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서론 – 종교와 문화

‘ 종교와 문화’

(1) 종교를 통한 문화 이해
→ 다름의 이해

(2) 문화로서의 종교 이해
→ 올바른 종교 이해
1. 종교를 통한 문화 이해

(1) 문화의 개념
 다양한 개념 정의

 공통 기본적인 특징 = 인간에 의한 것

인간만이 소유
 자연상태 [ 본능 ] 에 인위적인 행위가

더해진 모든 것
 이런 의미에서 문화는 자연 혹은 세상에
대한 인간의 경험∙이해∙해석이 반영된 것
- 자연 상태 주어진 그대로 살아가느냐
아니면 세상과 삶에 대한 해석과
성찰을 시도하며 살 것인가 ?
 종교는 문화의 바탕

- 삶의 ‘궁극적 의미’ 추구
(2) 문화 이해의 태도와 방법
- ‘ 다름’의 이해
① 자민족중심주의 (ethnocentrism)
② 문화상대주의
③ 공감적 ( 共感的 ) 이해
: 판단중지 , 감정이입
2. 문화로서의 종교 이해
 ‘ 문화로서의 종교 이해’는 올바른 종교
이해의 시도
- 종교의 본래 의미 이해
 현대 , 종교를 이해하는 양 극단의 시각

- 왜곡된 종교적 열정 , 맹목적 신앙


- 종교 부정 , 무관심
→ ‘ 종교문맹’의 문제
 문화로서의 종교 이해
- 양 극단의 문제 [ 한계 ] 극복
- 맹목적 종교이해에서 벗어나 객관적
합리적 체계적 종교이해 추구
- 종교를 표면적으로 관찰 분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 ‘ 삶으로서의 종교’ 이해
- 인간에게 종교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
- 일상적 종교 이해
: 종교 개념의 ‘물상화 (reification)’
-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 (Wilfred
Cantwell Smith, 1916~2000) 의 종교 이해
: 신앙 (Faith) 과 축적적 전통
(Cumulative Tradition)
- 종교 개념의 확대
: ‘ 초월’ 추구 . 초월적 진리에 따르는 삶
‘ 종교 문맹’ 현상
: 현대 종교의 문제 상황
(1) 종교 전통 內
- 형식화 : 종교의 형식을 정치•경제적
목적에 이용 . 본래 종교 의미 퇴색•왜곡
- 근본주의 : 反세속주의 , 문자주의
(2) 종교 전통 外
- 세속화 : 종교의 의미와 영향력 축소
- 종교 부정 : 종교의 가치와 의미 부정
(3) 다 종교 상황 : 종교간 갈등과 대립
- 다 종교 상황의 의미
- 다 종교 상황에 대한 입장
① 배타주의 – 칼 바르트 (Karl Barth)
② 포괄주의 – 칼 라너 (Karl Rahner)
③ 다원주의 – 존 힉 (John Hick)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