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한국어

발음
교육론
1주차 1차시 발음 교육의 중요성, 발음과 듣기
학습
내용

l 1. 발음 교육의 중요성
l 2. 발음과 듣기
1. 발음 교육의 중요성 한국어발음교육론
1주차 1차시

1) 발음: 외국인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가장 먼저 드러내 주는 영역 ② 좋은 발음


ㄱ. 학습자가 자신감 갖고 한국어 의사소통에 더 적극적으로
2) 발음: 의사소통을 위한 기본 요소 임하게 함
①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적: 의사소통 ㄴ. 한국어 능력 향상에 기여함
② 부정확한 발음 → 의사소통 장애 ㄷ. 발음이 좋으면 문법이나 어휘가 다소 부족해도 유창하다는
③ 말하기는 음성언어 통해서 이뤄짐. 말하기에서 중요한 부분의 느낌을 줌 1
하나가 발음
④ 문법, 어휘 수준에서 고급 학습자일지라도 발음 부정확
→ 의사소통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3) 발음과 한국어 학습
① 좋지 않은 발음
ㄱ.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에 부정적 영향
ㄴ. 자신감 잃은 학습자는 한국어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을
꺼리게 됨
ㄷ. 발음 안 좋음 → 학습자의 학습 능력도 의심받게 됨

3
2. 발음과 듣기 한국어발음교육론
1주차 1차시

1) 발음과 듣기의 관련성


① 구어 의사소통 상황에서 말하기(발음)는 듣기와 밀접한 관련을
맺음
② 정확한 발음 위해 정확한 듣기가 선행되어야 함
(정확한 듣기 > 정확한 발음)
→ 소리 차이를 파악하고 구별하여 들을 수 있어야만 1
정확한 발음 가능

2) 발음과 듣기의 관련성의 예


① 교사가 ‘공’, ‘콩‘ 등의 단어를 평음과 격음을 구별하면서 발음함
② 학습자가 평음과 격음을 구별하여 듣지 못함
③ 학습자가 평음과 격음을 구별하여 발음할 수 없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