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사회언어학 개관

언어 , 사회 그리고 문화
언어이란

언어의 세 가지 측면

언어 , 사회 그리고 문화
목차
언어의 특성

언어의 기능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사회적 동물이다 . (Aristotle)

인간은 사회속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지 않고 홀로 지내는 것은 불가능하며 ,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언어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복잡한 의사소통 체계이다 .


언어란 무엇인가 ?

인간이 상호작용을 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은 언어 (language) 이다 .

언어는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하고 교환하는


수단이다 .
소통의 기본 도구인 언어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명확하게 전달하려면 자신이


말하려는 내용과 의미를 내포한 언어를 가지고 표현해야 한다 . 또한
화자가 표현한 내용을 청자의 입장에서 정확히 이해하려면 이에
부합한 문맥을 잘 파악해야만 가능하다 .
언어의 세 가지 측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전달하려는 내용 .
표현과 관련된 요소의 의미와 지시

의미
(meaning) 단어 , 구 , 문장 , 억양과 강세를
포함한 발음을 나타낸다 .

문맥 표현
언어가 발화된 상황과 이전에 (context) (expression)
대화가 이루어진 상황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요소이다 .

Finegan(2004:8)
언어의 세 가지 특질

통시적 변화
(diachronic
change)

체계성 / 내부 변이성
규칙성 (internal
(systematicity) variability)
언어 , 사회 그리고 문화
• 동일한 언어 공동체의 구성원인 동시에 그들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문화를 공유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
•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 구성원들이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 .
• 어떤 언어를 잘 이해하기 위해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의 문화를 잘
이해해야 한다 .

1. 인간은 사회 , 역사 , 문화 , 교육과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언어를 사용한다 .


그래서 언어 , 문화 , 사회 이 세 가지 요소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

2. 해당 언어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사용하는 구성원이 속한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 역시 필요하다 .
인간 언어와
동물 언어
• 주 교재 14 페이지 참고
언어의 특성
언어의
자의성
언어의 언어의
기호성 체계성
언어의
특성
언어의 언어의
창의성 사회성
언어의
역사성
언어의 기능 – Halliday(1975)
도구적 기능

상상적 기능 통계적 기능

언어의
기능
발견적 기능 표현적 기능

상호작용적
개인적 기능
기능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고의 언어와 사고의


관계가 관계가
동일하다는 관점 상이하다는 관점
언어 와 사고가 상이한 관계

언어 우위설 사고 우위설 상호 의존설


언어 우위설

•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가 사고에 앞선다 .


• 무지개의 색깔 수 , 눈 , 비 등의 어휘
사고 우위설

• 사고가 언어보다 더 우위에 있다고 보는 견해


•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고가 가능하다고 주장
• 인지 발달은 언어 발달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
• 예 : 커피
상호 의존설

언어없는 사고는 불완전하고 , 사고 없는 언어는 생각할


수 없다 . 인간은 언어를 통해 사고가 확장되고 , 사고의
확장을 통해 언어의 세계가 점점 넓어진다고 본다 .
언어 결정론
LINGUISTIC
DETERMINISM

사피어 -
워프 가설
언어 상대론
LINGUISTIC
RELATIVISM
언어가 인간의 사고를 결정한다는 것으로 , 우리가
인지하고 생각하는 것은 우리가 말하는 특정 언어에
강한 의해 제약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

사피어
워프 가설 : 인간의 사고는 우리가 말하는 언어에 의해
결정됨으로 , 언어 자체가 인간의 인지와 사고를
언어 결정한다고 보았다

결정론
언어와 사고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언어를 배울 수
있는 언어 습득 기제와
언어와 사고는
보편문법 universal
독립적이라고 봄 .
grammar 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함 .

언어 결정론 반박

Chomsky&Pinker 모든 인간은 사고의
언어 language of
thought 라는 동일한 멘탈리즈 = 자연언어
언어인 ‘멘탈리즈 Natural language
metalese '를
공유하고 있다고 봄 .
언어는 사고에 영향을 끼치며 , 문화 간
언어의 차이는 사고에서의 문화적
차이와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
약한 사피어
워프 가설 :
언어와 사고는 상호 연관성이 있다는 언어 상대론
약한 가설인 언어 상대론이 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예 : 29 페이지 Kay&Kempton(1984)
언어와 문화

어휘 속의 문화 속담 속의 문화
어휘 • 언어는 해당 사회의 독특한
문화를 반영한다 .

속의 • 한국어 , 베트남 사회는 공유한


문화 , 언어적 표현 ?

문화
속담 “ 속담이란 누구나 손쇱게 쓸 수
있는 가장 현명한 생활 용어이므로
속의 영원히 명망할 수 없는 옛 지식의
한 조각이다 .”

문화 -Aristol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