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

2023 학년도 1 학기 < 철학적 인간학 >

제 4 강 . 이성과 감정

이종진
전인교육원교수
jjglee@sogang.ac.kr

1
CONTENTS
2023 학년도 1 학기
< 철학적 인간학 >
제 4 강 . 이성과
감정
1 들어가는 말
2 이성

3 감정

4 나가는 말

2
학습목표 / 개요
학습목표 : 이성 , 감성 ( 감정 ) 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이 개념들이 인간의 본성과
관련하여 어떻게 상보적으로 작용하는지 제시한다 .

개요

이성
2-1. 역사적 맥락에서 바라 본 이성 개념
2-2. 인식론적 측면에서 고찰한 이성 개념
2-3. 윤리적 측면에서 고찰한 이성 개념
2-4. 비판이론의 근대적 이성비판과 그 방안 모색

3-1.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3-2. 도덕적인 감정 : 흄의 ‘공감의 윤리학‘

3 < 철학적 인간학 > 제 4 강 . 이성과 감정


Chapter
1
< 철학적 인간학 >

들어가는 말

4
Chapter 1. 들어가는 말

 영혼이 활동하는 방식 : 이성과 감정

 주제 : 생명체 이상의 존재인 인간이 지닌 영혼의 능력

 영혼이라는 말에는 생명이라는 자연철학적인 뜻이 우세하다 .

 정신이라는 말은 신체적 능력이라는 말과 대비되어 사용된다 .

- 인간 고유의 차원이라는 뉘앙스가 강함 .

 이성적 영혼 : 인간의 영혼 의미

5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1. 들어가는 말


Chapter 1. 들어가는 말

 영혼의 능력을 논하기 위해 인간들이 만들어 낸 개념들

- 인간의 인식 : 감각 , 지각 , 기억 , 상상 , 판단 , 추론 , 직관

- 인간의 윤리 : 욕망 , 감정 , 용기 , 신념 , 의지 , 지혜

 인식론적 맥락 : 감성과 이성으로 나누어 영혼의 능력에 대해 말함

* 인간의 인식 = 감각적 인식 ( 감성 ) + 이성 ( 추론과


판단 )

 윤리적 맥락 ( 삶의 맥락 ): 이성과 감정 으로 나누어 설명

6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1. 들어가는 말


Chapter
2
< 철학적 인간학 >

이 성
개요

2-1. 역사적 맥락에서 바라 본 이성 개념

2-2. 인식론적 측면에서 고찰한 이성 개념

2-3. 윤리적 측면에서 고찰한 이성 개념

2-4. 비판이론의 근대적 이성비판과 그 방안 모색

7
2-1. 역사적 맥락에서 바라 본 이성 개념

 ‘ 이성’은 불어의 ‘레종 (raison)’, 영어의 ‘리즌 (reason)’ 의 번역


-- 어원은 계산 , 비례를 뜻하는 라틴어 ‘ ratio’ 에서 나온 것

 진리를 뜻하는 그리스어 ‘ logos’ 라는 낱말의 번역 : 일차적 특성은


‘말하는 것‘ ( 언어능력 : ‘ 말하다’ legein 에서 유래 )

 사물들을 이성을 통해서 파악하려는 태도를 우리는 ‘합리주의’라고


부른다 .

 아리스토텔레스는 로고스의 의미를 상위의 인식능력 , 추론 , 개념


등으로 정의했다 .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는 위의 세 의미 중 ‘첫 번째 의미에서의


로고스’를 특화시켜서 ‘ noûs’ 로 불렀다 .

8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1. 역사적 맥락에서 바라 본 이성 개념

 ‘noûs’ 라는 말은 존재론적으로 하나의 실체 , 즉 ‘정신’을 가리킨다 .

 ‘psychê’ 가 라틴어 ‘ anima/animus’ 에 해당하고 주로 ‘영혼’


으로 번역된다면 , ‘noûs’ 는 라틴어 ‘ spiritus’ 에 해당하며 , 주로
‘정신’으로 번역된다 .

 ‘noûs’ 라는 말은 인식론적인 맥락에서는 라틴어 ‘ intellectus’ 에


해당됨 : 고차적인 인식능력 (= 정신적인 직관능력 )
- Ratio 와 intellectus 의 차이

 후설 현상학의 중요한 개념 쌍 : <noesis – noema> 의 상관관계 . →


고차적이고 이론적인 인식 작용과 그러한 능력에 의해서 발견 되는
객관적 존재를 의미한다 . (cf. ‘no‘ : 생각 , 사유 , 사고 의미 )

9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2. 인식론적 측면에서 고찰한 이성 개념

 인식론적 맥락에서 볼 때 인간은 ‘도구’를 제작한다는 점과 ‘


이성적 사유’를 한다는 점에서 다른 동물들과 구분된다 .

 그리스 학문은 ‘ theoria( 관조 )’ 였고 사물의 본질 / 형상에 대한 지적


인식이 문제가 되었을 뿐 , 사물의 조작은 별개의 문제였다 . 그러나
근대 이후 인식이란 도구 제작과 뗄 수 없는 문제가 되었고 도구들을
통해 경험의 지평이 점차 넓혀져 갔다 ( 보기 : 천체망원경 ).

10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2. 인식론적 측면에서 고찰한 이성 개념

 ‘ 인식’이라는 말의 범위를 어디로 잡아야 하는가 하는 것이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

 본격적인 인식은 ‘언어로 표현된 것’이어야 ( 언어적 개념화 )

 ‘ 인식’이란 늘 ‘단순한 감각 - 지각의 차원 이상의 것’을 함축

 인식의 주안점은 이성의 개념화 에 있는 것이고 ,


지각은 그 개념화의 근거로서 작용한다 .
( 보기 : 인과성의 범주에 의한 자연법칙의 파악 ).

 이성을 통해 ‘감각을 넘어서는 인식’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은


인간만이 가진 능력이다 .

11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3. 윤리적 측면에서 고찰한 이성 개념

 이성의 역할이 인식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

 도덕적 판단이나 미적 판단도 이성의 기능이다 .

 본래적인 형태의 포괄적 이성이 ‘합리적 / 분석적 이성’의


측면만으로 발달한 것 이 오늘날의 문화이다 . (→ 이성의 축소 !)

12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3. 윤리적 측면에서 고찰한 이성 개념

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적 지혜 (sophia: 신에 대한 사유 ) 를


최상의 지적 뛰어남으로 보았고 , 이를 프로네시스 (phronêsis:
실천적 지혜 , 혹은 판단력 ) 와 구분하였다 .

 프로네시스 : 한 개인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판단하는 추론적인 덕

13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4. 비판이론의 이성비판과 그 방안 모색

서구 근대의 이성관에 대한 비판

 호르크하이머 (Max Horkheimer, 1895-1973) 의 비판이론

- 헤겔과 마르크스의 ‘역사철학적 이성’이 비판의 대상이 됨 .

- ‘ 역사철학적 이성’이란 해방사회 ( 유토피아 사회 ) 로 인도해주는


1895
이성 의미

14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4. 비판이론의 근대적 이성비판과 그 방안 모색

 비판이론가들은 이러한 역사철학적 이성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데 , 그


이유는 현대 자본주의 체제에서 이성은 도구화되고 , 그 결과 역사의
진보와 인간해방의 구현은 더 이상 이성을 통해서 실현될 수 없는
허상으로 전락해 버렸기 때문이다 .

 도구적 이성이란 규범적 판단이나 가치평가를 배제한 채 오직


이해관계만을 타산하고 생산적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이성
<- 계몽적 이성 : 윤리적 옳음과 합리성 / 효율성 추구 . 그러나 전자의
기능은 방기하고 , 후자의 기능만을 추구하는 이성으로 변질됨 .

 새로운 자유 상실의 사회 : 인간에 의한 인간의 지배와 예속 . 새로운


억압적 구속 사회 초래 . ( 보기 : 양차 세계대전 : <- 이성의 신격화 )

15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4. 비판이론의 근대적 이성비판과 그 방안 모색

 프랑스의 해체주의 철학자 데리다 (Jacque Derrida, 1930-2004) 는


이성의 본질적 한계 및 문제점을 로고스 중심주의로 규정하면서 이성을
비판한다 .

 이성은 육체 및 육체에 기원을 두고 있는 본능이나


충동 , 욕망 등과 같은 ‘비이성’을 자신에 비해 열등하고
부차적인 것으로 규정하여 자신에 의해 규제되고
1895-1973
조종되어야 할 것으로 해명한다 .

 이성은 그 자체 중립적이지도
공정하지도 않으며 , 차별과 배제를
특징으로 한 폭력성을 본질로 삼고 있다 .

Cf. 이성의 해체 ? 이에 대한 비판적 평가는 ...

16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4. 비판이론의 근대적 이성비판과 그 방안 모색

 이성의 문제는 이성의 해체보다는 이성의 비판적 재구성에 입각한 ‘


부활’로 나가는 것이 더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선택일 수 있다고 보는
철학자

→ 하버마스 (Jürgen Habermas, 1929∼ )

 두 가지 전제조건을 내세운다 .
-- (1) 보편적 차원에서 참과 거짓을 판별하고
옳고 그름을 따질 수 있는 척도는 현재로서는
이성 이외에 없다는 점 ( 이성의 보편성과 규범성 ),
-- (2) 그럼에도 모든 이성이 그러한 자격을 갖지 않으며 ,
현 시점에서 자격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이성들은 폐기 , 처분
되어야 한다는 것 .

17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2-4. 비판이론의 근대적 이성비판과 그 방안 모색

 이성의 자격조건 :
- 그 자체 입증불가능한 ‘형이상학적 속성을 지닌 실체로서의 이
성’ ( 데카르트 : 물질적 실체와 독립된 정신적 실체 ) 이나 ,
- 이성의 타자를 지배의 대상이나 수단으로 바라보도록 하는 ‘주체
중심의 이성’ ( 인간중심주의 ),
- ‘ 도구적 이성’ ( 자본주의적 이성 ) 과 같이 본래적 이성이
과도하게 일면적으로 축소된 이성 등은 자격 조건에서 제외된다 .

 새롭게 재구성된 이성은 ‘탈 - 형이상학적’ ( 혹은 ‘후 - 형이상학


적’ )
성격을 지닌 이성이자 상호주관성에 기초한 이성
- 절차로서의 이성 ( 상호비판의 논거 통해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 )
- 의사소통적 이성 ( 담론적 절차과정에서 발현하는 합리성 )
- 포괄적 합리성으로서의 이성
( 지적 - 도구적 합리성 / 도덕적 - 실천적 합리성 / 심미적 - 표현적
합리성 )
18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2. 이성
Chapter
3
< 철학적 인간학 >

감 정
* Pascal (1623-1662): “ 마음은 이성이 알지 못하는 이유를 갖고 있다 .” 「
팡세」

개요

3-1.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3-2. 도덕적인 감정 : 흄의 ‘공감의 윤리학'

19
Chapter
3-1.
3.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 감정은 흔히 ‘정념 (passion)’ 으로 불려 왔다


( 보기 : 스피노자 - 욕망 , 기쁨 / 쾌락 , 슬픔 / 불쾌 ).

 “passion” 이라는 말은 라틴어 ‘ pati’ 에서 나왔으며 ,


이는 그리스어 “ pathos” 와도 관련된다 .
(1632.11.24~1677.2.21)
- ‘ 겪는 것’
- 일종의 ‘수난 (cf. “passion“ 이란 말의 두 의미 )

 프로이드의 이론에 의하면 , 인간은


두 개의 서로 분리된 수준 ,
- 이성적이고 의도적인 수준과 ( 합리적 영역 )
- 비이성적이고 감정적인 수준에서 기능한다 .
(1856.5.6~1939.9.23)

20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3. 감정
Chapter
3-1.
3.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1] 데카르트 , 흄 , 칸트 등과 같은 철학자들은 감정을 어떤 대상의


현존을 관찰할 때 생겨나는 그 대상에 대한 느낌으로 묘사

[2] 우리가 대상을 어떻게 평가하고 그 대상을 통해 무엇을 생각하


는가로부터 감정이 발생한다고 본다 . ( 보기 : ‘ 존경심‘ )

[2] 의 입장을 지지하는 철학자들 :


- 로크는 감정을 감각과 반성에서 유래하는 우리 마음의 관념으로
설명한다 . 그에 의하면 , 즐거움이란 “어떤 좋은 것을 현재 소유하고
있거나 소유하게 되리라는 확신을 고려할 때 생기는 마음의 기쁨”이고 ,
슬픔이란 “더 오래 즐길 수도 있을 어떤 좋은 것의 상실에 대한 생각에서
나오는 마음의 불편함”이다 .
- 샤르트르 : 감정이란 ‘신념의 현상‘이다 . (Ex. 공포의 감정 <-> 반성 )

21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3. 감정
Chapter
3-1.
3.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 로버트 솔로몬 (Robert C. Solomon, 1942-2007. The Passions)


감정이란 단순히 인간이 힘없이 종속하게 되는 통제 불가능한
느낌이 아니라 ‘판단 , 특정한 욕구 , 가치’ 등으로 이루어진
복합체
라고 주장한다 .
감정이 ‘느낌’ 보다는 ‘사유’에 기초해 있다고 주장 ( 합리적인
것)

22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3. 감정
Chapter
3-1.
3.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 플라톤의 『국가』에서
두려움이나 슬픔과 같은 감정이 생기기 위해서는 피할 수 없고
무서운 어떤 일이 벌어지리라는 것과 같은 종류의 믿음을 먼저
가져야만 한다고 보았다 .

- 에픽테토스 ( 스토아학파 . 윤리학 . 55-150 년 경 )


『엔키리디온 』에서
“ 인간은 사물들에 의해
혼란을 느끼기보다는
인간이 사물들에 대해 만드는
의미와 원리에 의해서
혼란을 겪는다 .”

23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3. 감정
Chapter
3-1.
3.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3] 여성주의 철학자 푼트슈타인 (A. S. Pfundstein, 1951~):


[2] 의 이해와 달리 , 감정은 몸속에 존재하는 에너지로서
현상의 본질을 깊게 꿰뚫어 볼 수 있게
하는 ‘통찰 능력’ ( 감정의 이성 )

 몸 철학 은 정신에 의해 이론적으로 구성된


세계보다 우리가 직접 체험하며 살아가는
이 구체적인 세계가 더 참된 세계라는
사실을 전제로 함 .

 이성에 앞서 감정을 통해 세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으며 , 나를


둘러싼 복잡한 상황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한다 .
“ 무엇이 나를 아프게 하는지를 면밀히 들을 때 , 삶이 자신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배울 수 있다 . ”

24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3. 감정
Chapter 도덕적인 감정 : 흄 (David Hume) 의 ‘공감의 윤리
3-2.
학 ’ 3.

 흄 (1711~1776) 은 도덕감 (moral sense) 에서 보편적 도덕


판단기준을 마련하고자 시도한다 .

 이성이 아닌 ‘동정심’ 혹은 ‘공감 (sympathy)’ 에 호소하여


윤리체계를 구상하려고 시도했다 .

25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3. 감정
Chapter
3-2.
3. 도덕적인 감정 : 흄의 ‘공감의 윤리학’

 이러한 도덕감은 주관적이며 상대적이지 않고 ‘보편적’이다 .

 공감 혹은 동정심이란
-- 고통이나 기쁨과 같은 타인의 정념을 강하든 혹은 약하든 ,
간접적으로 동일하게 느끼며 공유하는 능력 혹은 그러한
감정을 분유함으로써 생겨나는 연민의 정

 공감
-- 인간의 ‘본성적인 능력’ : “ 도덕성은 판단되기보다는 느껴진다 .”

26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3. 감정
Chapter
4
< 철학적 인간학 >

나가는 말

27
Chapter
3. 4.
Chapter 나가는 말

 이성의 부활 혹은 재구성을 통해 이성의 해체를 저지하고 , 동시에 이성의


본질적 한계와 난점을 넘어서고자 시도하는 이론에서 감정을 고려하고
존중하며 , 이성과 감정이 상호 공존하거나 이성에 의해 감정이 충분히
포용될 수 있는 이성론을 정립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우리에게 남겨져
있다 .

28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Chapter 4. 나가는말


생각해보기 : 조별 토론 주제

* 토론 관련 질문 :
1 . 이성과 감성 중에서 나의 삶을 주도하는 것은 무엇인가 ?

나는 어떤 의미에서 이성적인가 ?

2. 공감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들은 어떤 것들일까 ?

3. 건강한 욕망과 병든 욕망의 차이를 정리해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새로운 상품소비를 위해 인간의 욕망이 어떻게
부풀려지고 왜곡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자 .

29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생각해보기
참고문헌

 헤르만 헷세 , 『知와 사랑』 , 송영택 옮김 , 인문출판사 1973.


 이정우 지음 , 『개념뿌리들』 1,2 권 , 산해 2010.
 피터 B. 라베 지음 ,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 , 김수배 옮김 , 시그마
프레스 2010.
 『이성의 다양한 목소리』 , 현대철학연구소 편 , 철학과 현실사 2009.
 『우리말 철학사전』 1 권 , 우리사상연구소 엮음 , 지식산업사 2007.
 김상봉 지음 , 『호모 에티쿠스』 , 한길사 2011.
 루돌프 옷토 지음 , 『성스러움의 의미』 , 길희성 옮김 , 분도출판사
1999.
 홍경자 , 「몸철학과 여성주의 철학상담」 , 한국여성철학 제 12 권 .

30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참고문헌
감사합니다 .

< 철학적 인간학 >


31
제 4 강 . 이성과 감정

You might also like