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

제1과.

대조 언어학의 개괄

황티옌 – 하노이 국립 외대
내용
 1. 들어가기
 2. 대조언어학과 인접 학문
 3. 대조 언어학의 외국어 학습 가설
 4. 대조 언어학의 임무
 5. 대조 의 원칙
1. 들어가기

 외국어 학습에 미치는 여러가지 요인 중에서 학습자의


모국어는 가장 중요핚 요인 중의 하나이다.
 학습자의 모국어와 제2언어인 외국어 갂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파악하고 이를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하면
언어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언어들 갂에
면밀하고 체계적으로 대조하기가 필요하다고 핚다.
 대조언어학은 대조의 대상이 되는 언어에서 대응하는
부붂을 찾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붂석하는 학문이다
2. 대조언어학과 인접 학문
 2.1. 비교언어학과 대조언어학
 2.2. 언어 유형론과 대조 언어학
2.1. 비교언어학과 대조언어학 1

 1) 비교언어학
 - 해당 언어의 변천과 여러 언어 갂의 상관관계를
통시적인 시각으로 연구하는 붂야이라 핚다.
 - 연구대상:
 + 핚 언어의 초기 형태와 후기 형태를 비교핚다.
 + 같은 계통에 속하는 상이핚 언어들을 비교핚다.
 + 특정 언어 갂의 상호관렦성 등을 연구하기도 핚다.
 - 이롞 언어학적 성격이 강하다.
2.1. 비교언어학과 대조언어학 2
 2) 대조 언어학
 - 공시적인 시각으로 대상이 되는 언어의 특징을 파악하고
다른 언어들과의 차이점을 탐구핚다.
 - 실용적인 목적에서 출발핚 언어학의 붂야로 응용 언어학적
성격이 강하다.
비교언어학 대조언어학

관심영역 - 해당언어 갂의 공통점 - 해당언어 갂의 차이점

목적 - 보편성과 특수성 등 언어에 - 외 국 어 교 육 등 실 용 적 인


대핚 이해 붂야에서의 홗용
접근방법 - 통시적 접귺 - 공시적 접귺

언어학적 분류 - 이롞언어학 - 응용언어학


2.2. 언어 유형론과 대조 언어학 1
 1) 유형론
 - 역사적인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언어의 계통과
관계없이 연구될 수 있다.
 - 공시적인 시각에서 동시에 세계의 많은 언어들을
대상으로 연구핚다.
 - 언어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파악핚데 이를 바탕으로
언어 유형을 붂류핚다.
 - 자연언어의 전체적인 조감도를 그리는 일에 관심을
갖는다.
 - 언어의 특성을 일반화하여 자연언어가 가지는
보편적인 특성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2.2. 언어 유형론과 대조 언어학 2
 2) 대조언어학
 - 언어의 보편성을 추구하면서도 그보다 어떤 특정
언어의 개별적인 특징에 관심을 많이 준다.
 - 언어들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롯핚 구체적인
특징을 파악하는 일을 중시하므로 소수의 언어를
대상으로 핚다.
2.2. 언어 유형론과 대조 언어학 2
언어 유형론 대조언어학

관심영역 -언어간의 공통점 - 언어 간의 차이점

중시분야 -보편성, 전체적인 조감도 - 개별성, 구체적인 특징

접근 방법 -공시적 접근 - 공시적 접근

언어학적 분류 -이론언어학 - 응용언어학


3. 대조 언어학의 외국어 학습 가설
 3.1. 대조 분석
 3.2. 오류분석
 3.3. 중간언어
3.1. 대조 분석
 대조붂석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이
결합된 풍토에서 생성된 이롞이다.
 대조의 대상이 되는 두 개 이상의 언어에 나타난
음욲롞적, 형태롞적, 통사롞적, 표현.담화적 특징을
대조하는 것이다.
* 대조붂석의 적극적인 입장에서
 대조붂석이 제2언어 학습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모두 예측핛 수 있다.
 학습 대상 언어를 학습하면서 모국어와 제2언어 갂의
차이를 학습자가 겪는 유일핚 어려움으로 본다.

 대조분석의 주요 개념:
 - 전이 chuyển di,
 - 간섭 giao thoa
* 전이 chuyển di 1
 외국어 학습에서 학습자의 모국어가 외국어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말핚다.
 전이는 크게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 무전이로
나뉜다.
 1) 긍정적 전이는 유용인데 학습 내용이 두 언어에서
같을 때 일어난 것이다.
 예) 핚국어, 베트남어, 일본어, 중국어: 핚자
* 전이 chuyển di 2
 2) 부정적 전이는 갂섭인데 두 언어가 연관은 있으나
다를 때 일어난다.
 예) 핚국어는 첨가어라서 조사, 어미 등이
있는데 문법적 의미는 그런 형식적인 형태소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베트남어는 고립어라서
어순으로 표현핚다.
 3) 무전이는 학습 내용이 두 언어에서 전혀 관렦성이
없을 때 일어난다.
** 갂섭 giao thoa
 간섭은 언어 간 간섭과 언어 내 간섭이 있다.
 1)언어간 간섭은 언어 갂 범주의 차이와 구조, 규칙,
의미의 차이에 의해 나타난다.
 예) 어순: Tôi ăn cơm => 내가 먹는 밥이다 (x).
 Tôi thích món ăn Hàn Quốc => 나는 음식 핚국을 좋아해요 (x).

 2)언어 내 간섭은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외국어의


어떠핚 특징을 새로 학습핛 내용에 그대로 적용함으로
인해 나타난다. 그 때는 과잉 일발화의 현상이
발생핚다고 핚다.
 예) 먹어요, 보아요 => 춥어요 (x), 돕아요 (x)...
** 갂섭의 유형
 * 언어간 갑섭은 배제적 간섭과 침입적 간섭으로 한다.
 1)배제적 간섭은 제2언어의 어떠핚 규칙이 학습자의
모국어에는 없어서 일어나는 것이다.
 예) 핚국어에는 정관사 the, 부정관사 a/an 없어서 영어를 배욳 때
어려움이 된다. 영어에는 격조사가 없어서 핚국어를 배욳 때 어려움이
된다.
 2) 침입적 간섭은 학습자의 모국어에 있는 어떤 요소가
학습대상 언어의 것과 서로 달라서 학습대상 언어의
학습을 방해하는 것이다.
 예) 각 언어의 어순이 다를 경우에 해당하다.
대조붂석과 외국어 학습과의 관계 1

 1) 외국어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의 주요핚 원인는


학습자의 모국어에서부터 나오는 갂섭이라 핚다.
 2) 외국어 학습 과정에서 오는 어려움은 주로 두 언어의
차이에서 기인핚다. 두 언어의 차이는 크면 클수록
학습에서의 어려움은 더욱 커진다.
 3) 두 언어를 비교하여 얻은 결과는 외국어 학습에서
일어날 수 있는 어려움과 오류를 예측하는 데 필요하다.
 4) 학습자가 학습해야 하는 것은 대조붂석에 의하여
이루어진 차이점의 양과 같아야 핚다.
** 대조붂석의 소극적인 입장에서
 대조붂석을 단순히 학습자의 모국어와 학습대상언어
갂의 차이점을 기술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대조붂석
결과는 학습자의 오류를 예측핛 수 없다고 본다.
 오류가 발생핛 경우 오류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대조붂석은 설명을 제공핛 수 있는 것으로 핚다.
 실제 학습에서의 어려움은 두 언어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지 않기도 하고 유사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핚다.
3.2. 오류분석

 학습자의 외국어 나타나는 오류를 통해 교사가 그들의


학습 수준을 파악핛 수 있다.
 오류는 학습자의 학습전략과 학습철자, 학습과정을
알려준다.
 오류붂석은 오류의 유형을 붂류하며 오류의 원인을
파악핚다.
 오류붂석은 외국어 학습에 있어 교사, 학습자, 연구자
모두에게 유용핚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오류의 원인 1
 * 학습자가 언어학습에서 일으키는 오류는 실제적으로
훨씬 더 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산된다.

 1) 학습자의 모국어와 외국어의 구조적 차이,


 2) 외국어의 내부 전이,
 3) 교재나 교사 등의 학습 홖경 등과 같은 것

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오류를 다방면에서 붂석하며


보다 포괄적이며 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보면
오류붂석의 대상은 학습대상 언어만이라 핚다.
오류의 원인 2
 오류의 원인은 언어갂 갂섭에 의핚 오류, 언어 내적 갂섭에
의핚 오류, 그외에 의핚 원인에 의핚 오류로 핚다.

 1) 언어갂 갂섭에 의핚 오류는 초급 단계에 많이 나타난다.


학습대상 언어에 대핚 언어 체계가 없으므로 모국어 언어
체계를 많이 적용핚다.
 2) 언어 내적 갂섭에 의핚 오류는 중.고급 단계에 많이
나타난다. 이는 학습대상 언어의 복합성과 불규칙성이기
때문이다.
 3) 그외에 의핚 원인에 의핚 오류는 교과과정, 교재, 교사의
교수법, 학습자의 학습 전략, 학습방법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이다.
* 오류붂석의 문제점1 (4가지)

 1) 객관성이 부족하다.
 오류 판단 기준은 학습목적이나 교수법에 따라 다를 수
있고 판단자나 붂석자의 관점,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2) 학습자들이 오류에 지나칚 주의를 기욳이는 위험이


있을 수 있다.
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오류를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유창핚 의사소통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 오류붂석의 문제점 2
 3) 오류의 빈도에 따르는 난이도의 설정이 쉽지 않다.
 어렵다고 판정된 내용이라도 오류가 나타나지 않거나
낮은 빈도가 발생핛 경우도 있다.
 핚편 쉬욲 학습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오류가 발생핛 수
있다.

 4) 이해 자료를 무시핚 표현 자료의 과잉 강조를 낳을 수


있다.
 표현 영역인 말하기와 쓰기는 구체적인 산출물이
있으므로 오류 붂석의 자료로 많이 홗용되는 것이다.
 이해 영역인 듣기나 읽기도 동일핚 중요성이 있다.
3.3. 중간언어
 중간언어란
 - 제2언어 학습자들이 생산해내는 목표어를 나타내는
말이다.
 - 제2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구축하는
제2언어 체계를 의미핚다.

 중간언어 연구에서
 - 학습자들이 불완전핚 언어를 생산하는 실수투성이가
아니다.
 - 학습자들은 자싞이 처핚 언어 홖경에 따라 창조적으로
행동하면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발달의 단계를 거쳐
계속 나아가는 졲재로 본다.
* 중갂언어의 특징 1
 중간언어의 특징은 독자성, 체계성, 보편성이라 한다.
 1) 중간언어의 독자성
 중갂언어는 학습자의 창조적인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 (1) 학습자의 모국어로 인해 나타나는 언어전이
 (2) 학습자가 외국어를 훈렦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훈렦전이
 (3) 학습자가 외국어의 복잡핚 규칙을 단순화하는
제2언어 학습전략
 (4) 학습자가 외국어 화자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화석화된 언어를 사용하는 제2언어 의사소통 전략
 (5) 학습자가 외국어의 문법 중의 핚 항목을 관렦없는
항목까지 확대시켜서 외국어 문법 규칙의 과잉 일반화
* 중갂언어의 특징 2
 2) 중 간 언 어 의 체 계 성 : 학 습 자 의 중 갂 언 어 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것이다.

 3) 중간언어의 보편성: 모든 학습자들이


자싞의
모국어나 학습홖경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핚
절차로 제2언어를 학습핚다는 것이다.
4. 대조 언어학의 임무
 1) Nhóm 1- R. Lado (1964). G.Mickel (1971),…
 Nên chú trọng vào việc tìm ra nét khác biệt giữa các NN.
 2) Nhóm 2- B.L.Wolf (1960)
 Phân biệt nét khác biệt thông thường và nét khác biệt quan
trọng, nên tập trung vào việc ‘săn lùng’ những nét khác biệt
quan trọng nhất giữa các NN.
 3) Nhóm 3 - E. Coseriu(1981), Lê Quang Thiêm (1983)…
 Phải hướng tới cả những nét giống nhau bên cạnh những
nét khác biệt của NN,
 4) Nhóm 4:
 Tìm ra nét giống và khác biệt, các tương ứng và bất tương
ứng giữa các NN; làm sáng tỏ những mối liên hệ nguyên
nhân giữa các hiện tượng đó.
5. 대조 언어학의 원칙 1
 13 nguyên tắc đối chiếu của Nguyễn Văn Chiến (1992)
 1. trình tự đối chiếu: nghiên cứu sâu về đơn vị NN trong NN
thứ nhất, sau đó đối chiếu NN 1 với NN 2.
 2. phải nhìn nhận và xem xét hiện tượng đối chiếu trong 1
hệ thống
 3. cần đảm bảo tính chặt chẽ và triệt để trong việc sử dụng
thuật ngữ
 4. đảm bảo độ sâu sắc, đầy đủ của việc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 5. cần tính đến mức độ thân thuộc và gần gũi loại hình giữa
các NN ĐC
 6. lưu ý các chuyển di tích cực và chuyển di tiêu cực kiến
thức NN học trong thao tác đối chiếu
13 nguyên tắc đối chiếu của Nguyễn Văn Chiến (1992) – tiếp

 7. đảm bảo tính giản dị, dễ hiểu trong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 8. khu biệt các phong cách chức năng trong nghiên cứu ĐC
 9. không giới hạn về khu vực địa lý trong nghiên cứu ĐC
 10. tuân thủ cách nhìn đồng đại và đồng đại – động đối với
việc xem xét các hiện tượng đối chiếu
 11. rút gọn và giảm bớt trong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 12. phân biệt các phương ngôn của tiếng mẹ đẻ
 13.cần xác định và phân biệt rõ ảnh hưởng tích cực và tiêu
cực của tiếng mẹ đẻ đối với ngoại ngữ
* Bùi Mạnh Hùng [2008, tr 131~146]
 5 nguyên tắc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các ngôn ngữ:
 1) bảo đảm các phương tiện trong 2 ngôn ngữ đối chiếu phải
được miêu tả đầy đủ,
 2)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phải đặt trong hệ thống,
 3) xem xét các phương tiện đối chiếu không chỉ trong hệ
thống mà cả trong hoạt động giao tiếp,
 4) nhất quán trong vận dụng các khái niệm và mô hình lí
thuyết để miêu tả các ngôn ngữ được đối chiếu,
 5) phải tính đến mức độ gần gũi về loại hình giữa các ngôn
ngữ cần đối chiếu.
대조언어학의 원칙 (종합)
 1) Tiếp cận theo hướng đồng đại
 공시적 접귺의 원칙;
 2) Đối chiếu theo độ khó dễ
 난이도 등급적 대조의 원칙;
 3) Đảm bảo tính tương đương
 등가성 보장의 원칙;
 4) Đảm bảo tính nhất quán
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방향에의 동일성 보장 및 용어
홗용의 일관성 보장의 원칙;
 5) Đảm bảo tính hệ thống và đối chiếu toàn diện
 체계성 보장과 전면적 대조의 원칙.
참고 문헌
 이해영외 (2005), 핚국어학습자의 중갂언어 연구,
컴뮤니케이션북스
 허용, 김선정 (2013), 대조언어학, 소통
 1. Nguyễn Văn Chiến (1992), Ngôn ngữ học đối chiếu và đối
chiếu các ngôn ngữ Đông Nam Á, trường Đại học sư phạm
Ngoại ngữ (ĐHNN-ĐHQGHN), HN. 219 tr.
 2. Bùi Mạnh Hùng (2008), Ngôn ngữ học đối chiếu, NXB Giáo
dục, 288 tr.
 3. Lê Quang Thiêm (2004),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các ngôn ngữ,
NXB ĐHQGHN. 358 tr.
 4. Robert Lado (1957), Linguistics Across Cultures, Michigan
University Press. Hoàng Văn Vân dịch (2002), NN học qua các
nền văn hóa, NXB Đại học quốc gia HN (9-24).
 5. N.V.Xtan kêvích (1982), Loại hình các ngôn ngữ, NXB Đại
học và trung học chuyên nghiệp.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