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화법과 작문의 본질과 태도 (1) 화법과 작문의 본질

◆ 화법과 작문의 특성
▪의사소통의 두 차원

일상생활 속 개인적인 정보 전달이나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


개인적 차원
사소통
공동체 발전에 필요한 경험, 지식을 나누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
사회적 차원
사소통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화법과 작문의 특성


① 사회적 담론의 형성

사회적 담론 어떤 주제에 대한 사회 구성원들의 공통된 의견

개인의 말이나 글이 사회 구성원들의 공통된


사회 구성원들
사회 구성원의 è è 의견이 되어 사회적
사이에서 공유, 확산됨.
공감을 얻음. 담론을 형성함.

② 의사소통 문화의 형성

의사소통 ⦁공동체 구성원들끼리 사용하는 특정한 의사소통 양식


문화 ⦁개인의 화법과 작문 과정에 영향을 줌.

⦁사회 구성원이 중시하는 가치, 규 ⦁특정 의사소통 문화가 절대적으로 옳


범, 관습에 의해 형성됨. 거나 그르다고 할 수 없음.

⦁사회 집단에 따라 특유한 의사소통 ⦁시대와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문화를
문화가 형성되기도 함. 만들어가는 태도가 필요함.

◆ 화법과 작문의 기능
▪자아 성장에 기여

⦁대화를 통해 자신을 객관적으로 인식하여 자아 형성에 도움을 줌.


화법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동력이 될 수 있음.
⦁필자: 경험이나 성찰을 글로 쓰는 과정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자아가
작문 성장할 수 있음.
⦁독자: 성찰의 글을 읽고 자아 성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음.
⇨ 화법과 작문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음.
▪공동체 발전에 기여
화법과 작문 활동으로 긍정적인 원만한 대인 관계 건강하고 활기찬
è è
자아 정체성 확립 형성 및 유지 공동체 형성

화법과 작문 활동으로 공동체의 공동체의 문제를 공동체 발전에


è è
문제나 쟁점에 대하여 논의함. 해결해 나감. 기여함.

◆ 화법과 작문의 맥락

맥락 담화나 글을 생산하거나 수용하는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

화법의 맥락 요소 작문의 맥락 요소
화자, 청자, 말의 주제, 말의 목적, 말하 필자, 독자, 글의 주제, 글의 목적, 글쓰
는 상황, 사용 매체, 담화 유형 등 기 상황, 사용 매체, 글의 유형 등

ê ê

화법의 맥락을 고려하는 태도 작문의 맥락을 고려하는 태도

글은 말과 달리 오래 지속되고, 필자와
맥락 요소를 고려하여 말의 내용과 표현,
독자가 직접 마주하지 않으므로 맥락을
전달 방식을 조절해야 함.
세심하게 고려하여 글을 써야 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