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테철 강자1-2022

테마로 본 철학 산책 Philosophy

테마주제:
①존재(存在)란? 나(我)는? 정체성이란?
②어떻게 살아야 인간다움인가?
③마음이란? 인식론
④선(善)과 불선(不善), 사랑과 욕망
⑤인공지능(AI), 4차 산업혁명시대 인간의 삶
⑥covid-19 이후 시대 갖춰야 할 가치덕목
⑦대학생 미래 현실- 다문화사회 현실과 소통방법
⑧ 대학생 미래 현실- 미래 통일한국사회 전망과 준비

* 철학에 대한 이해
철학(哲學)이란?
인간이란 어떠한 존재인가?
나는 누구인가?
인간다운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1. 철학함에 대하여
사람은 누구나 "나(인간)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갖는다.

存在(삶과 죽음)에 대한 물음- 존재론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 인식론
나는 무엇을 행해야 하는가? - 윤리론
나는 무엇을 바랄 수 있는가? - 종 교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현실론

*철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1. 철학은 우리 인간의 현실에서 동떨어진 공허하며 관념적인 학문이 아니다.
2. 철학은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방법을 제시하는 학문.
3. 인간 존재의 원리를 통해 살펴보면, 현대 21c 물질과학의 현재와 인류미래를 알 수 있
다.<온고지신(溫故知新,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 우리는 모두 철학자이다!

4. 21세기 미래 인류와 우주를 살아갈 젊은이의 현실(現實) 삶에서, 존재의 근원인 참된 나


의 본성(本性)을 구현(具現)하고 깨달아 가며, 자기 의지(意志)에 의해 살아가기 위해 철
학함을 알아야 한다.

5. 보다 올바르며 평화(平和)로운 세계를 위해, 창의적이면서 자유(自由)롭고,

- 1 -
행복(幸福)한 삶을 위해서 필요한 학문.

2. 철학이란?
1>. 서양 철학의 정의 :
철학 (Philosophy) - 애지학(愛智學) = 지혜에 대한 사랑. (philos+sophia , philos는‘사랑
한다' sophia는 ‘앎, 지혜知慧)
* 논리적 사고를 주된 방법으로 밝게 앎.

2>. 동양의 철학(哲學):


=도학(道學)- 지덕체(智德體)의 전인적(全人的) 학문탐구 및 실천까지 포괄한 의미.
(道=首+行, 정신+육체)
(行= 사거리 신호등), 논리적, 직관적 앎

3>. 서양철학의 원형 – 대화
변증법 = Dia(2)+Lektik(대화, 對話)

'변증법'의 어원- 희랍어 'lego'의 명사 '로고스'(logos)로서, '말담론대화'와 '이성(理性) ' 이


라는 두가지의 뜻.

접두사 dia는 상호성 의미, Dialektikos는 대화를 통한 토론 의미.


디아렉티케Dialektike는 techne(기술, 뜻)의 속 뜻을 가져서, 토론술이라는 명사가 나옴.

4>. 논리적 사고 - 변증법에 대하여


* 변증법(辨證法)이란?
1)이해시키고 납득시키는 말의 기술.
2)대화를 통해 남의 의견에서 참과 거짓을 구분, 상대방의 명제가 가지고 있는 약점
과, 상대방을 침묵 시킬 수 있는 결정적 논거를 발견해 내는 대화의 기술.
3)논리학의 법칙에 대한 지식을 토론에 적용하는 기술.(변증법은 수사학, 논리학과는 다
른 학문.)
*수사학(修辭學) - 감동, 설득시키는 말의 기술.
*논리학(論理學)- 합리적 사고의 이론

4) 변증법에서 모순(矛盾)이 중요 - 대화를 하다 의견이 동일해지면 더 이상 할 얘기 없기


때문.
5) 한 주제에 대한 대화에서 끊임없이 다른 견해를 제시, 부정해야 계속 대화가 이어진다.
=> 그것이 철학의 원형이다.

6) 대립과 모순이 세계를 움직이는 토대라고 생각하는 것이 변증법적 생각이며, 대화


모델.

- 2 -
5>. 동양철학의 정의
*동양 철학(哲學) : 인간 삶의 가장 근본 된 가르침 - 논리적 사고보다 인간의 마음과
성품을 강조.

1)유가(儒家): 인(仁) - 충(忠)과 서(恕)의 방법, 혈구지도(絜 矩之道) - 대동(大同)사상, 반


구저기(反求諸己), 자성명(自誠明)의 실천철학.
2)불가(佛家): 지혜(般若) - 모든 진리의 실상(實象)에 대한 앎. 나와 세상의 실상을 아는
지혜에서 행복에 이름.
3)도가(道家) : 참(眞) - 노자(老子)가 처음 말함
4)한국철학 : 홍익인간(弘益人間)

6>. 철학의 분류1


*서양
1. 형이상학 : 존재론 - 聖(체계적 세계관)
2. 윤리학 : 가치론- 善(도덕이론) <善, 不善>
3. 논리학 : 인식론- 眞(비판적 분석) <是, 非>
4. 미학 : 예술론- 美
*동양
1. 형이상학(形以上學:道)과 형이하학(形以下學:德)
2. 우주론 : 본체론(本體論)-태극,음양, 리기
3. 인간론 : 심성론(心性論)-심통성정론
4. 수양론 : 실천론(實踐論)- 수기치인

6>. 철학의 분류2


*지역별
서양철학, 동양철학, 인도철학, 중국철학, 한국철학, 영미철학, 독일철학 등등
*인물별
칸트철학, 맑스철학, 공자철학, 율곡철학 등등
*주제별
법철학, 경제철학, 사회철학, 정치철학 등

6>. 철학의 분류3


1. 서양 철학 주요 관심의 변천

고대- 존재와 善(형이상학과 윤리학)


중세(14C)- 神(형이상학 - 존재의 근원)
근대(17-19C) -지식이란 무엇인가(인식론)

서양 철학의 범주(외연)의 변천 : 新話(만학의 여왕) → 자연과학의 독립 → 종교학의 독립


→ 심리학의 독립

- 3 -
2. 동양 철학 주요 관심
우주(天道)와 인간(人道)의 조화인 천인합일(天人合一)을 목표.
이상적인 인간인 성인(聖人), 부처, 진인(眞人), 달인(達人), 군자 등이 목표.
이상적인 인간에 대한 존경과 그를 닮고자 하는 것이 보편적 인간의 목표.

6-2> 동 서양 철학사상의 배경 이해
1. 세계관:
1)동양의 무실체론적 세계관은 서양의 실체론적 사유와 대비되는 특징을 지닌다.

2) 서양문명의 근본적 특징;


①경험세계와 본체론적 세계를 이원론(二元論)으로 분리해서 전제하는 것이 특징.
②서양문명은 그리스-로마적 사유체계와, 유대-기독교적 사유를 양축으로 한다.
③플라톤적 이데아세계와 기독교의 하나님왕국, 칸트의 본체계(noumena/ 형이상의 세계)
는 경험세계, 세속도시, 현상계(형이하의 세계,현실세계)를 존재 가능케 하는 존재 근거이
며, 현실인식을 가능케 하는 인식근거로서 본원적 실제세계를 의미한다.
곧 현상과 본체, 하나님의 왕국과 인간세계. 성(聖)과 속(俗), 영(靈)과 육(肉) 등의 이
원론적 사유체계는 서양 실체(substance)론적 사유체계의 전형적인 특징.

근현대 서양철학은 관념적 추상세계에서 초월하여 현실적 구체적 진리 추구의 현상학으로 이


어짐(후설, 메를로퐁티-들뢰즈, 라캉 등)

3) 실체론적 존재를 부정하는 동양사상은 현상과 본체, 하나님의 왕국과 인간세계, 영과 육 등


등의 이원론적 구분을 거부한다.

천인합일(天人合一)=천인일리론(天人一理論)

4)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과 정신:


'부동의 원동자(the unmoved mover)' 또는 ‘첫 번째 부동(不動)의 동(動)자(the first
unmoved mover)';
①자신은 움직이지 않지만, 세상의 모든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자.
형상(氣)과 질료(理)가 결합되는 것을, 개체의 본질적 속성이 현실에서 형성되는 운동으로
봄. →서양철학의 존재론

-운동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힘이 있어야 하는데, 그 힘은 자신은 운동하지 않으면서 다


른 모든 것들을 운동하게 하는 것으로서 '부동(不動)의 원동자(原動者)'라 부르며, 神과 동
일시한다.
→종교의 하느님과는 다른 것. (理의 개념과 동일/原理, 條理와는 다름)

②자신의 존재를 타존재에게 의존하지 않는 존재, 기독교철학에서 말하는 창조주.


(동양철학에서 형이상자를 가리키는 리(理)와 유사하다.)

- 4 -
③이러한 부동의 원동자가 있음으로 해서, 이 세상의 모든 운동이 존재한다고 전제하는
것이 서양철학의 근거가 된다.
플라톤적 이데아, 아리스토텔레스의 부동의 원동자, 칸트의 본체계 개념, 기독교 유일신
의 서양 철학 담론의 정형화된 틀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 모든 문화권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이론은 아니다.

5) 동양철학의 내향초월(內向超越) 특징

①동양사상은 무엇(what)보다는 어떻게(how)의 문제에 더 관심을 두었다.


②동양사상은 서양사상이 신의 관념에 의지하여 인간세상 바깥이나, 인간보다 우위에
있는 존재에 의지하고 따르는 서양의 사고유형(외재적 초월)과는 달리,
"내향초월(내 안에서 내 마음의 근원을 찾아 내적 수양에 집중하는 경향, 내재적초월)"을 지
향하는 사상과 문화를 지녔다.
③동양사상은 전통적 가치의 근본을 하늘(天)에 두고 있지만, 그 가치의 실현은 인
간에게 달렸다고 보았다. - 인간중심주의 사상(실천적 사상)
예문>
“인능홍도(人能弘道) 비도홍인(非道弘人)”<논어, 위령공편>
인간이 도를 넓히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

④즉 인간은 천지자연의 운행과 변화에 참여하여 천지활동을 보완 완성해가는 "공동


창조자(co-creator)"로 평가하였다.
예문>
"惟天下至誠 爲能盡其性 能盡其性 則能盡人之性 能盡人之性 則能盡物之性 能盡物之性
則可以贊天地化育 可以贊天地化育 則可以與天地參矣"<중용> 22장,
오직 천하에 지극히 성실(참)되어야 능히 그 性을 다 할 수 있고, 그 性을 다하면 능
히 사람의 性을 다할 수 있다.
사람의 性을 다하면 능히 물건의 性을 다할 것이요, 물건의 性을 다하면, 천지(天地)
의 화육(化育)을 도울 것이요, 천지의 화육을 도우면, 천지와 더불어 참여(參與)하게
될 것이다.

2. 현세지향적 동양철학의 세계관


1)동양사상의 주요관심사는 현실지향적인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의 문제를 중시함.

①유가 (儒家) - 사후세계, 죽음과 같은 문제보다, 백성을 구제하는 현실적인 방안에


관심을 가짐.
예문>
“季路問事鬼神 子曰 未能事人 焉能事鬼 敢問死 曰 未知生 焉知死” <논어, 선진(先進)편>
“계로가 귀신 섬김을 묻자, 공자는 사람을 잘 섬기지도 못하면서 어떻게 귀신을 섬기겠는가?
하였다.
감히 죽음에 대해 묻겠습니다. 하자 공자는 삶을 모르면 어떻게 죽음을 알겠는가? 하였다.“
②도가 (道家)- 삶과 죽음을 하나로 보고 이를 초월하고자 하는 경지를 보여준다.

- 5 -
예문>
장자의 아내가 죽자, 혜시가 조문을 갔는데, 장자는 두 다리를 뻗고 앉아 질그릇을 두드리
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혜시가 묻자, 장자가 말하기를 “본래 삶이란 없었던 것이고, 형체도 없었던 것이며, 기
(氣)조차 없었던 것일세.
흐릿하고 어두운 곳에 섞여 있다가 변해서 기가 생기고, 그 기가 변해서 형체가 되었으
며, 형체의 변화로 삶을 갖추게 된 것일세.
그리고 이제 다시 변해서 죽음으로 간 것이니, 이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되풀이 하
여 운행하는 것과 같은 이치일세. 아내는 지금 우주의 커다란 방에 누워 편안히 자고 있는
데, 내가 크게 소리 내어 곡(哭)을 한다면, 그것은 하늘의 명을 모르는 것일세. 그래서 곡을
멈춘 것이네.“ <장자, 지락(至樂)편>

③불교;
- 현실의 삶을 고통이라 전제하고, 그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의 현실적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다.
- 원효(617~686년)의 출세간(신라 무열왕 요석공주, 설총) 후 깨달음을 얻고, 다시 세간으로
돌아와서 불교의 대중화에 힘쓴 것이 전형적인 현실 지향적 세계관이라 할 수 있다.

-불교에서는 삶은 윤회한다고 보고 연기설(緣起說)을 통해 벗어날 수 있다고 설파.


*연기법(緣起法, 모든 현상은 원인에 의해 결과가 생겨나는 것)
-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기며, 이것이 없으므로 저것도 없
고, 이것이 없어지므로 저것도 없어진다." <잡아함경(雜阿含經)>335: "此有故彼有 此起故彼起
此無故彼無 此滅故 彼滅

2) 내세지향적 서양철학의 세계관


*서양사상은 상대적으로 내세(來世)지향적 세계관이며, 영생(永生)에 대한 염원이 담겨
있다.

①플라톤; <파이돈>에서 플라톤이 말하기를, '철학은 죽음에의 연습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육체라는 제약으로 인해 절대의 진리에 대한 직관이 불가능하기에, 진리를 깨닫기 위해
서 끊임없이 철학함의 노력이 필요하고, 육체의 옷을 벗어버린 자만이 진리를 깨닫
는 직관이 가능하다고 본 것.

②기독교에서는 영원히 살기 위해 태어났다고 설교하는 점에서, 영생(eternal life)과 내세


(coming world)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에문>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다. 나를 믿는 사람은 죽더라도 살고, 또 살아서 나를
믿는 모든 사람은 영원히 죽지 않을 것이다."(요한11, 25-26)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과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주기도문>

- 6 -
3. 동서양철학에서의 자연관
1) 동양의 자연(自然, nature)관:
자연은 완전하며, 자기 충족적 존재, 살아있는 유기체이며 존재하는 것 가운데 최선의 존재.
자연의 모든 현상은 상호의존적, 유기적 관계.

맹자<진심장구> “만물개비어아(萬物皆備於我)”
그러므로 인간 및 모든 생명체들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가야 하는 상호의존적이며,
유기적 관계로서 생명을 유지한다는 자연관이다.

천지운행의 순환이치를 자연의 순리로 받아들임. 사군자(四君子), 천문관, 풍수지리사상 등

2) 서양의 자연관:
인간과는 대상화 된 세계라고 본다.
자연은 창조된 것, 이윤창출의 원천으로 개발되는 것, 죽어있는 세계로 인식.
근대 기계문명 발달 이후, 동서양의 자연관은 확연히 갈라졌다.

3) 자연을 대상화, 자연 지배의 논리를 뒷받침하는 서양 근대의 자연관, 의식철학 전통


은, 인류가 생태계에 통합된 일부분이라는 점을 간과하여 기술문명의 발전을 가져왔
다.
그렇지만, 자연생태계를 훼손 파괴하여, 오늘날 오존층 파괴와 기후온난화와 같은 부작용
을 초래하였다.
①칸트 : "인간의 오성 형식이 순수한 것"
→ 오로지 인간만이 자연과 지구의 생태계의 주인 이라는 오만을 초래.
자연과 생태계의 유기적 관계를 등한시하고, 생태계의 파괴를 초래하는 논리적 근거가
됨.
②프란시스 베이컨:
"아는 것이 힘이다"(scientia est potentia)는 명제 - 자연에 대한 지식이 자연을 지배할 수
있는 권력의 원천이라는 뜻. ⇒ 경험론적 인식론

*서양의 기계론적 세계관 :


갈릴레이(1564~1642),
데카르트(1596~1650),
뉴턴(1642~1727)
③데카르트(1596~1650) :
대상(對象)에 대한 지식이 인간의 오성에 의해 구성된다고 봄. "사유하는 것이 존재하는 것"
⇒가. 이원론적 세계관; 정신과 물질 이원론, 사유할 수 있는 정신을 지닌 인간을 제외한, 모
든 물질과 자연 세계는 하나의 기계로 파악한 기계론적 세계관.
→ 산업혁명 등을 불러 일으켰지만, 자연생태계 파괴의 근거논리로 작용.

나. 인과론적 환원주의 ;
물질자연 세계는 절대적 기계적 원리에 의해, 인과론적으로 움직인다고 인식함.

- 7 -
기계론적 자연세계는 물질로 이루어져서, 이를 분석하면 기본요소로 환원 가능하다는 이론.
다. 수학적 입장;
갈릴레이는 자연대상의 모든 규칙적 현상원리는, 수학적으로 파악 가능한 것만이 과
학범주라고 한정함. ⇒뉴턴이 완성 시킴.
④벤담과 밀의 공리(功利)주의 유용성(有效性) 논리;
⇒최대 다수의 행복은 곧 도덕적으로 선(善)하다는 가치를 부여.
자본주의 경제 원리의 근거가 됨.
물질만능주의의 근거 논리가 되어,
공평한 분배에 관한 정의(正義)에 위배되고, 인간성 상실을 초래함.

* 현대 기술결정론 & 기술만능주의의 병폐


*기술결정론 : 인간이 원하고 계획하는 것 간섭 않고 기술 전개와 결과를 자연스런
고유 법칙성으로 보자는 견해.
→ 기술은 ㉠ 내재적 발전논리 따라 자체적 발전.
㉡ 통제하는 인간 능력을 초월, 비인간적인 독립적 힘이라는 입장.
참조: 영화 <아이로봇>, 인간복제 <아일랜드> 등 & 드론, 킬러로봇

<동서양 철학사상 체계 비교>

동    양 서    양

우주관 자연 피조물(Creature)

종교(宗敎) 근원적인 가르침 신과 인간의 관계

인간관 공동체 속의 인간 개인적€ 인간

이원론적 실체론적(경험세계-본체론세계)(현상-본
무실체론
세계관 체)(인간세계俗-하느님왕국聖)<그리스로마-유대
천인합일(天人合一)
기독교사유체계>

형상+질료 è운동
태극, 음양동정, 아리스토텔의 부동의 원동자, 플라톤의 이데아,
존재론
리기론(理氣論) 칸트의 본체계, 기독교유일신,창조주, 神이 최초
의 원동자

내향초월적(주체적 인간중심주외재적초월(神에 의지),


현실관
의), 현세지향적 영생과 내세지향적

인간과 자연의 상호의존적 유


자연관 자연의 대상화,이윤창출의 원천이라 인식
기체적 관계로 인식

철학 방법 學問과 실천 합리적 사고

- 8 -
7>. 철학과 종교의 차이1

철학은 인간 존재와 사물의 보편적 원리(법칙, 이치)를 이성적 사유와, 논리적 대화방식(원
인 결과의 추론적 비판적 검토)을 통해 구명(究明)하는 것. 올바른 근거에 의해 다시 보는
것을 의미.

종교에서 종(宗)은 통찰, 자증(自證, 깨달음)을 통해 보여지는 궁극적인 것, 교(敎)는 이해


분별을 통해 보여 지는 宗에 관한 언표기술(derśanā).
불교 : 보는 것(darśana). 관법(觀法), 견성(見性)
유교 : 솔성(率性), 성통(性通)
인도철학의 궁극적 목적은 해탈 - 정견(正見)을 통해 달성하는 깨달음의 관찰.
이때 관찰은 대상과 언어에 의해 규정되는 개념적 이해가 아닌 깨달음에 의한
직관적 관찰.

철학과 종교가 '본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는데,


종교는 깨달은 자가 본 '궁극적인 것에 대한 봄'이고, (見性)
철학에서의 본다는 것은 대상과 언어에 의해 규정되는 개념적 이해(논리적 비판과 이성적
사유)를 통해 보는 것,(發見)
또는 깨달은 자의 말과 언표에 의해서 '내가 다시 보는 것'이라는 차이가 있다.

8>. 철학과 신화(神話)1


哲學은 인간사고에 내재하는 소박한 신화적, 종교적 믿음이 아니다.
1.존재에 대한 보편적 법칙이나 진리들을 드러내는, 증명하는, 밝혀내는 학문적 탐구
2.정의와 귀납의 방법을 통해 합리적 이유와 설명(說明)을 제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

神話는 인간이 세계 자연을 이해, 반응해 온 사고방식의 표현.


1.그에 대한 이해의 토대와 문화를 담고 있는 것.
2.인간, 세계, 神에 대한 상징적 포괄적 믿음의 표현. 암시, 직관적 비유를 통한 비논리
적, 비추론적 서술.
3.神話: 상징과 비유, 감성과 상상력의 발현으로, 아직 어두에 놓여있는 표상이나 직관적 이
미지 산출.
4.철학: 비판적 검토로 근거와 까닭을 캐묻는 논리적, 이성적, 추론적인 사유 영역.
5.신화시대로부터 철학의 시대로의 이행은 단선적 발전으로 조망되어 왔다.

6.사유(思惟)는 문화적 흐름에 의해 형성, 신화인들의 사유는 필연적으로 당시 문


화(文化)를 반영한다.
7.신화를 통해 세계와 존재, 근원의 관계에 대해서 '언어적 그림'으로 상징하여 표현
했던 것.
8.신화인들의 상징적 표현은 철학적으로 존재론이고, 인식론이며, 가치론이다.

- 9 -
8>. 철학과 신화(神話) - 차이점

철학 : 인간 존재와 사물의 보편적 원리에 대하여 비판적 검토로 근거와 까닭을 캐묻


는 논리와, 이성적이고 추론적인 사유(思惟)를 통해서 구명(究明)함. 다시 보는 것을 의
미.

신화 : 인간, 세계, 神에 대한 상징적 포괄적 믿음의 표현. 암시,직관적 비유를 통한 비논리적,


비추론적 서술. 인간이 세계를 이해, 반응해 온 사고방식(우주, 자연, 신에 대한 인간 이해의
토대와 문화)의 표현.

*신화의 시대에서 철학의 시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신화를 사랑하는 자는 이미 지혜를 사랑하는 자이다. - 신화 속에서 철학의 문제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
그러나 그는 다시 “처음 신화를 이야기한 자들이 전통적인 가르침을 후세에 전해주었을
뿐, 그 근거를 전해 주지 못했기에 신화는 철학이 아니다." 말함.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