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문화 : 사람이 환경에 적응하면서 만들어낸 생활 양식

문화의 성격

1. 사회의 구성원이 모두 공유  개인이 혼자 가지고 있다고 문화인 것 아님

2. (역사 과정 속에서) 축적됨

3. 전달됨(전파됨)  고정적이지 않음

4. 전달된 문화를 다음 세대가 학습

5. 새롭게 유입된 문화와 기존의 문화가 만나서 변화

인간 = 문화적 존재 :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면서 만들어낸 생활 양식을 고대에서부터 축척되고


전달되며, 우리 세대에서 새롭게 발전하며 또 다른 것이 발전됨.  이 과정 = 문화 변동의 양상

문화 변동의 의미

: 문화가 새로운 문화 요소의 등장이나 다른 문화와의 “접촉”을 통해 끊임없이 상호 작용(수용/배척)


하면서 변화하는 현상

인간의 성장의 정도는 정해져 있는가?

: 신체적 성장은 정해져있지만 정신적 성장은 경험에 따라 변화의 가능성이 다양함

각성을 하려면 새로운 사람을 만나야함 = 접촉 (인격적 존재 + 물질 + 경험 등)

“시인의 눈을 가져라”  모든 것을 세밀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봄

문화 요소 : 문화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 (물질적 + 비물질적)

- 물질 문화 : 인간이 만들고 사용하는 물질적인 모든 것, 그것을 만들고 사용하는 기술

- 비물질 문화 (예) 언어

봉건제도 = 시대와 ㅁㅇㄴ다르지만 일정한 특성을 공유  내재적 요인

문화 변동의 요인

- 내재적 요인 : 한 사회 내부에서 새로운 문화 요소가 등장하는 것  발명, 발병

 사회에서 필요한 걸 스스로 찾아냄

- 외재적 요인 : 한 사회 외부로부터 새로운 문화 요소가 제공되는 것  문화 전파

인가ㅏㄴ과 인간의 관계는 비슷  과거의 제도가 쓸모가 있음

변화  그전부터
발명 = 1 차적 발명 + 2 차적 발명

2 차적 발명 : 이미 존재하는 문화 요소를 “조합”, “응용”

융합 : 영역 구분 하지 않고 섞음

이성 : 보편적 질서  근대적 사고의 특징  근대 학문 = 철저하게 영역 구분이 되어 있음

20 세기 초 세계대전  반이성주의  이성이 세웠던 장벽을 파괴 (장르 파괴) = 장르 섞임 (포스트


모더니즘) ~ 현대까지

외재적 요인 : 문화 전파

1. 직접 전파

A. 사람 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전파

2. 간접 전파

A. 매개체(인쇄물, 텔레비전, 인터넷)에 의한 전파

B. 요즘 상당히 많음

3. 자극 전파

A. 다른 사회에서 전파된 문화 요소의 자극을 통한 새로운 발명

B. 다른 나라에 컴퓨터 백신 회사가 있는 것을 보고 안철수가 컴퓨터 백신을 만듦

C. 얘도 많음

D. 우리나라에서 아이돌을 육성하는 방법을 다른 나라에서 벤치마킹

문화 접변 : 전파에 의해 둘 이상의 문화가 장기간 접촉하여 문화 변동이 일어나는 현상

결과

- 문화 동화 : “문화적 정체성”이 약한 상태에서 외문화 유입

 장 : 환경 변화에 맞추어 발전

 단 : 전통 문화 사라짐

 ‘우리’학교, ‘우리’가족 (공동체주의)  ‘우리’가 왜 형성되었는지 알기 위해 전통


문화가 필요

- 문화 융합 : “제 3 의 새로운 문화 요소”

 “해석”, “재구성”을 통한 정착 (주체적 (자율적, 자주적))

 장 : 문화적 정체성 상실 없음
 미국 : 멜팅 팟(모든 문화요소들을 한 항아리에 넣고 끓이면 하나의 문화요소로
만들어짐)  사회가 하나로 합쳐지지 않음 (사람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정체성,
민족성 등을 잘 버리지 않음)  모자이크(그 사람의 모습은 갖고 있으나 하나를
이루는)

 피자

 인간은 구성하는 존재 : human being  human becoming

- 문화 병존 (문화 공존) : 외래문화와 전통문화가 나란히 존재

 장 : 문화적 정체성 유지를 통한 문화적 다양성

 단 : 통일성 갖기 어려움, 비주류 문화는 소수 문화로서 차별받음

문화 상대주의 : 문화를 바라보는 기준점을 여러개 둠

문화 성찰 : 모든 문화를 인정할 수 있는가? 인간이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문화는 없을까?

보편 윤리 :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윤리 (모든 인간에게 적용되는 윤리)

서로 다른 자연환경  다양한 생활 양식 + 사회 구성원이 공유하는 인문 환경

평가적인 시각 : 문화를 평가함 (기준 존재)  그 시대 힘이 있는 문화(선진사회의 문화)의 영향이 큼


 문화 제국주의

자문화 중심주의

이성 : 자연에 있는 진리 (도구적 이성관)  자연파괴  대화하는 이성 : 인간은 계속 교류하며 발전


(담론 윤리) = 의사소통 능력 중요

- 자문화 중심주의  의사소통 능력 떨어짐

- 이점 : 자부심  사회 통합

- 단점 : 타문화 차별, 폭력적

- 예 – 중화사상 (중국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 이점 : 더 좋은 문화 수용  자기 문화 개선

- 단점 : 정체성 상실  혼란  갈등

- 우리나라 – 언어적 측면
공통점 – 문화를 이해하는 기준 존재

문화 상대주의 (맥락적 사고)

- 문화 + 주변 상황을 모두 둘러봄

- 다른 문화에 대한 관용적 태도(수용)

- 자신의 문화에 대해 겸손

- 한계 : 극단적 적용  문화 발전 위협 문화도 인정

- 극단적 문화 상대주의 : 보편적 가치(평화, 사랑)를 훼손하는 문화도 인정

- 문화 상대주의, 윤리 상대주의 둘 다 인정?  X, 인간이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윤리 존재 (


지역에 따라 추구해야 하는 윤리는 다르지 않음, 같음)

세계화  정체성 약화  문화 상대주의적 시각을 통해 지킬 수 있음

인간  시공간 제한 (현재, 여기)

보편윤리

- 성찰의 기준

바람직한 문화 이해

- 맥락적 사고 + 보편 윤리

- 우리 문화를 이해할 때도 필요

- (예) 빚 있어도 됨 vs 절대 안 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