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한국어

교육학개론

6주차 2차시 말하기 수업 구성


학습
내용

l 1. 수업 구성의 원리
1. 수업 구성의 원리 한국어교육학개론
6주차 2차시

❖ 말하기 수업의 내용 구성
➁ 음운적 특성
• 학습자의 연령 o 음운적 축약과 탈락이 많이 일어난다. (그것은>그건)
학습자 변인 o 표준적인지 않으나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실음이 많다.
• 학습 능력
➂ 담화적 특성
• 학습 목적 o 구어 담화 표지가 사용된다. (글세, 뭐, 자) 1
o 의사소통 전략으로 간접 표현이 자주 사용된다.
1) 한국어 구어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o 담화적 차원에서 화제가 되는 것은 자주 생략된다.
• 말하기를 어렵게 만드는 한국어 구어의 특성을 이해 o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관례적인 표현이 있다.
• 학습자가 말하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전략적인 기술 개발 o 한국어 화자 특유의 몸짓언어가 사용된다.

➀ 통사적 특성
o 문어에 비해 어순이 자유롭다.
o 문어에 비해 조사 생략이 자유롭다.
o 문장 성분의 생략이 많다.
o 완결된 문자보다는 구나 절 단위인 경우가 많다.

3
1. 수업 구성의 원리 한국어교육학개론
6주차 2차시

2) 정확성과 유창성의 균형이 고려되어야 한다. 4) 다양한 상황에서 담화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구성이 되어야 한다.

• 정확성: 언어의 형식에 초점 • 언어의 형식과 문법적인 규칙만을 강조하여 지도


o 명확한 발음, 문법적, 음운적으로 잘못이 없는 한국어를 à 학습자가 처한 상황에 맞는 담화 능력을 키우기 어려움
구사하는 능력
• 일상적인 대화 , 토론, 면접, 연설 등 표현 형식의 차이 있음
1
• 유창성: 언어의 사용에 초점
o 자연스럽고 막힘없이 한국어를 사용하는 능력 • 교사
o 학습자가 처한 사적, 공적인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 교사 활동 유형, 활용 연습 등에 정확성과 유창성의 조화와 o 담화의 형식과 표현 방식을 지도
균형을 고려

3)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 교사는 학습 내용, 주제 선정에 있어서 학습자에게 필요한 것과


학습자가 요구하는 것 고려해야 함.
• 교사는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말하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함

4
1. 수업 구성의 원리 한국어교육학개론
6주차 2차시

5)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영되어야 한다. 6) 과제 중심의 수업이 되어야 한다.


• 언어를 배운다는 것 = 그 언어가 통용되는 사회의 관습, 가치관, • 과제 수행 중심 학습
행동 양식 등의 문화를 배우는 과정 à 말하기의 상호작용 특성을 효율적으로 개발, 말하기 능력 향상
용이
• 한국어 = 한국인의 특별한 화법 문화, 다양한 비언어적인 신체 • 교사는 수업을 구성할 때
언어 등 └ 행동 양식 문화가 들어감 à 학습 결과로 학습자가 특정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언어
1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함
• 원활하고 정확한 구어 의사소통 한국적 문화를 수업 구성에 반영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