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9

제11장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훈련
그룹 3
목록
1 2 3 4 5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분류 스킴에 따른 문 문화간 훈련을 한국의 문화간 한국의 문화간
훈련의 역사 화간 훈련 테크닉의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훈련 현황 훈련을 위한
분류와 훈련 모형 제언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훈련의 역사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훈련의
역사적 발전 과정
제2차 세계 대전 후 : 1970년대와 인간 관계 민
01 03
문화간 훈련의 탄생 감성모형

1960년대와 대학교 1980년대와 통합적/대안


02 훈련 모형
04
적 학습 모형

05 현재 상태
제2차 세계 대전 후 :문화간 훈련의 탄생

- 문화간 훈련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탄생은 미국에


서 해외근무 연구소(the Foreign Service Institute)가
수립되었던 1946년으로 소급한다.

새로운 훈련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그들은 언어학뿐만 아니라 인간 공간학(proxemics),


준언어 학(paralinguistics), 몸동작학(kinesics) 등과
같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 션을 연구하는 데 관심이 있었
다.
그들의 문화간 훈련 프로그램은 훈련생들이 언어적이고 비언어적인

차원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전체적으로 인식하고 타문화에 적응하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1960년대와 대학교 훈련 모형
(University Training Model)

- 1960년대의 지배적 훈련 모형은 소위 대학교 모형


(university model)이었는데 이 모형은 주로 강의를 통해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 는 훈련 방법이었다.

-훈련자들은 "훈련생들을 교실에 앉혀 놓고 타깃 국가와 문


화에 관한 정보를 가르쳤다".
1960년대와 대학교 훈련 모형
(University Training Model)

대학교 모형식 접근 방법이 새로운 문화적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생활하고 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들을 가르치지 못했다.

대학교 모형의 실패는 평화봉사단이 대안적 훈


련 방법을 찾도록 만들면서 훈련자들 사이에 훈
련과 관련된 윤리 문제를 생각하도록 만들었다.
1970년대와 인간 관계 민감성 모형
(Human Relations Sensitivity Model)

이 모형은 초점이 거의 전적으로 경험적이고 참여적인 학습에 맞추어졌다는 점에서 대학교


모형과 뚜렷하게 달랐다

경험적 학습 활동은 단순한 정보의 획 훈련은 자연히 훈련생들 자신과 문화가


득보다 개인적 성장을 촉진시키는 데 다른 사람들 사이에 가치와 신념 체계,
목적 을 두었다. 태도, 그리고 편견 등을 둘러싼 대결과
충돌을 강조했다.
인간 관계 민감성 모형은 오히려 환영 을 받지 못했다

그 모형은 지나치게 대결과 긴장을 필


01 요로 했다.

훈련생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정보 처
02 리 기술과 디브리핑(debriefing) 기
술을 필요로 했다.

03 훈련생들 사이에 저항과 좌절감을 불


러 일으켜 결과적으로 학습이 억제되
었다.
Hoopes, 1979
1980년대와 통합적/대안적 학습 모형

1980년대로 들어와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은 하나의 독립된 영역으로 계속 성장했고 반


전문직업 분야로 자리잡았으며 많은 학자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지식적 토대를 확대
시켰다.

1980년대 전반에 걸쳐 미국 대학교에서 사용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교과서와 참고서는


문화, 커뮤니케이션, 윤리 사이의 관계에 대한 토론들을 주로 다루었다.
1980년대와 통합적/대안적 학습 모형

기업의 글로벌화는 1980년대 전반에 걸쳐


문화간 훈련을 성장시킨 요인이 되었다.

여성, 유색 인종, 이민, 그리고 난민의 증가


로 노동력이 다양성을 띠 게 된 것이다.
1980년대와 통합적/대안적 학습 모형

1980년대를 지배했던 문화간 훈련 모형은 통합적 혹은 대안적 학습 모형이었다. 이 모형은 인지적 학습 방

법뿐만 아니라 경험적 학습 방법도 사용한다. 훈련은 훈련생들이 다른 문화적 환경 내에서 효과 적으로 살고

일하기 위해 언어, 행동, 태도, 심리 차원에서 준비를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문화간 훈련의 현재 상태
현재의 문화간 훈련 모형은 계속해서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모형이 되고 있다. 그런데 훈련 분야의
관심은 다음의 세 가지에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이론과 실제를 결합하 둘째,정치적,사회적,그리고 역 셋째, 훈련 상황 자체뿐만 아니라 문


고 국내와 국제의 훈련 상황 사적 상황들을 보는 쪽으로 나 화간 관계에 있어서 파워 차이의 영
을 연결하는 것이다. 아가는 것이다. 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분류 스킴에 따른 문화간
훈련 테크닉의 분류와 훈련
모형
문화간의 중요한 목적은 문화간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01 02 03

적응 효과 직무 효과 커뮤니케이션 효과
호스트(host) 국가에서 훈 훈련생 들의 직업과 관련된 업 이것은 더 효과적으로 커
련생들이 그들의 개인적 무를 더 잘 수행하도록 돕는 뮤니케이트 하도록 돕는
상 태에 만족하도록 돕는 효과를 뜻한다. 효과를 말한다.
효과를 의미한다.
문화간의 중요한 목적은 문화간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01 02 03

적응 효과 직무 효과 커뮤니케이션 효과
호스트(host) 국가에서 훈 훈련생 들의 직업과 관련된 업 이것은 더 효과적으로 커
련생들이 그들의 개인적 무를 더 잘 수행하도록 돕는 뮤니케이트 하도록 돕는
상 태에 만족하도록 돕는 효과를 뜻한다. 효과를 말한다.
효과를 의미한다.

가장 중요한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경험적

I II
경험적 . 문화 일반적 경험적 . 문화 특수적

문화 문화
일반적 특수적
III IV
교육적 . 문화 일반적 교육적 . 문화 특수적

교육적
<그림 1> 구디쿤스트와 햄머의 문화간 훈련 테크닉의 분류 스킴
문화의 일반적 영향에 관한 학습을 위해 참여를 강조하는 훈련 테 크닉들이
경험적-문화일반적
I 이에 속한다.
(Experiential-Culture
General) 가장 자주 사용되는 테크닉은 시뮬레이션 혹 은 짜 맞춘 토론이다.

역할놀이, 지역 시뮬레이션, 실습 여행, 두 문화(bicultural) 워크숍, 행동 모


경험적-문화특수적
II 델링 등의 훈련 테크닉이 이에 속한다.
(Experiential-Culture
Specific) 이들 중 역할놀이와 행동.모델링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 대학식 접근 방법과 '학습 방법을 학습하기'를 강조하는 다른 테크닉


교육적-문화 일반적
들이 이에 속한다.
III (Didactic-Culture
General) 이들 중 가장 인기 있는 한 가지 접근 방법은 '문화일반적 동화 방법
(culture- general assimilator)'이다.

교육적-문화 특수적 학교 강의, 언어 학습, 문화(특수적) 동화 방법 등이 이에 속한다.


IV (Didactic-Culture 가장 자주 사 용된 방법은 '지역 연구(area studies)' 프로그램이다.
Specific) 이 프로그램은 특정한 국가와 국민에 초점을 맞춘 훈련이다.
그러나 카자일(Cargile)과 자일스(Giles)는 이 모형이 부적절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01 훈련 과정을 매우 복잡하게 만드는 집단간 역학이 무시되 었다는 것이다.

02 상황은 그것이 구체화시키는 집단간 관계의 여러 국민들과 또한 그것이 제공하는 규범들을 통해


훈련의 효과를 제한한다는 것이다.

03 집단간 정체성은(관련된 집단이 어떤 집단이든) 훈련에서 성공적으로 학습한 교훈들을 적용하는


데 간섭한다는 것이다.

04 불안, 시간, 그리고 관련도 등과 같은 상호 작용의 다른 국면들이호스트(host)와 커뮤니케이트할


때 생각 없이 행동하거나 기존의 스테레오타이프에 의존하려는, 이미 발전된 인지적 성향을 더욱
나쁘 게 만든다는 것이다.
05 호스트(host) 자신의 반응이 우호적 인 상호 작용의 가능성을 망칠 수 있다는 것이다.
문화간 훈련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문화간 훈련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문화간 훈련을 실시하는 목적

문화간 훈련 유형별 테크닉

문화간 훈련의 설계 사례 :
이론 대 비이론

문화간 훈련의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
문화간 훈련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미국의 인구와 노동력은 점점 다양해짐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미국의 인구와 노동력은 훈련 기간이 단기간에


점점 다양해짐 집중됨

문화간 훈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함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문화간 훈련의 이론적 결핍에 있음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문화간 훈련의
이론적 결핍에 있음 이론이나 모형에 토대를
두고 설계된 것이 아님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명칭의 다양성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다양성 훈련

문화적 다양성 훈련

문화적 다양성 자각 훈련
문화간 훈련과 다문화적 훈련, 문화 횡단적 훈련
관련된 명칭의 다양성
다문화적 교육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다른 철학적 혹은 이념적 차이의 결과일 수 있음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다른 철학적 혹은 훈련의 내용이나 목적이


이념적 차이의 결과일 수 있음 달라지게 되어 있음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훈련의 변화에 대한 편견에 직면하기를 싫어함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훈련 내용은 약화 됨

훈련의 변화에 대한 편견에


직면하기를 싫어함
편견을 강화할 수 있음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문화간 훈련이 실시되는


조직체의 정치적 분위기와 조직 문화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훈련을 실시하는 사람

훈련을 받은 사람

훈련의 유형
문화간 훈련이 실시되는
조직체의 정치적 분위기와 조직 문화
훈련에 사용되는 자원
1) 문화간 훈련과 관련된 문제

훈련만으로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문제나 관계를 개선할 수 없음
문화간 훈련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2) 문화간 훈련의 목적
2) 문화간 훈련의 목적

새로운 문화적 환경에서 생활하는 데 적응하도록 도움

다른 집단들의 성원들과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도움

집단들의 성원들을 상담하도록 도움


문화간 훈련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3) 문화간 훈련 테크닉
3) 문화간 훈련 테크닉
경험적 문화 - 일반적

경험적 문화 - 특수적

교육적 문화 - 일반적

교육적 문화 - 특수적
3) 문화간 훈련 테크닉
(1) 경험적 문화 - 일반적

①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② 문화 - 일반적 ③ 자기 평가


워크숍 동화 장치
(1) 경험적 문화 - 일반적
①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워크숍

집단의 성원들 사이에 문화적 차이를 토론하기

집단의 성원들 사이에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을 토론하기

참가자들이 타문화에서 갈등 이나 의사 결정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역할놀이를 통해 이해하기

중요한 사건들(critical incidents)을 토론하거나


참가자들이 현장 경험 을 한 다음 그 경험에 대한 여러 가지 반응을 토론하기

참가지들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 작용의 분석에 있음


(1) 경험적 문화 - 일반적

② 문화-일반적 시뮬레이션
다른 문화의 성원들 사이의 일반적 상호 작용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경험적 연습

'미국인과의 대조 시뮬레이션' (Stewart, 1966)

바파 바파(BAFA BAFA) (Shirts, 1973)


(1) 경험적 문화 - 일반적
③ 자기 평가(self-assessment)
피훈련자들이 자신의 태도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경 험적으로 깨닫도록 도움

자기 평가 방법 (Gudykunst, 1994)
3) 문화간 훈련 테크닉
(2) 경험적 문화-특수적 훈련 테크닉

① 이중 문화적 ② 문화 - 특수적 ③ 문화 - 특수적


커뮤니케이션 워크숍 시뮬레이션 역할놀이
(2) 경험적 문화-특수적 훈련 테크닉
① 이중 문화적 커뮤니케이션 워크숍
피훈련자들을 두 문화(예를 들면, 호스트 문화와 방문자 문화)의
성원들에만 국한시킴으로써 경험적 문화 - 특수적 훈련 테크닉으
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들었음
(2) 경험적 문화-특수적 훈련 테크닉
② 문화 특수적 시뮬레이션
마크홀(Markhall) 시뮬레이션 - 미국과 일본의 경영 스타일,
직장 생활, 근로자 상호 작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설
계된 테크닉

Ace Card Company Creative Card Company


(2) 경험적 문화-특수적 훈련 테크닉

③ 문화 특수적 역할놀이
피훈련자들이 특수한 문화의 성원들과 특수한 상황에서 상 호
작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돕는 테크닉
3) 문화간 훈련 테크닉
(3) 교육적 문화-일반적 훈련 테크닉

① 강의/토론 ② 비디 오테이프 ③ 문화-일반적 동화 장치


(3) 교육적 문화-일반적 훈련 테크닉
① 강의/토론 테크닉

문화간 훈련에 사용되는 중요


한 교육적 문화일반적 테크닉
은 바 로 강의/토론닉
(3) 교육적 문화-일반적 훈련 테크닉
② 비디오테이프

국제화(Going International) -
(Copeland & Griggs, 1983)

다양성의 존중(Valuing Diversity) -


(Copeland & Griggs, 1987)
(3) 교육적 문화-일반적 훈련 테크닉
③ 문화-일반적 동화 장치
(assimilator)

특정한 문화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많은 문화의


사례 를 이용함으로써 문화일반적 원칙을 배우
도록 설계된 것
3) 문화간 훈련 테크닉
(4) 교육적 문화-특수적 훈련 테크닉

① 지역 연구 ② 언어 훈련 ③ 문화-특수 ④ 문화-특수적
브리핑 동화 장치 독서
(4) 교육적 문화특수적 훈련 테크닉
① 지역 연구 브리핑
특수한 문화에 속한 어떤 지역의 연구를 피훈련자들에게
설명함으로써 그 문화에 대한 이해를 하도록 돕는 테크닉

특정한 나라에 관한 사실적 정보


콜스 (Kohls)가
그 나라의 국민의 태도에 관한 정보
제시한 지역 연구
그 나라에서 생활하게 될 피훈련자들이 직면할 문
제들의 토론
(4) 교육적 문화특수적 훈련 테크닉
② 언어 훈련
다른 문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려면 그 문화의
언어를 반드시 배워야 함
(4) 교육적 문화특수적 훈련 테크닉
③ 문화-특수적 동화 장치
한 문화의 성원들에게 다른 문화에 대한 특수한 정보를
가르치기 위해 프로그램화한 학습 방법을 이용함
(4) 교육적 문화특수적 훈련 테크닉
④ 문화-특수적 독서
특수한 문화를 다룬 읽을 거리를 제공함

인터컬처럴 프레스(Intercultural Press)가 출판한 "상호작용"


(Interact) 시리즈

브리검 영 대학교(Brigham Young University)의 "문화그램"


(Culturegram) 시리즈

앨리슨 래니어(Alison Lanier)의 "업데이츠"(Updates) 시리즈


4) 문화간 훈련의 설계 사례: 이론 대 비이론

(1)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한 문화간 훈련의 설계

(2) 이론에 토대한 문화간 훈련의 설계


(1)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한 문화간 훈련의 설계

문화문화적 차이/특수한 문화에 관한 인식, 지식, 정보


목적 문화간 커뮤니케 이션과 관계가 있는 태도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인식 (문화의 특성을 토론함으로써 그 문화에 대한 인식이나 지각을 하는 단계)

지식 (문화가 그들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하다 → 문화간 상호작용과 적응에
단계 유용한 지식을 제공)
감정적 도전 (감정적 도전을 말하거나 표현하도록 돕는 훈련 방법은 중요한 사건들과 역할놀이)
행동적 기술 (훈련자는 피훈련자들에게 다른 문화에서 수 행해야 하는 적절한 행동들을 소개 →
다른 문화에서 경험할 행동들과 유사한 사회적 상황에서 수행하도록 돕다)
(2) 이론에 토대한 문화간 훈련의 설계
걱정/불확실성 관리 이론(anxiety/ uncertainty management theory: AUM)

걱정과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그들의 능력이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데 어떻게 영향


을 미치는지 이해하도록 돕다
새로운 문화적 환경에서 그들의 불확실성을 성공적 으로 관리하도록 돕다
목적
새로운 문화적 환경에 서 그들의 걱정을 성공적으로 관리하도록 돕다
5) 문화간 훈련의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
훈련자는 문화간 훈련에 참가하는피훈련자들에게 욕구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문화간 훈련의 지침이 될 이론을 선정해야 한다

피훈련자들이 다른 문화 에 도착하기 전과 후에 따라 욕구의


종류나 강도가 다를 수 있다

훈련 테크닉의 선정과 순서는 문화간 훈련을


성공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모든 문화간 훈련은 평가를 해야 한다


한국의 문화간 훈련 현황
시간: 약 3주간 (해외 주재원 생활을 마치고 귀국하는 직원들을 상대로 역 시약 3주간의 훈련)
목적: + 해외 현지 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출국 전에 준비
1) 삼성인력개발원 + 해외에서 예견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 해외 생활 중 어려웠던 점, 다문화로 인한 실수 경험
훈련 자료: + 『글로벌 매니지먼트』
+ 『주재원 가족을 위한 해외 생활 가이드』

본격적인 문화간 훈련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목적: + 한국의 개발 경험과 기술을 개발도상국에 전수하여 개발도상국의 사회, 경제, 문화
2) 한국국제협력단(KOICA) 발전
+ 한국의 젊은이들이 세계적인 안목을 갖고 남과 더불어 사는 삶을 배우고 실천하다
훈련 자료: 『해외봉사활동의 원칙과 실제』

1999년 10월 산하에 '외국인 투자 옴부즈맨 사무소'를 설립


'KOTRA 세계 이문화 연구회'
3)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주요 활동: + 세계 각 지의 문화와 비즈니스 에티켓에 관심이 있 는 일반 기업인과 학생들에
대한 강연
+ 사보 및 언론에 대한 이문화 원고 기고
+ 해외 진출을 꿈꾸는 기업인과 학생에 일 대 일 상담 서비스 제공
한국의 문화간 훈련을
위한 제언
대학교와 대학원의 교과목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훈련을 포함시켜야 한다

대기업은 자체의 문화간 훈련 시설과 정보를 학계와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훈련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학교 전문 기관, 업계 등을 지원해야 한다

정부는 국제협력단,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외교안보


연구원, 해외 공관 등의 경험과 정보를 체계화하고 훈
련을 주관하는 부서를 만들어야 한다
정부나 학교나 혹은 민간 차원의 훈련 전문 기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시타 인터내셔널(SIETAR International) 산하에 시
타 코리아(SIETAR Korea)를 설립하여 국제적으로
협력 체제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에 알맞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훈련의 모형과 이
론, 설계, 테크닉 등을 개발해서 세계화 시대와 문화간 커
뮤니케이션 시대에 대응해야 한다
Thank You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