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Ⅰ.

Ⅱ.
학습목표

1. 다양성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를 이해할 수 있다.

2. 다양성 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3. 다양성 교육이 인권의식, 통섭능력, 공감능력에 어떤 능력을 주는지

이해한다.
Ⅰ.

1. 다문화에 대한 세 가지 관점

이주민 관련 〮 다문화가족: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다른 문화 〮 다양성을 주로 인종과 민족을 중심으로 구분
(타문화) 〮 다른 민족이나 인종이 지닌 문화, 다른 나라의 문화로
이해
〮 인종과 민족에 의한 구분만이 아니라 성, 계층, 지역, 세
대, 종교 등에 의해서도 형성되는 것으로 크고 작은 다양
다양한 문화 한 집단의 문화로 보는 것
〮 인간의 특정한 생활양식
〮 ‘다문화’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문화다양성’이라는 개념
으로 사용
Ⅰ.

2. 문화다양성교육의 의미
• 현대사회는 다양성사회
• 21세기 전후로 문화다양성문제가 현저하게 부각됨
• 그 원인과 배경, 현황 등을 다각도로 조명하여 문화다양성문제를
이해
• 타문화 시민들과 적극적으로 공생〮공존하고 세계공통과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줄 아는 마인드와 행동철학을 가지는 성숙된 글로벌시
민성의 형성〮함양에 일조하는 교육
Ⅰ.

3. 문화다양성교육의 필요성
• 21세기는 문화다양성의 인정이 특히 강조되는 시대
• 21세기 전후로 한국사회도 다문화사회로 급변했지만, 한국사회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포용력이 매우 낮은 사회
ex) ① 1998년 국제경영개발연구소의 조사: 한국인의 이문화 적응력
은 조사 대상국 47개 국가 중 47위
②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발표: 2009년 한국의 외국문화개방도
는 전체 57개 국가 중 56위; 2014년 60개 국가 중 53위
③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 한국의 강한 인종주의적 태도 지적 및
시정 권고 등이 그 근거
→ 한국 사회에서도 문화다양성 교육이 절실하게 필요한 이유
Ⅰ.

• 문화다양성교육의 필요성은 21세기 전후의 세계화 현상에 따라 심


화되고 있음
• 세계 각국, 각 지역이 다문화사회로 급변
• 각국, 각 지역내 문화적 갈등과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 자문화중심주의 시정이나 타문화존중태도 함양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Ⅰ.

4. 문화다양성교육의 목표와 과제
• 궁극적 목표는 문화적 차이와 다름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의 향상
• 주요 과제는 타문화를 이해하고 인정을 통한 공존능력 함양: 핵심
관건은 “관점주의”의 적극적인 탈피 노력
• 다름에 대한 감수성을 바탕으로 조화〮공존하는 능력과 민주의식에
기반한 글로벌시민 자질의 소유자(→ 21세기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지식
인상) 양성에 일조
Ⅰ.

※ 관점주의 (= 베이컨Francis Bacon의 ‘동굴의 우상’)


• 자신의 자리에서 자신의 관점에 따라 사물을 보면 사물의 일부분
만을 보게 됨
• 주관적이고 부분적인 자신의 관점만을 절대시〮우월시 하는 입장
• 현상에 대한 단편적인 이해에 사로 잡혀 전체적인 이해의 불가능
성이 높음

※ 다문다견(多聞多見)
• 자신의 자리를 지키면서도 관점주의에 빠지지 않을 수 있는 유일
한 방법은 자신과 다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들과 만나고
이야기하고 듣고 이해하는 것 → 소통
Ⅰ.

※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의 “우상론”


• ‘우상’을 올바른 지식획득의 장애물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
• 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가로막는 편견, 선입견 등을 의미

① 종족의 우상
• 인간이라는 종족 전체가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편견
• 인간의 관점에서만 자연을 이해하고 해석하려는 입장

② 동굴의 우상
• 인간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편견
• 각 개인의 특수한 경험, 환경, 기질 등에서 기인하는 개인적인 편견
Ⅰ.

③ 시장의 우상
• 교류와 만남, 대화 과정에서 잘못된 언어 사용으로 생기는 편견
• 개념이나 용어의 부정확한 사용으로 인해 생기는 편견이나 오류

④ 극장의 우상
• 잘못된 철학, 이론이나 증명방법 때문에 생기는 편견
• 유명 사상가나 권위 있는 학설에 대한 지나친 의존으로 생기는 편

Ⅱ.

1. 글로벌시민
• Heater는 글로벌시민/세계시민 개념 정의를 4가지로 구분
① 아주 막연한 수준에서 인류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시민
② 세계정부 건설을 위해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시민
③ 소속 국가보다 높은 수준의 도덕법칙에 개인이 구속돼야 한다고 생각
하는 시민
④ 세계정부의 수립과 무관하게 전지구적 의식 및 책임감을 가진 존
재로서의 시민
• 21세기 전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글로벌시민에 적절한 정의는?
→ 주요 국내〮외 문제들을 전지구적 차원과 연계시켜 파악〮접근하는 시
민(국가시민성/국제지역시민성/글로벌시민성을 균형적으로 갖춘 시민)
Ⅱ.

2. 글로벌시민교육의 의미
•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의 삶의 문화를 인정〮존중하면서 공생하고,
더 나은 세계를 만들어 가는 태도와 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① 자국내 소수집단문화를 포함해 타국가와 타민족의 문화를 존중
② 민족과 국가들 사이의 글로벌 한 상호의존성 증대현상 자각
③ 글로벌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권리와 의무 자각
④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 배양
⑤ 국제적 연대와 협력의 필요성 이해
⑥ 지역사회, 국가, 국제지역사회, 세계사회의 주요 문제해결을 위한 자
발적 참여 등에 기여하는 교육
Ⅱ.

• 즉 단일국가에 기반한 국가시민성 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구촌


사회의 문제해결 및 공생방식을 능동적으로 모색하는 세계시민으로서
의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
•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는 사회에서 서로의 차이를 인정〮존중하며,
지역〮국가〮세계차원의 각종 갈등〮분쟁을 대화나 타협과 같은 민주적 절
차로 해결하는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

→ 따라서 문화다양성, 인성, 인권, 평화, 창의성, 지속가능한 지구사회의


유지와 존속, 발전을 위한 교육들로 구성된 글로벌시민성 함양 및 글로
벌시민 양성을 위한 일련의 교육틀을 의미
Ⅱ.

3. 글로벌시민교육의 필요성
• 21세기 전후로 지나친 경제주의에 근간한 과도한 개발과 무분별한
과학기술연구로 지구촌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는 상황에 봉착
• 과도한 경제/과학기술 논리를 축으로 본격화된 세계화 현상으로
인해 세계적 시각을 필요로 하는 문제들이 대거 등장
→ 평화, 인권/빈곤, 환경/생태, 기후변화/지구온난화, 핵/방사능, 문화다
양성, 종/생물다양성 문제 등 세계/지구적 차원의 시각에서 고민하고 해
결해야 하는 문제들
⇒ 이런 글로벌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도덕적〮지적 역량 함양의 기틀
을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시민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실행됨
⇒ 글로벌시민교육, 국제이해교육, 글로벌교육 등의 이름으로도 전개
생각해 봅시다.

1. 다양성이 지니는 긍정성과 부정성은 무엇일까요?

2. 나와 다른 사람을 왜 이해하고 배려해야 할까요?

3. 자신의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나요?

4. 소통과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