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국어-단어의 의미관계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80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와 매체의 특성을 잘 이해하면 현대 사회의 복잡한 의

사소통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소통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인

간의 삶과 관련하여 언어를 이해하고 다양한 매체 언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단원에서는 언어의 특성, 국어의 특성과 세계 속에서의 국어의 위상, 매

체의 유형과 특성, 매체 언어의 특성을 언어생활 속에서 탐구해 보도록 한다.

단원별 수업 지도안 차시별 수업 지도안

지도 방안
삽화를 보면서 학생들에게 소단원에서 배울 내용이 무엇일지 자유롭게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1) 언어와 국어 (2)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탐구 1 언어와 우리의 삶 탐구 1 매체의 유형과 특성

탐구 2 국어의 특성 탐구 2 현대 사회의 매체 언어

 본문 16쪽 3 언어와 문화  본문 30쪽 2 뉴미디어의 등장

‘매체의 발달’을 주제로 토론하기   매체 듣기·말하기

10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0 2019. 11. 5. 오후 3:18


인간의 삶과 관련하여 언어의 특성을 이해한다.
국어의 특성과 세계 속에서의 국어의 위상을 이해한다.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 매체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한다.
현대 사회의 소통 현상과 관련하여 매체 언어의 특성을 이해한다.

지도 방안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겪었던 경험이나
생각, 평소 궁금했던 점 등을 떠올릴 수 있는 소재를 제시하였다. 학생들이
이를 보고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음 내용과 관련한 나의 생각이나 경험을 이야기해 보자.

유인원의 언어
+ 유인원의 언어와 인간의 언어는 어떤 차이가 있 텔레비전 시청과 
을까?
한글을 배우는 외국인 인터넷 방송 시청
+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 지난 한 주 동안 텔레비전과 인터넷
방송 중 어떤 것을 더 많이 보았을까?

내가 알고 있는 것을 확인해 보고, 더 알고 싶은 것을 써 보자.

국어의 위상
매체와 의사
언어의 특성 매체의 유형 소통

예시 답 언어와 우리 삶의 관계 / 국어와 영어의 차이점 /


나는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최근에 새롭게 등장한 매체 에 대해 더 알고 싶다.

단원의 길잡이 11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1 2019. 11. 5. 오후 3:19


(1)
수업 PPT

언어와 국어
학 습 목 표

•인간의 삶과 관련하여 언어의 특성을 이해한다.


•국어의 특성과 세계 속에서의 국어의 위상을 이해한다.

애니메이션

언어와 사고

언어의 특성 언어와 사회 탐구 1

언어와 문화

국어의 언어적 특징
국어의 특성과
탐구 2
위상
세계 속에서의 한국어의 위상과 발전

이 단원에서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언어가 어떤 특성이 있는지, 세계어로서


의 한국어는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배웁니다. 이를 통해 언어와 우리 삶의 관
계, 언어로서의 국어의 특성을 이해해 봅시다.

12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2 2019. 11. 5. 오후 3:19


애니메이션

언어가 없다면 인간의 삶이 어떻게 달라질까?


예시 답 생각을 여는 질문 그림
•상대방의 생각을 파악하기 힘들어질 것이다.
‘안녕하세요’에 해당하는 세계 여러 나라(20여 개국)의 말과 다
•새로운 것을 생각하거나 만드는 일이 불가능해질 것이다.
양한 생김새의 아이들을 보여 주는 그림이다. 각각의 단어가 어
•사람들의 사고방식이 단순해지고 생각을 정리하는 일이 어려워질 것이다.
느 나라의 말인지 이야기해 보고, 언어와 인간의 삶이 어떤 관
계에 있는지 자유롭게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 자료
세계 여러 나라의 ‘안녕하세요’
영어 Hello[헬로우], 일본어 こんにちは[곤니찌와], 중국어 你好[니하오], 베트남어 Xin cha‵o[씬 짜오], 이탈리아어 Ciao[치아오],
독일어 Guten Tag[구텐 탁], 불어 Bonjour[봉주르]/Salut[쌀뤼], 스페인어 Hola[올라], 스웨덴어 Hej[헤이], 라틴어 salve[살뤠],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시아어 Apa kabar[아빠 까바르], 태국어 [사와디캅], 터키어 merhaba[메르하바], 러시아어 Здра
вствуйте[즈드랏스뜨부이쪠]

? ‌‘언어와 국어’와 관련하여 더 궁금한 점을 써 보자.


예시 답 •인간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이 언어에 담겨 있을까?
•국어와 다른 언어 사이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을까?

⑴ 언어와 국어 13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3 2019. 11. 5. 오후 3:19


수업 PPT

언어와 우리의 삶
학습 요소 ● 언어와 사고ㆍ사회ㆍ문화의 관계

발견 하기

예시 답 인간의 언어와 동물의 언어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동물은 소리, 몸짓 등을 언어
로 활용하고, 인간은 소리와
몸짓뿐 아니라 내용(의미)과
형식(말소리)의 결합으로 이루
어진 언어를 활용한다.
•동물의 언어는 한정적이지만,
인간의 언어는 새로운 상황을
나타내는 단어와 문장을 무한
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

참고 동영상 돌고래는 2만 헤르츠(Hz) 이상의 초음파를 내어 꿀벌은 춤을 추면서 동료들에게 먹이의 위치, 거
〈꿀벌의 춤〉 동료들과 의사소통을 한다. 리 등을 알려 준다.

언어의 정의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
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언어(言語)는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인간이 생각과 느낌을 나
언어의 일반적인 정의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
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 타내는 데 사용하는 음성, 문자 등의 기호 체계를 말한다. 언어는 인간을 인간답게
습적인 체계.(표준 국어 대사
전) 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 언어의 개념
•언어란 인간의 사회적 교섭
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의적 동물도 소리, 몸짓 등으로 의사소통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간의 언어
음성 기호의 체계다.(Bloch &
Trager) 가 동물의 의사소통 체계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내용(의미)’과 ‘형식(말소리)’ 5
•언어란 의사소통의 수단이며, 언어의 자의성
이것은 의미 내용과 음성 표 이 분리되어 서로 필연적 관계에 있지 않고, 새로운 상황을 나타낼 수 있는 단어와
현을 가진 단소(單素)와 음운 언어의 창조성
으로 분석되는데 그 성질과
문장을 무한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이다.
상호 관계는 언어에 따라 다 ▶ 인간의 언어가 동물의 의사소통 체계와 구별되는 특징
르다.(Martinet)

•언어의 자의성 | 언어는 하나의 기호로서 ‘내용(의미)’과 ‘형식(음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둘의 관계
언어의 자의성과 는 필연적이지 않고 자의적이다.
창조성 예 → 한국어: 꽃[꼳], 영어: flower[플라워], 중국어: 花[후아]
•언어의 창조성 | 인간은 한정된 단어를 조합하여 무수히 많은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 ‘꽃’ → ‘꽃이 아름답다.’, ‘아름다운 꽃’, ‘꽃 한 송이만 주세요.’

참고 자료 언어의 특성
기호성 ‘말소리’라는 형식과 ‘의미’라는 내용이 결합한 하나의 기호임.
사회성 그 내용과 형식이 일단 사회 속에서 약속으로 굳어지면 임의로 바꿀 수 없음.
14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역사성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어의 형식과 의미가 변함.
규칙성 음운, 단어, 문장, 담화 단위에서 각 단위 내, 단위 사이의 특정한 규칙이 존재함.
한정된 말소리로 무수히 많은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있으며 단어를 조합하여 무수히
창조성
많은 새로운 문장을 만들 수 있음.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4 2019. 11. 5. 오후 3:19


인간은 언어를 통해 사고력을 키우고, 사회를 이루어 생활하며, 문화를 형성하 사고
고 발전시켜 나간다. 이렇게 볼 때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는 서로 밀
접한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언어와 ‘사고’, ‘사회’, ‘문화’의 관계 언어

사회 문화

 언어는 사고·사회·문화와
1 언어와 사고 밀접한 관계에 있다.

5 언어는 인간의 사고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반대로 인간의 사고가 언어에 반영
언어와 사고의 관계
되기도 한다. ‘고운 말을 사용하면 마음도 고와진다.’라는 말은 언어가 사고에 영향 참고 동영상
〈언어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을 미친다는 생각이 담긴 표현이고, ‘저기여기’나 ‘국외내’와 같은 표현보다 ‘여기저
기’나 ‘국내외’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은 말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표현
일반적으로 사람은 자신에게 가까운 것들을 먼저 인식함.
하고자 하는 사고가 언어에 반영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 언어와 사고의 관계

10 아이들이 말을 배우는 과정을 살펴보면「아기 때는 “밥.”처럼 하나의 단어를 이용


「」: 언어 능력과 사고력 발달의 관계를 보여 주는 예
하여 말한다. 그러다가 좀 더 자라면 “밥 주세요.”처럼 문장으로 말하고, 더 시간이
지나면 “배고픈데 밥 주세요.”와 같이 상황을 더 자세히 표현한다.」 이처럼 인간은
언어 능력이 발달하면서 사고력도 함께 발달하게 되고, 또 복잡한 사고를 할 수 있
게 되면 수준 높은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된다. ▶ 언어와 사고는 상호 영향을 미침.

15 2 언어와 사회
언어의 다양한 모습
언어 표준어
언어는 인간이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며 발전하게 하는 수단이다. 인간은 언어 방언 지역 방언(사
언어와 사회의 관계 ①
투리): 지리적
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서로 문제를 해결하면서 살아간다. 또한 그 요인에 따른
차이
렇게 이루어 낸 사회를 더욱 발전시켜 다음 세대로 이어지게 한다. 그리고 이 과정 사회 방언: 시
대, 나이, 성
에서 언어는 그 사회를 이루며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반영하게 된다. 별, 계층 등 사
언어와 사회의 관계 ② ▶ 언어와 사회의 관계 회적 요인에
20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는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그에 따라 따른 차이

사용하는 언어의 양상도 다르다. 언어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지리적 요인
기도 한다. 예를 들어 ‘부추’는 지역에 따라 ‘정구지(경상, 전북, 충
청), 졸(충청), 솔(경상, 전남), 분추(강원, 경북, 충북), 쉐우리(제

주), 염지(함경)’처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언어
25 한편 같은 지역에 살더라도 시대, 나이, 성별, 계층, 직업 등에
사회적 요인
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부모 세대
 ‘부추’를 가리키는 지역 방언인 ‘정구지’를 알아듣지
참고 자료 언어와 사고의 상호 작용 못하면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언어가 먼저
비고츠키는 아이들이 구어 활동을 먼저 하고 이후에 인지적 발달이 가능해진다고 주장했다. 이보다
강한 어조로 사피어와 워프는 한 개인이 학습한 어휘와 언어 구조는 개인이 사건, 개념 등을 명명하
⑴ 언어와 국어 15
고 분류하는 방법을 미리 결정하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세계를 인식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피아제는 사고가 언어보다 먼저 발달함을 주장하였다. 사고가 먼저 발달하고, 아동의 초기 인지 개
사고가 먼저
념들이 이후 자신들의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필요한 구조를 형성한다고 설명하였다.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5 2019. 11. 5. 오후 3:19


참고 동영상 와 자식 세대가 사용하는 언어가 조금씩 다르고 의학, 건축, 법률 등 각 직업 분야
〈언어와 문화〉
에서 사용하는 말이 다른 것은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보여 주는 예이다.
▶ 시대, 나이, 성별, 계층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언어
참고 URL
EBS 지식채널e 〈비공식 세계
어 사전〉
(http://www.ebs.co.kr/tv/
s h o w?p r o d I d=352&l e c t 3 언어와 문화
Id=10636444)
문화의 개념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삶과 정신, 곧 문화를 반영한다. 「언어마다
한 사회 안에서 사회 구성원 언어와 문화의 관계 ①

에 의해 습득ㆍ공유ㆍ전달되는
형제자매를 나타내는 어휘 양상을 살펴보면, 영어에서는 성별에 따라서만 구분하 5
「」 :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보여 주는 사례 ①
행동 양식이나 생활 양식의 과
여 나타내고, 중국어는 성별과 손위·손아래에 따라 구분하여 나타낸다. 우리말은
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이루어
낸 물질적ㆍ정신적 결과물을 통 형제자매의 성별 및 손위·손아래뿐 아니라 부르는 사람의 성별에 따라서도 구분하
틀어 이르는 말이다.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
여 나타낸다.」 이는 형제자매 안에서도 남녀와 상하 관계를 더 뚜렷이 구분하던 우
문, 예술, 제도 등을 모두 포함 리 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문화를 반영하는 언어의 사례 ①
한다.

영어 brother sister

예시 답
중국어 哥哥 弟弟 姐姐 妹妹
•한국어는 높임법이 다른 언어
에 비해 매우 세분화되어 있
는데, 이는 어른을 공경하고 한국어 형 오빠 아우 (남)동생 누나 언니 누이 (여)동생
다른 사람에게 예의를 갖추는
것을 중시하는 문화가 언어에
반영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불고기’, ‘김치’ 같은 음식 이
름이나 ‘저고리’, ‘마고자’ 같
은 옷의 명칭은 우리 고유의
식문화와 의복 문화가 반영된
사례이다.

姐姐

 한국어에서는 여자 형제를 가리킬 때 성별과 손위·손아래뿐 아니라 부르는


사람의 성별도 고려하여 ‘누나’ 또는 ‘언니’로 부른다.

또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 사는 이누이트족의 언어에 눈을 구별하여 나타내는 어 10
「」 :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보여 주는 사례 ②
휘나 흰색을 나타내는 어휘가 많다는 것, 사면이 바다인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언어에 모래와 관련된 어휘가 많다는 것」 또한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보여 주는 예
이다. ▶ 문화를 반영하는 언어의 사례 ②

한편 언어는 문화를 발전시키는 수단이 된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문화를 이루어


언어와 문화의 관계 ②
내고 축적해 왔으며, 언어를 도구로 하여 이러한 문화적 산물을 다음 세대에 전승 15

해 왔다. 따라서 언어를 배우는 것은 문화를 배우는 것으로 이어지며, 언어 또한 그


자체로 문화로서의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문화를 발전시키는 수단인 언어

16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6 2019. 11. 5. 오후 3:19


수업 PPT

1 가 와 나 를 보고,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이해하는 활동을 해 보자.


4세 17세 물을 가열하면
기화되면서 부피가 약
1,244배 증가한다.
지도 방안
(가)를 보고 인간의 언어 발달 물은 산소와
과 인지 발달 간의 관계로 추 물 뜨거워. 수소가 결합한
론하게 한다. (나)를 읽고 같은 것이다. 컵에 물 좀
그림, 혹은 대상에 대해서도 어
떻게 명명하느냐에 따라 그에 따라 줄래?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하게 한다. 이를 통해 언어 물.
와 사고가 서로 영향을 미친다
는 것을 발견하도록 지도한다.

나 미국의 한 심리학자는 참가자에게


아령
안경
같은 그림을 놓고 한 집단에는 ‘아령’, 다

른 집단에는 ‘안경’이라고 써서 보여 주었 모래시계


탁자

다. 그림을 치우고 그 그림을 기억해서


전등갓
물병
다시 그려 보라고 하자, 참가자들은 자신

이 본 글자와 유사하게 그림을 왜곡해서

그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⑴ 가 에서 나이에 따라 언어 표현이 달라지는 까닭을 인간의 사고와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예시 답 4세 아동은 언어를 배우고 인지 능력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물.’, ‘물 뜨거워.’와 같이 단순한
언어를 구사한다. 이후 언어를 도구로 하여 여러 가지 정보들을 익히고 사고력이 발달하면서 이를 더 복잡한 언
어로 표현할 줄 알게 된다. 따라서 17세 청소년은 물에 대해 4세 아동보다 더 자세하고 많은 정보를 언어로 표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고력과 언어 능력이 서로 영향을 미치며 발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⑵ 나 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언어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말해 보자.


예시 답 (나)의 실험 결과는 인간은 언어를 이용하여 사물을 범주화하기 때문에 동일한 그림이라도 어떤 이름이
붙어 있느냐에 따라 다르게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⑶ ⑴ 과 ⑵ 를 바탕으로 하여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언어와 사고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 언어 능력이 발달하면 사고 능력도 발달하고, 사고 능
력이 발달하면 언어 능력도 발달한다.

⑴ 언어와 국어 17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7 2019. 11. 5. 오후 3:19


2 다음 기사를 읽고,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활동을 해 보자.

지도 방안
사회 현상과 관련된 신조어에
대해 설명하는 기사를 읽고 언
1인 가구 시대가 점차 증가 추세에 있 같은 즉석 음식점에서 배달이 가능한 지
어와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최근에 화제가 된 사 다. 그러다 보니 이제는 1인 가구에 대한 역을 ‘벅세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모
회 현상이나 학생들의 관심 분
야와 관련된 사례들을 찾아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 두 1인 가구 시대를 반영하는 신조어들
고, 이를 통해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탐구할 수 있게 지도한 는 물론 영화에서도 1인 가구가 아주 많 이다. ▶ 1인 가구 시대를 반영하는 신조어들
다.
이 묘사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1인 가구가 증가하는 것은 혼자
▶ 1인 가구의 증가
핵심 정리 이와 함께 각종 신조어도 등장하고 있 사는 것이 편해서라고만 생각하기 쉽다.
갈래 기사문
성격 설명적, 정보 전달적 다. 무엇인가를 혼자 하는 사람들이라는 그러나 그보다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크
제재 사회 현상과 신조어 뜻의 ‘혼족’이라는 용어가 생기면서 혼자 다. “최근 1인 가구의 급증 원인은 무엇
1인 가구의 증가와 이 ‘혼(자)’+‘족(族)’
주제 를 반영하는 다양한 밥을 먹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혼밥족’, 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고용
신조어
•‌사회 현상에 대한 혼자 여행을 가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혼 불안 및 경제 여건 악화’라는 답변이 60%
정보를 객관적으로
전달함.
행족’, 혼자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을 가 로 가장 많았다. ‘개인주의의 심화’는
특징
•‌사회 현상의 원인을 리키는 ‘혼캠족’ 등의 신조어가 등장했 25%였다. 즉, 고용 불안 및 경제 여건 악
설문 조사 결과를 1인 가족 증가의 주요 원인
바탕으로 분석함. 다. 또, 편의점 도시락으로 식사하는 사 화 등으로 인해 혼자 사는 것이 편하다고
람들을 ‘편도족’이라고 부르고, 햄버거 생각하는 사람이 증가한 것이다.
▶ 1인 가구 증가의 원인
- 《뉴스워치》 2016년 9월 29일 자 기사

참고 자료
⑴ 이 기사에 제시된 단어들은 우리 사회의 어떤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지 말해 보자.
1인 가구
가구원이 한 명인 가구 예시 답 1인 가구가 증가하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짙어지는 사회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로, 2000년대 이후 결혼
시기가 늦춰지고 이혼율
증가와 함께 사회가 고령
화되면서 1인 가구수의 비
중이 높아지고 있다.

⑵ 다음 자료를 참고하여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보여 주는 사례를 유형별로 더 찾아


보자.

인식의 변화 지역의 차이 직업에 따른 전문 용어

• 청소부 환경미화원 골뱅이 의학 용어


• 파출부 가사 도우미 • ‘고둥’의 방언 (강원). • 이데마

• 보모 보육사, • ‘다슬기’의 방언 (강원). • 코마

 육아 도우미 • ‘달팽이’의 방언 • 바이탈


(강원, 경상, 함경).
• 이아르(ER)
• ‘우렁이’의 방언 (강원).

예시 답

18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인식의 변화: 보험 외판원 → 재무 설계사, 축산학과 → 동물자원학과
•지역의 차이: 개구리 - 가개비(제주), 개구락지(충청, 강원), 깨고래기(전북, 충남), 머구리(함경), 먹장구(평안)
•직업에 따른 전문 용어: 경제/금융 용어 - 사이드카, 어닝 쇼크, 코스피 지수, MMF 등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8 2019. 11. 5. 오후 3:19


3 다음 글을 읽고, 언어와 문화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자.

지도 방안
한국어의 ‘모, 벼, 쌀, 밥’과 영
어의 ‘라이스(rice)’를 예로 들어 영어의 ‘라이스(rice)’는 꽤 불친절한 단어이다. 때로는 ‘벼’, 때로는 ‘쌀’, 때로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에 문화 ‘모’, ‘벼’, ‘쌀’, ‘밥’을 모두 가리켜서 의미 해석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가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 ‘밥’을 뜻한다. ▶ 영어의 ‘라이스’가 가리키는 우리말 의미
는지 이해하는 활동이다. 언어 = 쌀알, 쌀의 하나하나의 알.
를 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해야 갈무리해 놓은 낟알 중에 실한 놈을 잘 말려 겨울을 난 후 싹을 틔워 못자리에 붓
하는 까닭에 대해 생각해 볼 물건 따위를 잘 정리하거나 간수함. 볍씨를 뿌리어 모를 기르는 곳.
수 있도록 지도한다. 는다. 적당한 길이만큼 자라면 모를 찌어 모내기한다. 애벌, 두벌, 세 벌의 김을 매
= 볏모, 옮겨 심기 위하여 기른 벼의 싹.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일. 논밭에 난 잡풀.
핵심 정리 며 잘 키우면 그것이 벼다. 가을이 되어 알곡이 누렇게 익고 이삭이 고개를 숙일 때
갈래 설명문
성격 설명적, 예시적
쯤 베어 낟알을 떨어내면 그것도 벼다. 방앗간에서 왕겨를 벗겨 내면 현미가 되고
제재 쌀
다시 몇 차례 등겨를 벗겨 내면 백미가 되는데 이것을 쌀이라 부른다. 쌀을 안쳐 불
쌀을 부르는 다양한
주제
명칭이 있는 한국어 을 때다가 뜸을 들이면 비로소 밥이 된다. ▶ 낟알이 밥이 되는 과정
한국어와 영어의 예를
들어 우리 민족에게 이처럼 우리말에서는 모, 벼, 쌀, 밥 등으로 세세히 분화되어 있는데 영어에서는
특징
밥이 지니는 의미를
효과적으로 설명함. 그저 라이스일 뿐이다. 삼시 세끼 밥을 먹지 않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영어를 탓할
언어에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가 반영되어 있음을 보여 줌.
것이 아니라 밥에 대한 우리의 애착을 다시 볼 일이다.
▶ 영어와 달리 밥과 관련하여 분화된 표현을 지닌 우리말
‘요리를 하다’와 마찬가지로 ‘밥을 하다’라는 말을 쓰기도 하지만 ‘밥을 짓다’가 제

격이다. 음식은 그저 ‘만들다’라는 동사를 쓰면 되지만 밥만은 ‘만들다’를 쓰지 못하

고 ‘짓다’를 쓴다. ‘짓다’는 집, 옷, 짝, 농사, 매듭, 이름, 죄 등을 목적어로 삼아 ‘만

들다’보다 좁은 영역에서 쓰이지만, 훨씬 더 중요한 대상에 대해서 쓴다. 밥도 ‘짓

다’를 쓰니 밥이 우리의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가늠할 수 있다. ‘뜸’은 밥을 지을

때만 활용하게 되는 독특한 조리법인데, 그 뜸이 일상에서 ‘뜸을 들이다’라는 말로


일이나 말을 할 때에, 쉬거나 여유를 갖기 위해 서둘지 않고 한동안 가만히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쓰이고 있으니 이 역시 밥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 이래저래 밥이 얼마나 큰 비중

을 가진 말인지 확인할 수 있다. ▶ 밥의 중요성이 반영되어 있는 우리말 표현

우리에게 밥은 그저 음식 중의 하나가 아니라 음식 전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밥


‘음식’을 대유법으로 표현할 때 ‘밥’이 쓰임.
이 있어야 국과 찌개, 그리고 반찬이 의미가 있다. 밥이

밥상의 중심이기에 밥이 결국 음식 전체를 의미하게 되

었다. 밥은 우리 삶의 원천이자 음식의 출발점이다.


▶ 우리 삶의 원천이자 음식의 출발점인 밥
- 한성우, 《우리 음식의 언어》

⑴ ‘모, 벼, 쌀, 밥’이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모: 논에 옮겨 심기 위해 싹을 틔운 벼.
•벼: ① 모가 자란 것. ② 쌀의 껍질을 벗기기 전의 낟알.
•쌀: 벼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맹이.
•밥: ① 쌀에 물을 붓고 알맞게 끓여 익힌 먹을거리. ② 끼니로 먹는 먹을거리.

⑵ 영어의 ‘라이스(rice)’에 해당하는 말이 우리말에서는 다양하게 나타나는 까닭을 문


화적 관점에서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우리나라는 쌀을 주식으로 먹는 음식 문화와 벼를 경작하는 농경 문화가 발달하면서 벼를 키우는 과정과
밥을 짓는 과정에 따라 동일한 대상을 다르게 부르는 명칭이 분화하여 발달하였다.
⑴ 언어와 국어 19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19 2019. 11. 5. 오후 3:19


수업 PPT

국어의 특성
학습 요소 ● 국어의 언어적 특징
●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과 발전

발견 하기
예시 답 다음 국어 문장과 영어 문장의 차이를 생각해 보자.
•국어 문장은 ‘주어 - (부사어)
- 목적어 - 서술어’의 어순으
로 나타나지만 영어 문장은
‘주어- 서술어 - 목적어’의 어
순으로 나타난다. 나는 할머니께 선물을 드렸다.
•국어 문장은 높임을 나타내는 I gave grandmother a present.
표현(조사 ‘께’, 동사 ‘드리다’)
이 사용되지만 영어 문장은
그러한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다.

1 국어의 특징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언어는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공통적 성질을 지니지만, 각 언


어는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특수한 성질을 지닌다.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도 다른 언
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지니는데, 크게 음운, 어휘, 문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지니는 국어

국어 음운의 특징 5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국어의 자음은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ㅈ, ㅉ, ㅊ’처럼 예사소리,
•예사소리: 구강 내부의 기압 국어 음운의 특징 ①
및 발음 기관의 긴장도가 낮 된소리, 거센소리가 서로 대립한다.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같은 대부분의 서양 언
아 약하게 파열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 등.
어에서 ‘g, k’, ‘d, t’, ‘b, p’처럼 울림소리와 안울림소리가 대립하는 것과 차이가 있
•된소리: 후두 근육을 긴장하
면서 기식이 거의 없이 내는
자음. ‘ㄲ’, ‘ㄸ’, ‘ㅃ’, ‘ㅆ’, ‘ㅉ’
다. 그리고 마찰음 ‘f, v, th’에 해당하는 자음이 없어서 ‘free’는 ‘프리’, ‘violin’은 ‘바
국어 음운의 특징 ②
등.
•거센소리: 숨이 거세게 나오 이올린’, ‘thrill’은 ‘스릴’로 적는다. 또 국어 음절의 첫소리에는 둘 이상의 자음이 오 10

는 자음. ‘ㅊ’, ‘ㅋ’, ‘ㅌ’, ‘ㅍ’ 등. 국어 음운의 특징 ③


지 못해 ‘spring’을 ‘스프링’으로 적는다. ▶ 국어 음운의 특징

국어 어휘의 특징

국어의 어휘는 크게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나뉜다. 한자는 고조선 시기에 중


국어 어휘의 특징 ①
국에서 들어와 쓰이기 시작했으며, 오늘날에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표제어
가운데 한자어가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그 수가 많다. 그 밖에 외국에서 들어 15
참고 자료 변별적 자질

20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변별적 자질이란 언어적 의의가 있는 차이를 나타내 줄 수 있는 음성적 특질들을 말한다. 영어에서 최소 대립쌍
인 pin과 bin의 첫 음끼리를 비교해 보면 유성 자질(voiced) 유무의 차이가 있다. 이것은 의미의 차이를 일으키는 대립
(opposition)이므로 변별적 자질이다. 한편, 우리 국어에서는 ㅂ[p], ㅃ[p’], ㅍ[ph]들끼리는 각각 다른 변별적 자질을 가진
음소들로 구별되어야 하나, 유성음은 잉여 자질일 뿐 ㅂ을 [p]나 [b] 어느 쪽으로 발음하여도 의미에는 변함이 없다.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0 2019. 11. 5. 오후 3:19


와 국어의 일부가 된 외래어도 많은데, 특히 최근에는 서양의 여러 언어에서 들어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
발달의 예
온 말들이 많다. 다음으로 국어에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 의성어와 의태어, 영어의 ‘aunt’ → 큰어머니, 작
국어 어휘의 특징 ②
은어머니, 이모, 고모
색채어 등이 발달해 있다. ▶ 국어 어휘의 특징

국어 문법의 특징

5 국어의 문장은 대체로 ‘주어- 목적어-서술어’의 어순으로 나타난다. 이는 영어나 교착어


국어 문법의 특징 ①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
중국어 문장이 ‘주어-서술어- 목적어’의 어순으로 나타나는 것과 차이가 있다. 국 또는 어간에 문법적인 기능을

어에는 조사와 어미가 다양하게 발달해 있다. 국어에서는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 가진 요소가 차례로 결합함으
용언 및 서술격 조사가 활용하여 변하는 부분. 로써 문장 속에서의 문법적인
는 부분에 조사와 어미를 첨가하여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런 점에서 역할이나 관계의 차이를 나타
국어 문법의 특징 ② 내는 언어.
국어는 교착어에 속하는 언어로 분류된다. 또 국어의 문장에서는 꾸미는 말이 꾸밈 예 한국어, 터키어, 일본어, 핀
= 부착어, 점착어, 첨가어 국어 문법의 특징 ③
10 을 받는 말 앞에 온다.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등 높임 표현이 복잡 란드어 등
국어 문법의 특징 ④
하게 발달해 있는 것도 국어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 국어 문법의 특징

언어별 사용자 수 순위 단위: 백만 명(2016년 기준)

1 중국어 1,302

2 세계 속의 한국어
2 스페인어 427
3 영어 339
4 아랍어 267
5 힌두어 260

한국의 경제가 성장하고 한국 문화의 우수성이 전 세계에 알려지면 6 포르투갈어 202


7 벵골어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진 이유 ①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진 이유 ② 189
8 러시아어
서 한국어도 세계의 주요 언어로서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2016년
171
9 일본어 128
10 란다어 117

15 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약 7,700만 명으 11


12
자바어 84.3

한국어 77.3

출처: 에스놀로그(2017)
로, 한국어는 세계에서 열두 번째로 많은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 세계에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한국어 단위: 명
세종학당 수강생 증가 추이 49,549
또한 세계 각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
어나고 있다. 세종학당과 같은 한국어 교육 기관이 세계 곳곳에 세워
22,297
지고 있으며 해외의 여러 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좌를 개설하고, 세계
20 각국의 초·중·고등학교에서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여 가르 6,016
740
2007 2010 2013 2016 (년)
치고 있다. 또 국내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 와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출처: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2017)

외국인과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에 응시하는 지원자들도 해마다 한국어 능력 시험 응시자 수 증가 추이 단위: 명

재외 동포 및 외국인의 한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ㆍ평가하는 시험. 25만


늘어나 한국어의 세계화를 실감하게 한다. ▶ 한국어 학습자 수의 증가
20만

한국어가 세계의 주요 언어로서 위상을 높이려면 한국어


25 를 잘 다듬고 발전시켜 나가는 한편, 한국어와 한국 10만

한국어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방법 ①


문화의 관계를 더 폭넓고 깊이 있게 이해하려는
0
한국어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방법 ② 1997 2009 2016
(년)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 한국어의 세계 속 위상을 높이는 방법 출처: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2017)
참고 자료 고립어, 굴절어
언어를 형태론적 특징에서 볼 때에, 어형 변화나 접사 등이 없고, 그 실현 위치에 의하여 단어가 문
고립어
장 속에서 가지는 여러 가지 관계가 결정되는 언어. 중국어, 타이어, 베트남어 등이 있다. ⑴ 언어와 국어 21
형태론적 특징으로 본 언어의 한 유형. 어형과 어미의 변화로써 단어가 문장 속에서 가지는 여러 가
굴절어
지 관계를 나타내는 언어를 이른다. 인도ㆍ유럽 어족에 속한 대부분의 언어가 이에 속한다.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1 2019. 11. 5. 오후 3:19


수업 PPT

1 다음 자료를 보고, 국어 음운과 어휘의 특징을 탐구해 보자.

가 fighting [fáiti] Macbeth [mkb]

지도 방안
우리의 것!
국어의 음운, 어휘가 갖는 특징 체육 대회 우승은
!
을 알아보는 활동이다. (1)에서 2학년 3반 파이팅
는 한국어와 영어의 음운 체계
가 다름을 이해하고, 외래어 표
기법 규정을 참고하여 답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에서는 시
수능 만점 받으세요.
와 같은 문학 작품을 예로 들 선배님, 화이팅!
어 국어 어휘가 갖는 특징을
찾아볼 수 있게 지도한다.

나 국어에는 색채어가 발달해 있다. 노란색만 하더라도 ‘노랗다, 노르스름하다, 노

르께하다, 노르끄레하다, 노릇노릇하다, 누렇다, 누르스름하다, 누르끄레하다, 누

르칙칙하다, 샛노랗다, 싯누렇다’처럼 다양하게 느낌의 차이를 드러낼 수 있다.

참고 자료 〈외래어 표기법〉 ⑴ 가 를 통해 알 수 있는 국어 음운의 특징을 설명해 보자.


제2장 표기 일람표에서 국제
예시 답 (가)는 영어의 ‘fighting’을 ‘파이팅’이나 ‘화이팅’, ‘Macbeth’를 ‘맥베스’나 ‘맥베드’로 표기하기도 하는 현상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을 보여 주고 있다. 이렇게 ‘f’를 ‘ㅍ’이나 ‘ㅎ’, ‘th’를 ‘ㅅ’이나 ‘ㄷ’으로 서로 다르게 표기하는 것은 국어 음운에 영어
한글 의 ‘f’나 ‘th’에 해당하는 자음이 없기 때문이다.
국제
자음 앞
음성
모음 앞 또는
기호
어말
f ㅍ 프
θ ㅅ 스

⑵ 나 를 참조하여 국어 어휘의 특징을 보여 주는 사례를 더 찾아 정리해 보자.

사례: 예시 답 ‘졸졸 - 줄줄, 반짝반짝 - 번쩍번쩍’ 등 / ‘형, 동생, 아우, 언니, 오빠, 누나, 누이’ 등

예시 답 의성어와 의태어가 발달해 있다. /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가


국어 어휘의 특징: 발달해 있다.

22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2 2019. 11. 5. 오후 3:19


학습 활동지

2 다음 자료를 보고, 국어 문법의 특징을 탐구해 보자.

지도 방안 ⑴ 가 의 영어 문장을 나 와 같은 국어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까닭을 어순과 조사의


국어 문장과 영어 문장을 비교
하여 국어 문법의 특징을 파악 쓰임을 중심으로 설명해 보자.
하는 활동이다. 교과서에 제시
된 항목 외에도 영어와 국어를
비교하여 그 밖의 특징을 찾아 나
낼 수 있게 지도한다. 가
팀이 제니퍼를 좋아한다.
Tim likes Jennifer.
제니퍼를 팀이 좋아한다.

예시 답 국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의 기본 어순을 가지지만, 조사가 발달하여 어순의 변화가 자유로운 편이


다.

⑵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는 국어의 특징을 영어와 비교하여 이야기해 보자.

수식어의 자리

•새 책
국어 예시 답
•내가 어제 산 책
국어에서 수식어는 아무리 길어
도 반드시 수식을 받는 말 앞에 온
•a new book
영어 다.
•the book which I bought yesterday

높임 표현

•감사합니다, 선생님.
국어
•고마워, 꼬마야. 예시 답
국어에서는 듣는 사람이 누구인
•Thank you, sir. 지에 따라 높임 표현이 달라진다.
영어
•Thank you, little boy.

참고 자료 ⑶ ⑴과 ⑵에서 탐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영어와는 다른 국어의 특징을 더 조사


가주어
일부 언어에서, 문장 구 하여 발표해 보자.
조를 완전히 갖추도록 하 예시 답
기 위하여 설정하는 형식 •국어는 교착어로 조사와 어미가 문장에서 문법적 기능을 한다. 반면 영어는 굴절어로 단어 자체의 형태 변화로
적 주어. 가주어를 쓰는 대 문법성을 나타낸다.
표적인 언어로는 영어가 •국어는 주어가 나타나지 않는 문장이 흔하고, 주어를 찾기 어려운 문장도 많이 사용된다. 영어와 같이 주어를 꼭
있다. 갖추어야 하는 언어에서는 문장에 가주어를 붙인다.

⑴ 언어와 국어 23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3 2019. 11. 5. 오후 3:19


3 다음 자료를 보고, 한국어의 위상과 발전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자.

지도 방안 가 세종학당 설립 현황(2017년 7월 기준)


(가)는 전문적인 한국어 교육
기관인 세종학당이 전 세계적 아시아
17개국 96학당
으로 설립되어 있음을 보여 주
는 지도이고, (나)는 한국어에
유럽
관심을 가지고 배우는 세계인
을 인터뷰한 영상 자료이다. 이 18개국 42학당

자료들을 통해 한국어의 세계 동해

적 위상을 이해하고 한국어의 아메리카


발전 방안을 탐구해 볼 수 있 오세아니아 11개국 23학당
도록 지도한다. 2개국 4학당
아프리카
6개국 6학당

- 세종학당 누리집(2017)

참고 URL 나
EBS 한글날 특집 〈한국어, 세
계인의 언어를 꿈꾸다〉
(http://www.ebs.co.kr/tv/
show?prodId=6785&lect
Id=10579471)

저는 중학교 때부터 한류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한국


어와 한국 방송에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한국어를 배워서 한국 기업에서 일하고 싶습니다. 좋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폴란드 역사와 한국사에는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비슷한 사건을


공부하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 《이비에스(EBS)》 2016년 10월 9일 자 방송

⑴ 가 와 나 에서 알 수 있는 한국어의 위상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 (가)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전 세계적으로 분포해 있음을 알 수 있고, (나)에서는 외국인들이 다양한
이유로 한국어에 관심을 기울이고 한국어를 배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⑵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까닭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한국 드라마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 K-POP이 좋아서, 한국 기업에서 일하기 위해서, 한국 친구들을 사
귀기 위해서 등

⑶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한국어에 자긍심을 가지고 올바른 한국어를 사용하여 한국어의 품격을 높인다.
•한국의 경제와 문화를 더 발전시켜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일이 많아지도록 한다.
24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재외 동포나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쉽고 재미있게 가르쳐 준다.
•누리 소통망[SNS]이나 유튜브와 같은 가상 공간에서도 어문 규범과 언어 예절을 지켜 우리말을 사용한다.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4 2019. 11. 5. 오후 3:19


지도 방안
(1) 언어와 국어
이 단원에서 배운 학습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각 탐구별 중요 개념과 핵
심적인 내용들을 떠올려 보도록 하고, 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
도 좋다. 나아가 앞서 소단원을 시작하면서 궁금했던 점을 얼마나 알게 되었는지 질문하여 학습자가 평가 자료
능동적으로 단원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소단원 평가
- 쪽지 시험
이 단원의 주요 개념과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 보자. - 서술형 평가

언어와 우리의 삶 언어와 사고·사회·문화의 관계


언어는 인간의 사고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반대로 인간의 사고가 언어에 반 영
언어와 사고
되기도 함. 예 ‘고운 말을 사용하면 마음도 고와진다.’, ‘여기저기’나 ‘국내외’

언어는 인간이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며 발전하게 하는 수단이 되며, 사회의 모습


언어와 사회
을 반영함. 예 지역, 시대, 나이, 성별, 계층, 직업에 따라 언어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함.

언어와 문화 언어는 문화적 산물이며, 문화를 발전시키고 전 승 하는 수단이 됨.


예 형제자매 사이를 나타내는 어휘

국어의 특성 국어의 특징
‘ㄱ’, ‘ㄷ’, ‘ㅂ’, ‘ㅅ’, ‘ㅈ’ 등 ‘ㅊ’, ‘ㅋ’, ‘ㅌ’, ‘ㅍ’ 등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서로 대립함.
‘ㄲ’, ‘ㄸ’, ‘ㅃ’, ‘ㅆ’, ‘ㅉ’ 등
음운의 특징 •마찰음 'f, v, th'에 해당하는 자음이 없음.

•음절의 첫소리에 둘 이상의 자 음 이 오지 못함.

•‌국어의 어휘는 크게 고유어, 한 자 어, 외래어로 나뉨.


어휘의 특징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 의성어와 의태어, 색채어가 발달함.

•국어의 문장은 대체로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순서로 나타남.

•조사와 어 미 가 다양하게 발달함. → 국어는 교착어에 속함.


문법의 특징
•국어의 문장에서는 꾸미는 말이 꾸밈을 받는 말 앞 에 옴.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등 높임 표현이 발달함.
예 ‌주체 높임법: 아버지께서 방에 들어오신다.
객체 높임법: 아버지를 방에 모셔다드렸다.
상대 높임법: 아버지, 제가 방에 들어갈게요.

세계 속의 한국어

세계어로서의 한국어의 위상을 알고, 한국어의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 함.

정답 | 반영, 전승 | 자음, 한자, 어미, 앞

⑴ 언어와 국어 25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5 2019. 11. 5. 오후 3:19


(2)
수업 PPT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학 습 목 표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 매체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한다.


•현대 사회의 소통 현상과 관련하여 매체 언어의 특성을 이해한다.

애니메이션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매체
매체의 유형과
특성 탐구 1

뉴미디어의 등장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
현대 사회의
매체 언어 탐구 2

매체 언어의 의미 전달 방식

이 단원에서는 우리가 의사소통에 활용하는 다양한 매체의 유형과 매체의 언


어적 특성을 배웁니다. 이를 통해 매체의 유형별 특성에 맞게 소통하는 방법을 이해해
봅시다.

26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6 2019. 11. 5. 오후 3:19


애니메이션

나는 스마트폰을 어떤 용도로 사용하고 있을까?


예시 답 생각을 여는 질문 그림
•주로 친구들과 대화할 때, 쉬는 시간에 게임할 때 사용한다.
스마트폰에서 흔히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시각화해서 보여
•웹툰 감상이나 동영상 시청 등 여가 시간에 머리를 식히기 위해 사
주는 그림이다. 인터넷, 문자 메시지, 전화, 검색, 카메라 등 스
용한다.
마트폰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어떤 것이 있는지 생각해
•누리 소통망[SNS]에 글과 사진을 올리고, 다른 사람들의 글과 사
보고, 스마트폰을 어떤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지 자유롭게 이야
진을 살펴보는 데 사용한다.
기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사전

?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와 관련하여 더 궁금한 점을 써 보자.


예시 답 •매체는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 왔을까?
•매체 언어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⑵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27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7 2019. 11. 5. 오후 3:19


수업 PPT

매체의 유형과 특성
학습 요소 ● 매체의 유형별 특성
● 뉴미디어의 특성

발견 하기
예시 답
친구와 다투었을 때 어떤 방식으로 사과했는지 떠올려 보고, 왜 그 방식을 사용했는
문자로 사과 → 직접 말하기
에는 쑥스러운 내용을 문자로 지 말해 보자.
는 표현할 수 있고, 이모티콘
등을 활용하여 부드럽게 내 마
음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④ 문자로 사과

① 만나서 사과

③ 전화로 사과

② 편지로 사과 ⑤ 기타

1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매체

매체의 개념

최초의 인류는 주로 음성으로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였다. 이후 문자가 발명되


인류 최초의 문자는 기원전 3100년경 수메르인들이 만든 설형 문자(쐐기 문자)
면서 문자를 활용한 의사소통이 점차 활발해졌다. 오늘날에는 기술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 의사소통 방식의 발전 5

우리가 서로의 생각이나 느낌을 주고받으려면 이를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예를

매체의 정의 들어 길에서 만난 친구에게 “안녕?”이라는 인사를 건네기 위해서는 음성이 필요하


•넓은 의미: 어떤 작용을 한쪽
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고, 멀리 떨어져 사는 친구에게 안부를 전하기 위해서는 휴대 전화가 필요하다. 이
물체. 또는 그런 수단.(표준 국
어 대사전) 처럼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어떤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 혹은 경로를 매체라고 한
•좁은 의미: 인쇄 매체, 녹음 매체의 개념
매체, 대화형 매체, 전자 매체, 다. 즉, 매체는 사람들이 생각이나 정서, 다양한 정보와 지식 등을 전달하고 공유할 10
출판 매체 등을 가리키는 말. 매체의 기능
(위키백과) 언론 및 보도와 관 수 있게 해 주는 것들을 아울러 가리키는 말이다. ▶ 매체의 개념
련된 정보 전달 매체.(두산백
과)

28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8 2019. 11. 5. 오후 3:19


매체의 유형과 특성

우리가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매체는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에서 시작하여 인쇄 매체 → 책, 신문 등

인쇄 매체, 음성 매체, 영상 매체, 뉴미디어 등으로 발전해 왔다. ▶ 매체의 발전

음성 언어에 의한 소통은 말하기를 중심으로 억양, 어조, 몸짓, 표정 등을 통해


비언어적·준언어적 표현
5 의미를 주고받는 소통 방식이다. 대체로 사람들 사이에 직접 만나서 이루어지는 면
대 면 소통으로, 다른 시·공간에 있는 사람과는 소통이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음성 언어의 한계 → 문자 언어로 극복함.
문자를 사용하면서 지식을 기록하고 축적하여 보존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음성
언어의 한계였던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의 특징
이후 인쇄 기술의 발달로 책을 대량으로 출판하고 유통할 수 있게 되었고, 신문
지식이 대중화될 수 있었던 원동력
10 과 같은 새로운 인쇄 매체가 등장했다. 인쇄 매체는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사진, 그
음성 매체 → 라디오 등
림 등의 시각적 이미지를 함께 활용하는데, 이를 통해 시·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
는 필자와 독자의 간접적 소통이 이루어진다. ▶ 인쇄 매체의 특징

전자 기술이 발달하면서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소리, 음성,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을 대량으로 전송할 수 있는 매체가 등장했다. 라디오와 같은 음성 매체와
많은 사람에게 대량의 정보를 전달함. → 대중매체(매스미디어, mass media):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 등
15 텔레비전, 영화 등의 영상 매체가 그것이다. 음성 매체는 정보의 전달 속도가 빠르
지만 시각적 정보를 처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영상 매체는 음성 매체
가 전달할 수 있는 정보에 문자와 이미지, 영상 등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정보를 현
영상 매체 → 텔레비전, 영화 등
장감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대
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 음성 매체와 영상 매체의 특징

노트북 컴퓨터

뉴미디어 → 스마트폰, 온라인


신문, 블로그, 누리
소통망 등

스마트 시계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⑵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29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29 2019. 11. 5. 오후 3:19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 등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대량의 정보를 전달할 수
비특정적 대상, 간접적 소통, 대랑의 정보
있다는 점에서 특정한 사람들 사이의 면 대 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수단
인 음성 언어와 확연히 다르다. 특히 텔레비전, 영화와 같은 영상 매체는 문자 해독
특정적 대상, 직접적 소통, 소량의 정보
능력에 따라 지식과 정보의 수용 정도에 차이가 있는 책이나 신문과 달리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지식과 정보를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쇄 매체보다 큰 영향력을 지 5

닌 매체라고 할 수 있다. ▶ 대량 정보 전달 수단으로서의 음성 매체와 영상 매체

참고 동영상
- 〈스마트폰과 SNS〉 2 뉴미디어의 등장
- 〈천만 송이 재스민〉
기술의 발전이 미래의 의사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과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
소통 매체에 어떤 변화를 가져 뉴미디어의 개념
올지 생각해 보자. 한 디지털 형식의 매체를 뉴미디어라고 부른다. 스마트폰, 온라인 신문, 블로그, 누
예시 답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과 뉴미디어의 예
바로 눈앞에 있는 것처럼 마주하고 리 소통망[SNS] 등이 대표적인 뉴미디어의 예에 해당한다. 뉴미디어는 기존 매체 10
대화할 수 있는 홀로그램 영상 매체
가 개발될 것이다. / 간접 소통에 익 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하기도 하고, 기존 매체들이 새로운 기술
숙해져서 실제로 만나서 대화하는
일이 점점 더 줄어들게 될 것이다. 과 결합하여 더욱 발전된 형태로 구현되기도 한다. ▶ 뉴미디어의 개념

콘텐츠(contents)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사람들은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디지털화한 콘텐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츠를 빠른 시간에 대량으로 만들어 유통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뉴미디어는 여
그 내용물. 유ㆍ무선 전기 통신망 러 사람이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뉴미디 15
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ㆍ부
호ㆍ음성ㆍ음향ㆍ이미지ㆍ영상 등 어는 대량 전달 방식의 소통과 면 대 면 소통, 간접적 소통의 특성을 모두 지닌다.
기존 매체들의 소통 방식을 복합적으로 활용함. ▶ 뉴미디어의 특징
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
리ㆍ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뉴미디어의 등장은 지식과 정보의 생산 및 교환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나아
내용물을 통틀어 이른다. 가 전 세계 사람들이 물리적 한계를 넘어 서로의 관심사를 공유하면서 친밀감과 유
뉴미디어의 정의
대감을 쌓을 수 있게 되었다. ▶ 뉴미디어 등장의 효과
20세기 후반부터 통용된 매
체 연구 용어로서 영화, 그림,
음악, 언어, 문자 등의 전통적
인 전달 매체에 컴퓨터와 통신
기술, 스마트 모바일 기기, 인 ➡ 대표적인 뉴미디어인 누리 소통망[SNS]에서
터넷 등이 갖는 높은 상호 작 는 ‘좋아요’, ‘추천’, ‘공유하기’ 등의 기능을 통해
용성이 더해져 만들어진 새로 다양한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다.
운 개념의 매체를 가리킨다.(위
키백과)

한 걸음 더 누리 소통망[SNS, Socail Network Service]


‘친구 맺기’를 통하여 많은 이들과 웹상에서 만나 각종 관심사와 정보를 교환하고, 사진, 동영상
마이크로 블로그
등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이 있다.
30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모바일 메신저
스마트폰 등 모바일 장치로 이용이 가능한 메신저를 말한다.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텔레그램 등이 있다.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0 2019. 11. 5. 오후 3:19


수업 PPT

1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사소통하는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 주제로 의사소통할 때 활용할 매체를 선택해 보고, 그 매체의 의사소통 유형


누리 소통망[SNS] / 간접적 소통·대량 전달 방식의 소통
을 써 보자. 예시 답

책, 신문, 전화, 사진, 광고, 영화,


지도 방안
인터넷, 누리 소통망[SNS], 기타
주제에 적절한 의사소통 매체
를 선택할 수 있는지, 그 매체
의 기본적인 특성을 알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활동이다. ⑴에 주제: ‌반려동물과 함께
서는 학생들이 교과서에 제시
되지 않은 매체도 선택할 수
생활할 때 고려할 점
있으며, 각 매체의 특성을 고려 나는   을/를 활용해서
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적절하 의사소통을 하려고 해.
게 설명할 수 있게 지도한다.
⑵에서는 선택한 뉴미디어가 이 매체는
요리법 소개에 어울리는 매체    (이)라는 의사소통의
라는 근거를 해당 매체의 특성
을 고려하여 타당하게 설명하 면 대 면 소통, 간접적 소통,
유형에 해당해.
도록 지도한다. 대량 전달 방식의 소통

⑵ ‘나만의 요리법’을 소개할 매체를 다음의 뉴미디어 중에서 선택해 보고, 선택한 까
닭을 말해 보자.

온라인 신문 블로그 누리 소통망[SNS] 인터넷 방송

예시 답 인터넷 방송, ‘나만의 요리법 소개’라는 주제로 소통할 때 인터넷 방송은 직접 요리하는 장면을 생생하게
보여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방송의 실시간 대화 기능을 활용하여 시청자들과 바로바로 소통할 수
있다.
지도 방안
매체의 유형을 구분하고 의사
소통 유형을 중심으로 매체 특
2 매체의 유형별 특성에 유의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성을 비교해 보는 활동이다. ‘
조선 후기 목판본 서적 《심청 가 조선 후기 목판본 서적 《심청전 》
전 》’은 글자를 종이에 찍어 낸
책이라는 점에, ‘누리 소통망
[SNS]’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매체라는 점에 주
목하여 매체 유형을 확인하고
각 매체의 특성을 비교하게 한
전주시청
다.
나 지역 도서전을 알리는
참고 자료
전주시청님이 새로운 사진을 추가하였습니다.
조선 후기 목판본 서적 《심 누리 소통망[SNS]
전주시청 여러분 책 좋아하시죠? 시민 여러분
청전》 @jeonju.kr 들은 다들 한달에 책 두세 권 쯤은 읽으
작자·연대 미상의 대표 시잖아요!
적인 한국 고전 소설로서, 홈 그런 여러분이 좋아하실 만한 책 문화
수십 종의 이본이 있는데 정보 행사 ‘2017 삼례 북페어’가 11월 11일,
경판본 계열과 완판본 계 리뷰 12일 이틀간 완주군 삼례문화예술촌 책
열이 있다. 자료 (가)는 완 사진 마을 일원에서 열립니다. 우리나라 최고
판본 계열에 속한다. 이 소 동영상 수준의 대형 헌책방과 고서점, 카페가
어우러진 문화 공간인 삼례 책마을에서
설의 배경 사상은 효를 강
열리는 이번 행사에 참여해 주세요.
조하는 유교 사상과 인과
응보의 불교 사상이다. 좋아요 댓글 달기 공유하기

⑵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31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1 2019. 11. 5. 오후 3:19


⑴ 가 ‘조선 후기 목판본’과 나 ‘누리 소통망[SNS]’은 어떤 매체 유형에 속하는지 표시
해 보자.

인쇄 매체 음성 매체 영상 매체 뉴미디어

조선 후기 목판본 V

누리 소통망[SNS] V

⑵ ⑴ 의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가 와 나 의 매체 특성을 의사소통 유형을 중심으로 비


교해 말해 보자.
예시 답 인쇄 매체인 《심청전》은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하여 시·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필자와 독자 사이에 간
접적 소통이 이루어진다. 뉴미디어인 누리 소통망[SNS]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많은 양의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고, 여러 사람이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3 다음 인터넷 신문 기사를 읽고, 뉴미디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활동해 보자.

지도 방안
뉴미디어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인터넷 신문 기사를 읽은 뉴스 | 연예 | 스포츠 | 날씨 로그인
다음 의사소통에 참여하고, 인
터넷 신문 기사의 매체 특성을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누리 소 노화 방지의 열쇠 ‘멍게’에 있다
통망[SNS]에 기사를 소개할 때 많이 본 뉴스
는 독자의 관심을 끌 만한 문 기사 입력 2011.05.03. 오전 9:16 기사 원문 스크랩 뉴스 연예 스포츠
장으로 작성할 수 있게 안내한
다. 인터넷 신문 기사의 매체적 [이데일리 ○○○기자] 무성 1 세계 한류 열풍의 주역
특성을 정리하기 위해 종이 신 생식을 하는 일부 생물이 2 독도에서 산 50년
문이나 텔레비전 뉴스와 비교 3 재활용을 위한 방법
해 볼 수 있다. 노화 억제의 비밀을 풀 가 4 살 빼려고 탄수화물
5 싸우고 나서 화해를 못 하는
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미국
6 국제 사회 요구에 정부 개입
의 한 매체가 보도했다. 이 7 대규모 컨테이너선 발주
8 이웃과 이웃 사이 정 문화
에 따르면 스웨덴의 고텐부
9 미래 핵심 인재를 위한
르크대학 연구 팀은 인간의 노화를 억제하는 방법과 관련 10 문화 다양성을 인정하는

해 무성 생식을 하는 해양 동물을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멍게나 불가사리, 히드라는 물론 ‘바다의 불사조’로 알
따뜻한 기부 캠페인
려진 투리토프시스 누트리쿨라(Turritopsis nutricula)
라는 해파리는 스스로 텔로머레이스(telomerase)라는 가족의 품이
유난히
효소를 활성화함으로써 노화를 억제하거나 방지하고 있 그리운 사람들
다는 것이다. 연구 팀은, 무성 생식을 하는 몇몇 생물들은 참여하기

영원히 사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하면서 스스로


회원 가입하면
노화를 억제하는 생물들 가운데 특히 인간의 유전자와 비
저칼로리 아이스크림이

100
슷한 구조를 가진 멍게와 불가사리를 심층적으로 연구하

고 있다고 밝혔다.

32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2 2019. 11. 5. 오후 3:19


질문 게시판

◀◀◀◀ 투리토프시스 누트리쿨라 해파리에 대한 더 많은 정


보는 영상을 클릭하여 확인하세요.

댓글 80

하얀마음 진시황이 지하에서 엄청 부러워하겠네요. ㅎㅎ


늘보 ‌인간이 영원히 사는 법을 발견한다면 행복해질까요? 오히려 재앙이 될 것 같습니다
만… ….

호옹이 이러다가 공상 과학 영화처럼 바다 생물이 지구를 지배하는 날이 오는 것 아닐까요?

답글 2 247 3

링크(link) ⑴ 누리 소통망[SNS] 을 통해 이 기사를 링크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다른 사람들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지정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기사 내용을 소개하는 글을 작성해 보자.
는 파일이나 문자열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걸어 놓은 홈페이지
예시 답 늙지 않는 생명체에 대한 인터넷 기사를 읽었
간의 관련.
다. 인간은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산다는데 이제
그런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영
취소 나의 누리 소통망 게시
원히 살고자 하는 인간의 꿈이 실현될까? 자세한 내용
은 아래의 기사 링크를 클릭하세요! ↓↓
나의 누리 소통망에 게시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
d=01636726596245312&mediaCode\-No=257
하고 싶은 말을 남겨 주세요.

노화 방지의 열쇠 ‘멍게’에 있다

⑵ 이와 같은 인터넷 신문 기사가 지닌 매체적 특성이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도움말
종이 신문 기사, 텔레비전 뉴
스는 같은 내용을 어떻게 전달 인터넷 신문 기사는 댓글로
할지 떠올려 보면서, 인터넷 신 기사에 대한 생각이나 의견을 다른 사람과
문이 지닌 의사소통 방식의 특 공유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징을 생각해 본다.

예시 답
•영상, 사진 등을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인터넷 접속만으로 편하게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다.
•관심이 가는 기사는 따로 저장하거나 누리 소통망[SNS]을 통해 쉽게 공유할 수 있다.

⑵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33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3 2019. 11. 5. 오후 3:19


수업 PPT

현대 사회의 매체 언어
학습 요소 ● 현대 사회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
● 매체의 의미 생산과 전달 방식의 특성

발견 하기
예시 답
다음은 영화 관람 장면이다. 이 영화는 관객에게 어떻게 의미를 전달하고 있는지
이 영화는 영상을 입체적으
로 볼 수 있게 하는 특수 안경 말해 보자.
을 통해 관객들에게 더 실감
나는 영상을 전달하고 있다.
또,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에 관
객이 탑승한 것처럼 효과를 주
기 위해 관람석이 흔들리고 타
이어에서 나는 연기의 냄새를
몸이 흔들리니까
영화관 안에서 맡을 수 있게
하였다. 실제로
자동차에 탄 것 같아!

이건 무슨 냄새지?
타이어가 타고 있나?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

오늘날 매체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소리, 음성, 문자, 이
미지, 영상 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만들어진다. 매체 언어는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 양식을 통합한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음성 언어, 문자 언어와

포디[4D] 영화 같은 개별적인 언어 양식과 구분된다. 이와 같은 매체 언어의 특성을 가리켜 복합 5


소리, 음성,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의 다양한
시청각을 기본으로 한 영화 언어 양식을 통합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특성
양식성이라고 한다. ▶ 복합 양식성의 개념
영상에 기타 물리적인 효과를
더한 영화를 말한다. 영상 속 차 과거의 책이 주로 문자로만 의미를 전달했다면, 오늘날의 텔레비전과 영화는
량의 움직임에 따라 관객의 의
자가 흔들리거나 바다에 빠지 소리, 음성,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이 통합되어 더욱 생생하게 의미를 전달한다.
는 장면에서 물이 분사되는 등
최근에는 영화를 볼 때 필요한 기본적인 감각인 시청각에 물리적인 움직임이나
의 효과를 통해 영화를 실감 나
게 즐길 수 있다. 다른 감각을 접목한 포디[4D] 영화도 등장하였다. 이처럼 오늘날의 매체 언어는 10

34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4 2019. 11. 5. 오후 3:19


여러 가지 언어 양식이 다양하게 결합하여 점점 더 복합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으며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
이를 통해 풍부한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 복합 양식성을 보여 주는 매체 언어의 예

매체 언어의 의미 전달 방식

텔레비전, 영화, 인터넷 등의 매체 언어는 소리, 음성,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을


5 각각의 매체 특성에 맞게 통합하여 의미를 전달한다. ▶ 매체 언어의 의미 전달 방식

특히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매체인 인터넷 방송, 블로그, 누리 소통망[SNS], 웹


툰과 같은 뉴미디어는 소통 방식의 측면에서 이전의 매체와 크게 다르다. 예를 들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뉴미
디어는 어떤 언어 양식을 사용
어 인터넷 방송은 텔레비전 방송과 유사한 방식으로 의미를 전달하지만 여기서 더 하는지 생각해 보자.
대중매체로서 일방향적 소통. 생산자만이 의미를 생산 및 전달하고 수용자(시청자)는 의미를 받아들임.
예시 답 유튜브/ 동영상을 중
나아가 쌍방향적인 특성이 결합하여 시청자가 문자 메시지나 채팅, 실시간 영상 등
심으로 소리, 음성, 이미지, 문
▶ 뉴미디어에서의 매체 언어의 의미 전달 방식 자 등이 결합한 복합 양식적
10 으로 방송에 참여할 수도 있다. 특성을 지닌다.
텔레비전 방송과의 차이점 - 수용자의 참여가 가능함.
최근에는 가상 현실 기술을 접목한 게임이나 영상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대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컴퓨터 기술로 사용자의 시


중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이처럼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적인 경향은 현대 사회 각이나 청각, 촉각 등을 자극해
서 마치 실제로 있는 것처럼 느
의 의사소통에서 점점 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적 경향의 미래 끼게 만든 가상의 현실.

참고 자료 인터넷 방송

인터넷(Internet)과 방송(broadcast)의 합성어로, 기존 텔레비전이


나 라디오가 아닌 인터넷 또는 팟캐스트를 새로운 매개체로 하여 방
송을 송출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 방송과는 달리 인터넷이 연결된 곳
이라면 시청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증권ㆍ스포츠ㆍ음
악ㆍ뉴스 등 다양하고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볼 수 있으며,
시청자와 방송국 사이에 쌍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
이 장점이다. 2018년 한 조사에 따르면 10대가 선호하는 1인 방송 콘
텐츠는 ‘뷰티(31.6%)’, ‘먹방/쿡방(22.6%)’, ‘게임(17.4%)’, ‘토크/캠방
(9.9%)’, ‘기타(7.5%)’순이었다.

➡ 최근에는 VR을 활용하여 스포츠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착용하는 스마트 기기[wearable smart device]’란 몸에 부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기능을 갖춘 장치
착용하는 를 말한다. 티셔츠나 바지 같은 기본적인 의복, 안경, 팔찌, 시계, 신발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
스마트 기기 시계는 가장 대표적인 ‘착용하는 스마트 기기’이다.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연동할 수 있기 때문
에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가상 현실[VR] 안경은 영상 속 장
면이 실제 눈앞에 펼쳐지는 듯한 느낌을 재현하여 영상의 몰입도를 높이는 역할
을 하고 있다.

⑵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35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5 2019. 11. 5. 오후 3:19


수업 PPT

1 다음 상황을 보고, 뉴미디어의 매체 언어적 특성을 알아보자.

가 나
이모, 요즘 살이 빠지신
날이 더워지니
것 같아요.
입맛이 없구나.

이모, 요즘 몸은 어떠세요?
지도 방안
⑴, ⑵는 뉴미디어의 매체 언어
적 특성인 복합 양식성을 이해 괜찮아, 별 문제 없어.
하고, 구체적인 의사소통 상황
에서 적절한 매체 언어를 선택
하는 활동이다. ⑶은 뉴미디어 내일 이모
의 매체 언어가 발전하고 있는 정말 다행이에요. 그래도 좋아하시는 삼계탕
사례를 찾아보는 활동이다. 다 건강 잘 챙기세요! 먹으러 가요!
양한 사례들을 찾아 공유하는
활동이 될 수 있게 지도한다.

⑴ 가 와 나 에서 의사소통의 내용이 달라지는 까닭을 사용한 매체 언어를 중심으로


생각해 보자.
예시 답 (가)는 문자로만 의사소통을 하고, (나)는 영상으로 통화한다. 그래서 (가)는 문자에 드러난 내용만을 가지
고 대화를 이어가지만, (나)에서는 문자로는 알 수 없는 상대방의 표정까지 알 수 있어서 대화의 내용이 달라진다.

⑵ 가 , 나 와 같은 방식을 활용하여 의사소통하기에 적절한 상황을 떠올려 보고, 그


까닭을 이야기해 보자.

가 나

예 내일 만나기로 한 친구와 약속 시간을 확인할 때 예 여행지에서 가족에게 연락할 때


예시 답 도서관에서 혼자 공부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 예시 답 멀리 이사 간 친구의 안부를 물을 때: 잘 지내
겨 집에 있는 친구에게 물어볼 때: 도서관은 책을 읽 고 있음을 서로 확인하고, 실제 만나서 이야기하는 것
는 조용한 곳으로, 소란스럽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 같은 생생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다.

정보 통신 기술과 인터넷의 ⑶ 다음은 실시간 영상으로 여러 명의 친구와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이다. 이와 같


발달에 따라 등장한 스마트폰,
이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뉴미디어의 사례를 찾아 사용한 매체 언어의 특성을
누리 소통망[SNS], 인터넷 방송
등의 매체를 통해 언제 어디서 정리해 보자.
든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해
졌다. •내가 찾은 사례
예시 답 인공 지능 문자 통역 서비스

•사용된 매체 언어의 특성
예시 답 인공 지능 문자 통역 서비스는 청각 장애인의 학업
성취와 직업 교육, 일상에서의 의사소통을 돕는다. 관련 주
제의 수업 내용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목소리 기부를 통
해 녹음하고, 인공 지능의 딥러닝을 활용하여 실제 강의를
문자로 바로 통역해서 제공하는 방식이다. 음성 언어가 문자
언어로 실시간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36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6 2019. 11. 5. 오후 3:19


지도 방안
제시된 만화에서 은솔이는 이
2 웹툰에 사용된 매체 언어를 통해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을 이해하는 활동을 해 보자.

미지뿐 아니라 다양한 매체 언


(은솔이는 스마트폰으로 웹툰을 보고 있다.)
어가 사용된 웹툰을 감상하고
있다. ⑴은 웹툰에 사용된 매
체 언어의 종류를 찾는 활동이
고, ⑵는 이 웹툰과 학습자가
즐겨보는 웹툰을 비교해 보는
활동이다. 이때 학습자의 흥미
를 높이기 위해서 컴퓨터나 스
마트폰을 활용해 직접 비교해
볼 수 있다. ⑶은 주어진 웹툰
은솔
장면에 적절한 매체 언어를 써
보는 활동이다.

헉헉
깜짝이야!

도움말 ⑴ 은솔이가 보고 있는 웹툰에 사용된 매체 언어를 〈보기〉에서 모두 골라 보자.


최근의 웹툰은 단순히 문자와
보기
이미지로만 내용을 전달하던
것에서 벗어나 음성, 영상 등 다 진동(촉각) 소리 음성 이미지 문자
양한 매체 언어를 활용하여 독
자들의 몰입도를 높이고 있다.
예시 답 진동(촉각), 소리, 음성, 이미지, 문자
스마트폰 화면을 누르면 화면이
줌 인(zoom in), 줌 아웃(zoom
out)되거나 상하좌우로 움직이
⑵ ⑴ 의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은솔이가 보고 있는 웹툰이 자신이 즐겨 보는 웹툰과
기도 하고, 스크롤을 내리면 일
부 이미지가 움직이기도 한다. 어떤 점에서 같거나 다른지 매체 언어의 사용 효과를 중심으로 설명해 보자.
또한 성우의 음성이 더해지기 예시 답 대형견과 함께 지내면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소재로 한 〈극한 견주〉라는 웹툰을 즐겨 보는데, 시각적
도 하고, 등장인물의 움직임에 이미지에 의존하는 웹툰의 특성상 이미지와 문자로만 되어 있다. 그런데 은솔이가 보고 있는 웹툰은 이미지와 문
맞추어 진동이 울리거나 배경 자 외에 진동, 소리, 음성 등 다양한 매체 언어가 활용되어 있어 더욱 실감 나게 볼 수 있다. 웹툰을 감상하는 데
시각 뿐 아니라 촉각, 청각과 같은 감각까지 동원되는 것이다.
음악이 재생되기도 한다.
⑶ 다음 웹툰의 각 장면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매체 언어에는 무엇이 있을지 써 보자.

문자(대사), 예시 답 소리(물웅덩이 밟는 예시 답
소리(빗소리, 편의점 문 닫는 소리), 움직이는 이미지(비, 편의
소리, 빗소리), 움직이는 이미 점 문), 촉각(편의점 문이 흔들리는 느낌을 스마트폰 진동을 통해 전달)
지(비, 뛰어가는 인물)

예시 답 문자(대사), 움직이는 이미지(우산)


예시 답 소리(빗소리, 편의점 문 닫는 소리),
움직이는 이미지(비, 우산을 드는 인물)

⑵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37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7 2019. 11. 5. 오후 3:20


3
학습 활동지

매체 언어의 의미 전달 방식을 고려하여 뉴스 영상을 제작하는 활동을 해 보자.

지도 방안 ⑴ 모둠별로 뉴스 영상을 제작할 주제를 선정해 보자.


신문 기사를 뉴스 영상으로 바
꾸는 과정을 통해 매체에 따라
매체의 의미 전달 방식이 달라 청소년의 인권 청소년의 정치 참여 청소년의 경제 활동
진다는 점을 이해하고, 매체에
맞는 매체 언어를 구상해 보
는 활동이다. 주제에 맞는 신문 예시 답 지도서 64쪽 참고
기사를 찾을 때는 신문 기사가
주로 문자에 의존하고 뉴스 영
상은 소리, 음성, 이미지, 영상
등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음 ⑵ ⑴ 에서 선정한 주제에 맞는 신문 기사를 찾아보자.
을 고려해서 뉴스 영상으로 옮
기기에 적절한 신문 기사를 찾

을 수 있도록 한다.

청소년 고용 업소 절반, 근로 규정 위반

예시 답 지도서 64쪽 참고

⑶ ⑵에서 찾은 신문 기사를 활용하여 뉴스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계획서를 작성해 보자.


•‌뉴스 영상 제작 계획서 양식
은 부록 262쪽에 있습니다.
•영상 제목:
교과서 본문에서 부족한 활동지는 이 활동지 양식을 복사해서 사용하세요.

뉴스 대본 활용할 매체 언어
뉴스 영상 제작 계획서 |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 ⑵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 38쪽

•영상 제목:

매체 언어의 예:
뉴스 대본 활용할 매체 언어

음성, 음악, 사진, 문자,


도표, 인터뷰 영상 등

예시 답 지도서 65쪽 참고

262 부록

⑷ ⑴  ~ ⑶ 의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뉴스 영상을 제작하고, 누리 소통망[SNS]에 공유


해 보자.
예시 답 생략

⑸ 우리 모둠에서 만든 뉴스 영상을 다음 항목에 따라 평가해 보자. 예시 답 생략

평가 항목 평가

뉴스 영상을 제작하기에 알맞은 주제를 선정하였는가?

뉴스 영상이라는 매체 특성에 맞게 신문 기사를 적절하게 재구성하였는가?

활용한 매체 언어가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가?

내용을 정확하고 흥미롭게 전달하는가?

38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8 2019. 11. 5. 오후 3:20


지도 방안
(2)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이 단원에서 배운 학습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각 탐구별
중요 개념과 핵심적인 내용들을 떠올려 보도록 하고, 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
록 추가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도 좋다. 나아가 앞서 소단원을 시작하면서 궁금했던 평가 자료
점을 얼마나 알게 되었는지 질문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단원을 마무리할 수 있도
- 소단원 평가
록 유도한다.
- 쪽지 시험
이 단원의 주요 개념과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 보자. - 서술형 평가

매체의 유형과 특성 매체의 개념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어떤 정보를 전달하는 수 단 혹은 경로.
•사람들이 생각이나 정서, 다양한 정보와 지식 등을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 주는 것들의 총칭.

↱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인쇄 매체, 음성 매체, 영상 매체, 뉴미디어 등으로 발전해 옴.


매체의 유형과 특성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사진, 그림 등의 시각적 이미지를 함께 활용하는 매체.

인쇄 매체 예 책, 신문 등
•필자와 독자가 시·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간 접 적 소통임.

•소리,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매체. 예 라디오 등 유선 전화기, 무전기 등도 포함됨.


음성 매체
•특정 사람 혹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대량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

•‌소리, 음성,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을 대량으로 전송할 수 있는 매체.

영상 매체 예 텔레비전 ,영화 등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대 량 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음.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새롭게 등장한 인 터 넷 과 이를 기반으로 한 다


양한 디지털 형식의 매체.
뉴미디어
예 스마트폰, 온라인 신문, 블로그, 누리 소통망[SNS] 등
•대량 전달 방식의 소통, 면 대 면 소통, 간접적 소통의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음.

현대 사회의 매체 언어
•‌오늘날의 매체 언어는 소리, 음성,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이 복합적으로 결 합 되어
매체 언어의
만들어지는데, 이를 복합 양식성이라고 함.
복합 양식성
•‌새로운 매체 언어를 활용하여 전보다 풍부하게 의미를 전달할 수 있게 됨.
•‌텔레비전, 영화, 인터넷: 소리, 음성,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이 매체의 특성에 맞게 통합
매체 언어의
되어 의미를 전달함.
의미 전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매체(뉴미디어): 기존의 매체 언어가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에
방식
쌍 방 향 적인 특성이 결합하여 의미를 전달함.

정답 | 수단 | 간접, 대량, 인터넷 | 결합, 쌍방향

⑵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 39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39 2019. 11. 5. 오후 3:20


창의·융합 활동지

‘매체의 발달’을 주제로 매체 듣기·말하기

토론하기
영화에 나타난 미래 매체들을 살펴보고, ‘매체의 발달은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할 것이다.’를 주제로 토론해 보자.

가 〈매트릭스〉 릴리 워쇼스키·라나 워쇼스키 감독, 1999년 작

〈매트릭스〉는 기계가 인간을 지배하는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 인간은 기계가 구현한 가상의 세계에서 살아

가는데 실제로는 머리에 가상 현실 기기가 꽂힌 채 기계의 에너지원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은 가상 세계를 현

실 세계로 생각하고 가상 세계 속에서 살다가 죽음을 맞이한다.


나 〈설국열차〉 봉준호 감독, 2013년 작

기상 이변으로 빙하기에 접어든 지구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을 태운 기차 한 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여러

인종,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한데 모인 열차 안, 그중에서도 춥고 배고픈 사람들이 가득한 기차의 맨

뒤쪽 꼬리 칸에서 폭동이 일어나면서 인물들 사이의 갈등이 고조된다. 영화 속에서 주인공들은 동그란 모양의

번역 기계를 사용해서 서로 대화를 한다.

다 〈그녀 [Her]〉 스파이크 존즈 감독, 2013년 작

시어도어는 다른 사람의 편지를 대신 써 주는 대필 작가로, 외롭고 공허한 삶을 살고 있다. 어느 날 시어도어

는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는 인공 지능 운영 체제가 설치된 기기를 산다. 그 운영 체제는 자신의 이름을 서맨사

라고 짓고 시어도어와 대화를 나누며 교감한다. 자신의 말에 귀 기울이고, 자신을 이해해 주는 서맨사로 인해

조금씩 행복을 되찾기 시작한 시어도어는 그녀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40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40 2019. 11. 5. 오후 3:20


지도 방안
영화를 통해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적 특성이 미래 사회를 살아갈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고 이에 대해 토론해 보는 활동이다. 제시된 세 가
지 쟁점 각각에 대해 찬/반 모둠을 구성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에게는 토론의 평가관, 사회자 등의 역할을 주어 학급 전체가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⑴ 가 ~ 다 의 영화를 참고하여 토론의 쟁점을 파악해 보자.

현실과 가상 현실의 경계를 사라지게 하는 매체 가상 현실 기술의 발달은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거리를 더욱 가깝게 만들어
의 발달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인가?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이다.

번역 기계의 사용으로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울 번역 기계가 보편화되면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언어적 장벽이 사라지기 때문
필요가 없어지는 현상이 바람직한가? 에 다른 나라의 언어를 힘들게 배울 필요가 없을 것이다.

매체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감각은 확장되는가, 매체의 발달은 인간을 직접적인 감각 경험의 세계에서 멀어지게 해서 오히려
아니면 오히려 매체에 의해 감각이 통제되는가? 매체에 의해 인간의 감각이 제한될 것이다.

⑵ 쟁점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정하고, 논증을 구성할 근거를 수집하여 정리해 보자.

주장 근거

가상 현실 기술의 발달은 사람들 지금도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가상 현실 기


사이의 사회적 거리를 더욱 가깝게 술의 발달은 좀 더 실제에 가깝게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
쟁점 1
만들어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이 따라서 사람들 간의 사회적 거리가 더욱 가까워질 수 있고 이는 우리 삶의 경험
다. 이 더욱 다채로워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 기계가 보편화되면 의사소


번역 기계를 통해 다른 언어 사용자와도 자유롭게 의사소통이 가능해질 것이
통을 방해하는 언어적 장벽이 사라
쟁점 2 므로 불필요한 언어 학습에 노력을 쏟지 않아도 되고, 더 빠르게 세계인과 소통
지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언어를 힘
이 가능해질 것이다.
들게 배울 필요가 없을 것이다.

매체의 발달은 인간을 직접적인


인간은 직접 경험을 통해 복잡한 정보들을 얻게 되는데 가상 현실이 실제에
감각 경험의 세계에서 멀어지게 해
쟁점 3 가깝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복잡성을 구현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매체가 구현
서 오히려 매체에 의해 인간의 감각
한 세계에 익숙해질수록 인간의 감각은 매체에 의해 통제될 것이다.
이 제한될 것이다.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객관적 사실, 구체적 사례 등을 근거로 수집한다.

⑶ 상대측에서 제시할 주장을 예측해 보고, 그 주장을 반박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해 보자.

예상되는 상대측의 주장 상대측 주장에 대한 반박 근거

현실과 가상 현실의 경계가 사라지는 매체의 발달은 우리를 실제 인터넷이 우리를 공간의 한계로부터 벗어나 다양한 사람과 소통
생활로부터 멀어지게 해서 삶에서 겪은 다채로운 경험들을 오히려 할 수 있게 해 준 것처럼 매체의 발달은 경험의 다채로움을 확장시
차단하게 될 것이다. 켜 줄 것이다.

창의·융합 활동 41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41 2019. 11. 5. 오후 3:20


⑷ 앞에서 준비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토론을 진행해 보자. 예시 답 생략

•고전식 토론의 절차

[찬성1] 입론 → [반대 1] 반박과 입론

[찬성 2 ] 반박과 입론 → [반대 2 ] 반박과 입론

[찬성 1] 반박과 변호 → [반대 1] 반박과 변호

[찬성 2 ] 반박과 변호 → [반대 2 ] 반박과 변호

⑸ 토론의 내용과 태도를 평가해 보자. 예시 답 생략

평가 항목 평가

쟁점에 대한 주장이 명확하게 드러나는가?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가?

상대측 주장의 문제점을 논리적으로 지적하였는가?

토론의 절차와 규칙을 잘 지켰는가?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로 토론에 참여하였는가?

지도 방안
이 단원에서 배운 언어와 국어의 특성, 세계 속에서의 국어의 위상, 매
체의 유형과 특성, 매체 언어의 특성 등과 관련한 도서, 누리집을 활용
하여 모둠 학습이나 수행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단원과 관련 있는 도서나 누리집을 찾아보면서 생각을 넓혀 봅시다.

《미디어의 이해》| 마셜 매클루언 지음 세종학당


음성, 문자, 신문, 광고, 전화, 영화, (https://www.ksif.or.kr)
라디오, 텔레비전 등 다양한 매체를 전 세계의 세종학당 관련 정보와
주제로 미디어의 특성과 미디어가 소식 등을 소개하고 온라인 한국어·
나아갈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 문화 배움터를 운영하고 있다.

42 1. 언어와 매체의 본질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42 2019. 11. 5. 오후 3:20


비판적 · 자료 ·
의사소통
창의적 사고 정보 활용
공동체 · 자기 성찰 ·
문화 향유
대인 관계 계발

지도 방안 평가 자료
이 단원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배우고 익혔는지 스스로 점검하고, 부족한 것을 보충하거나 배 - 대단원 평가
운 것을 심화하기 위한 학습 계획을 세워 보게 한다. 학생들이 점검하기 어려워하는 항목의 - 수행 평가
경우, 관련된 활동을 제시하여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점검해 보자.

소단원 항목 평가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이해하였는가? → 교과서 14~19쪽
⑴ 언어와 국어
국어의 언어적 특징과 세계 속에서의 국어의 위상을 이해하였는가? → 교과서 20~24쪽

⑵ 매체의 유형과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매체의 개념과 유형, 특성을 이해하였는가? → 교과서 28~33쪽

매체 언어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과 의미 생산ㆍ전달 방식을 이해하였는가? → 교과서 34~38쪽

지도 방안
단원의 길잡이(11쪽)에서 적은 내용을 다시 읽어 보고, 단원을 공부하면서 알고 싶었던 점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학습했는지 스스로 점검하게 한다. 또한, 이 단원에서 배운 언어와 국어
의 특성, 매체의 유형과 매체 언어의 특성을 떠올리면서 실제 언어생활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
단원을 배우기 전에 알고 싶었던 점을 얼마나 알게 되었는지 스스로 점검해 보자.

•내가 알고 싶었던 것: •앞으로의 계획

달성도

이 단원에서는 언어와 매체의 본질을 학습하였다. 소단원 ⑴ 에서는 인간의 삶과

관련한 언어의 특성과 국어의 특성, 세계 속에서의 국어의 위상에 대해

학습하였다. 소단원 ⑵ 에서는 매체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에 대해 학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 사회의 의사소통 방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언어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자.

단원의 마무리 43

고등언어와매체(001~043)1단원(교).indd 43 2019. 11. 5. 오후 3:20


2 대단원 설정 이유
국어의 구조

이 단원은 음운, 단어, 문장, 담화 순으로 국어의 문법적 지식과 원리를 탐구함으로써 국
어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실제 언어생활에 올바르게 적용하려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 단원의 학습을 통해 자신의 국어생활을 돌아보고, 정확하
면서도 상황에 맞는 표현을 익혀 바르고 효과적인 국어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44 2019. 11. 5. 오후 3:35


1차시 대단원 도입

5차시 음운
5차시 단어
5차시 문장
4차시 담화
대단원 성취기준 2차시 대단원 마무리
단원 성취기준 학습 요소 이전 학년 관련 성취기준
중등 [9국04-02] 음운의 체계를 알고 그 특성을 이해
[12언매02-01] 실제 국어생활을 바탕
⑴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의 활 한다.
으로 음운의 체계와 변동에 대해 탐
음운 용 고등 [10국04-01] 음운의 변동을 탐구하여 올바르게
구한다.
발음하고 표기한다.
[12언매02-02] 실제 국어생활을 바탕
중등 [09국04-04] 품사의 종류를 알고 그 특성을 탐
으로 품사에 따른 개별 단어의 특성 품사의 분류와 활용
구한다.
을 탐구한다.
[12언매02-03] 단어의 짜임과 새말의
⑵ 단어의 짜임과 새말의 형성
형성 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국어생활
단어 과정
에 활용한다.
[12언매02-04] 단어의 의미 관계를
중등 [9국04-05] 어휘의 체계와 양상을 탐구하고 활
탐구하고 적절한 어휘 사용에 활용한 단어의 의미 관계의 활용
용한다.
다.
[12언매02-05] 문장의 짜임에 대해
중등 [9국04-06] 문장의 짜임과 양상을 탐구하고 활
탐구하고 정확하면서도 상황에 맞는 문장의 짜임과 쓰임
용한다.
⑶ 문장을 사용한다.
문장 [12언매02-06] 문법 요소들의 개념과
고등 [10국04-03] 문법 요소의 특성을 탐구하고 상황
표현 효과를 탐구하고 실제 국어생활 문법 요소의 활용
에 맞게 사용한다.
에 활용한다.
[12언매02-07] 담화의 개념과 특성을
⑷ 담화(개념, 구성 요소, 맥락)
탐구하고 적절하고 효과적인 국어생 중등 [9국04-07] 담화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한다.
담화 의 활용
활을 한다.

대단원 핵심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 제시된 자료나 정보를 분석·탐구하고 이를 자신의 국어생활에
적용해 보면서 자료·정보 활용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의사소통 역량: 음성·문자·매체 등을 활용하여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역량을 기를 수 있다.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국어 구조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공동체 구성원과 효과적으
로 국어생활을 해 봄으로써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자료· 의사소통 공동체·


정보 활용 대인 관계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45 2019. 11. 5. 오후 3:36


국어를 잘 이해하고 사용하면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인 국어의 구조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단원에서는 음운, 단어, 문장, 담화 순으로 국어의 문법적 지식과 원리를

탐구하고, 이를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해 보도록 한다.

단원별 수업 지도안 차시별 수업 지도안

지도 방안
삽화를 보면서 학생들에게 소단원에서 배울 내용이 무엇일지 자유롭게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1) 음운 (2) 단어
탐구 1 국어의 음운 체계 탐구 1 품사의 분류와 활용
탐구 2 음운의 변동 탐구 2 단어의 짜임
탐구 3 단어의 의미 관계

(3) 문장 (4) 담화
탐구 1 문장의 짜임 탐구 1 담화의 개념과 구성 요소
탐구 2 문법 요소의 활용 탐구 2 담화와 맥락

 본문 102쪽 3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남북한 통일어 만들기   문법 듣기·말하기

46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46 2019. 11. 5. 오후 3:36


실제 국어생활을 바탕으로 음운의 체계와 변동에 대해 탐구한다.
실제 국어생활을 바탕으로 품사에 따른 개별 단어의 특성을 탐구한다.
단어의 짜임과 새말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국어생활에 활용한다.
단어의 의미 관계를 탐구하고 적절한 어휘 사용에 활용한다.
문장의 짜임에 대해 탐구하고 정확하면서도 상황에 맞는 문장을 사용한다.
문법 요소들의 개념과 표현 효과를 탐구하고 실제 국어생활에 활용한다.
담화의 개념과 특성을 탐구하고 적절하고 효과적인 국어생활을 한다.

지도 방안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겪었던 경험이나
생각, 평소 궁금했던 점 등을 떠올릴 수 있는 소재를 제시하였다. 학생들이
이를 보고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음 내용과 관련한 나의 생각이나 경험을 이야기해 보자.

단어를 잘못 발음하여 생긴 오해 외국어 속 높임 표현


+ 발음이 같아서 단어를 잘못 이해한 경험이 있는가? + 내가 아는 외국어 가운데 높임 표현이 있는 언어가 있는가?

‌뜻을 알고 나서 재미있다고  ‌문장 속에서 ‘이거’, ‘그거’, ‘저거’의


생각했던 새말 의미 파악
+ 새말은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것일까? + ‘여기’, ‘거기’, ‘저기’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내가 알고 있는 것을 확인해 보고, 더 알고 싶은 것을 써 보자.

품사의 분류 담화의 특성
문장의 짜임
음운의 체계

예시 답 겹받침의 정확한 발음 / 새말을 만드는 방식 / 어른과 대화


나는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 할 때의 정확한 높임 표현 / 발화와 담화의 차이점 에 대해 더 알고 싶다.

단원의 길잡이 47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47 2019. 11. 5. 오후 3:36


(1)
수업 PPT

음운
학 습 목 표

•실제 국어생활을 바탕으로 음운의 체계와 변동에 대해 탐구한다.

애니메이션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 비음화
분절 음운
모음
탐구 1 음운의 체계 유음화
교체
비분절 음운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자음군 단순화

탐구 2 음운의 변동 탈락 ‘ㄹ’ 탈락, ‘ㅎ’ 탈락

‘ㅡ’ 탈락
첨가
‘ㄴ’ 첨가

축약 거센소리되기

이 단원에서는 국어의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 현상을 탐구하고, 이를 표준 발


음법과 연관 지어 이해해 봅니다. 나아가 학습한 내용을 자신의 언어생활에 적용하여
올바른 발음과 표기 생활을 해 봅시다.

48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48 2019. 11. 5. 오후 3:36


애니메이션

‘닭양념구이’의
올바른 발음은 무엇일까?
예시 답 당냥념구이

생각을 여는 질문 그림
학생들에게 친숙한 점심시간을 배경으로 급식판에 담긴 밥, 반
찬들을 보여 주는 그림이다. ‘닭양념구이’의 표준 발음은 정해져
있지 않으나, 음식명으로서 한 단어에 준하므로 ‘ㄴ’ 음을 첨가
하여 [당냥념구이]로 읽을 수 있다. ‘닭양념구이’의 발음을 통해
표기와 발음이 다른 이유를 생각해 보고 앞으로 배울 내용에 대
한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걍념구이?
달걍념구이?

당냥념구이?
참고 자료
직접 구성 성분
직접 구성 성분은 어떤 언어 단위를 층위를 두고 분석할 때 일차적으로 분석되어 나오는 성분을 말한다. 단어를 이루는 형태소가
셋 이상일 경우 이 개념을 도입해서 해결하는 경우도 있다.
예 코웃음: ‘코’, ‘웃-’, ‘-(으)ㅁ’의 세 개의 형태소가 결합한 단어임. ‘*코웃-’이 존재하지 않고, ‘코’와 ‘웃음’만 존재하며 의미상으로
도 ‘코+웃음’의 분석이 자연스러움. 따라서 직접 구성 성분은 ‘코’와 ‘웃음’이 됨.

? ‘음운’과 관련하여 더 궁금한 점을 써 보자.


예시 답 •단어의 표기와 발음 사이에 차이가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언어마다 가지고 있는 음운이 다를까?

⑴ 음운 49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49 2019. 11. 5. 오후 3:36


수업 PPT

국어의 음운 체계
학습 요소 ● 음운의 개념과 국어의 음운 체계
● 자음과 모음, 비분절 음운의 특성

1 음운의 개념

발견 하기

예시 답 다음 짝지어진 단어의 의미를 구별해 주는 요소는 무엇인지 찾아보자.


•발-팔: ‘ㅂ’과 ‘ㅍ’이라는 소리
(자음)의 차이
•발-볼: ‘ㅏ’와 ‘ㅗ’라는 소리(모
음)의 차이
•발-발ː : 소리의 길이 차이

발-팔 발-볼 발 - 발ː

음성과 음운

음성 음운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는 말소리를 음성이라고 한다. 음성은 사람마다 다
구체적인 추상적인
말소리 ↔ 말소리 르고 같은 사람의 음성이라도 때에 따라 다르다. 음성에서 공통적인 요소만을 뽑아
[k], [g] 등과 같은 소리에서 공통적인 요소만을 뽑아 ‘ㄱ’으로 인식함.
물리적인 관념적인
말소리 말소리 머릿속에서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말소리를 음운이라고 한다. 음성은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말소리인 데 반해, 음운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말소리이다. 5
음성과 음운의 차이 ▶ 음성과 음운의 차이점
‘달’과 ‘탈’은 ‘ㄷ’과 ‘ㅌ’이라는 소리의 차이로, ‘달’과 ‘돌’은 ‘ㅏ’와 ‘ㅗ’라는 소리의
차이로 뜻이 달라진다. 이는 국어에서 ‘ㄷ’, ‘ㅌ’과 ‘ㅏ’, ‘ㅗ’가 단어의 뜻을 구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듯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장 작은
음운의 개념
소리의 단위라고 할 수 있다. ▶ 음운의 개념

언어에 따른 음운 체계 차이
음운은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으로 나뉘는데, 자음과 모음처럼 다른 소리와 잘 10

의예
나누어지는 음운을 분절 음운이라고 하고 강약, 고저, 장단과 같이 다른 소리와 잘
국어 사용자들은 ‘고구마’를
발음할 때 첫음절과 둘째 음절 나누어지지 않는 음운을 비분절 음운이라고 한다. ▶ 음운의 종류

의 ‘ㄱ’을 같은 소리로 인식한


음운은 머릿속에서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추상적인 말소리이므로 언어마다 다르
다. 그러나 영어 화자에게는 각
각 ‘k’와 ‘g’로 인식된다. 다. 따라서 분절 음운의 체계와 비분절 음운의 종류는 언어마다 차이를 보인다.
▶ 언어마다 차이가 있는 음운

50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0 2019. 11. 5. 오후 3:36


2 자음

발견 하기
예시 답 ‘말’은 입술에서, ‘달’은
다음 단어를 소리 내어 읽어 보고, 소리 나는 위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말해 보자.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위치에
서, ‘칼’은 혀의 뒷부분과 여린
입천장 사이에서 소리 난다.

말 달 칼

말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장애를 받고 나오는 소리를 자음이


자음의 개념
라고 한다. 장애가 일어나는 자리를 조음 위치라고 하고, 장애를 일으키는 방법을
조음 방법이라고 하는데 국어의 자음 체계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나누어
5 볼 수 있다. ▶ 자음의 개념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의 다
른 이름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입술소리 양순음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의 종류
치조음
목청소리로 나눌 수 있다. 입술소리는 두 입술에서 나는 소리로 ‘ㅂ, ㅃ, ㅍ, ㅁ’이 잇몸소리
(치경음)
센입천장소리 경구개음
있다. 잇몸소리는 혀끝이 윗잇몸에 닿아서 나는 소리로 ‘ㄷ, ㄸ, ㅌ, ㅅ, ㅆ, ㄴ, ㄹ’ 여린입천장
연구개음
소리
이 있다. 센입천장소리는 혓바닥과 센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로 ‘ㅈ, ㅉ, ㅊ’이 있 성문음
목청소리
(후음)
10 다. 여린입천장소리는 혀의 뒷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로 ‘ㄱ, ㄲ, ㅋ,
ㅇ’이 있다. 목청소리는 목청 사이에서 나는 소리로 ‘ㅎ’이 있다.
▶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의 종류

자음의 조음 위치

코안(비강)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윗잇몸

혓바닥
입술 혀끝
혀뒤

목청

⑴ 음운 51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1 2019. 11. 5. 오후 3:36


자음은 조음 방법에 따라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으로 나눌 수 있다.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의 종류
파열음은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로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이 있다. 마찰음은 공간을 좁혀 그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


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내는 소리로 ‘ㅅ, ㅆ, ㅎ’이 있다. 파찰음은 공기의 흐름을 막
았다가 서서히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로 ‘ㅈ, ㅉ, ㅊ’이 있다. 비음은 5

코를 막고 소리를 내면 소 공기가 입과 코로 동시에 지나가게 하면서 입안의 통로는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


리가 달라지는 자음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내면서 내는 소리로 ‘ㅁ, ㄴ, ㅇ’이 있다. 유음은 혀끝을 윗잇몸에 대었다가 떼거나
예시 답 ㅁ, ㄴ, ㅇ 혀끝을 윗잇몸에 댄 채로 공기를 혀 양옆으로 흘러가게 하면서 내는 소리로 ‘ㄹ’이
있다. ▶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의 종류

파열음과 파찰음은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대립이 있고, 마찰음은 예사소 10


평음 경음 격음
리와 된소리의 대립이 있다. ▶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의 대립

 자음은 말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장애를 받고 나온다.

자음에 ‘ㅡ’ 모음을 더하여


조음 위치 입술 잇몸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목청
하나씩 소리 내어 보면서 조음
조음 방법 소리 소리 소리 소리 소리
위치와 방법을 확인해 보자.

예시 답 생략(각각의 자음에 예사소리 ㅂ ㄷ ㄱ


‘-’ 모음을 더하여 발음해 본 파
다.) 열 된소리 ㅃ ㄸ ㄲ

거센소리 ㅍ ㅌ ㅋ

예사소리 ㅈ

찰 된소리 ㅉ

거센소리 ㅊ
마 예사소리 ㅅ
찰 ㅎ
음 된소리 ㅆ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 현대 국어의 자음 체계

참고 자료 삼지적 상관속

국어에서 마찰음을 제외한 파열음, 파찰음은 모두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의 대립을 지닌다. 이처럼 ‘예사
소리-된소리-거센소리’의 세 자음이 이루는 대립쌍을 삼지적 상관속이라고 부른다. 영어의 경우 자음이 이지적
52 2. 국어의 구조 상관속을 이루는데,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대립된다.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2 2019. 11. 5. 오후 3:36


3 모음

발견 하기
예시 답
‘소라’와 ‘소리’를 발음할 때 입 모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자.
•‘소라’: 모음 ‘ㅗ’를 발음하기
위해 입을 작고 동그랗게 오
므렸다가 ‘ㅏ’를 발음하면서
우리 초성 게임 소라! 소리! 크게 벌리게 된다.
하자. ㅅㄹ! •‘소리’: 모음 ‘ㅗ’를 발음하기
위해 입을 작고 동그랗게 오
므렸다가 ‘ㅣ’를 발음하면서
양 옆으로 길게 벌리게 된다.

말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나오는 소리를


모음의 개념
모음이라고 한다. 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단모음

과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는 이중 모음이 있다. ▶ 모음의 개념

5 모음은 혀의 높낮이, 혀의 앞뒤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다. 모음


예시 답 ‘ㅣ’는 혀의 위치가 높
고, ‘ㅔ’는 혀의 위치가 중간이
은 혀의 높낮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고모음에는
며, ‘ㅐ’는 혀의 위치가 낮아진
다. ‘ㅡ’는 혀를 평평하게 옆으
‘ㅣ, ㅟ, ㅡ, ㅜ’가 있고, 중모음에는 ‘ㅔ, ㅚ, ㅓ, ㅗ’가 있으며, 저모음에는 ‘ㅐ, ㅏ’가 로 벌려 발음하고, ‘ㅜ’는 입술
을 동그랗게 오므려서 발음해
있다. 모음은 혀의 앞뒤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으로 나눌 수도 있는데, 야 한다.
혀의 최고점이 앞에 있는지 뒤에 있는지 여부
전설 모음에는 ‘ㅣ, ㅔ, ㅐ, ㅟ, ㅚ’, 후설 모음에는 ‘ㅡ, ㅓ, ㅏ, ㅜ, ㅗ’가 있다. 또, 모 ‘ㅣ, ㅔ, ㅐ’를 발음하며 혀의
높낮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10 음은 입술 모양에 따라 원순 모음과 평순 모음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입술을 동그 ‘ㅡ, ㅜ’를 발음하며 입술의 모양
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말해 보자.
랗게 오므려서 발음하는 원순 모음에는 ‘ㅟ, ㅚ, ㅜ, ㅗ’가 있고, 평순 모음에는 ‘ㅣ,
ㅔ, ㅐ, ㅡ, ㅓ, ㅏ’가 있다. ▶ 모음의 종류

‘ㅚ’와 ‘ㅟ’의 발음
혀의 앞뒤 위치 전설 모음 후설 모음
‘ㅚ’와 ‘ㅟ’는 단모음으로 발음
혀의 높이 입술 모양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중 모
고모음 ㅣ ㅟ ㅡ ㅜ 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 현대 국어의 단모음 체계
참고 자료 현대 국어의 단모음

10개의 단모음은 표준 발음법에서 원칙으로 삼고 있는 것일 뿐 현실 발음에서는 조금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10개의 단모음을 모두 지니는 화자들은 경기도나 충청도에 거주하는 70대 이상의 노인층 중 일부에 불과하다. 40
대 이하의 화자들은 대부분 지역과 무관하게 7개 단모음만 발음하고 있다. ‘ㅚ, ㅟ’를 단모음이 아닌 이중 모음으
로 발음하고 ‘ㅐ’와 ‘ㅔ’를 구분하지 못함으로써 7개의 단모음이 나오게 된 것이다. ⑴ 음운 53
 모음은 말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나온다.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3 2019. 11. 5. 오후 3:36


반모음 이중 모음은 단모음과 반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중 모음에는 ‘ㅑ, ㅕ,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지 않
는다는 점에서는 모음과 비슷
ㅒ, ㅖ, ㅛ, ㅠ, ㅢ’와 같은 ‘ㅣ[ j ] ’계 이중 모음과 ‘ㅘ, ㅝ, ㅙ, ㅞ’와 같은 ‘ㅗ/ㅜ[w] ’계
하지만, 홀로 발음되지 못하고 ▶ 이중 모음의 종류
이중 모음이 있다.
반드시 다른 모음에 붙어야만
발음될 수 있어 반(半)모음이라
고 한다.

4 비분절 음운

발견 하기

예시 답 ‘눈싸움’의 ‘눈’은 짧게, 소리의 길이에 유의하여 다음 단어를 읽어 보자.


‘눈ː싸움’의 ‘눈’은 길게 발음한
다.

눈싸움 눈    싸움

소리의 길이에 유의하여 다 음운이 의미의 차이를 구분하는 최소 단위라고 할 때, 소리의 길이도 의미 구별 5
음 문장을 읽어 보자. 소리의 길고 짧음에 따라 단어의 뜻이 구별됨.

•밤에 배가 고파서 밤을 까먹
에 기여한다. ▶ 비분절 음운인 소리의 길이

었다.
•밥을 국에 말지 말고 그냥 먹 말[馬, 斗], 말ː [言] 굴[石花], 굴ː [窟] 성인(成人), 성ː 인(聖人)
어라.

예시 답
•밤[밤]에 배가 고파서 밤[밤ː]
국어에서 긴소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나타난다. 본래 길게 발음
을 까먹었다.
•밥을 국에 말지[말지] 말고[말 되던 것도 둘째 음절 이하에 오면 짧은소리로 발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ː고] 그냥 먹어라. ▶ 소리의 길이가 갖는 음운으로서의 특징

함박 + 눈ː → 함박눈 인사 + 말  ː → 인사말 10

같은 말이라도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일 때 억양이 서로 다른 경향이 나타난다. 억양도 비분절 음운으로서 의
그 밖의 비분절 음운 미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예 지금 집에 가. (), 지금 집에 가? (), 지금 집에 가! (→)

참고 자료 국어의 비분절 음운

54 2. 국어의 구조 국어의 비분절 음운은 방언마다 차이가 있다. 특히 경상 방언과 함경 방언은 모음에 고조(높은 소리), 저조(낮은 소리),
상승조(낮다가 높아지는 소리) 등의 소리의 높이를 통해 단어의 뜻을 구분하는데, 이를 ‘성조’라 한다. 방언에 따라 조금
씩 다르지만, ‘말[斗]’은 저조, ‘말[馬]’은 고조, ‘말[言]’은 상승조로 나타나서 표준어와 차이를 보인다.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4 2019. 11. 5. 오후 3:36


수업 PPT

1 다음 글을 읽고, 우리말 자음의 특징을 탐구해 보자.

외국인들이 처음 한국어를 배울 때 ‘불[pul], 풀[phul], 뿔[p’ul]’을 잘 구별하지 못


외국어의 자음은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로 대립하지 않기 때문
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 사람이 ‘불, 풀, 뿔’이라고 하면, 영어 화자들은 대개 ‘풀,
지도 방안 풀, 풀’이라고 따라 한다. 한국 사람은 ‘ㅂ, ㅍ, ㅃ’의 세 소리를 명확하게 서로 다른
지문은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
울 때 구분하기 어려워하는 음 소리로 구분하지만, 영어 화자들이 이 소리들을 구분하는 일은 좀처럼 쉽지 않다.
운과 한국 사람이 외국어를 배
울 때 잘 구분하지 못하는 음 ‘ㄷ, ㅌ, ㄸ’이나 ‘ㅈ, ㅊ, ㅉ’도 마찬가지이다. 이들은 각각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
운에 대해 설명한 글이다. 이
활동을 통해 각 언어의 음운 소리’라고 하는데, 한국어의 자음은 이렇게 세 가지 소리가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이
체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특징이다. ▶ 외국인들이 구별하지 못하는 우리말의 자음

반면에 한국 사람들은 [p]:[b], [t]:[d], [f]:[v]와 같은 영어의 무성음과 유성음을


우리말은 ‘무성음-유성음’으로 대립하지 않기 때문
잘 구분하지 못한다. 한국 사람은 말을 할 때 ‘바보[pabo]’에서 첫 번째 ‘ㅂ’은 무성

음 [p]로, 두 번째 ‘ㅂ’은 유성음 [b]로 각각 다르게 발음하면서도, 두 소리를 다른

소리라고 인식하지 않는다. 또 한국 사람은 ‘다리[tari]’의 중간 소리 ‘ㄹ’과 ‘달[tal]’

무성음과 유성음
의 마지막 소리 ‘ㄹ’을 [ r ]과 [ l ]로 각각 다르게 발음하면서도 두 소리를 다른 소리
한국 사람들은 [r]과 [l]을 모두 ‘ㄹ’이라는 하나의 음운으로 인식하기 때문
‘무성음’은 발음할 때 목청을 라고 인식하지 않는다. ▶ 한국 사람들이 구별하지 못하는 영어의 자음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 ‘유
성음’은 목청이 떨려 울리는 소 - 국립국어원, 《우리말의 이모저모》

리를 말한다.

핵심 정리
갈래 설명문 ⑴ 이 글을 바탕으로 하여 두 사람의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까닭을 설명해 보자.
성격 사실적, 객관적, 예시적
외국인들과 우리나라
주제 사람들이 각각 구별하 네, 많이 걸어서
지 못하는 자음
팔이 아파요.
외국인들과 우리나라 어제 남산 어땠어요?
사람들이 구별하지 못
팔이 아파요?
특징
하는 자음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함. 날씨가 좋아서
즐거웠어요.
그런데
팔이 아파요.

예시 답 한국어 화자는 ‘ㅂ’과 ‘ㅍ’을 서로 다른 소리로 인식하지만, 영어 화자는 이 둘을 다른 소리로 인식하지 못


하기 때문이다.
⑵ 다음 예로 알 수 있는, 영어와 구별되는 우리말 자음의 특징을 말해 보자.

바보[pabo] 예시 답 우리말에서는 무성음 [p]와 유성음 [b]를 하나의 소리 ‘ㅂ’으로 인식한다.

다리[tari] 달[tal] 예시 답 우리말에서는 [r]과 [l]을 하나의 소리 ‘ㄹ’로 인식한다.

⑴ 음운 55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5 2019. 11. 5. 오후 3:36


2 다음 글을 읽고, 음운을 바꾸었을 때의 표현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지도 방안
‘낡다-늙다’, ‘남다-넘다’, ‘작
우리말에는 재미있는 짝들이 꽤 있습니다. 가령 ‘낡다/늙다’를 보아도 그렇습니
다-적다’와 같이 모음 하나가
뜻과 생김새가 모두 비슷한 짝들
다른 짝꿍 단어들을 소개한 글
다. 뜻이 꽤 비슷하지요. 그러면서 생김새도 꽤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겨
이다. 국어사전에서 단어의 뜻
을 찾아 비교해 보면서 미묘한
우 ‘ㅏ’를 ‘ㅡ’로 바꾸었을 뿐입니다. 역사적으로는 ‘낡다’의 ‘ㅏ’가 ‘·(아래아)’이니
어감의 차이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 ‘·’를 ‘ㅡ’로 바꾼 것인데 이렇게 모음 하나만 살짝 바꾸어 서로 연관이 있는 새

단어를 탄생시킨 것입니다. 말하자면 짝꿍을 만들어 낸 것이지요. ▶ 우리말의 재미있는 짝의 예 ①


핵심 정리
갈래 설명문 ‘남다/넘다’도 그런 관계일 것입니다. 남으면 넘을 테니 서로 동떨어진 말이라고
성격 예시적, 병렬적
우리말의 재미있는 짝 할 수 없잖습니까? ‘작다/적다’는 특히 대표적인 짝꿍이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주제

•뜻과 형태가 비슷한 들의 의미를 서로 혼동해 뒤바꾸어 쓰는 일이 많을 정도니까요. ▶ 우리말의 재미있는 짝의 예 ②
우리말의 짝들을 구
체적인 예를 들어 병 이런 짝은 색깔을 나타내는 말에 엄청나게, 넘치도록 많지요. ‘빨갛다/뻘겋다’,
특징 렬적으로 제시함.
•구어체를 활용하여 ‘파랗다/퍼렇다’, ‘노랗다/누렇다’, ‘하얗다/허옇다’, ‘까맣다/꺼멓다’, ‘밝다/붉다’,
쉽고 친근한 어투로
설명함. ‘맑다/묽다’도 역시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짝일 것입니다. 특히 의성어와 의태어

에 눈을 돌리면 이런 종류의 짝이 얼마나 많은지 눈이 휘둥그레지지 않을 수 없습

니다. ▶ 우리말의 재미있는 짝의 예 ③

- 이익섭, 《우리말 산책》

⑴ 이 글에 나타난 단어 짝들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 써 보자.


예시 답
낡다 : 물건 따위가 오래되어 헐고 너절하다.
늙다 : 사람이나 동물, 식물 따위가 나이를 많이 먹다.

남다 : 다 쓰지 않거나 정해진 수준에 이르지 않아 나머지가 있게 되다.


넘다 : 일정한 기준이나 한계 따위를 벗어나 지나다.

작다 : 길이, 넓이, 부피 따위가 비교 대상이나 보통보다 덜하다.


적다 : 수효나 분량, 정도가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다.

⑵ 다음과 같이 자음 또는 모음을 바꾸어 썼을 때 느낌이 달라지는 색채어, 의성어,


의태어 짝을 더 찾아보자.

단어 바뀐 음운

색채어 예 발갛다-빨갛다 가맣다-까맣다, 노랗다-누렇다 ㅂ-ㅃ ㄱ-ㄲ, ㅗ-ㅜ

의성어 예 찰칵-철컥 하하하-허허허 ㅏ-ㅓ ㅏ-ㅓ

의태어 예 감감-캄캄-깜깜 덜덜-돌돌-들들 ㄱ-ㅋ-ㄲ ㅓ-ㅗ-ㅡ

56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6 2019. 11. 5. 오후 3:36


3 이중 모음 ‘의’의 발음을 탐구해 보자.
보기
지도 방안
이중 모음 ‘의’를 학생들이 평 민주주의의 의의
소 자신의 발음 습관대로 발음
하게 하고 자신의 발음과 친구
들의 발음을 비교하게 한다. 이 ⑴ ‘의’의 발음에 주의하여 <보기>를 읽고 소리 나는 대로 써 보자. 그리고 친구들의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평소 자
신의 발음 습관을 돌아보고 정 발음과 비교해 보자. 예시 답 생략
확하게 발음하는 태도를 기르
게 한다.

⑵ <표준 발음법〉을 참고하여 <보기>의 밑줄 친 ‘의’를 정확하게 발음해 보자.

제5항
[다만 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주의[주의/주이] 협의[혀븨/혀비]

우리의[우리의/우리에] 강의의[강ː
의의/강ː
이에]

예시 답 [민주주의의 의의], [민주주의의 의이], [민주주이의 의의], [민주주이의 의이], [민주주이에 의의], [민주주
이에 의이], [민주주의에 의의], [민주주의에 의이] 등

4 다음 대화를 보고, 소리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단어의 예를 더 조사하여 정확


하게 발음해 보자.

오늘 뉴스에서 잘못 말한 거 알아?
‘추석 대목을 맞아 특산물 매장에 너나
?
할 것 없이 인파가 몰리고 있습니다.’
여기서 장음으로 했어야지. 네가 말한
대로 단음으로 발음하면 특산물을 매장
하는데 전 국민이 몰렸다는 얘기야.

도움말
•매장(埋葬): 시체나 유골 따위
를 땅속에 묻음.
예 시장: 배가 고픔.
•매ː장(賣場): 물건을 파는 장
소. 시ː장(市場): 여러 가지 상품을 사고파는 일정한 장소.
예시 답

지도 방안 •대ː상(對象): 어떤 일의 상대 또는 목표나 목적이 되는 것.


•대상(隊商): 사막이나 초원과 같이 교통이 발달하지 않은 지방에서, 낙타나 말에 짐을 싣고 떼를
소리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달
지어 먼 곳으로 다니면서 특산물을 교역하는 상인의 집단.
라지는 단어를 조사하여 소리
•묻ː다: 무엇을 밝히거나 알아내기 위하여 상대편의 대답이나 설명을 요구하는 내용으로 말하다.
의 길이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묻다: 가루, 풀, 물 따위가 그보다 큰 다른 물체에 들러붙거나 흔적이 남게 되다.
발음해 보고, 소리의 길이에도
의미를 구별하는 기능이 있음
을 알게 한다.

⑴ 음운 57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7 2019. 11. 5. 오후 3:36


수업 PPT

음운의 변동
학습 요소 ● 음운의 교체, 탈락, 첨가, 축약 현상 ‘
● 음운 변동과 표준 발음의 관계

음운 변동의 유형 한 음운이 다른 음운과 결합할 때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음절의 끝소리 규 음운 변동의 개념
칙, 비음화, 유음화, 이러한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음운 변동의 유형은 교체, 탈락, 첨가, 축약
교체
구개음화, 된소리
되기 으로 나눌 수 있다. 교체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탈락은 한 음운이
자음군 단순화, ‘ㄹ’
탈락 탈락, ‘ㅎ’ 탈락, ‘ㅡ’ 없어지는 현상, 첨가는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는 현상, 축약은 두 음운이 합쳐져 하
탈락
첨가 ‘ㄴ’ 첨가 나의 새로운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이다. ▶ 음운 변동의 개념과 유형 5

축약 거센소리되기

참고 자료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 1 교체
는 이유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
나는 이유를 ‘발음의 경제 발견 하기
성’, ‘표현의 명료화’로 설
명할 수 있다. 밑줄 친 부분의 발음에 유의하여 다음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보자.
•발음의 경제성: 발음을
쉽고 빠르게 해서 발음 예시 답 [설랄 아치메는 떡꾸
의 경제성을 높이려는 설날 아침에는 떡국을 먹는다. 글 멍는다]
의도
•표현의 명료화: 표현을
명료하게 하여 뜻을 좀
더 분명하게 전달하려는
의도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국어는 음절의 끝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개 자음만 발음된다. 나


[빋]

머지 자음이 음절의 끝에 오면 이 일곱 자음 가운데 하나로 발음되는데, 이러한 현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개념
상을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빗, 빚, 빛’의 ‘ㅅ, ㅈ, ㅊ’은 모두 10

[ㄷ]으로 바뀐다.
[빋]

부엌[부억], 밖[박] 낫[낟], 낮[낟], 낯[낟], 낱[낟] 무릎[무릅]


[빋]

 모두 [빋]으로 동일하게 발 ▶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개념과 예


음된다.

‘ㄹ’의 비음화 비음화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 ‘ㄹ’
앞에 오는 음절의 끝소리가 ‘ㄱ, ㄷ, ㅂ’이고 그 뒤에 오는 음절의 첫소리가 ‘ㄴ,
이 [ㄴ]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
한다. ㅁ’ 등의 비음일 때, 앞 음절의 ‘ㄱ, ㄷ, ㅂ’이 각각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뀌는 현 15
예 종로[종노], 함량[함냥], 백로 각각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으로 바뀜.(‘ㄱ’은 같은 여린입천장소리인 [ㅇ]으로, ‘ㄷ’은 같은 잇몸소리인 [ㄴ]으로, ‘ㅂ’은
[백노 → 뱅노] 상을 비음화라고 한다. 같은 입술소리인 [ㅁ]으로 바뀜.)
참고 자료 ‘ㄹ’의 비음화

58 2. 국어의 구조 ‘ㄹ’의 비음화는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 ‘ㄹ’이 ‘ㄴ’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고유어에서는 ‘ㄹ’을 제외한 자
음으로 끝나는 형태소와 ‘ㄹ’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결합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이 현상은 한자어나 외래어에서
만 적용된다. 또한 한자어나 외래어는 그 말음이 제한되어 있어서 경음이나 유기음으로 끝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ㄹ’의 비음화가 실제로 적용되는 양상은 ‘ㄱ, ㄴ, ㄷ, ㅁ, ㅂ, ㅇ’ 뒤에 오는 ‘ㄹ’이 ‘ㄴ’으로 바뀌
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8 2019. 11. 5. 오후 3:36


자음 동화
국물[궁물] 받는다[반는다] 밥물[밤물] 음절의 끝에 오는 자음이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 비음화의 개념과 예
한쪽이 다른 쪽 자음을 닮아서

유음화 그와 비슷한 성질을 지닌 소리


로 바뀌거나, 양쪽이 서로 닮아
‘ㄴ’이 유음 ‘ㄹ’ 앞이나 뒤에 올 때 [ㄹ]로 바뀌는 현상을 유음화라고 한다. 서 두 소리가 다 바뀌는 현상을
유음화의 개념 말한다. 대표적으로 비음화와
유음화가 있다.
천리[철리] 칼날[칼랄]

▶ 유음화의 개념과 예

5 구개음화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원리

실질 형태소에 붙어 주로 말과 말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형태소. 조사, 어미 따위. 모음 ‘ㅣ’는 고모음이자 전설 모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 나 반모음 ‘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음으로, 센입천장소리인 ‘ㅈ, ㅊ’
구개음화의 개념 과 발음되는 위치가 거의 같다.
만나서 구개음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을 구개음화라고 한다.

굳이[구지] 같이[가치]

▶ 구개음화의 개념과 예

▲ ‘ㅈ, ㅊ’ 발음
된소리되기

10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앞에 오는 소리의 영향을 받아 각각 된소리 [ㄲ,


된소리되기의 개념
ㄸ, ㅃ, ㅆ, ㅉ]으로 바뀌는 현상을 된소리되기라고 한다. 음절의 끝소리 ‘ㄱ, ㄷ, ㅂ’
뒤에 오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하고,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끝소
▲ ‘ ㅣ ’ 발음
리 ‘ㄴ, ㅁ’ 뒤에서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이 밖에 한
자어에서 ‘ㄹ’ 뒤에 오는 ‘ㄷ, ㅅ, ㅈ’,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오는 ‘ㄱ, ㄷ, ㅂ,
다음 단어를 발음할 때 일어
15 ㅅ, ㅈ’도 된소리로 발음한다. 나는 음운의 변동을 말해 보자.

갈등[갈뜽] 먹을 것[머글껃]
국문 권리
국밥[국빱] 신고[신꼬]
미닫이 국수

▶ 된소리되기의 개념과 예 예시 답 국문[궁문] → 비음화,


권리[궐리] → 유음화, 미닫이
[미다지] → 구개음화, 국수[국
쑤] → 된소리되기

20

후설 모음 ‘ㅏ, ㅓ, ㅗ, ㅜ’가 뒤에 오는 전설 모음 ‘ㅣ’의 영향을 받아서 각각 ‘ㅐ, ㅔ, ㅚ, ㅟ’로 바뀌는 현상으로


모음 동화 ‘ㅣ모음 역행 동화’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변한 발음은 ‘냄비, 멋쟁이, (불을) 댕기다’처럼 표준어가 된 일부 단어를
제외하고는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예 아기 → [애기], 어미 → [에미], 고기 → [괴기], 죽이다 → [주기다] → [쥐기다]

⑴ 음운 59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59 2019. 11. 5. 오후 3:36


2 탈락

발견

예시 답 [밥찌 마시오] 다음 팻말에 쓰인 문장의 올바른 발음은 무엇인지 골라 보자.

[밥찌 마시오]
밟지 마시오.
[발찌 마시오]

자음군 단순화

음절의 끝에 자음이 두 개 연결된 자음군이 오면 두 자음 가운데 하나가 탈락하


자음군 단순화의 개념
 ‘둥글다’의 ‘ㄹ’은 ‘둥 고 하나만 발음되는 현상을 자음군 단순화라고 한다.
그니, 둥근, 둥급니다’
와 같이 활용할 때 탈
락한다.
삶[삼] 맑다[막따] 읊다[읍따] 5

넋[넉] 값[갑] 핥다[할따]


둥근
내 얼굴 내가 더
지구는 ▶ 자음군 단순화의 개념과 예
둥급니다.
둥그니까
‘ㄹ’ 탈락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끝소리 ‘ㄹ’이 몇몇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을 ‘ㄹ’ 탈


‘ㄹ’ 탈락의 개념
락이라고 한다.

알- + -는 → [아는] 둥글- + -ㄴ → [둥근] 10

합성어나 파생어가 형성될


▶ ‘ㄹ’ 탈락의 개념과 예
때의 ‘ㄹ’ 탈락

‘말 + 소 → 마소’, ‘바늘 + - 질 ‘ㅎ’ 탈락


→ 바느질’과 같이 합성어나 파
생어가 만들어질 때 ‘ㄹ’이 탈락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끝소리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접사 앞에서
한 경우에는 탈락한 발음을 표 ‘ㅎ’ 탈락의 개념

준어로 삼는다.
탈락하는 현상을 ‘ㅎ’ 탈락이라고 한다.

좋은[조은] 넣어[너어] 끓이다[끄리다]

▶ ‘ㅎ’ 탈락의 개념과 예

60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0 2019. 11. 5. 오후 3:36


‘ㅡ’ 탈락 참고 자료
‘ㅏ/ㅓ’ 탈락
용언이 활용할 때 모음 ‘ㅡ’로 끝나는 어간이 모음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 모음 ‘ㅏ, ㅓ’로 끝나는
용언 어간이 ‘ㅏ, ㅓ’로 시
‘ㅡ’ 탈락의 개념
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서 탈락하는 현상을 ‘ㅡ’ 탈락이라고 한다. ‘ㅏ, ㅓ’가 탈락하는 현상이
다.
예 가+ -아서 → [가서], 차
크- + -어서 → [커서] 담그- + -아도 → [담가도] + -아도 → [차도], 서+ -어
라 → [서라], 건너+ -어서
▶ ‘ㅡ’ 탈락의 개념과 예 → [건너서]

5 3 첨가

발견 하기

두 단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다음 단어의 올바른 표기와 발음을 적어 보자. 예시 답 솜이불[솜니불]

솜 + 이불 →

‘ㄴ’ 첨가

파생어나 합성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


‘ㄴ’ 첨가의 개념
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ㄴ’ 첨가라고
한다.

10 맨입[맨닙] 식용유[시굥뉴] 두통약[두통냑]

▶ ‘ㄴ’ 첨가의 개념과 예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져서 합성 명사가 될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거나 ‘ㄴ’ 소리가 나거


사잇소리 현상 나 ‘ㄴㄴ’ 소리가 나는 일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사잇소리 현상이라고 한다.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 예 밤길[밤낄], 냇가[내까/낻까], 촛불[초뿔/촏뿔]
•‘ㄴ’ 소리로 발음하는 경우 예 콧날[콛날 → 콘날], 아랫니[아랟니 → 아랜니]
•‘ㄴㄴ’ 소리로 발음하는 경우 예 깻잎[깯입 → 깯닙 → 깬닙], 베갯잇[베갣읻 → 베갣닏 → 베갠닏]

참고 자료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경우

•순 우리말 + 순 우리말 합성어 중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예 나룻배, 장맛비, 잇몸, 나뭇잎


⑴ 음운 61
•순 우리말 + 한자어 합성어 중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예 귓병, 제삿날, 훗일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중 다음 6개 예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1 2020. 10. 13. 오전 11:11


4 축약

발견 하기

예시 답 추카해요 → 축하해 동생이 쓴 카드에서 잘못 쓴 부분을 고쳐 보고, 동생에게 고쳐 써야 하는 까닭을 어


요, 발음할 때는 ‘추카’로 소리 떻게 설명할지 생각해 보자.
나지만 표기는 원래 형태를 밝
혀 ‘축하’라고 써야 한다.

거센소리되기

다음 단어가 어떻게 만들어 예사소리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각각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바뀌
졌을지 생각해 보자. 거센소리되기의 개념
는 현상을 거센소리되기라고 한다.
편안케 가타부타

예시 답 놓고[노코] 많다[만타] 업히다[어피다] 젖히다[저치다] 5


•편안케: ‘편안하게’를 발음할
때, ‘ㅎ’과 ‘ㄱ’이 만나 ‘ㅋ’으로 ▶ 거센소리되기의 개념과 예
발음되어 ‘편안케’라는 단어가
만들어졌을 것이다.
•가타부타: 종전의 한글맞춤법
통일안에서는 ‘가ㅎ다부ㅎ다’
를 원칙으로 하고, ‘갛다붛다’
를 허용하며, ‘가타부타’를 버
리기로 했었다. 그러나 언어
현실은 사이히읗을 거의 쓰지
않아, 1988년의 맞춤법 개정
에서 준말의 경우 거센소리가
나는 것은 거센소리로 적기
로 하였다. 따라서 오늘날에
는 ‘가타부타’로만 적는다. (관
련 조항: 한글 맞춤법 4장 5절
40항 해설)

62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2 2019. 11. 5. 오후 3:36


수업 PPT

1 다음 활동을 통해 음운의 변동 현상을 탐구해 보자.

나는 어렸을 적에 여름방학마다 할머니 댁에 갔다. 한낮에는 물놀이를 하고 저

녁에는 앞마당에 있는 평상에 앉아 옥수수와 수박을 먹었다.

지도 방안 ⑴ ~ 의 발음을 적고, 어떤 음운의 변동이 나타나는지 정리해 보자.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알고 그
와 관련된 음운의 변동 현상
을 탐구하는 활동이다. ⑴에서
물놀이 [물로리]
는 앞에서 배운 내용을 참고하
여 제시된 단어를 정확하게 발 유음화
음해 보고 관련된 음운 변동을
정리하게 한다. ⑵에서는 음운
변동 현상과 관련된 〈표준 발 앞마당 [압마당] [ 암마당 ]
음법〉 규정을 찾아보고 실생활
에서도 규정에 맞게 발음할 수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있게 지도한다.

옥수수 [ 옥쑤수 ]

된소리되기

먹었다 [먹얻다] [ 머걷따 ]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⑵ ~ 의 단어를 발음할 때 일어나는 음운 변동 현상과 관련된 〈표준 발음법〉 규


정이 무엇인지 찾아보자.

도움말
국립국어원 누리집(http://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www.korean.go.kr)에서 〈표준
발음법〉 규정을 확인할 수 있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다.
제18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제20항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제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


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물놀이 제20항 앞마당 제9항, 제18항

옥수수 제23항 먹었다 제9항, 제23항

⑴ 음운 63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3 2019. 11. 5. 오후 3:36


2 다음 자료를 보고, 음운 변동 현상과 표기, 발음의 관계를 탐구해 보자.
↱ 나는
지도 방안 가 하늘을 날으는 슈퍼맨 다
제시된 자료에서 잘못 표기한
단어들은 많은 사람들이 자주
틀리거나 혼동하는 것들이다.
이를 찾아 바르게 고쳐 보고,
그와 관련된 음운 변동 현상을 어제 내가 보낸
이해하는 활동이다. 실생활에 발표 자료 받았어?
서 정확한 발음과 올바른 표기
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아니. 못 받았는데.

이상하다. 분명히 보냈는


데……. 희안하네.
↳ 희한하네
↱ 잠가 임시 저장만 하고
나 물을 꼭 잠궈 주세요. 전송을 안 누른 거 아냐?

아냐. 분명히 보냈어.


아뭏든 내가 다시 보낼게.
↳ 아무튼

⑴ 가 와 나 에서 잘못 표기한 단어를 찾아 바르게 고치고, 어떤 음운 변동 현상과 관련


이 있는지 설명해 보자.

잘못 표기한 단어 올바른 표기 관련된 음운 변동

가 날으는 나는 ‘ㄹ’ 탈락

나 잠궈 잠가 ‘ㅡ’ 탈락

⑵ 다 에서 잘못된 표기를 찾아 바르게 고쳐 보고,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까닭을


발음과 표기의 관계와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잘못 표기한 단어 올바른 표기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난 까닭

‘ㅎ’ 탈락이 일어날 환경이 아닌데, 그렇게 생각하여


희안하네 희한하네
소리 나는 대로 표기했기 때문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난 것이 아닌데, 그렇게 생각
아뭏든 아무튼 하여 하나의 음운(ㅌ)을 두 개의 음운(ㅎ, ㄷ)으로 나
누어 표기했기 때문

64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4 2019. 11. 5. 오후 3:36


3 다음 뉴스를 소리 내어 읽으면서 ~ ㄷ 의 발음을 적고, 어떤 음운의 변동이 나타나는
지 정리해 보자.

지도 방안
앞에서 학습한 음운 변동 현상
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활동 오늘 새벽 ◯시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새벽일
이다. 실제로 아나운서처럼 뉴 을 나온 상인의 신고를 받고 소방차가 바로 출동하였
스를 읽어 보고 음운 변동이
실제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계 으나 길가에 세워진 차량들 때문에 화재 현장에 진입하
에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지도 지 못해 초기 진화가 늦어졌다고 합니다. 불은 인근 상가
한다.
열여섯 곳을 태운 후에야 겨우 잡혔습니다. 이른 시간
이라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습니다.

단어 결합 형태 발음 음운 변동

도움말 새벽일 새벽 + 일 [ 새벽닐 ] → [ 새병닐 ] ‘ㄴ’ 첨가, 비음화


‘ㄴ’ 첨가가 일어난 다음에 또
다른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기 출동 출동 [출똥] 된소리되기

도 한다.
열여섯 열+여섯 [ 열녀섣 ] → [ 열려섣 ] 음절의 끝소리 규칙, ‘ㄴ’ 첨가, 유음화
예 물약[물냑 → 물략]

지도 방안
음절의 끝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올 때 어느 자음을 발음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평소 자신의 발음 생활을 돌아

4
보고, 자음군 단순화와 연음 현
상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음운 다음 글의 밑줄 친 단어를 발음해 보고, 위치에 따른 겹받침의 발음을 탐구해 보자.
규칙에 맞게 발음하는 태도를
생활화하도록 지도한다.

거지반 집께 다 내려와서 나는 호들기 소리를 듣고 발이 딱 멈추었다. 산기슭에


김유정, 〈동백꽃〉
1930년대 농촌을 배경으로 하 늘려 있는 굵은 바윗돌 틈에 노란 동백꽃이 소보록하니 깔렸다. 그 틈에 끼여 앉아
여 사춘기 남녀의 풋풋한 사랑
을 해학적으로 그린 소설이다. 서 점순이가 청승맞게스리 호들기를 불고 있는 것이다. 그보다 더 놀란 것은 그 앞

에서 또 푸드득, 푸드득, 하고 들리는 닭의 횃소리다. 필연코 요년이 나의 약을 올리


호들기 호드기의 방언. 봄철에 느라고 또 닭을 집어내다가 내가 내려올 길목에다 쌈을 시켜 놓고 저는 그 앞에 앉
물오른 버드나무 가지의 껍질
을 고루 비틀어 뽑은 껍질이나
아서 천연스레 호들기를 불고 있음에 틀림없으리라.
짤막한 밀짚 토막 따위로 만든 - 김유정, 〈동백꽃〉
피리.
횃소리 닭이 홰(새장이나 닭
장 속에 새나 닭이 올라앉게 가 산기슭[ 산끼슥 ] : 산기슭에[산끼슬게 ]
로질러 놓은 나무 막대.)를 치
는 소리. 닭[ 닥 ] : 닭의[달긔/달게] , 닭을[ 달글 ]

참고 자료 연음 현상

앞 음절의 끝 자음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뒤 음절의 초성으로 이어져 소리가 나는


현상을 말한다.
예 봄이[보미], 부엌에[부어케], 무릎을[무르플] ⑴ 음운 65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5 2019. 11. 5. 오후 3:36


5 다음 광고를 보고, 우리 주변에서 음운의 변동 현상을 활용한 사례를 찾아보자.

지도 방안 ➊ ➋
발음이 같은 ‘같이’와 ‘가치’라
는 단어를 활용하여 주제를 인
상 깊게 전달하는 광고이다. 우 먹어 같이 먹어.
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
는 광고를 활용하여 음운의 변
동 현상이 실제 우리 언어생활
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핵심 정리
갈래 광고 ➌ ➍
성격 교훈적
더불어 함께하는 것의
주제 놀아 같이 놀아.
가치
•발음이 같은 단어를
활용하여 짧지만 인
상적으로 주제를 드
러냄.
특징
•‘같이’를 반복해서 제
시하고, 구개음화가
일어난 형태인 ‘가치’
를 마지막에 제시함.
➎ ➏
참고 URL 같이 먹어.
같이 앉아. 세상을 부드럽게 바꾸는 두 글자
<같이의 가치> 같이 당겨.
(http://youtu.be/S-eX6pMn2Uc) 같이 놀아. [같이]의 힘을 믿습니다.
같이 들어.
같이 해.
같이 가.
같이의 가치

- 〈같이의 가치〉 (2009)

⑴ 이 광고는 어떤 음운의 변동 현상을 활용한 것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같이’가 [가치]로 발음되는 구개음화를 활용하였다.

⑵ 이처럼 발음의 유사성을 이용한 광고를 모둠별로 더 찾아보고, 어떤 음운의 변동


현상을 활용했는지 정리하여 발표해 보자.

예시 답 생략

66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6 2019. 11. 5. 오후 3:36


지도 방안
(1) 음운
이 단원에서 배운 학습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각 탐구별 중요 개념과 핵
심적인 내용들을 떠올려 보도록 하고, 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
도 좋다. 나아가 앞서 소단원을 시작하면서 궁금했던 점을 얼마나 알게 되었는지 질문하여 학습자가 평가 자료
능동적으로 단원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소단원 평가
- 쪽지 시험
이 단원의 주요 개념과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 보자. - 서술형 평가

음운의 체계 •말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장애를 받고 나오는 소리.


•조음 위 치 에 따라: 입술소리(ㅂ, ㅃ, ㅍ, ㅁ), 잇몸소리(ㄷ, ㄸ, ㅌ, ㅅ, ㅆ, ㄴ, ㄹ), 센
자음 입천장소리(ㅈ, ㅉ, ㅊ), 여린입천장소리(ㄱ, ㄲ, ㅋ, ㅇ), 목청소리(ㅎ)
•조음 방 법 에 따라: 파열음(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마찰음(ㅅ, ㅆ, ㅎ), 파
찰음(ㅈ, ㅉ, ㅊ), 비음(ㅁ, ㄴ, ㅇ), 유음(ㄹ)
•말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나오는 소리.
•단모음 → 발음할 때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음.
- ‌혀의 높낮이에 따라: 고모음(ㅣ, ㅟ, ㅡ, ㅜ), 중모음(ㅔ, ㅚ, ㅓ, ㅗ), 저모음(ㅐ, ㅏ)
모음
- ‌혀의 앞 뒤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ㅣ, ㅔ, ㅐ, ㅟ, ㅚ), 후설 모음(ㅡ, ㅓ, ㅏ, ㅜ, ㅗ)
- ‌입술 모양에 따라: 원순 모음(ㅟ, ㅚ, ㅜ, ㅗ), 평순 모음(ㅣ, ㅔ, ㅐ, ㅡ, ㅓ, ㅏ)
•이중 모음: ㅣ‘[  j  ]’계(ㅑ, ㅕ, ㅒ, ㅖ, ㅛ, ㅠ, ㅢ), ‘ㅗ/ㅜ[  w  ]’계(ㅘ, ㅝ, ㅙ, ㅞ)
↳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짐.
비분절 음운 소리의 길이와 같이 다른 소리와 잘 나누어지지 않는 음운. 예 소리의 길이, 억양 등

음운의 변동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에서 ‘ㄱ,ㄴ,ㄷ,ㄹ,ㅁ,ㅂ,ㅇ’의
• 7개 자음만 발음되는 현상.
•• 비음화: ‘ㄱ,ㄷ,ㅂ’이 ‘ㄴ,ㅁ’ 앞에서 각각 비음 [ㅇ,ㄴ,ㅁ]으로 바뀌는 현상.
• • 유음화: ‘ㄴ’이 ‘ㄹ’을 만나 유음 [ㄹ]로 바뀌는 현상.
교체 • 구개음화: 끝소리가 ‘ㄷ,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

소와 만나서 구개음 [ㅈ,ㅊ]으로 바뀌는 현상.
• • 된소리되기: ‘ㄱ,ㄷ,ㅂ,ㅅ,ㅈ’이 앞에 오는 소리의 영향을 받아 된소리 [ㄲ,ㄸ,ㅃ,ㅆ,ㅉ]으
로 바뀌는 현상.

•자
• 음군 단순화: 음절의 끝에 자음이 두 개 연결된 자음군이 오면 하 나 만 발음되는
현상.
•‘• ㄹ’ 탈락: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끝소리 ‘ㄹ’이 몇몇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탈락 •‌‘ㅎ’
• 탈락: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끝소리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접사 앞에
서 탈락하는 현상.
•‌‘ㅡ’
• 탈락: 모음 ‘ㅡ’로 끝나는 어간이 모음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ㄴ’
• 첨가: 파생어나 합성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모음 ‘ㅣ’나 반모음 ‘ㅣ’
첨가
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는 현상.

축약 •‌거센소리되기:
• ‘ㄱ,ㄷ,ㅂ,ㅈ’이 ‘ㅎ’과 만나 각각 거센소리 [ㅋ,ㅌ,ㅍ,ㅊ]으로 바뀌는 현상.

정답 | 위치, 방법, 앞뒤 | 하나

⑴ 음운 67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7 2019. 11. 5. 오후 3:36


(2)
단어
수업 PPT

학 습 목 표

•실제 국어생활을 바탕으로 품사에 따른 개별 단어의 특성을 탐구한다.


•단어의 짜임과 새말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국어생활에 활용한다.
•단어의 의미 관계를 탐구하고 적절한 어휘 사용에 활용한다.

애니메이션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용언 동사, 형용사 단일어
탐구 2 단어
탐구 1 품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합성어
관계언 조사 복합어
파생어
독립언 감탄사

유의 관계

단어의 반의 관계
탐구 3
의미 관계
상하 관계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이 단원에서는 품사 분류를 통해 개별 단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새말이 만들


어지는 원리와 단어들 사이의 의미 관계에 대해 탐구해 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하고 효
과적이며 창조적인 국어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봅시다.

68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8 2019. 11. 5. 오후 3:36


애니메이션

종이로 고래를 접는 방법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예시 답 ① 펼친다 ⑤ 모서리 ⑥ 비스듬하게

➊ ➋

➊ 위로 반을 접었다가 .
➋ 점선을 따라 위로 접는다.
➌ ➍ ➎
➌ 종이를 뒤집는다.
➍ 점선을 따라 위와 아래를 접는다.
➎ 점선을 따라 두 를 접고, 종이를 뒤집는다. ➏
➏ 점선을 따라 모서리를 위로 접는다.

완성!

생각을 여는 질문 그림
간단한 고래 종이 접기를 보여 주는 그림이다. 실제로 색종이를
준비하여 학생들이 설명에 따라 고래를 접도록 하고, 빈칸에 알
맞은 표현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 외에도 다
양한 표현을 넣어 볼 수 있으며, 문장에 적절하게 단어를 활용
해야 함을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 ‘단어’와 관련하여 더 궁금한 점을 써 보자.


예시 답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의 개수는 몇 개나 될까?
•새로운 단어는 어떤 방식으로 만들 수 있을까?
•서로 의미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은 단어들을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⑵ 단어 69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69 2019. 11. 5. 오후 3:36


수업 PPT

품사의 분류와 활용
학습 요소 ● 품사의 분류
● 개별 단어의 특성과 문장에서의 쓰임

1 품사의 분류

발견 하기

다음 제시된 단어를 자신이 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보자.


예시 답
•기준 : 형태 변화의 유무
멋있다 넘어지다
멋있다 희망
희망
때리다 넘어지다 시험
짜다 때리다 사탕
시험 짜다 불안
불안 기쁘다
기쁘다 사탕 도망가다
사랑하다
도망가다 사랑하다

품사 분류가 국어생활에 어 단어들 가운데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들을 묶어서 분류해 놓은 갈래를 품사라고
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생각해 품사의 개념
보자. 한다. 품사를 분류하는 기준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형태, 기능, 의미가 그것
품사의 분류 기준
예시 답
•단어의 공통된 성질을 묶어서
이다. ▶ 품사의 개념
분류하면 수많은 단어를 쉽게
이해하고 오래 기억할 수 있 ‘형태’는 단어의 형태적 특징을 말하는 것으로, 단어의 형태 변화 여부를 말한다. 5

다.
•품사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 ‘기능’은 한 단어가 문장 안에서 다른 단어와 맺는 문법적 관계를 말한다. ‘의미’는
으면 처음 접하는 단어의 의
미나 기능을 추정할 수 있다. 개별 단어가 갖는 차별적인 의미가 아닌 하나의 품사를 구성하는 단어들이 공통으
•품사 정보는 잘못된 문장을
고치거나 띄어쓰기 여부를 판 로 갖는 의미를 말한다. ▶ 품사의 분류 기준
단할 때도 도움을 준다.
품사의 분류 실제로 품사를 분류할 때에는 이 세 가지 기준을 차례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형태 기능 의미
불변어 체언 명사 형태를 기준으로 형태가 변화하면 ‘가변어’, 변화하지 않으면 ‘불변어’로 나눌 수 있 10

대명사
수사 다. 다음으로 기능에 따라 가변어는 ‘용언’으로, 불변어는 ‘체언, 수식언, 독립언, 관
수식언 관형사
단어
부사 계언’으로 나뉜다. 마지막으로 의미에 따라 체언은 ‘명사, 대명사, 수사’로, 수식언
독립언 감탄사
관계언 조사
(서술격 조사)
은 ‘관형사, 부사’로, 용언은 ‘동사, 형용사’로 나눌 수 있고, 독립언에는 ‘감탄사’, 관
가변어 용언 동사
형용사 계언에는 ‘조사’가 있다. ▶ 형태, 기능, 의미에 따른 품사의 종류

70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0 2019. 11. 5. 오후 3:36


2 품사의 종류와 특성

발견 하기

빈칸에 들어갈 ‘기다리다’의 알맞은 형태는 무엇인지 써 보자.

기다리다

예시 답

•자네는 여기서 기다리고 있게.

•때를 기다리면 언젠가 기회가 온다.

•아기가 엄마를 기다리다가 잠이 들었다.


(기다리다, 기다리면서 등)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이며, 명사, 대명사, 수사가 이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다음
단어를 분류해 보자.
해당한다. 체언은 주로 조사와 결합하며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 체언의 기능과 특징
체언의 특징 배, 우리, 셋, 저기, 너,
5 명사는 사람이나 사물, 장소 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다. 명사는 어떤 속성을 이순신, 그것, 나라, 첫째
예시 답
가진 일반적인 대상을 나타내는 보통 명사와 특정한 하나의 대상을 나타내는 고유 •‌사람, 사물, 장소 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 배, 이순신, 나라
명사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명사와 ‘것, 따름, 뿐’처럼 다른 •‌사람, 사물, 장소 등의 이름을
대신할 수 있는 말: 우리, 저기, 너, 그것
말에 기대어 쓰이는 의존 명사로 나눌 수 있다. ▶ 명사의 개념과 종류
•‌수 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여 그것을 가리키는 말로, ‘이것, 그것’, ‘여기, 거기’ 등 사 말: 셋, 첫째

10 물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지시 대명사와 ‘나, 너, 우리’처럼 사람을 나타내는 인칭 대 인칭 대명사


•1인칭 대명사: 나, 저, 우리, 저
명사로 나눌 수 있다. ▶ 대명사의 개념과 종류 희등
•2인칭 대명사: 너, 자네, 그대
수사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로, ‘하나, 둘’처럼 수량을 나타내는 등
•3인칭 대명사: 그, 이분, 그분,
이이 등
양수사와 ‘첫째, 둘째’처럼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사로 나눌 수 있다.▶ 수사의 개념과 종류
본용언과 보조 용언
용언 - 동사, 형용사 문장의 주체를 주되게 서술
하면서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
15 용언은 문장에서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하며, 동사와 형용사가 이에 해당한다. 는 용언을 본용언이라고 하고,
용언의 기능 ▶ 용언의 기능
본용언과 연결되어 그것의 뜻
동사는 ‘걷다’, ‘부르다’, ‘날다’처럼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이다.
동사의 개념 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용언
형용사는 ‘빠르다’, ‘깨끗하다’, ‘아름답다’처럼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 또는 성질을 을 보조 용언이라고 한다. ‘가지
형용사의 개념 고 싶다’에서 ‘가지다’는 본용언,
나타내는 말이다. ▶ 동사, 형용사의 개념
‘싶다’는 보조 용언에 해당한다.

⑵ 단어 71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1 2019. 11. 5. 오후 3:36


불규칙 활용의 종류 한편, 용언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활용이라고 한다. ‘읽다’는 ‘읽고, 읽으면, 읽는
•‌‘ㄷ’ 불규칙: 어간의 ‘ㄷ’이 모음 활용의 개념

어미 앞에서 ‘ㄹ’로 변하는 현


다, 읽으니’와 같이 활용을 하는데, 이때 ‘읽-’처럼 형태가 변하지 않는 부분을 어간
상. 예 걷다: 걸으니, 걸어 이라고 하고, ‘-고’, ‘-으면’, ‘-는다’, ‘-으니’처럼 뒤에서 형태가 변하는 부분을 어미
•‌‘ㅂ’ 불규칙: 어간의 ‘ㅂ’이 모음
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라고 한다. ‘걷다’의 활용형 ‘걸어’, ‘이르다(至)’의 활용형 ‘이르러’와 같이 용언이 활용
‘오/우’로 변하는 현상. 
예 돕다: 도우니, 도와
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기본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활용은 일정한 5

•‌‘러’ 불규칙: ‘르’로 끝나는 용언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데, 이를 불규칙 활용이라고 한다. ▶ 용언의 활용
어간 뒤에 결합되는 어미
‘-어’가 ‘-러’로 변하는 현상.
예 이르다(至): 이르러 수식언 - 관형사, 부사
•이 밖에도 ‘ㅅ’ 불규칙, ‘ㅎ’ 불
규칙, ‘우’ 불규칙, ‘여’ 불규칙, 수식언은 다른 단어를 꾸며 주는 역할을 한다. 수
‘르’ 불규칙 등이 있다.
식언에는 관형사와 부사가 있는데, 이들은 수식의
대상이 다르다. ▶ 수식언의 개념 10

관형사의 종류 관형사는 ‘새, 한, 이’처럼 체언 앞에 놓여서 체언


•지시 관형사: 어떤 대상을 가 관형사의 개념
리키는 관형사 예 그, 이 등 을 꾸며 주는 역할을 한다. 부사는 ‘빨리, 저리’처럼
•성상 관형사: 사물의 성질이
나 상태를 꾸며 주는 관형사
예 새, 헌 등
주로 용언, 관형사, 부사, 문장 등을 꾸며 주는 역할
부사의 개념  ‘새’는 ‘신발’을 꾸며 주는 관형사이고
•수 관형사: 수량이나 수 개념 ‘더’는 ‘빨리’를, ‘빨리’는 ‘달릴 수 있어’를
을 한다. ▶ 관형사, 부사의 개념
을 나타내 주는 관형사 예 한, 꾸며 주는 부사이다.
두등

관계언 - 조사 15

관계언은 문장에 쓰인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관계언에는 조사


서술격 조사 ‘이다’ 가 있는데, 「다른 품사와 달리 홀로 쓰이지 못하고 앞의 말에 붙어서 그 말과 다른
「」 : 관계언의 특징
서술격 조사 ‘이다’는 형태가
말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변하지 않는 다른 격 조사와 달 ▶ 관계언의 기능과 특징
리 ‘이고, 이니, 이므로’처럼 형태 조사는 기능과 의미에 따라 ‘이/가’, ‘을/를’처럼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격 조
가 변한다.
사, ‘도’, ‘만’, ‘까지’처럼 앞말에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보조사, ‘와/과’, ‘랑’처럼 두 20

단어나 구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접속 조사로 나눌 수 있다. ▶ 조사의 종류

다음 문장에서 감탄사를 찾 독립언 - 감탄사


아보자.

•네, 알겠습니다. 독립언은 문장의 다른 말들과 관계를 맺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로, 감탄


•그게, 음, 쉽지 않겠어.
사가 이에 해당한다. 감탄사는 ‘아, 여보세요, 자’처럼 말하는 이의 느낌이나 부름과
•그렇게 하지요, 뭐.
예시 답 네, 음, 뭐 응답, 그리고 특별한 의미 없이 쓰이는 입버릇 및 더듬거림 등을 나타낸다. 25
감탄사의 개념 ▶ 독립언과 감탄사의 개념

참고 자료 수사와 수 관형사

숫자를 나타내는 말 중에서도 문장 내에서의 문법적 기능에 따라 품사가 달라진다.


가령 ‘내 나이는 열여섯이다.’에서의 ‘열여섯’은 서술격 조사 ‘이다’와의 결합에서 알 수 있듯이 수사이다. 그러나 ‘내 나
이는 열여섯 살이다.’에서의 ‘열여섯’은 나이를 뜻하는 단위성 의존 명사 ‘살’을 수식하는 역할을 하므로 수를 나타내는
수 관형사이다.
72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2 2019. 11. 5. 오후 3:36


수업 PPT

1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단어를 품사의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보자.

지난주에 중간고사가 끝나고 잠시 여유가 생겼다. 이 시간에 봉사 활동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인터넷에서 이것저것 검색해 보았다. 그러다가 ‘낭독 봉사

활동’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책을 낭독하고 녹음하는 봉


지도 방안
형태, 기능, 의미라는 품사 분 사 활동이었다. 관심이 생긴 나는 방과 후에 친구 둘과 함께 봉사 활동 기관을 찾았
류의 기준을 적용하여 학생들
이 품사를 분류해 보는 활동이 다. 표준어 및 음성 도서 제작 과정과 관련된 다섯 번의 교육을 듣고 난 뒤 녹음을
다. 품사 분류의 기준과 원리,
그리고 품사의 특징 등을 바탕 할 수 있다고 했다. 봉사 활동 신청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기분이 참 좋았
으로 바른 답을 찾을 수 있게
유도한다. 다. 아, 내 목소리로 제작된 음성 도서를 누군가가 즐겁게 듣게 된다니……. 마음이

문득 뭉클해졌다.

형태가 변하지 않는 말 형태가 변하는 말

체언 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용언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동사 형용사

봉사 나 둘 다섯 문득 아 에 생겼다 좋았다

지도 방안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방

2
법을 탐구하고, 용언의 규칙 활
용과 불규칙 활용을 구분하는
활동이다. 용언이 문장에서 쓰
다음 활동을 통해 용언에 대해 탐구해 보자.
일 때 형태가 변하는 품사라는
것을 알고 그 형태를 대화에 ⑴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단어의 활용형을 적어 보고, 각 단어가 동사인지 형용사인
어울리도록 적절하게 바꾸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지 판단해 보자.
동사와 형용사의 구분
•종결 어미 ‘-는다/-ㄴ다’의 결 동생은 동화책을 많이 읽었다. 친구들과 보내는 시간이 즐거웠다.
합 여부
예 먹는다(ㅇ) → 동사 그 방은 분위기가 너무 삭막했다. 학생들이 크게 웃었다.
짧는다( × ) → 형용사

•명령형 어미 ‘-아라/-어라’의 단어 기본형 활용형 품사


결합 여부
읽었다 읽다 읽는다(○), 읽어라(○), 읽자(○) 동사
예 일어나라(ㅇ) → 동사
예뻐라( × ) → 형용사 삭막했다 삭막하다 삭막한다(×), 삭막해라(×), 삭막하자(×) 형용사

•청유형 어미 ‘-자’의 결합 여부 즐거웠다 즐겁다 즐겁는다(×), 즐거워라(×), 즐겁자(×) 형용사


예 가자(ㅇ) → 동사
슬프자( × ) → 형용사 웃었다 웃다 웃는다(◯), 웃어라(◯), 웃자(◯) 동사

⑵ 단어 73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3 2019. 11. 5. 오후 3:36


⑵ 다음 대화의 빈칸에 적절한 용언의 활용형을 써 보고,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으
로 나누어 보자. 예시 답 가 구워서(불규칙 활용) : 굽어서(규칙 활용)
나 들렀어(규칙 활용) : 푸르렀어(불규칙 활용)
도움말 가 가굽다[炙] : 굽다[曲]
가 에서는 연결 어미 ‘-아서/- 고기를 잘
어서’를 결합하여 용언을 활용 그릇에 놓아 줘.
해 본다. 나 에서는 선어말 어미
‘-았-/-었-’을 결합하여 용언을
활용해 본다. 응, 그런데 집게가
고기가 잘 안 집히네.

나 가들르다 : 푸르다
맞아,
어제는 날씨가 좋아서 어제 하늘은 오래간만에
공원에 . 정말 .

3 다음 활동을 통해 부사에 대해 탐구해 보자.

일반적으로 부사는 용언(동 ⑴ 다음 두 문장에서 ‘빨리’와 ‘과연’이 수식하는 말을 찾아보자.


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등을
꾸며 준다. 그런데 어떤 부사들
은 수식의 범위가 한 단어나 어 •그날이 예상보다 빨리 왔다.
구에 한정되지 않고 문장 전체
•과연 이 드라마의 결말은 어떻게 될 것인가?
에 해당하기도 한다.
지도 방안
예시 답 빨리 → 왔다, 과연 → 문장 전체
성분 부사와 문장 부사의 기능
을 알고 둘의 차이점을 파악하
는 활동이다. 일반적으로 부사
는 용언, 관형사, 부사 등을 꾸 ⑵ ⑴ 을 바탕으로 하여 ‘빨리’와 ‘과연’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말해 보고, ‘과연’과 같은
미지만 수식 범위가 한 단어나
어구에 한정되지 않고 문장 전
부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 보자.
체에 해당하는 부사도 있음을 예시 답 ‘빨리’는 동사 ‘왔다’를 수식하는데 ‘과연’은 수식 범위가 한 단어나 한 구에 한정되지 않고 문장 전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수식한다. 이처럼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를 문장 부사라고 하는데 ‘다행히’, ‘설마’ 등이 있다.

74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4 2019. 11. 5. 오후 3:36


4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단어의 품사가 무엇인지 쓰고, 그렇게 판단한 까닭을 말해 보자.

하나의 단어는 보통 하나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의 품사 부류에 속한다. 하지만
하나의 단어가 문장에서의 쓰 이 점을 우리는 명심해야 한다.
임에 따라 여러 가지 품사의 역
마라톤을 좋아하는 사람 다섯이 대회에 참가했다.
할을 할 때가 있다. 이런 단어는
사전에서도 두 가지 이상의 품 마라톤을 좋아하는 다섯 사람이 대회에 참가했다.
사로 처리된다. → ‌이를 ‘품사의 통용’
이라고 부름. 오늘이 첫 출근 날이다.
지도 방안
형태가 같은 단어라도 문장에 그가 오늘 왔다.
서 쓰임에 따라 품사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예시 답
앞에서 학습한 내용을 다양한
용례에 적용해 보고 사전도 활 이보다 대명사(지시 대명사) 뒤에 조사와 결합함.
용하면서 학생들이 직관적으 이 점을 관형사(지시 관형사) 명사 앞에서 명사를 수식함.
로 답을 찾지 않게 지도한다. 다섯이 수사 뒤에 조사와 결합함.
다섯 사람 관형사(수 관형사) 뒤에 오는 ‘사람’을 수식함.
오늘이 명사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이라는 뜻으로, 조사 ‘이’ 앞에 쓰임.
오늘 부사(시간 부사)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 날에’라는 뜻으로, 동사 ‘왔다’ 앞에 높임.

5 다음 질문에 대한 답변을 품사와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지도 방안
질문 게시판
품사 분류가 국어생활에 미치
는 영향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통해 품사 분류를 질문 1 “돈이 천 원밖에 없다.”의 ‘밖에’와 “대문 밖에 누가 왔다.”의 ‘밖에’의 띄어쓰기
정확히 이해하면 잘못된 문장
을 고쳐 쓸 때나 띄어쓰기 여 가 왜 다른지 알고 싶습니다.
부를 판단할 때에도 도움이 된
다는 점을 깨달아 품사 분류의
↳ 답변 “돈이 천 원밖에 없다.”의 ‘밖에’는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쓰지만, “대문 밖에
중요성을 알게 한다.

누가 왔다.”의 ‘밖에’는 명사 ‘밖[外]’에 조사 ‘에’가 결합한 형태이므로 앞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질문 2 “현우야!”도 감탄사인지 알고 싶습니다.

↳ 답변 예시 답 감탄사는 말하는 이의 감정을 직접 나타내거나 부름과 응답, 그리고 특별한 의미 없이 쓰


이는 입버릇 및 더듬거림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현우야!’는 ‘현우’라는 이름(명사)에 조사 ‘야’가 결
합한 형태이므로 감탄사가 아닙니다.

질문 3 “여러분, 모두 건강하세요. 행복하세요.”라는 문장에서 ‘건강하세요, 행복하세


요’는 바른 표현인가요?

↳ 답변 예시 답 ‘건강하다’와 ‘행복하다’는 형용사이므로 명령형으로 쓰일 수 없습니다. 뒤에 동사를 붙여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행복하게 지내세요.’ 등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⑵ 단어 75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5 2019. 11. 5. 오후 3:36


수업 PPT

단어의 짜임
학습 요소 ● 단어와 형태소의 개념
● 단어의 짜임과 새말의 형성

1 단어와 형태소

발견 하기

다음 단어를 둘로 나눌 수 있는 것과 나눌 수 없는 것으로 구분해 보자.

별자리 눈꽃 나비 주름살 살구 나물

•나눌 수 있는 것 예시 답 별자리, 눈꽃, 주름살

•나눌 수 없는 것 예시 답 나비, 살구, 나물

하나의 문장은 몇 개의 더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있다.

하늘에 비구름이 끼었다.

(가) 하늘에 / 비구름이 / 끼었다. → 어절로 나눈 것

(나) 하늘 / 에 / 비구름 / 이 / 끼었다. → 단어로 나눈 것 5

(다) 하늘 / 에 / 비 / 구름 / 이 / 끼 / 었 / 다 → 형태소로 나눈 것

어절 (가)는 문장을 띄어 쓰는 단위를 기준으로 나눈 것으로, 이 단위를 어절이라고 한


어절은 문장을 구성하는 단위, 어절의 개념
즉 문장 성분의 최소 단위이다. 다. (나)는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나 그 말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기능을 나타
단어의 개념
내는 말을 단위로 나눈 것으로, 이 단위를 단어라고 한다. (다)는 뜻을 가진 가장 작
형태소의 개념
은 말의 단위로 나눈 것으로, 이 단위를 형태소라고 한다. ▶ 어절, 단어, 형태소의 개념 10

예를 들어 위의 문장에서 ‘비구름’은 ‘비’와 ‘구름’으로 나누어도 본래의 뜻을 잃지


형태소의 분류 않는다. 그러나 ‘구름’을 ‘구’와 ‘름’으로 나누게 되면 무슨 뜻인지 알 수 없게 된다.
자립성에 자립 형태소
따라서 ‘구름’은 하나의 형태소가 된다. ▶ 형태소의 예
따라 의존 형태소
형태소 가운데 ‘하늘’, ‘비’, ‘구름’처럼 혼자서 쓰일 수 있는 것은 자립 형태소라고
의미에 실질 형태소 자립 형태소의 개념
따라 형식 형태소 하고, ‘에’, ‘이’, ‘끼-’, ‘-었-’, ‘-다’처럼 반드시 다른 형태소와 함께 써야 하는 것은 15
의존 형태소의 개념
참고 자료 언어 단위들과 형태소

76 2. 국어의 구조 언어 단위로는 소리 단위, 문법 단위 등이 있다.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지 않는 소리 단위에는 음소(음운), 음절 등이


있고, 의미를 가지는 문법 단위에는 형태소, 단어, 어절, 구, 절, 문장 등이 있으며 문장보다 더 큰 단위로 텍스트(담화)를
두기도 한다. 이 중 형태소는 화자나 청자가 실제로 인식하면서 사용하는 단위는 아니며,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언어
학적인 분석을 통해서 드러나는 단위이다.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6 2019. 11. 5. 오후 3:36


의존 형태소라고 한다. ▶ 자립성에 따른 형태소의 종류

또한 ‘하늘’, ‘비’, ‘구름’, ‘끼-’처럼 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실


실질 형태소의 개념
질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실질 형태소라고 하고, ‘에’, ‘이’, ‘-었-’, ‘-다’처럼 문법
적인 의미만을 가지는 것은 형식 형태소라고 한다. ▶ 의미의 실질성에 따른 형태소의 종류
형식 형태소의 개념

5 2 단어의 구조와 단어 만들기

발견 하기

다음 단어가 어떻게 만들어졌을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둘레+길 / 사랑+  -꾼

어근과 어간
둘레길 사랑꾼 •어근: 단어를 이루는 형태소
합성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새말 파생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새말 가운데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
내는 중심 부분 예 ‘잡히다’의
‘잡-’
•어간: 용언의 활용에서 변하
지 않는 부분 예 ‘잡히다’의
단어의 구조 ‘잡히-’

단어는 하나 이상의 형태소가 모여 이루어진다. 이때 형태소가 어떤 역할을 하느 다음 단어들을 단어 만들기


원리에 따라 분류해 보자.
냐에 따라 어근과 접사로 나눌 수 있다. 단어를 이루는 형태소 가운데 실질적인 의
어근의 개념 베개, 새것, 나무, 어른스럽
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을 어근이라고 하고,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 뜻을 더하 다, 가다, 덜컹덜컹, 어린이,
접사의 개념
뛰어오르다
10 거나 제한하는 주변 부분을 접사라고 한다. 예를 들어 ‘맨손’, ‘웃음’에서 ‘손’과 ‘웃-’ 예시 답
•단일어: 나무, 가다
은 어근이고 ‘맨-’과 ‘-음’은 접사이다. ‘맨-’처럼 어근의 앞에 붙는 접사를 접두사,
•파생어: 베개, 어른스럽다
‘-음’처럼 어근의 뒤에 붙는 접사를 접미사라고 한다. ▶ 어근과 접사의 개념 •합성어: 새것, 덜컹덜컹, 어린이,
뛰어오르다

단어 만들기

단어 중에서 ‘집, 바다’처럼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단일어라고 하고, 단어의 종류
단일어의 개념
단일어
15 ‘꽃잎, 향기롭다’처럼 둘 이상의 어근이나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를
복합어의 개념 단어
합성어
복합어라고 한다. 복합어는 다시 ‘꽃잎’처럼 어근끼리 결합하여 이루어진 합성어와 복합어
파생어

‘향기롭다’처럼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파생어로 구분된다. ▶ 단어의 종류

⑵ 단어 77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7 2019. 11. 5. 오후 3:36


다음 합성어를 통사적 합성 한편, 합성어는 어근과 어근의 연결이 우리말의 어순이나 단어 배열법과 일치하
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나누어
보자. 느냐 그렇지 않으냐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나눌 수 있다. ‘새

검붉다, 뛰놀다, 본받다, 어 해’는 관형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로, 국어에서 관형사는 주로 명사
깨동무, 굶주리다, 눈물
예시 답 를 꾸며 준다. 따라서 ‘새해’는 통사적 합성어에 해당한다. 반면 ‘높푸르다’는 형용
•통사적 합성어: 본받다, 어깨동무,
눈물 사의 어간에 형용사의 어간이 직접 결합한 형태로, 국어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에 5

•비통사적 합성어: 검붉다, 뛰놀다,


굶주리다 어긋난다. 따라서 ‘높푸르다’는 비통사적 합성어에 해당한다. ▶ 합성어의 종류

파생어는 어근의 앞이나 뒤에 접사가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참-’, ‘뒤-’,


참고 자료 ‘헛-’ 등 어근의 앞에 결합하는 접두사는 어근에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강조하면서
지배적 접사와 한정적 접
사 새로운 말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꾸러기’, ‘-스럽다’ 등 어근의 뒤에 결합하는
접미사 중에는 파생어의
품사가 어근과 달라지게 접미사는 접두사보다 종류가 많으며, 동사의 어근 ‘먹-’에 접미사 ‘-이’가 결합하면 10
하거나(‘먹이’의 ‘-이’), 파
생어의 하위 범주가 달라 명사가 되는 것처럼 문법적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 접두사와 접미사의 특징
지게(‘먹히다’의 ‘-히-’, 타
동사를 자동사로 바꿈.) 하
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지
배적 접사라고 한다. ‘-질’, 새말 만들기
‘-꾼’, ‘-쟁이’ 등의 접미사
는 어근의 품사를 바꾸지 새말은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을 표현하기 위하여 새로 만들어 사용하는 말이다.
않고, 어근에 특정한 뜻을 새말의 개념
더하는 한정적 접사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새말이 만들어지면 사회적 공인을 받아 국어사전에 실리기도 하
한편 접두사는 대체로 어
근의 품사를 바꾸지 않으
고, 잠시 유행어로 사용되다가 국어사전에 실리지 못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최근 15
므로, 한정적 접사에 해당
한다.
에는 가상 공간을 중심으로 많은 새말이 만들어지고 있다. 「새말은 우리말의 뛰어난
「」 : 새말의 가치
참고 동영상
〈신조어의 탄생〉
생산성을 보여 줌과 동시에 사회의 변화 양상과 언중의 사고방식을 담고 있다는
」 점

에서 가치가 있다. ▶ 새말의 개념과 가치

새말 만드는 방식의 예 새말은 합성이나 파생과 같은 기존의 방법으로 만들어지기도 하


•합성: 꿀피부(꿀 + 피부), 꽃미
남(꽃 + 미남)
고, 머리글자의 결합이나 단어의 일부 결합 등과 같은 완전히 새 20

•파생: 대인배(대인 + -배), 몸


로운 방법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 새말이 만들어지는 방법 꿀+피부
치(몸 + -치)
꿀을 바른 듯 윤기가
•머리글자의 결합: 개취(개인 새로운 개념과 사물의 등장에 따라 새말이 생기는 것은 자연스러 흐르고 촉촉해 보이
의 취향), 깜놀(깜짝 놀라다) 는 피부를 이르는 말
•단어의 일부 결합: 컴맹(컴퓨
운 현상이다. 우리말의 단어와 단어 만드는 방식을 이해하고 그 특성에 맞게 새말
새말 만들기의 유의점
터 + 盲), 네티켓(네트워크 + 을 만든다면, 이렇게 만들어진 새말은 더욱 널리 쓰이게 될 것이고 우리 언어생활
에티켓)
도 한층 더 풍요로워질 것이다. ▶ 새말 만들기의 유의점과 의의 25

78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8 2020. 10. 13. 오후 4:12


수업 PPT

1 단어와 형태소의 개념에 유의하여 다음 문장을 분석해 보자.

집 앞에 있는 나무에 새잎이 돋았다.

지도 방안 ⑴ 이 문장을 형태소로 나누어 보자.


형태소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
예시 답 집 / 앞 / 에 / 있 / 는 / 나무 / 에 / 새 / 잎 / 이 / 돋 / 았 / 다
는지 확인하는 활동이다. 앞에
서 배운 형태소의 개념을 바탕
으로 문장을 형태소 단위로 분
석해 보고, 나눈 형태소를 자립 ⑵ ⑴ 에서 나눈 형태소를 아래의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보자.
성 여부와 의미에 따라 분류하
도록 지도한다. •문장에서 홀로 쓰일 수 있는가?

자립 형태소 예시 답 집, 앞, 나무, 새, 잎

의존 형태소 예시 답 에, 있, 는, 에, 이, 돋, 았, 다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실질 형태소 예시 답 집, 앞, 있, 나무, 새, 잎, 돋

형식 형태소 예시 답 에, 는, 에, 이, 았, 다

지도 방안
다양한 접사와 결합한 파생어
를 어근과 접사로 구분하여 접
2 단어의 구성 방식에 유의하여 파생어에 대해 탐구해 보자.
보기
사의 의미와 역할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접두사와 접미사의 헛기침, 먹이, 짓밟다, 낚시질, 웃음, 걱정스럽다
기능 및 용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한
다.
⑴ 〈보기〉의 단어들을 다음과 같이 구성 요소로 나누어 보자.
참고 자료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접
단어 구성 요소 단어 구성 요소

•-(으)ㅁ: 명사를 만듦.(웃
음, 게으름 등) 헛기침 헛- + 기침 낚시질 낚시 + -질
•-거리다: 동사를 만듦.(꿈
틀거리다, 머뭇거리다 등) 먹이 먹- + -이 웃음 웃- + -음
•-롭다: 형용사를 만듦.(새
롭다, 자유롭다 등) 짓밟다 짓- + 밟다 걱정스럽다 걱정 + -스럽다
•-하다: 동사나 형용사를
만듦.(공부하다, 건강하다
등)

접미사는 어근과 결합하여 ⑵ 〈보기〉의 단어들 가운데 접사가 결합하여 품사가 변화한 단어를 찾아보고, 그 과
어근의 품사를 명사, 동사, 형용
정을 설명해 보자.
사, 부사 등으로 바꾸기도 한다.
예 먹- + -이 먹이
먹이 (어근) (접미사) (명사) 동사가 명사로 바뀜.

예시 답
•웃 -(어근) + - 음(접미사) → 웃음(명사), 동사가 명사로 바뀜.
•걱정(명사) + -스럽다(접미사) → 걱정스럽다(형용사), 명사가 형용사로 바뀜.
⑵ 단어 79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79 2019. 11. 5. 오후 3:36


3 단어의 구성 방식에 유의하여 합성어에 대해 탐구해 보자.
보기
지도 방안
합성어의 개념과 유형, 구성 방 오가다, 덮밥, 밤낮, 힘쓰다, 굳은살, 논밭, 피땀
식 등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합
성어의 다양한 결합 방식을 탐
구하여 복합어의 단어 형성 구
조를 심층적으로 학습하도록 ⑴ 〈보기〉에 제시된 단어들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 각각 어떤 유형의 합성어에 속하
지도한다.
는지 분류해 보자.
•어근이 원래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대등하게 붙어서 된 합성어

예시 답 오가다, 밤낮, 논밭, 피땀

•한쪽의 어근이 다른 한쪽의 어근을 꾸며 주는 합성어

예시 답 덮밥, 힘쓰다, 굳은살

참고 자료
합성어의 종류
•대등 합성어: 어근이 각
각 본래의 의미를 유지
하며 이루어지는 합성어
예 마소(말과 소), 앞뒤
⑵ ⑴ 에서 분류한 단어들 가운데 각각의 어근이 가진 원래의 의미를 벗어나 새로운
(앞과 뒤), 높푸르다(높고
푸르다)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는 합성어를 찾아보자.
•종속 합성어: 한 어근이
다른 어근의 의미를 수 예시 답
식하는 합성어 •피땀: ‘피와 땀’이라는 의미뿐 아니라 ‘무엇을 이루기 위하여 애쓰는 노력과 정성’이라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나타
예 밥그릇(밥을 담는 그 내기도 한다.
릇), 걸어가다(걸어서 가 •밤낮: ‘밤과 낮’이라는 의미뿐 아니라 ‘늘, 항상’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다)
•융합 합성어: 각각의 어
근이 원래 지닌 의미 외
에도 제3의 의미를 나타 ⑶ 다음 설명을 바탕으로 하여 <보기>에 제시된 단어들을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내는 합성어
예 가시방석(편치 않은 합성어로 나누어 보자.
자리)

통사적 합성어의 예 비통사적 합성어의 예

알아보다 여닫다

‌동사와 동사가 연결 어미 ‘-아’에 ‌동사의 어간과 어간이 직접 결합

참고 자료 의해 연결
국어 단어의 배열 방식
•일반적인 단어 배열 방 작은형 꺾쇠
식: 명사+명사, 관형사+
명사, 주어+서술어, 목 ‌용언의 어간과 명사가 관형사형 어 ‌용언의 어간과 명사가 직접 결합
적어+서술어, 부사어+
서술어, 용언의 어간+연 미 ‘-은’에 의해 연결
결 어미+용언 등
•일반적이지 않은 단어
배열 방식: 용언의 어간
+명사, 부사+명사, 용언 •통사적 합성어 예시 답 밤낮, 힘쓰다, 굳은살, 논밭, 피땀
의 어간+용언의 어간 등
•비통사적 합성어 예시 답 오가다, 덮밥

80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0 2019. 11. 5. 오후 3:36


4 다음 활동을 통해 새말을 만드는 방법을 탐구해 보자.

지도 방안 ⑴ 다음 새말의 구조를 분석해 보고, 새말이 만들어진 방식에 대해 말해 보자.


새말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탐
구하는 활동이다. 새말의 구성 새말 구성 요소 새말이 만들어진 방식
요소를 분석하고, 실제 언어생
활에서 사용하는 새말을 살펴 무꺼풀 무(無)- + 꺼풀 파생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누리꾼 누리 + - 꾼 파생

딸바보 딸 + 바보 합성

⑵ ⑴과 다른 방식을 사용한 새말의 사례를 찾아보고,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졌는지


설명해 보자.

《우리말샘》
국어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새말 만드는 방식
어휘를 등록하거나 뜻풀이를
수정할 수 있는 참여형 사전이 • 머리글자의 결합
• •단어의 일부 결합 •그 밖의 방법
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리
예시 답
지 않은 새말을 찾아볼 수 있다.
(http://opendict.korean.go.kr) 새말 뜻 새말 만드는 방식

남사친 남자 사람 친구 머리글자의 결합
급식을 먹는 세대가 자주 사용
급식체 단어의 일부 결합
하는 문체
부먹, 찍먹 부어 먹다, 찍어 먹다 머리글자의 결합
그 밖의 방법(기존의 단어 ‘절
쩔다 대단하다, 굉장하다
다’에 새로운 의미 추가)

⑶ 사전에 실린 새말과 실리지 않은 새말을 찾아보고, 바람직한 새말을 만들기 위한


방안에 대해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생략

사전에 실리지 않은 새말
예 생얼, 금손
사전에 실린 새말
검색
예 스마트폰, 새집 증후군

⑵ 단어 81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1 2019. 11. 5. 오후 3:36


수업 PPT

단어의 의미 관계
학습 요소 ● 단어의 다양한 의미 관계
● 적절한 어휘 사용과 활용

1 단어의 의미 관계

발견 하기

예시 답 가다 / 깎이다 다음의 두 상황을 보고, ‘서다’의 반대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네 덕분이야!
으쓱!

자동차가 서다. 체면이 서다.

어휘의 유형 어휘란 일정한 범위 속에 들어 있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어휘


어휘는 그 집합의 성격에 따 어휘의 개념

라 한 나라의 어휘, 개인의 어


를 구성하는 단어들은 의미를 중심으로 서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단어의 의
휘, 특정 사회의 어휘 등 다양하 미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활용하면 더욱 풍부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다.
게 나타날 수 있다. ‘한국어의 단어의 의미 관계 이해의 의의 ▶ 어휘의 개념과 단어의 의미 관계 이해의 의의
어휘’, ‘김소월 시의 어휘’, ‘청소
년의 어휘’처럼 구분하는 것이 유의 관계 5

그 예이다.
말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단어들을 유의 관계에 있다고 하고, 이
유의어의 개념

유의어 간의 미묘한 의미 차
러한 단어들을 유의어라고 한다.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그 의미가 비슷하지만

•방언적인 차이: 옥수수 - 강
쓰이는 상황과 가리키는 대상의 범위가 다른 경우도 많다.
▶ 유의 관계와 유의어의 개념
냉이
•문체의 차이: 소젖 - 우유 -
밀크 배우다 - 학습하다 - 익히다 - 수강하다 - 공부하다 - 사사하다
•전문성의 차이: 염화나트륨 -
소금
•내포적인 의미의 차이: 동무 ‘배우다’는 많은 유의어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미묘한 의미 차이가 있다. 예를 10
- 친구
•완곡어법에 따른 의미 차이: 들어 ‘바둑을 배우다.’를 ‘바둑을 사사하다.’로 바꾸면 누군가를 스승으로 삼고 가르
죽다 – 돌아가다
침을 받는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유의어 간의 미묘한 의미 차이

82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2 2019. 11. 5. 오후 3:36


반의 관계

서로 의미가 반대되거나 대립되는 단어들을 반의 관계에 있다고 하고, 이러한 단


반의어의 개념
어들을 반의어라고 한다. 반의 관계가 성립되려면 한 쌍의 반의어 사이에 하나의 의
반의 관계 성립의 조건
미 자질만 다르고 나머지 의미 자질들은 공통적이어야 한다. 의미 자질
▶ 반의 관계와 반의어의 개념 단어의 의미를 구성하는 최
소 성분으로, 해당 자질을 가지
5 소년 - 소녀 청년 - 할머니
고 있으면 ‘ +’로, 가지고 있지
않으면 ‘  -  ’로 표시한다.
‘소년’과 ‘소녀’는 ‘사람’, ‘세대’라는 공통된 의미 자질을 가지지만, ‘성별’이라는 예 ‌숙녀 [+사람] [+여성] [+성숙]
신사 [+사람] [-여성] [+성숙]
한 개의 의미 자질이 다르므로 반의 관계가 성립한다. 반면에 ‘청년’과 ‘할머니’는
‘사람’이라는 공통된 의미 자질도 있지만, ‘성별’과 ‘세대’라는 두 개의 의미 자질이
다르므로 반의 관계가 아니다. ▶ 반의 관계 성립의 조건

10 반의 관계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여러 개의 단어와 대립하는 양상을 보이


기도 한다. 예를 들어 ‘땅’의 반의어는 ‘하늘’이 될 수도 있고, ‘바다’가 될 수도 있다.
▶ 여러 개의 단어와 대립하는 양상을 보이는 반의 관계

상하 관계

두 개의 단어 중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단


상하 관계의 개념
어의 의미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를 상하 관계라고 한다. 이때 다른 단어를 포함하는
15 단어를 상의어,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단어를 하의어라고 한다.
▶ 상하 관계와 상의어, 하의어의 개념

동물 - 개 개 - 진돗개

위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상의어와 하의어의 구분은 상대적이다. ‘개’는 ‘동물’의


하의어지만 ‘진돗개’의 상의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상대적인 구분인 상의어와 하의어

상하 관계를 형성하는 단어들은 상의어일수록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나타


상의어의 특성
20 내며, 하의어일수록 개별적이고 한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하의어의 특성 ▶ 상의어와 하의어의 특징

 ‘개’는 ‘진돗개’, ‘치와와’,


‘푸들’, ‘슈나우저’의 상의어
가 되고 ‘진돗개’, ‘치와와’,
‘푸들’, ‘슈나우저’는 각각
‘개’의 하의어가 된다.

우리는 모두 개!

참고 자료 반의 관계의 유형

반의 관계는 정도 반의어, 상보 반의어, 방향 반의어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정도 반의어는 정도나 등급에 있어서 대 ⑵ 단어 83
립되는 단어의 쌍으로, ‘길다/짧다, 쉽다/어렵다, 덥다/춥다’ 등이 있다. 상보 반의어는 상호 배타적인 두 구역으로 철저
히 양분하는 단어의 쌍으로, ‘남성/여성, 참/거짓, 합격하다/불합격하다’ 등이 있다. 방향 반의어는 관계나 이동의 측면에
서 대립을 이루는 단어 쌍으로 ‘위/아래, 사다/팔다, 가다/오다‘ 등이 있다.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3 2019. 11. 5. 오후 3:36


2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발견 하기

예시 답 도복을 입은 친구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일어난 까닭은 무엇일지 이야기해 보자.


허리를 둘러매는 끈 색깔을 물
었지만, 상대방은 사람이 태어
난 해를 12가지 동물로 나타내
넌 무슨 띠니? 난
서 부르는 ‘띠’를 묻는 것으로
오해했기 때문이다. 뱀띠인데.

소리는 같지만 의미가 서로 다른 단어를 동음이의어라고 하고, 두 가지 이상의 여


동음이의어의 개념 다의어의 개념
다음 문장에 각각 쓰인 ‘차’ ▶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개념
러 가지 의미를 가진 단어를 다의어라고 한다.
와 ‘타다’는 서로 어떤 관계에 있
는 단어인지 생각해 보자.

•차를 타다. (가) 허겁지겁 뛰었더니 땀에 흠뻑 젖었다.


사람의 피부나 동물의 살가죽에서 나오는 찝찔한 액체.

(나) 바느질을 한 땀 한 땀 정성 들여 했다. 5

실을 꿴 바늘로 한 번 뜬 자국을 세는 단위.

•차를 타다.
위의 (가)와 (나)에서 ‘땀’은 소리는 같지만 서로 뜻의 관련성이 없기 때문에 동음
이의어이다. ▶ 동음이의어의 예

(가) 현우는 손이 커서 큰 장갑을 사야 한다.


예시 답 차: 동음이의어 / 타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부분. → 중심적 의미
다: 동음이의어
(나) 그 일은 손이 많이 간다.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사람의 힘이나 노력, 기술. → 주변적 의미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차이
(다) 요즘은 일이 바빠서 손이 많이 필요하다. 10
동음이의어는 의미상으로 상 = 일손. 일을 하는 사람. → 주변적 의미
관성을 찾기 어렵지만 다의어
는 하나의 의미에서 의미가 분
다의어의 의미는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로 나뉜다. (가)의 ‘손’은 단어의 가장
화된 것이다. 그래서 사전에서
동음이의어는 별개의 표제어로 보편적이고 핵심적인 의미에 해당하므로 중심적 의미라고 한다. 반면 (나)와 (다)의
실리지만 다의어는 하나의 표 중심적 의미의 개념
제어로 실린다. ‘손’은 중심적인 의미에서 확장된 의미에 해당하므로 주변적 의미라고 한다.
주변적 의미의 개념 ▶ 다의어의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

84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4 2019. 11. 5. 오후 3:37


수업 PPT

1 다음 활동을 통해 유의어에 대해 탐구해 보자.

⑴ ‘더하다’와 ‘따뜻하다’의 유의어를 찾아 적어 보자.

더하다 따뜻하다
지도 방안 합하다 온난하다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를 탐구
하는 활동이다. 유의 관계에 있 예시 답 예시 답
는 단어도 미묘한 의미의 차이 추가하다 보태다 가하다 온화하다
가 있어 각각의 쓰임이 다르다 심화되다 윤색하다 뜨듯하다 푹하다
는 것을 사전을 찾아 예문을 악화되다
다사롭다 따사롭다 따스하다
통해 알게 한다.

⑵ 〈보기〉에 제시된 단어의 의미 차이를 고려하여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써 보자.
보기

발달 발전 신장

예시 답

•개는 감각 기관 중 코가 발달 한 동물이다.

•올해 우리 회사의 매출은 빠르게 신장 하고 있다.

•좋은 생활 습관이 들면 자기 발전 에 도움이 된다.

•그는 평생을 어린이들의 권리 신장 을 위해 노력해 왔다.

•그 선수는 공격과 수비에서 모두 장족의 발전 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열대성 저기압이 점차 발달 하여 우리나라 전 지역에 비가 올 것이 예상된다.

2 다음 예문을 참고하여 ‘뜨다’의 반의어를 써 보고, 다양한 반의어를 가진 단어의 예를 더


찾아보자.

단어는 문맥에 따라 여러 단어 예문 반의어


가지 뜻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
문에 반의어도 여럿 존재할 수 붉은 해가 수평선 위로 조금씩 뜨고 있었
지다
있다. 다.

지도 방안 아이들은 하늘에 떠 있는 비행기를 바라보


뜨다 내리다
반의어를 탐구하는 활동이다. 며 환호성을 질렀다.
단어의 의미가 여러 개인 경우,
그 의미에 따라 반의어도 달라 물속에 가라앉아 있던 물체가 서서히 수면
진다는 점을 학생들이 알게 한 가라앉다
으로 뜨기 시작했다.
다.

•다양한 반의어를 가진 단어의 예: 열다(↔ 닫다, 다물다, 막다, 잠그다 등), 벗다(↔ 쓰다, 끼다, 입다, 신다 등), 서다(↔
앉다, 가다, 깍이다, 무디다 등)
⑵ 단어 85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5 2019. 11. 5. 오후 3:37


3 다음 단어들을 포괄할 수 있는 상의어를 생각해 보자.

지도 방안
제시된 단어들의 의미를 포괄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에어컨, 청소기, 식기세척기
하는 상의어를 찾는 활동이다.
글을 읽을 때, 핵심어는 주로 •버터, 치즈, 분유, 연유, 크림,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상의어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어의 상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글의 주제를 이해하는 데 예시 답 가전제품, 유제품
에도 도움이 된다는 점을 알려
준다.

4 다음 동시와 광고를 보고,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에 대해 탐구해 보자.

지도 방안 나

동시와 광고에 나타난 동음이 서울시, 노숙인 위기대응콜
의어와 다의어를 살펴보고, 우
쓴 사용법
잠들면 홍보 포스터
리 주변에서 동음이의어와 다 웩, 이렇게 다.
쓴 약은 처음이야. 길에서 있습니
의어가 사용된 예를 더 찾아보 잠들 수
는 활동이다. 직접 사전을 찾아 엥, 이렇게 영원히
보면서 다의어는 사전에 하나
쓴 모자는 처음이야.
의 표제어로 실려 있지만, 동음 헹, 이렇게 ❸
이의어는 별개의 표제어로 실
쓴 글씨는 처음이야.
려 있음을 알게 한다. 헤, 이렇게 쓴 하나를 여러
뜻으로 쓴 아이는 내가 처음일걸.
- 윤여림, 《꿀떡을 꿀떡》

⑴ 가 의 밑줄 친 ‘쓰다’의 의미와 나 의 밑줄 친 ‘잠들다’의 의미를 비교해 보고, 단어들


간의 관계를 말해 보자.

혀로 느끼는 맛이 한약이나 소태, 씀바귀의 맛과 같다.

모자 따위를 머리에 얹어 덮다.


쓰다 붓, 펜, 연필과 같이 선을 그을 수 있는 도구로 종이 따위
동음이의어
에 획을 그어서 일정한 글자의 모양이 이루어지게 하다.
어떤 말이나 언어를 사용하다.

잠을 자는 상태가 되다.
잠들다 다의어
‘죽다’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⑵ 우리 주변에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예를 더 찾아보자.


예시 답
•다의어를 활용한 탈모 약 광고
“아빠는 좀 (대화에서) 빠져.” (어떤 일이나 모임에 참여하지 아니하다.)
“더 이상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을 거야.” (박힌 물건이 제자리에서 나오다.)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쇼핑몰 광고
사자: “편하게 사자!!!”
86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6 2019. 11. 5. 오후 3:37


학습 활동지

5 단어의 의미 관계를 활용하여 인쇄 공익 광고를 만들어 보자.

지도 방안 ⑴ 모둠별로 다음 분야 가운데 하나를 골라 세부 주제를 정해 보자.


앞에서 학습한 단어의 의미 관
계를 활용하여 광고를 만들어
보는 적용 활동이다. 실제 인 □ 안전 □ 인성 □ 민주 시민 □ 인권 □
V 환경
쇄 광고를 참고하여 단어의 다
양한 의미를 활용해 광고 문구 •주제 : 예시 답 지구를 아끼고 보호하자.
를 작성하고 광고의 의도, 내용
등을 담아 공익 광고 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⑵ 공익 광고를 만들기 위한 계획서를 작성해 보자.

예시 답

모둠명 : 모둠원 :

단어의 의미 관계를
다양하게 활용해 보자. 광고 문구 쓰다 버린 물건들에 지구는 쓰다

동음이의어 활용:
쓰다 버린 물건들에 지구는 쓰다. 우리가 무심코 버리는 쓰레기들로 인해 지구 환경이 오염되고 동물들이 고통받고
광고 의도
유의 관계 활용: 차이가 차별이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되어서는 안 됩니다.

1. 고통받는 지구의 모습 표현
- ‌사진: 쓰레기가 모여 섬을 이룬 바다, 플라스틱 빨대가 코에 꽂힌 바다거북, 비닐
봉지에 둘둘 말려 날지 못하는 새 등
- 한 해에 버려지는 일회용품의 양 등을 소개한 그래프
문구에 어울리는 그림 내용
2.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쓰레기 줄이기 방법 소개
또는 사진을 찾고, 지면의 구성 - 일회용품(빨대, 플라스틱 컵, 종이컵 등) 사용하지 않기
(크기, 위치, 구도 등)에 대해 - 패스트패션 대신 리폼해 입기
자세히 설명해 보자. - 세제, 샴푸 적당히 사용하기 / 천연 세제 만들어 쓰기

⑶ 완성한 공익 광고를 누리 소통망[SNS]에 올려 공유하고, 다른 모둠이 만든 공익 광


고를 다음 항목에 따라 평가해 보자. 예시 답 생략

평가 항목 평가

문구의 내용이 창의적이고 흥미로운가?

단어의 의미 관계를 적절히 잘 활용하였는가?

적절한 문구와 그림(또는 사진)을 활용하였는가?

지면의 구성이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는가?

학생들의 관심사와 수준을 고려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가?

⑵ 단어 87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7 2019. 11. 5. 오후 3:37


지도 방안
이 단원에서 배운 학습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각 탐구별 중요 개념과 핵심적인 내용
들을 떠올려 보도록 하고, 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도 좋다. 나아가 앞서 소
단원을 시작하면서 궁금했던 점을 얼마나 알게 되었는지 질문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단원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단원의 주요 개념과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 보자.

품사의 분류와 활용 품사
•품사: 단어들 가운데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들을 묶어 분류해 놓은 갈래.

•품사를 분류하는 기준: 형태, 기능, 의 미

품사의 종류와 특성 보통 명사, 고유 명사 / 자립 명사, 의존 명사

명사 사람이나 사물, 장소 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 예 학교, 대한민국, 것

체언 대명사 명사를 대신하여 그것을 가리키는 말. 예 이것, 그것, 나, 너 →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

수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예 하나, 둘, 첫째, 둘째 → 양수사, 서수사

동사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 예 걷다, 날다


용언
형용사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 또는 성질을 나타내는 말. 예 빠르다, 아름답다

관형사 체언 앞에 놓여 그 체언을 꾸며 주는 말. 예 새, 한, 이 → 지시 관형사, 성상 관형사, 수 관형사


수식언
부사 용언, 관형사, 부사, 문장 등을 꾸며 주는 말. 예 빨리, 저리 → 성분 부사, 문장 부사

문장에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의 문법적 관


관계언 조사 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말.
예 이/가, 을/를, 도, 와/과 → 격 조사, 접속 조사, 보조사

말하는 이의 놀람이나 느낌, 부름, 응답 등을 나타내는 말.


독립언 감탄사
예 아, 여보세요, 자

단어의 짜임 단어와 형태소


•단어: 문장에서 자 립 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나 그 말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말.
•형태소: 뜻을 가진 가장 작 은 말의 단위.

형태소의 종류

자립 형태소 홀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 예 하늘, 비, 구름


자립성에
따라
의존 형태소 다른 형태소와 어울려서 써야 하는 형태소. 예 이, 끼-, -었-, -다

88 2. 국어의 구조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8 2019. 11. 5. 오후 3:37


(2) 단어

평가 자료
- 소단원 평가
- 쪽지 시험
- 서술형 평가

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는


실질 형태소
의미에 형태소. 예 하늘, 비, 구름, 끼-
따라 실질적인 의미가 없고 문 법 적인 의미만을 가지는 형태소.
형식 형태소
예 이, -었-, -다

단어 만들기

단어의 구성 •어근: 단어를 이루는 형태소 가운데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
요소 •접
• 사: 어근과 결합하여 뜻을 더하거나 제한하는 주변 부분. → 접두사, 접미사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예 집, 바다

둘 이상의 어근이나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


단어의 종류
복합어 •합성어: 어근끼리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 예 꽃잎
• 파생어: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 예
• 향기롭다

새말
•새말: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을 표현하기 위하여 새로 만들어 사용하는 말.

•‌새말의 가치: 새말은


‌ 우리말의 뛰어난 생산성과 사회의 변화 양상, 언중의 사 고 방 식 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음.

단어의 의미 관계
유의 관계 말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단어들의 관계. 예 배우다 - 익히다

반의 관계 서로 의미가 반대되거나 대 립 되는 단어들의 관계. 예 소년 - 소녀

두 개의 단어 중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단어의


상하 관계
의미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 예 동물 - 개

동음이의어 소리는 같지만 의미가 서로 다른 단어. → 사전에 각각의 표제어로 실림.

다의어 두 가지 이상의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는 단어. → 사전에 하나의 표제어로 실림.

정답 | 의미 | 자립, 작은 | 문법 | 사고방식 | 대립

⑵ 단어 89

고등언어와매체(044~125)2단원(교)2.indd 89 2019. 11. 5. 오후 3:3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