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1

9주차.

말하기 수업

Lecture 1
말하기 지도
01
학 말하기 기능 지도 관련 이슈에
대하여 알게 된다.

목 02
말하기가 어려운 이유를 알게 된다.

03
다양한 말하기 기능과 유형을 안다.
01
학 영어 회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는 말하기
습 관련 이슈와 학생들이 말하기에
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용 02
말하기의 대표적 활동들을
분류하여 살펴본다.
1 Teaching Speaking(1)
말하기 교육에 관한 제 연구들의 지적
1 회화적 담화

언어습득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상호작용적 담화를 통해 화용적 목적을
달성하였는가에 있다.

2 발음교육은 여전히 중요

Image Source https://www.entwellbeing.com.au


1 Teaching Speaking(1)
말하기 교육에 관한 제 연구들의 지적
3 정확성과 유창성

언어교수의 주 목적은 유창성, 정확성은 음운,


문법에 일정 관심 보임으로 달성
Language oriented는 보조역할, Message
oriented는 주 역할
1970년대 중반의 반문법적 접근법
(anti-grammar approach)은 균형이
잡히지 않은 극단적인 태도임

Image Source Confident English


1 Teaching Speaking(1)
말하기 교육에 관한 제 연구들의 지적
4 복잡성: complexity

언어적인 측면과 과제의 복잡성

5 정의적 측면

anxiety를 낮춰준다.

6 상호 작용

타인과의 상호작용 영향(interactive effect)을


받는다.
Image Source https://prezi.com
1 Teaching Speaking(1)
말하기 교육에 관한 제 연구들의 지적
7 ‘이해 가능성(intelligibility)’에 대한 질문

무엇이 과연 이해 가능한 것의 척도인가?


원어민이 이해하는 비원어민의 발화?

8 음성언어 말뭉치의 증대

말뭉치 자료를 통한 말하기 교재 개발

9 음성언어의 장르

잡담, 토의, 이야기의 구분


Image Source http://www.rose-medical.com
1 Teaching Speaking(1)
‘말하기’ 어려운 이유
1 Clustering 무리짖기

• 유창한 발화는 하나하나의 단어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연결된


구에 의해 이루어짐

2 Redundancy 중복성

• 화자는 언어의 잉여적 특성을 이용하여 의미를 좀더 분명히


하려 함

3 Reduced form 축약형

• 구어의 축약은 학습이 이루어져야 함


Image Source https://adilblogger.com
1 Teaching Speaking(1)
‘말하기’ 어려운 이유
4 Performance variables 수행변인

• 발화시에 사고과정은 화자로 하여금 언어수행상의 망설임,


휴지, 수정 등을 분명히 하도록 함.
(uh, um, Well, you know, I mean, like)

5 Colloquial language 구어체

• 학습자는 구어적 단어, 구, 관용어구를 학습해야 함

Image Source https://reallifeglobal.com


1 Teaching Speaking(1)
‘말하기’ 어려운 이유
6 Rate of delivery 속도

• 발화속도는 유창성의 큰 특징이므로 교사의 관심이 중요

7 Stress/rhythm/intonation 강세와 리듬 억양

• 강세박자(stress-timed)언어의 리듬이나 억양의 학습은


어려움

Image Source https://rmittraining.com


1 Teaching Speaking(1)
‘말하기’ 어려운 이유
8 Complexity 복잡성

• 언어적인 측면과 과제의 복잡성

9 Interaction 상호작용

• 상호작용 없다면 창조적 의미 협상을 배제한 격

Image Source http


1 Teaching Speaking(1)
구두 의사소통의 미시적
: 거시적 기술 (micro-macro skills)
교사의 경우 전체적인 맥락 + 세세한 언어의
요소도 살펴보도록 도와준다.
언어의 기능(function)과 형태(form)을
함께 다루어야 한다.

Image Source http://tetcmacroskills.blogspot.com


2 말하기에 있어서의 미시적 거시적 기술
Micro-and macro-skills of oral production
MICROSKILLS 미시적 기술

1. 하나의 영어 음소와 같은 음소에 속하는 이음 변이 사이의


차이점을 만들기 beat/bit
2. 다른 길이의 언어 덩어리를 만들기
3. 영어의 강세 패턴, 강세 자리와 강세가 없는 자리의 단어,
리듬 구조, 억양 윤곽을 만들기
4. 제약된 형태의 단어와 구를 만들기
5. 화용론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수의 어휘
단위(단어)를 사용하기
6. 다른 다양한 발화상황에서 유창한 연설을 하기
7. 다른 사람의 발화를 보고 다양한 전략적 장치
(중지, 자기 교정 등)를 사용하기
2 말하기에 있어서의 미시적 거시적 기술
Micro-and macro-skills of oral production
MICROSKILLS 미시적 기술

8. 문법적 단어군(동사, 명사 등), 체계(시제, 복수 등), 어순,


패턴, 규칙 등을 사용하기
9. 적절한 구, 휴지, 호흡, 그리고 문장 구성요소 등 자연스런
구성요소로 연설을 하기
10. 다른 문법 형태로 특별한 의미를 표현하기
11. 담화 속에서 응집 장치를 사용하기
 거시적 기술로 보는 경우도 있음
2 말하기에 있어서의 미시적 거시적 기술
Micro-and macro-skills of oral production
MICROSKILLS 거시적 기술

12. 상황, 구성요소, 그리고 목표에 따라 의사소통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기
13. 직접대화에 있어서 적절한 어조, 중복, 화용론적 관습,
대화규칙 등의 사회언어학적 특징을 사용하기
14. 사건들 사이의 연관성을 전달하고 그러한 연관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하기
15. 외적인 특징, 몸짓언어, 그리고 다른 비언어적인 수단을
발화언어와 함께 사용하기
16. 중심단어를 강조하고 단어의 의미를 해석하는 등,
대화전략을 발전시키고 사용하기
3 Teaching Speaking(2)
교실내 Speaking performance 유형 : 모방형
Imitative 모방형
반복 연습은 의사소통언어수업에서도 적절,
음운론적 또는 문법적인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를
듣고 구두적으로 반복할 기회를 제공

성공적인 drill을 위한 guidelines


• 짧게 • 학습자들이 drill을 하는
• 간단하고 단순하게 이유를 아는지 확인
• 활발하게 • 궁극적으로 drill이
의사소통목적 달성과
통하는지 확인
3 Teaching Speaking(2)
교실내 Speaking performance 유형 : 집중형
Intensive 집중형 (self-initiated 독자적,
pair work-activity 짝활동형성 가능)
집중적인 말하기는 모방적 말하기 수행보다
더 전진된 단계
3 Teaching Speaking(2)
교실내 Speaking performance 유형 : 반응형
Responsive 반응형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학습자들의
발화는 반응적

e.g.) T : How are you today?


S : Pretty good, thanks, and you?
3 Teaching Speaking(2)
교실내 Speaking performance 유형 : 정보교류적
Transactional dialogue 정보교류적
특정 정보를 교환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수행되는
의사거래지향어(transactional language)는
반응어(responsive language)의 확장된 형태

e.g.) T : What is the main idea in this essay?


S : The United Nations should have more authority.
T : More authority than what?
S : Than it does right now.
T : What do you mean?
S : Well, for example, the UN should have the power to force certain
countries to destroy its nuclear weapons.
T : You don't think the UN has that power now?
S : Obviously not. Some countries are still manufacturing nuclear bombs.
3 Teaching Speaking(2)
교실내 Speaking performance 유형 : 사교적 대화
Interpersonal dialogue 사교적 대화
사실과 정보의 전달보다는 사회적 관계의
유지를 위해서 수행

• 일상적 표현 • 생략된 표현
• 구어체 • 비꼬는 말(sarcasm)
• 감정적 표현 • 내재된 의제
• 속어(slang) (a covert "agenda")

Image Source https://www.bigthinkedge.com


3 Teaching Speaking(2)
교실내 Speaking performance 유형 : 확장형 독백
Extensive (oral report, short speech) 확장형 독백
중급에서 고급단계의 학생에게 이루어지는
oral report, summary, short speech.
격식이 조금 더 공식적이고 신중한 것

Image Source https://www.thoughtco.com


정리하기
말하기 기능 지도 관련 이슈
말하기가 어려운 이유
다양한 말하기 기법을 안다.

• Macro vs micro skills


• Imitative 모방형, Intensive 집중형,
Responsive 반응형, Transactional dialogue
정보교류적, Interpersonal dialogue 사교적
대화, Extensive (monologue) 확장형 독백
연습 문제
1l 다음은 교사와 학생 간 대화이다. 교실 내 발화 행위의 종류에서 아래의 대화와
가장 관련 있는 것은?

T: What is the main idea in this essay?


S: The United Nations should have more authority.
T: More authority than what?
S: Than it does right now.
T: What do you mean?
S: Well, for example, the UN should have the power to force a country,
to destroy its nuclear weapons.
T: You don't think the UN has that power now?
S: Obviously not.

a Intensive b responsive
c transactional d extensive
연습 문제
1l 다음은 교사와 학생 간 대화이다. 교실 내 발화 행위의 종류에서 아래의 대화와
가장 관련 있는 것은?

T: What is the main idea in this essay?


S: The United Nations should have more authority.
T: More authority than what?
S: Than it does right now.
T: What do you mean?
S: Well, for example, the UN should have the power to force a country,
to destroy its nuclear weapons.
T: You don't think the UN has that power now?
S: Obviously not.

a Intensive b responsive
c transactional d extensive
정답
c
9주차. 말하기 수업

Lecture 2

말하기 기법과 회화 / 발음 지도
01
학 말하기 기법 고안 원리에 대하여 알게 된다.

습 02
목 회화지도 관련 내용을 알게 된다.

표 03
발음 지도 관련 내용을 알게 된다.
학 01
말하기 기법 고안 원리를
습 적용하여 영어 회화 지도 하는 기법
내 02
용 발음 지도 기법
1 Teaching Speaking
Speaking Techniques 말하기 기법 고안 원리
1. 정확성에 초점 둔 language-based로부터 유창성에
초점 둔 message-based에 이르기까지 포함
2. 적절한 정도의 언어 및 과제 복합성
3. 내적 동기 부여해야 한다.
4. meaningful context, authentic language.
유의적 맥락 속에서 실제적 표현 사용
5. 적절한 feedback과 correction 제공
6. 말하기와 듣기의 자연스런 연결 이용
7. 학생에게 ‘말하기’ 기회를 제공할 것
8. Speaking strategies 발달을 유도 할 것
1 Teaching Speaking
Speaking Techniques 말하기 기법 고안 원리
Speaking strategies 발달
• asking for clarification 분명히 해주기
요구하기 (What?)
• asking someone to repeat something
반복 말할 시간 요구 (Huh? Excuse me?)
• using fillers 군말 (Uh, I mean, Well) in order
to gain time to process
생각할 시간을 벌기 위해서
• using conversation maintenance cues
대화유지를 위한 표현 사용
(Uh huh, Right, Yeah, Okay, Hm)
1 Teaching Speaking
Speaking Techniques 말하기 기법 고안 원리
Speaking strategies 발달
• getting someone's attention
청자의 주의를 요구하기 (Hey, Say, so)
• using paraphrases for structures one
can't produce
표현하기 어려운 구조를 쉽게 바꾸어 말하기
• appealing for assistance from the
interlocutor 생각이 나지 않는 단어나 구를
묻기 위해 도움을 요청하기
(to get a word or phrase, for example)
1 Teaching Speaking
Speaking Techniques 말하기 기법 고안 원리
Speaking strategies 발달
• using formulaic expressions 정형화된 표현
사용하기(How much does it cost?
How do you get to the?)
• using mime 몸짓
and nonverbal expressions 비언어적 표현
to convey meaning 의미전달을 위해
1 Teaching Speaking
회화지도
1 indirect approach

• 회화는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의미 있는 과업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습득

2 direct approach

• 학습자로 하여금 회화 규칙, 관습, 책략 등에 주의를


기울이게 함
1 Teaching Speaking
회화지도
3 두 가지 접근법 모두 사용

• Willis의 과업 중심 학습 모델 : 모든 과업은 언어의 형태적


면(분석, 연습) 포함
• Skehan : 의사소통 과업을 언어의 형태를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는 기회로 극대화하여 설계할 것을 제안
1 Teaching Speaking
회화지도
회화 수업시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들 (Richards, 1990)
• 정보교류적, 사교적 목적으로 대화하는 법
• 대화 상황에서 때로는 길게, 때로는 짧게 말하는 법
• 발화 기회를 포착, 유지, 양보함으로써 대화 유지하는
책략
• 대화 시작과 끝맺는 책략
• 다양한 화제에 관해 말을 꺼내고 반응하는 법, 이러한
화제에 관한 대화를 유지, 발전시키는 법
• 격식을 갖춘 표현과 일상적 표현을 사용하는 법

Image Source https://eslspeaking.org


1 Teaching Speaking
회화지도
회화 수업시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들 (Richards, 1990)
• 사회적 환경(전화 통화, 혹은 공식적, 비공식적 모임)에
따른 대화법
• 의사소통 불능 or 이해 불능과 같은 문제 해결하는 책략
• 지나친 휴지, 의사소통 단절, 문법 or 발음상의 오류
등을 피하고 유창하게 대화 유지하는 법
• 대화 상황에 적합한 표현과 구조를 사용하여 회화체를
구사하는 법
1 Teaching Speaking
회화지도
회화 수업시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들 (Richards, 1990)

• 적절한 filler와 small talk 활용하는 법


• 대화를 위한 상투적인 표현(conversational routines)
사용법
1 Teaching Speaking
회화지도
회화 지도에 있어 적용할 수 있는 영어 교재상의 예시적 과업
• transactional(information gap activity)
- 정보교류적 e.g. 카탈로그보고 주문하기
• meaningful oral grammar practice - would의 사용법
• individual practice : oral dialogue journals 개별연습:
구두대화 일지
• 기타 상호적 기법 : 인터뷰, 추측게임, jigsaw 과업,
등급매기기, 토의, 가치 분류, 문제해결활동, 역할극,
시뮬레이션
• 학문적 영어: 토론, 발표
1 Teaching Speaking
Teaching pronunciation

Audiolingualism 명확한 발음
점점 authenticity 강조.
70년대 자연스러움. 실제 세계의 업무
– 발음이 부수적

담화의 중요한 요소로서 문법구조/


유창성과 정확성의 균형/
80년대 명확한 교육적 과제의 기술
 발음이 의사소통의 중요한 열쇠

Image Source https://edutechspot.com


1 Teaching Speaking
Teaching pronunciation
단어, 구의 정확한 발음이 아니라,
90년대 이후 담화의 전체적 줄기측면의
정확한 발음법 강세, 리듬, 억양 등

발음 학습의 목표를 원어민의 발음에 차이가 없는


발화에 두는 것은 무리가 있다.
(성인학습자의 경우 불가능)
다문화사회에서 비원어민의 악센트는 문제가 없다.

Image Source http://www.wordsworthelt.com


1 Teaching Speaking
Pronunciation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목표 발음 : 명확하고 이해 가능한 발음에 초점

• 모국어 : 학습자의 발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 연령 : 사춘기 이후의 학습자들은 외국인
억양(foreign accent)을 유지
• Exposure : 단순한 영어에의 노출보다는 그
노출의 질, 강도가 중요
• Innate phonetic ability : 음성부호화 능력이
뛰어난 사람도 있고 선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있다.
1 Teaching Speaking
Pronunciation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목표 발음 : 명확하고 이해 가능한 발음에 초점

• 정체성과 언어자아 : 학습자들로 하여금 목표어


화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지니게 하고, 제 2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한다.
• good 발음을 위한 관심과 동기 : 발음에 관한
동기가 높다면 목표성취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노력은 적절히 이루어짐
1 Teaching Speaking
발음 지도
발음 지도에 있어 적용할 수 있는 예시적 과업
• intonation
• stress
• meaningful minimal pairs를 활용한 발음 지도법
 traditional minimal-pair drill은 수십 년 동안 사용되어 온
학습 방식으로 pen과 pin을 단순히 구분하도록 지도한다.
 CLT 원리를 최소쌍 연습에 부여한 예를 보시겠습니다.
T: This pen leaks. S: Then, don’ write with it.
T: This pan leaks. S: Then, don’ cook with it.
1 Teaching Speaking
발음 지도
발음 지도에 있어 적용할 수 있는 예시적 과업
• meaningful minimal pairs를 활용한 발음 지도법
 a little contextualization을 제공, 유의미성 부여함으로써
기계적이 되기 쉬운 반복 훈련에 맥락과 흥미, 다소의 실제성
(context, interest, a modicum of authenticity) 부여할 수 있다.
정리하기
말하기 기법 고안 원리
회화지도 관련 내용
발음 지도 관련 내용
연습 문제
1l 다음은 speaking의 무엇에 관한 것인지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sking for clarification, asking someone to repeat something, using fillers in order to
gain time to process, using conversation maintenance cues, getting someone's
attention, using paraphrases for structures one can't produce, appealing for
assistance from the interlocutor, using formulaic expressions, using mime and
nonverbal expressions to convey meaning.

a speaking이 어려운 이유
b performance의 유형
c techniques의 종류
d strategy 발달 방법
연습 문제
1l 다음은 speaking의 무엇에 관한 것인지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sking for clarification, asking someone to repeat something, using fillers in order to
gain time to process, using conversation maintenance cues, getting someone's
attention, using paraphrases for structures one can't produce, appealing for
assistance from the interlocutor, using formulaic expressions, using mime and
nonverbal expressions to convey meaning.

a speaking이 어려운 이유
b performance의 유형
c techniques의 종류
d strategy 발달 방법
정답
d
연습 문제
2l <A>에 있는 정의와 <B>에 있는 예시문을 해당하는 사항끼리
올바르게 연결하시오. (예 : J) - 차), L) - 하) )
<A> <B>
A) asking for clarification 가) How much does _________ cost?
B) asking someone to repeat something How do you get to the _____?
C) using fillers in order to gain 나) Huh? Excuse me?
time to process 다) Hey, Say, So
D) using conversation maintenance cues 라) Uh, I mean, Well
E) getting someone's attention 마) What?
F) using formulaic expressions 바) Uh huh, Right, Yeah, Okay, Hm
연습 문제
2l <A>에 있는 정의와 <B>에 있는 예시문을 해당하는 사항끼리
올바르게 연결하시오. (예 : J) - 차), L) - 하) )
<A> <B>
A) asking for clarification 가) How much does _________ cost?
B) asking someone to repeat something How do you get to the _____?
C) using fillers in order to gain 나) Huh? Excuse me?
time to process 다) Hey, Say, So
D) using conversation maintenance cues 라) Uh, I mean, Well
E) getting someone's attention 마) What?
F) using formulaic expressions 바) Uh huh, Right, Yeah, Okay, Hm

정답
A) - 마), B) - 나), C) - 라), D) - 바), E) - 다), F) - 가)
9주차. 말하기 수업

Lecture 3

말하기 오류 수정

습 01
말하기 오류 수정 기법에
목 대하여 알게 된다.


01
습 말하기의 과업 수행시 학생이 보이는
내 오류에 대해 교사가 취해야 할
제반적인 사항들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1 Teaching Speaking
Speech Errors 수정 모형

recycle
(-) Abort중지
message X
(0) continue계속
continue
(+)

정의적 피드백 인지적 피드백

Affective feedback(정의적 피드백)


• green : 전달자가 메시지를 계속 보내도록 허용
• red : 전달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게 만듦
1 Teaching Speaking
Speech Errors 수정 모형

recycle
(-) Abort중지
message X
(0) continue계속
continue
(+)

정의적 피드백 인지적 피드백

Cognitive feedback : 오류 교정이 일어나는 지점


• green : 메시지의 의미를 이해한다  교정 필요 없음
• red : 다양한 형태의 교정 피드백을 상징, 학습자로 하여금 발화에 변화를 주게 함
1 Teaching Speaking
Speech Errors 수정 모형
Yellow : green과 red 사이의 어떤 지점, 학습자로
하여금 표현을 조정, 바꾸거나 다시 되돌아가거나,
어떤 식으로든 재시도하게 만듦
fossilization 화석화 : yellow나 red를 켜야 할 때
너무 많은 green을 켠 결과

Image Source https://www.hackingchinese.com


1 Teaching Speaking
Speech Errors 수정 모형
시사점 : 인지적 피드백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적절한 수준이어야 한다.
too much negative cognitive feedback
잘못된 표현에 지나치게 간섭, 교정, 지나치게 가시적인 주의
: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활동 참여 하지 않을 가능성

too much positive cognitive feedback


오류 교정 없음, 이해하지 못해도 이해한 것처럼 화자를 안심시킴
: 학습자의 오류를 강화(reinforce), 화석화(fossilization)

optimal tension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cognitive feedback


1 Teaching Speaking
Speech Errors 수정 모형
Skinner의 작동적 조건화 학습 모형 적용
(operant conditioning model of learning)
정의적, 인지적 피드백은 학습자의 반응에 대한
강화자(reinforcement) 의 역할
“긍정적인” 강화(green)를 지각하게 되면
특정한 발화 패턴을 내재화
1 Teaching Speaking
Speech Errors 수정 모형
corrective feedback
오류 행위를 무시하는 것도 긍정적인
강화자(reinforcement)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는 중립적 피드백이 초래할 수 있는 강화 작용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 있다.

교사가 절대로 해서는 안 될 것


punitive reinforcement
(처벌적 강화, 정의적 red 등으로 인식하는 교정)
- 비난, 비인간적인 학대, 모욕
1 Teaching Speaking
Speech Errors 수정 모형
지속적 의사소통을 보장 위해
긍정적 feedback 제공, 중대한 errors만 주의를 줌
너무 많은 부인지적 피드백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시도를 저지함
너무 많은 정인지적 피드백은 화자-학습자의
오류를 강화하여 오류의 화석화 현상 발생
인지적 피드백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적정선을 유지

Image Source http://elt-connect.com


1 Teaching Speaking
오류를 처치하는 방법
According to Hendrickson, 오류를 2가지로 구분

global error 메지지가 왜곡된 채로 방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수정
총체적 오류 The different city is another one in
(의사소통 방해) the another two.

local error
There is a French widow in every
국부적오류 bedroom.
(사소한 오류)
1 Teaching Speaking
오류를 처치하는 방법
오류 처치 방식 - Bailey(1985)
기본선택항목이 가능한 선택에 의하여
보완됨
1 Teaching Speaking
오류를 처치하는 방법
Basic Options
• 오류를 처치할 것 or not
• 즉시 or 천천히
• (다른 학습자에게) 전이시킬 것 or not
• if) 전이시켜 처치 대상이 개인, 소집단,
전체 학급 중 어느 곳
• 오류 처치 후 오류 발생자에게 돌아갈 것인가 or not
• 다른 학습자가 오류 처치를 주도하도록 허용할 것인가
• 처치의 효과를 평가할 것인가
Image Source https://busyteacher.org
1 Teaching Speaking
오류를 처치하는 방법
Possible Options
• 오류 사실 지적
• 오류의 구체적 내용 지적
• 재시도 기회 제공
• 모델 제시
• 오류 유형 지적
• 교정법 제시
• 개선 지적
• 보상 제시
1 Teaching Speaking
오류를 처치하는 방법
DEVIANT UTTERANCE
1. Type
2. Source
lexical, phonological, grammatical,
L1, L2, teacher-induced, others, outside
discourse, pragmatic, sociocultural
Ls input, A/V/print/electronic media
3. Linguistic complexity 4. Local or Global
intricate & involved or easy to explain/ deal with
6. Learner's affective state
5. Mistake or Error language ego fragility, anxiety, confidence,
receptiveness
7. Learner's Linguistic stage 8. Pedagogical Focus

9. Communicative Context 10. Teacher style


direct or indirect, interventionist,
laissez-faire

TREAT IGNORE OUT


1 Teaching Speaking
오류를 처치하는 방법
오류 처치시 교사가 눈 깜짝할 사이에
결정해야 할 요소
1. 발화의 일탈 유형(어휘적, 음성적) 파악
2. 원인 규명(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나,
오류 처치 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
3. 언어의 복잡성(일탈 정도에 따라 처치 여부,
처치 방법 결정, 수행 중인 과업에 흐름이
방해 받을 경우 처치하지 않는 것이 나을 수 있다.)
1 Teaching Speaking
오류를 처치하는 방법
4. 국부적(원활한 흐름 위해 간과 가능)
or 총체적(오류 처치) 판단
5. 실수(처치 필요없음) or 오류(교사의 반응 필요)
6. 학습자의 정의적 상태(학습자 : 불안, 자신감 없음
 오류 무시하기로 결정)
7. 학습자의 언어적 단계
(오류 처치 방법 결정 시 도움)
8. 교육적 초점(언어 형태 강조 과업인가?,
오류가 발생한 형태 강조하는 것인가?,
과업의 전체적 목표는 무엇인가?)
1 Teaching Speaking
오류를 처치하는 방법
9. 의사소통 맥락
10. 교사 유형(간섭형? 방임형?)
10단계를 걸친 후 오류 처치 여부 결정
• Ignore : 그냥 지나치면 됨
• Treat
: 언제, 누가, 어떻게
(입력, 방식, 학습자 출력, 추후
활동(정의적, 인지적))
오류를 처치할 것인지 결정
(교사가 반드시 오류 처치할 필요 없음)
1 Teaching Speaking
Error correction
Lyster and Ranta(1997): corrective feedback
20 hours of classroom interaction in four
primary French immersion classrooms
Six different feedback types

Image Source http://www.sec-ed.co.uk


1 Teaching Speaking
Explicit correction

S : The dog run fastly.


명료한

수정 T : ‘Fastly’ doesn’t exist.


‘Fast’ does not take –ly.
That’s why I picked ‘quickly’.
1 Teaching Speaking
Recasts
S1 : When you’re phone partners,
did you talk long time?
재구성

T : When you were phone partners,


did you talk for a long time?
S2 : Yes, my first one I talked for 25 minutes.
S1 : Why you don’t like Marc?
T : Why don’t you like Marc?
S2 : I don’t know, I don’t like him.
1 Teaching Speaking
Clarification requests

구분 T : How often do you wash the dishes?


요청 S : Fourteen.
T : Excuse me.(Clarification requests)
S : Fourteen
T : Fourteen what?(Clarification requests)
S : Fourteen for a week.
T : Fourteen times a week?(recast)
S : Yes. Dinner and supper.
1 Teaching Speaking
Metalinguistic feedback

S : We look at the people yesterday.


초언어적

피드백 T : What’s the ending we put on verbs


when we talk about the past?
1 Teaching Speaking
Elicitation

끌어 S : My father cleans the plate.


내기 T : Excuse me, he cleans the ???


S : plates?
1 Teaching Speaking
Repetition

S : He’s in the bathroom


반복

T : Bathroom? Bedroom. He is in the bedroom.

S : we is..
T : We is? But it’s two people, right?
You see your mistake? You see the error?
When it’s plural it’s we are.
1 Teaching Speaking
Frequency
Recasts
Elicitation
Clarification requests
Metalinguistic feedback
Explicit correction
Repetition
1 Teaching Speaking
교실 내 말하기 평가
1 모방형
최소대립형 반복, 낱말 구 반복, 문장 반복

2 집중형
지시에 따른 반응, 음독, 구두 문장 완성, 구두 빈칸 말하기,
대화 완성, 그림 단서 묘사

3 반응형
그림 단서에 대한 반응 및 묘사, 지도 보고 방향 말하기, 문답,
질문 유도 과업, 지시 유도 과업, 다시 말하기(전화나 메시지)
1 Teaching Speaking
교실 내 말하기 평가
4 상호작용형
인터뷰, 역할극, 토의 및 대화

5 확장형
발표, 그림 이야기 말하기, 뉴스 다시 말하기
1 Teaching Speaking
교실 내 말하기 평가
평가 기준
• 발음
• 유창성
• 어휘
• 문법
• 담화의 특성
• 과업 달성
정리하기
말하기 오류 수정 모형
오류 처치 방법
교실 내 말하기 평가
연습 문제
1l 다음 빈 칸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를 차례대로 쓰시오.
Once a learner of English was describing a quaint old hotel in Europe and
said, "There is a French widow in every bedroom." The error is clearly, and
humorously, recognized. Hendrickson recommended that (a) errors
usually need not be corrected since the message is clear and correction
might interrupt a learner in the flow of productive communication.
(b) errors need to be treated in some way since the message may
otherwise remain garbled. "The different city is another one in the another
two" is a sentence that would certainly need treatment because it is
incomprehensible as is. Many utterances are not clearly global or local, and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necessity for corrective feedback.
연습 문제
1l 다음 빈 칸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를 차례대로 쓰시오.
Once a learner of English was describing a quaint old hotel in Europe and
said, "There is a French widow in every bedroom." The error is clearly, and
humorously, recognized. Hendrickson recommended that (a) errors
usually need not be corrected since the message is clear and correction
might interrupt a learner in the flow of productive communication.
(b) errors need to be treated in some way since the message may
otherwise remain garbled. "The different city is another one in the another
two" is a sentence that would certainly need treatment because it is
incomprehensible as is. Many utterances are not clearly global or local, and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necessity for corrective feedback.
정답
(a) local (b) global
9주차. 말하기 수업

Lecture 4

교수법 읽기
Task-based Learning-
Task-based learning(TBL), also known as task-
based language learning(TBLL), task-based
language teaching(TBLT) or task-based
instruction(TBI) focuses on the use of authentic
language, having students do meaningful tasks
using the target language that have a clear
connection to real world situations. Such tasks can
include scheduling an appointment at a doctor’s
office, conducting an interview, or making a
fractured fairy tale.

Image Source http://www.tblt.org/


Task-based Learning-
Assessment is primarily based on task outcome,
that is, was the task completed successfully and
not on how accurately the target language was
used. This makes TBL an appropriate approach for
developing target language fluency and student
confidence.

Image Source https://www.slideshare.net


Task-based Learning-
TBL was first proposed by N. Prabhu. He noticed
that his students learned language just as easily
with a non-linguistic problem as when they were
analyzing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target
language. He also noticed that students were more
engaged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more
enthusiastically.

Image Source https://www.pinterest.es


Task-based Learning-
A major disadvantage for task-based learning is
that it is not appropriate for real beginner students.
For example it’s the first day of Turkish class, and I
am the teacher. None of my students have ever
studied Turkish before, could they successfully use
task-based learning in this situation? No, because
they have no knowledge of the target language.
Closing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수업이 진행되면서
말하기 기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여러 가지 지도 방법들이 고안되고
사용되고 있다.
학생들이 말하기에서 어려움을 겪는
원인을 파악하고 이것을 극복할 수 있는
수업 활동들을 제공하는 것이 균형 있는
언어 기능 발달을 위해 필요하다.
Closing
수업 시간에 제공되어지는 활동들은
학습자의 흥미 또한 고려되어 내적 동기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성공적인 수업의
촉매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교사로서 기능
지도를 할 때 보다 더 부지런하게 움직여야
된다.
Closing
말하기 기능 같은 경우는 productive한
면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학생이 발화한
말에 대해 정서적으로는 부정적 피드백을
주기 보다는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말하기
활동을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