ‘방언’이라고 한다. 이를 크게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으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방언의 두 가지 유형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말이 다 하자. ▶ 방언의 개념과 두 가지 유형 15


름.
한 언어가 산맥이나 하천 등 지리적 요인에 따라 분화된 말을 지역 방언이라고
동북 제주
표준어 지역 방언의 개념
방언 방언
한다. 다음 문학 작품에는 이러한 지역 방언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다.
감쥐 감자 지슬

할머니
‌“그러잲애두 감쥐 때문에는 아아 에미하구 내한테두 욕으 되게 먹었습메. 다시는 앙
아매 할망
(할미)
표준어 : 감자 ‘아니’의 동북 방언.
많이 하영 이 그러겠답메.” 동북 방언에서 보이는 독특한 종결 어미
•종결 어미가 다름. - 안수길, 『북간도』 에서 20
 동북 방언 - ‘- 습메’, ‘-ㅂ메’
•지시하는 대상이 다름.
 제주 방언 - ‘삼촌’ = 여성
‌“동네 사람들이 날 숭보암서라. 새로 온 민기네 집 식모는 밥 하영 먹는 제주도 할망
표준어 : 많이 표준어 : 할미, 할머니
이엔 소문나서라.”
지역 방언 이해의 장점
- 현기영, 『순이 삼촌』 에서
•‌서로 다른 방언 화자 사이의 의사
소통을 도움.
•‌각 지역의 정서·문화 이해를 도움. 함경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언.


에는 동북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 표준어로 ‘감자’라고 부르는 것을 이 방언에
동북 방언 함경도 지역을 중심 지역별로 ‘감쥐’, ‘지슬’과 같이 가리키는 말이 다르므로 공통의 약속인 표준어 ‘감자’가 있는 것임.
으로 한 방언. 서는 ‘감쥐’라고 한다. 같은 대상인 ‘감자’를 제주 방언에서는 ‘지슬’이라고 하는 것 25

112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과 차이를 보인다. ‘먹었습메’, ‘그러겠답메’ 등에서 종결 어미 ‘-습메’, ‘-ㅂ메’가 쓰
이고 있는 것도 동북 방언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에는 제주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 ‘하영’은 ‘많이’의 제주 방언이다. ‘할망’은 표
준어의 ‘할미’ 또는 ‘할머니’에 해당하는 말이다. 동북 방언에서는 ‘할머니’를 ‘아매’
5 라고 하는 것과 차이를 보인다. ▶ 문학 작품에서 보이는 지역 방언의 특성과 지역 방언 간의 차이

● 사회 방언
이처럼 지역에 따라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개념
말이 차이를 보이는가 하면, 동일한 말임에도 가 한 언어가 연령, 세대, 성별, 사회
계층 등의 사회적 요인에 따라 분
리키는 대상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삼촌’ 화된 것

은 일반적으로 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부르는 말이


10 지만 제주 방언에서는 ‘순이 삼촌’처럼 ‘삼촌’이라
는 말을 여성에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표준어의 ‘삼촌’과 동일한 말이지만, 가리키는 대상이 남성이 아니라 여성이라는 점이 다름. 세대에 따른 사회 방언
지역 방언을 이해하면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지르다
화자 사이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
지역 방언을 이해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 ①
니라, 각 지역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노년층 화자 청년층 화자
지역 방언을 이해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 ② ▶ 지역 방언을 이해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
도구를 내뻗
15 한편 화자의 연령이나 세대, 성별, 사회 계층 등에 따라 사용하는 말이 달라지기도 쳐 대상을 힘
충동구매를
같은 시대에 살면서 공통의 의식을 가지는 비슷한 연령층의 사람 전체. 하다.
껏 건드리다.
한다. 한 언어가 이러한 사회적 요인에 따라 분화된 것을 사회 방언이라고 한다. 예
연령, 세대, 성별, 사회 계층 등 성별에 따른 사회 방언
를 들어 ‘지르다’라는 말을 노년층 화자들은 ‘팔다리나 막대기 따위를 내뻗치어 대상
노년층에 속하는 세대가 이해하는 ‘지르다’의 의미 나이 많은 남자 형제
물을 힘껏 건드리다.’와 같은 의미로 자주 사용하는 반면, 청년층 화자들은 ‘충동구
청년층에 속하는 세대가 이해하는 ‘지르다’의 의미
매를 하다.’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한다. 이것은 세대에 따른 방언 차이를 보여 주는 여성 화자 남성 화자

오빠 형
20 것이다. 그 밖에 성별, 사회 계층 등에 따라 사용하는 어휘가 다른 것도 사회 방언적
사회 계층에 따른 사회 방언
차이에 해당한다. 예컨대 동일한 인물을 두고 여성은 ‘오빠’라는 어휘를 사용하고 남
여성의 사회 방언 일반 계층 밥, 똥
성은 ‘형’이라는 어휘를 사용하는 것은 성별에 따른 어휘 사용의 차이를 보여 준다.
남성의 사회 방언 궁중에서, ‘똥’을 이르던 말. 상위 계층 수라, 매화
● ●
과거 궁중에서 사용하던 말인 ‘수라’나 ‘매화’에는 사회 계층에 따른 어휘 사용의 차
궁중에서, 임금에게 올리는 밥을 높여 이르던 말.
이가 반영되어 있다. 인터넷과 같은 가상 공간에서 사용되는 특유한 언어적 표현들 사회 방언 이해의 장점
인터넷 공간에서는 말을 줄여쓰거나 일상생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언어적 표현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역시 사회 방언이라 볼 수 있음.
25 도 사회 방언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사회 방언을 이해하는 것 역시 한 사회 구성원들 간의 효율적인 의사
소통과 상호 협력에 도움이 됨.
사회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들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상호 협력에 도움이 된다.
사회 방언을 이해하는 것의 장점 ▶ 사회 방언의 특징과 사회 방언을 이해하는 것의 장점
말하는 상황이나 대상에 따라 사용하는 말이 달라지기도 한다. 공식적인 자리에
발표, 인터뷰, 회의 등 다수를 대상으로 말해야 하는 자리
서는 표준어를 사용하던 사람이 고향의 친척이나 친구와 사적인 대화를 할 때에는
비공식적 자리에서 사적인 대화를 할 때는 같은 지역의 방언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간의 친밀감을 드러낼 수 있음. ●
수라 궁중에서, 임금에게 올리
지역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세대에 따른 언어 차이를 고려하여 친구들끼리 는 밥을 높여 이르던 말.

30 사용하던 말을 부모님이나 조부모님께 사용할 때에는 알기 쉬운 다른 표현으로 바 매화 궁중에서, ‘똥’을 이르던 말.
유행어, 신조어 등을 잘 모를 대화의 대상(부모님·조부모님)을 배려하여 다른 표현으로 바꾸어 쓰는 것이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함.

(2) 다양한 국어 자료 113


옷에 더러운 게
묻었네. 지지야,
지지.

꾸어 말하는 것도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엄마가 어린아이에게 말할 때 ‘밥’을 ‘맘


마’, ‘더러운 것’을 ‘지지’라고 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발화
대화의 대상인 어린아이에 대한 배려가 반영됨.
상황과 대상에 따라 적절한 언어를 구사하는 것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꼭 필요하다. ▶ 발화 상황과 대상에 따른 적절한 언어 구사의 필요성

● 문화적 차이에 따른 언어 사용 그 밖에 문화적 차이에 따라 언어의 사용 양상이 달라지기도 한다. 특히 어휘나 5

문화 간의
차이
어휘, 관용
표현에 반영
관용 표현에 그러한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bring home
오랫동안 써서 굳어진 대로 사용하는 표현. 외국어로 된 말이나 글을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에 충실하게 번역함.

the bacon’이라는 표현을 ‘집으로 베이컨을 가져오다.’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외국어의 표면적인 의미에만 주목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번역 시 각 언어권의 문화적 차이 ●
를 염두에 두어야 함.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문화를 고려하여 ‘밥벌이를 하다.’ 정도로 의역해야 의미
•‌해외에서 생산된 한국어 자료를 원문의 단어나 구절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고 전체의 뜻을 살리어 번역함.
이해하기 위해 해당 사회의 문화 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한 자료를 이해하거
적 맥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

나, 한국어로 된 자료를 외국어로 번역할 때에도 각 언어권의 문화적 차이를 염두 10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외국어 자료를 잘못 이해하거나, 잘못된 번역을 할 수 있음.
에 두어야 한다. 또한 해외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에도 해당 사회의 특성이 반영되기
마련이므로 해외에서 생산된 한국어 자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회의 문화
적 맥락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언어 자료 이해의 필요성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한 언어가 지역적 요인에 따라 분화된 것을 지 역 방 언 (이)라고 하고, 사회적 요인


에 따라 분화된 것을 사 회 방 언 (이)라고 한다.
직역하다 외국어로 된 말이나
•‌말하는 상 황 와/과 대 상 에 따라 적절한 언어를 구사하는 것은 효과적인 의사소통
글을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에
충실하게 번역하다. 을 하는 데에 꼭 필요하다.

의역하다 원문의 단어나 구절 •‌다른 나라의 언어 자료를 한국어로 번역하거나, 우리나라의 언어 자료를 외국어로 번
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고 전 역할 때에는 해당 사회의 문 화 적 맥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체의 뜻을 살리어 번역하다.

114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국어 자료의 갈래별 특성

글은 다른 사람과 생각을 나누거나 자신을 드러내는 데 필요한 도구로서 그 목적


일기, 생활문, 편지 등
에 따라 정보 전달의 글, 설득의 글, 친교 및 정서 표현의 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정보 전달의 글 - 기사문 ❶
목적에 따른 글의 종류
기사문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함.
여기에서는 정보 전달의 글과 설득의 글 중에서 일상적으로 접하는 기사문과 공고
정보 전달의 글
5 문, 광고문의 언어적 특성을 살펴보자. ▶ 목적에 따른 글의 종류
요건 신뢰성, 간결성
설득의 글

진실이 아닌 것을 진실인 것처럼 꾸민 것.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기사문은 신뢰도가 매우 중요하므로 그 내용에 허위 피동 표현이 많음.
기사문은 객관적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므로 거짓 없이 진실해야 함.
행위의 주체를 드러낼
나 과장이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종이 신문의 경우 기사문이 실리는 면적이 한정 수 없거나 일부러 드러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냄. 내지 않으려고 할 때
되어 있기 때문에 간결하게 써야 한다. 사용함.
특징

장점 단점
‌‘4차 산업 혁명’, 즉 세계화와 기술 혁신이라는 전 세계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이에 사태를 객 신뢰도가
정보 통신 기술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차세대 산업 혁명.
관적으로 떨어질 수
10 맞는 ‘고령화’ 대책과 ‘교육’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보여 줌. 있음.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자 비율이 높아지는 것. 피동문을 사용함으로써 주체를 밝히지 않음.
‌한국 개발 연구원 국제 정책 대학원 윤 교수는 「한국의 소득 불평등 심화 메커
해당 분야의 권위자의 말을 인용하게 될 것임을 알 수 있는 부분 사물의 작용 원리나 구조.
니즘과 4차 산업 혁명 대비」 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1990년대 급속한 세계화 물결
속에서는 저생산성 일자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임금 격차가 심화된 것이 소득 불평 ● 정보 전달의 글 - 기사문 ❷

등의 원인이었다면,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고령화가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 인용 표현이 많음.


「 」 : 직접 인용을 드러내는 큰따옴표 사용 규범에는 어긋나지만, 내용 전달의 효과를 높이는
15 는 주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 밝혔다. 방법에 해당함. 남의 말이나 글을 자신의 말이나
간접 인용을 드러내는 ‘고’ 사용 글 속에 끌어 씀.
- 『매일 경제』, 2017년 9월 7일 기사

▶ 기사문의 요건과 예 간접 인용 직접 인용

기사문의 특성 중 하나는 피동 표현이 많다는 것이다. 피동 표현은 일반적으로 조사 ‘고’ 조사 ‘라고’


사용, 말하는 사용, 큰따옴
이의 관점에서 표를 통해
행위의 주체를 드러낼 수 없거나 일부러 드러내지 않으려고 할 때에 사용한다. 피 고쳐 인용 그대로 인용

동문인 에는 고령화 대책과 교육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제기한 주체가 드러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하면
나 있지 않다. 이와 같은 피동 표현을 사용하면 사태를 객관적으로 보여 주는 효과 기사를 간결하게 전달하고
피동 표현 사용의 장점 독자의 주의를 끌 수 있음.
20 를 얻을 수 있으나 기사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피동 표현을 사용
피동 표현 사용의 단점
할 때에는 기사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주의 깊게 사용하여야 한다.
▶ 피동 표현을 많이 쓰는 기사문의 장단점
인용 표현이 많은 것도 기사문의 특성이다. 에서는 ‘한국 개발 연구원 국제 정
객관적인 것처럼 보여 주기는 하
책 대학원 윤 교수’가 쓴 논문이 정보의 출처임을 밝히고 그의 말을 인용하였 지만 실제로는 행위나 현상의 주
체가 드러나지 않으므로 기사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을 염
다. 은 간접 인용을 나타내는 조사 ‘고’를 사용한 간접 인용문인데, 직접 인용문에 두에 두고 주의하여 사용해야 함.
다른 이의 말이나 글을 옮길 때 말하는 이의 관점에서 고쳐서 인용함. 다른 이의 말이나 글을 옮길 때 바꾸지 않고 그대로 인용함.
25 만 사용하는 큰따옴표를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국어의 규범에는 어긋난
것이지만 「취재 내용 중 필요한 것만을 간접 인용문 형식으로 재구성하여 간결하게
「 」 : 규범에 어긋난 인용문을 쓰는 이유
전달하려는 의도와 함께,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큰따옴표로 묶어 강조함
으로써 독자의 주의를 끌려는 의도가
」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 인용 표현을 많이 쓰는 기사문의 특징

(2) 다양한 국어 자료 115


● 정보 전달의 글 - 공고문 공고문은 특정 정보를 널리 알리려는 목적으로 쓴 글이므로 정중한 태도를 갖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함. 공고문이 갖춰야 할 요건
특정 정보를 널리 알리
공고문 려는 목적으로 쓴 글 면서도 누구나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명료하게 표현해야 한다.

•‌정중한 태도
요건 •‌간단명료한 표현 공고 제 2019 - 82호

제 공고하는 목적을
제9대 학생회장/부회장 선거 공고
목 분명히 드러냄.


하십시오체를 사용 2020학년도 빛나라 고등학교 제 9 대 학생회장 및 부회장 선거를 5
하여 독자를 정중히
문 아래와 같이 공고합니다.
특 대함.

명사 또는 명사형

어미로 끝나는 짧 2019년 11월 1일
은 문장으로 필요
용 빛나라 고등학교 선거 관리 위원회
한 정보를 간결하
게 전달함.

1. 후보자 등록 기간 4. 후보자 토론회


2019. 11. 4. ~ 11. 8. 2019. 11. 15. 10

2. 후보자 자격 요건 5. 후보자 합동 유세
① ‌교사 3인 이상 및 재학생 30인 이상의 추 2019. 11. 18.
천을 받은 학생
6. 선거 운동 기간
② ‌학교 폭력 대책 자치 위원회의 징계를
받지 않은 학생
2019. 11. 11. ~ 11. 18.

7. 선거일 15
3. 제출 서류
① 후보자 등록 신청서 1부
2019. 11. 19.
② 추천서 1부 8. ‌기타 문의 사항은 선거 관리 위원회로
문의 바람.

▶ 공고문의 요건과 예

공고문에는 크게 제목, 전문, 내용이 담긴다. 위 공고문을 보면 제목에서 무엇을


공고문의 구성 요소
공고하고 있는지 그 목적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또한 제목 아래 전문에서는 하 20
공고문 제목의 기능
십시오체를 사용하여 독자를 정중히 대한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내용에 해당하는
항목들 가운데 2, 8번을 보면 명사 또는 명사형 어미로 끝나는 짧은 문장으로 구성
하여 필요한 정보를 간결하게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공고문의 성격과 구성 요소
공고문 내용의 특징

광고문은 어떤 대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용자를 설득하는 글이다. 상품이


광고문의 성격
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적 이익을 꾀할 수도 있고, 수용자의 인식과 25
소비자의 상품 구입, 서비스 이용 등을 유도하는 상업 광고가 해당됨.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여 공적 이익을 꾀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광고문을 만들 때에
금연, 장애인에 대한 편견 해소 등을 유도하는 공익 광고가 해당됨.
는 수용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오래 기억될 수 있도록 수사적 표현을 전략적
광고문을 만드는 목적
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음성, 문자, 음향, 이미지, 동영상 등을
」 복합적으로
수사적 표현 하나하나가 수용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음. 「 」 : 광고의 표현 수단
활용한다.

116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동영상 자료
소단원 (2) 제시 영상
인쇄 광고 영상 광고 ● 설득의 글 - 광고문

어떤 대상에 관한 정보
광고문 를 제공하여 수용자를
뽑는 것이 설득하는 글
심는 것입니다.

상업 광고 공익 광고

상품이나 서비 수용자의 인식
스에 관한 정보 과 행동의 변화
제공하여 사적 를 유도하여 공
이익을 꾀함. 적 이익을 꾀함.

표현 방식

•‌수용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


고 오래 기억되도록 수사적 표현
을 전략적으로 사용함.
•‌음성, 문자, 음향, 이미지, 동영상
- 한국 방송 광고 진흥 공사, 「뽑는 것이 심는 것」 / 「모습은 비슷해도 결과는 정반대」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함.
▶ 광고문의 성격과 표현 방식 및 예

위의 인쇄 광고에서는 “뽑는 것이 심는 것입니다.”라는 역설적인 표현을 광고 문


구로 제시하고, 전기 콘센트 사진과 나무 그림을 결합하여 에너지 절약이 곧 환경
5 보호라는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영상 광고에서는 같은 말을 에너지를 낭비하는 상
황과 절약하는 상황의 영상에 각각 결합하고, “모습은 비슷해도 결과는 정반대입
니다.”라는 광고 문구를 노출하여 대비의 효과를 얻고 있다. 끝부분에는 에너지 절
두 가지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서로 맞대어 비교함. 또는 그런 비교.
약과 환경 보호를 보다 직접적으로 당부하는 광고 문구를 지구 그림과 함께 보여
주어 광고의 의도를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또한 자막을 가사로 활용한 노
에너지 절약과 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느끼게 만드는 것.
10 래를 배경 음악으로 삽입하여 인쇄 광고에 비해 강한 인상을 주고 있다.
▶ 인쇄 광고와 영상 광고의 사례 분석

갈래별 국어 자료의 특성을 정리해 보자.

기사문 공고문 광고문

•피동 표현을 많이 사용함. •전문에 하십시오체를 사용함. •‌수사적 표현을 전략적으


• 인용 표현을 많이 사용함. 로 사용함.
•‌명사나 명사형 어미로 끝 •음성, 문자, 음향, 이미지, 동영
상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함.
나는 간결한 문장이 많음.

(2) 다양한 국어 자료 117


1 다음 만화를 보고 제시된 활동을 해 보자.

마카 커피 주이소. 모카 커피에는 시나몬


파우더가 올라가는데
괜찮으세요? 사이즈는
스몰로 드릴까요?

첫째, 두 화자가 서로 다른
지역 방언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할아버지는 동
뭐라카노?
남 방언(경상도 방언)을 사
그냥 따신 걸로 주이소. 그라고
용하고 있고 직원은 중부
여게 주전부리할 거는 없능교?
방언(혹은 표준어)을 사용
하고 있다. 할아버지의 말
에서 ‘마카 커피 주이소.’는
‘전부 커피 주세요.’라는 뜻
의 동남 방언인데, 직원은
이것을 ‘모카 커피’를 달라
는 말로 잘못 이해하였다.
그 밖에 ‘뭐라카노?’, ‘따신
걸로 주이소.’등의 동남 방
언도 직원이 제대로 알아듣
지 못하였다. 둘째, 두 화자
가 서로 다른 사회 방언을 ⑴ 할아버지와 점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이유를 구체적으로 써 보고, 소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아버지의 말과 직원의 말을 바꿔 보자.
할아버지는 노년층의 방언 예시 답안
을 사용하고 있고, 직원은
청년층의 방언을 사용하고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있다. 직원의 말에서 ‘모카 않은 이유
커피’, ‘시나몬 파우더’, ‘사
이즈’, ‘스몰’과 같은 말은
청년층 화자들이 주로 사용 전부 커피 주세요. 뭐라고요? 그냥 따뜻한 걸로 주세요. 그리고 여기 군것질할 만
하는 어휘들이므로 할아버 할아버지
한 것은 없나요?
지는 이를 잘 알아듣지 못
하였다. 직원 또한 ‘주전부 바꾼 말
리’와 같은 어휘를 자주 사
용하는 세대가 아니므로 할 직원 모카 커피에는 계피 가루를 뿌리는데 괜찮으세요? 크기는 작은 걸로 드릴까요?
아버지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였다.

⑵  역이나 세대, 성별, 직업 등의 차이 때문에 의사소통이 어려웠던 경험을 친구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경상도에서 전학 온 친구가 내가 말할 때마다 “맞나?”라는 말을 하기에 왜 자꾸
맞는지 틀리는지 물어보냐니까 그 친구는 그냥 별다른 의미 없이 한 말이라고 해
서 놀랐던 적이 있다.
•‌학교 교지 편집 동아리에 들어갔는데 ‘레이아웃’, ‘조판’ 등과 같은 편집 전문 용
118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어를 몰라 선배들에게 일일이 물어보고 공부해야 했다.
2 다음 활동을 하며 언어에 반영된 문화의 차이를 이해해 보자.

⑴  슷한 의미를 나타내는 나라별 속담을 비교해 보고, 표현에 차이가 있는 까닭을



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해 보자.

다른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데 공교롭게 그 사람이 나타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한국어 중국어 영어

Speak of the devil,


说曹操, 曹操就到.
호랑이도 제 말 하면 here he comes.
(조조를 말하니 조조가
온다. (악마 얘기를 했더니 악
왔다.)
마가 왔다.)

예시 답안
같은 상황에 대하여 한국어에서는 ‘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는 자연 친화적인 한국의
전통 문화에서 ‘호랑이’가 친숙한 동물로 자주 등장한다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어에서는 ‘조조를 말하니 조조
가 왔다.’라고 표현하였는데, 이는 중국의 역사 및 문화와 관련하여 ‘조조’라는 인물에 대한 인식이 널리 자리 잡고 있
으므로 가능한 것이다. 한편, 영어에서는 ‘악마 얘기를 했더니 악마가 왔다.’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는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문화권에서는 ‘악마’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기에 가능한 표현이다.

⑵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그리고 그렇게 쓴 까닭을 말


해 보자.

번역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일단 책을 끝까지 읽으면서 큰 주제를 파악한다. 그


다음 한 줄씩 꼼꼼히 읽으면서 번역이 까다로운 단어나 문장 구조를 해결해 나가며
번역한다. 번역이 한 번 끝나면 원문과 네다섯 번 꼼꼼하게 대조하고 오·탈자를 확
인한 뒤 마무리 짓는다.
“좋은 번역이란 독자가 번역물을 읽고 있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을 만큼 쉽게 이
해되는 번역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려면 한국인의 정서에 맞게, 우리가 자주 쓰는
표현으로 재구성해야 하지요. 번역가는 또 다른 작가나 다름이 없어요.”
문화적 차이를 번역 과정에서 섬세하게 반영하는 일은 번역가에게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보자. 영국 소설 『해리 포터』의 여덟 번째 책에서 성인이 된 주인공은 호
그와트 마법 학교에서 과거에 자신을 가르쳤던 미네르바 맥고나걸 교수를 다시 만난
다. 원작에서 주인공은 교수를 향해 “미네르바!”라고 부르지만 번역가는 이 대목을
“       ”이라고 번역했다.
- 『에듀 동아』, 2016년 11월 22일 기사

예시 답안
빈칸에 들어갈 말은 ‘교수님’이다. 영어를 사용하는 문화권에서는 학생이 교수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이 자연스럽지
만 한국 문화에서는 그렇지 않다. 사회 구성원 간의 위계 질서를 중시하는 한국 사회의 특성상, 화자와 청자 간에도
연령, 사회적 지위, 친소 관계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적절한 경어법을 구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한 (2) 다양한 국어 자료 119
국 문화의 특성을 고려할 때, 학생과 교수의 관계에서 학생은 ‘교수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3 신문에 실린 다양한 갈래의 글을 살펴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2019년 12월 일 요일

 내일 전국 곳곳 한파 절정  대한민국 청소년 제 6 기 기자단 모집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대표 조)이 청소
년의 진로 개발 활성화와 올바른 청소년 문화의
안착을 도모하기 위해 내달 1일부터 제6기 기자
단을 모집한다.
이번 모집은 만 14세 이상의 중·고등학생이라
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오는 1월 20일까지
총 20일간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공식 누리집
(http://www.youthpress.net)에서 접수할 수 있
기상청은 내일 전국이 영하 10도 이하로 춥겠 다. 알림 마당 게시판에서 지원서를 내려받아 작
으며 오후부터 남부 지방에 눈이 내릴 것이라고 성한 후, 전자 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예보했다. 전라도와 제주도에 5밀리미터 미만의 응모 분야는 기사 작성 분야와 영상 제작 분야
눈이 내리겠고 일부 산간 지역에는 30밀리미터 이고, 선발된 청소년 기자는 내년 2월부터 약 6
이상 내리는 곳도 있겠다. 국립 환경 과학원에 따 개월간 활동하게 된다. 기사 작성 분야는 매달 한
르면 내일 미세 먼지 농도는 전국이 ‘보통’으로 예 번씩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에 관해 기사를 작성
상된다. 기상청은 “내일 아침 내륙을 중심으로 짙 하고, 영상 제작 분야는 세 달에 한 번씩 영상 뉴
은 안개가 끼는 곳이 있어 교통안전에 유의해야 스 제작 활동에 참여한다. 또한 제6기 기자단에
한다”고 당부했다. 모레는 남쪽에서 올라오는 따 는 1,365시간의 자원봉사 실적 확인서 발급, 위
뜻한 기압골의 영향으로 추운 날씨가 조금은 풀 촉장 및 기자증 발급, 우수 기자 표창 등 다양한
리겠다. 혜택이 제공된다.

“왔다 가드래요,
잡숴 보드래요, 놀다 가드래요.”
강원도 영월에서는 감자 캐기와 탄광 체험을 할 수
있드래요.
정겨운 사투리와 함께 구수한 감자전 맛보드래요.

120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⑴  의 기사문을 읽고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피동문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는 간접 인용문에 큰따옴표를 사용한


문장이 있네. 왜 그런 걸까? 까닭은 무엇일까?

예시 답안
•‌피동문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는 문장이 있네. 왜 그런 걸까? : ‘날 •‌간접 인용문에 큰따옴표를 사용한 까닭은 무엇일까? : 네 번
씨가 조금은 풀리겠다’와 같은 표현은 ‘무엇이 날씨를 풀었다’와 째 문장은 큰따옴표를 제외하면 “기상청은 내일 아침 내륙
같은 능동문으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피동문으로 표현할 수밖 을 중심으로 짙은 안개가 끼는 곳이 있어 교통안전에 유의
에 없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리다’와 같은 표현 역시 ‘무엇이 감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에서 보듯이 간접 인용을 나타내는
기를 걸다’와 같은 능동문으로 만들 수 없어서 피동문으로 표현 조사 ‘고’를 사용한 간접 인용문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간
할 수밖에 없다. 접 인용문에 큰따옴표를 사용한 데는 취재 내용 중에서 기
자가 특별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강조하여 독자의
주의를 끌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⑵  의 내용을 공고문의 형식으로 바꾸어 작성해 보자.


예시 답안

2019 -  
공고 제     19 호

제 6 기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제 6 기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2019 년  12 월  15 일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1. 모집 기간 5. 활동 기간
2020. 1. 1. ~ 1. 20. 2020년 2월부터 약 6개월간
2. 응모 자격 6. 활동 내용
1. 만 14세 이상의 중·고등학생 ① 기사 작성 분야 : 기사 작성(매달 한 번)
3. 응모 방법 ② ‌영상 제작 분야: 영상 뉴스 제작 (세 달에 한 번)
2.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공식 누리집(http :// 7. 특별 혜택
3. www.youthpress.net) 알림 마당 게시판 - ① 자원봉사 실적 확인서 발급(1,365시간)
지원서 내려받아 작성 - 전자 우편 제출 ② 위촉장 및 기자증 발금
4.
4. 응모 분야 ③ 우수 기자 표창 등
① 기사 작성 분야
② 영상 제작 분야

⑶  의 광고문에 어떤 표현 방법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고, 모둠별로 우리 지역을



홍보하는 광고문을 만들기 위한 계획을 세워 보자.
예시 답안 •(다)에 쓰인 표현 방법
- 강원도 사투리로 어미 ‘-드래요’를 반복하여 일정한 운율감을 형성함.
- ‌‘왔다’, ‘잡숴’, ‘놀다’를 진하게 표현하여 영월에 특색 있는 먹거리와 놀거리가 있음을 드러냄.
- ‌안전모와 감자로 탄부의 얼굴을 형상화하여 영월의 지역적 특색을 보여 줌. (2) 다양한 국어 자료 121
•‌우리 지역을 홍보하는 광고문을 만들기 위한 계획 : 생략
챗봇 대화 시나리오 만들기
특정 상황의 대화 내용을 유형화할 수 있는 이유를 이해하고, 그것을 바
탕으로 챗봇 대화 시나리오를 작성해 보는 활동이다. 모둠별로 실생활과 밀
접한 챗봇 대화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자.

1 다음 글을 읽고 제시된 활동을 해 보자.

(가) 우리는 모두 자신의 경험과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세상을 이해하는 어떤 틀을


가지고 있다. 같은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은 이러한 틀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원활
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 가령 우리는 “나 어제  음식점 갔다 왔어.”라는 말이
화자가 단순히 그 음식점을 방문했음을 말한 것이 아니라, 거기서 음식을 주문하고
먹고 계산을 하고 나온 과정 전체를 표현한다는 것을 의식하지 않고도 알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음식점에서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사건들을 화자와 청자가 공통
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일종의 ‘시나리오’이다. 같은
문화권의 사람들은 ‘음식점 시나리오’, ‘상거래 시나리오’ 혹은 ‘연애 시나리오’와 같
은 것들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하면 인간의 대화를 몇
가지로 유형화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다음을 살펴보자.
▶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해 주는 대화 당사자들의 공유 시나리오

대화 유형 음식점 직원 손님

환대 “어서 오세요. 몇 분이시죠?” “세 사람입니다.”

“이쪽으로 앉으세요. 음식
안내 “예, 알겠습니다.”
결정하시면 불러 주세요.”

“무엇으로 “김치볶음밥 둘에
주문
주문하시겠습니까?” 불고기 백반 하나요.”

대금 결제 “만 팔천 원입니다.” “여기 있습니다.”

인사 “감사합니다. 안녕히 가세요.” “잘 먹었습니다.”

위와 같이 음식점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환대로 시작하여 안내, 주문, 대금 결제


가 이루어지고, 마지막으로 인사를 하며 끝마치는 구조로 유형을 정리할 수 있다.
▶ 음식점 시나리오의 유형화 사례

122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나) ‘챗봇’은 ‘채팅’과 ‘로봇’을 결합하여 만든 용어로서,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정해
진 규칙에 따라 사용자의 질문에 자동으로 응답하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말한다.
챗봇은 기본적으로 ‘요청과 응답’ 구조를 따른다. 즉 사용자가 대화방에 특정한 메시
지를 입력하면, 챗봇은 사용자가 보낸 메시지 규칙에 따라 메인 서버에 자동 응답을
요청하고, 자연어 처리 과정을 거쳐 적합한 응답을 사용자에게 보낸다.
챗봇은 그 활용 범위가 무궁무진하다. 챗봇에게 기계나 전자 제품의 사용법을 문
의할 수도 있고, 매장의 운영 시간이나 위치를 물을 수도 있다. 또한 ㉠ 인터넷 구매
누리집에서 제품을 주문하거나 항공권과 숙소를 예약할 수도 있다. 시의 경우에
는 민원 상담에 챗봇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 자동 응답 의사소통 프로그램인 챗봇의 개발과 활용 범위
처음 챗봇이 개발되었을 때에는 단순히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를 분석하여 그에 맞
는 대답을 단어 형식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최근 들어 인공 지능 기술
이 발전하면서 실제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챗봇이 발전하고 있
다. 챗봇에 긴 문장을 입력해도 그 의미를 해석하여 답변 역시 문장으로 제공하는 형
태를 띠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단순히 정보를 알려 주는 역할을 넘어서서 친구
가 되어 주는 기능을 탑재한 챗봇들도 나타나고 있다. 즉 안부나 위로의 말, 재미를
주는 말을 건네는 등 친교적 대화도 수행하게 함으로써 인간과의 대화처럼 느끼도록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 실제 인간 간의 의사소통 수준만큼 기술이 발전한 챗봇

⑴ (나) 에서 언급한 ‘챗봇’ 기술이 처음 개발될 수 있었던 까닭을 (가) 의 내용과 연관


지어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인간의 대화가 항상 예측 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부 전형적 상황에서는 몇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⑵ (가) 를 참고하여 ㉠ 의 상황에 어울리는 챗봇 대화 시나리오를 작성해 보자.


예시 답안
대화 유형 챗봇 손님

환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제품을 주문하고 싶습니다.”

원하시는 제품 번호를
품목 확인 “제품 번호 4,321입니다.”
말씀해 주세요.
몇 개를
수량 확인 3개 보내주세요.
주문하시겠습니까?
서울시 마포구 로
주소 확인 “어디로 보내 드릴까요?” 입니다.
신용 카드 번호 16자리를 1234 - 5678 - 9123
대금 결제
말씀해 주세요. - 4567
이용해 주셔서
인사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창의·융합 놀이터 123


2 실생활에서 활용할 챗봇을 개발한다고 가정하고 모둠별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모둠 구성원이 함께 논의하여 개발할 챗봇의 종류와 이름, 주요 기능을 설정해 보자.
예시 답안

챗봇의 종류 위로 로봇 챗봇의 이름 토닥이

• 시험을 망쳤을 때, 친구와 싸웠을 때, 부모님께 야단맞았을 때 등 속상한 상황을 입력하면


따뜻한 위로의 말을 건네줌.
주요 기능
• 기분이 좋아지는 음악을 선곡하여 틀어 줌.

⑵ ‌모둠 구성원끼리 실제 대화를 해 보며 개발할 챗봇의 대화 시나리오를 구체적으로


작성해 보자.
예시 답안

대화 유형 챗봇 인간

“안녕하세요. 오늘 하루는 어떻게 보내셨나


인사 “시험을 망쳐 버려서 기분이 좋지 않아요.”
요?”

공감 “저런, 정말 힘드시겠어요.” “다 포기해 버리고 싶은 마음이 들어요.”

“지금 이 순간에는 좌절감이 들겠지만 내일


“정말 그럴까요? 누군가 괜찮다고 계속 말해
격려 일어나서 다시 생각하면 기분이 조금 나아질
주면 좋겠어요.”
거예요.”

격려 “그럴 때는 이 음악을 들어 보세요.” “알겠어요. 고마워요.”

124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⑶  선 활동을 바탕으로 챗봇이 활용되면 좋을 분야와, 활용되기에 어렵거나 활용

되어서는 안 될 분야를 각각 생각하여 그 까닭과 함께 적어 보자.
예시 답안

길을 안내하거나 상품을 판매하고 건강 상식, 날씨와 같은 정보를 알려 주


며 책을 읽어 주는 등의 일을 하면 좋을 것 같다.

진로나 심리, 고민 등을 상담해 주는 일, 문학이나 예술 작품 등을 창작하


거나 그에 대해 비평하는 일 등은 챗봇이 할 수 없을 것 같다.

판결을 내리거나 면접을 보고 인재를 선발하는 일, 또 사과를 대신하기 등


의 일은 챗봇이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⑷⑶
 에서 작성한 내용을 모둠 구성원끼리 바꿔 읽어 보고, 느낀 바를 자유롭게 이
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챗봇 개발에 윤리적, 도덕적 문제는 없는지 고려하여 챗봇을 활용할 분야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가치 판단이 이루어져야 하거나 그에 따라 중요한 결정이 내려지는 일은 인간 고유의 영역으로서 챗봇이 대신해서
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창의·융합 놀이터 125


모의 평가 어휘 학습 자료
대단원 대단원
모의 평가 어휘 학습지
다음 설명의 올바른 답이 가리키는 번호를 표에서 찾아 색칠하며 배운 내용을 확인해 보자.
예시 답안

음절의 끝소리 현상, 품사는 흔히


‘ㄷ’, ‘ㅅ’, ‘ㄴ’, ‘ㄹ’은 모두
된소리되기(경음화)는 음운 ‘형태’, ‘기능’, ‘의
조음 방법이 다르지만 조음 미’의
변동 유형 가운데 ‘첨가’에 기준으로 분류된
위치는 같다. 다.
해당한다.
예 6번 아니요
예 2번 아니요 1번 7번
예 9번 아니요 12번


성질이나 상태
동사는 사물의 의 ‘먹이’의 ‘-이’는 어근의 ‘덮밥’은 어근의 배열
사는 사물
나타내고 형용 품사를 바꾸므로 한정적 방식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이나 작용을 나타낸다.
동작 접사에 해당한다. 배열 방식과 다르다.

아니요 8번
예 17번 예 16번 아니요 23번 예 10번 아니요 30번

안은문장,
‘길다’와 ‘짧다’는 정도의 관형사절을 가진
안은문장은 상대 높임법 체계 중
측면에서 대립하는 부사절을 가진
.
반의 관계에 속한다. 홑문장에 속한다 비격식체 표현에는 해요체와
해체가 있다.
14번
예 33번 아니요 29번 예 20번 아니요
예 32번 아니요 35번

발화의 상황 맥
앞에 부사 락은 사회적,
정 문 가운데 용언 문화적 배경과
관련된 화자와
부 인 것은 한자의 음
‘못’을 붙 청자의 지식을 과 뜻을 빌
‘안’이나 . 가리킨다. 려 적은 고
에 한다
속 명사 표기 유
긴 부정문 , 이두, 구
결, 향찰은
예 26번 아니요 차자 표기
31번 에 해당한
니요 27번 다.
예 25번 아
예 18번 아
니요 19번
1 2 3 4 5 6 7
중세 국어
의 ‘어엿브
현대 국어 다’는 8 9 10 11 12 13 14
의 ‘예쁘다 회 계층
’와 세대, 성별, 사
의미가 같 리 쓰이는
다. 15 16 17 18 19 20 21 등에 따라 달
속한다.
예 28번 아 말도 방언에
니요 22 23 24 25 26 27 28
21번 22번
예 15번 아니요
29 30 31 32 33 34 35

126 Ⅱ. 국어의 탐구와 활용


다음 평가표를 작성하며 학습 정도를 점검해 보자.

평가
점검 항목
충분 보통 미흡

1 실제 국어 생활을 바탕으로 음운의 체계와 변동을 탐구하였다.

2 품사의 분류와 특성, 단어의 구조와 형성, 의미 관계를 탐구하였다.

3 문장의 짜임, 문법 요소의 개념과 표현 효과를 탐구하였다.

4 담화의 개념과 특성을 탐구하고 이를 의사소통에 활용하였다.

5 시대 변화에 따른 국어 자료의 차이와 특성을 이해하였다.

6  양한 사회와 갈래에 따른 국어 자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국어



자료를 생산하였다.

이 단원에서는 국어의 구조와 국어 자료의 특성을 탐구하고, 이를 실제 언어생활에


활용해 보았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자신에게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앞으
로의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나는 앞으로 실제 언어생활을 하면서 접하게 되는 어휘, 자료, 담화 등에 국어의 구조와

국어 자료의 특성에 대해 배운 내용을 적용해 나가면서 내가 사용하는 언어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도록 노력 할 것이다.

대단원 마무리 127


III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1 매체 자료의 수용과 생산

2 매체와 사회

비판적·창의적 의사소통 공동체· 자기 성찰·


사고 대인 관계 계발
교과 역량
자료·정보
활용 문화 향유
●대단원 학습 목표●
•‌정보의 구성과 유통 방식, 관점과 가치를 고려하여 매체 자료를 수용하고, 목적과 수용자, 매
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적이고 심미적인 매체 자료를 생산할 수 있다.
•‌매체 언어가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
하고 주체적으로 향유할 수 있다.

교과서 본문 교과서 본문 지도서 본문 수업 지도안


3단원 3단원 3단원 3단원 차시별 지도안

매체의 영향력이 갈수록 더욱 커지는 현대 사회에서, 매체로 소통하며 다양한 매


매체 수용과 생산 능력이 필요한 까닭
체 자료를 적절하게 수용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
라서 우리는 매체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것을 의사소통 상황
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매체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
매체의 수용과 생산 능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
하고 주체적으로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 ▶ 매체 영향력의 증대에 따른 매체의 수용과 생산 능력의 필요성

「 」 : 중단원 1 - (1)
이 단원에서는 「매체에 따라 달라지는 정보의 구성 방식과 유통 방식에 관한 이해
매체의 유형이 정보의 구성과 유통에 영향을 미침
를 바탕으로 매체 자료에 반영된 다양한 관점과 가치를 파악하고, 「목적과 수용자, 매

「 」 : 중단원 1 - (2)
」 보자. 나아가 「매체 언어가
체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매체 자료를 창의적으로 생산해
매체 자료를 생산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 「 」 : 중단원 2 - (1)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의사소통 상황에서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존중
「 」 : 중단원 2 - (2)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갖춰야 할 자세
하는 자세를 기르는 한편,」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를 비판적이고 주체적으로 수용하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를 받아들이는 자세
는 자세를 갖추어 보도록 하자.」 ▶ 이 단원의 학습 내용 안내

130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1 매체 자료의 수용과 생산 2 매체와 사회
(1) 매체 자료의 수용 (1) 매체 언어와 인간관계
(2) 매체 자료의 생산 (2)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

| 문학 | 예술 | 독서 |

문학과 매체 융합하기

● ‌매체 수용과 생산 능력의 필 ● 매체의 수용과 생산 ● 매체와 사회


요성
•‌매체별 정보 구성 및 유 매체 언어 영향 인간, 사회
매체의 영향력이 증대하는 현대 매체 통 방식 이해
사회 수용 •‌매체 자료의 다양한 관
점과 가치 이해
타인을 배려 비판적·
존중하는 주체적 수용
매체를 매체로 이루어지는 의 자세 자세
사소통을 이해하고 효 매체 목적, 수용자, 매체 특성
통한
과적으로 활용함. 생산 등 고려
의사소통

매체로 매체 문화를 비판적으


형성되는 로 이해하고 주체적으
문화 로 향유함.

다음 질문에 답하며 나의 학습 정도를 확인하고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매체 자료를 수용할 때에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고 있나요? 아니요

매체를 사용하여 내가 전달하고 싶은 내용을 표현해 본 적이 있나요? 예

대중 매체로 접하게 되는 대중문화에 담긴 의도나 목적을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아니요

나는 이 단원을 통해서 매체 자료를 생산하고 수용할 때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할 것인지

배우고 매체와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여 대중문화를 수용하는 바른 자세를 갖추도록 할 것이다.

대단원 길잡이 131


1
매체 자료의 수용과 생산 모의 평가
중단원 모의 평가

수행 평가
중단원 수행 평가

다음 자료가 어떤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지 말해 보고, 나의 현재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사진이나 그림, 문구를 생각해 보자.

예시 답안

보통이

집으로 돌아오는 길, 목련 꽃잎을 보며. 난생 처음 만들어 본 볶음밥. 내 입엔 꿀맛.


#위안 #힘내자
#매우만족#뿌듯#다음엔뭘먹지
댓글 5개 모두 보기

예시 답안
•자료에 나타난 감정
- 하루 일을 마친 뒤의 고단함
- 새로운 용기와 생활에 대한 의지

132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중단원 학습 목표●
•‌매체의 특성에 따른 정보 구성과 유통 방식을 알고 다양한 관점과 가치를 고려하여 매체 자
료를 수용할 수 있다.
•‌목적, 수용자,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매체 자료를 생산하며 매체 언어의 창의적 표
현 방법과 심미적 가치를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다.

● 매체 자료의 제작 방법
신문, 텔레비전 뉴스, 다큐멘터리, 광고 등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내용은 실
체적 진실이라기보다 구성된 실재에 가깝다. 각각의 매체들은 그 자체만의
독특한 제작 방법을 지니고 있다. 이런 방법들은 대체로 수용자의 시선을 사
로잡기 위한 것이 대부분이다. 카메라의 클로즈업은 대상을 강조하여 나타내
기 위한 것이고, 신문의 표제에 활용되는 글자의 크기, 글씨체 등은 독자들의
주의를 끌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동영상 자료에서 시각과 청각은 인간의 정신
세계 깊숙이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한 느낌을 주거나 즐거움을 느끼게
만든다. 이처럼 매체 자료는 생산자의 특별한 의도에 의해 특별한 기법으로
만들어진다.

● 매체 자료의 비판적 읽기
매체 자료는 실체적인 진실을 다루기보다 생산자의 의도가 반영된 구성된
실재이므로 이를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생산자의 숨은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
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따라서 매체 자료를 접할 때에는 그것이 생산자의 창
의적 기법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구성된 실재라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하고,
사용된 기법의 효과 및 생산자의 제작 의도 등을 파악하여 비판적·주체적 태
도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매체 자료의 수용과 생산 133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1) 매체 자료의 수용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매체 자료의 매체의 정보 매체 생산자의
매체 자료의 비 바람직한 매체
수용 능력을 구성 및 유통 관점과 가치 • ‌매체의 특성에 따른 정보의
판적 수용 수용 태도
갖출 필요성 방식 파악
구성과 유통 방식 알기
• ‌다양한 관점과 가치를 고려
하여 매체 자료 수용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1) 바탕글 듣기

● 매체 자료에 영향을 주는 요소 우리는 동일한 정보를 책이나 신문, 텔레비전, 인터넷 등의 다양한 매체에서 다
다양한 매체에 의해 정보가 다양하게 해석되는 시대
매체 매체에 따라 정보의 구
형식 성과 유통 방식이 다름. 양한 방식으로 접할 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다. 여러 매체 자료 중에서 자신에게 필
주체적인 매체의 수용
생산자의 관점과 가치에 요한 것을 선택하고, 그것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
매체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생산자 매체 자료
는 매체 자료를 올바르게 수용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매체 자료를 수용할 때 10

에는 정보의 구성과 유통 방식을 고려하여 의미를 해석하고, 자료에 담긴 관점과


매체에 따라 정보의 구성 및 유통 방식에 차이가 있음. 매체 자료별로 관점과 가치가 다름.
가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우선 매체의 특성에 따라 정보가 구성되고 유통되
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 매체 자료의 수용 능력을 갖출 필요성

매체별로 정보를 제시하는 언어에는 차이가 있다. 책, 신문과 같은 인쇄 매체는


인쇄 매체 언어, 전자 매체 언어의 차이
문자를 중심으로 그림, 사진, 도표 등의 시각 자료를 활용한다. 반면 텔레비전과 인 15

134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터넷은 소리, 음성, 이미지, 문자, 동영상 등의 다양한 요소를 복합적으로 활용한다. ● ‌매체별 정보의 구성과 유통 방
▶ 매체별 정보 제시 언어의 차이 식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들의 특성도 매체에 따라 다르다. 책과 신문, 텔레비전의 •‌인쇄 매체 : 문자 중심
일방향적인 매체에 가까운 매체 정보 으로 시각 자료 활용
정보 제공자는 주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이거나 어느 정도 전문적인 소양을 갖춘 사 제시 •‌전자 매체(텔레비전,
언어 인터넷) : 다양한 요소
복합적으로 활용
람들이다. 반면 인터넷은 정보 제공자의 범위가 훨씬 개방적이어서 누구나 정보를
쌍방향적인 매체 전문가 이외의 일반인도 참여함. •‌책, 신문, 텔레비전 :
정보 전문가
5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다. ▶ 매체 정보 제공자의 특성 제공자 •‌인터넷 : 누구나 참여
의 특성 가능
매체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양과 질에도 차이가 있다. 책은 비교적 분량의 제
•‌책 : 깊이 있고 많은
시간적인 제약을 덜 받음.
내용 전달. 질적 신뢰
약을 받지 않고 정보를 수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룰 수 있으 도 높음.
전문적인 내용 정보의 •‌텔레비전 : 현장성, 정
며 정보의 질적인 신뢰도도 높은 편이다. 텔레비전은 신문보다 현장을 생생하게 제 양과 질 보의 실재감이 높음.
•‌인터넷 : 양이 방대하
정보 제공자가 주로 전문적 지식을

갖춘 이들임. 지만 질적 신뢰도가
시하여 정보의 실재감이 높다는 특성이 있다. 인터넷은 정보의 생산자가 다양해서 낮을 수 있음.
그려진 물건이 실물인 듯한 느낌.
•‌책 : 정보 제공 속도는
10 그 양이 방대하지만 그만큼 신뢰하기 어려운 정보도 많다. ▶ 매체에 따른 정보의 양과 질의 차이
느리나, 장기간 보존
일반인들이 검증 안 된 정보를 게재할 위험성 가능
정보
정보 제공의 속도와 보존 방식도 매체별로 다르다. 책은 정보를 수용자에게 신속 제공
•‌신문, 텔레비전, 인터
넷 : 신속하게 대량 전
속도와
달. 보존 가능
하게 전달하지는 않지만 인쇄된 상태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신문, 텔레비전, 보존 •‌인터넷 : 신속하며 전
방식 달 경로 다양. 공간적
인터넷은 비교적 빠르게 정보를 대량 유통할 수 있고 보존할 수도 있다. 특히 인터 인 한계가 없음. 보존
과 삭제가 용이
대중적인 경향을 만들 가능성을 지님.
넷은 신속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고 전달 경로도 다양하며 지리적, 물리적인
공간적인 한계를 뛰어넘은 인터넷의 특성
15 한계나 제약도 거의 없다. 또 정보의 보존과 삭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존 내용
의 변형도 쉽게 이루어진다는 특성이 있다. ▶ 매체별 정보 제공의 속도와 보존 방식

이와 같이 각 매체는 정보를 제시하는 언어, 정보 제공자, 정보의 양과 질, 정보 ●


매체별로 정보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실재감 그려진 물건이
제공의 속도와 보존 방식 등에 차이를 보인다. 그러므로 매체별로 다른 정보 구성 실물인 듯한 느낌.

(1) 매체 자료의 수용 135


방식과 유통 방식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매체 자료를 알맞게 취사선택할 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매체 수용의 자세
있어야 하며, 매체 자료가 수용 목적이나 상황과 같은 맥락에 비추어 보았을 때 적
절한 것인지도 따져 보아야 한다. ▶ 매체의 특성을 고려한 수용 자세

● ‌매체 자료에 반영되는 관점과 한편 어떤 대상이나 사건을 전달하기 위해 특정한 언어와 요소를 선택하는 행위
가치
에는 생산자 자신의 관점과 가치를 드러내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즉 생산자는 정 5
어떤 매체 대상과 사건에 대한 생산자의 해석이 반영될 가능성
매체
대상, 생산자의 보를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선택하고 재구성한 내
자료
사건 관점과 의도
반영 생산자의 주관적 가치가 반영된 것
용을 수용자에게 보여 주는 것이다. 매체 자료에도 생산자의 목적과 의도에 따른
다양한 관점과 가치가 담겨 있다. 제시하는 정보는 같더라도 생산자의 관점과 가치
에 따라 주요 내용과 다루는 정보의 비중 등이 달라진다. 따라서 매체 자료를 수용
매체에 따라 의미를 강조하는 방법을 다르게 활용함.
할 때에는 겉으로 드러나는 내용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생산자의 관점과 가치 10
매체 자료의 비판적 이해의 필요성
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 관점과 가치, 의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매체 자료

● ‘수입
‌ 과일 역대 최대 물량 유
입 현상’에 대한 서로 다른 매
체 자료
망고스틴부터 파파야까지 수입 과일 전성시대
정보
생산자의 생성된 매체 자료 수입 과일 종류 다양해지고 값이 싸진 영향
관점과 의도

소비자와 수입업자 이름도 낯선 수입 과일이 전성시대를 맞았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유입


의 관점에서 수입
긍정적 된 수입 과일 중량은 86만 3,663톤으로, 역대 최대 물량이다. 수입 과일의 인기는 15
과일 증가를 긍정적
으로 해석함. 온라인에서도 뜨겁다.
우리 농산물 생산자
의 관점에서 수입  - 『중앙 일보』, 2017년 6월 2일 기사
부정적
과일 증가를 부정적
으로 해석함.

수입 과일 전성시대 외면받는 국산 과일
사과·배 등 가격 하락 불구 안 팔려 과수 농가 울상
지난해 과일류 수입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나 20

주 등지에서 생산된 배와 사과는 그 양이 줄고 있는데도 판매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수입 과일이 다양해지고 저렴해지면서 국산 과일이 외면받고 있는 셈이다.
 - 『광주 일보』, 2017년 4월 24일 기사

위의 두 기사는 수입 과일이 역대 최대 물량으로 유입되었다는 동일한 현상을 다


같은 사건, 같은 정보
루고 있다. 그러나 그것을 바라보는 견해는 상반된다. 첫 번째 기사는 부제에서 ‘수 25
제목을 보충하기 위한 작은 제목.
입 과일 종류 다양해지고 값이 싸진 영향’을 강조하고, 온라인에서도 그 인기가 뜨
사실에 대한 긍정적 해석
겁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내용을 긍정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반면 두 번째 기사의
경우 표제의 ‘외면받는 국산 과일’이나 부제의 ‘과수 농가 울상’이라는 표현에서 알
사실에 대한 부정적 해석

136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수 있듯이 수입 과일로 인해 국산 과일이 외면받고 있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면서
내용을 부정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같은 사실을 두고서도 생산자가 그것을 어떻게
바라보고 무엇에 초점을 두어 자료를 생산하였는지에 따라 내용과 표현 방식이 달
라진 것이다. ▶ 동일한 현상을 관점과 의도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는 매체 ● ‌매체 자료의 비판적인 수용 방

5 매체 자료를 수용할 때에는 다양한 관점과 가치를 고려하는 것과 더불어 비판적 자료에 담긴 관점과 가
정보 생산자의 의도를 고려하는 것 공정성 치가 공정한 것인가?
태도도 갖추어야 한다. 즉 자료에 담긴 관점과 가치가 공정한지, 생산자의 주장과
주장과 근거가 타당하
편견에 의해서 왜곡된 자료인지 판단함. 타당성 게 연결되어 있는가?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타당한지, 제시된 정보나 자료는 신뢰할 만한 것인지 등
허구적이거나 가공된 자료가 있는지 판단함. 제시된 정보나 자료는
신뢰성 신뢰할 만한 것인가?
을 판단하며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특히 누구나 생산자가 되어 쉽게 자료를
게시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의 매체 자료는 출처가 불분명하여 신뢰할 수 없는 정
인터넷 매체가 지닌 한계
10 보나 왜곡된 정보, 자극적이거나 불건전한 내용 등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의도 매체 문해력
수용할 때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매체 자료의 비판적 수용 매체 문해력은 매체가 발달하며
중요한 개념으로 떠오른 용어로,
이제는 다양한 형식의 매체 자료에 접근하여 정보를 분석하고 평가하면서 의사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라고도 한다. 주로 매체 자료를
소통할 수 있는 매체 문해력이 중요한 시대이다. 그러한 능력을 갖춤으로써 우리는
분석하고 평가하며 이해하는 능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매체 자료를 분석하고 평가하며 이해하는 능력.
정보 생산자의 의도를 올바로 해석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해석할 수 력을 말하는데, 최근에는 매체를
활용한 사회 적응력까지 포함하
15 있는 주체적인 수용자가 되어야 한다. ▶ 바람직한 매체 수용 태도 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 인터넷 매체의 위험성

•‌출처가 불분명한 자료
신뢰성 가 많음.
부족 •‌정보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음.

•‌주의를 끌기 위해 자극
적일 수 있음.
선정성 •‌불건전한 내용 등이 게
재될 수 있음.

다음 괄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에  표시를 해 보자.

•인터넷의 정보 제공자 범위는 텔레비전보다 훨씬 (개방적 / 폐쇄적)이다.


•책은 인터넷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의 질적인 신뢰도가 (높다 / 낮다).
•신문은 텔레비전보다 비교적 정보의 실재감이 (높다 / 낮다).
•매체 자료는 생산자의 (객관적 / 주관적) 해석을 거쳐 생산된다.

(1) 매체 자료의 수용 137


1 ‘민우’의 상황을 살펴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멸종 위기의 동물들을
알아보는 과제를 해야 하는데 무엇부터
조사하지? 도서관에서 관련
책을 찾아볼까?

이 책은 꽤 자세하네.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내용까지 다룬 것 같아.

그런데 책으로만 읽으니까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이 있네.
영상을 찾아봐야지. 먼저 텔레비전
방송 목록을 살펴봐야겠다.

138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동영상 자료
소단원 (1) 제시 영상
영상을 보다가 더 알고
싶은 게 생겼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인터넷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해 봐야겠어.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로
동물들의 움직임을 실제로 보고
울음소리도 들으니까 현장에
있는 것처럼 생생한데?

다양한 내용이 검색되는데,


무엇부터 봐야 할지 모르겠네.
그리고 이 정보들은 다 누가
올린 거지? 신뢰할 만한 건가?

(1) 매체 자료의 수용 139


⑴ ‘민우’가 찾아본 매체의 특성을 다음 항목별로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책 텔레비전 인터넷

문자가 중심이며 그림, 사진,


소리, 이미지, 문자, 소리, 이미지, 문자, 동영상
정보 제시
도표 등 시각 자료를 활용 동영상 등을 다양하게 등 다양한 매체 언어를 복합
언어 함.` 적으로 활용함.
활용함.

- ‌해당 분야의 전문가나 전 - ‌해당 분야의 전문가나 전


정보 문 소양인 문 소양인 누구나 정보를 생산
제공자 - ‌정보 제공자의 범위가 폐 - ‌정보 제공자의 범위가 폐 하고 공유할 수 있음.
쇄적임. 쇄적임.

비교적 분량의 제한
정보의 현장성과 정보의 실재감이 - ‌정보의 양 방대함.
이 없고 신뢰할 수 있
양과 질 높음. - ‌질적인 신뢰도가 떨어짐.
는 내용임.

신속하게 정보를 주
정보의 정보를 빠르게 대량으로 유
정보 제공 속도는 느리나 장 고받을 수 있고, 파일
제공 속도와 통할 수 있고 보존도 가능
기간 보존이 가능함. 형식으로 내용을 보존
보존 방법 함.
할 수 있음.

⑵ 매체별 특성을 고려하여 ‘민우’에게 각 매체 자료를 수용할 때 유의할 사항을 조언


해 보자.
예시 답안

책은 종류가 많고 방대 텔레비전은 뉴스, 다큐멘


       인터넷은 방대한 자료가
   
터리, 여행 및 오락 프로그램 등 존재하므로 필요한 정보를 보
한 내용을 다루기도 해. 그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가 제공 여 줄 수 있는 적절한 검색어를
러니까 미리 꼭 필요한 정 되므로 먼저 필요한 정보를 얻 선정하는 일이 중요해. 정보의
보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 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잘 선택 양은 많으나 신뢰할 수 없는 정
해야 해. 또 영상, 문자, 소리, 음 보도 많으므로 생산자가 해당
고, ‘차례’와 같은 정보를 성 등 다양한 매체 언어를 사용 분야의 신뢰할 만한 사람인지,
확인하여 찾아볼 책과 내 하므로 생산자의 관점과 가치 공정한 정보를 제공하는지 등
를 고려하여 각 언어가 전달하 을 알아보아야 해. 동일 정보에
용을 추리는 것이 좋아.
는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좋아. 대한 자료를 여러 개 찾아 비교
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140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2 다음 활동을 하며 관점과 가치를 고려하여 매체 자료를 수용해 보자.

(가)

혼자 밥을 먹는 일을
혼밥족, 혼밥하는 사람 혼밥이라 부르지요.
다소 청승맞고 처량하게 느껴졌던
나는 혼밥이 어느덧 하나의 인기 문화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혼밥족이다.
1/4 2/4

3위
1위 ‘편하다’
‘맛있다’ 2위
(8,106건)
(18,000건) ‘괜찮다’ “혼자 밥 먹은 거야?”
(8,816건)
안쓰러운 듯
2016년 일 년여간 인터넷에 혼밥과 물어보지 마세요!
연관 지어 제시된 감정 관련 이제 혼밥은 청승맞지도,
단어들입니다. ‘6위 귀찮다(4,032건)’, 처량하지도 않은
‘7위 외롭다(3,932건)’와 같은 오직 자신만을 위한
부정적인 감정보다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입니다.
긍정적인 감정이 훨씬 많죠.

3/4 4/4

(나)

혼밥을 하면서
즉석식품이나 2013~2015년 국민 건강
배달 음식을 먹는 영양 조사 분석에 따르면
사람들이 많죠. 한국인 10명 중 1명은 하루
그래서 혼밥은 세끼 모두 혼밥을 합니다.
건강에 치명타가 65세 이상 노인 인구 4명 중 1명은
될 수 있습니다. 세끼 모두 혼밥을 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는 사태의

혼밥, 심각성을 보여 줍니다.


- 질병 관리 본부,
「국민 건강 영양 조사」 (2013~2015)
대충 먹다 병난다.
1/4 2/4

(1) 매체 자료의 수용 141


“노인을 대상으로 한 60세 이상인 여성이 세끼를
일본의 연구 결과를 보면 혼자 먹은 경우 다른 사람과 함께
가족과 자주 식사하는 것은 저녁 식사를 한 사람보다
균형 잡힌 식단으로 건강한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식습관을 지니게 했습니다. 더 높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하지만 혼자 먹는 사람의 경우에는 - 질병 관리 본부,
「국민 건강 영양 조사」 (2014)
식습관도 나쁘고
혼밥은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비만이나 저체중이 많았습니다.”
정신 건강에까지
- 윤(△△△ 병원 교수)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3/4 4/4

⑴  보기>를 참고하여 (가), (나) 의 특성을 정보 구성과 유통 방식의 측면에서 말해


<
보자.
예시 답안
•정보 제시 언어의 측면 : 보기
문자를 최소화하고 사진, 카드 뉴스란 이미지를 주로 활용한 뉴스 형식 중 하나로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와
그림, 이미지 등을 적극 활
용하여 많은 양의 정보를
같은 이동 통신 기기에 맞추어 가독성과 이미지 비율을 높인 신개념 뉴스이다. 종이
압축적으로 보여 주는 특 신문이나 텔레비전, 컴퓨터 화면에 비하면 이동 통신 기기의 화면이 작은 단점을 극복
성이 있음. 간략화한 문구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일반적인 뉴스 기사와 달리 간략한 문구가 삽입된 여러 이미지
와 이미지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제작하고 창의 를 순서대로 읽는 이야기 형식을 띤다. 처음에는 언론사에서 만들어 배포하였으나 제
적, 심미적 표현을 추가할
작 기술이 어렵지 않고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일반인들도 카드 뉴스 형식의 자료
수 있음.
를 많이 생산하고 있다.

•‌정보 제공자의 측면 : 초기에는 뉴스를 생산하는 전문 언론인들이나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정보 제공의 주체였으나 이미지 제작 프로그램과 소프트웨
어의 발달로 일반인들도 카드 뉴스 형식의 자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정보 제공자의 범위가 개방되고 있음.
•‌정보의 양과 질의 측면 :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에 적합한 화면을 구성하다 보니 정보를 압축하거나 함축적으로 보여 주는 특성이 강함. 제공되는
정보의 질은 신뢰성이 높았으나 최근 일반인들의 생산 참여로 신뢰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 유의해야 하며 가짜 뉴스를 구별하는 수용자의 태도도
필요해짐.
•‌정보 제공의 속도와 보존의 측면 : 인터넷의 영향으로 빠른 정보 제공 속도를 갖게 되었으며 저장 도구의 발달로 쉽게 보존이 가능하고 대량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음.
⑵ (가) 와 (나) 가 ‘혼밥’ 문화를 어떤 관점과 가치로 바라보고 있는지 파악해 보고, 그
렇게 생각한 근거를 적어 보자.
예시 답안

(가) (나)

관점과 가치 근거 관점과 가치 근거

혼밥을 새로운 문화 현 ‘혼밥’ 연관 인터넷 감정 혼밥이 건강에 악영향을 -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혼밥
상(자신만을 위한 즐거운 관련 단어 1~3위가 긍정 미친다고 봄.(부정적 관 은 나쁜 식습관과 비만이나
시간)으로 봄.(긍정적 관 적인 감정 표현인데 이를 점) 저체중을 유발함을 주장함.
점) 강조하여 나타냄. - ‌국민 건강 영양 조사 결과
를 통해 혼밥은 우울증 위
험도를 높일 수 있음을 강
조함.

142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⑶ 다음 사항들을 점검하며 (가) 와 (나) 를 비판적으로 수용해 보자.
예시 답안

(가) (나)

인용한 정보나 자료의 출처를 정 인용한 말과 자료의 출처를 정확하게 밝히고


신뢰성
확하게 밝히지 않음. 있음.(국민 건강 영양 조사)

관련 자료를 조사해 보니 4위의 ‘힘들다(6,395 특정 연령층과 관련한 정보나 자


공정성
건)’를 의도적으로 누락한 것으로 판단됨. 료를 주로 제시함.

제시한 설문 자료가 혼밥에 대한 긍정적인 관 제시된 세 개의 조사 결과나 연구 결과 자료가


타당성
점을 뒷받침하고 있음. 혼밥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뒷받침하고 있음.

⑷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혼밥’ 문화와 관련된 자료들을 더 찾아보고, 나의 생각과


입장을 정리한 후 친구와 비교해 보자.

내가 찾은 매체 자료
예시 답안
자료 생략

나의 생각과 입장 친구의 생각과 입장


혼밥은 집단주의 문화에 힘겨워하고 어려움을 겪는 혼밥 현상은 인간관계의 붕괴를 보여 주는 우리 사회
이들에게 자신만의 시간을 갖게 하여 주체적인 삶을 의 병리 현상으로 사회적 화합을 위해 우리가 극복해
살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문화로 인정해야 한다. 오히려 야 할 사회 문제이다. 보다 적극적인 공동체 문화의
혼밥이 가능한 공간을 적극 조성해 주는 것이 시대의 개발로 혼밥을 하는 사람들이 외로움을 이겨 낼 수 있
흐름에 부합하는 일이다. 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1) 매체 자료의 수용 143


3 다음은 역사적 일화를 소개한 웹툰이다. 이를 감상하고 제시된 활동을 해 보자.

1/6 2/6

3/6 4/6

144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5/6 6/6

- 변지민, 「영조의 선글라스」 에서

⑴ 이 웹툰을 감상한 소감을 댓글로 적어 보자.

댓글 11 공감 35

역사사랑 영조가 안경을 꼈다는 사실은 몰랐네요.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어엿븐 사도 세자 넘 불쌍해요. 그냥 안경 사 주지. @.@
↳ 의심이 기
 록에는 세자에게 안경의 존재조차 알려 주지 못하게 했다는데,
뭐가 맞는 걸까요?

등록

예시 답안
•‌부전자전 : 자기만 쓰고 아들은 못 쓰게 하다니! 아들을 좋아하지 않았나 봐요.
↳ ‌역사사랑 : 그것보다는 시대가 시대이다 보니 아들이 예의가 없어 보이는 것이 두려웠던 게지요.
•‌사극 폐인 : 우리 선조들이 이렇게 일찍 안경을 썼다는 것이 어색하게 느껴져요.
↳ ‌돋보기 : 그러게요. 일식 때 해를 돌려 달라고 제사를 지내는 원시적인 면과 안경, 특히 규일경까지 쓰고 일식을 보는 과학 문명이 함께 공존하던
시기네요.
⑵  웹툰의 생산자가 사용한 특징적인 표현 방법을 파악해 보고, 자료를 수용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특징적인 표현 방법 자료를 수용할 때 고려할 사항

누리 소통망 형식의 활용 진지한 역사적 사실을 현대의 일상적인 소통의 관점으



(2/6, 4/6, 5/6) 로 접근하여 친근감을 바탕으로 이해함.

사진(3/6) → 규일경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떠올리며 수용함.

웹툰의 내용과 실제 역사 자료를 비교하며 매체 자료


정사(正史) 자료 노출(6/6) →
를 비판적으로 수용함.
(1) 매체 자료의 수용 145
도표(6/6) → 조선 시대 안경 사용의 역사를 시각적으로 이해함.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2) 매체 자료의 생산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 매체 자료의 특성에 맞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 • ‌목적, 수용자, 매체의 특성
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는 창의적 표현
을 고려하여 매체 자료 생
산하기
• ‌매체 언어의 창의적 표현 방
법과 심미적 가치 이해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2) 바탕글 듣기

●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은 글을 쓰는 과정과 유사하다. 즉 「전체적인 계획을 세우


「 」 :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글을 쓰는 과정)
전체 계획
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하며, 수정과 보완의 단계를 거쳐 매체 자

내용 생성 및 조직
료를 완성한다.」 좋은 매체 자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러한 생산 과정에서 주의 깊 10
글을
쓰는
과정과 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
유사함.
수정·보완
우선 소통의 목적에 맞는 매체 자료를 생산해야 한다. 정보 전달과 설득, 심미적
아름다움을 살펴 찾으려는. 또는 그런 것.

완성
정서 표현, 사회적 상호 작용 등 매체 자료로 소통하려는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가장 적합한 내용과 표현 방법으로 자료를 생산해야
● ‌매체 자료의 생산에서 고려할 한다. 예컨대 정보 전달이 목적이라면 정확한 사실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데 15
사항

정보 전달, 설득, 심미 중점을 두어야 하고, 설득이 목적이라면 수용자의 시선을 끌고 공감을 이끌어 내는
소통 적 정서 표현, 사회적 매체 자료를 받아들이는 사람의 호기심과 관심을 유도하고
목적 상호 작용 등 데 중점을 두어 매체 자료를 생산해야 한다. ▶ 매체 자료의 생산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소통의 목적
수용자의 많고 적음, 연
수용자

령, 성별, 배경지식의 소통의 대상이 되는 수용자를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수용자가 다수인지 소수
정도, 관심사, 생산자와
특성 의 관계 등
인지, 연령이나 성별은 어떠한지, 배경지식은 어느 정도인지, 관심사는 무엇인지
매체의 소통 목적 달성에 가장
특성 적합한 매체 선택 등 수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자료를 생산하면 보다 원활하게 소통 20
매체 자료가 다른 사람
‌사회적 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계도 염두에 두어야 하는데, 이를테면
파급력 끼칠지 비판적 입장에
서 고려
친밀한 정도에 따라 자료에 개인적인 내용을 담을 수도 있고 담지 않을 수도 있다.
▶ 매체 자료의 생산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②: 수용자의 특성
매체의 특성과 사회적 파급력도 주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같은 내용이라도 활용
어떤 일의 여파나 영향이 차차 다른 데로 미치는 힘.
하는 매체와 매체 언어에 따라 그 전달 효과와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소통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가장 적합한 매체를 선택하고, 생산자 스스로 비판적인 입장에 25

서 매체 자료가 다른 사람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특


히 인터넷이나 누리 소통망 등 불특정 다수가 접근할 수 있는 매체에서는 개인 정
보 유출이나 초상권 침해와 같은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자기의 초상에 대한 독점권. 인격권의 하나. ▶ 매체 자료의 생산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③ : 매체의 특성과 사회적 파급력

146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의 예 •‌개인 정보를 알려 줄 수 있음.
•생산자와 가족 관계 내용 및 •‌비격식체를 사용할 수 있음.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수용자 표현 방법 •‌실제 휴대 전화 화면의 삽입
•‌휴대 전화 사용이 익숙지 않음.
상황 을 궁금해하는 할머니 목적 정보 전달 의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구조화
•‌할머니에게 익숙한 매체의 종류
를 위한 매체 자료 생산 특성 - 인쇄 매체

지금까지 확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만약 문자 메시지 보내는 방법을 궁금해


매체 자료 생산의 상황
하는 할머니를 위해 매체 자료를 생산한다면 어떤 사항들을 고려해야 할까?
정보 전달이 목적이므로 무엇보다 정확한 사실을 알아보기 쉽게 제시하는 데
소통의 목적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할머니가 사용하는 휴대 전화가 어떤 종류인지,
수용자의 특성
5 어떤 매체에 익숙한지 등 수용자의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이 경우 수용자가
할머니임을 고려한다면 사용법이 복잡한 매체보다는 언제든지 손쉽게 꺼내볼
소통의 목적과 수용자의 특성을 고려해서 선택된 매체 자료의 종류
수 있는 인쇄 자료가 효과적일 것이다. ▶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의 사례 - 소통 목적과 수용자의 특성

매체 자료에 담을 내용과 표현 방법도 고민해야 한다. 수용자가 가까운 관계


의 가족이므로 개인 정보를 알려 주거나 비격식체를 사용하여 내용을 생성할
표현이 부드럽고 주관적인 느낌을 주는 상대 높임법. ‘해체’, ‘해요체’ 따위.
10 수 있다. 「만약 정보를 인터넷 등에 공개할 예정이라면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 」 : 수용자가 할머니에서 불특정 다수로 확장되기 때문
않도록 하고, 비격식체의 사용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할머니가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도록, 할머니의 실제 휴대 전화
화면을 삽입하거나 문자 메시지 보내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구조화하여 제시
부분적 요소나 내용이 서로 관련되어 통일된 조직으로 만듦.
하는 방안도 활용할 수 있다.
15 다음은 지금까지 살펴본 사항들을 고려하여 제작한 매체 자료의 예이다.

문자 메시지 12:00 75% 12:00 75%

새 메시지
보내는 방법, 받는 사람: 김민지

어렵지 않아요! 
이 화면이 뜨면
메시지를 입력하세요. 보내기
여기를 누르신
다음, 메시지를
 보내시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먼저 하단의 입력하세요.
‘메시지’ 표시를
꾹 누르세요.

12:00 75% 12:00 75%

새 메시지 새 메시지 할머니!  번부터 4 번까지


받는 사람: 김민지 받는 사람: 김민지
순서대로 따라 하시면 돼요.
  혹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이번에는 보내기
메시지를 입력하세요. 보내기 메시지를 입력하세요. 보내기
언제든 저에게 전화 주세요.
여기를 누르시고 마지막으로
보내시고 싶은
제 전화번호(010-1234-XXXX)도
오른쪽의 ‘보내기’
내용을 표시를 저장해 두었어요.
입력하세요. 누르시면 끝! 문자 메시지 자주 보내 주세요.
할머니, 사랑해요.♥

▶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의 사례 - 자료의 내용과 표현 방법

(2) 매체 자료의 생산 147


● 매체
‌ 자료의 특성에 맞는 창의 말하기나 글쓰기와 같은 언어 활동을 할 때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창의적 표
적 표현의 사용 효과

매체 자료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


현 방법을 고민하듯이 매체 언어 활동에서도 이를 고민해야 한다. 매체 자료의 특
표현
성에 맞는 창의적 표현을 사용하면 수용자가 생산자의 의도를 더욱 분명하고 효과
창의적 표현의 효과 ①
•‌수용자가 생산자의 의도를 더욱 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나아가 심미적 가치도 느낄 수 있다. 특히 매체 언어는 소
분명하고 효과적으로 인지함. 매체 자료의 창의적 표현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 창의적 표현의 효과 ②
•수용자가 심미적 가치를 느낌.
리, 음성, 이미지, 문자, 동영상 등의 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창의적 5
어떤 일을 하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나 희망.
표현을 구사할 수 있는 여지가 더욱 크다. ▶ 매체 자료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 표현의 효과
말이나 수사법, 기교, 수단 따위를 능숙하게 마음대로 부려 씀.
동영상 자료
소단원 (1)
제시 영상

- 기상청, 「지진 바로 알기 편」
소통의 목적 : 정보 전달
위의 매체 자료는 지진 발생 경보의 중요성을 알리는 영상이다. 도입 부분에서
태풍이나 공습 따위의 위험이 닥쳐올 때 경계하도록 미리 알리는 일. 또는 그 보도나 신호.
‘지진’이라는 중심 화제를 바로 드러내기보다, 문답법을 활용하여 ‘세상에서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것은?’이라는 질문을 던지고 ‘부장님 변덕’, ‘시험 성적’과 같은 예 10
직장인과 수험생의 관심사를 활용하여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함.
상 답변들을 나열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수용자의 관심을 끌
「 」 : 문답법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의 효과
고 흥미를 유발하며, 이어지는 내용에 더욱 집중하도록 하는 효과를 낳고 있다.」 또
한 배우들의 연기와 함께 소리, 자막, 이미지, 내레이션 등 다양한 요소를 복합적으
로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수용자의 이해를 돕고 지진 발생 경보의 중요성을 부각
어떤 사물을 특징지어 두드러지게 함.

148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하기 위한 장치들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단순히 글이나 음성만으로 내용
을 안내하는 것보다 「더 직관적으로, 그리고 빠르게 내용을 인식하고 더 오래 기억
판단이나 추리 따위의 사유 작용을 거치지 아니하고 대상을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또는 그런 것.
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 창의적 표현이 사용된 매체 자료의 사례 ①
「 」 : 다양한 표현 요소를 활용한 창의적 표현의 효과
오른쪽의 매체 자료는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소통의 목적 : 설득
5 그림으로 장애를 갖기 전의 ‘어제의 나’가 장애를 갖게
된 ‘오늘의 나’에게 바통을 건네는 상황을 만화로 제시
배턴. 릴레이 경기에서, 앞 주자가 다음 주자에게 넘겨주는 막대기.
하고 있다. 이로써 장애는 삶의 여정에서 누구에게라도
발생할 수 있는 일이며, 장애를 갖게 되어도 삶은 계속
된다는 응원의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단순히 글만 제시
10 하기보다는 함축적인 문구와 그림, 대사를 곁들여 수용
자의 이해를 돕고, 심미적 정서와 감동을 불러일으킴으
로써 더 큰 공감을 이끌어 내는 효과를 얻고 있다.
▶ 창의적 표현이 사용된 매체 자료의 사례 ②
창의적 표현 방법은 불현듯 떠오르기도 하지만, 주변
사람과 사물을 관찰한 경험이나 연상에서부터 비롯되
15 는 경우가 많다. 주위 환경에 세심하게 관심을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그 속에서 어떠한 의미를 찾아내
려고 노력한다면 누구나 창의적 표현과 심미적 가치를
- 한국 장애인 재단, 「오블라디 오블라다」
담은 매체 자료의 생산자가 될 수 있다.
▶ 창의적 표현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

● ‌창의적 표현이 사용된 매체 자료와 창의적 표현의 효과

지진 발생 경보의 중요성 홍보 동영상 장애인 인식 개선 홍보 그림 창의적 표현의 효과

매체 시청각 매체 인쇄 매체 •수용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함.


•전달 내용에 집중하도록 유도함.
대상 불특정 다수 •수용자의 이해를 도움.
•‌내용을 직관적으로 빠르게 인식하게
목적 정보 전달 설득 함.
•내용을 더 오래 기억하도록 함.
표현 방법 문답법, 소리, 자막, 이미지, 내레이션 등 함축적 문구, 그림, 대사 •‌심미적 정서와 감동을 불러일으킴.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매체 자료를 생산할 때에는 소통의 목 적 와/과 수용자, 매체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수용자의 연령, 취미, 관심사뿐만 아니라 수용자와 생산자의 관 계 에 따라서도 매체
자료의 내용이나 표현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매체 자료의 특성에 맞는 창 의 적 표현 방법을 활용하면 생산자의 의도를 더욱 분명
히 전달할 수 있다.

(2) 매체 자료의 생산 149


1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제시된 활동을 해 보자.

(가) (나)

수박씨의 몸속 여행
소화 과정

우리가 먹은 음식은 입, 식도, 위, 작


은창자, 큰창자의 순으로 우리 몸속 입
음식물을
을 지난다. 입에서는 음식물을 이로 잘 잘게 부숴요.

게 부수고 침과 골고루 섞어 탄수화물 식도


음식물을
을 소화시킨다. 식도는 입과 위를 연결 위로 내려보내요.
하는 가늘고 긴 기관으로 음식물을 위 위
음식물을
로 내려보낸다. 위는 주머니 모양으로 죽처럼 만들어요.
생겼으며, 위액으로 단백질을 소화시킨
작은창자
다. 작은창자는 길고 가는 관으로, 분 큰창자 음식물의 영양분을
음식물에 남은 빨아들여요.
해된 영양소들이 흡수되는 곳이다. 작
물을 빨아들여요.
은창자의 융털에서 흡수된 영양소 중
일부는 간에서 양분으로 저장되며, 나
머지는 혈액을 통해 온몸으로 운반되어
몸의 각 부분에 전달된다. 큰창자는 작
은창자보다 굵고, 주로 물을 흡수한다.

⑴ (가) 와 (나) 의 생산자가 주로 고려한 수용자의 특성을 추측하여 써 보자.


예시 답안

시각 자료 없이도 소화 기관이나 소화 과정에 대한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성인, 청소년


(가)
등)

(나) 시각 자료 없이는 소화 기관이나 소화 과정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운 사람(어린이 등)

⑵ (가) 와 (나) 의 표현 방법에 차이가 발생한 까닭을 수용자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


해 보자.
예시 답안
연령이나 배경지식과 같은 수용자의 특성에 따라 표현 방법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가)는 소화 기관이나 소화 과정에 대한 배경지식
이 어느 정도 있거나, 배경지식이 없더라도 문자 텍스트만 가지고도 내용 이해를 할 수 있는 연령대의 수용자를 대상으로 제작된 매
체 자료이다. 반면에 (나)는 소화 기관이나 소화 과정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하거나, 문자 텍스트만 가지고 내용 이해를 할 수 없는
연령대의 수용자를 대상으로 제작된 매체 자료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그림과 같은 시각 자료를 활용하고, 수박씨를 의인화하여 나타
냄으로써 친근하고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표현하였다.
150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2 영상의 스토리보드를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장면 요소 내용

장면
묵념하듯 고개를 푹 숙인 연인의 모습
설명
1
소리 : 전체 비장한 느낌의 배경 음악
효과
자막 : 잃어버린 ‘대화’에 대한 묵념

장면
묵념하듯 고개를 푹 숙인 가족의 모습
설명
2
효과 자막 : 잃어버린 ‘가족’에 대한 묵념

장면 각자의 스마트폰을 보느라 고개를 푹


설명 숙인 지하철 승객들의 모습
3
효과 자막 : 잃어버린 ‘사색’에 대한 묵념

장면 스마트폰 화면에 근조 리본과 함께 자


설명 막 제시
4
자막 : 스마트폰으로 잃어버린 것들에 대
효과
한 묵념

장면 고개를 숙였던 사람들이 일제히 고개


설명 를 들고 밝게 웃는 모습
5
내레이션 : 스마트폰 중독, 소중한 것들
효과
을 잃게 됩니다.

(2) 매체 자료의 생산 151


⑴ 이 스토리보드의 생산자가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고려했을 사항들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영상의 주제와 생산 목적은 무엇인가?


- ‌영상의 주제: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잃어버린 것들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 생산 목적: 설득
•고려하고 있는 수용자는 누구이고, 그 특성은 어떠한가?
- 고려하고 있는 수용자: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높은 청소년, 20~40대 남녀 성인생산 목적: 설득
- 수용자의 특성: 스마트폰에 빠져서 다른 것들을 잃고 살고 있음.

•전달하고자 하는 매체는 무엇이고, 그 특성은 어떠한가?


- 이 영상은 공익 광고로, 텔레비전과 인터넷으로 전달되어 사회적 파급력이 큼.
- 공익 광고는 소리, 음성, 이미지, 문자, 동영상 등의 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함.
- 공익 광고는 수용자가 내용을 직관적이고 빠르게 인식하고 더 오래 기억하도록 유도함.

동영상 자료
활동 2 제시 영상

⑵ 실제 제작된 영상을 감상하고, 영상의 표현 방법과 그 효과를 말해 보자.

- 한국 방송 광고 진흥 공사, 「묵념」

스마트폰을 보느라 고개를 숙이고 있는 모습을 ‘묵념’에 빗대어서 표현


한 것이 기발해. 그래서인지 스마트폰 중독 문제가 더 심각하게 느껴져.
예시 답안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장면을 제시하여 시청자의 공감을 이끌어 내고 있어.


•‌비슷한 장면과 문구를 반복해서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강조하고 있구나.
•‌마지막에 장면의 반전을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네.

152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3 2를 참고하여 모둠별로 매체 자료를 생산해 보자.

⑴ 다음 중에서 영상의 제재로 삼고 싶은 것을 고르고, 같은 것을 고른 친구들끼리


모둠을 구성해 보자.

우정, 동아리 홍보, 우리 동네, 학교 폭력 예방, 행복

예시 답안
•‌영상의 제재 : 학교 폭력 예방

⑵ 모둠 구성원끼리 의논하여 매체 자료를 제작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적어 보자.


예시 답안

•영상 자료의 주제와 생산 목적은 무엇인가?


- 영상의 주제: 학교 폭력을 예방하자.
- 생산 목적: 설득
•고려하고 있는 수용자는 누구이고, 그 특성은 어떠한가?
- 고려하고 있는 수용자: 학교 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사람, 관련자(학생, 선생님, 학부모)
- 수용자의 특성: 학교 폭력에 노출되어 가해자나 피해자가 될 수 있음.

•전달하고자 하는 매체는 무엇이고, 그 특성은 어떠한가?


- 이 영상은 공익 광고로, 텔레비전과 인터넷으로 전달되어 사회적 파급력이 큼.‌
- 공익 광고는 소리, 음성, 이미지, 문자, 동영상 등의 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함.
- 공익 광고는 수용자가 내용을 직관적이고 빠르게 인식하고 더 오래 기억하도록 유도함.

⑶⑵
 를 토대로 창의적 표현 방법을 떠올려 보고, 모둠 구성원의 역할을 나누어 보자.

•표현 방법 : 예시 답안 생략

•모둠 구성원의 역할 예시 답안 생략

역할 이름 역할 이름

감독 주인공

스토리보드 담당 연기
촬영 담당 담당

편집 담당

(2) 매체 자료의 생산 153


⑷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고 실제 영상을 제작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스토리보드 활동지가 부록 233쪽에 더 제시되어 있다.

장면 요소 내용

장면
설명
1
효과

장면
설명
2
효과

장면
설명
3
효과

장면
설명
4
효과

장면
설명
5
효과

154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⑸  작한 영상을 다음 항목에 따라 점검해 보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영상을 수정하

고 보완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점검 항목 충분 보통 미흡

영상 자료를 제작한 목적이 분명하게 드러났는가?

수용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을 생산하였는가?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매체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하였는가?

내용을 짜임새 있게 조직하고 구성하였는가?

창의적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내용을 전달하였는가?

저작권이나 초상권을 침해한 사실이 없는가?

● 매체 자료의 생산 과정에서 고려할 사항

소통 목적 정보 전달, 설득, 심미적 정서 표현, 사회적 상호 작용 등

수용자의 특성 수용자의 많고 적음, 연령, 성별, 배경지식, 관심사, 생산자와의 관계 등

매체의 특성 소통 목적 달성에 적합한 매체 선택

사회적 파급력 매체 자료가 다른 사람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비판적 입장에서 고려

⑹  성한 영상을 인터넷이나 누리 소통망에 올리고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살펴본



후, 제작 의도대로 내용이 전달되었는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2) 매체 자료의 생산 155


2
매체와 사회 모의 평가
중단원 모의 평가

수행 평가
중단원 수행 평가

하루 동안 내가 휴대 전화를 사용하거나 텔레비전을 보는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생각해


보고, 휴대 전화와 텔레비전이 없다면 우리의 삶이 어떻게 변할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학교와 학원에 가는 시간 외에는 대부분 휴대 전화나 텔레비전을 보면서 생활하는 것 같다. 대략 하루에 네다섯 시간은 휴
대 전화와 텔레비전을 보는 데 시간을 쓴다.
•‌휴대 전화가 없다면 가족이나 친구와 자주 연락하기 어려울 것이다.
•‌텔레비전이 없다면 뉴스 소식 등을 빠르게 접하지 못하고, 예능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등을 볼 수 없어 여가 시간이 심심할
것 같다.

156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중단원 학습 목표●
•매체 언어가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수 있다.
•‌매체를 바탕으로 하여 형성되는 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주체적으로 향유할 수 있다.

● 대중 매체와 대중 사회
대중 매체는 ‘동일’한 정보를 ‘대량’으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일컫는 것으로,
신문, 잡지 등의 인쇄 매체나 음성 매체(라디오), 영상 매체(텔레비전)는 기존의 대중 매체로
서, 정보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생산자가 만든 정보가 일방적으로 소비자
에게 전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새로운 매체인 인터넷, 스마트폰은 정보의 생산자와 소
비자가 있지만, 생산자가 정보를 소비하기도 하고 소비자가 정보의 생산에 기여하거나 직접
생산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대중 매체와 다르다. 이것은 인터넷이 쌍방향적 특성을
갖고, 보다 쉽게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과 도시의 발달, 대량 생산, 급여 노동자와 소득의 증가, 대중 매체의 발달은 대중 사
회가 형성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대중 사회는 공식적이고, 대규모이면서
그것을 구성하는 구성원들은 서로 간에 간접적이고 형식적인 관계에 놓인다. 또한 구성원들
은 조직에 대해 수동적이고 소속감이 낮으며, 평등을 중요하게 여기고 다수가 개인보다 우
선시된다는 특징을 보인다.

 매체와 사회 157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1) 매체 언어와 인간관계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매체를 사용한 의사소통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 매체를 사용한 의사소통
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 시 가져야 할 역지사지 • ‌매체 언어의 소통 양상 이
이 된 매체 의 특징
적 측면 의 태도
해하기
• ‌존중과 배려의 태도로 매체
언어 사용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1) 바탕글 듣기

● 의사소통 수단의 변화 음성 언어는 사람 사이의 소통 수단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보편적이며 인간적인


소규모 사회 대규모 사회
것이다. 하지만 사회의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음성 언어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소
음성 언어를 의사소통의 수단이 음성 언어에서 매체로 변화된 이유
매체를 사용
사용한 직접 통하는 것이 어려워졌고, 사람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매체를 활용하
한 간접 소통
소통

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단기간에 다양한 매체가 도입되었고 현대 사회에서 매체는 10


인터넷, 휴대 전화 등
매우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이 된 매체

● ‌매체를 사용한 의사소통의 특 달라진 매체 환경은 사람들 사이의 소통 구조에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인터넷과

•시·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남. 휴대 전화를 사용한 소통은 사람들 사이의 공간적 거리감을 줄여 주었고, 시간 차
•‌간접 소통이면서 직접 소통의 특징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사람끼리도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하게 됨.
(즉각적 반응, 쌍방향성)을 지님.
•다양한 언어 사용의 양상이 나타남.
이도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게 해 주었다. 매체를 사이에 둔 간접적인 소통이지만
- 문어와 구어의 혼재
- 규범과 비규범을 넘나듦.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고 쌍방향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대면 소통의 특 15
- 높임과 낮춤을 섞어 씀. 매체를 사용한 소통은 간접 소통이면서도 직접 소통의 특징을 지님. 서로 얼굴을 마주 보고 대함.
•소통 맥락의 구분이 모호해짐.
- ‌공적 언어와 사적 언어가 함께 이 성을 지니고 있다. ▶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소통 구조의 변화
루어짐.
- ‌사적 언어가 여론을 형성하기도 소통 상대나 사용 상황에 따라 다양한 언어 사용 양상이 나타난다는 점도 매체를
함.
- ‌전문가뿐 아니라 비전문가도 용
어나 표현의 생산자가 될 수 있음. 사용한 의사소통의 특징이다. 휴대 전화로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인터넷 공간에서
대화를 나눌 때 우리는 문어와 구어를 섞어서 사용하거나 규범과 비규범, 높임과
다양한 언어 사용의 양상
낮춤을 넘나드는 다양한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소통 맥락의 구분도 모호해졌다. 20
사물 따위가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면서 하나의 대화방에서 업무 이야기
와 사적인 수다가 함께 이루어지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한 이야기가 퍼져 나가 여
론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전에는 주로 전문가들이 만들어 내거나 보급했던 말들을
누구나 쉽게 생산하여 널리 퍼뜨릴 수 있게 된 것도 중요한 변화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 매체를 사용한 의사소통의 특징 25

이러한 변화는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인터넷은 취미나 일상


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의 정치·사회적 현안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게
이전부터 의논하여 오면서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문제나 의안. ‘걸린 문제’로 순화.

158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하였다. 업무 자료를 메신저로 주고받거나 화상 회의를 하는 등 직장 생활에도 변
화가 찾아왔다. 인터넷상에서 새로운 인맥을 만들어 가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누
정계, 재계, 학계 따위에서 형성된 사람들의 유대 관계.
리 소통망은 여러 분야,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하게
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인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하였다. 누리 소통망
거리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5 에서 맺은 친구가 인간관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 매체의 변화로 인한 우리 삶의 변화 양상
누리 소통망으로 폭넓은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되자 자신의 인맥을 과시하 ● ‘던바의 법칙’이 주는 시사점
자랑하여 보임.
‘던바의 법칙’의 내용
기 위해 누리 소통망에서 맺은 친구의 숫자를 경쟁적으로 늘리는 사람들도 생겨났
•‌진정한 사회적 관계의 폭은 최대
다. 영국의 인류학자 로빈 던바(Robin Dunbar)는 「아무리 친화력이 뛰어난 사람이 150명 정도임.
•‌긴밀한 인간관계는 20명 정도임.
(1947~),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문화인류학자 「 」 : 던바의 법칙
라도 진정으로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인원은 150명 정도이고, 그중에서도 끈
던바의 수(數) 시사점
10 끈한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은 20명도 채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계속해서 새로
인간적으로 매우 친밀한 관계 •‌누리 소통망을 통한 관계의 경쟁
적 확장은 형식적인 인간관계에
운 친구를 추천하며 관계의 확대를 지향하는 누리 소통망이 진정으로 풍부한 인간 불과함.
•‌진정한 관계가 아닌 관계의 형식
관계를 담보하고 있는지는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적 확장을 지향하는 우리의 모습
▶ 누리 소통망을 통한 인간관계의 경쟁적 확장에 대한 문제 제기 을 성찰하게 함.
맡아서 보증함.
매체를 매개로 한 소통이 늘어나면서 얼굴을 직접 맞대고 소통하는 일은 줄어들
대면 소통, 음성 언어를 사용하는 직접 소통
었다. 다음 조사 자료는 우리 사회에 일어난 소통 양상의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 준
15 다. 가족이 아닌 사람과 대화할 때에는 메신저나 문자 메시지를 월등히 많이 사용
인터넷이나 휴대 전화를 매체로 하여 음성이 아닌 문자나 이미지로 소통함.
하고, 가족과 대화할 때에도 대면하여 대화하기보다 메신저나 문자 메시지를 많이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직접 대면이 줄어든 소통의 양상

● ‌매체를 통한 소통의 부정적 측


단위: 명, 괄호 안은 퍼센트 면
대화할 때 주로 활용하는 수단 총 300명, 『한국 일보』 자체 조사 어색하고 불편한 대면 소통

가족과 대화할 때 기타 11(3.6)


내면의 고독
메신저 또는 문자 메시지 전화 대면
131(43.7) 81(27.0) 77(25.7)
주목받고 싶은 욕망

가족이 아닌 사람과 대화할 때 기타 15(4.9)

메신저 또는 문자 메시지 전화 대면 지나친 자기 과시,


자극적인 발언
227(75.7) 32(10.7) 26(8.7)

- 『한국 일보』, 2017년 10월 10일 기사

매체의 사용이 익숙해진 사람들은 직접 대면하여 소통하는 것을 어색하고 불편


하게 느끼기도 한다. 한자리에 모여 있는 사람들이 저마다 휴대 전화 화면을 들여
20 다보고 있는 모습은 이제 우리 생활에서 낯설지 않은 장면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
담보하다 맡아서 보증하다.

(1) 매체 언어와 인간관계 159


컴퓨터에 의하여 현실이 아닌 허상으로 만들어진 공간.
현대인은 점차 내면의 고독을 느끼게 되고, 주목받고 싶다는 욕망이 가상 공간에서
소외(疏外), 군중 속의 고독 소외에서 벗어나고 싶은 심리에서 비롯됨.
의 지나친 자기 과시나 자극적인 발언으로 표출되어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들
자기의 존재를 인정받기 위하여 남에게 자기를 겉으로 나타냄.
기도 한다. 과장하여 나타내는 심리적 경향. ▶ 매체를 사용한 소통의 부정적 측면

● ‌의사소통에서 매체의 발달이 매체의 발달 덕분에 쉽고 빠른 의사소통이 가능해졌고 인간관계의 폭도 넓어졌


갖는 양면성 매체를 활용한 의사소통의 장점 ①
다. 하지만 「그만큼 관계를 맺고 끊는 것을 가볍게 여기게 되었고 좋은 관계를 유지 5
장점
「 」 : 매체를 활용한 의사소통의 단점
•쉽고 빠른 의사소통 하려는 노력 역시 줄어들었다. 오랜 생각 끝에 적어 보내던 몇 문장의 글은 몇 단
•인간관계의 폭 확장 ‘그림말’로 순화
•소통의 편리함 증가
어, 혹은 초성의 나열이나 이모티콘으로 대체되었고, 약속을 갑자기 연기하거나 취
단점 음절의 구성에서 처음 소리인 자음. ‘님’에서 ‘ㄴ’ 따위.
소하는 것과 같은 즉흥적인 행동은 늘어났다. 통화를 할 때에 자신이 누구인지를
•소홀해진 인간관계 그 자리에서 일어나는 감흥이나 기분에 따라 하는. 또는 그런 것. 전화 통화를 할 때 갖추어야 할 예의
•흥미 중심의 소통 갈등의
•즉흥적인 행동 증가 밝히고 인사를 건네는 대신 다짜고짜 “어디야?”, “뭐 해?”라는 말을 던진다든지 시
•통신 예절의 실종
간과 상관없이 전화를 걸거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습관이 친밀하지 않은 대상에 10

게까지 확대되면서 상대방을 당혹스럽게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매체의 발달


로 더 이상 약속 장소에서 오래 기다리지 않고, 필요한 정보를 바로 주고받는 등 편
매체를 활용한 의사소통의 장점 ②
리함을 누리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을 점차 잃어 가고 있는
최근의 현실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매체를 이용한 의사소통의 장단점


자기 과시 자기의 존재를 인정 「새로운 매체는 더 큰 용량과 빠른 속도로 소통의 효율성을 높여 주었지만 그만 15
받기 위하여 남에게 자기를 과 「 」 :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매체의 발달이 갖는 양면성 들인 노력과 얻은 결과의 비율이 높은 특성.
장하여 나타내는 심리적 경향. 큼 개인과 개인 간, 개인과 사회 간에 갈등을 일으킬 가능성도 가지고 있다. 이러

160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한 매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은 보다 진보된 기술이 아니라 상대방의 상황 ●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의 한계
매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 를 극복하는 방법
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인간의 마음이다. 매체를 활용한 소통도 의사소통의 한 방 상대방의
역지사지
상황을
(易地思之)
법이고, 매체 언어도 언어의 일종이다. 그러므로 인터넷이나 휴대 전화를 활용하 배려하고

높이어 귀중하게 대함. 존중하는
태도
마음
여 소통할 때에도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의사소통의 기본 태도를 잊지 말아
도와주거나 보살펴 주려고 마음을 씀.
5 야 한다. 나에게는 편리한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불편한 것일 수도 있다는 역지사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여 봄.
지(易地思之)의 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 매체의 한계 극복에 필요한 우리의 태도 : 역지사지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골라 보자. ㉠, ㉣, ㉤

㉠ ‌언어 사용 양상이 다양해지고, 소통 맥락의 구분이 모호해진 것은 인터넷이나 휴대 전


화를 사용한 의사소통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누리 소통망은 깊고 넓은 인간관계를 담보하는 매체이다.
㉢ 로빈 던바는 진정한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인원에 한계가 없다고 주장한다.
㉣ 최근에는 전화 통화나 대면 접촉보다 메신저나 문자 메시지로 대화하는 사람이 많다.
㉤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것은 의사소통의 기본자세이다.

(1) 매체 언어와 인간관계 161


1 의사소통 수단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의사소통 수단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어떤 소식을 전달하려면 상대를 직접 찾아가
얼굴을 마주 보고 말을 전해야 했다. 이처럼
음 성 언 어 은/는 가장 오래되고 보편적인

의사소통 수단이다.

높은 산에 올라가서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내는 봉화(烽火)는 급한 소
식을 전하던 전통 시대의 통신 제도이다. 전국
어디서든 대체로 12시간이면 한양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었다.

1838년에 새뮤얼 모스(Samuel Morse)가


전기를 이용해 약속된 신호를 보내는 전신을
발명하면서 새로운 통신 세계가 열렸다.

말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꾸었다가 다시 말


소리로 환원시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
람끼리 이야기할 수 있게 만드는 전 화 이/가
발명되었다.

전자 기술,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인
터 넷 와/과 휴대 전화가 등장하였다.

162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⑴  칸에 들어갈 말을 채워 보고, 의사소통 수단의 발달이 우리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자유롭게 써 보자.
예시 답안

•‌휴대 전화가 없었을 때에는 가까운 친척이나 친한 친구의 집 전화번호를 외우고


있었는데 지금은 외우고 있는 전화번호가 거의 없다.
• 여러 명이 함께 채팅을 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일상 대화는 물론 업무 회의 등도 컴퓨터나 휴대 전화를
활용하여 진행하는 일이 많아졌다.

• 누리 소통망의 파급력이 커지면서 일반 대중의 발언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기도 하고 하나의 문화를 형
성할 수도 있게 되었다.

⑵  체를 사용하여 개인적·사회적으로 소통한 경험을 떠올려 보고, 느낀 점을 이야



기해 보자.
예시 답안

나는 멀리 이사 간 친구와 나는 사진작가가 꿈이라서 인터넷 사진


화상 대화를 자주 해. 몇 년째 동호회에 가입했어. 함께 사진도 찍고
못 만났지만 어색하지 않아.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아.

•소통한 경험 : 어떤 빵 가게에 다녀온 후 그 소감을 누리 소통망에 올렸는데 가게 주인이 직접 내 글에 댓


글을 달아서 깜짝 놀란 적이 있어.

•느낀 점 : 가게의 아쉬운 점을 별생각 없이 거칠게 표현한 내용이 있었는데 그것을 주인이 읽었다고 생각
하니 미안해지고 내가 경솔했구나 싶었어. 앞으로는 누리 소통망이 누구나 볼 수 있는 공간이라
는 점을 염두에 두고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했어.

(1) 매체 언어와 인간관계 163


2 인터넷 게시판 글을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자유 게시판

제목 층간 소음 문제, 해결 방법 없을까요? 멍하늘(mmuy***)

층간 소음이 문제라는 얘기는 많이 들었는데……. 제가 당사자가 될 줄은 몰랐네요.


이사 온 지 이제 일주일 정도 됐는데, 늦은 시간에도 쿵쿵거리는 발소리랑 피아노 치는
소리가 들려서 잠을 계속 설치고 있어요. 잠을 설치니까 하루 종일 기분이 안 좋아요.ㅠ
싸움 날까 걱정돼서 섣불리 항의도 못 하겠어요. 좋은 방법 없으신가요?

댓글 5 공감♥ 9

웃자웃자 저도 층간 소음 문제로 마음고생 많이 해서 그 심정 알아요.ㅠ 자신


들이 시끄럽게 행동하는지 모를 수도 있으니 과일이라도 사 들고 인사 한번 가
보세요.

똥글이 단독 주택으로 이사 가세요.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죠.


↳ 멍하늘 너나 이사 가라.

봄봄봄 국가 소음 정보 시스템(www.noiseinfo.or.kr) 누리집에 들어가서 ‘층


간 소음 이웃 사이 센터’에 접수하시면 전문가가 상담도 해 주고, 현장 소음도 측
정해 줘요.
아무나 요즘 사람들은 참을성이 너무 없어. 쯧쯧. 공동생활하면서 그 정도도 이
해 못하나?

⑴ 의사소통에 문제를 일으키는 댓글을 찾고, 인터넷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까


닭을 써 보자.
예시 답안

문제를 일으키는 댓글을


똥글이, 멍하늘, 아무나
쓴 사람

익명성에 기대어 예의에 어긋나거나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는


문제를 일으키는 까닭
발언을 하였기 때문이다.

⑵  터넷 공간에서 다른 사람과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 어떤 태도를 지녀야 할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의사소통의 기본 태도를 염두에 두고 예의를 갖추어 소통해야 한다.
•‌대면 소통과 마찬가지로 소통의 맥락을 고려하여 그에 알맞은 내용과 형식으로 소통해야 한다.
164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동영상 자료
활동 3 제시 영상

3 텔레비전 뉴스를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요즘 단체 대화방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


는다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늦은 시간
이나 쉬는 날에도 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알
림 소리 때문에 직장인들에게는 ‘단체 대화
방 감옥’이라고도 불립니다.
과제나 모임, 친구 등 사적 대화방이 많은
학생들도 스트레스는 마찬가지입니다.

이/학생 : 단체 대화방에서 제가 모르는


이야기를 하면 솔직히 저는 제가 이걸
왜 봐야 하지 싶기도 한데, 계속 알람은
오고…….

마음대로 탈퇴할 수 없다는 것도 큰 스트


레스입니다.

김/학생 : 단체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와 사회 활동이 실제 생활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체 대화방을 나
간다는 게 부담스럽죠.
- 에스비에스(SBS), 2017년 5월 13일 뉴스

⑴  뉴스의 내용과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는지 이야기해 보고, 스마트폰이나 누리



소통망에서의 의사소통이 지니는 문제점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반 친구들 모두가 참여해 있는 단체 대화방에 한 친구가 내가 우습게 나온 사진을 허락도 없이 올려 망신을 당한 적
이 있다. 계속해서 여러 친구들이 나를 놀리는 이모티콘을 올리는 바람에 괴로웠지만 대화방을 한번 나오게 되면 다
시 들어가기 어려워 참을 수밖에 없었다. 스마트폰이나 누리 소통망에서의 의사소통은 언제 어디서든 이루어질 수 있
다는 점에서 편리하지만, 때로 개인의 인권이나 사생활을 침해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⑵ ‌ 뉴스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인적·사회적 방법을 모둠별로 마



련해 보자.
예시 답안

개인적 방법 사회적 방법

- ‌단체 대화방에 글을 남길 때 글의 내용과 성격이 그 - ‌근무 시간 외에 스마트폰이나 누리 소통망으로 업무


대화방에 알맞은 것인지 먼저 따져 본다. 를 지시하는 일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한다.
- ‌대화방 참여자 모두가 글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전제 - ‌단체 대화방에서의 불합리한 차별, 따돌림 등을 신
하여 시간과 형식, 내용 등을 고려한다. 고할 수 있는 사회적 기구를 만든다.

(1) 매체 언어와 인간관계 165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2)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대중, 대중 사회, 대 대중문화의 비판
대중 매체와 대중문 대중 매체와 대중문
중 매체, 대중문화 적·주체적 향유를 • ‌대중문화의 특성 비판적으
화의 긍정적 영향 화의 부정적 영향
의 등장 위해 필요한 자세
로 이해하기
• ‌대중문화 주체적으로 향유
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2) 바탕글 듣기

● 대중문화의 형성 과정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통적 농경 사회는 대량 생산의 산업 사회로 변화하였


과학 기술의 발달
다. 공장을 중심으로 도시가 발달하면서 사람들의 일상은 표준화된 시간표에 따라

농경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변화
재조직되었고, 대량 생산된 제품들로 삶의 방식도 점차 획일화되었다. 공동체적 유
모두가 한결같아서 다름이 없게 됨.
대 관계가 급속도로 해체되면서, 고립되고 분산된 개인들로 이루어진 대중 사회가 10

•공장 중심의 도시 발달 끈과 띠라는 뜻으로, 둘 이상을 서로 연결하거나 결합하게 하는 것. 또는 그런 관계.


•‌대량 생산 제품에 따른 획일화된 도래하게 된 것이다. ▶ 대중 사회의 도래
삶 어떤 시기나 기회가 닥쳐옴.
•공동체적 유대 관계의 해체
•고립·분산된 개인
신분제의 해체와 전문화, 분업화의 영향으로 노동자들의 임금과 여가 시간이 늘
산업 사회의 특징
어나자, 문화를 수용하고자 하는 그들의 욕구도 점차 커지게 되었다. 신문, 잡지, 영
임금과 여가 시간의 증가
화,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 매체’가 등장하면서 그러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게 되었
문화 수용
•문화 수용의 욕구 증가 고, 대중 매체의 보급이 가속화되면서 대중의 형성이 더욱 촉진되었다. ▶ 대중의 등장 배경 15
•대중 매체의 보급 다그쳐 빨리 나아가게 함. 속도를 더하게 됨. 또는 그렇게 함.
많은 사람에게 대량으로 정보와 사상을 전달하는 대중 매체는 대중이 즐길 수 있
대중문화의 형성 는 문화의 폭을 확대함으로써 ‘대중문화’를 형성하였다. 대중문화는 특정 사회나
계층을 넘어 대중이 공통으로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문화로, 「확산 속도가 빠르
‘대중문화’의 개념
고 공유되는 범위가 넓다. 또한 대량으로 생산되고 다수가 소비하여 사회적 영향력
과 파급력이 크다는
」 특징을 지닌다. ▶ 대중문화의 개념과 특징 20
「 」 : ‘대중문화’의 특징
● 대중 매체의 역할 대중문화는 우리의 삶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과거에는 특권 계층만 누릴 수
•‌여가 시간의 즐거움과 휴식 제공 일정한 사회적ㆍ정치적 특권을 누리는 계층. 또는 그런 사람들.
•‌다양한 지식과 정보 제공 있던 문화가 대중 매체를 매개로 누구에게나 균등하게 제공되면서 사람들은 노동
→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역할 둘 사이에서 양편의 관계를 맺어 줌.
•‌사회 문제에 관한 해석과 평가 제공
→ 문제 해결을 위한 여론 형성에 기여 의 피로를 잊고 여가 시간의 즐거움과 휴식을 맛볼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대중 매
•‌문화의 범위와 사회적 관계의 확장 대중 매체를 통해 계층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게 됨.
•‌새로운 문화 생산의 공간 형성 체는 사회 구성원에게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사회의 변화에 빠
•‌문화적 소통의 활성화

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역할도 하게 되었다. 우리 사회 25


어떤 일이나 사태에 맞추어 태도나 행동을 취함. 대표적인 사회화 기관은 학교임.
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관한 해석과 평가를 제공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여론
형성에 기여하기도 한다. ▶ 대중 매체의 역할 ①
도움이 되도록 이바지함.

166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또한 대중 매체의 발달은 문화의 범위를 확장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구성원들의
과거에는 문화로 인정받지 못하던 것이 문화의 범위 안에 포함되거나 새로운 형태의 문화가 만들어짐.
사회적 관계를 넓혀 주었다. 새로운 문화 생산의 공간이 만들어졌고 문화적 소통도
활성화되었다. 과거에는 예술로 평가받지 못했던 것들이 재평가되거나 인터넷 공
문화의 범위 확장의 사례 새로운 문화 생산의 공간
간을 활용한 새로운 형식의 예술 작품이 등장한 것이 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대중 매체의 역할 ②
5 이렇듯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중 매체는 수용자를 수동적으로 만든다 ● ‌대중 매체의 부정적 기능과 사
대중 매체의 부정적 측면 례
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경제적으로 낙후되고 민주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사회에서 부정적 기능
기술이나 문화, 생활 따위의 수준이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뒤떨어짐.
는 정치권력이 대중 매체를 통제하는 경향이 있다. 정치권력이 대중 매체를 이용하 수용자를 수동적으로 만듦.
공정하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권력으로 언론ㆍ경제 활동 따위에 제한을 가하는 일.
•‌정치권력의 대중 매체 통제
여 편파적이거나 조작된 정보를 제공하면, 그 본질을 알기 어려운 대중은 정보를 - ‌경제가 낙후되고 민주주
어떤 일을 사실인 듯이 꾸며 만듦. 의가 미성숙한 사회에서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과거 독재 권력이 대중 매체를 장악하고 체제를 나타나는 경향

- ‌편파적이고 조작된 정보
지식과 정보를 대중 매체를 통해서만 접하기 때문 손안에 잡아 쥔다는 뜻으로, 무엇을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됨을 이르는 말. 례
제공
10 비판하는 세력을 불온 집단으로 몰아간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①
- ‌대중은 정보의 본질을 알
사상이나 태도 따위가 통치 권력이나 체제에 순응하지 않고 맞서는 성질이 있음. ▶ 대중 매체의 부정적 기능: 정치권력이 대중 매체를 통제하는 경우 기 어려움.
비교적 경제적으로 풍족하고 민주주의가 발달한 사회에서는 자본을 앞세운 경제 -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
하기 어려움.
기업이 대표적
권력이 대중 매체를 장악하는 양상을 보인다. 대중 매체가 이윤만을 추구하다 보 •‌경제 권력의 대중 매체 장악
기업이 대중 매체를 장악하여 이윤 추구의 도구로 삼음. - ‌경제적으로 풍족하고 민
주주의가 발달한 사회에
면, 대중문화는 대중의 소비를 촉진하는 상업적인 내용으로 채워진다. 의식하지 못 서 나타나는 경향
- ‌대중 매체가 이윤만을 추
하는 사이에 대중 매체에 자주 노출되는 인기 상품을 구매하거나 지역 할당형 상점 사 구
대중들이 인기 상품을 구매하거나 지역 할당형 상점을 이용하는 것을 자신의 취향에 따른 선택이라고 착각함.
례 - ‌대중문화가 상업적 내용
② 으로 구성됨.
15 과 같이 표준화된 것을 찾게 되는 것이 그 사례이다. 이처럼 대중문화가 만들어 낸 - ‌대중은 대중 매체에 노출
되는 상품이나 표준화된
유행을 따르는 사람이 많아지면 개인의 개성이나 집단의 다양성은 점차 사라지게 것을 찾음.
- ‌개인의 개성, 집단의 다
대중문화의 일면(一面)
양성이 사라짐.
된다. ▶ 대중 매체의 부정적 기능: 경제 권력이 대중 매체를 장악하는 경우

사람들은 대중 매체가 보여 주는 것을 바탕으로 현실을 인식한다. 그러므로 「대중


대중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 「 」 : 대중 매체를 통한 대중문화 수용에 필요한 우리의 자세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를 수용할 때에는 매체와 현실의 관계를 자각하려는 노력이
현실을 판단하여 자기의 입장이나 능력 따위를 스스로 깨달음.
20 필요하다.」 사람들은 대개 자신이 좋아하거나 즐기는 것들을 개인적인 취향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왜 자신이 특정 운동 경기를 좋아하고 지금과 같은 머리 모양과
옷차림을 하게 되었는지, 최근에 관심을 갖게 된 사회적 쟁점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서로 다투는 중심이 되는 점.
보면 개인의 관심사라고만 볼 수는 없는 대중 매체의 영향력을 실감할 수 있다. 대
개인의 취향이나 관심이 대중 매체가 보여 주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음.
중 매체의 생산자는 대개 대규모 조직의 전문가 집단인 반면 그 수용자는 각각의

불온 사상이나 태도 따위가 통
25 개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특별한 계기가 없는 한 일상에 밀착되어 있는 대 치 권력이나 체제에 순응하지
않고 맞서는 성질이 있음.
중 매체를 성찰의 대상으로 삼기 어렵다. 하지만 오늘날 대중 매체가 지닌 막대한 ●
지역 할당형 특정한 상품이나
영향력을 생각한다면, 대중 매체에 관한 성찰과 비판 없이는 대중문화의 발전도 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재자가 일
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에게 자
대할 수 없다. ▶ 대중 매체에 관한 성찰과 비판이 필요한 이유
기 상품에 관하여 일정 지역에
서의 영업권을 주어 시장 개척
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주체적으로 향유하기 위해 우리는 대중 매체가
누리어 가짐. 을 꾀하는 방식으로, 프랜차이
30 전하는 것들을 자신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선별하여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대중 즈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가려서 따로 나눔.

(2)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 167


● 대중
‌ 매체에 대한 성찰의 필요 매체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숨은 의도와 가치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능력,
성 정치권력이나 경제 권력이 달성하려는 권력 유지나 이윤 창출과 같은 목표

•‌대중 매체의 생산자는 대규모 조


즉 대중 매체가 전달하는 모든 내용이 진실인 것처럼 포장되어 있지는 않은지, 무
직의 전문가 집단임.
•‌대중 매체가 일상에 밀착되어 있 엇에 관하여 말하고 있고 어떤 것은 생략하고 있는지, 누군가가 정치적, 상업적 의
음. 정치권력이나 경제 권력 권력 유지나 이익 추구
•‌대중 매체는 막대한 영향력을 지
님. 도로 대중 매체를 이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특정 대상이나 사건을 해석하는 대중 매
체의 관점이 수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살피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5
▶ 대중문화의 비판적·주체적 향유를 위한 노력
대중 매체가 의도하는 대로 대중이
수동적으로 이끌려 갈 수 있음. 과거에는 대중이 문화의 일방적인 소비자에 머물렀지만 인터넷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매체의 등장으로 일반 대중도 문화 생산에 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대중
대중문화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 인터넷, 스마트폰이 쌍방향적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
움.
문화의 생산과 향유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린 만큼 우리는 스스로
인터넷,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대중이 문화의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생산자가 될 수 있음.
● ‌대중문화의 비판적·주체적 향 선택한 문화가 진정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는지, 우리의 판단 기준이 대

대중 매체가 전하는 것을 자신의


중 매체와 문화 산업의 전략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아닌지를 되돌아보아야 한다. 10
필요와 목적에 따라 선별하여 수용 정치권력이나 경제 권력의 의도에 의해 만들어진 문화 ▶ 대중문화의 생산과 향유를 위한 우리의 자세

•‌대중 매체가 전하는 내용은 진실 ● 매스 미디어(mass media)와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한가? 텔레비전, 신문 등의 대중 매체는 ‘매스 미디어’라고도 부르는데, 정보 전달의 측면에서 공적이고, 일방적이며, 간접적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생략했는
가? 이라는 특징을 갖는 매스 미디어는 20세기 초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며 발전해 왔다. 인터넷의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는
•정치적·상업적 의도는 없는가? 최근에는 매스 미디어의 영향력을 넘어선 ‘소셜 미디어’가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소셜 미디어란 개인들의 생각, 경험
•‌대중 매체의 관점이 수용자에게 등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 도구를 말하는데,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등 다양한 형식을 활용한 블로그,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트위터·페이스북 등의 소셜 네트워크, 팟캐스트 등이 있다. 소셜 미디어가 일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과거 제도로서 기능
하던 매스 미디어에서 소비자, 사용자 중심의 소셜 미디어로 중심이 옮겨지고 있다.

대중문화의 장점과 단점을 정리해 보자.

•다수에게 대량으로 빠르게 전달된다.

대중문화의 • ‌여가 시간의 즐거움과 휴식을 맛볼 수 있게 하고,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
장점 여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관한 해석과 평가를 제공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여론 형성에 기여


하기도 한다.

•‌편파적이거나 조작된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다.

대중문화의 • 대중의 소비를 촉진하는 상업적인 내용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단점 개인의 개성이나 집단의 다양성이 점차 사라질 수 있다.

168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1 다음 활동을 하며 대중 매체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⑴  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영화, 웹 소설이나 웹 드라마 등의 인터넷 제작물을 포



함하여 내가 최근에 가장 재미있게 보았던 것을 친구에게 소개해 보자.
예시 답안

매체 : 텔레비전

제목 : 『프로듀스 101』

내용 : 101명의 가수 지망 연습생들이 경연을 벌이고, 국민 심사위원이


투표로 그들 중 11명을 선발하여 아이돌 그룹으로 데뷔시키는 내
용의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재미있었던 까닭 : 내가 응원하고 좋아하는 사람을 투표로써 직접 지지할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또 연습 과정과 경연을 통해 그룹 멤버가 추려지는 과정 모두를 지켜볼 수 있어서
친근함이 느껴졌고 더욱 응원하는 마음이 생겼다.

⑵ <보기>와 같은 현상이 생기는 까닭을 생각해 보고,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이 사


회·문화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말해 보자.
보기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에는 일정한


유행이 있다. 연예인을 선발하거나 경연
을 벌이는 심사 프로그램이 줄줄이 생겨
나기도 하고, 육아 예능 프로그램이 유
행처럼 번지기도 했다. 최근에는 출판계
를 휩쓸었던 ‘인문학’ 열풍이 방송계에도
불기 시작했다.
예시 답안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은 현실에서 유행하거나 이슈가 되는 내용을 반영하여 제작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유행을 선도하고
특정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발생시키며 여론을 형성하기도 한다. 연예인 선발·경연 프로그램이 많이 방영되면서 청소년 희망
직업 1위가 연예인이 된 현상이나, 아빠 육아 예능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아빠의 육아 참여를 권장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
된 사례는 텔레비전이 사회·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는 파급력이 있는 매체라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2)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 169
동영상 자료
활동 2 제시 영상

2 다음 자료를 보고 뉴스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방법을 마련해 보자.

(가) 무엇이 뉴스가 되는가

석양이 너무
아름다워요.

제발 쏘지
마세요!

게이트 키핑(gate keeping)


뉴스가 된 사실들 뉴스 매체 조직 내에서 기자나 편집자와
그리고 뉴스가 되지 못한 진실들 같은 뉴스 결정권자에 의해 뉴스가
취사선택되는 과정을 말한다.

- 이비에스(EBS), 「지식 채널 e」

이 영상은 영화 「킹콩」의 장면을 활용하여 게이트 키핑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킹
콩」은 신비로운 해골섬에 살고 있던 킹콩과 영화 촬영을 위해 해골섬에 오게 된 앤의 사랑과 우정을 다룬 영화이
다. 앤과 함께 온 영화감독 칼이 자신의 욕심을 채우려고 킹콩을 포획하여 뉴욕으로 데려오고, 사람들의 공격을
받게 된 킹콩은 앤을 지키기 위해 사투를 벌인다.

170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나) 가짜 뉴스

가짜 뉴스의 역사는 인류가 소통해 온 역사만큼이나 길다. 역사를 조금만 들여다


보아도 가짜 뉴스의 사례를 무수히 많이 찾을 수 있다. 백제 무왕이 지은 「서동요」 는
선화 공주와 결혼하기 위해 그가 거짓 정보를 노래로 만든 가짜 뉴스였다. 1923년
관동 대지진이 났을 때 일본 내무성이 조선인에 관한 허위 정보를 악의적으로 퍼뜨
린 일은 가짜 뉴스가 잔인한 학살로 이어진 사건이다. 이와 같이 역사 속에서 늘 반
복되어 온 가짜 뉴스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것은 일견 새삼스러워 보인다. 하지만
최근 일어나고 있는 가짜 뉴스 현상을 돌아보면 이전 사례들과는 확연히 다른 것을 발
견할 수 있다.
최근의 가짜 뉴스는 더 이상 동요나 입소문으로 퍼지지 않는다. 누구나 쉽게 이용
하는 대형 검색 누리집이나 누리 소통망 등에 ‘정식 기사’의 얼굴을 하고 나타난다.
감쪽같이 변장한 가짜 뉴스들은 사람들의 입맛에만 맞으면 쉽게 유통·확산된다. 그
리고 가짜 뉴스는 ‘선택받을 수 있는 조건’을 정확히 알고 소비자를 치밀하게 속인다.
다시 말해 가짜 뉴스는 ‘돈’이 되기 위해 어떤 식으로든 눈에 띄어 선택받으려고 한
다. 자극적인 요소들을 자연스럽게 포함하고, 비윤리적이어도 개의치 않는다. 과정
이야 어떻든 이윤만 내면 성공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가짜 뉴스는 사회 구
성원의 통합을 방해하고 극단주의를 초래한다.
- 권도연, 「IT 열쇳말 - 가짜 뉴스」 에서

⑴  스의 목적을 고려하여 (가) 와 (나) 에 드러난 문제점과 그러한 문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뉴스의 목적 : 정확한 사실과 정보를 대중에게 신속히 전달한다.

(가) (나)

기자나 편집자와 같은 뉴스 결정권자에 의


소비자를 치밀하게 속이는 가짜 뉴스가 쉽
문제점 해 뉴스가 취사선택되면서 사실이나 정보
게 유통·확산되고 있다.
가 왜곡될 수 있다.

자극적이거나 비윤리적인 내용이 사회 전


뉴스가 허위 사실을 만들어 내거나 특정
문제가 미치는 반에 퍼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사회 구성원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영향 의 통합을 방해하고 극단주의를 초래할 수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있다.

(2)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 171


⑵  스 결정권자와 뉴스의 수용자가 어떤 태도를 지녀야 하는지 생각하며 다음 대

화의 빈칸을 채워 보자.
예시 답안

뉴스 결정권자는 사회적 사건을 기사화하기 전에 취사선택하고


검열하는 일을 합니다. 여러 집단의 이익이 얽혀 있거나 정치적으
로 미묘한 사건일수록 그에 관여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정확한 뉴
스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뉴스가 선택되는 과정에는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나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뉴스 결정권자가 속한


조직의 신념과 가치, 전통, 규칙뿐만 아니라 뉴스 결정권자의 가치
관이나 세계관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러므로 뉴스 결정권자는
윤리적 의식을 갖추고, 사회적으로 미칠 영향과 파급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뉴스의 내용과 형식 등을 결정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뉴스를 보는 사람들도 뉴스의 내용을 무조건적으로 신뢰하고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비판적인 관점에서 사실 관계를 따져 보고 주체적으로 수용하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겠군요.

⑶ 가짜 뉴스에 속았던 경험이 있다면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고, 다음을 참고하여 가
짜 뉴스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더 마련해 보자.

가짜 뉴스 구별 방법
1. 뉴스 도메인이 ‘.com.co’, ‘.ma’, ‘.su’ 등으로 낯설지 않은지 살펴본다.
2. 과거의 사실이 현재의 맥락에서는 가짜 뉴스가 될 수 있으므로 기사 발행 날짜를
확인한다.
3. 첨부된 사진과 동영상이 기사와 연관성이 있고 출처가 명확한 것인지 확인한다.
4. 특정 매체의 기사로 출처가 인용되어 있다면, 그 매체에 실제 그 기사가 수록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다.
5. 광범위하게 퍼져 나간 의심스러운 뉴스는 최초의 단독 보도를 직접 찾아본다.
- 『시엔엔(CNN)』, 2016년 11월 30일 기사
예시 답안
•‌가짜 뉴스에 속았던 경험 : 유명 연예인이 불미스러운 일로 구속되었다는 뉴스를 접하고 매우 놀랐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가짜 뉴스로 밝혀졌어.
•‌가짜 뉴스 구별 방법 : 기사의 관점과 다르거나 그 기사를 반박하는 내용의 다른 기사가 있는지 핵심 키워드를 검색하여 확인해 본다. 기사를 작성한
사람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이름이나 이메일 주소 등을 검색하여 신뢰할 만한 작성자인지 판단해 본다.
172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3 다음 주제 중 하나를 골라 관련 정보를 조사하고, 대중문화에 관한 나의 생각을 글로
써 보자.

•대중 매체 속 간접 광고와 가상 광고
•영화의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중문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예시 답안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대중 매체의 경우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특정 상품이나 기업과 관련하여 광고를 할
경우 엄청난 광고 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방송법에서는 광고 효과에 대한 규제 내용을 자세하게 규정하
여 밝히고 있다. 특히 방송법 제 73 조에는 ‘방송 사업자는 방송 광고와 방송 프로그램이 혼동되지 아니하도
록 명확하게 구분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방송 광고에는 많은 종류가 있다. 방송 프로그램 전후
광고, 중간 광고, 자막 광고, 가상 광고, 간접 광고 등이 그것이다. 이는 방송에서 모든 광고가 금지된 것이
아니라 정상적인 광고 행위는 허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요즈음에는 간접 광고인지 방송 프로그램인지 헷갈리는 내용들이 너무 많아서 문제이다. 정상적,
합법적 광고가 아니라 교묘하게 광고가 아닌 것처럼 가장하여 소비자를 현혹시키는 광고들이 있는 것이다.
유용한 생활 정보를 알려 주는 프로그램이라 생각하고 시청하였는데 말미에 특정 상품을 은근히 비춰 주며
그 성능을 강조한다거나, 드라마에서 특정 기업을 연상시키는 내용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내보이는 것 등
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광고들은 대중의 판단력을 흐리게 하고 상업성에 치우친 대중문화를 낳는다.
현행 방송법에서는 전체 프로그램 시간의 5% 이하, 전체 화면의 25% 이하로 간접 광고의 노출을 제한하
고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 내용상 그 기준을 어디서부터 적용할지 애매한 부분들이 발생하고, 그러한 한계
를 악용하여 법망을 벗어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제재가 쉽지 않다. 대중 매체의 영향력이 날이 갈수록 커
지고 있는 만큼 대중 매체 속 간접 광고나 가상 광고의 수위를 보다 엄밀히 규제하고 또 관련 법규를 강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 173


문학과 매체 융합하기
최근 문학 작품과 다양한 매체의 융합이 시도되고 있다. 문학 작품을 만
화로 표현하기도 하고, 사진과 문학 작품을 결합하기도 한다. 매체와 융합
한 문학 작품을 감상한 후 문학책 한 권을 골라 읽고, 사진, 그림, 만화, 영상
등의 매체와 융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해 보자.

1
(가) 만화와 문학의 융합

우우움…….
우움…….

우우우우움!

처럼아!
드디어 외줄 타는 걸 난 또 뭐 대단한
성공했어! 움! 움! 거라고…….
으응?

174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난 외줄 타기
그렇구나. 내가 듣고
정도는 눈 감고서도
우움……. 싶었던 말은 그게
할 수 있다고.
아니었어…….

인정받고 싶고……. 사랑받고 싶어.

정말? 난 너를 우리 움비
대단한데? 믿어! 최고!

(Humphry Davy)

그냥 칭찬
한마디 듣고
싶었을 뿐인데
…….

- 권혁주, 『움비처럼 : 시처럼, 만화처럼』 에서

창의·융합 놀이터 175


(나) 사진과 문학의 융합

기다림

소년 소녀의 추억 수숫단
주인 잃은 수숫단
비바람에 날아갈까
눈보라에 얼어 버릴까
여름 내내 꽁꽁 묶어 주는 넝쿨

- 윤예진(학생 작품)

2017 황순원 문학제 디카시 공모전 수상작

디카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와 ‘시(詩)’를 결합한 말로, 자연이나 사물에서 시적 형상을 포착하
여 찍은 사진과 시를 융합하여 표현한 것을 가리킨다. 언어 예술이라는 기존 시의 범주를 확장한 다매체 시대의
새로운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예시 답안

(가) (나)

시의 내용을 자연 생태계를 배경으로 살


소설 「소나기」 를 읽은 감상을
문학과 매체를
아가는 동물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하는 시와 그에 어울리는 사진으로
융합한 방식 만화로 표현함.
표현함.

문학과 매체를 함축적인 시의 내용을 구체 문학 작품을 읽은 느낌과 소감을 다양한


융합하여 얻은 적인 만화로 표현하여 내용 이 매체로 확장하여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효과 문학의 향유 범위를 넓힘.
해를 도움.

176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2 문학책 한 권을 선정하여 읽고, 작품과 매체를 융합해 보자.

⑴ ‌도서관, 서점, 인터넷 등에서 읽고 싶은 문학책을 조사하고, 그중 한 권을 골라 보자.


예시 답안

책 제목 작가 조사 방법 및 내용

학교 도서관에서 표지와 추천사를 살펴보며 선정함. 청소년 시


까짓것 이정록 집으로서 어른들의 시선으로 청소년을 평가하는 현실을 우회적
으로 꼬집음.

인터넷 블로그 서평을 읽게 됨. 주인공 완득이가 세상 밖으로 나


완득이 김려령
오는 이야기를 그린 성장 소설임.

선정한 책 •책 제목 : 까짓것

•작가 : 이정록

선정한 까닭

나와 같은 또래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고, 이를 짧은 시로써 재미있게 풀어냈다는 점에서 흥미가 생겼다.

독서 기간

2019 년 4 월 15 일~ 2019 년 4 월 20 일

창의·융합 놀이터 177


⑵ ‌선정한 책을 꾸준히 읽으며 독서 일지를 써 보자. 예시 답안 생략

독서 일지 활동지가 부록 234~236쪽에 제시되어 있다. 책을 읽을 때마다 독서 일지를 쓰도록 한다.

읽은 날짜 읽은 쪽

년 월 일 ~ 쪽

인상 깊었던 작품 또는 구절

느낀 점이나 깨달은 점

더 알고 싶거나 궁금한 내용

친구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

178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⑶ 융합하려는 매체를 정하고, 자유롭게 작품을 생산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시집을 읽었다면 대표 작품을 꼽아 매체와 융합할 수 있고, 소설이나 수필 등의 책을 읽었다면 인상 깊었


던 구절이나 장면을 선정하여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품을 읽은 감상을 짧은 글이나 시로 표현한 후 매체와
융합해 볼 수도 있다.

•융합하려는 매체의 유형 :

•융합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 :

창의·융합 놀이터 179


모의 평가 어휘 학습 자료
대단원 대단원
모의 평가 어휘 학습지
다음 질문의 빈칸에 해당하는 별을 찾아 순서대로 연결해 보고, 어떤 모양이 나오는지 확
인해 보자. (마지막 별은 처음의 별과 연결하여 그림을 완성한다.)

1 책은 신문이나 텔레비전에 비해 정보 제공의 측면에서 속 도 이/가 떨어진다.


2 텔레비전은 신문보다 생생한 현장 화면을 보여 주어 실 제 감 이/가 높다.
3 매체 자료에는 매체 생산자의 관 점 와/과 가치가 담겨 있다.
4 매체 자료를 생산할 때에는 그것이 사회에 미칠 파 급 력 을/를 고려해야 한다.
5 매체 생산자는 수용자의 연령과 성별, 배경지식, 관 심 사 등을 고려해야 한다.
6 매체 언어도 언 어 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7 매체 언어로 의 사 소 통 할 때에도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해야 한다.
8 신문, 잡지, 영화, 텔레비전 따위와 같이 많은 사람에게 대량으로 정보와 사상을 전달
하는 매체를 대 중 매 체 (이)라고 한다.
9 대량 전달력, 큰 영향력 등은 대 중 문 화 가 지니는 장점이라 할 수 있다.
10 대중문화는 상 업 성 , 통속성, 지배층의 이념 통제와 같은 단점을 지닐 수 있다.


★ 심미성
★ 속도 ★
품질 파급력 ★
창의성

★ ★ ★ ★
상업성 실재감 관점 관심사


결정력
신뢰도

★ ★
전문성 ★
대중문화 매체
언어


★ 상호 작용

대중 사회 ★ ★
향유
대중 매체 의사소통

180 Ⅲ.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다음 평가표를 작성하며 학습 정도를 점검해 보자.

평가
점검 항목
충분 보통 미흡

1  체의 특성에 따른 정보 구성 방식과 유통 방식을 알고 이를 의사소통



에 활용하였다.

2 다양한 관점과 가치를 고려하여 매체 자료를 수용하였다.

3 목적, 수용자,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매체 자료를 생산하였다.

4 매체 언어의 창의적 표현 방법과 심미적 가치를 이해하고 향유하였다.

5 매체 언어가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6  체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주체적으로 향



유하였다.

이 단원에서는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매체 자료를 수용·생산하고, 존중과 배려의


마음으로 매체 언어를 사용하는 태도와 주체적으로 대중문화를 향유하는 태도를 갖
추기 위해 노력해 보았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자신에게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생
각하며 앞으로의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나는 그동안 매체에 대해 특별한 관심도 없었고, 매체가 전하는 내용이 사실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지도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매체의 특성과 영향력을 알게 되었으므로 매체 자료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창의적으로 생산하는 주체적인 사람이 되도록 노력 할 것이다.

대단원 마무리 181


IV
생활 속 언어와 매체

1 국어와 삶

2 매체와 삶

비판적·창의적 의사소통 공동체·


사고 대인 관계
교과 역량
자료·정보 자기 성찰·
활용 문화 향유 계발
●대단원 학습 목표●
•‌국어의 규범을 이해하고 자신의 국어 생활을 성찰하여 언어문화의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자신의 매체 언어생활을 성찰하고 문제점을 개선하여 매체 문화의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교과서 본문 교과서 본문 지도서 본문 수업 지도안


4단원 4단원 4단원 4단원 차시별 지도안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규범을 이해하고 자신의 국어 생활을


국어 규범 이해와 국어 생활 성찰의 목적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매체 환경이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매체 문화가 더 나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매체들이 속속 출현함. 매체 언어생활 성찰의 목적
은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매체 언어생활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매체 문화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
반성하고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성찰의 과정을 바탕으로
언어의 규범과 윤리가 파괴되는 문제를 극복하고 유익하고 건전한 언어문화와 매체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인신공격성 발언이나 차별적 발언 등의 문제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바람직한 언어문화와 매체 문화를 위해 필요한 노력들
거침없이 쭉쭉 뻗어 나감. 또는 그렇게 되게 함.

이 단원에서는 국어의 규범 중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중단원 1 - (1)
로마자 표기법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자신의 국어 생활과 매체 언어생활을 성찰
중단원 1 - (2), 중단원 2 - (1)
하며 문제점을 개선하는 활동을 해 보자. 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에서 언어와 매체
「 」 : 중단원 2 - (2)
언어가 가지는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언어문화와 매체 문화의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 길러 보자. ▶ 이 단원의 학습 내용 안내

184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1 국어와 삶 2 매체와 삶
(1) 국어의 규범 (1) 매체 언어생활의 성찰
(2) 국어 생활의 성찰 (2) 매체 문화의 발전

| 음악 | 협동 | 공동체 |

올바른 인터넷 언어생활을 위한 노래 만들기

● 국어와 삶 ● 매체와 삶 ● 언어생활 성찰의 필요성


언어생활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국어의 규범 매체 언어생활 성찰 의 네 가지 언어 행동 면에서 본 인간
의 생활을 가리킨다. 따라서 우리의 언
•한글 맞춤법 어생활을 꾸준히 성찰하고 문제점을
•표준어 규정 개선하는 한편 언어문화를 발전시키기
•외래어 표기법 문제점 개선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지니는 것은 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리의 삶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이끌기 위한 중요한 자세라
매체 언어의 가치 이해 고 볼 수 있다.
이해

매체 문화 발전에 참여
국어 생활 성찰

언어문화 발전에 참여

다음 질문에 답하며 나의 학습 정도를 확인하고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국어의 규범을 몰라서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나요? 예

댓글 때문에 상대방에게 상처를 받거나 위안을 얻은 적이 있나요? 예

매체 문화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아니요

나는 국어의 규범을 배우고 익히며 매체 언어생활의 중요성과 문제점을 인식하여 바르

고 건전한 국어 생활을 하고 매체 문화의 발전에 참여 할 것이다.

대단원 길잡이 185


1
국어와 삶 모의 평가
중단원 모의 평가

수행 평가
중단원 수행 평가

다음은 국립 국어원 문의 게시판에 질문이 많이 올라온 항목을 수집하여 시각화한 자료이


다. 자료를 살펴보고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띄어쓰기

조사쉼표
마침표
합성어
부호조사 어원 부호
표준어

마침표로마자부호
합성어

표준어발음외래어
조사 어원 로마자 로마자 합성어
어려워하는
명사
사람들이 가장
항목은 무엇일까?
발음 그리고 네가 가장 어려워
부호 하는 것은 무엇이니?

띄어쓰기음운
쉼표 어원 명사
어미 발음

쉼표
음운 명사
쉼표 외래어
로마자
마침표
합성어
부호 표준어 외래어 어미
어원

어원 로마자 쉼표
띄어쓰기 음운

외래어 조사
음운
음운
쉼표
음운 로마자
어미
어미
띄어쓰기
표준어 마침표 조사 어원

발음
어미어미명사
로마자

마침표 표준어
띄어쓰기
발음 발음 외래어

띄어쓰기 명사

예시 답안
•사람들은 띄어쓰기와 관련된 부분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 같아. 나 역시 글을 쓸 때 띄어쓰기가 가장 어려워. 어떤 경우
에 띄어 써야 하고, 어떤 경우에 붙여 써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
•나는 평소에 맞춤법을 많이 틀려. 어떤 경우에 소리 나는 대로 쓰고, 어떤 경우에 형태를 밝혀 써야 하는지 자주 헷갈려.

186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중단원 학습 목표●
•‌다양한 국어 자료를 바탕으로 국어의 규범을 이해하고 정확성·적절성·창의성을 갖춘 국어
생활을 할 수 있다.
•‌자신의 국어 생활을 성찰하고 문제점을 개선하여 언어문화의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 외래어와 외래어 표기법


외국에서 들어온 말 가운데 우리말의 일부로 자리 잡아 우리말화한 말을 외래어라고 한다. 반면
에 아직 우리말의 일부로 정착하지 않은 말은 외국어라고 한다. 외래어 표기법은 한글 맞춤법, 표준
어 규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함께 국어의 규범 중 하나이다. 다시 말해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
어 규범이 아니며 외국어 발음을 그대로 옮겨 적는 것이 아니라 외국에서 들어와 국어화한 외래어
를 한글로 옮겨 적는 규범이다. 따라서 외래어 표기의 결과가 원어의 발음과 다를 수 있음을 알고,
외래어 표기가 원어 발음과 다르다는 이유로 저마다 다르게 표현하여 표기의 혼란을 일으키기보다
는 정해진 약속을 지키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 모음의 로마자 표기
국어의 단모음은 10개(ㅣ, ㅔ, ㅐ, ㅟ, ㅚ, ㅡ, ㅓ, ㅏ, ㅜ, ㅗ)인데 비해 로마자에서의 단모음은 5개
(a, e, i, o, u)뿐이다. 따라서 ‘ㅏ, ㅔ, ㅣ, ㅗ, ㅜ’를 제외한 ‘ㅐ, ㅟ, ㅚ, ㅡ, ㅓ’는 각각 ‘ae, wi, oe, eu,
eo’와 같이 두 개의 로마자로 표기한다.

 국어와 삶 187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1) 국어의 규범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언어생활에서 따르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는 한글 맞춤법 국어의 규범 적용 수
고 지켜야 할 공식 •표준어와 표준 발음을 정해 놓은 표준어 규정 준과 규범 준수의 필 • ‌국어의 규범을 이해하고 국
기준인 국어의 규범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요성
어를 정확하게 사용하기
• ‌적절하고 창의적인 국어 생
활 실천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1) 바탕글 듣기

국어의 규범은 언어생활에서 따르고 지켜야 할 공식 기준으로서 한글 맞춤법, 표


국어의 규범 주요 조항이 부록
238~242쪽에 제시되어 있다.
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규범
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준수하는 일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구체
규범 준수의 필요성
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국어의 규범을 살펴보자. ▶ 국어 규범의 종류와 규범 준수의 필요성 10

한글 맞춤법

작은 어머니께

안녕하세요? 제가 드디어 한식 조리사 필기시험에 합격했답니다. 요

리사이신 작은어머니께서 이것저것 잘 가르쳐 주신 덕분이에요. 놀이로


작은어머니() : 아버지 동생의 아내. 작은 어머니(×) : 키가 작은 어머니 놀 - + - 이 = 놀이(). 노리(×)
시작했지만 이젠 요리사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이 생겼어요. 한 달 남은 실 15
믿 - + - 음 = 믿음(). 미듬(×) 남 - + - 은 = 남은(). 나믄(×)
기 시험에서 미끌어지지 않도록 더욱 노력할게요. 감사의 표시로 제가 직
미끄러지지() 미끌어지지(×)
접 담근 유자청을 보냅니다. 새지 않게 마개를 꽉 닫긴 했는데 엎어질까
막 - + - 애 = 마개(). 막애(×) 엎 - + - 어 + 지다 = 엎어지다(). 어퍼지다(×)
걱정이네요. 알려 주신 대로 껍질까지 갈은 유자로 유자청을 담가 유리
갈 - + - ㄴ = 간(). 갈은(×)
병에 꾹꾹 눌러 다맜으니 맛있게 드세요.
담 - + - 았 - + - 으니 = 담았으니(). 다맜으니(×)
사랑하는 조카가 20

188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용언은 그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어야 한다. 이 쪽지 ● 한글 맞춤법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 활용할 때 변하는 부분.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에서 동사 ‘남다’의 어간 ‘남-’에 어미 ‘-은’이 결합한 단어를 ‘남은’으로 적은 것처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
용언

럼, ‘다맜으니’ 또한 동사 ‘담다’의 어간 ‘담-’의 형태를 밝혀 ‘담았으니’로 적어야 한


여 적음.  남은, 담았
으니

•‌앞말의 본뜻이 유지
다. 두 개의 용언이 만나서 하나의 단어가 된 경우,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는 것은 두 용언이
되는 것 : 그 원형을
뜻을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을 이유가 없음. 밝히어 적음.  엎
만나 어질까
5 ‘엎어질까’와 같이 그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다만 앞말이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하나의 •‌앞말이 본뜻에서 멀
앞말 ‘엎어’에는 무언가를 넘어뜨린다는 ‘엎다’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음. 단어가 어진 것 : 소리 나는
된 경우
소리 나는 대로 적으므로, ‘미끌어지지’가 아니라 ‘미끄러지지’로 써야 한다. 대로 적음.  미끄
▶ 어간과 어미를 적는 방법(한글 맞춤법 제15항) 러지지
앞말 ‘미끌다’의 어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임.
용언이 활용하면서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면 바뀐 대로 표기하는 경우 활용하며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의 어간에 여러 가지 어미가 붙는 것. 가 바뀌면 바뀐대로
형태가 표기하는 경우가 있
가 있다. 동사 ‘갈다’의 경우 ‘갈고, 갈아, 가는, 간’과 같이 활용한다. 관형사형 어미 바뀐
음.
어간에 붙어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하게 해 줌. 경우  갈다>간
‘-는’이나 ‘-ㄴ’이 결합할 때에는 어간 ‘갈-’의 받침 ‘ㄹ’이 탈락하므로 ‘갈은’은 ‘간’으
•‌어간에 일반적으로
어간 ‘갈 -’에 어미 ‘- 은’이 아닌 ‘- ㄴ’이 붙는 것임.
널리 결합하는 접미
10 로 고쳐 적어야 한다. ▶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뀔 때 적는 방법(한글 맞춤법 제18항) 사 ‘- 이’나 ‘- (으)ㅁ’
이 붙어 명사로 된
동사 어간 ‘막-’에 접미사 ‘-애’가 결합한 명사 ‘마개’는 소리대로 적은 말이다. 일 말들 :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음.  놀
접미사가
이, 믿음
반적으로 널리 결합하는 접미사 ‘-이’나 ‘-(으)ㅁ’이 붙어 명사로 된 말들은 ‘놀이, 붙어서
•‌어 간 에 ‘ - 이 ’ 나
된말
‘- (으)ㅁ’ 이외의 모
음으로 시작되는 접
믿음’처럼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그러나 어간에 ‘-이’나 ‘-(으)ㅁ’ 이외의 미사가 붙어 다른 품
명사화 접미사 ‘- 이’, ‘- (으)ㅁ’은 비교적 널리 결합하며, 또 본디 어간 형태소의 뜻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 사로 바뀐 것들 : 어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붙어 다른 품사로 바뀐 것들은 ‘마개’처럼 그 어간의 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음.  마개
15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을 적는 방법(한글 맞춤법 제19항)

한편 이 쪽지는 조카가 숙모에게 쓴 것이므로, 첫째 줄의 ‘작은 어머니’는 셋째 줄 ● 띄어쓰기 원칙


키 작은 어머니
문장의 각 단어는 띄
과 같이 숙모를 뜻하는 합성어 ‘작은어머니’로 고쳐 적어야 한다. 의사소통을 효율 원칙 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아버지 동생의 아내 함.
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소리대로 적거나 어법에 맞도록 적는 원칙을 잘 지켜야 하
듯이 문장의 각 단어를 띄어 쓰는 원칙 역시 잘 지켜야 한다. 목적 효율적인 의사소통
▶ 띄어쓰기의 원칙(한글 맞춤법 제 2 항)

● 표준어 사정 원칙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
표준어
루 쓰는 현대 서울말

1 한글 맞춤법에 맞는 표현을 골라  표시를 해 보자. 목적 원활한 의사소통

•손이 (까맣니 / 까마니) 밥 먹기 전에 손부터 씻자.


•산 (넘어 / 너머) 남쪽에는 따뜻한 봄바람이 살랑거린다.
•올해 초부터 입시 제도를 개혁한다는 소문이 (붉어지기 / 불거지기) 시작했다.

2 다음 문장을 제시된 뜻에 맞도록 띄어 써 보자.

•나에게 ‘물’을 달라는 뜻 : 나 물 좀 줘.


나물좀줘.
•‘나물’을 달라는 뜻 : 나물 좀 줘.

•‌‘까맣다’의 어간 ‘까맣 -’에 어미 ‘- 니’가 결합하면 어간의 ‘ㅎ’이 탈락하여 어간의 모습이 바뀐다. 활용하면서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
뀌면 바뀐 대로 적는다.
•동사 어간 ‘넘 -’에 접미사 ‘- 어’가 붙어 명사가 되었으므로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두 개의 용언이 만나서 하나의 단어가 된 경우, 앞말이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불거지다’는 ‘붉다’와 ‘지다’가
만나 이루어진 단어이지만 앞말인 ‘불거’가 ‘붉다’의 본뜻에서 멀어졌다.
(1) 국어의 규범 189
표준어 규정

늘.
지 말인교? 노상 삼 캐러
선생님은 무슨 삼 캐러 다니잖니껴. 다니신 지
일을 하세요? 다니잖아요. 오래되셨어요?
다니지 않습니까.

어데예.

?
초마니잖니껴. 천동마니는
초년생 심마니를 이르는 말. 풋내기 심마니를
벗었어두 노마니나 선채마
노련한 심마니를 이르는 말. 이르는 말.

?
니가 될라카믄 아직
산삼을 잘 캐는 능숙한
매란없니더.
심마니를 이르는 말.

표준어 사정 원칙에서는 표준어를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이


라고 규정하고 있다. 많은 사람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두루 쓰는’이
표준어 사정의 목적
라는 조건을 붙였다. 구어적 상황에서 주로 쓰였던 ‘맨날’, ‘복숭아뼈’, ‘짜장면’, ‘이
만날 () / 맨날 (), 복사뼈 () / 복숭아뼈 ()
쁘다’ 같은 단어들을 최근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것도 이들이 ‘두루 쓰는’ 말이기 때 5
자장면 () / 짜장면 (), 예쁘다 () / 이쁘다 ()
● ● ●
문이다. 한편 위의 만화에서 학생은 심마니들의 은어인 ‘초마니, 천동마니, 노마니,

특정 집단이나 계층에서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자기들끼리만 사용하는 말.
선채마니’를 알아듣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학생이 경북 지역 사람이 아니라
면 ‘매란없다’가 ‘형편없다’를 뜻하는지도 알기 어려웠을 것이다. 표준어를 정할 때
사투리
‘서울’로 지역을 특정한 것 역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것일 뿐, 서울말이 다른 지
역의 말에 비해 우월하기 때문은 아니다. ▶ 표준어 사정 원칙과 목적 10

어떤 말을 표준어로 정했더라도 모두가 똑같이 발음하지는 않는다. 사람에 따라


‘의사’를 [으사] 또는 [이사]로 발음하기도 하고 ‘개[犬]’와 ‘게[蟹]’를 잘 구분하지 못

초마니 초년생 심마니를 이르 [의사] () / [으사] (×) / [이사] (×) 혀의 높낮이(개구도)에 의해 [ㅐ] 와 [ㅔ] 가 구분됨.
는 말. 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면 일어날 수 있는 의사소통의 혼란을 막기 위해 표준 발음

천동마니 풋내기 심마니를 이 법에서 발음상의 규칙과 규범을 정해 두었다. 그중 몇 가지를 살펴보자.
르는 말. ▶ 표준 발음법 제정의 목적

노마니 노련한 심마니를 이르 단모음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이중 모음이지 15
표준 발음법 제 4 항 붙임
는 말.

만 ‘가져[가저], 쪄[쩌], 다쳐[다처]’와 같이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선채마니 산삼을 잘 캐는 능숙
한 심마니를 이르는 말. 단모음으로 발음한다. ‘의’는 발음이 다양하다. ‘의’가 첫음절에 올 때는 [ㅢ]로 발음

190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하지만 다른 자리에서는 [ㅣ]로, 조사로 쓰일 때는 [ㅔ]로 발음할 수 있다. 그래서 ● 표준 발음법
관형격 조사
•‌단모음 ‘ㅚ, ㅟ’의 발음 : 이중 모음
‘주의’는 [주의]나 [주이]로, ‘우리의’는 [우리의]나 [우리에]로 발음할 수 있다. 다만 으로 발음하는 것 허용
‘의’가 둘째 음절이므로 [ㅣ] 발음이 가능함. ‘의’가 관형격 조사이므로 [에] 발음이 가능함.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희망[히망], ‘무늬[무니]’처럼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 쪄, 쳐’는 단모음으로 발음
•‘의’의 발음
[ㅣ] 로만 발음해야 한다는 의미임.
- 첫음절에서 [ㅢ] 로 발음함.
음한다.」 「 」 : 표준 발음법 제 5 항 ▶ 단모음과 이중 모음의 발음 - ‌다른 자리에서는 [ㅣ] 도 가능

받침을 발음할 때에도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다.「 ‘ㄼ’ 받침의 경우 ‘넓다’는 [널따]
함.
5 - 조사일 때는 [ㅔ] 도 가능함.
「 」 : 표준 발음법 제 10 항 - ‌첫소리가 자음일 때는 [ㅣ] 만
가능함.
로 발음하지만 ‘밟다’는 [밥 ː 따]로, ‘넓죽하다’, ‘넓둥글다’는 [넙쭈카다], [넙뚱글다] •‘ㄼ’ 받침의 발음

로 발음한다.」 한편 ‘ㄺ’ 받침의 경우 ‘맑다’는 [막따]로 발음하지만 ‘맑고’, ‘맑게’는


넓다 [널따], 넓죽하다 [넙쭈카다]
밟다 [밥 ː 따]
•‘ㄺ’ 받침의 발음
표준 발음법 제 11 항 맑다 [막따], 맑게 [말께]
[말꼬], [말께]로 발음한다. ▶ 겹받침의 발음
‘ㄺ’ 받침의 경우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ㄱ’을 탈락시키고 [ㄹ] 로 발음함.
목적 의사소통의 혼란 방지

1 다음 단어를 표준어와 표준어가 아닌 것으로 구분해 보자.

매란없다 짜장면 초마니 형편없다 만날 선채마니

(비표준어) (표준어) (비표준어) (표준어) (표준어) (비표준어)

2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을 표준 발음법에 따라 발음해 보자.

다음 발표 주제는 ‘민주주의의 의의’입니다.

민 주 주 의 의   의 의 •‌①, ④ : ‌[ㅢ] 또는 [ㅣ]로 발음함. 


① ② ③ ④ (‘의’가 첫음절이 아닐 때는 [ㅣ] 로 발음할 수 있음.)
•② : [ㅢ] 또는 [ㅔ]로 발음함. (‘의’가 조사일 때는 [ㅔ] 로 발음할 수 있음.)
•③ : [ㅢ]로 발음함. (‘의’가 첫음절에 올 때는 [ㅢ] 로 발음함.)

외래어 표기법

우리 동네 째즈(Jazz) 경연 대회 → 재즈

일시 : 20년 6월 1일 오후 7 : 30
장소 : 음악이 있는 커피숖
→ 커피숍
참가 구분 : 개인 또는 단체(뺀드)
→ 밴드
참가 접수처 : 사거리 슈퍼마켙(5월 24일까지)
→ 슈퍼마켓
제출물: 악보, 반주 녹음 화일(mp3)
→ 파일
※ ‌인터넷 라디오 ‘우리 동네’에서 실시간
방송 예정
우리 동네 주민 자치 위원회

(1) 국어의 규범 191


외래어는 원어의 발음을 기준으로 적는다. 그런데 우리말에는 [f, , , , , ]와
같은 소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소리들을 우리말로 적기 위해 새로운
글자를 만들지는 않는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글 24자모만을 사용하여 [f]는 ‘ㅍ’
외래어 표기법 제 1 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으로, [v]는 ‘ㅂ’으로 적는다. 이 중 [f]는 앞의 안내문의 ‘화일’처럼 ‘ㅎ’으로 잘못 적
기도 한다. 사람에 따라 ‘file’을 ‘화일’ 또는 ‘파일’로 다르게 표기하면 혼란스러울 5

수 있으므로 외래어의 한 음운은 하나의 기호로 적는다는 원칙을 정하였다. 따라서


1음운 1기호 원칙의 예외 외래어 표기법 제 2 항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실제로는 2개의 음운을 1개의 기


‘화일’은 ‘파일’로 고쳐 적어야 한다. ▶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되 1음운 1기호로 적기

호로 적기도 하고 1개의 음운을


또한 받침은 소리대로 적는다. 우리말 음절 끝 받침에서 나는 소리는 [ㄱ, ㄴ, ㄷ,
여러 기호로 적기도 한다. 예를
ㄹ, ㅁ, ㅂ, ㅇ] 일곱 개이므로 ‘coffee shop’은 ‘커피숖’이 아니라 ‘커피숍’으로 적어
음절의 끝소리 현상
들어 ‘파일(file)’과 ‘피아노(piano)’

야 한다. 그런데 [ㄷ]만큼은 ‘인터넷’처럼 ‘ㅅ’으로 적는다. ‘슈퍼마켙’ 역시 ‘슈퍼마


의 [f]와 [p]는 모두 ‘ㅍ’으로 적는 [커피숍]
다. 그런가 하면 ‘커피숍(coffee 10

켓’으로 적어야 하는데, 이는 ‘슈퍼마켇’이나 ‘슈퍼마켙’으로 적으면 ‘이, 을, 은’ 등


[인터넫] [슈퍼마켇]
shop)’의 파열음 [p]는 ‘ㅂ’으로
적지만, ‘점프(jump)’의 파열음
[p]는 ‘프’로, ‘피아노(piano)’의 파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 [슈퍼마케시, 슈퍼마케슬, 슈퍼마케슨] 등으
열음 [p]는 ‘ㅍ’으로 적는다. 연음 현상
로 소리 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외래어 받침 표기에는 ‘ㄱ,
외래어 표기법 제 3 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사용한다. ▶ 받침은 소리대로 적기

● 외래어 표기 원칙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도 외래어 표기의 원칙이다. 따라서 15


외래어 표기법 제 4 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국어의 현용 24자모만 사용
1 한다. ‘band’는 ‘뺀드’가 아니라 ‘밴드’로 적어야 한다. 꼭 파열음이 아니더라도 우리가 보
[f] → ‘ㅍ’, [v] → ‘ㅂ’

1음운은 1기호로 적는다.


통 된소리로 발음하는 외래어 역시 예사소리로 적으므로 ‘jazz’는 ‘째즈’가 아니라
2 파일 () / 화일 (×)
‘재즈’로 적는다. 그러나 ‘호찌민(Hochimin)’, ‘푸껫(Phuket)’에서 보듯이 베트남어
받침은 소리대로 적는다. 호치민(×) 푸켓(×)
커피숍 () / 커피숖 (×)
3 ※예외 : 슈퍼마켓 () / 슈퍼 나 타이어는 된소리 표기를 인정한다. ▶ 파열음 표기에 된소리 쓰지 않기
마켇(×), 슈퍼마켙(×) 이들 언어가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대립을 이루는 우리말의 파열음 체계와 같기 때문

파열음 표기에 된소리를 쓰


한편 오래전에 들어와 널리 쓰이고 있는 외래어 표기는 현실을 반영하여 관용을 20
지 않는다. 외래어 표기법 제 5 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4 밴드 () / 뺀드 (×) 존중한다. ‘라디오’를 ‘레이디오’로 적지 않으며 ‘카메라’나 ‘모델’을 ‘캐머러’나 ‘마들’
※예외 : 호찌민 () / 호치민
(×)
로 적지 않는다. 여기에는 이미 굳어진 표기를 굳이 고치기보다는 그대로 받아들여
이미 굳어진 외래어 표기는
5 관용을 존중한다. 언어생활에 혼란을 주지 않겠다는 생각이 담겨 있다. ▶ 굳어진 외래어 표기는 관용을 존중하기
라디오 () / 레이디오 (×)

다음 설명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 보자.

•‘rapper’로 불리는 가수들의 음악인 ‘rap’은 ‘랲’으로 적는다. , ×


•‘cafe’와 ‘gas’는 실제 발음에 가깝게 ‘까페’와 ‘까스’로 적는다. , ×
•‘gum’은 관용을 존중하여 ‘검’이 아니라 ‘껌’이라고 적는다. , ×

•받침은 소리대로 적는다. 랲(×) / 랩()


•파열음 표기에 된소리는 적지 않는다. 까페(×) / 카페(), 까스(×) / 가스()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한다. 검(×) / 껌()

192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장곡
Jangkok

종로
Jongro

?
해운대 묵호
e Muko
Haeunda

울산
Ulssan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한글 맞춤법과 달리 표준 발음을 기준으로 적는 것이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❶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적는다.
표준 발음으로 표기
원칙이다. 외국인의 입장에서는 ‘종로[종노]’가 ‘Jongro’가 아니라 소리 나는 대로
표기대로 적은 결과 종로 [종노] Jongno
‘Jongno’로 적혀 있으면 훨씬 수월하게 한국인과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거센소리되기 표기
발음대로 적은 결과 구어적 상황에서 실제 발음으로 소통할 수 있으므로
5 ‘백마[뱅마]’, ‘해돋이[해도지]’, ‘좋고[조코]’ 등도 소리대로 ‘Baengma’, ‘haedoji’, 반영  : 좋고 [조코] joko
지명(고유 명사). 비음화 구개음화 거센소리되기 음운 변동을 반영함. 반영 × : 묵호 [무코] Mukho (체언)
‘joko’로 적는다. 다만 체언에서 일어나는 거센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 된소리되기 표기
‘좋고’는 용언이므로 거센소리되기를 표기에 반영한 것임.
고 ‘ㅎ’을 밝혀 적는다. 그러므로 위의 표지판에서 ‘묵호’를 ‘Muko’로 표기한 것은 반영 × : 울산 [울싼] Ulsan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난 [무코] 를 로마자로 표기함.
붙임표 표기
‘Mukho’로 고쳐 적어야 한다. 또한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 것이 원칙
거센소리되기를 표기에 반영하지 않고 ‘묵호’를 로마자로 표기함. 해운대 Hae - undae
이므로 ‘울산’은 ‘Ulssan’이 아니라 ‘Ulsan’으로 고쳐 적어야 한다. 한편 고유 명사  → 발음 혼동 우려 해소
삼죽면 Samjuk - myeon
[울싼] 된소리되기를 반영하지 않음.  → 붙임표 앞뒤 음운 변화 반영 ×
10 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 표준 발음을 기준으로 적기
백마 - Baengma, 묵호 - Mukho, 울산 - Ulsan
로마자 표기를 할 때,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
나 발음이 혼동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예
붙임표 표기의 이유 음절의 경계를 분명히 하여 발음의 혼동을 예방함.
를 들어 ‘해운대’를 ‘Haeundae’로 적으면 ‘하은대’로 잘못 읽을 가능성이 있는데,
‘Hae - un - dae’로 읽지 않고 ‘Ha - eun - dae’로 잘못 읽은 결과
‘Hae-undae’로 적으면 그럴 일이 없다.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의 행정 구역
15 단위와 거리를 뜻하는 ‘가’ 앞에도 붙임표가 붙는다. 이때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
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이를테면 ‘삼죽면[삼중면]’을 비음화를 반
영하지 않고 ‘Samjuk-myeon’으로 적는 식이다. ▶ 붙임표 표기 방법
Samjung - myeon(×)

(1) 국어의 규범 193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❷

파열음(ㄱ, ㄷ, ㅂ) 표기 유음(ㄹ) 표기

대곶 Daegot, 장곡 Janggok, 호법 Hobeop → 을지로 [을찌로] Euljiro → 모음 앞 : r / 자음 앞,


모음 앞 : g, d, b / 자음 앞, 어말 : k, t, p 어말 : l   신라 [실라] Silla → 연속된 ㄹ : ll

자음 가운데 파열음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적고, 자음 앞이나 어


로마자 표기 일람
•모음 말에서는 ‘k, t, p’로 적는다. 따라서 ‘장곡’은 ‘Jangkok’이 아니라 ‘Janggok’으로 적
‘곡’의 초성은 모음 앞에 위치하므로 ‘g’로 적는다.
ㅏ ㅓ ㅗ ㅜ 어야 한다. ‘대곶’과 ‘호법’을 ‘Daegot’과 ‘Hobeop’으로 적는 까닭도 이와 같다. 그
a eo o u [대곧]
런가 하면 ‘충무로 Chungmuro’, ‘을지로 Euljiro’, ‘서울 Seoul’에서 보듯이 유음
ㅡ ㅣ ㅐ ㅔ
[을찌로] 된소리되기 반영 안 함. Euljjiro (×)
eu i ae e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적는다. 단 ‘신라 Silla’, ‘별 5
ㅚ ㅟ ㅑ ㅕ
oe wi ya yeo
내 Byeollae’와 같이 ‘ㄹ’이 연속된 소리는 ‘ll’로 적는다. ▶ 파열음과 유음 표기 방법
[실라], [별래] 의 ‘ㄹㄹ’
ㅛ ㅠ ㅒ ㅖ
yo yu yae ye
ㅘ ㅙ ㅝ ㅞ
wa wae wo we 다음 음식을 로마자로 표기해 보자.

음식 이름 로마자 표기 음식 이름 로마자 표기
ui
불고기 bulgogi 김밥 gimbap
•자음

ㄱ ㄲ ㅋ 파전 pajeon 육개장 yukgaejang


g, k kk k
ㄷ ㄸ ㅌ
d, t tt t
ㅂ ㅃ ㅍ
b, p pp p
ㅈ ㅉ ㅊ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국어의 규범을 준수하
j jj ch 여야 한다. 그러나 구어와 문어, 문학어와 일상어, 표준어와 방언, 현실 공간과 가상
ㅅ ㅆ ㅎ
s ss h 공간 등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규범의 적용 수준이 다를 수 있다. 예
ㄴ ㅁ ㅇ
를 들어 일상의 구어적 상황에서는 ‘잘려’를 [짤려]로 발음하는 것처럼 첫음절을 된 10
n m ng 글이 아닌 말로 의사소통하는 상황
ㄹ 소리로 발음하기도 하고, 연결 어미 ‘-(으)려고’에 ‘ㄹ’을 첨가하여 ‘먹으려고’를 [먹
r, l
을려고]로 발음하기도 한다. 정서 표현에 중점을 두는 문학어에서는 ‘파르라니 깎
은 머리 / 박사 고깔에 감추오고’(조지훈, 「승무」)의 ‘파르라니’와 ‘감추오고’처럼 표
파랗게 감추고
준어를 의도적으로 변형하여 시적 이미지와 분위기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처럼
시적 허용
규범을 엄격하게 지키지 않더라도 상황과 맥락에 맞게 창의적으로 표현하면 자신 15

의 의사를 좀 더 잘 전달하거나 문학적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규범에 어긋난


표현을 사용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얻으려면 그 규범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하므로 우선적으로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국어의 규범을 익히고 준수하려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달리지는 규범의 적용 수준과 규범 준수의 필요성

194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1 다음 대화에서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부분을 찾아 바로잡고, 잘못된 까닭을 규범에 근
거하여 설명해 보자.

17:00 80% 17:00 80%

그러게. ㅠㅠ 공부 좀 할

합격자 발표일 다 됬
걸.

는데…….
별일 있겠어?
좋은 소식 올 거야.
내일이 발표일인가?

이것 마저 떨어지면 정말
두근두근. ㅠㅠ
슬플 거야. ㅠㅠ

신나게 놀은 거 후회
마음 조리지 말고 차
되지?
분히 기다려 봐.

예시 답안

잘못된 표기 해당 조항 올바른 표기 잘못된 까닭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됬는데 ’ 으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그러
35항
됐는데
[붙임 2]
므로 ‘됐’으로 적어야 한다.

‘놀다’는 어미가 바뀔 경우, 어간의 끝 ‘ㄹ’이 줄어


놀은 18항 논
‘노니’, ‘논’, ‘놉니다’와 같이 적는다.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쓰므로 조사 ‘마저’는 앞말 ‘이


이것 마저 41항 이것마저
것’에 붙여 쓴다.

어간 ‘졸 -’에 사동 접미사 ‘- 이 -’가 결합하였으므로


조리지 22항 졸이지 본디의 어간 ‘졸 -’의 형태를 밝혀 ‘졸이지’로 적는
다.

(1) 국어의 규범 195


2 다음 활동을 하며 국어의 표준어 규정을 탐구해 보자.

값에 비해서는 괜찮은 것 같은데


너무 얇지 않아?
[가베 비해서는 괜차는 걷 가튼데
너무 얍찌 아나?]
이 꽃무늬 치마 이쁘지?
[이 꼰무니 치마 이쁘지?]

저기 넓죽한 걸로 주세요.
[저기 널쭈칸 걸로 주세요.]

⑴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표현을 찾아 바로잡아 보자.

예시 답안
규정에 어긋난 표현 바로잡은 표현

알아맞추면 알아맞히면
표준어
꽁짜 공짜
사정 원칙
알타리무 총각무

규정에 어긋난 표현 바로잡은 표현

가베 갑쎄
표준
얍찌 얄ː찌
발음법
널쭈칸 넙쭈칸

⑵ 예전에는 표준어가 아니었다가 표준어로 인정된 단어를 그림에서 찾아보자.


예시 답안 이쁘지, 푸르른

196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3 외래어 표기의 원칙을 바탕으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외래어 표기법 제 1장 표기의 원칙


제 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제 2항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제 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 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 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⑴  음 외래어 표기가 위의 표기 원칙 중 어떤 것에 어긋나는지 찾고, 원칙에 맞게



바로잡아 보자.
예시 답안

잘못된 표기 어긋난 표기 원칙 바로잡은 표기

service 써-비스 제 1 항, 제 4 항 서비스

fantasy 환타지 제2항 판타지

bus 뻐스 제4항 버스

racket 라켙 제3항 라켓

ketchup 케첲 제3항 케첩

⑵  보기>와 관련된 외래어 표기의 원칙이 무엇인지 찾고, 이와 같은 사례를 더 조사


<
해 보자.
보기

‘out’과 ‘scout’의 국제 음성 기호(IPA)는 ‘[aʊt]’와 ‘[skaʊt]’로, ‘out’의 발음이 ‘scout’


의 ‘out’ 부분과 동일하다. 그런데 ‘scout’는 ‘스카우트’로 표기하지만 ‘out’은 ‘아우트’
가 아니라 ‘아웃’으로 표기한다.

예시 답안
•‌[보기] 와 관련된 외래어 표기의 원칙 : ‘out’을 ‘아우트’로 적지 않고 ‘아웃’으로 표기하는 것은 외래어 표기의 원칙
제 5 항과 관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례
- ‌‘internet’은 ‘인터넷’으로 적지만 ‘그물’을 뜻하는 ‘net’는 관용을 존중하여 ‘네트’라고 적는다.
- ‌‘mania’는 발음이 [méiniə]이므로 ‘매니어’로 적어야 하지만 관용을 존중하여 ‘마니아’라고 적는다.

(1) 국어의 규범 197


4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유의하여 이름과 주소를 로마자로 표기해 보자.

⑴  음은 ‘은수’가 해외 누리집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떠올린 생각이다. 빈칸에 들어



갈 알맞은 말을 적어 보자.

Edit your address


country
‘이’는Republic
Korea, 로마자로 표기하면
of ‘i’
지만 인명은 그동안 써 온 표기
를 쓸 수 있으니 ‘Lee’로 써야지. 은/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
된소리
Full name
는다고 했지! 곡성군은 [곡썽군]으로 발음
Lee eunsu 되더라도 Gokseong -gun으로
써야겠네.
address

Jeonlanam-do Goksseong-gun samsong-gil 12-345

‘전라남도’는 [절라남도]로 발음되지. 로마


자 표기법에서 ‘ㄹㄹ’은 ‘ll’로 적는다고 했으니
Jeollanamdo (으)로 수정해야겠다.

⑵ 내 이름과 우리집 주소를 로마자로 적어 보자.


예시 답안

Edit your address


country
Korea, Republic of

Full name

Seo Yunu

address
Seoul Dongjak -gu Dongjak -daero 29 -gil 118

198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5 모둠별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가) (나)

⑴ (가) 와 (나) 에서 규범에 어긋나는 표현을 찾고,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여 얻으려는
효과가 무엇일지 모둠 구성원들과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가) (나)

규범에 어긋난
구르믈, 버서난 고양
표현

‘구르믈’과 ‘버서난’은 실질 형태소와 형식


(나)는 고양시에서 제작한 애플리케이션 광
형태소의 경계를 구별하여 끊어 적지 않고
고지이다. 지방 자치 단체의 이름에서 연상
이어 적은 옛날식 표기이다. 이러한 표현은
효과 되는 ‘고양이’를 캐릭터로 삼고, 구어적 표
임진왜란을 맞은 조선이라는 작품의 시대
현인 ‘거야?’를 애교 있게 ‘고양?’으로 바꾸
적 배경과 맞물려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
어 독자로 하여금 정감을 느끼게 한다.
하는 효과가 있다.

⑵ (가)와 (나) 같은 사례를 주변에서 더 찾아 발표해 보자.


예시 답안
통새우가 들어간 햄버거 광고에 “통새우 맛보새우.”라는 광고 문구를 사용한 경우 : 국어의 규범대로라면 “통새우 맛보세요.”라고 써
야 하지만 광고 대상의 핵심 특징인 ‘새우’를 강조하기 위해 ‘맛보세요’를 ‘맛보새우’로 바꾸어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1) 국어의 규범 199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2) 국어 생활의 성찰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줄임말과 신조어 사용
국어 생활의 성찰이 필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올바른 국어 생활을 위
의 장단점과 이를 사용 • ‌나의 국어 생활을 성찰하고
요한 이유 줄임말과 신조어 한 바람직한 자세
하는 바람직한 태도
문제점 개선하기
• ‌언어의 가치를 이해하고 언
어문화 발전에 참여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2) 바탕글 듣기

● 국어 생활 성찰의 필요성 우리는 다른 사람과 수많은 대화를 나누며 살아간다. 대화 상대와 잘 소통하려면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의사소통
국어 생활의 성찰
평소에 자신의 국어 생활이 어떠한지를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 다음 영상의 부모

원활한 의사소통
와 자녀가 나눈 대화를 살펴보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려면 어떤 국어 사용 습
관과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알아보자. ▶ 국어 생활의 성찰이 필요한 이유 10

동영상 자료 버카충하고 민서
소단원 (2) 생선 사야 한단 말이야. 그냥 냉동실에
제시 영상 엄마,
있는 거라도 줘.
나 삼만 원만.

만 원만
가져가.

아, 알지. 아빠도 신조어 알아.


농담한 거야. 오나전 지각하겠다.
학주한테 혼나고 안습하기
우리 생일 선물 전에 고고싱.
말한 건데?

● ‌딸과 아빠의 대화에 등장하는


줄임말
어우, 극혐.
버카충 버스 카드 충전

생선 생일 선물

학주 학생 주임
당신은 저런 말
안구에 습기 차다(눈물 다 알아?
안습 이 나는 상황)

극혐 극도로 혐오하다.
- 에스비에스(SBS), 「초인 가족 2017」 에서

200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이 상황에서 엄마와 딸은 아무런 문제없이 대화를 주고받고 있지만 아빠는 두 사
람이 하는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그 까닭은 아빠가 엄마와 딸이 사용하는
국어 생활의 성찰이 필요한 이유
줄임말의 뜻을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는 종종 음절 수가 많은 긴 단어를 간단히 말 ● ‌가상 공간에서 주로 사용하는
「 」 :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기는 여러 가지 이유 줄임말과 신조어
하기 위해 몇 음절만 따서 줄여 말하고, 심지어 ‘ㅇㅋ’과 같이 음운만을 사용하여 의 단어의 일부분을 줄여
오케이(O.K.)의 준말 줄임말 만든 말
5 사소통하기도 한다. 특히 청소년들은 가상 공간에서 친구들과 소통할 때에 새로운
새로 생긴 말. 또는 새로
컴퓨터에 의하여 현실이 아닌 허상으로 만들어진 공간. 신조어 귀화한 외래어
줄임말을 많이 만들어 내고, 그러한 말들을 일상생활에서도 사용한다.」
▶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줄임말과 신조어
이러한 말들은 그 뜻을 잘 알고 있는 가까운 사이에서는 친밀감을 높이고 유대 ● ‌줄임말과 신조어 사용의 장단

줄임말과 신조어의 장점
감을 형성하며, 의사소통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대가 그 말의 뜻을 •친밀감과 유대감 형성
줄임말과 신조어의 단점 ① 장점 •‌뜻을 잘 아는 상대와의
잘 모른다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딸은 자신이 사용하는 의사소통을 빠르게 함.

•‌뜻을 잘 모르는 상대와


10 줄임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유행이 지난 줄임말을 쓰는 아빠에게 ‘극혐’이라고 말 의 의사소통을 어렵게
단점 함.
•‌세대나 계층 간의 대화
하며 실망스러움을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상대방이 줄임말이나 신조어의 뜻을 잘 를 단절시킴.

모르더라도 상대방을 무시하거나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수 있는 말을 해서는 안 된


● ‌줄임말과 신조어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태도
다. 뜻을 바로 파악하기 어려운 줄임말은 세대나 계층 간의 대화 단절을 불러올 수
줄임말과 신조어의 단점 ② •‌상대방이 줄임말이나 신조어의
있으므로 대상이나 상황에 맞게 사용하여야 한다. 뜻을 잘 모르더라도 무시하거나
▶ 줄임말과 신조어 사용의 장단점과 이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태도 상처 주는 말을 해서는 안 됨.
15 요즘 사람들은 평소 국어 생활에서 많은 욕설을 사용한다. 「자신이 사용하는 욕설 •‌뜻을 바로 파악하기 어려운 줄임
말은 대상이나 상황에 맞게 사용
국어 생활에서 성찰이 필요한 대표적인 이유 「 」 : 국어 생활의 문제점 - 욕설의 사용 해야 함.
이 구체적으로 어떤 뜻을 지니고 있는지 알지 못한 채 습관적으로 욕설을 사용하
● ‌올바른 국어 생활을 위한 바람
고, 심지어 그것이 욕설인 줄 모르는 경우도 있다.」 친구들 사이에서 친근함을 표현 직한 자세
욕설을 사용하는 상황
하기 위해, 또는 자신의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 위해 너무 많은 욕설을 사용하고 •대상과 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말
•무심코 내뱉는 욕설
•‌상대방을 무시하거나 비난하는
있지는 않은지 자신의 국어 생활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대상과 상황을 고려하지 말

20 않는 말, 무심코 내뱉는 욕설, 상대를 무시하거나 비난하는 말 대신 상대방의 장점


배려하고 존중하는 대화 습관
을 칭찬하고,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는 말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 우리 모두 배려
올바른 국어 생활을 위한 바람직한 자세 •상대방의 장점을 칭찬하는 말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는 말
하고 존중하는 대화 습관을 기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올바른 국어 생활을 위한 바람직한 자세

줄임말 사용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정리해 보자.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그 뜻을 잘 알고 있는 가까운 사이에는 친밀감을 높이 - ‌상대가 그 말의 뜻을 잘 모르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고 유대감을 형성하며, 의사소통을 빠르게 할 수 있도 생길 수 있다.
록 한다. - ‌세대나 계층 간의 대화 단절을 불러올 수도 있다.

(2) 국어 생활의 성찰 201


1 다음 활동을 하며 줄임말과 신조어 사용에 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해 보자.

⑴  음 질문에 답하며 내가 일상생활에서 줄임말이나 신조어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



는지 점검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1. 나는 유행하는 줄임말이나 신조어를 잘 알고 있다. 예 아니요

2. ‌나는 인터넷이나 휴대 전화를 사용할 때에만 줄임말과


예 아니요
신조어를 사용한다.

3. ‌나는 대화를 할 때 줄임말이나 신조어를 습관적으로 사


예 아니요
용한다.

4. ‌나는 수업 시간에 발표를 하거나 과제를 할 때 줄임말


예 아니요
이나 신조어를 사용한 적이 있다.

5. ‌내가 사용한 줄임말이나 신조어 때문에 다른 사람과 의


예 아니요
사소통이 되지 않은 적이 있다.

6. ‌나는 친구들이 사용하는 줄임말을 몰라 소외감을 느낀


예 아니요
적이 있다.

⑵ 다음 주제에 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하여 써 보자.

줄임말과 신조어 사용, 문제인가 문화인가?

줄임말이나 신조어를 사용하는 것은  이다.

그 까닭은 

 때문이다.
예시 답안
•‌줄임말이나 신조어를 사용하는 것은 청소년들의 ‘문화’이다. 그 까닭은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줄임말은 조금 더 효율적으로 언어생활을 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며, 줄임말이나 신조어의 사용을 통해 같은 언어문화를 공유하는 언어 공동체들이 친밀감을 형성하며 유대감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줄임말이나 신조어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이다. 그 까닭은 지나친 줄임말과 신조어를 사용하게 되면 그 어휘를 모르는 사람들로 하여금 위화감을 느끼
202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게 하고 그것이 세대 간, 계층 간의 대화 단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무분별하게 말을 줄여 사용하면 우리 언어가
파괴되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다음 글을 읽고 청소년 언어문화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자.

(가) 국립 국어원은 ‘청소년의 일상화된 욕설, 그 원인은?’이라는 주제로 ‘청소년 언


어문화 개선 연속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일상화된 청소년 욕설
의 원인을 청소년학, 심리학, 사회학의 관점에서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 청소년 욕설의 원인에 대한 토론회의 개최
변 교수는 청소년학의 관점에서 인터넷상의 청소년 문화가 자연스럽게 실제
청소년 욕설의 원인을 바라보는 관점 ①
생활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청소년 욕설도 일상생활에 유입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김 박사는 심리학의 관점에서 청소년기에는 의존 대상이 부
청소년 욕설의 원인을 바라보는 관점 ②
모에서 또래로 바뀌므로 그들 간의 응집력을 높이고 친근감을 표현하기 위해 욕설을
사용한다고 보았다. 또한 청소년들은 욕설을 사용함으로써 감정을 보다 실감 나게
전달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쾌감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사회학의 관점에서 이△
청소년 욕설의 원인을 바라보는 관점 ③
교수는 학교에서 받는 긴장감과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욕설 사용을 부추기는 원인이
라고 보고, 욕설 사용을 촉진하는 요인들을 감소시킴으로써 언어문화의 개선을 도모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청소년 욕설의 원인에 대한 분석

발표가 끝난 후에 이어진 토론에서는 ‘일부 청소년들이 욕설 사용을 주도하는 이


유’를 논의하였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관심과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큰 청소
년들이 이를 충족하기 위하여 욕을 더 많이, 더 심하게 사용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 욕설 사용을 주도하는 이유에 대한 분석
 - 국립 국어원, 2012년 9월 4일 보도 자료

(나) S# 8. 화장실(낮) 동영상 자료


활동 2 제시 영상

기막힌 듯 한심한 표정으로 유진을 보고 있는 혜란.


화장실, 유진이 세면대에 열심히 젖은 신문지를 붙인다.

혜란 : (낮은 목소리로) …… 야, 너 지금 이게 뭐 하자는 거냐?

유진,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혜란을 보면,

혜란 : (화낸다.) 세면대 닦으랬더니 어으……. (신문지를 마구 뜯으며) 걸레도 많은데


이게 뭐야! 잉크 땜에 더 더러워졌잖아!
유진 : (말을 더듬으며) 아니, 이게 혜란아, 신문지로 하면 더 깨끗…….
혜란 : 너, 이럴거면 집에 가! 여기서 펑, 저기서 펑, 너 땜에 우리가 더 힘들어! 그냥
조용히 좀 집에 가! 아님 안 보이는 데 쭈그러져 있든가!
 - 케이비에스(KBS), 「학교 3」 에서

(2) 국어 생활의 성찰 203


⑴ (가) 에 제시된 청소년 욕설 사용의 원인을 정리해 보고, 나는 어떤 상황에서 욕설
을 사용하는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인터넷상의 청소년 문화가 청소년의 실제 생활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욕설도 일상생
활에 유입되었다.

•친구에게 친근감을 표현하기 위해 욕설을 한다.

•감정이나 상황을 보다 실감 나게 전달하기 위해 욕설을 사용한다.

•욕설을 사용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쾌감을 느낀다.

⑵ (나) 에서 유진이가 어떤 기분을 느꼈을지 생각해 보고, 혜란이의 말이 폭력적인


까닭을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유진이는 자신이 생각한 방식으로 청소를 하려고 했는데 혜란이의 말에 자신이 존중받지 못하고 무시를 당한다는 기
분을 느꼈을 것이다. 혜란이는 유진이의 이야기를 들어 보지 않고 일방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유진
이를 무시하는 말로 유진이의 마음에 상처를 주었기 때문에 혜란이의 말은 폭력적이다.

⑶  음은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운동의 목적과 실천 강령이다. 청소년 언어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실천 강령을 더 마련해 보자.
예시 답안

의 목적과 실천 강령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운동

품격 있는 말
1. 목적 : 바른 말, 고운 말,

‘바르고, 곱고, 품격 있게
•언어생활, 언어문화를
높이기
우리말과 우리글의 가치
•문화 융성의 토대로서

2. 실천 강령
친구를 사귑니다.
⑴ 다정하고 따뜻한 말로
는 버릇을 버립니다.
⑵ 뜻도 모른 채 욕하
를 합니다.
해 보고 상대를 존중하는 대화
⑶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
을 많이 합니다.
질책보다는 장점에 대한 칭찬
⑷ 친구의 단점에 대한

204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3 친구들과 나눈 대화를 녹음한 후 나의 국어 생활을 성찰해 보자.

⑴ 녹음한 내용을 들어 보고 다음 항목에 따라 내가 한 말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지나친
줄임말과 신조어

욕설

상대방을
무시하거나
비난하는 말

⑵⑴
 에서 정리한 말들을 순화해 보고, 나의 국어 생활에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예시 답안
이야기해 보자.
•‌(1) 에서 정리한 말들의 순화 : 생략
•‌나의 국어 생활에 필요한 변화
- 욕설의 사용을 자제한다.
- 자극적이고 극단적인 표현은 삼간다.
- 줄임말이나 신조어를 남용하지 않는다.

(2) 국어 생활의 성찰 205


2
매체와 삶 모의 평가
중단원 모의 평가

수행 평가
중단원 수행 평가

다음 만화를 보고 매체의 발달이 우리 사회나 문화에 영향을 끼친 사례들을 떠올려 보자.

이 그림은
고종과 대신의 전화 통화
모습을 재현한 상상도야.

그 옛날에 기계에서 내가 동경하던 유명 작가랑


음성이 흘러나왔으니 처음 누리 소통망으로 메시지를
얼마나 신기했을까? 주고받았을 때 정말 신기했거든.
그런 기분 아니었을까?

그래? 대신이
무릎을 꿇고 전화를 받는
모습이 인상적이네.

예시 답안
•영상 통화의 등장으로 서로 만나지 않고 소통할 수 있어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이나 누리 소통망을 통해서 지구촌 곳곳의 소식을 거의 실시간으로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외
206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국 친구들과도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중단원 학습 목표●
•자신의 매체 언어생활을 성찰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매체 언어의 가치를 이해하고 매체 문화의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 매체 언어생활에서 주의할 점

비방을 목적으로 타인의 사회적 평가를 떨어뜨리는 사실 또는 허위 사실을 게재하


명예 훼손
는 행위

모욕 무례한 표현이나 거친 말, 욕설, 저주 등을 하는 행위

사이버 폭력 사이버 성폭력, 사이버 스토킹, 사이버 따돌림 등

타인의 창작물을 허락 없이 무분별하게 인용하거나 임의로 내용을 변경하여 재사


저작권 침해
용하는 행위

초상권 침해 및 타인의 사진이나 영상을 동의 없이 올리는 등의 행위, 개인의 신체, 재산, 사회적
개인 정보 유출 지위, 신분 등에 관해 알 수 있는 정보를 불법적으로 유통시키는 행위

 매체와 삶 207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소단원 (1)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1) 매체 언어생활의 성찰
● 글의 짜임
학습의 주안점
매체 언어생활에
매체 언어생활에 올바른 매체 언어
올바른 매체 언어 서의 윤리적 태도 올바른 매체 언어 • ‌매체 언어생활 성찰하기
대한 성찰의 필요 생활을 위해 필요
생활을 위한 조건 의 중요성과 그에 생활의 가치
성 한 자세 • ‌매체 언어생활의 문제점 개
대한 성찰
선하기

듣기 자료
소단원 (1) 바탕글 듣기

● ‌올바른 매체 언어생활을 위한 매체의 사용이 일반화된 현대 사회에서 매체 언어는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의 수


조건 오늘날 휴대 전화, 인터넷 등의 매체 사용이 보편화됨. 매체 언어의 가치

•‌목적과 맥락에 맞는 매체 언어 활
단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매체 언어를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동(적절한 매체의 선택, 효과적인
매체 언어의 구성) 의사소통을 방해하고, 인간관계를 훼손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대상과 상황에 알맞은 예의와 격 매체 언어의 부작용

•‌정확한 사실을 다루는 공정성
언어의 수용자이며 생산자인 우리는 어떤 태도로 어떻게 매체 언어생활을 할 것인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내용의
전파 금지 지 성찰하고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매체 언어생활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 10

우선 매체 언어 활동도 언어생활의 하나이기 때문에 목적과 맥락에 맞게 이루어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 ‌매체 언어생활에서의 윤리적 져야 한다. 매체 언어 활동의 목적과 의사소통의 맥락을 고려하여 「적절한 매체를
태도 결핍 「 」 : 목적과 맥락에 맞는 매체 언어생활을 위한 조건

•‌의사소통에 익명으로
선택하고 효과적으로 매체 언어를 구성해야 한다. 또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대상이
참여함.
원인 •‌참여자들끼리 직접 얼 누구인지, 공적인 상황인지 사적인 상황인지 등을 판단하여 그에 알맞은 예의와 격
굴을 맞대지 않음.
식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신문, 텔레비전과 같은 공적 매체의 경우 정확한 사실을 15
격(주위 환경이나 형편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분수나 품위)에 맞는 일정한 방식.
명예 훼손이나 모욕 행
결과 위 등의 폭력 발생 공정하게 다루어야 하고, 편견을 조장하거나 차별적 인식을 심어 주는 등 사회와
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내용을 전파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매체 언어생활에서 윤리적 태도의 ▶ 올바른 매체 언어생활을 위한 조건
성찰이 필요함. 다양한 매체가 활용되면서 일반 개인들도 매체 자료의 수용뿐만 아니라 생산 활
동에 참여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은 수용
매체 언어생활에 적극성을 띰.
과 생산의 양 측면에서 윤리적인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인터넷상에서 이루 20

어지는 의사소통에는 익명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고, 참여자들끼리 직접 얼굴을


맞대지 않기 때문에 「상대방을 함부로 대하거나 명예 훼손, 모욕 등의 폭력을 가하
「 」 : 윤리적 태도의 결핍으로 인한 매체 언어생활의 문제점
는 일이 자주 발생하여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 매체 언어생활에서 윤리적 태도의 중요성

비방을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다른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떨어


뜨리는 사실 또는 허위 사실을 게재하는 명예 훼손, 무례한 표현이나 25

거친 말, 욕설, 저주 등을 하는 모욕 행위는 모두 개인의 인격을 모독하고


명예 훼손과 모욕 행위의 문제점

208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존엄성을 훼손하는 심각한 폭력 행위에 해당한다. 또 「음란한 말이나 글, 영상 등을 ● ‌올바른 매체 언어생활을 위해
「 」 : 인터넷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폭력 행위의 다양한 사례 필요한 자세
전달하여 상대방에게 성적인 수치심을 주는 행위, 상대방이 원치 않는 접근을 계속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는 사례

적으로 시도하여 공포와 불안을 느끼게 하는 행위, 악의적인 목적으로 특정인을 따 •‌사진이나 그림, 글 등 다른 사람의
다시 살아날 수 없도록 아주 뿌리째 없애 버림. 창작물을 허락 없이 무분별하게
인용하는 경우
돌리는 행위」 등도 인터넷상에서 자주 일어나는 폭력 행위들로 반드시 근절되어야 •‌임의로 내용을 변경하여 재사용하
매체 언어생활에서 윤리적 태도의 성찰이 필요한 이유 는 경우
5 할 대상이다. ▶ 매체 언어생활의 윤리적 태도에 대한 성찰 •‌다른 사람의 사진이나 영상을 동
의 없이 올려 초상권을 침해하는
경우
매체 언어생활을 할 때에는 다른 사람의 권리를 보호하는 태도 역시 갖추어야 한 •‌개인 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다. 「특히 인터넷이나 누리 소통망에서 무심코 다른 사람의 정보나 창작물을 적법한


「 」 :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는 다양한 사례 •‌다른 사람의 권리와 노력의 결과
과정 없이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사진이나 그림, 글 등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허락 물을 존중함.
•‌정보나 자료 사용 시 항상 출처를
밝히고 사용 동의를 얻음.
없이 무분별하게 인용하기도 하고, 임의로 내용을 변경하여 재사용하기도 한다. 또
개인의 신체, 재산, 사회적 지위, 신분 등에 관해 알 수 있는 모든 정보.
10 한 다른 사람의 사진이나 영상을 동의 없이 올려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 정보
자기의 초상(사진, 그림 따위에 나타낸 사람의 얼굴이나 모습)이 허가 없이 촬영되거나 공표되지 않을 권리.
를 유출하는 등의 잘못을 저지르기도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 」 : 올바른 매체 언어생활을 위해 필요한 자세
권리와 노력의 결과물을 존중하는 마음을 갖고, 정보나 자료를 사용할 때에 항상
출처를 밝히고 사용 동의를 얻는 습관을 지녀야 한다.」 ▶ 올바른 매체 언어생활을 위해 필요한 자세

매체의 발달은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누구와도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15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등 긍정적인 사회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소통의
「 」 : 매체 언어생활의 순기능을 위한 조건
규칙과 예절을 잘 인지하고, 윤리적 태도를 갖추어 다른 사람의 인격
과 권리를 존중한다면」 매체 언어생활은 건전한 공동체를 형성
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 올바른 매체 언어생활의 가치

다음 설명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해 보자.

•‌비방을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다른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떨어뜨리는 사실 또는


허위 사실을 게재하는 것은 명예 훼손에 해당한다. , ×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인터넷상의 저작물은 생산자의 의사와 상관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

(1) 매체 언어생활의 성찰 209


1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매체 언어생활을 성찰해 보자.

참여자 3 참여자 3

대충이 대충이

나 오늘 ‘좋아요’ 백 개 받았다! 너 그거 확실해? 대박. 초롱이


초롱이가 찍은 사진 예뻐서 내 남친 안 만든다더니. 믿을 사람
계정에 올렸더니 다 내가 찍은 하나 없네~. ㅎㅎㅎ
줄 아나 봐~~. 완전 대박 인기
임! ^_^

춤신

무슨 소리야~. 초롱이랑 진영이


내가짱
는 사촌 사이라서 친하게 지내
참, 너네 얘기 들었어? 초롱이 는 건데. 괜한 헛소문 퍼트리지
요새 진영이라는 애랑 썸 타고 말고 다들 잠이나 자라.
있대. 어쩐지 통 연락이 잘 안
되더라니.

⑴ 대화 참여자들의 매체 언어생활을 각각 평가해 보고 개선 방안을 적어 보자.


예시 답안

대화 참여자 평가 내용 개선 방안

허락을 받지 않고 다른 사람 소 사용 동의를 얻고 출처를 밝히는


대충이
유의 사진을 공유함. 등 저작권 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함.

확인되지 않은 허위 사실을 전파하여 대상의 사실과 허위를 분명하게 구분하여 대상의 명


내가짱
명예를 훼손함. 예를 훼손하지 않도록 해야 함.

허위 사실을 바로잡기는 했으나, 상대방을 매체 언어생활에서는 사소한 표현이 인간관


춤신 무시하는 발언을 하며 소통의 가능성을 차단 계를 와해시킬 수 있으므로 상대를 존중하고
하는 행위를 함. 배려하는 태도가 필요함.

⑵  의 매체 언어생활을 성찰해 보고, 잘못되거나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 개선 방안



이 무엇일지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정보를 불법으로 내려받기하여 사용한 경험이 있음. → 매체 자료는 생산자의 노력과 열정의 산물이라는 점을 인식
하여 적법한 절차로 자료를 이용하는 자세를 갖도록 함.
•‌누리 소통망에 올라온 글에 댓글이 달리면 깊이 생각하지 않고 동조하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이모티콘을 누름. →
댓글을 달 때는 사실과 허위를 정확히 구분해 보고, 가급적이면 격려와 긍정의 메시지를 담는 글을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함.

210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2 다음 전자 우편을 보고 제시된 활동을 해 보자.

제목 삼촌! 저번에 말씀드린

보낸 사람 수민

첨부 파일 1개: 설문 조사.hwp

설문 조사 파일 보내요.
빨리 작성해서 보내 주세요. 다시 한번 말하면 여러 직업을 조사하고 그 내용을 발
표하는 숙제예요. 삼촌이 소방관으로서 하는 일, 어려운 점, 느낀 바 등을 막 적어 주면
되는데요, 암튼 첨부한 파일 읽어 보세요.
근데 친구들한테 삼촌 멋있다고 자랑 많이 해 두었으니까 글도 핵꿀잼으로 멋있게
써 줘야 해요! 사진이나 동영상 같은 자료도 보내 주면 더 좋고요. 다 쓰고 나면 저한테
전화나 톡 주세요. 그럼 부탁드려용~.^^

⑴  음을 참고하여 ‘수민’의 전자 우편 내용이 적절한지 아닌지 판단해 보고, 그렇게



판단한 까닭을 적어 보자.

전자 우편 쓰는 방법
•제목은 글의 주된 내용과 목적을 압축하여 나타낸다.
•처음 부분에는 인사말, 안부, 자기소개 등을 간략히 적는다.
•중간 부분에는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구체적이면서도 명료하게 표현한다.
•핵심 정보는 밑줄 치기, 진하게 표시하기, 별도 분류하기 등의 방법으로 강조한다.
•수신자와의 관계, 상황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예의와 격식 등을 고려하여 신중
하게 작성한다.
•끝부분에는 소속, 연락처 등을 다시 한번 밝히고 형식을 갖추어 인사말을 남긴다.

예시 답안
전자 우편의 형식과 내용, 표현 등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우선 전자 우편의 일반적인 구성(제목, 처음, 중간, 끝)에 알맞은 형식과 내용을 갖추고 있지 않다. 제목이 글
의 주된 내용과 목적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고 있고, 처음 부분에서 드러나야 하는 인사말, 안부, 자기소개
등이 드러나 있지 않다. 또한 중간 부분의 내용도 분명하고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으며, 끝부분의 요소
도 적절하게 드러나 있지 않다.
더불어 수신자와의 관계나 상황 맥락, 예의와 격식 등을 고려하여 표현하지 않았다. “빨리 작성해서 보내 주
세요.”, “막 적어 주면 되는데요”, “핵꿀잼으로 멋있게 써 줘야 해요!!”등은 삼촌과의 관계나 상황 맥락, 예의와
격식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한 표현이라 보기 어렵다.
또한 전자 우편이라는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표현되어 있지 않다.

(1) 매체 언어생활의 성찰 211


⑵  의 전자 우편함을 열어 내가 보낸 전자 우편의 내용들을 살펴보고, 그중 하나를

골라 그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해 보자.
예시 답안 [내가 보낸 전자 우편]

제목 안녕하세요.

보낸 사람 김지연

첨부 파일 : 첨부 파일 1개 : 봉사 활동 신청서.hwp

봉사 활동 신청서 보냅니다. 봉사 활동 신청서 여기 이메일 주소로 보내면 신청 완료된다고 하던데 맞나


요? 저는 2학년이고 봉사 활동 경력이 많으니 꼭 활동할 수 있게 해 주세용~~~^^
안 뽑아 주시면 안습이에요!! 첨부 파일에 내용 다 있으니 열어 보세요. 그럼 연락 주세요.

[수정한 전자 우편]

[봉사 활동 신청]  고등학교 2학년 1반 김지연


제목
봉사 활동 신청합니다.

보낸 사람 김지연

첨부 파일 1개: 봉사 활동 신청서( 고등학교 2학년 1반 김지


연).hwp

안녕하세요? 저는  고등학교 2학년 1반 김지연입니다.


귀 단체에서 봉사 활동을 하려면 위 주소로 전자 우편을 보내면
된다고 하여 봉사 활동 신청서 양식에 내용을 기입하여 첨부하였
으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봉사 활동 신청서에도 쓴 바이나, 저는 그
동안 많은 봉사 활동 경력을 지니고 있으며 봉사 활동 점수와는 별
개로 귀 단체에서 봉사함으로써 보람도 느끼고 경험도 더 쌓아 보
고 싶습니다. 봉사 활동 신청서를 살펴보시고 저에게 봉사 활동 기
회를 주시면 열심히 활동하겠습니다.
그럼 연락 부탁드립니다. 제 연락처는 첨부한 봉사 활동 신청서
에 나와 있는 바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히 계세요.
20년 3월 13일
 고등학교 2학년 1반 김지연 드림.

212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동영상 자료
활동 3 제시 영상

3 다음 뉴스 영상을 보고 토론을 해 보자.

- 와이티엔(YTN), 2017년 5월 31일 뉴스

⑴ 뉴스 영상 내용을 토대로 다음 토론 논제를 완성해 보자.


예시 답안

누리 소통망에서 ( 좋아요 )을/를 누른 것만으로도


( 명예 훼손 )이/가 될 수 있다.

⑵  제에 관한 나의 주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이유 및 근거를 제시해 보고, 나와



입장이 다른 친구와 짝을 지어 토론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토론 활동지가 부록 237쪽에 제시되어 있다.

(1) 매체 언어생활의 성찰 213


학습 자료 학습 자료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소단원 (2)
핵심 정리 핵심 정리 쪽지 시험 모의 평가 서술형 평가

(2) 매체 문화의 발전
학습의 주안점
● 글의 짜임
• ‌매체 언어의 가치 이해하기
재스민 혁명의 발발 • ‌매체 문화 발전에 참여하기
건전한 매체 문화의
기술의 발달에 따른 과정과 이 혁명이 일 집단 지성의 개념과 1인 미디어의 개념과
형성과 발전을 위한
매체 문화의 발전 어날 수 있었던 원동 특성 및 그 사례 특성 및 부작용
노력
력인 누리 소통망

듣기 자료
소단원 (2) 바탕글 듣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매체들은 사람들을 새로운 시대로 이 5


매체 문화가 발전한 시대
끌고 있다. 「쌍방향 소통을 전제로 하는 매체 환경을 토대로 누구나 매체 문화를 만
「 」 : 기술의 발달에 따라 매체 문화가 발전함.
들고 공유하는 주체로 거듭나면서, 일반 개인들도 폭넓게 의사소통하며 여론을 형
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기술의 발달에 따른 매체 문화의 발전

매체를 기반으로 하여 여론이 형성되고 널리 퍼진 대표적인 사례로 ‘재스민 혁명


재스민 혁명 SNS를 통해서 전 세계로 알려졌기 때문에 ‘SNS혁명’이라 불리기도 함.

2010년 독재 정권에 저항하여 튀


(Jasmine Revolution)’을 들 수 있다. 2010년 튀니지의 지방 도시에서 어느 청년 10
튀니지에서 청과물 노점을 운영하던 모하메드 부아지지
니지 전역에서 일어난 민주화 혁
이 정부 정책의 부당함에 항의하다 죽음에까지 이르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튀
명을 가리킨다. 튀니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인 ‘재스민’의 이름 니지는 무력으로 권력을 장악한 대통령이 장기 집권을 하고 있었는데, 집권층의 부
을 따서 붙인 명칭이다.
정부패와 높은 실업률, 물가 상승 등으로 국민의 불만이 고조된 상태였다. 이러한
재스민 혁명으로 이어지게 된 사회적 요인
상황에서 청년의 죽음은 국민의 공분을 샀고 반정부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 재스민 혁명의 발발 과정 경찰의 폭력적인 단속에 항의하기 위해서 분신자살함. 대중의 분노.
•‌튀니지에서 한 청년이 원인이 되었다. 결국 당시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하였고, 이후 이 혁명은 15
경찰의 폭력적인 단속
에 항의하다 죽음에 이 주변 국가에도 영향을 미쳐 민주화 운동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원인 름.
재스민 혁명을 시작으로 아랍, 중동 국가, 북아프리카 일대로 반정부 시위가 확산됨. ▶ 재스민 혁명의 발발 과정과 그 영향력
•‌청년의 죽음이 누리 소
통망을 통해 삽시간에 그런데 이러한 운동이 일어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원인은 바로 누리 소통망이
퍼짐.
라는 매체의 전파력에 있었다. 「당시 튀니지 정부는 강력한 언론 통제 정책을 펼쳤
「 」 : 언론 통제의 탄압을 피할 수 있었던 누리 소통망
•‌국민들의 공분을 사서
반정부 시위가 전국적
는데, 이러한 탄압을 피해 누리 소통망으로 청년의 이야기가 널리 퍼져 나갔고 이
결과 으로 확산됨.
•‌대통령이 망명함. 것이 결국 재스민 혁명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그래서 재스민 혁명을 ‘누리 소통망
(SNS) 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처럼 누리 소통망과 같은 매체는 사람들이 다 20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쳐 민주화 「 」 : 누리 소통망의 긍정적인 기능
운동이 확산되는 계기가 됨.
른 사람과 소통하며 여론을 형성하는 장을 마련해 주고, 기존의 언론이 제구실을

● 누리 소통망의 기능 하지 못할 때 언론의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 재스민 혁명이 일어날 수 있었던 원동력 - 누리 소통망

•‌여론 형성의 장을 마련함. 매체의 발달은 의사소통 범위의 확장과 여론 형성의 기능뿐만 아니라 ‘집단 지성’
•‌기존 언론이 제구실을 못할 때, 매체의 발달로 인한 성과
언론의 역할을 대신함.
을 발현시키는 데에도 영향을 끼쳤다.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는 지식과 정보의 협

214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동적인 생산 또는 공유는 ‘집단 지성’의 원리를 근간으로 한다. 「집단 지성은 다양한 ● 집단 지성
사물의 바탕이나 중심이 되는 중요한 것. 「 」 : 집단 지성의 개념
다양한 의견을 가진 개
의견을 가진 개인들이 협력하고 때로는 경쟁하면서 공동의 지적 결과물을 만들어 인들이 협력하고 때로는
개념 경쟁하면서 공동의 지적
내는 일을 가리킨다.」 여러 번의 확인과 수정, 검증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집단 지성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이 실현되면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 ▶ 집단 지성의 개념과 특성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집단 지성의 장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
짐.
5 프랑스의 미디어 철학자 피에르 레비(Pierre Levy)는 저서 『집단 지성』 에서 「모든 장점 •‌많은 사람이 정보와 지
「 」 : 집단 지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책에서 인용한 부분 식을 쉽게 공유하여,
것을 다 아는 사람은 없지만 누구나 어떤 무엇인가를 알고 있기 때문에 완전한 지 지식의 폭을 넓힐 수
있음.

식은 인류에 퍼져 있다고
」 하며 집단 지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집단 지성 단점
집단 사고의 오류에 빠
질 수 있음.
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인터넷이 주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예견하기도 하였다. 사용자 참여형 온라인
집단 지성의 실현을 도울 수 있는 매체인 인터넷 사례 백과사전
매체를 도구로 발현되는 집단 지성의 대표적 사례로 ‘사용자 참여형 온라인 백과사
위키백과, 우리말샘 등
10 전’을 들 수 있다. 「이 사전에는 누구나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등록할 수
「 」 : 사용자 참여형 온라인 백과사전의 특징
있고, 기존에 등록된 지식과 정보를 수정하거나 보완할 수도 있다. 여러 사람이 작
성한 다양한 방면의 지식이 방대하게 수록되고, 그 내용이 끊임없이 갱신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써 많은 사람이 정보와 지식을 쉽게 공유하며, 지식의 폭을 넓혀 나
집단 지성의 장점
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집단 지성의 순기능을 맹신할 경우 ‘집단 사고’의 오류에
집단 지성의 단점 집단 사고
15 빠질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집단 지성이 적용된 사례와 집단 지성의 장단점
집단 지성과 달리 일치된 생각과
결론에 도달하려는 집단에서 일
새로운 매체 환경에서는 집단 지성의 힘이 발휘되는 것과 더불어 개개인의 목소
어나는 비합리적인 사고방식을
리와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누구나 정보를 생산하고 가공하며 의견을 자유롭게 표 가리켜 ‘집단 사고’라고 부른다.
1인 미디어의 시대가 열리게 된 계기 집단 구성원들의 의사 결정은 때
출할 수 있게 되면서 이른바 ‘1인 미디어’ 시대가 열린 것이다. 1인 미디어란 개인 로 비합리적인데, 이는 의사 결정
을 할 때에 다수의 의견이 무조
이 매체 자료를 기획하여 제작하고 유통시키는 것을 말한다. 매체 환경이 인터넷과
1인 미디어의 개념
건 옳다는 논리로 소수의 의견을
20 이동 통신 기기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1인 미디어는 점점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억압하거나, 반대 의견을 묵살하
고 만장일치를 이끌어 내려는 경
끼치고 있다. 「인터넷 개인 블로그에서 본 맛집의 정보를 검색하여 그곳에서 식사를 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 」 : 1인 미디어의 영향을 받은 사례
하였거나, 인터넷 개인 방송을 보면서 여가 시간을 보낸 적이 있다면 이미 1인 미
디어를 경험한 것이다.」 ▶ 1인 미디어의 개념과 그 영향력의 사례

(2) 매체 문화의 발전 215


「 」 : 1인 미디어의 변화 과정
● 1인 미디어 1인 미디어는 「개인이 누리집이나 블로그, 누리 소통망 등에서 문자나 이미지 위
‘홈페이지’를 다듬은 우리말 순화어.
개인이 매체 자료를 기
개념 획하여 제작하고 유통시 주의 매체 자료를 주로 생산하며 활성화되었는데, 최근에는 제작과 편집, 유통이
키는 것

•소재의 다양성
수월해지면서 오디오나 동영상을 다루는 1인 방송의 형식도 띠고 있다.」「1인 미디
•‌생산자와 수용자 간의
특징
친밀감을 높여 주는 쌍 어는 소재의 다양성, 생산자와 수용자 간의 친밀감을 높여 주는 쌍방향 통신, 편리
방향 통신 「 」 : 1인 미디어의 특징
•‌편리한 접근성
•‌빠른 전달력 한 접근성, 빠른 전달력 등으로 대중의 소통 욕구를 충족시키고, 더욱 참여적이고 5

•‌대중의 소통 욕구를 충
족시킴.
개방적인 매체 환경을 구현하고 있다.」「그러나 한편으로는 왜곡된 정보가 무분별하
•‌더욱 참여적이고 개방 「 」 : 1인 미디어의 부작용
장점
적인 매체 환경을 구현 게 생산·유통되기도 하고, 상업적이거나 비윤리적인 목적으로 선정적이고 자극적
함.

•‌왜곡된 정보가 무분별 인 내용이 여과 없이 제공되는 등 여러 부작용도 일어나고 있다.」


하게 생산되고 유통될 ▶ 1인 미디어의 특징과 그 부작용
수 있음. 「우리는 매체 문화를 향유하는 주체로서 매체와 매체 언어의 중요성과 가치를 올
단점 •‌상업적이거나 비윤리 「 」 : 건전한 매체 문화의 발전을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
적인 목적으로 선정적
이고 자극적인 내용이 바르게 인식하고, 긍정적인 매체 문화의 형성과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길러야 한 10
여과 없이 제공됨.
다. 매체를 바탕으로 건전한 여론을 형성하고, 집단 지성을 실현하는 데 능동적으
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또한 1인 미디어를 활용함에 있어 생산자 입장에서는 사회
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매체 자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수용자 입장에서는 생
산자의 저작권을 보호하며 매체 자료를 올바로 활용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능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인 저작물에 대한 배타적·독점적 권리.
력을 길러야 한다.」 이러한 노력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간다면 건전하고 유익한 15

매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 건전한 매체 문화의 형성과 발전을 위한 노력


건전한 매체 문화의 향유를 위한 노력의 결과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재스민 혁명은 매체를 기반으로 하여 여 론 이/가 형성되고 널리 퍼진 대표적인 사례


이다.
•‌집 단 지 성 은/는 다양한 의견을 가진 개인들이 서로 협력하고 경쟁하면서 공동의
지적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일을 가리킨다.
•‌ 1 인 미 디 어 은/는 개인이 혼자서 매체 자료를 기획하여 제작하고 유통시키는 것
을 말한다.

216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1 다음 글을 읽고 제시된 활동을 해 보자.

(가) 따로 입양 한국 쌍둥이, 누리 소통망으로 25년 만에 재회


한국계 미국 배우 서맨사는 지난달 21일
누리 소통망 메시지를 받고 입을 다물지 못
했다. 쪽지를 보낸 아나이스라는 여성의 인
물 소개 사진을 본 순간 “내 얼굴이 나를 쳐
다보는 것 같았다.”라고 그는 회고했다. 아나
이스는 자신과 생김새가 거의 똑같았을 뿐만 아
니라 생년월일도 일치했다. 한국에서 태어났으
며 몇 달 지나지 않아 외국으로 입양되었다는
점마저 같았다.
이 일이 있기 2개월 전, 영국 런던에서 의
상 디자인을 공부하는 아나이스는 친구로부터 어느 동영상에 나오는 아시아계 배우
가 자신과 매우 닮았다는 말을 들었다. 아나이스는 농담이라고 여기고 흘려 넘겼지
만 자신과 빼닮은 배우를 다른 영화에서 또 봤다는 이야기를 듣고 동영상에 나온 서
맨사를 검색했다. 자신과 같은 해, 같은 날에 태어난 데다 입양되었다는 공통점까지
발견한 아나이스는 서맨사에게 누리 소통망으로 연락을 했다. 존재도 모르고 살았던
혈육을 25년 만에 인터넷과 누리 소통망 덕분에 만난 것이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게 해 준 인터넷과 누리 소통망
- 『연합 뉴스』, 2013년 4월 2일 기사

(나) ‘아이스 버킷 챌린지(Ice Bucket Challenge)’ 기부 운동


‘해시태그(hashtag)’는 해시(#, hash) 기호를 사용하여 게시물에 꼬리표를 단다
는 뜻으로, 특정 단어나 문구 앞에 해시 기호를 써서 게시물이 그 단어나 문구와 관
련된 것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리킨다. 이후 검색 기능이 더해져 해시태그를 누르
면 똑같은 해시태그를 단 글들이 검색된다. 해시태그가 널리 알려진 계기로 ‘아이스
버킷 챌린지’ 기부 운동 사례를 들 수 있다. 이 기부 운동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
‘아이스 버킷
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환자들을 위한 기부금을 모으기 위해 시작되었다. 참가 챌린지’ 기부
운동의 목적
를 원하는 사람이 얼음물을 뒤집어쓰는 동영상을 누리 소통망에 올린 뒤 다음 도전
자 세 명을 지목하는 방식으로 기부를 이어 간다. 찬 얼음물이 닿을 때처럼 근육이
수축되는 병의 고통을 잠시나마 함께 느껴 보자는 취지이다. 2014년 여름부터 정치
인, 연예인, 운동선수 등 유명 인사는 물론 전 세계의 다양한 사람이 이 운동에 참여
여론 확산의 기능
하면서 기부가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2) 매체 문화의 발전 217


⑴ ‌
(가)와 (나)에 나타난 누리 소통망의 주요 역할과 그것이 사회와 문화에 끼친 영향
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가) (나)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 없이 인간 관계를 맺 빠른 전달력과 접근성으로 사회적 공감을 이


역할
고 유지할 수 있게 해 줌. 끌어 내는 공론의 장을 마련해 줌.

인간관계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었고, 나아 소외된 계층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기부


영향
가 헤어졌던 혈육까지 찾을 수 있게 되었음. 문화의 조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음.

⑵ ‌
매체의 발달이 나와 내 주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사례를 떠올려 보고 친구들
에게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과거에는 친구들의 의견을 수렴하려면 같은 시공간에 함께 있어야 했지만, 지금은 누리 소통망을 통해 의견을 수렴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적인 여유가 많이 생기게 되었다.
•‌과거에는 민원을 해결하려면 직접 해당 기관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매체가 발달하면서 집에서 인터넷으로
민원을 처리할 수 있어 편리해졌다.

218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2 <보기>는 국민 참여형 국어사전인 ‘우리말샘’을 소개한 글이다. 이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보기

우리말의 쓰임이 궁금할 때 국어사


전을 찾게 됩니다. 그런데 막상 사전을
찾아도 정보가 없거나 설명이 어려워
아쉬움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그동안
간행된 사전들은 여러 가지 제약이 있
어 정보를 압축하고 제한하여 수록하였기 때문입니다.
사용자가 참여하는 ‘우리말샘’은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국어를
사용하는 우리 모두가 주체가 되어 예전에 사용되었거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어휘를
더욱 다양하고 알기 쉽게 수록하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사전의 편집은 사전 전문가들
만의 영역이었지만 ‘우리말샘’은 국어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이 자신이 가진 국어 지
식을 나눌 수 있도록 편집을 개방합니다.
- 국립 국어원

⑴ ‌
다음은 특정 단어를 국어사전과 ‘우리말샘’에서 검색한 결과이다. 그 내용을 비교
해 보고 느낀 바를 말해 보자.

단어 국어사전 우리말샘

「명사」 = 포크커틀릿. ‘돼지고


「명사」 빵가루를 묻힌 돼지고
돈가스 기 너비 튀김’, ‘돼지고기 너비 튀
기를 기름에 튀긴 서양 요리.
김 밥’, ‘돼지고기 튀김’으로 순화.

「동사」 이미 끝난 일이나 관계
쿨하다 등재되어 있지 않음. 따위에 미련을 두지 않고 시원시
원하게 행동하다.
예시 답안
일상생활에서 쓰는 단어의 개념이 국어사전에 실린 단어의 개념과 다르거나 일상생활에서는 흔히 쓰는 단어가 실제 국어사전에 등재되지 않
은 경우가 많아 답답하거나 아쉬울 때가 많았는데, ‘우리말샘’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해 줄 것 같아 기대된다.
⑵ ‌
내가 ‘우리말샘’에 등재하고 싶은 단어를 선정하여 그 뜻과 용례를 정리해 보고,
정보를 새로 올리거나 수정하며 ‘집필하기’에 참여해 보자.

단어(표제어) 싫존주의

뜻풀이 싫어하는 취향도 당당히 밝히고 이를 서로 존중하는 젊은 세대의 가치관

용례(예문) 나는 당신의 싫존주의를 존중합니다.


예시 답안
일상생활에서 쓰는 단어의 개념이 국어사전에 실린 단어의 개념과 다르거나 일상생활에서는 흔히 쓰는 단어가 실제 국어사전에 등재되지 않
은 경우가 많아 답답하거나 아쉬울 때가 많았는데, ‘우리말샘’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해 줄 것 같아 기대된다.
(2) 매체 문화의 발전 219
동영상 자료
활동 3 제시 영상

3 다음 영상을 보고 제시된 활동을 해 보자.

- 반크(VANK), 「한 청년의 편지」

⑴ ‌ 영상에서 강조하고 있는 매체의 역할과 기능을 파악해 보고 그와 관련하여 느



예시 답안 낀 바를 말해 보자.
이 영상에서는 한국과 관련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전 세계 외국인들에게 한국을 바로 알려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하면서
그러한 일에 동참하도록 설득하고 있다. 이 영상에서 알 수 있듯이 매체는 지식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생산 또는 공유할 수 있게
해 주며, 건전한 여론을 형성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영상을 보고 1인 미디어 시대에는 누구나 매체를 활용하여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에 참여하거나 의미 있는 콘텐츠를 생산하여 사회와 문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으며, 나 역시 대한민국을 대
표하는 사이버 외교 사절단이 되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 세계에 우리나라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⑵ ‌
내가 외교 사절단으로서 1인 미디어 자료를 만든다고 가정하고 제작 계획을 간략
하게 세워 보자. 예시 답안 생략

사용할 매체

의도와 목적

•주제 :

•세부 내용 :

내용

유의 사항

220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4 미래에 등장할 새로운 매체와 그것 때문에 변화할 사회의 모습을 상상해 보자.

⑴ ‌내가 상상한 매체와 그것의 주요 기능을 써 보자.

매체 : 오감을 다 전달하는 소통 로봇
‌주요 기능 : 표정과 말투, 몸짓은 물론 체온이나 채취까지 함께 전달해 주는 매
체이다. 화상 통화를 하면 표정과 말투는 전달할 수 있지만, 악수나 포옹을 하
는 등의 몸짓과 체온은 전달할 수 없다. 그와 달리 이 로봇을 사용하면 실제로
만난 것과 같은 느낌을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정상 참석할 수 없는 자
리에 대신 가거나, 멀리 사시는 조부모님을 안아 드리
고, 오랜만에 만난 사람에게 악수를 건네는 등의 역할
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상상한 매체
예시 답안
매체 : 집에서 체험하는 세계 여행 4D 안경
‌주요 기능 : 특수 안경을 착용한 후 여행 가고 싶은 나라를 설정하면, 마치 그 나라에 간 것 같은
가상 현실을 제공한다. 보통 다른 나라를 여행하려면 시간이나 경비가 많이 필요한
데, 세계 여행 4D 안경을 착용하면 시간이나 경비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세계 곳
곳을 가상 체험해 봄으로써,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고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다.

⑵⑴
‌ 에서 상상한 매체가 실제로 개발된다면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생각
해 보고, 매체를 개발할 때에 유의할 사항을 이야기해 보자.

소통 로봇이 개발되면 멀리까지 직접 가지 않아도 되니까 편리


한 면도 있겠지만, 사람들 사이에 실제로 만나는 일이 점차 사라
지면서 인간관계가 더 단절될 수도 있어. 또 이 로봇이 해킹당하
면 엄청난 사생활 침해가 일어날 수 있으니 보안에도 신경 써서
개발해야 해.
예시 답안
•‌우리 사회에 끼칠 영향 : 집에서 세계 여행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고, 여가 시간을 잘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
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가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실제 경험과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고, 다른 나라를 직
접 가지 않게 되면서 여행 관련 산업을 위축시킴으로써 경제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을 것이다.
•‌매체를 개발할 때 유의할 사항 : 4D 구현을 생생하게 하기 위한 뛰어난 기술력이 필요하다. (2) 매체 문화의 발전 221
올바른 인터넷 언어생활을 위한 노래 만들기
인터넷을 이용한 의사소통이 활발해지면서 악성 댓글이 주는 피해가 점
점 커지고 있다. 악성 댓글이 상대방에게 얼마나 큰 고통과 피해를 주는지
를 인식하고, 아름다운 언어 사용 문화를 가꾸어 나가기 위해 착한 댓글 달
기 운동을 홍보하는 노래를 만들어 보자.

동영상 자료
활동 1 제시 영상

1 다음 영상을 보고 인터넷 공간에서의 언어생활을 성찰해 보자.

어느 고등학교의 컴퓨터실입니다. 우리 청소년들은 평소에 어떤 댓글을 달


까요? 상대방을 비난하는 공격적인 댓글들
선생님 : 인터넷 기사에 댓글을 달아 보는 을 거침없이 달고 있는데요. 어떤 생각으로
활동을 잠깐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댓글들을 다는 것일까요?

양 : 댓글을 쓰면 내 감정을 마음대로 장 : 다른 사람들도 다 하니까 제가 악


표현할 수 있고, 그러면서 스트레스도 성 댓글을 더 달아도 별다른 영향이 없
해소되고 그것 나름대로 재미도 있어 을 것 같아요.
서 계속 달게 돼요.

222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악성 댓글의 주인공은 평생 잊지 못할 상 청소년 댓글 문화, 이대로 지켜볼 수만은
처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상대방에게 미안 없다! 이 고등학교에서는 선플 누리단을 운
함을 느낀 학생은 단 45.6퍼센트, 절반도 영하여 악성 댓글을 순화하는 바른 댓글 운
안 되는 수치입니다. 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 : 상대방을 역지사지로 생각해서 그 상대를 파괴할 수 있는 말 한마디. 하지


사람의 입장을 한 번 더 고려하고 댓글 만 상대를 치유할 수 있는 것도 따뜻한 말
을 달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마디입니다.
- 케이비에스(KBS), 「안녕 우리말」 에서

⑴  터넷 공간에서 다른 사람의 댓글 때문에 기분이 좋지 않았던 경험이 있다면 이



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친구들과 함께 찍은 사진을 누리 소통망에 올렸는데 누군지 모르는 익명의 사람이 우리들의 외모를 평가하고 순위를
정하는 댓글을 남겨 굉장히 불쾌했던 적이 있다.

⑵  가 자주 이용하는 누리 소통망과 인터넷 게시판에서 내가 쓴 댓글을 검색해 보



고, 나의 댓글이 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한 적이 있는지 찾아보자.
예시 답안
인터넷 게시판 글을 보다가 다른 사람 댓글에 있는 이모티콘 모양이 웃겨 ‘ㅋㅋㅋ’란 댓글을 달았는데, 다시 보니 게
시판 글 내용이 우울하고 힘들다는 내용이었다. 그 글을 쓴 사람은 내 댓글을 보고 자신을 비웃는다고 생각하여 기분
이 상했을 듯하다.

창의·융합 놀이터 223


2 대중가요의 가사를 바꾸어 만든 노랫말을 참고하여 모둠별로 착한 댓글 달기 운동을
홍보하는 노래를 만들어 보자.


원곡 가사 바꾼 가사

행복을 주는 노래 선플을 다는 노래

하던 일 잠깐 멈추어 봐요 달던 댓글 잠깐 멈추어 봐요
이 노래 들어요 이 노래 들어요
행복을 주는 노래랍니다 선플을 다는 노래랍니다
지금부터 합니다 조심하세요 지금부터 합니다 시작하세요
이 노래 은근 중독성 있어요 선플은 은근 중독성 있어요
듣다가 보면 어느새 악플은 분명 그 사람
입에 맴돌게 됩니다 맘을 아프게 합니다

예예예예오예예예예 예예예예오예예예예
노랫말이 없다 해도 착한 댓글 달아 봐요
멜로디 좋아 기분이 좋아 모두가 좋아 기분이 좋아
오 예 행복해져요 아님 말구 오 예 행복해져요 믿어 봐요

괴로운 일은 잊어 버려요 그동안의 악플 지워 버려요


못 잊겠다구요 나이가 들면 못 믿겠다구요 착한 댓글 달면
생일도 가끔 생각 안 날 거예요 모두가 서로 사랑하게 될 거예요
하나만 기억해 사랑해 음 하나만 기억해 사랑해 음

- 허승경 작사·김광진 작곡, 「행복을 주는 노래」 에서

⑴ 착한 댓글 달기 운동 홍보 노래에 담고 싶은 내용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타인의 게시물에 좋지 않은 내용의 댓글을 쓰지 말고 좋은 내용
의 댓글만 쓰자.
•‌악플은 상대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 •선플은 또 다른 선플을 부른다.
•선플을 달면 인터넷 공간이 아름다워진다.

224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⑵ 가사를 바꾸어 부를 노래를 정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노래 제목 :
•가수·작사가·작곡가 :

⑶ 고른 노래의 가사를 바꾸어 착한 댓글 달기 운동을 홍보하는 노래를 만들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⑷ 완성한 노래를 모둠별로 불러 보고, 느낀 바를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창의·융합 놀이터 225


모의 평가 어휘 학습 자료
대단원 대단원
모의 평가 어휘 학습지
다음 중 옳은 설명에 해당하는 번호의 풍선들을 순서대로 연결해 보고 어떤 모양이 나오
는지 확인해 보자. (마지막 번호는 처음 번호와 연결하여 그림을 완성한다.)

1 용언이 활용하면서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면 바뀐 대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2 우리말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복수 표준어를 인정한다.
3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넓죽하다’는 [널쭈카다]로 발음해야 한다.
4 외래어 받침 표기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일곱 개를 사용한다.
5 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6 줄임말의 과도한 사용은 세대나 계층 간의 대화 단절을 불러올 수 있다.
7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임의로 변경하거나 재사용하는 경우를 ‘초상권 침해’라고 한다.
8 ‌매체는 여론을 형성하는 장을 마련해 주고 때로는 언론의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9 ‌대중의 소통 욕구를 충족시킨다는 점에서 1인 미디어는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만
끼친다.
10 ‌국어 생활과 매체 언어생활을 할 때에 다른 사람의 인격과 권리를 존중하는 태도를 갖
추어야 한다.

8 3

6 9
2

7
1
5

4 10

226 Ⅳ. 생활 속 언어와 매체
다음 평가표를 작성하며 학습 정도를 점검해 보자.

평가
점검 항목
충분 보통 미흡

1  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등의 국어 규



범을 이해하였다.

2 
나의 국어 생활을 성찰하고 언어문화 발전에 참여하려는 자세를 갖추
었다.

3 나의 매체 언어생활을 성찰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태도를 갖추었다.

4  체 언어의 가치를 이해하고 매체 문화의 발전에 참여하려는 자세를



갖추었다.

이 단원에서는 국어의 규범을 이해하고 자신의 국어 생활과 매체 언어생활을 성찰


하며 언어문화와 매체 문화의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길러 보았다. 더 알고 싶은 내
용이나 자신에게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앞으로의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나는 앞으로 국어의 규범(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에

맞게 국어 생활을 할 것이며, 나의 국어 생활과 매체 언어생활을 꾸준히 성찰해 보고, 매체

언어의 가치를 이해하고 매체 문화의 발전에 참여하고자 노력 할 것이다.

대단원 마무리 227


듣기 대본 229

활동지 233

국어 규범 238

저자 및 출처 243
중단원 1 언어의 본질 소단원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학습 활동 3 ▶26쪽

I 진행자 : 한글 배울 때 뭐가 제일 어려웠는지 궁금하네요.


캐나다인 : 한 단어에 여러 가지 의미가 있고, 한 가지 의미의 여러 가지 단어가 있는 게 어려

언어와 웠어요. 예를 들어 ‘지도’도 있고 ‘약도’도 있어요. 몇 년 전에 어떤 사람이 저한테 “약도 보내

매체의 본질 줘.”라고 했는데 저는 “어디 아파?”라고 대답했어요.


스위스인 :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사람들이 한국에 어떻게 왔냐고 물어봤어요. 그런데 그때 제
가 한국말을 잘 몰라서 “스위스는 먼 나라니까 비행기 타고 왔죠.”라고 대답했어요. 그리고
어떤 식당에서 된장찌개를 시켰는데 직원이 “죄송해요, 다 떨어졌어요.”라고 말했어요. 그때
저는 (바닥을 살피며) “어, 어디 떨어졌어요?” 라고 말했어요.
일본인 : 저는 발음이 힘들었어요. 일본에서는 ‘ㅗ’랑 ‘ㅓ’ 발음이 잘 구별이 안돼요. 그래서 처
음 한국어 배울 때 ‘오징어’ 라는 단어가 어려웠어요.

중단원 2 국어 자료의 탐구와 활용 소단원 (2) 다양한 국어 자료 본문 ▶117쪽

II 노래 : 밟지 말고, 밟으세요.
올리지 말고, 올리세요.

국어의 잡지 말고, 잡으세요.

탐구와 활용 담지 말고, 담으세요.


걸지 말고, 걸으세요.
나만 말고, 모두를 위해!

내레이션 : 모습은 비슷해도 결과는 정반대입니다. 실천이 늘어날수록 CO2는 줄어듭니다.

중단원 1 매체 자료의 수용과 생산 소단원 (2) 매체 자료의 생산 본문 ▶148쪽

III 자막 : 세상에서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것은?

매체 언어의 남자 : 부장님 변덕?

탐구와 활용 여학생 : 시험 성적?


남자 아이 : 여자의 마음?
여자 아이 : 남자의 마음?

자막 : 지진~!

남자 : 경고 문자 왔어. 너도 떴어?
여학생 : 나도 나도.
남자 : 야, 빨리 가자.

듣기 대본 229
내레이션 : 10초만 먼저 알아도 90퍼센트의 생명을. 지진, 빨리 아는 만큼 대비할 수 있습니
다. 그래서 기상청은 지진 관측 직후 바로 신속 정보를 보내 주고 그 뒤에 상세 정보를 추가
로 제공합니다. 우리를 살리는 한발 앞선 신호. 예고 없는 지진, 경보 주는 기상청.

중단원 1 매체 자료의 수용과 생산 소단원 (2) 매체 자료의 생산 학습 활동 2 ▶152쪽

자막 : 잃어버린 [대화]에 대한 묵념.


잃어버린 [가족]에 대한 묵념.
잃어버린 [열정]에 대한 묵념.
잃어버린 [관심]에 대한 묵념.
스마트폰으로 잃어버린 것들에 대한 묵념.

내레이션 : 스마트폰으로 잃어버린 것들에 대한 묵념. 고개를 들면 소중한 사람, 소중한 순간


들이 당신 곁에 있습니다.

중단원 1 국어와 삶 소단원 (2) 국어 생활의 성찰 본문 ▶200쪽

IV 딸 : 엄마, 나 삼만 원만.
엄마 : 만 원도 아니고 삼만 원? 너 엄마한테 돈 맡겨 놨어?

생활 속 딸 : 아, 버카충하고 민서 생선 사야 한단 말이야.

언어와 매체 엄마 : 아, 몰라. 돈 없어. 만 원만 가져가.


딸 : 생선은?
엄마 : 몰라.
딸 : 아, 엄마.
아빠 : 그냥 냉동실에 있는 거라도 줘.
딸 : 아빠…… 생선이 뭔 줄은 알아?
엄마 : 생일 선물 말한 건데 우리…….
아빠 : 아, 알지. 농담한 거야.
딸 : 몰랐던 것 같은데?
아빠 : 아이, 알았다니까. (찌개를 마시며) 어우, 국이 시원하네.
엄마 : 찌개인데…….
아빠 : (헛기침을 하며) 어쩐지…….
딸 : 엄마, 빨리.
엄마 : 아이, 민서 생일 선물은 그냥 문상으로 대신해.
아빠 : 민서네 누구 돌아가셨어?

잠시 침묵이 흐른다.

230 부록
아빠 : 알아, 알지. 농담한 거야. 아빠도 신조어 다 알아. 딸, 오나전 지각하겠다. 학주한테
혼나고 안습하기 전에 고고싱.
딸 : 어우, 극혐. (나간다.)
아빠 : 문상이 뭐야?
엄마 : 문화 상품권.
아빠 : 당신은 저런 말 다 알아?
엄마 : 뭐, 다는 모르지만 당신보단 내가 훨씬 더 많이 알걸.

중단원 2 매체와 삶 소단원 (1) 매체 언어생활의 성찰 학습 활동 3 ▶213쪽

아나운서 : 누리 소통망 이용하시는 분들, 마음에 드는 글이 올라오면 ‘좋아요’ 누르시죠. 그


런데 남을 비방하는 글에 ‘좋아요’를 눌렀다가 명예 훼손으로 처벌받은 첫 사례가 스위스에
서 나왔습니다. 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 2015년, 한 누리 소통망에서는 채식주의자 축제에 동물 복지 단체 참가를 허용하느냐
로 논쟁이 벌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유대인의 제물 살해 의식을 나치 만행에 비유하여 인종
차별 금지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받았던 이 단체 대표를 인종주의자, 반유대주의자로 비난하
는 글이 올라옵니다. 이 대표는 글을 올린 누리꾼 10여 명을 고소했고, 일부가 명예 훼손 혐
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스위스 취리히 지방 법원은 피고 가운데 비방 글 여러 개에 ‘좋
아요’를 누른 40대 남자에게도 명예 훼손으로 우리 돈 460만 원의 벌금을 내라고 선고했습
니다. 이 남자가 비방 글을 올렸는지는 중요하지 않다며 ‘좋아요’를 눌러, 명백히 부적절한
내용을 승인하고 스스로 만들어 냈다고 밝혔습니다. 또 피고가 ‘좋아요’를 누른 글의 사실 여
부를 증명하지 못했고, 그 내용이 누리 소통망 내의 친구들에게 전파돼 결국 많은 이들이 접
근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누리 소통망에서 ‘좋아요’를 눌러 명예 훼손으로 처벌받
은 첫 경우여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좋아요’를 누른 행위가 다른 명
예 훼손 발언들과 비중이 같은지 법원이 판단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어느 변호
사는 “만약 ‘좋아요’를 누른 이들을 모두 기소하려면 지금 판사 인력의 세 배가 필요할지 모
른다.”라며 “표현의 자유를 공격하는 것이 될 수 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중단원 2 매체와 삶 소단원 (2) 매체 문화의 발전 학습 활동 3 ▶220쪽

안녕하세요? 저는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를 처음 시작한 청년입니다.


반크는 1999년 개인 펜팔 누리집에서 출발해 청소년 회원들의 열정적인 참여로 꾸준히 성
장하였습니다.
한국에 관해 잘못 기술한 외국 교과서, 세계 지도 등을 찾아 오류를 시정하려고 노력하는
단체로 잘 알려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은 알고 계시나요?

듣기 대본 231
반크는 한국을 세계에 알리려는 목적으로 시작한 단체가 아닙니다.
약 10여 년 전 교양 과목으로 수강했던 ‘인터넷 활용 수업’에서 주어진 과제 ‘누리집 만들기’.
그리고 갑작스레 떠올랐던 아이디어 ‘펜팔 누리집’.
이를 위해 ‘한국어과’가 있는 전 세계 1,000여 개의 대학에 편지를 보냈습니다.
“한국에 관한 정보를 원하시거나 한국 친구를 사귀고 싶은 학생이 있다면 알려 주세요.
1대1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외국의 어느 국립대 한국어과 교수로부터 도착한 반가운 편지.
“우리 학과 학생들이 온라인으로 자매결연을 맺고 싶어 하니 학생 100여 명의 약력을 보
내겠습니다.”
그리고 한국인과 친구가 되고 싶어 하는 외국인들이 보낸 100통의 답장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우연한 기회에 시작했던 펜팔 누리집.
이 작은 누리집은 내 인생의 빛이자 삶의 원동력이었습니다.
그리고 반크가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된 청소년들의 제보가 이어졌습니다.
“외국 교과서와 누리집에 독도와 동해가 다케시마와 일본해로 표기되어 있어요.”
“외국 학교에서 시험을 보는데 한국과 일본 사이의 바다 이름을 동해로 썼더니 오답으로
처리되었어요.”
오스트레일리아에 유학을 간 어느 여학생이 선생님에게 이의를 제기하였으나 선생님의
답변은 “네가 맞겠니, 교과서가 맞겠니?”였습니다.
이러한 사연과 함께 작은 펜팔 누리집 운영자에게 전해진 편지.
“이 교과서의 내용을 바꿔 주세요.”
영어 공부를 하다가 알게 된 ‘제품에 이상이 있을 때 항의하는 영어 예문’을 인용하여 독도
와 동해에 관한 자료를 첨부해 출판사에 시정을 요구했습니다.
“우리는 관행적으로 일본의 표기를 써 왔지만 여러 학자들과 회의를 해 보니 우리 잘못이
었다. 시정 조치하도록 하겠다.”
이를 계기로 펜팔 친구들이 오류가 있는 세계사 교과서를 제보하였고, 이 작은 펜팔 누리
집이 해외 학자들과 출판사를 설득하게 되었습니다.

232 부록
스토리보드

장면 요소 내용

장면 설명

효과

장면 설명

효과

장면 설명

효과

장면 설명

효과

장면 설명

효과

활동지 233
독서 일지

읽은 날짜 읽은 쪽

년 월 일 ~ 쪽

인상 깊었던 작품 또는 구절

느낀 점이나 깨달은 점

더 알고 싶거나 궁금한 내용

친구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

234 부록
독서 일지

읽은 날짜 읽은 쪽

년 월 일 ~ 쪽

인상 깊었던 작품 또는 구절

느낀 점이나 깨달은 점

더 알고 싶거나 궁금한 내용

친구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

활동지 235
독서 일지

읽은 날짜 읽은 쪽

년 월 일 ~ 쪽

인상 깊었던 작품 또는 구절

느낀 점이나 깨달은 점

더 알고 싶거나 궁금한 내용

친구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

236 부록
토론 활동지

주장:

이유

첫째

근거

이유

둘째

근거

이유

셋째

근거

활동지 237
1 한글 맞춤법
제4장 제2절 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먹다 먹고 먹어 먹으니 깎다 깎고 깎아 깎으니
신다 신고 신어 신으니 앉다 앉고 앉아 앉으니
믿다 믿고 믿어 믿으니 많다 많고 많아 많으니
울다 울고 울어 (우니) 늙다 늙고 늙어 늙으니
넘다 넘고 넘어 넘으니 젊다 젊고 젊어 젊으니
입다 입고 입어 입으니 넓다 넓고 넓어 넓으니
웃다 웃고 웃어 웃으니 훑다 훑고 훑어 훑으니
찾다 찾고 찾아 찾으니 읊다 읊고 읊어 읊으니
좇다 좇고 좇아 좇으니 옳다 옳고 옳아 옳으니
같다 같고 같아 같으니 없다 없고 없어 없으니
높다 높고 높아 높으니 있다 있고 있어 있으니
좋다 좋고 좋아 좋으니

[붙임 1]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한 개의 용언이 될 적에,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고, 그 본
뜻에서 멀어진 것은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⑴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

넘어지다 늘어나다 늘어지다 돌아가다


되짚어가다 들어가다 떨어지다 벌어지다
엎어지다 접어들다 틀어지다 흩어지다

⑵ 본뜻에서 멀어진 것

드러나다 사라지다 쓰러지다

제4장 제2절 제18항 다음과 같은 용언들은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

1. 어간의 끝 ‘ㄹ’이 줄어질 적

갈다: 가니 간 갑니다 가시다 가오


놀다: 노니 논 놉니다 노시다 노오
불다: 부니 분 붑니다 부시다 부오
둥글다: 둥그니 둥근 둥급니다 둥그시다 둥그오
어질다: 어지니 어진 어집니다 어지시다 어지오

238 부록
2. 어간의 끝 ‘ㅅ’이 줄어질 적

긋다: 그어 그으니 그었다 잇다: 이어 이으니 이었다


낫다: 나아 나으니 나았다 짓다: 지어 지으니 지었다

3. 어간의 끝 ‘ㅎ’이 줄어질 적

그렇다: 그러니 그럴 그러면 그러오


까맣다: 까마니 까말 까마면 까마오
동그랗다: 동그라니 동그랄 동그라면 동그라오
퍼렇다: 퍼러니 퍼럴 퍼러면 퍼러오
하얗다: 하야니 하얄 하야면 하야오

제4장 제3절 제19항 어간에 ‘- 이’나 ‘- 음/ -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 이’나 ‘-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
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1. ‘- 이’가 붙어서 명사로 된 것

길이 깊이 높이 먹이 미닫이 벌이
다듬이 땀받이 달맞이 벼훑이 살림살이 쇠붙이

2. ‘-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

걸음 묶음 믿음 웃음 졸음 죽음
얼음 엮음 울음 앎

[붙임] 어간에 ‘- 이’나 ‘- 음’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
지 아니한다.

⑴ 명사로 바뀐 것

귀머거리 까마귀 너머 뜨더귀


마감 마개 마중 무덤
비렁뱅이 쓰레기 올가미 주검

제4장 제5절 제35항 모음 ‘ㅗ, ㅜ’로 끝난 어간에 ‘- 아/- 어, - 았 -/-었 -’이 어울려 ‘ㅘ/ㅝ, / ’으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본말 준말 본말 준말 본말 준말 본말 준말
꼬아 꽈 꼬았다 꽜다 보아 봐 보았다 봤다
쏘아 쏴 쏘았다 쐈다 두어 둬 두었다 뒀다
쑤어 쒀 쑤었다 쒔다 주어 줘 주었다 줬다

국어 규범 239
[붙임 1] ‘놓아’가 ‘놔’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붙임 2] ‘ㅚ’ 뒤에 ‘- 어, - 었 -’이 어울려 ‘ㅙ, ’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는다.

본말 준말 본말 준말 본말 준말 본말 준말
괴어 괘 괴었다 괬다 되어 돼 되었다 됐다
뵈어 봬 뵈었다 뵀다 쇠어 쇄 쇠었다 쇘다
쐬어 쐐 쐬었다 쐤다

제5장 제2절 제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먹을 만큼 먹어라. 아는 이를 만났다.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2 표준어 규정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1장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1장 제2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제3장 제5절 제26항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
는다.

복수 표준어 비고
가엾다/가엽다 가엾어/가여워, 가엾은/가여운
넝쿨/덩굴 ‘덩쿨’은 비표준어임.
멀찌감치/멀찌가니/멀찍이
서럽다/섧다 ‘설다’는 비표준어임.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제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가지어 → 가져[가저]          찌어 → 쪄[쩌]          다치어 → 다쳐[다처]         

다만 2.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집[계ː집/게ː집] 계시다[계ː시다/게ː시다] 시계[시계/시게](時計)


연계[연계/연게](連繫) 몌별[몌별/메별](袂別) 개폐[개폐/개페](開閉)
혜택[혜ː택/헤ː택](惠澤) 지혜[지혜/지헤](智慧)

240 부록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 로 발음한다.

늴리리 닁큼 무늬 띄어쓰기 씌어
틔어 희어 희떱다 희망 유희

다만 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 로, 조사 ‘의’는 [ㅔ] 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주의[주의/주이]     협의[혀븨/혀비]     우리의[우리의/우리에]     강의의[강 ː 의의/강 ː 이에]    

제4장 제10항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 으로 발음한다.

넋[넉] 넋과[넉꽈] 앉다[안따] 여덟[여덜] 넓다[널따]


외곬[외골] 핥다[할따] 값[갑] 없다[업 ː 따]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1) 밟다[밥 ː 따] 밟소[밥 ː 쏘] 밟지[밥 ː 찌] (2)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밟는[밥 ː 는 → 밤 ː 는] 밟게[밥 ː 께] 밟고[밥 ː 꼬]

제4장 제11항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닭[닥] 흙과[흑꽈] 맑다[막따] 늙지[늑찌]


삶[삼ː] 젊다[점ː따] 읊고[읍꼬] 읊다[읍따]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맑게[말께]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          

3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1항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1. 자음 사이에서 동화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백마[뱅마] Baengma 신문로[신문노] Sinmunno 종로[종노] Jongno
왕십리[왕심니] Wangsimni 별내[별래] Byeollae 신라[실라] Silla

2. ‘ㄴ, ㄹ’이 덧나는 경우


학여울[항녀울] Hangnyeoul 알약[알략] allyak

3. 구개음화가 되는 경우
해돋이[해도지] haedoji 같이[가치] gachi 굳히다[구치다] guchida

국어 규범 241
4. ‘ㄱ, ㄷ, ㅂ, ㅈ’이 ‘ㅎ’과 합하여 거센소리로 소리 나는 경우
좋고[조코] joko 놓다[노타] nota
잡혀[자펴] japyeo 낳지[나치] nachi

다만, 체언에서 ‘ㄱ, ㄷ, ㅂ’ 뒤에 ‘ㅎ’이 따를 때에는 ‘ㅎ’을 밝혀 적는다.

묵호(Mukho) 집현전(Jiphyeonjeon)

[붙임]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압구정 Apgujeong 낙동강 Nakdonggang 죽변 Jukbyeon


낙성대 Nakseongdae 합정 Hapjeong 팔당 Paldang
샛별 saetbyeol 울산 Ulsan

제2항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중앙 Jung-ang 반구대 Ban-gudae


세운 Se-un 해운대 Hae-undae

제3항 고유 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부산 Busan 세종 Sejong

제4항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 ( ) 안의 표기를 허용함.)

민용하 Min Yongha(Min Yong-ha)          송나리 Song Nari(Song Na-ri)         

1. 이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한복남 Han Boknam(Han Bok-nam) 홍빛나 Hong Bitna(Hong Bit-na)

2. 성의 표기는 따로 정한다.

제5항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의 행정 구역 단위와 ‘가’는 각각 ‘do, si, gun, gu, eup, myeon, ri, dong, ga’로 적고,
그 앞에는 붙임표(-)를 넣는다.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충청북도 Chungcheongbuk-do 의정부시 Uijeongbu-si


양주군 Yangju-gun 도봉구 Dobong-gu
신창읍 Sinchang-eup 삼죽면 Samjuk-myeon
인왕리 Inwang-ri 봉천 1동 Bongcheon 1(il)-dong
종로 2가 Jongno 2(i)-ga

242 부록
제시문 집필진이 직접 집필한 글은 출처를 밝히지 않았고, 일부 글은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원문 내용이나 표현을 수정하였다.

I
중단원
언어와 매체의 본질
소단원 쪽수 제재 저자 출처

(1) 언어의
19 「응답하라 1994」 이우정 「응답하라 1994」 21회, 티브이엔(TVN), 2013년 12월 28일 방영
특성

23 통계 자료 교육부, 국립 국제 교육원(2017)
1 「프랑스 파리 한국어 채택 중·고교 네 곳으로 늘어」, 『케이비에스
언어의 학습 활동 2 자료 ㈎ 케이비에스(KBS)
25 (KBS) 뉴스』, 2017년 9월 25일 기사
(2) 국어의
본질  
특성과 위상 학습 활동 2 자료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 누리집(www.ethnologue.com)

26 학습 활동 3 자료 영상 제이티비시(JTBC) 「비정상 회담」 119회, 제이티비시(JTBC), 2016년 10월 10일 방영

27 학습 활동 3  자료 박선영·안용준 『케이팝 코리안(K-pop korean)』(다락원, 2016), 89~91쪽

2
(1) 매체의 32~ 학습 활동 1 자료 「신라 왕족들은 깔끔했다, 1,200년 전 수세식 화장실」, 『중앙 일보』,
매체의 중앙 일보
유형과 특성 33 ㈎, ㈏ 2017년 9월 27일 기사
본질

창의·융합 놀이터 43 활동 1 자료 ㈏ 박성우 글·김효은 그림 『아홉 살 마음 사전』(창비, 2017), 22~23쪽, 134~135쪽

II
중단원
국어의 탐구와 활용
소단원 쪽수 제재 저자 출처

1 (1) 음운의 「알고 계셨습니까 - 세뱃돈의 유래와 역사」, 『타박타박 역사 기행』, 엠비시
61 학습 활동 3 자료 글 엠비시(MBC)
국어 구조 체계와 변동 (MBC) 라디오, 2017년 1월 29일 방영
의 탐구와 (3) 문장의 짜
89 학습 활동 4 자료 글 조정현 『동화 넘어 인문학』(을유 문화사, 2017), 247~248쪽
활용 임과 문법 요소

100 만세보 광고 국립 중앙 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누리집(http://nlcollection.nl.go.kr)

고대 국어 자료 ㉠ 김부식 등 『국어사 개설(개정판)』(이기문, 탑 출판사, 1997), 47쪽


102
고대 국어 자료 ㉡ 처용 『국어사 개설(개정판)』(이기문, 탑 출판사, 1997), 81쪽

『훈민정음』(세종 찬, 간사자 미상, 간사년 미상) 국립 중앙 도서관 누리집


103 중세 국어 자료 ㉠ 세종
(www.nl.go.kr) 온라인 원문 보기

중세 국어 자료 ㉡ 세조 『월인석보』(서강 대학교 인문 과학 연구소, 1972), 111쪽


(1) 국어의 104 중세 국어 자료 ㉢ 허종 외 『구급간이방 언해』 권1(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 2007), 36쪽
2 변천
중세 국어 자료 ㉣ 허종 외 『구급간이방 언해』 권2(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 2008), 30쪽
국어 자료
의 탐구와 106 근대 국어 자료 『한국 어학 자료 총서』 제2집(태학사, 1986), 470~471쪽
활용 108 학습 활동 2 자료 글 최세진 『국어 국문학 총림』(다운샘, 1995), 7쪽

학습 활동 3 자료 ㈎ 최세진 『국어 국문학 총림』(다운샘, 1995), 47~48쪽


109
학습 활동 3 자료 ㈏ 박세화 등 『노걸대 박통사 언해』(아세아 문화사, 1973), 42~44쪽

110 학습 활동 4 자료 글 홍윤표 『살아 있는 우리말의 역사』(태학사, 2010), 149~151쪽

지역 방언 자료 ㉠ 안수길 『북간도 : 한국 소설 문학 대계 28』(동아 출판사, 1995), 38쪽


(2) 다양한 112
지역 방언 자료 ㉡ 현기영 『순이 삼촌(개정판)』(창비, 2007), 47쪽
국어 자료
115 기사문 ㉠, ㉡ 매일 경제 「4차 산업 혁명 대비 고령화 대책 급하다」, 『매일 경제』, 2017년 9월 7일 기사

저자 및 출처 243
한국 방송 광고 「뽑는 것이 심는 것」, 한국 방송 광고 진흥 공사 누리집
인쇄 광고
진흥 공사 (www.kobaco.kr)
117
「모습은 비슷해도 결과는 정반대」, 한국 방송 광고 진흥 공사 누리집(www.
영상 광고 김정훈·장승익
kobaco.kr)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 박아람 번역가를 만나다」, 『에듀 동아』, 2016년
119 학습 활동 2 자료 글 에듀 동아
11월 22일 기사
전보영·김새얼·
120 학습 활동 3 자료 ㉰ 한국 관광 공사 누리집(kto.visitkorea.or.kr)
황다혜·김현호

III
중단원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소단원 쪽수 제재 저자 출처
「망고스틴부터 용과ㆍ파파야까지… ‘수입 과일 전성시대’」, 『중앙 일보』, 2017
기사문 최현주
136 년 6월 2일 기사

기사문 오광록 「수입 과일 전성시대… 외면 받는 국산 과일」, 『광주 일보』, 2017년 4월 24일 기사

학습 활동 2 자료 ㈎ 이투데이 「나는 혼밥족이다」, 『이투데이』, 2017년 3월 3일 기사 재구성


141 학습 활동 2 자료 ㈎
(1) 매체 「2016 혼밥 관련 빅데이터 분석」 (닐슨 코리아, 2017)
조사 결과
자료의 수용
1
학습 활동 2 자료 ㈏ 올리브 노트 「혼밥, 대충 먹다 병난다」, 『올리브 노트』, 2017년 5월 25일 기사 재구성
매체 141~
학습 활동 2 자료 ㈏ 「혼밥 괜찮아요? 혼자 먹는 밥, 건강하게 먹기!」 (대한 의사 협회 국민 건강 보
자료의 142
조사 결과 호 위원회, 2017)
수용과
생산 144~ 변지민(무적 핑
학습 활동 3 자료 「영조의 선글라스」, 『조선 왕조 실톡』, 2016년 5월 21일 연재
145 크)

「지진 바로 알기 편」, 기상청 유튜브 누리집(www.youtube.com/


148 자료 영상 기상청
watch?v=7vMl6KQo7zs)
(2) 매체
149 자료 홍보 그림 한국 장애인 재단 「오블라디 오블라다」, 한국 장애인 재단 누리집(www.herbnanum.org)
자료의 생산
151~ 학습 활동 2 자료 공익 박지호·유상
「묵념」, 한국 방송 광고 진흥 공사 누리집(www.kobaco.kr)
152 광고 스토리보드, 영상 현·조서림

「신피질 크기가 영장류의 그룹 규모에 미치는 제약 요건」(인간 진화 저널,


자료 글 로빈 던바
1992), 469~493쪽
(1) 매체 159
대화할 때 주로 활용하 「추석에도 목소리는 없었다, 안부도 약속도 ‘카톡’ ‘카톡’」, 『한국 일보』, 2017
언어와 인간 한국 일보
는 수단 그래프 년 10월 10일 기사
2 관계
매체와 에스비에스 「시도 때도 없이 카톡! 카톡!, 단톡방 감옥 스트레스」, 『에스비에스(SBS) 뉴
165 학습 활동 3 자료 글
사회 (SBS) 스』, 2017년 5월 13일 방영

170 학습 활동 2 자료 ㈎ 이비에스(EBS) 「무엇이 뉴스가 되는가」, 『지식 채널 e』, 2006년 3월 20일 방영


(2) 대중 매체
171 학습 활동 2 자료 ㈏ 권도연 「IT 열쇳말-가짜 뉴스」, 『블로터』, 2017년 3월 9일 칼럼
와 대중문화
172 학습 활동 2 자료 글 시엔엔(CNN) 『시엔엔(CNN)』, 2016년 11월 30일 기사 재구성

174~ 「삶은 작은 것들로 이루어졌네」, 『움비처럼 : 시처럼, 만화처럼』(세미콜론,


활동 1 자료 ㈎ 권혁주
창의·융합 놀이터 175 2017), 185~187쪽

176 활동 1 자료 ㈏ 윤예진 「기다림」, 『백세 시대』, 2017년 9월 8일 기사

IV 중단원
생활 속 언어와 매체
소단원 쪽수 제재 저자 출처

200 부모와 자녀의 대화 영상 진영 「초인 가족 2017」 3회, 에스비에스(SBS), 2017년 2월 27일 방영

244 부록
학습 활동 2 자료 (가) 국립 국어원 국립 국어원 누리집(www.korean.go.kr)
203
1 (2) 국어 학습 활동 2 자료 (나) 홍진아, 홍자람 「학교 3」 4회, 케이비에스(KBS), 2000년 3월 26일 방영
국어와 삶 생활의 성찰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운 언어문화 개선 범국
204 안녕! 우리말 누리집(www.urimal.kr)
동의 목적과 실천 강령 민 연합

(1) 매체
「페이스북 비방 글 ‘좋아요’도 명예 훼손」, 「사이언스 투데이」, 와이
언어생활의 213 학습 활동 3 자료 영상 와이티엔(YTN)
티엔(YTN), 2017년 5월 31일 방영
성찰

2 215 자료 글 피에르 레비 『집단 지성』(권수경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2), 38쪽

매체와 삶 「따로 입양 한국 쌍둥이, 누리 소통망으로 25년 만에 재회」, 『연합


(2) 매체 217 학습 활동 1 기사문 연합 뉴스
뉴스』, 2013년 4월 2일 기사
문화의 발전
219 학습 활동 2 자료 글 국립 국어원 우리말샘 누리집(opendict.korean.go.kr)

220 학습 활동 3 자료 영상 반크(VANK) 「한 청년의 편지」, 반크(VANK) 누리집(www.prkorea.com)

222~
활동 1 자료 영상 케이비에스(KBS) 「안녕 우리말」 9회, 케이비에스(KBS), 2015년 11월 12일 방영
223
창의·융합 놀이터
허승경 작사·김광진
224 활동 2 자료 노래 「행복을 주는 노래」, 음반 『Last Decade』(지니 뮤직, 2008)
작곡

사진 및 그림 출처 표시를 안 한 사진 및 그림은 집필진 및 발행사에 저작권이 있다.

I 언어와 매체의 본질
단원 구성 쪽수 내용 출처
대단원 표지 8~9 대단원 표지 그림 홍정아

중단원 1 도입 12 생각 열기 그림 이예숙

14, 15, 17, 19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김영곤


1 - (1) 언어의 특성 「응답하라 1994」 21화, 티브이엔(TVN), 2013년
19 「응답하라 1994」 영상 캡처 화면 2컷
12월 28일 방영
21, 22, 25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김영곤
1 - (2) 국어의 특성과 위상 「비정상 회담」 119회, 제이티비시(JTBC), 2016
26 「비정상 회담」 영상 캡처 화면 2컷
년 10월 10일 방영

중단원 2 도입 28 생각 열기 그림 김경진

31, 35, 41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김영곤


2 -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32~33 신라 시대 화장실 사진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

2 - (2) 매체 언어의 특성 41 마셜 매클루언 사진 위키피디아 누리집(ko.wikipedia.org)

8~9쪽 사진은 셔터스톡(www.shutterstock.com)에서 구입하였고, 18, 33, 34, 35, 37, 38, 39, 42쪽 사진은 픽사베이(pixabay.com)에서 제공받았음.

II 국어의 탐구와 활용
단원 구성 쪽수 내용 출처
대단원 표지 48~49 대단원 표지 그림 홍정아

1 - (1) 음운의 체계와 변동 54, 57, 58, 59, 62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홍화정

1 - (2) 단어의 구조와 특성 65, 66, 68, 69, 72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홍화정

저자 및 출처 245
1 - (3)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76, 77, 82, 83, 87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홍화정

92 소단원 본문 그림 홍화정

96, 97 학습 활동 그림 성혜현
1 - (4) 담화의 개념과 요건
자전거 전용 도로 안내 표지 사진,
98 도로 교통 공단 누리집(www.koroad.or.kr)
횡단보도의 자전거 횡단로 사진

104, 106~107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이예숙
108, 110, 111
105 『월인석보』 사진 『월인석보』(서강 대학교 인문 과학 연구소, 1972) 111쪽

106 『훈민정음』 언해본, 용자례 사진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


2 - (1) 국어의 변천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누리집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사진
(e-kyujanggak.snu.ac.kr)

107 『근대 문화유산 신문 잡지 분야 목록화 조사 연구 보고


『독립신문』 사진
서』 (문화재청, 2010), 40쪽

「진달래꽃 초간본」 사진 『아주 경제』, 2011년 2월 24일 기사

113, 114, 118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이예숙

117 공익 광고 영상 캡처 화면 4컷 한국 방송 광고 진흥 공사 누리집(www.kobaco.kr)
2 - (2) 다양한 국어 자료
120 한파 사진 『에스비에스(SBS) 뉴스』, 2017년 3월 7일 기사

121 학습 활동 그림 김영곤

창의·융합 놀이터 125 활동 2 그림 홍화정

48~49, 98쪽 사진은 셔터스톡(www.shutterstock.com)과 게티 이미지 코리아(www.gettyimageskorea.com)에서 구입하였고, 88쪽 사진은 픽사베이
(pixabay.com)에서 제공받았음.

III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단원 구성 쪽수 내용 출처
대단원 표지 128~129 대단원 표지 그림 홍정아

134~135,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김영곤
138~139, 140

1 - (1) 매체 자료 138 책 사진 『멸종 위기의 생물들』(현실 문화, 2011), 30~31쪽


의 수용 「숲에서 만난 멸종 위기 동물들」, 『다큐 오늘』, 이비에스(EBS), 2016
139 다큐멘터리 영상 캡처 화면 1컷
년 6월 21일 방영

144 조선 안경 사진 2컷 국민 민속 박물관 누리집(www.nfm.go.kr)

147 소단원 본문 그림 홍화정

기상청 유튜브 누리집(www.youtube.com/


148 「지진 바로 알기 편」 영상 캡처 화면 6컷
watch?v=7vMl6KQo7zs)
1 - (2) 매체 자료
149 자료 홍보 그림 한국 장애인 재단 누리집(www.herbnanum.org)
의 생산
150 학습 활동 그림 이예숙

공익 광고 스토리보드 5컷, 영상 캡처 화면
151~152 한국 방송 광고 진흥 공사 누리집(www.kobaco.kr)
1컷
중단원 2 도입 156 생각 열기 그림 김경진

246 부록
160~161, 163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김경진

2 - (1) 매체 언어 봉수대 사진 『답사 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돌베개, 2004), 306쪽


162
와 인간관계 전신기 사진 위키 미디어(www.wikimedia.org)

165 뉴스 영상 캡처 화면 3컷 『에스비에스(SBS) 뉴스』 2017년 5월 13일 방영

「케이팝 스타」, 「오! 마이 베이비」 영상 캡처


에스비에스(SBS) 누리집(www.sbs.co.kr)
화면
「아빠! 어디가」, 「댄싱 위드 더 스타」 영상 캡
엠비시(MBC) 누리집(www.imbc.com)
처 화면

「프로듀스 101」, 「쇼 미 더 머니」 영상 캡처


2 - (2) 대중 매체 169 엠넷(Mnet) 누리집(www.mnet.com)
화면
와 대중문화
「인문학 특강」 영상 캡처 화면 이비에스(EBS) 누리집(www.ebs.co.kr)

「알아 두면 쓸 데 없는 잡학 사전」 영상 캡처
티브이엔(TVN) 누리집(tvn.tving.com)
화면

「차이나는 클라스」 영상 캡처 화면 제이티비시(JTBC) 누리집(jtbc.joins.com)

170 「무엇이 뉴스가 되는가」 영상 캡처 화면 8컷 「무엇이 뉴스가 되는가」, 『지식 채널 e』, 2006년 3월 20일 방영

128~129, 141, 147, 155, 162쪽 사진은 셔터스톡(www.shutterstock.com)과 게티 이미지 코리아(www.gettyimageskorea.com)에서 구입하였고,
141~142, 162, 174쪽 사진은 픽사베이(pixabay.com)에서 제공받았음.

IV 생활 속 언어와 매체
단원 구성 쪽수 내용 출처
대단원 표지 182~183 대단원 표지 그림 홍정아

중단원 1 도입 186 생각 열기 그림 이예숙

188, 190,
소단원 본문, 학습 활동 그림 성혜현
193, 195
1 - (1) 국어와 삶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공식 누리집(http://cafe.naver.com/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영화 포스터
199 cloud2010)
고양시 통합 앱 포스터 고양시 누리집(www.goyang.go.kr)

1 - (2) 국어 생활 200 「초인 가족 2017」 영상 캡처 화면 6컷 「초인 가족 2017」 3회, 에스비에스(SBS), 2017년 2월 27일 방영
의 성찰 205 학습 활동 그림 성혜현

생각 열기 그림 김영곤
중단원 2 도입 206 「1886년 궁내부 교환기를 통해 고종과 대신의 전화 통화 모습을 재현한
생각 열기 그림
상상도」, 홍석창·이경수, 한국 통신 박물관 소장

2 - (1) 매체 언어 208~209 소단원 본문 그림 성혜현


생활의 성찰 213 뉴스 영상 캡처 화면 1컷 「사이언스 투데이」, 와이티엔(YTN), 2017년 5월 31일 방영

2 - (2) 매체 문화 217 쌍둥이 사진 2컷 다큐멘터리 『트윈스터즈』(사만다 푸터먼·라이언 미야모토, 2014)


의 발전 220 「한 청년의 편지」 영상 캡처 화면 1컷 「한 청년의 편지」, 반크(VANK) 누리집(www.prkorea.com)

창의·융합 놀이터 222~223 「안녕 우리말」 영상 캡처 화면 8컷 「안녕 우리말」 9회, 케이비에스(KBS), 2015년 11월 12일 방영

182~183, 191, 215, 221, 226쪽 사진은 셔터스톡(www.shutterstock.com과 게티 이미지 코리아(www.gettyimageskorea.com)에서 구입하였음.

저자 및 출처 247
집필진
최형용 (이화 여자 대학교) 2단원 소신애 (숭실 대학교) 2단원
강영준 (전북 상산 고등학교) 1단원 송찬욱 (강원 성수 고등학교) 3단원
권태윤 (부산 경혜 여자 고등학교) 3, 4단원 오세호 (경기 안산강서 고등학교) 3, 4단원
박재연 (아주 대학교) 2단원 임요한 (인천 신송 고등학교) 1, 4단원
박종오 (경기 대화 고등학교) 1, 4단원

편집 김종곤, 박선영, 강혜미, 윤보라, 황혜숙, 전성이


디자인 디자인 샐러드
조판 이주니, 이희정
그림 김경진, 김영곤, 성혜현, 이예숙, 홍정아, 홍화정

검정 심의회
•심의 위원장 : 구본관(서울 대학교) •연구 위원 : |내용 조사| 이승희(상명 대학교), 양영희(전남 대학
•간사 : 이민형(한국 교육 과정 평가원) 교), 권영환(동인 고등학교), 정현선(경인 교육 대학교)

•검정 위원 : 이정애(전북 대학교), 서유경(서울 시립 대학교), 박재 |표기·표현| 김인균(신라 대학교), 전은진(한양 대학교), 장혜진(고
희(충남 대학교), 송정근(한남 대학교), 이세은(전라 고등학교), 남 려 대학교), 이수연(국민 대학교), 박혜진(숙명 여자 대학교), 황선
택승(밀양 여자 고등학교), 윤장규(도래울 고등학교), 강경덕(정발 희(중앙 대학교), 노석은(고려 대학교), 박종찬(주성 고등학교), 현
고등학교) 윤진(남악 고등학교), 장동준(인천 포스코 고등학교), 이하나(광주
고등학교), 유규상(유성 고등학교)

한국 교육 과정 평가원
박진용(검정 심사 관리 위원회 위원장), 차조일(검정 심사 관리 위원회 기획 위원 대표), 김성혜, 문영주, 안종욱, 윤지훈, 김종윤(검정 심사
관리 위원회 기획 위원), 정학준(검정 심사 관리 위원회 운영 위원 대표), 강대민(검정 심사 관리 위원회 심사 지원 팀장), 장일(검정 심사 관
리 위원회 심사 진행 팀장), 신동현(검정 심사 관리 위원회 심사 운영 팀장), 허재영, 임동주(검정 심사 관리 위원회 운영 위원)

교육부의 위탁을 받아 한국 교육 과정 평가원이 검정 심사를 하였음.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2019. 3. 1. 초판 발행 정가 11,000원
지은이 최형용 외 8인
발행인 ㈜창비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
인쇄인 예림 인쇄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435-1)

이 교과서의 본문 용지는 우수 재활용 제품 인증을 받은 재활용 종이를 사용했습니다.

교과서에 대한 문의 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신 분은 ‘교과서 민원 바로 처리 센터(전화: 1566-8572, www.textbook114.


com 또는 www.교과서114.com)’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도서에 게재된 저작물에 대한 보상금은 문화 체육 관광부 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사단 법인 한국 복제 전송 저작권 협회(02-2608-2800, www.korra.kr)에서 저작 재산권자에게 지급합니다.

내용 관련 문의 ㈜창비 교과서 사업 본부 전화: 1833-7247 전송: 070-4838-4938


공급 업무 대행 사단 법인 한국 검인정 교과서 협회 (10881)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439-1 (신촌동 734-1)
개별 구입 문의 ‌홈페이지 주소 www.ktbook.com 
전화: 031-956-8581~4 사단 법인 한국 검인정 교과서 협회
ISBN 978-89-364-9119-2 5370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